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참담함 토로한 손석희... 우리가 잘 몰랐던 김제동의 아픔

 

[하성태의 사이드뷰] 'MB 블랙리스트'와 MBC, 그리고 이명박

17.09.13 20:23최종업데이트17.09.13 20:24
 12일 방송된 JTBC <뉴스룸>의 한 장면.

12일 방송된 JTBC <뉴스룸>의 한 장면.ⓒ JTBC


"그들은 즉 정치인들은 그런 얘기를 들어야만 하고, 나는 저급하거나 비열한 말을 한 적이 없다."

맷 데이먼은 과거 <뉴스룸> 손석희 앵커와 인터뷰에서 '정치적 발언에 대한 부담감'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민주당 지지자로서 미 트럼프 정부는 물론이요 그에 앞서 오랜 동안 정치와 인권에 대한 여러 발언들을 쏟아냈던 그의 정치적 행보들에 대한 현답이 아닐 수 없었다. 금번에 밝혀진 'MB 블랙리스트' 당사자들은 물론 MBC 해고자와 현재 총파업 중인 언론인들 역시 같은 심정일 것이다. 

12일 방송된 JTBC <뉴스룸> '앵커브리핑'은 이 맷 데이먼의 발언을 끄집어 올렸다. 짐작하시다시피, 이날 파문을 일으킨 MB 정권 블랙리스트와 관련해서였다. <뉴스룸>은 이날 82명에 달하는 MB 정권 국정원의 블랙리스트 명단을 비롯해 당시 청와대 주요 인사들의 개입 문제까지 이 사안에 네 꼭지를 할애했다. 

정리하면 이렇다. MB 정권 당시 국정원이 연예인과 문화예술계 인사들을 블랙리스트에 올려 관리했고, 청와대 주요 인사가 어디까지 개입했는지가 관건이며, 이를 밝혀낸 국정원 개혁위원회가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는 것이다.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비롯해 이 사건에 연루된 정황이 뚜렷한 MB 정권의 주요 인사들에 대한 사정당국의 칼날이 어디까지 향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는 대목이다.  

어쩌면 우리는 잊고 있었는지 모를 일이다. 현 손석희 JTBC 보도부문 사장 역시 MB 정권의 블랙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것은 아니지만, 결국 MB 정권이 망가뜨린 MBC에서 떠나야 했던 것을. < 100분 토론>에 이어 <손석희의 시선집중>의 마이크를 놨던 것이 2013년 5월의 일이었다. 그래서였을까. 손 앵커는 이날 앵커브리핑에서 블랙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이들 중 자신과 '인연'이 있었던 몇몇을 강조하며 '참담함'을 토로했다. 그럴 만했다. 벌써 몇 년 전 일인가. 

MBC 떠나 왔던 손석희의 참담함 

 
 12일 방송된 JTBC <뉴스룸>의 한 장면.

12일 방송된 JTBC <뉴스룸>의 한 장면.ⓒ JTBC


"이명박 정부 당시 배우 김여진씨는 정치사회적으로 할 말은 해서 이른바 '개념 배우'라는 별명을 얻고 있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 발언을 하면 왜 개념이 있다는 칭찬을 들어야 하는지... 그것도 어찌 보면 한국적 상황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배우 김여진씨를 전원책 변호사의 맞상대로 해서 토론 코너에 출연시키려던 당시 라디오 프로그램의 시도는 무산됐습니다. 

그 라디오 프로그램은 제가 진행하던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이 시도는 급기야 소셜테이너 출연 금지 규정이라는 것까지 사내에 생겨나게 했지요. 정치적 입장을 가진 연예인은 방송에 출연시킬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다시 말하면 연예인은 정치적 입장을 공개적으로 또한 지속적으로 표현할 수 없다는 것에 다름이 아니었습니다."

배우 김여진을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시키려던 시도가 결국 '윗선'의 압박에 의해 무산됐고, 이러한 정황을 유추해 보면 결국 이번에 밝혀진 블랙리스트와 관계있는 것 아니냐는 결론에 다다르게 됐다는 얘기일 것이다. MBC의 '소셜테이너 금지법'을 기억하는 이들이라면 누구라도 그러한 유추를 할 수밖에 없을 것다. 또 검찰 수사에 의해 명명백백하게 밝혀져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면서 손 앵커는 방송인 김미화와 김제동을 언급했다. 두 사람은 공히 블랙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대표적인 방송인이고, 손 앵커의 언급대로 이명박(근혜) 정권에서 '수난'을 겪은 이들을 대변하는 이름이기도 하다. 특히 김제동에 대해서는 "김제동씨의 수난사야 뭐 다시 거론하지 않아도 될 정도"라며 말을 이었다.  

