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지난 한 주

실로, 다사다난했노라...

 

다음부터는 학회에서 발표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했음.

나도 공기좋고 물 맑은데 가서 좀 한가롭게 쉬어보자구...

발표 전날 밤까지 졸린 눈 부비며 슬라이드 만드는 생활 이제 정말 종치고 싶당.

 

그리고, 주말, 오늘 저녁까지 시리즈로 자원방래한 벗들... ㅡ.ㅡ

식을 줄 모르는 나의 인기에 내가 지쳐버렸음 ㅡ.ㅡ;;

 

거대한 메뚜기를 연상시키던 주말의 습격자들이 휩쓸고 간 화장실 바닥에는 머리카락이 흩날리던데, 엄청 궁시렁대면서 화장실 청소했던 야옹이의 수고가 빛이 바래버릴까 두려워 얼릉 청소기로 밀어버렸음... 

알고보면 나도 은근히 깔끔한 성격인가봐 (우쭐~)

 

그나저나 감기 기운 때문에 입술 쩍쩍 갈라지고, 목도 머리도 아프고...

강의 준비는 딱 반 밖에 못 했는데... ㅜ.ㅜ

엄살도 하루이틀이지.. 나도 지겹다만, 그래도 죽겠구나... 이를 어쩌나..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영화 [티켓]

머리에 쥐가 나는 거 같아 영화보러 갔음.

올해 문을 열었다는 대전 아트 시네마... 어찌나 아기자기하던지..

토요일 저녁, 관객은 나를 포함 달랑 세 명.. ㅡ.ㅡ

영화 시작 전에는 극장 회원이라는 귀여운 총각이 내가 심심할까봐 도란도란 말도 시켜주고...  사실, 첨에 극장 직원인 줄 알았는데 티켓 발매를 할 줄 모르기에, "직원 맞아요?" 하면서 갈궈줬더니만 모기만한 목소리로 "저 직원 아니예요. 여기 일하시는 분이 식사하러 가셔서... " 해서 미안했음 ㅎㅎㅎ

 

하여간, 영화는 진중하고 따뜻하고 재미있었음...

포스터에 등장하는 저 세 남자아이들... 웃겨 죽어, 귀엽기도 하고...

알카에다 운운 하는데 뒤로 쓰러질 뻔 했음 ㅎㅎㅎ

그리고 은근 마음이 짠해졌음..

 

에너지 업하고, 이제 또 일에 매진해볼까나...

 

참, 영화 엔딩 크레딧 올라갈 때 "철도 노동자들에게" 감사한다는 문구가 인상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어리둥절 아연실색

요즘 출퇴근 지하철에서 Milton Friedman 의 [Capitalism and Freedom] 읽는 중인데, 예상과는 넘 달라...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라는 이름값에, 하이예크의 [Road to Serfdom] 과 함께 자유주의 경제학의 대중적 명저로 꼽히며 출판된지 40년이 넘도록 스테디셀러 자리를 지켜온 책 아녀? 그래서.. 감히 반박하기 어려운 논리로 자본주의의 우수성을 설파할 줄 알았지... 자유로운 시장 경제가 자유의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라는, 시장이 있는 곳에 정치적 부자유가 존재하기 어렵다는 내용이 전반부를 이루고 있는데... 자본주의 생산 관계에서 생산수단을 보유한 자가 권력도 그만큼, 자유도 그만큼 크다는 엄연한 현실은 도대체 어데 간거여? 자본주의 사회가 자유 증진에 얼마나 필수적인가 사례로 들고 있는 것이 진짜 웃긴데, 미국에서 매카시즘이 아주 지독했지만, 블랙리스트에 올라 있을지라도 훌륭한 시나리오들은 가명으로 헐리우드 시장에 팔려나갈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 어이 상실... 만일 영화산업이 정부에 의해 통제되는 사회주의 국가였다면 이런 일이 어찌 가능하겠는가!!! 허걱. 또한, 정치적 의사표현이나 사회운동을 하려면 돈이 필요한데,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몇몇 자본가들 (심지어 엥겔스 이름 등장!) 덕에 그 돈이 마련되어 사회주의 운동이 가능했다는 설명은 어떻고... 즉, 자본주의니까 이런 식의 운동이 가능하지, 사회주의 사회였다면 돈을 대줄 독지가(자본가)가 없어서 운동이 불가능했을 거라는 이야기... 털썩~ 아직 앞부분이라서 그런가??? 보건학을 하는 사람 입장에서 항상 사회정책(정부의 개입)의 필요성, 공공의 책임을 주장하지만, 한편으로는 이러한 것들이 온정주의나 의료화(medicalization) 으로 흐르지 않을까 항상 고민이 되던 터라, "국가", 혹은 "정부개입"를 바라보는 자유주의적 관점을 알고 싶어서 책을 골랐는데 어째 영... 시장실패에 관한 부분이 후반부에 나올테니 어쨌든 끝까지 읽어보구, 정반대편에 위치한 Berkman 의 ABC of Anarchism 읽어봐야겠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여차저차하다보니 어제 유일한 끼니로 오후 늦게 맥도널드 "치킨 폴더"라는 해괴한 음식을 사먹고, (웬 마요네즈가 그리도 범벅인지 울렁거려서 혼났네) 야간 강의 마치고 나니 고생많았다고 밤 11시에 CY 샘이 생맥주에 "치킨 소금구이" 사주심. 오늘 새벽 5시 반에 일어나 졸린 눈을 치켜뜨고 밥상에 앉으니 엄마가 귀한 딸 몸보신 시켜준다고 "닭죽" 한 사발... 지난 12시간 동안 튀긴 닭, 구운 닭, 끓인 닭을 골고루.... ㅜ.ㅜ 꼬끼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넋두리

