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국민의힘 압승? 민주당 선방? 관전포인트 셋

'국힘 9곳 이상·민주 4곳 이상' 광역단체장 당선 예측... '대선 연장전' 향후 정치판 결정

22.05.31 23:26l최종 업데이트 22.06.01 07:33l
큰사진보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27일 오전 경기도 분당구 이매2동 행정복지센터에 설치된 사전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투표하고 있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27일 오전 경기도 분당구 이매2동 행정복지센터에 설치된 사전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투표하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최소 9곳에서 최대 12곳" vs. "최소 4곳에서 6곳"

6.1 지방선거 하루 전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각자 예측한 광역단체장 17곳 성적표다. 4년 전 지방선거에서 대구·경북 외 모두 패했던 국민의힘은 대선 승리 직후 열리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압승'을 기대하고 있고, 민주당은 4년 전과 달리 '선방'을 바라고 있는 상황이다. 

민주당은 광역단체장 선거 17곳 중 광주·전남·전북·제주 등 4곳을 당선 안정권으로 보고 있다. 김민석 총괄선거대책본부장은 5월 31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한 인터뷰에서 "선거 시작 후 생긴 안팎의 변수들이 있어서 지금은 (광주·전남·전북·제주) 네 군데를 확실하게 이기고 그에 대해 5, 6곳을 이기면 굉장한 선방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광역단체장 선거 17곳 중 최소 9곳은 이길 수 있다고 예상한다. 공표금지 기간 전 공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후보에 우세한 걸로 나타난 서울·인천·충북·강원·부산·울산·경남·대구·경북에선 승리를 자신하고 있다. 


김기현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은 김민석 민주당 본부장과 같은 방송에 출연해 "처음 시작할 때부터 최소 9석 이상은 확보해야 되겠다고 판단해 왔다"고 말했다. 다만, 대전·세종·충남·경기 등 중부권 등에서 "100표~200표 차의 접전"을 예상하면서 그 이상의 성적을 거둘 가능성도 시사했다.

다만 이는 말 그대로 예측치일 뿐이다. 우상호 민주당 의원은 지난 5월 30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어느 한쪽이 맥없이 지는 선거라고 보기는 굉장히 어려운 초경합 선거로 바뀌고 있다"면서 인물 경쟁력에 따라 승패가 엇갈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국민의힘에서 승리를 자신하고 있는 강원지사 선거의 경우, "(민주당) 이광재 후보의 인물론이 이제 김진태 후보보다 낫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주장했다. 여러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것과는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반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5월 31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주당 지역조직이 총력을 다하고 있다. 우리도 맞대응을 해야 한다. 역대 선거에서 예상이 뒤집어진 경우가 한두 번이 아니다"면서 다소 느슨해진 당의 분위기를 다잡고 나서기도 했다.

압승과 선방, 그 사이를 가로지를 6.1 지방선거의 관전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관전포인트①] 허니문 선거
  
큰사진보기윤석열 대통령이 31일 부산 중구 자갈치 시장을 방문, 낙지를 들어보이고 있다. 2022.5.31
▲  윤석열 대통령이 31일 부산 중구 자갈치 시장을 방문, 낙지를 들어보이고 있다. 2022.5.31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민주당이 이번 지방선거에서 '선전' 혹은 '선방' 등 수세적인 태도를 취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대통령선거에서 패배했기 때문이다. 6.1 지방선거는 새 정부 출범 직후 치러지는 이른바 '허니문 선거'다.

민주당은 불과 85일 전 대선에서 패했다. 윤석열 정부가 내각과 대통령실 참모 인선에 비판받을 점들이 있지만 고작 23일 일한 정부라 아직은 정책실패를 논하거나 정권심판 정서가 형성되기 어렵다. '대통령이 일을 할 수 있게 해주자'는 국정안정론이 힘을 받을 수밖에 없는 시기다.

'허니문 선거'의 사례로는 2007년 12월 이명박 대통령 당선 뒤 113일만에 치러진 2008년 4월 18대 총선이 있다. 당시 정권교체를 통해 여당이 된 한나라당(현 국민의힘)은 '친박(친박근혜)학살'이란 공천파동으로 극도의 내부 갈등 양상을 보였지만 153석을 얻어 과반을 넘겼다. 당의 공천결과에 반발, 따로 당을 만들거나 무소속으로 선거에 나선 의원들이 '친박연대(14석)' 및 '친박무소속연대(12석)'으로 생환한 점까지 감안하면 범여권의 압승이었고, 이후 이들은 세력을 합쳐 거대여당을 형성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과 이번 지방선거 사이의 기간은 더 짧다.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정당지지도 역시 여당이 힘을 받는 흐름이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의 전국지표조사(NBS) 결과를 보면, 국민의힘 지지도는 '35%(4월 4주차)→41%(5월 1주 차)→42%(5월 3주 차)'로 상승했다. 반면 민주당 지지도는 같은 기간 '34%(4월 4주 차)→30%(5월 1주 차)→30%(5월 3주 차)'를 기록했다.

민주당 지지도는 한국갤럽 조사에서 그 낙폭이 더 컸다. 5월 1주 차 조사에서 41%를 기록했던 민주당 지지도는 5월 3주 차 조사 땐 29%로 내려앉았다. 5월 1주 차 조사 당시 40%를 기록했던 국민의힘 지지도는 5월 3주 차엔 43%를 기록했다(자세한 조사결과 및 개요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관전포인트②] 이재명의 운명
  
큰사진보기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인천 계양을 국회의원 후보 겸 총괄선대위원장이 31일 오후 인천시 계양구 계산역 집중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인천 계양을 국회의원 후보 겸 총괄선대위원장이 31일 오후 인천시 계양구 계산역 집중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 국회사진취재단

관련사진보기

 
대선에서 패배한 이재명 후보가 인천계양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출마, 이번 지방선거에서 다시 이슈의 중심에 있는 상황이 결국 어느 쪽에 유리하게 작용할지도 주목해볼 포인트다. 

2010년 지방선거에선 무상급식과 야권연대, 2014년 지방선거에선 세월호 참사, 2018년 지방선거에선 남북정상회담 등 대형 선거 이슈가 존재했다. 그러나 이번 지방선거에선 대선 후보였던 이재명 후보에 더해 안철수 성남분당갑 국회의원 후보까지 등판하며 이슈보다는 인물 중심으로 '대선 연장전' 같은 모양새가 됐다. 

이 때문에 여야 모두 대선 당시 지지층을 최대한 결집시키는 이른바 '집토끼' 전략을 집중 구사하는 중이다. 특히 국민의힘은 '반(反)이재명' 정서를 일으키는 데에 주력했다. 이재명 후보와 직접 경쟁하지 않는 다른 지역의 국민의힘 후보들도 마치 대선 연장전처럼 '대장동 사건' 비판에 목소리를 높였다. 이 후보가 연고가 없는 지역에 출마한 일을 '도망'이라고 비난하고 '김포공항 이전·통합' 공약을 집중 공격했다. 

'이재명이 돌아왔다'를 지방선거 주요 승부수로 띄운 민주당이 노린 것은 대선 때 이 후보를 찍은 지지층의 재결집이다. 정권심판론을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0.73%p 차이'로 대선에 석패한 아쉬움을 지방선거에서 지지층 재결집으로 만회하자는 긴급 처방이다. 

이재명 후보는 최근 "여론조사 결과에 속지 말라"면서 지지자들의 투표를 호소했다. 선거 초반 이 후보의 넉넉한 승리를 예상했던 것과 달리 선거 막판 여론조사에서는 박빙의 승부가 예측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갤럽이 '중앙일보' 의뢰로 지난 5월 23~24일 계양을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 후보는 45.5%의 지지율을 얻어 윤형선 국민의힘 후보(44.3%)와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여론조사와는 달리 넉넉하게 승리한다면 이재명 지지층의 재결집이 이뤄걸로 봐야 하고 '아직 이재명이 통한다'는 걸 입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후보는 오는 8월 전당대회 출마 등을 통해 당권을 확보하고 헤게모니를 확실히 움켜쥘 수 있다. 이는 2012년 대선 패배 후 전당대회에 도전해 당대표가 되고 대권까지 확보했던 문재인 전 대통령과 같은 길이다.

하지만 이재명 후보만 이겨선 곤란하다. 이재명의 등판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을만큼 민주당 전체의 성적도 '선전'이라는 평가를 받아야 가능한 얘기다. 

국민의힘으로선 이 후보를 또한번 낙선시키는 게 가장 큰 수확이겠지만, 이재명 후보가 '신승'하더라도 민주당의 선전을 막는다면, 이재명 후보에겐 내상을 입히는 셈이고 민주당 역시 지방선거 패배의 책임론 공방 속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 

[관전포인트③] '윤심 마케팅' 결과는? 
  
큰사진보기경기도지사 선거에 출마한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후보(왼쪽), 김은혜 국민의힘 후보(오른쪽).
▲  경기도지사 선거에 출마한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후보(왼쪽), 김은혜 국민의힘 후보(오른쪽).
ⓒ 권우성(공동취재사진)

관련사진보기

 
6.1 지방선거가 국정안정론으로 윤 대통령을 밀어주는 결과가 될지는 최대 격전지로 부상한 경기도지사 선거 결과에 달렸다. 전체 선거를 이겨도 경기도에서 진다면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에겐 떨떠름한 승리일 뿐이다. 

경기도는 이재명 후보의 정치적 고향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대선 당시 경기도 지역에서 이재명 후보에게 46만2810표(5.32%p) 뒤졌다. 여기에, 윤 대통령의 당선인 대변인을 맡았던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이 당내 경선 당시 '윤심(윤 대통령의 의중)' 논란을 사면서 본선 후보로 출격한 상황이다.

특히 김은혜 후보는 선거운동 기간 중 "김은혜가 하면 윤석열 정부가 한다는 것을 눈에 보이는 결과물로 보여드리겠다"면서 노골적인 '윤심' 마케팅을 진행했다. 출마선언 당시에도 "이재명의 시대를 지속하느냐, 극복하느냐를 묻는 선거다. 정권교체는 완성되지 않았다"면서 경기지사 선거 승리를 '정권교체의 완성'으로 규정한 바 있다.

즉, 경기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그 정치적 의미가 강하게 투사된 곳인 셈이다. 이 때문에 경기지사 선거결과는 윤 대통령의 정치적 입지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역대 대통령들에 비해 정권 초반 낮은 국정수행 지지율을 얻고 있는 윤 대통령 입장에서는 '최고 윤핵관' 김은혜 후보의 승리 여부가 향후 국정동력을 얻는 데에 더욱 중요해졌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윤핵관'도 당황시킨 특별감찰관 폐지 논란...장제원 "尹참모들, 크게 각성하라"

대통령실, 특별감찰관 임명 안 할 수도…장제원 "그럴 분이 아닌데…"

 

윤석열 대통령 측이 특별감찰관을 임명하지 않을 수 있다는 입장과 함께 특별감찰관제 폐지 가능성까지 시사하자, 윤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장제원 의원이 공개적으로 우려를 표명했다. 특별감찰관 임명을 공언해 온 윤 대통령의 '말 뒤집기' 논란을 의식한 모습이다.

장 의원은 30일 밤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오늘 한 언론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특별감찰관 제도를 폐지하거나 임명하지 않기로 했다는 보도를 했다. 일부 언론에서는 이를 받아 사설까지 써가며 비판하고 나섰다"며 "저는 전혀 근거없는 보도라고 확신한다. 제가 확신을 가지고 말을 할 수 있는 근거는 윤 대통령께서 당선인 시절, '특별감찰관 제도는 엄연히 현행 법에 규정되어 있는 것이다', "국회에서 3명을 추천하면 그 중 1명을 지명하는 것'이라고 하셨고 당선인 대변인을 통해 브리핑 한 적도 있다. 윤 대통령은 국회가 법을 개정하거나 폐지하지 않았는데, 법을 무력화시킬 분이 결코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대통령실 관계자는 '특별감찰관제를 폐지하는 방침이 논의되고 있느냐'는 질문에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민정수석실 폐지, 대통령실 사정 컨트롤타워 폐지 등 여건이 이전 정권과는 크게 달라졌다"며 "어떤 것도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특별감찰관제가 사라지면 대통령 주변의 비위 수사를 누가 하냐는 질문에 이 관계자는 "검경이 있지 않나"라고도 했다. 

장 의원은 대통령실 측의 이같은 발언을 의식, 화살을 대통령실 참모진에 돌렸다. 장 의원은 "윤 대통령은 '대통령 친인척과 수석비서관 이상 고위 공직자에 대한 감찰은 그 어느 정권보다 엄격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이라며 "만의 하나, 오늘 기사가 선거를 앞두고 의도된 악의적 보도가 아니라 실제 대통령실 관계자에 의해 나온 얘기라면 대통령실 또한 크게 각성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장 의원은 "대통령의 참모는 대통령의 의중과 뜻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24시간 내내 대통령께 안테나를 세우고 있어야 한다. 차칫 방심하는 순간, 대통령의 뜻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이 오게 되고 결국 대통령께 큰 누를 끼치게 된다는 사실을 결코 잊어서는 안된다"며 "단 한번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는 곳이 대통령실이다. 대통령실의 분발을 기대한다"고 경고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LTV 80%, 50년 모기지…청년들 “대출 땜질 말고 부동산 안정을”

등록 :2022-05-31 07:00수정 :2022-05-31 07:11

 
청년 핀셋 대책에 ‘반신반의’
3분기부터 LTV 80%로 완화
고소득층 주로 수혜 받을 듯
미래소득 반영, 초장기 대출
정부 20∼40대 보완책 병행
서울의 한 은행에 설치된 대출 관련 안내 현수막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의 한 은행에 설치된 대출 관련 안내 현수막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3분기부터 생애 첫 주택 구매 시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80%로 완화된다. 이 조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유지로 소득이 낮으면 혜택이 크지 않으므로 청년층(20~40대) 대출만 따로 늘려주는 보완책도 같이 시행된다.

 

정부는 30일 ‘긴급 민생안정 10대 프로젝트’에서 생애 최초 주택 구매 시 엘티브이 최대 상한을 60~70%에서 80%로 올려주는 국정과제를 오는 3분기(7~9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주택 구매 이력이 없는 무주택자로 연 소득(부부합산) 1억원 미만이 대상이다.

 

생애 첫 주택 엘티브이 완화는 소득이 적으면 혜택이 크지 않을 전망이다. 엘티브이 완화로 대출가능금액이 늘어나도 ‘디에스아르 40%’라는 소득에 비례하는 규제가 적용돼 빌릴 수 있는 돈에 큰 차이가 없다. <한겨레>가 시중은행과 시뮬레이션해보니,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인 9억원대 주택을 생애 최초로 살 때 대출가능금액은 연 소득이 3천만원인 경우 2억원, 6천만원이면 4억원, 9천만원은 5억1천만원 등이다. 엘티브이가 80%로 완화하면 연 소득 3천만원(2억원)과 6천만원(4억원)의 대출 한도는 변하지 않으나 연 소득 9천만원은 6억7470만원으로 약 1억6470만원 늘어난다.

 

엘티브이 완화가 ‘고소득층’에만 유리하다는 지적에 정부는 소득이 적은 20~40대 보완책을 병행하기로 했다. 현재 청년층 주택담보대출에 반영하는 미래 소득을 3분기부터 더 확대한다. <한겨레>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연 소득 3천만원인 29살 ㄱ씨가 9억원 서울 아파트 생애 최초 구매 시(엘티브이 80%) 미래 소득까지 반영하면 대출가능금액이 5천만원(2억원→2억5천만원) 증가한다.

 

정부는 대출 만기도 늘린다. 오는 8월부터는 정부 지원 주택담보대출인 보금자리론·적격대출에 ‘50년 초장기 모기지’를 도입한다. 만 39살 이하 및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가 대상이다. 디에스아르는 연 소득 대비 연간 원리금 상환액의 비율인 까닭에 매월 내야 할 원금 및 이자가 줄면 대출 한도가 다소 높아질 수 있다.

 

다만 핀셋 구제 대상이 된 20~40대 반응은 떨떠름하다. 20대는 대출을 늘려줘도 치솟은 집값과 높은 금리로 주택 구매 여력이 많지 않다는 평가다. 28살 김 아무개씨는 “정부 대출 한도 확대는 주택 구매 때만 적용되는 것인데, 20대가 수억 원대 아파트를 사려면 빚 감당은 물론이고, 현금 자산도 있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본격적으로 주택 구매에 나서기 시작하는 30대 중반 이상에서는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청년층 대출 미래 소득 반영의 경우 30대 중반이 넘어가면 혜택이 오히려 줄어든다. 정부도 문제점을 인식해 개선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 50년으로 만기를 늘려주는 것에 대해서는 대출 한도가 당장 조금은 늘어날 수 있으나 80~90살까지 빚을 갚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얘기도 있다. 38살 박아무개씨는 “청년층 미래소득 반영이 어떻게 개선될지 상황을 지켜보려고 한다”며 “하지만 미래 소득 반영, 대출 만기 연장 등은 땜질 처방이라 근본적인 부동산 시장 안정화가 중요할 것 같다”고 밝혔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실체 드러난 윤 정부의 노동없는 노동정책

  • 기자명 김성혁 서비스연맹 정책연구원장
  •  
  •  승인 2022.05.30 14:51
  •  
  •  댓글 0
 
 
 

노동시간 유연화
노사협의회 통한 노조무력화
성과급 임금체계
최저임금 차등적용
법치주의 앞세운 노동배제와 통제

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은 아직 체계적으로 정리된 것이 없다.

하지만 ‘선거공약’, ‘인수위 국정과제’, ‘노사단체와 대화’ 등을 모으면 주요 기조를 확인할 수 있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 목표는 혁신성장으로 민간주도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다.

혁신성장의 주체는 기업이므로, 기업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규제 완화를 추진한다.

민간이 공공보다 효율적이라는 신자유주의 관점에 입각하여, 재정 지출을 축소하고 경제 사안에 정부가 개입하지 않고 시장 자율에 맡기는 작은 정부를 지향한다.

이런 철학에서 볼 때 경제가 살아야 일자리도 생기므로, 노사관계보다는 노동시장 정책이 중시된다.

고용노동부를 고용부(약칭)로 부르는 윤석열 정부는 독자적인 노동정책이 없고, 경제정책에 종속된 노동정책이 있을 뿐이다.

따라서 경제성장을 위한 노동의 기여, 자본의 요구인 노동 유연화의 추진 등 단편적인 노동정책이 중시된다.

윤석열 정부는 이러한 입장에서 청와대 3실 체계를 2실 체계로 바꾸었는데, 정책실과 그 산하 일자리수석을 없앴다. 고용노동 비서관도 없어졌다가 막판에 비서실 사회수석 밑으로 들어왔다.

윤석열 정부의 대표적인 노동정책과 노동자에 미칠 파장을 가늠해 본다.

노동시간 유연화 추진

근로시간에 대한 노사 선택권을 확대한다는 명분하에 기업 규모별, 업종별 특성에 맞춘 근로시간제도를 선택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1~3개월로 제한된 선택적 근로시간제(근기법)를 1년으로 확대하는데, 과반수 노조를 배제하고(현재는 근로자대표 서면합의) 직무 및 부서별 노사합의로 선택근로제를 적용할 수 있다.

이미 경총은 연장근로 산정기준을 현재 주 단위(52시간)에서 연, 월 단위로 변경하고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제 활용기간 1년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장시간 노동이 부활하고, 포괄임금제를 통한 공짜노동, 연장근로 수당 회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단체교섭 대신 노사협의회 강화

윤정부는 노조가 대표하지 못한 미조직 노동자 이해를 대변한다는 명분으로,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의 대표성과 독립성을 강화하는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그러나 한국노동연구원 패널조사에 따르면, 노사협의회의 구성에서 노동자대표를 회사가 지명하거나 회사 지명 후 승인받는 경우가 2015년 54%, 2017년 48%이다.