"이명박 정부 당시에 잘 나가던 예능 프로그램에서 하루아침에 하차했고, 그 이후에도 방송 출연에 관한 한 부침을 거듭했습니다. 사실 김제동씨의 이른바 소셜테이너로서의 자리매김은 제가 직접 섭외했던 <백분토론> 출연이 시작이었다고 본인은 주장하고 있는데, 그렇게 본다면 지금까지 말씀드린 세 사람의 이른바 소셜테이너들과 저는 어찌 됐든 모두 인연이 있는 셈입니다."    

참담함…. "따지고 보면 다 알고 느끼고 있었던 내용들이 팩트라는 자격을 가지고 수면 위로 드러났을 뿐인데도, 또다시 참담함을 느끼게 되는 것은 왜일까…"라는 손 앵커의 말마따나, 본인들은 물론이요 뉴스를 접하는 다수의 국민들 역시 참담함과 분노, 허탈함을 동시에 느끼고 있을 것이다. 

본인도, 국민들도 잘못됐고 부당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팩트를 확인할 수 없었을 뿐이다. 그래서 거대한 권력이 휘두르고 짓누르는 크고 작은 횡포를 알면서도 정당하게 맞설 수 없었을 뿐이지 않은가. 김제동의 경우도 그랬다. 13일 오전, 총파업 10일째를 맞은 MBC 노조원들 앞에서 선 김제동은 이명박 정부 당시 국정원 직원과 만났던 상황을 털어 놓기까지 했다. 손석희 앵커에 대한 억울함(?)의 토로와 함께. 

MB에게 직접 보고하는 국정원 직원 만났던 김제동 

 
김제동 '내가 만난 국정원 직원, VIP에 직보 한다고 했다' 이명박 정부 국정원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피해를 받은 방송인 김제동씨가 13일 오전 서울 마포구 MBC상암사옥에서 열린 언론노조MBC본부 총파업 집회에 참석해, 이명박 정부 시절 찾아와 압력을 넣던 국정원 직원이 '나는 VIP에게 직보하는 사람'이라는 말을 했다고 밝혔다.

이명박 정부 국정원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피해를 받은 방송인 김제동씨가 13일 오전 서울 마포구 MBC상암사옥에서 열린 언론노조MBC본부 총파업 집회에 참석해 조합원들 응원하는 벌언을 하고 있다.ⓒ 권우성


"저를 만났다는 보고 문자를 국정원이 아닌 저한테 보낸 거예요. '몇 월 며칠 서래마을에서 김제동 만남' 이런 문자를, 그 국정원 직원이. 그래서 그 국정원 직원한테 제가 전화를 했어요. 문자를 잘못 보냈다고. 제가 그렇게 국정원에 협조한 사람입니다. 그래서 간첩을 잡겠습니까. 간첩을 만드는 게 아니라, 간첩을 잡아야 할 거 아닙니까."

MBC 총파업 집회 10일째 현장에서 노조원들을 만난 김제동은 'MB 블랙리스트'와 관련 과거의 일화를 털어 놨다. 페이스북 라이브로도 생중계된 이 현장에서 김제동은 "지금도 국정원 직원이 있을 수 있다"면서 이명박 정부 당시 자신을 쫓아다니던 국정원 직원과 독대했던 상황도 자세히 언급했다. 여전히 유머러스하지만 쓴웃음을 자아낼 수밖에 없는 이야기였다. 

"만났어요. 만났더니. 저한테 하는 얘기가 고작 그거예요. 고 노무현 대통령 노제 사회를 봤으니, 1주년에는 가지 마라. 문성근, 명계남 같은 사람 시켜라. 하지 마라. 앞으로 방송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 술에 취해서 그렇게 말했습니다. 하도 웃겨서 그랬어요. 

첫째, 내 얘기를 잘 들어라. 자기가 VIP에게 '직(접)보(고)하는 사람이라 길래 제가 물어 봤어요. VIP가 누구냐. 내가 뽑지 않은 사람이 VIP라 모른다. 그랬더니 그 직원이 '알지 않느냐', '그 분이 걱정이 많다'고 해요. 내 걱정이 많데요. 그래서 그랬어요. 가서 똑똑히 전하세요. 지금 대통령 임기는 4년이지만, 내 유권자로서의 임기는 평생 남았다. '직보'한다니까,  똑똑히 전해라. 당신 걱정이나 하시라고, 내 걱정 마시고."

김제동은 또 "둘째, 지금 당신이 가지 말라고 해서 내가 안 가면, 당신이 날 협박한 게 된다. 또 이 말 자체가 국가기관이 국민을 협박한 거다"라고 했다면서, "셋째, 술값은 내가 내겠다. 국민에게 받은 세금으로 술 내지 마라. 내가 평생 방송 안 해도 먹고 살돈 있다"며 호기롭게 대면 자리를 떴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 후 집에 도착한 김제동은 무릎이 꺾이고, 다음날부터 공황장애 증세가 오기까지 했다고 한다. 웃음기 어린 목소리로 털어놨지만, 김제동이 겪은 'MB 블랙리스트'의 직접적인 피해의 증언인 건 분명했다. 