업무 효율성이 문제인가, 아님 업무의 절대량이 문제인가?

 

임계점을 넘어 도저히 감당이 안 되는구나..

 

아.. 어쩐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따로 또 같이...

언제는 뭐 혼자 유유자적 일했었냐마는, 최근에 있었던 몇 건의 공동작업 경험은 참으로 소중한 자산이라는 생각이 부쩍... "뻐꾸기"언니랑 여성 노동자 논문 쓸 때도 그랬고, "숲과 나무"와 함께 연구방법론 원고 쓴 것도.. 이번에 비정규/이주 노동자 건강보호 관련 연구 계획서 쓰는데 모인 역전의 용사들 (나만 빼고 다 이 분야에서 뼈가 굵은 전문가더만 ㅡ.ㅡ)도 어찌나 다들 훌륭한지... 아, 예전에 여성건강통계집 발간할 때, 여러 여성 연구자들과 함께 동고동락했던 것도 참 색다른 경험이었구나... 얼마 전에, 마음이 맞는 사람과는 평생 같이 못해도, 뜻이 맞는 사람과는 평생 함께 일할 수 있다는 글을 본 적이 있는데, 마음도 뜻도 소통할 수 있는 사람들과 함께 작업하는 것은 큰 행운인 듯 싶다. 수직적 업무 할당이나, 유기적 연관성 없는 개별 작업의 단순 조합이 아니라 수평적 관계 속에서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거쳐, 독립적인 개별 작업들을 일관된 틀 안에서 유기적으로 묶어내는 과정을 경험하는 건 정서적으로나, 지적으로나 큰 자극이고 도움이 되는 거 같다. 시간 여유가 있으면, 좀더 생산적인 결과물들을 낼 수 있을텐데 아쉽기도 하고... 근데, 함께 작업한 사람들도 이리 생각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나만 "수평"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 ㅎㅎㅎ 어쨌든, 주변에 배울 수 있는 사람들, 함께 일할 수 있는 사람들이 이리도 많다니... 내가 "인복"이 많은게야. 으흠... ("일복"과는 무관하다고 생각하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중독: 방문 이벤트] 88888

지금 보니까 방문자 수 88802... 한 번 해보니 재밌더라구요. 앞으로 땡 숫자 나올 때마다 이벤트를 ㅎㅎㅎ 88888 번째 방문자께서는 댓글로 꼭 알려주세요. 물론 88887, 88889 번째 방문자께는 아차상 (지난번 77777 이벤트 때는 아차상 당첨자가 없었더랬죠... )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럼 이벤트 경품이 무엇이냐... 아주 색다른 걸루.... 그럼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 대망의 88888 담청된 기념으로 블로그 주인에게 대전에서 영화를 보여줄 수 있는 기회를 드립니다. 대전 아트 시네마에서 10월달에 괜찮은 영화들을 상영하는데 저에게 이 영화 중 한 편을 보여주시면 됩니다. (본인이 원하신다면 밥을 살 수 있는 영광까지 드리겠습니다) @ 아차상 88887 혹은 88889 다음 주 경 신보로 발매될 자우림의 앨범이나, 얼마 전에 발매된 U2 의 베스트앨범을 저에게 보내주시면 됩니다. 보내주실 주소는 제가 친절히 안내해 드립죠... 자... 그럼 열화와 같은 성원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

드디어 골병이 들었구나... 아이고 나 죽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달빛 아래...