또 무노조 사업장에서 노사협의회가 임금인상을 결정할 때, 근로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회사 일방으로 결정했다는 응답이 2015년 52%, 2017년 46%이다(김유선, 2022)

이와 같이 노사협의회는 회사측의 입장을 관철하는 거수기 역할을 해 왔으며, 역사적으로 노조를 무력화할 의도로 활용되었다.

따라서 노사협의회는 유노조 사업장에서 노조 대표자의 권리를 제한할 가능성도 있다. 헌법에 보장된 노동3권 행사주체는 노동조합이다. 노동조합의 지위를 강화하고 필요시 노사협의회를 활용할 수 있지만, 노사협의회가 노조를 대체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윤정부에서는 원하청 상생의 공동노사협의회를 추진하고, 쟁점이 되는 하청 노동자들의 원청 교섭의무를 피하려고 한다. 중노위 판정으로 택배에서 원청의 사용자 의무가 결정된 바 있다.

직무·성과급 임금체계 추진

윤정부는 연공급 임금체계를 성과를 강조하는 직무급 임금체계로 바꾸어 청년고용을 활성화하겠다고 한다.

성과급제는 노동의 개별화, 소모적인 경쟁 초래 등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직무급제는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에 부합하지만, 공정한 평가기준이 전제되어야 한다. 한국은 사용자 일방으로 비용 절감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어 문제가 된다.

더구나 중요한 노사관계인 임금체계를 사업장 내 과반수 노조를 배제하고, 직무, 직군, 직급별로 근로자대표가 사용자와 서면 합의로 결정할 수 있게 열어 놓고 있다.

현재 근기법상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은 과반수노조나 노동자 과반수 동의가 필요하다.

윤정부는 2022년는 행정해석과 대법원 판례로 사업장 지도를 실시하고, 2024년 사회적 논의를 통해 입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최저임금 차등적용

윤정부는 지불능력 없는 자영업자,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똑같이 최저임금을 지급하기어렵고, 최저임금보다 조금 덜 받고도 일하려는 근로자들의 일자리를 보장해야 한다며, 업종 및 지역별 차등적용을 주장한다.

그러나 최저임금은 모든 노동자 임금기준의 하한선으로 사회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

중소기업 등 어려운 사업장은 일자리안정자금과 근로장려세제 등의 지원책도 있다.

현재도 열악한 최저임금을 업종별로 차등적용해서 그 바닥을 낮추는 것은 최저임금제를 무력화시켜 사회 양극화를 심화시킬 것이다.

법치주의 앞세운 노동배제와 통제

윤석열 정부는 주요 노사분규에 범부처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불법행동을 엄단하겠다고 한다.

나아가 노동위원회 조정기능을 강화하여 쟁의절차를 규제하려 하고 있다. 노동쟁의는 관리와 통제 대상이 아닌 법에 규정된 노동자의 권리이다.

노동자 권리를 최대한 보장하기보다는 공권력을 활용해서 제한하려는 것은 법의 남용이다.

또한 박근혜 때의 단협 시정명령 등이 부활할 것으로 보인다. 노조 운영비 원조, 유일교섭단체조항 등 노조가 그간 확보한 단협, 노조규약 등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시정를 지시할 수 있다.

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을 요약하면 노사문제는 노사자율에 맡기는 미국식 자유시장 경제 모델을 추구한다. 그러나 이 모델의 실제는 자본 중심의 시장 권력 관계를 지원하고 강화한다.

윤 정부 노동정책의 핵심 방향은 노동자들을 업종, 부서별로 쪼개고 노조를 무력화한다.

노사협의회로 노조 역할을 대체하며, 노동시간과 임금체계 등을 부문별 노사합의로 결정하게 하여 노조의 대표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노동운동이 전체 노동자들의 이해를 대변하고 단결하기 위해 기업을 넘어 산업별로 나아가고 있는 시점에서, 기업 내 직종, 부서, 부문별로 요구를 분리하는 것은 노동운동의 파편화를 겨냥한 것이다.

노동운동이 눈앞의 이익에 매몰되고 개별적 이해관계를 우선하게 되면, 전체 노동자의 단결, 법·제도 개선 등 근본적인 문제를 망각하게 된다.

노동운동의 분열과 파편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조합주의를 넘어서, 전체 노동자의 이해를 대변하는 사회개혁적 노동운동을 제대로 실천해야 한다.

5월 13일 기재부는 ‘2023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을 위한 추가 지침’에서 “모든 재량지출을 최소 10% 의무적으로 구조조정하라”고 통보했다. 이는 15조원 이상을 삭감하라는 것으로 공공부문 구조조정의 태풍을 불러올 것이다.

공공부문을 필두로 곳곳에서 이명박근혜 때의 노동정책이 부활할 것이다.

이제 노동운동은 흩어진 각개 대응을 넘어 총전선을 형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노동운동의 전략, 대안 사회의 전망을 분명히 하여, 더 크게 단결하고 더 크게 싸워야 할 때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민화협, 일제 강제동원 군산 유적지 역사기행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22/05/31 07:54
  • 수정일
    2022/05/31 07:54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내년 간토대지진 조선인학살 100주기에 남북 공동행동해야"

  • 기자명 군산=이승현 기자 
  •  
  •  입력 2022.05.30 23:47
  •  
  •  수정 2022.05.31 01:42
  •  
  •  댓글 0
 
민화협과 함께하는 통일 역사 프로그램 '일제 강제동원 군산유적지 역사기행'이 지난 26일부터 28일까지 군산지역에서 진행됐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민화협과 함께하는 통일 역사 프로그램 '일제 강제동원 군산유적지 역사기행'이 지난 26일부터 28일까지 군산지역에서 진행됐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대표상임의장 이종걸)는 지난 26일부터 28일까지 일제 강제동원 흔적이 짙게 배어있는 군산 지역 역사기행을 다녀왔다.

회원단체들과 함께 하는 민화협 강제동원 역사기행 사업은 지난 2020년 10월 처음으로 부산 일대 구 일본군 포병부대 주둔처와 일본군 막사 등 유적 답사를 시작해  올해 두번째이다.

올해 군산 역사기행에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위원장 김동명)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한국문인협회, 천인갱기념사업회 관계자들과 회원 20여명이 참가했다.

지난 26일 서울 양재동 시민의숲 매헌 윤봉길의사기념관을 출발한 답사단은 2박3일 일정동안 군산 지역에 남아있는 일제의 강제동원 유적을 직접 찾아다니면서 일제가 남긴 상처를 온몸으로 느끼고 지금까지 극복하지 못한 과거사가 던지는 아픔을 다시 한번 새기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이번 역사기행을 위해 기꺼이 동행해 준 김민영 국립 군산대학교 행정경제학부 교수의 도움으로 여러 답사지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할 수 있었다.

해망굴(海望堀)
해망굴 [사진제공-민화협]
해망굴 [사진제공-민화협]

일제강점기 군산항의 제3차 항구구축 공사기간이었던 1926년 10월 16일 구 군산시청 앞 도로인 중앙로와 수산업의 중심지인 해망동(현재 해신동으로 통합)을 연결하고자 만든 반원형 터널(높이 4.5m, 길이 131m)이다.

당시 이 지역은 사람의 통행이 빈번한 교통의 요충지였다.

인근에는 군산신사와 신사광장(지금의 서초등학교), 공회당, 도립군산의료원, 은행사택, 안국사(지금의 흥천사) 등이 있었다.

 

월명공원
월명공원 [사진-군산시청 홈페이지 갈무리]
월명공원 [사진-군산시청 홈페이지 갈무리]

군산의 상징이자 월명공원의 상징인 수시탑에 오르면 군산 앞바다와 금강하구둑, 그리고 군산시가지와 장항제련소 등의 주변 전경을 한눈에 살필 수 있다.

1906년 군산 각국 거류지역의 명승지인 해망정 인근 9,907 평을 일명 각국공원이라 이름을 정했다.

이후 각국공원은 1910년 한일합방으로 조선이 완전한 식민지가 되어 각국 조계지역 법이 폐지되자 각국이라는 단어를 떼어내고 군산공원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대일무역으로 호황을 누리던 1933년에 현재의 수시탑이 서 있는 임야 6,088평을 매입하여 공원의 규모를 확대하였다.

총면적 약 77만평, 산책로 길이 12km를 자랑하는 군산의 명소이다. 

 

이영춘 가옥
이영춘 가옥 [사진제공-민화협]
이영춘 가옥 [사진제공-민화협]

일제강점기인 1920년 군산지역 대지주였던 일본인 구마코토(態本利平)가 농장관리를 위해 지은 별장 주택.

건축 당시 조선총독부 관저와 비슷한 건축비를 들여 별장처럼 지었다고 한다.

서양식과 일본식, 한식의 독특한 복합 건축양식으로 지어졌다. 프랑스인이 설계하고 일본인이 시공한 건물로 외부형태는 유렵양식, 평면구조는 일본식이지만 내부 온돌방은 한식으로 되어 있다.

해방후에는 개정 중앙병원을 설립해 진료사업과 농어촌 위생에 힘쓰고 학교의 영아원을 설립해 농어촌지역 주민교육과 농민들의 건강을 돌보는데 평생을 바친 이영춘(李永春, 1903∼1980) 박사가 거주하였다. 

특히 이 건물은 우리나라에서 건물을 짓는데 처음으로 미터(m)법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건축사적 의미가 크다. 

 

발산리 5층석탑
발산리 5층석탑 [사진제공-민화협]
발산리 5층석탑 [사진제공-민화협]

일제 강점기 군산지역 대표 농장주였던 시마타니 야소야가 1903년 자신이 소유한 농장에 세운 학교(발산초등학교) 건물 뒷편에 가져다 놓은 석등과 석탑중 31기의 석물이 남아 있다.

그는 일본에서 주조업으로 재산을 모은 뒤 일본 청주의 원료인 값싼 쌀을 찾아 군산에 왔다가 석등과 5층석탑을 비롯한 수많은 골동품을 불법 수집했다. 

이 석조물 가운데 석탑과 석등은 원래 완주군 고산면 삼기리의 봉림사터에 있었는데, 시마타니 야소야가 자신의 농장정원을 꾸미기 위하여 옮겨 놓은 것이다. 

1920년 시마타니 금고라 불리는 금고용 건물을 지어 수집 골동품을 보관하였으나 해방 후 손가방 두개만 지닌채 부산항에서 마지막 귀국선에 몸을 실었다.
 
고려시대 전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5층석탑은 높이가 6.4m에 달하는데 신라 석탑 양식을 계승한 2층 기단위에 5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였다고 한다.

5층석탑은 보물 제276호로, 석등은 보물 제234호로 지정되어 있다.

 

임피역사(驛舍)
임피역사 [사진제공-민화협]
임피역사 [사진제공-민화협]

일제강점기때 전라남·북도의 농산물을 군산항을 통해 일본으로 반출한 중요 교통로인 군산선의 역사.

1936년경에 건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20년 12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임피역은 당시 농촌지역 소규모 간이역사의 전형적 건축형식과 기법을 잘 보여주며, 원형 또한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건축적, 철도사적 가치가 높은 건물이다. 

1995년 4월 1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2005년 9월 30일 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동국사
동국사 [사진제공-민화협]
동국사 [사진제공-민화협]

1913년 일본인 승려 우치다 대사(內田佛師)가 금강사라는 이름으로 건립한 현존 국내 유일 일본식 사찰.

당시 일본에서 모든 건축자재를 들여와 공사를 하였다고 한다. 동국사 입구에는 누렇게 때가 낀 대리석 대문기둥이 서 있는데, 기둥 양편에는 금강사(錦江寺)라는 옛 사찰의 명칭과 소화9년(1934년)이라는 음각기록이 새겨져 있는데 누군가 일본 천황의 연호인 소화글씨 위에 시멘트로 글씨를 지우려는 흔적이 남아있어 완벽하게 남아있는 일본식 사찰에 대한 우리 민족의 정서적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주요 건물은 대웅전, 요사체, 종각 등이 자리하고 있다. 대웅전은 팔작지붕 홑처마형식의 일본 에도(江戶)시대의 건축양식을 띠고 있다. 

건물 외벽에는 창문을 많이 달았고, 우리나라의 처마와 달리 처마에는 아무런 장식도 없는 특징을 하고 있다. 

금강사는 해방 후에 김남곡 스님이 동국사로 사찰 이름을 바꿔 오늘에 이르렀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인 선운사의 말사이다.

 

신흥동 일본식 가옥
히로쓰 가옥 [사진-군산시청 홈페이지 갈무리]
히로쓰 가옥 [사진-군산시청 홈페이지 갈무리]

옛 히로쓰 가옥. 일제강점기 군산지역의 유명한 포목상이었던 일본인 히로쓰가 건축한 2층의 전통 일본식 목조가옥.

ㄱ자 모양으로 붙은 건물 2채가 있고 두 건물사이에 꾸며진 일본식 정원에는 큼직한 석등이 놓여 있다. 

히로쓰는 대지주가 많았던 군산지역에서는 보기 드물게 상업으로 부를 쌓은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1층에는 온돌방, 부억, 식당, 화장실 등이 있고 2층에는 일식 다다미방 2칸이 있다.  

일제강점기 군산의 가옥 밀집지인 신흥동 지역의 대규모 일식 주택의 특성이 잘 보존되어 있는 건물이다. 

영화 '장군의 아들'과 '타짜'의 촬영장소가 되기도 했다.

 

근대건축관
군산 근대건축관 [사진제공-민화협]
군산 근대건축관 [사진제공-민화협]

1923년 일제 식민지 정책의 총본산인 조선은행 군산지점으로 건립되었다. 

조선은행은 당시 일본상인들에게 특혜를 제공하면서 군산과 강경의 상권을 장악하는데 초석을 쌓아, 일제강점기 침탈적 자본주의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은행이었다. 

해방 후 한일은행 군산지점으로 사용되다 유흥시설로 바뀌었다. 

유흥시설로 바뀌면서 전면부와 내부가 부분 개조되었고 현재는 화재로 내부가 소실되어 방치되고 있다가 2008년 보수·복원 과정을 거쳐 군산 근대건축관으로 활용하고 있다.

 

근대미술관
군산 근대미술관 [사진-근대미술관 홈페이지 갈무리]
군산 근대미술관 [사진-근대미술관 홈페이지 갈무리]

1890년 인천에 처음 문을 연 일본 나가사키 지방은행이 1907년 4월 8일 조선에서 7번째 지점으로 군산에 설립한 은행.

구 일본 18은행 군산지점이라 불렸다. 숫자 18은 은행 설립인가 순서를 뜻한다.

주 업무는 무역에 따른 대부업이 주종을 이루었다.

일제의 미곡 반출, 토지강매 등 수탈의 흔적으로 일제강점기 초기 건축물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해방 후 대한통운 지점 건물로 사용되었으며 2008년 2월 등록문화재 지정 이후 보수복원을 통해 현재는 군산 근대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항도호텔
향도호텔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향도호텔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군산에서 가장 오래된 숙박시설로 군산 1호 호텔로 불린다.

처음 지어 일제 총독부의 영빈관으로 쓰이다가 해방 후 미군청정 관리가 신탁통지기간 살았던 곳으로 전해진다.

지금은 군산 근대 문화거리 조성에 맞춰 리모델링을 통해 1930년대 컨셉으로 운영중이다.


김민영 교수는 답사단에게 현재 울프 팩(Wolf Pack)으로 불리는 주한미군 8전투비행단(군산시 옥서면 일대) 비행장의 역사가 1934년 일본군이 비행조종사 양성을 위해 건설한 '다쓰하라 비행학교'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을 상기시켰다.

일제는 이곳 군산비행장을 구 일본 육군특별공격대 지란기지 산하의 육군 비행학교 군산교육대가 기본조종교육을 위해 사용하도록 하고 쌍엽기 20여대에 300여명의 조종사와 정비병을 주둔시켰다.

"항공대가 주둔하여 군산비행장의 확장이 필요하자 전라북도 일원의 청장년을 '보국대'라는 이름으로 징집하였고, 중학생들은 '학도 근로대'라 하여 강제동원하여 작업을 함. 이들은 한 기수에 200~300명으로 구성되어 있었음. 당시 비행장 공사장에는 군용 천막을 쳐 놓고 한 천막에 30~40명을 숙식시키며 나무 밥그릇에 젓갈 한 토막의 식사와 하루 막걸리 한 대접, 그리고 4~5일에 권련초 한 갑을 나누어주며 2달씩 강제노동을 시켰다고 함."

"1934년 준공된 군산비행장은 솔밭뜸(송촌리)에서 시작하여 상제와 중제마을이 포함된 규모였기에 마을 주민들은 하제마을이나 불기 간척지로 강제 이주를 당했다고 함."(김중규, 『군산역사이야기』, 도서출판 나인, 2001, 동 『군산 답사·여행의 길잡이』, 도서출판 나인, 2003)

군산비행장 건설에 강제동원된 것으로 파악된 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난 2006년 조사에 따르면, 강제동원 당시 직업은 대부분(87%) 농업이었고 41%가 무학력이었다.

동원 당시 평균나이는 16.8세이고 노동시간은 하루평균 11.2시간, 휴식일은 월 기준 0.8일, 숙소는 따로 마련되지 않고 비행장 입구에 있는 함바(飯場, 식당)에서 가마니를 깔고 자는 환경이었으며, 식사는 수수밥 한 공기 정도의 양에 경제적 보상은 거의 없었다.

동원시기는 1944년~1945년에 집중되어 있으며, 부친이나 형님 대신 동원된 경우가 많고 대부분 마을별로 인원이 배정되어 구장 등의 압력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렇지만, 강제동원 관련 연구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아쉬움은 있다.

김 교수는 일제 강점기에 일상화된 강제동원의 실태 분석을 위해서는 보다 종합적으로 전국적 및 지역별 피해실태 분석이 필요하며, 특히 군사동원 관련 전수조사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군산비행장의 경우 보다 구체적인 조사를 위해서는 현장조사가 필요하지만 현재 미 공군 관할지역이기 때문에 접근은 물론 사진촬영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울프 팩(Wolf Pack)으로 불리는 주한미군 8전투비행단.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울프 팩(Wolf Pack)으로 불리는 주한미군 8전투비행단.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현재 미군기지 앞. 1934년 일본군이 비행조종사 양성을 위해 건설한 '다쓰하라 비행학교'가 있던 군산비행장 터.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현재 미군기지 앞. 1934년 일본군이 비행조종사 양성을 위해 건설한 '다쓰하라 비행학교'가 있던 군산비행장 터.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이번 역사기행을 통해 과거사가 온전히 해결되지 못했을때 현재와 미래로 오롯이 이어져 무거운 과제로 남는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으니, 이제 남은 과제는 무엇일까? 

일제하 강제동원 조선인은 국내동원 650만명, 해외 동원 130만명을 비롯해 총 780만여명에 달한다.

일제 강제동원 역사에 대해 민화협은 지난 2018년 7월 18일 북측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과 '조선인 유골송환을 위한 남·북 민화협 공동추진위원회' 결성에 합의하고 그해 11월에는 '이를 강제동원 진상규명을 위한 공동위원회'로 발전시켜 강제동원 조선인 유해 봉환과 진상규명을 위한 사업을 추진해 왔다.

2018년 10월 일본에서 '남·북·일 조선인유해봉환추진위원회'를 결성해 구체화된 유해봉환 사업은 이듬해 2월 27일 일본 오사카 통국사에서 75위의 유해중 북에 고향을 둔 1위를 제외한 74위의 조선인 유해를 봉환하는 결실로 이어졌다.

봉환된 유해는 2019년 3월 1일 제주도 애월읍 선운정사에 모셨으며, 이중 세 분은 국내외에 거주하는 유가족을 찾게되어 의미를 더했다.

강제동원 희생자 유해봉환 사업에서 남·북 민화협과 재일 동포단체가 공동으로 추진해 결과를 도출한 첫 성과로 평가된다.

