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미, 북 관련 단체 27곳, 선박 28척 등 추가 제재

트럼프, “역대 가장 강력한 제재..긍정적인 일 일어날 수도”
이광길 기자  |  gklee68@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8.02.24  09:51:27
페이스북 트위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3일(이하 현지시간) 10번째 대북 독자 제재를 단행했다. 공해상에서 선박 간에 “불법적으로” 화물을 옮겨싣는 걸 막는 데 초점을 맞췄다. 지난해 12월 촬영한 선박 간 환적 사진도 공개했다. 

11월 중간선거에 집중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침 매릴랜드주에서 열린 ‘보수정치행동회의(CPAC)’ 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사람들이 나에게 묻기에 북한에 대해 말하자면, 오늘 우리는 그 나라에 역대 가장 강력한 제재를 가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솔직히 바라건대 무언가 긍정적인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지켜보자”면서 “그러나 그것이 방금 발표됐고 나는 여러분이 그걸 알기를 바란다. 우리는 역대 가장 강력한 제재를 가했다”고 거듭 밝혔다. 

아울러 “경제적 굴종의 시대는 끝났다”는 중간선거용 구호도 제시했다. 지난해 미국이 중국에 5조 달러, 멕시코에 1조 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고 주장했다.  

미국 재무부 산하 해외자산통제국은 “북한 관련 해운.무역회사와 선박을 차단하여 북한 정권을 더 고립시키고 미국의 최대 압박 캠페인을 진전시키기 위해”라고 제재 이유를 밝혔다. 북한산 석탄 수출에 관련된 대만인 창융위안 씨와 중국 산둥에 본사를 둔 ‘웨이하이세계해운화물’ 등 단체 27곳, 북한 유조선 “청명 1”을 비롯한 북한과 중국, 싱가포르, 대만, 홍콩, 마샬군도, 탄자니아, 파나마, 코모로스 국적 선박 28척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다. 

   
▲ 지난해 12월 9일 북측 서해상에서 금운산3호가 파나마 선적 코티와 환적하는 사진. [사진출처-미 재무부]

특히, 북한 국적 “금운산3(KUM UN SAN 3)”와 파나마 국적 “KOTI”가 북한 인근 서해상에서 석탄.유류 등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에 의해 금지된 화물을 옮겨싣는 모습을 포착한 지난해 12월 6일과 9일자 사진을 공개했다.

스티브 므누신 재무장관은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날 조치는 김정은 정권의 위험한 무기 프로그램의 돈줄이 되어온 기만적인 선적 행위를 겨냥한 것”이고, “북한을 위해 일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 세계의 해운무역회사, 선박, 개인을 겨냥한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평창 올림픽에 참가해 남북관계가 풀리고 최소한 핵.미사일 시험을 하지 않는 시기에 왜 추가 제재를 단행했는가’는 질문에, 므누신 장관은 “(핵.미사일) 시험이 없다는 사실을 평가하지만 그것이 우리가 적용하는 엄청난 표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나아가 추가 제재가 “아주 효과적일 것”이라고 자신했다. “지금 이 순간 그들이 활용하는 사실상 모든 선박들”이라는 이유에서다. “모든 자산들을 활용해 (북한의) 활동을 감시하고 있다”면서 “필요하다면 새로운 제재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정부 당국자는 24일 “이번 미국 정부의 대북 독자제재 대상 추가 지정은 북핵 문제의 평화적.외교적 해결에 대한 미측의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강력한 대북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을 비핵화의 길로 이끌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석탄, 유류 등 안보리 결의 금수품목의 불법거래 활동을 차단하는 미측의 금번 조치는 북한과 불법거래 중인 여타 제3국 개인.단체의 경각심을 고취시킴으로써 국제사회의 안보리 결의 이행 의지를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김영철에 대한 새누리당의 이중성·조선일보의 ‘궤변’

[기자수첩] 2014년 아시안게임 때 황병서에게 ‘청와대 예방’까지 제안했던 박근혜 정부

민동기 기자 mediagom@mediatoday.co.kr  2018년 02월 24일 토요일

“김영철이 북측 군 고위 관계자로서 판문점 남북 군사 회담에 참석한 것과, 스포츠와 아무 관련이 없는 그가 우리 주최 올림픽에 주빈으로 초대받아 2박 3일 동안 우리 땅을 휘젓고 다니는 것을 같은 줄에 놓고 비교한다는 얘기다.”

조선일보 2월24일자 사설 가운데 일부다. 새누리당의 이중적 태도를 비판한 더불어민주당 입장을 반박하는 내용이다. 더불어민주당이 비판한 부분은 대략 이런 것이다.

 

20180224_조선일보_[사설] '김영철 訪南 노림수' 김정은 계산대로 흘러가나_오피니언 27면.jpg
조선일보 2018년 2월24일자 사설. 
 
△2014년 남북 장성급 군사 회담 때도 김영철이 북한 대표였다. △당시 새누리당은 ‘남북 대화가 꾸준하게 이어지길 기대한다’는 논평을 냈다 △2014년 김영철과 지금의 김영철은 어떤 차이가 있느냐.

 

상식적인 주장이다. ‘왜 그때는 되고 지금은 안 된다는 것’이냐는 질문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대해 새누리당은 제대로 반박하거나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그런데 오늘(24일) 조선일보가 사설에서 이를 반박했다. “김영철이 북측 군 고위 관계자로서 판문점 남북 군사 회담에 참석”했기 때문에 지금과 다르다는 게 조선일보 주장이다.

고개가 갸우뚱해진다. 지금 새누리당과 이른바 보수진영은 “김영철이 한국 땅을 밟는다면 긴급 체포하거나 사살해야할 대상”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들 논리대로라면 2014년 당시에도 김영철은 ‘긴급 체포하거나 사살해야 할 대상’이었다. 회담의 주체가 될 수 없었다는 얘기다. ‘북측 군 고위관계자’로 남북군사회담에 참석하면 조선일보가 그토록 강조하고 있는 ‘천안함 폭침’ 책임이 없어지나?

 

오히려 더 문제 아닌가. ‘천안함 폭침’에 책임 있는 당사자가, ‘한국 땅을 밟는다면 긴급 체포하거나 사살해야할 대상’이, 남북군사회담에 참석하는 게 더 말이 안 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왜 박근혜 정부는 그때 김영철을 체포, xx하지 않았나?”라는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 비판에 대해 새누리당과 보수진영이 책임 있는 입장을 내놓아야 하는 이유다.  

그런데 조선일보는 “김영철이 북측 군 고위 관계자로서 판문점 남북 군사 회담에 참석한 것과, 스포츠와 아무 관련이 없는 그가 우리 주최 올림픽에 주빈으로 초대받아 2박 3일 동안 우리 땅을 휘젓고 다니는 것을 같은 줄에 놓고” 비교하지 말라고 한다. 궤변도 이런 궤변이 없다. 그럼 역으로 한번 물어보자. 그게 도대체 무슨 차이가 있나? 북측 군 고위 관계자로 회담에 참석하면 새누리당과 조선일보가 입에 거품을 물 정도로 흥분하는 ‘천안함 폭침 책임’을 묻지 않아도 된다는 건가. 전형적인 내로남불 논리이자 궁색한 변명이다.  

2014년 아시안게임 때 황병서에게 ‘청와대 예방’ 제안했던 박근혜 정부

조선일보의 이 같은 주장이 궤변에 불과하다는 것은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당시 보도에서도 확인된다. 당시 북한은 북한 권력 서열 2위인 황병서 인민군 총정치국장을 비롯해 최룡해·김양건 당비서 등 최고위급 인사를 북 대표단 자격으로 한국에 보냈다. 이들은 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 참석을 이유로 2014년 10월4일 오전 인천을 방문했다. 황병서와 김양건이 누군가. 조선일보는 두 사람을 이렇게 소개했다.

“황병서 총정치국장은 ‘북한 군부의 1인자’로, 김양건 노동당 대남 비서 겸 통일전선부장은 ‘대남정책의 1인자’로 흔히 분류된다. 또 두 사람은 모두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최측근 실세로 ‘이너 서클(inner circle·중추세력) 멤버’라고 할 수 있다 … 북한 권력서열 2위인 황병서 총정치국장은 김정은 체제 들어 승승장구를 거듭한 인물로 현재 노동당 정치국 상무위원,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등 핵심 직책을 갖고 김정은의 오른팔 역할을 하고 있다.” 

[조선일보] 고위급접촉 北 수석대표 황병서, 김양건은 누구?

 

20141006_조선일보_鄭총리 _100번의 말보다 행동이 중요…결실 맺자_..._정치 02면.jpg
조선일보 2014년 10월6일자 2면. 
 
‘스포츠와 아무 관련이 없는’, 김정은의 오른팔 역할을 하고 있던 핵심 인사들이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 참석을 이유로 한국에 왔다. 그런데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은 지금과는 전혀 다른 태도를 보였다. 당시 조선일보가 보도한 내용에 자세히 나와 있다. 핵심적인 부분만 인용한다. 

 

 

20141006_조선일보_아시안게임 조선일보_종합 01면.jpg
조선일보 2014년 10월6일자 1면. 
 
“(황병서는) 김관진 실장에게 ‘김정은 제1비서의 따뜻한 인사를 박근혜 대통령에게 전한다’고 말했다. 현 정부 출범 이후 주로 남북 간 긴장 조성에 치중해 왔던 김정은이 박 대통령에게 개인적인 메시지를 전한 것은 처음이다 … 또 우리 측은 ‘박 대통령이 북측 대표단을 만날 용의가 있다’며 ‘청와대 예방’을 제안했다. 이에 북측은 ‘이번에는 아시안게임 폐막식 참석을 위해 왔기 때문에 시간상 어렵다’며 양해를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정은의 오른팔 역할을 하고 있던 핵심 인사들에게 ‘청와대 예방’까지 제안했던 게 당시 박근혜 정부였다. 당시 새누리당은 권은희 대변인 명의로 “비록 현재 남북관계가 대화와 도발의 국면을 오가는 상황이긴 하지만 대화의 시도가 끊임없이 이뤄지고 있는 일련의 상황들은 매우 바람직하다. 남북 갈등은 대화로 풀어나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부작용이 덜하다. 남북대화가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지길 기대한다”는 논평까지 냈다.  

‘그랬던’ 새누리당이 지금은 “김영철이 한국 땅을 밟는다면 긴급 체포하거나 사살해야할 대상”이라고 목소리를 높인다. 내로남불을 넘어 안하무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선일보는 당시 어떻게 보도 했었나 … 지금과는 정반대였다

더 가관인 건 조선일보다. 당시 김정은 오른팔 역할을 하고 있던 핵심 인사들의 방남 소식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던 조선일보는 2014년 10월6일자 사설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사설 제목이 ‘北 실세들의 깜짝 방문, 차분하게 남북대화 이끌어야’다. 간략하게 인용한다.  

 

20141006_조선일보_[사설] 北 실세들의 깜짝 방문, 차분하게 남북대화 이끌어야_오피니언 35면.jpg
조선일보 2014년 10월6일자 사설. 
 
“우리 측이 남북대화에 소극적으로 임할 이유는 없다. 박근혜 정부도 그간 북한과 대화할 뜻이 있다는 점을 거듭 밝혀왔다. 북의 도발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하면서 분단(分斷) 상태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이 나라의 안보·번영에 직결된 중대사다 … 북한 대표단 깜짝 방문에 들떠 지속 가능하지 않은 남북 관계 개선을 서둘러 추진하기보다는, 당장은 힘들더라도 차근차근 남북 간의 신뢰를 회복해가는 단계적·점진적 접근이 필요하다.”

 

 

20141006_조선일보_김정은 전용기 타고 온 實勢 3인 _朴대통령에 따뜻한 인사 전한다__정치 02면.jpg
조선일보 2014년 10월6일자 2면. 
 
‘이랬던’ 조선일보가 오늘자(24일) 사설에선 전혀 다른 주장을 펼친다. 사설 제목은 ‘김영철 訪南 노림수 김정은 계산대로 흘러가나’이다.

 

“우리 국민 수십 명을 죽게 만든 테러에 관련됐거나 관련된 것으로 의심할 소지가 있는 사람을 상대방이 협상 대표로 보낸다면 당연히 거부해야 한다. 보내겠다고 제안하는 것 자체가 결례고 도발이다. 그런데 정부는 우물쭈물 말을 흐리고 여당 지도부는 오히려 문제 삼는 사람들을 타박하고 있다. 김정은이 김영철을 대표로 보낸 데는 남남 갈등을 일으켜 판을 흔들겠다는 의도가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상황은 실제 김정은 계산대로 흘러가고 있다.”  

조선일보에 ‘조선일보식 논리’를 적용해 묻는다.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 참석을 위해 방남한 황병서·최룡해·김양건은 “우리 국민 수십 명을 죽게 만든 테러에 관련됐거나 관련된 것으로 의심할 소지”가 없는 인사인가 △이들을 당시 대표단 자격으로 보낸 것을 박근혜 정부는 거부하지 않고 오히려 ‘청와대 예방’까지 제안했다. 여기에 문제는 없는 것인가 △김정은이 당시 이들을 보낸 데는 남남 갈등을 일으켜 판을 흔들겠다는 의도가 없었다고 보는가 △그럼 그때 조선일보는 왜 지금처럼 강력하게 반대하지 않았나.  

이 질문에 조선일보가 제대로 된 답을 내놓았으면 좋겠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성명서] 천안함사건 진실규명을 위한 재조사 요청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8/02/24 12:01
  • 수정일
    2018/02/24 12:01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평창올림픽 폐막식 참가 북측고위급대표단 방남에 즈음한 특별성명
 
편집국  | 등록:2018-02-24 09:49:08 | 최종:2018-02-24 10:07:17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천안함사건 진실규명을 위한 재조사를 요청한다
-평창올림픽 폐막식 참가 북측고위급대표단 방남에 즈음한 특별성명


우리는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게시판에 올라온 “천안함 침몰사고 진상규명을 위한 재조사를 청원합니다” 국민 청원을 지지하며, 정부가 즉각 천안함사건 진실규명을 위한 재조사에 나설 것을 요청한다. 이 청원은 지난 22일 시작되어 불과 하루 만에 1만 명을 넘어설 만큼 국민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청원인은 “과연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소행에 의한 것인가? 단 하나라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증거가 있는가?” 묻고 “적어도 지금까지는 그러한 증거를 발견할 수가 없다.”며 “지금이야말로 이명박 정권에서 벌어진 이 참담한 사건의 진상을 명명백백하게 규명할 때”라고 밝히고 있다.

청원인은 또 “46명의 아까운 청춘들이 차디찬 백령도 바다 속으로 사라졌다. 어떻게 해서 그런 엄청난 사고가 발생하게 되었는지를 밝혀야 한다”며 “유족들에게는 망자들의 죽음 원인을 정확하게 알리고, 오로지 진실만을 역사의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우리는 25일 평창올림픽 폐막식에 참석하여 문재인 대통령과 만날 것으로 알려진 북측 고위급 대표단장 김영철 당 부위원장과 관련한 자유한국당과 보수단체의 극언과 주장에 대해 정부가 명명백백하게 진실을 밝힐 것을 촉구한다.

이명박 정권은 2010년 3월26일 발생한 천안함 침몰사건이 북 잠수정에서 발사된 1번 어뢰공격에 의한 것이라며 김영철 정찰총국장을 주범이라고 지목하였다. 그러나 통일부는 23일 “구체적인 관련자를 특정해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김영철 부위원장의 연관 여부도 단언하기 어렵다”고 발표하였다.

이명박 정권의 천안함사건 조사 결과 발표에 대해서 그동안 국내외에서 많은 논란과 의혹이 제기돼 왔으며 국민의 70%가 정부의 발표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여론조사 결과는 천안함 사건에 대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재조사의 필요성을 말해주고 있음에도 이명박 정권은 천안함사건을 계기로 ‘5.24조치’를 강행하여 남북관계를 동결하였고 미국은 대북제재를 강화하였다.

우리는 남북간의 대화와 한반도의 긴장완화 그리고 경제협력 및 교류의 재개에 있어 가장 커다란 걸림돌이요 반드시 넘어야 할 장애물인 <천안함 침몰사건>에 대한 진실규명과 그 책임소재에 대한 명확한 결론없이 어떻게 미래로 나아갈 수 있을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천안함 침몰이 이명박 정권의 발표대로 북의 공격에 의한 것이라면 46명의 고귀한 생명을 앗아간 살인범으로부터 사과 한마디 받지 않고 대화하는 것이 가능한 일인가 묻지 않을 수 없고, 만약 이명박 정권의 발표가 조작되고 은폐되었다면 무고하게 살인범의 누명을 쓴 북에 대한 사과 없이 어떻게 손을 내밀 수 있는지 묻고 있는 것이다.

이에 우리는 정부가 하루빨리 천안함사건 진실규명을 위한 재조사에 나서 그동안 제기되어 온 천안함 침몰사건에 대한 의혹을 말끔히 해소하고 남북관계 개선의 큰 길을 열어갈 것을강력히 촉구한다.

