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제2의 6.15시대' 여는 전환의 해로"

 
6.15남측위, 6.15 14주년 공동행사 분산 개최
김치관 기자  |  ckkim@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4.06.15  19:48:10
트위터 페이스북
   
▲ 6.15공동선언 발표 14주년 남측 기념행사가 15일 서대문 독립공원에서 개최됐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6.15공동선언 발표 14주년을 맞은 15일, ‘6.15공동선언실천 민족공동위원회’(6.15민족공동위)는 광복 70돌을 1년 앞둔 올해를 ‘제2의 6.15시대’를 여는 획기적인 전환의 해로 만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기념대회는 남과 북, 해외에서 분산 개최됐으며,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6.15남측위)가 주최한 남측 대회는 서울 서대문 독립공원에서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후 2시부터 진행됐다.

남.북.해외측 위원회 공동 명의로 이날 발표된 ‘해내외 온 겨레에게 보내는 호소문’은 “역사적인 6.15공동선언은 조국통일의 목표와 대원칙, 그 실현방도를 우리 민족 모두의 합의로 승화시킨 기념비적 문건이며 민족 최고의 통일대강”이라고 의의를 부여하고 “지난 6년의 세월은 6.15공동선언이 공공연히 부정당하는 비정상의 세월이었다”고 지적했다.

남.북.해외 3자연대로 2005년 결성된 6.15민족공동위(공동위원장, 곽동의.김완수.이창복)는 2008년 금강산 공동행사를 마지막으로 이후에는 공동행사를 한데 모여 치르지 못하고 매년 분산 개최 형식을 취해왔다.

호소문은 “6.15의 기치 밑에 분열과 대결의 시대를 끝내고 화해와 협력, 나라의 통일과 민족 공동번영의 시대를 열어 나가는 것은 우리 겨레에게 주어진 지상의 과제”라며 “남과 북, 해외 온 겨레는 우리 민족끼리 힘을 합쳐 반드시 제2의 6.15통일시대를 열어나가야 한다”고 제시했다.

특히 “6.15공동선언실천 남과 북, 해외측위원회는 조국 광복 70돌을 1년 앞둔 올해를 ‘제2의 6.15시대’를 여는 획기적인 전환의 해로 만들기 위해 전민족적인 통일운동 조직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다해 나갈 것”이라며 “6.15공동선언실천 민족공동위원회가 주동이 되어 공동선언의 기치 밑에 남과 북, 해외 각계층의 통일운동을 더욱 활성화하여 남북관계 개선의 활로를 열어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러나 매년 공동 발표문에 포함됐던 일본의 군국주의화 경향에 대한 비판은 올해 공동호소문에서는 빠졌다. 6.15남측위에 따르면 일본 문제는 오는 8.15 광복절 기념행사에서 본격적으로 거론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 이창복 6.15남측위 상임대표의장이 대회사를 낭독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 한국노총 최두환 통일위원장과 민주노총 한용문 통일위원장이 '해내외 온 겨레에게 보내느 호소문'을 낭독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이창복 6.15남측위 상임대표의장은 대회사에서 “오늘 우리는 개성에서 모였어야 한다”며 그간 6.15북측위의 개성 공동행사 제안과 남측 정부의 불허 과정을 전하고 “우리의 요구를 여전히 ‘정치적 행사’ 운운하는 구시대적 논리로 외면하는 것은 참으로 개탄스러운 일이다. 이른바 ‘선관후민’이니 ‘남남갈등 우려’ 등도 정부의 궁색한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창복 의장은 “아직은 시간이 있다”며 “이제라도 6.15공동선언을 전면적으로 이행하는 길에 나선다면 남북관계의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이라고” 정부의 대북정책 전환을 촉구했다.

또한 “이제라도 온겨레에게 평화와 공동번영의 희망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제2의 6.15시대를 열어가야 한다”며 “6.15남측위원회는 다방면의 민간교류를 실현하고 남북관계의 물꼬를 트는데 그 누구보다 앞장서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기념대회에서는 무력갈등예방을위한글로벌파트너십(GPPAC) 피터 반 투이즐(Peter van Tuijl) 국제 사무총장이 연대사를 했으며, 한국여성단체연합 김금옥 상임대표와 남북경협기업인비상대책위원회 유동호 위원장, 전국농민회총연맹 김영호 의장이 각계발언을 이어갔다.

특히 김영호 전농 의장은 안철수, 김한길 대표의 실명을 거론하며 새정치민주연합을 비판해 눈길을 끌었으며, 유동호 남북경협비대위 위원장은 박근혜 대통령을 비판하면서도 통일에 앞장설 수 있도록 하자고 강조했다.

   
▲ '6.15합창단'이 여는공연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 기념대회 참가자들은 서대문 독립공원에서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까지 행진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기념대회에는 ‘6.15합창단’이 여는공연을, 민족춤패 ‘출’이 기념공연을, 노래극단 ‘희망새’가 마무리공연을 맡았으며, 공동호소문은 한국노총 최두환 통일위원장과 민주노총 한용문 통일위원장이 공동으로 낭독했다.

장대현 6.15남측위 공동집행위원장의 사회로 열린 이날 대회는 정치권에서 새정치민주연합 남인윤순 의원과 통합진보당 이정희 대표를 비롯해 오병윤, 김미희, 김재연 의원, 정의당 이정미 부대표 등이 참석했다.

공식 기념행사를 마친 참가자들은 서울 시청앞 서울광장까지 가두행진을 벌인 뒤 대열을 지어 ‘6.15’ 글자를 수놓는 퍼포먼스를 벌이기도 했다.

   
▲ 서울광장에서 6.15 글자를 써보이는 퍼먼스를 벌이고 있는 참가자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내용을 입력하세요.6.15남북공동선언발표 14돌을 맞으며
해내외 온 겨레에게 보내는 호소문 (전문)

오늘 우리 겨레는 분열과 대결의 비극을 끝내고 민족적 화해와 단합, 평화와 통일, 공동번영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 나가려는 뜨거운 의지와 굳은 신념을 안고 6.15남북공동선언 발표 14돌을 뜻깊게 맞이하고 있다.

역사적인 6.15남북공동선언은 조국통일의 목표와 대원칙, 그 실현방도를 우리 민족 모두의 합의로 승화시킨 기념비적 문건이며 민족 최고의 통일대강이다.
6.15시대가 열리면서 분열의 고통으로 얼어붙었던 우리 겨레가 마음의 문을 열고 혈육의 뜨거운 정을 나누며 하나로 이어졌고 각계각층의 다방면적인 왕래와 접촉, 공동회합과 협력사업이 활발히 벌어졌다. 흩어진 가족, 친척상봉이 연이어 이루어졌으며 남북사이의 철도와 도로가 원한의 군사분계선을 넘어 하나로 연결되었다.
또한 금강산관광과 개성공업지구를 통하여 민족경제의 발전과 공동번영의 토대가 마련되게 되었다. 
10.4선언은 그 모든 성과에 토대하여 6.15시대를 평화와 통일번영의 시대로 더욱 활짝 열어나가는 강력한 추동력으로 되었다.

이것은 6.15남북공동선언의 정당성과 생활력, 생명력의 뚜렷한 과시이며 공동선언이행을 통하여 우리 겨레가 이룩한 민족공동의 소중한 결실이었다.
그러나 지난 6년의 세월은 6.15공동선언이 공공연히 부정당하는 비정상의 세월이었다. 남북 사이의 군사적 긴장이 격화되었으며 민족의 화해와 단합, 공동번영을 위한 모든 사업들은 중단되었다.
금강산관광길이 끊어지고 개성공업지구의 가동이 멈추어져 있었는가 하면 민간단체들의 통일회합과 협력교류마저 중단되어 결국 불신과 대결의 시대로 되돌아가게 되었다. 해마다 봄이 되면 한반도에는 일촉즉발의 군사적 긴장이 되풀이되었다.
이렇듯 6.15공동선언을 부정한 결과는 대결과 적대의 악순환이었다.

이제 전쟁의 위기를 걷어내고 화해와 협력, 평화와 통일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유일한 출로는 오직 6.15공동선언을 확고히 존중하고 이행하는 외에 다른 길은 없다.
6.15선언의 기치 밑에 분열과 대결의 시대를 끝내고 화해와 협력, 나라의 통일과 민족공동번영의 시대를 열어나가는 것은 우리 겨레에게 주어진 지상의 과제이다.
분열의 고통을 후대들에게 물려줄 수는 없다.
남과 북, 해외 온 겨레는 우리 민족끼리 힘을 합쳐 반드시 제2의 6.15통일시대를 열어나가야 한다.

공동선언을 지지하는 남과 북, 해외의 정당, 단체, 인사들을 가장 폭넓게 망라하고 있는 6.15공동선언실천 민족공동위원회는 온 겨레의 통일의지를 대변하고 6.15통일시대를 개척해나가는 주역이다.
6.15공동선언실천 남과 북, 해외측위원회는 조국광복 70돌을 1년 앞둔 올해를 <제2의 6.15시대>를 여는 획기적인 전환의 해로 만들기 위해 전민족적인 통일운동조직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다해나갈 것이다.
무엇보다 6.15공동선언실천 민족공동위원회가 주동이 되어 공동선언의 기치밑에 남과 북, 해외 각계층의 통일운동을 더욱 활성화하여 남북관계 개선의 활로를 열어나갈 것이다.
그리하여 조국광복 70돌을 삼천리강토에 평화와 통일의 열풍이 들끓는 뜻깊은 해로, <제2의 6.15통일시대의 출발의 해>로 기어이 만들어갈 것이다.

남과 북, 해외의 모든 동포들이여!
한치의 물러섬도 없이 6.15공동선언이행의 길로 더욱 힘차게 전진해 나가자!
해내외의 온 겨레여!
제2의 6.15시대를 열어나가는데 우리 모두의 지혜와 힘, 노력을 아낌없이 바쳐나가자!
우리 민족의 슬기와 힘으로 더욱 새롭고 결코 되돌릴 수 없는 화해와 협력, 통일과 공동번영의 새 시대를 개척해 나가자!

2014년 6월 15일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6.15공동선언실천 북측위원회
6.15공동선언실천 해외측위원회

(자료제공 - 6.15남측위)
 

 

6.15공동선언 발표 14주년 기념대회 대회사 (전문)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이창복 상임대표의장


안녕하십니까?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상임대표를 맡고 있는 이창복입니다.

먼저 바쁘신 가운데 이 자리에 함께 해주신 내 외빈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무더운 날씨에도 대회장을 가득 메워 주신 이 땅의 평화,통일 시민들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오늘 우리는 역사적인 6.15공동선언 14주년 기념대회를 갖습니다. 발표된 지 14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6.15공동선언의 가치와 생명력 그리고 민족사의 끼친 위력은 전혀 바래지 않았습니다. 오늘 이 자리에 함께한 우리가 바로 그 실체이며, 여전히 어려움과 곡절을 겪고 있지만 의연히 가동되고 있는 개성공단이 구체적 증거입니다.

사실 오늘 우리는 개성에 모였어야 합니다. 북녘 동포들은14주년 ‘남북공동기념행사’를 개성에서 개최하고 동시에 세월호로 희생된 영혼들을 추모하는 행사를 갖자고 제의해 왔습니다. 북녘도 평양 아파트 붕괴사고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는 소식을 알고 있기에 남북이 함께 사고 희생자를 추모하고, 서로에게 위로의 뜻을 전하는 행사를 가졌더라면 얼마나 좋았겠습니까?

하지만 안타깝게도 박근혜 정부는 또 다시 남북 상황을 이유로 6.15공동행사를 불허하였습니다. 남북간 신뢰 증진의 첩경이 6.15선언을 존중하는 것이고 그것은 민간의 6.15남북공동 기념행사를 수용하는 데서 시작된다는 우리의 요구를 여전히 '정치적 행사' 운운하는 구시대적 논리로 외면하는 것은 참으로 개탄스런 일입니다. 이른바 ‘선관후민’이니 ‘남남갈등 우려’ 등도 정부의 궁색한 변명에 지나지 않습니다. 

급박한 남북관계 상황을 이유로 민간행사를 불허하는 것은 극히 예외적인 한두번의 일이라면 몰라도, 벌써 6년째 민간교류를 상징하는 6.15남북공동행사를 불허하고 있는 것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래놓고 정부가 여전히 6.15선언을 존중하고 있다고 말한다면 누가 믿겠습니까. 이 정부는 ‘한반도신뢰프로세스는 이명박 정부의 비핵개방3000 정책과는 다르다’고 했습니다. 그러하기에 실망감이 더욱 큽니다. 큰 실망은 큰 분노로 이어진다는 점을 박근혜 정부는 알아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은 시간이 있습니다. 이제라도 6.15공동선언을 전면적으로 이행하는 길에 나선다면 남북관계의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입니다. 이는 모두가 바라는 길입니다.
내년이면 분단 70년이 됩니다. 분단 70년이 대결과 적대로 얼룩지는 또 하나의 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제라도 온겨레에게 평화와 공동번영의 희망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제2의 6.15시대를 열어가야 합니다. 당국과 민간 등 다방면의 남북대화와 협력을 통해 평화와 안정의 기반을 다지고, 철도 연결을 통해 대륙 진출의 길을 열어내고, 가스관과 송유관의 연결을 통해 남북 모두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오는 평화와 공동번영의 시대를 열어가야 합니다. 그것이 한반도의 전쟁위기를 막고 핵문제를 해결하는 지름길이기도 합니다.

국민여러분, 오늘은 6.15남측위원회가 지난 14년 동안의 발자취와 업적을 뒤돌아보고, 다가올 통일 조국의 비전을 밝힘으로써, 6.15남측위원회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과 민족화해와 평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자기 소명을 다지는 날입니다.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6.15남측위원회는 다방면의 민간교류를 실현하고 남북관계의 물꼬를 트는데 그 누구보다 앞장서서 노력하겠습니다. 그리하여 제2의 6.15시대를 여는 가교가 되겠습니다. 
‘통일과 평화번영의 시대’를 향한 6.15남측위원회의 노력에 국민 여러분의 계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호소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제공 - 6.15남측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세월호 참사는 자작극이란 주장에 누리꾼들 호응

 
 
세월호사고는 교활한 자작극이 미필적 대량학살이된 어이없는 참사다!
 
이창기 기자 
기사입력: 2014/06/15 [17:57]  최종편집: ⓒ 자주민보
 
 
 
▲ 세월호는 박근혜 정부의 자작극일 가능성이 있다는 토론방 글이 2만5천 이상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대다수가 절대적인 공감을 표하고 있다.     © 자주민보

세월호는 박근혜 정부가 국정원 선거부정 사태 등 위기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만든 자작극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주장이 인터넷 상에서 점차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물론 박근혜 정부는 승객 전원구출을 위한 자작극 계획을 세웠는데 예기치 않게 세월호가 너무 쉽게 물에 가라앉는 바람에 수백명을 학살하는 미필적 고의 참사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실제 일본에서 같은 종류의 배가 쓰러졌는데 13시간 넘게 바다위에 떠 있는 채로 해안가로 떠밀려 결국 얕은 바다에 걸려 해체 된 적이 있기 때문에 사람은 희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런 일을 계획할 소지는 없지 않다고 본다.


특히 국가기관이 총동원된 대통령 선거 부정이 자행되었음이 검찰조사 결과 명백히 밝혀진 상황이다. 그렇게 당선된 정권이기 때문에 이 정도의 사건 쯤이야 얼마든지 기획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사실 정부에서 발표한 모든 발표가 제대로 맞는 것이 하나도 없지만 이 자작극론에 따라 세월호 사고를 처음부터 맞추어 보면 거의 모든 상황들이 다 맞아떨어지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7시 20분 굿모닝 대한민국에 세월호 사고 소식이 먼저 보도된 것을 보았다는 수많은 증언과 관련 사진들, 사고 이후 한결같이 미리 보도 내용을 받아 놓은 것인양 전원구출했다는 방송 오보, 제일 먼저 선원들만 구조했고 그들은 조타실과 배 중간 두 군데로 나누어 연락을 받고 기다리는 것처럼 난간에 나와 기다리고 있다가 구조되었다. 

또 해양과학 전문가들이 파공에 의한 사고 가능성을 지적하자 국정원이 나서서 모든 관련 전문가들에게 함구령을 내리고 유언비어 유포죄로 누리꾼들을 체포하는 공포분위기 조성, 사고 원인에 대한 조사를 제대로 하지도 않고 구원파로만 몰아가는 행태 등 그간 상식적으로 납득이 되지 않은 장면들도 자작극이라면 다 이해가 된다.

특히 첨단 구조장비를 갖춘 누리안호, 미국의 해난구조팀, 해군의 구조함 등을 모두 차단시킨 이유나 구조활동을 신속히 하지 못한 점도 그런 자작극 증거가 외부에 혹시 알려질 것을 막기 위해 신중을 기하다보니 발생한 일이 아닌가 생각된다. 

다음은 관련 주장을 제기한 '정치피피오'님이 한겨레신문 토론방인 한토마에 올린 글이다. 링크를 건 자주민보 기사 두개와 통합진보당 김선동 의원의 동영상은 필자가 보충한 것이다.

................................................................................................

원문 주소: http://c.hani.co.kr/hantoma/2514629

세월호는 국정원과 청해진이 짜고벌인 조작극이 국민학살로 발전한 어이없는 참사다! 합리적 의심은 루머가 아니다! 


 
  • 추천 808
  • 비추천 14
  • 조회 25447
  • 댓글 5
  • 2014.05.25 05:59

     
    세월호사고가 40일이 되도록 미숙한 구조 활동과 사후처리는 물론
    사고 원인에 대한 수사조차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필자도 처음에는 단순한 안전규정 미비와 부실한 구난시스템으로 인한 
    인재 정도로 생각했다.
      
    그러나 지난 한달동안 보이는 상식을 벗어난 사고축소, 은폐시도
    그리고 민간기업, 해경, 해수부, 해군, 검찰, 국정원, 청와대까지 
    끝이없는 커넥션이 드러나며 
    이제는 단순사고가 아닌 조직적인 범죄로 의심하고 있다.
    그러나 증거들이 정황과 증언의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사건이 국가권력에 의해 파묻혀 버릴지 모른다는 위기감을 가지게 된다.
      
    필자는 사고 3일 후인 4/19일 ‘세월호사고에 대한 가상시나리오’를
    작성 후 이 커뮤니티에 기고하여 7만여명의 조회를 받았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지켜본 정황들과 
    공중파에는 알려지지 않는 증거들을 정리하여
    사과의 발생과 처리과정까지 좀더 보강된 2차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
    먼저 필자의 결론은 세월호 참사는 우연한 사고가 아닌 
    고의적인 의도로 만들어진 조작극이라는 것이다. 
     
    이 사고의 기획과 실행자는 국정원과 청해진해운이고,
    그 사고의 수습에 가담한 공범은 해경, 해수부, 언딘이며,
    미필적 종범은 청와대, 해군, 검찰, 언론기관, 선원들, 유병언과 구원파, 
    관련 관료와 공무원들일 것이다. 
     
    그 상황들을 하나씩 정리해 보자!!
      
    1. 왜 이런 사고가 기획되었을까?

    가) 부정선거 선거댓글 조작과 공무원간첩사건, 이석기 내란 음모사건, 
    무인기 사건 등과 같은 수많은 조작사건들이 무위로 돌아가며
    국정원은 사면초과의 위기 상황에 있었다.
    15일 남재준원장이 직접 사과발표를 했고,
    여,야 정치권으로부터 사퇴 압력이 최고조에 달한 시점이었으니,
    국정원은 이를 잠재울만한 여론 환기용 재료가 필요했다.
    따라서 국내에서 연안여객선의 침몰과 같은 대형사고가 일어나면
    지방선거국면까지 여론을 돌릴 수 있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

    이런 대형사고가 발생했는데 국정원의 주도아래
    피해를 최소화하며 원만하게 잘 수습했다며
    분위기 전환과 국정홍보에 이용하려는 속셈으로
    구조 인력과 언론 보도자료까지 알뜰하게 준비한 정황이 
    오보의 자세한 자료에서 보인다!

    그러나 예상치못한 빠른 침몰로 인명 피해가 생길줄은
    예상하지 못했던 것 같고, 
    그 후에 보여준 허술한 대응은 단순사고를 참사로 만들었다!!!
      
    나) 또한 공범인 청해진해운의 경우 
    도입 후 안전성에서 지속적인 문제를 일으켜온 세월호를
    사고를 가장하여 폐기하고 보험금을 받아내려 시도할 수 있다.
      
    일단 세월호는 제주-인천간 운행독점권을 유지하기 위해 
    100억을 대출받아 일본에서 폐선 처리된 중고 선박을 사들이고
    수십억을 들여 개조를 했다
    (일본 취항당시 정원 804명짜리 배를 정원 921명으로 증가시켰다)
    그러나 무리한 개조로 안정성(무게중심 상승, 복원력 부족)이 
    심각하게 손상 받았다.
      
    이에 한국선급은 검사를 마치고
    개조전보다 화물 적재량을 2437톤에서 1450톤으로 줄이고
    여객 무게도 5톤(90명에서 100명)을 줄이며
    바닥에 담는 평행수의 양을 1023톤에서 2030톤으로 늘리라고 
    조건부 운행허가를 했다!!


    결론적으로 개조전보다 화물과 승객을 줄이라는 말이고 
    이는 이배가 그만큼 쓸모없는 배가 되버렸다는 것이다.
    그래서 청해진해운측은 이배를 도입한지 4개월만에 이미 국제중고시장에 
    매물로 내놓은 상태였다.
    한마디로 처치 곤란한 골치 덩어리였던 셈이다
      
    더구나 100억원의 부채를 지고 사들인 이배의 실제 도입가가 얼마일까?
    장부상으로는 130억이라고 되어 있지만
    전문가들은 폐선의 경우 고철값으로 배를 불하하기 때문에
    30~40억원 정도를 예상하고 있다!
    일본과의 거래내력과 국제시세를 확인하여 조사해야할 부분이다.
     

    그런데 세월호의 선체보험은 대출금과 비슷한 114억원이 들어있었다.
    100억이상 주고 산 배에 수리비를 수십억 들인 것 치곤 계약 보험금이 너무 적다!
    이것이 도입가격을 속인 또 하나의 반증이 될 수 있으며
    이 보험금은 산업은행에 질권처리가 되어 있어 세월호가 사고로 폐기되면 
    산업은행은 보험료를 수령해 대출금을 상환 받을 수 있다.
    반대로 산업은행은 그 보험금이 아니면 대출금을 정상적으로 상환받을 방법이 
    없다고 봐야 하는 상황이다.
     
    이와같은 정황을 종합해 볼때 세월호의 도입당시 
    산업은행(강만수 당시행장)과 모종의 권력(MB?)과 청해진해운(유병언?)이 
    단합하여 부정대출을 했을 거라는 강력한 의혹이 든다!!
    그래서 청해진해운 입장에선 이미 도입시에 충분한 수익을 빼돌렸고 
    적당하게 이배를 처치(?)할 기회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보험처리가 아닌 100억원 대출금을 생짜로 갚기는 너무 억울하지 않은가?
    이미 잔치는 끝나고 파이는 나눠먹은 상황에서.....
    (아! MB는 정말 빠지는 구석이 없다! 실로 존경스러울 정도다!)
     