민화협은 지난 2019년 3월 1일 일본 오사카 통국사에 모셔진 조선인 유골 74위를 봉환해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추모식을 진행했다. 유골은 제주 선운정사에 안치되었다. [통일뉴스 자료사진]
민화협은 지난 2019년 3월 1일 일본 오사카 통국사에 모셔진 조선인 유골 74위를 봉환해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추모식을 진행했다. 유골은 제주 선운정사에 안치되었다. [통일뉴스 자료사진]

1차 유해봉환 사업이 마무리된 후에도 일본에서 매년 열리고 있는 간토대지진 추모제, 1945년 3월 도쿄대공습 당시 조선인 피해자들을 위한 추모제, 그리고 1945년 8월 24일 우키시마호 폭침 희생자(도쿄 우천사에 일부 유해 봉헌)를 위한 참배에도 빠지지 않고 참석하고 있다.

2019년에는 동북아역사재단을 통해 재일 '조선인강제연행진상조사단'이 제작한 '일본지역 조선인 희생자 추도비-역사의 진실을 가슴깊이 새기다'를 출판하고 지난 4월에는 조사단에서 발간한 20권 분량의 자료집을 받아 국내에서 간행·배포하는 사업을 하기도 했다.

사업 초기부터 강제동원 희생자 유해봉환사업에 참여해 온 민화협 이시종 사무차장은 2019년 5월 평양에서 '강제동원 피해 공동토론회'를 개최하기로 했으나 급변한 정세로 인해 성사되지 못한 일을 못내 아쉬워했다. 

특히 "1923년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 100주기를 맞는 2023년 9월 1일에 즈음해서는 남북 민화협이 공동으로 일본측에 진상공개와 사과를 강력하게 제기하고, 진상규명을 위한 활동에도 함께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국일보 "대통령 부부 사진 팬클럽 공개는 보안 사고"

  • 기자명 장슬기 기자 
  •  
  •  입력 2022.05.31 07:20
  •  
  •  댓글 0
 
 

[아침신문 솎아보기] 尹 부부 집무실 사진 김건희 팬클럽 통해 유출…대통령실 해명 오락가락
특별감찰관 폐지 입장에 “尹 주변 감시 어려워” 비판…尹 “폐지 어불성설” 발 빼나
행안부 ‘경찰국’ 신설 검토, 경찰청장 공개 비판…한겨레 “경찰 민주적 통제 퇴행 안돼”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의 집무실 방문사진이 김 여사 팬클럽 ‘건희사랑’을 통해 공개되면서 논란이다. 한때 민간인인 기자들에게 ‘보안앱’ 설치를 요구하면서 보안을 강조해놓고 집무실에서 찍은 사진이 대통령실 홍보창구가 아닌 팬클럽을 통해 공개했기 때문이다. 대통령실은 직원이 촬영한 것이 아니라고 했다가 비판이 커지자 직원이 촬영한 것이라고 해명을 바꿨다. 

윤 대통령이 대통령 배우자와 4촌이내 친족과 수석비서관급 이상 공무원을 감찰하는 대통령실 내 독립기구인 특별감찰관을 없애고 그 기능을 검찰과 경찰에 넘기는 방안을 구상 중이라는 소식이 알려졌다. 31일자 신문들은 일제히 윤 대통령의 이런 입장에 대해 비판했다. 조선일보는 윤 대통령이 ‘사실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는 소식을 전하며 논란에 종지부를 찍는 사설을 내보냈다. 

윤석열 정부가 경찰을 민주화 이전 체계로 돌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윤석열 정부 들어 행정안전부 장관 산하에 꾸린 ‘경찰 제도개선 자문위원회’가 경찰에 대한 통제 강화 방안을 논의하면서 행안부에 경찰국을 두는 안을 넣었다. 독재정권 시절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등을 계기로 경찰조직의 민주화를 위해 내무부 산하에 치안본부에서 경찰조직을 외청으로 분리한 것을 되돌리는 조직개편 방안이다. 

▲ 31일자 종합일간지 1면 모음
▲ 31일자 종합일간지 1면 모음

 

김건희 사진 논란, 공개행보 나설 것이란 관측도

동아일보, 한국일보, 서울신문 등은 지난 주말 윤 대통령 부부를 대통령 집무실에서 촬영한 사진이 ‘건희사랑’에 제공한 사건에 대해 다뤘다. 한국일보는 “대통령과 가족의 사진이 공식적이지 않는 경로를 통해 공개된 것 자체가 전례없는 일”이라며 “대통령과 가족의 동선과 일정은 중대한 통치 메시지이자 국가 안보와 직결된 보안 사항인 만큼, 사진 공개가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대통령 부부 사생활 사진이 유출되면서 촬영자가 누구인지, 사진 유출자는 누구인지 등을 두고 논란이 커졌다. 대통령실 측은 지난 30일 “사진 찍은 사람과 바깥으로 내보낸 사람이 대통령실 직원인가”라는 기자들 질문에 “아닌 것 같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 부부가) 개인적으로 주말을 보낸 시간을 담은 사진이라 촬영자를 공개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했다. 대통령 부부의 사진 유출을 ‘사생활’로 규정한 것이다. 

▲ 윤석열 대통령 부부 사진. 사진=김건희팬클럽
▲ 윤석열 대통령 부부 사진. 사진=김건희팬클럽

 

이러한 답변은 논란을 키울 수밖에 없다. 대통령실은 출입기자들에게 국정원 등 특수한 임무를 수행하는 공직자들에게 요구할 만한 수준의 ‘신원진술서’를 요구해 개인정보 요구가 과도하다는 지적뿐 아니라 인권침해라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결국 해당 신원진술서를 철회했지만 이번엔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비판에도 ‘보안앱’ 설치를 의무화했다. 논란이 커지자 보안앱 의무화 방침도 철회했다. 꼭 필요하지 않은 일들로 언론인들을 과도하게 통제했다는 비판이 있었다. 당시 내세운 명분은 ‘보안’이었다. 사진 한 장 유출할 수 없다는 게 대통령실 입장이었다. 

따라서 대통령 부부의 집무실 사진 유출은 민감할 수밖에 없다. 한국일보는 “대통령 부부의 사진이 비공식 조직인 팬클럽을 통해 공개된 것은 보안 사고라는 지적이 나온다”며 “윤 대통령은 대선 공약대로 영부인 지원을 전담하는 제2부속실을 폐지했는데 공조직 대신 ‘비선’이 움직인다는 오해를 자초한 것 자체가 모순적”이라고 보도했다. 

이를 두고 일부 언론에선 제2부속실 부활을 주장하거나 김 여사가 공개활동을 시작할 것이란 전망을 전했다. 

매일경제는 “항간에서는 윤 대통령이 후보 시절 김 여사와 관련한 논란이 있었을 때 제2부속실 폐지 공약을 내면서 제2부속실은 없어졌지만 최소한의 전담 조직은 두는 것이 맞지 않느냐는 이야기도 나온다”며 “소규모라도 전담 조직이 있었다면 이번과 같은 논란이 나오지 않았을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고 보도했다. 

아주경제는 “지방선거 눈앞…지지율 상승세 탄 尹 공개행보 나선 김건희”에서 “(건희사랑을 통해 사진 공개한 것 관련) 김 여사가 본격적으로 공개 행보에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고 보도했다. 

또한 “김 여사는 역대 영부인 예방 계획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대통령실에 따르면 김 여사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와 전직 대통령 이명박씨 부인 김윤옥 여사, 문재인 전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 등을 만나기 위해 일정을 조율하는 것으로 전해졌다”고 보도했다. 

특별감찰관 무력화에 비판 여론  

윤 대통령이 자신의 친인척 등 측근 감시 기구인 특별감찰관을 없애고 그 기능을 검찰과 경찰에 넘기겠다는 방안 등 권력형 비리 근절 새 시스템을 구상 중이라는 소식이 알려지자 언론에서는 우려하는 입장을 냈다. 

서울신문은 사설 “대통령 친인척 수사 특별감찰관 폐지는 신중해야”에서 “제왕적 대통령제 폐해를 없애겠다는 정부라면 자기 감시 기능은 더 강화할 일”이라며 “대통령 친인척 감시를 수족 같은 검경에 맡겨선 안 될 일”이라고 비판했다.

한국일보도 사설 “대통령 주변 감시 특별감찰관, 임명 안 할 이유 없다”에서 “더구나 윤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아내와 장모 등의 비리 의혹으로 곤욕을 치른 바 있다”고 지적했다. 

세계일보는 사설 “대통령실, 특별감찰관 임명 오락가락…무력화는 안 된다”에서 “석연치 않은 이유를 대며 갑자기 입장을 선회하니 그 배경을 놓고 의구심이 증폭됐다”며 “검찰은 윤 대통령 인맥이 요직을 장악한 상황에서 윤 대통령 주변을 제대로 감시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왔다”고 했다. 

경향신문은 사설 “특별감찰관 임명 않으면, 한동훈에게 측근 수사 맡길 텐가”에서 “한동훈 법무부 장관 외에도 법무부와 검찰 핵심을 ‘윤석열 사단’이 차지했다”며 “또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윤 대통령의 고교·대학 후배”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통령실 공직기강책임자도 검찰 출신 이시원 비서관”이라고 덧붙였다. 감시가 어려운 구조라는 주장이다. 

▲ 31일자 조선일보 정치면
▲ 31일자 조선일보 정치면

 

조선일보는 윤 대통령의 추가 입장을 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지난 30일 “특별감찰관 임명은 법률에 따른 국회 입법 사항”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한 측근은 이날 “특별감찰관은 특별감찰관법에 따라 국회가 추천하면 대통령이 임명해야 하는 것”이라며 “그럼에도 대통령이 자의적으로 특별감찰관을 임명하느니 마느니, 폐지하느니 하는 이야기가 나오는 데 대해 윤 대통령은 어불성설이라는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비판이 커지자 입장을 선회한 모양새다. 

조선일보는 사설 “특별감찰관 임명 논란 더는 없어야”에서 “법에 규정된 자리를 임명하지 않는다면 위법적 상황을 자초하는 것으로 문재인 정권과 다를 것 없다”며 “윤 대통령이 주변에 ‘사실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히면서 온종일 이어지던 논란이 일단락된 것”이라고 했다. 조선일보 보도를 보면 윤 대통령은 여론의 반응을 보기 위해 특별감찰관 폐지 입장을 흘렸다가 비판이 거세자 특정 언론을 통해 입장 철회 소식을 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행안부 경찰국 신설 검토에 경찰청장 공개 비판 

국민일보와 한겨레는 행안부의 경찰국 신설 검토 소식과 이에 대한 경찰청장 입장을 전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이 윤 대통령의 학교 후배로 검찰에 이어 경찰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는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한겨레는 “검찰에 이어 경찰 역시 대통령 측근 장관을 통한 ‘직할 체제’가 만들어지는 게 아니냐”고 보도했다. 

김창룡 경찰청장은 30일 기자간담회에서 “개정 검찰청법과 형사소송법 통과 후 경찰권 비대화 우려 등과 관련해 (경찰권 통제 방안)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다만 경찰권에 대한 통제뿐 아니라 경찰의 중립성과 독립성을 보장하고자 했던 1991년 경찰법 제정 정신도 반드시 존중돼야 한다”고 했다. 

▲ 31일 한겨레 사설
▲ 31일 한겨레 사설

 

한겨레는 “김 청장의 발언을 두고 경찰 내부에서는 이상민 행안부 장관 ‘1호 지시’로 꾸려진 ‘경찰 제도 개선 자문위원회’ 논의 방향에 대한 반대 뜻을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며 “자문위는 정부조적법 개정을 통해 행안부 장관 사무에 ‘치안 업무’를 포함시키고 이 업무를 실행할 조직으로 ‘행안부 경찰국’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겨레는 사설 “‘경찰국 부활’ 검토, 경찰 민주적 통제 퇴행 안 된다”에서 “행안부에 경찰국을 두는 건 경찰의 독립성과 중립성을 강화해온 역사적 흐름을 되돌리는 퇴행적이고 위험한 발상”이라며 “우리에겐 경찰의 막강한 물리력이 정치권력에 장악돼 국민에 대한 ‘공안탄압’ 수단으로 쓰인 긴 역사가 있다. 1987년 박종철 열사 고문 치사 사건이 대표적”이라고 지적했다. 

한겨레는 “용산참사, 백남기 농민 사망 사건 등 경찰의 과도한 물리력 행사와 국가정보원 댓글 조작같이 정권에 불리한 사건에 대한 왜곡 수사가 근절되지 않았다”며 “이 또한 경찰의 독립성과 중립성, 민주적 통제가 충분하지 못한 데 따른 결과”라고 했다. 민주적인 통제가 필요한 경찰 조직을 오히려 정권이 통제하는 방향으로 퇴행한다는 비판이다. 

국가경찰위원회 구성의 민주성 강화를 대안을 내놨다. 한겨레는 “행안부 장관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 경찰위원을 국회와 법원 등 훨씬 다양한 영역에서 추천하고 경찰에 대한 위원회의 실질적인 통제권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 미디어오늘은 여러분의 제보를 소중히 생각합니다. 
news@mediatoday.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국이 전세계 1위, 대한민국 바다에 관한 숨은 상식들

[함께 사는 길] 5.31 바다의 날 특집 ①

류종성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위원장  |  기사입력 2022.05.30. 09:14:36 최종수정 2022.05.30. 09:15:50

 

바다는 파랗다. 우주에서 내려다보는 지구는 파란 바다색으로 물들어 있어 더욱 아름답다. 지구 표면적의 70%를 차지하는 바다는 지구에서 살아있는 생명체가 처음으로 탄생한 곳으로 생태계의 어머니와 같은 존재다. 그래서인지 많은 사람들이 바다를 좋아하고, 탁 트인 바다를 보면서 어머니의 품과 같은 안식을 느끼는 것 같다.

바다 생태계가 제공하는 가치

바다에서 생명의 싹이 트고 이후 수억 년이 흐르면서 단세포 해양식물로부터 고래 크기만 한 고등동물까지 다양한 해양생물이 진화해왔다. 이러한 진화의 흐름 속에서 해양생물 중 일부가 육상으로 진출하였고 습지, 숲, 초원과 같은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보고 접할 수 있는 육상생태계가 만들어졌다. 진화라는 열차의 마지막 승객이었던 우리 인류는 지구생태계 먹이사슬의 가장 꼭대기에 위치해 있고 해양생태계와 육상생태계가 제공해주는 다양한 혜택을 누리면서 살아가고 있다. 

해양생태계가 사람에게 제공해주는 혜택을 우리는 해양생태계서비스라고 부른다. 2007년에 국제 생태경제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전 세계 가까운 바다 생태계가 제공하는 서비스 가치가 연간 2000조 원이 넘으며 전 세계 GDP의 약 46%를 차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바다가 주는 생태계서비스가 학문의 대상이 된 지는 얼마 되지 않았다. 필자가 대학에서 해양생태계를 배우기 시작한 90년대 초만 해도 생태계서비스라는 용어는 강의 시간에도 거의 들어보지 못했던 아주 생소한 개념이었다. 해양생태계서비스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수산물을 공급하고(공급), 오염정화와 온실가스 흡수로 환경을 조절하며(조절), 해수욕과 휴양의 문화적 혜택을 주고(문화), 일차생산과 산란지 제공을 통해 바다 전체를 지원 또는 지지한다(지원). 지원서비스는 영어로 'supporting service'를 번역한 것인데, 최근에는 지지서비스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 바다에서 쉬고 있는 백령도 점박이물범. ⓒ국립수산과학원
 

육상과 다른 바다 환경

우리나라 바다는 한반도 남한 면적보다 4배 정도 넓으며 1만3000종이 넘는 해양생물이 살아가고 있다. 면적당 생물종수로 하면 우리 바다의 생물다양성이 전 세계에서 1등이다. 이렇게 우리 바다에 많은 생물종이 살고 있는 이유는 서해에는 갯벌, 남해에는 아름다운 섬, 동해와 독도에는 깊은 바다, 제주도에는 아열대 생태계가 있어 환경과 서식지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생물들이 조화롭게 어울리며 만들어 내는 생태계 기능이 바로 우리가 바다로부터 누리고 있는 풍요로운 혜택의 원동력이다. 

우리의 출발은 바다였으나 너무나 오랫동안 육상에서 살아오면서 육상 환경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인지 바다라는 환경은 어색하고, 두렵고, 접근하기 어려운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바다에 살고 있는 생물의 특성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바다를 채우고 있는 물이 주는 독특한 환경을 먼저 알면 된다. 바다에서 처음 생명이 탄생한 이유는 물이 가져다주는 안정적인 환경 때문일 것이다. 바다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생물학적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학문이 생물해양학인데 생물해양학 교과서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는 내용이 육상 환경과 바다 환경의 차이이다. 바다를 이루고 있는 물은 공기에 비해 밀도가 높다. 밀도가 높은 물에 살고 있는 생물은 높은 부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중력에 의한 영향을 덜 받고 수중에 떠 있기가 수월하다. 우리가 수영장에 들어가면 편하게 떠 있을 수 있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물에서는 쉽게 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해양생물은 육상생물에 비해 부드러운 조직을 가질 수 있도록 진화해 왔다. 해파리와 같은 흐물흐물한 동물이 바다에서 살아갈 수 있는 이유이다. 

물에 뜨기 쉽다는 것은 식물플랑크톤에서 고래까지 다양한 해양생물이 바다의 3차원 공간 구석구석을 차지하고 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육상에서는 중력 때문에 공중에 떠서 살기가 어렵다. 곤충이나 새와 같은 날개가 달린 동물이나 솜털이 달려서 바람에 날릴 수 있는 씨앗 정도가 공중에서 살 수 있으나 평생을 쉬지 않고 떠서 사는 육상생물은 지구상에 없다. 그러나 바다에서는 평생을 물에 떠서 생활하는 해양생물이 아주 많다. 이러한 특징을 염두에 두면 바다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생물 현상을 이해하기가 쉬워진다. 

이러한 환경에서 비롯되는 해양생태계와 육상생태계의 가장 큰 차이점은 먹이사슬의 복잡성을 들 수 있다. 먹이사슬은 원숭이로 시작해서 백두산으로 끝나는 말 잇기 동요의 원리와 같다. 광합성을 통해 식물이 자라고, 식물을 초식동물이 먹고, 초식동물을 육식동물이 먹고, 동물 사체를 미생물이 분해하여 영양염을 만들고, 영양염을 이용하여 식물이 다시 광합성을 하는 것이 생태계 먹이사슬의 기본적인 모습이다. 해양생태계의 먹이사슬이 긴 이유는 식물-초식동물-육식동물의 단계를 구성하고 있는 해양생물이 몸의 크기에 따라서 더 많은 단계로 나누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마이크로미터에서 밀리미터 크기의 소형생물인 피코(pico), 나노(nano), 마이크로(micro) 플랑크톤들이 피식-포식 관계로 얽혀서 복잡한 먹이사슬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먹이망을 영어로 'microbial loop'라고 부르는데, 육상생태계에서 찾아볼 수 없는 해양생태계의 가장 독특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작은 식물 플랑크톤을 이보다 조금 더 큰 동물 플랑크톤이 잡아먹고, 이를 조금 더 큰 동물 플랑크톤이 잡아먹는 식으로 미생물먹이망이 촘촘하게 구성되어 있다.

리질리언스란 

그렇다면 해양생태계의 먹이사슬이 복잡하고 길다는 것이 어떤 장점이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시스템의 리질리언스(resilience)를 높여준다. 리질리언스란 생태계의 특징을 기술하기 위해 생태학 분야에서 사용하던 용어인데 최근에는 사회-생태시스템의 특징을 설명하는 분야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다. 1992년 리우회의에서 지속가능발전이 전 세계적인 화두로 제시되면서 지속가능한 자연과 사회를 어떻게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인지를 많은 학자들이 연구를 했고, 그 결과로 2000년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등장한 용어라고 이해하면 된다. 