2018년 2월 24일
천안함 진실규명을 위한 범시민사회협의체 준비위원회

공동대표
조헌정 목사 / 명진 스님 / 문대골 목사 / 김원웅 전 국회의원 / 박해전 6.15 10.4 국민연대 상임대표

 

 

청와대 국민청원 바로가기

 
본글주소: http://www.poweroftruth.net/news/mainView.php?uid=4414&table=byple_new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노동신문, 긴장격화 도발적 망동 돌이킬 수 없는 후과 초래할 것

노동신문, 긴장격화 도발적 망동 돌이킬 수 없는 후과 초래할 것
 
 
 
박한균 기자 
기사입력: 2018/02/22 [15:27]  최종편집: ⓒ 자주시보
 
 
▲ 북 노동신문은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면서 “내외 반통일 세력의 도발적 망동으로 하여 지금의 북남관계개선의 흐름이 억제되고 북남사이에 또다시 긴장이 격화된다면 그것은 돌이킬 수 없는 후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 노동신문은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면서 “내외 반통일 세력의 도발적 망동으로 하여 지금의 북남관계개선의 흐름이 억제되고 북남사이에 또다시 긴장이 격화된다면 그것은 돌이킬 수 없는 후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인터넷 소식에 따르면 북 노동신문은 22일 ‘긴장격화를 부채질하는 도발적 망동’이라는 제목 글에서 미국을 겨냥해 “핵항공모함 ‘칼빈슨’호를 일본에 끌어들이는 것으로 본격적인 군사적 긴장격화책동에 나선 미국은 이어 2척의 이지스 구축함을 조선(한)반도 주변에 중과하는 등 우리를 겨냥한 선제타격무력들을 계속 증강배치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또한 “그 누구의 ‘위협’에 대응한다는 구실 밑에 우리 공화국을 작전대상으로 하는 신형레이다의 배치에 대해 떠들어대는가 하면 얼마 전부터는 일본과 ‘미사일방어훈련’이라는 것을 벌려 놓고 긴장국면을 조성”하였으며, 이런 속에 합동군사연습 취소, 축소를 반대하는 여론으로 “남조선당국에 노골적인 압력을 가하는가 하면 우리 공화국에 대규모적인 사이버공격을 가하기 위해 남조선과 일본 등지에 꾸려 놓은 기지들의 존재에 대해 공개하면서 긴장격화를 부채질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우리 민족과 세계평화애호인민들의 한결 같은 반대규탄에도 불구하고 조선반도와 그 주변 일대에서 침략무력을 대대적으로 증강하면서 우리 공화국을 반대하는 대규모적인 합동군사연습을 끝끝내 재개하여 북남관계 개선을 차단하고 반공화국압살공조를 더한층 강화하려는 것이 미국의 흉심”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도 이에 동조하고 있다며 “북남사이의 불신과 대립을 조장 격화시켜 긴장완화의 흐름을 가로막고 재침야망을 실현하기 위한 강도적 심보의 발로”라고 주장했다. 

 

신문은 “문제는 우리 민족의 화해와 단합에 훼방을 놓으면서 군사적대결과 긴장을 고조시키려는 미국과 일본반동들의 범죄적 망동에 남조선의 괴뢰보수패당이 적극 추종해 나서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금 “‘자유한국당’을 비롯한 남조선의 보수패거리들은 합동군사연습이 ‘예정대로 재개’되어야 한다고 떠드는 상전들의 위험한 나발질에 맞장구를 치면서 긴장 격화를 적극 부추기고 있다”며 “이자들은 당국이 ‘평창올림픽을 평양올림픽으로 만들고 있다.’느니, ‘위장평화공세에 놀아나고 있다.’느니 하고 아부재기를 치면서 우리의 겨울철올림픽경기대회참가를 악의에 차서 걸고드는가 하면 ‘제재압박의 강화’와 ‘핵폐기’망발을 지독스럽게 불어대면서 좋게 발전하는 북남관계를 파괴하려고 미쳐 날뛰고 있다”고 신문은 비판했다.

 

그러면서 “겨레의 지향과 염원을 짓밟으며 모처럼 마련된 북과 남의 화해와 대화, 관계개선의 분위기를 깨버리고 외세와 야합하여 동족대결야망을  실현하기 위해 피눈이 되어 날뛰는 보수패당의 망동은 남조선 각계의 치솟는 증오와 격분을 자아내고 있다”며 “현실은 보수패거리들이야말로 한조각의 민족적 양심도 없으며 저들의 불순한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라면 민족의 운명도 서슴없이 짓밟는 추악한 매국역적의 무리이라는 것을 똑똑히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신문은 “미국이 대화와 평화의 흐름에 배치되게 침략무력을 조선반도주변에 계속 끌어들이면서 군사적 긴장을 부채질하고 이에 일본반동들과 괴뢰보수패당이 적극 동조해 나서고 있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며 남북관계 개선이 억제되고 또다시 긴장이 격화된다면 그에 대해서는 “미국과 일본, 남조선보수패당이 전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신문은 “반통일 세력이 침략전쟁책동으로 조선반도의 평화와 북남관계개선을 위한 우리의 성의 있는 노력에 악랄하게 도전해 나서고 있는 것은 온 겨레가 시련과 난관을 박차고 자주통일을 위한 투쟁을 더욱 힘차게 벌려나갈 것을 요구하고 있다”며 “내외 반통일 세력이 제아무리 발악하여도 민족의 단합과 통일을 위한 우리 겨레의 애국투쟁을 절대로 가로막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최순실에 우병우까지 줄줄이 실형, 박근혜의 운명은?

[아침신문 솎아보기] 국정농단 연루자들 박근혜와 공모관계 인정… 최순실 20년형보다 높게 나올 수도

강성원 기자 sejouri@mediatoday.co.kr  2018년 02월 23일 금요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김영철, 이미 판문점 남측 왔었다... 그때 새누리당은 뭐했나

[황 기자의 한반도 이슈] 2014년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군사회담

18.02.23 10:42l최종 업데이트 18.02.23 10:42l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가 21일 국회에서 열린 중진의원-상임위원장 연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가 21일 국회에서 열린 중진의원-상임위원장 연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김영철이 한국 땅을 밟는다면 긴급체포하거나 사살해야 할 대상이다."

북한이 22일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을 평창동계올림픽 폐회식에 보내겠다고 통보하고, 정부가 이를 수용하자,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격한 반응을 내놨다.

자유한국당 전체로도 이날 "김영철은 대한민국을 공격한 주범으로, 대남 정찰총국 책임자로서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 목함지뢰 도발을 주도한 자"라며 "한국당은 김영철의 방한을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불허 결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 문제를 이슈화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얘기한 것이다.

 

엄밀하게 얘기하면 25일 경의선 육로를 통해 오는 김영철 통전부장의 남쪽 방문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는 북한군 정찰총국장 겸 국방위원회 서기실 책임 참사 시절인 2014년 10월 15일 우리측의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과 군사회담을 했다. 당시 회담 장소가 판문점 우리측 통일의 집이었다. 

한국당이 지금 보이는 '결사항전'의 모습으로 볼 때, 한국당이 이름만 바꾸기 전 새누리당은 2014년 당시에 김영철에게 물리적 행동을 가하기 위해 움직였어야 하지 않을까. 판문점 JSA(공동경비구역)내 남측 경비는 유엔군 사령관 실제로는 주한미군 사령관의 지휘를 받는 한국군 경비대대가 책임지고 있다. 그래서 한국군을 직접 움직이기는 어려움이 있지만, 지금처럼 '사살'을 말하는 정도의 결기라면 칼을 빼서 호박을 자르는 시늉이라도 했어야 하지 않을까.

당시 새누리당 대변인, "일련의 상황들은 매우 바람직" 환영 논평 
 

남북 군사당국자 접촉 왼쪽이 북측 김영철 국방위원회 서기실 책임참사 겸 정찰총국장, 오른쪽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
▲ 남북 군사당국자 접촉 왼쪽이 북측 김영철 국방위원회 서기실 책임참사 겸 정찰총국장, 오른쪽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
ⓒ 국방부 제공

관련사진보기

 

남북 군사당국자 접촉 좌측 김영철 국방위원회 서기실 책임참사 겸 정찰총국장, 우측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
▲ 남북 군사당국자 접촉 좌측 김영철 국방위원회 서기실 책임참사 겸 정찰총국장, 우측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
ⓒ 국방부 제공

관련사진보기


그러나 당시 새누리당은 김영철이 나선 남북 군사회담 다음날인 10월 16일  "비록 현재 남북관계가 대화와 도발의 국면을 오가는 상황이기는 하지만 대화의 시도가 끊임없이 이뤄지고 있는 일련의 상황들은 매우 바람직하다"(권은희 당 대변인)는 환영 성명을 냈다.

새누리당은 당시 집권당으로서 남북관계 파탄 상황에서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폐막식 때 황병서 북한군 총치적국장 등 최고위급 3인방 방남을 계기로 만들어진 유화 국면을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었던 상황이었다.

때문에 지금의 자유한국당의 모습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환영 논평을 내놓은 것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 정부 조사단은 천안함 사건을 북한의 어뢰에 당한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리고 당시 정찰총국장이었던 김영철이 그 핵심이라고 익명의 관계자 등을 통해 전파했으나 공식적으로 특정하지는 못했다. 당시 민군합동조사단도 김영철이 천안함 공격을 주도했다고 발표하지는 않았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22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전체회의에서 "2010년 당시 국방부가 천안함 폭침사건 책임자에 대한 구체적인 확인은 하기 어렵다고 답변한 바가 있다"고 말한 것도 이런 배경때문이었다.

조명철 장관 "2010년 국방부, 천안함 폭침 책임자 구체적 확인 어렵다고 했다"

천안함 사건에 대해서는 당시 정부 발표에 대해 여전히 적다고 할 수 없는 의문들이 제기돼 있다. 또 김영철이 그 주범인지도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설령 그 내용을 그대로 다 수용한다 해도, 그러면 도대체 북한 누구와 대화할 수 있느냐는 큰 문제가 남는다. 한국당도 너무나 잘 알고 있는 것처럼 북한은 수령을 중심으로 한 유일지도체제다. 모든 중요한 대남 결정은 최고 수령들이 내리기 때문에 그 책임도 그들에게 귀착된다. 

그런데 한국당의 이전 정권들도 김일성 주석과 밀사를 주고 받았고, 정상회담 날짜까지 잡았다. 이명박 대통령도 마찬가지였고, 박근혜 대통령은 의원 시절 방북해 김정일 위원장을 만나기까지 했다. 

지금 이런 모습이라면, 한국당은 다시 집권할 경우 북한과는 아예 대화나 접촉도 하지 않겠다는 것인가.

"남북 갈등해소와 평화통일 등 어렵고 복잡한 문제들을 풀기 위해선 대화부터 시작해야 한다. 오해가 있으면 풀고 의견이 다르면 조정해야 한다. 대화조차 하지 않으면 갈등의 골은 계속해서 깊어 질 수밖에 없다. 남북대화가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지길 기대한다."

2014년 10월 16일 권은희 새누리당 대변인의 논평은 이렇게 끝난다. 지극히 옳은 말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남북 동계아시안게임 개최, 평화 잇는 길”

 평창올림픽 성공 위해 동분서주하는 최문순 강원도지사
강릉=조정훈 기자  |  whoony@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8.02.22  14:16:47
페이스북 트위터
   
▲ 평창올림픽 성공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는 최문순 강원도지사를 지난 21일 오후 강원도 강릉 씨마크호텔 강원 미디어센터에서 <통일뉴스>가 만났다. [사진-박창술 객원사진전문기자]

평창동계올림픽이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다. 폐회를 불과 3일 앞두고 있지만, 성공적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특히, 여기에는 북한이 참가해 한층 의미를 더하고 있다.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강원도는 한반도 평화를 주도하겠다는 구상이다.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공동개최’가 바로 그것.

평창올림픽 성공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는 최문순 강원도지사를 지난 21일 오후 강원도 강릉 씨마크호텔 강원 미디어센터에서 <통일뉴스>가 만났다.

최문순 지사는 현재까지의 평창올림픽 진행 상황에 “만족하는 상태”라고 평가했다. 그리고 북측의 참가를 두고, “평화와 대립의 분위기가 변하는 변곡점을 만들었다”고 자부했다.

최 지사는 평창올림픽으로 마련된 남북관계 개선의 시작을 스포츠를 통해 다져가겠다는 야심찬 구상을 하고 있다. 바로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공동개최’.

그는 “올림픽이 끝난 이후에도 평화의 분위기를 스포츠를 통해 이어가야겠다는 생각”이라며 “그중 하나가 동계아시안게임 공동개최이다. 공동으로 조직위원회를 꾸리고, 같이 사람을 내고, 같이 돈을 내는 등 앞으로 3년 동안 같이 체계적으로 공동운명체로 행사를 성공시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중장기적인 시스템을 같이 만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 최문순 강원도지사. [사진-박창술 객원사진전문기자]

최 지사의 구상에 북측도 호응하는 분위기이다. 장웅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은 지난 20일 중국 베이징 서우두공항에서 국내 취재진을 만나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아시안게임은 개최 희망국이 적기 때문에 올림픽보다 쉽다”고 밝힌 바 있다.

‘2021 동계아시안게임 남북공동개최’는 현재 구상단계이지만, 남측 평창올림픽 시설과 북측 마식령스키장을 활용하는 방안 등이 모색되고 있다.

최 지사는 “(북측과) 핫라인이 있다”고 밝히면서, “(공동개최에) 서로 공감대를 갖고 있다는 정도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오는 4월 평양 국제마라톤대회에 강원도민 등 1백여 명 참가, 6월 남북유소년축구대회 평양개최 등 강원도의 남북교류사업은 확정된 상태. 현재 남북 간 실무협상이 남아있다.

가히 강원도가 한반도 평화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어 보인다. 최 지사의 남북관계 철학은 뭘까?

“평화 외에는 길이 없다. 핵도 평화에 반하는 것이니까 핵도 있어서는 안 된다. 다만, 핵을 한반도에서 제거하는 길도 평화로운 방법밖에 없다. 대화를 통해서 하는 길 외에는 없다. 여러 가지 이견들이 있다. 그렇지만 우리가 가는 길은 어떤 경우도 평화의 길밖에 없다는 것이 나의 신념이다.”

한반도 평화론에 이견을 달 사람은 없을 터. 유일한 분단도인 강원도를 이끄는 위치에서인지, 최 지사의 평화론은 절박했다.

그는 “강원도는 남북관계가 언제나 핵심이슈이다. 분단을 오랫동안 겪고 분단의 피해를 겪었다”며 “남북 간 긴장이 고조되면 강원도는 직접적인 피해가 바로 발생한다. 강원도는 언제나 남북관계가 최고의 관심이자 이슈”라고 강조했다.

   
▲ 최문순 지사는 오는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공동개최의 야심찬 구상을 밝혔다. [사진-박창술 객원사진전문기자]

김대중.노무현 민주정부 10년, 강원도는 한반도 평화의 길목이었던 것도 사실. 금강산 관광이 대표적이지만, 지난 이명박.박근혜 보수정부 10년 동안 막혔다.

금강산 관광 재개에 대해, 최 지사는 조심스러워 했다. 박왕자 씨 피격사건의 해결도 남아있고,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와도 연결되기 때문. 하지만 “금강산 관광을 재개해야 한다. 너무 서둘러서도 안 되고, 너무 늦춰서도 안 된다. 빠른 시간 내에 이뤄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여기에 금강산을 향하는 길목인 고성군의 현재 상황이 “폐허”라는 최문순 지사의 지역 현안에 대해 고심도 담겨 있었다.

문재인 정부가 북방경제협력을 정책으로 내걸고,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을 대북정책으로 내놓은 가운데, “북방항로를 준비하고 있다. 속초에서 북방항로로 준비하고, 동해에도 다니고 있다. 우리도 충분히 준비하고 있다. 이미 운영하고 있다”고 최 지사는 강원도 중심을 강조했다.

그리고 정부의 경원선 복구에 대해 “중앙정부가 투자하면 우리는 백번 환영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최문순 지사와의 인터뷰 내용이다.

□ 통일뉴스 : 평창올림픽이 폐회를 앞두고 있다. 현재까지 올림픽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 최문순 강원도지사 : 아직 남아서 평가를 하기 이르다. 하지만 지금까지 흐름으로는 매우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모든 것이 원활하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평가나 언론, 외신의 평가도 비교적 좋은 편이어서 우리로서는 만족하는 상태이다.

□ 이번 평창올림픽 기간에 북측이 참가하고 있다. 그 의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우리는 한반도의 큰 하나의 변곡점, 평화와 대립의 분위기가 변하는 변곡점을 만들었다. 대립의 분위기가 상승하는 데서 평화의 분위기를 만드는 꼭짓점을 만들었다고 평가한다.

   
▲ 지난 10일 강릉에서 열린 조명균 통일부 장관 주최 환영만찬에 참석한 최문순 지사가 북측 고위급대표단 김여정 당 제1부부장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강릉 사진공동취재단]

□ 북측 고위급대표단을 비롯해 선수 대표단, 공연단, 응원단 등 관계자들을 폭넓게 접촉했다.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인가.

■ 한순간이라기보다 전체적인 분위기가 매우 적극적이고 오히려 공세적이었다. 평화공세라고 할 만큼 북측 대표단의 태도가 우리보다 오히려 공세적이었다. 그분들의 전체적인 분위기, 예술단도, 응원단도 대표단도 전체적인 분위기가 매우 공세적이었다. 의사결정의 속도, 의사결정 발표 방식, 그분들이 내려온 방식, 이동 방식도 여러 가지 활동 방식이 모두 평화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표현하는 그런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 북측 고위급대표단 방남 당시 화제는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이었다. 곁에서 본 느낌은 어떠했는가.