방송하는 사람들이, 웃기는 사람들이 할 말 하는 사회를 위하여

 
김제동 웃음보따리, 활짝 웃는 MBC조합원들 이명박 정권 시절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올라간 방송인 김제동씨가 13일 오전 서울 마포구 MBC상암사옥에서 열린 언론노조MBC본부 총파업 집회에 참석해 조합원들 격려하며, 특유의 익살과 풍자로 김장겸 사장과 국정원 블랙리스트를 풍자하자 조합원들이 웃음을 터뜨리고 있다.

이명박 정권 시절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올라간 방송인 김제동씨가 13일 오전 서울 마포구 MBC상암사옥에서 열린 언론노조MBC본부 총파업 집회에 참석해 조합원들 격려하며, 특유의 익살과 풍자로 김장겸 사장과 국정원 블랙리스트를 풍자하자 조합원들이 웃음을 터뜨리고 있다.ⓒ 권우성


"손석희 아저씨는, 손석희 형님은 저렇게 뭉개시면 안 돼요. 저한테 저러시면 안 돼요. 제가 '주장'한다고 그러는데, 분명 책임이 있어요. 저러시면 안 돼요. 제가 입 열면 저 사람 다쳐요(웃음). 저는 팩트 체크를 할 수 있어요. 저는 생생히 기억해요. (손석희 앵커에게) 전화가 왔어요."

그에 앞서 김제동이 손석희 앵커의 성대모사를 하면서 전한 일화는 2008년 12월 방송된 MBC < 100분 토론> 400회 특집과 관련된 것이었다. 요는, 손석희 앵커에게 직접 섭외 전화를 받았고, "토론 잘하는 연예인 1위"라는 타이틀로 출연했더니 이른바 '이쪽' 사람이 돼 있었다는 것이었다. 

토론 주제는 "이명박 정권 1년의 공과 과"였고, 같은 열에 앉았던 토론자가 고 가수 신해철, 유시민 작가 등이었고, 반대편에 전원책 변호사와 나경원 의원 등이 앉아 있었다는 것이다. 토론 프로그램 특성상 김제동이 "손석희 아저씨가 어떻게 소개하셨는지 아세요? 이쪽 분들이라고 하시는 순간, 저는 이쪽 분들이 됐어요, 나는"이라고 토로할, '이쪽'이 이해가 되는 패널 구성이었던 셈이다. 김제동은 이어 또 한 차례 손 앵커와 나눈 전화 통화 내용도 소개했다. 

"물론 그것(< 100분 토론> 때문에 그렇게 된 건 아니지만. 노대통령 노제 때도 물어 볼 데가 없어서 손석희 형님한테 전화했어요. 그랬더니 이러셨어요. '양쪽 모두 합리적 판단을 할 때가 아닙니다. 비난이 모두 쏟아질 수 있지만, 본인이 견뎌내야 할 몫이고요'라고."

그 누구보다 MB 정권의 피해를 입은 '블랙리스트 방송인' 김제동이 털어 놓은 일화는 손석희 앵커가 언급한 '참담함'과도 연결돼 있을 것이다. '무능한', "간첩을 잡는 게 아니라 만들어 내는" 대한민국 국정원에게 보내는 '참담함'과 그 국정원을 탄생시킨 이명박 정권에게 보내는 참담함을 포함해서 말이다. 

여기서 김제동은 한 발 더 나아갔다. 자신을 포함해 블랙리스트에 언급된 '유명인'들만이 아니라 이명박 정권에 의해 촉발된 MBC 죽이기에 의해 고난과 고초를 겪고 있는 노조원들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제가 여기 온 이유는 간단합니다. 제가 겪은 일은 여러분들이 겪은 일에 비하면 아무 일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저만, 유명한 사람들만 주목을 받는 것 같아서 미안함이 큽니다. 수없이 주목받았던 사람보다 훨씬 더 주목을 받아야하고, 훨씬 더 고초고난 받았던 사람이 주목을 받아야 합니다. 그것에 대해 미안함이 있어서 이 자리에 왔습니다. 옆 사람에게 박수를 줬으면 좋겠습니다."    

다큐멘터리 <공범자들>에서 해직 언론인인 최승호 PD가 이명박 전 대통령을 맨 마지막에 만난 이유는 MBC와 KBS를 망쳐놓은 장본인이 바로 대통령과 청와대라는 심증이 확고했기 때문이리라. 그리고, 금번에 '팩트'가 '체크'된 'MB 블랙리스트'야말로 그러한 심증을 뒷받침하는 증거 중 일부분이라 할 수 있다. 

