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내면의 빛을 찾는 퀘이커

내면의 빛을 찾는 퀘이커

오강남 2019. 04. 24
조회수 1949 추천수 0
 

 

명상-.jpg

 

퀘이커라는 흥미로운 종파가 있습니다.  퀘이커와 그 창시자를 살펴보고 싶습니다.

 

조지 폭스

-내 속에 있는 신을 깨달으라고 가르친 퀘이커교 창시자

 

서양 종교 중에서 선불교 전통에 가장 가까운 종교를 하나 꼽는다면 많은 사람이 주저하지 않고 퀘이커교Quakers를 지목할 것이다영국인 조지 폭스조지 폭스George Fox(1624~1691)에 의해 시작된 속칭 퀘이커교는 본래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로서 한국에서는 ‘종교 친우회’, 혹은 ‘친우회라 한다퀘이커교에서는 내 속에 ‘신의 일부that part of God’가 내재해 있다고 믿는다.

 

따라서 퀘이커교도들은 내 속에 있는 신을 직접 체험적으로 깨달아 알 수 있다고 믿고 이런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 힘쓴다퀘이커 내에도 일반교회와 비슷한 예배 형식으로 예배하는 ‘프로그램으로 하는 예배programmed worship가 있기는 하지만퀘이커 예배의 주종을 이루는 것은 ‘프로그램 없는 예배unprogrammed worship’로서기본적으로 ‘친우들Friends’이 한 자리에 모여 한 시간 동안 조용히 앉아 내 속에 빛으로 계신 신의 움직이심을 기다리는 시간으로 보내는 침묵예배이다그러다가 누구든지 내면의 빛이 비추었다고 여겨지는 사람은 그 빛을 다른 이들과 나누기 위하여 짧게 몇 마디씩 간증을 한다.

 

그러기에 이들에게는 직업적인 목사minister가 없고 모두가 모두에게 ‘봉사하는 ‘봉사자들ministers’만 있을 뿐이다십일조 등 전통적인 예배의식을 배격하고 특정한 교리에 구애됨이 없이 오로지 신의 직접적인 체험을 종교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긴다.

 

퀘이커 교도들의 깊은 영성과 이런 영성을 통한 열성적인 사회봉사는 널리 알려져 있다종교학의 대가 루돌프 옷토Rudolf Otto는 그의 유명한 책 성스러움의 의미에서 개신교에서도 퀘이커교에서 실행하는 이런 침묵의 예배가 널리 채택되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1, 2차 세계대전으로 고통당하는 사람들을 위한 봉사활동으로 미국 퀘이커 봉사위원회와 영국 퀘이커 봉사위원회는 194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도 “내가 만일 유대인이 아니었다면 나는 퀘이커 교도가 되었을 것이라 하였다.

 

퀘이커 운동은 미국 역사 초창기에 독립운동흑인해방운동평화운동여성운동 등에도 지극히 큰 영향을 끼쳤다미국의 펜실베이니아 주는 그 별명 ‘Quaker State’가 말하는 것처럼 퀘이커 지도자 윌리엄 펜William Penn(1644~1718) 1681년 영국 왕 찰즈 2세로부터 얻은 땅에 평화와 관용이라는 퀘이커의 이상을 실험하기 위해 세운 주이다.

 

필라델-.jpg» 퀘이커 정신에 따라 만들어진 미국 필라델피아를 상징하는 시청사

 

그 주에 있는 가장 큰 도시 ‘필라델피아는 그리스어로 ‘형제우애라는 뜻으로시청 첨탑 꼭대기에는 윌리엄 펜의 동상이 서 있다. 2009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35만 정도의 교인들에 불과하지만 아직도 평화운동이나 사회개혁 운동에서의 영향력은 엄청나다 할 수 있다한국에서는 종교 사상가 함석헌(1901~1987) 선생님이 퀘이커 지도자로 활약하기도 했다필자도 캐나다로 유학 가서 1975년 이후 지금까지 부정기적이나마 캐나다 퀘이커 모임에 참석하고 그들의 활동에 이런 저런 모양으로 참여하고 있다.

 

마침 한국 친우회 홈페이지에 퀘이커교의 창시자 조지 폭스에 관해 훌륭한 글이 올라와 있기에 이를 간추려 본다.

17세기 영국 사회는 그야말로 격랑의 시기였다.왕정에서 공화정으로공화정에서 다시 왕정으로 뒤바뀌는 정치적 격변은 물론 지금까지 내려오던 가톨릭과 종교개혁으로 새로 등장한 개신교 간의 갈등으로 사람들은 심한 혼란을 겪고 있었다이런 시대적 상황 속에서 가톨릭이나 개신교 어느 파에서도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이런 사람들을 ‘구도자Seekers’라 불렀는데그들은 주로 신과의 직접적인 접촉과 새로운 계시를 통해 삶의 의미를 찾으려 했다조지 폭스도 이런 ‘구도자들’ 중 한 사람이었다그는 이런 사람들 중 일부를 모아 일종의 신앙 운동을 전개하고 이것이 오늘 퀘이커라 불리는 종교의 시작이 되었다.

 

조지 폭스.jpg» 조지 폭스조지 폭스는 영국 중부의 청교도 신앙이 강했던 레스터셔지금의 페니 드레이튼이라는 곳에서 마을 사람들로부터 법 없이도 살 수 있는 사람이라 불리던 방직공紡織工 아버지와 다른 부인들보다 뛰어난 교양을 지닌 어머니 사이에서 네 자녀 중 맏이로 태어났다조지 폭스의 어린 시절에 관하여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고공식 교육을 얼마나 받았는지 조차도 알려져 있지 않다그러나 그는 어려서부터 나이에 비해 신앙심이 깊고생각하기를 좋아했으며침착하고 분별력이 뛰어났었다고 한다.

 

그의 십대 시절폭스는 신부가 될 것을 바라는 친척들의 희망을 뒤로한 채 어느 구두 제조업자겸 목축업자 밑에서 일했다그는 우직할 정도로 정직하고 성실했다물건을 속여 팔던 시대에 사람들은 그의 성실과 정직을 비웃었지만결국은 그를 좋아하게 되었다.

윌리엄 펜에 의하면폭스는 양치는 일을 아주 좋아해서 양치는 솜씨가 훌륭했는데양치는 일은 순결하고 고독했던 폭스의 성격과 아주 잘 맞아떨어지는 일로서후에 하느님의 종으로서 사역하고 봉사하는 일의 상징이 되었다고 한다.

 

1644년 그의 나이 20세가 되던 해에 그는 심각한 고뇌에 휩싸였다친척들이나 여러 목사들을 찾아다니면서 위로와 해결을 구해 보았지만 모두 허사였다그들이 실제로 어떤 삶을 사는가그들의 신앙의 실상이 어떤가 하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번민과 좌절감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이런 그를 두고 친척들은 결혼을 시키려고도 하고어떤 사람들은 정치에 입문하라고도 했다그러나 영적 진리에 민감한 젊은이에게는 그러한 제안이 슬프기만 할 뿐이었다그는 이즈음의 심경을 자신의 일기Journal에 이렇게 기록 했다.

 

내 몸은 그야말로 슬픔과 고통과 괴로움으로 메말라 있었고그러한 고통들이 너무나 커서 차라리 태어나지 말거나 장님으로 태어나 사악하고 허망한 것들을 보지 않게 되거나벙어리로 태어나 헛되고 나쁜 말들이나 주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는 말들을 결코 듣지 않기를 바라는 게 나았을 것 같았다.”

 

고뇌하던 폭스는 하나 둘 깨달음을 얻어 가기 시작했다그는 그 일이 “주께서 내 마음을 여시어 된 일이라 했다신이 그에게 열어 보이신 깨달음에는 여러 가지가 있었다. “개신교도이건 가톨릭교도이건 모두가 같은 그리스도인이다’, ‘진정한 그리스도인은 이름뿐인 그리스도인이 아니라 신의 자녀로서 죽음에서 생명으로 옮긴 자들이어야 한다”, “옥스퍼드나 케임브리지에서 공부했다고 해서 그리스도의 일꾼이 될 자격을 온전히 갖추는 것은 아니다”, “신은 사람의 손으로 만든 성전에 계시지 않고 사람들의 마음속에 계신다”, “여자들은 영혼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남녀는 평등이다” 하는 것 등이었다.

 

이러한 깨달음들이 있긴 했지만 폭스의 고뇌가 다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번민을 씻기 위해서 ‘열림의 경험을 한 다른 사람들을 열심히 만났다그러나 안타깝게도 그가 도달한 결론은 자신의 처지에 대해 말해 줄 사람이 하나도 없다는 것이었다실의에 빠져 있던 바로 그때그에게 한 목소리가 들려왔다.

 

퀘이커.jpg» 한국 퀘이커(종교친우회) 모임. 2005년 모습

 

      “한 분한결같은 예수 그리스도가 계시니그분만이 네 처지를 말해줄 수 있다.”

폭스는 이 음성에 너무 기뻐서 펄쩍펄쩍 뛰었다.이 음성은 영의 문제로 고민하고 진리를 고대하던 그에게 이전의 다른 어떤 깨달음보다도 더욱 크고 뚜렷한 것이었다폭스가 들었던 그 음성이 후에 ‘내면의 빛이라 불리게 된 바로 그것이다그 빛은 또한 ‘속에 계신 그리스도’, ‘각 사람 안에 있는 하나님의 그것’, ‘하나님의 능력’, ‘하나님의 증거’ 등으로도 불리게 된다그 빛은 모든 사람에게 있다그 빛은 모든 사람을 비추는 것이다(요한복음 1 9). 이 음성은 이후 폭스 자신의 생애와 퀘이커의 역사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 체험이 있은 후에도 그에게 성경이 크게 열리는 체험이 있었고사물의 이치가 훤히 보이는 경험이 있었다그는 신의 무한한 사랑과 위대함을 깨닫고 슬픔과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이러한 모든 체험들을 계기로 그는 자신이 ‘마치 새로이 만들어져 바뀐 것처럼 용모와 사람이 바뀌었다고 했다변화된 폭스에게 이제 세상은 온통 거두어 들여야 할 신의 씨앗들이 널려 있는 것으로 보였다그 후 미주에도 건너가 얼마동안 머물면서 자기의 생각을 전하기도 했다

 우리는 변화된 한 영혼이 얼마나 위대한 일을 해낼 수 있는가 하는 것을 조지 폭스의 경우에서 다시 확인하게 된다.

 

관련글

오강남
종교의 기존 도그마를 그대로 전수하는 1차원적 학자에서 벗어나 종교의 진수로 가기 위해 도그마를 깨는 것을 주저하지않는 종교학자다. 서울대 종교학과와 대학원, 캐나다 맥매스터대에서 공부했으며, 캐나다 리자이나대 비교종교학 명예교수이자 서울대 객원교수다. 저서로 <종교,심층을 보다>,<예수는 없다>, <종교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이메일 : hanispecial@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알기 쉽게 정리한 자유한국당이 ‘자해공갈(?)’까지 벌인 이유

패스트트랙을 저지하기 위해 나선 자유한국당
 
임병도 | 2019-04-25 09:05:45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문희상 국회의장이 의장실을 항의 방문한 자유한국당 의원을 피해 빠져 나가려는 과정에서 임이자 자유한국당 의원과 신체를 접촉했습니다. 그러자 임 의원이 성추행을 주장했고, 자유한국당 여성 의원들은 ‘문희상 국회의장 사퇴하라’며 기자회견까지 열었습니다.

도대체 이 사건이 왜 벌어졌는지, 그 과정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시작은 바른미래당 오신환 사보임

▲국회 상임위원회 공지사항. 매주 수정된 명단이 올라오고 있다. ⓒ국회 홈페이지 화면 캡처

이번 사건이 시작된 계기는 바른미래당 오신환 의원의 ‘사법개혁특별위원회'(사개특위) 사보임 때문입니다. ‘사보임'(辭補任)은 국회의원이 소속된 상임위원회를 옮기는 것을 말합니다.

국회의원은 4년의 임기 동안 특별한 일이 없으면 2년 단위로 상임위를 맡습니다. 그러나 당의 전략 또는 징벌적인 사안에 따라 원내대표가 의원을 특정 상임위에서 제외할 수 있도록 의장에게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를 사보임이라고 합니다.

4월 24일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는 오신환 의원을 ‘사개특위’에서 빼고 대신 채이배 의원을 넣기로 했습니다.

국회의원의 사보임은 그다지 특이한 일은 아닙니다. 지난해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국회운영위’에 사보임을 통해 법조인 출신 위원들을 배치했습니다.

상임위원회 공지사항을 보면 거의 매주 위윈명단이 올라옵니다. 그만큼 당의 방침에 따라 얼마든지 사보임을 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패스트트랙을 저지하기 위해 나선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오신환 의원의 사보임은 문희상 국회의장이 승인을 해야 합니다.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바른미래당 오신환 의원의 사보임을 허가하지 말라며 국회의장실을 찾아가 난리를 쳤습니다.

왜 바른미래당 의원의 사보임을 자유한국당이 막으려고 했을까요? 이유는 4월 22일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여야4당이 합의한 ‘선거제도 개편안’과 ‘고위 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신설 법안을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처리하는 내용 때문입니다.

▲개혁법안 패스트트랙 관련 위원회 현황, 사개특위 오신환 위원이 반대하면 패스트트랙이 무산될 상황이었다.

선거법 개편과 공수처 신설을 패스트트랙으로 하기 위해서는 ‘정개특위’와 ‘사개특위’를 통과해야 합니다. 재적위원 5분의 3인 11명이 찬성해야 합니다.

‘정개특위’는 자유한국당 6명을 제외한 12명이 찬성이라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사개특위’는 자유한국당이 7명이라 1명이라도 반대를 하면 통과가 어렵습니다.

이런 와중에 오신환 바른미래당 의원이 패스트트랙 반대 입장을 표명했고,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설득이 실패하자 채이배 의원으로 바꾼 것입니다.

문희상 국회의장이 오신환 의원의 사보임을 허가하면 선거제도 개편안과 공수처 신설이 패스트트랙으로 본회의에 상정되고 처리가 될 수 있으니, 자유한국당이 결사 반대하며 나선 것입니다.


성추행? 자해공갈에 가까웠던 자유한국당의 행태

▲문희상 국회의장이 빠져나가려고 하자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추정) ‘여성의원들이 막아야 돼’라고 외치고 임이자 의원이 등장한다. ⓒMBC 화면 캡처

자유한국당은 문희상 국회의장이 임이자 의원을 성추행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MBC의 영상을 본 아이엠피터의 눈에는 거의 자해공갈에 가까웠습니다.

