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주한미국군 감축 예상한 미국 국방부와 연방의회

[개벽예감 311] 주한미국군 감축 예상한 미국 국방부와 연방의회
 
 
 
한호석(통일학연구소 소장) 
기사입력: 2018/08/20 [09:36]  최종편집: ⓒ 자주시보
 
 

<차례>

1. 국방수권법안에서 뭐가 달라졌는가?

2.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드러난 무지몽매와 망동

3. 조미비핵화협상 감시하려는 국방부와 연방의회

4. 대통령의 철군결정은 누구도 가로막지 못한다

 

 

1. 국방수권법안에서 뭐가 달라졌는가?

 

2018년 8월 13일 도널드 트럼프(Donald J. Trump) 미국 대통령이 뉴욕주 북부에 있는 포트 드럼(Fort Drum)을 방문하였다. 이 군사기지에는 미국 육군 제10산악사단이 주둔하고 있다. 미국군에 단 하나뿐인 이 경보병산악사단은 지난 10여 년 동안 아프가니스탄전쟁과 이라크전쟁에서 실전경험을 쌓아온 정예부대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 정예부대를 찾아가 흥미로운 정치극을 연출하였다. 미국 언론매체들의 보도사진을 보면, 그는 미국 육군의 전투장비를 대표하는 AH-64E 어파치(Apache) 공격헬기 두 대와 차량견인식 155mm M777 곡사포 두 문을 배경에 두고, 장병들 앞에서 법안서명식과 연설을 진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역대 미국 대통령들이 백악관에서 법안에 서명해온 전통과 관례를 벗어나 전투부대에서 서명식을 진행하고 연설까지 하였으니, 이를 어찌 의도적으로 연출된 정치극이라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사진 1>

 

▲ <사진 1> 이 사진은 2018년 8월 13일 뉴욕주 북부에 주둔하는 경보병산악사단을 방문한 트럼프 대통령이 장병들 앞에서 서명한 '2019회계년도 국방수권법안' 문서를 손에 들고 장병들과 취재진에게 보여주는 장면이다. 미국 국방부가 작성하고, 연방의회가 승인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국방수권법안은 오는 10월 1일부터 1년 동안 시행된다. 2019회계년도에 미국 국방부가 지출할 군사예산은 약 7,170억 달러인데, 거기에는 미국의 핵무력을 현대화하고, 우주군을 창설하고, 병력을 증원하고, 신형 전략폭격기를 개발하고, 신형 전투함을 건조하고, F-35 스텔스전투기 77척을 제작하는 방대한 규모의 예산이 포함되었다. "위대한 미국의 재건"을 무력증강으로 실현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적 의지가 그 법안에 반영되었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트럼프 대통령이 그런 정치극을 연출하면서 서명한 법안은 미국 국방부가 작성하고 연방의회가 승인한 ‘2019회계년도 국방수권법안(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for Fiscal Year 2019)’이다. 국방수권법안이라는 것은 군사예산을 얼마나 책정하고, 어느 부문, 어느 사업에 군사예산을 어떻게 배정하는지를 명시한 회계법안이다. 미국 연방정부의 회계년도는 10월 1일부터 이듬해 9월 30일까지 1년이므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8월 13일에 서명한 국방수권법안은 2018년 10월 1일부터 시행되어 2019년 9월 30일에 종료되는 한시법안이다. 

 

미국 국방부가 작성하고 연방의회가 승인한 법안에서 책정된 2019회계년도의 군사예산은 약 7,170억 달러다. 거기에는 핵무력을 현대화하고, 우주군을 창설하고, 병력 15,000명을 증원하고, 신형 전략폭격기 B-21을 개발하고, 신형 군함 13척을 건조하고, F-35 스텔스전투기 77척을 제작하는 방대한 예산이 포함되었다. “위대한 미국의 재건”을 무력증강으로 실현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적 의지가 그 법안에 반영되었다. 법안에 서명한 트럼프 대통령은 곧이어 진행된 연설에서 “지난 몇 해 동안 지독한 삭감조치가 있었으나, 지금 우리는 이전에는 결코 가질 수 없었던 우리 군대를 재건하고 있다. 우리는 그것이 우리의 자유를 살리기 위한 것임을 알기에 우리 군대의 힘에 의존한다. 지구 위의 그 어떤 적도 미국군의 힘과 용기와 기량에 맞서지 못한다. 그 누구도 따라오지 못하게 되었으며, 결코 따라오지 못할 것”이라고 큰 소리를 쳤다.    

 

일반적으로 국방수권법안에는 미국 국방부가 인식하는 군사정세와 그에 대한 대응책이 반영되는데, ‘2019회계년도 국방수권법안’과 ‘2018회계년도 국방수권법안’을 비교하면서 그 문제를 파악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2018회계년도 국방수권법안’에 서명하였던 2017년 12월 12일은 조선이 화성-15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서 성공하여 미국 본토 전역에 전략핵타격을 가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한 날로부터 불과 12일밖에 지나지 않은 때였으므로, 당시 미국 국방부는 국가안보파탄위험을 직감하고 있었고, 바로 그런 사정이 그 법안에 반영되었다. 그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018년회계년도 국방수권법안’에는 미국이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가장 중시하는 세 가지 군사전략목표가 명시되었는데, 그 목표를 우선순위에 따라 열거하면, 첫째가 “한반도의 위협에 대처하기에 필요한 군사적 임무들”이고, 둘째가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중국이 제기한 도전과 관련된 미국 국방부의 역할”이고, 셋째가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테러와 싸우기 위한 목적과 우선순위들”이다. 

 

미국 국방부는 지난해 국방수권법안에서 “북조선의 핵 및 미사일프로그램이 오늘 미국이 직면한 가장 위험한 국가안보위협들 가운데 하나라고 인식하고, 현 행정부가 한국과 일본의 방어를 최우선순위에 놓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사진 2> 

 

▲ <사진 2> 이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이 2017년 12월 12일 백악관에서 '2018회계년도 국방수권법안'에 서명하는 장면이다. 미국 국방부는 지난해 국방수권법안에서 조선의 핵무력 완성을 미국이 직면한 가장 위험한 국가안보위협이라고 지적하면서, 미국이 한국과 일본의 방어를 최우선순위에 놓아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런데 그와 달리,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는 조선의 핵무력이 인도양-태평양 전역의 안정에 중대한 국가안보위협을 제기한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서술내용의 변화는 2018년 6월 12일 조미정상회담이 성사된 이후 조선의 국가핵무력에 대한 미국의 위협체감도가 현저하게 낮아졌음을 말해준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당시 다급한 사정에 처한 미국 국방부는 국방장관이 조선의 대륙간탄도미사일에 관한 정보와 대응계획을 연방의회에 보고하겠다고 하였다. 이를테면, “북조선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또는 핵무기의 개발 및 배치”, “북조선의 핵 및 미사일프로그램이 미국과 동맹국들에 주는 영향”, “북조선의 위협을 억제하고 방어하는 계획”, “우주공간에서 미국의 사활적 이익과 능력을 북조선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계획”, “북조선의 전자기파무기(EMP weapon)가 촉발할 수 있는 손실과 파괴” 등에 관한 국방장관 보고서를 연방의회에 제출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와 달리, ‘2019회계년도 국방수권법안’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프로그램이 미국만이 아니라 한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를 포함하는 인도양-태평양 전역의 안전과 안정에 중대한 국가안보위협을 제기하는 것으로 인식한다”고 간략하게 명기되었다. 

 

미국이 직면한 국가안보위협에 관한 서술내용이 지난해 국방수권법안과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그처럼 확연히 달라진 것은, 2018년 6월 12일 조미정상회담이 성사된 이후 조선의 국가핵무력에 대한 미국의 위협체감도가 현저하게 낮아졌음을 말해준다. 

 

미국 국방부는 지난해 국방수권법안에서 조선의 국가핵무력 완성에 맞서기 위한 대책들을 열거하였다. 이를테면, “미국 국방부가 2017년에 작성하는 ‘핵태세검토보고서(Nuclear Posture Review)’에서 미국이 한국과 일본에게 충분한 방어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음을 재확인하는 행동들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고 지적하였고, 한미군사회담과 미일군사회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미국의 확장억제노력의 신뢰성과 실천성을 보장하는 현존 핵능력을 유지하고 현대화하여야 한다”고 언급하였으며, “현대적인 핵능력을 갖춘 항공모함을 적절한 시기에 개발하고, 생산하고, 배치하는 것은 미국이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확장억제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보장하는 데서 근본적으로 중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미국 국방부는 지난해 국방수권법안에서 조선의 국가핵무력 완성에 대처하는 대책수립과 관련하여 법안시행일로부터 30일 안에 “미사일방어체계, 장거리타격자산, 중거리타격자산 같은 미국의 주요군사자산들을 해당지역에 증강배치하고, 해당지역에서 동맹국들과의 군사협력, 군사연습, 통합방위를 강화하고, 해당지역 동맹국들에게 대외군사판매를 증대시키고, 해당지역에 이중용도 항공모함을 배치하거나 훈련하는 계획을 수립하며, 핵탄두를 장착하는 잠수함발사순항미사일을 해당지역에 재배치하는 문제를 포함하여 핵무력태세에 관련된 필요한 조치들을 취하고, 미국 국방장관이 해당지역에서 확장억제 및 안보보장을 강화하기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다른 행동들도 취하겠다”고 하였다. 

 

그런데 그와 달리,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는 “미국이 한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에 대한 방어와 확장된 핵억제에 관한 조약의무와 보장을 포함하여 자기의 조약의무와 보장을 흔들림 없이 견지하는 것으로 인식한다”고 간략하게 명시되었다. 

 

조선의 국가핵무력 완성에 맞서려는 미국의 핵무력준비태세에 관한 서술내용이 지난해 국방수권법안과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그처럼 달라진 것은, 2018년 6월 12일 조미정상회담이 성사된 이후 조선의 국가핵무력에 대한 미국의 위협체감도가 현저하게 낮아졌음을 말해준다.

 

 

2.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드러난 무지몽매와 망동

 

지난해 국방수권법안과 올해 국방수권법안을 대조하면, 서술내용에서 차이점이 하나 더 나타나는데, 그것은 지난해에는 언급되지 않았던 비핵화문제가 올해 매우 비중 있게, 그리고 아주 상세하게 명기된 것이다. 미국 국방부가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명시한 비핵화문제에 관한 서술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국 국방부는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완전하고, 검증할 수 있고,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가 미국의 중심적인 대외정책목표로 되었다”고 명시하였다. 그리고 “어떤 종류의 비핵화합의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충돌종식합의”도 한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에 대한 방어와 확장된 핵억제에 관한 미국의 조약의무와 보장을 “대신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였으며, 주한미국군을 “강력하게,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명시하였다. 

 

미국 국방부는 지난해 국방수권법안에서 북조선이라는 비공식 국호를 썼지만,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고 표기했다. 이것은 조선의 국가적 지위 및 조미관계에 대한 미국의 인식이 변화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위에 서술된 인용문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한반도에서 평화체제를 구축하고 한반도의 비핵화를 실현하는 역사적 과업에 대한 미국 국방부의 인식은 정세발전을 거스르는 퇴행적이고 자의적이고 일방적인 강변으로 일관되었다. 이 문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지적하면, 미국 국방부는 남북정상회담과 조미정상회담에서 합의되고 천명된 ‘조선반도의 비핵화’라는 핵심개념을 ‘조선의 비핵화’라는 자의적 개념으로 바꿔버리고, 조선이 ‘완전하고, 검증할 수 있고,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를 실현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미국 국방부는 조선과 미국이 비핵화나 평화체제구축과 관련하여 어떤 합의에 이르더라도, 한미동맹체제는 그런 합의와 무관하게 종전대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미국 국방부의 그런 견해와 입장은 그들의 무지몽매를 드러내 보여줄 뿐이다. 그들은 조미관계가 올해 국방수권법안에 서술된 방향과는 정반대로 전개되고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 무지몽매에 빠져있는 것이다. 누구나 아는 것처럼, 한미동맹체제라는 것은 정전체제에 의해 산생된 것이므로, 종전선언 발표에서 출발하여 평화체제가 구축되는 일련의 정세변화 속에서 정전체제가 해체되면 한미동맹체제도 존재근거를 상실하고 당연히 해체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도 무지몽매에 빠진 미국 국방부는 한반도 평화체제와 한미동맹체제가 양립, 병존할 수 있을 것처럼 착각하였다. 한반도 평화체제와 한미동맹체제의 상호관계와 관련하여 미국 국방부가 드러내 보인 그런 무지몽매는 아주 오래 전부터 흘러나오는 왜곡관념의 병리적 분비물이므로, 별로 특기할 만한 것이 아니다. 

 

정작 특기할 만한 것은, 올해 국방수권법안에는 지난해 국방수권법안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내용이 들어갔다는 사실이다. 그 새로운 내용은 미국 국방부가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주한미국군 감축문제에 대해 언급한 것이다. 주한미국군 감축을 반대해오던 그들이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그 문제에 대해 처음 언급한 것은 중대한 문제이므로, 아래에서 자세히 논한다. 

 

미국 국방부는 지난해 국방수권법안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대조선전략수립문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지난해 국방수권법안에서 미국 국방부는 대조선전략수립에 관한 대통령 보고서가 연방의회에 제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테면, “대통령은 법안시행일로부터 90일 안에 대조선전략수립에 관한 보고서를 연방의회에 제출하고, 이에 관련된 진전상황을 알려주는 갱신된 연례보고서를 연방의회에 제출할 것”이라고 하면서, 대통령 보고서에 들어가야 할 주요내용들까지 적시하였다. 미국 국방부와 연방의회가 대통령 보고서에 적시되기를 원했던 주요내용들은 “미국의 국가안보에 대한 북조선의 주요위협에 대한 설명과 평가”, “외교, 경제, 안보부문에서 한반도전략의 목표들과 북조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안보위협의 종식”, “안보위협을 종식시키는 상세한 실행경로와 시간표” 등이었다. <사진 3>

 

▲ <사진 3> 이 사진은 2018년 8월 1일 미국 연방상원이 '2019회계년도 국방수권법안'을 의결하는 장면이다. 미국 국방부는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국방장관이 '조선의 비핵화'에 관한 보고서를 연방의회에 제출하겠다고 하면서, 그 보고서에 조선이 전면 배격한 "강도적이고 일방적인 요구"를 반영하겠다고 하였다.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미국 국방부는 조미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가 아니라 '조선의 비핵화'를 조선에게 요구하겠다고 하면서, 핵무기가 아닌 대량파괴무기들까지 비핵화대상으로 규정함으로써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을 훼손하려는 불순한 저의를 드러냈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그런데 미국 국방부는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대통령 보고서가 아니라 국방장관 보고서를 연방의회에 제출하겠다고 하였고, 대조선전략에 관한 보고서가 아니라 조선의 비핵화에 관한 보고서를 제출하겠다고 하였다. 이를테면, “미국 국방장관이 국가정보실장, 국무장관, 에너지장관과 협력하여 법안시행일로부터 60일 안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협상을 진전시키는 기준선을 정하기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프로그램 현황에 관한 보고서를 연방의회 산하 위원회들에 제출하겠다”고 명시된 것이다. 그리고 미국 국방부는 국방장관 보고서에 다음과 같은 주요내용들을 담겠다고 하였다.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무기, 그리고 화학무기 및 생물무기를 포함한 다른 대량파괴무기들의 위치, 수량, 능력, 작전상태”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무기, 그리고 화학무기 및 생물무기를 포함한 다른 대량파괴무기들을 연구, 개발, 생산, 시험하는 시설들의 위치”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상고정식 탄도미사일발사대의 위치, 수량, 능력, 작전상태, 그리고 이동식 발사대와 해상발사대의 능력, 준비태세에 관한 평가”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탄도미사일 제조시설, 조립시설들의 위치”

(5) “위의 서술부분에서 요구되는 정보와 관련된 정보격차와 확인수준에 대한 평가, 그리고 그런 정보격차를 메울 수 있는 검증 또는 사찰”

 

미국 국방부가 연방의회에 제출할 국방장관 보고서에 담으려는, 위에 열거한 다섯 가지 사항들은 조선이 전면적으로 배격한 “강도적이고 일방적인 요구”들이며, 국가자주권을 인정하는 국제법에서 탈선한 비법적인 요구들이다. 더욱이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합의한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과 어긋나게 핵무기가 아닌 대량파괴무기까지 비핵화대상으로 규정하였다는 점에서,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을 훼손하려는 불순한 저의가 올해 국방수권법안에 도사리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조선에게 그런 부당한 요구를 제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 자체가 불법행위다. 그런데도 미국 국방부가 연방의회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그런 불법행위를 거론한 것은 망동이 아닐 수 없다.   

 

 

3. 조미비핵화협상 감시하려는 국방부와 연방의회

 

미국 국방부는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만일 조선과 미국이 비핵화에 관련된 합의에 이르는 경우, 합의일로부터 60일 안에, 그리고 그 이후에도 90일마다 위에 열거된 다섯 가지 사항이 들어간 국방장관 보고서를 연방의회에 제출하겠다고 하였다. 이런 내용이 올해 국방수권법안에 들어간 것은, 미국 국방부가 조선과 미국이 2019년 9월 30일 이전에 비핵화를 합의할 것으로 예상하였음을 말해준다. 

 

미국 국방부의 그런 예상은 그들이 조선과 미국의 비핵화협상을 감시하려는 의욕을 불러일으켰는데, 연방의회도 그런 감시조치에 동조하였음은 물론이다. 미국 국방부는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자기들이 연방의회에 제출할 조미비핵화협상 보고서에 다음과 같은 주요내용들을 담겠다고 적시하였다.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밖으로 이전되거나 또는 검증할 수 있도록 해체되고 파괴되고 영구히 사용할 수 없게 된 핵무기, 그리고 화학무기 및 생물무기들과 탄도미사일들을 비롯한 대량파괴무기들의 수량”

(2)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도록 해체되고 파괴되고 영구히 사용할 수 없게 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무기, 그리고 화학무기 및 생물무기들을 비롯한 대량파괴무기들을 연구, 개발, 생산, 시험하는 시설들의 위치” 

(3) “검증할 수 있도록 해체되고 파괴되고 영구히 사용할 수 없게 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탄도미사일 제조 및 조립시설들의 위치”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통제에 남아있는 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통제하는 핵무기와 탄도미사일의 수량”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핵무기프로그램을 재생시키고 핵무기를 재생산하기에 필요한 돌파기간(breakout period)을 연장하는 상황에 대한 평가” <사진 4>

 

위에 열거한 다섯 가지 사항들이 말해주는 것처럼, 미국 국방부는 그들이 주장하는 ‘조선의 비핵화’가 실현되더라도 조선의 국가핵무력이 전부 해체되는 것은 아니므로, 조선이 국가핵무력을 일정기간 뒤에 재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조선의 국가핵무력을 전부 해체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보는 미국 국방부의 강조점은 ‘조선의 비핵화’ 실행여부를 검증하는 것에 찍혀있다. 그래서 그들은 검증평가보고서를 ‘조선의 비핵화’가 실현된 날로부터 180일 안에 연방의회에 제출하고, 그 이후에도 180일마다 제출하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미국 국방부가 검증평가보고서를 거론한 것 자체가 현실을 배반한 망상의 산물이다. 그렇게 판단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조미협상이 진전되면서 공고하고 항구적인 한반도 평화체제가 구축되면, 조선은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복귀할 것으로 예견된다. 조선의 국제원자력기구 복귀는 조선이 그 기구의 포괄적안전협정(Comprehensive Safeguards Agreement)을 받아들인다는 뜻이다. 조선이 국제원자력기구에 복귀하여 포괄적안전협정을 받아들이면, 그 기구가 구성한 사찰단이 과거에 그러했던 것처럼 포괄적안전협정에 의거하여 녕변핵시설단지에 대한 정기사찰을 시행할 것이고, 녕변핵시설단지에서 조선이 자발적으로 해체한 몇몇 핵시설들의 해체상황을 정기사찰을 통해 검증할 수 있다. 하지만 녕변핵시설단지 밖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비밀핵시설들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의 사찰은 결코 허용되지 않을 것이다. 만일 미국이 국제원자력기구를 앞세워 미신고 핵시설들에 대한 특별사찰을 시행하려면, 조선과 추가의정서(Additional Protocol)를 합의해야 하는 데, 1993년의 경험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조선이 추가의정서를 합의할 가능성은 털끝만큼도 없다.  