13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김미화는 MB 블랙리스트에 대해 "이제야 퍼즐이 맞춰진 것 같다"며 "그래서 이건 사실 어떻게 보면 이명박 대통령을 제 개인이 고소를 할 수 있는, 그러니까 법정 싸움을 신청할 수 있는 그런 상황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MB로 향하는 비난 여론에 힘입어 검찰이 철저한 수사로 '확증'을 이끌어내야 할 대목이다. 그리고 이에 더해 동원될 수 있는, 또 피해자들이 할 수 있는 모든 영역에서 '대응'이 일어나야 마땅하다. 

김장겸 사장을 검찰 조사에 이르게 만든 MBC 노조원들의 총파업 역시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공영방송 정상화야말로 이 같이 어이없는 블랙리스트의 피해자들을 더 이상 만들지 않는 시초와 같은, '언론 적폐 청산'은 물론 이명박-박근혜 정부로 연결된 거대한 '적폐 청산'의 첫걸음이기 때문이리라. 

우리가 바라는 상식적인 세상은 결국 저급하거나 비열한 말을 하는 정치인들 대신 연예인들이, 문화예술인들이, 국민들이 할 말은 할 수 있는 그런 세상 아니겠는가. 코미디언으로 살고 싶다는 김제동처럼 말이다. 

"누군가 왜 자꾸 무대 밑으로 내려가냐고 물었는데, 바보야 거기가 무대다. 왜 정치를 하느냐, 코미디언이? 정치인들에게 코미디 그만하라고 해라, 내 직업에 심각한 위협을 느끼고 있다. 그 사람들이 내 직업을 다 뺏어가고 있다. 

강바닥에 22조씩 쏟아 부으면 곤란한다. 이상하다가 코미디의 핵심이다. 로봇물고기는 물(4대강)에서 인류 최초로 익사한 거다. 웃기는 걸 웃기다고 얘기해야 한다. 그걸 안 하면 코미디언 직무유기다. 저는 코미디언으로서 입장에 충실하고 싶다. 여러분(MBC 노조원)들은 방송인으로서 할 수 있는 걸 방송할 수 있어야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사드는 미국의 전쟁무기..국민 생명과 안전 못지켜"

(추가)5대종단, "사드배치는 국민 대신 무기 택한 것..정말 잘못된 결단"
이승현 기자  |  shlee@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7.09.13  19:08:55
페이스북 트위터
   
▲ 5대종단 종교인들은 13일 오후 청와대 앞 분수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7일 성주 소성리에서 사드발사대 4기를 추가배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종교유린과 경찰의 폭력적 진압을 규탄하고 사드배치 철회를 촉구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지난 7일 오전 성주 소성리, 사드발사대 4기가 추가 배치되는 과정에 발생한 종교유린과 경찰의 폭력적 진압에 종교인들이 단단히 뿔이 났다.

지난 6일 밤부터 7일 오전까지 소성리에서 폭력적인 성소 침탈 등 수난을 겪은 5대종단은 13일 오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사드배치 철회하라-종교유린·폭력진압 규탄' 기자회견을 갖고 소성리에서 자행된 사드 강행 배치와 종교 탄압에 대해 입을 모아 문재인 정부를 규탄했다.

특히 이들은 경찰이 '종교케이팀'이라는 이름으로 별도의 병력을 운용하면서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맨 앞에 있던 성직자들을 끌어내고, 십자가를 부러뜨리고, 여성 성직자의 쪽진머리를 풀어헤치고 법복을 찢는 등 18시간 동안 한시도 쉬지 않고 만행을 자행했다고 분개했다.

소성리에 있던 500여명이 채 안되는 주민과 평화지킴이 활동가들 중 경찰의 폭력진압으로 60명이 실신하고 30명이 엠뷸런스에 실려갔으며 20명이 부상을 입었다며, '문재인의 경찰! 밀고, 끌어내고, 찢고, 부수고, 짓밟고...종교유린, 폭력진압, 소성리에 인권은 없었다'고 고발했다.

5대종단 종교인들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사드문제의 최우선 당사자는 미국이 아니라 이땅을 살아가고 있는 주민이고 국민"이며, 종교인들 역시 이 땅의 시민으로서 마땅히 '사드가고 평화오라'는 주민들의 외침에 동참한 것이라면서 '사드 배치 철회'를 촉구했다.

경찰의 폭력진압과 관련해서는 소성리 주민들에게 사과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며, 종교유린에 대한 재발방지를 약속하라고 요구했다.