    실제로 청해진의 전신인 세모시절 
    소속 선박인 데모크라시 2호가 운행 중 화재로 전소했으나 
    승객69명과 승무원 전원이 구조된 사례가 있고,
    데모크라시 3호도 정박 중 화재로 전소한 적이 있으며, 
    두 배는 모두 보험으로 선체가격 전부를 보상받았다. 
    여러모로 보아 고의적 조작극을 벌일 동기를 의심하게 되는 상황이다
      
    2. 범행은 어떻게 기획되었을까?
    우선 범행의 걸림돌은 6000톤이 넘는 초대형여객선을 
    어떻게 의심을 안 받고 침몰시킬것이냐 하는 것 이다.
    특히 보험금을 무난하게 수령하기 위해서는 
    사고의 원인이 불분명해 귀책사유가 없어야 하고
    증거를 남기지 않는 뒤처리가 깔끔해야 하며
    승객의 피해를 최소화해야 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래서 얕은 수심의 바다에서 좌초 또는 침몰 상황을 만들어, 
    승객은 구조하고 배는 수장시키는 방안을 연구했을 것이다.
     
    그러나 사고 당일은 바다가 잔잔했고 풍랑도 없는 상황이라, 
    마땅한 침몰 원인을 만들어 내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배 내부에서 폭발물로 구멍을 내서 침수를 일으키고
    배의 균형이 무너진 후 급선회를 통해 배를 옆으로 쓰러트리는 방법을 
    연구했다고 추정된다.
      
    인터넷에서 다양하게 제기되어 왔던 루머들 중에는
    암초 좌초설, 연습용 어뢰피격설, 소형 잠수함 충돌설, 핵폐기물 운반설등
    다양한 가정들이 존재하지만.....
    최근 드러난 일련의 증거를 감안하고, 
    이 사건이 고의로 연출된 조작극이라는 가정하에서는,
    내부 폭발과 고의적인 전타를 통해 배를 자빠트렸다
    는 가정이 가장 신빙성이 높아 보인다.
    (다른 가설들의 경우 피해 정도를 정확하게 통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 이 가설에 대한 증거들을 찾아보자!
      
      
    3. 주범은 누구인가?
    이번 사고의 중심에서 의심스러운 인물들과 상황들이 있다
      
    가) 주범1 - 매우 수상한 1등 항해사 신정훈(34세)
    사고 하루 전날 3등 항해사 자격으로 입사해 1등 항해사로 취업했고,
    당일 실제 선장을 대리해 배를 운행한 것으로 밝혀진 인물이다
    화물의 적재관리와 배치, 평행수를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고
    최초 제주 VTS조난 신고를 한 인물이며
    안기부에 사고 보고를 한 선원이었고
    승객들은 제자리 있으라는 선내 방송을 했고
    기관실등 주요 운항직 선원들의 탈출을 지휘했으며
    20명의 선원들 중 유일하게 살인죄 기소를 면하고
    선원치곤 너무 흰 피부에 구조 후에도  
    계속 마스크를 쓰고 있었던 부끄럼쟁이다
    그런데 현재는 행방불명이 됐다는 신비로운 인물이다!!
    (북한 공작원이라고 그럴라나?)
     
    이 사람의 정체를 밝히는것이 진실규명에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현재 이사람에 대한 인적정보를 철저히 숨기고 있고,
    그의 자격증 취득기록도 확인이 되지않아 의혹은 더 높아지는데
    국정원 직원이라는 주장도 있고,
    창원 해경 수사과장으로 근무하던 신정훈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잡아봐야 정체가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검찰이나 경찰이 잡을 것이라고는 기대하지 않는다)
      
    그런데 신정훈의 청해진해운 입사가 있기 하루 전 전에 
    선원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1등 항해사 선장을 대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이 우연의 일치 일까?
    청와대의 연관성을 의심하게 되는 하나의 단서일 수도 있겠지만
    우기면 증거 없음으로 통과!
      
    그리고 원래 세월호에 승선할 선장은 다른 사람이었으나
    당일 이준석 선장이 교대해 배를 탓으며, 그와같이 승선한 선원들은
    그가 배를 신정훈에게 맏기고 평소와는 다른 행동을 했다고 증언했다.
    (이상호기자의 고발뉴스 증언 http://t.co/UBYtpAdeyE)
    즉 외부적인 영향력을 받아 이준석 선장과 신정훈 1등 항해사가 
    역할을 교대한 뚜렷한 정황이 확인된다!
      
    나) 의문의 빨간 전신작업복의 사나이! 그는 누구인가?
    누구도 이 사람의 정체에 주목하지 않았다
    그러나 해경의 구조CCTV가 공개되면서 이사람의 정체가 의심받기 시작했다.
    해경이 세월호에 도착해 제일 먼저 구조한 인물이다!
    (김어준의 KFC #9을 비디오 클립으로 한번 보시실 강추)
      
    기관실과 연결되는 통로에서 혼자 구조되었으며
    (수상한 구조장면 자료 http://t.co/37SZee10fE)
    이 사람이 입은 붉은색 작업복이 군과 경찰에서 
    흔히 폭발물이나 위험물을 담당하는 요원들이 착용하는 것이라고 하는데, 
    이 사람과 신정훈 때문에 구조자 명부가 
    한달뒤에 수정되는 헤프닝이 생기지 않았나
    의심되기도 하는데.....
    신정훈과 함께 반드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인물이다.
    최근 마스크맨이 세월호의 기관실 조기수로서
    4월24일 이미 구속되었다고 하는데, 
    실제 그 오랜지맨이 맞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폭발물이 내부 반입되고 그 폭발로 세월호에 구멍이 생겨 침수가 됬다는
    가정이 가능한 또 다른 정황은
    생존자들이 7시 45분경 쿵! 하는 충격과 함께 선내가 기울어지고
    물건들과 사람들이 넘어졌다는 증언과,
    학생들의 남긴 동영상속에 나오는 계란냄새와 같은 수상한 냄새의 정체이다.


    이는 폭발시에 생기는 황화가스 성분의 전형적인 냄새이고
    철판을 녹이는 용접재나 철갑소이탄의 원료로 쓰이는 
    써마이트(테르밋)이란 재료를 사용한 고의적인 폭발을 추정 할 수 있다.
    이 폭발을 빌미로 세월호의 침수가 시작됐다고 예상된다.
     
    참고
  •  백tv 백철준(http://m.youtube.com/watch?sns=tw&v=R9w9csN-xQ8)
     
    특히 사고초기 기관실 선원들이 선장의 전화를 받고 철수해 동반 출한 정황과
    배 선미가 오래 떠있었던 것으로 보아
    폭파 지점이 기관실 주변의 배 바닥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일부 사진자료등에 스크류 뒷부분과 배 밑바닥에 나타난 천공과 
    페인트가 벗겨진 하얀 띠같은 부분이 증거가 될 수 있다
    (물론 인양전에 조작이나 훼손이 없어야 밝혀질테지만...)
     
    한편 친절한 국정원 제휴종편 TV조선에서는 
    세월호가 바닥에 천공이 생겨 침수로 인해 침몰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방송을 했다.
    이는 나중에 발견될 구멍에 대한 일종의 물타기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어쨌거나 잠깐 나오던 이 뉴스는 바로 삭제되었다 
      
    다) 맹골수로에서 전타로 배를 뒤집은 사람은 누구인가?
    현재는 경험이 전무한 25살의 여성 3등 항해사와 조타수가 
    배를 조타하는 과정에서 이유없이(?) 급속 전타를 했고, 
    그로인한 화물 쏠림으로 침몰이 시작됐다고 우기고 있는데...
    전문가들은 말도 안되는 주장이라고 반박한다.


    그럼 이렇게 큰 배가 파도도 없는데 어떻게 넘어갔을까?
    증언과 전문적인 설명들이 있는데 지면으로 설명이 어려우니...
    링크된 전문가의 해석을 참조하길 바란다
    (http://t.co/rmC1t7qBMU)
     
    좀 간략하게 정리 하자면, 
    세월호는 폭발 후 진도 앞바다에 정박하며 침수를 기다렸다가
    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엔진을 돌려 전속 회전하며
    고의적으로 넘어졌다는 것이다.
    한 시간 이상 멈춘 배를 본 주변 어민들의 증언과, 
    배가 넘어질 때 연도(굴뚝)에서 연기가 났다는 주변 유조선 선장의 증언이
    이 가설을 뒷받침 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고의적인 기동을 한 사람이 누구인지 몰라도
    밝혀야 할 숨겨진 세 번째 X맨 이다.
      
    4. 공범들의 활약과 허술한 조작질들!
      
    이 사고를 기획한 국정원과 선사는 충분한 계획을 통해 사고와 수습계획까지
    완벽하게 준비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이들이 차마 생각하지 못한 것은 기울어져 천천히 침수 할 줄 알았던 배가
    갑자기 뒤집어지며 전복이 되는 상황이었다.
    이에 대한 매뉴얼이 없는 상태에서 공범과 종범들의 손발이 맞지않는
    아노미 상태가 벌어졌고, 사고는 참사로 바뀌었다
    이제 공범들의 허술한 조작질의 증거를 찾아보자
      
    가) 사상최고의 오보를 낸 방송사들! 소스 제공자는 누구인가?
    최악의 상황에 당면한 공범은 ‘전원 무사구조’ 오보를 낸 방송사들이다.
    당일 11시 1분 최초 오보를 낸 MBC , 2분뒤 YTN, 채널 A, KBS를 순서로
    공중파 전체가 오보를 냈다.
    그리고 방송 내용에서 구체적인 구조자수, 투입 장비와 인력까지 명시한 
    자막과 화면을 내놓았다.
    단독으로 특종보도를 낸 방송사가 없다는 것은
    동시간대에 공통된 보도자료가 모든 방송사에 배부 되었음을 의미한다.
    물론 7시 20분에 전에 속보로 사고발생 자막이 떳다는 주장과, 
    인터넷 뉴스에 기사 등록 시간이 7시 30분 전후인 자료들이 캡쳐되어 있다.
  • http://www.jajuminbo.net/sub_read.html?uid=16229
  • http://www.jajuminbo.net/sub_read.html?uid=16228

    그럼 생각을 해보자!
    바다에 떠 있는 배의 사고소식을 알려줄 사람은 누구일까?
    그 배의 정보를 받을 수 있는 해경, 해수부, 119, 안전행정부등이다.
    그런데 세월호는 희안하게 사고보고를 국정원에 먼저하게 되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뉴스타파와 고발뉴스 보도 참조)
    즉 세월호가 사고가 나면 국정원이 가장 먼저 알게 된다는 것인데,
    국정원은 최근까지도 뉴스보고 알았다고 우기다가,
    정홍원 총리가 국정원이 선원으로부터 보고 받은게 맞다는 발표를 했고,
    인정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럼 방송사에 그 소스를 준 제공자가 누구겠는가?
    왜 방송사들은 그 정보 제공자를 밝히지 못하겠는가?
    그 욕을 먹어가면서도 밝힐 수 없는 배후가 국정원이라는 암묵적인 고백이다!!
    그럼 국정원은 배가 침몰한다는 보고를 받고, 
    “그래? 알았어 수고해! 고생하겠다 야~”라고 그냥 끊었을까?
    아님 관련 기관에 후속 조치를 명령 했을까?
    상식적이라면 나몰라라 한다는게 말이 안되는 것이다!
     
    현재 모종의 압력이 모든 방송사들을 겁박해 
    최초 뉴스의 정보 제공자를 밝히지 못하게 하는 이유는
    국정원이 알았으면, 청와대도 알았고, 그들이 주도하여 구조를 지휘했을 거라는 
    지휘 계통상의 고리를 끊어야 하기 때문이다.
    사고 첫날 보고를 잘 받고 있다던 청와대 대변인은 
    하루만에 말을 바꾸고 청와대는 콘트롤 타워가 아니라고 했다.
    박근혜와 청와대 인사들이 절대 이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한 근거가 이것이다!!
      
    나) 선사는 어떤 역할을 했을까?

    청해진 해운은 이일을 국정원과의 공조를 통하지 않으면 진행 할 수 없다.
    인명과 재산을 걸고 벌이는 자작극에 면피를 위해서는, 
    완벽한 사후 조치와 법적준비, 보험사와의 사전단합등이 필요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 한 축을 담당하는 청해진의 법률자문이 우리나라 굴지의 로펌이고,
    사고 당일 오전 모종의 통화를 한 정황이 있는데, 
    그 내용을 밝힐수 있다면 진실규명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번 사고에서 청해진해운이 사고 직후에 주로 한 일은
    승선인원수와 화물의 내용이 적힌 장부를 숨기고,
    승선 당시 CCTV와 운행일지 등을 인멸하는 작업을 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16일 세월호가 바다에 가라앉던 순간에도
    청해진해운의 물류팀장은 사내 전산시스템에 접속해 
    화물 적재량을 기존에 입력된 수치보다 195톤을 줄여 과적을 은폐하려 했다!
    그런데 왜 고작 195톤이었을까?
    세월호에는 이미 권고한 화물량 1077톤보다 무게로는 약 2배, 
    부피로는 3배가량 많은 화물을 싣고 운항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세월호가 겨우 195톤만 줄이면 과적 사실을 숨길 수 있다고 판단할 걸까?
      
    그 이유는 청해진해운이 감행한 이 숫자 조작이
    보험금을 받을수 있는 최대의 허용한도에 맞췄다는 점이다. 
    2008년 11월28일 ‘선박안전법 일부개정 법률안’을 통해 
    선주의 책임을 완화하는 법안 6개가 발의됐고, 
    욕심많은 청해진해운은 이법에 맞추어 보험금이 최대한 지급될수 있는 만큼만
    조작을 했다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경향신문등 당시 언론보도 참조)
    이것이 이 사고가 보험사기를 위해 사전에 기획하고 동조했다는 가설을 
    확증하게 만드는 증거다!!!!!
    더 많은 수상한 정황이 있으나, 이 이상 무슨 증거가 더 필요한가???
      
    다) 수행범 해경! 주범으로 몰려 해체당하면서 담담한 이유?
    지금까지 언급한 것처럼 이미 사고는 국정원에 의해 기획되었고 
    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해경은 정해진 시간에 출동하여 인력을 구조하고, 
    그 공을 독차지할 꿈에 부풀어 있었을 것이다.
    그러니 주변어민이나 다른 기관의 도움을 거절할 수 밖에...
      
    그러므로 최초로 배에 간 123정의 임무는 
    세월호안의 공범들을 먼저 빼돌려 항구로 데려와
    사건에 입을 맞추게 하는 시간을 벌어주는 것이었다고 추정한다.
    경비정 한척과 헬기 두척으로 500명 가까운 인력을 구하러 갔다는 
    상황자체가 말이 안된다.
    오로지 선장과 선원들을 승객들 모르게 구해오는 임무뿐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선원들을 옷을 갈아 입혔고,
    혹시나 승객들이 볼까봐 배안에 머무르라고 방송을 했으며,
    선미를 두고 선수에 가서 선장과 일행들을 먼저 실었다.
    그래서 눈앞에서 가라앉는 배를 보고도 신속한 초기구조도 하지 않은 것이다.
    너무도 자명하지 않은가????
      
    어쨌든 최소 완전 침몰까지 3시간은 넘게 걸릴거라는 일반적인 예상을 뒤엎고
    세월호는 갑작스럽게 완전전복된 후 침몰했다.
    동일한 쌍둥이배가 일본에서 화물 쏠림으로 뒤집힌 적이 있었지만 
    13시간 이상을 기울진체 떠있었다고 한다.
    이런 급작스런 침몰은 배의 빠른 침수가 원인이고
    폭파에 의한 파공이 존재하다는 또 하나의 증거일 수 있다 


    아뭏튼 갑작스런 전복으로 인해 단순 구조에서 전문 잠수기술이 필요한 
    특수구조상황으로 돌변했다
    그러나 해경은 이들을 구조할 능력과 장비가 전무했다.
    이 상황을 알리없는 국정원은 외부의 구조 지원을 모두 차단시키고,
    (미군, 일본, 해군참모총장의 출동 명령을 중단시킬 결정과 능력을 누가 발휘하겠나?)
     
    엄청난 인력과 장비가 구조를 열심히 하고 있다고 시종일관 오보를 냈다.
     
    그런 상황에서 해경은 구조하는 척 유가족들을 속이고 
    해류와 파도탓하며 언딘만을 기다렸고 생사를 좌우할 골든타임 2일을 허비했다.
    실제로 초기 사고 2일동안은 바다가 잠잠한 상황이었고
    해경 자체에서는 실제로 구조명령도 없었고, 구조활동도 전혀 없었다.
    이것이 해경 단독으로 실행이 가능한 실수나 태만이겠는가?
     
    그러나 이틀이 지나 도착한 언딘도 인양업체일 뿐 구조능력은 없었고,
    초기에 현장에 있던 군과 민간의 우수한 장비와 인력을 활용해보지도 못하고
    300여명의 생명 중 한명도 구해내지 못했다!
    언딘의 사장은 이런 취지의 회견을 했다.
    “구조는 국가가 하는 것이고 우리는 구조를 상정해 현장에 온게 아니다”
    결국 이러한 방관이 고의적 살인이 아니고 무엇이란 말인가? 
    이것이 정부와 관료의 무능을 반드시 단죄해야 하는 이유다!!!!
     
    이처럼 해경은 종범에서 주범이 되었고, 
    결국 해체라는 극한 상황을 맞았지만 내부 조직들은 이미 조율을 맞춘 듯 하다.
    해경의 인원 8000중 7000이 새로 생기는 안전처로 옮기게 될 것이고
    남은 인력들은 경찰로 이관되거나 명예퇴직을 통해 충분한 보상을 지급하며
    인력과 조직을 정비하고 있다.
    어이없게도 해경의 그 누구도 조사나, 문책이나, 징계를 받은 사람이 없다.


    유일하게 119구조대 소속으로 대기명령을 무시하고
    바다에 뛰어든 헬기 구조요원만이 조사를 받았고,
    우습게도 소방방재청이 수장 직급격하과 조직해산이라는 징계를 받고있다
    (명령불복종이란 괘씸죄인가?)


    결국 해경은 간판만 바꿔달고 청에서 처로 승격되는 격이며,
    이는 끝까지 국정원등 윗선의 개입을 언급하지 않고, 
    입을 꾹 다문 댓가가 아닐까?
      
    라) 수사는 뒷전? 검찰의 뻔한 짓거리들!

    애초에 이 정부는 이번 사건에 대한 수사를 제대로 하지 않겠다고 
    선언한것이나 다름이 없다!
    초기 수사를 해경에 맏겨 VTS 통신기록과 CCTV등 중요기록을 삭제하고,
    선장과 선원들을 합숙시키며 입맞춤까지 끝냈으며,
    관련기관을 예고 압수수색하며 초기 증거들을 완벽하게 인멸했다.
      
    그 뒤 본격 수사를 맡은 수사팀을 안상돈 검사에게 맏겼다.
    그는 용산 참사당시 사건을 축소하여 ‘일 한해서 영전된’ 물의를 빚었던 인물로
    이미 언딘과 해경이 수사대상이 아니라고 밝혀 
    물 건너 간 수사를 예고하고 있다.


    역시나 주범으로 몰리고 있는 유병언 일가에 체포 영장을 발부하고,
    체포쇼를 하며 현상금만 5천만원을 걸었다.
    (이게 그새 5억으로 올랐다, 빈라덴과 동급이지만....과연 잡을까?)
    아마도 해외도피를 할 수 있도록 시간을 벌어주는 모양인데....
    지방선거 전날인 6월3일날 잡힌다는 농담이 떠돌아 다니기도 한다!
    단원고 학부모 유가족들 미행 사찰하는 능력은 있어도, 
    유병언 뒤꽁무니는 못 잡나보다.
     
    어쨋거나 지지부진한 검찰의 행보는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으며,
    특검을 통한 본질적인 사고 원인추궁이 필요한데, 
    우리 정치권은 지방선거에 미쳐 이 사안에 대한 진척은 하세월일 것으로 보인다!
      
    마) 구원파! 너희는 도대체 백이 얼마나 대단하냐?
    구원파의 유병언의 정치, 경제계 인맥은 정말 어마어마한 모양이다.
    심지어 나라의 실질적인 1인자인 김기춘 비서실장과 맞짱을 뜰만큼
    정재계의 치부를 틀어쥐고 있는 모양이다.
      
    유혈사태를 예고하던 금수원의 진압이 ‘우리가 남이가’란 현수막과 함께
    친절한 경찰의 예고방문 정도로 끝났고,
    황교활 법무장관 (이 인간이 국정원장 간다는 말도 있는데..아이고...)은
    이번 사건은 기업비리 차원에서 수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법원은 현행 상법상으로는 구상권행사와 살인죄 기소는 어렵다고 말을 흘리고
    청해진해운은 이미 파산절차를 밟고 있다.
     
    청해진해운이 법적으로 파산조치가 끝나면, 
    2조원에 달하는 직간접 피해에 대한 구상은 물 건너가고 혈세가 투입되야 하며
    특히 보험료 미지급 요건으로 인해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마져 어려운 상황이 될지가 가장 큰 걱정이다.
    한마디로 완벽한 먹튀가 진행, 완료중인 것이다.
      
    여기까지가 필자가 정리하고 분석하는 
    기껏 100억짜리도 안되는 20년된 고물배로 인해
    2조원의 피해와 300여명이 훨씬 넘는 사망자를 만들어낸
    역사에 남을 참사! 세월호의 사고 경위이다!!!!!
      
    -------------------------------------------------------------------
      
    휴...밤을 새가며 지금까지 드러난 지난 한달간의 정황들을 정리하면서
    끓어오르는 분노에 눈물이 자꾸 난다!
      
    사고는 있었으나 구조는 없었고, 
    대통령은 있었으나 정부의 조치는 없었으며,
    수사는 한다지만, 모든 진실을 점점 더 묻혀가고,
    책임자 처벌과 진상규명에 나서는 정치인은 여야에 아무도 없다!
      
    이 글을 읽고 그저 루머라고 선동이라고 치부하는 사람이 있다면
    나는 그 사람에게 물어보고 싶다.
      
    억울하게 귀한 생명을 잃은 국민들을
    차가운 체육관 바닥에 방치하고 
    담요 한장, 밥 한끼 주지 않았고
    장례비를 깎고, 조문연출에, 눈물쇼와 치적홍보영상으로 우롱하고
    성의있는 생활보호대책과 보상도 준비하지 않고
    정당한 요구를 선동으로 몰아붙이고 유가족들을 감시 사찰했으며 
    이를 바로잡으라는 국민들의 요구를 불법시위라며 탄압하는..... 
      
    이런 정부를 믿고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살아 갈 수 있겠느냐고.................. 
      
      
    * 이 글은 대한민국 헌법이 주권 시민 (헌법1조1항) 에 부여한 천부적 권리인 
    양심의 자유(제19조) 에 따라 
    헌법 제 21조 제 1항의 언론출판의 자유조항이 넓게 보장하는 알권리와 표현의 자유를 
    행사하는 것임을 천명합니다.
 
관련기사
 
세월호는 선회하다가 쓰러진 것 아니라, 갑자기 쓰러진 후 선회했다는 결정적 증거
 
세월호 엄마 아빠가 딸을 보내며 만든 추모 동영상
 
세월호의 AIS 누가, 왜 무력화시켰나.
 
김어준의kfc, 세월호학부모 전화기록 일제히 삭제됨, 음모세력 존재가능성 있다.
 