영상을 토대로 이번 사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문희상 국회의장이 자유한국당 의원들 사이를 빠져나가려고 함
② 나경원 원내대표(추정)가 “여성 의원들이 막아야 돼”라고 외침 
③ 갑자기 임이자 의원 등장 (그전까지는 보이지도 않았음)
④ 임이자 의원이 양팔을 벌리고 문 의장을 막아섬
⑤ 임이자 의원 “의장님 손대면 이거 성희롱이에요”라고 말함
⑥ 문희상 의장 “이렇게 하면 성추행이냐”라며 임 의원의 양볼을 두 손으로 감쌈
⑦ 자유한국당 “문희상 의장이 임이자 의원을 성추행했다”라며 고소하겠다고 입장 밝히고 기자회견까지 열었음

지금 상황을 보면 국회의 본래 기능이었던 선거제도 개편안과 공수처 신설 이야기는 사라졌습니다. 그저 국회의장이 여성 국회의원을 성추행했다는 얘기만 나옵니다.

왜 자유한국당이 다른 정당의 사보임을 가지고 문희상 국회의장실을 찾아가 속칭 깽판을 쳤는지 잘 드러나지 않습니다. 본질은 자유한국당이 선거제도 개편안과 공수처 신설을 막고 있다는 점입니다.

자유한국당은 당당하게 국회의원으로 입법 활동을 해야지, 자해공갈단처럼 행동하면 안 됩니다. 이런 일을 벌이는 국회의원과 정당이 있다는 사실이 솔직히 창피합니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13&table=impeter&uid=1785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北 전술 유도무기 실험 ‘트럼프 재선? 나에게 물어봐!’

김정은 위원장 재선 급한 트럼프 압박 가하기 시작
 
뉴스프로 | 2019-04-24 10:54:34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北 전술 유도무기 실험 ‘트럼프 재선? 나에게 물어봐!’ 
-북미관계 전세 역전, 다음은 대륙간 탄도 미사일? 
-김정은 위원장 재선 급한 트럼프 압박 가하기 시작


북이 미국과의 관계에서 전세를 역전시켰다. 
이번엔 전술유도무기 실험, 다음엔 대륙간 탄도 미사일 되지말란 법 없어. 
재선 나선 트럼프, 북과 평화협상 깨지면 재선 가도에 빨간불.

위에 나열한 이야기는 북의 조선중앙통신이나 북의 선전매체로 소개되는 우리끼리 같은 친북 매체에 등장한 기사들이 아니다.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에 하와이 동서센터(East-West Center)의 데니 로이Denny Roy 선임 연구원이 기고문에서 주장한 것이다.

아시아 및 북한 문제 전문가인 데니 로이는 21일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에 기고한 ‘North Korea’s latest moves show how Kim Jong-un has turned the tables on the US- 최근 북한의 움직임은 김정은이 미국을 상대로 형세를 역전시켰음을 보여준다‘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미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현재 핵미사일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과 러시아의 도움에 힘입어, 그리고 내년 미국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미국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며 북한의 미국에 대한 영향력 증대에 주목했다.

현재 중국이 미국과 협상을 벌이고 있는 김정은 위원장을 지원하고 있다고 지적한 이 칼럼은 최근 북이 내놓은 두 차례의 행동이 북의 최고권자인 김정은 위원장이 중국의 도움으로, 지난 1년 반 동안의 미국과 북한 간의 힘의 균형을 역전시켰음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이 두 가지란 다름 아닌 ‘새로운 형태의 “전략 유도무기” 실험’과 “미국의 대북 협상 대표로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교체를 요구하는 공개적인 성명 발표”다. 데니 로이 연구원은 그 동안 트럼프가 북에게 내민 경제개발과 번영이라는 당근에 북한이 그다지 급급해 하지 않고 있다며 북한은 이미 핵과 장거리 미사일 실험을 마쳤고 외국 경제의 (그리고 필연적으로 이데올로기적인) 영향력이 홍수처럼 밀려 들어오는 것을 원하지 않고 있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그리고 현재 북은 대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지적한 이 칼럼은 트럼프 대통령과 폼페이오 장관은 그 동안 북한의 핵폭탄과 장거리 미사일 실험이 없다는 사실이,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성공적이었음을 보여주는 주요 가시적인 지표라고 꾸준히 언급해 왔지만 북은 전술유도무기 실험을 단행함으로서 미국이 대북 경제제재 폐기를 계속 거부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곤경에 빠질 것을 북한이 알고 있고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다음에는 “전략 유도무기”인 대륙간 탄도 미사일일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대니 로이 연구원은 “미국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핵미사일 능력을 획득했고, 중국과 러시아가 제재를 피해가도록 돕고 있으며, 2020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성공적으로 보일 필요가 절대적인 상황에서, 이제 서서히 압박을 가하고 있는 것은 김정은 위원장이다”라고 김위원장이 업박의 키를 쥐고 있음을 시사했다.(글, 이하로)

다음은 뉴스프로가 전문 번역한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의 칼럼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s://bit.ly/2ZnbLoh

North Korea’s latest moves show how Kim Jong-un has turned the tables on the US

최근 북한의 움직임은 김정은이 미국을 상대로 형세를 역전시켰음을 보여준다

Pyongyang has its nuclear missile capability despite Washington’s efforts, and with help from Beijing and Moscow and a US election next year, Kim is now asserting leverage over America

미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현재 핵미사일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과 러시아의 도움에 힘입어, 그리고 내년 미국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미국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Denny Roy 
Published: 3:15pm, 21 Apr, 2019 
Updated: 3:15pm, 21 Apr, 2019

China now has Kim Jong-un’s back as he deals with Washington. Photo: KCNA/AP 
현재 중국은 미국과 협상을 벌이는 김정은 위원장을 지원하고 있다.

Two North Korean actions during the past week demonstrate how paramount leader Kim Jong-un senses that, with China’s help, he has reversed the balance of leverage between his country and the United States over the last year and a half.

지난 주 두 차례에 걸쳐 북한이 보인 행동은 최고권자인 김정은 위원장이 중국의 도움으로, 지난 1년 반 동안의 미국과 북한 간의 힘의 균형을 역전시켰음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준다.

On Thursday, Pyongyang announced it had tested a new type of “tactical guided weapon”, with no additional details. Later the same day, senior North Korean foreign ministry official Kwon Jong-gun made a public statement calling on Washington to replace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as the leader of US negotiations with Pyongyang over the long-running nuclear weapons crisis.

목요일, 북한은 추가적인 세부적 설명 없이 새로운 형태의 “전략 유도무기”를 실험했다고 발표했다. 같은 날 오후, 권종건 북한 외무성 부상은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핵 위기를 둘러싼 미국의 대북 협상 대표로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교체를 요구하는 공개적인 성명을 발표했다.

How things have changed since 2017-18, when the Donald Trump administration’s approach to North Korea was an ostentatious display of US power.

미국의 힘을 과시하며 허세를 부리는 것이 도날드 트럼프의 대북 접근법이었던 2017년-18년 이후 상황이 어떻게 바뀌었는가.

In 2017, the emphasis was on cowing Kim’s regime by expressing a willingness to employ superior US military force against North Korea. Late that year, Trump threatened via Twitter to retaliate against North Korean “threats” – not an actual military attack – with “fire and fury like the world has never seen”.

2017년에 중점을 두었던 것은 월등히 우월한 미국 군사력을 북한에 사용하려는 의지를 표방함으로써 김정은 위원장의 체제에 겁을 주는 것이었다. 그 해 말,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지금까지 전 세계가 보지 못한 화염과 분노”로 북한의 ‘위협'(실제 군사적 공격이 아닌)에 보복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In another tweet he said that if the North Korean foreign minister “echoes thoughts of Little Rocket Man, they won’t be around much longer!” – again, seemingly threatening to destroy North Korea merely for making hostile statements.

또 다른 트윗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만에 하나 북한 외무상이 “리틀 로켓맨(역주: 김정은을 칭하는 말)의 생각을 되읊은 것이라면 그들은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시 트럼프 대통령은 단지 적대적인 발언을 했다고 해서 북한을 파괴하겠다고 위협하는 듯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2BGBRrPaWPY&feature=youtu.be

In 2018, the emphasis shifted from stick to carrot as Washington accepted Kim’s request for high-level negotiations based on his stated aspiration for “denuclearis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n code for ending the US-South Korea alliance and withdrawing US troops from Korea).

2018년에 미국은, 김정은 위원장이 “한반도 비핵화”(한미동맹을 끝내고 주한미군을 철수하자는 북한식 표현법)를 향한 염원을 표현하며, 고위급 협상을 요청하자 이를 받아들이면서 채찍에서 당근으로 입장이 급선회했다.

Trump played the role familiar from his pre-presidential career, presenting Kim a deal that involved US help in making his country prosperous by opening it up to foreign investment and resort tourism. Trump even brought to the Singapore summit a US government-produced video reminiscent of a real estate developer’s pitch to a potential investor.

트럼프 대통령은 대통령이 되기 이전 자신의 경력에 걸맞는 역할로서, 김정은 위원장에게 외국 투자와 리조트 관광 등에 문호를 개방함으로써 북한을 번영하게 만드는 사업 방안을 제시했고 미국이 이를 돕겠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심지어 장재적인 투자가를 향한 부동산 개발업자의 선전을 연상시키는 미국 정부 제작 동영상을 싱가포르 정상회담에 가져가기 까지 했다.

Donald Trump shakes hands with Kim Jong-un during their second summit in Hanoi in February. Photo: AP 
트럼프 대통령이 2월 하노이 2차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악수를 하고 있다.

This US leverage, however, proved largely ineffective. US threats did not dissuade Pyongyang from continuing to develop a long-range nuclear missile. By late 2017 senior US officials acknowledged North Korea had a nuclear missile capability, allowing Kim to declare in January 2018 that long-range missile testing was no longer needed.

그러나 이 미국의 지렛대는 대체적으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미국의 위협은 북한이 장거리 핵미사일 개발을 계속하는 것을 단념하게 만들지 못했다. 2017년 말까지 미국의 고위 관리들은 북한이 핵 미사일 능력을 가졌다는 것을 인정했고, 김정은 위원장은 이에 따라 2018년 1월, 장거리 미사일 실험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선언할 수 있었다.

Nor has Pyongyang jumped at Washington’s promise of prosperity in exchange for denuclearisation, for two good reasons. First, foreign investors are not eagerly queuing up at North Korea’s gates. North Korea is notorious for defaulting on its international financial commitments and has perhaps the world’s worst political and legal environment for foreign businesses. Second, the Kim regime does not want a flood of foreign economic (and, inevitably, ideological) influence; it wants a targeted and insulated inflow of cash and goods, but would prefer its people remain poor if that is necessary to keep society weak relative to the state.

또한 비핵화의 대가로 미국이 약속한 번영에 북한은 급급해 하지 않았는데 이에는 두 가지 타당한 이유가 있었다. 첫째, 외국인 투자자들이 북한의 관문에 줄을 서서 간절하게 기다리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북한은 국제 금융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 것으로 악명이 높으며 아마도 북한의 정치적 법적 환경은 외국 기업들에게는 세계 최악일 것이다. 두 번째로 북한 정권은 외국 경제(그리고 필연적으로 이데올로기적)인 영향력이 홍수처럼 밀려들어오는 것을 원하지 않고 있다. 북한은 현금과 재화의 표적적이고 절연된 유입을 원하며, 국가에 비해 사회를 약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북한 주민들이 가난한 상태로 남아 있기를 원한다.

China’s changed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has helped Kim ascend to a position of strength in his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In 2017, China’s enforcement of economi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reached a peak and Kim was still not welcome in Beijing. But Kim’s omnidirectional peace offensive starting in 2018 won him not only multiple meetings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but also calls by China to alleviate sanctions as a reward for Kim’s conciliatory outreach. China now has Kim’s back as he deals with Washington.

중국의 변화된 대북관계는 김정은 위원장이 미국과의 관계에서 강력한 지위에 오르도록 도움을 주었다. 2017년 중국의 대북 경제제재 강행은 최고조에 달했으며, 김정은 위원장은 여전히 중국 정부로부터 환영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2018년부터 시작된 김정은 위원장의 전방위적인 평화 공세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여러 번의 회담을 가능하게 했고, 김정은 위원장의 회유적 접근에 대한 보상으로 중국이 대북 제재 완화의 필요성을 느끼게 했다. 중국은 이제 김정은 위원장이 미국을 상대하는 데 있어 그의 뒤를 받쳐주고 있다.

What we now see is Pyongyang asserting leverage over America. Trump has been so eager to declare victory on the North Korea nuclear weapons issue that after his first summit with Kim in June 2018 he announced, “There is no longer a nuclear threat from North Korea”. Trump and Pompeo have consistently mentioned the lack of North Korean testing of nuclear bombs and long-range missiles as the main tangible indication that the Trump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s North Korea has been successful. If the North Korea test ban ended, Trump’s claim of an important foreign policy success would become untenable even among his supporters.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것은 대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북한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핵 문제에 대한 승리를 선언하는 일을 열을 올린 나머지 2018년 6월 김정은 위원장과 첫 정상회담을 가진 뒤, “북한으로부터의 핵 위협은 더 이상 없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폼페이오 장관은 그 동안 북한의 핵폭탄과 장거리 미사일 실험이 없다는 사실이,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성공적이었음을 보여주는 주요 가시적인 지표라고 꾸준히 언급해 왔다. 만일 북한의 실험 금지가 종료되면 트럼프 대통령의 중요한 외교정책 성공이라는 주장은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다.

Pyongyang’s announcement of a “test” of a “tactical guided weapon” seems calculated to send the message that it is aware of Trump’s predicament and might exploit it if Washington continues to resist a major repeal of economi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Essentially Pyongyang is saying they are testing again, it might have been a missile, and next time maybe it will be a “strategic guided weapon” –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북한이 “전술유도무기”의 “실험”을 발표한 것은, 미국이 대북 경제제재 폐기를 계속 거부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곤경에 빠질 것을 북한이 알고 있고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북한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북한이 다시 실험을 시작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미사일이었을 수도 있으나 다음에는 “전략 유도무기”인 대륙간 탄도 미사일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Pyongyang much prefers dealing with Trump instead of his expert advisers. Still, Kim’s government displays remarkable audacity in publicly directing Trump to sideline Pompeo. At a minimum this indicates considerable self-confidence on Kim’s part. It also suggests Pompeo has been doing a reasonably good job in pressing Pyongyang to negotiate in good faith.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의 전문 고문들 대신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하는 것을 훨씬 더 선호하고 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에게 폼페이오를 제외시키라는 요구를 공개적으로 하며 대단한 대담함을 보이고 있다. 최소한 이것은 김정은 위원장 입장에서는 상당한 자신감을 보여준다. 그것은 또한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신뢰를 기반으로 협상하도록 평양을 압박하는 일을 꽤 잘 해 오고 있음을 시사한다.