당시 현장에서 밤새 주민들과 함께 자리를 지켰던 백창욱 목사는 "국민을 버리고 무기를 택한 정권이 성소를 짓밟으면서 작전을 수행한 것으로 결코 넘어서는 안되는 선을 넘은 것이다. 비극적 종말을 맞을 것이다"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9월 6일 자정을 넘기면서 경찰은 주민들과 전국에서 온 연대자를 해산시키기 위해 병력을 투입시키려고 했다. 그런데 주민들과 성직자들이 차량을 도로에 세우고 그 빈틈에 앉아 어깨동무를 하며 점거를 하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경찰이 진입로를 확보하기 위해 기독교에서 예배처로 세운 천막 성소를 허물었던 것이다. 몇 차례 경고를 했지만 경찰은 흔적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성소를 짓밟았다. 그곳은 이해 당사자인 주민이 아니라 약자와 연대하기 위해 기독교인들이 운영하던 기도처였고, 지난 4월 26일 사드 기습배치 이후 5개월간 세워져 있었던 성소였다."

   
▲ 왼쪽부터 조헌정 목사, 문규현 신부, 김용휘 한울연대 대표, 강해윤 교무, 백창욱 목사.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예수살기 평화통일위원장인 조헌정 목사는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부터 해왔던 이야기를 스스로 번복하고 가장 나약한 소성리 주민들의 인권을 짓밟았을 뿐 아니라 여러 차례 경고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인들이 지난 4월 26일부터 이용하던 예배처인 성소와 십자가를 흔적도 찾기 어려울 정도로 훼손시켰다"고 분노를 표시했다.

조 목사는 "문 대통령이 평화를 외치는 종교인들의 목소리에 귀기울일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말했다.

문규현 신부는 "문재인 정부에 연민과 분노가 교차한다. 슬프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 정권이 촛불혁명 민주정권이라고 했나. 나라다운 나라 만들겠다고 했나. 전쟁을 막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사드 임시배치를 미룰 수 없다고 했나"라고 되묻고는 "사드는 미국의, 미국에 의한, 미국을 위한 전쟁무기라는 건 삼척동자도 다 아는 이야기다. 사드배치는 곧 한반도를 전쟁터로 '공여'한 것과 다름없으며, 무기와 전쟁으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없다"고 힘주어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평화를 지키려는 80여명 주민들의 꿈을 짓밟고 어머니의 땅을 유린했지만 우리는 꿈을 포기할 수 없다며, "미국을 떠나 국민의 품으로 오라. 미국에 소망하지 말고 평화를 원하는 국민에게 소망하라"고 호소했다.

"당신의 결단은 정말 잘못된 결단"이라며, "자주 대한민국의 대통령으로 돌아오라. 사드가고 평화오라는 희망을 함께 이루어 나가자"고 거듭 촉구했다.

김용휘 천도교 한울연대 대표는 "도대체 어떤 피치못할 사정이 있었는지 알 수 없지만 사드 배치가 강행되면서 결국 얻은 것은 나라의 자주권이 심히 손상되고 종속이 심화되었다는 걸 확인한 것 밖에 더 있느냐"고 지적하고 "가장 열렬한 지지자인 촛불민심을 이렇게 외면하고 앞으로 국정운영을 정상적으로 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 5대종단 종교인들은 문재인 대통령이 평화를 외치는 종교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줄 것을 호소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원불교 강해윤 교무는 "지난 4월 26일 박근혜 정권아래서 사드가 기습적으로 배치됐을 때에는 '정권이 바뀌면 보자'라고 생각했는데, 새 정부가 들어선지 5개월도 지나지 않아 이렇게 질질 끌려다니다보니 더 이상 기대를 가질 수가 없다"고 비통함을 감추지 못했다.

또 "문재인 정부에 걸었던 기대는 버렸으나 문재인 정부가 버린 나약한 민중을 껴안고 또 그들이 짓밟은 기도를 계속할 것이며, 그들은 친미를 외치면서 한반도의 평화를 헌신짝처럼 버렸어도 우리는 평화를 외치며 나아갈 것"이라는 다짐을 밝히기도 했다.

강 교무는 "문재인 대통령이 원불교 성지 보존에 대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는데, 사드를 들여놓고도 보호할 수 있는 원불교 성지는 없다"며, 거듭 사드 철회를 촉구했다.

한편, 사드저지 소성리 종합상황실이 이날 오후 발표한 바에 따르면, 지난 6~7일 사드 추가배치를 강행하면서 현장에서만 치료받은 사람이 40여명이고 이후 병원진료를 받은 사람까지 총 70여명이 넘는 부상자가 발생했다.

그 중에는 온몸에 심한 타박상과 찰과상을 입은 사람들이 다수 있는 가운데 갈비뼈 골절, 십자인대 파열, 정강이뼈 골절, 손가락 골절 등을 비롯해 눈 위 10cm 열상 등 중상자가 포함돼 있다. 연로한 소성리 주민들은 뇌진탕, 새끼 손가락 골저르 요추 염좌로 인한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차량과 기물파손도 심각해서 총 31대의 차량이 유리창이 깨지거나 본네트 손상 피해를 당해 그 피해액만 약 9천만에 달하고, 도로 아닌 곳에 설치되어 있던 천막 6동 파손에 다수 사람들이 핸드폰, 안경, 신발, 시계를 잃어버렸거나 망가졌다.