 

더욱이 핵물질생산시설이 아닌 핵무기를 사찰하고 그것의 해체여부를 검증하는 것은 국제원자력기구의 권한과 임무를 넘어서는 엄청난 일이므로, 만일 미국이 조선의 핵무기를 사찰하고 검증하려면, 조선과 협상을 벌여 사상 초유의 특별검증방식을 합의해야 하는데, 조선이 그런 협상요구에 응해줄 가능성은 전혀 상상할 수 없다. 

 

 

4. 대통령의 철군결정은 누구도 가로막지 못한다

 

미국 국방부는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주한미국군 감축문제를 처음 언급하였다. 그 동안 주한미국군 완전철수를 반대할 뿐 아니라 감축마저 반대해온 그들이 감축문제를 거론한 것은 주목할 만한 변화다. 그런 변화는 조미협상이 진전되면서 주한미국군 감축이 불가피한 현실로 다가오고 있음을 자인한 것이다. 

그런데 조미관계에 관한 보도에서 사실왜곡을 일삼는 한국의 언론매체들은 올해 국방수권법안에 서술된 주한미국군 감축문제에 대해 왜곡하였다. 그들은 연방의회가 승인해주지 않으면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국군을 감축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게 되었다는 식의 왜곡보도를 내보낸 것이다. 이를테면, <조선일보>는 2018년 8월 14일부 보도기사에서 올해 국방수권법안에 서술된 주한미국군 감축문제에 대해 언급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언젠가 주한미군 감축, 철수를 원한다고 말한 상황에서, 미 의회가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이런 결정을 내리지 못하도록 법으로 막은 것”이라고 하였다. 

 

그것은 상투적인 왜곡보도다. 미국군 해외파병 또는 증파, 그리고 해외 주둔 미국군의 감축 또는 철수는 연방의회의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이 미국 대통령이 독자적으로 시행하는 권한이므로, 미국 연방의회가 대통령의 그런 권한을 가로막을 수 없다. 그런데도 한국의 언론매체들은 미국 연방의회가 트럼프 대통령의 주한미국군 감축을 승인해주지 않으려는 법적 조치를 의결한 것처럼 보도하였으니, 왜곡보도의 극치를 보는 듯하다. 

 

미국 국방부가 작성하고 연방의회가 승인한 올해 국방수권법안에서 주한미국군 감축문제가 언급된 항목의 제목은 “한국에 배치되어 현역으로 복무하는 군대의 전체 병력수를 축소하기 위해 자금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제한”이다. 이 제목만 보더라도, 주한미국군 감축을 가로막은 것이 아니라, 올해 책정된 군사예산이 주한미국군 감축에 사용되는 것을 제한한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 항목에는 다음과 같은 세 문장이 들어있다.

 

“국방장관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연방의회 국방관련위원회들에 먼저 증명하지 않으면, 이 법안에서 승인된 자금이 한국에 배치되어 현역으로 복무하는 군대의 전체 병력수를 22,000명 수준으로 감축하는 데 사용되지 못할지도 모른다.  

 

(1) 감축은 미국의 국가안보이익에 부합되고, 해당지역 동맹국들의 안전을 심하게 훼손하지 않는다. 

(2) 감축문제와 관련하여 국방장관은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맹국들과 적절히 상의한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이번에 책정된 군사예산이 주한미국군 감축에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단정적인 어법이 아니라, “사용되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어정쩡한 어법이 쓰였다는 점이다. 

 

<한겨레> 2015년 10월 23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 국방부는 한국 정부가 국민의 혈세를 거둬 미국에게 상납해온 ‘방위비분담금’ 가운데 일부를 사용하지 않고 미국 민간은행 ‘뱅크 오브 어메리카(Bank of America)’ 서울지점이 위탁운영하는 ‘커뮤니티은행(Community Bank)’이라는 미국 국방부 소유의 특수은행에 2002년부터 비자금으로 적립해놓았는데, 비자금 규모는 2008년 10월에 1조1,193억원, 2013년 8월에 7,100억원, 2014년 1월에 6,210억원, 2015년 10월에 3,900억원에 이르렀다고 한다. 미국 국방부는 해마다 적립되는 비자금을 가지고 2002년부터 2015년까지 3,000억원 이상의 이자수익을 올린 것으로 추산되는데, 한국 정부는 미국 국방부의 이자수익에 대한 세금을 한 푼도 걷지 못한 채 수수방관해온 것이다. 비자금 내막을 보면 기가 막혀 말이 나오지 않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국방부에게 그 비자금으로 주한미국군 감축비용을 충당하라고 지시할 수 있다.  

 

주한미국군 감축문제가 언급된 국방수권법안 항목에서 주목되는 것은, 미국 국방장관이 주한미국군 감축의 필요성을 연방의회에 증명하는 경우, 트럼프 행정부는 올해 책정된 군사예산을 지출하여 주한미국군을 22,000명 선까지 감축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무슨 뜻인가? 미국 국방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국군 감군 행정명령서에 서명만 하면 주한미국군이 즉각 감축될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으므로, 감군하더라도 22,000명 이하로는 감군하지 말 것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권고한 것이다.  

 

현재 주한미국군 총병력수는 공식적으로 28,500명이므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국방부의 권고를 받아들이면 2019회계년도 안에 주한미국군 6,500명을 감축할 수 있다. <사진 5>

 

미국 국방부는 전투부대를 한국에 고정배치하지 않고, 미국 본토에서 한국으로 9개월마다 정기적으로 순환배치하고 있는데, 9개월마다 순환배치되는 병력은 약 3,500명이다. 그러므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으로 순환배치되는 병력을 두 번만 연거푸 순환배치하지 않고 미국 본토에 남겨두라고 명령하면, 감축비용을 한 푼도 들이지 않고 주한미국군 약 7,000명을 감축할 수 있다.  

 

이전에 <자주시보>에 실린 나의 글들에서 몇 차례 거론한 것처럼, 트럼프 대통령은 주한미국군 철수문제를 긍정적으로 검토해왔다. 미국 텔레비전방송 <NBC> 2018년 5월 1일 보도, <뉴욕타임스> 2018년 5월 3일 보도, 그리고 <워싱턴포스트> 2018년 6월 7일 보도에서 그런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국군 철수문제를 긍정적으로 검토해오면서도, 자기의 철군의지를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고 주저하는 까닭은 몇몇 각료들이 그의 철군결정을 가로막기 때문이다. 1968년 8월 리처드 닉슨(Richard M. Nixon)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에서 주한미국군 철수문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하였으나, 헨리 키씬저(Henry H. Kissinger) 국가안보보좌관이 반대하는 바람에 주한미국군을 철수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닉슨은 1971년 3월 주한미국군 7사단 20,000명을 감축하는데 그쳤고, 1973년 3월 베트남에서만 미국군을 완전히 철수하였다. 그런데 그로부터 50년이 지난 오늘 백악관 국가안보회의에서 매우 비슷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한미국군 철수문제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지만, 존 볼턴(John R. Bolton) 국가안보보좌관, 존 켈리(John F. Kelly) 비서실장, 제임스 매티스(James N. Mattis) 국방장관이 철군을 반대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의 정세는 50년 전 정세와 완전히 다르다. 1968년 8월 닉슨 대통령은 아시아 주둔 미국군을 철수하는 정책의 일환으로 주한미국군 철수문제를 검토하였는데, 당시 그가 아시아 주둔 미국군을 철수하려고 하였던 까닭은, 미국군이 베트남전쟁에서 패배한 충격과 중국의 대륙간탄도미사일개발에 대한 우려가 중첩되었기 때문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1968년 1월 21일부터 7월 9일까지 베트남에서 격렬하게 계속된 케산전투(Battle of Khe Sanh)에서 미국군이 북베트남군에게 패하였고, 비록 발사 후 30초 만에 엔진폭발로 실패하였으나 중국이 1968년 1월 26일 사상 처음으로 3단형 위성발사체 창정(長征)-1호를 쏘아올렸다. 

 

그런데 그로부터 50년이 지난 오늘 정세는 전혀 다르게 변모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시아 주둔 미국군을 철수하는 정책의 일환으로 주한미국군 철수문제를 검토하는 게 아니라, 아시아대륙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주한미국군을 철수하는 문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그가 주한미국군 철수문제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까닭은, 미국이 조선의 국가핵무력 완성을 막으려고 갖은 술책을 다하다가 실패하여 조선과의 핵대결에서 패하였을 뿐 아니라, 조선의 국가핵무력 완성이 미국을 국가안보파탄위험에 빠뜨렸기 때문이다. 

 

50년 전에는 한반도가 아닌 베트남과 중국에서 각각 일어난 변화에 의해 아시아 주둔 미국군을 철수하는 과정에 덤으로 주한미국군을 감축하였지만, 지금은 조선의 국가핵무력 완성으로 조미관계가 결정적으로 바뀐 정세변화 속에서 주한미국군을 철수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린 것이다. 머지않아 종전선언이 발표되면 트럼프 대통령은 몇몇 각료들의 반대를 물리치고 주한미국군 감축을 단행할 것이고, 종전선언에 이어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감축 이후에 남게 되는 주한미국군도 모두 철수할 것이다.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방송 심의규정까지 위반하며 삼성 홍보하는 ‘종편’

장점만 말하는 동일 인터뷰를 인용 보도한 TV조선‧채널A‧MBN
 
임병도 | 2018-08-20 08:55:37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지난 8월 10일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갤럭시 노트9’을 발표했습니다. 삼성전자의 새로운 스마트폰 발표 당일, TV조선‧채널A‧MBN은 이 소식을 저녁 종합뉴스에서 대대적으로 보도합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의 모니터 보고서를 보면 7개 방송사 중 8월 10일 저녁 뉴스로 ‘ 갤럭시 노트9’을 다룬 곳은 TV조선‧채널A‧MBN 뿐이었습니다.

“베일 벗은 갤럭시노트9…리모컨으로 진화한 S펜 ‘눈길’” <TV조선 뉴스9>
“만능펜으로 승부…베일 벗은 갤럭시노트9” <채널A 뉴스A>
“’셀카 찍고 음악 틀고’…갤노트9 핵심은 블루투스펜” MBN

TV조선‧채널A‧MBN은 마치 삼성전자 홍보팀이 아닐까 하는 착각이 들 정도로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9’과 ‘S펜’이라는 상품명을 반복해서 언급했고, 제품의 장점만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TV조선‧채널A‧MBN은 기자들이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탑재된 ‘펜’을 통한 원격 사진 촬영 기능을 설명하면서 직접 시연까지 했습니다.


장점만 말하는 동일 인터뷰를 인용 보도한 3사

▲8월 10일 뉴스에서 동일 인물 인터뷰 인용한 TV조선 <뉴스9>,채널A <뉴스A>,MBN <뉴스8>ⓒ민주언론시민연합

TV조선‧채널A‧MBN의 뉴스를 보면 동일한 인터뷰를 똑같이 보도하는 진풍경을 보여줬습니다.

TV조선에는 폭스비즈니스의 수잔 리와 제릭스위츨랜드의 파스칼 기자의 인터뷰가 나옵니다. 그런데 수잔 리는 MBN의 뉴스에도 나옵니다.

TV조선에 등장했던 파스칼 기자의 인터뷰는 채널A에 다시 ‘스위스 언론인 포스칼’이름으로 등장합니다. 3사가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인물과 했던 인터뷰를 똑같이 인용한 것입니다.

취재 현장이 같기에 인터뷰 내용도 중복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점만 말하는 기자의 인터뷰를 동일하게 인용했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왜 3사 중 아무도 갤럭시 노트9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인터뷰를 하지 않았고, 보도하지 않았는지가 의문입니다.


보도자료를 베낀 듯 말하는 기자들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 9’ 보도자료 (좌) TV조선‧채널A‧MBN이 보도한 기능 설명 (우)

삼성 뉴스룸에는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9’ 전격 공개’라는 제목으로 ‘S 펜’의 장점을 그대로 설명하는 보도자료가 실렸습니다. 여기에는 “카메라, 동영상, 갤러리 등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프레젠테이션 중 슬라이드를 넘기는 것도 가능하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TV조선‧채널A‧MBN의 기자들은 마치 삼성전자의 보도자료를 베낀 듯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9의 S펜 장점을 상세하게 설명했습니다.

요새 IT 리뷰를 하는 1인 미디어나 유튜버도 이런 식으로 장점만을 나열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들 3사는 ‘셀카를 찍거나’,’프레젠티션에도’,’반경 10미터’ 등 보도자료에 나온 장점을 리포팅 내용에 그대로 담아 보도했습니다.


방송 심의 규정을 위반한 3사

▲8월 10일 TV조선‧채널A‧MBN이 보도한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9’ 보도는 방송심의규정을 위반했다.

‘방송심의규정 제46조(광고효과)’를 보면 ‘상품 등 또는 이와 관련되는 명칭·상표·로고·슬로건·디자인 등을 과도하게 부각하거나 반복적으로 노출하는 내용’을 광고 효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TV조선‧채널A‧MBN은 ‘갤럭시 노트9’의 상품명을 반복해서 보도했습니다. 특정 상품을 과도하게 노출시킴으로 삼성전자는 광고 효과를 톡톡히 본 셈입니다.

방송심의규정을 보면 ‘상품 등의 기능을 시현하는 장면 또는 이를 이용하는 장면을 과도하게 부각하거나 구체적으로 소개하는 내용’을 방송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TV조선‧채널A‧MBN은 기자들이 직접 ‘S펜’의 기능을 설명하고 시연까지 했습니다.

8월 10일 <민주언론시민연합>의 방송 모니터 보고서에 나온 방송 이외 다른 언론사도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 9의 출시와 연관된 뉴스를 연속해서 보도하고 있습니다.

베일벗은 ‘갤노트9′ 역대 최강…S펜으로 승부 <연합뉴스 TV> 
[화보]베일 벗은 갤럭시노트9 ‘만능 S펜’ 앞세운 화려한 데뷔 <뉴스1>
갤럭시 스튜디오서 만난 ‘갤 노트9’… ‘최강 스펙, 흥행 기대감” <뉴데일리> 
[포토]갤노트9, 말레이시아서 인기 ‘후끈’..”2000명 몰렸어요” <이데일리>

모든 언론이 특정 회사의 제품을 장점만 보도하는 모습이 과연 정상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제대로 취재하고 검증해 진실만을 보도하겠다는 저널리즘의 원칙도 특정 회사 앞에서는 무용지물인가 봅니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13&table=impeter&uid=1627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옥탑에서 내려온 박원순, 강북에 1조 투자한다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8/08/20 10:26
  • 수정일
    2018/08/20 10:26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현장] 강북살이 마친 박 시장, '동고동락 정책 발표회'서 강북 우선투자 계획 밝혀

18.08.19 19:30l최종 업데이트 18.08.19 20:59l

 

강북투자 정책구상 밝히는 박원순 서울시장 한 달간의 강북구 삼양동 옥탑방 생활을 마친 박원순 서울시장이 19일 오후 서울 강북문화예술회관에서 '시민과 동고동락 성과보고회'를 열어 강북투자 정책구상을 발표하고 있다.
▲ 강북투자 정책구상 밝히는 박원순 서울시장 한 달간의 강북구 삼양동 옥탑방 생활을 마친 박원순 서울시장이 19일 오후 서울 강북문화예술회관에서 '시민과 동고동락 성과보고회'를 열어 강북투자 정책구상을 발표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그동안 기계적·획일적으로 투자하던 재정을 강북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배하려고 한다. 비강남지역 주민들의 편의시설과 인프라 확충을 위해 집중 투자하겠다."

한 달간 강북살이를 했던 박원순 서울시장이 '옥탑방 구상'을 발표하며 "강북 우선 투자를 통해 강남북의 기울어진 운동장을 평평하게 만들겠다"라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19일 오후 2시 서울 강북문화예술회관에서 '동고동락 정책발표회'를 열었다. 지난달 22일 시민의 생활 속으로 들어가 시정을 하겠다며 강북구의 한 옥탑방에 입주한 박 시장이 한 달 '강북살이'를 하며 구상한 정책들을 주민과 언론에 밝히는 자리를 가진 것이다.

강북 지역에 교육·주거 우선 투자... "청년의 도시로 만들 것"

 

박 시장은 한 달 고민의 결과물로 '강북 우선 투자'를 통한 청년층 유입을 내놨다. 박 시장은 "옥탑방을 살면서 가장 고민을 많이 했던 것이 강남·북 격차다"라며 "오늘날 강남·북 격차는 과거 70년대에 이뤄졌던 강남집중 개발에 기인한 것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박 시장은 "도시는 젊어야 활기가 생긴다"라며 "강북을 청년의 도시로 만들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장기간 방치된 빈집을 매입해 '청년 중심 창업 공간'과 '청년 공공임대 주택'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내년 중 빈집 400호를 우선 매입하고 2022년까지 1000호를 사들여 청년·신혼주택 4000호를 공급하는 게 목표다. 이를 통해 주거난으로 고통받는 청년, 신혼부부를 유입하고 동시에 강북 지역의 생활 인프라도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박 시장은 그 모델로 '터무늬 있는 집'을 들었다. 터무늬있는 집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출자한 돈을 기반으로 사회투자지원재단이 청년들의 주택 보증금을 마련해서 꾸린 청년주택으로 강북구에 있다. 강북살이를 하며 박 시장이 현장에서 찾은 답 중 하나다.

박 시장은 "서울시와 SH공사가 빈집을 사들여 수리해 청년들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한다면 터무늬있는 집은 수백 개가 될 것이다"라며 "그곳에서 청년들이 서울시가 다양한 사업을 함께 하면, 일자리와 주거문제가 해결되는 동시에 지역 사회도 변화시킬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강남·북 격차를 벌리고 청년층의 유입을 막는 요소로 지적되는 교육·보육 인프라 조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박 시장은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이 돼야 젊은층들이 온다"라며 국공립 어린이집 등 신규 돌봄시설의 90% 이상을 비강남권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2022년까지 비강남권에 영유아 열린육아방 373개, 국공립어린이집 486개, 우리동네 키움센터 357개를 신설하고 어린이전문병원도 세운다. 또 자녀교육을 위해 강남으로 이사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강북권 대학들과 주변 고등학교를 연계한 진로 프로그램 운영과 핀란드식 방과후 예술학교, 시립거점도서관 설립도 추진한다.