의혹의 세월호, 항적기록용 통신 밧데리는 정전과 무관, 해경 전에 사고 배 항적기록 조작한 적 있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제 다시 6.15선언으로 돌아가야 한다"

 

남북경협기업인들, ‘응답하라 6.15! 소통 콘서트’
정익현 통신원  |  tongil@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4.06.15  00:00:13
트위터 페이스북

남북경협기업비상대책위원회(남북경협비대위)는 13일 오후 7시부터 9시 30분까지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개그맨 노정렬 씨의 사회로 6.15남북공동선언 14돌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 13일 광화장에서 700여 명의 참석자들이 가수 안치환 씨의 공연에 박수로 화답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정익현 통신원]

오후 6시 풍물공연패 ‘살판’을 앞장세워 광화문광장과 청계광장, 동화면세점, 세종문화회관으로 길놀이 및 거리홍보를 시작으로 남북경협비대위와 11개 통일단체가 공동주최한 6.15남북공동선언 14돌 기념행사 ‘응답하라 6.15!’가 7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히 열렸다.

유동호 남북경협비대위 위원장은 인사말에서 “현 시기 소통은 가장 중요한 화두이며 전 세계에서 가장 불통인 남과 북을 소통으로 만든 6.15남북공동선언은 역사 속에서 가장 찬연한 소통으로, 기쁘고 아름다운 소통이었으나 지금은 식물화 된 상태”라고 말하고 오늘부터 6.15남북공동선언이 되살아나도록 6.15 정신을 가슴에 새기자는 의미로 행사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 남북경협비대위 유동호 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정익현 통신원]

글로벌 통일운동단체 AOK(Action For one Korea ) 정연진 대표도 무대에 올라 “AOK 운동은 국내외에서 동포들이 힘을 합쳐 통일시대를 함께 만들어가자는 운동”이라고 소개하며 통일손수건에 담긴 취지를 설명했다.

“언젠가는 세계인의 축복 속에 원코리아가 탄생할 수 있도록 전 세계에 긍정의 물결을 만들어가야 합니다. 그래서 올해부터 AOK는 OK 캠페인을 벌입니다. 마침 one Korea 의 약자가 O.K.입니다. ‘오케이’라는 ‘좋다’라는 말은 세계 어디에서나 자주 쓰는 만국공용어지요. ‘지구촌 사람들이 오케이를 말할 때마다 하나의 코리아를 생각하고 염원하게 하자’라는 캠페인 입니다. 올 7.27 정전협정일을 기해 지구촌 모든 사람들이 오케이, 원 코리아를 외치는 날까지 이 캠페인에 동참해 주세요, 오케이~~~? 원 코리아~~!!”

   
▲ AOK 정연진 대표가 통일손수건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정익현 통신원]

지난 6.4 지방선거 날 광화문광장에서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선거연령 낮추기와 교육감 청소년 투표권을 요구하며 1인시위를 한 청소년들이 편지를 낭송했고,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 당선자도 무대에 올라 소통의 장을 가졌다.

청소년들이 “학생들과 자주 만날 용의가 있냐?”고 묻자 조 당선자는 “학생들과 자주 만나 소통하겠다”고 답했다.

조희연 당선자는 일반고 전성시대를 열어 공교육의 중심으로 자리잡게 하겠다고 말하고 교육정책은 ‘One Korea, 하나된 조국의 꿈, 하나의 대한민국, 하나의 조국’이라고 강조했다.

   
▲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 당선자와 ‘개념 청소년’들이 소통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정익현 통신원]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도 무대에 올라 인사를 하고 6.15남북공동선언 당시를 회상하면서 박근혜 대통령도 자신의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의 7.4남북공동성명에서 천명한 조국통일 3대원칙을 지키고 6.15남북공동선언을 준수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주제영상인 ‘이제 다시 6.15공동선언으로 돌아가야 합니다’는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6.15남북공동선언을 아는지 묻고 다시 6.15공동선언으로 돌아가자고 주장했다.

시민들의 소통 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된 ‘응답하라 6.15!’에서 국악인 이윤선 씨는 세월호 참사 앞에서 노래하는 것이 죄스러워 무반주로 ‘봄날은 간다’를 노래하였고 가수 안치환은 ‘철망 앞에서’ 등을 공연했다.

성악가 임웅균 씨는 5.24조치 속에서 남북경협기업들의 힘겨움을 위로하며 '그리운 금강산'을 불러 많은 사람들의 환호를 받기도 하였다.

   
▲ 성악가 임웅균 씨가 ‘그리운 금강산’을 부르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정익현 통신원]

끝으로 행사를 준비한 단체들의 실무자들이 단상에 오르고 참석자들은 자리에서 일어나 ‘우리의 소원’을 합창하며 행사를 마무리했다.

이날 남북경협비대위와 함께 행사를 주최한 단체는 남북경협포럼, 남북평화재단, 동북아평화연대, 동학민족통일회, 통일농사협동조합, 통일맞이, 통일토리아협동조합, 평화를만드는여성회, 흥사단민족통일운동본부, 6.15남측위원회청년학생본부, KYC(한국청년연합) 등이다.
 

   
▲ 행사를 준비한 단체의 실무자들이 단상에 오르고 시민들은 자리에서 일어나 ‘우리의 소원’을 합창했다. [사진 - 통일뉴스 정익현 통신원]
   
▲ 풍물패 '살판'이 동화면세점 앞에서 풍물굿판을 짜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정익현 통신원]

 

   
▲ 영상 ‘이제 다시 6.15공동선언으로 돌아가야 합니다’의 한 장면. [사진 - 통일뉴스 정익현 통신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디플로마트 김기춘, 박근혜 통치 능력 위태롭게 해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4/06/15 10:09
  • 수정일
    2014/06/15 10:09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김기춘 집중조명, 국민 52%가 김기춘 사퇴 원해
 
정상추 | 2014-06-14 17:44:08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디플로마트 김기춘, 박근혜 통치 능력 위태롭게 해
-김기춘 집중조명, 국민 52%가 김기춘 사퇴 원해
-국민, 야당, 새누리당 일부까지도 김기춘 물러나야

디플로마트가 ‘기춘대원군’ 김기춘 비서실장을 집중조명하며 김기춘이 주도한 박근혜의 인사 임명 및 인사에 대한 비판이 박근혜의 통치능력을 위태롭게 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아 눈길을 끌고 있다. 디플로마트는 안대희 총리지명 실패에 이은 문창극 총리지명 논란으로 인한 비난이 실제로 이 지명을 주도한 당사자로 믿어지는 박근혜의 비서실장 김기춘에게로 향하고 있다고 보도해 기사의 초점을 김기춘 비서실장에 맞추고 기사의 절반 가까이 할애해 김기춘을 해부했다.

디플로마트는 12일 ‘In Korea, President Park Comes Under Fire-한국 박 대통령 비난에 휩싸이다’라는 제하의 기사에서 최근 문창극 총리 지명으로 촉발된 인사 검증 및 인선과정의 뒤에 김기춘 실장이 있음을 주목했다. 디플로마트는 기사 시작에서 지방선거에서 집권당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박근혜 비평세력이 계속 지지를 얻고 있다며 박 대통령이 지명한 후보들이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하기가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어렵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몇몇 내각 직책이 채워지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고 전했다.

이어 디플로마트는 안대희 낙마에 이어 지명된 문창극으로 촉발된 논란을 소개하며 박근혜는 문창극이 정부에서 일한 경력이 없고 기업 경영에도 거의 노출되지 않아서 그의 지명이 인사청문회 절차를 무사통과할 것으로 믿었기 때문에 지명했을 것이라는 지명 배경을 소개했다. 디플로마트는 문창극 지명자가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 같은 진보적인 정책들을 공격하는 여러 가지 선동적인 글들을 썼는가 하면, 더 최근에는 박원순 시장의 학교 무상급식을 북한의 주민 배급제와 비교하기도 했을 뿐 아니라 박정희 집권 시의 엄청난 정치적 탄압은 대충 둘러대며 박정희 시대에 대한 강한 향수를 표현하는 글을 쓰는 등 극우적인 행보를 보여 야당은 “국가개조를 이끌 사람으로 국민이 원하는 사람”을 뽑겠다던 박근혜의 약속에 상반되는 지명을 한 것이라고 정부를 비난하고 있다고 전했다.

디플로마트는 많은 비난들이 이 지명들을 발의한 당사자라고 믿어지는 박 대통령의 비서실장 김기춘을 향하고 있다며 김기춘에 대한 발자취를 자세하게 소개했다. 디플로마트는 김기춘이 대한민국의 나이보다 많다며 유신헌법 초안 기초 등을 소개한 뒤 과거 보수 후보가 대통령선거에 승리하도록 도왔던 그의 역할 때문에 새누리당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지극히 인맥이 많다며 한국의 1987년 이전 군부독재 잔재라고 일컬어지는 부분에 대해서, 그리고 개인의 능력보다 사상적 지향과 정치적 연고를 더 중요시했던 것에 대해 야당으로부터 비판을 받아왔고 일부 그룹에서는 그를 대단히 싫어한다고 보도했다.

한 여론조사에서 52.4%가 김기춘의 사퇴를 원했다고 전한 디플로마트는 여당에서 조차 그의 행동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며 “최종 결정은 대통령에게 있지만 다른 비서실장을 임명하기를 바란다”는 새누리당 당권 도전에 나선 김무성 의원의 언급을 전하기도 했다. 디플로마트는 이어 김기춘의 사임을 요구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는 국가적으로 좋지 않은 조짐이라며 새정치민주연합, 일반 대중, 그리고 심지어 새누리당 내 몇몇 의원들에 의해 고조되고 있는 박 대통령의 임명 및 인사에 대한 비판은 그녀의 통치 능력을 위태롭게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기사를 보도한 더 디플로마트는 군사전문지 디플로마트와는 다른 매체로 일본에 기반을 둔 아시아·태평양 전문 온라인 매거진이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디플로마트의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thediplomat.com/2014/06/in-korea-president-park-comes-under-fire/

In Korea, President Park Comes Under Fire
한국 박 대통령 비난에 휩싸이다

Despite the ruling party’s recent electoral victory, President Park’s domestic critics continue to gain ground.

최근 선거전에서 거둔 집권당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박 대통령의 국내 비평 세력이 계속 지지를 얻고 있다.

By Yong Kwon
June 12, 2014

Despite the Saenuri Party holding its ground in the gubernatorial and mayoral elections earlier this month, the surprising show of public support for the ruling party has not translated into smooth sailing for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several cabinet posts remain vacant as the National Assembly’s confirmation hearings for Park’s nominees have proven to be far more challenging than expected.

이달 초 있었던 도지사와 시장 선거에서 새누리당이 지지기반을 유지하긴 했지만 집권당에 대해 보여준 믿기 힘든 대중의 지지가 박근혜 정부의 순탄한 항해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다. 특히 박 대통령이 지명한 후보들이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하기가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어렵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몇몇 내각 직책이 채워지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Finding a replacement for Prime Minister Jung Hong-won, who resigned in April over the government’s handling of the Sewol ferry disaster, has been especially difficult. President Park’s first choice as Jung’s replacing, Ahn Dae-hee, withdrew from consideration after coming under criticism for what many viewed as his excessive income. In response, the Park administration made the surprising decision to nominate Moon Chang-keuk, the former editor-in-chief of the local newspaper Joongang Daily, to be the next prime minister. Given that he was not even initially discussed as a possible candidate, many believe that President Park nominated Moon because she believed his lack of government experience, combined with his limited exposure to corporations, would allow his nomination to sail through the confirmation process.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정부의 대처를 두고 지난 4월 사퇴한 정홍원 국무총리를 대신할 사람을 찾는 일은 특별히 어려운 일이 되고 있다. 정 총리의 후임으로 박 대통령이 첫 번째 선택한 사람인 안대희는 많은 사람들이 보기에 지나치게 많은 그의 수입에 대해 비난을 받은 후 후보직에서 물러났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박 정권은 현지 신문인 중앙일보의 전 주필 문창극을 차기 총리로 지명하는 뜻밖의 결정을 내렸다. 문창극이 가능성 있는 후보로서 애초에 거론도 되지 않았던 것으로 볼 때 박 대통령이, 문창극이 정부에서 일한 경력이 없고 기업 경영에도 거의 노출되지 않아서 그의 지명이 인사청문회 절차를 무사통과할 것으로 믿었기 때문에 지명했을 것이라고 많은 이들이 보고 있다.

In actuality, Moon’s nomination has not been without its critics. Many accused President Park of using the nomination to win back Moon’s home province of North Chungcheong, which had supported the opposition in the most recent gubernatorial race. Others questioned Moon’s ability to carry out the responsibilities of the office. After all, he may have written about politics, but, as Moon himself admitted, he has no experience whatsoever in politics or governance.

사실 문창극을 지명한 것에 대해 비판하는 사람들이 있어왔다. 박대통령이 가장 최근의 도지사 선거에서 야당을 지지했던 충청북도를 되찾아오기 위해 그 곳 출신인 문창극을 지명했다고 많은 사람들이 비난했다. 문창극이 총리직의 임무를 수행할 능력이 되는지 의문을 가진 사람들도 많다. 정치에 대해 글은 썼을지 몰라도, 그 자신이 인정한 바와 같이 그는 정치나 행정 경험이 전무하다.

Furthermore, many in the main opposition party,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NPAD), were upset that the administration nominated a figure who had consistently displayed extreme political views. As a journalist, Moon Chang-keuk wrote several inflammatory pieces attacking liberal policies such as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s Sunshine Policy and, more recently, Mayor Park Won-soon’s support for free school lunches, which Moon compared to North Korea’s public distribution system. Other articles Moon has written express strong nostalgia for the Park Chung-hee era, glossing over the massive political repression of his rule. Given Moon’s background and ideological tint, the NPAD criticized the administration for making a nomination that was contrary to President Park’s promise to select “someone whom the citizens would want to lead the nation’s reforms.

더욱이, 극우적인 정치 성향을 끊임없이 드러냈던 인물을 정부가 지명한 것에 대해 제 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의 많은 인사들이 분노했다. 언론인으로서 문창극은 김대중정부의 햇볕정책 같은 진보적인 정책들을 공격하는 여러 가지 선동적인 글들을 썼는가 하면, 더 최근에는 박원순 시장의 학교 무상급식을 북한의 주민 배급제와 비교하기도 했다. 또 다른 기사에서 문창극은 박정희 집권시의 엄청난 정치적 탄압은 대충 둘러대며 박정희 시대에 대한 강한 향수를 표현하는 글을 썼다. 새정치연합은, 문창극의 배경과 이념적 색조를 감안해 볼 때, “국가개조를 이끌 사람으로 국민이 원하는 사람”을 뽑겠다던 박근혜의 약속에 상반되는 지명을 한 것이라고 정부를 비난했다.

Much of the condemnation was directed at President Park’s Chief of Staff Kim Ki-choon, who is believed to be the main proponent of these nominations.

많은 비난들이 이 지명들을 발의한 당사자라고 믿어지는 박 대통령의 비서실장 김기춘을 향했다.

Born in 1939, Kim is older than the Republic of Korea itself. He started his career in the Ministry of Justice where he was instrumental in drafting the 1972 Yushin constitution that granted dictatorial powers to President Park Chung-hee. He later served as the Minister of Justice under the Roh Tae-woo government and was elected to a national assembly seat, running on a Grand National Party (the former name of the Saenuri Party) ticket for three consecutive terms between 1996 and 2008.

1939년에 태어난 김 씨는 대한민국보다 더 나이가 많다. 그는 법무부에서 자신의 경력을 시작했으며 박정희대통령에게 독재적 권력을 부여해준 1972년 유신헌법 초안을 기초하는 데에 주된 역할을 했다. 후에 그는 노태우 정부의 법무장관을 역임했고 국회의원으로 선출됐으며 1996년부터 2008년까지 연속해서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전신)의 공천으로 출마해 3선의원이 됐다.

Despite his controversial career, Kim is incredibly influential within the Saenuri Party and extremely well-connected, drawing on his long involvement in politics and his role in helping past conservative candidates win presidential elections.

논쟁의 여지가 있는 경력에도 불구하고, 김 씨는 정치에 오랫동안 몸담아 왔고, 과거 보수 후보가 대통령선거에 승리하도록 도왔던 그의 역할 때문에 새누리당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지극히 인맥이 많다.

At the same time, he is intensely unpopular in some circles. He has been frequently criticized by the opposition for allegedly being a remnant of South Korea’s pre-1987 military dictatorship and for placing a person’s ideological orientation and political connections above his or her skills. Regarding the surprise nomination of Moon Chang-keuk, a spokesperson for the NPAD speculated that the conservative journalist was likely handpicked by Kim for his political views and personal ties.

동시에 일부 그룹에서는 그를 대단히 싫어한다. 그는 한국의 1987년 이전 군부독재 잔재라고 일컬어지는 부분에 대해서, 그리고 개인의 능력보다 사상적 지향과 정치적 연고를 더 중요시했던 것에 대해 야당에게 자주 비판을 받아왔다. 이 뜻밖의 문창극 총리 지명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의 대변인은, 이 보수 언론인의 정치적 견해와 개인적 인맥 때문에 김 씨가 직접 선택했으리라고 짐작한다고 말했다.

It is not just the opposition that is unhappy with Kim, however. According to a public opinion poll conducted by Munhwa Daily, of the 1,000 people surveyed nationwide, 52.4% supported his removal from office.

그러나 김 씨에 대해 마땅찮은 것은 야당만이 아니다. 문화일보가 실시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전국의 조사대상자 1,000명 중에서, 52.4%가 김기춘의 사퇴를 원했다.

Even politicians within the ruling party have taken issue with some of the chief of staff’s behavior. In a carefully worded response during a radio interview, Saenuri national assemblyman Kim Mu-seong noted that while the ultimate decision lies with the president, he would support the appointment of a different chief of staff. He went on to criticize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that Kim Ki-choon established between the Blue House and the Saenuri Party, revealing significant rifts between the legislature and the executive.

여당 내 정치인들조차 비서실장의 일부 행동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라디오 인터뷰 중 조심스러운 어조로 응하며, 새누리당 국회의원인 김무성 의원은 “최종 결정은 대통령에게 있지만 다른 비서실장을 임명하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이어 김 의원은 입법부와 행정부 간에 심각한 균열이 있음을 드러내며, 청와대와 새누리당 사이에 김기춘이 수립한 위계적 관계에 대해 비판했다.

This bodes poorly for South Korea. The NPAD, public at large, and even several members within the Saenuri Party’s mounting criticism of Park’s nominations and personnel will imperil her ability to govern. In particular, with a growing number of people calling for Kim Ki-choon’s resignation, political developments in South Korea will be well worth following in the next few weeks.

이것은 국가적으로 좋지 않은 조짐이다. 새정치민주연합, 일반 대중, 그리고 심지어 새누리당 내 몇몇 의원들에 의해 고조되고 있는 박 대통령의 임명 및 인사에 대한 비판은 그녀의 통치 능력을 위태롭게 할 것이다. 특히, 김기춘의 사임을 요구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향후 몇 주 동안 한국 내 정치적 전개상황을 지켜보는 것은 충분히 가치있는 일일 것이다.

 


 

뉴욕타임스, 韓 국민 경제 아닌 다른 가치 중요하다 경고
-6.4 지방선거 결과 사설 유권자들의 목소리 분석
-경제성장 이면의 부정적인 것에 주목할 필요 있어

뉴욕타임스가 한국의 지난 6.4 지방선거 결과는 한국 국민들이 무조건적 경제성장이 아닌 다른 가치를 유권자들이 중요하게 여긴다는 사실에 대한 강력한 경고를 보낸 것이라고 분석했다.

뉴욕타임스는 11일 이례적으로 ‘‘South Korea’s Voters Speak-한국의 유권자들이 말한 것’이라는 제목의 한국 지방선거에 대한 사설을 게재하고 세월호 참사 와중에 벌어진 이번 지방선거에서 집권당인 새누리당은 그저 그런 성과를, 야당은 이 불행한 사태를 자신들에게 유리하도록 만들기 위해 충분히 하지 못한 결과를 냈다고 평가했다.

뉴욕타임스는 이어 선거결과는 정부가 엄중한 규제단속을 위해 훨씬 더 많은 것들을 해야 하며, 앞으로는 무조건적 경제성장이 아닌 다른 가치를 유권자들이 중요하게 여긴다는 사실에 대한 강력한 경고를 정치성향과 상관없이 모든 정치가들에게 보냈다고 분석했다.

뉴욕타임스는 한국은 지난 2-3십여 년간 막대한 경제발전을 이루었고 무디스는 2018년까지 선진국의 대열에 합류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지만 이 경제성장의 이면에 존재하는 부정적인 것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며 노년층의 열악한 경제활동과 빈곤에 대해 언급했다.

뉴욕타임스는 한국남성은 평균 71.1세까지, 여성들은 69.8세까지 일을 한다며 보통 은퇴연령인 60세를 넘어서도 일을 하는 이유로 사회보장제도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한 뒤 60세 이상의 42%가 자신들이 가난하다고 여기고 있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한국이 이룬 경제기적에는 왜곡과 하자가 있다며 급속히 노화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노인 구성원들은 특히 더욱 편안한 경제안전망이 필요하고 정부로부터 더 많은 공감을 받을 충분한 자격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뉴욕타임스의 사설은 지난 지방선거에 있어 새누리당의 승리라거나 새정치연합의 패배라는 단순한 승패 구도의 분석을 벗어나 유권자들의 요구가 무엇인지를 본질적으로 파헤친 사설로 눈길을 끌고 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뉴욕타임스의 사설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www.nytimes.com/2014/06/12/opinion/south-koreas-voters-speak.html

South Korea’s Voters Speak
한국의 유권자들이 말한 것

By THE EDITORIAL BOARD, JUNE 11, 2014

South Korea’s ruling New Frontier Party barely held its own in local elections throughout the country last week. In 17 closely watched contests for nine provincial governors and mayors in eight major cities,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s conservatives won eight posts, while the opposition, left-of-center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won nine. A prominent ruling party candidate for mayor of Seoul, an important position, lost to the popular liberal incumbent, Park Won-soon. Overall, the results showed a roughly equal number of victories for both parties in their traditional local and regional strongholds.

한국의 집권 새누리당은 지난 주 전국에 걸쳐 시행된 지방선거에서 가까스로 현상을 유지했다. 9명의 도지사와 8개 주요도시의 시장을 뽑는 17개의 관심이 집중된 선거에서 한국 박근혜 대통령 측의 보수파가 8개 직위를 차지했고 야당인 중도좌파 새정치연합이 9개를 이겼다. 중요한 자리인 서을 시장 선거에서 유력한 집권당 후보가 인기 많은 진보적인 박원순 현 시장에게 패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전통적으로 아성인 지방 지역들에서 양당 모두 대략 비슷한 수의 승리를 거뒀다.

Political analysts believe that widespread popular discontent following April’s ferry disaster helped account for the ruling party’s so-so showing. And while the opposition did not do enough to exploit this unhappiness, the results nevertheless sent a strong warning to politicians across the spectrum that the government must do far more to tighten regulatory oversight and that values other than growth at any price will henceforth weigh heavily in voters’ minds.

정치 분석가들은 지난 4월의 여객선 참사에 따른 국민들의 만연한 불만이 집권당이 그저그런 성과를 낸 것에 대한 이유였다고 믿는다. 그리고 야당이 이 불행한 사태를 자신들에게 유리하도록 만들기 위해 층분히 하지 못한 반면, 그래도 선거결과는 정부가 엄중한 규제단속을 위해 훨신 더 많은 것들을 해야하며, 앞으로는 무조건적 경제성장이 아닌 다른 가치를 유권자들이 중요하게 여긴다는 사실에 대한 강력한 경고를 정치성향과 상관 없이 모든 정치가들에게 보냈다.