소성리 종합상황실은 앞으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과 정부를 상대로 한 손해배상 청구 등을 진행하고 폭력적인 진압작전에 대해서는 별도로 경찰과 정부에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추가-21:42)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AFP, 독일 메르켈 총리 이란 방식의 대북 대화 제안

AFP, 독일 메르켈 총리 이란 방식의 대북 대화 제안 Posted by:

편집부 in Headline, Topics, 국제 2017/09/13 11:23 0 48 Views

 

-2015년 이란과 주요 6개국 협상으로 이란 핵포기와 경제제재 풀려 -독일은 언제든 회담에 참여할 준비되어 있어 -북한을 협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독일도 새로운 제재에 동의 AFP 통신은 독일이 “이란과의 과거 협상 방식을 예로 삼아” 북한의 핵 개발 종식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돕겠다는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의 말을 전했다. AFP에 따르면 메르켈 총리는 주간지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손탁짜이퉁 지와의 회견에서 “독일이 대화 참여 요청을 받는다면 즉각 이에 응하겠다”며, 이란이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고 감찰을 받는 조건으로 일부 제재 조치들이 풀어준 2015년 이란과 세계 6개 강국 간의 협상은 “길지만 중요한 외교활동의 과정”이었고 “좋은 성과”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AFP는 아울러 그런 방법으로 북한과의 갈등을 해결하는 작업에 독일도 “아주 적극적으로 기여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며 지난 주 프랑스, 미국, 중국, 한국. 그리고 일본의 지도자들과 전화 회담을 가졌고 월요일에는 러시아 블라드미르 푸틴 대통령과 통화할 계획이라는 총리의 말을 전했다. 메르켈 총리의 발언은 지난 월요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북한에 대한 강력한 새로운 제재를 위한 투표가 진행되기 하루 전에 나온 것으로, 투표 결과 미국의 애초 요구에서 다소 수정된 새 제재안이 채택되었다. 기사는 그러한 조치들이 유엔안보리 상임 이사국인 러시아와 중국의 반대에 직면할 수 있다고 전하며, 메르켈 총리가 협상 테이블에 북한을 끌어들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재를 지지한다고 말했다고 언급하며 끝을 맺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AFP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2x05JO7

[저작권자: 뉴스프로, 기사 전문 혹은 부분을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십시오.] https://thenewspro.org/2017/09/13/germany-open-to-iran-style-north-korea-talks-merkel/

 

Germany open to Iran-style North Korea talks: Merkel 독일 메르켈 총리, 이란 방식의 대북 대화 제안 

 

Chancellor Angela Merkel says Germany will support an effort to hold talks with North Korea along the lines of the deal done with Iran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독일은 이란과 했던 협상 방식을 예로 삼아 북한과의 대화 노력을 돕겠다고 말한다.   

Germany would lend its weight to a diplomatic push to end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nd missile development along the lines of a past deal with Iran, Chancellor Angela Merkel said on Sunday. 

독일은 이란과의 과거 협상 방식을 예로 삼아 북한의 핵무기 및 미사일 개발을 종식시키려는 외교적 노력을 돕겠다고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일요일 말했다. 

 

“I would say yes immediately if we were asked to join talks,” Merkel told weekly newspaper Frankfurter Allgemeine Sonntagszeitung. 

메르켈 총리는 주간지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손탁짜이퉁 지와의 회견에서 “독일이 대화 참여 요청을 받는다면 즉각 이에 응하겠다”고 말했다. 

Talks between Iran and six world powers, sealed with a 2015 deal for Tehran to roll back its nuclear programme and submit to inspections in exchange for some sanctions being rolled back, were “a long but important period of diplomacy” that had achieved a “good end,” she added. 

이란이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고 감사를 받는 대신 일부 제재 조치들이 철회되도록 합의한 2015년 협상을 이끌어 낸 이란과 세계 6개 강국 간의 회담은 “길지만 중요한 외교활동의 과정”이었고 “좋은 결과”를 거두었다고 메르켈 총리는 덧붙였다. 

“I could imagine such a format for the settlement of the North Korea conflict. Europe and especially Germany ought to be ready to make a very active contribution,” Merkel said. 

메르켈 총리는 “북한과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그러한 방식을 생각해볼 수 있다. 유럽과 특히 독일은 아주 적극적으로 기여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The chancellor said she had held telephone talks with the leaders of France, the United States, China, South Korea and Japan about the North Korea crisis over the past week, and is expected to speak with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on Monday. 

메르켈 총리는 북한 위기에 관해 지난 주 프랑스, 미국, 중국, 한국. 그리고 일본의 지도자들과 전화 회담을 가졌고 월요일에는 러시아 블라드미르 푸틴 대통령과 통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Merkel’s comments come as Washington has formally requested a Monday vote on tough new sanctions for Pyongyang at the UN Security Council. 