리질리언스는 외부 충격을 견디는 능력과 무너진 시스템을 회복시키는 능력을 함께 고려하는 개념이다. 리질리언스를 우리말로 번역하기 위해 여러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논의를 해보았지만 적절한 용어가 없어서 일단 리질리언스라고 부르기로 하고 있어 세종대왕님께 죄송스러운 마음이다. 리질리언스의 복잡한 개념을 좀 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어떤 시스템이 리질리언스가 높은 것인지를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다. 첫째 생물다양성이 높은 생태계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 생물들의 시스템이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하고 빠른 회복을 돕는다. 둘째 중복성이 높은 생태계는 비슷한 기능을 하는 생물의 종류가 많아서 한 종이 멸종을 하면 다른 종이 그 기능을 대체하여 시스템 붕괴를 막는다. 셋째 소생태계(전체 시스템을 이루는 여러 개의 작은 시스템으로 보면 된다)의 기능이 잘 작동하게 되면 전체 시스템의 리질리언스가 높아진다. 예를 들면 소모임이나 커뮤니티가 잘 작동하는 사회가 재난 극복에 강하고 위기에 잘 대처한다. 이 세 가지가 시스템의 리질리언스를 진단하는 항목인데 이를 다양성 또는 이질성(heterogeneity), 중복성(redundancy), 모듈성(modularity)이라는 전문용어로 표현하고 있다. 우리가 흔히 중복을 낭비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리질리언스 관점에서 보면 중복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 생물종이 다양한 전북 고창갯벌은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곳이다. ⓒ함께사는길(이성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일 

지금까지 해양생물학의 이론을 가지고 해양생태계가 갖고 있는 특징을 설명해 보았다. 찬찬히 살펴보면 우리가 왜 해양생물 다양성을 보존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결국 그 이유는 해양생태계가 우리에게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를 잘 즐기고, 후손들에게 고스란히 물려주기 위함이다.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은 생태계의 리질리언스를 높이는 행위이다. 리질리언스가 높은 생태계는 외부의 충격에 잘 견디고, 만에 하나 시스템이 무너졌을 경우라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 개발 이론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가 자연을 보존하고 환경을 깨끗하게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과학적인 이론을 찾기 위해 오늘도 많은 과학자들이 수고하고 있다. 5월 31일 바다의 날을 맞이하여 건강한 바다를 위해 노력하는 많은 분들에게 감사를 드린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소통령 한동훈' 막을 '유승민의 제동장치'

[取중眞담] 반복되는 '시행령 정치'... 인사정보관리단 설치 개정령과 '국회법 98조 2'의 역설

22.05.30 07:20l최종 업데이트 22.05.30 07:20l
[取중眞담]은 <오마이뉴스> 상근기자들이 취재과정에서 겪은 후일담이나 비화, 에피소드 등을 자유롭게 쓰는 코너입니다.[편집자말]
큰사진보기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5일 오전 정부과천청사 법무부로 출근하고 있다.
▲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5일 오전 정부과천청사 법무부로 출근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역사는 정말 반복되는 것일까.

6.1지방선거다, 추가경정예산안이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여야가 또 시끄럽다. 지난 24일 입법예고된 '법무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 때문이다. 해당 대통령령은 법무부 장관이 인사혁신처장에게 공직후보자 등에 관한 인사정보 수집·관리 사무를 위탁받고, 업무 수행을 위해 법무부 산하에 검사 또는 고위공무원단 1명, 검사 3명 등 20명 규모로 인사정보관리단을 설치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세부 사항을 정리한 법무부령 개정안도 함께 입법예고됐다.

그런데 두 개의 안 모두 바로 다음날인 5월 25일까지만 의견 수렴을 한다고 공지됐다. 보통 '40일'인 입법예고 기간과 비교하면 20분의 1 수준이다. 물론 긴급히 처리해야 하는 법령의 입법예고 기간은 법제처장과 협의하여 예고를 생략하거나 그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하지만 헌법과 법률 어디에도 법무부가 인사정보 수집·관리 사무를 관장할 수 있다는 내용이 없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문제의 행정입법안들이 과연 '긴급'한지 의문스럽다. 야당도 반발하고 있다.

역대 대통령마다 선택했던 일 어쩐지 익숙한 풍경이다. 법률 개정이 난망할 때, 역대 대통령들은 늘 '시행령 정치'를 택했다. 헌법재판소가 종합편성채널 설치 근거 등을 명시한 방송법 개정안의 절차상 하자를 지적했지만, 이명박 대통령은 2010년 1월 국무회의에서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 2015년 5월 11일 박근혜 대통령은 4.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의 시행령을 공포하면서 조사 인력과 규모를 법률보다 대폭 축소해버리기도 했다. 


정권이 바뀌어도 시행령 정치는 이어졌다. 문재인 정부 초기 여당인 민주당의 의석은 과반을 넘지 못했다. '범여권'으로 계산해도 180석에 못 미쳤다. 결국 문 대통령도 '시행령 정치'의 길을 걸었다. 정부는 최저임금법 시행령을 고쳐 최저임금 산정기준 시간 수에 주휴시간을 포함했고, 사립유치원에 '에듀파인(국가회계관리시스템) 사용을 의무화하는 '유치원3법'이 통과되기 전 유아교육법 시행령을 고쳐 먼저 시행했다.  정부가 공포하는 대통령령 숫자 역시 매년 수십 건씩 꾸준히 늘었다.

시행령 정치를 무조건 나쁘다고 할 수는 없다. 대통령은 5년이란 임기 동안 대선 공약을 실천, 국민에게 약속한 나라를 실현할 의무가 있다. 국정운영의 성과를 도출하는 데에 시행령 정치는 때때로 효과적인 수단이다. 사회가 점점 빠르고 복잡하게 변해가지만 그 속도를 현행 법이 따라가지 못할 때, 새로운 현실을 반영하기 위해 시행령과 시행규칙 등 행정입법을 손보는 것 역시 때때로 필요하다.
 
큰사진보기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가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주요현안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가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주요현안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시행령 정치는 태생적으로 '반쪽짜리 정치'다. 시행령 정치는 국회 논의가 지지부진하거나 행정부 의견과 다른 방향으로 이뤄지는 상황을 전제한다. 거칠게 말하면, 대통령이 국민의 대표기관이자 삼권분립의 한 축인 국회를 국정운영의 동반자로 여기지 않는 상황에서 시행령 정치는 강하게 작동한다. '여소야대' 국회를 타개할 묘수가 없는 윤석열 대통령은 이번 대통령령 개정으로 그 '시행령 정치의 귀환'을 예고한 셈이다.

국회 나름대로 자구책은 마련해뒀다. 국회법 98조의 2다. 이에 따르면 국회 상임위원회는 행정부가 대통령령 등을 제·개정 또는 폐지할 때 법률 위반 여부 등을 검토해야 하고, 그 결과 법률의 취지 또는 내용에 합치되지 않을 경우 검토결과보고서를 국회의장에게 제출해야 하며 국회의장이 이 보고서를 본회의 보고하면 국회는 의결해 정부에 송부한다. 또 정부는 국회 보고서를 받으면 그 처리 여부를 검토하고 결과를 국회에 제출해야 한다. 시행령이 상위 법률을 위반했다고 국회가 공식적으로 지적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든 것이다. 

김영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7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법무부 인사검증단 설치를 두고 "법무부를 과거 안기부 수준의 '상왕'부처로 만들고, '소통령 한동훈'에게 부처관할을 하게 하는 시도"라며 "향후 5년간 검찰독재를 하겠다는 대국민 선전포고"라고 비판했다. 또 "정부가 계속 대통령령을 밀어붙인다면 국회법을 동원할 수밖에 없다"며 "2020년 법 개정 후 시행하게 되는 첫 사례가 이번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사연 있는 유승민, 그가 남긴 것
 
큰사진보기국민의힘 경기도지사 선거에 출마한 유승민 전 의원이 4월 19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  국민의힘 경기도지사 선거에 출마한 유승민 전 의원이 4월 19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관련사진보기


그런데 국회법 98조의 2에는 사연이 있다. '배신자 유승민' 사태다. 2015년 5월 29일 여야는 국회의 행정입법 수정·변경 요구권을 골자로 한 국회법 개정안을 합의처리했다. 하지만 6월 25일 박근혜 대통령은 거부권을 행사했다. 그는 "여당의 원내사령탑도 정부 여당의 경제살리기에 어떤 국회의 협조를 구했는지 의문이 간다"며 "배신의 정치는 반드시 선거에서 국민들께서 심판해주셔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곧바로 '축출작전'이 개시됐고, 유승민 의원은 쫓겨나다시피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재상정됐던 국회법 개정안은 새누리당 의원들의 불참으로 재의결되지 못했다. 다음해인 2016년 20대 총선에서 유승민계는 '학살'이라고 표현될 정도로 대거 낙천됐고, 유 의원은 결국 탈당 후 무소속으로 대구 동구을에 출마, 당선됐다. 

반면, '친박 감별사'가 활약한 새누리당은 원내 1당의 지위를 민주당에 빼앗기는 아이러니를 맞았다. 국회 구성이 달라지면서 유승민의 국회법 98조의 2도 2018년, 2020년 개정돼 좀더 모양새를 갖췄다.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경선에 패배한 유승민 전 의원은 2022년 6.1 지방선거 경기도지사 경선에 도전하며 재기를 노렸지만, 김은혜 후보를 출마시킨 윤석열 대통령의 '자객공천'에 고배를 마셨다. 유 전 의원은 또다시 '대통령의 뒤끝'에 당한 셈이다. 

하지만 법무부에 인사검증을 맡기는 윤 대통령의 시행령 정치는 국회법 98조의 2에 의해 제동이 걸릴 수 있는 상황. 아이러니는 반복될 것인가. 

[관련기사]
[2015년 5월 29일] 바람 잘날 없는 당·청...'시행령 수정권' 정면충돌 http://omn.kr/dv84
[2015년 6월 25일] 박 대통령, 유승민에 직격탄 "정치권은 정부 책임만 묻는다" http://omn.kr/e9a7
[2015년 7월 8일] '배신의 정치'를 '헌법 1조 1항'으로 돌려주다 http://omn.kr/efni
[2016년 3월 23일] "당의 모습 민주주의 아니다... 시대착오적인 정치 보복" http://omn.kr/i480
[2022년 4월 22일] 경선 패배 유승민 "여기가 멈출 곳" 정계 은퇴 고민하나 http://omn.kr/1yi0u
[2022년 5월 24일]
한동훈은 소통령? 인사검증 맡기려 입법예고 이틀로 단축
 http://omn.kr/1z2e9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윤 대통령 평가…중앙 "낡은 시대와 결별" 경향 "철학의 빈곤"

  • 윤유경 기자 
  •  
  •  입력 2022.05.30 07:49
  •  
  •  댓글 1
 
 

[아침신문 솎아보기] 한겨레 “선거 코앞 추경 합의, ‘예스맨’식 재정운용”
경향 “윤 대통령 인사 방향성·철학 안보여, 철학의 빈곤”
온라인 추모소 ‘애도’ 마련한 한겨레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손실보상을 위한 39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이 지난 2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정부가 13일 추경안을 국회에 제출한 지 2주 만이다. 다만 손실보상 소급적용 문제는 여야가 추후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30일 아침신문들은 일제히 ‘코로나 추경안’ 국회 통과 소식을 1면에서 다뤘다. 

▲ 30일 아침신문 1면 갈무리.
▲ 30일 아침신문 1면 갈무리.

한겨레는 사설 ‘선거 코앞 추경 합의, 예스맨식 재정 이번으로 그쳐야’에서 “거대 양당이 대선 전부터 약속했던 사안을 지방선거 유불리를 따지며 옥신각신하다가 서로 통과 지연 책임을 지지않으려 이제야 합의했다”며 “소상공인 등이 코로나 방역에 협조한 대가로 당연히 받아야 할 손실보전금을 정치권이 선거용으로 이용한 점은 비판받아 마땅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획재정부는 문재인 정부 때는 과도하게 보수적인 태도를 보이다가 이번 정부 들어서는 대통령과 여당의 요구를 100% 들어주는 식으로 돌변했다”며 “정치권의 무리한 요구를 그대로 수용하는 것도 경계해야 할 일이다. 정치인 출신 추경호 부총리의 ‘예스맨’식 재정운용은 이번으로 그쳐야 한다”고 했다.  

▲ 한겨레 사설 갈무리.
▲ 한겨레 사설 갈무리.

조선일보도 사설 ‘표 계산 꼼수, 재원 조달 편법, 정치 추경 더는 없어야’에서 “양측 모두 온갖 정략과 꼼수를 동원하고 공치사에 열을 올렸다”며 “예산 원칙과 국가 재정 건전성은 뒷전인 채 오로지 지방선거에서 어떻게 표를 더 얻느냐는 생각뿐이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정부는 곧바로 보상금을 지급하겠다지만 그 근거인 추가 예상 세수는 아직 국고로 들어오기 전이다. 그래서 일단 한국은행에서 단기 차입금 행태로 급전을 빌려 지급한 뒤 실제 돈이 들어오면 갚겠다고 한다. 국채 발행으로 금리가 급등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위한 꼼수”라며 “선거에서 이기기만 하면 나라 경제는 망가져도 된다는 것인가. 이런 비정상적인 정치 추경과 선거용 돈 풀기는 더 이상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조선일보 사설 갈무리.
▲ 조선일보 사설 갈무리.

동아일보는 사설에서 “이번 추경은 규모만 큰 게 아니라 아직 5월밖에 안 됐는데 두 번째로 편성됐다는 점에서도 문제가 있다”며 “상황이 충분히 예견됐던 작년에 3월, 7월 등 2차례 추경을 편성한 데 이어 사상 최대 본예산을 짜둔 올해 상반기에도 같은 행태가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그런데도 여당은 선거 전에 추경안에 합의해 돈을 나눠주게 됐다며 흡족해하고, 제동을 걸었어야 할 야당은 증액에 성공했다며 자랑하고 있다”며 “여야가 국민 세금으로 퍼주기에 나서는 게 일상화되는 걱정스러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경향신문은 사설에서 소급적용 입법을 서둘러 논의할 것을 촉구했다. 사설은 “(여야는) 한발씩 물러선 절충으로 코로나19로 손해를 입은 소상공인들이 일부나마 보상받게 된 것은 다행스럽다”며 “추경이 막판에 겨우 매듭된 데는 손실보상을 지난해 7월 법 제정 이전까지 소급적용하는 문제가 있었다”고 했다. 

이어 “정부는 우선 2차 추경이 소상공인들에게 신속하게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 그럼에도 자영업자들이 2년 넘게 겪은 코로나19 상처에 비해 정부 지원금은 여전히 부족하다”며 “여야는 정부의 행정명령 피해는 구제받도록 한 헌법 취지에 맞게 손실보상법을 재정비하고, 8조원 규모로 추산된 소급적용을 매듭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 “윤석열다운 통 큰 정치” 동아 “정치초년尹, 대통령상 바꾸나”

중앙일보와 동아일보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행보를 칭찬하는 칼럼이 실렸다. 중앙일보는 오피니언면에 이하경 주필·부사장의 칼럼 ‘여기가 윤석열의 로도스다, 여기서 뛰어라!’를 실었다. 칼럼은 “윤석열 대통령의 언행은 일치하고 있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했다. 칼럼은 “워싱턴포스트 기자가 남성 위주 각료인선을 지적한 뒤 여성 장·차관 네 사람을 연속으로 지명했다. 김상희 국회부의장이 젠더 갈등을 거론하자 ‘제가 정치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돼 시야가 좁아서 그랬던 것 같은데, 이제 더 크게 보도록 하겠다’고 했고, 약속을 바로 이행했다”며 “정치 고수인 박지원 전 국정원장이 ‘순발력이 보통은 아니다’고 놀라워할 정도”라고 했다. 

▲ 중앙일보 오피니언면 칼럼 갈무리.
▲ 중앙일보 오피니언면 칼럼 갈무리.

뒤이어 “어느 날 갑자기 정치 세계에 툭 튀어나온 새 대통령 윤석열이 하루하루 전력질주하는 장면이 펼쳐지고 있다”며 “현실을 부정하고 철 지난 이념의 노예가 된 지도자가 소득주도 성장, 탈원전의 허상을 향해 몸을 던졌던 시대에 마침표를 찍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낡은 시대와 결별하려는 새 대통령의 결의는 단호하고 진심으로 넘쳐난다. 그러나 입법 권력은 여전히 세계관이 다른 야당의 손에 쥐어져 있다”며 “자기 혁신을 다짐한 윤석열다운 통 큰 정치고 진정한 협치의 시작이다. 경제와 안보를 지키고 연금·노동·교육을 개혁하자면서 야당을 무시할 수는 없다. 내키지 않겠지만, 여기가 윤석열의 로도스다 여기서 뛰어라”라고 했다. 

동아일보도 오피니언면에서 박제균 논설주간의 ‘정치초년尹, 대통령像 바꾸나’라는 제목의 칼럼을 내보냈다. 칼럼은 “윤석열 대통령은 좀 다르다”며 “당선인 때도 여기저기 맛집 순례를 하더니, 대통령이 돼서도 냉면 빈대떡 잔치국수 따로국밥을 사먹고, 순대 떡볶이 만두 소보로빵 등을 사갔다. 경호 문제로 시민들을 불편하게 한다고? 대통령 경호에 빈틈이 있어서야 안 되겠지만, 대통령과 국민을 괴리시키는 경호는 경호라고 할 수도 없다”고 했다. 

▲ 동아일보 오피니언면 칼럼 갈무리.
▲ 동아일보 오피니언면 칼럼 갈무리.

이어 “윤 대통령의 먹방 행보는 청와대에서 나온 것과 관계가 깊다. 권력자가 높다란 대에서 내려오니 세상과 어울리는 게 수월해지는 것”이라며 “그가 정치 초년생이라는 점도 선입견 없이 변화를 수용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했을 수 있다. 과거 대통령과 다른 윤석열 스타일은 제왕적 대통령제를 탈피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변화”라고 했다. 

“그럼에도 더 중요한 건 내용의 변화다. 실제로 제왕적 권력을 내려놓느냐가 관건”이라며 “대통령이 마음먹기 따라 충분히 분점과 권한 이양이 가능하다. 그러려면 인사권의 과감한 하방과 검찰권 독립이 필수다. 역대 대통령 누구도 못 한 일, 윤석열은 해낼 수 있을까”라고도 덧붙였다. 

반면, 경향신문은 오피니언면에서 윤 대통령의 인사, 국정기조에는 ‘방향성과 철학이 안 보인다’고 비판했다. 이주영 정책사회부장은 ‘윤 대통령의 순발력과 철학의 빈곤’이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미국 대통령이 앞에 서 있는 정상외교 무대에서 민망하긴 했나 보다. 한·미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미국 측 기자로부터 내각의 성비 불균형을 지적하는 질문을 받았으니 말이다”라며 “윤 대통령은 이틀 뒤 세 명의 장차관급 인사를 단행하며 모두 여성을 발탁했다. 오판을 인정하고 즉각조치에 나선 점에는 박수를 보낸다”고 했다. 

▲ 경향신문 오피니언면 갈무리.
▲ 경향신문 오피니언면 갈무리.

하지만 “문제는 인사에서도, 국정기조에서도 개혁의 방향성과 철학이 안 보인다는 점”이라며 “국정과제 자료집을 보면 수십년간 교육의 영역에 누적된 구조적 문제들에 대한 고민은 보이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교육분야 경험이 전무하다시피 한 박순애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를 새 교육수장 후보로 내세운 것은 단지 교육분야를 비효율성을 제거할 행정 영역의 하나로 본 것이거나 여성이니까 지명한 것으로밖에 해명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김승희 보건복지부 장관 내정자 발탁에 대해서도 “상대진영을 향해 막말과 억지주장을 서슴지 않고 정치적 편향성을 강하게 드러내는 사람이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설득하고 사회적 논의를 이끌어 합의를 도출하는 일을 해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했다. 아울러 “여전히 한국은 세계적인 장시간 노동 국가인데도 윤석열 정부는 선택적 근로시간제 확대를 통해 주52시간제의 취지를 허물려한다. 시행한 지 4개월밖에 안 된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해선 규제이고 국가경쟁력을 유지해야 한다는 경영계 의견에 동의한다며 개정을 예고했다”며 “매일 현장에선 노동자가 일하다가 깔려 죽고 떨어져 죽고 끼어 죽는데도 자본·경영의 논리를 앞세운다”고 비판했다.  