After the election, Ms. Park said she would accelerate her three-year plan for economic innovation, including reforms in the public sector, to give the South Korean economy another boost. During the past couple of decades, South Korea has taken enormous economic strides. Moody’s, the credit rating agency, expects South Korea to join the ranks of the advanced economies by 2018. But there are downsides to this growth that demand attention.http://www.nytimes.com/2014/06/12/opinion/south-koreas-voters-speak.html

선거 후 박 대통령은 한국 경제 부흥을 위해, 공공분야의 개혁을 포함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2-3십 년 동안 한국은 막대한 경제 발전을 이뤘다.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한국이 2018년까지 선진국 경제대열에 합류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러나 이 경제성장의 이면에 존재하는 부정적인 것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South Korean men, for instance, work until the average age of 71.1 years, the second longest among O.E.C.D. countries. While the normal retirement age is 60, men work an extra 11 years because the social security system is woefully inadequate. A government survey found that the average income of those over 60 is $1,600 a month, and only 15 percent of this comes from social security. In addition, 42 percent of those over 60 saw themselves as poor. Women work until the average age of 69.8 years.

예를 들어 한국의 남성들은 평균 71.1세까지 일을 하는데, 이는 OECD국가 중 두 번째로 길다. 보통 은퇴연령이 60세인 반면, 남성들은 가외로 11년을 더 일해야 하는데, 이것은 사회보장제도가 턱도 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 정부 기관의 연구에 의하면 60세 이상의 남성의 평균 임금은 월 1,600달러 (약 160만원)인데, 이 중 15%만이 사회보장연금에서 나온다. 그리고 60세 이상의 42%가 자신들이 가난하다고 여겼다. 여성들은 평균 69.8세까지 일한다.

There are, in short, distortions and flaws in the South Korean economic miracle. The elderly members of South Korea’s rapidly aging society are especially in need of a more comfortable economic safety net and are deserving of more empathy from the government.

간단히 말하면, 한국이 이룬 경제기적에는 왜곡과 하자가 있다. 급속히 노화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노인 구성원들은 특히 더욱 편안한 경제안전망이 필요하고 정부로부터 더 많은 공감을 받을 충분한 자격이 있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332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일본 침략' 비판했던 박 대통령 '총리 문창극' 어떻게 설명할 건가?

 
[주장] 올해 3·1절 기념사에서 언급... '자기부정' 인사의 절정
14.06.14 19:52l최종 업데이트 14.06.14 19:52l

 

 

기억을 잠시 더듬어 지난 3·1절 기념식으로 가본다. 기념사를 한 박근혜 대통령은 모두 22차례 박수를 받았다. 기념사가 11분 동안 진행됐으니 30초당 1번씩 박수세례를 받은 셈이다. 
 
기사 관련 사진
▲ 하나님 뜻도 모르고 분연히 일어난... 박근혜 대통령이 2014년 3·1절 기념사를 통해 조국을 위해 분연히 일어난 선조들을 기리고 있다.
ⓒ YTN화면갈무리

관련사진보기


이날 박 대통령은 95년 전 목숨을 걸고 3·1 운동에 나섰던 선조들의 용기에 대해 경의를 표했고, 아베 총리를 위시한 일본의 역사 부정을 통렬하게 비판했다. '과오 인정 못 하는 지도자는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없다'고까지 못 박았다. 

1년 넘게 한일정상회담이 열리지 않던 때였다. 아베 일본 총리는 공개적으로 박 대통령을 만나길 희망했지만, 박 대통령은 단호했다. 과거 침략사에 대해 인정, 반성할 것과 각성을 촉구했지만, 아베가 수용하지 않자 만나지 않았다. 

그로부터 100여 일이 지났다. 한일관계가 답답하게 진행되던 때에 아베 총리에게 놀라운 뉴스가 전해졌다. 한국의 새 국무총리 후보자로 문창극이란 인물이 지명된 것이다. 그는 '식민지배는 하나님의 뜻'이라고 말했고,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 사과 불필요'를 주장했다. 한국 제1야당 대표는 '아베 수첩' 인사라고 평가할 정도로 놀라운 인사였다. 

한국 내 논란이 커지면서 상황은 이상한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문창극 한 사람의 돌출발언이 집권세력의 '공론'으로 흘러가는 모양새로 변한 것이다. 그의 강연 동영상을 함께 본 한국 집권당 수뇌부는 "문창극 후보자를 이해할 수 있다", "문 후보자의 강의 내용이 본받을 만하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아베 총리가 기자회견을 갖고 '문 후보자의 대일관이 한국 집권세력의 의견인가'라고 묻는다면 새누리당 지도부가 뭐라고 답하려고 하는지, 궁금한 대목이다. 

이 와중에 청와대는 그의 임명을 강행하고 있다. 그동안 반성과 각성을 촉구하며 단호하게 일본을 압박한 박근혜 대통령이 정반대로 해석되는 주장을 펴는 인물을 정권 2인자로 공식 지명하고, 논란이 야기됐음을 확인하고도 임명을 강행하려는 것이다. 문창극이 국무총리로 임명된다면 한국의 총리가 과거 발언을 전면 부정하든지, 박 대통령이 대일 외교정책을 수정해야 할 것이다. 

'국민이 요구하는 총리'를 약속한 박 대통령은 문 후보자에게, 아니면 그를 추천한 그 누군가에게 무슨 빚을 졌기에 한 나라의 외교정책까지 송두리째 바꾸면서까지 총리를 시키려 하는가. 

'하나님의 뜻'도 모른 채... 

95년 전 오늘, 우리의 선조들은 조국의 독립과 주권을 되찾기 위해 분연히 일어섰습니다. 나라의 주권을 더 이상 빼앗길 수 없다는 신념과 애국심은 온 국민들을 일어나게 했습니다…(중략) 그 위대한 3·1정신은 상해 임시정부의 법통으로 이어졌고, 대한민국의 헌법정신으로 면면히 계승되면서 번영과 기적의 대한민국 역사를 이룩한 원천이 되었습니다. 
– 2014년 3·1절 대통령 기념사 중

3·1 운동은 민족의 울분이 일순간에 폭발한 대사건이었다. 총칼로 진압하는 일제에 맞서 목숨을 걸고 국민들은 거리로 나섰다. 박은식 선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 의하면 시위운동에 참가한 인원은 202만 명, 사망자는 7509명, 부상자는 1만 5966명, 검거자는 5770명에 달했다. 

박 대통령이 '그 위대한 3·1정신'으로 언급했듯이 남녀노소 불문하고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며 거리로 뛰쳐나왔다. 무수히 많은 선조들이 총칼에 목숨을 잃었다. 후손인 우리들은 그 날, 그 정신을 기억하기 위해 '3·1절'을 국경일로 지정하였다. 가정별로 국기도 게양하고 있다. 

최근 논란의 중심에 선 문창극 총리 후보자는 지난 '3·1절'에 국기를 게양했는가. 2011년 6월 15일 온누리 교회에서 특강을 한 문 후보자는 '36년 일제 식민지배는 하나님의 뜻'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 발언에 따르면 '신의 뜻'에 반해 독립운동을 한 것이기 때문이다. 

문 후보자는 강연장에서 "(하나님이) 우리한테 너희들은 이조 500년 허송세월을 보낸 민족이다. 너희들은 시련이 필요하다. 너희들은 고난이 필요하다. 그래서 하나님이 우리에게 고난을 주신 거라고 생각해요"라고 주장했다. 자신의 발언이 문제가 되자 '전체 맥락은 그런 얘기가 아니다'고 해명했다.

치유는커녕 위안부 할머니 가슴에 대못 박은 문 후보자  
 
기사 관련 사진
▲  3·1절 기념사에서 위안부 할머니들의 치유를 언급하고 있는 박 대통령.
ⓒ YTN화면갈무리

관련사진보기


과거의 잘못을 돌아보지 못하면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없고, 과오를 인정하지 못하는 지도자는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없다는 것은 당연한 이치일 것입니다. …(중략) 특히, 한평생을 한 맺힌 억울함과 비통함 속에 살아오신, 이제 쉰다섯 분밖에 남지 않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상처는 당연히 치유 받아야 합니다. 
– 2014년 3·1절 대통령 기념사 중  

지난 1991년 8월 고 김학순 할머니가 "나는 일본군 위안부였다"고 처음으로 증언하면서 그 실상이 드러났다. 김학순 할머니가 "내가 눈 감기 전에 한을 풀어주세요"라고 나서자 다른 할머니들도 용기를 내고 함께 하기 시작했다. 지난 1993년 정부에 집계된 위안부 피해자는 234명. 

그리고 1992년 1월 8일부터 매주 수요일에 '수요시위'가 열렸다. 할머니들이 일본에 요구하는 7가지 사항은 1. 범죄 인정 2. 진상 규명 3. 국회 결의 사죄 4. 법적 배상 5. 역사 교과서 기록 6. 추모비와 사료관 건립 7. 전범자 처벌 등이다. 이에 일본은 20년 넘도록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지난 3·1절 기념사에서 박 대통령이 "위안부 할머니들의 상처는 치유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대부분이 80세가 넘은 할머니들에게 희망의 빛이 보이는 듯싶었다. 그로부터 100여 일이 지난 시점에 문창극이라는 낯선 이름이 등장했다. 문 후보자는 칼럼과 강연을 통해 위안부에 대한 일관된 생각을 전했다. 

문 후보자는 지난해 서울대 강의 도중에 "일본으로부터 위안부 문제 사과를 받을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선진국 반열에 올랐기 때문에 일본 사과를 받아들일 정도로 나약하지 않은 국가가 됐다"고 주장했다. 
 
기사 관련 사진
▲ 위안부 문제는 보상문제일 뿐? 위안부 문제를 일본에 요구하지 말고 우리 힘으로 해결하자고 주장한 2005년 3월 7일 <문창극칼럼> '나라 위신을 지켜라' 중
ⓒ 중앙일보화면갈무리

관련사진보기


이뿐 아니다. 지난 2005년 3월 <중앙일보>에 게재된 칼럼 '나라 위신을 지켜라'에서는 "일본에 대해 더 이상 우리 입으로 과거 문제를 말하지 않는 게 좋겠다. 해방된 지 60년이 지났는데 아직도 과거에 매달려 있는 우리가 부끄럽기 때문이다… (중략) 보상문제만 해도 억울한 점이 비록 남아 있더라도 살 만해진 우리가 위안부 징용자 문제를 우리 힘으로 해결하자. 이것이 진정한 극일(克日)이다"라고 주장했다. 

20년 넘게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평생 한 맺힌 삶을 거리로 이끈 할머니들의 '목적'을 '보상문제'로 일순간 격하 시켰다. 그의 위안부 발언이 전해졌을 때 고령의 할머니들이 격노한 것은 당연했다. 

문 후보자 측 인사청문회 준비단은 '위안부 발언'과 관련해 "일본 측의 형식적이고 말뿐인 사과보다는 진정성 있는 사과가 더욱 중요하다는 취지의 개인적 의견을 피력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해명에 대한 추가 해명이 필요해 보인다. 문 후보자가 피력했다는 '진정성 있는 사과'란 표현은 도대체 어느 칼럼, 어느 강연에 등장하는가. 

논란이 계속되자 준비단은 13일 보도참고자료를 배포했다. 자료에는 "문 후보자가 그간 한일 간 외교교섭 상황 등을 정확히 알지 못한 상황에서 개인 의견을 말한 것일 뿐 앞으로 총리로 인준된다면 우리 정부와 피해자 할머니들의 입장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할머니들이 문 후보자 발언으로 받았을 충격은 매우 컸을 것이다. 저런 말을 한 사람이 국민의 이해를 대변하고 지켜줄 총리 후보자라니… 그런데 그를 지명한 사람이 얼마 전 위안부 할머니들의 치유를 강조했던 박 대통령이다. 박 대통령은 이와 같은 기막힌 논리 모순적 상황을 이해하고 있는가. 

대통령이 신중하게 선택한 총리 후보자... 맞나?

여기 두 사람이 있다. 한 사람은 대한민국 대통령 박근혜, 다른 한 사람은 대한민국 총리 후보자 문창극이다. 행정부 수반인 박 대통령이 대통령을 보좌하며 행정부를 총괄하는 국무총리 후보자로 문창극을 국민에게 소개했다. 

언론 검증 과정에서 문 후보자는 총리로서 대단히 부적절한 발언과 역사관, 대북관이 공개됐다. 후보자를 직접 선택한 대통령이라면 임명을 취소한 후, 그를 인사 추천하고 검증한 핵심인물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다. 향후 대통령 보좌조직이 긴장감을 유지하고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라도 단호한 조치가 필요하다. 

야권을 비롯해 시민사회와 학계 그리고 종교계까지 총망라해 문창극 후보자에 대한 지명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지금 이 순간 문 후보자를 지지하는 세력은 새누리당의 다수의 국회의원과 청와대 그리고 일본 극우세력과 <산케이신문>을 포함한 일본의 보수언론들이다. 그런데 박 대통령은 문 후보자 임명을 강행하고 있다. 

집권 1년 반 동안 박 대통령은 '유체이탈 화법'으로 주목 받았다. 이 상황에서 박 대통령 3·1절 기념사와 정확히 반대되는 주장을 편 문 후보자가 임명된다면 이 임명은 '자기부정 인사'의 절정으로 기록될 듯싶다.
태그:문창극, 하나님의 뜻, 위안부 , 박근혜 태그입력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세월호 진상규명...시민과 함께 한다

 

'세월호 진상규명 시민대회', 진상규명 9대 과제, 구조적 근본원인 밝혀
이승현 기자  |  shlee@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4.06.15  01:06:12
트위터 페이스북
   
▲ 세월호 참사 국민대책회의가 주최한 '세월호 참사의 또 다른 목격자 시민이 묻는다!:광장에서 밝히는 세월호 참사의 진실 '진상규명 시민대회''가 14일 오후 6시 1천500여명의 시민들이 참가한 가운데 서울 청계광장에서 개최됐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세월호 참사 60일째가 되는 14일 오후 6시 세월호 참사 국민대책회의가 주최한 '세월호 참사의 또 다른 목격자 시민이 묻는다!:광장에서 밝히는 세월호 참사의 진실 '진상규명 시민대회''가 1천500여명의 시민들이 참가한 가운데 서울 청계광장에서 개최됐다.

세월호 참사에 대응하기 위해 800 여 개 단체로 구성된 범시민사회단체 연대기구인 세월호 국민대책회의는 이날 대회에서 산하 진상규명국민참여위원회가 선정한 세월호 진상 규명 9대 과제를 발표하고 산하 존엄안전위원회를 통해서 세월호 참사의 구조적 근본원인을 밝혔다.

국민대책회의 산하 진상규명국민참여위원회 위원인 김성진 변호사는 세월호 참사에서 진상규명이 반드시 필요한 9가지 과제를 선정해 밝히고 여기에 이날 참가자들에게 앞서 배포한 설문조사를 취합하고 국민대책회의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되는 온라인 조사결과를 정리해 앞으로 최종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성진 변호사는 세월호 침몰의 원인과 구조자가 단 한명도 없는 참혹한 결과가 발생한 원인과 관련해 △침몰원인이 된 '급격한 변침'은 정말 조타수 과실과 오작동 때문인가? 그리고 왜 그곳에서, 무엇때문에 급격한 변침이 있었나? △배가 다 기울기 전에 도착한 해경 123정과 구조용 헬기들은 왜 배안에 있는 승객들 구조하려고 노력하지 않았나?, 해경이 선정과 선원만 먼저 구출한 이유는 무엇인가? △구조작업을 할 수 있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었는데 매 시간마다 실제 구조작업에 투입된 사람은 대체 몇 명이었나?, 과연 침몰 후 수중구조 작업에 직접 투입된 사람은 몇 명이고, 사용한 장비는 무엇인가?, 또 왜 해경은 해군과 민간 잠수사들을 통제하고 제지하는데만 골몰했는가? 의 문제를 밝혀야 할 과제로 꼽았다.

또한 세월호 침몰 후 정부 대응과 관련해 국가정보원은 사고 당일인 4월 16일 오전 9시 44분에 방송뉴스를 보고 세월호 사고를 인지했다고 밝혔지만 5월 20일 정홍원 국무총리는 "국정원이 전화로 보고를 받았고, 그 보고는 세월호 선원이 한 것이다. 세월호 메뉴얼에도 그게 돼 있다고 한다"는 상반된 주장을 펼쳤다며, △청와대와 국정원이 사고를 접한 최초의 시각과 경로,그리고 이후 청와대와 국정원이 취한 조치는 무엇인가? △사고의 근본적 원인이랄 수 있는 느슨해진 선박안전 규제와 관련해 정부가 선박안전 규제를 완화하는 데 유착과 특혜는 없었나? 등을 확인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사고 당일 오전 11시 1분 MBC가 보도한 '전원구조'라는 정보를 준 이는 누구이며, 보도경위는 무엇인가? △사고 다음 날인 4월 17일 박근혜 대통령이 진도체육관을 방문했을 당시 대통령을 향한 실종자 가족들의 아우성은 사라진 채 9시 뉴스에서 박수받는 장면만 내보낸 것과 관련해 청와대의 방송개입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KBS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나? 등도 명백히 진상이 규명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대책회의는 이밖에 △해경의 구조상황 촬영영상, 해경내부의 교신내용, 해경과 해군의 교신내용, 세월호를 포함한 선박들과 해상교통관재센터와의 교신내용을 공개돼야 하며, △피의자인 이준석 세월호 선장이 4월 17일 밤 10시부터 다음 날 낮 12시까지 목포해양경찰서 박 아무개 경사의 아파트에서 머물렀는데, 당시 아파트 현장 CCTV가 2시간 가량 삭제된 것과 관련해 해경이 왜 이 선장을 해경경찰관의 아파트에 데려갔으며, 그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는가? 를 밝혀야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위해 감춰진 퍼즐조각이 맞춰진다고 주장했다.

   
▲ 이날 세월호 국민대책회의와 세월호 가족대책위원회가 함께 전국 10개 도시, 서울시내 10곳에서 진행한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 촉구 천만인 서명'을 벌여 확보한 3만명의 용지를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에게 전달했다.[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이어서 국민대책회의 산하 존엄안전위원회 위원인 박준도 사회진보연대 사무처장은 세월호 참사의 구조적 근본원인으로 △선박연령 제한을 완화해 불법개조가 가능하도록 한 것과 △운항관리 외주화(민영화) △사업주의 책임을 제한하고, 사고 선주에 대한 양벌 규정을 완화한 것 등을 꼽고 △선박연령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 불법 개조를 절대 금지시켜야 하며, △정부가 직접 선박 운항관리와 과적 과승을 철저히 규제하고 △안전사고에 대한 포괄적 책임을 확대해 기업 과실에 의한 치사에 대한 처벌을 할 수 있도록 법·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박준도 사무처장은 지난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선박 손실사고가 평균 선령 20년에서 30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통계와 지난 2006년에 비해 2013년에 선박 노후화가 2배 이상 늘어난 사실들을 들어 선박연령 규제완화는 선박사고 위험 증가로 직결된다고 주장했다.

또 선박연령 제한 완화를 제안하면서 200억원이 절감된다는 효과와 함께 홍보했던 선박검사를 강화하겠다는 내용은 실제 시행과정중에 쏙 빠져버렸다는 점도 폭로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사람과 화물을 더 태우고 평행수는 덜어내는 선박 불법개조가 만연했으며, 이것이 세월호 침몰 사고의 구조적 근본원인 중 하나라는 것이다.

박 사무처장은 이와 함께 해운항만청과 해운조합으로 이원화돼 있던 연언여객선 운항관리를 지난 1993년 서해 훼리호 침몰 이후 해운조합으로 단일화해 정부예산을 지원하다가 이후 정부보조금을 삭감하면서 여객운임 수수료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운항관리사들이 과적과 과승, 평형수 부족 등을 묵인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됐을 뿐만 아니라 인원도 91명에서 73명으로 줄어들었다고 지적했다.

결국 과적 과승을 단속하고 컨테이너 고박 등을 단속해야 할 운항관리가 외주화되면서 안전을 위해 필수적인 규제가 부실화됐다는 것이다.

이밖에 해사안전법, 선박안전법, 선박직원법, 선박소유자책임제안 법률, 평형수 관리법 등 선박 안전 관련 법률에서 선주의 책임을 극도로 제한하고 지도감독을 면제하는가 하면, 처벌도 대폭 완화하는 등 사실상 규제완화는 사업주의 돈벌이 수단에 불과했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박 사무처장은 밝혔다.

이날 '세월호를 기억하는 시민네트워크' 이준식 운영위원은 지난달 13일부터 팽목항에서 자료수집을 시작해 현재 안산시 고잔동에 '기억저장소'를 운영하고 있다며, "잘못을 은폐하려는 정부 당국에 맞서기 위해서, 또 잊지 않고 기억하기 위해서 강력한 '기억투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준식 운영위원은 시민들이 세월호 관련 자료와 기록을 모아달라고 요청하고 "진상규명 과정에는 수사권과 함께 자료의 강제수집권이 꼭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우리사회연구소 곽동기 상임연구원은 "고박하지 않은 과적 컨테이너가 쏟아지면서 세월호가 기울고 결국 침몰에 이르게 됐다는 주장이 있으나, 부실하지만 고박은 돼 있었고 컨테이너가 쏟아진 것 역시 경사가 있어야 가능한 일"이라며 의혹을 제기하고, "생존자의 직접적인 경험을 중심으로 사고 원인을 재구성해 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대회에서는 앞서 세월호 국민대책회의와 세월호 가족대책위원회가 함께 전국 10개 도시, 서울시내 10곳에서 진행한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 촉구 천만인 서명'을 벌여 확보한 3만명의 용지를 유가족, 실종자 가족에게 전달하는 행사가 있었다.

무대에 오른 세월호 가족들과 대회 참가자들은 아직 실종자로 남아있는 12명의 단원고 학생과 선생님의 이름을 함께 목청껏 외치며, 그들의 구원을 갈망했다.

한편, 이에 앞서 열린 1부 순서에서는 지난 11일 밀양송전탑 행정대집행을 저지하기 위해 농성을 벌이던 밀양 할머니들과 수녀들을 경찰 등 공권력이 무자비하게 진압하는 동영상이 상영돼 참가자들의 슬픔과 분노를 키웠다. 특히 중고등 학생들과 부모와 함께 나온 어린이들이 잔뜩 긴장한 모습이었다.

밀양주민 김영자 씨는 "지금 밀양에는 인간의 존엄이 없고 국가는 없다"며, "만약 국가가 있었다면 이렇게 처참하게 짓밟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눈시울을 붉혔다.

김영자 씨는 "정부당국이 우리를 전문데모꾼이라고 하는데 우리는 평생 살던 내 삶의 터전에서 그저 농사지으며 살고 싶은 생각밖에 없는 전문 농사꾼이다. 오히려 국민을 상대로 거짓말만 하고 제 주머니 챙기기 바쁜 박근혜와 새누리당 정치인들, 한전은 전문사기꾼"이라고 쏘아부쳤다.

김 씨는 또 "늘 밀양을 기억해주고 세월호를 기억해 주는 여러 분이 있어 조금이나마 위로가 된다"며 대회 참가자들에게 고마움을 표시했다.

이어서 유지현 보건의료노조 위원장은 정부가 지난 11일 병원이 영리행위를 할 수 없도록 명시한 의료법 규정을 거슬러 보건복지부장관 지침으로 영리자회사를 허용하고, 의료법상 환자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한한 7개 사업에 더해 병원이 호텔, 쇼핑몰, 부동산임대업을 할 수 있도록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하는 '꼼수 의료민영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비난했다.