메르켈 총리의 발언들은 미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북한에 대한 강력한 새로운 제재를 위한 월요일 투표를 공식적으로 요청한 다음에 나온 것이다. 

US diplomats have called for an oil embargo, an assets freeze against leader Kim Jong-Un, a ban on textiles and an end to payments of North Korean guest workers in response to the nation’s sixth nuclear test last week. 

지난 주 북한의 6차 핵 실험에 대한 대응으로 미국 외교관들은 원유 중단, 지도자 김정은에 대한 자산 동결, 섬유 수출 금지 및 북한 이주노동자들의 임금 지불 중단을 요청했다. 

 

But the measures could founder on opposition from permanent Security Council members Russia and China. 

그러나 그러한 조치들은 유엔안보리 상임 이사국인 러시아와 중국의 반대에 직면할 수 있다. 

Merkel said that she backed sanctions as a means of bringing North Korea to the negotiating table. 

메르켈 총리는 협상 테이블에 북한을 끌어들이기 위한 수단으로 제재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번역 저작권자 :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반드시 밝혀 주십시오.]

[저작권자: 뉴스프로, 기사 전문 혹은 부분을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십시오.] https://thenewspro.org/2017/09/13/germany-open-to-iran-style-north-korea-talks-merkel/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파사현정’ 조계종 적폐청산 범불교도대회

 
  • 여수령 기자
  • 승인 2017.09.13 10:49
  • 댓글 3
 
 

하나의 촛불로 시작된 조계종 적폐청산의 바람이 횃불로 타오른다.

범불교도대회 봉행위원회(대회장 청화스님ㆍ봉행위원장 월암스님)는 14일 오후 4시 서울 종로구 조계사 앞 우정국로에서 ‘조계종 적폐청산과 종단개혁을 위한 범불교도대회’를 봉행한다. 오후 7시부터는 청계광장에서 문화제도 열린다.

범불교도대회는 폭행, 도박 및 은처 의혹, 돈선거, 언론탄압 등 자승 총무원장 재임 8년간 누적된 조계종의 적폐를 청산해야 한다는 종도들의 염원이 표출되는 자리다. 사부대중 3000여 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직선제’에서 촉발된 ‘조계종 적폐청산’ 목소리

그 시작은 지난해 촉발된 ‘총무원장 직선제 도입’ 논란이다. 조계종이 전문기관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스님의 80.5%가 직선제를 원한다는 결과나 나왔음에도, 종단은 이를 무시하고 오는 10월 열리는 제35대 총무원장 선거를 간선제로 치르기로 했다. 조계종 개혁의 첫 단추로 직선제 도입을 촉구해 온 스님과 불자들은 ‘총무원장 직선 실현을 위한 대중공사’를 구성, 지난 3월 17일 조계사 앞에서 첫 촛불법회를 열었다.

대중공사는 공청회 개최와 삼보일배, 성명서 발표 등으로 직선제 도입 필요성과 조계종단의 문제점을 알려나갔지만 ‘계란으로 바위치기’라는 대중의 회의적 시각에 번번이 맞닥뜨려야했다. 변화의 바람은 뜻밖의 계기로 찾아왔다. 5월 22일, 문영숙 불자가 조계사 일주문 앞에서 1인 피켓시위에 나선 것이다. 문 씨의 1인 시위는 스님과 재가불자들의 릴레이 시위로 번졌고 이 무렵 출재가 단체들을 중심으로 ‘청정승가공동체 구현과 종단개혁을 위한 연석회의’도 구성됐다.

7월 28일에는 ‘조계종 적폐청산’을 기치로 내건 첫 촛불법회가 열렸다. 매주 목요일 오후 7시 서울 보신각 광장에서 열리는 촛불법회에는 1000여 명이 넘는 사부대중이 모여 ‘조계종 적폐청산’을 기원했다. 8월 17일 열린 제4차 촛불법회에서는 종단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제적된 명진스님이 단식을 선언했다. 이후 18일간 이어진 명진스님의 단식으로 ‘조계종 적폐청산’ 바람은 불교계의 담장을 넘어 시민사회로 확산됐다. 시민사회 활동가 1800여 명은 기자회견을 열고 △자승 총무원장 즉각 퇴진 △적광스님 폭력사태 진실규명 △언론탄압 조치 해제 △명진스님 퇴출 의혹 진상규명 등을 촉구했다.