칼럼은 “개혁이 요구되는 장기 미해결 현안들을 철학도 없이 순발력만으로 풀 순 없다. 성차별 해소 역시 보여주기식으로만 접근해선 안 될 일”이라고 지적했다. 

한겨레 사회적 장례식 ‘애도’ 홈페이지 마련

한겨레는 창간기획 ‘코로나로 빼앗긴 삶 24158’의 일환으로 온라인 추모소 ‘애도’(www.hani.co.kr/interactive/mourning)를 열었다. 코로나19로 세상을 떠난 이들의 죽음을 애도하는 사이버 공간이다. 30일부터 누구든지 방문해 헌화하고 추모편지를 읽고 방명록에 글을 남길 수 있다. 

▲ 애도 홈페이지 갈무리.
▲ 애도 홈페이지 갈무리.

추모편지는 6월 내내 접수한다. 고인의 삶을 돌아보고 그리운 마음을 담은 글과 사진을 이메일(missyou@hani.co.kr)로 보내면 온라인 추모소에 추모공간을 마련한다. 온라인 추모소에는 코로나19 데이터와 관련 기사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격리 내내 고열 호소한 아버지, 이식수술한 병원에만 갔어도…

등록 :2022-05-30 05:00수정 :2022-05-30 08:35

[코로나로 빼앗긴 삶 24158]
③ 관리받지 못한 집중관리군
장기이식을 받은 60대 아버지를 코로나19로 떠나보낸 아들 최윤호(가명·42)씨가 49재를 일주일여 앞둔 23일 오후 산소를 찾아 아버지를 그리워하고 있다. 경주/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장기이식을 받은 60대 아버지를 코로나19로 떠나보낸 아들 최윤호(가명·42)씨가 49재를 일주일여 앞둔 23일 오후 산소를 찾아 아버지를 그리워하고 있다. 경주/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한겨레>는 창간기획 ‘코로나로 빼앗긴 삶 24158’의 하나로 온라인 추모소 ‘애도’(www.hani.co.kr/interactive/mourning)를 열었습니다. 코로나19로 세상을 떠난 이들의 죽음을 애도하는 사이버 공간입니다. 30일부터 누구든지 방문해 헌화하고 추모편지를 읽고 방명록에 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대구 사람 최규식(가명·67)씨는 평소 연락을 자주 하는 살가운 아버지가 아니었다. 3월4일 코로나19에 확진된 뒤에도 자식들에게 시시콜콜 건강상태를 알리지 않았다. 그런 아버지가 지난 3월10일 가쁜 숨을 쉬며 아들 최윤호(가명·42)씨에게 전화를 걸어왔다.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안 쉬진다. 산소포화도 기기가 고장 났다. 폰으로 측정하는 방법 좀 갈치도….” 확진자 격리 의무가 해제되는 7일째 낮 12시께였다. 윤호씨는 그날 혼자 집에서 재택치료 중이었던 아버지한테 전화를 받자마자, 감염 위험도 방역수칙도 잊고 아버지 집으로 내달렸다.
 
격리 마지막 날 “숨 안 쉬어진다”…수백통 통화 뒤 보건소 연결

“아버지가 장기이식을 받은 코로나19 확진자예요. 격리 해제 마지막 날인데 산소포화도가 안 잡힙니다.” 윤호씨는 곧장 119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돌아온 대답은 “출동할 수 없다”였다. 코로나19 확진자 이송은 보건소의 요청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설명이었다.

 

첫 관문이었던 보건소 문턱은 높았다. 윤호씨는 500통을 걸고서야 담당자와 첫 전화통화가 이뤄진 것으로 기억했다. “기다려보세요. 저희도 긴급 공문을 올리고 빨리 조치하겠습니다.” 1시간 만에 연결된 보건소에선 또 기다리라고 했다. 보건소의 출동 요청에 따라 119 구급차가 도착한 건 오후 3시30분께였다. 그때 측정한 아버지의 산소포화도는 정상 범위인 95% 이상을 크게 벗어난 65%였다. 심각한 저산소증이었지만, 병상 배정 절차가 마무리되려면 또 기다려야 한다고 했다.

 

대구시 병상배정반은 출동한 119로부터 아버지의 상태를 확인했다. 산소마스크를 쓰고도 산소포화도는 88%로, 호흡곤란 상태였다. 배정반은 아버지를 중증 환자로 분류했고, 중환자가 입원할 수 있는 병상을 수소문했다. 아버지는 구급차에서 2시간30분가량 더 기다린 뒤인 오후 6시께야 병원에 도착했다.

 

신장이식 60대 ‘재택치료 원칙’…주치의 병원은 ‘병상 포화’

“꼭 경북대병원으로 부탁합니다. 아버지가 그 병원에서 신장이식을 받으셔서, 아버지 진료기록이 그 병원에 다 있어요.” 윤호씨는 보건소 등에 병상 배정을 요청하며 여러차례 부탁했다. 하지만 어렵사리 배정된 병상은 경북대병원이 아닌 ㄱ대학병원 중환자실이었다.

 

“걸으실 수 있으니 괜찮을 거다.” 아버지를 이송할 때 구급대원의 말과 달리 상태는 심각했다. 자가호흡이 어려울 때 시행되는 ‘기관 삽관’이 이뤄졌고, 곧바로 중환자실에 입원했다. 폐렴 증상에 따라 중환자실과 일반실을 두차례 옮겨다닌 아버지는 4월11일 염증 수치가 치솟았다. 윤호씨 눈에는 치료 과정이 내내 미흡해 보였다. 경북대병원에 비해 장기이식 수술 경험이 많지 않아서인 것만 같았다. 장기이식 면역저하자인데다 중증 코로나19 환자였지만 단순 폐렴 치료 수준에 그쳤고, 신장이나 이식 전문의와의 협진은 볼 수 없었다. 아버지의 상태를 살핀 ㄱ병원 의사조차 “아이고 어르신, 빨리 경북대병원에 가셔야 할 텐데” 하고 말했다고 한다.

 

아버지가 주치의와 진료기록이 있는 경북대병원으로 이송됐다면 상황이 달라지지 않았을까? 너무도 답답했던 윤호씨는 대구시 병상배정반에 경북대병원이 아닌 ㄱ병원으로 배정한 이유를 물었다. 병상배정반은 “환자 중증도에 따라 배정하되, 이전 진료 이력이 있는 병원에 코로나19 병상이 있는 경우 우선 협의하는 게 병상 배정 원칙”이라며 “경북대병원에 문의했으나, 당일 중증 병상이 포화 상태라 수용이 불가하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답했다. 3월10일 오후 5시 기준 대구 지역에는 32개의 코로나19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이 있었지만, 아버지가 이식 수술을 받았던 경북대병원엔 병상이 없었다는 설명이다.

 

코로나19로 숨진 최규식(가명·67)씨의 묘 앞에 생전에 좋아했던 과자가 놓여 있다. 경주/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코로나19로 숨진 최규식(가명·67)씨의 묘 앞에 생전에 좋아했던 과자가 놓여 있다. 경주/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의료진 모니터링…산소포화도기 고장, 증세악화 놓쳐

 

4월11일 새벽, 아버지가 위중하다는 연락이 왔다. 7년간의 투석과 신장이식 수술도 견뎌낸 아버지였지만, 코로나19는 확진 5주 만에 목숨을 앗아갔다. ‘㈎직접 사인: 폐렴, ㈎의 원인: COVID-19(코로나19 영문 명칭)’. 이 사망 진단을 검토한 질병관리청은 29일 <한겨레>에 “의료진 판단에 따라 신고 시 코로나 사망으로 집계가 가능”하다고 밝혔지만, 당시 보건소에서는 코로나19 사망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병원 쪽이 신고를 누락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질병청은 “사례 조사 전에는 답변이 어렵다”고 답했다. 4월12일 0시 기준 중앙방역대책본부가 발표한 사망자는 171명. 이날 방역당국은 신규 사망자가 27일 만에 100명대로 내려왔다고 발표했다.

 

“원격 진료라고 해도 (관리 의료기관이) 환자 상태가 나빠지는 걸 포착하지도 못하고, 장기이식 환자인데 세심하게 보지 않았다는 데 화가 많이 납니다.” 윤호씨는 10년 전 신장이식을 받은 60대 확진자가 단 한차례도 입원 권유를 받지 않았다는 점이 도무지 이해되지 않는다고 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모든 확진자는 재택치료를 원칙으로 한다’는 게 정부 방침이었다. 확진 판정 즉시 의료기관에 입원하려면 △의식장애나 호흡곤란 △해열제 복용에도 3일 이상 38도 이상 발열이 지속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당뇨 등 위험 요인이 있어야 했다. 60대이면서 장기이식 이후 면역억제제를 먹고 있던 아버지는 재택치료자 가운데 집중관리군으로 분류됐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면역력이 떨어진 채 의료진의 손길 밖에 있었던 아버지를 빠르게 무너뜨렸다. 체온계와 산소포화도 측정기(측정기)가 포함된 재택치료키트가 지급되고, 하루 2회 의료기관 모니터링이 이뤄졌지만, 아버지의 건강이 나빠지는 걸 알아채지 못했다. 측정기가 고장 나 산소포화도 입력이 중단됐지만, 이를 챙기는 이도 없었다. 아버지가 측정기 교체를 요구하자 보건소는 “구청에 문의하라”고 했고, 구청은 “물량이 없으니 기다려달라”고 했다. 밤마다 열이 오른 아버지가 병원에 전화로 1시간 넘게 고통을 호소했지만, 하루 3알 해열제 처방이 전부였다. 재택치료 관리 주체는 제각각이었고 비대면 진료는 충분하지 못했다. 윤호씨는 “측정기는 구청에서 하고, 확진자 관리는 보건소에서 하고, 병상 배정은 시청에서 하고 업무가 다 따로따로였다”며 “코로나19에 걸려서 아프다는 사람한테 감기약만 처방하는 건, 그냥 약국을 갔어도 할 수 있는 일이었다”고 말했다.

 

아버지 떠나보내고 외상후 스트레스

 

상실감이 너무 컸던 탓일까. 윤호씨는 장례를 치른 뒤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진단을 받았다. 신경안정제를 먹지 않으면 잠 못 드는 밤이 이어지고 있다. 얼마 전엔 잠자리에 누웠다가 그리움이 사무쳤다. 대구 집에서 아버지를 모신 경주의 한 봉안당까지 1시간 거리를 찾아가, 늦은 밤 닫힌 출입문 밖에서 아버지께 인사를 드리고 왔다. 윤호씨는 “어제까지만 해도 멀쩡히 얼굴 보던 가족이 다음날 갑자기 입원을 하거나 아예 딴 세상 사람이 되는 건 견디기 힘든 충격”이라며 “코로나19 유가족에 대한 상담치료 등 사후 관리가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49재가 다가오지만 윤호씨의 시간은 아버지가 쓰러진 3월10일에 멈춰 있다. 그날, 아버지는 숨조차 제대로 못 쉬는 와중에도 아들이 앱으로 산소포화도를 재주려 할 때마다 스마트폰을 낚아채 소독 티슈로 닦았다고 한다. 행여 아들이 감염될까 봐. 엄하고 애정 표현을 아끼던 전형적인 ‘경상도 아버지’가 마지막으로 남기고 간 애틋한 사랑의 기억이다. 지난 23일 윤호씨는 생전에 아버지가 좋아했던 ‘롯데샌드’를 사들고 봉안당 앞에 섰다. “아빠 괜찮나? 아빠가 이식 수술 하고 못 먹던 과자다, 이제 아프지 말고, 우리 걱정 하지 말고….”

 

대구 경주/임재희 기자 limj@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종미항중전략은 완벽한 자멸지옥도

[개벽예감 493] 종미항중전략은 완벽한 자멸지옥도

 

한호석(통일학연구소 소장) | 기사입력 2022/05/30 [08:00]
  •  
  •  
  •  
  •  
  •  
  •  
 

<차례>

1. 바이든 행정부의 새로운 인태전략과 윤석열-바이든 정상회담

2. 한미련합군의 작전범위확대와 바이든의 무력개입의지표명

3. 인태사령부가 수립하고 있는 새로운 작전계획

4. 윤석열 정권의 종미항중전략은 자멸지옥도

 

 

1. 바이든 행정부의 새로운 인태전략과 윤석열-바이든 정상회담

 

2022년 5월 21일 윤석열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서울에서 정상회담을 진행하고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명칭은 공동성명이지만, 실제로는 바이든 대통령의 단독성명이다. 왜냐하면, 그 성명은 처음부터 끝까지 바이든 행정부의 인디아양-태평양전략(Indo-Pacific Strategy)으로 일관되었기 때문이다. 백악관의 대통령연설문작성 담당관 비네이 레디(Vinay Reddy)가 영어로 쓴 성명을 그냥 우리말로 번역해놓고 제목만 공동성명으로 달아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 5월 21일에 발표된 한미정상공동성명에 차고 넘치는 종미우익사상은 그 폭과 깊이가 넓고 깊어서, 정상인이 읽어보면 경악하지 않을 수 없는데, 특히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은 그 공동성명에 들어있는 다음과 같은 문장이다. 

 

“두 대통령은 인디아양-태평양을 번영하고 평화로우며 자유롭고 개방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이 영역에서 상호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런 측면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의 인디아양-태평양전략구도를 정식화하려는 윤 대통령의 구상을 지지했다. 또한 윤 대통령도 미국의 인디아양-태평양전략을 환영했다. (Two Presi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 free and open Indo-Pacific that is prosperous and peaceful, and agree to strengthen mutual cooperation across the region. In this regard, President Biden shares his support for President Yoon's initiative to fomulate ROK's own Indo-Pacific strategy framework. President Yoon also welcomed the U.S. Indo-Pacific Strategy.)”

 

위의 인용문을 읽어보면,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의 인태전략을 모방한 자신의 인태전략을 구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미국의 인태전략을 그냥 추종하는 것도 성에 차지 않아, 우리말 용어만 몇 개 바꿔놓은 짝퉁인태전략을 내놓겠다는 뜻이다. 종미우익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의 요구와 주장을 따라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종미우익사상에도 분수가 있지, 이건 너무하다. 정신의학적 견지에서 보면, 종미우익사상은 편집증(paranoid)의 일종이다. 종미우익사상의 편집증에 걸린 윤석열 대통령이 구상하고 있다는 짝퉁인태전략이 어떤 것인지 예상하려면, 미국의 원조인태전략을 알아야 한다. 

 

2019년 6월 1일 트럼프 행정부는 ‘인디아양-태평양 전략보고: 준비태세, 협조관계, 그리고 지역련계망의 증진(Indo-Pacific Strategy Report: Preparedness, Partnerships, and Promoting a Networked Region)'이라는 제목의 국가전략문서를 발표했다. 2022년 2월 11일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의 인디아양-태평양전략(Indo-Pacific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이라는 제목의 국가전략문서를 발표했다. 국가전략이 정권교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미국의 인태전략이 그렇게 바뀐 것인데, 주목되는 것은 두 개의 인태전략에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이다.  

 

2019년판 인태전략과 2022년판 인태전략에 일관되는 내용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태평양과 인디아양을 “자유롭고 개방적인 영역(free and open region)"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미국이 말하는 자유와 개방은 자기의 제국주의적 지배와 통제를 무제한으로, 무기한으로 보장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미국의 인태전략은 태평양과 인디아양에 대한 제국주의적 지배와 통제를 무제한으로, 무기한으로 보장해주는 전략이다.  

 

2019년판 인태전략과 2022년판 인태전략에서 나타난 차이점은 전자가 미국 국방부 명의로 발표되었고, 후자가 백악관 명의로 발표된 것이다. 발표주체가 국방부에서 백악관으로 바뀐 것은, 2019년판 인태전략이 군사부문을 중심으로 수립되었던 것과 달리, 2022년판 인태전략은 군사부문에서 정치외교부문, 경제통상부문으로 확대된 포괄적 국가전략으로 수립되었음을 말해준다. 

 

결정적으로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2019년판 인태전략은 로씨야, 중국, 조선에 대해 길게 서술하였는데, 2022년판 인태전략은 로씨야에 대해서는 전혀 서술하지 않았고, 조선에 대해서는 단 한 차례만 서술했고, 중국에 대해서는 여러 항목에 걸쳐 길게 서술했다. 이런 현상은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을 주적으로 규정하고, 중국을 포위하고 고립시키며, 중국에 공격을 집중하는 반중국적대행동을 중심으로 기존 인태전략을 대폭 수정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2022년판 인태전략에서 드러나는 또 다른 특징은 미국이 동맹국들(allies), 협조국들(partners)과의 연계와 협력을 강화, 확대하는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는 데 있다. 이런 사정은 미국이 자기를 추종하고 중국에 저항하는 종미항중(從美抗中)의 길로 동맹국과 협조국을 내몰거나 끌어들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종미항중에도 서렬이 있는데, 가담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종미항중 제1집단은 역내 친미동맹국들이다. 전략적 중요성에 따라 열거하면 일본, 한국, 대만, 오스트레일리아다. 미국의 시각에서 보면, 한국과 대만은 동맹국으로 보이지만, 조선의 시각과 중국의 시각에서 보면, 한국과 대만은 독립국가가 아니라 미국의 점령지에 불과하므로 미국의 동맹국이 아니다. 종미항중 제1집단은 조선봉건왕조가 중국에 공물을 바치듯 미국에 군사기지를 상납하고, 미국군사령관의 지휘통제 밑에서 전쟁연습과 군사훈련을 하고, 미국산 무기를 다량수입하면서 종미항중 돌격대 역할을 자임하고 있다. 

 

종미항중 제2집단은 지리적으로 아시아와 대양주에 속하지 않았으면서도 종미항중에 앞장서는 유럽나라들인데, 영국과 프랑스가 여기에 속한다. 영국은 미국이 만든 반중동맹체인 오커스(AUKUS)에 들어갔고, 프랑스도 그에 뒤질세라 종미항중정책을 펼치고 있다.  

 

종미항중 제3집단은 역내 친미협조국들인데, 필리핀, 타이, 싱가폴이 여기에 속한다. 이 나라들은 자기의 군사기지를 미국군의 보급기지와 훈련기지로 개방한다. 

종미항중 제4집단은 역내 친미우호국들인데, 인디아, 인도네시아, 윁남, 말레이시아, 뉴질랜드가 여기에 속한다.  

 

지금 미국은 위에 열거한 4개 집단을 종미항중의 길로 내몰거나 끌어들이는 인태전략을 맹렬히 추진하는 중이다.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5월 20일부터 24일까지 한국과 일본을 순방한 것은 위에 열거한 4개 집단을 종미항중의 길로 내몰거나 끌어들이려는 공세적 행동이었다. 그는 이번 순방 중에 윤석열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인디아 총리, 앤서니 알바니즈(Anthony N. Albanese) 오스트레일리아 총리를 대면회담으로 각각 만났다. 

 

 

2. 한미련합군의 작전범위확대와 바이든의 무력개입의지표명

 

위에서 서술한 것처럼, 바이든 행정부가 대폭 수정한 새로운 인태전략은 중국을 주적으로 규정하고, 중국을 포위하고 고립시키며, 중국에 공격을 집중하는 반중국적대행동을 전략적 중심에 두었다. 바이든 행정부는 새로운 인태전략을 수립하는 것과 더불어 한미동맹의 성격도 전환시켜야 할 필요가 느꼈다. 그들이 생각한 한미동맹의 성격전환은 활동범위를 반조선적대행동에 한정시키지 않고 반중국적대행동으로 확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5월 21일 서울에서 발표한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한미동맹의 활동범위를 확장하려는 전략방침을 다음과 같은 문장에 담았다. “역내 평화와 번영의 핵심축인 한미동맹은 한반도를 넘어 성장했다. (The linchpin for peace and prosperity in the region, the Alliance has grown far beyond the Korean Peninsula.)