유지현 위원장은 지난 11일부터 청와대 앞에서 1인 시위를 하고 있으며, 보건의료노조는 오는 24일부터 경고파업을, 다음달 22일에는 2차 파업을 결의한 상태라고 밝혔다.

   
▲ 자기 몫만큼의 어둠을 밝히는 촛불이 모이고 커지면서 큰 어둠을 물리칠 수 있다. 서명용지가 담긴 노란봉투를 받은 참가자들은 다음 주 이 한장의 힘을 안고 다시 청계광장에 모이기로 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2시간 30분에 걸친 대회를 마치면서 국민대책회의는 세월호 참사의 진상을 밝힐 수 있는 열쇠는 '천만서명'이라며, 대회 참가자들에게 서명용지가 담겨있는 노란봉투를 나눠주고 각자의 주위에서 서명을 받아와 기어코 천만서명을 달성하자고 강조했다.

국민대책회의는 오는 19일 세월호 오보의 진원지인 MBC앞에서 '고만해라 MBC, 돌아와라 마봉춘'이라는 주제로 특별 촛불행동을, 21일(토) 저녁에는 청계광장에서 다시 '한장의 힘' 시민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세월호 재앙 이후.. 후쿠시마가 당한 재난 우리도?

김익중 교수, 30년 지난 고리원전 등 '노후 원전 위험하다'
 
이호두 기자
기사입력: 2014/06/15 [00:08]  최종편집: ⓒ 자주민보
 
 
 
 
 
 
본 기사의 내용보다 강연회 동영상을 보며 경각심을 일깨우기를 바라는 바이다.[편집자 주]

14일 서울 중구 인권위에서 열린 시민사회 원로모임 새날희망연대 월례 포럼에는 반핵,탈핵 활동가인 경주환경운동연합 동국대 의대 김익중 교수의 발제가 있었고, 주제는 '한국 탈핵 할 수 있다' 였다.
 
참석자들은 충격적인 원자력발전의 실상과 우리나라 고리원전 등 노후 원전의 위험성을 가슴 깊이 새길 수 있었다고 이구동성으로 평가했다.

김익중 교수는 강연에서 "5년전 경주 방패장 정보공개를 통해 '물세고 균열있다' '방사능 샌다'고 하면서 '그러나 안전하다'고 했다"며 경주방폐장(방사성폐기물처리장)은 안전하지가 않아요...방사능이 샐께 분명해요! 거기서는 보수 공사 안하거든요. 제가 그 사실을 안뒤로 3, 4년동안 방폐장공사 중지 운동을 했지만 하루도 중지 못 시켰습니다"며 현재 경주방폐장의 실태를 말했고 순간 강연장은 정적이 감돌았다.
 
방폐장의 실상을 알게된 김익중 교수는 지금까지 반핵 운동가로서 전국을 다니며 원자력 발전으로 인한 방사능 폐해에 대해 정밀한 자료수집과 연구를 하여 만든 책자와 강연회를 통해 '한국 탈핵'에 대한 타당성을 국민들에게 알리는데 온 열정을 바쳐 오고 있다. 
 
김익중 교수는 준비된 프리젠테이션 화면에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의 비등형 원자로와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소의 가압 경수로 구조를 보여주며 생각보다 간단한 원자력 발전소의 발전 시스템에 대해 설명 한 뒤, 원자력 발전의 가장 핵심이 되는 핵연료봉에 대해 상세 설명에 들어갔다.
 
▲  반핵 활동가 동국대 의대 김익중 교수      서울의소리

 한국 탈핵 가능하다

2011년 3월 11일은 인류사에 남을 날이 될 것 같다. 일본의 동북부 해안에서 발생한 진도 9.0의 지진과 이로 인한 쓰나미가 해안지방을 덮쳐서 약 2만명의 사망자를 냈고, 여기에 더하여 후쿠시마 핵발전소 4개에서 폭발사고가 일어났다. 

이 핵사고에 의해서 사망한 사람은 공식적으로 10명도 되지 않지만 사람들은 쓰나미에 의하여 사망한 2만명보다 더 큰 염려를 하고있다. 이런 염려가 이성적인지 아니면 무지의 소치인지는 판단하기 어렵지 않다. 적어도 도쿄를 포함한 후쿠시마 주변 350Km 정도가 고농도로 오염되었고, 일본땅의 약 70%가 방사능에 오염되었다(1). 이에 따라서 일본인 전체가 방사능에 피폭되고 있다. 이들 중 적어도 백만명 이상이 암이나 기형아 출산 등을 경험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후쿠시마에서 250km 정도 떨어진 도쿄에서 기준치의 몇배에 이르는 공간방사능이 측정되고 있으며, 도쿄의 수돗물에도 세슘이 꾸준히 검출되고 있다. 도쿄보다 더 멀리 떨어진 시즈오카 지역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차밭에서는 세슘 오염으로 인하여 찻잎 수확을 포기하였다. 2011년 생산된 쌀은 방사성 세슘에 오염되어 폐기처분되었으며, 이 쌀은 방사성폐기물이 되어버렸다. 후쿠시마에서 30km 이상 떨어진 지역에서도 코피가 나고, 설사하는 어린이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피난대책은 부족한 실정이다. 일본은 후쿠시마 핵사고에 의한 사후대책 수립과 실행으로 수십년을 소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쯤 되면 일본의 국운이 이 한번의 사고로 기울 것이라는 예측도 가능하다고 보여진다. 

후쿠시마 핵사고가 있기 전에도 대규모 핵사고는 있어왔다. 1979년 미국의 스리마일 섬 핵사고가 발전소 사고로는 처음으로 5등급 이상의 사고로 기록되었다. (그 이전에도 6등급으로 기록된 러시아의 키시팀 등 핵사고들이 있었지만 이들은 재처리 시설이나 실험실 등의 사고였다.) 두 번째 대규모 발전소 사고는 1986년의 구소련의 체르노빌 사고이다. 그리고 세 번째의 대형사고가 이번 후쿠시마 핵사고라고 할 수 있다. 

1. 핵발전소의 구조

사실 원자력발전소라는 말은 물리학적으로 틀린 말이다. 원전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는 원자력이 아니라 핵력이므로 핵발전소라고 부르는 것이 옳다. 영어로도 Nuclear Power Plant니까 번역을 해도 핵발전소이다. 핵산업계의 거짓말은 그 용어의 왜곡에서 시작된다. 핵발전소는 원자력발전소, 핵반응로는 원자로, 수명연장은 계속운전, 사용후핵연료는 사용후연료 등으로 왜곡하는 등 그 사례는 너무나 많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많이 사용하는 용어들을 그대로 사용하겠다. 

그림1에서와 같이 핵발전은 기본적으로 화력발전과 같은 원리이다. 핵반응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로써 물을 끓이고 증기가 발생하면 증기터빈을 돌려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터빈을 돌린 이후 증기는 바닷물로 식혀서 물로 바뀌고 이 물은 다시 원자로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있다. 이렇게 간단한 비등형 원자로와는 달리 가압형 원자로는 원자로에서 물을 데우는지만 섭씨 300도가 되어도 끓지 않도록 압력을 가해준 후 이 뜨거운 물이 다른 물을 끓이는 구조이다. 다시 말하면 중탕방식으로 증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렇게 비등형원자로는 물을 직접 끓이는 방식이고 가압형원자로는 물을 간접적으로 끓이는 방식이다. 세계에 있는 대부분의 핵발전소는 이 두 가지의 구조로 되어있다. 

그래서 사실 핵발전은 물을 끓여서 증기터빈을 돌리는 방식이므로 화력발전과 그 원리가 같다. 핵발전이 화력발전과 다른 점은 그 연료뿐이라고 볼 수 있다. 핵연료는 우라늄을 사용하는데, 그 에너지가 엄청나다. 원자로 안에 5만-6만개 정도의 핵연료봉이 있고, 이 핵연료봉 안에는 우라늄 펠렛이 존재한다. 이런 상태로 한번 들어간 핵연료는 그 에너지가 화석연료보다 훨씬 커서 원자로 안에서 4년 6개월 동안 물을 끓인다. 그 후에도 약 10년 이상 사용후핵연료저장수조에서 수냉식으로 식혀야한다. 이후에는 공랭식으로 수십년을 더 식혀야하고 마지막으로 고준위 폐기장에서 백만년 이상 안전하게 보관되어야한다. 
 
 
그림 1. 핵발전의 원리. 왼쪽은 후쿠시마 원전의 모형도이다. 

비등형경수로(비등수형 경수로(Boiling  Water Reactor; BWR)라는 이 원전의 가운데 있는 타원형의 구조물이 원자로이다. 원자로에서 물을 끓여 수증기를 생산한 후 이 수증기를 이용하여 증기터빈을 돌려서 전기를 생산한다. 이후 이 수증기를 바닷물로 식혀서 다시 물로 만든 후 원자로로 보낸다. 이 물은 다시 끓어 수증기로 변하고 터빈을 돌리게 되는 것이다. 오른쪽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많은 형태의 원전이다. 가압형경수로(Pressurized Water Reactor, PWR)라고 불리는 이 원전은 물을 간접적으로(중탕 방식으로) 끓이는데, 바로 이 점이 비등형과 다르다. 수증기로 증기터빈을 돌리는 것은 둘 다 마찬가지이다. (원자력문화재단 자료 인용)

2. 후쿠시마 핵사고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인정된 내용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후쿠시마핵발전소의 1,2,3호기에서는 지진으로 인하여 원자로(압력용기)에서 냉각수가 흘러나왔고, 핵연료봉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냉각기능이 마비되었다. 이로 인하여 노심(핵연료봉)의 온도가 삼천도 이상으로 올라갔고, 이 열에 의해서 노심용융(핵연료봉이 녹는 현상)이 일어났다. 이때 냉각수와 핵연료봉 피복제인 지르코늄 사이에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 수소가 발생하였다. 이 수소는 깨진 원자로(압력용기)의 틈을 빠져나와서 원자로 건물(격납고 포함) 내부에 고여 있다가 폭발하였다. 이른바 수소폭발이다. 노심용융에 의해서 핵연료는 액체상태로 압력용기 밑바닥에 떨어졌고(melt down), 압력용기의 밑바닥을 뚫고 격납용기의 바닥까지 내려왔다(melt through). 

현재 이 액체상태의 핵연료는 땅을 파고 지구의 중심을 향해 내려가는 중이다(차이나 신드롬). 현재 일본정부는 3개 원자로의 완전한 멜트다운과 멜트스루를 인정하였으나 핵연료가 얼마나 땅을 파고 내려갔는지는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사고의 원인이 지진에 의한 냉각수 누출이 아니라 쓰나미에 의한 냉각펌프 고장으로 원자로 온도가 올라갔다는 주장도 있으나 이 둘 중 어느 것이 옳은지는 아직 해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림 2. PNAS에 실린 일본오염지도(참고문헌 1)

한편 후쿠시마 3, 4호기의 사용후 핵연료 저장소에는 두 개를 합하여 원자로의 약 4배의 사용후 핵연료가 냉각되는 도중이었는데, 이 수조의 냉각수가 지진으로 인하여 새나갔고, 이곳에서도 핵연료봉의 멜트다운과 수소폭발이 일어났다. 막대한 양의 방사능이 이 사고에 의해서 지구환경으로 흩어지는 중이며, 3년이 지난 현재로서는 이 핵반응을 멈출 방도가 없다. 핵반응은 모든 에너지가 소진될 때까지 지속될 것이고, 일본정부와 도쿄전력이 할 수 있는 일은 이 핵반응으로 발생하는 방사능을 최대한 가두어두는 일 뿐이다. 

그나마 이 “방사능 가두기” 작업도 그리 순조롭지 않다. 원자로를 식히는 작업 뿐 아니라  발생한 오염수를 가두는 작업도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도쿄전력은 오염수의 체적을 줄이는 기술과 오염수를 정화하여 다시 냉각에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고장이 잦아서 기대만큼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막대한양의 오염수는 태평양으로 빠져들고 있고, 원자로 등을 식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체들은 바람을 타고 태평양을 건너기도 하고 북극으로 올라갔다가 한반도 쪽으로 내려오기도 하며, 남쪽으로 내려갔다가 태풍을 타고 한반도 쪽을 향하기도 하여 일본 뿐 아니라 전 지구의 땅과 공기를 지속적으로 오염시키고 있다.  

한국에서도 공기 중에서 방사성 세슘과 요오드가 검출되었으며 태평양 건너 미국에서는 방사능으로 오염된 목초지와 우유가 입증되기도 하였다. 후쿠시마 발 방사능 오염은 적어도 수년 이상, 아마도 수십 년 동안  지속될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관측이다. 

2012년 초에 PNAS에 발표된 자료를 살펴보면 일본땅의 70% 이상이 방사성세슘에 오염되어있다. 후쿠시마에서 250km 정도 떨어져있는 도쿄 역시 전 지역이 고농도로 오염되어있다(그림2, 참고문헌1). 오염된 지역의 어린이들은 코피와 설사에 시달리고 있다. 이 증상은 히로시마, 체르노빌 등의 방사능 오염지역에서 이미 보고된 가장 흔한 피폭증상들이다. 일본인들은 오염된 지역에서 생산된 식품들에 의해서 앞으로도 수백년 이상 피폭이 될 것이다. 방사능 피폭량과 암발생은 비례하는데, 앞으로 이 핵사고로 인한 암환자 수 증가는 얼마나 될 것인가?

3. 핵사고의 확률

과거의 중요한 핵발전소 사고들을 살펴보면 공통점이 있다. 과거의 핵사고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리마일 사고, 체르노빌 사고, 후쿠시마 사고 등이다. 우선 이들 사고를 일으킨 국가들, 즉 미국,  구소련, 일본의 공통점이 무엇일까? 

첫째, 이 세 나라들은 핵발전소 개수가 많은 대표적인 나라들이다. 전세계의 447개 핵발전소 중에서 미국이 104개를 갖고 있고, 구소련은 러시아 32개를 포함하여 총 66개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발전소를 갖고 있었다. 세 번째가 프랑스 58개, 네 번째가 일본의 54개였다. (참고로 한국은 일본에 이어서 23개로 다섯 번째로 많다.) 

이 세 나라의 다른 공통점은 원천기술 보유국, 원자로 수출국, 원자력 선진국이라는 점들이다. 이것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왜 핵발전소 1,2개 갖고있는 불가리아, 멕시코,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등의 핵후진국에서는 대형 사고가 안 일어난 것일까? 답은 간단하다. 세계에서 가장 핵발전소 숫자가 많은 나라에서만 대형사고 일어났다는 것은 발전소의 개수가 가장 중요한 핵사고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웅변한다. 자동차가 많은 나라에서 교통사고가 많은 것과 같은 이치인 것이다. 

그렇다면 핵사고의 확률을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전세계 447개의 핵발전소 중에서 이번 후쿠시마를 포함하여 6개의 핵발전소에서 대형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확률은 1.34%에 해당한다. 정부와 한수원이 여태까지 주장했던 “백만분의 일”이라는 핵사고 확률은 사실이 아니다. 백만개 발전소 중 하나가 아니고 약 80개 중 하나에서 핵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1.34%라는 확률은 그래서 한 개의 핵발전소가 있을 때 그곳에서 대형사고가 발생할 확률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23개의 핵발전소가 있는 우리나라에서 대형사고가 발생할 확률은 어떨까? 수학교과서에 나온 방식으로 계산하면 약 27%가 나온다. 이것은 말 그대로 한국에서 대형 핵사고가 발생할 확률이다. 물론 한 가지 전제가 있다. 과거와 같은 확률로 핵사고가 난다는 전제 말이다. 

이번 후쿠시마 핵사고에 의한 일본의 오염지도(그림2)를 살펴보면 고농도 오염지역의 넓이와 인구가 남한의 그것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 국토의 약 20% 이상이 고농도로 오염되었고, 도쿄를 포함한 이 지역의 인구는 약 5천만 정도가 된다. 이것은 만일 우리나라에서 핵사고가 발생하면 남한 전체가 고농도 오염지역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럴 확률이 27%가 되는 것이다. 

4. 노후한 원전이 더 위험하다.

후쿠시마 사고 이후 노후 원전과 수명연장에 대한 관심이 부쩍 많아졌다. 후쿠시마 원전 1호기가 수명연장이 된 발전소이고 이번 사고에서 가장 먼저 폭발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노후한 원전이 과연 더 위험할까?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그렇다. 핵발전소는 거대한 기계이다. 기계는 수명이 있고, 노후한 기계일수록 고장이 잦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은 일반론일 뿐이다. 노후한 원전이 더 위험하다는 증거는 무엇일까? 

첫째, 후쿠시마 핵사고에서 한가지를 찾을 수 있다. 주지의 사실이지만 후쿠시마에는 10개의 핵발전소가 있었다. 그중에서 나이순으로 1,2,3,4호기가 폭발하였다. 같은 지진과 같은 쓰나미를 겪은 10개의 원전 중에서 우연히 이렇게 나이순으로 폭발할 확률은 너무나 작다. 약 5,000분의 1 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른 요인이 분명히 있는 것이며, 그 요인은 바로 “핵발전소의 나이”인 것이다. 후쿠시마 1,2,3,4호기는 모두 30년이 넘은 노후한 원전들이었다. 5,6호기와 그 이후의 원전 4개는 모두 30년이 채 안된 것들이었다. 

둘째, 공학적 증거이다. 일반적으로 원전의 수명을 결정하는 것은 원자로 자체라고 알려져 있다. 압력용기는 약 20cm에 달하는 두껍고 단단한 금속재질로 만든다. 그러나 이 단단한 용기도 고압과 고열, 그리고 높은 방사능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이 용기에 손상이 가면 대형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 용기의 건전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게 되어있다. 그래서 이 용기와 동일한 금속편을 원자로 안에 처음부터 넣어둔 후 한 개씩 꺼내서 검사를 하는 것이다. 5년 전 고리1호기의 수명연장을 심사할 때 이 금속편을 한 개 꺼내서 파괴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안타깝게도 건전해야할 금속파편이 파괴되고 말았다. 

이렇게 파괴검사를 하는 것은 똑 같은 재질의 압력용기도 같은 상태일 것이라고 판단하기 위해서인 것이다. 이 파괴검사는 그간 몇 차례 있어왔으나 파괴검사에서 불합격된 것은 그때가 처음이었다. 이것은 이른바 “경년열화(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발생하는 작은 균열) 현상”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렇게 경년열화 현상은 원자로에서 존재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노후한 원전이 더 위험하다는 공학적 증거가 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외국의 정책변화에서 읽을 수 있는 방증이다. 후쿠시마 사고 이후 러시아는 수명연장 대신 신규핵발전소를 짓겠다는 정책을 발표하였다. 이는 안전성에 민감해진 국민들을 안심시키기 위해서라도 채택해야했던 정책이었다. 당장 핵발전소 숫자를 줄일 수는 없고, 국민들에게 그래도 안전을 도모한다는 확신은 주고 싶었던 러시아 정부의 선택이 바로 수명연장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는 러시아의 정부 뿐 아니라 국민들까지 노후한 원전이 더 위험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방증이 된다. 

다른 예도 있다. 17개의 원전을 갖고 있던 독일은 노후한 원전부터 7개를 폐쇄하였다. 나머지 10개도 앞으로 11년 내로 모두 폐쇄하기로 하였지만 왜 나이순으로 오래된 원전부터 폐쇄했을까? 역시 독일 국민들도 노후한 원전의 위험성을 알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경년열화현상, 나이순으로 폭발한 이유, 외국의 정책변화 등을 살펴보지 않더라도 노후한 원전이 더 위험하다는 것은 상식이다. 

5. 핵사고의 원인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핵사고의 원인 중 가장 중요한 것들은 핵발전소의 개수, 노후한 원전 등이다. 그러나 핵사고의 원인은 너무나 다양하다. 스리마일 핵사고의 원인은 단순노무자의 실수였다. 체르노빌 사고의 원인은 과학자들의 무리한 실험이었다. 후쿠시마 사고의 원인은 잘 알려진 대로 지진과 쓰나미이다. 이렇게 완전히 다른 원인들이 나타나는 것을 보고 우리는 이렇게 짐작할 수 있다. “다음 핵사고의 원인은 이들 세 가지 말고 다른 원인일 것이다”라고. 

핵발전소에 들어가 보면 너무나 많은 부품들이 있는 너무나 거대한 기계라는 사실을 느끼게 된다. 복잡성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것이다. 마치 성공한 지 수십년이 지난 인공위성 발사가 아직도 많은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이유는 바로 이 복잡성 때문인 것이다. 작은 실수가 하나만 있어도 인공위성의 발사는 실패하고 만다. 이렇게 어느 수준 이상의 복잡성을 갖는 기계는 사고나 고장이 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 당연한 일인 것이다. 핵발전소에서는 지금도 사상 초유의 사고유형이 발생하고 있다. 얼마 전 고리원전에서의 사고의 예가 그렇다. 바람에 날린 비닐조각이 고압선에 걸리자 고리원전이 정지한 것이다. 이런 유형의 사고는 사상 처음이었다고 발표되었었다. 우리는 수천의 사고원인 중에서 세장의 카드를 보았을 뿐이다. 

6. 기준치 이하라서 안전하다?

기준치는 의학적 안전기준일까? 그래서 기준치 이하로 피폭되면 정말 안전한 것일까? 그렇지 않다. 기준치는 세계 핵산업계의 정점에 있는 IAEA(국제원자력기구)와 관계 깊은 ICRP(국제방사선방호협회)가 설정한 것이며, 이 기준치는 그동안 9차례나 변경되었다. 적은 양의 방사능 피폭이 위험하다는 증거가 지속적으로 나왔기 때문에 수십년에 걸쳐서 이 기준치는 낮아졌던 것이다. 또한 세계 모든 나라들이 이 ICRP가 제시한 기준치를 채용하고 있지도 않다. 현재 방사능의 기준치는 국가마다 다르게 설정되어있으며 이는 이 기준치가 결코 의학적이 안전기준이 아님을 보여준다. 

의학적인 연구는 주로 히로시마 원폭피해자, 나가사키 피해자, 그리고 체르노빌 피해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인체를 대상으로 한 의학적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그래프로 요약된다. 
 
그림3. 미국과학아카데미가 발표한 BEIR VII에 나타난 그래프. 
방사능 피폭량과 암발생이 비례하며 역치가 없음을 보여준다(참고문헌 2). 

위 그래프에서 원점을 지나는 직선으로 나타나는 두 개의 선이 이른바 고형암의 그래프이다. 이들은 방사능 피폭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암발생률이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그래프에서 약간 곡선의 모양을 이루는 것은 백혈병의 그래프이다. 백혈병의 경우에는 직선이 아니라 아래쪽으로 볼록한 그래프가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점선으로 되어있는 그래프는 이른바 역치가 존재하는 모델이다. 