Having acquired his nuclear missile capability despite attempted US intimidation, with China and Russia helping North Korea circumvent sanctions, and with Trump dependent on the appearance of success prior to the 2020 US election, it is now Kim who is doing the squeezing.

미국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핵미사일 능력을 획득했고, 중국과 러시아가 제재를 피해가도록 돕고 있으며, 2020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성공적으로 보일 필요가 절대적인 상황에서, 이제 서서히 압박을 가하고 있는 것은 김정은 위원장이다.

Denny Roy is a senior fellow at the East-West Centre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959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끝까지 조선 편든 미 군인... 그는 현실판 '유진초이'였다

[조선의 의인, 조지 포크] 미국의 배상 요구를 막은 미국인

19.04.25 08:55l최종 업데이트 19.04.25 08:55l

 

 

개항초기 조선의 근대화와 자주독립을 위해 젊음을 바쳤으나, 청나라로부터는 모략당했고, 조선으로부터는 추방당했으며, 본국 정부로부터는 해임당했다. 어느 날 일본의 호젓한 산길에서 홀로 죽음을 맞이한 비운의 의인 조지 포크에 대한 이야기이다.[편집자말]

우리는 학교에서 제너럴셔먼호 사건에 대해 배운다. 1866년 미국의 무장 상선 제너럴셔먼호의 선원들이 평양에서 통상을 요구하며 발포·감금 등의 만행을 저지르다 주민들의 공격을 받고 불에 탄 사건이다. 5년 뒤 미국은 이 사건의 책임을 묻는다는 이유로 함대를 이끌고 강화도로 쳐들어와 전쟁을 일으켰다. 바로 신미양요다.

사실 이게 끝이 아니다. 미국은 불에 탄 제너럴셔먼호의 손해배상 또한 조선에 요구하려 했다. 우리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다. 국내에는 관련 기록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한때 중국이 조선의 종주국이라 여겼던 미국은 중국 측에 제너럴셔먼호 배상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그러나 중국이 '그 문제는 자신들이 관여할 바가 아니다'고 거절해 유야무야됐다. 그 뒤로 미국이 조선에 제너럴셔먼호 배상을 정식 청구한 바가 없다. 이유가 무엇일까? 경위야 어찌 됐건 조선 땅에서 미국 배가 불태워졌고 미국인 선장을 비롯한 선원들이 모두 살해된 사건 아닌가. 배상을 요구하려다 못했다면, 그 까닭은 무엇일까?

본국에 맞서 조선 변호한 미 외교관
 

조지 클레이턴 포크 George Clayton Foulk(1856-1893)
▲ 조지 클레이턴 포크 George Clayton Foulk(1856-1893)
ⓒ 위키

관련사진보기

 
여기 의문을 풀어줄 단서가 있다. 캐나다 출신이자 연세대 교수를 지낸 새뮤얼 홀리가 쓴 책 <조선의 미국 남자>(AMERICA'S MAN IN KOREA, 2008)에 실린 서신들이다. 다음은 1886년 2월 12일 조지 클레이튼 포크(1856~1893)라는 미 해군 중위가 조선에 머물 당시 부모님께 쓴 편지다.
 

"지금 저의 관직 생활이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여태까지 저는 정부에 순종해 왔지요. 정부의 지시들이 저의 양심과 정의에 어긋나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런데 셔먼호 사건을 처리하라는 지시를 받게 됐답니다. 셔먼호는 약 스무 해 전에 조선 사람들에 의해 파괴된 선박이랍니다. 승선자들은 모두 죽었고요. 그 배상을 조선 정부에 요구하라는 것입니다.

만일 그런 요구가 옳은 일이라면, 옛날 인디언들이 미국인을 죽였다는 이유로 인디언 후손들에게 배상금을 내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셔먼호가 결코 조선에 올 일이 아니었음을 우리 정부가 망각한 듯합니다. 셔먼호 사람들이 독단적으로 저지른 일이니 그 결과 또한 그들의 몫이겠지요.
이 일로 조선을 몰아세워야 하느냐 마느냐, 그것이 제가 여태껏 겪어본 적 없는 가장 당혹스러운 문제랍니다."

외교관들은 자신의 양심이나 가치관에 어긋나는 지시를 본국 정부로부터 받기도 할 것이다. 조지 포크는 그러한 상황에서 몹시 난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음을 이 편지에서 엿볼 수 있다.

조지 포크는 과연 이 문제를 어떻게 공적으로 처리했을까? 갈등 끝에 결국 정부의 방침에 순응하고 말았을까? 아니면 직을 걸고 항명이라도 했을까?

제너럴셔먼호 사건이 일어난 지 10여 년 후, 조선과 미국은 외교관계를 맺었고 1883년 서울에 미국 공사관이 들어섰다. 조지 포크가 인천 앞바다에 당도한 것은 그 다음 해 5월 31일이었다.

초대 주한 미국 공사인 푸트(Foote)가 1885년 초 이임한 뒤 미국 정부는 후임을 임명하지 않았다. tvN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에서 미 해군 대위인 유진초이(이병헌)가 본국의 지시로 주한 미 영사대리를 맡았듯이, 군인인 조지 포크는 주한 미 대리공사로 임명된다. 그리고 재임 기간에 본국 정부로부터 셔먼호 사건과 관련해 조선 정부에 피해보상을 요구하라는 훈령을 받는다. 사건이 발생한 지 20년이란 시간이 지난 뒤였다. 조선과 외교관계를 맺은 지는 3년 만이었다.

"조선인은 그럴 수밖에 없었다"

조지 포크가 정부의 지시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알려면 그와 본국이 주고받은 문서를 살펴봐야 할 것이다. 필자는 130년 전의 참고 자료를 찾았다. 1951년 조지 매큔과 존 해리슨이 출간한 <한미관계>(Korean-America Relations)라는 책에 수록돼 있었다.

1885년 7월 24일 국무부의 법무관 프란시스 워톤(Francis Wharton)은 국무장관 베이야드(T.F.Bayard)에게 아래와 같이 보고한다.
 
"본 배상 요구는 1866년 조선에서 발생한 제너럴셔먼호의 학살 사건에 따른 것입니다. (...) 사건에 대하여 여지것 외교적 행동이 취해지지 않았던 것은 비교적 최근까지 조선에 우리 외교관이 없었던 상황에 기인한 것입니다. 이제 포크씨가 대리공사로 주재하고 있는 만큼 관련 서류를 그에게 보내어 조사케 하고 조선 정부에 배상을 요구하는 것이 합당할 것으로 봅니다."
                                                               
그로부터 일주일 후인 7월 31일, 베이야드 국무장관은 조지 포크에게 공문을 보내 조선 정부에 배상을 청구하고 그 결과를 상세히 보고하라고 훈령을 내린다.

그는 "이 문제가 그동안 휴면상태에 놓여 있었던 것은 미국이 조선과 외교관계를 맺지 않고 있었기 때문"이라며 "제너럴셔먼호의 파괴로 인해 발생한 제반 손실과 상해, 승무원의 사망에 등에 대하여 조선 정부의 책임을 해제시켜준 일은 전혀 없다"라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사건 발생 후에 시간이 경과했다고 해서 제너럴셔먼호 사건에 대한 배상 청구의 유효성이 영향을 받을 수는 없다"라고 못박았다.

이에 조지 포크는 장문의 보고서를 보냄과 동시에 반론을 개진한다. 국무장관과 휘하의 외교관 사이에 예사롭지 않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조지 포크는 아래와 같은 요지로 본국 정부의 지시에 저항한다.
 
"셔먼호 도착 시기는 대원군의 전제적 권력 행사가 최고조에 이르고 있던 때였습니다. 기독교인이 박해의 표적이 됐습니다. 프랑스의 예수회 신부들을 포함한 많은 기독교인들이 처형됐습니다. 또한 수천 명의 비기독교인들도 기독교인으로 의심을 받아 처형당했습니다.

평양 일대에서 박해는 특히 심했기에 지역 전체가 흥분과 공포에 사로잡혀 있었습니다. 프랑스 신부들의 죽음, 그리고 기독교 박해를 보복하기 위해 외국인들이 쳐들어올 거라는 불안감이 전국적으로 퍼져 있던 상황이기도 했습니다.

사정이 그러하다 보니, 셔먼호가 접근해 올 때 사람들은 한결같이 복수하러 온 것이라고 여겼으며 온갖 억측과 공포가 퍼졌습니다. 외국인에 대한 혐오감이 없는 사람들조차도 자기가 방관하고 있으면 외국인과 내통한 자로 지목돼 목이 달아날지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공격에 가담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조선인들은 그러한 공포와 흥분에 사로잡혔기 때문에 너나없이 셔먼호 파괴에 나설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당시 상황을 근거로 조선인들을 변호하면서 배상 청구의 부당성을 논리적으로 반박하고 있는 것이다.

조지 포크, 그는 누구인가
                                                       
 조지 포크가 수집한 대동여지도
▲  조지 포크가 수집한 대동여지도
ⓒ 미국 지리협회

관련사진보기

  
조지 포크는 다시 1월 23일 보고를 통해 "조선인들이 셔먼호를 약탈한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한다. 이에 그치지 않고 사흘 후 다시 아래와 같은 보고서를 보낸다.
 
예로부터 조선 해상에서 조난 당한 배에 대해서는 엄격한 법규가 시행돼오고 있습니다. 조선 정부가 비용을 부담해 음식과 생필품을 제공한 후 안전하게 떠나도록 조처하는 것입니다. 해안에 관리들이 배치돼 있는데, 그들의 임무는 이양선이 나타나면 그 목적을 조사하고, 조난 당한 배에 대해서는 법령에 따라 구조를 실시하는 일입니다. 서해상에서 중국 배, 동해상에서 일본 배가 조선 당국의 도움으로 안전하게 귀환한 사례는 수천 건에 이릅니다.

조선은 조난 당한 외국 배들을 자신들의 비용과 인력으로 구조한 후 잘 보살펴 돌려보낸다는 것을 조지 포크는 알리고 있다. 제너럴셔먼호가 만일 조난당했더라면 조선 정부로부터 그러한 관대한 조처를 받았을 터다. 그렇게 인도주의적인 조선을 향해 셔먼호가 무력 도발을 한 것인데 어찌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말인가. 조지 포크는 그렇게 항변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 정부는 조지 포크의 의지를 꺾을 수 없다고 여겼는지 배상 문제를 더 이상 거론하지 않는다. 이것이 조선 정부가 셔먼호 사건과 관련해 미국의 배상 요구에 시달리지 않게 된 숨은 배경이다.

조지 포크는 당시 미국 정부를 대표하는 외교관이었다. 때는 약육강식·우승열패의 제국주의 시대였고, 외교관과 군인은 그 첨병이었다. 그런데 그는 시류에 정면으로 맞서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 조지 포크, 그는 누구인가.

조지 포크는 163년 전인 1856년 10월 30일 미국 펜실바니아주 랭캐스터 카운티의 조그마한 마을에서 태어났다. 시골 소년이 푸른 꿈을 품고 해군 사관학교에 들어간 것은 1872년 6월. 그의 나이 열여섯 살 때였다. 4년 후인 1876년, 그는 눈이 푸른 스무 살 청년의 모습으로 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조지 포크의 서한과 여행기를 쓴 새뮤얼 홀리는 그를 이렇게 묘사했다.
 
"이지적이고 유능했으며 자신감에 차 있었다. 열정적으로 일하는 스타일이었다. 옳고 그른 것에 대한 정의감이 투철했고 명예를 소중히 여기고 책임감이 강했다. 한 마디로 해군에서 장래가 촉망되는 재목으로 주목을 받았다. 겉으로는 쾌남아였지만 내면에는 감수성이 예민하고 상처를 잘 받는 청년이 자리 잡고 있었다. 그는 고집불통인 데가 있었고 한 번 옳다고 믿으면 물불 안 가리고 밀고 나가는 성격이었다. 그런 강직한 성격은 훗날 조선에서 문제가 될 것이었다."

조지 포크는 조선의 개항 초기와 관련해 많은 자료와 기록을 남겼다. 연구가들은 그의 기록이 독보적인 가치가 있다고 강조한다. 특히 그가 가족에게 쓴 많은 편지와 조선 여행기는 매우 값진 기록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국내에는 그 내용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조선의 의인, 조지 포크' 연재를 시작하는 까닭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김정은, “지역 정세 관리 위한 유익한 대화될 것”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9/04/25 08:41
  • 수정일
    2019/04/25 08:41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추가) 하산 ‘김일성의 집’ 방문 뒤 블라디보스톡 도착
이광길 기자  |  gklee68@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9.04.24  13:19:23
페이스북 트위터
   
▲ 24일 오후 블라디보스톡역에 도착해 러시아 측 영접을 받는 김정은 위원장. [RT 동영상 캡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탄 전용열차가 24일 오후 5시50분(한국시간 4시50분)께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톡역에 도착했다.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은 군악대와 의장대가 김 위원장을 맞았다고 보도했다. 알렉산드르 코즐로프 극동개발부 장관과 올레그 코줴먀코 연해주 주지사 등 러시아 고위인사들과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 등 북한 측 인사들이 영접했다. 

간단한 환영행사가 끝난 뒤 김 위원장은 리무진으로 갈아타고 루스키섬 극동연방대학 캠퍼스 내에 있는 숙소로 향했다. 

25일에는 극동연방대학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단독회담, 확대회담, 만찬 등이 이어진다. 공동성명은 발표되지 않을 것이라고 러시아 대통령실(크렘린궁)이 밝혔다. 

블라디보스톡 방문 기간 김 위원장은 러시아 태평양함대 군사박물관, 마린스키 극장 등을 방문할 예정이다. 26일 귀국길에 오른다. 푸틴 대통령도 26일 베이징으로 이동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하고 ‘일대일로 정상포럼’에 참석한다. 

   
▲ 하산역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코즐로프 극동개발부 장관, 코줴먀코 연해주 지사. [사진출처-러시아 연해주]

이날 새벽 방문길에 오른 김정은 위원장은 두만강 철교를 넘어 오전 10시30분께 북.러 접경도시 하산에 도착해 잠시 머물렀다. 코즐로프 장관, 코줴먀코 지사, 이고르 모르굴로프 외교부 아태 담당 차관 등이 영접했다. 

코즐로프 장관은 “이번 방문이 따뜻한 기억으로 남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고, 김 위원장은 이번이 마지막 러시아 방문은 아닐 것이라고 화답했다. 

환담 자리에는 리용호 외무상, 리영길 군 총참모장,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 배석했다.