■ 한마디로 우리 동포가 틀림없었다. 오랫동안 분단돼서 떨어져 살았지만, DNA는 아직은 같다는 생각을 했다. 사고방식이나 여러 가지 살아가는 방식 전체가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 김여정 제1부부장이 임신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지사도 그렇게 느꼈는가.

■ 잘 모르겠다.

□ 최근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 공동개최 검토의견을 밝힌 바 있다. 취지를 설명해달라.

■ 평창동계올림픽 북한 참가는 이것으로 끝나는 단발성이다. 갑작스럽게 이뤄진 것이고 올림픽이 끝나면 지속되지 않는 사안이다. 올림픽 끝난 이후에도 평화의 분위기를 스포츠를 통해서 이어가야겠다는 생각이다.

그중 하나가 공동개최이다. IOC가 주최하는 행사에 우리하고 북한이 참가한 것이지만, 이번에는 공동주최를 한다. 이건 공동으로 조직위원회를 꾸린다는 것이다. 같이 사람을 내고, 같이 돈도 내고, 앞으로 3년 동안 같이 체계적으로 공동운명체로서 행사를 성공시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중장기적인 시스템을 같이 만드는 의미이다.
 
한국전쟁 그리고 분단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각각 회담해서 이산가족 상봉을 성사시킨다든지, 올림픽을 공동응원한다든지 간헐적이고 단발적인 시스템을 만들어왔지만, 같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사실 처음이다. 국제적인 행사를 같이 조직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굉장히 큰 의미가 있는 일이다.

□ 북측 장웅 IOC 위원도 동계아시안게임 공동개최에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북측과 교감하고 내린 구상인가?

■ 저보고 핫라인이 있냐고 한다. 핫라인이 있지만, 핫라인을 돌린 건 아니고 서로 공감대를 갖고 있다는 정도로 이해해 달라.

   
▲ 지난 17일 최문순 지사는 북측 응원단 환영만찬을 열었다. 북측 오영철 응원단장과 건배하는 최 지사. [사진제공-강원미디어센터]

□ 강원도는 분단도이다. 남북관계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지역이다. 이번 올림픽 기간 계획하고 있던 강원도 남북교류협력사업 중 구체화 가능성이 보인 일이 있는가.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은 무엇인가.

■ 우리는 우리가 그동안 해오던 교류를 지속적으로 할 것이다. 합의된 것은 4월 북한에서 열리는 국제마라톤대회에 강원도민을 포함해서 100명이 참가한다는 계획이다. 북측과 실무협상을 해야 하지만, 예정대로 할 것이다. 6월에는 남북유소년축구대회를 할 예정이다. 남북유소년축구대회는 평양에서 열린다.

□ 스포츠 이외 추진하는 교류협력사업은 없는가.

■ 지금은 스포츠 행사만 유일하게 남북에서 진행되고 있다. 스포츠는 유엔 제재에 벗어나 있어서 유일한 통로가 된다.

□ 남북관계에서 강원도는 금강산 관광과도 연결되어 있다. 올해가 금강산 관광 20년, 중단 10년이다. 금강산 관광 재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재개를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 도민들도 그렇고 저도 그렇고 가장 큰 숙원 중 하나이다. 너무 서둘러서도 안 된다. 점진적으로 열어가야 한다는 생각이다. 우선 이번에 올림픽을 준비하면서 마식령스키장을 가보기 위해서 대표단들이 금강산 가는 길로 다녀오고, 비록 무산됐지만, 금강산에서 공연도 같이하기로 했던 것이고, 그렇게 문을 조금씩 열어가면서 금강산 관광을 재개해야 한다. 너무 서둘러서도 안 되고 너무 늦춰서도 안 되고 속도 조절을 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빠른 시간내에 이뤄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현재 고성군 주민들 상황은 어떠한가.

■ 지금은 지역이 폐허 상태이다. 중단된 지 10년이나 돼서, 투자한 많은 분들이 야반도주하다시피 했다. 폐허 상태이다.

□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지사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남북관계에 관심이 높은 분이라고 각인되어 있다. 일부에서는 남북관계 개선을 너무 정치적으로 이슈화시켜 차기 지자체 선거에 활용하려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 제가 이슈화시킨 것은 아니다. 늘 우리는 해왔다. 이슈가 안 됐던 것이다. 남북 간에 서로 반응이 없었으니까. 지금은 하나하나 성사되는 단계가 되니까, 이슈가 되는 것이다.

강원도는 남북관계가 언제나 핵심이슈이다. 분단을 오랫동안 겪고 분단의 피해를 겪었고, 남북 간 긴장이 고조되면 강원도는 직접적인 피해가 바로 발생한다. 경제적으로 우선 관광객이 오지 않는다. 경제적 피해가 발생한다. 강원도에서 언제나 남북관계가 최고의 관심이자 이슈이다.

   
▲ 최문순 지사는 어떤 경우라도 남북관계는 평화롭게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박창술 객원사진전문기자]

□ 남북관계에 관심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지사는 남북관계를 어떻게 풀어야 한다고 보는가. 남북관계 철학을 설명해달라.

■ 평화 외에 다른 길이 없다. 여러 가지 의견이 있지만 우선 북핵, 핵도 평화에 반하는 것이니까 핵도 있어서는 안 된다. 다만, 핵을 한반도에서 제거해나가는 길도 평화로운 방법밖에 없다. 전쟁으로 할 것이나 대화를 통해서 할 것이냐. 대화를 통해서 하는 길 외에는 없다. 여러 가지 이견들이 있고, 갑론을박이 있고, 정당 간에도 이견이 있고, 북.미 간에도 이견이 있다.

그렇지만, 가는 길은 단 한 가지 길밖에 없다. 한국전쟁 때 돌아가신 분만 해도 3백만 명이 된다. 다시 전쟁이 일어나면 당시 숫자보다 열 배가 될지 스무 배가 될지 모른다. 우리가 가는 길은 어떤 경우도 평화, 한 길밖에 없다는 게 나의 신념이다. 우리 국민들이 그 점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는 분이 없다고 본다.

□ 문재인 정부는 북방경제협력을 내세우고 있다. 그리고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을 정책으로 제시했다. 경상북도는 도지사가 나서서 포항을 물류거점으로 하려고 한다. 지사는 강원도를 물류거점으로 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 우리 강원도도 북방항로를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북방항로가 썩 만만치 않다. 물류나 관광 흐름이 아직까지는 많지 않다. 준비하고 있지만 금방 되는 것은 아니다. 속초에서 북방항로 준비하고 동해에도 다니는 게 있다. 그렇지만 잘 안 되고 있다.

물류, 인프라가 부족하다. 훈춘까지 고속철이 와있는데, 항만으로 연결되는 길이 안 되어 있어서 지금은 어렵다. 그게 완성되어야 북방항로가 성립된다. 하지만 멀지 않았다. 우리도 충분히 준비하고 있다. 이미 운영하고 있다.

□ 정부가 경원선 철도연결을 추진하려는 모양새이다. 강원도 차원에서 철도연결을 적극적으로 요청할 생각은 있는가.

■ 중앙정부가 투자하면 우리는 백번 환영한다. 여러 차례 요청하고 있다. 그렇다고 그런 것들이 너무 조급하게 한다고 되는 게 아니다. 물류라든지 시스템이 맞아야 한다. 아직 조금씩 부족한 상태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셸 교수, 한미방위조약 파기, 남북평화협정 체결 주장

<빈곤의 세계화> 저자, 미셸 초서도브스키 교수 초청토론회 열려

20일 국회 의원회관 제7간담회실에서 “전쟁의 세계화와 한반도 평화(North Korea and the Dangers of Nuclear War)”라는 주제로 미셸 초서도브스키(Michel Chossudovsky) 초청 토론회가 열렸다.
미셸 교수는 1997년 한국외환위기가 미국과 IMF의 한국경제침탈 과정임을 밝힌 저서 <빈곤의 세계화>로 국내에 잘 알려진 석학이다. 현재 캐나다 오타와 대학 교수이자 세계화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 20일 여의도 의원회관에서 열린 “전쟁의 세계화와 한반도 평화(North Korea and the Dangers of Nuclear War)” 초청토론회에서 기조발제를 하고 있는 미셸초서도프스키 교수

(사)다른백년, 코리아국제평화포럼, 민주주의와 복지국가연구회가 공동주최하고, 사단법인 다른백년이 주관한 이날 토론회는 자리가 부족할 정도로 성황리에 진행되었다. 이날 토론회는 박인규 프레시안 대표가 사회를 맡고, 이정훈 민플러스 국제팀장, 이래경 다른백년 이사장, 박순성 동국대 교수가 토론자로 참석했다.

기조발제에 나선 미셸 교수는 “최근 정세는 미국이 북한을 선제공격함으로써 제3차 대전이 일어날 수도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라고 진단하고,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것은 북한이 아니라 언제든 핵을 사용할 독트린을 가지고 있는 미국이라는 점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미국을 우회하는 해법으로 “한미공동방위조약 파기”와 “남북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20일 여의도 의원회관 제7간담회실에서 열린 “전쟁의 세계화와 한반도 평화(North Korea and the Dangers of Nuclear War)” 토론회가 박인규 프레시안 대표가 사회를 보는 가운데 성황리에 열렸다.

아래는 미셸교수의 발제요지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미니누크와 같은 전술핵 무기를 개발하여 ‘코피(bloody nose)’ 공격을 가할 수 있다. ‘어쩌면 북한에 대한 미국의 첫 번째 선제 핵공격이 제3차 세계대전으로 치닫게 될 수도 있다.’

저강도 소형핵무기 위험성

미국언론은 트럼프 행정부 내 강력한 군사정보 파벌이 “북한에 대한 선제 군사타격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워싱턴이 “코피(bloody nose)” 공격이라고 명명한 이 작전에는 북한 미사일 시설에 대한 재래무기공격 혹은 저강도 소형 전술핵무기 공격을 포함한다.

미국은 1조 2천억 달러에 달하는 핵무기 강화 예산을 편성했다. 그리고 트럼프의 2018년 핵 태세 검토보고서(Nuclear Posture Review)는 핵무기를 지닌 국가 및 핵무기가 없는 국가에 대한 선제 타격에 활용할 수 있는 저강도 소형 핵무기 개발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미니누크라고 불리는 소형 핵무기(B61-11, B61-12)들은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1/3에서 12배에 이르는 폭발력을 지닌다. 이들 “보다 편리한” 핵무기란 핵탄두를 장착한 벙커 버스터로, 펜타곤과 계약한 기업들의 “과학적 견해”에 따르면 “폭발이 지하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주변 민간인들에게 무해하다”고 한다. 이들 소형핵무기를 대북 선제공격에 사용하겠다는 뜻이다.

외교채널의 실패

지금의 위기는 55년 전 1962년 10월의 쿠바 미사일 위기 상황에 비해 훨씬 위험하다. 당시 워싱턴과 모스크바 모두 상호확증파괴의 위험성을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펜타곤은 히로시마 원자탄의 최소 1/3에서 6배의 폭발력을 지닌 전술 핵무기를 “지하에서 폭발한다는 이유로 민간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무기로 분류한다. 도널드 트럼프 현 대통령은 핵전쟁의 결과에 관하여 최소한의 희미한 관념조차 지니고 있지 않다. 게다가 외교 채널마저 붕괴했다.

북한은 미국에 대한 안보 위협인가?

북한은 1950년대에 미국이 주도한 폭격으로 인구의 30%를 잃었다. 이 사실은 세계 평화에 대한 이른바 북한의 “위협”을 평가하는 데 중요하다. 미국은 북한 인구의 30%를 죽인 사실에 관하여 사과한 적이 없다. 사실은 정반대였다. 미국은 자국이 주도한 전쟁의 피해자들을 악마화하는데 집중했다. 워싱턴은 반세기 이상의 기간 동안 북한을 정치적 고립으로 몰아넣었다. 미국이 뒷받침했던 평양에 대한 제재는 북한 경제의 와해가 그 목적이었다. 거짓이 진실이 되었다. 북한은 위협의 대명사가 되고, 미국은 이제 침략자가 아니라 “희생자”이다.

핵전쟁, 누가 침략자인가?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지난 67년 동안 핵전쟁의 위협에 시달렸다. 한국전쟁 당시 해리 트루먼 대통령은 중국과 북한 모두에 대한 핵무기 사용을 고려하고 있었다. 1945년 9월 15일자 기밀문서에는 “펜타곤이 주요 도시 지역에 대한 조직적인 핵 공격을 통해 소련을 폭파시키는 계획을 고려했다”는 내용이 들어있고, 66개 “전략” 표적 목록에는 소련의 주요 도시가 모두 포함되었다. 모스크바, 레닌그라드, 타슈켄트, 키에프, 하르코프, 오데사 등 규모가 큰 각각의 도시에는 6개의 핵무기가 사용될 예정이었다. “소련을 지도에서 지우기” 위해서 총 204개의 폭탄이 필요할 것으로 펜타곤은 추산했다.

히로시마 독트린의 한국 적용

코리아에 대한 미국의 핵 독트린은, 대부분 민간인을 대상으로 했던 1945년 8월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폭격 이후 확립되었다. “세계는 첫 번째 원자폭탄이 히로시마 군사기지에 떨어졌음에 주목할 것이다. 첫 번째 공격에서 가능한 한 민간인들을 죽이지 않기를 우리가 원했기 때문이다.”(1945년 8월 9일 해리 트루먼 대통령의 라디오 연설). 그러나 첫 번째 원자폭탄이 히로시마에 떨어진 것은 1945년 8월 6일이며, 두 번째가 나가사키에 떨어진 것은 트루먼이 라디오 연설을 했던 날과 같은 날인 8월 9일이다. 1945년 8월 9일에 했던 그 라디오 연설에서 트루먼 대통령은 핵무기 사용에 관련하여 신이 미국 편이라고 말했다.

핵전쟁의 위협은 북한이 아니라 미국과 그 동맹국들로부터 나온다.

북한에 대한 지속적인 위협과 잠재적 공격 행위는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한 미국의 거대한 동아시아 군사 전략의 일부이다. 미국의 궁극적인 목적은 (공동방위협력협정으로) 남측 군사력의 지원을 받아 러시아와 중국을 위협하는 것이다. 남북통일이 동북아시아에서 미국의 헤게모니를 약화시키리라는 것은 말할 필요조차 없다. 이것이 미국의 전략적 이익이고, 한반도의 지정학적 조건이다.

미국은 지난 67년 동안 핵무기로 한반도 민중을 위협하여 왔다. 한반도 비핵화란 오로지 북한을 향한 것이다. 미국이 축적하여 온 대규모 핵전력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핵무기를 금지하고 핵무기의 완전한 제거를 위한 법적 구속력이 있는 수단”에 관한 협상을 소집하려는 유엔 결의안 L.41에 찬성한 유일한 핵무기 보유국이 북한이라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역사적으로 미국은 중대한 군사작전에서 가까운 동맹국이 미국을 도와 행동하도록 시도하여 왔다. 북을 상대로 한 군사행동에 미국이 홀로 나서려고 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또 하나 위태로운 것은, 남의 군사력을 문재인 대통령이 아니라 펜타곤의 지휘 아래에 두는 한미공동방위협력협정이다. 남의 군사훈련 참여 거부가 핵심인데, 한미공동방위협력협정 폐기가 대단히 중요하다. 남한이 군사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면, 미국이 일방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은 현저하게 줄어든다.

남북의 양자 평화협정을 위하여

현 단계에서 해결책은 남과 북이 평화 협상을 거부하는 미국을 무시하고, 양자 평화조약을 교섭하는 일이다. 남북 평화조약을 통하여 한반도 통일로 가기 위해서는, 한미연합사령부와 작전지휘권의 폐지가 필요하다. 2014년 박근혜 정부가 작전지휘권의 폐지를 “2020년대 중반까지” 연기했는데, 이것은 “충돌이 벌어질 경우” 남한의 모든 군사력이, 군 통수권자인 문재인 대통령이 아니라 펜타곤이 임명한 미군 장성의 지휘 아래 놓인다는 것이다. 한미 연합사령부 구조와 작전지휘권 협약의 폐기 없이, 남한이 적절한 주권 회복을 이룰 수 없다는 점을 문재인 정부가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남북 양자 평화협정은 1953년 정전협정의 실질적 폐기로 이어질 것이다. (정전협정 하에서 만연해 온) 미국과 북한의 “전쟁 상태”를 “우회”하고 이를 남북의 포괄적인 양자 평화협정 서명으로 무효화시키는 방안을 추구해야만 한다.

양자 간의 합의는 워싱턴의 거부를 사실상 우회하게 된다. 이는 또한 남한에서 미군의 철수와 작전지휘권 협약의 폐지도 함께 요구되어야 할 것이다. 남북의 양자 평화회담의 방향키를, 외부 세력의 참여나 간섭 없이, 문재인 대통령이 쥐고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북한에 부과된 경제제재의 해제는 물론 미 점령군의 철수에 관한 논의가 회담에서 다루어져야만 한다. 미군의 배제와 점령군 28,500명의 철수는 남북의 양자 평화조약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일 수밖에 없다.

오직 하나의 코리아가 존재한다.

워싱턴은 통일을 반대하는데, 이는 통일 한국이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헤게모니를 약화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한반도 통일에 관해 워싱턴이 그리고 있는 그림은 “외국 투자자들”을 침투시켜 북한 경제를 약탈하는 것이다. 또한 주한미군을 통해 워싱턴은 남한을 방어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미국이 주도하는 전쟁 상황은 북한과 남한 모두를 향한 것이다. 미국이 한반도에서 전쟁을 벌이겠다고 위협하는 한, 미국과 남한은 “동맹”이 될 수 없음을 강조해야만 한다.