이 그래프는 역치(Threshold)가 있어서 이 역치까지는 피폭되더라도 암 발생이 증가하지 않고 역치를 넘어서야 비로소 암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 이론들 중에서 세계 의학계가 선택하고 있는 결론은 “무역치 선형모델(Linear No Threshold)”이다. 그러므로 세계 의학계가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방사능은 그 피폭량에 비례하여 암을 발생시킨다. 이는 기준치 이하에서도 마찬가지다”

7. 핵폐기물, 영원한 숙제

우리나라에서 고준위 핵폐기물은 곧 사용후 핵연료를 의미한다. 현재 23개의 핵발전소에서 발생하는 핵폐기물들은 각각의 원전부지에 임시로 저장되어있다. 이 임시저장소가 포화단계에 접어들고 있으므로 정부는 조속히 사용후 핵연료를 처리할 방도를 찾아야한다. 고준위폐기물의 처리방법은 크게 두가지이다. 하나는 영원히 안전하게 묻는 방법(직접처분)이고 다른 하나는 재처리를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재처리를 하더라도 고준위폐기물의 양은 줄지 않는다. 재처리가 사용후 핵연료에 포함된 단 1%의 플루토늄을 추출하는 과정일 뿐, 나머지 99%는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재처리를 하더라도 고준위 폐기물을 처분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가 되는 것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이 고준위 폐기장을 만들고, 성공적으로 운용되는 사례는 없다. 아직 고준위폐기장을 만들 기술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숙제를 어떻게 할 것인지 세계가 궁금해 하고 있다. 한국정부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2013년 말에 “사용후핵연료공론화위윈회”를 구성하였다. 이 위원회의 가장 큰 고민은 고준위방폐장을 만들 기술이 없다는 점일 것이다. 현재의 기술로는 약 50년 정도 사용 가능한 “중간저장소”를 만들 수 있다. 그래서 최소 10만년 이상 안전하게 보관해야할 고준위방페장은 현재 기술이 지속된다면 50년에 한 개씩 2,000개를 만들어야 10만년이 지나갈 것이다. 한반도 내에 2,000개의 고준위핵폐기물 중간저장소를 지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이 과연 가능한 일일까?

8. 핵발전의 대안 

핵발전소의 위험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 그 위험성에 대해서는 인정하면서도 대안이 없으니 어쩔 수 없다는 태도를 가진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이것은 그동안 정부가 해둔 찬핵홍보의 영향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탈핵은 세계적 추세이고, 이미 많은 나라들이 그 길을 가고 있다. 그런 나라들이 선택한 핵발전의 대안들을 살펴보자. 

독일과 스위스, 벨기에 등의 국가들이 대안도 없이 탈핵을 결정하지는 않았다. 이들 국가가 제시하는 탈핵 계획서를 보면 모두 공통점을 갖는데, 그것은 바로 재생가능에너지 개발이라는 공통점이다. 1954년 탄생한 핵발전소는 1980년 후반부 이후 전혀 그 숫자가 증가하지 않았다. 최근 들어서는 오히려 조금씩 감소하고 있었는데, 앞으로는 후쿠시마 사고의 영향으로 급격하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 중국, 인도, 러시아 등의 개도국들이 핵발전소를 지속적으로 건설하고 있으나 유럽이 지난 25년간 약 50개의 핵발전소를 폐쇄한 바 있고, 미국 역시 약 30년 간 원전을 건설하지 않았다. 

반면에 태양광, 풍력 등 재생가능 에너지 개발은 핵발전과는 정 반대의 길을 가고 있었다. 그림 4를 보면 전세계의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핵발전의 신설 규모를 나타내고 있는데, 풍력은 매년 20% 이상을 성장하고 있고, 태양광은 매년 50% 이상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핵발전은 전혀 성장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계적 추세는 이미 결정되어있다고 보여진다. 핵발전은 수십년 부터 사양산업이었고, 그 자리를 태양광과 풍력 등 자연에너지가 대신하고 있다. 전 세계가 실천으로 보여주는 이 길이 바로 핵발전의 대안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4. 세계 연도별 신설된 발전시설 현황. 파란색의 풍력발전은 매년 20% 이상의 성장세를 보여준다. 노란색은 태양광으로 매년 50% 이상을 성장하고 있다. 반면에 빨간색의 핵발전은 전혀 성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2012, Green Peace 자료 인용)

9. 결어

핵발전이 값이 싸다는 말, 핵발전은 대안이 없다는 말, 핵발전은 안전할 수 있다는 말은 모두 거짓이다. 또한 재생가능에너지가 충분히 생산되기 어렵다는 말, 재생가능에너지는 비싸다는 말 역시 모두 거짓이다. 세계가 이미 선택한 길, 즉 탈핵과 자연에너지의 길은 생태계와 생명들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전 세계가 가고 있는 그 길이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가 부정되는 우리나라는 핵산업계의 홍보에 의해서 국민의 눈과 귀가 완전히 가려져 있는 상태라고 판단된다. 2012년 통계에 의하면 세계에서 재생가능 에너지의 발전량은 20%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원자력은 11%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재생가능에너지의 발전량이 핵발전의 2배가 된 것이다. 게다가 재생가능에너지는 엄청난 속도로 성장중이고 핵발전은 축소가 진행되고 있다(참고문헌 5). 이런 세계적 동향과는 완전히 반대로 가고 있는 한국은 2012년 핵발전이 31%, 재생가능에너지는 0.4%를 기록하고 있다. 재생가능 분야에서 세계 꼴찌인 것이다. 우리가 어느 길을 선택해야 하는지는 너무도 명확하다. 핵산업계의 영향력으로부터 정부와 국민이 자유로와져야 비로소 그 길을 갈 수 있게 될 것이다. 

후쿠시마 핵사고 이후 독일, 벨기에, 스위스는 탈핵을 결정하였고, 한국, 미국, 캐나다, 프랑스는 핵발전을 계속한다고 발표하였다. 무엇이 이들 국가들의 핵발전에 관한 태도를 이렇게 극단적으로 갈라놓는 것일까? 찬핵과 탈핵으로 갈라놓는 것은 단 하나이다. 탈핵을 결정한 나라들은 후쿠시마핵사고를 보면서 “저런 사고가 우리나라에도 일어날 수 있다”고 판단하는 반면, 핵발전 지속을 결정하는 나라들은 모두 “저런 핵사고는 우리나라에서는 절대로 일어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렇게 판단하는 한국, 미국, 프랑스, 캐나다는 핵발전소 개수도 많을 뿐 아니라 안전성에 관한 태도 역시 나태하다. 그래서 필자는 다음 핵사고 발생국으로 이들 나라들을 지목하는 것이다. 

<책소개>
‘원자력 안전 신화’ 언제까지 속고만 있을 것인가!
 

대한민국 모든 시민들을 위한 탈핵 교과서『한국탈핵』. 이 책은 탈핵운동에 몸 바치고 있는 탈핵 전문가, 활동가인 김익중 교수가 행했던 강의 기록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엮은 것이다. 학술적이고 어려운 내용보다는 핵발전소에 관한 전체적인 관점을 정리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후쿠시마 핵사고, 핵사고의 확률, 한국의 위험 정도, 방사능의 건강영향 등 원자력 관련 이슈를 모아 다루고 있으며 누구라도 이해하기 쉽도록 강의 되어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남북교류의 문을 다시 열겠습니다’

 

겨레하나 10주년 맞아 ‘북녘 평화비료 보내기 및 후원의 밤’ 열어
이계환 기자  |  khlee@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4.06.13  16:28:22
트위터 페이스북
   
▲ 12일 문학의 집에서 열린 ‘북녘 평화비료 보내기 및 겨레하나 10주년 기념 후원의 밤’이  ‘두드림’의 난타 공연과 함께 막을 열었다. [사진제공-겨레하나]

‘남북교류의 문을 다시 열겠습니다’

12일 저녁 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겨레하나) 창립 10주년을 맞아 ‘북녘 평화비료 보내기 및 후원의 밤’이 열린 서울 예장동 문학의 밤 대회장 벽에는 대북 지원 단체의 현주소를 나타내듯 이런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이날 행사는 겨레하나의 홍보대사인 개그맨 노정렬 씨의 사회로 쌍문동 청소년 문화의 집 난타 동아리 ‘두드림’의 난타 공연과 함께 막을 열었다.

   
▲ 인사말을 하고 있는 이성림 겨레하나 이사장. [사진-통일뉴스 이계환 기자]

이성림 겨레하나 이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지난 10년간 겨레하나를 통해 방북한 인원만 해도 1만 6천명이고 평양남사당 공연, 남북 학술토론회 등 교류사업 횟수는 셀 수 없을 정도”라고 성과를 알리고는 “모두가 남북의 화해와 평화, 통일을 바라는 마음에서 맺어진 인연이기에 더욱 귀중한 것”이기에 겨레하나가 향후 풍성하고 알찬 사업으로 보답할 것을 약속했다.

이어, 이날 행사의 주제인 북녘 평화비료 보내기에 나선 한국노총 장장환 통일부위원장, 민주노총 이상진 부위원장, 전농 김영호 의장이 나와 연대사를 했다.

김영호 의장은 “남과 북이 통일이 안 되면 농민은 몰살된다. 통일이 돼야 농민이 산다”면서 “금년 봄에 통일모내기를 했기에 가을에 수확을 하게 된다. 박근혜 정부는 북녘에 쌀 한 톨도 안 주려 하기에 우리 전농이 수확한 쌀을 북에 올라가 나누려고 한다. 전농이 통일의 물꼬를 트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북녘 평화비료 보내기에 나선 한국노총 장장환 통일부위원장, 전농 김영호 의장, 민주노총 이상진 부위원장(왼쪽부터) 이 나와 연대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겨레하나]

이날 겨레하나 창립 10주년을 맞아 ‘남북교류의 문을 열어주세요’와 ‘겨레하나 10년, 더 깊고 넓게 달려가겠습니다’는 제목의 영상 두 개가 상영됐고, 가수 이지상 씨의 축하 공연이 이어졌다.

특히, 이날 행사에서는 김이경 전임 사무총장과 이연희 신임 사무총장이 무대에 올라 각각 이ㆍ취임의 인사를 했다.

김이경 전 총장은 “10년간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걸 했다. 정세도 좋아 일도 잘 됐다”고는 “그런데 지금 어려운 시기가 온 이때 그만두는 게 마음 아프다. 가장 어려운 시기에 후배들이 새롭게 나서게 된 것에 격려를 보낸다”며 아쉬움과 함께 후배들에게 애정을 보냈다.

이연희 현 사무총장은 “겨레하나 10년의 역사는 대단한 역사다. 그 역사에 부끄럽지 않게 일을 할 수 있을까 늘 부대낀다”고 심정을 밝히고는 “남북관계가 악화된 상태에서 겨레하나가 무엇을 할 수 있을 지 고민하고 있다. 이제 겨레하나 시즌2를 열겠다. 제2의 전성기를 만들겠다”고 조심스럽게 포부를 밝혔다.

   
▲ 김이경 전임 사무총장(왼쪽)과 이연희 신임 사무총장이 무대에 올라 각각 이ㆍ취임의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이계환 기자]

성유보 겨레하나 이사장은 감사의 인사말에서 “6.15공동선언이 발표된 지 14주년이 되는 올해 10주년을 맞는 겨레하나도 6.15공동선언으로 탄생했다”면서 “6.15공동선언의 정신을 되새기고 이행하는 길에 겨레하나도 자기 몫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 이사장은 “저 벽에 걸린 ‘남북교류의 문을 다시 열겠습니다’는 현수막 문구처럼 겨레하나가 남북교류의 문을 다시 열 수 있도록 아낌없는 응원과 격려를 부탁드린다”며 참가자들에게 변함없는 도움을 요청했다.

   
▲ 참가자들이 "6.15공동선언과 겨레하나 만세!"하며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겨레하나]

‘5.24조치로 굳게 닫힌 남북 교류협력의 문을 여는 일, 북녘의 식량자급을 돕는 평화비료 보내기로 시작하려 합니다’는 내용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는, 홍익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의 마무리 축사와 사회자 노정렬 씨가 세월호 참사와 남북 교류를 연상하면서 “포기하지 않겠습니다”, “잊지 않겠습니다”는 마무리 말과 함께 막을 내렸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박중기 추모연대 명예의장, 임방규 통일운동 원로, 장회익 서울대 명예교수, 서승 일본 리츠메이칸대학 특임교수, 권낙기 통일광장 대표, 조순덕 민가협 상임의장을 비롯해 100여명이 참가해 겨레하나 10주년을 축하했으며, 특히 어깨동무, 함께사는세상,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평화3000,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 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등 대북 지원 단체들이 대거 참가해 힘을 보탰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새 교육라인 인선, 전교조-진보교육감 수난 예고

김명수 전교조 진보 척결, 송광용 정수장학회 한국문화재단 출신
 
육근성 | 2014-06-14 11:51:07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부총리급 교육부장관에 김명수 전 한국교원대 교수가청와대 교육문화수석에는 송광용 전 서울교육대 총장이 내정됐다서남수-모철민 라인에 비해 100% 순도에 가까울 만큼 친박 색채가 진해졌다.

교육라인’ 대폭 강화한 박근혜-김기춘 정부

교육라인을 대폭 강화했다사회 부총리(교육,사회,문화분야 총괄)가 교육부장관을 겸하도록 돼 있다정부의 안대로 정부조직이 개편될 경우 교육부장관의 위상은 부총리급으로 격상돼 경제부총리와 쌍벽을 이루며 사회분야를 책임지게 된다.

김명수 내정자가 사회부총리에 임명될 경우 전교조와 관련있는 고용노동부 등 민감한 부처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김 내정자는 스스로 합리적 보수를 자처한다하지만 그의 행보를 종합해 보면 박근혜 정부의 정책을 지지해온 강경보수다.

그의 이념관은 뉴라이트와 맥을 같이한다친일교과서 논란에 대해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교학사 교과서 채택률 0%에 가까운 것은 좌파와 진보성향 시민단체들이 교학사를 협박하고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한 학교를 찾아 행패를 부렸기 때문이라며 이는 국가적 국민적 수치라고 주장한 바 있다.

부총리급 김명수 교육부장관 내정자전교조 척결 친일교과서 옹호

그는 학교 역사교육 현장을 매우 부정적으로 본다. “식민사관을 극복한다며 등장한 진보성향의 사람들이 역사교육을 좌지우지하면서 대한민국 정체성에 위협이 되고 있다며 위안부가 (일본군을따라다녔다는 교학사 교과서의 표현이 논란이 된 것에 대해서도 단어 하나만 갖고 문제를 삼은 것으로 진보 측 교과서에도 흠잡을 것 많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전교조를 강하게 부정한다. “20년 동안 전교조가 교원양성 단계부터 예비교사를 포섭해 의식화 작업을 해왔지만 좌편향에 물들지 않은 교사가 여전히 다수라며 “10~20%에 불과한 좌편향 교사들이 목소리가 켜 학부모나 시민단체 등을 동원해 교장을 압박하기도 한다고 날을 세웠다.

또 비정상의 정상화에 전교조도 포함되는 게 맞다는 주장을 폈다전교조 존재 자체에 대한 강한 부정이다전교조에 대한 정부의 법외노조화 조치는 당연한 것이라고 강조한 뒤 전교조가 국가 교육정책에 대해 왈가왈부해서는 안 된다고 못을 박았다아무리 정책이 잘못됐다 해도 입 닥치고 가만히 구경만 하고 있는 게 옳다는 주장이다.

<

<이명박 정부부터 각종 현안에 대한 민주화 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잦았고 '뉴라이트 계열' 교수들은시국선언에 반박하는 성명을 냈다. 여기에 거반 '김명수'라는 이름이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김명수 국정교과서 도입 필요, 학생인권 충분 교사권위 강화해야

교과서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의 예를 들며 친일교과서 단체들의 주장을 그대로 복기했다. “국사와 국어 등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르치는 과목에 대해서는 국가가 분명하게 방향을 정해줘야 한다교육부가 편수조직을 확충해 일일이 지침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래도 교과서 논쟁이 계속된다면 국정교과서 체제로의 전환을 검토해야 한다고 못박았다.

학생인권조례에 대해서는 알러지 반응을 보였다학생의 인권은 충분히 보장돼 있지만 교사의 인권은 그렇지 안다며 교사의 권위가 시급히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그가 문화일보와 지난 2월 인터뷰한 내용이다

지금 학교현장에는 넘칠 정도로 학생인권이 보장되고 있지만 교사들은 무력증에 빠져있다학생인권조례는 특정 이념하에 정치적 목적을 갖고 만들어진 것이다이미 제정된 조례를 막을 수 있는 건 학부모밖에 없다시대가 변했다 해도 교사는 여전히 국왕과 부모를 대신하는 존재라고 생각한다권위가 있어야 아이들을 이끌어갈 수 있다.”

<친일 논란이 거셌던 교학사교과서 내용. 이 교과서가 '옳다'고 주장하는 이들 중 하나가 교육부장관후보자다. 일제식민지배와 수탈을 합리화하려고 안달난 정권. '문창극 류가' 얼마나 더 판을 칠까.>

교사는 국왕과 부모를 대신하는 존재

김명수 내정자가 어떤 사람인지 그 단면을 잘 보여주는 발언이다교사를 왕과 부모를 대신하는 존재라고 표현하다니어린 학생들과 함께하는 교단에 규범적 통제와 물리적 힘을 바탕으로 한 권위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그의 주장이 황당할 뿐이다

이런 사람이 부총리급 교육부장관이 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불 보듯 뻔하다교과서 검정제도 도입과 학생인권조례를 폐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을 듯하다. ‘교사권위신장조례를 만들려 덤빌 기세다.전교조에 대한 박해는 극에 달할 것이다

그와 박근혜 교육라인의 한 축을 담당할 송광용 내정자는 어떤 사람일까. ‘골수 친박으로 분류된다.작년까지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정수장학회 이사를 역임했다박 대통령이 이사장이었던 때인 1999년 이사에 선임된 이후 무려 14년간 장물 장학회의 임원직을 유지해 왔다그가 얼마나 친박근혜 성향인지를 적으로 말해주는 대목이다.

 

송광용 교육수석정수장학회-한국문화재단 출신

고 김지태씨에게서 강탈한 장물이 분명한데다 사실상 박 대통령의 장학재단인 정수장학회이 재단의 이사로만 있었던 게 아니다박 대통령이 30년 이상 이사장을 맡아오다 대선 몇 달 전 황급히 해산시킨 한국문화재단의 감사를 맡기도 했다한국문화재단이 위치했던 곳은 서울 강남구 신사동 588번지’. 박근혜 비선조직인 신사동팀의 본거지로 알려지기도 했다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하겠나.

부총리급 교육부장관에는 전교조 척결과 친일교과서를 옹호하는 인물을청와대 교육수석에는 박근혜 정권 산실이나 다름없는 정수장학회와 한국문화재단에 몸 담았던 가신을 내정했다이렇게 진용을 짠 것은 6.4선거에서 진보교육감이 대거 당선된 것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김명수-송광용 교육라인에게 주어진 미션이 어떤 것인지 감잡힌다전교조 척결과 뉴라이트 교과서 보급학교내 친독재·국가주의적 이념 확산진보교육감에 대한 행정적 압박과 견제 등이 그것일 것이다. 교육감 임명제 추진에도 앞장 설 것으로 보인다.

친일교과서 보급 획책과 전교조와 진보교육감 수난 시대가 본격화 될 모양이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2&table=c_aujourdhui&uid=363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95년 전 이완용의 '망언', 문창극 발언과 똑같네

 

 

 
 
 
'게릴라칼럼'은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들이 쓰는 칼럼입니다. [편집자말]
기사 관련 사진
▲  이완용.
ⓒ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관련사진보기

1905년 을사늑약(소위 을사보호조약)과 1910년 국권침탈을 주도하여 '친일파의 대명사'로 등극한 이완용. 그는 살아생전에 온갖 친일 망언들을 쏟아냈다. 그는 이미 죽고 없지만 그의 망언을 여전히 참고하지 않으면 안 될 이유가 있다. 그 이유는 맨 뒤에서 언급하기로 하고, 95년 전에 이완용이 쏟아낸 어이없는 망언들부터 살펴보자. 

한국인의 10%가 넘는 200만 명 이상(일본측 추산은 110만 명 정도)이 "대한독립 만세!" 혹은 "조선 독립 만세!" 또는 "일본 나가라!"를 외친 1919년 3·1운동. 이때 한국인의 10% 이상은 단순히 시위에 참가하는 정도가 아니라, 헌병의 총칼에 맞서 목숨을 걸고 싸웠다. 그것은 시위가 아니라 전쟁이었다. 

3·1운동이 일어난 것은 1910~1919년의 식민통치 9년간이 그만큼 괴로웠기 때문이다. 일본측 주장대로 그 9년 동안 한국인들이 잘살았다면, 그처럼 수많은 대중이 헌병의 총칼 앞에서 만세를 외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일본측이 그 어떤 통계 자료를 들이민다 해도, 3·1운동을 통해 드러난 식민통치의 참혹함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같은 민족적 궐기에 대해 친일파 이완용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었을까? 이완용의 느낌은 한마디로 '딱하다'는 것이었다. 이 점은 1919년 4월 5일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를 통해 발표한 경고문에서 확인된다. 이 경고문은, 한 달 넘게 지속되고 있는 만세운동을 지켜보다가 더 이상 참지 못해 작성한 것이다. 

'식민통치 순응이 살 길'이라 했던 이완용

<매일신보> 톱기사로 실린 이 경고문의 서두에서, 이완용은 "오호! 조선 동포여! 속담에 사중구생(死中求生)이란 말이 있다. 그런데 지금 조선 인민은 생중구사(生中求死)하려 하고 있으니, 이 어찌된 까닭인가?"라며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참고로, <매일신보>에 실린 이완용의 경고문은 100년 전 문투인 데에다가 중간 중간에 중국어문장으로 되어 있어, 이것을 원문 그대로 소개하면 오늘날의 독자들이 읽기가 편하지 않다. 그래서 원문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현대 한국어로 옮겼음을 밝힌다. 

이완용이 인용한 사중구생이란 속담은 '죽을 고비에서 살 길을 찾는다'는 뜻이다. '생중구사'는 사중구생을 뒤집은 말이다. 충분히 살 수도 있는 상황에서 헛되이 죽을 길을 찾아간다는 뜻이다. 

3·1운동을 한 달 넘게 지켜본 이완용의 소감은 "다들 스스로 죽을 길을 찾아가는구먼!"이었다. '식민통치에 순응하면 죽일 고비에서도 살 길이 생기는데, 왜들 저렇게 살 길을 놔두고 죽을 길을 찾아가는가!'라며 그는 나름대로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이것은 이완용식 동족애였다. 
 
기사 관련 사진
▲  이완용의 제1차 경고문을 톱기사로 실은 1919년 4월 5일자 <매일신보>. 이 기사의 오른쪽에는 이완용의 경고문을 소개하는 편집자의 말이 실려 있다. 그래서 이 기사는 톱기사였다.
ⓒ 조선총독부

관련사진보기


뒤이어, 이완용은 자신이 글을 쓴 동기를 설명했다. "조선독립이라는 선동이 허언이고 망동이라는 점에 대한 각계 인사들의 천 마디 만 마디가 부족함이 없는데도 (일반 대중이) 계속 자각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렇게 나서게 되었노라고 그는 말했다.  

그런 뒤에, 3·1운동의 본질을 이렇게 해석했다. "처음에 무지하고 몰지각한 아이들이 망동을 벌이더니, 그 뒤 각 지방에서 뜬소문을 듣고 함께 일어나 치안을 방해하고 있다." 무지몽매한 학생들의 망동에 어른들이 부화뇌동하는 바람에 이런 사태가 생겼다는 것이다. 

'이완용의 제1차 경고문'이라 불린 이 기사의 결론은 "동포여! 내 말을 듣고 앞으로는 후회하지 말라"는 것이었다. 그런 다음에 이완용은 "백작 이완용, 삼가 고하다"라는 표현으로 경고문을 끝맺었다. '경고문'이란 제목과 '삼가 고하다'라는 끝맺음이 어딘가 부자연스럽다. 