<RT>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하산역에서 러시아 국영 <러시아-1>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 인민들의 뜨거운 환대를 받으면서 이번 방문이 매우 유익하고 성공적인 방문이 되며 당신들과의 만남에서 많은 문제 등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역 정세를 안정적으로 유지 관리하고 공동으로 조정해나가는 데서 매우 유익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 하산에서 코즐로프 장관과 환담하는 김정은 위원장. 리용호 외무상, 리영길 총참모장, 최선희 제1부상이 배석했다. [사진출처-러시아 연해주]

김정은 위원장의 첫 러시아 방문에는 김평해, 오수용 노동당 부위원장 등이 공식 수행원으로 동행하고 있다. 연해주 측이 공개한 사진에는 현송월 노동당 선전선동부 부부장 모습도 보인다. 

<타스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하산역에서 러시아 전통의상을 입은 여성들로부터 ‘빵과 소금’을 대접받았다. 귀빈을 맞이하는 러시아의 전통에 따른 것이다. 현지 주민들도 꽃다발을 흔들며 환영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하산역 인근 ‘김일성의 집’으로 불리는 목조 가옥을 방문했다. 1986년 김일성 주석의 소련 방문을 앞두고 세워진 건물이다. 현재는 박물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블라디보스톡 당국은 24일 오후 3시부터 기차역에서 도심으로 가는 차량 운행을 차단했다고 공지했다. 김정은 위원장의 도착은 당초 예정된 오후 4시(한국시간 3시)보다 1시간 20분 정도 늦어질 것이라고 알렸다. 

(추가, 18:15)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남북선언이행을 어떻게 전진시켜 나갈 것인가

4.27판문점선언 발표 1주년 기념 공동토론회(1)

4.27판문점선언 발표 1주년을 앞두고 지난 20일 일본 도쿄에서 해외동포들과 함께 하는 의미있는 토론회가 열렸다. 하노이 정상회담 불발이후 북미관계가 교착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남북선언 이행을 어떻게 전진시켜 나갈 것인가’를 주제로 열린 이번 토론회는 해외측에선 6.15일본지역위원회·조선신보·민족시보·Web통일평론이, 남측에선 반전평화국민행동·한국진보연대·6.15남측위원회서울본부·4.27시대연구원·(사)통일의길, 그리고 민플러스가 공동주최했다.

지난해 8월 4.27판문점선언 발표 이후 처음으로 민플러스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 기관지 조선신보사, 정책월간지 Web통일평론이 공동으로 주최한 “4.27판문점선언 시대의 의미와 우리의 역할” 토론회에 이어 두 번째 토론회다.

손형근 6.15일본지역위원회 의장을 비롯해 150여명의 재일동포들이 참가한 자리에서 토론자들은 ‘1) 민족자주와 대단결로 평화, 번영의 새 시대를 떠밀고 나갈 데에 대하여, 2) 온 겨레의 지향과 요구를 담은 평화적 통일방안을 마련할 데에 대하여’라는 주제로 열띤 토론을 벌였다. 두 차례에 걸쳐 소개한다. [편집자]

 

해외측을 대표해 대회사에 나선 최석룡 6.15일본지역위 대표위원(Web통일평론 편집장)은 “지금까지 남측의 학자나 통일인사를 초청해 강연회나 토론회 등을 한 적은 있지만 남측과 재일 언론단체들이 공동주최한 토론회는 지난해 처음 있는 일이었고, 이는 4.27판문점선언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번 공동토론회는 보다 많은 언론, 통일운동 단체가 공동주최자가 돼 실행위원회를 구성해 만들어간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판문점선언 제1항에서 ‘우리민족의 운명은 우리 스스로 결정한다’는 민족자주의 원칙을 확인하였으며, 이미 발표된 남북선언과 모든 합의들을 철저히 이행함으로써 남북관계개선과 발전의 전환적 국면을 이어나가기로 하였다고 명기돼 있다”면서 “오늘 토론회는 격동하는 정세 속에서 다시한번 4.27선언의 기본정신을 확인하고 남북선언 이행을 어떻게 전진시켜 나갈 것인가를 함께 결심하고 행동을 다짐하는 좋은 계기가 될 거라 믿는다”고 말했다.

▲ 해외측을 대표해 대회사 하는 최석룡 6.15일본지역위 대표위원

이달호 4.27시대연구원 자문위원은 남측을 대표해 “차별과 억압 속에서도 남측의 민주화와 조국의 통일을 위해서 싸우고 있는 동포들에게 경의를 표한다”고 인사하곤 “남쪽에선 일본의 제국주의가 물러나고 미군정이 들어서면서 민족의 고통이 계속되어 왔지만 4.27시대로 들어서면서 한반도는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다”면서 “오늘 토론회에서 남과 북의 통일방안이 깊이 있게 논의되고, 조국통일을 위해서 모두가 매진할 수 있는 자리가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 남측 방문단을 대표해 인사하는 이달호 4.27시대연구원 자문위원

토론회 사회는 김지영 조선신보 편집국장이 맡았다. 김지영 편집국장은 토론시작에 앞서 “베트남 하노이 조(북)미수뇌회담이 합의없이 끝났다. 그 후 정세에 대한 견해, 전망들이 각이하게 나오고 있는데, 일부에서는 낙심, 비관도 없지 않아 있다. 남들의 주의주장에 귀가 쏠릴 것이 아니라 우리 힘을 믿고 우리 힘을 하나로 모아서 그 힘으로 우리 정도를 개척해 나간다는 주체적 입장에서 정세를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김정은 북한(조선) 국무위원장의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을 언급했다.

김 편집국장은 “위원장께서는 ‘그 어떤 정세 하에서도 국가와 인민의 근본리익과 관련된 문제에서는 티끌만 한 양보나 타협도 하지 않을 것이며 모든 것을 자력자강의 원칙에서 해결해나갈 것’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지금 나서는 난관이 있어도 꼭 타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 넘쳐 계셨기 때문에 연설하셨다고 생각한다”면서 “시정연설에 밝힌 조미문제, 분단문제의 내용을 하나의 척도로 삼고 여기 여러분들과 함께 토론을 심화시켜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반도 평화, 번영, 통일은 남북이 주도”

1부 토론주제인 ‘민족자주와 대단결로 평화, 번영의 새 시대를 떠밀고 나갈 데에 대하여’를 놓고 한충목 4.27시대연구원 원장이 기조발제에 나섰다. 한 원장은 “민족자주와 대단결로 평화, 번영의 새 시대를 열어가자”는 발제문에서 먼저 4.27판문점선언에 대해 “민족자주의 선언이자 평화선언”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과 4월 한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가 아니라 미국의 이익, 자신의 이해관계에만 관심이 있음을 분명히 보여줬다”면서 “이로 인해 한반도 평화, 번영, 통일을 중단 없이 추진할 수 있는 유일한 힘은 남북 주도에 있다는 것 역시 더욱 분명해졌다”고 강조했다.

한 원장은 남측의 상황을 언급하며 문재인 정부의 태도에 대해 “정부가 스스로를 한반도 문제 해결의 당사자가 아닌 북미관계 중재자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미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한미동맹을 유지하고, 제재의 틀 내에서 남북관계개선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한데 이어 “문 정부가 갈팡질팡 하는 사이 이 틈을 비집고 자유한국당을 비롯한 수구보수세력들이 준동하고 있다”면서 내년 4월 진행될 총선도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 원장은 “이런 때에 자주통일운동 진영이 가져야할 가장 중요한 것은 ‘승리적 관점’”이라며, “우리 민족은 지금, 70여년에 걸친 전쟁과 대결, 분단의 역사를 청산하고 평화와 번영, 자주통일의 새로운 미래를 열기 위한 투쟁에서 가장 중대한 국면의 한복판에 서 있다”면서 “내외 반통일세력을 압도할 강력한 민족역량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한 자주통일운동의 과제와 방향으로 ▲자주통일운동을 군중적, 민족적 운동으로 발전시키고 ▲자주의 기치를 높이 들고 광범위한 평화, 통일세력과 연대하며 ▲수구보수정당을 청산하는 대중운동을 완강히 펼쳐낼 뿐만 아니라 ▲민간자주교류 운동 강화 등을 제시한 한 원장은 4.27부터 9.19까지 남북공동선언실천 집중기간 ‘남북해외 대학생 통일대회합’과 ‘백두한라국제평화대행진’, ‘민의 평화선언’과 국제평화선언, 단일기 연서명 운동 등 군중적인 실천운동을 만들어 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1부 기조발제를 하고 있는 한충목 4.27시대연구원 원장

“남·북·해외 자주세력이 하나 돼야”

기조발제 후 해외측 김지영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한통련) 조국통일위원장의 보충토론이 이어졌다. 김 위원장은 먼저 조미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원인에 대해 ‘▲미국 내 대북 강경파들의 준동 ▲문재인 정부의 역부족 ▲일본 아베정권의 방해책동’을 꼽곤 4.27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공동선언 이행을 전진시키기 위한 과업을 제시했다.

김 위원장은 “미국 내 정치적 대립을 이용해 대두한 미국 강경파들은 합의문 서명 직전까지 간 하노이 조미회담 합의문 서명을 무산시켰다”며 “미국 내 대북 강경파를 고립·무력화하는 반미투쟁과 미국이 (한반도 평화·비핵화 문제와 관련하여) 단계적·동시적 제안을 받아들이도록 하는 투쟁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를 향해선 “문재인 정부가 한미정상회담, 특사파견 등 노력을 기울여 조미정상회담 개최 실현에 공헌은 했으나 더 큰 성과를 올리지 못한 원인은 한국정부가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으로 미국에 종속되고 있어 당사자로서 한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더 이상 미국이나 남북공동선언 이행을 가로막는 수구보수세력의 눈치를 보지 않고 촛불민심을 굳게 믿고 민중들과 연대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하는 한편 “국정농단 세력과 함께 이미 청산되었어야 할 적폐·수구보수세력인 자유한국당은 해체돼야 마땅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세계에서 유독 한반도 평화와 북미관계 정상화를 반대하고 있는 아베 정권의 본질을 폭로하고 반대하는 투쟁 역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김지영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한통련) 조국통일위원장

김 위원장도 “남북공동선언 이행을 전진시키기 위해 남측의 평화통일 세력, 남북해외 자주세력이 하나가 돼야 한다”면서 구체적인 운동과제를 제안했다. 그는 “남북해외 전민족적 공동투쟁을 위해선 6.15해외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남측 진보진영이 시기적절하게 제기한 국제평화운동이 강화되도록 주체적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베 정권 투쟁에 있어서는 “해외운동과 한반도 평화 통일을 지지하는 국제연대운동을 결집해 지지여론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일본에서 한일·조일국제연대사업을 활발하게 전개해온 역사를 가진 6.15일본지역위원회는 ‘한반도와 일본에 비핵·평화 확립을! 시민연대행동’에도 참가하고 있다”고 알리고, “이는 한반도 평화·통일 실현에 적지 않은 공헌을 할 것”이라며 6.15일본지역위원회가 국내와 연계해 운동을 확대·발전시켜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문재인 정부가 적극적으로 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공동선언을 이행·실천하도록 견인하는 다양한 운동을 조직해야 하며 수구보수세력을 척결하는 투쟁, 자유한국당의 반민족·반평화·반통일의 본질을 폭로하고 반대하는 투쟁을 해외에서도 벌여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판문점선언 이행운동 전면화해야”

두 번째 보충토론자로 나선 김병규 전쟁반대평화실현국민행동 상황실장은 남측에서 준비하고 있는 ‘자주통일운동과 투쟁’에 대해 소개했다.

김 실장은 “미국이 판문점선언 이행을 난폭하게 가로막고 있고 한미동맹을 강화하고 있으며 문재인 정부가 종속적 한미동맹에 얽매여 판문점선언 실천에 나서지 못하고 있는 이 때에 ‘판문점선언’ 이행운동을 전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먼저 “판문점선언 이행을 가로막는 미국을 반대하고 보수세력을 청산하는 투쟁을 대중적으로 벌어야 한다”며 ▲한미워킹그룹 해체 ▲한미연합군사연습 완전중단 ▲방위비증액강요 규탄 ▲사드영구배치 반대 ▲주한미군 세균실험실 철거 ▲친미보수세력, 자유한국당 청산 등의 투쟁을 벌여야 한다고 제기했다.

다음으로 ‘민족자주’ ‘민족대단결’의 기치를 들고 판문점선언 실천에 앞장서는 대중운동을 벌여야 한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남북이 합의한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 재개 운동을 대중적으로 전개해 문재인 정부가 판문점선언 당사자로 실천에 나설 수 있도록 견인”하며 “남북공동선언일을 계기로 ‘민족공동행사’를 성대히 성사하고 민간자주운동을 강하게 밀고 나가야 한다”면서 앞서 한충목 원장이 기조발제에서 언급한 ‘우리민족의 운명을 외세가 좌지우지하는 것을 끝내고 우리 스스로 결정한다’는 <민의 평화선언> 운동을 지속적으로 벌여 공동선언이행을 지지하는 남측 대중들의 의지를 ‘8.15민족대회’로 모으겠다고 밝혔다.

▲ 보충토론 하는 김병규 전쟁반대평화실현국민행동 상황실장

김 실장은 또 ‘자주통일운동역량 강화’를 강조했다. 그는 “올해 8.15민족대회를 2000년대 이후 가장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대회로 성사하겠다”면서 “노동자·농민·청년학생·여성 등 대중단체와 진보정당 안의 자주통일의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과 부문, 풀뿌리단체 등 1000개 이상의 단체가 참여하는 8.15민족대회 추진위원회를 구성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와 함께 국제평화연대를 실속있게 강화하기 위해 국내외 참가자들의 참여를 모아 8.15민족대회를 계기로 백두와 한라에서 시작해 판문점에서 만나는 ‘백두한라 국제평화행진’을 벌이고, <민의 평화선언> 운동을 코리아국제평화선언으로 확대해 ‘9월 뉴욕국제평화대회’로 모아내겠다고 밝혔다. 9월말~10월초 유엔총회에선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국제평화대회’를 성대히 개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 4월부터 미국을 반대하는 광범위한 대중을 모아 미대사관을 향해 행진하는 ‘미국반대 자주평화행진’을 매월 진행한다고도 덧붙였다.

▲ 토론회 사회를 맡은 김지영 조선신보 편집국장

김지영 편집국장은 토론자들에게 자유토론을 요청하며 ‘3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전망’, ‘당사자로서 실천적 행동이 요구되는 문재인 대통령의 역할’에 대해 질문했다.