한반도의 통일은 산업과 군사 측면에서 경쟁 세력이자 (선진 기술과 과학 역량을 지닌) 국민 국가의 출현이며, 이 국민국가는 스스로의 주권을 주장하고 워싱턴의 참견 없이 (러시아와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들과 무역관계를 확립하게 될 것이다. 분단된 한국은 미국의 지정학적, 경제적 이익에 복무할 뿐이다.

 

▲ 20일 여의도 의원회관에서 열린 “전쟁의 세계화와 한반도 평화(North Korea and the Dangers of Nuclear War)” 토론회에 참가한 토론자들

첫 번째 토론자로 나선 이정훈 민플러스 국제팀장은 “미셸 교수의 발제는 한반도 바깥에서 보는 한반도 평화문제와 북한(조선)을 보는 시각이 국내학자들보다 신선하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국내학자들이 국가보안법과 남북대치 상황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자기주장을 스스로 검열하는데 익숙해 있는데, 이를 돌아보게 한다”는 소감을 밝혔다.
대체로의 주장에 공감하지만 남북평화협정 주장은 실현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했다. 첫째로 남북평화협정은 과거 미국이 군사적 실권이 없는 남을 내세우고 미국은 뒤로 빠져 평화협정의 본질적 문제를 회피하려고 내세웠던 안으로 이미 폐기된 안이라는 점, 둘째로 평화협정의 목적이 평화체제 구축에 있는데, 핵심 당사자가 빠진 평화협정으로는 궁극적 평화체제에 도달할 수 없다는 점, 셋째로 남북평화협정의 전제는 전시작전통제권이 남한으로 이양되어야 하는데 형식적 변화가 있더라도 실질적 권한을 남한이 행사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점, 넷째로 문재인 정부에서 미군으로부터 완전 독립된 실질적 전작권 이양을 추진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점, 다섯째로 종속적인 한미동맹 구조를 뛰어넘기 힘들다는 점 등 때문에 남북평화협정 실현가능성은 낮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실질적인 전작권 확보는 한미상호방위조약 폐기와 주한미군 철수를 강하게 요구하는 대중여론과 이를 추진하는 진보정권의 등장을 통해 해결하여야 하며, 평화협정은 북중미 또는 북중미남이 포함된 3~4자 협정이 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 토론자로 나선 이래경 다른백년 이사장은 “한미군사훈련은 북한의 대남침략억제용이 아니라 북한 붕괴와 중국봉쇄를 염두에 둔 협박적 선제적 전쟁대비 훈련”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북한 미사일과 핵무기 개발에 대한 비판 역시 국제법상 허용된 국방자주권의 범위와 충돌되는 지점이 있으며, 인도는 그대로 놔두고 북 핵시험만 문제삼는 미국의 이중적 모순적 태도도 문제”라고 비판했다. 
또한 북핵은 “남한 적화통일용이라기 보다는 주체적 국가생존을 위한 비장의 선택”이며, “미국이 북과 평화협정을 거부함으로써 발생한 측면이 있는 만큼 미국에 일차적 책임”이 있다면서 “비핵화의 유일한 통로는 제네바 협정 정신으로 복귀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이래경 이사장은 남북 상호불가침 평화협정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전제로서 “양국체제론”의 승인을 들었다. 헌법 내 영토조항, 국보법 개정 등 남남갈등을 야기하는 냉전구조부터 해체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한미군의 지위와 역할에 대해서도 “동아시아 안전보장과 평화유지군”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놓자고 제안했다. 주한미군의 공백은 힘의 불균형을 가져와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논리였다.

세 번째 토론자로 나선 박순성 동국대 교수는 미셸 교수의 주장이 한국 시민사회에서 수용되고 정부정책 변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단서나 유보적 의견이 필요하다면서 몇 가지를 제시했다. 우선 미국이 주창하는 “핵무기가 평화의 수단”이 될 수 있다는 허구성에 대한 비판은 정당하나, 이러한 논리는 북한에게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하며, 일방적으로 미국만 비판해서는 한국 시민을 설득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다음으로 “남한이 미국의 일방적 군사행동을 거부하고, 한미합동군사훈연에 참여하지 않아야 한다”는 미셸 교수의 주장은 합리적이고 당위적이나 미국의 군사주의적 전략과 함께 북한의 군사주의 전략 역시 지적되고 수정되어야 함을 피력했다. 마지막으로 미셸 교수의 남북평화협정 제안에 대해서 전략적 이해관계 당사자이자 ‘결정적 게임 체인저’인 미국을 제외하고는 실효성이 없는 만큼 장기간에 걸친 다방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는 미셸초서도프스키 교수

청중 질문과 토론에서, 핵심은 결국 “미국”문제에 모아졌고, “북핵에 대한 견해”로 집중되었다. 정리토론에서 미셸 교수는 남북평화협정은 수단에 불과하고 자기 제안의 본질은 결국 평화협정을 회피하고 전쟁을 추구하는 미국으로부터 남한 정부가 군사적 주권을 회복하는 문제라고 지적했으며,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것은 북핵이 아니라 미국의 핵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아래에서 미셸교수의 발제문(한글 및 영문)을 볼 수 있다.

북한과핵전쟁위험_미셸초서도프스키_한글 발제문(PDF)

https://drive.google.com/file/d/1_xVhWv-QJjQSkEmy2PzRNhawckW5Y6mz/view?usp=sharing

북한과핵전쟁위험_미셸초서도프스키_영문 발제문(PDF)

https://drive.google.com/file/d/186M-77x1_o5nAnzeupkS0j3lg_krurr7/view?usp=sharing

김장호 기자  jangkim2121@gmail.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국이 중 해군의 항모를 짝퉁으로 보는 까닭

[밀리터리 차이나-윤석준의 차·밀]
 
윤석준  | 등록:2018-02-22 08:55:58 | 최종:2018-02-22 09:08:50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최근 미국이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발표 내용을 믿어야 할지 여부를 놓고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중국 해군은 일부 항모 탑재 시스템을 미 해군 수준에 못지 않게 개발했다고 주장했다.  
  
미 해군은 지난 수십 년간 핵추진체계와 함재기 이ㆍ착륙장치 등 3가지 시스템을 혁신적으로 개량시켜 왔다. 특히 핵발전기는 막대한 전력을 필요로 하는 항모의 주요 에너지원이면서 규모는 작아야 했다. 특히 함내 각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전력량을 균등히 그리고 사이클 변화없이 공급하는 통합추진체계(IPS)가 있어야 한다. 차세대 제럴드 포드급 항모(CVN-78)에 탑재한 A1B 핵발전기는 700MW의 전력을 생산한다. 

지난해 7월 22일에 미 해군에 인도한 제럴드 포드급 1번 항모는 이들 3가지 체계를 모두 첨단으로 갖춘 항모이었다. 하지만 스팀사출기(CATOBAR)를 대체한 전자기 이륙장치( EMALS)와 유압식 MK 7 Mod 4 착륙장치를 대체한 터보전자식 착륙장치(AAG)에서 기술적 결함이 발견돼 2번 항모인 존 F 케네디함(CVN-79)부터 탑재하기로 변경됐다.

영국 포츠머스항에 정박하고 있는 HMS 퀸 엘리자베스 항모[출처:셔터스톡]

항모 이착륙 장치는 조종사 피로도, 함재기 성능 유지, 수리 소요 및 수명과 직결된다. 영국 해군의 차세대 항모 퀸 엘리자베스호에 설치된 12° 스키점프 이륙장치는 이륙시에 함재기 조종사가 양력과 균형을 위해 제트엔진을 수동 조절해야 했다. 이 때문에 해리어 수직이착륙기(VSOL) 조종사에게 적지 않은 피로를 유발시켰다. 미 해군 스텔스 함재기용 F-35B가 12° 스키점프 이륙장치에 적합한지를 검증하는 주된 이유이다. 

특히 재래식 방식에 의한 이착륙은 함재기 고장과 수명 단축의 주요 원인이었다. 이륙시 조종사가 양력을 유지하기 위해 엔진 출력을 무리하게 키워야해 엔진수명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MK 7 mod 4 착륙장비는 착륙시 강철선(arresting gear)에 걸리면서 함재기에 충격을 주어 기계적 고장을 일으키곤 했다. 

중국이 소련으로부터 도입해 개량한 항모 랴오닝함. [출처:바이두백과]

미 제너럴 오토믹스사가 개발한 EMALS와 AAG는 이러한 문제를 모두 해소시킨 첨단형이었다. 이 장비도 제럴드 포드급 1번 항모에 탑재하면서 기술적 문제가 발견돼 전력화는 2번 항모로 미뤄졌다. 2017년 10월 미 해군이 인도 해군에 EMALS 체계 기술이전을 제안하였으나 인도 해군은 실전배치가 안된 모델인데다 고가를 이유로 기존 스키점프식을 채택하였다. 

이런 와중에 중국 해군이 이와 유사한 함정용 전기추진체계와 EMALS의 독자적 개발에 성공해 현재 상하이 장난(江南)조선소에서 건조중인 2번째 독자형 항모에 탑재를 추진한다고 발표한 것이다. 
   
우선 『영국 제인국방주간』에 따르면 지난해 6월과 10월 중국 해군 마웨이밍(馬偉明) 제독이 미 해군의 줌왈트급 스텔스 구축함과 영국 해군 Type 45 구축함에 탑재한 전기모터 추진체계와 유사한 통합전기분배체계(IEPS)와 영구용 전기모터(PMM)을 연계시킨 IPS를 독자적으로 개발했다고 공개했다. 마 제독은 이를 추진체 소음이 큰 핵잠수함과 2번 항모에 탑재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함정 추진체계를 전기모터로 바꾸는 것은 테슬라 전기차를 만들 듯 단순한 게 아니다. 특히 항모의 경우는 크게 다르다. 주된 이유는 각기 다른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출력을 주파수 변화없이 지속적으로 균등히 공급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최대의 출력을 생산하는 핵동력은 전력이 넘쳐 균등 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출력이 낮은 전기식은 전력분배가 매운 민감할 수 밖에 없다. 중국 해군이 항모 발전기, 시스템통제기 그리고 전력충전기를 무리없이 2번 항모에 탑재시킬지 의문이다. 영국 해군의 퀸 엘리자베스 항모조차 모터 추진체계 선저에 누수(漏水)가 되는 등의 탑재 기술적 문제를 안고 있다.

다음으로 더욱 놀랄 만한 보도가 나왔다. 지난해 11월 16일 중국 해군 인줘(尹舟) 제독이 인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미 해군이 개발한 EMALS와 거의 유사한 중국식 EMALS를 개발하였다고 공개했다. 특히 기존 스키점프용 J-15함재기가 아닌 EMALS용 J-15T를 별도로 개발해 현재 황디춘(荒地村) 공군 기지에서 수 천회에 걸쳐 시험 비행하고 있다고 했다.  
     
문제는 충분한 전자기력을 낼 수 있느냐다. 미 해군 EMALS는 기존 F/A-18E 함재기와 T-45C 훈련기, C-2A 인원수송기, EA-18G 전자전기, E-2D 공중조기경보기는 물론 F-35C를 이륙시키는 강력한 전자기력을 공급받는 반면, 중국이 개발한 EMALS는 오직 J-15만 이륙시키는 제한된 전자기력으로 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천신만고 끝에  EMALS을 개발했다하더라도 현장 적용성은 여전히 의문시 될 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미 해군 EMALS는 F/A-18E 보다 약 9600㎏ 더 무거운 32,000㎏의 F-35B/C 스텔스 함재기를 이륙시키는 전자기력을 갖고 있다.
 

중국이 자국 기술로 건조한 첫 항모 산둥함. [출처:바이두백과]

중국은 J-20과 J-31를 함재기로 탑재시키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다. 가벼운 무인기라면 모를까 J-15T 이후에 탑재될 저 무거운 함재기까지 EMALS로 이륙시킬 수 있는 최대 출력을 갖게 될지는 정말 의문이다.

영국 『제인국방주간』은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부정적 평가를 내놓았다. 우선 핵추진이 아닌 중국이 개발한 모터 방식의 통합추진체계(IPS)로는 EMALS 운용을 위한 전력 공급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미 해군의 구형 MK 7 Mod 3형 증기사출기(CATOBAR)를 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도에 따르면  J-15T를 EMALS 사출기에 의해 육상에서 시험한 것이 아니고 J-15와 같은 무게의 가짜 항공기를 이용한 EMALS 모의 시험에 불과했다. 횟수도 5회에 불과한 것으로 평가된다.  

2013년부터 시작되어 2020년에 실전배치 예정인 약 85,000t 규모의 2번째 독자형 Type 022형 항모의 진수가 늦어지는 이유가 스키점프식이 아닌 CATOBAR 또는 EMALS를 탑재하기 위한 상세 설계가 필요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 해군 전문가는 함재기 이륙방식 결정에 따라 비행 갑판 밑 격실 용도를 위한 상세 설계가 결정된다면서 과연 중국 국영조선소가 이를 독자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평가를 내놓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작전 효과이다. 스키점프식 이륙체계는 매우 불안정하여 작전수행에 제약이 있다. 중국 해군 함재기 댓수가 미 해군 함재기 댓수에 비해 열세라는 점에서 중국 인민해방군으로선 임무 수행을 위해 사출시간과 무장탑재 무게라도 향상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현재 중국 함재기 J-15의 중량은 EA-18 슈퍼호넷 보다 무거워 탭재 무장이 제한된다. 스키점프 방식으로는 이륙까지 2분 이상이 소요된다. EMALS는 30초 이내에 다양한 함재기를 사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중국 해군은 CATOBAR 보다는 EMALS를 선호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영국 『제인국방주간』은 중국의 국방과학기술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는 중국 총예산의 4.28%(2012년)에서 4.51%(2017년)로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 전자기 분야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보도했다.

 


 

미 해군이 10년 이상 기간 동안 개발한 것을 불과 2~3년만에 성공시켜 항모에 적용시킨다는 것은 다분히 무리라는 판단이다. 마구잡이식 모방으로는 한계를 넘을 수 없다. 미국이 중국 해군의 ‘발표내용’을 믿지 않는 이유다.  
  
글=윤석준 한국군사문제연구원 객원연구위원 
정리=차이나랩 정용환

윤석준은 
한국군사문제연구원 객원연구위원이자, 예비역 해군대령이다. 2011년 12월31일 제대 이전까지 수상함 전투장교로 30년 이상 한국해군에 복무했으며, 252 편대장, 해본 정책분석과장, 원산함장, 해군본부 정책처장, 해본 교리발전처장 및 해군대학 해양전략연구부장 등을 역임했다.

 
본글주소: http://www.poweroftruth.net/news/mainView.php?uid=4409&table=byple_new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방통심의위, 정치적 표현물 규제 기능 민간에 넘긴다

[단독] 방통심의위TF 조직구조 개편안, 방송심의부서 통합하고 디지털성범죄·홈쇼핑팀 신설

금준경 기자 teenkjk@mediatoday.co.kr  2018년 02월 22일 목요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정치적 표현물을 규제하는 기능을 민간에 넘긴다. 이를 위해 추진단을 만들기로 했다. 

미디어오늘 취재 결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조직개편TF 논의를 통해 비상설 기구로 자율규제 추진단을 운영할 계획이다. 지난해 문재인 정부가 정책과제로 ‘정치적 표현물의 자율규제 전환’을 내건 데 따른 후속조치라고 할 수 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민간기구 성격을 갖고 있긴 하지만 정부여당 추천 심의위원이 다수인 상황에서 ‘후진적 정부 검열기구’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통신심의의 시정요구 권한의 경우 국가인권위원회가 자율규제로 이양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앞으로 추진단은 자율규제 대상 획정, 전환 방식 등에 대한 논의를 할 것으로 보인다. 

▲ 현행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조직도.
▲ 현행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조직도.
 

TF에 따르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조직구조도 대거 개편된다. 비대해진 부서들이 통폐합 되고 업무를 집중하는 게 골자다. 1국과 2국으로 나눠진 방송심의국은 하나의 국으로 통합된다. 별도로 운영되는 지상파TV팀과 지상파라디오팀은 지상파팀으로 통합된다. 케이블 등 유료방송 채널을 담당하는 팀 역시 기존 정보교양채널팀과 연예오락채널팀 2개에서 하나로 통합된다.  

위원들 간 회의 기구인 소위원회는 기존 방송, 광고, 통신 3개에서 광고소위를 방송소위에 통합해 2개 소위로 재편된다. 광고소위와 방송소위는 위원 구성이 다르지 않고 광고 역시 방송의 일환인 점을 감안해 통합하는 게 적절하다는 의견이 모아진 것으로 전해진다.  

신설되는 부서도 있다. 방통심의위는 통신분야의 디지털 성범죄가 사회적 문제인 상황에서 디지털 성범죄 전담팀을 만들고 긴급심의제를 운영할 방침이다. 방송분야의 경우 홈쇼핑채널의 과장광고 문제가 끊이지 않고 안건이 많은 점을 고려해 홈쇼핑심의팀을 신설한다. 연구센터를 신설하고 조사분석팀과 조직연구팀을 운영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이 같은 조직개편은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정치 심의’조직이라는 오명을 벗고 시청자, 이용자의 권익보호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풀이된다.