원고 땜시 온라인 미팅을 하기로 한 모 님이 출현하지 않아 일요일 새벽에 졸린 눈 부비며 기다리고 있음... ㅜ.ㅜ 아으.. 졸려.......

잠을 쫓으며 포스팅이나...

어제 molot 이 귀경 길에 대전에 들렀다.

'자원방래한 손님'을 대접코자 금산까지 밥을 먹으러 나갔는데....

교과서에 나오는 표현처럼 수확을 기다리는 벼들이 황금물결을 이루고 (^^)

코스모스 양쪽으로 피어있는 길을 지나 강을 끼고 돌아....

마당에 있는 탁자에 앉아 밥을 먹다보니,

바로 그제가 한가위였던지라....

오호...... 나즈막한 산자락 뒤로부터 정말 동그랗고 노란 달이 쏘옥 하고 솟아오르는구나. 놀랍도록 잔잔한, 그리고 어두운 강물에 비친 노란 보름달이라니...

소동파나 이태백의 시가 한 자락 나와줘야 하는 거 아닌가 싶어

열심히 어죽을 먹고 있던 molot 에게 '오언절구의 시한 수 읊어보게나' 했더니,

"영시도 괜찮아요?" .......ㅜ.ㅜ

"메밀꽃 필 무렵"의 봉평 메밀밭에 쏟아져내렸던 숨막히는 달빛하고야 다르겠지만,

실로 오랜만에 고즈넉한 검은 산과 강 위로 흐르는 달빛을 보았더니

호연지기가 한뼘만큼 자란 듯...

원님 덕에 호강한다고...

오랜만에 가보고 싶었는데, 어쨌든 손님 핑게로 잘 댕겨왔다.. 아참.. 소박한 어죽 맛도 그대로더라....

앗. 회의 시작....

molot, 차도 막힐텐데 서울 가느라 고생 많았어요...

이제 이벤트 당첨 사은행사는 다 끝났다고 볼 수 있음 ㅎㅎ

나중에 봐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안 본다고 없어지나...

지난 두 달간 참으로 정신 없이 살았다. (현재진행형 ㅜ.ㅜ)

 

하지만, 내가 정신없고, 내가 관심을 쏟지 않아도

투쟁은 계속되었고, 나는 그저 뉴스 헤드라인만 챙겨보기에도 급급했다.

 

어쩌면, 절대적인 시간 부족보다는,

제목만 보면 척 하고 알아버리는 (실제로는,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관성/귀차니즘과

도대체 우째 이 사회가 이렇게 막나가고 있냐는 나름 좌절감에서 비롯된 어설픈 외면 때문이었는지도 모르겠다. 

 

허나, 안 본다고 없어지나.....

 

며칠 전에 Levenstein 할배가 국제 노동인권 게시판에 올라온 한국 공무원 노조 사무실 침탈 소식을 보고 깜짝 놀랐다며 도대체 이게 뭔 일이냐고 묻는 이멜을 보내왔다. 어처구니 없기는 하지만 그닥 아주 새로운 일도 아닌지라 나는 무덤덤했었는데 말이지..... (ㅡ.ㅡ) 답장을 쓰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보니, 최근에 부쩍 관성과 시큰둥함, 비관으로 일관했었다는 자각이 새록새록 들었다.

설명 반, 자책 반으로 쓴 답장에, 할배가 다시 답장을 보내왔다.

시인이라 역시 표현도....

 

"... These are hard times -- but, as we should remember, this is not the end of history!  Things, circumstances, power relations, attitudes -- these all change in time.  And -- no one ever said that struggle was easy!!!

So, you must stop doubting yourself.  Even if you wanted to avoid social struggle, you could not!  It constantly presents itself -- and, because of who you are -- you intelligence, your commitments, your deep concerns -- you will have to respond.  Frankly, I do not think you have much choice -- you have traveled too far on the social justice road to turn off...."

 

할배, 이렇게 힘을 주다니.... 고맙기도 하셔라......

 

그런데, 솔직하게는 두렵다.

점점 안온해지는 나의 존재가 나의 의식을 배반할 것 같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