지역경제 활성화·교통 불편 해소 통한 '강북 부흥'

이외에도 박 시장은 '강북 부흥'을 목표로 상업지역과 공공기관 등을 강북에 집중 배분한다. 그간 강남 위주로 상업지역이 집중적으로 배정됐다고 보고 앞으로는 강북 내 상업지역 지정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동시에 서울시 산하 공공기관 3곳이 강북 지역으로 이전한다. 현재 서울시 산하 기관 중 동북4구(노원구·성북구·강북구·도봉구)에 있는 기관은 3곳밖에 안 된다. 박 시장은 강남권에 있는 서울주택도시공사, 서울연구원, 인재개발원을 강북 지역으로 옮겨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겠다고 했다.

박 시장은 "SH공사나 인재개발원은 서울시 산하 기관 중 큰 기관들이다"라며 "인재개발원의 경우 연 인원 5만 명 정도가 연수받는 기관이다 보니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꽤 클 것으로 예상한다"라며 "어린이전문병원, 시립도서관 등을 짓는 것은 새로운 기관들을 배치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강북의 주요 골칫거리로 이야기 되는 '교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교통 인프라도 확충한다. 그동안 민자사업자 선정에 난항을 겪었던 면목선(청량리∼신내동)을 포함해 우이신설 연장선(우이동∼방학역), 목동선(신월동∼당산역), 난곡선(보라매공원∼난향동) 등 4개 경전철 사업을 서울시 재정사업으로 전환해 오는 2022년까지 조기 착공하기로 했다. 오르막이 많아 대중교통으로 접근이 어려운 강북 지역의 경우 경사형 모노레일, 곤돌라, 에스컬레이터 등을 설치해, 주민 편의와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주차난 해소에도 힘쓴다. 박 시장은 "옥탑방에 살며 가장 많이 들은 민원이 주차장이다"라고 밝혔다. 이에 서울시는 총 사업비 60억 이상일 때만 주는 시 보조금 지급을 늘려, 비강남권 지역에 공영주차장 건설 시 총 사업비 20억 원 이상이어도 시 보조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공유차량 보급도 확대한다. 공공시설에 서울시 공공 카셰어링 서비스인 나눔카 우선주차구역 설치를 의무화해 나눔카 주차장을 기존의 6배 이상 늘릴 계획이다.

이날 약속한 구상들을 실현하기 위해 서울시는 약 1조 원 규모의 '균형발전특별회계'를 조성한다.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교부액, 일반·특별회계 전입금, 과밀부담금, 도시개발과 재건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공기여금, 초과이익환수금 등을 통해 재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내년 1월까지 지역균형발전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균형발전담당관을 신설한다.

삼양동에 어르신 쉼터 설치... 고위험 1인 가구 전수조사
 
큰사진보기주민들과 인사를 나누며 삼양동을 떠나는 박원순 서울시장 부부 19일 박원순 서울시장 부부가 주민들과 인사를 나누며 삼양동을 떠나고 있다.
▲ 주민들과 인사를 나누며 삼양동을 떠나는 박원순 서울시장 부부 19일 박원순 서울시장 부부가 주민들과 인사를 나누며 삼양동을 떠나고 있다.
ⓒ 서울시

관련사진보기


앞서 박 시장은 이날 오전 한 달간 생활했던 옥탑방을 정리했다. 들고 왔던 이불, 옷, 책은 물론 옥탑생활을 하며 시민들에게 받은 부채 등을 가득 싸 옥탑방에서 내려왔다. 집을 나서기 전 박 시장 내외는 삼양동 주민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날 오후에 열린 정책 발표회에도 많은 동네주민들이 찾아왔다. 박 시장에게 평상을 제작해 선물한 한 시민이 대표로 박 시장에게 '삼양동 주민증'을 전달하기도 했다.

이렇게 한 달 주민으로 살면서 고민했던 '삼양동 맞춤' 구상도 이날 발표했다. 박 시장은 쉴 곳이 없어 계단에 스티로폼을 깔고 있던 주민들을 위해 어르신 쉼터를 설치하고 도시가스가 들어오지 않는 170세대를 위해 공사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1인 가구의 고립·단절에 대한 대책도 내놨다. 지난 9일 이웃집에 살던 40대 남성이 고독사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당시 박 시장은 "큰 숙제를 받았다"라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고독사를 막기 위해 박 시장은 "고위험 1인 가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하고 의료진 동행 방문을 오는 9월부터 시작하겠다"라며 "공동체가 살아있는 외롭지 않은 마을을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우문현답(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을 강조했다. 박 시장은 "한 달이란 짧은 기간이었지만 삼양동에 와서 골목을 걸어다니고 전통 시장을 다니고 주민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좀 더 구체적인 비전과 정책적 대안이 나왔다"라며 "에어컨 나오는 서울시장실에서 간부들과 회의했다면 나오지 않았을 내용이 많다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총무원장 탄핵·명성교회 세습 “이게 종교냐”

총무원장 탄핵·명성교회 세습 “이게 종교냐”

박경은 기자 king@kyunghyang.com

입력 : 2018.08.18 14:40:00 수정 : 2018.08.18 15:05:54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설정 스님(앞줄 왼쪽)이 8월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문화역사기념관에서 열린 중앙종회 임시회에 참석해 반야심경을 봉독하고 있다. / 연합뉴스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설정 스님(앞줄 왼쪽)이 8월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문화역사기념관에서 열린 중앙종회 임시회에 참석해 반야심경을 봉독하고 있다. / 연합뉴스

 

조계종은 사상 초유의 총무원장 탄핵이라는 사태를 맞았으며, 세계 최대의 장로교회인 명성교회는 변칙적 세습으로 지탄과 조롱의 대상이 됐다. 권력과 돈에 집착한 종교계가 벌이는 볼썽사나운 싸움이 목불인견이다. 

 

목불인견. 이 한마디로 현재 한국 종교계의 상황은 요약된다. 한국 불교계를 대표하는 조계종은 사상 초유의 총무원장 탄핵이라는 사태를 맞았으며, 세계 최대의 장로교회인 명성교회는 변칙적 세습으로 지탄과 조롱의 대상이 됐다. 권력과 돈에 집착한 종교계가 벌이는 볼썽사나운 싸움이 사회공동체에 균열과 상처를 내고 있는 형국이다. 금권에 매몰된 종교계의 모습에 “이게 종교냐”는 분노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총무원장 탄핵한 조계종 

조계종 총무원장 설정 스님은 한국 불교 역사상 최초로 탄핵된 총무원장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8월 16일 종단의 국회 격인 중앙종회가 총무원장 불신임안을 가결시켰다. 22일로 예정된 원로회의에서 원로의원의 과반수(12명)가 찬성하면 탄핵이 최종 확정된다. 종단에서는 큰 이변 없이 인준이 이뤄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설정 스님이 탄핵으로까지 내몰리게 된 표면적 이유는 숨겨둔 자녀가 있다는 ‘범계(계율을 범함)’ 의혹에 제대로 된 해명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사안만 놓고 보면 범계에 대한 종단 차원의 엄중한 결단으로 비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면의 양상은 다르다. 종단 권력을 놓고 벌어진 처절한 투쟁의 민낯이 드러났다는 게 불교계 안팎의 시각이다. 종단 내의 ‘야권’ 세력을 비롯해 그동안 불교계 개혁운동을 주도해온 범개혁진영에서는 전 총무원장인 자승 체제의 공고함이 증명된 ‘친위 쿠데타’라는 이야기까지 나올 정도다. 

 

설정 스님은 지난해 총무원장 선거에서 자승 스님을 중심으로 한 주류 기득권 세력의 지원에 힘입어 무난히 당선됐다. 후보자 시절에도 학력위조, 은처자 의혹 등이 제기됐다. 당시 설정 스님은 학력위조에 대해서는 사과했으나 은처자 문제에 관해서는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일관되게 견지했다. 전격적인 탄핵투표가 이뤄질 만큼 은처자 의혹이 갑작스럽게 불거진 문제는 아니라는 이야기다.

설정 스님 사퇴 압박이 본격화된 것은 지난 5월 초 MBC <PD수첩>이 스님에 대한 의혹을 보도하면서다. 시민사회단체 등 범개혁진영에서는 스님에게 해명과 퇴진을 요구했고, 설조 스님이 단식에 나섰다. 이때만 해도 급박한 상황은 아니었으나 지난 7월 들어 종단 내 주류세력이 설정 스님 퇴진 압박에 가세하며 상황은 반전됐다. 대형사찰 주지 스님들의 모임인 전국교구본사주지협의회는 설정 스님을 만나 용퇴할 것을 촉구했으며, 조계종의 최고 어른인 종정 진제 스님도 “명예로운 퇴진”을 언급하며 퇴진 요구에 힘을 실었다. 

그동안 의혹을 감쌌던 주류세력이 “종단 내 화합과 안정”을 내세우며 설정 스님에게서 돌아선 이유는 뭘까. 16일 열린 중앙종회에서 불신임안을 대표발의한 범해 스님이 밝힌 이유는 이렇다. “설정 스님은 취임 이후 종단 안팎에서 제기된 의혹들에 대해 명확하게 소명하지 못해 종단의 혼란을 야기했다. 또 8월 16일 용퇴하겠다고 약속했음에도 이를 번복함으로써 종단의 혼란과 분란을 초래했고 종단의 신뢰를 실추시켰다. 이에 중앙종회 의원은 종단을 안정시키고 종헌질서를 바로 세우기 위해 총무원장 불신임결의안을 발의하게 됐다.” 

하지만 종단 내 야권과 개혁세력들은 이 같은 이유는 명분일 뿐 내심은 ‘꼬리 자르기’라고 단언한다. 주류세력이 종단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지난해 설정 스님을 총무원장으로 당선시켰으나 여론과 상황이 악화되면서 사퇴로 선회했다는 것이다. 자승 스님 역시 총무원장 시절 지속적으로 퇴진 요구를 받으며 개혁대상으로 거론돼 왔기 때문에 범개혁진영에 주도권이 넘어가면 자칫 종단 영향력이 약화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불교 개혁운동을 이끌어온 김경호 지지협동조합 이사장은 “주류세력이 설정 스님 불신임안을 가결키로 한 것은 이미 예측됐던 상황”이라면서 “중앙종회를 장악해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주류 기득권의 의도”라고 지적했다. 

중앙종회는 조계종의 국회에 해당하는 기관으로 주요 사안을 결정하는 기구다. 중앙종회에 대한 전 총무원장 자승 스님의 지배력은 여전히 막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중앙종회 의원들의 임기는 11월 9일까지다. 설정 스님 불신임안이 22일 원로회의에서 최종 확정되면 그로부터 60일 이내에 총무원장 선거가 치러진다. 현 중앙종회 의원들의 임기 내에 선거가 치러지기 때문에 여전히 차기 총무원장 선거도 주류세력의 주도 하에 치러지는 셈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스님은 “총무원장 선거를 비롯해 주요 개혁사안들을 다시 기존 적폐세력이 주도하게 된 모양새라 지난 몇 년간 지속돼 왔던 개혁운동이 더 어려워질 우려도 있다”면서 “설정 스님의 퇴진을 시작으로 향후 권력투쟁이 더욱 가열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당장 22일 원로회의부터 주류세력과 개혁세력의 충돌이 예상된다. 불교개혁행동 등 시민단체들은 원로회의에 중앙종회 해산을 요청키로 했다. 또 전국선원수좌회와 조계종을 걱정하는 스님들의 모임 등 개혁성향의 스님들은 23일 전국승려대회를 연다. 전국승려대회는 말 그대로 전국의 승려들이 모여 뜻을 함께하는 초법적 기구다. 1994년에 열린 승려대회로 종단 개혁의 물꼬를 텄고, 1998년 종단의 질서를 바로잡는 역할을 했으나 이후엔 열린 적이 없다.

교구본사주지협의회와 중앙종회 등 조계종 주류세력은 승려대회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중앙종회는 16일 결의문을 채택하고 “종도로서의 도리와 종헌질서를 아랑곳하지 않는 승려대회에 반대하며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서울 강동구 명성교회의 김삼환 원로목사  / 경향신문 자료사진

서울 강동구 명성교회의 김삼환 원로목사 / 경향신문 자료사진

세습 마이웨이 명성교회 

종교개혁 500주년이던 지난해는 개신교계 입장에서 더할나위 없이 경사스럽고 뜻깊은 해였다. 하지만 교계 안팎에선 한탄과 자조가 터져나왔다. 명성교회 때문이었다. 몇 년간 논란이 지속됐던 명성교회의 세습이 사실상 완료되면서 종교개혁 정신을 빛바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등록교인 10만명. 세계 최대 규모의 장로교회인 명성교회에는 지난해 11월 김삼환 원로목사의 아들인 김하나 목사가 부임했다. 최근에는 법적인 정당성까지 얻었다. 이 교회가 소속된 대한예수교 장로회(예장) 통합 총회 재판국이 지난 7일 세습문제가 적법하다고 판결했다.

명성교회가 세간의 거센 비판을 받은 것은 세습 자체뿐 아니라 꼼수와 말바꾸기로 일관해왔기 때문이다. 명성교회의 세습문제가 쟁점으로 부상한 때는 2013년이다. 김삼환 목사가 당시 명성교회 부목사로 재직 중이던 김하나 목사에게 교회를 물려주려 한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교계 안팎에서는 이에 대한 반발이 나왔다. 교회 측은 폭력으로 교인들의 시위에 대응하며 물의를 빚기도 했다. 그래도 이 같은 논란 중에 예장 통합은 총회를 열고 ‘세습 방지법’을 압도적인 찬성률로 통과시켰다. 충현교회, 광림교회 등 앞서 세습을 했던 강남 대형교회들의 잡음이 사회문제로 확대되면서 교단 내부에서는 세습을 금지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된 터였다. 이후 김삼환·김하나 목사 부자는 세습하지 않겠다는 뜻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2015년 김삼환 목사는 후임을 정하지 않은 채 은퇴했다. 그리고 2년 뒤인 2017년 명성교회는 그 아들을 담임목사로 청빙했다.

이 과정에서 세습방지법의 관련 조항 해석이 교계 안팎의 공분을 샀다. 교단의 관련 법에서는 세습 금지 대상을 ‘해당교회에서 사임(사직) 또는 은퇴하는 위임(담임) 목사의 배우자 및 직계비속과 그 직계비속의 배우자’로 규정하고 있다. 문제가 된 것은 ‘은퇴하는’이라는 문구다. 세습을 밀어붙이던 명성교회 측은 김삼환 목사가 이미 은퇴했기 때문에 아들인 김하나 목사를 청빙하는 것은 법적 절차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즉, ‘은퇴하는’ 목사가 아니라 ‘은퇴한’ 목사이기 때문에 상관없다는 주장이었다. “말도 안 되는 해석”이라는 비난이 쏟아졌지만 총회 재판국은 이 같은 주장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현재 교계 안팎의 반발은 거세다. 13일에는 개신교 법조인 500명으로 구성된 기독법률가회가 세습 무효를 주장했고, 같은 교단 내의 목회자들도 비판에 동참하고 있다. 교회세습반대운동 연대는 “한국교회의 개혁을 꿈꾸는 젊은 목회자와 신학생들의 세습 반대 절규를 외면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교계 일각에서는 9월로 예정된 총회에서 뒤집힐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교계 원로인 안동교회 유경재 원로목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재판국원 8명 때문에 교단이 통째로 세습 인정 교단이 될 수 없다”면서 “교단의 지성을 믿는다”고 밝혔다. 교회개혁실천연대 김애희 사무국장은 ”국회 상임위에서 의결된 안건이 본회의에서 부결되는 경우도 있지 않느냐”면서 “최종 결론은 9월로 예정된 총회에서 판가름날 예정인데, 실제로 명성교회에 대한 부정적 기류가 강해 끝까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논란의 주역인 명성교회 측은 “교회로서는 판결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혔을 뿐이다. 김하나 목사는 지난 12일 설교에서 “이럴 때일수록 오직 하나님만 바라보자”면서 내부 결속을 다지는 내용의 설교를 통해 간접적으로 심경을 전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국제 폭탄에 의해 예멘 어린이들 대규모 사망

사우디연합군들이 학교버스 공격에 사용한 폭탄은 미국제
 
번역, 기사 이용섭 기자 
기사입력: 2018/08/19 [08:08]  최종편집: ⓒ 자주시보
 
 

미국제 폭탄에 의해 예멘 어린이들 대량사망

 

지난 8월 9(현지시간사우디가 이끄는 연합군들이 예멘 사아다시 사람들이 붐비는 시장 입구에 서 있던 학교버스를 폭격하여 수많은 어린 학생들 희생자를 내게 한 데 사용한 폭탄은 미국의 록히드 마틴사가 생산하여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레이트에 대량으로 판매를 한 제품이라고 8월 12일 자 이란 관영 파르스통신이 보도하였다파르스통신은 미국제 폭탄에 의해 예멘 어린이들 사망이라는 제목으로 관련 사실을 상세히 전하였다또한 미국의 cnn 역시 같은 사실을 보도하였다.

 

파르스통신은 사우디 아라비아 주도의 연합군이 사아다 지방에서 수십 명의 예멘 어린이들을 태운 학교 버스를 공격하기 위해 사용 한 폭탄은 미국에서 제조된 것이다라고 안사룰라 관리가 일요일에 밝힌 사실을 인용하여 자세히 보도하였다한편 이번에 사아다시 시장 입구에 서 있는 학교버스를 폭격하는데 사용된 미국제 폭탄은 2016년하지자흐 지방의 장례식장과 알-자이디예흐의 형무소를 폭격할 때 사용되었던 MK-82라고 예멘 관리들이 밝혔다.

 

2016년 10월 초에 있었던 예멘의 수도 사나아시의 장례식장에 대한 폭격에 의해 무려 155명이 숨졌고, 500명 이상의 사람들이 부상을 당하였다바로 그때 사용되었던 미국제 폭탄 MK-82를 사용하여 이번 사다아시 시장입구에 서 있던 학생들을 가득 태운 학교버스를 폭격하여 대부분이 어린이들인 예멘 민간인 51명이 숨지고 77명 이상이 부상을 당하였다.

 

파르스통신은 폭탄은 이전에 하지자흐 지방의 결혼식장과 알-자이디예흐의 형무소를 폭격할 때 사용되었던 MK-82라고 관리가 한 말을 이용하여 러시아의 오늘(러시아 투데이아랍어 제공 판이 보도하였다또한 유명한 예멘 언론인 나쎄르 아라비는 폭격에서 사용된 500파운드 MK-82 폭탄의 일부를 트위터에 게재하였다(원문-보여주었다). 그 거대한 폭탄은 미국에서 제조되어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레이트 두 나라에 엄청난 량으로 판매가 되었다.”고 예멘 언론들의 보도를 인용하여 자세히 전하였다.

 

국제적십자사가 밝힌데 따르면 이번에 희생된 어린이들은 10살에서 13살 사이의 어린이들이었다고 한다파르스통신은 국제적십자사위원회에 따르면 사다아 북부의 사람들로 붐비는 시장지역에 대한 폭격으로 50명 이상의 민간인들이 죽었으며 그 중에 많은 사람들이 10살에서 13살 사이의 어린이들이었다.”고 관련 사실을 보도하였다.

 

안또니오 구띠헤레스 유엔 사무총장을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의 고위관리들은 이번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끄는 연합군들의 예멘 학교버스 폭격의 참사를 맹렬하게 비난하였다특히 유엔사무총장은 해당 참사를 즉각적이고 객관적으로 철저히 조사할 것을 요구하였다.