강상현 위원장은 지난달 취임사를 통해 사회적 약자의 권익보호 기능을 강조하며 “본연의 설치 및 운영 목적에 더욱 부합하도록 조직과 인사, 제도 및 규정을 바꾸어 나갈 것이며, 그러한 목적에 배치되는 부분을 ‘적폐 청산’ 차원에서 정리 및 개선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외에도 방통심의위는 홍보팀 조직을 홍보실로 강화하고 외부인사를 채용하는 개방형 채용방식으로 대변인직을 신설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심리상담실도 신설된다. 방통심의위 업무 특성상 직원들이 잔혹한 영상 등을 매일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심리상담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른 조치다. 

방통심의위는 2월 말까지 개편안 논의를 마무리짓고 3월 초 기자간담회를 통해 관련 내용을 설명할 계획이다. 최종 논의과정에서 일부 개편 내용은 바뀔 수 있다. 

방통심의위 관계자는 “방통심의위 규칙 변경이 필요한 사안이고, 이는 방통위설치법에 따른 입법예고 대상”이라며 “전체회의에서 입법예고를 거치겠다고 보고하고 관보에 20일 동안 게재한 후 의견수렴절차를 거쳐 개편안이 확정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문재인 대통령, `제2의 노무현` 될까?

미국의 문재인 고립작전이 시작됐다
 
최한욱 기자 
기사입력: 2018/02/22 [09:32]  최종편집: ⓒ 자주시보
 
 

잠시 15년 전으로 돌아가보자.

 

이 맘 때 노무현 당선자는 한창 대통령 취임식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런데 뜬금없이 미국이 북한의 영변핵시설을 폭격하겠다고 `통보`했다. 임기도 시작하기 전에 전쟁이 날 (것 같은) 판이었다.

노무현 대통령은 어떻게든 전쟁은 막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집권 초 이라크 파병을 수용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라크 파병이 한반도 평화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했다. 즉 북폭을 막기 위해 파병을 할 수 밖에 없다는 뜻이다.

 

하지만 `북폭`은 이른바 `블러핑`이었다.

 

진보 성향의 지지자들은 참여정부에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 여권의 분열로 정부의 정국 주도력도 약화되기 시작했다. 이후 보수세력은 대담하게 대통령을 탄핵했다. 지지율이 떨어지자 만만히 본 것이다. 비록 그들의 `의회쿠데타`는 실패했지만 참여정부는 개혁의 동력을 상실했다.

 

그 다음에 미국이 꺼내든 것 한미FTA카드였다. 노무현 대통령은 미국의 압력을 견디지 못 하고 전대미문의 `신자유주의 좌파`로 전향했다. 그리고 `대연정`이라는 어리둥절한 아이디어를 내놓는다.(안희정의 작품이었다) 진보세력은 완전히 등을 돌렸다.

 

이것이 참여정부가 실패할 수 없었던 이유다.

 

일부 문재인 지지자들은 보수세력과 이른파 `구좌파`의 협공때문에 참여정부가 실패했다고 믿는다. 하지만 그것은 현상일 뿐이다. 미국은 안보와 경제를 무기로 참여정부를 겁박했고 이에 굴복한 참여정부는 보수와 진보사이에 고립될 수 밖에 없었다. 미국의 고립작전이 참여정부 실패의 본질이다.

 

그리고 미국은 자신의 의도대로 이명박근혜 정부를 탄생시켰다. 노무현 대통령을 벼랑 끝으로 내몬 것도 그들이다.

 

`총과 달러`로 동맹국(혹은 예속국)을 관리하는 건 미국의 전형적인 수법이다. 1970년대 칠레의 아옌데 민주정부도 이런 방식으로 전복했다.

 

당시 구리는 칠레 수출의 70%이상을 차지했다. 미국은 아옌데 정부가 구리산업의 국유화하자 국제시장에 물량을 풀어 구리가격을 폭락시켰다.

 

구리 폭락으로 경제가 휘청하자 친미성향의 자본가들은 사보타주로 아옌데 정부를 흔들었다. 이를 명분으로 피노체트는 쿠데타를 일으킨다. 칠레의 군부는 아옌데 대통령을 살해한 후 (박근혜 아버지가 그랬던 것처럼) 권력을 탈취했다. 피노체트 집권 기간동안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만 5천여명이 살해 혹은 실종됐다.

 

지금 미국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문재인 정부를 고립시키려 하고 있다.

 

지난 달 미국은 한국산 세탁기와 태양광 모듈에 `세이프가드`를 발동했다. 이 달에는 철강에 관세폭탄을 터트리고 주력산업인 반도체, 자동차에도 또 다른 폭탄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정부는 미국을 WTO에 제소했지만 실효성은 미지수다.

 

또 느닷없이 GM이 군산공장을 철수한다고 한다. GM측은 군산 공장의 가동율이 20%밖에 안 되고 한국GM의 최근 3년간 당기순손실이 약 1조9000억원이라고 철수 이유를 밝혔다.

 

하지만 이 기간동안 한국GM은 연구개발비 명목으로 본사에 1조8500억원을 송금했다. 더 황당한 것은 이 기간에 GM은 한국GM에 상식을 벗어나는 고금리로 돈을 빌려주고 이자만 5천억원을 챙겼다는 것이다. 적자가 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한마디로 한국GM의 본사의 `현금지급기`였다.

 

본사가 `삥`만 안 뜯었어도 한국GM의 재정상태는 그리 나쁜 편이 아니었다. 그런데 철수 운운하며 정부를 협박하고 있다. GM은 군산공장 철수를 발표하고 우리 정부에 1조원 이상 지원과 세제혜택을 줄 것을 요청했다. 역시 블러핑이다.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는 유독 우리에게만 가혹하다. 평창에서 펜스와 찰떡궁합을 자랑한 아베는 여전히 미국의 보호를 받고 있다.

 

평창올림픽 북한 참가가 확정된 직후부터 미국은 한국 경제를 `융단폭격`하고 있다. 특히 특사회담 직후 미국의 폭격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김여정 특사에게 바람맞고 우리 정부에 분풀이 하는 꼴이다)

▲ 9일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펜스 부통령은 뭔가 심기가 불편해 남북선수 공동입장 당시 모든 사람들이 다 일어나 박수를 칠 때도 홀로 의자고 꾸어다놓은 보릿자루처럼 앉아 있었고 바로 뒤에 있던 김여정 특사를 애써 외면하였다. 정말 다음날 비공개 회담을 앞두고 있었다면 그렇게 할 수 있었을까.     ©

단지 우연일까?

 

문재인 대통령은 김여정 특사에게 남북정상회담의 `여건을 만들어 성사시키자`고 곧바로 화답했다. 정부가 3월 대북특사, 5,6월 정상회담을 추진한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특사로 임종석 실장이 내정됐다는 말도 있었다. 한마디 스피드스케이팅이었다.

 

하지만 불과 일주일 만에 상황이 반전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은 "우물가에서 숭늉 찾는 격" 이라며 선북미대화, 후정상회담로 갑자기 한 발 물러섰다. 일주일만에 컬링으로 전향했다.

 

이제 막 시동을 걸었는데 운전석에서 내려온 꼴이다. 운전대는 다시 트럼프에게 넘어갔다.

 

정확한 내막을 알 순 없지만 미국의 경제폭격이 `전략적 후퇴`의 원인 중 하나라는 의구심을 갖기에 충분한 정황이다. 미국은 남북관계의 속도조절을 위해 한국 경제의 목을 조르는 것이다.

 

홍준표는 기다렸다는 듯이 "미국이 경제보복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친북정권이기 때문"이라며 또 레드카드를 꺼내들었다. 미국이 밖에서 때리면 안에서 `검은 머리 미국인`들이 조응하는 전형적인 수법이다.

 

미국은 벌써부터 `평창 이후`를 벼르고 있다.(평창에서 김여정 특사와 면담이 불발된 후 더 신경질적으로 변하는 듯 하다) 올림픽 유예기간이 끝나면 미국은 한미합동군사훈련을 재개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한미합동군사훈련(한미훈련)의 다시 연기하거나 규모를 축소해 훈련을 실시하는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를 위해 내달 남북고위급군사회담 개최와 대북특사 파견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미국의 생각은 다르다.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사령관은 미 하원 청문회 보고서에서 "북한의 핵ㆍ미사일 위협뿐 아니라 재래식 무기 위협 억제를 위해 군사훈련이 필수"라며 훈련을 재개의사를 명확히 했다. 한미훈련이 재개되면 우리 정부의 대북구상은 어그러질 수 밖에 없다.

 

최근에는 주한미군 가족 철수설까지 흘리며 `안보불안`을 부추기고 있다. 조중동은 신바람을 내며 `안보장사`로 재미를 보고 있다.

 

트럼프는 안보와 경제, `투 트랙`으로 문재인 대통령을 압박하고 있다. 그리고 안에서는 보수세력이 조응하며 정부를 흔들고 있다. 남북관계와 별개로 미국은 보수세력을 재건하기 위해서라도 총과 달러로 문재인 정부를 압박할 것이다.

 

미국은 평화올림픽에 대한 국제 사회의 지지와 여론의 눈치 때문에 문재인 정부를 지지하는 척하지만 속심은 다르다. 미국의 속내는 지방선거 때 보수세력을 밀어서 문재인 대통령을 아베처럼 `트럼프의 푸들`로 길들이려는 것이다.

 

이대로 지방선거까지 가면 보수세력은 괴멸 수준의 타격을 피하기 어렵다. 내부조력자가 약해지면 미국도 힘을 쓰기 힘들다. 미국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보수세력을 지원하기 위해서라도 평창 이후 우리 정부를 더욱 압박할 것이다.

 

만일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의 압박에 굴복한다면 참여정부의 비극이 재연될 수도 있다. 진보세력마저 등을 돌리고 문재인 정부는 또다시 고립될 것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다소 힘들더라도 '나의 길'을 가면 된다. 다 블러핑이다. 겁먹을 것 없다. 오히려 노련한 타짜처럼 `손목아지`를 걸고 대담하게 배팅해야 한다.

 

어차피 미국은 보수세력을 선호하고 보수세력은 문재인 대통령의 팬티색깔까지 트집을 잡을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들의 지지를 받을 수도 없고, 받을 이유도 없다.

 

그것이 운명이다.

 

평창 이후 문재인 정부는 남북정상회담과 이명박 구속(남북화해와 적폐청산), 투 트랙으로 지방선거 정국을 돌파해야 한다. 평창올림픽 개막식 때처럼 미국과 보수세력을 숨쉴 틈 없이 몰아세워야 한다. 3월 대북특사 파견, 4월 이명박 구속, 5월 남북정상회담의 속도전으로 미국과 보수세력을 역공해야 한다.

 

 

 

 

지금은 `속도조절`할 때가 아니다. 공격은 최선의 방어다. 여기서 밀리면 두 번 다시 기회가 없을지도 모른다.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러다간 박근혜 판결문도 보지 못할 것이다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8/02/22 10:56
  • 수정일
    2018/02/22 10:56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주장] '이재용 항소심 판결문 공개'로 인한 <오마이뉴스> 징계 결정에 부쳐

18.02.21 21:05l최종 업데이트 18.02.21 21:05l

 

<오마이뉴스>는 사회적 쟁점으로 떠오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항소심 판결에 대해 지난 8일 판결문 전문을 공개했습니다. 그러자 법조출입기자단은 <오마이뉴스>가 기자단의 관례를 어겼다며 다음날인 9일부터 징계절차에 착수, 21일 '출입정지 1년'이라는 중징계를 결정했습니다. 이에 박근용 참여연대 공동사무처장이 긴급 기고 글을 보내왔습니다. [편집자말]
이재용 항소심 판결문 표지 2월 5일 서울고등법원 제13형사부가 선고한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의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관련 뇌물공여죄 등 항소심 판결문의 표지
▲ 이재용 항소심 판결문 표지 2월 5일 서울고등법원 제13형사부가 선고한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의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관련 뇌물공여죄 등 항소심 판결문의 표지
ⓒ 참여연대

관련사진보기


10여년 전이다. 내가 일하는 참여연대는 나름 시민들에게 많이 알려진 시민단체다. 많은 언론사의 기자들과도 알고 지낸다. 정보를 나누기도 하고, 사회적 문제가 될 만한 사건에 대해 의견을 나누기도 한다. 그런 가운데 가끔은 기자들의 도움을 받을 때가 있다.

그 중에 하나가, 사회적으로 주목을 끄는 대형사건에 대한 법원의 판결문을 빨리 구하는 것이다. 영향력 있는 정치인이나 고위공직자, 재벌총수 같은 대기업 관계자의 부패사건을 감시하고 적절한 처벌을 촉구하는 시민단체이다 보니 그들에 대한 판결문은 참여연대 활동을 위해 참 필요하다.

그런데 기자들이 쓴 기사만으로는 사건의 내역과 판결의 논리를 충분히 파악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그래서 판결에 대해 논하기 위해서는 어서 판결문을 구해보는 게 중요하다. 다행히 기자들은 기사 작성에 도움을 받기 위해 법원으로부터 공식적으로 판결문을 바로 받아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런 판결문을 기자들한테서 따로 받아보는 것이 '정의'롭지 않다고 느껴졌다. 시민들은 아직 못보는 자료인데, 우리만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받아보는게 왠지 마음에 걸렸다. 그래서 10년전에 참여연대는 판결문 공개 확대운동을 잠깐 벌인 적이 있었다. 법원 사이트에 공개되는 판결문이 너무 적다, 시민들이 알고 싶은 판결을 검색해서 바로 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라는 요구를 전개한 바 있다(관련 글: 실망스러운 대법원의 판결공개확대 계획). 

일부만 볼 수 있던 판결문... 그런데 <오마이뉴스>가 공개했다 
 

 <오마이뉴스>는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의 박근혜-최순실게이트 관련 항소심 판결문을 공개했다. 본문만 A4규격 144쪽짜리이고 별지까지 포함하면 166쪽에 달한다.
▲  <오마이뉴스>는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의 박근혜-최순실게이트 관련 항소심 판결문을 공개했다. 본문만 A4규격 144쪽짜리이고 별지까지 포함하면 166쪽에 달한다.
ⓒ 오마이뉴스

관련사진보기


그런데 최근 판결문 공개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일이 터졌다. 지난 2월 5일 선고된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의 박근혜-최순실게이트 관련 항소심 판결문을 <오마이뉴스> 소속 기자가 자사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판결문은 본문만 A4규격 144쪽짜리이고 별지까지 포함하면 166쪽에 달한다. ([전문공개] '공범자' 이재용 vs '피해자' 이재용)

그런데 법원으로부터 이재용 항소심 판결문을 받았던 법조출입기자단 안에서 논란이 발생했다. 결국 21일 '출입정지 1년'이라는 중징계를 결정했다. 여러 사람을 통해 알아본 바로는, 문제를 제기한 기자들의 논리는 이렇다. 
 

'취재편의를 위해 제한적으로 법원으로부터 판결문을 제공받을 수 있었고, 이를 일반에게 공개하지 않는다는 암묵적 합의(법원측과 기자들 사이)가 있었다. 그런데 이를 <오마이뉴스>가 깨뜨려 앞으로 법원으로부터 취재편의를 위해 판결문을 바로 제공받는데 어려움이 발생했다. 법원을 출입하는 기자들도 법원의 판결문 공개 수준이 낮아서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기자단의 내부 합의를 깬 것은 문제다. 따라서 법조출입기자단 내에서의 불이익을 줄 수밖에 없다.'


10년 전처럼 참여연대도 <오마이뉴스> 기자가 판결문을 입수한 직후 다른 기자를 통해 그 판결문을 입수했다. 우리는 그 내용을 분석하느라 시간을 보내고 비판성명에 있어 판결비판 좌담회 등을 준비하고 있을 때, <오마이뉴스>는 그 판결문 전문을 시민들에게 보여주었다. 시민들이 직접 보고 판단하라는 취지를 달아서 공개한 것이다.

이 판결이 얼마나 세간의 관심을 받았고, 또 논란의 대상이 되었는지는 모두가 아는 바다. 오죽하면 항소심 재판부에 대한 조사를 요청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3일만에 20만 명을 넘겼겠는가. 그만큼 기자들은 이 판결을 소개하는 기사를 엄청나게 많이 내보냈다.

기자들은 법원으로부터 '취재편의'를 통해 제공받은 판결문을 바탕삼아, 주요 부분을 요약 발췌하고 분석한 기사들을 썼다. 판결의 잘못을 비판하는 신문사들도 있는 반면, 별 문제 없다는 식으로 기사와 사설을 내보낸 신문사들도 있었다. 그러나 시민의 입장에서는 요약 발췌한 것만 보고 판단하는 것은 부족하다. 시민들은 기자의 시선을 통해서가 아니라, 직접 판결문을 보고 판단할 권리가 있다.

시민들은 직접 보고 판단할 권리가 있다

법조출입기자단 내부의 '암묵적' 합의를 깨뜨린 것을 논란삼은 기자들의 태도가 1차적으로 문제다. 기자단의 <오마이뉴스> 징계 결정은 잘못됐다. 그렇지만 기자들의 태도만 비판하는 것은 문제의 해결책을 잘못 짚는 것이다. 이번 일은 판결문을 공개하지 않으려는 법원의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법관은 판결로 말한다고 한다. 이는 곧 법관의 생각은 모두 판결문에 다 적었다는 것을 뜻한다. 즉, 판결문을 쓴 것으로 법관의 역할은 끝나는 것이다.