 

한미동맹은 전쟁이 끝나지 않은 정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체결한 군사동맹인데, 말로만 군사동맹이고, 실제로는 미국군에 대한 한국군의 군사종속이다. 따라서 바이든 행정부의 새로운 인태전략에 따라 한미동맹의 활동범위가 한반도 밖으로 확장되면, 그에 따라 한미련합군의 전쟁연습과 군사훈련의 범위도 한반도 밖으로 확장되는 것이 당연하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5월 21일 서울에서 발표한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한미련합군의 전쟁연습과 군사훈련의 범위를 확장하려는 새로운 전략방침을 다음과 같은 문장에 담았다. “두 지도자는 연합군사연습 및 훈련의 범위와 규모를 한반도 안에서와 그 주변에서 확대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하기로 합의하였다. (Both leaders agree to initiate discussions to expand the scope and scale of combined military exercises and training o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위에 인용한 두 문장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지금까지 주한미국군사령관은 한미련합군의 작전범위를 한반도를 둘러싼 동해, 서해, 남해로 한정했지만, 앞으로는 바이든 행정부의 새로운 인태전략에 따라 작전범위를 동해, 서해, 남해 밖으로 확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한미국군사령관이 한미련합군의 작전범위를 한반도 밖으로 확대하는 것은 작전범위가 동중국해로 확대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서, 주한미국군사령관은 한국군을 대만 인근 해역까지 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문제와 관련한 미국의 견해와 입장을 이번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두 대통령은 인디아양-태평양영역에서 안보와 번영의 핵심적인 요소인 대만해협에서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The two Presidents reiterate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peace and stability in the Taiwan Strait as an essential element in security and prosperity in the Indo-Pacific region.)” 

 

바이든 행정부의 새로운 인태전략에 ‘폭탄뇌관’처럼 매우 위태롭게 들어박힌 것은 대만문제를 놓고 날로 격화되는 중국과 미국의 대립이다. 여기서 말하는 대만문제라는 것은 대만해방전쟁을 수행하려는 중국의 의지를 의미한다. 지난해 나는 중국이 올해 상반기에 대만해방전쟁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었는데, 지난 2월 24일 로씨야가 노보로씨야해방전쟁을 시작하는 바람에 중국의 대만해방전쟁시기가 뒤로 늦춰진 것으로 보인다. 만일 미국이 로씨야의 노보로씨야해방전쟁에 무력개입을 감행하여 로미전쟁이 일어났다면, 중국은 100년에 한 번 올까말까 하는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않고 대만해방전쟁을 즉각 단행했을 것이다. 그러나 노보로씨야해방전쟁이 로미전쟁으로 확전되는 것을 바라지 않은 로씨야는 고강도 전면전을 피하고, 작전력량의 10분의 1만 사용하는 저강도 제한전을 벌였다. 그렇게 되자 미국의 군사력이 유럽과 동아시아로 분산되지 않았고, 따라서 중국은 대만해방전쟁시기를 뒤로 연기했다. 한 마디로 말하면, 노보로씨야해방전쟁이 임박한 대만해방전쟁을 연기시킨 것이다. 

 

이런 내막을 간파한 미국은 중국의 대만해방전쟁의지를 억제하려는 행동에 나섰다. 미국의 그런 억제속셈은 2022년 5월 23일 일본 도꾜에서 진행된 미일정상회담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바이든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일본-미국 지도자들의 공동성명: 자유롭고 개방적인 국제질서를 강화하여’라는 제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는데, 대만문제에 대한 미국의 반중국적대전략과 그것을 추종하는 일본의 견해가 공동성명에 다음과 같이 서술되었다. 

 

"기시다 총리와 바이든 대통령은 대만이 바뀌지 않는 것에 대한 자기들의 기본견해를 표명했으며, 국제사회의 안전과 번영에 긴요한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들은 양안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권장했다. (Prime Minister Kishida and President Biden stated that their basic positions on Taiwan remain unchanged, and reiterated the importance of peace and stability across the Taiwan Strait as an indispensable element in security and prosperit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y encouraged the peaceful resolution of cross-Strait issues.) 

 

대만이 바뀌지 않고 현재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를 바라고, 대만문제가 평화적으로 해결되기를 바란다는 그들의 견해는 중국의 대만해방전쟁의지를 억제하겠다는 의사를 외교용어에 담아 나렬한 것에 불과하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에 미일정상회담 직후 진행된 공동기자회견에서 대만문제와 관련하여 취재기자와 질의응답을 하는 도중에 갑자기 외교용어를 나렬하던 관행을 접더니 직설적인 언어로 무력개입의지를 드러냈다. 그로써 중국은 크게 자극을 받았고, 전 세계는 경악했다. 중국을 자극하고, 전 세계를 경악시킨 바이든 대통령의 무력개입의지표명을 원문대로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취재기자 - “대만을 방어하기 위해 미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해야 할 때가 오면, 그렇게 하려는가?”

바이든 - “그렇다.” 

취재기자 - “당신은...”

바이든 - “우리는 하나의 중국 정책에 찬동한다. 우리는 그 정책으로부터 나온 모든 후속합의들에 서명했다. 그러나 힘으로 어째보려는 (중국의) 생각은 적절치 않다. 그것은 (인태)영역 전체를 뒤죽박죽으로 만들 것이고,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난 것과 유사한 또 다른 행동으로 될 것이다. 아니, 그보다 더 심한 부담으로 된다.”

 

 

3. 인태사령부가 수립하고 있는 새로운 작전계획

 

2021년 4월 16일 바이든 대통령은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당시 일본 총리를 백악관으로 불러 정상회담을 진행한 후 공동성명을 발표하였는데, 거기에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이라는 문구가 들어갔다. 이 문구는 미국이 일본과 함께 중국의 대만해방전쟁의지를 억제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로써 당시 미일정상회담이 중국을 크게 자극한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여기까지는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그런데 2021년 12월 23일 일본 <교도통신>이 세상에 드러나지 않은 사실을 공개했다. 보도에 따르면, 2021년 4월 미일정상회담에서 대만문제를 논의한 것을 계기로 미일동맹군의 새로운 작전계획이 수립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새로운 작전계획은 중국이 대만해방전쟁을 시작하면 대만을 ‘방어’하기 위해 미국군이 일본자위대와 함께 중국인민해방군을 협공하는 작전계획을 의미한다. 위에 인용한 <교도통신> 보도를 통해 드러난 더욱 놀라운 사실은, 2021년 12월 주일미국군과 일본자위대가 새로운 작전계획초안에 의거한 합동군사훈련을 일본에서 진행했다는 것이다. <교도통신> 보도기사만 읽어봐서는 구체적인 정황을 알 수 없으므로, 좀 더 정확하게 살펴보자.

 

1) 2021년 1월 20일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했다. 

2) 2021년 4월 16일 바이든 대통령과 스가 당시 일본 총리가 공동성명에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이라는 문구를 넣었다.

3) 2021년 6월 1일부터 3일까지 미국군 인태사령관 존 아퀼리노(John C. Aquilino)가 도꾜와 서울을 차례로 순방했다. 

4) 2021년 11월 인태사령부가 미일동맹군이 사용할 새로운 작전계획초안을 완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5) 2021년 11월 일본자위대 통합막료장 야마자끼 꼬지(山崎幸二)가 새로운 작전계획초안에 서명한 것으로 추정된다.

6) 2021년 12월 주일미국군사령관 케빈 슈나이더(Kevin B. Schneider)의 지휘통제 밑에 미일동맹군이 새로운 작전계획초안에 의거한 합동군사훈련을 실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스가 요시히데 당시 일본 총리를 백악관으로 불러 정상회담을 진행하면서 미일동맹군의 반중국무력행사를 거론한 직후, 문재인 당시 대통령을 백악관으로 불러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2021년 5월 19일 바이든 대통령과 문재인 당시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진행한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 “대만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문구를 넣었다. 

 

2021년 4월 16일 바이든-스가 정상회담에서 미일동맹군의 반중국무력행사를 거론한 이후 미국군 인태사령부가 중국과의 전쟁을 상정한 새로운 작전계획초안을 작성하였으므로, 2021년 5월 19일 바이든-문재인 정상회담에서도 한미련합군의 반중국무력행사를 거론한 것으로 생각되고, 그 이후 미국군 인태사령부가 중국과의 전쟁을 상정한 새로운 작전계획초안을 작성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 진행상황을 추적해보자.   

 

2021년 12월 2일 로이드 오스틴(Lloyd J. Austin) 미국 국방장관과 서욱 당시 한국 국방장관이 참석한 제53차 안보협의회(SCM)에서 서욱 국방장관은 오스틴 국방장관 명의로 작성된 새로운 전략기획지침(SPG)문서에 서명했다. 절차에 따르면, 미국 국방장관은 새로운 작전계획을 작성하는데 필요한 지침을 인태사령관에게 내려보내는데, 그것이 바로 전략기획지침이다. 전략기획지침에는 새로운 작전계획을 몇 년 몇 월까지 수립해야 한다는 작성완료기한이 명시된다. 

 

관례에 따르면, 미국 국방장관의 전략기획지침을 받은 인태사령관은 그 지침을 의거하여 전략기획지시(SPD)문서를 작성한다. 미국군 인태사령관 존 아퀼리노는 전략기획지침에 의거하여 한미련합군의 새로운 작전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전략기획지시문서를 작성했다. 2022년 3월 31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마크 밀리(Mark A. Milley) 미국군 합참의장은 원인철 한국군 합참의장과 야마자끼 꼬지 일본자위대 통합막료장을 하와이에 있는 인태사령부로 불러 3자 군사회담을 진행하였는데, 그 기회에 원인철 합참의장은 전략기획지시문서에 서명했다고 한다. 

 

2022년 3월 31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한국군 합참본부 관계자는 “(원인철 합참의장이 전략기획지시문서에 서명한 이후에도) 작계작성을 담당하는 부서에서부터 분야별로 작성돼 단시간에 이뤄지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한다. 그의 부정확한 발언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면, 2022년 3월 31일 원인철 합참의장이 인태사령관 명의로 작성된 전략기획지시문서에 서명한 이후, 인태사령부가 각 분야별로 새로운 작전계획을 수립하는 중인데, 그들의 새로운 작전계획 수립은 짧은 기간에 끝나지 않을 것이므로, 한국군 합참본부는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한국군 합참본부는 독자적인 작전계획을 수립하지 못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미국군 인태사령부와 함께 공동작전계획을 수립하지도 못하기 때문에, 인태사령부가 작전계획을 수립해주기까지 멍하니 기다렸다가 한국군 합참의장이 인태사령부를 찾아가 작전계획문서에 서명해야 한다. 작전계획을 수립하지 못하는 한국군 합참본부는 작전통제권을 행사하고 싶어도 행사할 수 없다. 이런 내막을 살펴보면, 한국군은 미국군에 의존하는 게 아니라, 미국군에 완전히 종속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이처럼 군사주권을 상실하고 완전히 종속된 군대가 한국군 이외에 이 세상에 더 있을까! 

 

인태사령관 명의로 작성되었고, 한국군 합참의장이 서명한 전략기획지시문서는 바이든 행정부의 새로운 인태전략에 따라 인태사령부가 중국과의 전쟁을 상정한 새로운 작전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군사전략문서다. 지금 인태사령부는 인태사령관의 전략기획지시에 의거하여 한미련합군이 사용할 새로운 작전계획을 수립하는 중이다. 

 

새로운 작전계획은 한미련합군의 작전범위가 동중국해와 대만 인근 해역까지 확대된 작전계획이며, 중국의 대만해방전쟁의지를 억제하는 작전계획이며, 만일 중국의 대만해방전쟁이 시작되는 경우 한미련합군이 미일동맹군과 함께 중국인민해방군을 협공하여 대만을 ‘방어’해주는 전쟁계획이다. 

 

 

4. 윤석열 정권의 종미항중전략은 자멸지옥도

 

2021년 12월 2일 서욱 당시 국방장관은 미국 국방장관 명의로 작성된 전략기획지침문서에 서명한 직후, 한국 국방부 관계자는 취재기자에게 새로운 작전계획을 수립할 것인지 아니면 기존 작전계획을 수정, 보완할 것인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지만, 새로운 작전계획을 수립할 것인지 아니면 기존 작전계획을 수정, 보완할 것인지는 인태사령부가 결정하는 것이므로, 한국 국방부는 그 문제에 관해 알지 못한다. 

 

그런데 인태사령부가 미일동맹군이 사용해오던 기존 작전계획을 폐기하고, 새로운 작전계획을 수립한 것을 보면, 한미련합군이 사용해오던 기존 작전계획도 폐기되고, 새로운 작전계획이 수립될 것으로 보인다. 원래 미일동맹군의 기존 작전계획과 한미련합군의 기존 작전계획은 중국의 대만해방전쟁이 일어나는 급변사태에 대비하여 수립된 것이 아니므로, 중국의 대만해방전쟁이 임박하였음을 보여주는 징후들이 나타나고 있는 오늘, 인태사령부는 기존 작전계획들을 폐기하고 새로운 작전계획을 서둘러 수립하고 있는 것이다. 머지않아 인태사령부가 새로운 작전계획을 완성하면, 그때부터 한미련합군의 작전범위는 한반도 밖으로 확대될 것이며, 조선인민군을 공격하는 전쟁연습과 군사훈련만이 아니라, 중국인민해방군을 공격하는 전쟁연습과 군사훈련도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되면, 정세가 극도로 악화되면서 다음과 같은 엄청난 사태가 벌어질 것으로 예견된다. 

 

1) 바이든 행정부의 새로운 인태전략에 의거하여 미국은 중국을 주적으로 규정하고, 중국을 포위하고 고립시키며, 중국에 공격을 집중하는 반중국적대행위를 더욱 증대시키면서 중국을 극도로 자극할 것이다. 

 

2) 미국의 새로운 작전계획에 의거하여 미일동맹군은 중국인민해방군을 공격하는 전쟁연습과 군사훈련을 더욱 강화하면서 동아시아정세를 전쟁위험으로 끌어갈 것이다. 기시다 정권은 일본자위대가 전수방위원칙을 내던지고 이른바 ‘적 기지 타격능력’을 가져야 한다고 떠들어대면서, 전쟁도발의지를 고취하고 있다. 

 

3) 그런 긴박한 상황에서 중국인민해방군의 대만해방전쟁의지는 최고조에 이를 것이다. 미일동맹군 및 한미련합군과 중국인민해방군 사이에서 무력충돌위험이 고조되면, 그에 따라 조선인민군의 ‘남조선해방전쟁의지’도 고조될 것이다. 

 

4) 동아시아정세가 어떻게 바뀌든 무조건 종미항중의 길로 나아가는 윤석열 대통령은 미국의 새로운 인태전략을 모방한 짝퉁인태전략을 발표하여 중국을 자극할 것이다.    

 

5) 인태사령부가 새로운 작전계획을 완성하여 한미련합군의 작전범위를 한반도 밖으로 확대하면, 한미련합군은 중국인민해방군을 공격하는 전쟁연습과 군사훈련을 실시하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중국은 한국을 중립화시키려던 노력을 포기할 것이며, 극도로 자극을 받은 중국인민해방군은 한미련합군에 대한 보복군사행동에 나서게 될 것이다. 

 

2019년 5월 미국 국방부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인민해방군은 한미련합군과 미일동맹군을 조준한 단거리탄도미사일 750발, 준중거리탄도미사일 450발, 지상발사순항미사일 540발을 실전배치하였다고 한다. 한미련합군과 미일동맹군은 총 1,740발에 이르는 중국인민해방군 미사일의 사정권 안에 갇혀 있는 것이다. 전시에 그 중에서 절반인 870발이 한미련합군을 향해 날아올 것으로 예상된다. 거기에 더하여 전시에 조선인민군은 각종 미사일, 대구경 조종방사포, 대구경 장거리포 수 천 발을 한미련합군을 향해 발사할 것이다. 하늘을 새까맣게 뒤덮은 불우박 집중타격을 1시간 동안 받으면, 한미련합군은 살아남지 못한다. 지금 노보로씨야해방전쟁에서 작전력량의 10분의 1만 사용하는 로씨야군의 저강도 공격을 강 건너 불구경 하듯이 바라보는 한미련합군이 전시에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해방군의 공격도 그와 비슷할 것으로 생각한다면, 그보다 더 큰 오산은 없다.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해방군은 로시야의 노보로씨야해방전쟁에서 교훈을 얻은 것으로 생각된다. 노보로씨야해방전쟁이 저강도 제한전으로 지속되어 전쟁기간이 너무 길어지고 그에 따라 전쟁피해가 예상보다 커졌는데, 저강도 제한전으로 미국에 무력개입명분을 주지 않는 것보다 적의 급소에 순간충격을 가하는 초강도 찰나전쟁으로 신속하게 전쟁을 결속하여 미국이 무력개입을 감행할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는 것이 몇 백 배 더 유리하다는 교훈이다.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해방군은 개전시각에 적의 급소에 순간충격을 가하는 초강도 찰나전쟁을 수행할 작전계획과 타격수단을 준비했다. 어떤 작전계획과 타격수단을 준비했는지는 외부에서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이를테면 고출력-고주파폭탄(High-Powered Microwave Bomb)도 있고, 저위력 전술핵탄두(Low-yield Tactical Nuclear Warhead)도 있으며, 외부에 알려지지 않은 비밀병기들도 있다.

 

김정은 총비서는 ‘남조선해방전쟁’을 1시간 안에 신속하게 결속하여 전쟁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술핵탄두를 사용하는 외과절제수술식 초정밀타격이 준비되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밝혔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도 전시에 대만해방전쟁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시에 전술핵탄두를 사용하는 외과절제수술식 초정밀타격으로 1시간 안에 신속하게 전쟁을 결속할 것이다. 이런 사정을 생각하면, 윤석열 정권이 미국이 말하는 확장억제력만 믿고, 종미항중의 길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것은 자멸을 불러올 것으로 우려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보수의 심장' 속 민주당 여성 후보…"국민의 눈높이에 시선 맞추기"

[인터뷰]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경북도지사 후보

서어리 기자  |  기사입력 2022.05.28. 10:45:57 최종수정 2022.05.28. 13:03:42

 

험지 중 험지, 기울어진 운동장. 더불어민주당에는 대구·경북 지역이 딱 그렇다.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선거판에, 이번 6.1 지방선거는 새 정부 출범 불과 한 달도 안 돼 치러지는 선거라는 더 큰 악조건이 붙었다. 여기까지만 해도 충분히 고전이 예상되는데, 심지어 보수적인 경북 지역에 남성이 아닌 여성 후보로 출마했다면?

임미애 민주당 경북도지사 후보는 이런 겹겹의 난관 속에서도 꿋꿋하게 자기 선거를 치르고 있다. 선거 상황이 어려울수록 중앙당의 도움이 절실하지만, 중앙당은 임 후보를 전략공천한 후 그것으로 자신의 임무를 끝마쳤다는 듯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 배우자인 김현권 전 의원(20대 국회, 더불어민주당)과, "나와 줘서 고맙다"고 말하는 도민이 그에게 가장 든든한 지원군이다.

임 후보는 지난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 시절 문재인 대표 체제 하에서 혁신위원회 위원 겸 대변인을 맡기도 했다. 그는 자신이 1987년 이화여대 총학생회장을 지낸 '86세대'이면서도 혁신위 활동 당시 "86세대는 아직도 1987년의 지나간 잔칫상 앞에 서성이고 있는 듯하다"는 글을 올려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는 2022년 판 '혁신 논쟁'이 몰아치고 있는 지금의 민주당을 향해 또다시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그는 "잘못이 있다면 사과해야 한다"며 "국민의 눈높이에 시선을 맞추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압도적 다수 의석을 차지한 민주당이 먼저 자신의 살을 도려내는 정치개혁에 진정성을 보이고 선거제도부터 고쳤다면 검찰개혁, 언론개혁이 지금처럼 외면당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그는 지적했다. 