 

국제사회의 비난과 유엔사무총장 등의 비난, 즉시적이고 객관적인 철저한 조사 요구에 대해 사우디가 이끄는 연합군들은 그 사건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약속을 하였다하지만 사우디주도의 연합군들의 해당 사건에 대한 조사약속은 그 이전에 안사룰라에 대한 합법적인 군사행동의 일환의 공격이었다.”라는 이전의 터무니없는 성명서 발표에 대한 비난을 피해가고자 하는 것이다라고 파르스통신은 예멘 관리들의 말을 인용하여 보도하였다.

 

한편 사우디가 이끄는 연합군들이 이번에 예멘 어린이들을 태운 학교버스를 폭격하는데 사용한 폭탄이 미국에서 생산된 제품이라는 사실에 대해 미국 cnn방송도 같은 사실을 보도하였다. cnn이 보도한 내용을 인용하여 파르스통신이 8월 18일 자에서 시엔엔수십 명의 어린이들을 죽인 폭탄은 미국이 제공한 것이다. (CNN: Bomb That Killed Tens of Yemeni Kids Supplied by US)”라는 제목으로 관련 사실을 전하였다.

 

파르스통신은 해당 cnn이 보도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계속 하여 전하였다.

 

군수품(무기 및 장비 포함)전문가들은 최근에 수십 명의 어린이들을 죽음으로 내몬 학교버스를 공격하는데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끄는 연합군들이 사용한 폭탄은 미국이 제공한 것이었다고 확인하여 주었다.

(Munitions experts confirmed that a bomb used by the Saudi-led coalition in recent attack on a school bus in Yemen that killed dozens of children had been supplied by the United States.)

 

전문가는 그 폭탄은 227킬로그램을 레이저로 유도되는 마크 82(MK-82)폭탄이며이 무기의 숫자는 미국의 주요 군산업체인 록히드 마틴의 고유번호로서 록히드마틴 이외에 다른 무기회사는 사용하지 못하며 따라서 계약자는 록히드마틴이고폭탄을 생산한 회사는 록히드마틴이라고 지목하였다.

(The experts told CNN on Friday that the bomb was a 227-kilogram laser-guided Mark 82 bomb, noting that the numbers on the weapon identified major US military contractor Lockheed Martin as its maker.)

 

또한 사아다를 폭격하는데 사용한 폭탄은 2016년 10월에 있었던 155명의 사망자를 내고 525명의 부상자를 발생시켰던 예멘의 수도 사나라의 장례식장을 타격했던 것과 대단히 유사한 것이었다고 보도는 전하였다.

(The report also said that the bomb used in the Sa'ada airstrike was very similar to the one that hit a funeral hall in the Yemeni capital, Sana'a, in October 2016, killing 155 people and injuring 525 others.)

 

씨엔엔(cnn)의 보도에 대해 묻자 사우디 주도의 연합군 대변인 뚜르끼 알-말리끼는 대령은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동안에는 연합군이 더 이상 논평을 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언급하였다.

(Asked about CNN's report, Saudi-led coalition spokesman Colonel Turki al-Maliki stated that it would not "be appropriate for the coalition to comment further while the investigation is underway".) -나머지 번역이 끝나는 데로 게재할 예정

 

사우디 연합군들이 사아다 시장입구에 서 있던 학교버스를 폭격하여 51명이 죽고 80명이 부상을 당했다고 어제 보도가 나왔다. 8월 9일에 있었던 사우디 연합군들의 학교버스 폭격에 대한 국제사회의 여론은 들끓고 있으며사우디와 그 동맹군들 그리고 그를 뒤에서 지원하고 있는 미국과 서방연합세력들에 대한 비난의 화살이 돌려지고 있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사우디와 그 동맹국들 그리고 서방연합세력들은 여전히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으며더 나아가 서방연합세력들은 인도주의요인권이요민주요자유요 하면서 선()의 탈을 뒤집어쓰고서 세계인들을 기만우롱하고 있다참으로 교활하고 악랄하기 그지 없는 세력들이라고 밖에는 더 이상 할 말이 없다우리는 이러한 서방연합세력들의 교활성과 악랄성에 대해 분명하게 깨달아야 한다.

 

----- 번역문 전문 -----

 

2018년 8월 12, 1시 48일요일

 

안사룰라미국제 폭탄에 의해 예멘 어린이들 사망

▲ 사우디 아라비아 주도의 연합군이 사다아 지방에서 수십 명의 예멘 어린이들을 태운 학교 버스를 공격하기 위해 사용 한 폭탄은 미국에서 제조된 것이다. 전문가는 그 폭탄은 227킬로그램을 레이저로 유도되는 마크 82(MK-82)폭탄이며, 이 무기의 숫자는 미국의 주요 군산업체인 록히드 마틴의 고유번호로서 록히드마틴 이외에 다른 무기회사는 사용하지 못하며 따라서 계약자는 록히드마틴이고, 폭탄을 생산한 회사는 록히드마틴이라고 지목하였다고 미 시엔엔(cnn)도 관련 사실을 보도하였다.     ©이용섭 기자

 

테헤란 (파르스통신)- 사우디 아라비아 주도의 연합군이 사다아 지방에서 수십 명의 예멘 어린이들을 태운 학교 버스를 공격하기 위해 사용 한 폭탄은 미국에서 제조된 것이라고 안사룰라 관리가 일요일에 말했다.

 

 

폭탄은 이전에 하지자흐 지방의 결혼식장과 알-자이디예흐의 형무소를 폭격할 때 사용되었던 MK-82라고 관리가 한 말을 이용하여 러시아의 오늘(러시아 투데이아랍어 제공 판이 보도하였다.

 

또한 유명한 예멘 언론인 나쎄르 아라비는 폭격에서 사용된 500파운드 MK-82 폭탄의 일부를 트위터에 게재하였다(원문-보여주었다). 그 거대한 폭탄은 미국에서 제조되어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레이트 두 나라에 엄청난 량으로 판매가 되었다.

 

목요일 예멘 북부에서 전투기가 미사일을 투하하여 학교버스를 폭격하였을 때 30명의 어린이들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국제적십자사위원회에 따르면 사다아 북부의 사람들로 붐비는 시장지역에 대한 폭격으로 50명 이상의 민간인들이 죽었으며 그 중에 많은 사람들이 10살에서 13살 사이의 어린이들이었다고 한다.

 

그 공격은 폭격 사건에 대한 즉시적인 철저한 조사를 요구한 안토니오 안또니오 구띠헤레스 유엔 사무총장을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와 고위 관리들에 의해 비난을 받았다.

 

사우디가 이끄는 연합군들은 그 사건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약속하였다그것은 안사룰라에 대한 합법적인 군사행동의 일환의 공격이었다는 이전의 주장에 대한 비난을 피해가고자 하는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리야드에 충성하는(원문-가까운 동맹만수르 하디를 권력의 자리에 다시 앉히기 위해 2015년 3월부터 예멘을 침략하여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사우디 주도하는 침략으로 인하여 수백 명의 여성들과 어린이들을 포함하여 최소한 약 17,500명 이상의 예멘 사람들이 죽음을 당하였다.

 

안사룰라 전사들의 주둔지를 대상으로 폭격했다는 리야드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사우디의 폭격에 의해 주민거주지대와 민간인들에게 필수적인 사회기간시설들이 초토화 되었다.

 

독립적인 세계 기구들의 보고서들은 예멘을 대상으로 한 사우디 주도의 전투기들의 폭격은 인도주의적인 대 재앙으로 이끌어 더욱더 빈곤한 국가로 전락시켰으며사우디아라비아의 치명적인 공격은 병이 든 환자들이 치료를 위해 바깥세상(원문-해외)으로 나가는 것을 막았으며전쟁으로 갈갈이 찢어진 나라(예멘)로 의약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음으로서 인도주의적인 대재앙을 가중시켰다고 경고를 하였다.

 

예멘은 예멘인들의 욕망은 여러 측면에서 폭증하고 있으나 지속적인 갈등으로 인하여 경제가 붕괴되었으며사회적인 봉사망들이 대폭 위축되었고생계수단 등이 거의 사라짐으로서 2,200만 명 이상의 인민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충족시켜줄 수 없는 세계 최대의 인도주의적 위기에 빠져있는 나라이다.

 

한 유엔보고관은 예멘에서 벌이고 있는 전쟁기간 동안 사우디아라비아군과 그 동맹국들에 의해 민간인 사상자들이 발생하고 있다는 상세한 보고서를 작성하였으며그 보고서는 리야드가 주도하는 연합군들은 민간인을 목표로 한 공격에서 정밀 유도탄을 사용했다고 말했다.

 

 

 ----- 원문 전문 -----

 

 

Sun Aug 12, 2018 1:48

 

Ansarullah: Yemeni Children Killed by US Bombs

 

▲ 사우디 아라비아 주도의 연합군이 사다아 지방에서 수십 명의 예멘 어린이들을 태운 학교 버스를 공격하기 위해 사용 한 폭탄은 미국에서 제조된 것이다. 전문가는 그 폭탄은 227킬로그램을 레이저로 유도되는 마크 82(MK-82)폭탄이며, 이 무기의 숫자는 미국의 주요 군산업체인 록히드 마틴의 고유번호로서 록히드마틴 이외에 다른 무기회사는 사용하지 못하며 따라서 계약자는 록히드마틴이고, 폭탄을 생산한 회사는 록히드마틴이라고 지목하였다고 미 시엔엔(cnn)도 관련 사실을 보도하였다.     ©이용섭 기자

 

TEHRAN (FNA)- The bombs used by the Saudi-led coalition to attack a school bus carrying tens of Yemeni children in Sa'ada province was made in the US, an Ansarullah official stated on Sunday.

 

 

The official was quoted by the Arabic-language service of Russia Today as saying that the bombs were MK-82 which had earlier been used to pound a wedding ceremony in Hajjah province and a prison in al-Zaidiyeh.

 

Also, a tweet from renowned Yemeni journalist Nasser Arrabyee shows part of a 500-pound MK-82 bombs used in the bombing raid. The giant bomb is manufactured in the United States and sold in large numbers to both Saudi Arabia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At least 30 children were among the people killed Thursday when their bus was struck by a missile fired from a warplane in northern Yemen.

 

The strike, in a busy market area in Northern Sa'ada has claimed the lives of over 50 civilians, many of them children between 10 and 13 years ol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The attack was condemned by numer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op officials, including UN Secretary General Antonio Guterres, who also called for a prompt investigation into the incident.

 

The Saudi-led coalition on Friday promised that it would conduct an investigation. It had previously deflected criticism of the attack as a legitimate military action against the Ansarullah.

 

Saudi Arabia has been striking Yemen since March 2015 to restore power to fugitive president Mansour Hadi, a close ally of Riyadh. The Saudi-led aggression has so far killed at least 17,500 Yemenis, including hundreds of women and children.

 

Despite Riyadh's claims that it is bombing the positions of the Ansarullah fighters, Saudi bombers are flattening residential areas and civilian infrastructures.

 

Reports by independent world bodies have warned that the Saudi-led air campaign against Yemen has driven the impoverished country towards humanitarian disaster, as Saudi Arabia's deadly campaign prevented the patients from travelling abroad for treatment and blocked the entry of medicine into the war-torn country.

 

Yemen is the world’s largest humanitarian crisis with more than 22 million people in need and is seeing a spike in needs, fuelled by ongoing conflict, a collapsing economy and diminished social services and livelihoods.

 

A UN panel has compiled a detailed report of civilian casualties caused by the Saudi military and its allies during their war against Yemen, saying the Riyadh-led coalition has used precision-guided munitions in its raids on civilian targets.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신영복의 응시, 이국종의 투시, 강재훈의 ‘사진 시’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8/08/19 08:19
  • 수정일
    2018/08/19 08:19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신영복의 응시, 이국종의 투시, 강재훈의 ‘사진 시’

등록 :2018-08-18 17:33수정 :2018-08-18 23:03

 

‘열림’의 얼굴들
신영복. 성공회대학교 석좌교수. 2015년 4월24일. 서울 양천구 목동 자택. 2016년 1월15일 작고.
신영복. 성공회대학교 석좌교수. 2015년 4월24일. 서울 양천구 목동 자택. 2016년 1월15일 작고.

 

▶ <한겨레> 강재훈 선임기자는 2013년 6월15일부터 지난 4일까지 연재된 토요판 인터뷰 코너 ‘이진순의 열림’의 사진을 전담했다. 그가 직접 찍은 115명 가운데 독자와 함께 하고 싶은 얼굴 사진 15장을 골랐다. 대부분 지면에는 나가지 않았던 사진들이다.

 

 

1990년대 초 세계적인 사진 관련 회사 코닥은 “이 세상에서 촬영되는 전체 사진 중 인물이 피사체로 들어간 사진이 96% 정도 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디지털카메라와 스마트폰이 보급된 2018년 현재 이 수치는 더 늘어났을 것이다. 2013년 5월23일 <한겨레> 토요판 ‘이진순의 열림’의 첫 인터뷰 대상자였던 윤종수 서울북부지방법원 판사를 시작으로 이진순씨가 셀프인터뷰를 한 지난달 26일까지 5년3개월간 모두 115명의 인물들을 만났다.

 

인터뷰 주인공이 결정되면 그 사람의 이력과 저서, 강연 내용, 인터뷰 질문지를 미리 살펴본 뒤 만나는 장소 등 사진 촬영의 제반 여건들을 확인하고 취재에 나섰다. 감동적인 인터뷰도 있었고 웃음이 나는 인터뷰도 있었지만, 가장 힘든 경우는 함께 눈물을 흘릴 수 밖에 없는 인터뷰들이었다.

 

짧으면 3~4시간, 길면 7~8시간 인터뷰가 진행되는 동안 나는 주인공의 눈에 렌즈 초점을 맞춘 채, 오직 카메라의 사각 창을 통해서만 그 사람을 바라보려 노력했다. 그래야 그가 하는 이야기와 그의 진실된 표정을 사진으로 담아낼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초점과 노출을 잠깐이라도 놓치지 않으려고 긴장의 끈을 조이다 보면 팔과 목에 경련이 일고 눈이 아파 눈물이 났다. 장애물을 피하고 간결한 배경을 얻기 위해 몸을 비틀어 촬영할 때는 몸이 경직되기도 했다. 마음에 드는 사진이 끝내 나오지 않아 다시 찾아간 경우도 여러 번 있었다.

 

전민주. 세월호 희생자 단원고 2학년 신승희양 어머니. 2015년 5월12일. 경기 안산 자택.
전민주. 세월호 희생자 단원고 2학년 신승희양 어머니. 2015년 5월12일. 경기 안산 자택.

 

115명 가운데 어느 한 사람 소중하지 않은 주인공이 없지만, 유독 잊히지 않고 마음에 남는 분들이 있었다. 신영복 선생은 암 투병 중에 어렵게 만나 촬영했는데, 결국 그가 세상에 남긴 마지막 사진이 되고 말았다. 천금보다 귀한 딸을 세월호 참사로 잃은 단원고 신승희양의 어머니 전민주씨의 눈물은 아직도 내 가슴에서 마르지 않은 채 흐르고 있다.

 

사진·글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이국종.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교수(경기남부권역외상센터장). 2017년 9월20일. 경기 수원 경기남부외상센터.
이국종.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교수(경기남부권역외상센터장). 2017년 9월20일. 경기 수원 경기남부외상센터.

 

김복동.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014년 2월7일. 서울 마포구 연남동 ‘평화의 우리집’.
김복동.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014년 2월7일. 서울 마포구 연남동 ‘평화의 우리집’.

 

현기영. 소설가. 2016년 6월14일. 경기 성남시 자택.
현기영. 소설가. 2016년 6월14일. 경기 성남시 자택.

 

채현국. 효암학원 이사장. 2014년 1월11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 식당.
채현국. 효암학원 이사장. 2014년 1월11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 식당.

 

서민.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과 교수. 2013년 6월27일. 충남 천안 단국대 연구실. 안동 하회별신굿 탈놀이에 등장하는 이매탈을 얼굴에 대보며 웃는 모습.
서민.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과 교수. 2013년 6월27일. 충남 천안 단국대 연구실. 안동 하회별신굿 탈놀이에 등장하는 이매탈을 얼굴에 대보며 웃는 모습.

 

 

장영승. 서촌갤러리 대표. 2015년 9월11일. 서울 종로구 효자동 서촌갤러리. 디자이너를 꿈꾸던 세월호 희생자 단원고 박예슬양의 유작 스케치를 실물로 만들어 전시한 갤러리 입구(포스트잇은 관객들이 붙인 추모 글귀들).
장영승. 서촌갤러리 대표. 2015년 9월11일. 서울 종로구 효자동 서촌갤러리. 디자이너를 꿈꾸던 세월호 희생자 단원고 박예슬양의 유작 스케치를 실물로 만들어 전시한 갤러리 입구(포스트잇은 관객들이 붙인 추모 글귀들).

 

 

 

손아람. 소설가·래퍼. 2015년 8월19일. 서울 마포구 망원동.
손아람. 소설가·래퍼. 2015년 8월19일. 서울 마포구 망원동.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 2017년 3월7일. 서울 마포구 망원동 평화네트워크 사무실.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 2017년 3월7일. 서울 마포구 망원동 평화네트워크 사무실.

 

윤석남. 화가. 2015년 6월9일. 서울 중국 서울시립미술관 ‘손과 심장’ 전시장.
윤석남. 화가. 2015년 6월9일. 서울 중국 서울시립미술관 ‘손과 심장’ 전시장.

 

조성룡. 건축가. 2018년 6월21일. 서울 종로구 팔판동 조성룡도시건축 사무실.
조성룡. 건축가. 2018년 6월21일. 서울 종로구 팔판동 조성룡도시건축 사무실.

 

황석영. 소설가. 2017년 6월13일. 경기 고양 정발산동 자택 인근 카페.
황석영. 소설가. 2017년 6월13일. 경기 고양 정발산동 자택 인근 카페.

 

 

 

박준영. 재심 전문 변호사. 2015년 12월9일. 경기 수원 원천동 사무실.
박준영. 재심 전문 변호사. 2015년 12월9일. 경기 수원 원천동 사무실.

 

유병재. 방송작가·방송인. 2015년 2월13일.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신문사.
유병재. 방송작가·방송인. 2015년 2월13일.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신문사.
 

 

연재[토요판] 이진순의 열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자카르타에서, 남북대학생 ‘셀카’ 찍다

<아시안게임> 원코리아 공동응원단 소식
자카르타=이하나 통신원  |  tongil@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8.08.18  15:36:48
페이스북 트위터

자카르타 = 이하나 통신원(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 정책국장)


“어디에서 왔어요?”
“평양이 고향이에요. 3년 됐어요.”
“평양 정말 가보고 싶어요! 한국에서 평양냉면이 유행이에요.”
“평양냉면 정말 맛있어요. 저도 이렇게 더운 날엔 평양냉면이 생각나요.”

2018 아시안게임이 진행중인 자카르타, 여자 농구 단일팀 경기장에서의 남북대학생의 깜짝 만남이었다. 경영학을 전공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에 유학중이던 북측 한청미 학생(21)과 한국에서 꾸려진 ‘원코리아 공동응원단’ 장현정(21), 조슬기(25) 학생이 응원석 앞뒤 좌석에 앉아 대화를 나눴다.

   
▲ 자카르타 아시안게임 현장에서 함께 셀카를 찍는 남북 대학생들. [사진-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 평양에서, 서울에서 온 남북대학생들은 친근하게 대화를 나눴다. [사진-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어색함도 잠시, 까르르 웃으며 대화가 이어진다. 남측 대학생이 영어영문학이 전공이라고 하자 북측 대학생은 “영어 한번 해주세요”라고 청했다. 짧은 영어 대화가 이어지고, 북측 학생은 영어로 “평양에 오게 된다면 미리 환영합니다”는 말을 건넸다. 그리고 학생들은 함께 셀카를 찍었다. 남측 학생 휴대폰으로 한번, 북측 학생 휴대폰으로 한번.