‘3차 북미정상회담의 전망’에 대해 2부 토론에 나설 손정목 4.27시대연구원 국제분과장은 “▲북의 핵무력이 완성되고 미 본토에 대한 타격능력이 입증된 조건에서 미국이 회담에 끌려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 ▲북·중·러 3자의 전략적 단결이 현실화되고 있는 조건 ▲한반도 긴장상태가 계속될 경우 트럼프 재선이 어려운 조건” 등을 근거로 “3차 정상회담은 대북제재 해제 차원의 문제가 아닌, 북의 핵시설 폐기에 조응해 미국이 군사적으로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는 합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충목 4.27시대연구원 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역할’에 대한 질문에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재개’ 사안을 예시로 들었다. 한 원장은 “금강산·개성 문제는 유엔의 제재문제가 아닌 남북이 알아서 하면 되는 문제라고 전문가들이 많이 이야기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판문점선언, 평양공동선언에서 합의한 걸 지키기만 해도 금강산과 개성공단, 철길·도로길을 열기만 해도 남북관계는 굉장한 전진이 이뤄질 것”이라며 “우리 민족의 운명은 스스로 결정하자는 선언처럼 문재인 대통령이 수구세력의 눈치를 보지 않고 남북의 합의를 온전히 실천할 때 대중적 지지와 국제적 지지를 함께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토론회가 열린 도쿄 연합회관 대회의실에 150여 명의 참가자들이 자리를 채웠다.

조혜정 기자  jhllk20@gmail.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화석 물고기’ 실러캔스는 왜 ‘콩알’만 한 뇌를 지녔나

조홍섭 2019. 04. 23
조회수 1605 추천수 1
 
둘로 나뉜 두개골의 1% 차지…거대한 척삭과 전기 감지 기관 대조
 
c1.jpg» 살집이 있는 8개의 지느러미에 길이가 2m에 이르는 실러캔스는 화석으로만 보던 고대 물고기로 네발로 걷는 척추동물 진화의 비밀을 안고 있다. 로렌트 발레스타, 곰베사 익스피디션스, 안드로메드 오세아놀로지사 제공.
 
1938년 남아프리카 앞바다에서 발견된 실러캔스는 살집이 있는 8개의 지느러미가 달린 거대하고 괴상하게 생긴 물고기였다. 과학자들은 곧 이 물고기가 4억년 전 화석으로만 발견되던 6600만년 전 멸종한 어류와 비슷하다는 사실을 알았다. 실러캔스는 인간을 포함해 네 발로 걷는 육상 척추동물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밝혀줄 ‘살아있는 화석’으로 유명해졌다.
 
특이하게 실러캔스의 두개골은 고대 화석 물고기처럼 두 칸으로 나뉘어 있었고, 그 속의 뇌는 우스꽝스러울 정도로 작았다. 왜 고대 물고기의 두개골은 둘로 나뉘었다 사지로 걷는 육상동물에서는 하나가 됐을까. 또 뇌는 왜 이리 작을까. 
 
휴고 두텔 영국 브리스톨대 고생물학자 등 국제 연구진은 18일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린 논문에서 첨단 분석장치를 이용해 이런 오랜 수수께끼의 일단을 해명했다고 밝혔다. 연구자들은 박물관에 보관된 임신한 실러캔스를 해부하지 않고 엑스선 스캐닝을 통해 3차원 모델을 만드는 방식으로 이 물고기의 태아가 발달하면서 두개골과 뇌 구조가 어떻게 변하는지 처음으로 알아냈다. 실러캔스는 뱃속에서 알이 깨어나 새끼를 출산하는 난태생 방식으로 번식한다.
 
c2.jpg» 둘로 나뉜 실러캔스의 두개골(왼쪽)과 두개골 내용물. 뇌(오른쪽 노란색)는 매우 작은데 비해 척삭(초록색)과 전기 감지 기관(오른쪽 코 부위 하늘색 부분)은 유난히 크다. 휴고 두텔, 브리스톨대 제공.
 
조사 결과 이 물고기의 뇌는 두개골 용량의 1%를 차지할 정도로 작았다. 뇌는 뒤 두개골 가운데 작은 끈 형태로 남았다. 두개골이 커지는 속도에 견줘 뇌가 매우 느리게 성장한 결과였다. 
 
대신 비대한 척삭이 척추와 뒤 두개골 아래에 자리 잡았다. 척삭은 대부분의 척추동물의 초기 발달과정에서 퇴화하는 기관이다. 
 
연구에 참여한 존 롱 영국 플린더스대 교수는 “척삭이 특별하게 발달하면서 두 개의 두개골이 연결된 독특한 구조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며 “척삭은 일부 물고기의 뇌 아래 작은 막대 형태로 퇴화하는데, 실러캔스에서는 뇌보다 50배 크기로 극적으로 팽창했다”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그는 “실러캔스의 뇌 성장 과정은 우리와 같은 영장류의 뇌가 급격히 자라는 것과 선명하게 대조된다”며 “큰 척삭이 사라지지 않고 계속 남아있으면서 두개골이 딱딱하게 굳는 것을 가로막음으로써 두개골이 두 부분으로 나뉘게 됐다”고 설명했다.
 
두개골 속에는 뇌보다 훨씬 큰 ‘주둥이 기관’이 달려 있는데, 여기서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도 실러캔스의 뇌가 작은 한 이유라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이 기관은 캄캄한 바다에서 먹이를 찾을 때 쓰는 전기 감지 기관이다.
 
c3.jpg» 1999년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에서 발견된 실러캔스의 다른 아종. 심각한 멸종위기에 놓여 있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실러캔스는 남아프리카 동해안의 코모로 제도와 인도네시아의 술라웨시우타라에 살고 있다. 이들은 낮에 심해 동굴에서 지내다 밤에 해저 절벽에서 먹이를 찾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쟁자가 거의 없는 심해 동굴에 살아 과거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었지만, 고대의 원시적 물고기 상태로 고정된 것은 아니다. 최근의 연구 결과는 “변화가 느렸을 뿐 진화가 멈췄던 적은 없다”고 말해 준다(▶관련 기사지느러미로 걸었을까, 실러캔스 7천만년의 비밀).
 
실러캔스는 우리가 흔히 보는 물고기보다는 사람 등 네발로 걷는 척추동물에 가깝다. 그러나 사지보행 동물의 직접 조상은 아니다. 최근의 분자생물학과 화석 연구는 실러캔스보다 폐어의 조상이 우리와 같은 척추동물을 낳은 것임을 보여준다.
 
두텔 박사는 “실러캔스와 관련해 찾아낸 답보다 답을 기다리는 질문이 많다. 이 물고기는 척추동물 진화를 이해하는 많은 단서를 품고 있는 만큼 멸종하지 않도록 보전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c4.jpg» 단순화한 경골어류의 계통도. 실러캔스(위 왼쪽에서 두 번째)는 어류의 99%를 차지하는 보통의 물고기보다 사람 등 네발 보행 척추동물에 가깝다. 또 폐어(위 왼쪽에서 세 번째)가 실러캔스보다 사람의 직접 조상 계열이다. 휴고 두텔, 브리스톨대 제공.
 
실러캔스는 어획 대상 종은 아니지만 부수 어획 또는 표본용으로 포획되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개체수가 500마리 미만인 인도네시아 실러캔스를 멸종 위험이 가장 큰 ‘위급 종’으로, 개체수가 1만 마리 이하인 아프리카 실러캔스를 ‘취약종’으로 지정했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Hugo Dutel et al, Neurocranial development of the coelacanth and the evolution of the sarcopterygian head, Nature 2019, https://doi.org/10.1038/s41586-019-1117-3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빨갱이, 좌파, 종북… 그들은 왜 간첩을 만들었나?

빨갱이, 좌파, 종북… 그들은 왜 간첩을 만들었나?
 
 
 
김용택 | 2019-04-24 10:11:01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대구 달서구에서 초등학교 학생들이 태극기를 흔들며 “문재인 빨갱이”라고 외치는 동영상이 SNS에 올라왔다. 오마이뉴스 기자가 사실을 확인했더니 “어른들이 먹을 것을 주면서 시켰다”고 했다. 아이들뿐만 아니다. 극우 개신교신도들이 광화문광장에 모여 “하나님이 세운 나라 대한민국 공산화를 막아야 한다. 지금 한국은 빨갱이 국가가 되고 있으니 2000만 성도들이 힘을 모아 이 위중한 시기를 위해 기도해야 한다”며 “문재인과 임종석의 정체는 빨갱이다. 빨갱이를 몰아내고 이승만·박정희·하나님이 세우신 대한민국을 지키자”고 외치기도 했다.

대한민국에는 왜 이렇게 빨갱이가 많은가? 말만 들어도 으스스한 빨갱이니 좌파, 종북의 실체가 무엇인가? 표준어 국어사진을 찾아보면 빨갱이란 ‘‘공산주의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했다. 나무위키는 “대한민국 헌법 제3조에 의거하여 ‘휴전 상태인 대한민국의 주적’이자 ‘이북 5도를 불법 점령한 반(反) 국가단체의 일원’ 또는 ‘그들의 사상을 공유하는 자’ 또는 ‘그들에게 협조적인 자’, ‘이북 정권에 굴종하는 자’를 경멸하여 일컫는 말로 사용된다.”고 정의했다.

빨갱이니 좌파, 종북… 하면 연좌제가 연상된다. 과거 역사서나 역사소설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삼족(三族)을 멸하다’, ‘구족(九族)을 멸하다’ 등의 표현은 왕조에 대한 반역을 저지른 죄인을 처벌하면서 가깝게는 가족과 친·인척부터 멀게는 같은 동네·지역 사람에 이르기까지 죄인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인물들에게 죄인과 함께 연대책임을 묻던 제도이다. 이 연좌제는 1894년 갑오개혁으로 폐지되었으나 이는 형사처벌에 국한되었고, 이후에도 공직임용·사관학교의 입학 제한 등의 형태로 연좌제가 계속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국가의 사회통제가 강화되면서 오히려 취업·해외여행 제한 등 연좌제 성격의 불이익이 늘어오다가 이러한 형태의 연좌제는 1980년 8월 1일 공식 폐지되었다. 그러나 현재도 군 장교 등 특수직 임용에 있어서 국가보안법 위반 등 소위 '반체제 범죄'에 관하여는 신원조회 등을 통한 연좌제 성격의 제한이 사실상 유지되고 있다. 선거법에도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13조 3항 “모든 국민은 자기의 행위가 아닌 친족의 행위로 인하여 불이익한 처우를 받지 아니한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선거법의 경우 배우자나 선거사무장, 회계책임자가 선거법을 위반해 300만 원 이상의 벌금을 받은 경우 당선을 무효시켜 현대판 연좌제가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조봉암 진보당 당수는 북한과 내통해 진보당을 결성, 국가변란을 기도했다는 이유로 사형 당했지만 2011년 1월 20일 대법원에서 52년 만에 “무죄”. 북한 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은 49년만에 간첩누명 벗었으며, ‘유럽 간첩단 사건’으로 사형당한 박노수 교수와 김규남 의원의 재심에서 사형 집행 43년 만에 무죄, 북한과 동조하는 사설이나 기사를 냈다는 혐의로 군사정권에 의해 사형당한 민족일보 조용수 사장이 47년 만에 무죄… 정치인뿐만 아니다. 전북 김제에서 농사를 짓던 최을호 씨는 조카 최낙전, 낙교 씨와 함께 간첩활동을 했다며 재판에 넘겨져 최을호 씨에게 사형, 최낙전 씨에게 징역 15년… ‘재일교포 간첩사건’에 연루돼 15년형을 받은 신귀영씨는 34년 만에 무죄… 무고한 양민을 빨갱이니 간첩으로 몰아 처형하고 혹은 무기징역을 당한 사건은 일일이 기록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

해방 이후 미군정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 해방 이후부터 53년 휴전을 전후한 기간 동안에 100만 명 이상의 민간인이 희생되었다. 한겨레 21은 ‘1960년 4·19 혁명 직후 진상규명에 나섰던 ‘전국피학살자유족회’는 유족들의 신고를 바탕으로 최소 60만 명 최대 114만 명이 학살됐다는 보고서를 냈다.’고 했다. 10월 인민항쟁, 여순사건, 4.3제주 민중항쟁, 한국전쟁 시기 민간인 학살 사건 등에서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지만, 그 중에서도 단일사건으로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것은 ‘국민보도연맹 사건’이다. 1948년 4월 3일 발생한 봉기로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미군과 국군에 의해 희생된 양민은 무려 3만 명에 달한다. 동족을 학살하는데 동참할 수 없다고 명령을 거부한 여순사건은 민간인 피해자만 무려 11,131명이다. 공비 소탕 명분으로 국군에 의해 500여 명을 학살한 거창양민학살사건을 비롯해 이승만의 집권 야망을 위해 이렇게 빨갱이를 만들어 죽어 갔다.

해방정국에서 이승만이 국가보안법으로 빨갱이 사냥을 한 이유가 무엇일까? ‘1946년 미국 군정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남한 주민들의 78%가량이 사회주의를 원했고, 14%가량만이 자본주의를 원했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한 이승만 정권은 친일파와 우익인사를 기용해 정치적 걸림돌이 되는 집단과 민간인을 학살했다. 1947년부터 불거진 제주 4.3항쟁과 1948년 여순사건을 거치면서 이승만 정권은 보수우파와 좌익세력을 제거하며 본격적인 반공 국가 건설에 들어간다.

빨갱이, 좌파, 종북, 간첩… 만들어진 적. 정권 안보를 위해 분단이 필요했고 빨갱이, 좌파, 종북 간첩… 이 필요했던 세력들은 이념이 무너진 지금도 입만 벌리면 좌파니 종북타령이다. 4·19혁명으로 부정된 이승만의 자유당, 아니 친일세력들이 만든 자유당은 헌정을 파괴한 박정희의 민주공화당으로, 광주시민을 학살하고 탈취한 민주자유당, 민주정의당, 새누리당, 한나라당,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으로 진화했다(?) 그들이 왜 이승만을 국부로 추앙하고 싶어 하는지 알만하지 않은가? 마치 선거연령을 18세로 낮추면 생존의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위기감처럼 살아남기 위해 정적을 빨갱이로 만들고 종북으로 좌파로 매도하고 있는 것이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30&table=yt_kim&uid=914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北 김정은, 24일새벽 전용열차로 러시아행...김영철은 명단에 없어

北 김정은, 24일새벽 전용열차로 러시아행...김영철은 명단에 없어
이승현 기자  |  shlee@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9.04.24  08:18:12
페이스북 트위터
   
▲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러시아 방문을 위해 24일 새벽 전용열차로 출발했다고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캡쳐사진-노동신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 참석을 위해 24일 새벽 전용열차로 출발했다고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신문은 이날 "우리 당과 국가, 군대의 최고영도자 김정은동지께서 로씨야연방을 방문하시기 위하여 4월 24일 새벽 전용열차로 출발하시었다"고 전했다.

