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연애소설

그녀는 컴퓨터 앞을 떠나지 못 했다.

마치 갈 곳이 없어. 라고 말하는 듯 했다. 깔끔한 성격이 누구의 것이었냐는 듯 겨울을 핑계로 잘 씻지도 옷을 갈아입지도 않았다. 밥을 지어 먹는 것 외에 청소도 가끔 누울자리를 만드는 정도로만 했다. 빨래도 한참을 두었다가 피치 못할 지경이 되어서야 한 번씩 해서 널고 걷고 개는 일을 분절하여 하루 걸러 하나씩 했다. 하지만 정말로 그녀는 가족들의 일상을 챙기는 외에 다른 할 일이 아무 것도 없었다. 그렇다고 살림을 전업하여 거기서 자신의 주체됨을 찾고 능란할 뿐아니라 인간관계에서의 자존감조차 세울 만큼 생활적인 인간도 아니었다.

대체로 일을, 그것이 육체노동이라는 뜻의 생산직이든 다소 정신적이라는 풍의 사무직이든 상관없이 그녀는 일을 하고 있는 시간 속에서 충족감을 느끼지 못 했다. 보람이라던가 흥미나 적성의 문제도 아닌 것이 그저 남을 위해 뭔가를 하는 것 자체를 소외된 노동으로 "느꼈다. " 따라서 댓가없는 일을 하기 싫어했고 이 말이 남들과 달리 그녀에게 의미했던 것은 원하는 댓가가 없으므로 할 일이 없다는 것이었다. 그녀는 돈 벌고 싶지도 필요도 없었으므로 일할 이유를 찾지 못 했다. 그건 이전에 가졌던 직업이라 할 만한 모든 일들이 또한 돈 때문이 아니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맞벌이를 했던 것도 사무직에 취직했던 것도 그전의 공장생활이나 아르바이트 조차도 그녀는 그때 당시에 만나고 있었던 누군가와 함께 있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지금 만나고 싶은 누군가를 갖지 못 하게 되자 집 밖을 나갈 이유를 찾지 못 하는 것이다. 왜 그녀는 자신의 인생을 타인에게 의탁할까?

그건 박애주의자이기 때문이지요. 하고 그녀는 말했다. 믿지 못 해도 할 수 없다면서 웃었지만 다른 이유를 찾기도 어려워보이긴 했다. 그녀에게 지금 살아가는 이유는 뭘까?

당연히 아이들이죠. 하고 대답하는 그녀는 이제 아이들이 열 살이 되었으니 한 십년 쯤이면 삶의 이유를 찾기 어려워질텐데, 걱정이다. 하는 것이었다. 살 이유가 없으면 어찌해야 하나?

아프리카로 갈 지도 모르지. 하고 말하는 그녀에게 다른 생각은 없어 보였다.

아니면 지금 컴퓨터 앞으로  돌아오는 틈틈이 집안일을 하는 것처럼 혼자 사는 집을 건사하는 자잔한 일을 하면서 쓰고 또 쓰고 또 쓰다가 쓰러질지도.

무엇을 쓸 지에 대해선 걱정하지 않아도 돼요. 소설가들은 방에 콕 쳐 박혀서 대하서사를 써내기도 한답니다. 아세요? 박경리는 평사리에 가 본 적이 없대요. 하지만 소설 속에 묘사된 평사리가 바로 그 곳에 그대로 있더래요.

그녀는 읽고 또 읽고 또 읽고 있다.

글을 읽지 못 했던 어린 날부터 그녀는 책을 읽고 있었다고 했다. 그림이 있쟎아요하면서. 만화를 보다가 글을 깨친 방콕소녀가 바로 그녀였다.

사실 지금 이렇게 주절거리고 있는 나 조차 그녀의 상상이 빚어낸 소설 속의 등장인물에 지나지 않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