 

그래서 판결문에 담지 못한 생각을 인터뷰하거나 별도의 글로 쓰는 일이 없는 것은 그만큼 판결문 자체가 특정 사건을 심판한 판사의 알파이자 오메가이기 때문이다. 만약 별도의 인터뷰를 통해 판결내용을 소개한다면 그것 자체가 논란이 될 정도다. 

따라서 법관의 생각과 말을 다 적은 판결문을 시민들이 볼 수 있도록 하는 게 정상이다. '취재편의'를 제공하는 척, 선심쓰는 척 하면서 기자들에게 제한적으로 공개하고, 그런 기자들에게는 '시민들에게 나누어 주면 안 돼'라며 조건을 거는 것은 옳지 않다. '국민을 위한 사법행정'을 펴야하는 사법부가 취할 자세가 아니다. 

특히나 국민적 주목을 받는 사건이라면, 법원이 먼저 나서서 판결문을 신속히 공개하는 것이 옳다. 법관은 판결로 말했는데, 그 내용을 담은 판결문을 시민들이 한참 후에나 보게 되면 그 차이만큼 시민들이 정확히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판하는 것이 지체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결론만을 보고 한 편협한 비판이 더 정설로 굳어지는 역효과도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고도 개탄스럽게도 이재용 항소심 판결은, 판결이 선고된 지 보름이 지난 지금까지도 법원 홈페이지 어디에도 게시되어 있지 않다. 사법부는 각 법원별 홈페이지에 <우리법원 주요판결> 코너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재용 항소심 판결문은 서울고등법원 홈페이지 <우리법원 주요판결> 코너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 

이재용 1심 판결문도 최순실(본명 최서원)씨에 대한 1심 판결문도 서울중앙지방법원 홈페이지 <우리법원 주요판결> 코너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 이대로라면 아마 3월 중에 선고될 박근혜 1심 판결문도 그리될 것이다.

법원 홈페이지에는 아직도
 

 판결이 선고된 지 보름이 지난 2018년 2월 20일 오후 6시 현재까지,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관련 삼성 이재용 부회장의 뇌물공여죄 등 항소심 판결문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서울고등법원 홈페이지의 <우리법원 주요판결> 첫 화면 모습.
▲  판결이 선고된 지 보름이 지난 2018년 2월 20일 오후 6시 현재까지,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관련 삼성 이재용 부회장의 뇌물공여죄 등 항소심 판결문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서울고등법원 홈페이지의 <우리법원 주요판결> 첫 화면 모습.
ⓒ 참여연대

관련사진보기


법원의 판결문 공개는 다른 점에서도 문제가 많다. 국민적 주목을 받는 사건의 판결문을 최대한 빨리 공개하지 않는 것도 문제이지만, 시민들이 알고 싶은 판결이 있을 때 이를 찾아보는 것도 너무 어렵다. 

법원이 운영하는 대법원 종합법률정보 사이트에 가면 임의적인 단어, 그러니까 일반적으로 말하는 키워드 검색을 통해서 찾고 싶은 판결문을 검색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볼 수 있는 판결문은 법원이 공개하고 싶은 것만 검색되게 차단되어 있다. 

물론 법원방문열람 신청제도를 활용해 모든 판결을 검색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려면 사전에 법원도서관장에게 신청해 허가를 받고,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219에 있는 대법원 청사 옆 법원도서관에 있는 검색용 컴퓨터 앞까지 가야만 한다. 제주도에 사는 사람도, 강원도 평창에 사는 사람도 그래야만 한다.

그렇다고 검색용 컴퓨터가 수십 대 있는 것도 아니다. 몇 년 전에 가본 기억으로는 5대도 되지 않았다. 그래서 법원도서관 홈페이지에 가서 사전신청을 하려면 매번 신청마감 화면만 보인다

시민들이 요구해야 할 때다. 법원은 국민적 주목을 받는 사건의 판결문은 즉시 공개하라. 그리고 IT 강국답게 판결문을 인터넷으로 더 많이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라.

덧붙이는 글 | 박근용 기자는 참여연대 공동사무처장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여성 노동자, 민주노조로 민주주의 다지다”

 동일방직 ‘똥물사건 ’ 40년, 이총각 전 지부장
조정훈 기자  |  whoony@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8.02.21  13:48:38
페이스북 트위터
   
▲ 21일 '동일방직 똥물사건' 40년을 맞아 지난 2일 인천 남동구 간석동 '청솔의 집'에서 이총각 전 동일방직 지부장을 만났다. [사진-조천현]

1960~70년대 수출만이 살길이라던 박정희 정권. 당시 산업역군은 남성을 지칭했다. 하지만 가난의 굴레에서 여성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리고 한국사회의 민주주의의 터를 닦은 이들은 바로 ‘공순이’라고 불리던 여성 노동자들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21일은 박정희 군사정부를 무너뜨리는 기폭제였던 소위 동일방직 ‘똥물사건’이 발생한 지 꼭 40년이 되는 날이다. 당시 동일방직 세 번째 여성 지부장으로 40년째 복직을 기다리며, 노동자의 맏언니로 활동하는 이총각 전 지부장을 지난 2일 인천 남동구 간석동 ‘청솔의 집’에서 <통일뉴스>가 만났다.

“관찰, 판단, 실천의 정신으로 노동조합을 만들었다”

일제 강점기 인천 ‘동양방적’을 이어받은 ‘동일방직’은 솜에서 실을 뽑아 면포를 만들고 기타 화학섬유 제품을 만드는 회사였다. 대부분의 생산직 노동자는 여성이었다. 솜뭉치가 실로 만들어지는 방적과는 25~26도의 열기 속에서 노동자들은 솜먼지로 숨쉬기 힘든 상황에서 일했다. 실로 옷감을 짜는 직포과는 수 천대의 방직기들이 쏟아내는 소음으로 귀는 찢어질 듯했다.

이총각 전 지부장은 “우리 엄마는 새우젓 장사하고 아버지는 돈 버는 거를 잘 몰랐다. 하루 세끼도 못 먹었다”며 “가난을 벗어나기 위해 열심히 일하면 돈을 많이 벌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1966년 공장에 들어갔다”고 회고했다.

   
▲ 이총각 전 지부장. [사진-조천현]

하지만 열심히 일해서 돈을 벌면 되겠다는 생각은 바뀌었다. 가톨릭 신자로 공장 언니들의 권유로 ‘가톨릭노동청년회’(JOC, 지오세)에 들어간 이총각은 ‘관찰, 판단, 실천’이라는 ‘지오세’의 정신에 빠져들었다. 생활 나눔에 이어 노동이 무엇이고 노동법은 어떤 것이며, 노동조합에 대해 알아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기독교를 중심으로 한 ‘도시산업선교회’와 연대하면서 1972년 5월 10일, 남한 단독선거가 치러진 지 꼭 24년 만에 한국 최초로 동일방직 노동조합 여성 지부장이 탄생했다. 어용노조가 아닌 민주노조가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주길자 지부장에 이어 이영숙 씨가 두 번째 여성 지부장에 선출됐다. 하지만 남성 노동자의 탄압이 이 무렵 시작됐다.

“남자들이 ‘저년들 저거 1년도 못해서 손들고 나올 것’이라고 무시했다. 그런데 주길자 지부장이 3년을 잘했다. 임금인상하고 근무조건 개선시키니까 두 번째 여성 지부장 선출은 문제가 없었다”고 이총각 전 지부장은 말했다.

그런데 두 번째 여성 지부장 선출 이후 남성 노동자와 회사는 물론, 박정희 정권 차원에서 문제시했다는 것. “여성들이 3년을 잘 하니까 여기저기서 지부장이 나왔다. 회사 차원에서 여성 지부장이 나오는 걸 차단해야겠다고 생각했나 보더라. 게다가 노사 간의 문제가 아니라 중앙정보부가 깊숙이 개입했다. 그리고 이영숙 지부장이 선출되고 탄압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나체시위’와 ‘똥물사건’..“이총각, 나는 절대 포기 못해”

1976년 7월 23일 남성 노동자들은 일방적으로 대의원대회를 소집했다. 그리고 이영숙 집행부를 없애고 다시 어용노조를 만들려고 획책했다. 이날 경찰은 이영숙 지부장, 이총각 총무 등을 연행했다. 그러자 파업이 불법화되던 당시, 여성 노동자들은 파업을 단행했다. 7월 25일 경찰이 강제해산을 하자, 여성 노동자들은 웃통을 벗었다. ‘나체시위’였다.

“그들의 투쟁 결과 3일 만에 유치장에서 나왔다. 공장에 들어가 보니 작업복이 노동조합 사무실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운동화, 모자, 옷 심지어 생리대까지…. 보자마자 대성통곡을 했다. 그러면서 사람이 오기가 생겼다. 이총각이 나는 절대로 포기 안 한다.”

이영숙 지부장의 사퇴로 이총각 총무는 1977년부터 지부장을 맡았다. 그리고 1978년 2월 21일. 새로운 지부장을 선출하기 위한 대의원 선거 당일이었다. 회사 측과 상급노조인 한국노총 섬유노조는 이총각 집행부를 와해시키려고 온갖 공작을 벌이던 때, 오전 6시 교대시간부터 투표가 진행될 예정이었다.

   
▲ 이총각 전 지부장은 40년 전 '똥물사건'을 겪고 "나는 이를 갈았다"고 말했다. [사진-조천현]

오전 5시 50분경, 투표장으로 향하는 여성 노동자들을 향해 회사 측 노조원 5~6명이 방호 수통에 똥을 담아 달려들었다. 이들은 여성 노동자들의 얼굴과 옷에 닥치는 대로 똥을 발랐다. 도망가는 여성 노동자를 뒤따라가 똥을 뒤집어씌웠다. 야만의 시작이었다.

민주노조를 사수하려던 여성 노동자의 노력은 실패했다. ‘무찌르자 산업선교, 물러가라 이총각, 때려잡자 조화순’이라 적힌 플래카드가 공장에 내걸렸다. 이총각 지부장을 중심으로 여성 노동자들은 3월 10일 국무총리가 참석하는 장충체육관으로 향했다. “우리는 똥을 먹고 살 수 없다!”

서울 명동성당, 인천 답동성당 등에서 여성 노동자들은 단식투쟁을 벌였다. 하지만 결국, 이총각 지부장을 포함한 124명의 여성 노동자가 해고됐다. 1980년대 초까지 복직 투쟁을 벌였지만 40년째 이들은 공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똥물까지 뒤집어쓰면서도 민주노조를 지키려 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이총각 전 지부장은 “노동조합을 알게 되니까 세상이 내 것 같았다. 가난의 현주소를 알고, 나도 한 인간으로 동등한 대우를 받을 권리가 있고, 말할 자유, 일할 자유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나는 똥물사건을 겪고 이를 갈았다”고 말했다.

“동일방직 때문에 신세 조졌다”던 엄마의 말에도, 이총각 지부장은 강단이 있었다. 동대문에서 유인물을 뿌리다가 잡혔던 일화.

정보과 형사가 이총각을 끌어냈다. “보아하니 천생 여자로 생겼구만. 왜 이렇게 세상을 떠들썩하게 해! 너 고향이 어디야”라고 묻는 형사에게 이총각은 “황해북도 연백”이라고 답했다. 그러자 형사가 “순 이년 이북 빨갱이 년이구만”이라고 비아냥댔다.

이총각은 “내가 왜 빨갱이냐! 이북이 고향인 사람이 나뿐이겠냐!”라고 쏘아붙였다. 김대중을 아느냐는 형사에게 모른다고 답하자, 형사는 이총각의 뺨을 때리고 정강이를 걷어찼다. “왜 때리냐! 말로 해라! 내가 고향이 이북이라는 거, 김대중이를 모른다는 게 잘못이냐!”고 따졌다.

1979년 3월 새벽 ‘크리스찬아카데미사건’ 관련 참고인으로 남산 중앙정보부에 끌려갔을 당시 중정 요원에게 칫솔을 사달라고도 하거나, 조사 뒤 돌아갈 때 차비를 달라고 하는 등 이총각 전 지부장은 “강하면 부러진다고 약했기 때문에 지금까지 온 것이 아닐까”라고 자신을 돌아봤다.

“세상에 태어나서 여자는 결혼해서 가정을 가져야 한다는 게 의무 같은데, 그러나 정말 내가 해야 하는 일, 살아야 하는 삶, 가야 하는 길을 누가 뭐래도 묵묵하게 갔을 때, 이것이 정말 나를 의미 있게 해주고, 자유롭게 해주고, 그 길을 통해 조금이라도 기쁨 있는 삶이라면 그것 또한 포기하지 않고 가야 할 삶이 아니냐.”

   
▲ 이날 인터뷰에는 이계환 <통일뉴스> 대표가 함께했다. [사진-조천현]

“노동자는 삶자체가 노동화되어야.. 통일운동에 나서라”

1947년생 일흔두 살, 노동운동의 맏언니 이총각 전 지부장은 지금의 노동조합과 노동운동에 아쉬움이 많다고 지적했다. “나는 노동조합을 알면서 지금까지 살아오게 됐다. 노동조합을 통해서 내 인생관이 바뀌고 가치관이 바뀌었는데, 왜 오늘의 노동조합은 발전이 안 되느냐”고 아쉬워했다.

“노동자의 역할이 따로 있느냐. 노동을 하면 다 노동자이다. 한번 노동자, 노동조합 간부는 영원한 노동자 아닌가. 노동자는 따로 운동한다는 것이 아니라 생활 자체가 노동화 되어야 한다. 노동자답게 살아야 한다. 노동자의 역할은 따로 있지 않다. 삶 자체가 그렇게 살아야 한다”면서 현재의 노동운동을 향해 죽비소리를 냈다.

이총각 전 지부장은 노동자가 통일 운동에 나서야 한다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 “통일은 노동자다, 아니다 하고 구분해서 해야 할 일은 아니다”라면서도 “독재정권이 분단된 조국에 있으니까 건뜻하면 빨갱이다 뭐다 해서 사람을 죽이고 감옥 보내고 병신 만드는데, 노동자들이 이걸 끊어내야 하지 않느냐”고 강조했다.

그리고 “우리가 자주적으로 힘을 합쳐서 빨리 통일이 됐을 때, 노동자의 삶도 훨씬 더 지금보다 나아질 것이다. 우리가 자주독립해서 강대국들이 정말 더 이상 간섭하지 못하게 하는 것도 노동자의 큰 역할”이라며 “나도 통일 운동에 적극적이지 않지만,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하겠다”고 힘을 줬다.

동일방직사건 40년, 여성해방.민주주의 높은 평가.. 재조명 필요

‘동일방직 똥물사건’, ‘동일방직 민주노조 사수투쟁’, ‘동일방직 복직투쟁’ 등 다양한 이름으로 평가받는 ‘동일방직사건’ 40년. 오늘을 사는 노동자들도 모르는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의 일로 치부되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40년 전 ‘동일방직사건’은 오늘의 민주주의를 이룩하는 토대였다. 1978년 2월 21일 ‘동일방직사건’은 1979년 ‘YH사건’에 영향을 줬다. 이는 ‘부마항쟁’으로 이어졌고 박정희 정권을 몰락시켰다. 전두환 정권에 맞선 1986년 인천 5.3투쟁, 1987년 민주화운동 등의 뿌리는 ‘동일방직사건’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이총각 전 지부장은 동일방직 공장 부지의 보존을 희망했다. [사진-조천현]

그뿐이랴. 홍석률 성신여대 교수는 ‘동일방직사건’이 천대받던 여성이 노동을 통해 세상을 자각하고 세상의 중심에 진입하는 역사적인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남성 노동자들은 그녀들이 보여준 지식 그 자체에 대한 열망과 애정, 여기서 열리는 더 근본적인 여성해방의 가능성을 두려워했기에, 한편으로 시기심이 발동하고 짜증나고 신경질이 나서 그것을 절대로 보이지 않게 확실하게 가려야 했기에 똥칠을 했던 것이다.”

한국 노동운동의 역사를 간직하고, 민주주의의 토대였던 동일방직 공장은 현재 인천에 물류창고로만 남아있다. 이마저도 상업.주거용도로 바뀔 것으로 알려졌다. 40년 전 천대받던 여성이 민주노조를 사수하고 민주주의의 토대를 마련하던 역사가 사라진다는 의미이다. 민주노조를 지키고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일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역사와 전통이 있는 공장 부지를 시민사회가 인수해서 시민들을 위한 공원을 만들든지 역사현장으로 만들어서 공장의 일부를 남긴다는 일이 필요하지 않을까”라고 이총각 전 지부장은 희망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국 노동자 덮친 ‘트럼프 무역폭탄’…철강만 1만5천명 타격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8/02/21 12:16
  • 수정일
    2018/02/21 12:16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등록 :2018-02-21 05:00수정 :2018-02-21 11:52
 
‘미국 우선주의’ 통상압박 총공세
철강 미국시장 수출길 막히면
1만5천여명 고용 타격 불가피
세탁기·자동차 일자리도 악영향
그래픽_장은영
그래픽_장은영
철강·세탁기·자동차 등 전방위에 걸친 ‘트럼프발 통상 압박’ 공세가 연일 터져나오면서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산업 노동자들은 일자리 보전을 위해 개별 사업장이 아니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맞서야 하는 처지로 몰리고 있다.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노동자들에게 ‘유령 같은 교섭 당사자’로 등장하는 형국이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9일 기자간담회에서 미 상무부의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철강 안보영향 조사보고서’에 대해 “(미국이) 말은 안보 때문이라고 하지만, 전체적인 미국 철강산업 가동률을 현재의 72%에서 80%까지 올리기 위해 연간 1330만t의 미국시장 철강수입을 규제하겠다는 경제적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상무부 보고서는 냉연·열연·압연강판 등 600여 종류에 이르는 거의 모든 철강 관련 제품을 수입규제 대상으로 삼고 있다. 안보는 명분일 뿐이고 세계 철강 공급과잉 상황에서 미국 철강기업과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지키겠다는 게 트럼프 대통령이 추구하는 ‘실리’다.