남인지 북인지 구별할 수 없는 사람들

6.15남측위원회가 한겨레통일문화재단,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등과 함께 꾸린 ‘2018 아시안게임 원코리아 공동응원단’이 지난 16일 자카르타를 찾았다. 17일부터 140명의 응원단이 시작될 예정이고 ‘응원리더’ 역할을 하게 될 대학생들이 선발대로 먼저 도착했다.

현지시간 17일 오전 10시, 여자농구 남북단일팀 경기현장에서는 서울에서 온 남측응원단과 인도네시아 현지 교민 - 특히 남측, 북측 교민들이 모두 함께 응원을 펼치는 훈훈한 장면이 연출됐다.

   
▲ 남북단일팀 농구경기를 응원하는 남, 북, 해외에서 모인 사람들. [사진-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 남북해외가 같은 구호, 같은 응원을 펼쳤다. [사진-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섞여있으니, 누가 남이고 누가 북인지 구별되지 않았다. 티셔츠 모양은 약간 달랐지만 단일기 모양을 활용한 건 같았고, 모두가 손에 단일기를 들었다. 기자들조차 “누가 북측 교민이냐”고 우리에게 물어보는 상황이었다. 그렇게 남북해외 모두가 같은 응원을 펼쳤다.

“우리는 하나다” “이겨라 코리아”
원코리아 응원단의 선창에, 현지 남북교민들 모두 목청껏 구호를 따라 불렀다.

“잘한다 로숙영 잘한다 로숙영”
북측 교민들이 남측 응원단에 자신들 구호를 권하기도 했다.

경기가 엎치락뒤치락 흥미진진해지면서 한골 한골에 모두가 환호했고, 자리에서 일어나 응원을 펼쳤지만, 단일팀은 연장까지 가며 아쉽게 패배했다. 모두가 함께 탄식했다.

   
▲ 대만과 남북단일팀의 농구경기는 접전을 거듭했다. 전광판의 한반도기가 모인다. [사진-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 남북 모두 경기를 지켜보며 집중한 모습. [사진-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 한골이 들어가면 모두 일어서서 환호했다. [사진-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반갑습니다’ 가사 저도 잘 몰라요

응원석은 훈훈했다. 남측 응원단이 준비해간 ‘반갑습니다’ 노래 가사종이를 보고, 북측대학생은 “이거 부를 줄 아세요?”라고 물었다. “열심히 외웠어요. 그쪽은 잘 부르시죠?”고 답하자, “나도 잘 모른다”고 웃기도 했다.

그러고 보니 반갑습니다가 알려진 것도 꽤 오래전이다. 젊은 학생들에게 흘러간 유행가를 잘 아냐고 묻는 상황이었달까.

남측이 준비해간 응원도구 ‘짝짝이’를 달라는 분도 있었다. 그리고 그 짝짝이는 북측 교민분의 아이에게 건네져 장난감이 되었다.

   
▲ 남측 응원단이 건넨 짝짝이를 껴보는 북측 교민과 아이. [사진-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 북측관계자들도 응원석 가까이 앉아 함께 응원했다. [사진-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응원단들은 열심히 경기를 응원하는 와중에도, 틈틈이 인사하며 짧은 대화들을 나눴다. 특히 젊은 세대의 만남은, 신기하거나 낯설기보다는 자연스럽고 친근했다.

“처음엔 북측 교민인줄 모르고, 우리처럼 응원하러 따로 오신 줄 알았어요. 그래서 언제 오셨냐고 묻자 1년 됐다고 하시더라고요. 저는 어제 왔다고 대답하려고 했는데 (웃음). 그리고 일 없습니다’는 말을 직접 들어본 건 처음이었거든요. 판문점 정상회담 때 느낀 ‘통역이 없는 사이구나’라는 걸 실감했어요. 마지막에 헤어지면서 ‘또 봅시다’라고 먼저 악수해주셨는데, 정말 또 봤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전북대 박영서(대학생 겨레하나)

“북측 교민분들이 맞춰 입으신 옷이 ‘하나로’라는 글씨가 그려진 티셔츠였어요. 그래서 예쁘다고 했더니, 이거 지도모양이라고 독도도 있다고 자랑하시더라고요(웃음) 그래서 우리 옷에도 독도 있다고 보여드렸어요.” 조대 김신영(청준의 지성)

“처음 만나는, 한국의 보통 친구들과 대화한 느낌이었어요. 낯선 느낌이 안 들더라고요. 사실 말을 걸어서 그 특유의 억양을 듣기 전까지는 북측 사람이라고 생각할 수 없을 만큼 친근하기도 했어요. 서울과 평양, 어찌보면 가까운 거리에 살고 있는데, 이렇게 멀리 인도네시아에 와서야 만날 수 있었던 거라고 생각하니 느낌이 묘하기도 하더라고요.” 청주교대 장현정(대학생 겨레하나)

아시안게임 단일팀, 판문점선언 양 정상의 약속

자카르타의 ‘원코리아 공동응원단’은 현지 교민들의 적극적인 바람에서 시작됐다. 판문점선언 이후 단일팀과 공동입장 등이 예정되면서 교민들은 이번 아시안게임을 계기로 적극적인 화해분위기, 통일분위기를 만들고 싶어 했고 관련 경험이 많은 615남측위원회에 공동응원을 함께 준비하자고 요청했다.

남북관계가 좋아지며 한반도에 평화의 훈풍이 가득한 것은, 멀리 해외에 사는 교민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인도네시아에는 북측 대사관도 있고, 평양에서 온 유학생도 많고, 교민들도 많이 거주하고 있다.

19일, 교민들과 응원단은 함께 자카르타 현지에서 ‘원코리아 페스티벌’을 연다. 이 자리에 북측 대사관도 정식 초청했음은 물론이다. 남, 북, 해외가 한자리에 모여 ‘우리는 하나다’를 외치는 것. 그것만큼 판문점 선언 이후의 분위기를 양껏 반영하는 게 있을까.

원코리아 공동응원단을 함께 운영하고 있는 김병규(6.15남측위 조직부위원장) 씨는, 그런 바람을 반영하며 이번 응원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이번 아시안게임 단일팀은 판문점 선언에서 양 정상이 약속한 내용이다. 현지 교민들의 적극적인 바람처럼, 남, 북, 해외가 하나되어 응원하는 것을 전 세계에 자랑하고 싶다. 우리 응원이 바로 판문점 선언을 이행하는 길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다.”

   
▲ 단일팀 응원이 판문점 선언 이행의 길이라고 생각하는 응원단의 모습. [사진-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 자카르타 아시안게임에서 응원단의 활약은 계속될 예정이다. [사진-통일뉴스 이하나 통신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피해자 옆에 우리가 있다” 성별불문 운집한 성차별·성폭력 끝장집회

참가자들 “사법부도 유죄” 분노...김지은 씨 “판사는 왜 가해자에겐 묻지 않나”

최지현 기자 cjh@vop.co.kr
발행 2018-08-18 21:55:36
수정 2018-08-18 22:20:23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서 미투운동과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성폭력·성차별 끝장집회에서 참가자들이 도로 행진을 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서 미투운동과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성폭력·성차별 끝장집회에서 참가자들이 도로 행진을 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민중의소리

"판사님, 가해자의 증인들이 하는 말과 그들이 낸 증거는 다 들으면서, 왜 저의 이야기나 어렵게 진실을 이야기한 사람들의 목소리를 듣지 않았나요? 왜 제게는 물으시고 가해자에게는 묻지 않았나요? 왜 제 답변은 듣지 않고 답하지 않은 가해자의 말을 귀담아 듣나요?"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에게 성폭행을 당했다고 폭로한 피해자 김지은 씨의 입장을 대신 읽어내려가는 정혜선 변호사의 목소리가 18일 광화문 인근 도로에 울려퍼지자 일대는 순간 숙연해졌다. 이날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에서 '미투운동과 함께 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5차 성차별·성폭력 끝장집회'에서였다. 집회 주제는 '여성에게 국가는 없다-못살겠다 박살내자'였다.

김 씨는 "죽어야 제대로 된 미투로 인정받을 수 있다면 지금이라도 당장 죽어야 할까 하는 생각도 수도 없이 했다"며 "큰 모자, 뿔태안경, 마스크 뒤에 숨어 얼마나 더 사람들을 피해 다녀야 할까, 이 악몽이 언제쯤 끝날까, 일상은 언제 찾아올까 생각한다"고 토로했다.

김 씨는 "이제 더 이상 대한민국에서 제가 기댈 곳은 아무것도 없다. 그저 가만히 있는 거 밖에 없다"며 "이게 지금 제가 겪고 있는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서 미투운동과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성폭력·성차별 끝장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서 미투운동과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성폭력·성차별 끝장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뉴시스

"안희정은 유죄다, 사법부도 유죄다"

 

서울 중심에 모인 참가자들은 안희정 전 지시가 1심 판결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데 대해 분노를 표출하며 김 씨의 입장에 공감을 표했다. "안희정은 유죄다, 사법부도 유죄다", "조병구를 탄핵하라"는 구호가 터져 나왔다. 조병구는 안 전 지사에게 무죄 판결을 내린 서울서부지법 형사합의11부 부장판사다. "진짜 미투, 가짜 미투, 네가 뭔데 판단하냐", "'피해자다움' 강요마라, 가해자를 처벌하라"는 것도 주된 구호였다.

안 전 지사 판결 등에 대한 분노는 김 씨와 같은 여성에 국한되지 않았다. 나이를 불문하고 모인 참가자들 가운데엔 남성도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민중당, 녹색당 등 진보정당도 공개적으로 참가했으며, 서울여성회, 한국여성노동자회 등 여성단체를 비롯해 여러 시민사회단체도 함께 했다.

그동안 '불편한 용기' 주최로 열린 집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다. 이전 집회에는 '생물학적 여성'만, 그것도 단체 소속이 아닌 개인 자격으로만 참석할 수 있었다.

또 당시 대다수 참석자들이 일부 남성 네티즌들이 신상을 찾아내 공격하고 조롱거리로 삼는 점을 두려워 하며 얼굴을 가리고 모자를 쓰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집회는 얼굴을 가리는 분위기가 아니었다. 사회적 공감대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대목이다.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서 미투운동과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성폭력·성차별 끝장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서 미투운동과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성폭력·성차별 끝장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민중의소리

남자친구와 함께 집회에 참가한 정모(39.여)씨는 민중의소리와 만나 "안희정 판결을 보고 가만히 있으면 안 된다고 생각이 들어 처음 집회에 왔다. 마치 법원이 너희(여성)는 그냥 받아들이라고 강압적인 선언을 한 느낌이 들었다"며 "여성 차별에 대한 (억울한) 감정을 눌러왔는데, 그걸 몸으로 (보여주고) 실천하기 위해 온 것"이라고 말했다.

그와 함께 집회에 참가한 이모(43.남)씨도 "이런 피해를 당했으면 어떤 절차로 구제를 받아야 하는데 피해를 말하기도 힘든 상황"이라며 "이런 게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힘을 보탰다.

안희정성폭력사건공동대책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오매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소장은 발언대에 올라 "1심 재판은 위력의 지형이 그대로 드러난 전시장과 다름 없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재판부가 합리적이고 새로운 법적 과제 제시한 듯이 말해서, 언론도, 입법부도 들썩이지만 위력 성폭력에 관련 법을 적용하지 않은 1심부터 제대로 살펴봐야 한다"며 "피해자답지 않은 시선과 잣대, 애초 피해자의 말이 의심스럽다고 보는 색안경이 있는 한 어떤 성폭력에도 법이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여성주의 연구활동가인 권김현영 씨는 "이번 판결에서 주어가 바뀌었다. 위력을 행사했다는 주어는 피고인이고 가해자, 안희정이다. 그런데 재판부는 피해자한테 '그때 당신은 뭐했냐'고 물었다. 주어가 바뀌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담당 재판부를 "역대 최악의 2차 피해 가해자"라고 비판한 뒤 "판결문 전문을 읽고 재판부가 가해자 편을 들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폭력 그 자체였다는 걸 알게 됐다. 안희정은 유죄고, 재판부도 유죄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서 미투운동과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성폭력·성차별 끝장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서 미투운동과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성폭력·성차별 끝장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민중의소리

"가해자는 감옥으로, 피해자는 일상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참가자는 점점 더 불어났다. 인도를 넘어 도로 1차선까지 채운 참가자들은 2차선까지 채울 정도로 불어났다. 진행자가 "우리가 바로 김지은의 세력들이다. 3차선까지 세력을 확장하자"고 제안하자, 참가자들은 3차선까지 자리를 넓혔다. 진행자는 "더 이상 우아하게 진행하지 않겠다. 분노를 표출하자"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가해자는 감옥으로, 피해자는 일상으로" 보내자고 거듭 목소리를 높이며 피해자에 대한 연대의 뜻을 보였다.

고미경 한국여성의전화 상임대표는 "여성인권의 역사는 잘난 자들이 만든 것이 아니다. 우리들의 말하기, 우리들의 분노, 우리들의 투쟁, 우리들의 연대를 통해서 만들어왔다. 더욱 치열하게 싸우자. 더욱 강렬하게 연대하자"며 "강고하게 보이는 가부장제를 해체하고, 성평등을 이룩하자"고 호소했다.

최근 고은 시인의 성폭력 의혹을 제기한 최영미 시인도 "김지은 씨를 지지한다"고 밝힌 뒤 준비해온 시를 읊었다.

참가자들은 1차 행사를 마친 뒤 서울 역사박물관에서 광화문, 경복궁, 안국동, 종로2가를 거쳐 다시 돌아오는 도로 행진을 1시간 반가량 벌였다. 지나가던 시민들과 외국인 관광객들도 사진을 찍거나 어떤 일인지 물어보며 크게 관심을 보였다.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서 미투운동과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성폭력·성차별 끝장집회에서 참가자들이 도로 행진을 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서 미투운동과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성폭력·성차별 끝장집회에서 참가자들이 도로 행진을 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민중의소리

행진이 끝난 뒤 날이 어두워졌지만, 참가자들은 쉽게 자리를 뜨지 않았다. 주최 측 관계자는 "2만명 정도 모인 것 같다"고 말했다.

행사는 계속 이어졌다. "어둠의 장막을 거두고 밝은 빛을 밝히자"며 '피해자다움', '남성연대', '강간문화' 등이 적힌 30m 현수막 찢기, 휴대폰 플래시 밝히기, 횃불 밝히기 등 퍼포먼스도 벌였다.

자유발언에선 성폭력을 폭로하는 '미투'가 잇따랐다. 자신을 '성폭력 생존자'라고 소개한 한 여성은 어려움 속에서도 용기를 내어 가해자를 끝내 법적 처벌받게 한 과정을 공개해 응원의 박수를 받았다. '문단 성폭력 피해자'라고 밝힌 또 다른 여성은 "성폭력이 아니라고 말하기 전에 무엇이 성폭력인지 알아라"라며 "용서 구하지 말고 그냥 사과를 하라"고 울먹이며 일침을 가했다.

참가자들은 "피해자 옆에 우리가 있다"며 끝까지 싸워나가겠다는 의지를 모으며 밤 9시까지 이어진 집회를 마무리했다.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서 미투운동과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성폭력·성차별 끝장집회에서 참가자들이 밤 늦게까지 남아 구호를 외치고 있다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서 미투운동과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성폭력·성차별 끝장집회에서 참가자들이 밤 늦게까지 남아 구호를 외치고 있다ⓒ민중의소리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서 미투운동과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성폭력·성차별 끝장집회에서 퍼포먼스가 진행되고 있다.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서 미투운동과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성폭력·성차별 끝장집회에서 퍼포먼스가 진행되고 있다.ⓒ민중의소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정미 정의당 대표 “5석 미니정당이 지지율은 15%…실력 다져 이 간극 넘어서겠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 “5석 미니정당이 지지율은 15%…실력 다져 이 간극 넘어서겠다”

구혜영이 만난 정치

구혜영

경향신문 정치부 데스크

koohy@kyunghyang.com

이정미 정의당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가 지난 14일 서울 중구 정동길 근처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하며 당 운영 구상과 진보정치의 방향을 밝히고 있다. 권도현 기자 lightroad@kyunghyang.com

노, 정의당이라 죽음 택해…
당이 타격 극복 어렵다 봤을 것

빈소 찾아 울다 간 노동자들,
그들에게 노회찬은 위안이었다

당 지지율 상승세, 정치가 좋아져야 한다는 요구 작동한 결과
민주당과 개혁 경쟁구도로 가기보다 한국당과 겨루고 싶어

정의당 이정미 대표(52)는 휴대전화기에 노회찬 전 원내대표의 유서를 품고 다닌다. ‘노회찬’이라는 이름은 진보정당 원천기술 보유자, 진보를 시민과 정치 곁에 가까이 두었던 대중정치인, 말 그대로 큰 산이었다. 이 대표에겐 전선·노동운동에 집중했던 이정미를 정치인 이정미로 발돋움하게 해준 선배였다. 노선은 달랐지만 헤아릴 수 없이 많았던 술잔 속에 깊은 이념의 골도 메웠던 관계다.

지난 7월23일 청천벽력 같은 그의 죽음 이후 문득문득 주체할 수 없는 눈물이 흐른다. 왜 당신이냐, 왜 하필 당신이어야 했냐고 몸서리치게 원망도 했다. 그러나 유서 마지막 ‘당은 당당하게 나아가라’는 글을 보며 송곳 같은 아픔을 거두고 있다. 할 수만 있다면 그의 유서에 한 줄짜리 답장이라도 보내고 싶다. ‘노회찬 있는 정의당’과 ‘노회찬 없는 정의당’이 절대 다르지 않도록 하겠다고.

지난 14일 천안 국립망향의동산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날 행사를 마치고 온 이 대표를 서울 정동 경향신문사에서 만났다. 타들어가는 한여름 햇빛이 이 대표에겐 차라리 다행이겠다 싶었다. 간간이 붉어진 눈가를 타고 흐르는 눈물을 땀이라 우길 수 있었을 테니.
 

■ 노회찬과 이정미

이 대표는 2003년 민주노동당 시절 당직 생활을 시작했다. 그땐 ‘노선이 달랐던’ 노 전 원내대표가 살갑게 대하지 않았다고 했다. 2008년 2월 일심회 사건에 연루된 두 당원의 제명안을 결정키로 했던 당 대회에서 이 대표는 부의장을 맡았다. 결국 제명안은 부결됐다. 노 전 원내대표는 탈당 후 진보신당행을 택했고, 이 대표는 민노당에 남았다. 몇 차례 부침을 겪은 뒤 2012년 정의당에서 다시 만난 두 사람. 당 최고위원 도전, 총선 비례대표 출마, 당 대표 취임까지 노 전 원내대표는 이 대표의 ‘정치적 사수’를 마다하지 않았다. 이 대표는 얼마 전 심상정 의원에게 “이제 내겐 큰언니만 남았네요”라고 ‘큰오빠’(노 전 원내대표)를 보낸 아픔을 털어놨다.

- 어떻게 지내고 있나. 요즘 이 대표 말과 글을 보면 굉장히 건조하다(이 대표는 웃음도 많고 정도 많은 성격이다).