이완용, 3차 경고문에 모든 친일철학 동원

제1차 경고문이 나가자, 한국인들 사이에서 분노와 비판이 터져 나왔다. <매일신보>에 소개된 바에 따르면, 어떤 사람은 "매국노의 말이 세상의 이목을 더럽힌다"라며 울분을 표시했다. 이완용도 이런 반응을 확인했다. 그래서 그는 4일 뒤인 4월 9일 제2차 경고문을 발표한다. 제1차 경고문에 대한 대중의 반응을 보고 뭔가 울컥했던 것 같다.

4월 9일자 <매일신보>에 실린 제2차 경고문에서, 이완용은 자기의 진심을 믿어달라고 말한 뒤 "지성이면 감천이라고 한다. 여러분이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위협에도 개의치 않고 경고문을 다시 발표한다"고 말했다. 대중의 비판에 대해 다소 조롱 섞인 반응을 보인 것이다.  

이 경고문에서 이완용은 자기가 소신을 갖고 제1차 경고문을 작성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 외에는 특별히 추가된 내용이 없다. 제1차 경고문에 대한 대중의 반응 때문에 심기가 좀 불편했는지, 이완용은 "백작 이완용, 다시 고하다"라는 말로 끝맺음을 했다. '삼가 고하다'가 '다시 고하다'로 바뀐 것이다. 

3월 1일 시작된 만세 시위는 4월에도 계속 확산되다가, 5월 하순이 되면서 약해지기 시작했다. 이 시점에서 이완용은 제3차 경고문을 발표할 필요성을 느꼈다. 시위가 약해지는 시점에서 쐐기를 박아야겠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는 5월 29일 제3차 경고문을 발표한다. 

확실하게 쐐기를 박기 위해서인지, 이완용은 <매일신보>에 실린 제3차 경고문에서 자기의 모든 철학을 총동원했다. 모든 철학이란 것은 친일 철학을 말한다. 모든 철학이 다 동원되어서인지, 제3차 경고문은 앞의 두 개에 비해 내용이 훨씬 더 길다. 

"일한합병은... 조선민족의 유일한 활로" 
기사 관련 사진
▲  이완용의 제2차 경고문.
ⓒ 조선총독부

관련사진보기


제3차 경고문의 서두에서 이완용은, 시위가 누그러진 것에 대해 치하의 뜻을 표시했다. '잘 생각했다'고 칭찬한 것이다. 그런 뒤에 그는 "본인이 한마디 더 하고자 하는 것은, 독립론이 허망하다는 것을 여러분이 확실히 각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며 독립에 대한 희망을 버리라고 촉구했다. "일한합병은… 조선민족의 유일한 활로"라고 그는 단언했다. 

독립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이완용은 자기 나름대로 결정적인 근거들을 제시했다. 하나는, 한국 땅이 좁다는 것이었다. 이런 좁은 땅으로 무슨 독립이 가능하냐는 것이었다. 

또 다른 근거는 "모든 수준이 부족한 천여 백만의 인구로는" 독립이 불가하다는 것이었다. 국민 수준이 모든 면에서 질적으로 떨어지는 데에다가 인구도 천여 백만밖에 안 되니 무슨 독립이 가능하냐는 것이었다. 당시의 조선 인구는 2천만 명 정도였지만, 그는 한국인 인구가 일본인 인구보다 적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일부러 '천여 백만'이란 표현을 사용했다. 거짓말 같지 않게 거짓말을 한 것이다. 

한걸음 더 나아가, 이완용은 하느님까지 들먹였다. 조선이 식민지가 된 것은 상천(上天) 즉 하느님의 뜻이라는 것이다. 그는 "상천도… 두 땅의 분립을 불허하실 것"이라고 못 박았다. 두 땅은 한국 땅과 일본 땅을 지칭한다. 하느님도 일본의 통치 하에서 조선과 일본이 함께 살기를 바라실 것이라는 게 이완용의 말이었다.  

그런 다음에 이완용은 식민통치의 우수성을 찬양했다. "총독 정치 10년의 성적을 볼 때, 인민이 향유한 복지가 막대하다는 점은 내외 국민이 공감하는 바다." 한국인의 10%가 목숨을 걸고 시위에 뛰어든 참혹한 현실을 무시하고, 식민 통치 10년간 한국인의 생활수준이 향상되었다고 주장한 것이다. 그는 식민지 근대화론(식민통치 덕분에 한국이 근대화되었다는 주장)의 교과서였다. 

뒤이어 이완용은, 식민통치는 우수한 통치이므로 지금 단계에서는 총독부에 저항하지 말자고 주장했다. 또 일본에 대한 요구사항이 있더라도 지금 당장은 자제하자고도 말했다. 

"여러분이 주장하는 지방자치, 참정권, 병역문제, 교육문제, 집회 및 언론의 자유 등의 문제가 꽤 많지만, 여러분의 생활 및 지식수준에 따라 정당한 방법으로 요구해야만 동정을 얻을 수 있다."

총독부에 요구할 게 있더라도 생활수준과 지식수준을 향상시킨 뒤 합법적 절차에 따라 요구하라는 것이다. 그래야만 동정을 얻을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독립하고 싶으면 힘부터 기르라던 이완용

자신의 경고문이 나가고 나서 1개월 뒤에 시위운동이 약해졌다는 사실에 스스로 고무되었는지, 이완용은 일본인들에 대해 관용의 마음을 품자고 한국인들을 설득했다. 이완용의 마음속에서 호기가 발동한 것이다. 그는 조선인을 차별하는 내지인 즉 일본인들에 대해 아량을 갖자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가 내지인에 비해 실력이 부족하지 않다고 할 수 없으니, 아량을 크게 갖고 가급적 그들에게 반성을 촉구하고 이해를 구해야 할 것이오."  
 
기사 관련 사진
▲  이완용의 제3차 경고문. 별표 부분에서부터 시작하여 하단의 ‘현상 소설 모집’ 광고의 양쪽과 아래쪽에도 경고문이 이어지고 있다.
ⓒ 조선총독부

관련사진보기


이렇게 꽤 긴 내용의 경고문을 작성한 뒤 이완용이 결론적으로 내린 한마디는 "여러분의 급선무는 실력을 양성하는 것뿐이다"였다. 독립하고 싶으면 힘부터 기르라는 것이다.  

이완용은 실력을 양성해서 일본을 이겨보라고 말했다. 그런데 그가 말한 실력에는 주먹이나 무력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주먹이나 무력으로 대항하는 것은 실력이 아니라는 게 그의 관점이었다. 

위에서 소개했듯이 이완용은 '정당한 방법'으로 일본을 상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말은, 일본을 이기려면 일본이 정한 법과 제도 안에서 일본과 싸워야 한다는 뜻이었다. 따라서 실력을 양성하자는 말은 일본에게 저항하지 말자는 말과 다를 바 없었다. 

을사늑약과 국권침탈에 협력한 일로 인해 이미 큰 죄를 지은 이완용은 위와 같이 3·1운동 시기에도 동족의 기를 꺾고 동족을 우롱하는 죄악을 범했다. 그는 오늘날의 일본 총리나 장관들 못지않게 온갖 망언을 쏟아냈다. 그는 그렇게 살다가 1926년에 '대일본제국'의 '품안'에서 편안히 눈을 감았다. 

2014년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는 '이완용들'

이 기사의 서두에서 "이완용은 이미 죽고 없지만 그의 망언을 여전히 참고하지 않으면 안 될 이유가 있다"면서 "그 이유는 맨 뒤에서 언급하겠다"고 말했다. 이제 그 이유를 언급한다. 

이완용은 죽고 없지만, 아직도 대한민국에는 이완용과 다를 바 없는 사람들이 한둘이 아니다. 그들은 지금도 어디에선가 친일 망언들을 쏟아내고 있다. 식민통치는 끝났지만, 그들의 마음속에는 여전히 식민통치가 계속되고 있다. 그래서 마음 놓고 망언을 하는 것이다. 

더욱 더 한심한 것은, 이완용과 똑같은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 중 일부가 대한민국의 일인지하 만인지상 자리까지 탐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사람들이 대한민국을 통치하는 것을 막으려면, 이완용과 똑같은 말을 하고 다니는 사람들을 지도층의 자리에서 끌어내려야 한다. 

대한민국이 더 이상 추락하지 않도록 하려면, 누가 이완용과 똑같은 말을 하고 다니는지 살펴보지 않으면 안 된다. 바로 그런 이유 때문에, 95년 전 이완용의 친일 망언을 다시 들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국제앰네스티 “韓경찰, 밀양 과잉진압 인권침해”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4/06/14 12:25
  • 수정일
    2014/06/14 12:25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국제앰네스티 “韓경찰, 밀양 과잉진압 인권침해”
이계덕 고발뉴스 SNS 특파원  |  balnews21@gmail.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4.06.14  12:02:47
수정 2014.06.14  12:04:09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 ⓒ 밀양 765kV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

국제인권단체 앰네스티가 경남 밀양 송전탑 농성장 철거 과정에서 경찰이 과잉진입을 했다고 인권침해 우려를 제기했다.

앰네스티는 13일 " 평화로운 시위대를 상대로 필요 이상의 공권력을 사용해서는 안된다"며 "경찰은 농성자들을 움막에서 끌어내는 과정에서 칼로 천막을 찢고 농성자들이 고령인 점을 감안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아널드 팡 국제앰네스티 동아시아 조사관은 "최근 시위대에 대한 한국 정부의 대응을 보면 집회·시위·표현의 자유를 보호하기를 꺼리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며 "정부는 평화시위에 참여하는 이들의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이 기사는 인터넷 뉴스 신문고(http://www.shinmoongo.net/sub_read.html?uid=58552)에도 동시 게재 되었습니다.
 

 
 
 

[관련기사]

 
이계덕 고발뉴스 SNS 특파원의 다른기사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백발 청춘의 '통일시인' 이기형 1주기


생전에 남긴 10권 600편에서 간추린 '이기형 대표시 선집' 출판기념회
이승현 기자  |  shlee@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4.06.13  13:15:24
트위터 페이스북
   
▲ '통일시인' 이기형 1주기 추모 모임 및 '이기형 대표시 선집'출판기념회가 12일 오후 서울 조계사 내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열렸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아흔일곱 생애를 단 하룻날처럼 휘달려간 '통일시인' 이기형 1주기를 맞아 추모 모임과 '이기형 대표시 선집' 출판기념회가 12일 서울시 종로구 견지동 조계사내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함께 열렸다.

천명(天命)의 세월, 온 몸으로 조국의 참된 해방과 통일을 노래한 '백발 청춘의 시인'은 그가 한생을 통해 보여주었던 소년같은 순수한 영혼과 온유하고 따뜻한 성품으로 다시 사람들을 모이게 했다.

시인이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함께했던 한국작가회의, 한국문학평화포럼 등 문학동네 인사들과 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사월혁명회, 양심수후원회, 민족문제연구소를 비롯한 통일운동 단체를 포함해 200 여 명의 참가자들은 3시간 가까이 진행된 추모 및 기념회에 끝까지 자리를 함께했다.

   
▲ 왼쪽부터 민영 시인, 이부영 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 회장[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어린시절을 만주에서 보냈던 민영 시인은 추도사에서 고 김규동 시인과 함께 이기형 시인을 기억하면서 "50년 가까이 형, 동생으로 지내오던 두 분이 차례로 가시고 나니 앞으로 북쪽을 바라보면서 형님이라고 떠올릴 수 있는 시인이 없어졌다"며, 그리움을 표시했다.

민영 시인은 "함경도 출신인 두 분은 생전에 만나시면 '이 담에 고향갈 때 같이 가자'고 곧잘 이야기했다"며, "부디 저 세상에서도 생각나면 글쓰시고 후배들 생각해 달라"고 추모했다.

이미 그 자신이 여든에 달한 노시인은 "선생님들 고맙습니다"라며 추도사를 맺었다.

이부영 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 회장은 "해방과 분단의 세월을 이러저리 헤매면서 잠시도 쉬지 않고 쉼없는 통일염원으로 걷고 또 걸었던 시인의 등산화"를 떠올리며 "이기형 시인의 한 생은 남(南, 他)의 하늘 아래서 사느라 너무 고통스러우셨다고 표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왼쪽부터 권오헌 양심수후원회 명예회장, 정동익 사월혁명회 상임의장, 강준식 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 사무총장, 이형찬 바른정치실현연대 대표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권오헌 양심수후원회 명예회장은 "처음엔 시인 이기형으로 뵌 것이 아니라 멈출 수 없는 열정으로 훼손되는 민주주의, 짓밟히는 민중생존권, 탄압받는 민족통일의 현장에 달려오신 선생니을 만났다"며 고인과의 만남을 기억했다.

권오헌 회장은 "2~3년 전부터 이기형 선생님이 말씀하시길 '통일시상이 무수히 떠올라. 100살까지 계속 쓸거야'라고 했다며, "장담하시던 백수를 못보고 잠드셨다. 고향엔 다녀오셨느냐"고 애도했다.

정동익 사월혁명회 상임의장은 자신이 지난 1989년 '아침'이라는 출판사를 운영하면서 이기형 시인과 만나 지리산 빨치산을 다룬 실록연작시집 '지리산'을 출판했다가 함께 구속된 '공범'관계라는 인연을 소개했다.

정동익 의장은 "이기형 선생님은 사월혁명회와 동아투위 행사에 항상 정시에 참석해서 쩌렁쩌렁한 음성으로 시낭송을 해주셨다"며, "이제 70대에 접어든 동료들에게도 노년의 이기형 선생님이 보여주셨던 그 열정을 보라고 말하곤 했다"고 회고했다.

정 의장은 "선생님은 '통일이 되면 북에 남겨둔 영석(아들), 호정(딸)을 꼭 만나달라'고 당부했다"며, "그토록 후배들에게 모범이고 귀감이 됐던 일생을 꼭 전하겠다"고 다짐했다.

몽양 여운형 선생의 비서역을 맡아 한 이기형 시인이 지난 1989년 몽영 여운형 연구자였던 자신을 찾아와 첫 인연을 맺게 됐다는 강준식 몽양여운영선생기념사업회 사무총장은 첫 만남에서부터 단박에 '민주화 이후 민족적 과제는 통일'이라는 시인과 의기투합했다고 말했다.

강준식 총장은 이기형 시인이 좋아한 시인 마오쩌둥을 자신이 소개했다는 일화를 전하면서 "이기형 시인은 참으로 소년같은 순수한 모습이 있었으며, 시는 과감하고 파격적이었지만 성품은 온유하고 따뜻했다"고 감회롭게 회고했다.

여든살에 접어든 이형찬 바른정치실현연대 대표도 고향 선배인 이기형 시인의 맑고 깨끗한 성품을 기리며 "평생 아름다운 생활을 하시다가 아름다운 날을 택해 돌아가셨다"고 추모했다.

   
▲ 왼쪽부터 '이기형 대표시 선집'의 대표 엮은이인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 소장, 맹문재 시인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 소장은 출간 기념사에서 "이기형 시인은 노년의 연세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행사에는 한번도 빼놓지 않고 빠짐없이 열심히 다녔을 뿐만 아니라 언제나 쩌렁쩌렁한 목소리로 현장에서 시낭송을 하셨다"며, "이런 시인, 이런 통일운동가는 후배들에게도 귀감이 되도록 기려서 후세에 감동과 교훈을 주어야 한다"고 밝혔다.

대표 엮은이인 맹문재 시인은 이번 시선집이 지난해 가을부터 기획돼 시인이 남긴 10권, 600편의 발표시와 미발표 신작시 중에서 통일 주제를 가장 잘 드러낸 시편을 중심으로 선정위원들이 100편을 뽑았으며, 이중 5편은 유족들이 고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맹문재 시인은 이 시선집을 통해 이기형 시인은 '한국 시문학사에서 통일의 노래를 가장 잘 부른 시인'으로 평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 왼쪽부터 나종영, 정우영, 권옥희, 김창규 시인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 왼쪽부터 문창일, 박용희, 홍일선, 고규태 시인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이날 나종영, 정우영, 권옥희, 김창규, 문창일, 박영희 시인이 시선집에 포함된 이기형 시인의 대표 시를 낭독하고 홍일선, 고규태 시인은 1주기 추모시를 발표했다.[별도 박스 : 고규태 시인-머나먼 통일공화국의 노래]

더불어 명상음악가인 평산 신기용, 중요무형문화제 제30호 가곡 이수자인 이정희, 장순향 한양대 무용과 교수와 학생들, 가수 인디언 수니, 대금 연주자인 김용욱 여민락 대표, 마묵무용단, 가수 김현성 등 많은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이기형 시인의 1주기를 추모하기 위해 공연에 나섰다.

추모 및 기념회는 이기형 시인의 외아들인 이휘건 한양대 교수와 며느리, 두 손녀의 감사 인사로 끝을 맺었다.

이휘건 교수는 "지난해 6월 아버님이 돌아가신 후 어머님(방현주 여사)은 아버님이 그리우셨는지 9개월만 더 사시고 올해 3월에 돌아가셨다"고 가족의 근황을 소개하고 "오늘 행사전에 열 여섯분이 버스를 타고 묘소에 따로 인사를 드리고 왔는데, 늦은 시간까지 자리를 함께 해 준 여러분들은 아버님을 정말 깊게 그리워하시는 분들인 것 같다. 가슴에서 절절 끓어 오르는 감사를 드린다"고 인사했다.

   
▲ 『이기형 대표시 선집』임헌영ㆍ맹문재 엮음/작가/344쪽 [사진-작가 제공]
머나먼 통일공화국의 노래
-이기형 선생님 1주기에


고 규 태


2005년 7월 25일, 여기 평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 평양
89세의 한 노인이 서 있다

여름꽃 흔들리는 순안비행장 한켠
저만큼엔 아슴히 옅은 무지개가 떠 있고
남녘에서 온 상노인이 서 있다

흰 머리, 흰 눈썹, 꼿꼿한 허리, 형형한
눈빛의 당신은 문인방북단의 일원-
최고령의 시인 이기형 선생님

당신 눈은 먼 곳에 가 있다

저 너머 동쪽 함경도 거기
저 너머 동쪽 묘향산맥 지나 거기
내 고향은 어디쯤일까

돌아보며 돌아보며 떠나온 흥남부두 
그 안쪽 함경남도 함주 땅은 어디쯤일까
내 고향은 도무지 어디쯤일까

눈가엔 남 모르는 눈물
눈시울에 물컹 젖어드는 옛기억
최고령의 당신은 어느새 소년이 되고
당신의 숨은 거칠어졌다

무심한 남행의 비행기는 
탑승을 재촉하고, 남녘북녘 문인들은
웅성웅성 아쉬움을 나누고, 재회를 기약하고

그 틈박에서 또 한 번의 이별에 
당신은 산산이 무너졌다

그 찰라, 당신 손을 이끄는 건
웃음 많은 북녘의 안내자

불현듯 당신 앞엔 따님이 나타나고
딸은 벌써 59세, 내년이면 60
어느새 희끗 할미꽃의 초입이었다

아, 얼마만인가?
10년 20년만인가, 30년만인가, 40년만인가
이도 저도 아니었다, 반백년도 
넘는 55년만이었다

둘은 껴안고, 울고, 흐느끼고,
깡마른 가슴 맞대어 얼굴을 부비고

하지만 숨 돌릴 겨를도 없이
당신께 날아든 것은 어머니 소식

어머니는 함경도에 안 계셨다
어머니는 공화국에 안 계셨다
어머니는 이 세상에 아니 계셨다 
부모님은 이미 저 세상에 계시었다

거꾸로 흐르는 역사 속
분단, 전쟁, 생이별, 그리움, 피눈물
속절없이 흘러버린 세월

분단과 전쟁- 
그러나 당신이여 얼마나 다행인가
따님 얼굴 한 번은 보았으니
그러나 당신이여 얼마나 불행인가 
부모님 얼굴은 한 번도 뵙질 못했으니

그렇게 선생님은 가시었다
무려 97세, 아흔 일곱의 당신은 
늙을 줄 모르는 소원 하나 풀지 못하고
당신마저 이 산하의 흙이 되었다

그리고 여기, 우리들의 남녘
이름하여 대, 한, 민, 국

북녘은 멀다 만남은 멀다 
대화는 멀다 평화는 멀다
상생과 통일은 더 멀다

한 생애가 온통 통일의 여정이었던
이기형 선생님이여

독립은 멀다 해방은 멀다
몽양은 멀다 건준은 멀다 
하나의 조국은 더 멀다

한 생애가 전부 조국해방과
통일공화국 건설의 손길 발길이었던 
당신이여

언론은 멀다 신문은 멀다 
두 눈은 멀다 두 귀는 멀다
사실은 멀다 진실은 멀다
부러진 펜- 정론직필은 더 멀다

한 생애가 온통 반듯 
반듯한 기자였던 당신이여
온몸이 온통 언론이었던 당신이여

자유는 멀다 평등은 멀다
인권은 멀다 민중은 멀다
약자는 멀다, 멀쩡한 헌법 놔두고
민주주의는 더 멀다

다카키 마사오-
친일 친미 유신은 더 가깝다

한 삶이 전부 민주주의 실현의
전선이었던 님이여
한 삶이 오직 반외세 자주 실현의 
최전선이었던 님이여

목숨은 멀다 생명은 멀다
사람은 멀다 생환은 멀다
웃음은 멀다 실종은 가깝다 
죽음은 더 가깝다

한 삶을 온통 저기 저 세월호에 
갇힌 채 살아온 이기형 선생님이여

그리고 다시 여기, 
우리들의 몸서리치는 남녘
이름하여 대-한-민-국

시는 멀다 문학은 멀다 
글은 멀다 정신은 멀다
행동 참여 실천은 더 멀다
잡념 잡담 잡소리는 가깝다

한 삶이 오로지 치열한 문학이었던 
님이여, 행동의 자취마다 실천의 굽이마다
민족의 대서사시였던 당신이여

떨리는 손을 붙들어 치세워 
핏자국처럼 또박또박 써내려가신 
선생님의 장대한 문학

당신의 시여 노래여
이 시대의 살아있는 예술이여
참된 먹물의 육성이여

그러한 당신은 지금 어디에 계시는가

저 남북 휴전선 위
저 서로를 겨눈 총부리 위
저 중무장한 대량살상의 무기 위
저 남북을 유유히 오가는 새의 날개짓 위

당신은 거기 계신다
우리를 내려다보고 계신다
잘들 살고 있는지 샅샅이 살피고 계신다

그러면서 이기형 선생님
흰 눈썹 휘날리며 노래하신다

살아서 못다 부른 겨레의 노래,
인민의 노래, 민주주의의 노래, 사람 사는 
세상의 노래, 우리 가슴을 저미는 노래

남과 북에 울려퍼진다
남과 북에 스민다
동서남북을 적신다

오늘도 당신이 부르시는
아직은 우리에게 머나먼 노래-
아, 통일공화국의 노래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 선승의 유언이 이룬 병원

 
조현 2014. 06. 12
조회수 1958 추천수 0
 

 

능행스님과 환자-.jpg 

환자 돌보는 자재병원 이사장 능행 스님

 

 

자재병원 환자들-.jpg 

자재병원 내에서 환담하는 환자들

 

자재병원-.jpg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지어진 자재병원

 

 

17년 전 능행 스님은 한 가톨릭 수녀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임종을 앞둔 환자가 아무래도 스님인 것 같은데 일체 대꾸조차 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환자는 선방에서 20년 넘게 수행만 해온 비구 스님이었다. 그 스님은 “중생의 은혜로 살면서 아무 것도 못하고 떠난다”고 눈물을 떨구며 능행 스님에게 유언을 남겼다. “불자가 1천만이 넘는데, 스님들이 편히 죽어갈 병원 하나가 없다”며 “나 대신 병원 하나를 지어 달라”는 것이었다. 