서울에서 나고 자란 임 후보는 대학 졸업 후 남편인 김 전 의원을 따라 경북 의성에 정착했다. 이곳에서 농사 짓고 소 키운 지 30년, 그간 임 후보는 두 차례의 군의원, 도의원을 두루 거치며 명실상부한 경북 지역 정치인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민주당 정치인 중에 저처럼 경북 문제를 가장 잘 아는 정치인은 없을 것"이라고 호언장담한다. 당이 경북도지사 후보로 그를 선택한 것은 여의도 정치인의 시선으로 보면 '깜짝 공천'이지만, 알고 보면 '그럴 만한' 공천이었던 것이다.

임 후보는 "이철우 국민의힘 후보는 정치하러 경북에 왔지만, 나는 경북에서 30년 간 농사 짓고 소 키우고 자식 키웠다"며 경북 지역에 대한 애착을 여러 차례 드러냈다. 김부겸 전 총리, 홍의락 전 의원이 정치 일선에서 물러난 지금, 대구·경북을 대표하는 차기 민주당 정치인은 자신이 될 것이라는 포부를 드러내기도 했다. 

다음은 지난 27일 임 후보와 서면으로 진행한 인터뷰 전문이다. 

 
 
 
"민주, 선거제도부터 고쳤으면 검찰‧언론개혁 외면 안 당했을 것"

 

프레시안 : 귀농 후 줄곧 경북에서 민주당 정치인으로서 활동해왔는데,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이었는가?

임미애 : 중앙당이 지역에 전혀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프레시안 : 중앙당, 중앙 정치에 바라는 점이 무엇인가. 

임미애 : 국회에서 민주당 '국민통합, 정치교체 추진위원회'가 발족했다. (그런데도) 경북도의원 선거 55곳 중에 17곳(31%)이 무투표 선거구다. 예견된 일이고 과거에도 있었던 일인데 방치했다. 책임은 고스란히 정치가 져야 한다. 입법권을 장악하고 있는 민주당이 반성할 일이다. 

프레시안 : 최근 당 지지율 하락의 근본 요인이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임미애 : 유권자들은 정치가 온전히 국민을 바라보길 간절히 기다리고 있다. 만일 21대 국회에서 압도적 다수 의석을 차지한 민주당이 먼저 자신의 살을 도려내는 정치개혁에 진정성을 보이고 선거제도부터 고쳤다면 검찰개혁, 언론개혁이 지금처럼 외면당하지 않았을 것이다. 국민의 눈높이에 시선을 맞추어야 한다. 

프레시안 : 과거 혁신위 활동을 하신 경험을 토대로, 박지현 비대위원장이 당 쇄신안 발표를 예고했는데 쇄신안에 어떤 내용이 담겨야 한다고 보나. 

임미애 : 잘못이 있다면 사과해야 한다. 80년대 민주당에는 힘들고 어려운 사람들이 찾아오는 곳이었다. 김대중 당시 민주당 총재는 당사에 찾아와 농성하는 이들과도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당이 역할을 할 방안을 찾았다. 그러나 지금은 국회의원 중심으로 당이 돌아가고 있다. 일상적인 당 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당을 운영해야 한다.

프레시안 : 정치에서의 혁신, 개혁, 쇄신은 어떤 것이라 생각하는가. 또 십수 년 간 민주당 개혁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임미애 : 민주당은 개혁에 때론 실패했고, 때론 성공하기도 했다. 민주당이 추구하는 가치를 믿기 때문에 당이 쇄신에 성공하리라 믿는다. 

"이철우는 정치하러 왔지만 나는 경북서 30년간 농사 짓고 소 키워" 

프레시안 : 경북도지사 후보로 전략 공천된 배경이 무엇이라고 자평하는가. 공천 당시 당 지도부로부터 어떤 주문이 있었는지도 궁금하다. 

임미애 : 아마 민주당 정치인 중에 저처럼 경북 문제를 가장 잘 아는 정치인은 없을 것이다. 이철우 후보의 지난 4년 도정이 무엇이 부족하고 무엇이 잘못됐는지,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것이 뭔지, 가장 잘 아는 정치인이기 때문이다.

프레시안 : 중앙당으로부터 현재 선거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지. 

임미애 : 출마 결정이 늦어지면서 중앙당 지원도 조금 늦었다. 중앙당 당직자 중에서도 경북에서 민주당의 성장을 바라는 이들이 최선을 다해 지원을 하고 있다. 

프레시안 : 도지사 선거 준비는 다른 광역의원 선거 때와는 확연히 다를 텐데, 어떤 어려움이 있었는가.

임미애 : 도정 고민은 늘 하고 있었다. 이철우 후보가 4년 전 도지사로 취임했다면 저는 4년 전 도의원 임기를 시작했다. 경상북도가 처한 현재가 어떤지, 무엇이 부족한지, 미래를 위해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늘 고민하고 있었다.

프레시안 : 상대 후보인 이철우 현 도지사의 도정에 대한 평가를 한다면? 

임미애 : 두 가지 사례만 들어도 그간 4년이 어떻게 진행됐는지를 알 수가 있다. 통합 신공항 이전 문제와 대구·경북 행정통합 문제다. 이 두 사례를 비춰서 보면 갈등을 조정하는 능력은 '빵점'이고, 협상 능력은 정말 '제로'에 가깝다고 할 만큼 무능한 모습을 보였다. 

또 대구·경북 행정통합 문제를 둘러싸고 허송세월하는 동안에 부울경에서는 '부울경 특별자치연합'을 구상하고 있다. 행정통합 문제로 허비하는 동안에 미래 이슈를 뺏기기도 하고, 이런 걸로 봐서 저는 안목의 부재라고 평가할 수 있다. 선거 결과는 투표 전까지 알 수 없지만, 도민들이 이철우 도정 4년에 대한 평가를 해주시리라 믿는다.

프레시안 : 지금까지 치른 세 번의 선거(군의원·도의원) 모두 승리했다. 승리 요인을 무엇이라고 보는지.

임미애 : 의성군이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곳이 아니었다. 민주당을 잘 몰라도 임미애가 어떻게 살아왔는지는 잘 알아주신 것 같다. 이웃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생활 정치 덕분이었다. 늘 의성군민들께 감사한 마음이다.

프레시안 : 상대 후보에 비해 강점이 있다면? 

임미애 : 이철우 후보가 정치하러 경북에 왔다면 저는 경북에서 30년 동안 농사 짓고, 소 키우고, 아이들 키우며 살았다. 도민들이 불편한 게 무엇인지, 도민 삶의 질을 높이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몸으로 겪으면서 알고 있다는 점이다.

ⓒ임미애 선거캠프

"중앙정부, 정당 번갈아 당선되는 지역에 더 투자한다" 

프레시안 : 야당 후보이기 때문에 당선이 되어도 중앙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는데, 이러한 문제는 어떻게 풀어갈 계획인가. 

임미애 : 과거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절 경북에 지원이 획기적으로 늘어났나. 아니다. 압도적으로 지지를 해주는 지역일수록 다른 지역에 양보하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이철우 후보가 문재인 정부 시절 야당 도지사임에도 예산 10조 원 시대를 열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맞다. 민주당 소속 경북도지사가 최초로 당선된다면 중앙정부는 경북에 더 신경 쓸 것이다. 부산, 울산, 경남, 충청 지역을 보시라. 중앙정부는 지방정부 수장의 소속 정당이 번갈아 당선되는 지역에 더 신경을 쏟고 투자를 해왔다. 경북도 마찬가지다. 

프레시안 : 유세 현장 분위기가 궁금하다. 유권자들의 반응이 어떠한가. 

임미애 : "나와 줘서 고맙다"고들 하신다. 오만하고 무능한 지역 정치지도자의 실정을 혼내고 싶었다고 하신다. 이제 임미애가 나왔으니 임미애한테 투표해 정신 번쩍 들도록 강력한 경고를 주겠다고 반가워한다. 선거 사무실로 편지를 보내오신 분, 후원금을 보내면서 고맙다는 분들을 많이 만난다. 

민주당 후보가 출마도 못 했고, 지지율도 낮은 군위군에 가서 지지한다는 분들을 만나서 너무 감사했다. 군수 선거가 국민의힘 후보 대 무소속으로 치러지는데, 그 갈등의 원인을 제공한 게 이철우 후보였다. 군위에서 민주당 임미애를 찍겠다는 분들을 만나는 경험이 놀라웠다. 

프레시안 : 경북도지사 후보 가운데 최초의 여성이다. 여성 도지사, 여성 정치인에 대한 경북 지역의 정서도 궁금하다.

임미애 : 반기는 분들이 많다. 민주당뿐만 아니라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한 여성 후보들이 고맙다고 했다. 경북 여성이 정치에 참여하기 주저하는 분위기가 조금이라도 있었다면, 그 분위기를 바꿀 수 있게 된 것이다.

프레시안 : 이번 선거에서 목표한 득표율이 있는가? 혹은 이번 선거를 통해 이루고 싶은 특별한 목표가 있는지.

임미애 : 도민 소득 전국 꼴찌, 끝없는 경북의 추락, 누구의 책임일까. 기업과 청년은 수도권으로 떠나고, 빈집은 늘어만 간다. 광역자치단체 중 소멸 고위험군으로 경북에만 8곳이 있다. 지방소멸은 암울한 미래상이 아니라 지금 닥친 경북의 현실이다. 추락과 쇠퇴의 27년 동안 경북도정은 한 정당이 독점해왔다. 정치독점에 대한 심판이다. 도민 삶의 질을 높이고, 산업 전환에 대비하는 비전 제시가 목표다. 

프레시안 : 정부가 탈원전 백지화를 선언하면서 사실상 신한울 1호기가 재가동 수순에 들어갔다.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이 있을지. 

임미애 : 한수원이 신한울 1호기 원자로를 가동하고 발전과 상업 운전 일정까지 예고했다. 그런데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요구한 성능과 안전성에 대한 최종 보고서가 제출되지 않았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도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판단해야 한다. 경북도지사에 당선된다면 도민 안전을 위한 정보 공개가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겠다.

프레시안 : 그 외 상대 후보와 가장 차별화된 공약을 소개해달라. 

임미애 : 할랄푸드 인증기관 유치, 농어촌 기본소득, 북부권에 경북의료원 설립이 있다. 농업은 철강이나 자동차, 반도체, 조선을 다 합친 것보다 크다. 이런 중요성에 비해 우리는 농업을 내버려 두고 있다. 경북에 '할랄 푸드 인증기관'을 유치해 세계 할랄 푸드 시장을 선점, 경북 농산물 수출 기반을 다지겠다. 

특히 할랄 문화권에는 K-뷰티가 각광받고 있다. 경산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 뷰티 산업을 더욱 육성해 식품 산업과 함께 세계 시장을 개척하겠다. 도민들의 삶에 집중하지 않으면 지방 소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경북은 치료 가능 사망률도 굉장히 높다. 경북 의료원을 설립해 공공의료 체계를 구축, 치료 가능 사망률을 낮추는 데 관심이 있다. 난임 부부 지원 사업도 확대하겠다. 경북 출생아 수의 10%가 난임 부부 지원 사업을 통해 태어난 아이들이다. 이는 단순히 인구 증가 문제가 아닌 한 가정의 삶의 만족도와 직결된다. 

프레시안 : 당선된다면 어떤 도지사로 기억되고 싶은가. 

임미애 : 도지사는 23개 시군에 명령하는 사람이 아니다. 갈등을 키우고 명령하는 도지사에서 소통하는 도지사로 기억되고 싶다. 도내 산불이 날 때 만찬을 하고 있다가 비판을 받아도, 행정통합을 3년 동안 밀어붙이다가 실패했는데도 사과 한 마디 안 하는 도지사가 아니라, 잘못하면 사과드리고 이야기를 듣는 도지사가 되고 싶다.

프레시안 : 만약 낙선한다면 다음 계획은 무엇인가. 

임미애 : 낙선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 도민들을 믿는다. 

프레시안 : 마지막으로, '정치인 임미애'의 목표는 무엇인가? 임 후보의 궁극적 지향점이 무엇인지 궁금하다.

임미애 : 정치는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갈등이 있다면 중재하는 게 그 목표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성이 중요하다. 더불어민주당이 경북에서 더 단단히 뿌리를 내려야 경북 발전에 도움이 된다. 김부겸 전 총리, 홍의락 전 의원도 정치에서 물러났다. 대구·경북을 대표하는 정치인도 세대교체가 이뤄지기 시작한 것이다. 민주당 정치인들의 든든한 울타리가 되고 싶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미일 외교, “안보리 결의 채택 못해 깊은 유감”

이례적 공동성명, ‘3국간 안보 협력 진전’ 의지 표명(전문)

  • 기자명 김치관 기자 
  •  
  •  입력 2022.05.28 13:55
  •  
  •  수정 2022.05.28 14:00
  •  
  •  댓글 0
 
박진 외교장관은 28일 안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대신과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박진 외교장관은 28일 안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대신과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우리 정부와 미국 등이 추진한 새로운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가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채택되지 못한 가운데 한‧미‧일 3국 외교장관은 28일 이례적으로 공동성명을 발표,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의례적인 대화와 협상도 언급했다.

외교부는 28일 박진 외교장관과 안토니 블링컨(Antony J. Blinken) 미국 국무장관,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일본 외무대신의 공동성명 영문본과 비공식번역 국문본을 배포했다.

이들은 공동성명에서 “13개 안보리 이사국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노골적이고 반복적인 안보리 결의 위반에 대응한 결의를 채택하지 못한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면서 “우리는 북한이 불법적인 행동을 중단하고 그 대신 대화에 나올 것을 촉구하기 위한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더욱 강화한다는 공약을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6일 오후(뉴욕시간) 신규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표결에 나섰지만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거부권(veto)을 행사해 무산됐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6일 오후(뉴욕시간) 신규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표결에 나섰지만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거부권(veto)을 행사해 무산됐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26일 오후(뉴욕시간) 신규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을 두고 표결을 강행해 15개 이사국 중 13개국이 찬성했고,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는 이를 반대해 거부권(veto)을 행사해 채택이 무산됐다.

한‧미‧일 외교장관은 “탄도 미사일 발사는 다수 유엔 안보리 결의의 위반이며, 지역 및 국제사회에 중대한 위협을 야기하였다”며 “우리는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상의 의무를 준수할 것과, 국제법을 위반하고 긴장을 고조시키며 역내 불안정을 야기하고 모든 국가의 평화와 안보를 위협에 빠트리는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북한은 올해 들어서만 10여 차례 탄도미사일 발사 등의 군사행동에 나섰고 특히 지난 3월 24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발사에 이어 지난 25일 다시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들은 북한의 핵 실험과 ICBM 발사 등을 금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모든 발사’를 금지하고 있다.

이들은 “3국간 안보 협력을 진전시켜 나가기 위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천명하고 “미국은 확장 억제를 포함한 한국과 일본에 대한 확고한 방위 공약을 재확인하였다”고 전했다. 아울러 “우리는 납치자 문제의 신속한 해결의 중요성을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북한의 군사행동에 한미일 3국 안보 협력 진전으로 응수한 셈이다. 북한은 지난 25일 ICBM 1발 발사 외에도 중.단거리 탄도미사일도 함께 발사해 한‧미‧일을 고루 겨냥했다는 해석을 낳기도 했다.

한편, 일본은 북한의 일본인 납치자 문제의 해결을 북핵(북한) 문제와 연계시켜왔다. 그러면서도 일본군성노예(‘위안부’) 문제나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서는 부인하는 모순된 태도를 취하고 있다.

한‧미‧일 외교장관은 “진지하고 지속적인 대화를 향한 길이 여전히 열려있음을 강조하며, 북한이 협상으로 복귀할 것을 촉구한다”는 기존입장을 반복하면서도 구체적인 대화와 협상을 재개할 방법론은 제시하지 못 했다.

다만, “우리는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인해 북한 주민들이 겪고 있는 심각한 고난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고, 북한이 국제사회의 지원 제의에 긍정적으로 호응하기를 기대한다”고만 밝혔다. 북한은 코로나19 방역과 관련, 우리 정부와 미국, 일본에게 지원을 요청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한미일 외교장관 공동성명(영문본, 비공식번역본 전문)

Joint Statement by Secretary of State Antony J. Blinken, Japanese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Hayashi Yoshimasa, and Republic of Korea Minister of Foreign Affairs Park Jin

The United States, the Republic of Korea (ROK), and Japan strongly condemn recent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ballistic missile launches, commit to strengthen trilateral cooperation towards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full implementation of relevant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UNSC) resolutions, and underscore continued openness to meeting with the DPRK without preconditions.

The United States, the ROK, and Japan express deep concern about the May 25 DPRK launches of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and shorter-range ballistic missiles. The DPRK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ace and scale of its ballistic missile launches since September 2021. Each of these launches violated multiple UNSC resolutions and posed a grave threat to the regio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 urge the DPRK to abide by its obligations under UNSC resolutions and immediately cease actions that violate international law, escalate tensions, destabilize the region, and endanger the peace and security of all nations.

In response to the DPRK’s unlawful and destabilizing actions, our nations executed coordinated U.S.-ROK and U.S.-Japan exercises, demonstrating our shared, unequivocal commitment to regional security and stability. These launch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further strengthening the U.S.-ROK and U.S.-Japan alliances to ensure peace, security, and prosperity in the Indo-Pacific region. Our nations are also committed to advance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The United States reaffirms its steadfast commitments to the defense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including extended deterrence.

In spite of 13 Security Council members’ support, we deeply regret that the UNSC failed to adopt a resolution in response to the DPRK’s blatant and repeated violations of UNSC resolutions. We reaffirm our commitment to further strengthen our coordin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urge the DPRK to cease its unlawful activities and instead engage in dialogue.

We stress that a path to serious and sustained dialogue remains open and urge the DPRK to return to negotiations.

We express our deep concern at the grave hardship the people in the DPRK are experiencing, including due to the ongoing outbreak of COVID-19, and hope the DPRK will respond positively to international offers of assistance.
We also reaffirm the importance of achieving a swift resolution to the abductions issue.


[비공식 번역본] 한미일 외교장관 공동성명

한미일은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들을 강력히 규탄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들의 완전한 이행을 향한 3자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약속하며, 전제 조건 없이 북한과 만나는 데 대해 지속적으로 열린 입장임을 강조한다.
한미일은 5.25. 북한이 ICBM 1발 및 더 짧은 사거리의 탄도미사일들을 발사한 데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 북한은 2021년 9월 이래 탄도미사일 발사 빈도와 규모를 크게 증가시켜왔다. 이러한 탄도 미사일 발사는 다수 유엔 안보리 결의의 위반이며, 지역 및 국제사회에 중대한 위협을 야기하였다. 우리는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상의 의무를 준수할 것과, 국제법을 위반하고 긴장을 고조시키며 역내 불안정을 야기하고 모든 국가의 평화와 안보를 위협에 빠트리는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

북한의 불법적이고 불안정을 야기하는 행동에 대응하여, 역내 안보와 안정에 대한 공동의 분명한 의지를 시현하는 조율된 한미 및 미일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탄도미사일 발사는 인도 태평양 지역의 평화, 안보 및 번영을 보장하기 위하여 한미 및 미일 동맹을 더욱 강화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우리는 또한 3국간 안보 협력을 진전시켜 나가기 위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 미국은 확장 억제를 포함한 한국과 일본에 대한 확고한 방위 공약을 재확인하였다.

13개 안보리 이사국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노골적이고 반복적인 안보리 결의 위반에 대응한 결의를 채택하지 못한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우리는 북한이 불법적인 행동을 중단하고 그 대신 대화에 나올 것을 촉구하기 위한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더욱 강화한다는 공약을 재확인한다.

우리는 진지하고 지속적인 대화를 향한 길이 여전히 열려있음을 강조하며, 북한이 협상으로 복귀할 것을 촉구한다.