“그런가. 노 전 원내대표 보내고 나서 일만 했다. 다 놓아버리고 슬픔에만 확 빠져 있는 시간도 있어야 하는데 그러면 안되겠다 싶었다. 새로 가입한 당원들에게 감사 전화를 하면 내 목소리만 들어도 눈물 난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다. 시민들이 함께 슬퍼해주셔서 최선을 다해 답을 드려야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 누구도 그의 죽음을 생각하지 못했던 것 같다.

“돈의 액수를 떠나 ‘노회찬도 돈 받았다’는 것만으로도 비난의 대상이라 생각하지 않았을까. 정의당이기 때문에, 정의당 소속 정치인이라서 죽음을 택했다. 당이 입을 타격을 도저히 극복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했을 거다.”

- 5일장 내내 상주를 맡았다. 추모 대열을 보며 어떤 생각이 들었나.

“(눈물을 참느라 잠시 인터뷰가 중단됐다) 노동자들이 많았다. 땀에 전 티셔츠를 입고 뒤꿈치가 다 해진 양말을 신고 절한 뒤 한참을 울다 갔다. 열심히 살고 있는데도 삶이 너무 힘들었던 사람들에게 ‘아, 노회찬은 이들에게 위안이었구나’ 싶었다. 위로해줄 누군가를 잃어버렸다는 상실감이 전해졌다.”

- ‘노회찬’은 이 대표에게 어떤 의미로 남아 있나.

“너무도 큰 사람이었단 걸 그가 가고 나서 느꼈다. 2003년 민노당에 와서 처음 만났다. 그땐 그리 친하지 않았다. 하지만 내가 당선 가능성이 크지 않았던 총선에 기꺼이 출마하겠다고 하자 ‘이정미는 정파적으로 정치를 대하지 않는구나’라고 격려해주며 나를 눈여겨봤다. 본회의 끝나는 날이면 새벽 6시까지 함께 술을 먹었다. 한잔하자고 요청하면 이 동네 무슨 술집의 어떤 안주가 맛있다며 살뜰히 챙겨줬었는데….”

- 노회찬의 정치적 유산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나.

“복잡한 거 아니다. ‘당은 당당하게 나아가라’는 유서 내용이 모든 걸 말해준다. 나는 이 한 줄로 이 당을 반드시 성공시켜야겠다고 결심하게 됐다.”

- 정의당은 이제 이념(진보)이 아닌 ‘인물’(노회찬)을 정치 원형으로 갖게 됐다. 더불어민주당이 노무현 전 대통령을 구심으로 한 뒤 성장했던 것처럼.

“제대로 뜻을 잇지 못하면 인물은 신화로 남는다. 진보정당은 오랫동안 이념적으로 대립했다. 그는 정의당 스스로가 정치세력으로서 정체성을 찾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세상을 떠났다. 그 정당은 명연설 ‘6411번 버스’ 속에 나온, 모든 ‘투명인간’들의 손을 잡아주는 정당이다. 그가 올해 초 한 언론 인터뷰에서 ‘10년 안에 정의당에서 대통령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당을 사랑하지 않으면 할 수 없는 말이다. 진보정당이 집권해야 한다는 그 유지를 반드시 따르겠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가 지난 16일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에서 노회찬 전 원내대표와 함께 회의하는 모습이 담긴 사진을 가리키고 있다. 권호욱 선임기자 biggun@kyunghyang.com

■ 정의당 대표 이정미

정의당 지지율이 파죽지세다. 노 전 원내대표 별세 후 두 자릿수를 넘더니 최근 15%대도 돌파했다. 정의당은 창당 후 5년을 ‘정당 만들기’ 시기로 규정했다. 시기적으로나 지지율 추세로나 현재 정의당은 이 대표가 취임사에서 밝힌 ‘유력정당’ 건설기에 들어섰다. 이 대표는 이 시기에 당을 이끌고 있다. ‘노(회찬)·심(상정) 체제’가 1차 기반이었다면 지금은 2차 기반을 구축할 때다. 생존을 위한 진보 정당이 아닌 비전과 가치를 제시하는 강한 정당으로 가는 갈림길에 있다는 뜻이다.

- 노 전 원내대표 유지를 잇겠다는 건 대중적 진보정당을 지향하겠다는 뜻일 텐데. 선명성도 붙잡아야 하지만 우편향(표)도 필요할 것 같다.

“선명한 진보란 것도 너무 복잡하다. 정치는 박제화된 이념이 아니라 현재 지형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가 중요하다. 현재로선 문재인 정부하에서 선명한 개혁성을 놓치지 않고 존재감을 만들어가야 한다.”

- 대중적 진보정당을 선언했지만 그동안 민주 대 반민주 구도(민주당 2중대 논란, 반자유한국당 투쟁)의 틀에 안주하진 않았나.

“양당 구도 패러다임이 너무 오래 고착화되니 우리가 민주당 잘한다고 하면 2중대, 비판하면 발목잡는다고 한다. 과거의 창으로 정의당을 보면 그런 평가밖에 못한다. 사표론, 단일화 압박 이젠 사라지지 않았나.”

- 정치권에 불붙고 있는 진보경쟁도 부담으로 작용할 것 같다.

“동의할 수 없다. 지금 누가 진보를 말하고 있나. 노동권조차 아무도 말하지 않고 있다.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가 진보를 선언했지만 냉정하게 말하면 대표 개인 스탠스이지 당이 뒷받침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당의 방향이 정립되지 않아 갈팡질팡하지 않나. 정당 만들기에 제대로 주력해야 한다. 대선후보군 중심으로 정치를 해석해온 게 오랜 관행이다. 선거제도 개혁만 해도 좋은 정당의 경쟁 구도가 돼야 가능하다. 그게 안되니 여든 야든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중요성을 못 느낀다. 더불어민주당만 해도 전당대회에서 김진표 후보의 보수성이 부각됐을 뿐 당 차원의 대안적 진보성은 부각되지 않는다. 집권여당 전대에서 은산분리 논쟁을 누구도 하지 않는 건 문제 아닌가.”

- 창당 6년째다. 생존을 걱정해야 할 단계는 지났지만 유력정당으로 자리매김하진 못했다. 이 시기의 당 대표 임무를 규정한다면.

“지난 5년은 당내 회의주의와 투쟁한 시기다. 패배주의와의 싸움이기도 했다. 고비를 넘어섰다. 유능한 정당이 되는 게 중요하다. 5석 미니정당이 15% 지지를 받고 있다. 이 간극을 잘 봐야 한다. 15% 지지율에 거품이 있다는 시선이 많다. 지역구 의원도 없으니 한 방에 갈 수 있다고들 한다. 이 간극을 메우는 실력, 비전을 보여주는 실력, 사람 키우는 실력을 동시에 다져야 한다. 2020년 총선까지 두 자릿수 안정적 지지를 받는 정당으로 만드는 게 중요하다. 다음 총선에서 유의미한 의석을 확보해 힘을 가져야만 진보정당의 독자적인 수권능력을 구축할 수 있다.”

- 최근 당 지지율 상승세를 어떻게 분석하고 있나.

“정의당이 정치 변화의 변수가 됐다는 의미로 받아들인다. 신규입당자 분포만 봐도 과거엔 민주당 왼쪽 편에 있는 사람들이 많았다면 지금은 이찬진씨 등 중도보수층도 있다. 정치가 좋아져야 한다는 요구이자 그렇게 되려면 정의당이 커야 한다는 욕구가 강하게 작동한 결과다. 아직은 두고봐야 하지만 새로운 지지층이 쉽게 빠지진 않을 것 같다.”

- 신규당원 7000명 중 4050세대가 많다고 한다. 젊은층은 상대적으로 가입률이 낮은 편이다

“4050은 정치의식이 높고 가능성까지 보고 투자하는 세대다. 정치의 여러 측면을 경험해보고 지지를 보내는 세대다. 반면 젊은층은 가능성에 투자할 수 있는 여력까진 없다. 삶의 문제를 즉각적으로 해결해줄 수 있는 정치세력을 찾는다. 향후 당 과제이기도 하다.”

- 외부인사를 영입할 계획도 있나.

“5% 정당은 선거에 250명 출마해도 되지만 15% 정당은 2500명 정도는 출마해야 한다. 외부 인사 영입에 인색할 필요는 없다. 다만 당에서 성장한 나로선 마음속에 짠한 사람들이 많다. 당이 클수록 우선은 당 안에서 실력을 키워온 사람들에게 기회를 주고 싶다.”
 

■ 진보정치 2세대 이정미

이 대표는 ‘포스트 노(회찬)·심(상정) 시대’를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유력정당 건설을 위한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진보정당의 독자적 비전과 위상을 체화하는 건 결국 사람이다. 노 전 원내대표도 별세 전 “아니 내가 크지 말라고 한 적 있냐”고 농담하듯 말했다고 한다. 후배·신진 정치인 양성에 공들였던 까닭이다. 다음달 초 고인의 49제 때 ‘노회찬재단’ 건립 구상이 발표될 예정이다.

- 시민들은 여전히 정의당 상징으로 ‘노·심’을 떠올린다. 차기 리더군도 뚜렷하지 않다.

“대표 되고 나서도 노·심밖에 안 보인다고 할 때 섭섭했다. 당 대표인 내가 왜 주목받지 못할까 생각했다. 그러나 노 전 원내대표 별세 후 그 말이 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민들 눈엔 다 미생으로 보일 것 같다. 내가 대표지만 지역구를 뚫지 못한 정치인이다. 노·심이 환호받을 수 있었던 건 소수정당 소속이어도 지역구 주민들에게 선택받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 부분이 ‘포스트 노·심’을 좌우하게 될 것이다.”

- 정의당은 심 의원을 제외하면 모두 비례대표 초선 의원이다. 차세대 리더군은 보통 재선 의원 그룹이다. 이 대표의 재선 전략은 무엇인가.

“인천 연수구에서 준비하고 있다. 처음에 둥지를 틀 때만 해도 ‘부자’ 지역구라 당과 어울리지 않는다며 놀라는 분위기도 있었다. 하지만 난 민주당과 정의당이 개혁 경쟁구도로 붙는 것보다 자유한국당과 제대로 겨루는 정치를 하고 싶었다. 현재 지역구 의원(한국당 민경욱 의원)이 박근혜 전 대통령 대변인 역할을 하는 것 보면서 제대로 경쟁해보고 싶었다. 지역주민들이 이정미 때문에 정의당에 대한 편견이 깨졌다고들 한다.”

- 차세대 진보정치 리더라면 1세대 진보의 문법을 뛰어넘어야 한다. 주도적인 정치·사회개혁 의제가 보이지 않는다.

“문재인 정부가 경제 문제에서 주춤하고 있다. 거대한 촛불민심이 만든 정권임에도 60년 적폐를 바꾸는 게 이다지도 힘든 일일까 싶다. 규제를 푸는 속도와 범위를 보면 중장기적 패러다임 만드는 끈기와 뚝심, 철학이 이전 정부와 다르지 않다는 평가가 나올까 걱정이다. 당 대표 취임 1주년 때 당내 공정경제민생본부를 만들었다. 비정규직 정당은 물론 중소상공인 정당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 처음부터 정치를 하겠다는 생각으로 당직을 맡았던 건 아니라고 들었다. 정치에 뛰어들기로 결심한 배경은.

“19대 총선 전인 2011년 친언니 말을 듣고 정치를 결심하게 됐다. 언니가 발달장애 아들을 키운다. 너무 힘들어서 보장성 보험을 들겠다고 내게 상의했다. 발달장애아 부모들은 일찍 죽는다는 말이 있으니 보험금으로 아들을 보호해달라고 하더라. 언니 손을 잡고 ‘절대 보험 들지 말라’고 했다. 내가 장애아들이 잘 사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 페미니즘 정치를 강조했다. 당내 페미니즘 정치를 어떻게 구현할 생각인가.

“우리 사회에 페미니즘 지분이 크다면 분야별 페미니즘 실현이 어렵지 않다. 그러나 페미니즘 자체 지분이 적어서 경계가 정립되지 않았다. 그러다보니 정치권, 시민사회 등 각 영역의 역할을 구분하는 게 애매하다.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1심 판결을 보니 실망을 넘어 절망스럽다. 사법폭력이다. 그래도 또 싸울 수밖에 없다.”(이 대표는 16일 폭행과 협박에 의한 성관계만 강간죄로 처벌하는 형법을 개정하고, 동의하지 않는 성관계를 처벌할 수 있는 ‘비동의 강간죄 처벌’ 등 법안 발의를 약속했다)

이 대표는 16일 국회 의원회관 510호실을 들렀다. ‘노회찬 의원’ 명패가 사라지는, 국회에서 그의 흔적을 볼 수 있는 마지막 날이었다. 가장 각박한 곳에서 가장 잔인한 적과 싸우느라 3선 내내 제대로 임기를 채우지 못했던 선배 노회찬. 그러면서도 진보라서가 아니라 왜 진보를 지지해야 하는지가 중요하다고 했던 선배 노회찬. 그가 밀어올린 세상이 여기까지 왔다. ‘노회찬 없는 정의당’이 꽃필 차례다. 아직은 떠나지 말고 조금만 더 서성여달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낡은 해상 인공구조물, “철거보다 놔두는 게 낫다”

조홍섭 2018. 08. 17
조회수 482 추천수 0
 
석유·가스·해상풍력 등 세계 수천곳 해체 예정
멸종위기종·수산자원 위한 인공어초 기능 확인
 
r1.jpg» 석유나 가스를 채굴하거나 보관·처리하는 시설인 해상 플랫폼도 수명이 다하면 해체돼야 한다. 그러나 환경 측면에서는 무조건 들어내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는 주장이 나왔다. 브라질의 해상 석유 플랫폼.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1995년 영국 석유회사 셸은 북해에서 해상 석유 플랫폼인 ‘브렌트 스파’가 용도를 다하자 심해에 폐기하기로 결정했고 정부의 승인을 받았다. 그러자 그린피스 등 환경단체가 시설물에 남은 석유의 유해물질 등을 들어 격렬한 반대운동을 벌였다. 활동가들이 플랫폼을 3주 넘게 점거하는가 하면 유럽 전역에서 셸 석유 불매운동을 벌였다. 결국 셸은 굴복해 이 시설물을 노르웨이 항구로 끌어와 건축물로 재활용하기로 했다.
 
Brent_spar.jpg» 북해의 브레트 스파 석유 플랫폼.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루는 환경 교과서 내용에도 소개되는 브렌트 스파 논란 이후 용도를 다한 해상 구조물은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그런데 시설물의 해체보다는 바다에 그대로 방치하는 쪽이 해양 생태계를 위해 도움이 된다는 환경 전문가들의 연구결과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애슐리 파울러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공대 박사 등 국제 연구진은 과학저널 ‘생태와 환경 최전선’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유럽과 미국의 환경 전문가 38명에게 수명이 다한 해양 구조물을 어떻게 하는 게 좋은지 설문 조사한 결과 대부분인 36명이 “사안별로 유연하게 접근하는 게 필요하다”며 현행 해체 의무화에 반대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세계 전역에서 예상되는 규모의 해체가 초래할 부정적 환경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생물 다양성 상실과 수산자원 고갈 등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결과를 빚을 것”이라며 해체 의무화 규정의 적용을 잠정 중단하는 정책 변경을 제안했다.
 
r2.jpg» 앞으로 수십년 동안 전 세계에서 철거해야 할 해상 플랫폼은 7500개가 넘는다. 그러나 해체 과정에서 초래될 환경 영향은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앞으로 수십 년 동안 북해 등 53개 나라 해상에서 해체해야 할 해상 가스·석유 플랫폼은 7500개가 넘는다. 브렌트 스파가 높이 147m, 지름 29m, 무게 6만6천t에 이르렀을 정도로 이들 시설물은 규모가 크다. 게다가 최근 해상 풍력단지가 붐을 이루고 있어 수명 20년이 지나면 수천기의 해상 풍력발전기가 모두 해체 대상이 된다. 연구자들은 해상에서 초대형 크레인을 설치해 이런 시설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대기오염, 바닥에 퇴적된 유해물질의 재활성화, 외래종 확산, 생물 서식지의 연결 단절 등을 초래할 것이라고 밝혔다. 영국과 노르웨이는 현재 연간 10억 파운드 이상을 해체 비용으로 지출하고 있다.
 
r3.jpg» 북해의 한 해상 플랫폼의 해저 시설물에 대서양대구가 서식하고 있다. 애슐리 파울러 외 (2018) ‘생태와 환경 최전선’ 제공.
 
반대로 해상 구조물을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는 형태로 바다에 그대로 두는 경우, 시설물이 인공어초 구실을 해 멸종위기종의 서식지와 남획되는 수산자원이 회복하는 장소가 될 수 있다. 해저에 남은 시설물은 해양 생태계를 해치는 저인망 어업을 막는 효과도 낸다.
 
환경 전문가들이 제시한 대안 가운데 가장 선호한 방안은 해상 플랫폼의 수면 위 부분(높이 25m)을 잘라내 육상에서 재활용하고 나머지는 그대로 두는 것이다. 그다음으로 선호한 대안은 잘라낸 수면 위 구조물을 원 구조물 옆에 빠뜨려 배치하는 방법이다. 그다음으로는 플랫폼 전체를 쓰러뜨려 바다에 빠뜨리거나 전체를 육지로 이송하는 방안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상풍력에 대해서는 풍차를 바닷속으로 쓰러뜨리는 방안과 수면 윗부분을 잘라 육상에서 재활용하는 방안에 비슷한 선호도를 보였다.
 
r4.jpg» 환경 전문가들이 제안한 해상 플랫폼과 풍력발전기 처분 대안. 위로 갈수록 선호도가 높은 방안이다. 직선 화살표는 육지로 제거, 곡선 화살표는 현지에 재배치를 가리킨다. 애슐리 파울러 외 (2018) ‘생태와 환경 최전선’ 제공.
 
한편, 멸종위기종 산호를 북해의 해상 구조물 근처에 풀어놓는 모델링 연구결과 인공구조물이 이 동물에 새로운 서식지와 먹이터를 제공해 생존 가능성을 높여 준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레아-앤 헨리 영국 에든버러대 연구원 등 국제 연구진은 16일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실린 논문에서 “해상 구조물이 징검다리처럼 산호 집단을 이어줘 산호 네트워크를 형성한다”며 “이는 기후변화로 해류소통이 약해지는 상황에서 산호의 회복 탄력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라고 밝혔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Ashley M Fowler et al, Environmental benefits of leaving offshore infrastructure in the ocean, Front Ecol Environ 2018; doi: 10.1002/fee.1827
 
Lea-Anne Henry et al, Ocean sprawl facilitates dispersal and connectivity of protected species, Scientific Reports (2018) 8:11346, DOI:10.1038/s41598-018-29575-4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사진] 사구 대신 뻘 웅덩이만... 꽃지해변의 현재 모습

1.3km 구간에 뻘 웅덩이 형성... 감리단 "뻘 두께 두껍지 않아, 일반적인 현상"

18.08.17 17:08l최종 업데이트 18.08.17 17:56l

 

 16일 오전 꽃지 사구 복원 현장에 뻘 웅덩이가 곳곳에 형성되었다.
▲  16일 오전 꽃지 사구 복원 현장에 뻘 웅덩이가 곳곳에 형성되었다.
ⓒ 신문웅

관련사진보기

 

 해양수산부가 친환경 연안정비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꽃지 사구복원 조감도
▲  해양수산부가 친환경 연안정비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꽃지 사구복원 조감도
ⓒ 신문웅

관련사진보기


최근 충남 태안군 안면도 꽃지해변에 뻘층이 형성돼 논란이 일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2016년부터 꽃지해변에 240여억 원을 들여 사구 복원을 위한 친환경 연안정비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 16일 오전 기자는 사구 복원 사업이 진행되는 꽃지해변(병술만~오션캐슬) 곳곳에서 뻘 층의 웅덩이가 곳곳에 형성됐다는 제보를 받았다. 그곳은 해안 침식을 막기 위해 모래를 투입해 인위적으로 해변을 조성하는 양빈 작업이 진행중이었다.