김평해·오수용 당 부위원장, 리용호 외무상, 리영길 군 총참모장,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 그리고 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위원회 성원들이 김 위원장과 함께 떠났다고 알렸다. 그동안 북미, 북중회담에 빠지지 않고 동행했던 김영철 당 통일전선부장은 이번 명단에서 빠져 주목된다.

이날 최룡해, 박봉주를 비롯한 당과 정부, 무력기관의 간부들이 김 위원장을 환송했으며, 김 위원장은 이들 간부들과 인사를 나눈 뒤 전용열차로 출발했다.

러시아 크렘린궁 고위 관계자를 통해 4월 25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정상회담을 할 것이라는 소식이 알려졌지만 신문은 이날 보도에서도 러시아 방문 일정 등에 대해서는 일체 언급하지 않았으며, 어느 역에서 출발해 목적지가 어디인지도 분명하게 알리지 않았다.

   
▲ 신문은 김정은 위원장이 어느 역에서 출발해 러시아의 어느 역에 도착할 것인지, 방러 일정은 어떻게 되는지 알리지 않았다. [캡쳐사진-노동신문]
   
▲ 그동안 북미, 북중 정상회담 자리를 지켜 온 김영철 당 부위원장이 이번 방러 수행자 명단에서 빠져 주목된다. [캡쳐사진-노동신문]
   
▲ 부인 리설주 여사는 이번 방러일정에 동행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캡쳐사진-노동신문]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의회진입 문턱 높이는 ‘봉쇄조항’ 상향은 불온한 발상”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9/04/24 10:22
  • 수정일
    2019/04/24 10:22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의회진입 문턱 높이는 ‘봉쇄조항’ 상향은 불온한 발상”
 
 
 
백남주 객원기자 
기사입력: 2019/04/24 [07:08]  최종편집: ⓒ 자주시보
 
 

▲ 원내외 진보정당들이 ‘봉쇄조항’ 하향 조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사진 : 민중당)     © 편집국

 

여야 4당이 선거제 개혁을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처리하기로 한 가운데원내외 진보정당들이 봉쇄조항’ 하향 조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현재 국회의원 비례의석은 일정비율 이상을 득표한 정당에게만 배분된다그 기준은 정당득표율 3% 혹은 지역구의석 5석이다여야 4당이 마련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방안역시 이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더군다나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논의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 측에서 봉쇄조항을 5%로 올리는 문제도 제기했다고 밝힌 바 있다.

 

민중당노동당녹색당미래당은 23일 오후 1시 30분 국회 앞에서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여야 4당의 선거제 개편 논의의 부족점을 지적하며, ‘봉쇄조항’ 하향 조정을 촉구했다.

 

이들 진보정당들은 선거제도 개혁의 근본 취지는 대표성과 비례성을 높이는 대전제 위에 성립한다며 촛불혁명 이후 다양한 정치적 목소리가 울려퍼지는 대한민국의 정치적 다양성을 보장하려면, 21대 국회는 더 다양한 정치세력의 의회구성을 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진보정당들은 선거제 개편 합의과정에서 봉쇄조항을 5%로 상향하자는 주장이 제기된 것에 대해 이것은 정치개혁의 근본취지를 상실한 것이며또 다른 정치기득권의 연장에 불과하다며 불온한 발상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

[기자회견문 전문]

 

정치개혁의 취지를 생각하면 봉쇄조항은 오히려 낮춰야 한다!

 

오늘 대한민국은 87년 민주화 체제 이후 역사적인 정치개혁의 작은 빗장 하나를 열고 있다작년 12월 15일 여야 5당 원내대표가 합의한 연동형비례대표제로의 선거제도 개혁이 한 고비를 넘어서는 시점이기 때문이다난항과 공전을 거듭하던 선거제 개편안이 어제 여야 4당간 합의의총 추인에 이어 정개특위에서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의 지정 절차를 눈 앞에 두고 있는 시점이다논의가 본격화된 작년 10월부터 6개월 간의 우여곡절이 많았다그럼에도 원내외 7정당과 570여 정치개혁공동행동 시민사회는 한 목소리로 선거제도 개혁을 20대 국회에 촉구해왔다.

 

현재의 선거제 개편안은 불완전한 정치개혁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그동안 개혁세력이 일관되게 요구해왔던 온전한 비례대표제가 아닌반쪽짜리 선거개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하지만 새로운 선거제도가 국민의 대표성과 정치적 비례성을 다소나마 높여가는 방향에 서 있음에 작은 기대를 모아본다패스트트랙 지정은 선거제 개편의 완성이 아니라 완성을 향한 공론장의 시작이 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현재의 국회의석 배분기준으로 명기된 소위 <봉쇄조항 3% 혹은 지역구의석 5>은 어디를 보더라도 그 근거가 희박하다선거제도 개혁의 근본 취지는 대표성과 비례성을 높이는 대전제 위에 성립한다따라서 촛불혁명 이후 다양한 정치적 목소리가 울려퍼지는 대한민국의 정치적 다양성을 보장하려면, 21대 국회는 더 다양한 정치세력의 의회구성을 포용해야 한다그 시작이 현행 의회진입 봉쇄조항을 전면적으로 하향조정하는 것이다우려스러운 것은 이번 선거제 개편 합의과정에서 되려 봉쇄조항을 5%로 상향하자는 주장이 있었다는 사실이다이것은 정치개혁의 근본취지를 상실한 것이며또 다른 정치기득권의 연장에 불과하다거대양당의 정치기득권을 혁신하겠다더니봉쇄조항의 문턱을 높여 소수정당의 의회진입을 원천봉쇄하겠다는 발상은 너무나도 불온하다.

 

이에 정치개혁을 위해 달려온 민중당노동당녹색당미래당 4개 정당은 봉쇄조항 상향조정 주장을 강력하게 규탄한다진정한 정치개혁은 대표성비례성다양성을 확대하는 것에 있음을 다시한번 확인한다향후 정개특위 심의와 선거제 개편 과정을 예의주시하며정치개혁이 최악의 상황으로 내몰리지 않도록 함께 연대하며 봉쇄조항 상향의 반개혁성을 국민들에게 알려나갈 것을 약속한다.

 

2019년 4월 23

민중당 노동당 녹색당 미래당

 
후원하기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북 “공화국은 인민의 이익을 최우선, 절대시하는 주체의 사회주의”

북 “공화국은 인민의 이익을 최우선, 절대시하는 주체의 사회주의”
 
 
 
김영란 기자 
기사입력: 2019/04/23 [11:23]  최종편집: ⓒ 자주시보
 
 

 

▲ 투표를 하고 나오는 북의 주민들 모습     

 

▲ 평양거리, 북에서는 최근 대규모의 건설사업을 진행한 것도 주민들에게 세상에 부럼없는 만복을 안겨주려는 당의 의도라고 강조하고 있다.     

 

▲ 공부하는 북의 대학생들 모습     

 

지난 12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제14기 최고인민회의 제 1차 회의에서 현 단계에서의 사회주의 건설과 공화국 정부의 대내외 정책에 대하여를 발표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시정연설에서 국가 활동과 사회생활 전반에 인민대중제일주의를 철저히 구현할 것을 강조하면서 사회주의 건설이 심화될수록 인민대중제일주의를 구현하기 위한 사업에 더 큰 힘을 넣어 혁명의 전진동력을 배가하고 남들이 모방할 수 없는 우리 식 사회주의의 고유한 우월성을 계속 높이 발양시켜 나가야한다고 밝혔다.

 

북의 대외매체 중의 하나인 <조선의 오늘>은 23일 우리의 사회주의는 인민대중제일주의를 구현한 주체의 사회주의라는 기사를 게재했다.

 

인터넷에 올라온 소식에 의하면 <조선의 오늘>은 기사를 통해서 북 사회주의의 우월성을 강조했다.

 

<조선의 오늘>은 기사에서 우리 공화국은 인민이 모든 것의 주인으로 되고 모든 것이 인민대중을 위하여 복무하는 참다운 인민대중 중심의 사회주의 나라로 만방에 빛을 뿌리고 있으며 세월의 모진 풍파 속에서도 인민적 성격을 변함없이 고수하고 빛내어 온 사회주의전체 인민의 절대적인 지지와 신뢰 속에 자기의 노정에 오직 빛나는 승리와 영광만을 수놓아온 사회주의가 바로 우리의 사회주의라고 밝혔다

 

<조선의 오늘>은 북의 사회주의는 먼저 인민의 존엄과 권리를 굳건히 지켜주고 최상의 높이에서 보장해주는 사회주의라고 하면서 인민대중이 모든 것의 주인으로 되고 있는 우리 공화국에서는 인민들 누구나 동등한 정치적 권리를 가지고 모든 주권행사와 국가관리에 주인답게 참가하고 있으며 사회정치활동도 자유롭게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가와 사회의 모든 것이 인민대중을 위하여 복무하는 공화국에서는 인민들의 지향과 요구가 그대로 국가의 노선과 정책 작성의 출발적기초로 되고 있으며 이로 하여 인민의 존엄과 권리를 참답게 보장해주기 위한 당과 국가의 인민적 시책들은 세기를 이어 오늘도 끊임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고 <조선의 오늘>은 강조했다.

 

두 번째로 <조선의 오늘>은 사회주의는 인민의 이익과 편의를 최우선절대시하고 인민의 이상과 꿈을 활짝 꽃피워주는 사회주의라면서 우리의 사회주의 건설의 전 노정은 인민의 이익과 편의를 최우선절대시하며 인민의 꿈과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투쟁해온 인민대중제일주의의 역사로 빛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조선의 오늘>은 우리 공화국에서는 인민들에게 노동의 권리배움의 권리창조와 향유의 권리를 참답게 보장해주고 있으며 나라 사정이 아무리 어려워도 인민들에게 훌륭한 살림집들을 무상으로 안겨주고 자라나는 새 세대들을 돈 한 푼 받지 않고 대학에 이르기까지 무료로 공부시켜주며 교복과 학용품을 배려해주는 것과 같은 인민적 시책들을 변함없이 실시해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조선의 오늘>은 단순히 먹고 입고 쓰고 살게 하는 것만이 아니라 인민들에게 세상에 부럼 없는 만복을 안겨주려는 조선노동당의 숭고한 인민사랑의 역사 속에 오늘 공화국에서는 인민을 위한 현대적인 거리들과 문화정서 생활기지들시대를 대표하는 기념비적창조물들이 우후죽순처럼 솟아나는 눈부신 현실도 끝없이 펼쳐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선의 오늘>은 조국 보위의 총대를 틀어쥔 인민군대가 인민의 행복의 창조자로 위용 떨치고 당정권기관 일군들이 <모든 것을 인민을 위하여모든 것을 인민대중에게 의거하여!>라는 구호를 높이 들고 인민의 심부름꾼인민의 복무자가 되어 인민생활 향상을 위해 발이 닳도록 뛰고 또 뛰는 모습은 오직 우리 공화국의 사회주의 제도하에서만 볼 수 있는 자랑찬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조선의 오늘>은 세상에는 나라도 많고 나라마다 세워진 사회제도들도 각이하지만 우리의 사회주의처럼 인간의 존엄과 권리를 굳건히 지켜주고 빛내어주는 사회이민위천의 숭고한 사상이 현실로 꽃피고 인민들이 앞날에 대한 근심 걱정 없이 행복하게 사는 인민대중 중심의 사회제도는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며 북 사회주의의 우월성을 긍지 높게 자랑했다.

 

 

 

 
후원하기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대 국회 없다” “직접 방미” 자유한국당의 도 넘은 ‘국정 발목잡기’

문재인 정부 향한 정치적 비난 일색...개혁 입법은커녕 여야 협상 줄줄이 난항

최지현 기자 cjh@vop.co.kr
발행 2019-04-22 20:16:36
수정 2019-04-22 20:16:36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등 소속 의원들과 당원들이 20일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자유한국당의 ‘문재인 STOP!, 국민이 심판합니다!’ 규탄대회를 열고 현 정부의 독단적인 정부 운영을 규탄하고 있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등 소속 의원들과 당원들이 20일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자유한국당의 ‘문재인 STOP!, 국민이 심판합니다!’ 규탄대회를 열고 현 정부의 독단적인 정부 운영을 규탄하고 있다.ⓒ정의철 기자
 
 

21대 총선을 1년 가량 앞두고 있는 시점에 자유한국당의 '국정 발목잡기'가 도를 넘어서고 있다. 이른바 '태극기부대'로 일컬어지는 극우성향의 지지층까지 끌어안기 위해 명분 없는 정치공세만 펼치는 꼴이다. 이로 인해 정치는 실종되고 국정에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

태극기부대 호응 얻은 자유한국당의 장외투쟁
'문 대통령은 김정은 대변인' 운운하면서 직접 미국에 가겠다는 황교안
 

자유한국당은 지난 주말에는 국회를 벗어나 대정부 장외투쟁까지 나섰다. 황교안 대표 체제 출범 후 처음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야당의 반발에도 이미선 헌법재판관을 국회의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없이 임명을 강행했다는 게 이유인데, 실제로는 문재인 정부에 대한 전방위적인 비난 일색이었다.

특히 황 대표는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정착을 목표로 한 문재인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에 대해 야당으로서 비판하는 것을 넘어, 색깔론을 동반한 비난을 퍼부어 여권을 자극했다.

황 대표는 지난 20일 서울 광화문 앞에서 당원을 총동원해 연 장외집회에서 "북한은 우리를 핵으로 위협하고 있는데 대통령은 대북 제재를 풀어달라고 사방팔방 돌아다니고 있다. 경제를 살릴 의도는 보이지 않고 김정은 대변인 역할만 하고 있다"라고 비난했다.

이는 나경원 원내대표가 지난 3월 12일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더 이상 대한민국 대통령이 김정은 수석대변인이라는 낯뜨거운 이야기를 듣지 않게 해달라"라고 언급해 논란이 됐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아랑곳하지 않겠다는 심산으로 보인다. 이날 집회에서는 "종북 외교", "좌파 독재" 등의 원색적인 비난성 구호도 난무했다. 결국 태극기와 성조기를 함께 든 '태극기부대'가 자유한국당의 집회에 자연스럽게 합류했다.  

황 대표의 발언을 두고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막말이 계속되고 있어 매우 유감"이라며 불쾌감을 드러냈고,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도 나서 "다시 한번 그런 발언을 하면 용납하지 않겠다"라고 경고장을 날렸다. 같은 당 우상호 의원 역시 tbs 라디오에 출연해 "우리 같은 사람을 빨갱이로 만들어서 출세하더니 이제 정치에서 문 대통령을 빨갱이로 매도해서 정치적 이득을 보겠다? 이 버릇 고쳐야 된다"라고 일갈했다.  