 

 세상일이라곤 해본 적이 없는 비구니 능행 스님은 감당키 어려운 유언을 받은 이후 기나긴 고행이 시작됐다. 더구나 “중이 수행이나 하지 웬 세상 일이냐”는 핀잔이 정당화는 되는 의식 부재의 불교계에서 맨몸으로 병원을 짓는다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치기나 다름 없었다.

 

 그런데 불가능해 보이던 그 꿈이 현실이 됐다. 정토마을공동체는 오는 15일 오후 1시30분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소야정길에 자재요양병원 개원식을 연다.  능행 스님이 이사장인 정토마을공동체가 충북 청원군 미원면에 독립형 호스피스인 정토마을을 개원한지 14년 만이다. 정토마을공동체는 지난 2005년 이곳에 병원 부지를 매입했고, 지난 2007년엔 의료복지 임상전문인력 양성교육기관인 마하보디교육원을 열어 병원 개원을 준비해왔다.

 

 양방의 내과, 외과와 한방의 한방내과 한방부인과, 한방재활의학, 침구과 등을 갖춘 이 병원은 108병상 규모로 의사 한의사 등 60여명이 환자들을 돌본다. 무료 1만5천여명의 후원자들의 십시일반으로 원력이 성취됐다.

 이 곳은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는 완화의료 전문병원이다. 완화의료병동과 함께 승려들만 입원하는 승가병동이 운영되는게 특색이다.

 

 이 병원은 의료사각지대에 있는 환자들의 의료비를 지원하고, 말기 환자들에게도 총체적 돌봄을 지향한다. 특히 삶의 마지막 순간을 존엄하게 마칠 수 있도록 불교적 임종의식을 따르고 있다.

 

 병원 개원을 맞아 오는 13~15일 다양한 행사가 마련됐다. 13일 오후 2시 부터는 ‘마가 스님과 함께 하는 치유법회’와 ‘피아니스트 정소영과 함께 하는 작은음악회’가 펼쳐진다.

 

 또 14일엔 오전 10시부터 ‘허유지와 함께하는 사경법회’와 ‘도신 스님과 함께 하는 건강한 100세’,  ‘개원축하 전야 야단음악회’가 이어진다. 승려화가인 수안스님이 기증품으로 여는 ‘108선서화전과 사인회’도 축제 기간에 열린다.

 

 개원일인 15일엔 오전 10시 고구려 당취소리 공연이 펼쳐지고, 오후 1시30분엔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 스님과 원로회의 의장 밀운 스님, 석종사 선원장 혜국 스님, 운문사 회주 명성 스님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원식이 열리고, 오후 3시30분엔 장사익 공연이 이어진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북한인권사무소 한국지부개설은 전쟁부르는 행위 규탄

민권연대, 
북한인권사무소 한국지부개설은 전쟁부르는 행위 규탄
 
 
이창기 기자 
기사입력: 2014/06/13 [11:00]  최종편집: ⓒ 자주민보
 
 
▲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유엔북한인권사무소 한국지부개설 규탄 기자회견을 진행하는 민권연대     © 자주민보
 
▲ 민권연대의 북한인권사무소 개설 반대 기자회견     © 자주민보

  
민주민생평화통일주권연대(민권연대)는 12일 정부종합청사 통일부 앞에서 유인권이사회의 북한인권사무소 한국 설치에 대한 항의 집회를 진행하였다.

민권연대는 박근혜정부와 유엔의 위와 같은 행동은 한반도 평화에 찬물을 끼얹고 전쟁위기를 가중시키는 엄중한 행위라며 그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하였다.

특히 박근혜 정부에 대해서는 평화통일을 명시한 헌법에 위배된 행동이며 최근 발표한 통일대박론과도 정면 배치되는 행동이라며 당장 중단한 것을 강력히 요청하였다.

민권연대는 유엔에게 보내는 이런 입장을 담은 영문항의서한도 함께 공개하였다. 

다음은 관련 항의서한과 성명이다.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한국설치추진 항의서한        

유엔 인권이사회의 북한인권사무소 한국 설치를 강력히 항의한다.    

지난 2월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위원장 마이클 커비)는 북한인권 최종보고서를 발표하며, 그 후속 조치를 위한 유엔조직설치를 제안하였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이 제안을 반영해 3월 말에 북한인권사무소를 설치하는 북한인권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는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를 한국에 제안했고, 박근혜 정부는 5월 28일(스위스 제네바 현지시간) 이를 수락했다. 

민권연대는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설치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강력히 항의하는 바이다.

첫째, 북한인권사무소 설치의 배경이 되는 북한인권 최종보고서를 신뢰할 수 없다. 

탈북자의 증언을 중심으로 작성된 유엔 조사위원회의 북한인권조사는 객관적인 지표라고 보기 힘들다. 탈북자는 그 사유가 무엇이든지 국경선과 제3국을 통해 귀순하는 사람이며 보통 중국으로 밀입국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한민국의 사회현실에 염증을 느껴 떠난 이민자들이 대한민국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보다 비판적인 시각이 큰 것처럼 탈북자 역시 마찬가지 일 수밖에 없다. 게다가 탈북자는 북한을 부정하지 않고서는 자신의 존재가치를 증명할 방법이 없다. 반북의식이 강한 한국에서 그러한 경향은 더욱 심하다. 유엔 조사위원회의 북한인권조사는 북한 주민들의 인권실태에 대한 객관적 현장검증이 아니기 때문에 신뢰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둘째, UN 참가성원국의 입장이 고루 반영되지 않은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는 적절치 않다.

제네바 중국 대표부의 천촨동 외교관은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유엔 조사위원회의 북한인권 조사는 근거가 없는 고소이며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중국 대표는 “보고서가 북한을 방문하지도 않고 증언만을 기초로 작성돼 정확하지 않다”면서 “탈북자는 경제적 이유로 불법 입국한 범법자”라는 입장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관련국들의 지지와 협력을 얻고자 하는 조사위원회의 이러한 무능력은 조사위가 그러한 권한을 불편부당하고 객관적이며 효과적인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 뿐"이라고 비난했다. 러시아, 중국, 파키스탄, 쿠바 등 6개국은 북한 인권조사위 결의안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인권을 정치 문제화시켜 자국의 이득을 꾀하려는 패권적인 시도에 가까운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는 중단되어야 한다.

셋째,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는 한반도 긴장을 조성하여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권을 위협한다.

한반도는 언제든지 전쟁이 터질 수 있는 정전상태다. 현재 남북관계는 극단적인 대결로 치닫고 있으며 서해에서 근접 포격이 발생할 정도로 긴장된 위기상황이다. 대북전단 살포 등과 같은 비방행위가 물리적 충돌위기까지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상태인 것이다.

북한은 한국에 북한인권사무소를 설치하는데 대해 ‘동족 대결을 더욱 격화시키고 체제통일 야망을 실현하기 위한 적대행위’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북한은 '있지도 않은 인권문제'라고 주장하며 관련자들을 '무자비하게 징벌할 것'이라며 위협했다. 당사국인 북한의 반응이 이러한데 만약 하반기 한국에 북한인권사무소가 설치된다면 긴장은 필연적으로 더욱 고조될 것이다. 대한민국 국민의 평화권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는 중단되어야 한다. 

넷째,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는 한반도 통일을 심각하게 방해하는 행위이다. 

한반도 평화통일은 온 국민의 간절한 열망이다. 2014년 초 한국의 통일대박 선언과 북한의 중대제안 발표로 남북관계는 급물살을 탔다. 남과 북은 2.14합의를 통해 상호비방 중단을 약속했으며 극적으로 이산가족상봉을 성사시켰다. 60년간 헤어졌던 이산가족의 아픔이 잠시나마 해소되었던 시점이었던 것이다.

북한인권사무소는 올 해 하반기에 설치될 예정이다.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는 남북관계의 커다란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단기적으로 남북관계를 조금이라고 개선시킬 가능성이 있는 9월~10월 인천아시안게임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 한국에 설치될 북한인권사무소는 반북대결의 거점으로서 한반도 통일에 심각한 후과를 남기게 될 것이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인류의 인권을 증진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논란의 여지가 많은 보고서를 바탕으로 한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를 중단해야한다. 대한민국 국민은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로 인한 심각한 평화권과 생명권의 침해를 우려하고 있다. 우리는 유엔 인권이사회에 한국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를 중단할 것을 강력히 요청하는 바이다.

                                          2014년 6월 10일
                             민주민생평화통일주권연대(민권연대)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한국설치추진 항의서한(영문번역)    
* 북한인권사무소 한국 설치에 대하여 유엔인권위원회에 보내는 항의서한입니다. 

A Statement of Protest against Pursuing the Establishment of a United Nations Office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in South Korea

We Strongly Oppose the Establishment of a UN Office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in South Korea!

The UN Commission of Inquiry (COI) (Chairman: Michael Kirby) published its final report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last February and it also suggested that it open a UN office as part of their follow-up measures. Based on the proposal, the UN Human Rights Council (UNHRC) adopted its resolution on establishing a UN office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in late March. After that, the COI proposed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at it open the office in South Korea, and President Park Geunhye accepted the proposal on May 28th (local time, Geneva, Switzerland).

We, The Solidarity for Democracy, People's Livelihood, Peaceful Reunification, and the Sovereignty of Korea, strongly oppose the establishment of a UN office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for the four reasons below. 

First, we cannot trust the UN's final report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which provided the basis for opening a UN's office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in South Korea.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e UN report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as objective data, because it was written based on testimony from North Korean defectors. Most North Korean defectors came to South Korea through borders and third countries, and the majority of the defectors secretly entered China first. As South Korean immigrants to other countries who left South Korea because they were sick of the reality of South Korean society have more critical views than positive views about their country, it is the same with North Korean defectors. Besides, there is no way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find the value of their existence in South Korea without denying and criticizing North Korea. Their critical comments and testimony against North Korea became more extreme in South Korea because anti-North Korea sentiment is strong in South Korea. In this regard, we cannot trust the UN report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because the UN did not write the report by conducting objective on-site inspections with North Korean people living in North Korea. 

Second, it is not appropriate to establish a UN office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because the decision was not made by equally reflecting all the positions of the related UN members on this matter. Chen Chuandong, a counselor in China's mission in Geneva, told the UNHRC that the independent commission of inquiry had made unfounded accusations and recommendations that were divorced from reality. He also pointed out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re just lawbreakers who illegally smuggled themselves into other countries for financial reasons." He added, "The inability of the commission to get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the country concerned makes it impossible for the commission to carry out its mandate in an impartial, objective and effective manner." Also, six countries, including Russia, China, Pakistan and Cuba expressed their opposition to the resolution proposed by the COI. As the political intention for establishing a UN office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is just a power play by some countries that want to seek benefits by making a human rights issue into a severe political issue, the plan for establishing a UN office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should be abandoned. 

Third, the establishment of a UN office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will threaten the right to life of the people of the Republic of Korea by raising political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peninsula is technically in a ceasefire agreement that can lead to a real war at any time. In additio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have been heading toward extreme confrontation, and even two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ships exchanged gunfire along the Yellow Sea line of demarcation. The situation is getting critical enough to cause a physical conflict; for example, by slandering North Korea, by flying anti-North Korean leaflets into North Korea. North Korea lashed out at South Korea for its acceptance of the UN's request because it will increas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hat South Korea is trying to achieve its ambition of forcible reunification. North Korea also argued that the human rights issue is a fight against the conspiracy and ratcheted up its threats against the related parties, saying, “we will punish them mercilessly." Under the circumstances, the tension between the two Koreas will be inevitably heightened if a UN office is established in South Korea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he plan for establishing a UN office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should be abandoned, as it violates the right to peace of the people of the Republic of Korea. 

Fourth, the establishment of a UN office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will interrupt a peaceful reunification of two Koreas. All of the Korean people have longed to achieve a peaceful reunific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seemed to begin to thaw thanks to South Korean President Park's statement on inter-Korean unification that it would amount to “daebak”, or hitting the jackpot, for all Koreans, and also to the important proposal made by North Korea's National Defense Commission early in 2014. Two Koreas agreed to halt verbal barbs and to hold reunions of the families separated by the Korean War on February 14th. Thanks to this agreement, families torn apart for more than 60 years could reunite for a moment. However, a UN office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is scheduled to be opened in South Korea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If the office is established as planned, it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inter-Korean relations. In the short term, it will negatively affect the 2014 Incheon Asian Games scheduled from September to October, which is expected to improve the relation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the long term, a South Korea-based UN office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will be a base for anti-North Korea activities, which will hinder a peaceful reunif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UNHRC exists as a body whose aim i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of all humankind. The UNHRC should stop its plan to open a UN office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based on its controversial report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e people of the Republic of Korea are concerned that a UN office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in South Korea will lead to severe violations of the rights to peace and life of the people of South Korea. We strongly ask the UNCHR to stop the establishment of a UN office on North Korea's Human Rights in South Korea.

                                          June 11, 2014
The Solidarity for Democracy, People's Livelihood, Peaceful Reunification, and Sovereignty of Korea   
     

                   [성명]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설치하는 박근혜 정부 규탄     

박근혜 정부의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설치 수락으로 한반도 긴장과 대결이 고조되고 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의 루퍼트 콜빌 대변인은 지난 5월 28일 "한국 정부가 사무소를 한국에 설치해달라는 제안을 수락했다“며, 올해 하반기 중으로 북한인권현장사무소(Field based structure)를 한국에 설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인권사무소는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한 조사와 기록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유엔 북한 인권사무소 국내설치는 남북대결을 부추기고 한반도 위기를 조성하는 위험한 선택이다.

북한은 그동안 ‘체제비방, 내정간섭’에 대해서 예외 없이 강력히 반발해왔다. 특히 북한은 북한인권사무소 설치의 배경이 된 지난 3월 유엔 대북인권결의안에 대해서 “미국, 일본, 유엔 등은 남의 인권을 거론할 자격이 없다”며 강하게 규탄한 바 있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는 강력한 반발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를 강행하고 있다.

북한인권사무소 국내설치는 평화적인 통일을 추진해야 할 대한민국 헌법과도 배치된다. 

한반도는 60년 넘게 분단이 고착화된 특수한 상황이다. 즉 상호존중 없이는 평화통일을 이루기 힘들다. 무리한 인권공세는 저강도 전쟁과 맞먹는 위험한 행위로 헌법에 명시된 평화통일노선을 위반한 것이다.

유엔 북한 인권사무소 국내설치는 박근혜 정부 스스로 강조해온 ‘통일대박’과도 거리가 멀다. 

박근혜 대통령은 연 초부터 지속적으로 통일문제를 언급해 왔으며, ‘통일준비위원회’를 설치해 스스로 위원장 자리에 앉기도 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는 북한이 강력히 반발하는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를 결정함으로서 ‘통일대박’과는 거리가 먼 ‘대북적대노선’을 확고히 했다.

북한인권사무소가 국내에 설치되면 전쟁위기는 불가피하며 국민들은 불안에 떨 수밖에 없다.

지난 6월 9일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무자비한 징벌’ ‘불벼락 세례‘ 같은 강도 높은 표현을 써가며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를 규탄했다. 지난 연평도 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한반도는 작은 충돌에도 언제든지 전면전으로 번질 수 있는 위험 속에 놓여있다. 

최근 북일 관계는 단독제제 해제와 납치자 문제 해결에 합의하며 관계정상화 수순으로 가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도 북한과의 경제협력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박근혜 정부의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는 평화로 나아가는 동북아 추세에도 맞지 않는 극도로 위험한 도박행위다.

국민들은 대결과 전쟁이 아닌, 평화를 원한다. 

박근혜 정부는 국민을 볼모로 한 대북대결정책을 즉각 중단하고 남북관계개선에 나서야 한다. 

박근혜 정부의 북한인권사무소 설치 수락결정을 강력히 규탄한다!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북한인권사무소 국내설치를 당장 중단하라!

                                         2014년 6월 10일
                             민주민생평화통일주권연대(민권연대)

     

 
관련기사
 
북, ‘무자비한 불벼락 세례’ 언급
 
미국은 왜 살사의 나라 쿠바를 괴롭히나
 
북 리수용 외무상, 비동맹운동 외교장관회의 참석
 
북미관계 급진전 가능성 염두에 둘 때
 
북, 미국 반인륜 범죄 반인권 자료 유엔 제출
 
이번 북일관계개선 합의를 왜 주목해봐야 하나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현장] 고(故) 심미선·신효순 양의 12주기 추모음악회

 
기사 관련 사진
▲ 민중의례 중인 참석자들 고(故) 신효순, 심미선양의 12주기 추모음악회에 참석한 사람들이 민중의례를 하고 있다.
ⓒ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관련사진보기


12일 오후 7시, 서울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선교교육원 앞 정원에 사람이 몰려들었다. 가슴에, 모자에, 가방에 노란 리본을 단 사람들이 여럿 보였다. 정원에 마련된 의자는 사람들로 가득 찼다. 준비한 의자가 부족해서 많은 사람들이 서서 음악회를 지켜보았지만, 불쾌해하거나 자리를 피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정치인에서부터 시민단체 관계자, 백발의 노인부터 어린 중학생까지 50여 명의 다양한 사람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2002년 미군 장갑차에 의해 세상을 떠난 고(故) 심미선·신효순 양의 12주기 추모음악회에 참석하기 위해서였다.

"아이들의 넋이 자주와 평화의 희망으로 피어나기를..."

사단법인 민족미술인협회와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이 준비한 추모음악회는 예정보다 조금 늦은 7시 15분께 시작했다. 음악회는 김경호 향린교회 목사의 하모니카 연주로 막을 열었다. 김 목사는 연주에 앞서 "아이들의 넋이 자주와 평화의 희망으로 피어나기를 바란다"며 "평화와 통일의 염원을 담아 연주하겠다"고 말했다. 김경호 목사가 하모니카로 '아리랑'과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연주하는 동안 많은 참석자들이 눈을 감고 조용히 음악을 감상했다.

김씨의 연주와 민중의례가 끝난 후, 추모사를 맡은 이은선 세종대학교 교수가 나와 마이크를 붙잡았다. 이은선 교수는 "오늘 우리 주변에 죽음이 만연해 있다"며 "우리는 어느 사이 죽음에 무뎌지게 되었다"고 입을 열었다.

이씨는 효순·미선양의 희생과 세월호 참사를 병치시키며 국가권력을 비판한 후 희망에 대해 얘기했다. 이씨는 "촛불의 지속성이 신뢰의 그루터기가 된다, 그 그루터기에서 어떤 거대한 제국, 거짓과 불의도 결국은 물리칠 수 있다는 작은 희망의 잎새가 돋아나는 것을 본다"고 추모사를 마무리 지었다.
 
기사 관련 사진
▲ 대금을 연주 중인 한충은 KBS 국악관현악단 부수석 한충은 KBS 국악관현악단 부수석이 고(故) 신효순, 심미선 양의 12주기 추모음악회에 참석하여 대금을 연주하고 있다.
ⓒ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관련사진보기


추모사 이후 권정호 변호사가 객석 앞에 섰다. 권씨는 2002년 사건부터 지금까지 효순·미선양을 기리기 위해 어떤 노력들을 해왔고, 앞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했다. 권씨는 "미국을 배척하자는 것이 결코 아니라 상호 평등한 호혜적 관계를 만들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씨의 발언 이후 음악회의 본무대가 시작됐다. 대금과 기타, 노랫소리가 어우러졌다. 사람들은 아는 운율이 나오면 따라서 흥얼거리기도 하고, 고개를 까닥거리기도 했다. 눈을 감고 악기소리를 듣다가 눈물을 훔치는 관객도 있었다. 곡이 끝날 때마다 박수가 터져 나왔지만 환호성은 없었다. 추모음악회는 잔잔하고 차분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이날 대금을 연주한 한충은 KBS 국악관현악단 부수석은 오늘 참석 이유를 묻는 <오마이뉴스>의 질문에 "이 시대를 같이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연주를 해달라는 부탁을 거절할 이유가 전혀 없었다"며 "상처가 아물고 딱지가 질 때까지는 행사에 계속 와야 하지 않겠나, 앞으로도 당연히 참여할 것"고 말했다. 한씨는 이어 "앞으로도 꾸준히 문제제기를 해야한다, 돈과 권력이 지배하는 세상을 문화와 예술과 사랑으로 무너뜨려야 한다"고 말했다.

도종환 "눈물의 힘과 슬픔의 힘을 모아서 세상을 바꾸자"
 
기사 관련 사진
▲ 국화꽃을 헌화 중인 도종환 의원 새정치민주연합 도종환 의원이 고(故) 신효순, 심미선 양의 12주기 추모음악회에 참석하여 추모비에 국화꽃을 헌화하고 있다.
ⓒ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관련사진보기


다음으로 도종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의 추모시 낭송 순서가 있었다. '길'이라는 제목의 추모시는 효순·미선뿐만 아니라 세월호 희생자들의 넋을 함께 기리는 시였다. 

시 낭송 후 도종환 의원은 "이 나라가 아픔을 잊어버리고 싶어한다"며 "하지만 눈물이 우리에게 하던 말을, 눈물이 우리 얼굴 위에 쓰던 젖은 글씨를 어떻게 잊느냐"고 말했다. 도 의원은 "눈물의 힘과 슬픔의 힘을 모아서 세상을 바꾸자"고 말했다. 주최측은 "아직 도종환 시인이 추모시를 다듬고 있는 중"이라며 "완성될 때까지 전문을 공개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의원실 보좌진과 함께 온 김광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오마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작년과 재작년에 이어 올해도 참석했는데 여러 가지 생각이 든다"며 "효순·미선양이 살아있었으면 딱 나 정도의 나이다, 원래 숨 쉬고 있었어야 할 사람들이 묻힌 것이 얼마나 슬픈 일인가"라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하지만 슬픈 것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게 막는 것이, 그분들의 슬픈 죽음보다 더 슬픈 일"이라며 "국민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대한문 앞에 분향소를 설치하겠다고 하니 경찰이 막았다, 국회의원이 나서니까 그제야 허가를 해줬다"고 안타까워했다.

중학교 1학년 학생 "무척 슬프다는 것 하나만큼은 분명하다"

모든 연주가 끝난 후 추모음악회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일어서서 한 사람씩 손에 국화꽃을 들었다. 참석자들은 효순·미선 추모비에 국화꽃을 꽂으며 헌화했다. 엄마의 손을 붙잡고 함께 온 김소흔(13)양은 "기억은 나지 않지만 2002년에 엄마가 나와 함께 촛불 시위에 나선 것으로 안다"며 "세월호 참사와 겹치면서 많은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김양은 "머리가 복잡해서 정확하게 내 감정을 표현할 수는 없지만 무척 슬프다는 것 하나만큼은 분명하다"고 얘기했다. 

참석자들은 이후 다과와 함께 담소를 나눈 후 내일 행사를 위해 추모비를 트럭에 옮기는 것으로 이날 음악회를 마무리 지었다. 추모음악회는 고(故) 심미선·신효순 양 12주기 추모행사의 일환으로 열렸다. 13일 오전 11시에는 당시 사고가 발생했던 경기도 양주시에서 효순·미선로(路) 선포, 표지판 설치 등을 포함한 현장추모제가 예정되어 있다. 이어 평통사는 오후 3시부터 서울 대한문 앞에서 효순·미선양을 기억하기 위한 분향소 설치 및 운영을 할 예정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