 

그날 꽃지해변에 도착하니, 해변의 대형 바지선에서 대형 덤프들이 연신 모래를 나르고 포클레인들은 평탄 작업을 하고 있었다. 양빈 작업을 한 해변의 곳곳에서는 웅덩이 수십개가 만들어졌고 웅덩이 안에는 뻘이 고여 있었다. 웅덩이 주변 모래에도 뻘층이 넓게 형성돼 있었다.

이 뻘 웅덩이는 바지선에서 내려진 모래로 뒤덮혔고 이후 포클레인이 평탄작업을 했다.
 
 뻘 웅덩이를 대형장비가 평탄작업으로 모래속으로 묻어버리고 있다.
▲  뻘 웅덩이를 대형장비가 평탄작업으로 모래속으로 묻어버리고 있다.
ⓒ 신문웅

관련사진보기


꽃지지구 사구복원사업은 지난 2016년부터 꽃지해수욕장의 옛 명성을 되찾기 위해 본격 추진됐다. 당시 꽃지해변은 기후 변화와 해안도로 개설 등으로 풍부했던 해안 모래가 유실돼 자갈과 암반이 드러나는 해변 침식이 진행되고 있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병술만부터 할미할애비바위에 이르는 해변 3km구간을 친환경 사구 형태로 복원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 바람 피해를 줄이는 방풍림, 관광객이 즐길 수 있는 산책로, 비사를 차단할 수 있는 표사차단시설 등도 설치하기로 했다.

현재 총 3km의 사업 구간 중에서 1.4km 구간에서 뻘층이 형성된 상태다. 양빈 작업은 태안의 모래가 아닌 평택항 인근의 바닷모래를 이용해 진행돼 왔다. 

주민들은 "최근 반입되고 있는 바닷모래에 미분 성분(뻘)이 상당히 함유됐다는 사설기관 분석 결과가 있다"며 "뻘층 형성은 바닷모래가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안면도 주민들은 이번 정비사업에는 "꽃지와 식생이 비슷한 안면도 지역의 모래를 사용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의견을 태안군, 충남도, 대산지방해양수산청 등 관계 기관에 내기도 했다.
 
 꽃지 해변에서 사구복원을 위한 양빈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꽃지 해변에서 사구복원을 위한 양빈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신문웅

관련사진보기


이번 공사의 감독청인 대산지방해양수산청의 위임을 맡은 감리단 관계자는 "전문가들의 수리모형시험에 따르면, 이번 복원사업에는 평균 0.35mm 이상의 모래를 사용해야 쌓인다는 결과가 있었다, 그래서 평택항 인근의 모래를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주민들의 의견에 따라 인근 3곳의 시료를 채취해 시험해 보았으나 꽃지해변과 비슷한 0.25mm가 나와 사용을 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지난해부터 양빈사업을 마친 꽃지해변 일부에서 전에 없던 뻘층이 생기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  지난해부터 양빈사업을 마친 꽃지해변 일부에서 전에 없던 뻘층이 생기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 신문웅

관련사진보기


또 뻘 층이 생긴 것에 대해서는 "운반 과정에서 일부 뻘이 묻었을 가능성도 있다, 또 대사리 기간이라 서해안의 바닷물에 함유된 뻘 성분이 양빈 구간으로 넘쳤을 수 있다, 이후 바닷물이 빠지면서 뻘만 남은 것이 웅덩이처럼 고인 것으로 보인다"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실제 뻘의 두께가 5mm도 안 된다, 이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작년에 복원된 구간에서는 기존 해변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사업은 정리 단계다, 평택항 인근의 모래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형편이다, 내년에 태안 해역의 모래 채취가 가능하면 우선적으로 태안의 모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꽃지 사구 복원의 성패를 좌우할 사구 식물의 복원을 위한 시범포에서 고사 현상에 이어지고 있다.
▲  꽃지 사구 복원의 성패를 좌우할 사구 식물의 복원을 위한 시범포에서 고사 현상에 이어지고 있다.
ⓒ 신문웅

관련사진보기


이번 사업 때문에 갯그렁, 해당화 등 일부 사구식물들이 고사됐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올해 유난히 이어진 폭염 때문에 줄기 부분만 말라죽는 현상이다, 대부분 다년생 식물로 내년 봄에는 다시 살아날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한편 충남환경운동연합의 한 관계자는 "사구의 복원은 양빈을 통해 모래를 쌓는 단순한 공사가 아니다, 환경적, 생태적 측면이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며 "공사 이후에 식생이 어떻게 변할지와 새롭게 반입된 모래가 기존의 꽃지해변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조만간 사구 복원 지역을 면밀히 조사해 문제점이 발견되면 남은 잔여 구간의 복원 공사에서는 시정이 되도록 관계 기관에 의견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예멘군들 탄도미사일로 사우디아라비아 산업도시 타격

예멘군들 탄도미사일로 사우디 남부 산업도시들 타격
 
번역, 기사 이용섭 기자 
기사입력: 2018/08/18 [09:02]  최종편집: ⓒ 자주시보
 
 

예멘군들 탄도미사일로 사우디아라비아 산업도시 타격

 

예멘군들은 자체로 개발한 《바드르-1》 탄도미사일로 사우디아라비아 남부 국경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산업도시 지잔시를 포격하였다고 파르스통신이 보도하였다. 이에 대해 파르스통신 “예멘군들 탄도미사일로 사우디아라비아 산업도시 타격”이라는 제목으로 관련 사실을 전하였다. 통신은 “예멘군들은 자체로 개발생산한 《바드르-1》 탄도미사일로 사우디아라비아 남부에 있는 산업도시인 지잔을 타격하였다.”고 보도하여 예멘군들이 사우디아라비아 남부국경도시이자 산업도시인 지잔시를 포격하였음을 전하였다.

 

한편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방송 알-에끄흐바리야는 사우디의 반항공군들이 예멘군들이 발사한 미사일을 요격하였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예멘군들은 당일 오전 지잔과 나즈란이 있는 사우디 왕국의 남부지방의 사우디 국경지대를 카츄샤 로켓과 포병대들이 일제포격을 가하여 수많은 사우디병사들이 죽고 다쳤다고 파르스통신이 보도하였다. 또 예멘군 병사들과 인민위원회 군대(인민군대)들은 나즈란의 알-하즈라흐와 알-무쌀라쓰기지를 공격하였다고도 전하였다.

 

이와 같이 현 예멘전은 서로 공격을 주고 받으면서 치열한 공방전을 펼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서방연합세력들과 이스라엘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페르샤만 20개 동맹국들의 참전으로 사우디아라비아를 돕고 있기에 예멘군들이 전쟁의 상대가 안 될 것이라고 여기고 있겠지만 전투현장에서 펼쳐지는 상황은 용호상박(龍虎相搏)의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지고 있다.

 

본지에서도 수도 없이 예멘전을 보도하면서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끄는 연합군들이 예멘군(서방세력들은 후티반군이라 부름)들의 주둔지를 공격하였다고 주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예멘 민간인 거주지역들을 폭격 내지는 포격을 가하여 수많은 무고한 민간인들을 살상(殺傷)하고 있다. 이렇게 사우디와 그 동맹군들이 예멘 민간인들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하여 학살하는 것은 자신들의 뜻대로 예멘전이 전개되지 않기에 그와 같은 전쟁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추측도 할 수가 있다.

 

▲ "이란은 현재 진행 중인 전쟁에 직접 개입하고 있다. 테헤란은 후티군들에게 탄도 미사일을 공급하고 있으며, 지금은 반란군(원문-적군, 하디군들에게는 예멘군들이 적군들이라는 의미)들이 소유하고 있는 이전에 예멘 군들이 사용하던 미사일을 개량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고 하디정부 관리는 주장하였다.     © 이용섭 기자

 

한편 사우디아라비아와 그 동맹군들이 예멘군들의 강력한 반공격에 막혀 자신들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데 대해 이란이 예멘군들을 돕기 때문이라고 이란을 공격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그 동맹국들은 자신들이 직접 나서서 이란이 예멘군들을 돕고 있다고 주장하지 못하고 꼭두각시인 아브드 라부부흐 만수르 하디 전 예멘 대통령을 따르는 조직을 통해서 이란을 비난하였다. 스뿌뜨닉끄는 “예멘 외교부장관(만수르 하디 정부를 지칭) 이란이 후티(예멘군)전사들에게 탄도미사일을 지원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Yemeni Deputy Minister Accuses Iran of Supplying Ballistic Missiles to Houthis)”라는 제목으로 관련 사실을 전하였다. 

 

그러나 이란은 만수르 하디 정부의 주장에 대해 아래와 같이 부인을 하였다.

 

그러나 이란은 하디 대통령과 사우디 주도 연합군과 싸우고 있는 시아파 운동을 정치적으로 지지한다고 인정하면서도 후티군들에게 무기를 제공한다는 것을 거듭해서 부인했다.

(Iran has repeatedly denied that it provides Houthis with weapons, while however, admitting to politically supporting the Shiite movement that has been fighting the government of President Hadi and a Saudi-led coalition.)

 

스뿌뜨닉끄가 보도한 만수르 측의 주장을 좀 더 보기로 한다.

 

예멘의 아브델 까데르 알 아무디(Abdel Kader Al Amoudi) 국방부 부장관은 이란이 시아파 후티전사들에게(원문-운동) 탄도 미사일을 공급하고 있으며, 오래된 낡은 로켓을 현대화하는 데 반군을 지원했다고 비난했다.

(The Yemeni deputy defense minister Abdel Kader Al Amoudi has accused Iran of supplying ballistic missiles to the Shiite Houthi movement and assisting the rebels in modernizing old rockets.)

 

계속해서 알 아무디는 아래와 같이 주장하였다.

 

"이란은 현재 진행 중인 전쟁에 직접 개입하고 있다. 테헤란은 후티군들에게 탄도 미사일을 공급하고 있으며, 지금은 반란군(원문-적군, 하디군들에게는 예멘군들이 적군들이라는 의미)들이 소유하고 있는 이전에 예멘 군들이 사용하던 미사일을 개량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고 그 관리는 주장하였다.

("Iran is directly involved in the ongoing war. Tehran supplies the Houthis with ballistic missiles and helps them to improve those missiles that were previously used by the Yemeni army, which have now come into the possession of the rebels," the official stated.)

 

알 아무디는 예멘군들과 전투를 벌이고 있는 주력부대는 자신의 휘하에 있는 예멘인들로 이루어진 군대라며 아래와 같이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사우디 아라비아, 아랍 에미리트 연방 및 수단의 소수 세력 만이 Houthis와의 전쟁에서 (하디)정부를 지원하고 있으며, 정부군의 압도적 인 다수는 예멘 군인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He also noted that only small groups of the foreign forces, from Saudi Arabia, the UAE and Sudan assist the government in its fight against the Houthis, while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government forces consists of the Yemeni soldiers.)

 

마지막으로 스뿌뜨닉끄는 예멘전 발발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전하였다.

 

예멘은 시아파가 주도한 후티전사들(원문-운동)과 (하디)정부 사이의 전투(원문-갈등. 충돌)가 계속되고 있다. 2015 년 3 월 이후 사우디 주도 연합군은 예멘 대통령 하디의 요청에 따라 후티군들(Houthis)에 대해 전투기를 동원하여 폭격을 계속하고 있다. 이 전투(원문-투쟁)이 지속되는 동안 예멘군들(원문 그 운동-후티운동)은 예멘 영토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각기 다른 도시들을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미사일을 발사하여 포격을 가하였다.

(The country has been engulfed in an ongoing conflict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edominantly Shia-led Houthi movement. Since March 2015, the Saudi-led coalition has been carrying out airstrikes against the Houthis at Yemeni President Hadi's request. The movement has repeatedly launched missiles from Yemeni territory targeting different cities in Saudi Arabia over the course of the conflict.)

 

위 만수르 하디의 주장은 자신들이 예멘전쟁을 주도하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레이트 연방 그리고 수단 등은 아주 적은 규모로 자신들 하디세력들 지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멘전을 수행하고 있는 주력 또는 주도는 자신들 즉 예멘인민들의 군대가 수행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말은 현재 벌어지고 있는 전쟁에서 자신을 지지하는 예멘인들이 주축이 되어 있는 군대이니 자신들이 예멘의 정통정부이자 군대라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사우디와 그 동맹군들 더 나아가서 이스라엘, 서방연합세력들에게는 예멘 전쟁에 대한 아무런 책임이나 전쟁범죄도 없다는 강변을 하고 있는 것이다.

 

참으로 어이가 없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자국의 백성들, 민족구성원들이 외세에 의해 수도 없이 죽어나가고 있으며, 삶의 터전을 잃고 하루하루 연명해나가기도 버거운 생을 살고 있는 상황에서 어찌 위와 같은 주장을 태연스럽게 할 수 있는지 이해가 안 된다.

 

현재 예멘전쟁은 격화일로에 있으며 그만큼 일반인들의 희생이 커질 것이다.

 

 

-=---- 번역문 전문 -----

 

2018년 8월 9일, 3시 59분. 목요일

 

예멘군들 탄도미사일로 사우디아라비아 산업도시 타격

 

▲ 예멘군들은 자체로 개발생산한 《바드르-1》 탄도미사일로 사우디아라비아 남부에 있는 산업도시인 지잔을 타격하였다. 당일 오전 예멘군들은 지잔과 나즈란이 있는 사우디 왕국의 남부지방의 사우디 국경지대를 카츄샤 로켓과 포병대들이 일제포격을 가하여 수많은 사우디병사들이 죽고 다쳤다.     ©이용섭 기자

 

테헤란 (파르스통신)- 예멘군들은 자체로 개발생산한 《바드르-1》 탄도미사일로 사우디아라비아 남부에 있는 산업도시인 지잔을 타격하였다.

 

 

수요일 예멘의 알-마시라흐 텔레비전 방송의 발표에 뒤따라 사우디 국영방송 알-에끄흐바리야는 왕국의 대공미사일들이 그 발사체(미사일)를 요격하였다고 주장하였다.

 

그날 오전 예멘군들은 지잔과 나즈란이 있는 사우디 왕국의 남부지방의 사우디 국경지대를 카츄샤 로켓과 포병대들이 일제포격을 가하여 수많은 사우디병사들이 죽고 다쳤다.

 

예멘군 병사들과 또 인민위원회 군대(인민군대)들은 나즈란의 알-하즈라흐와 알-무쌀라쓰기지를 공격하였다.

 

2015년 3월 예멘에 대해 사우디가 주도하는 연합군들의 기습공격에 의해 총 175,00명 이상이 숨졌으며 수천 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유엔에서는 기아의 위협을 받고 있는 840만 명을 포함하여 2천 200만 명의 예멘인에게 식량공급이 필요하다고 말하였다. 

 

유엔 구호기금의 고위 관리는 기근과 콜레라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예멘의 “파국적인” 생활환경(원문-조건)에 대해 경고를 하였다.

 

“11월 이후부터 긴장이 커지고 있어 100,000명의 사람들이 피난민이 되었다.(원문-그들의 집에서 떠났다.)”고 유엔 구호기금의 존 깅 이사가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 2월에 말했다.

 

 

----- 원문 전문 -----

 

Thu Aug 09, 2018 3:59 

 

Saudi Arabia's Industrial City Targeted by Yemeni Ballistic Missile

 

▲ 예멘군들은 자체로 개발생산한 《바드르-1》 탄도미사일로 사우디아라비아 남부에 있는 산업도시인 지잔을 타격하였다. 당일 오전 예멘군들은 지잔과 나즈란이 있는 사우디 왕국의 남부지방의 사우디 국경지대를 카츄샤 로켓과 포병대들이 일제포격을 가하여 수많은 사우디병사들이 죽고 다쳤다.     © 이용섭 기자


TEHRAN (FNA)- Yemeni army forces targeted the Jizan Industrial City in Southern Saudi Arabia with domestically-manufactured Badr-1 ballistic missile. 

 

 

Following the announcement by Yemen's Al-Masirah television network on Wednesday, Saudi state news channel al-Ekhbariya claimed that the kingdom's air defenses had intercepted the projectile.

 

Earlier in the day, Yemeni army forces targeted Saudi border posts in the kingdom’s Southern provinces of Jizan and Najran with a salvo of Katyusha rockets and artillery rounds, leaving a number of Saudi soldiers dead and injured. 

 

Yemeni army soldiers and fighters from Popular Committees also attacked al-Hajlah and al-Muthalath bases in Najran.

 

Some 17,500 Yemenis have been killed and thousands more injured since the onset of the Saudi-led aggression on Yemen in March 2015.

 

The United Nations says a record 22.2 million Yemenis are in need of food aid, including 8.4 million threatened by severe hunger.

 

A high-ranking UN aid official has warned against the “catastrophic” living conditions in Yemen, stating that there is a growing risk of famine and cholera there.

 

“The conflict has escalated since November, driving an estimated 100,000 people from their homes,” John Ging, UN director of aid operations, told the UN Security Council in late February.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73년 흩어진 남북 이산가족, 개별로 3시간 만난다

금강산 이산상봉, 과거와 달리 개별상봉 시간 변경
조정훈 기자  |  whoony@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8.08.17  19:02:06
페이스북 트위터
   
▲ 오는 20일부터 시작되는 남북이산가족상봉행사에서 남북의 가족들이 개별로 3시간을 만난다. 사진은 2015년 10월 금강산에서 열린 남북이산가족상봉행사 모습. [자료사진-통일뉴스]

오는 20일부터 시작되는 남북이산가족상봉행사에서 남북의 가족들이 개별로 3시간을 만난다. 분단 73년 세월 동안 흩어진 가족에게는 무엇보다 소중한 3시간이 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17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2일차 공동중식을 객실중식으로 변경했다. 공동중식을 3일차 작별상봉과 함께 하기로 했다. 개별상봉 시간이 3시간 늘어난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이제까지 남북 이산가족상봉행사에서 비공개로 진행되는 개별상봉은 2시간이었지만, 점심도 함께해 3시간으로 바뀐 것. 귀중한 1시간이 더 늘어난 셈이다. 마지막 날 작별상봉은 2시간으로 점심을 함께한다.

이 당국자는 “개별상봉 이외 다른 일정은 공개된 일정이다. 개별상봉 시간이 3시간으로 늘어난 효과가 있다”며 “이산가족들이 다소나마 편안한 분위기에서 오붓하게 가족들과 담화를 나눌 소중한 시간이 되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남북 가족들은 총 6차례 만난다. 1일차 단체상봉, 환영만찬, 2일차 개별상봉, 객실중식, 단체상봉, 3일차 작별상봉 등이다.

   
▲ 1회차 남북이산가족상봉행사 주요일정. [자료제공-통일부]

이번 이산가족 방북단은 총 534명으로, 1회차(20~22일) 197명, 2회차(24~26일) 337명이며, 취재기자단, 정부지원단 등까지 포함하면, 1일 평균 1회차 560명, 2회차 770명이 금강산을 방문한다.