우리는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인해 북한 주민들이 겪고 있는 심각한 고난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고, 북한이 국제사회의 지원 제의에 긍정적으로 호응하기를 기대한다.
또한, 우리는 납치자 문제의 신속한 해결의 중요성을 재확인한다. 끝.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국영화, 세계의 중심에 서다…칸 감독상·남자배우상 2관왕

  • 분류
    아하~
  • 등록일
    2022/05/29 08:45
  • 수정일
    2022/05/29 08:45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등록 :2022-05-29 06:27수정 :2022-05-29 07:35

‘헤어질 결심’ 박찬욱 감독상
‘브로커’ 송강호 최우수남자배우상
28일(현지시각) 프랑스 칸 뤼미에르 대극장에서 열린 제75회 칸국제영화제 시상식에서 최우수남자배우상을 받은 송강호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칸 공식 인스타그램
28일(현지시각) 프랑스 칸 뤼미에르 대극장에서 열린 제75회 칸국제영화제 시상식에서 최우수남자배우상을 받은 송강호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칸 공식 인스타그램

한국 영화, 세계영화계의 주류임을 입증하다.

 

제 75회 칸국제영화제에서 한국 영화가 감독상과 최우수남자배우상을 동시에 받았다. 세계 최고 권위의 영화제가 한국 영화의 작품성과 예술성을 인정한 쾌거라 할 만하다. 경쟁 부문에 진출한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과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브로커> 두 한국 영화가 모두 수상을 했다는 점에서, 2019년 <기생충>의 칸 황금종려상 수상에 이어 한국 영화는 또 한번 새 역사를 썼다.

 

28일 저녁(현지시각), 프랑스 칸 뤼미에르 대극장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먼저 터져나온 낭보는 송강호의 최우수남자배우상 수상이었다. 한국 남자 배우가 세계 3대 영화제(칸·베를린·베네치아영화제)에서 연기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송강호의 수상 소식이 전해지자, 프레스센터에서 한국 기자들을 중심으로 박수가 터져나오기도 했다.

 

자신의 이름이 호명되자 송강호는 옆자리의 고레에다 감독, 강동원과 포옹을 나눈 뒤 감격스런 표정으로 시상대에 올랐다. 송강호는 불어로 “메르시 보꾸(대단히 감사합니다)”라고 인사한 뒤 “너무너무 감사하고, 영광스럽다. 위대한 예술가 고레에다 감독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했다. 이어 “(함께 출연한) 강동원, 이지은, 이주영, 배두나씨에게 깊은 감사와 이 영광 나누고 싶다”며 “같이 온 사랑하는 가족에게 큰 선물이 된 것 같다. 이 트로피의 영광을, 영원한 사랑을 바친다”고 덧붙였다. 송강호는 고레에다 감독의 경쟁 부문 진출작 <브로커>에서 불법 입양 브로커이지만 선의를 가진 인물로 묘사되는 상현 역으로 인상적인 연기를 펼쳤다. <브로커>는 가족의 범주를 확장해온 거장 고레에다 감독이 만들어낸 순하고도 착한 로드무비다.

 

28일(현지시각) 프랑스 칸 뤼미에르 대극장에서 열린 제75회 칸국제영화제 시상식에서 박찬욱 감독이 감독상을 수상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칸 공식 인스타그램
28일(현지시각) 프랑스 칸 뤼미에르 대극장에서 열린 제75회 칸국제영화제 시상식에서 박찬욱 감독이 감독상을 수상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칸 공식 인스타그램

한국 배우가 칸영화제에서 연기상을 받은 것은 <밀양>(2007)으로 최우수여자배우상을 탄 전도연에 이어 두 번째다. 아시아 배우가 칸영화제 최우수남자배우상을 받은 것은 <화양연화>(2000) 량차오웨이(양조위), <아무도 모른다>(2007) 야기라 유야에 이어 세 번째다. 송강호가 칸의 초청을 받은 것은 이번이 일곱 번째인 만큼 <브로커>의 초청 소식이 알려졌을 때부터 최우수남자배우상 수상 가능성이 점쳐졌다.

 

한국 영화계의 경사는 이뿐만이 아니었다. 송강호 수상에 이어 감독상 수상자로 박찬욱이 호명됐다. 박 감독은 박해일과 포옹을 나눈 뒤 웃는 얼굴로 시상대에 올랐다. 그는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온 인류가 국경을 높이 올릴 때도 있었지만, 단일한 공포와 근심을 공유할 수 있었다”며 “영화와 극장에 손님이 끊어지는 시기가 있었지만, 그만큼 극장이라는 곳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우리 모두가 깨닫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이 역병을 이겨낼 희망과 힘을 가진 것처럼 우리 영화도, 우리 영화인들도 영화관을 지키면서 영화를 영원히 지켜내리라고 믿는다”며 “이 영화를 만드는데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은 씨제이 이엔엠(CJ ENM)과 이미경 씨제이 부회장, 정서경 각본가를 비롯한 많은 크루들(제작진)에게 감사를 표한다”고 밝혔다. 또 “무엇보다도 박해일 그리고 탕웨이, 두 사람에게 보내는 저의 사랑은 뭐라 말로…(표현할 수 없다)”라며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고 했다.

 

박 감독의 신작 <헤어질 결심>은, 칸의 총애를 받아온 이 거장이 자신을 사로잡았던 영화 형식으로 만든 익숙하고도 새로운 러브스토리다. 고전 형사물의 드라마적 기법을 바탕으로 언어가 다른 두 사람의 내밀한 연정을 폭력과 섹스 같은 자극적 장면 없이 담백하게 그려냈다. 박해일과 탕웨이가 주연을 맡아 연기 호흡을 맞췄다.

 

2004년 영화 <올드보이>로 칸 경쟁 부문에 처음 진출한 박 감독은, 당시 2위에 해당하는 심사위원대상을 받았다. 이후 5년 만인 2009년 영화 <박쥐>로 다시 칸 경쟁 부문에 초청돼 심사위원상을 받았다. 2016년 영화 <아가씨>로 다시 칸 경쟁 부문을 찾았지만, 수상을 하지 못했다. 이어 이번 감독상 수상으로 세 번째 칸 트로피를 안았다.

 

한편, 칸영화제의 최고 영예인 황금종려상은 <슬픔의 삼각형>(TRIANGLE OF SADNESS)의 루벤 외스틀룬드 감독에게 돌아갔다. 심사위원대상(그랑프리)은 루카스 돈트 감독의 <클로즈>(CLOSE)와 클레어 드니 감독의 <스타스 앳 눈>(STARS AT NOON)이 공동 수상했다. 각본상은 타릭 살레 감독의 <보이 프롬 헤븐>(BOY FROM HEAVEN)에 돌아갔고, 최우수여자배우상은 <홀리 스파이더>의 자흐라 아미르 에브라가 수상했다. 심사위원상은 펠릭스 반 그뢰닝엔·샤를로트 반더미르히 감독의 <디 에이트 마운틴스>(THE EIGHT MOUNTAINS)와 제르지 스콜리모우스키 감독의 <이오>(EO)가 공동 수상했다. 황금종려상 수상 후보로 거론된 <토리와 로키타>의 다르덴 형제 감독은 75주년 특별상을 받았다. 단편 황금종려상은 지안잉 첸 감독의 <더 워터 머머스>(THE WATER MURMURS)가 받았고, 이정재 감독이 수상 후보로 거론되기도 한 황금카메라상은 라일리 키오·지나 가멜 감독의 <워 포니>(WAR PONY)가 받았다.

 

칸/오승훈 기자 vino@hani.co.kr

[화보] 2022 칸 영화제를 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영등포당'을 아십니까?…성매매 집결지와 텃밭 앞 '특별한' 정당 연설회

[현장] 영등포만을 위한 지역정당 '직접행동영등포당' 정당 연설회 동행 취재

이상현 기자/한예섭 기자  |  기사입력 2022.05.27. 21:38:15  

 

"누굴 뽑아야 하는지 모르겠다", "공약이 비슷하다"라는 지적이 이번 6.1 지방선거에도 어김없이 나온다. 모든 정당이 중앙 정치 무대만 바라보는 현실에서 우리 동네와 관련한 현안에는 후보자도, 유권자도 큰 관심을 두지 않는다. 정치의 풀뿌리가 깊이 내리지 못한 모습이다. 

대안으로 지역정당(Local Party)의 필요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지역정당은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정당이다. 보통의 정당과는 달리 전국 단위 선거에는 참여하지 않고 지방 선거에만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역정당의 개념조차 낯선 한국과 달리 해외에서는 이미 많은 지역정당들이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지역주민들로 구성된 지역정당은 지역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살아가는 이들만이 알 수 있는 내용을 소통하며 공약으로 제시한다.

한국에서도 지역정당의 움직임이 시작됐다. 지역정당이 창당했고, 지역정당네트워크가 결성됐다. 무소속이지만 지방선거에 후보를 낸 정당도 나왔다. <프레시안>은 지방선거와 그 이후 한국 지역정당의 활동과 해외 지역정당의 모습을 직접 찾아가서 담을 예정이다. 지역을 살아가는 주민과 풀뿌리 민주주의를 위해 지역정당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지역소멸과 싸우는 자치분권과 지역정당의 모습을 담는다. 

서울시 공유자전거 따릉이 8대가 영등포 곳곳을 누빈다. 주황색 점퍼를 입은 이들의 등에는 '자전거가 지구를 구한다'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일렬로 서 당차게 출발했지만 자전거 도로는 곳곳에서 끊어진다. 쌩쌩 지나다니는 차들과 아찔한 동행이 반복된다. 

 

 

 

 

▲일렬로 서 당차게 출발했지만 자전거 도로는 곳곳에서 끊어진다. 쌩쌩 지나다니는 차들과 아찔한 동행이 반복된다. ⓒ프레시안

영등포 타임스퀘어 앞 소녀상에서 출발한 자전거들은 성매매 집결지 골목, 도심 속 텃밭, 높은 건물이 건설 중인 지식산업센터 앞을 지나간다. 최종 목적지는 영등포구청. 구청 앞에 나란히 자전거를 세운 채 이들은 마이크를 잡았다.

"영등포는 평지가 많습니다. 그래서 자전거 타기 좋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직접 돌아다녀 보면 자전거를 타기 힘든 도로라는 사실을 주민분들도 느끼셨을 겁니다. 도로는 자동차 중심의 도로이고, 자전거 도로는 계속 끊깁니다. 자전거를 타는 주민들은 차도로 가야 할지, 인도로 가야 할지 헷갈리기도 합니다. 영등포에 자전거 도로를 더 만드는 것이 저희의 공약입니다." 

발언이 시작되자 영등포구청 관계자가 나와 고개를 갸웃한다. 이리저리 전화를 걸어 집회 신고가 되어있는 단체가 있는지 확인한다. 신고는 되어있지 않았다. 구청 관계자가 단체 쪽으로 와 집회 신고를 했는지 확인한다. 발언하던 영등포구 주민 이용희(47) 씨가 "하지 않았다"라고 대답했다. 

"집회 신고는 하지 않았습니다. 저희는 정당 연설회를 진행 중입니다. " 

▲2021년 10월 창당한 지역정당 '직접행동영등포당'은 30여 명의 지역주민들이 당원으로 가입해있다. 이들은 영등포구청 앞에서 자전거 도로 확충 등 다양한 지역 공약을 발표했다. ⓒ프레시안

오로지 '영등포'만을 이야기하는 영등포 지역정당 

지역정당인 '직접행동영등포당'은 작년 10월 17일 창당했다. 창당대회 또한 영등포구에서 진행했다. 2008년부터 영등포에서 다양한 활동을 해오던 이용희 씨가 대표를 맡았다. 영등포를 기점으로 살아가는 지역 주민 30여 명이 당원으로 가입했다. 창당 직후인 18일 서울시 선거관리위원회에 지역 정당 등록 서류를 접수했다. 

그러나 26일 서울시 선거관리위원회는 직접행동영등포당 창당등록 신청을 반려했다. 관련 규정이 없다는 이유다. 직접행동영등포당은 결국 공식 정당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현행 정당법 체제에서 정당 설립을 위해서는 중앙당을 수도에 두고, 5개 이상의 시·도당이 필요하다. 또 시·도당별 1000명 이상의 당원이 있어야 한다. 박정희 정권 시절인 1962년 만들어진 정당법 체제다. 한 지역에 오랫동안 밀착해서 지역 의제를 발굴해내는 지역 정당(Local Party)의 출현은 현행법상 애초에 불가능했다. 

정당 등록이 무산되었지만 직접행동영등포당은 계속해서 활동을 이어 나가는 중이다. 헌법재판소에 "현행 정당법은 정당설립의 자유와 정치적 표현의 자유 등 헌법상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는 취지의 헌법소원을 청구했다. 6.1 지방선거를 위해 영등포구의회(라 선거구)에 직접행동영등포당의 이름으로 후보 등록을 신청했다. 선관위는 직접행동영등포당의 후보 등록에 대해 "등록된 정당이 아니"라며 후보 등록 신청을 반려했다. 

▲25일 진행된 정당 연설회에서 당원들은 자전거를 타고 영등포 골목을 돌아다녔다. ⓒ프레시안
ⓒ프레시안

자전거로 유세하고, 골목골목 돌아다니며 내놓는 지역 정책 

정당 등록과 지방선거 입후보에는 실패했지만 직접행동영등포당은 25일에는 자전거를 타고 당원들과 함께 영등포 지역을 돌아다녔다. 길바닥에서 열리는 정당 연설회다. 선거 때마다 들리는 시끄러운 선거송과 유세차는 없었다.

이들이 향한 곳 중 하나는 영등포 타임스퀘어 뒤쪽에 있는 성매매 집결지 앞이었다. 빨간색 커튼이 처진 유리창으로 가득한 골목 위에는 '청소년 통행금지구역'이라는 표지판이 걸려있었다. 골목에서는 이곳에 예정된 재개발을 위한 기초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었다. 

"이곳이 대규모 재개발한다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결국 서울시와 영등포구는 이곳을 '자본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싹 쓸어버리겠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영등포와 기존 정당들의 공약과 계획에는 성 착취와 인권유린을 당하신 분들에 대한 고려는 없습니다. 후보로 나온 이들은 서둘러 재개발하겠다는 약속만 합니다. 그렇게 되면 불법적으로 돈을 벌어온 포주는 건물주가 되고, 재개발로 어마어마한 수익을 벌게 됩니다. 영등포에 나온 후보들은 말로만 여성 인권 신장을 말하기 전에 현장에 와봤으면 좋겠습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 수 있을지 상생의 고민을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서울시 영등포구 앞 타임스퀘어 인근 성매매 집결지 창문에는 '코로나로 인해 영업을 중단한다'는 문구가 적혀있었다. ⓒ프레시안
▲직접행동영등포당 당원들이 타고 온 따릉이가 성매매 집결지 앞 빈 공간에 주차되어 있다. ⓒ프레시안
▲직접행동영등포당은 성매매 집결지 앞에서 "개발 전에 여기서 일하던 이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라는 연설회를 진행했다. ⓒ프레시안

연설이 끝나면 다시 자전거를 타고 골목을 지나 이동한다. 다음 장소는 문래동 공공부지 내 텃밭이다. 높게 설치된 펜스 안에는 영등포 구민들이 분양받은 텃밭이 있다. 상추, 가지 등 농작물이 심겨 있다. 

이곳은 올해로 마지막으로 사라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 서울 서남권 내 공연장 역할을 하게 될 '제2세종문화회관'이 건설이 예정돼있기 때문이다. 2000석 규모의 대형공연장과 300석 규모 소공연장이 있는 지하 2층∼지상 5층의 대규모 건물이 들어선다. 이용희 대표가 다시 목청을 높였다. 

"지난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선거 공약집에는 항상 '제2세종문화회관' 내용이 있었습니다. 물론 문화예술 향유할 수 있는 공간이 구에 많아지는 건 좋습니다. 그런데 구민들이 가까운 곳에서 만날 수 있는 텃밭이 들어오는 게 과연 좋은 일일까요? 영등포가 계속 정주하고 싶은 살기 좋은 도시가 되기 위해서 어떤 장소가 필요한지 고민해봐야 합니다." 

'자전거와 함께 달려요', '성매매 집결지에 사람이 있다', '나도 농부가 되고 싶다' 등 직접행동영등포당의 모든 의제는 이런 과정을 통해 탄생했다. 타임스퀘어 앞에 세워진 소녀상 위치, 지식산업센터 건설에 따른 주변 주민들의 불편 등 직접행동영등포당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갈등 현장을 찾아서 주민들의 이야기를 듣는다. 마찬가지로 주민들인 당원들과 소통하며 공약을 만든다. 그 결과 기존 정당에서는 볼 수 없는 공약들이 나왔다. 

이 대표는 "지역 주민들의 말을 듣고, 주민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공약을 만든다"라며 "기존 정당들이 만들어내는 추상적이고 삶과 괴리된 공약 말고 기후위기, 1인 가구, 자전거 등 지역 주민들의 삶과 밀착해있는 공약을 내놓기 위해 지역 주민들인 당원들과 항상 공부한다"라고 말했다. 

▲영등포구민들이 이용하던 도시 텃밭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직접행동영등포당은 '정주하고 싶은 도시' 영등포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공간이 필요할지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한다. ⓒ프레시안
ⓒ프레시안

차별성 없는 공약, 누가 나오는지도 모르는 지방선거...지역정당이 보여주는 대안 

이번 6.1 지방선거에서는 선거가 진행되기도 전에 당선이 확정된 무투표 당선자가 494명이 나왔다. 역대 최대다. 영등포구의회 선거에서도 7개 선거구 중 3개 선거구가 무투표 당선이 확정됐다. 모두 거대 양당 소속 후보들이다. 무투표 당선 사유가 확정되면 공직선거법에 따라 선거운동이 중단된다. 당선자들의 지역 공약은 주민들이 찾아보기 어렵다.

직접행동영등포당 이용희 대표는 자전거 정당 연설회 중간중간 주민들에게 지속해서 "지방선거 나온 사람이 누구인지, 어떤 방향으로 영등포구를 이끌지 아는 분 있습니까?"라고 물었다. 또한 지역정당의 창당이 현재의 지방선거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정당이라고 하면 지역 곳곳을 다니면서 노인분들도 만나고 지역의 다양한 사람들과 하고 싶은 말을 나눠야 합니다. 좋은 정책이 나오면 받아들이고, 갈등을 조정하는 것이 좋은 정당과 좋은 민주주의라 생각합니다. 구민의 민의와 의견이 제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구조에서 지역정당은 정치를 바꿀 기회입니다."

창당 때부터 당원으로 함께했고 영등포에서 10년 넘게 거주한 박진선(45) 씨도 "지역정당은 지역에 사는 사람만이 알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당"이라고 강조했다. 박 씨는 "영등포구 문래동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어나도 지역 행정이나 의회에선 아무도 관심이 없었다"라며 "지역 내 문제를 제대로 알고 소통하는 지역정당으로 함께 고민해나가고 싶다"고 말했다. 

▲영등포에서 10년 넘게 거주한 박진선(45) 씨도 "지역정당은 지역에 사는 사람만이 알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당"이라고 강조했다. ⓒ프레시안

지역정당은 영등포뿐만 아니라 타지역으로도 확장하고 있다. 서울시 은평구, 경기도 과천시 등에서 지역을 기반으로 둔 지역 정당들이 창당했고 이들은 지역정당네트워크를 출범했다. 

윤현식 지역정당네트워크 연구위원은 "민주국가라고 할 수 있는 나라 중 지역정당을 막고 있는 나라는 하나도 없다"라며 "정치적 활동 범위를 해당 지역으로 한정하고, 해당 지역의 주민 등 지역과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주체들이 당원으로 참여하는 지역정당의 모습이 풀뿌리 민주주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정당 설립을 막고 있는 정당법 위헌소송은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직접행동영등포당은 판결과 상관없이 계속 지역정당 활동을 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이 대표는 "주민의 민의와 의견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구조라면 지역정당은 계속 있을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프레시안
ⓒ프레시안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