 

세계 철강 공급과잉 물량은 약 7억6천만t(한국철강협회 추정)에 이른다. 강성천 산업부 통상차관보는 “미국이 한국을 포함한 철강 수입규제 대상 12개국을 선별할 때 각국의 과잉 생산 능력 증가율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했다고 미국 상무장관이 기자회견에서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세계 철강산업의 공동 책임인 과잉 생산 문제로부터 미국 철강 노동자의 일자리를 지키고 또 새 일자리를 만들어내겠다는 심산으로 한국 등 다른 나라에 1962년에 제정된 낡은 무역확장법 232조까지 들이댄 셈이다. 송재빈 철강협회 부회장은 “트럼프가 미국 철강왕 카네기의 흘러간 옛 전설을 부활시키려는 것 같다”며 “미국은 현재 20여종에 이르는 한국산 철강제품에 60% 안팎의 고율 반덤핑 관세를 물리고 우리 정부의 철강보조금을 문제 삼아 상계관세를 부과하면서 우리 일자리를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우선주의를 내걸며 전방위적 무역보복에 나서면서 대미 주력 수출품목에 종사하는 우리 노동자들은 이제 트럼프를 상대해야 하는 새로운 한-미 통상질서에 들어서고 있다. 미국의 세탁기 세이프가드 발동으로 삼성전자와 엘지(LG)전자는 이미 현지에 새로 세탁기 공장을 지어 가동중이거나 올해 안에 완공할 예정이다. 미국 지엠(GM) 본사와 트럼프는 한국공장 철수, ‘멕시코 혹은 디트로이트로 공장 이전’을 앞세워 위협하고 있다. 무역확장법 232조도 한국의 과잉 생산 물량을 줄이라는 압박이다. 전국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는 20일 기자회견에서 “지엠 자본의 이익만을 위해 하루아침에 공장을 폐쇄하고 적자 책임을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행태에 분노를 금치 못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은 국내 일자리를 위협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철강 가공제품 및 철강 1차제품의 경우 수출 100만달러당 취업유발인원은 각각 5.9명, 4.6명으로, 철강 수출로 만들어낸 직간접 일자리는 지난해 연간 15만5천명에 이른다. 우리 철강업계의 지난해 철강 대미수출액(32억6천만달러)은 전체 철강수출액의 약 9.5%를 차지한다. 단순하게 계산해도 미국 수출이 막히면 당장 1만5천여명의 ‘고용 타격’이 불가피해지는 셈이다. 미국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수출 1위를 기록 중인 품목은 총 94개(2016년)이며, 이 가운데 철강제품이 20개(21.3%)다.

 

또 세탁기 등 가정용 전기기기와 자동차의 지난해 수출 취업유발효과는 각각 4만4천명, 63만8천명이다. 수출 100만달러당 취업유발인원은 가정용 전기기기(10명)와 자동차(8.6명)가 전체 제조업 평균(7.4명)보다 높다. 무협은 지난해 우리나라 제조업 총수출(5602억달러)이 우리 경제에 직간접으로 유발한 일자리 규모가 415만명에 이른다고 추정했다.

 

일각에서는 전날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의 부당한 보호무역 공세에 정면대응을 강조한 배경에도 미국의 자국 노동자 우선주의에 더 이상 밀릴 수 없다는 위기감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홍장표 청와대 경제수석은 이날 청와대 브리핑에서 “(232조 관세 부과는) 미국 경제와 산업의 관점에서 철강산업 보호를 위한 수입 억제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이해한다”며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교역 파트너들과 통상 문제는 (일자리 등) 국익 확보 관점에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산업부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가 오는 11월 중간선거와 재선을 위해 자신의 정치적 지지·후원그룹인 중산층 백인(노동자들)에게 어필하려는 정책으로 (철강 232조를) 보고 있다”며 “(트럼프 보호무역주의 공세가) 여기서 끝은 아닐 거라고 생각한다. 계속 다른 전선으로 넓혀나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북한의 개혁개방

 
1991년 시작, 수동적 개혁과 북한의 처세 철학 및 의존성
 
뉴스프로 | 2018-02-20 14:46:13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북한의 개혁개방 
– 1991년 시작 
– 열의와 성과 없는 개혁개방 
– 수동적 개혁과 북한의 처세 철학 및 의존성

2018년 2월 10일 중국 종합 포털 사이트 봉황망에 북한 관련 기사가 올라왔다. 평창 번역도 길었는데 이건 더 길었다. 솔직히 번역하고 싶지 않았지만, 궁금한 마음을 이길 수 없었다.

남북한 간 화해 모드가 조성되고 있다. 그렇지만 평화 협상의 기반은 양측이 지닌 정치력, 경제력, 군사력에 달려있다. 경제력이야 말로 가장 결정적인 기반이다. 남북한 양측이 오랜 기간 동안 진전을 얻을 수 없었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 역시 바로 경제력 차이로 인한 것이다. 즉 한국 국민들은 가난한 북한을 걱정했으며, 북한 통치자는 개방된 한국을 걱정했기 때문이다.

90년대에 이르러 북한 고위층에서는 더 이상 개혁을 하지 않으면 정권 통치의 합법성까지 직접적인 위협을 받게 될 것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은 이미 10년 전 개혁개방을 실시하여 괜찮은 성과를 거둔 중국으로 눈길을 돌렸다. 하지만 북한식 개방과 시범실시는 중국 개혁개방 초기와 같은 열화와 같은 열기가 없었으며 그 성과 또한 매우 의문스럽다.

북한식 ‘개혁개방’의 난감한 현 상황은 내적 외적으로 제한된 환경에 기인한다. 내부적으로 북한의 이번 개혁은 상황에 밀려 진행된 수동적 개혁이다. 개혁 초기부터 정부가 굳건한 개혁 의지를 충분히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에 ‘수정주의’로 보여졌다. 실패의 외적 요인은 바로 스스로를 과대평가하는 북한의 처세철학과 다른 나라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현실 사이에서의 모순이다.

한국 김대중 정부의 선의에 가득 찬 ‘햇볕정책’에 대한 북한의 태도는 더욱 실망스러웠다. 한국측이 자본과 기술을, 북한이 토지와 노동력을 제공해 함께 남북한 경제 통일의 실험대인 개성공단를 조성하였지만, 결과적으로 북한은 오히려 이를 빌미로 한국을 협박했다.

경제 개혁은 반드시 경제 법칙을 따라야 한다. 각 나라들이 자신들의 풍부한 자원과 가장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서로 협력해야만 상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북한은 자신들의 미약한 경제력과 매우 열악한 산업 수준으로 협력 파트너를 제압하려 했기 때문에 쓰디 쓴 결과를 맛볼 수 밖에 없었다.

최근 북한은 돌연 태도를 바꿔 자발적으로 한국에 호의를 보이고 있다. 이것이 북한이 앞으로 변할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공식적으로 핵무기를 보유하게 된 북한 지도자가 정권 유지를 위한 새로운 무기를 가지게 됨으로써 어쩌면 질식할 듯한 경제적 압박을 다소 느슨하게 할 지도 모르겠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중국 종합 포털 사이트 봉황망에 게재된 북한 관련 기사이다.

번역 및 감수 : 임아행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2BBIi07

朝鲜参加冬奥会,后院里的这件事情却一直悬而不绝 
북한의 동계올림픽 참가, 뒷뜰에서 벌어지는 해결되지 않은 현안들

2018年02月10日 08:02:30 
来源:地球知识局 
출처: 지구지식구

 

 

 

 

今天,韩国平昌冬奥会开幕,朝韩两国代表团手持朝鲜半岛旗一同入场,朝鲜方面更是派出了名义最高元首金永南和金正恩的妹妹金与正参加了开幕式。

오늘 한국 평창 동계올림픽이 막을 올렸다. 남북한 대표단이 한반도기를 들고 공동 입장했으며, 북한은 여기에 더해 명목상 국가 원수인(역자 주: 1998년 9월 5일 헌법 개정에 따라 최고 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대외적 국가 원수 역할 수행) 김영남과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을 개막식에 파견했다.

朝韩两国的突然合作,向世界展示出了半岛局势转危为安的可能性。和平友好的谈判也许在三八线南北冰封许久之后又将展开。

갑작스러운 남북한의 협력은 위기에 처해있던 한반도 정세가 안정될 가능성이 있다는 메시지를 전세계에 전달하였다. 어쩌면 38선을 경계로 얼어붙어 있던 남북한 사이에 평화롭고 우호적인 협상이 다시 한 번 펼쳐질 지도 모르겠다.

 

 

但和平谈判的基础其实并非简单的外交魅力攻势,而是双方具有的政治、经济、军事资本。金正恩在平昌冬奥会开幕前一天找借口阅兵,便被外界认为是在通过军事肌肉展示提高自己的话语权。

그렇지만 평화 협상의 기반은 사실 단순한 외교적 매력 공세가 아닌 양측이 지닌 정치력, 경제력, 군사력에 달려있다.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 하루 전 날 거행된 김정은의 열병식은 군사력을 과시해 북한의 발언권을 강화하고자 했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但无论如何,经济是最具有决定性的基础,朝韩两方长期无法取得进展的一大原因也正是经济差距带来的——贫穷的朝鲜让韩国民众担忧;开放的韩国让朝鲜统治者担忧。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력이야 말로 가장 결정적인 기반이다. 남북한 양측이 오랜 기간 동안 진전을 얻을 수 없었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 역시 바로 경제력 차이로 인한 것이다. 즉 한국 국민들은 가난한 북한을 걱정했으며, 북한 통치자는 개방된 한국을 걱정했기 때문이다.

为了弥补这个差距,朝鲜领导层也曾经做出过很多努力。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북한 지도층은 일찍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从丹东鸭绿江断桥处看朝鲜,对面即是朝鲜“香港”—新义州特区 陈坚摄 
단동(丹东) 압록강 단교(역자 주: 1950년 10월 19일 중공군 참전 저지를 위해 미군이 폭격)에서 바라본 북한, 맞은 편이 바로 북한의 ‘홍콩’인 신의주 특구 천졘(陈坚) 촬영

事实上,朝鲜的改革开放从1991年,金日成在罗先设立第一个对外开放的自由经济贸易区时,就已经开始,至今已走过27个年头。但是朝鲜式的开放和试点却远没有达到中国改革开放早期那种烈火烹油的程度,其成果也殊为可疑。

사실 북한의 개혁개방은 1991년 시작되었다. 김일성이 나선에 최초로 대외개방된 자유경제무역구를 세웠을 때 이미 시작되었으며 벌써 27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하지만 북한식 개방과 시범실시는 중국 개혁개방 초기와 같은 열화와 같은 열기가 없었으며 그 성과 또한 매우 의문스럽다.

那么朝鲜的改革开放结果如何,制约其成功的因素又是什么?

그렇다면 북한의 개혁개방 결과는 어떠하였으며, 그 성공을 방해한 요소는 무엇이었는가?

今天这篇文章,便为你揭开朝鲜改革开放的神秘面纱。

오늘 이 글에서 북한 개혁개방의 신비로운 베일을 벗기고자 한다.

 

 

不得已的自保

어쩔 수 없이 선택한 자기 보호

20世纪60年代——70年代,是朝鲜发展的黄金时期。靠着苏联和中国大量的援助,朝鲜经济迅速发展。这期间年均经济增长率甚至达到20%,被外媒称为“远东经济发展的奇迹”。朝鲜甚至与日本并称为东亚的两个主要工业增长国家,是东亚地区现代化程度最高的国家之一。

1960~70년대는 북한 발전의 황금기였다. 소련과 중국의 대규모 원조에 힘 입어 북한 경제는 매우 빠르게 발전했다. 심지어 이 시기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20%에 달해 외신들이 ‘극동 경제 발전의 기적’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심지어 북한은 일본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동아시아 2대 주요 공업 발전 국가였으며, 동아시아에서 현대화가 가장 많이 진척된 국가 중 하나였다.

 

 

70年代的平壤 
图为官方宣传图册 
70년대 평양 
사진은 공식 홍보 책자 

 

70年代平壤+1 
70년대 평양+1

但这种暂时性的崛起并非朝鲜本身的经济负荷力所能支撑。当国际政局动乱时,过度依赖于外国援助和保护的朝鲜经济便难以为继。

하지만 이러한 일시적인 발전은 북한 자신의 경제력으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다. 국제 정세가 격변할 때 외국의 원조와 보호에 과하게 의존했던 북한 경제는 그 발전을 계속 이어나갈 수 없었다.

随着中苏交恶,并因为自身内部困难相继撤除对朝援助,80年代以后,朝鲜发展陷入困境。即使以社会主义的标准来看,当时朝鲜的生产力也不令人满意:生产统计不精确,消费分配计划不合理,中央政府无法进行整体计划调控。朝鲜看似强大的工业产值逐步崩塌,不合理的经济布局日渐凸显,连年不断的自然灾害还摧毁着薄弱的基础设施。

중국과 소련의 관계가 악화되고 양국이 자국 내부 문제로 북한에 대한 원조를 연이어 중단하면서 80년대 이후 북한 경제는 곤경에 처했다. 사회주의 기준에서 보더라도 당시 북한의 생산성 역시 만족스럽지 못한 수준이었다. 생산 통계는 부정확했고, 소비 분배 계획은 불합리했으며, 중앙 정부는 전체 계획을 통제하지 못했다. 얼핏 보기에는 강하게 보였던 북한의 공업 생산액이 점차 붕괴되었고, 사회 생산성의 지역별 배치의 불합리성은 나날이 도드라졌다. 몇 년간 끊이지 않았던 자연재해마저 취약한 사회 간접 자본을 망가트렸다.

80年代的平壤 
80년대 평양

 

 

 

 

 

 

不论是出于金氏政府的短视,还是出于中苏的保密,朝鲜在工业顶峰时代也仅仅是拥有了暂时的物质成就,却没有学习到真正的技术。此时资金与技术的双重缺失导致朝鲜大量先进设施停用,国内大多数工业陷入停滞甚至倒退。

김씨 정부의 근시안 때문인지 아니면 중국과 소련 양국의 기밀 유지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북한은 공업 전성기에도 일시적인 물질적 성과만을 거두었을 뿐 진정한 기술을 배우지는 못했다. 이 시기 자금과 기술의 이중 결핍으로 인해 북한이 보유하고 있던 수 많은 첨단 시설들이 사용 중지 되었고, 북한 내 대다수의 공업은 정체 혹은 퇴보의 길을 걷게 되었다.

到了90年代,苏东剧变,一度呼风唤雨的社会主义阵营土崩瓦解,硕果仅存的几个国家也经济困难。对朝鲜来讲,这个敏感时期非常危险,高层的共识是此时如果再不改革,将会直接威胁在位政权统治的合法性。

90년대에 이르러 소련과 동유럽의 격변으로 한 시대를 호령하던 사회주의 진영이 무너졌다. 남아 있던 몇 안 되는 국가들 또한 경제난을 겪었다. 북한에게 있어 이처럼 민감한 시기는 매우 위험한 것이었다. 북한 고위층에서는 더 이상 개혁을 하지 않으면 정권 통치의 합법성까지 직접적인 위협을 받게 될 것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朝鲜饥荒 
북한 대기근

 

 

在这种情况下,朝鲜把目光投向了中国——这个已经改革开放十年,并且取得了不错成效的老大哥。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은 이미 10년 전 개혁개방을 실시하여 괜찮은 성과를 거둔 큰형님인 중국으로 눈길을 돌렸다.

中国这边 
중국의 상황

 

 

地处图们江下游的罗津市和先锋郡两地,由于具有毗邻中俄两国优势,在1991年12月被匆匆设立为自由经济贸易区。其规划制定、法规政策均有生搬硬套中国深圳的改革措施的痕迹。

두만강 하류의 나진시와 선봉군 두 지역은 중국과 러시아 양국과 인접해 있다는 지리적 장점 때문에 1991년 12월 급하게 자유경제무역구로 지정되었다. 계획 제정과 법규 정책 등 모든 것이 중국 선전(深圳)의 개혁 조치를 그대로 옮긴 듯 하다.

据1993年《韩国日报》年底报道,在朝鲜罗津、先锋地区投资的外国企业不分国籍,都可以在保持其经营权的前提下,进行独立的企业活动。1996年,官方更是将罗津市和先锋郡两地合并为罗先市,破格升为直辖市,这表明了朝鲜对改革的重视。

1993년 연말 <한국일보>는 북한의 나선과 선봉 등 지역에 투자하는 외국 기업은 국적에 상관없이 경영권을 유지하기만 하면 모두 독립된 기업 활동을 할 수 있다고 보도하였다. 1996년 북한은 나진시와 선봉군 두 지역을 합병한 나선시를 파격적으로 직할시로 승급시켰다. 이는 북한이 개혁을 얼마나 중요시하는지를 보여준 것이다.

