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04/08/01

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4/08/01
    김남주 시인의 '전사1'
    푸른 솔
  2. 2004/08/01
    보육은 공공재인가?(1)
    푸른 솔

김남주 시인의 '전사1'

" 전사 1 " - 김남주 일상생활에서 그는 조용한 사람이었다. 이름 빛내지 않았고 모양 꾸며 얼굴 내밀지도 않았다. 무엇보다도 그는 시간엄수가 규율엄수의 초보임을 알고 일분 일초를 어기지 않았다. 그리고 동지 위하기를 제몸같이 하면서도 비판과 자기비판을 철두철미했으며 결코 비판의 무기를 동지 공격의 수단으로 삼지 않았다. 조직생활에서 그는 사생활을 희생시켰다. 조직의 이익을 위해라면 모든 일을 기꺼이 해냈다. 큰 일이건 작은 일이건 궂은 일이건 가리지 않았다. 그리고 아무리 하찮은 일이라도 먼저 질서와 체계를 세워 침착 기민하게 처리해 나갔으며 꿈속에서도 모두의 미래를 위해 투사적 검토로 전략과 전술을 걱정했다. 이윽고 공격의 때는 와 진격의 나팔소리 드높아지고 그가 무장하고 일어서면 바위로 험한 산과 같았다. 적을 향한 증오의 화살은 독수리의 발톱과 사자의 이빨을 닮았다. 그리고 하나의 전투가 끝나면 또 다른 전투의 준비에 착수했으며 그때마다 그는 혁명가로서 자기 자신을 잊은 적이 없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보육은 공공재인가?

아이를 출산하고 키우는 일은 사회 구성원의 생산이라는 측면에서 사회적인 일이다. 예전엔 그것이 사적인 일로 인식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그것은 이제 사회의 필요에 의해 주목받고 있다. 출산율 저하로 미칠 영향은 단순히 노동력의 부족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저출산은 인구구조를 변화시키고 고령사회의 진입을 단축시켜 전반적인 사회복지 비용의 증가를 가져온다. 동시에 사회의 활력과 발전의 정도가 출산률의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양육은 사회구성원 전체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때 공적인 문제이다. 그러나 정작 이 양육을 사회화한 보육노동에 대해서는 이러한 평가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아니 오히려 선거에서 표를 의식한 부모들에 대한 직접 지원방식만을 고려하여 보육노동자들을 전반적인 고용 불안정으로 내 몰고 있다. 말하자면 대인서비스인 보육의 성격상 총 보육비용 중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 수밖에 없는데 이를 부모가 내는 보육료에 포함하여 부모의 수득수준에 따라 차등지원하는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부모와 보육노동자가 마치 사용자와 노동자의 관계가 되어 버리는 것이다. 아동 양육을 국가가 책임진다는 것은 사회적인 양육 노동에 드는 비용을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는 것이다. 보육서비스의 이용자인 부모가 내는 비용은 그들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의 적정 요금이어야 한다. 마치 수도물을 사용할 때 수돗물을 공급하는 총비용과 상관없이 공공재인 수도물을 누구나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처럼 총 보육비용 중 인건비는 정부에서 부담하는 것이 당연하다. 학교 교사가 국가로부터 임금을 받는 것처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