황 대표가 '김정은 대변인'을 운운한 건 단순히 색깔론을 동반한 막말에 그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권을 협상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선전포고한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평가다.

바른미래당 이상돈 의원은 YTN라디오에 출연해 "문 대통령은 '김정은 대변인'이라고 한 건 정권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국회는 이제 의미가 없다. 어떻게 청와대나 여당이 이런 상태의 제1야당과 무슨 원내 협상과 무슨 대화를 하겠나"라고 황 대표를 질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한국당은 적반하장식의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전희경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김정은의 대변인격이라는 비판이 싫다면 행동으로 보이면 그뿐"이라며 "국익을 최우선으로 당당하게 북한 김정은을 향해 할 말을 하는 대통령의 모습을 보여 주시라"라고 주장했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22일 국회 당 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22일 국회 당 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정의철 기자

자유한국당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미국을 상대로 직접 외교에 나서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황 대표는 22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지금 이 정권의 외교는 국익은 뒷전, 국가안보와 국민안전에도 무관심, 오로지 북한만 최우선으로 하고 있어서 정말 걱정"이라며 "국민과 나라를 먼저 생각해서 외교정책 전반을 재점검하고, 근본적인 외교정책 방향을 바로 잡아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황 대표는 "저는 이번 주부터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대사들을 만나고, 우리 당 차원의 외교적 역할들을 찾아나갈 계획이다. 조만간 미국을 방문할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라며 "정권이 못하는 부분을 우리라도 채울 수 있도록 꼼꼼하게 잘 준비를 해주시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국익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자유한국당의 입장은 미국의 대북 강경파와 별반 다르지 않다.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흐름에 역행하는 것으로, 오히려 외교적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황 대표의 방미 추진은 지난 2017년 홍준표 전 대표가 '전술핵 재배치'를 요청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했던 것과 비슷하다. 당시 홍 전 대표는 미국 현지 전문가들에게 '면전박대'를 당하고 돌아와 "나라망신을 자초했다"라고 비판에 직면한 바 있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등 최고위원들이 22일 국회 당 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등 최고위원들이 22일 국회 당 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정의철 기자

"20대 국회는 없다" 엄포한 나경원 
개혁 입법은 물론 여야 협상 줄줄이 난항
 

이와중에 나경원 원내대표는 "원내·외 병행 투쟁"을 한다더니, 여야 4당 원내대표가 합의한 개혁 법안 처리에 나홀로 반대하며 국회를 사실상 멈춰세우고 있다.

나 원내대표는 22일 여야 4당 원내대표가 선거제도 개혁,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 검·경수사권 조정 법안을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에 태우기로 합의한 데 대해 강하게 반발하며 "선거제와 공수처 법안을 패스트트랙에 태우는 순간 20대 국회는 없다"라고 엄포했다.

이들 법안은 모두 대표적인 권력기관 개혁 입법 사안으로, 시민사회에서도 오랫동안 요구해온 것이었다. 오히려 자유한국당을 비롯한 보수야당의 반대에 가로 막혀 처리가 어려워지자 협상 과정에서 일보 후퇴된 법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한국당이 이렇다 할 명분도 없이 정치적 득실 계산으로 반대만 하고 있는 셈이다.  

이를 두고 정치권 밖에서는 "언제 20대 국회가 있기나 했느냐"는 조롱 섞인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그만큼 국회가 거의 매달 열렸지만 자유한국당에 가로 막혀 개혁 법안 처리가 된 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선거제도 개혁에 목소리를 높여온 하승수 비례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는 나 원내대표의 발언에 대해 "국민들에게 20대 국회는 늘 없었다"라며 "정치도 제대로 못하면서 정당 국고보조금만 받아먹고, 1년에 3억원씩 후원금 받은 사람들이 할 얘기는 아닌 것 같다"라고 꼬집었다.

나 원내대표는 선거제와 공수처 법안 등 권력기관 개혁 법안뿐만 아니라 정부·여당이 국회 제출을 예고한 '국민안전 강화와 선제적 경기 대응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서도 "총선용 추경"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보수진영이 요구해온 탄력근로제 확대 법안과 최저임금제도 개편 법안 등의 처리 역시 여야 입장차로 국회에 계류된 상태다.  

문 대통령은 최근 여당 지도부에 "여야 합의가 어려우면 중앙아시아 순방을 마치고 돌아와서 여야정 협의체를 가동해 쟁점 사안들을 해결하는 게 좋겠다"라고 당부했지만, 이마저도 자유한국당의 반대로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 강병원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자유한국당이 '민생 국회를 지키라'는 국민의 명령을 무시하고 오히려 '국회를 버려야한다'며 정쟁만을 향한 폭주를 계속한다면, 국민이 먼저 자유한국당을 버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왼쪽)와 박광온 최고위원이 22일 국회 당 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의견을 나누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왼쪽)와 박광온 최고위원이 22일 국회 당 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의견을 나누고 있다.ⓒ정의철 기자
 

최지현 기자

기자를 응원해주세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4차산업혁명, 굳이 자본가에 맡길 이유가 있나?

[오민규의 인사이드 경제] 4차 산업혁명의 아이콘, 미래자동차와 플랫폼

 

 

 

4차 산업혁명, 대체 이건 뭐라고 정의해야 할까? <인사이드 경제>는 수많은 전문가들의 문서를 읽기도 해봤고 온라인상 글을 뒤져보기도 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우선 전문가들 사이에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고, 다루는 분야에 따라 말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았다. 심지어 나라별로도 4차 산업혁명 논자들의 강조점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했다.
 
하지만 그 다양함 속에서도 공통적인 얘기가 2가지 있었다. 첫째 경기침체가 일상화될 정도로 자본가들 이윤율이 바닥을 기고 있다는 점, 둘째 기술혁신을 결합시킨 산업 구조개편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겉으로 봐서는 새로울 것도, 특별할 것도 없는 논리이다. 자본주의가 생겨난 이래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지 않은 시절이 있었던가? 
 
위기에 빠진 자본주의 구하기 프로젝트 
 
기술혁신 관련한 얘기는 사실이다. 하지만 '낮은 이윤율' 얘길 빼먹으면 안 된다. 물론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이윤율이 떨어지며 경제가 위기로 치달은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며, 최근 반세기 동안만 해도 2~3차례는 있었던 사건이다. 그때마다 부동산 거품이니 주식 거품이니 다양한 경기부양 요인을 만들어 탈출하곤 했다. 
 
그런데 이번엔 아니다. 백약이 무효다. 2008년 리먼브라더스 파산 이후 폭삭 내려앉은 세계경제와 자본의 이윤율은, 잠시 반등하는 것처럼 보이긴 했지만 이내 바닥으로 추락하고 말았다. 이제 버블(bubble, 거품)로는 더 이상 약발이 먹히지 않는다. 자본주의 자체가 위기에 빠진 것이다. 
 
그렇다면 자본가들 입장에선 좀 더 근본적인 처방을 필요로 한다. 증기기관의 발명, 과학기술혁명과 같은 수준의 처방 말이다. 어쩌면 이게 바로 4차 산업혁명이 지향하는 바이자 진짜 실체가 아닐까? 낮은 이윤율을 반등시키기 위한 기술혁신과 산업구조 재편,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위기에 빠진 자본주의 구하기 프로젝트 말이다. 
 
가설은 일단 여기까지로 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 파헤쳐 보는 게 필요할 것 같았다. 그래서 <인사이드 경제>는 질문을 바꿔보기로 했다. 4차 산업혁명에 관심이 있는 건 비단 자본가들만이 아니다. 이 문제를 중점사업으로 추진하는 정부는 대체 어떤 산업을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꼽고 있으며 그 이유는 무엇일까? 
 
자본가들이 꼽은 새로운 먹거리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대통령 직속으로 '4차 산업혁명 위원회'가 설치되기도 했지만 이 위원회가 하는 일은 이런저런 토론에 불과하다. 실제로 일을 추진하고 있는 곳은 청와대·기획재정부·산업자원통상부다. 그들은 자신들 프로젝트에 4차 산업혁명이 아니라 ‘혁신성장’이라는 이름을 붙여놓았다. 
 
그럼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어떤 부문을 꼽고 있을까?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혁신성장’의 8대 선도사업으로 다음과 같은 업종을 선정한 바 있다 : 미래자동차, 드론, 스마트공장, 스마트팜, 스마트시티, 에너지신산업, 초연결지능화, 핀테크.
 
이렇게만 보면 그저 ‘떠오르는 신산업’ 정도로만 보인다. 이걸 좀 이해하기 쉽게 범주화 하는 방법은 없을까? 다행히 정부가 지난해 8월에 발표한 ‘혁신성장 전략투자 방향’ 중 전략투자 분야를 살펴보면 8대 선도사업 개념과 함께 ‘플랫폼 경제 구현을 위한 3대 분야’라는 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작년 8월 13일, 정부 혁신성장 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된「혁신성장 전략투자 방향」
 
대체에너지, 인공지능(AI), 플랫폼 
 
정부가 선정한 ▵8대 선도사업과 ▵플랫폼 경제 3대 분야를 함께 분석해 보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개요를 파악할 수 있다. <인사이드 경제>는 8대 사업과 3대 분야를 아래와 같이 플랫폼 AI(인공지능) 대체에너지 3개의 범주로 나누어 보았다. (파란색 글씨는 플랫폼 경제 3대 분야, 까만 글씨는 8대 선도사업에 포함된 영역들임)
 
이렇게 범주화를 시도해보니 4차 산업혁명이 눈에 좀 들어오기 시작한다. 그래, 자본가들이 낮은 이윤율을 반전시키기 위해 새로운 먹거리로 선택한 게 바로 저 3가지로구나! 실제로 자본가들은 △대체에너지 △AI △플랫폼, 3개 부문을 새로운 먹거리로 선택하고 기술혁신을 집중시키고 있는 상황 아닌가. 
 
석유·석탄·원자력을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을 찾아낸다면 대박이 난다는 건 상식이다. 인간처럼 사고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낸다면 노동력 대체가 가능해 인건비 절감이 가능하며, 소비자와 노동력을 직접 연결시키는 플랫폼을 장악한다면 특별 이윤을 노려볼 수 있다. 너도 나도 '플랫폼' 선점에 나선 이유가 여기에 있다. 
 
"4차 산업혁명이라면 바이오 의료 같은 것도 포함되지 않나요?" 
 
앞으로 이런 질문들이 던져지면 앞의 3가지 범주를 적용해보면 된다. 의료 산업에서 자본가들이 찾아낸 새로운 먹거리는 ‘원격 의료’이다. 기존 병원 시장은 포화 상태이니 차라리 환자와 의사를 원격으로 연결시키는 플랫폼을 장악하자는 것이다. 따라서 바이오 의료는 ‘플랫폼’으로 등장하게 될 것이다. 
 
상용화되고 있는 건 플랫폼과 미래자동차 
 
자본가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는 게 3가지 분야이긴 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체감할 수 있는 영역은 ‘플랫폼’ 뿐이다. 인공지능(AI)의 중요성이야 모든 자본가들이 칭송하고 있지만 아직 상용화 단계까진 멀었다. 가끔 광고에서 “◯◯야, 조용한 음악 좀 틀어줘~”라며 마케팅을 시작하긴 했지만 아직까진 ‘딥 러닝(Deep Learning)’ 단계이다.
 
올해 구글(웨이모)과 GM(크루즈)이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야심차게 기획하고 있지만 <인사이드 경제> 입장에선 고개가 가로저어진다. 현 시점의 기술 수준으로 운전자를 완전히 대체할 자율주행차가 과연 가능할까? 매우 부분적이거나 다른 보완책을 전제로 해서만 작동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자칫하면 합법적인 살인기계가 도로 위를 달리게 될 테니 말이다.
 
대체에너지 부문도 마찬가지다. 전기자동차가 상용화 단계에 올라오긴 했지만 저게 과연 ‘대체에너지’라고 볼 수 있을까? 전기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기의 압도적 부분은 석탄·석유·원자력으로부터 얻는다. 수소차의 수소를 얻는 방식 또한 화석연료를 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현재 전기차·수소차는 사이비 대체에너지 수준일 뿐이다. 하지만 만약 수력·풍력·태양열과 같은 자연적인 에너지원을 바탕으로 상용화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다면? 그거야말로 우리가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친환경 대체에너지가 될 것이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미래자동차는 비록 ‘사이비’이고 ‘부분적’일 뿐이라 할지라도 4차 산업혁명 먹거리 3가지 분야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공장을 돌릴 만한 전기 배터리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지만 자동차를 구동시킬 수준의 배터리는 개발되어 있고, 아직은 환상에 불과할지라도 거의 모든 완성차 업계와 IT 업계가 달려들어 자율주행이라는 미래의 꿈을 팔고 있다.
 
게다가 카쉐어링·카헤일링 부문에서 이미 상용화된 플랫폼은 이미 우리 일상 속으로 깊이 파고든 상태이다. 과거에 미래자동차라고 하면 전기차·수소차나 자율주행차를 떠올렸지만 이제는 누구나 모빌리티 관련 스마트폰 앱을 쉽게 떠올린다. 4차 산업혁명의 아이콘으로 플랫폼과 미래자동차가 꼽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자본에게 중요한 건 '필요'가 아니라 '수요' 
 
4차 산업혁명이 모종의 ‘혁명’이라면 현재 이 혁명의 유력한 주체는 자본가들이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 하였으나, 자본가들에게 이윤을 가져다주는 건 필요가 아니라 ‘수요’다. 산간벽지와 낙도에도 전기와 가스가 ‘필요’하지만, 그리고 그곳에 전기와 가스를 공급할 기술도 개발되어 있지만, 이윤이 남을 만큼의 ‘수요’가 없다면 자본가들은 절대로 이 사업을 추진하지 않는다. 
 
문재인 정부와 현대차 자본은 수소차가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이 있다고 엄청 선전해댄다. 수소 연료전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기 중의 산소를 순도 높게 공급해야 해서 고성능 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건 연료전지 효율과 이윤율 제고라는 목적을 추구하다 얻어진 부산물일 뿐이다. 더 효율적인 다른 방법이 나타나면 언제든지 버려지고 말 것이다.
 
그런데 자본의 이윤율이 바닥을 헤매는 자본주의 위기 시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본가들이 찾는 새로운 수요들은 어쨌건 ‘필요’에 기초할 수밖에 없다. 인류에게 필요한 것이어야만 수요가 만들어지기 마련이니까 말이다. 다만 그것이 유효한 수요가 되기 위해서는 이 상품을 필요로 하는 이들이 충분한 소비능력을 갖춰야 한다는 조건이 붙어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이런 산업혁명을 자본가들에게 맡겨놓을 이유가 있을까? 인류가 필요로 하는 것 중에 충분한 수요가 발생하는 곳만 자본가들이 노리는 것일 뿐인데 말이다. 오히려 이 문제를 공공의 영역으로 옮겨놓으면 충분한 수요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인류가 필요로 하는 것을 상용화 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다. 
 