罗先—朝鲜的“深圳” 
나선, 북한의 ‘선전(深圳)’

 

 

但事与愿违,朝鲜的特别经济区开放(从2013年开始,朝鲜猛增19个特别经济区),调子唱得很高,政策也都有效仿邻国的痕迹,但投资者寥寥无几,至今没什么进展。这其中的原因又是什么呢?

그러나 현실은 그들의 뜻대로 되지 않았다. 북한이 대대적으로 특별경제구(2013년부터 중국은 무려 19개의 특별경제구를 만들었다)를 개방하고 정책 또한 이웃 나라를 모방했지만 찾아오는 투자자가 매우 적어 현재까지도 별다른 진전을 거두지 못하였다. 이는 무엇 때문인가?

保住政权的改革 
정권 수호를 위한 개혁

朝鲜式“改革开放”的尴尬现状,源于内外两个限制条件。

북한식 ‘개혁개방’의 난감한 현 상황은 내적 외적으로 제한된 환경에 기인한다.

内部来看,朝鲜的这次改革是迫于环境的被动式改革。因此,从改革伊始,官方的态度就没有表现出足够的坚决性,认为这是“修正主义”。这就产生了两种奇怪的现象:

내부적으로 북한의 이번 개혁은 상황에 밀려 진행된 수동적 개혁이다. 그렇기 때문에 개혁 초기부터 정부가 굳건한 개혁 의지를 충분히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에 ‘수정주의’로 보여졌다. 이는 두 가지 기이한 현상을 초래하였다.

一是政治与经济观点的摇摆不定:朝鲜改革的目的是维护政权稳定性,手段是发展经济。但经济的变化一定会影响政权的归属,所以经济的发展要一定在官方容忍度之内,当经济发展有可能出现失控时,官方会立刻压制。

첫째, 정치와 경제 관점 동요: 북한 개혁의 목적은 정권 안정성 수호이며 경제 발전은 그 수단이다. 하지만 경제 변화는 반드시 정권 귀속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정부가 용납할 수 있는 범주 내에서 경제를 발전시켜야만 하며, 경제 발전을 제어하지 못하게 되면 정부가 즉각 압력을 가하게 된다.

 

 

[사진 번역: 내가 준다고 한 것만 달라고 해야 해.]

2012,金正恩在干部会议上提出“对我来说,大米比子弹更珍贵。” 这句话被人们认为是突破先军政治的束缚,以经济发展为先的标志。

2012년 간부회의에서 김정은은 “내 입장에서는 쌀이 탄약보다 더 귀하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선군정치의 틀을 깨고 경제 발전을 우선으로 삼은 신호탄으로 평가되었다.

但在2016年,金正恩新年贺词中又继续强调先军政治:“ 我们要高举革命的红旗,沿着自主、先军、社会主义这一条道路奋勇前进。”无疑,这是以政治为先,拒绝经济变革的观点。

그러나 2016년 김정은은 신년사에서 “혁명의 붉은 깃발을 높이 들고 자주, 선군, 사회주의의 길을 용감히 걸어가겠다”라며 다시 한 번 선군정치를 강조하였다. 정치를 우선으로 하고 경제 개혁을 거부하는 관점임이 분명하다.

到了2018年,完成核试验的金正恩更是直接说出了自己桌上的核按钮剑指美国的口号,经济和政权孰轻孰重一看便知。

2018년 핵실험을 완성한 김정은은 더 직접적으로 본인 책상의 핵 버튼이 미국을 가리키고 있다고 밝혔다. 경제와 정권 중 무엇을 더 우선시 하는 지 알 수 있다.

新年讲话的新形象 
신년사에서 보여준 새로운 이미지

 

 

二是朝鲜做生意以政治利益为基本点,而不是经济利益,所以其牟利方法也往往是非经济手段。双方贸易中,往往以朝鲜自己单方面撕毁,或者因为不讲信用,使外资撤离而告终。

둘째, 북한의 사업은 경제적 이익이 아닌 정치적 이익을 기본으로 한다. 따라서 이윤 추구 방법 또한 종종 비경제적인 수단을 취하고는 한다. 양자간 무역에서 종종 북한의 일방적 파기나 약속 미이행으로 외자가 철수하였다.

我们以图们江治理为例: 图们江是是中朝界河,是中国进入日本海的唯一通道。作为一条国际性河流,这里由联合国开发计划署牵头,以中、俄、朝、韩、蒙5国为主体,联合治理图们江三角洲。

두만강 개발을 예로 들어보자. 두만강은 중국과 북한의 경계로 중국이 일본해에 진입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다. 국제적인 강이기 때문에 국제연합개발계획(UNDP)이 앞장 서 중국, 러시아, 북한, 한국, 몽고 5개 국이 주체가 되어 두만강 삼각주를 공동 개발했다.

中朝之间图们江 
중국과 북한 사이의 두만강

 

 

打通图们江出海口,对于吉林黑龙江两地的对外商贸大有好处,是搞活东北经济的重要举措之一,中国在2009年亦将图们江开发计划升为国家战略。

두만강의 바다 진입로 확보는 지린성(吉林)과 헤이롱쟝성(黑龙江) 두 지역의 대외 무역에 매우 유리하다. 이는 동북지역 경제 활성화에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로 중국은 2009년에 두만강 개발 계획을 국가전략으로 격을 높였다.

但就在此时,朝鲜宣布退出联合国联合开发项目。尽管明面上是朝核问题,但据传闻,是朝鲜希望一人独揽图们江治理权,由此制约中、俄、韩、蒙四国。无论如何,此后中国只得投资开发罗先特区罗津港的消息,让朝鲜掌握了出海的命门,也独揽了由此带来的经济利益。

하지만 바로 이 시기에 북한은 UNDP 두만강 개발 계획 철수를 선언하였다. 표면적인 이유는 북핵 문제였지만, 사실은 북한이 두만강 개발권을 독식해 중국, 러시아, 한국, 몽고 4개 국에 맞서기 위해서였다고 알려졌다. 어찌되었든 그 후 중국은 나선특구 나진항 투자 개발 소식 밖에 얻지 못했으며, 북한은 바다 진입로를 장악하고 여기에서 얻어지는 경제적 이익을 독식하였다.

离的很近,过去很远 
가깝지만 먼

 

 

内部的政治摇摆,让外界很难看到投资朝鲜的长远回报,经济特区当然也就没有了价值。

북한 내부 정치적 동요로 북한 투자의 장기적 이익을 담보할 수 없었기 때문에 매우 당연하게도 경제 특구는 경제 특구로써의 가치를 상실했다.

失效的外在原因则是朝鲜妄自尊大的处世哲学和不得不依赖他国之间的矛盾。

실패의 외적 요인은 바로 스스로를 과대평가하는 북한의 처세철학과 다른 나라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현실 사이에서의 모순이다.

朝鲜处事中最鲜明的特点是“反驯”,即小国展现出一种领导者的姿态,让大国跟随他们的本事,这是其所擅长的。这点从图们江的治理便可看出。但以下“杨斌事件”和“开城工业园”是其失败的两个典例。

북한의 처세에서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는 특징은 바로 ‘반훈(反訓, 역자 주: 훈고학 용어. 원래의 뜻과는 반대로 사용되는 것)’이다. 즉 작은 나라가 지도자의 모습을 취함으로써 대국이 자신들을 따라오게 하는 능력으로 북한은 이것에 매우 능하다. 이러한 점은 두만강 개발 계획에서도 알 수 있다. 하지만 다음의 ‘양빈(杨斌) 사건’과 ‘개성공단’은 이러한 북한의 처세가 실패한 대표적인 예이다.

 

 

[사진 번역: 북한 투자 환영.]

2002年,朝鲜经济持续低迷,改革几无成效。在这种情况,朝鲜单方面突然委任华商杨斌为其第一个资本主义特区——新义州的特首。背后原因扑朔迷离,但其事先不经商量,单方面委任华商杨斌,明显破坏了中国的利益,有制约东北的嫌疑。

2002년 북한 경제는 지속적인 부진에 시달렸으며 몇 차례의 개혁도 소용이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은 돌연 일방적으로 중국 사업가 양빈을 북한 최초의 자본주의특구 신의주 특구 수장으로 임명했다. 그 배후 원인이 복잡하기는 하지만 사전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중국 사업가 양빈을 임명한 것은 명백히 중국의 이익에 위배되는 것으로 동북 지역을 컨트롤하고자 한다는 의심을 피할 수 없었다.

杨斌 
양빈

 

 

讽刺的是,在杨斌任职不到十天后,中国公安便以逃税罪名将其逮捕。随后,辽宁省中级人民法院便以合同欺诈、行贿等罪行判处杨斌18年监禁。虎头蛇尾的“新义州改革”成为了一场闹剧。朝鲜一方面希望他人来帮助改革,另一方面却霸道行事,所谓的经济改革当然很难得到外部支持。

아이러니 한 점은 양빈 취임 후 열흘도 되지 않아 중국 공안이 탈세죄로 그를 체포했다는 것이다. 그 후 랴오닝성 중급인민법원은 계약사기와 뇌물 등의 죄명으로 양빈에게 18년 구금을 판결했다. 용두사미가 되어버린 ‘신의주 개혁’은 한 편의 코미디로 막을 내렸다. 다른 사람이 개혁을 도와주러 오기를 바라면서도 또 다른 측면에서는 독단적으로 행동했기 때문에 북한의 이른바 경제 개혁은 외부의 지지를 얻기 힘들었다.

 

 

而在面对韩方金大中政府充满善意的“阳光政策”时,朝鲜的表现更加令人失望。该韩方投资数十亿美元建设开城工业园,由韩方出资本和技术,朝方出土地和劳力,双方进行合作建设,建设南北经济统一的实验平台。

한국 김대중 정부의 선의에 가득 찬 ‘햇볕정책’에 대한 북한의 태도는 더욱 실망스러웠다. 한국측은 수 십 억 달러를 들여 개성공단을 건설했다. 한국측이 자본과 기술을, 북한이 토지와 노동력을 제공해 함께 남북한 경제 통일의 실험대를 조성하였다.

 

 

金大中 김대중 结果朝鲜反而以此来胁迫韩国,一口咬定韩企压榨劳工、偷税漏税,经常单独关闭园区并要求索赔。10年来朝鲜单方面关闭园区3次, 其处于非常态时间长达4年。

결과적으로 북한은 오히려 이를 빌미로 한국을 협박했다. 한국 기업이 노동자를 착취하고 세금을 탈루하였다고 단정짓고 종종 일방적으로 개성공단을 폐쇄하고 배상을 요구했다.

自觉受到屈辱的韩国终于在2016年彻底终结了这个计划,作为对朝鲜核试验的制裁,朝鲜又一次错过了经济改革的试验田。

굴욕을 당했다고 느낀 한국은 결국 2016년 북한 핵실험 제재 조치의 일환으로 프로젝트를 완전히 종결시켰으며, 북한은 다시 한 번 경제 개혁 실험 무대를 잃어버렸다.

韩国示威者在韩国首尔举行的反朝鲜集会上焚烧朝鲜领导人金正恩的肖像。。

한국 서울에서 열린 반북 집회에서 집회 참가자가 북한 지도자 김정은의 초상을 불태우고 있다.

 

 

123家企业中有120家亏损,共约8152亿韩元。 
图为离开联合工业区的车辆

123개 기업 중 120개 기업이 손실을 입었으며, 총 금액은 약 8152억 원이다. 
사진은 공단을 떠나는 차량.

 

 

经济改革必须适应经济规律。在比较优势的理论框架中,各个国家应该凭借自己丰富的资源、最擅长的技术互相合作,才能起到共赢的效果。然而朝鲜在经济改革过程中从不考虑这些,以微小的经济体量和极为劣势的产业水平试图压制合作伙伴,便只能吞下苦果。

경제 개혁은 반드시 경제 법칙을 따라야 한다. 비교적 탄탄한 이론의 틀에서 각 나라들이 자신들의 풍부한 자원과 가장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서로 협력해야만 상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북한은 경제 개혁 과정에서 이 문제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자신들의 미약한 경제력과 매우 열악한 산업 수준으로 협력 파트너를 제압하려 했기 때문에 쓰디 쓴 결과를 맛볼 수 밖에 없었다.

 

 

中朝一步跨 
在这个位置,中朝相隔不超过5M 
陈坚摄

중국과 북한 이부콰(一步跨) 
여기에서 중국과 북한의 거리는 5M가 안 된다. 
천졘(陈坚) 촬영

 

 

中朝一步跨+1 
右边是朝鲜新义州,左边是中国丹东 
中间是已结冰的鸭绿江 
陈坚摄

중국과 북한 이부콰(一步跨)+1 
오른쪽은 북한 신의주, 왼쪽은 중국 단동(丹东) 
천졘(陈坚) 촬영

过家家的小游戏 
소꿉놀이 같은 게임

内外部的条件限制下,朝鲜的改革开放变成了一个笑谈。总的来说,朝鲜从没有主动想要改革开放,更别谈希望他国来协助其改革开放。在国家发展战略和道路选择上,朝鲜从来就没有什么改变,也无意改变。

내적 외적 조건의 제약으로 북한의 개혁개방은 우스개 소리로 전락하였다. 결국 북한은 한 번도 자발적으로 개혁개방을 생각해 본 적이 없으니, 이런 북한이 다른 나라가 자신들의 개혁개방을 돕기를 바란다는 것은 더 말 할 가치도 없다. 국가 발전 전략과 노선 선택에 있어 북한은 이제까지 한 번도 바뀐 적이 없으며 바뀔 생각도 없다.

2008年11月21日《劳动新闻》发表的一篇重要署名文章《帝国主义者阴险的“改革”、“开放”圈套》,似乎就是专门回答人们猜测的:

2008년 11월 21일 <노동신문>의 중요 기명(記名) 문장 <제국주의자의 음험한 ‘개혁’ ‘개방’ 음모>는 마치 이런 추측에 대한 답변인 듯하다.

 

 

“帝国主义者们叫嚣‘改革’、‘开放’,他们训示和强迫别国去搞什么‘改革’、‘开放’,这是一种强盗行为。” 

“제국주의자들이 ‘개혁’과 ‘개방’을 부르짖으며 다른 나라에게 ‘개혁’과 ‘개방’을 하라고 훈계하고 강요하는데 이는 강도 행위이다.” 

“这种用‘改革’、‘开放’颠覆我们以人民大众为中心的朝鲜式社会主义的侵略瓦解阴谋,在我们这里绝对行不通,其必然难逃破产之命运。” 

“이처럼 ‘개혁’과 ‘개방’을 통해 인민 대중을 중심으로 하는 우리 조선식 사회주의를 전복하려는 침략과 와해 음모는 여기서는 절대 통하지 않는다. 이는 반드시 파탄의 운명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坚持自主性的世界各国人民要认清帝国主义者们所主张的‘改革’、‘开放’阴谋的反动性和危害性,以高度警惕性应对之。” 

“자주성을 고수하고 있는 세계 각국 인민들은 제국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개혁’과 ‘개방’ 음모의 반동성과 위해성을 분명이 알고 이를 고도로 경계해야 한다.”

 这种官方论调和早年间朝鲜高层积极探索改革之道的态度大不一样,也是这个谜样国家战略不透明性的一种体现。说白了,朝鲜的改革开放就像过家家,是保住执政合法性的一层浆糊,和中国的改革开放不可同日而语。

이러한 정부측 논조는 과거 적극적으로 개혁을 모색하던 북한 고위층의 태도와 판이하게 다를 뿐만 아니라 수수께끼와 같은 이 나라의 전략이 얼마나 불투명한지를 보여주는 단면이다. 노골적으로 이야기하자면 북한의 개혁 개방은 소꿉놀이 같다. 집권과 합법성을 접합시켜주는 접착제일 뿐 중국의 개혁 개방과는 같은 선상에서 논의될 수 없는 수준이다.

如果说朝鲜式改革开放也体现出了什么经济价值的话,大概也就是让朝鲜高层不定期有了一些“割韭菜”的机会,杀鸡取卵一般地从投资的冤大头那里连本带息地把钱榨干吧。

북한식 개혁 개방이 무언가 경제적 가치를 보여줬다고 하다면 그것은 아마도 북한 고위층이 비정기적으로 ‘손실을 입은 기존 투자자가 떠난 후 신규 투자자가 유입되는’ 기회를 얻게 되어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듯 어리숙한 투자자로부터 원금과 이자까지 돈을 짜내는 것일 것이다.

在鸭绿江边巡逻的朝鲜士兵 
背后是荒凉的田地 
陈坚摄 
압록강변을 순찰하고 있는 북한 병사 
뒤쪽은 황량한 경작지 
천졘 촬영

 

 

近日朝鲜态度突然转变,采取主动向韩国示好,有意参加平昌奥运会等举措,不知道是不是在传递朝鲜将在未来做出改变的信号。

최근 북한은 돌연 태도를 바꿔 자발적으로 한국에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 의사 등과 같은 호의를 보이고 있다. 이것이 북한이 앞으로 변할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인지는 알 수 없다.

正式拥有了核武器的朝鲜领导人,在维系政权方面拥有了新的武器,对经济的窒息式压缩也许会有松口。

공식적으로 핵무기를 보유하게 된 북한 지도자가 정권 유지를 위한 새로운 무기를 가지게 됨으로써 어쩌면 질식할 듯한 경제적 압박을 다소 느슨하게 할 지도 모르겠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916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