정부는 이산가족상봉 대상자 대다수가 고령자임을 감안해, 이들이 금강산으로 들어가는 북측 출입경사무소(CIQ)에서 버스에 내리지 않고 입출경 절차를 밟도록 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산가족의 동선을 최소화해야 한다. 버스에 오르락내리락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이산가족의 불편을 최소화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산가족들은 오는 19일과 23일 각각 강원도 속초 한화리조트에 모인 뒤, 이튿날 73년 만에 가족을 만날 금강산으로 향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강준만 “유시민, 김어준, 유아인···페미니즘의 정의까지 독점하겠다는 ‘오빠들’”

[기타뉴스] 강준만 “유시민, 김어준, 유아인···페미니즘의 정의까지 독점하겠다는 ‘오빠들’”
수정2018-08-17 06:00:02입력시간 보기
 
강준만 전북대 교수. 경향신문 자료.

강준만 전북대 교수. 경향신문 자료.

“첫째, 유시민처럼 정치를 종교화한 ‘정치 종교적 오빠들’이다. 김어준을 비롯한 ‘나꼼수’ 계열의 논객들도 이 유형에 근접한다. 둘째, 정치보다는 자신의 권위를 중시하는 ‘권위주의적 오빠들’이다. 영화배우 유아인이 이 유형에 속한다. 셋째, 계급 문제를 내세워 페미니즘을 그 아래에 종속시키려는 ‘계급주의적 오빠들’이다. 그래도 세상이 많이 진보한 탓인지 요즘엔 자신의 실명을 내걸고 이런 시대착오적인 주장을 펴는 논객은 많지 않지만, 페미니즘을 비난하는 익명의 댓글 중엔 여전히 많이 눈에 띄는 주장이다. (중략) 넷째, 자신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데도 몸에 새겨진 가부장적 DNA로 인해 부지불식간에 반 페미니즘 본능을 드러내기도 하는 ‘본능주의적 오빠들’이다. 최근 논란을 빚은 변호사 박훈이 이 유형에 속한다.”
 

‘실명 비판’으로 잘 알려진 강준만 전북대 교수가 새책 <오빠가 허락한 페미니즘>(개마고원)에서 밝힌 ‘오빠 페미니스트’의 4가지 유형입니다.
 

‘오빠가 허락한 페미니즘’이란, 평소에는 페미니즘에 별 관심이 없다가 여성들이 과격한 방법을 채택하자 ‘그런 페미니즘은 이 오빠들이 허락할 수 없다’는 식으로 반응하는 태도를 가리킵니다.
 

“가부장제를 절대적으로 신봉하는 마초임에도 자신이 페미니스트라고 주장하는 남자가 의외로 많다. 페미니스트라는 말을 입에 올리진 않을망정, 여성을 끔찍이 생각하는 듯한 발언을 자주 하면서 폼을 잡는 남자가 아주 많다. (중략) 그러다가 부지불식간에 가부장제를 건드리는 여성의 말, 아니 시선 하나에도 불같이 화를 내면서 본색을 드러낸다.(중략) 이런 오빠들은 가부장제라는 틀을 벗어날 뜻이 전혀 없다. 아니 상상조차 해본 적이 없다. 가부장제는 거역할 수 없는 자연의 법칙이라도 된 것처럼 말이다. (중략)이른바 억압적 관용이다. 지배 세력이 반대 세력에 대한 제한된 관용을 보임으로써 반대 세력의 날카로움을 뭉툭하게 만들고 기존 헤게모니를 정당화하는 효과를 내는 관용 말이다.”
 

강 교수는 “페미니스트들이 그건 페미니즘이 아니라고 하자, 그들은 ‘진정한 페미니즘’ 타령을 해대기 시작한다”면서 “페미니즘의 정의까지 독점하겠다는 그런 과욕은 역사의 맥락을 제거하는 수준으로까지 나아간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또 “한 번도 페미니즘의 뜨거운 맛을 본 적이 없었던 가부장적 남성들은 메갈의 뜨거움에 펄쩍 뛰면서 광분의 비명을 질러대고 있다”면서 “앞으로 페미니즘은 더 큰 풍랑을 맞을 수도 있지만, 두려워할 건 없다”고 말합니다.
 

[기타뉴스] 강준만 “유시민, 김어준, 유아인···페미니즘의 정의까지 독점하겠다는 ‘오빠들’”

미래는 페미니즘에 유리할 것이라는 게 강 교수의 전망입니다. 책에서 그는 “극단적 가족 이기주의와 결합한 가부장제는 내외의 방어벽을 갖고 있는 셈인지라, 난공불락의 요새”라면서도 “시간이 얼마나 걸리느냐의 문제일 뿐 결론은 이미 나와 있다. 가부장제는 산산조각 난 채로 부서져 허공으로 사라지게 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향이네 페이스북 바로가기 ‘향이네’ 페이스북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업데이트되는 새로운 소식을 접하세요!(▶바로가기) 

<정원식 기자 bachwsik@kyunghyang.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NYT, 김정은 평화선언 들고 유엔총회 연설 최상의 시나리오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8/08/17 10:55
  • 수정일
    2018/08/17 10:55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종전평화선언, 남북 가을에 선언, 미국 너무 이르다
 
뉴스프로 | 2018-08-17 09:06:13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NYT, 김정은 평화선언 들고 유엔총회 연설 최상의 시나리오 
-종전평화선언, 남북 가을에 선언, 미국 너무 이르다 
-트럼프, 중간 선거 앞두고 외교쇼 벌일 가능성은 있어 
-평화선언 아시아에서 미군영향력 약화 우려

뉴욕타임스가 남-미, 북-미 간에 종전선언을 두고 벌어지고 있는 남북과 미국 간의 의견차이에 대해 관심 있게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13일 “Why Is the U.S. Wary of a Declaration to End the Korean War?-미국은 왜 한국전쟁 종전선언을 꺼리는가?”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남북은 올해 안에 미국과, 그리고 아마 중국과도 함께 종전을 선언하고 싶어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이 먼저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이 강경 노선은 미국과 동맹국인 한국 사이에 의견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기사에서 윌슨 센터의 한국 역사 공공정책 연구소장 진 H 리는 “한국은 북한과의 화해를 추진하기 위해 이러한 계획을 너무 빨리 진행시키고 있고 미국에선 다른 어떤 일에 앞서 비핵화를 추진하려는 사람들이 있다”며 “이들은 아주 다른 전략과 아주 다른 시간대를 가지고 있다. 그것이 큰 문제다”라고 간극을 지적했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최고 외교 정책 관료인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존 볼턴 국가 안보 보좌관에게 있어서 비핵화란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해체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들은 북한이 핵무기비축량, 생산 시설과 미사일의 목록을 넘기는 것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은 종전선언과 평화조약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고 전한 이 기사는 미국과 북한 정부는 “선언 대 선언“ 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노력할 수 있다, 즉 미국이 한국전쟁의 종전을 지지한다는 선언을 하는 것과 맞바꾸어 북한도 핵 자산을 밝힌다는 것이라는 조셉윤의 인터뷰를 소개했다.

이어 뉴욕타임스는 ‘남북한은 가을에 종전 선언을 원하고 미국으로선 너무 이르다’며 남북은 김정은 위원장의 유엔총회연설에 맞추어 종전선언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믿고 있다며 한국 분쟁과 중국 역사를 저술하고 있는 서울 연세대학교 존 델러리 교수는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평화선언문을 들고 미국을 방문하는 것이다”라는 발언도 덧붙였다.

뉴욕타임스는 늘 그러하듯 예측 불가능한 패는 트럼프 대통령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유엔총회와 미국의 11월 중간선거 전에 시간을 맞춰 이번 가을에 이와 비슷한 외교정책쇼를 목표로 삼을 수도 있다고 내다보기도 했다.

그러나 뉴욕타임스는 일부 미국 관료들에게 있어 한국 내 미군 주둔은 단순히 대북 억지력만인 것은 아니며 아시아 내의 군 주둔을 유지하며 미국 패권의 웅대한 전략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며 평화선언이 아시아에서 미군의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들의 우려를 전하기도 했다.

북미 정상회담과 마찬가지로 종전선언을 두고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 관계를 풀 수 있는 열쇠는 미국에서는 여전히 트럼프만이 쥐고 있다. (글, 이하로)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뉴욕타임스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s://nyti.ms/2MNcwQQ

Why Is the U.S. Wary of a Declaration to End the Korean War? 
미국은 왜 한국전쟁 종전선언을 꺼리는가?

By Edward Wong 
• Aug. 13, 2018

President Trump and the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in Singapore in June. The two sides have clashed over just what their agreement at the summit meeting means. Credit Doug Mills/The New York Times 
6월 싱가포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양측은 정상회담 합의가 뜻하는 바에 의견이 엇갈렸다.

WASHINGTON — As a reward for its broader foray into diplomacy, North Korea wants a formal and official declared end to the decades-long Korean War that settled into an uneasy truce in 1953. South Korea wants this, too.

워싱턴 – 폭넓은 외교적 진출을 시도한 대가로 북한은 1953년 불편한 휴전으로 끝을 맺은 채 수십 년 간 지속되어온 한국전쟁에 대해 정식 절차에 따른 공식적인 종식선언을 원한다. 한국도 이를 원한다.

But the United States, which first sent military forces to the Korean Peninsula in 1950 and still keeps 28,500 troops there, is not ready to agree to a peace declaration.

그러나 1950년 한반도에 군대를 처음 파견하고 아직까지 28,500명의 병력을 유지하고 있는 미국은 평화선언에 합의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No doubt the issue will be high on the agenda when the leaders of the two Koreas hold their third summit meeting next month, in Pyongyang. Both want the end of the war to be declared this year with the United States and, possibly, China. And North Korea insists on securing the declaration before moving forward with denuclearization.

의심의 여지 없이 그 문제는 남북한 지도자들이 다음 달 평양에서 세 번째 정상회담을 개최할 때 중요한 의제가 될 것이다. 양측 모두 올해 안에 미국과, 그리고 아마 중국과도 함께 종전을 선언하고 싶어한다. 그리고 북한은 비핵화로 가기 전 종전선언을 확고히 할 것을 계속 주장하고 있다.

But there is a range of reasons American officials have refused so far to embrace a formal peace declaration. The Trump administration wants North Korea to first halt its nuclear weapons program — a tough line that could create a divergen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its ally.

그러나 미국 관료들이 지금까지 공식적인 평화선언 채택을 거부해온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들이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이 먼저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이 강경 노선은 미국과 동맹국인 한국 사이에 의견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In turn, analysts said, that gives an opening to North Korea — and maybe China and Russia — to exploit the gap between Washington and Seoul.

아울러 분석가들은 그것이 북한이-그리고 아마 중국과 러시아도-미국과 한국 간에 생긴 간극을 남용할 수 있는 여지를 준다고 말했다.

“You have South Korea moving so quickly on these projects to push for reconciliation with North Korea, and in Washington you have people pushing for denuclearization before anything else happens,” said Jean H. Lee, director of the Wilson Center’s center for Korean history and public policy. “They have very different end games and very different time frames. It’s very problematic.”

윌슨 센터의 한국 역사 공공정책 연구소장 진 H 리는 “한국은 북한과의 화해를 추진하기 위해 이러한 계획을 너무 빨리 진행시키고 있고 미국에선 다른 어떤 일에 앞서 비핵화를 추진하려는 사람들이 있다”며 “이들은 아주 다른 전략과 아주 다른 시간대를 가지고 있다. 그것이 큰 문제다”라고 말했다.

First, the U.S. wants proof of Pyongyang’s efforts to denuclearize. 첫째, 미국은 비핵화를 위해 북한이 노력하고 있다는 증거를 원한다. The Trump administration, like those of Presidents Barack Obama, George W. Bush and Bill Clinton, is focused on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 above all else. That’s in large part because North Korea has been developing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hat would give Pyongyang the ability to strike the United States mainland with a nuclear warhead.

버락 오바마, 조지 W 부시, 그리고 빌 클린턴과 마찬가지로 트럼프 행정부도 그 무엇보다도 북한의 핵 무기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핵탄두를 장착해 미국 본토를 강타할 수 있는 힘을 북한 정부에 부여해 줄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북한이 개발해온 것이 큰 이유이다.

In a joint statement released after the Singapore summit meeting in June,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said Pyongyang “commits to work toward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6월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발표된 공동 성명에서 미국과 북한은 북한 정부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향해 노력할 것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But the two sides didn’t agree on the definition of denuclearization.

그러나 양측은 비핵화의 정의에 대해서는 합의하지 않았다.

For President Trump’s top foreign policy officials — Mike Pompeo, the secretary of state, and John R. Bolton, the national security adviser — denuclearization means North Korea halting and dismantling its nuclear weapons program.

트럼프 대통령의 최고 외교 정책 관료인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존 볼턴 국가 안보 보좌관에게 있어서 비핵화란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해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Mr. Bolton said last week that North Korea had not taken steps necessary for denuclearization, a process that American officials have said should include turning over a list of Pyongyang’s atomic weapons stockpiles, nuclear production facilities and missiles.

지난주 볼턴은 북한이 비핵화에 필요한 단계를 밟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단계에는 북한의 핵무기비축량, 생산 시설과 미사일의 목록을 넘기는 것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미국측 관계자들은 주장해왔다.

North Korea has not agreed to do so and, according to Mr. Pompeo, is still producing fissile material at plants. Separately, American intelligence officials have concluded that North Korea is continuing to make long-range missiles at a site north of Pyongyang, according to news reports.

북한은 그렇게 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았고 폼페이오에 따르면 여전히 공장에서 핵분열성 물질을 생산중이다. 이와 별도로, 미국 정보 당국자들은 북한이 평양 북쪽 한 지역에서 장거리 미사일을 계속 만들고 있다고 결론내렸다는 뉴스 보도가 있었다.

South Korea wants the United States to give Kim Jong-un, the North Korean leader, something significant — ideally an end-of-war declaration — to build domestic political will for denuclearization.

한국은 미국이 북한 지도자 김정은에게 비핵화를 위한 국내 정치적 의지를 구축할 만한 중요한 무엇인가, 이상적으로 말하면 종전선언 같은 것을 주기를 원하고 있다.  

After six decades, the Korean War is technically still not over. Here’s what happened – and why it still matters.Published OnApril 24, 2018 Credit Image by Fox Photos – Getty Images 
60년 후 한국 전쟁은 엄밀히 말하면 여전히 끝나지 않은 상태이다. 어떤 일이 일어났고 왜 한국 전쟁이 중요한가.

South Korean officials also have noted that North Korea is focused on the order of points made in the joint statement from Singapore. The commitment to denuclearization was third, while the first and second points called o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to establish new relations and to build “a lasting and stabl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한국 관료들은 또한 북한이 싱가포르에서의 공동 성명서에 포함된 사항들의 순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 비핵화 약속은 세 번째이며, 첫 번째 두 번째 사항은 미국과 북한이 새로운 관계를 수립하고 “한반도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평화 체계”를 구축한다는 것이었다.

For the North Koreans, that means prioritizing an end-of-war declaration and peace treaty, analysts said.

북한인들에 있어 이는 종전 선언과 평화 조약을 우선순위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가들은 말했다.

Joseph Y. Yun, the former senior diplomat on North Korea at the State Department, said in an interview that Washington and Pyongyang could try for a “declaration-for-declaration” agreement: North Korea would declare its nuclear assets in exchange for the United States’ supporting a declaration to end the Korean War.

국무부에서 전 북한관련 고위급 외교관이었던 조셉 윤씨는 인터뷰에서 미국과 북한 정부는 “선언 대 선언“ 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노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즉 미국이 한국전쟁의 종전을 지지한다는 선언을 하는 것과 맞바꾸어 북한도 핵 자산을 밝힌다는 것이다.

The two Koreas want a declaration by this fall — way too soon for the U.S.

남북한은 가을에 종전 선언을 원하고 미국으로선 너무 이르다

For the declaration, the two Korean governments are working on a year’s end deadline at the latest, but ideally by the Sept. 18 start of the annual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meeting in New York. It is widely believed that United Nations officials might invite Mr. Kim to attend the assembly and deliver a speech.

그 선언을 위해 남북한 정부는 늦어도 연말까지로 기한을 잡고 일을 하고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연례총회가 시작되는 9월 18일까지를 기한으로 한다. 유엔 관계자들이 김정은 위원장을 총회에 초대해서 연설을 하게 할 수도 있다고 많은이들이 믿고 있다.

“The best-case scenario is that Kim Jong-un visits the United Nations with a peace declaration in hand,” said John Delury, a professor at Yonsei University in Seoul who writes on the Korean conflict and Chinese history.

한국 분쟁과 중국 역사를 저술하고 있는 서울 연세대학교 존 델러리 교수는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평화선언문을 들고 미국을 방문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The Koreas had originally considered putting together an end-of-war declaration in July, but that did not happen.

남북한은 원래 7월에 공동으로 전쟁종식 선언을 고려했지만 그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Given their skepticism over North Korea’s commitment to denuclearization, American officials said the timeline was much too fast.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노력에 대한 회의론을 고려할 때 미국 관료들은 그 시한 일정이 너무 빠르다고 말했다.

As always, the wild card is Mr. Trump. He insisted that the Singapore summit meeting be held in June, even though American officials wanted more time to prepare.

늘 그러하듯 예측 불가능한 패는 트럼프 대통령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당국자들이 준비할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했는데도 불구하고 6월에 싱가포르 정상회담이 열려야 된다고 고집했다.

Mr. Trump might aim for a similar foreign policy extravaganza in the fall, timed to the United Nations assembly and before the crucial November midterm elections in the United States.

트럼프 대통령은 유엔총회와 미국의 11월 중간선거 전에 시간을 맞춰 이번 가을에 이와 비슷한 외교정책쇼를 목표로 삼을 수도 있다.

American officials worry a peace declaration could dilute the U.S. military in Asia.

미국 관료들은 평화선언이 아시아에서의 미군의 영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한다

Although a peace declaration is not the same as a binding peace treaty, it would start the process for one. That would mean talking about how many American troops are needed in South Korea. Before the Singapore meeting, Mr. Trump ordered the Pentagon to prepare options for drawing down the troops there now.

비록 평화선언이 평화조약과 같지는 않지만 평화조약으로 나아가는 과정의 시작이 될 것이다. 그것은 어느 정도 규모의 미군이 한국에 필요한지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임을 뜻한다. 싱가포르 정상회담 전에 트럼프 대통령은 국방부에 현재 한국 내 미군 축소의 옵션을 준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For some American officials, the troop presence in South Korea is not just a deterrent toward North Korea. It also helps the United States maintain a military footprint in Asia and a grand strategy of American hegemony.

일부 미국 관료들에게 있어 한국 내 미군 주둔은 단순히 대북 억지력만인 것은 아니다. 이는 또한 아시아 내의 군 주둔을 유지하며 미국 패권의 웅대한 전략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China has already begun challenging the United States’ military presence in Asia, which will only be reinforced as China becomes the world’s biggest economy and modernizes its military.

중국은 이미 아시아에서의 미군 주둔을 문제삼기 시작했으며, 이는 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경제 국가가 되고 군을 현대화함에 따라 더욱 드세질 것이다.

The officials also worry that President Moon Jae-in of South Korea might try to push for a lesser American military presence, or a weakening of the alliance, after an end-of-war declaration.

미국 관료들은 또한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 종전선언 후에 주한미군 축소나 한미동맹 약화를 추진하려 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For the United States, an end-of-war declaration or a peace declaration or a peace treaty has always had a broader context,” Mr. Yun said.

윤은 “미국에 있어 종전선언이나 평화선언 혹은 평화조약은 항상 보다 광범위한 맥락을 가진다”고 말했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930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