4차 산업혁명의 주체를 바꿔보자 
 
‘카카오 모빌리티'와 같은 것을 예로 들어보자. 카카오는 콜택시와 유사한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하며 빅 데이터를 차곡차곡 모아두었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모빌리티 영역으로 치고 들어오며 택시 부문과 충돌이 벌어진다. 그런데 정말로 모빌리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라면 이걸 공공 영역이 수행하는 게 정상 아닐까? 
 
이를테면 택시 승차 거부의 주요 원인이 되는 사납금제를 폐지하고 완전월급제 실시를 유도할 수 있는 실력을 서울시가 갖고 있다. 그렇다면 서울시가 저런 모빌리티 서비스와 플랫폼을 운영하면 되는 일이다. 택시업계가 서울시 보조금으로 살아가고 있음은 비밀이 아니고, 서울시민의 택시 사용에 대한 빅 데이터 역시 공공의 용도로 사용됨이 자연스러우니 말이다.
 
수소차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전기차와 달리 수소차는 비교적 덩지가 큰 차량에 적용하는 게 적합하다. 그렇다면 시내버스·광역버스·고속버스 등에 수소차를 적용하고, 여기에 투입되는 수소는 풍력·수력·태양열 등 대체 에너지를 사용하면 연비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연비 절감은 교통요금 인하로 직결되고 이는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을 늘려 교통체증 문제도 잡을 수 있다. 
 
특히 이런 대중교통 버스의 경우 노선이 일정하기에 특정 거점에만 수소 충전소를 갖추면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충전소 하나 건설에 수십억이 들어가는 수소 충전 인프라의 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일들 역시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등 공공의 영역에서 수행한다면 훨씬 친환경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을 자본가들에게 맡겨둘 이유가 더더욱 없지 않은가. 
 
다른 글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고성 산불 때, 장애인들이 어떻게 대피했는지 아십니까?

[강원 산불 피해지역, 속초를 가다 ①] 수어통역 실종... 재난에서 소외되는 농인들

19.04.23 08:55l최종 업데이트 19.04.23 08:55l

 

 

속초 농아인 교회 새까맣게 전소된 속초 농아인 교회의 모습.
▲ 속초 농아인 교회 새까맣게 전소된 속초 농아인 교회의 모습.
ⓒ 함민정

관련사진보기

  

농아인 교회 앞 전소된 차량 트럭이 녹아내려 바닥에 들러붙었다.
▲ 농아인 교회 앞 전소된 차량 트럭이 녹아내려 바닥에 들러붙었다.
ⓒ 함민정

관련사진보기


"전쟁이 난 것 같았습니다."

속초 농아인 교회의 이원훈(73) 목사. 그는 거대한 산불이 덮친 그날을 이렇게 기억했다. 이 목사는 농인이다. 

"빨간 불이 휙휙 날아다녔어요." 

통역사를 통해 전달된 말은 정돈되어 있었지만, 이 목사의 긴박한 표정과 손짓엔 산불 당시의 현장이 생생했다. 이 목사는 이번 산불로 교회가 전소되는 피해를 입었다. 검게 그을린 교회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만큼 파괴된 모습이었다. 건물 옆엔 노란색 트럭이 녹아내려 바닥에 들러붙었다. 당시의 참혹함을 보여주는 듯했다. 화재가 난지 10일이 지났음에도 탄내가 진동했다. 바닥엔 빈 소화기만이 남아, 화마와 싸우던 당시의 흔적을 말해주고 있었다.
 

속초 농아인 교회 이원훈 목사(73) 인터뷰  수어통역이 없어 답답하다고 토로하는 이원훈 목사(좌)
▲ 속초 농아인 교회 이원훈 목사(73) 인터뷰  수어통역이 없어 답답하다고 토로하는 이원훈 목사(좌)
ⓒ 함민정

관련사진보기


"화상통화로 상황 전파"

 

이원훈 목사는 재난 문자를 통해 산불 소식을 처음 접했다. 속초 농아인 교회에는 7~10명 정도의 농인들이 소속돼 있다. 이 목사는 교인들의 생사를 확인하기 위해 영상 통화를 걸었다.

"직접 높은 곳에 올라가 불길을 눈으로 봤습니다." 

이 목사는 화재 상황을 직접 확인했다고 한다. 뉴스가 나오긴 했지만, 그저 불타는 현장을 보여주는 것에 불과했다. 이 목사에겐 도움이 될 만한 정보가 없었다. 늦은 오후, 산불은 속초 시내 쪽으로 번져 왔다. 이 목사는 교회가 타고 있다는 소식을 지인이 보내준 카카오톡 메시지를 통해 접했다. 다음날 아침 이 목사는 완전히 전소된 교회를 마주했다.

"다행히 모두가 괜찮았습니다."

이 목사가 계속 대피를 지시한 끝에 속초 농아인 교회의 교인들은 무사할 수 있었다.
 
속초 수화통역센터 인터뷰에 응한 이유란 통역사(좌)와 조연주 센터장(우)
▲ 속초 수화통역센터 인터뷰에 응한 이유란 통역사(좌)와 조연주 센터장(우)
ⓒ 함민정

관련사진보기

  
"새벽 2시까지 수화로 상황 전달"

속초 화재 당시, 바쁘게 움직였던 건 이원훈 목사만이 아니다. 속초시 수어통역센터도 긴급하게 움직였다.

"새벽 2시까지 수화로 상황을 전달했어요."

조연주(48) 속초시 수어통역 센터장의 말이다. 산불이 난 급박한 상황에서 불이 났다는 외침이나, 전화와 같은 음성 정보들은 농인들에게 전달되기 어렵다. 수어통역센터(이하 센터)가 당일 긴박하게 대응에 나선 이유다. 센터에 등록된 농아인들 사이엔 영상통화가 가능한 전화기가 있다. 전화가 오면 설치된 조명기기를 통해 빨갛게 불이 들어온다. 센터는 화상전화기를 통해 4~5명의 직원들과 함께 속초시의 농인들에게 상황을 전파했다.
 
화상전화기 농인들이 사용하는 화상전화기.
▲ 화상전화기 농인들이 사용하는 화상전화기.
ⓒ 함민정

관련사진보기

  
화상전화 알림장치 빨간 부분에 번쩍번쩍 불이들어와 농인들에게 화상 전화가 왔음을 알려준다
▲ 화상전화 알림장치 빨간 부분에 번쩍번쩍 불이들어와 농인들에게 화상 전화가 왔음을 알려준다
ⓒ 함민정

관련사진보기

 
"뉴스는 그다지 도움 되지 않았다"

무엇보다 급박했던 건 산불 당시에 화재로 통화가 끊기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다. 농인들이 재난방송을 보면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TV를 보고 상황을 알 수 있지 않았냐'라는 물음에 조연주 센터장은 고개를 저었다. 실제로 5일 당일 저녁 뉴스는 단 한 곳도 수어번역이 없었다. 불길이 이미 어느 정도 잡힌 다음날 아침에서야 시작됐다.

'자막은 있지 않았냐'는 질문에도 고개를 저었다. 청각장애인들은 한국어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수어와 한국어는 언어체계가 달라 배우기 어렵다. 더군다나 속초의 농인들은 무학이 많다. 때문에 뉴스 자막은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다. 당일 뉴스 보도가 시각적으론 불이 난 화면을 송출하는 것에 불과했던 것도 문제였다. 농인들에게 뉴스에서 얻을만한 정보는 '불이 났다'는 사실뿐이었다.

"재난 상황에서 소외된 농인들"

강원 산불 이전에도 재난방송엔 수어통역이 부족했다. 2년 전 포항 지진 때도 마찬가지였다. 한국 농아인 협회를 비롯해 장애인 시민단체들은 재난 방송에서 수어통역의 필수 도입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하지만 변하는 건 없었다.

현재 방송법은 수어통역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용성이 떨어진다. 전체 방송의 5%만을 규정하고 있다. 하루 24시간 중 72분에 불과하다. 그뿐만 아니라 뉴스에 나오는 수어통역 화면 크기도 매우 작다. 우리나라 방송에선 수어통역이 오른쪽 하단에 동그랗게 존재한다. 그러나 너무 작아서 알아보기 힘들다. 이원훈 목사도 "너무 화면이 작아서 알아볼 수가 없다"고 가슴을 치며 불만을 토로했다.
 
속초 산불 현장에 남아있는 소화기 불을 끄기 위해 사투를 벌인 흔적이 남아있다.
▲ 속초 산불 현장에 남아있는 소화기 불을 끄기 위해 사투를 벌인 흔적이 남아있다.
ⓒ 함민정

관련사진보기

 
산불로 인해 100ha가 넘는 면적이 불탔다. 1600여 건의 주택과 공공시설이 피해를 입었다. 불길이 어디로 갈 지 모르는 긴박한 상황 속에서, 산불 진행 상황을 알려주고 대피를 돕는 시스템이 절실했다. 하지만 국민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도입된 '재난보도'는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다. 특히 재난보도는 농인에게 더욱 불친절했다. 수어체계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는 그들에게, 수어통역 없는 보도는 '불구경'에 불과했다. 허술한 재난보도 체제에서 속초 농인들은 스스로 목숨을 지켜야 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자주통일 새시대, ‘투쟁’없이 오지 않는다

[기고] 자주통일 새시대, ‘투쟁’없이 오지 않는다- 평화와 번영, 4.27 판문점 선언 1주년을 맞이하며
  • 엄미경 민주노총 부위원장
  • 승인 2019.04.23 09:32
  • 댓글 0
 

“지금 정세는 살얼음판을 걷는 것과도 같다”

지난해 4.27판문점선언이 발표된 직후, 6.15공동위원회 만남의 자리에서 북측 대표들이 호소한 말입니다. 그리고 8.12남북노동자 대표자회의에서도 북측 노동자들은 “조선(한반도)의 정세는 한 치 앞을 알 수 없다. 남북노동자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긴장을 놓지 않았습니다.

4.27판문점선언 이후, 1천여 건에 이르는 남북 민간자주교류 사업제안서가 전달되었지만 ‘남북노동자 통일축구대회’와 ‘새해맞이 금강산 상봉모임’외에는 이렇다 할 민간자주교류는 성사되지 못했습니다. 이는 북측 동포들이 그토록 우려했던 것이 무엇인지 현실적으로 체감하게 합니다. ‘평화와 번영, 자주통일 새 시대’는 그저 오지 않습니다. 올 해 2월, 하노이 회담(2차 북미정상회담)의 파탄은 이런 현실을 더욱 적나라하게 보여주었습니다. 미국은 본질적으로 ‘최고의 압박’이라는 ‘대북적대정책’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한미동맹이라는 이름으로 동북아 전초기지로써 한국의 역할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는 국방전략은 2019년 국방수권법(NDAA)에 올곧이 담겨져 있습니다.

미국을 극복하지 않고서는 한반도에서도, 세계 그 어디에서도 ‘평화’는 요원합니다. 세계에서 전쟁을 가장 많이 한 나라, 군사적 패권을 결코 놓지 않는 나라, 그런 미국이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그저 지켜보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한반도 대전환의 정세는 다시금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미국의 내정간섭은 점점 더 노골화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우리 정부의 태도인데, 문재인 정부는 판문점 선언 1조1항 ‘민족자주의 원칙’을 져버리고 ‘한미동맹 강화’의 길로 끌려가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북미관계에서의 ‘중재자 역할’ 타령만 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운명에서는 남도, 북도 결코 제3자가 될 수 없으며 ‘중재자’가 될 수 없습니다. 우리 운명의 주인은 우리 자신이며, 우리 민족의 운명도 우리가 결정해야 하는 직접 ‘당사자’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민족의 운명은 우리 스스로 결정한다’는 것이 4.27판문점선언의 핵심 정신입니다.

지난해 11월에 만들어진 이른바 ‘한미워킹그룹’은 일제 강점기 시절 ‘일제 총독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외교부는 미국의 요구대로 ‘남북관계발전 속도조절’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습니다. 대북제재 이행을 담당하는 조직에서 ‘제재수출 통제팀’을 분리해 별도의 ‘과’로 승격하는 등 체계개편을 통한 대북제재 역할을 더욱 확대해 나가려 하고 있습니다. 이는 4.27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공동선언 정신을 포기하겠다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뿐만 아니라 ‘미국의 방해 책동’이 노골화될수록 촛불혁명으로 다 죽어가던 자유한국당을 비롯한 수구보수 세력도 다시 자기들의 세상을 만난 듯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 5.18 등 민중항쟁의 역사를 왜곡하고 남북대결과 반북이데올로기를 조장하는 등 반평화 반통일 행위를 서슴지 않고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미국 눈치 보랴, 일본 눈치 보랴, 자한당을 비롯한 수구보수세력의 눈치 보랴’ 이 핑계 저 핑계를 대며 새로운 평화와 번영, 자주통일 걸음걸음을 망설이고 있습니다. 다시 한번 ‘민’이 앞장 서 나가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노동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한국사회에서 가장 실천적이고 투쟁적이며 조직적인 곳이 민주노총입니다. 또한 남북노동자들의 연대와 단결 정신도 가장 실천적입니다. 우리는 그 이름 그대로 자랑스러운 ‘노동계급’입니다. 노동계급은 온갖 도전과 난관에서도 ‘결코 자기운명을 스스로 포기하지 않는’ 투쟁의 상징입니다.

오는 4월27일 판문점선언 1주년에, 멈춰 선 평화와 번영, 자주통일의 시계를 다시 돌리고 움직이게 하는 거대한 힘을 만들어 냅시다. 4.27판문점선언 1주년에 임진각에서 우리 노동자가 판문점선언 1조 1항 ‘민족자주의 원칙’을 선언합시다.

평화와 번영, 자주통일 새 시대는 투쟁 없이 결코 오지 않습니다. ‘조만간 정세가 풀리겠지, 북미 간, 남북 간 물밑접촉이 있겠지’ 등의 근거 없는 낙관과 환상과는 단호히 결별하고 오로지 ‘실천과 투쟁’으로 대북제재 등 미국의 방해책동을 분쇄하고 남북공동선언을 지켜냅시다. 아울러 남북공동선언 이행의 길에 더 많은 민중들과 연대하고 실천함으로써 ‘항구적 평화체제의 정착’과 노동자가 주인 될 ‘자주통일’의 새 세상을 열어냅시다.

 

엄미경 민주노총 부위원장  minplusnews@gmail.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