1인시위가 범불교도대회로…“자승 퇴진ㆍ직선제 실시”

사부대중의 염원을 ‘해종세력’ ‘외부세력’으로 폄하하는 종단의 지속적인 방해공작에도 불구하고, 불교계와 시민사회단체들은 9월 14일 ‘범불교도대회’를 개최키로 했다. 범불교도대회 봉행위원회는 “조계종은 종도들의 바람과 시민사회의 지적을 준엄하게 받아들여 적폐를 청산하고 존경받는 종단으로 거듭나야 한다”며 집행부를 향해 △총무원장 직선제 즉각 실시 △조계종 적폐 청산 △자승 총무원장 즉각 퇴진 △재정 공영화를 통한 투명 운영 △스님들의 안정적인 수행생활 보장 등을 촉구했다.

범불교도대회는 오후 4시 문을 연다. 고불문 낭독, 경과보고, 봉행사, 대중연설, 연대사, ‘국민에게 드리는 글’ 발표, 결의문 낭독 등의 순서로 봉행된다. 현재 봉행위는 출재가 봉행위원 1600여명을 모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부터는 조계종 적폐청산 촛불법회 현장실천단원들이 불광사와 봉은사, 안국선원, 한마음선원 등의 방문해 범불교도대회를 홍보하고 있다.

오후 7시 청계광장에서 열리는 한국사회 적폐청산을 위한 문화예술제 '한바탕'은 범불교도대회봉행위와 전국언론노동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이 공동개최한다.

문화제 ‘한바탕’…적폐청산을 위한 용맹정진 선언

사전행사로 오후 6시 30분까지 임옥상 화백의 공공미술 퍼포먼스가 진행되며, 오후 7시 가수 이은미의 무대로 본격적인 문화제의 막을 연다. 전인권 밴드, 민중가수 박준, 이소선합창단 등이 노래 공연을 선보인다. 또 극단 고래가 연극 ‘불량청년’의 주요장면을 퍼포먼스 형태로 무대에 올릴 예정이다.

공연 후에는 적폐청산을 위한 사회적 연대의 시작을 알리는 선포식이 진행된다. 불교계를 비롯해 교육계, 언론계, 공무원 사회에서 소위 ‘블랙리스트’로 낙인찍혀 피해를 입은 이들이 주제발언 및 퍼포먼스 등을 통해 연대를 선언하고 사회적 관심을 호소할 계획이다.

범불교도대회 봉행위는 “범불교대회는 봉암사 결사와 94년 종단개혁의 초발심, 자비로운 분노, 성찰과 참회, 연대의 마음을 모아 조계종에 쌓인 적폐를 청산하고 청정승가 구현의 기치를 높이 날리는 뜻 깊은 자리가 될 것”이라며 “전국의 불교도가 일심으로 결집해 승가 본연의 청정한 가풍을 일으켜 종단의 온갖 적폐를 청산하고 이 땅이 부처님의 올바른 가르침과 보살의 향기로 물결치게 하도록 용맹정진할 것을 다짐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반론ㆍ정정ㆍ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이메일(budgate@daum.net)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불교포커스'에서 생산한 저작물은 누구나 복사할 수 있으며, '정보공유라이센스 2.0: 영리금지 개작금지'에 따릅니다. 정보공유라이센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김종대 의원, '맥마스터 친구 정의용 안보실장' 실명 비판

페이스북에 "편향된 사고를 문 대통령에게 주입한 사람”
김치관 기자  |  ckkim@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7.09.12  15:41:26
페이스북 트위터

 

   
▲ 김종대 정의당 의원이 12일 페이스북 글을 통해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실명비판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국방전문가인 김종대 정의당 의원이 12일 최근 문재인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맥 마스터의 친구’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적시해 미국에 대한 ‘저자세 외교’라고 꼬집어 파문이 예상된다.

김종대 의원은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맥마스터의 친구, 정의용 안보실장을 주목하는 이유’라는 제목의 장문의 글을 올렸다. 허버트 맥마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정의용 안보실장의 미국측 파트너다.

김 의원은 이 글에서 지난주 한.러 정상회담 당시 참석한 한 인사의 발언을 인용해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이 최초의 6자회담에 응하지 않아 중국이 원유공급을 중단한 바도 있었다. 그 후 북한이 6자회담에 참여했었다”고 한 발언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 김종대 의원의 페이스북 글 일부. [캡쳐사진 - 통일뉴스]

김 의원은 페이스북 글에서 “러시아에서 정상회담이 열리기 직전에 청와대 안보실이 문재인 대통령에 보고한 자료를 보게 되었는데, 여기에 “과거 중국이 북한에 원유 공급을 중단하니까 북한이 6자회담에 나왔다”는 황당한 설명이 들어가 있고, 이런 허위사실을 근거로 “북한에 원유 수출 금지”와 “북한의 해와 노동자 수출 완전 차단”하자는 주장이 실려 있더라는 겁니다. 너무나 경황이 없는 틈에 이 인사는 “이것만은 안 된다”며 “노동력 수출 차단”은 빼 버리도록 했답니다. 소규모로 이루어지는 북한의 노동력 수출은 통제가 불가능한 상황에 이르렀기 때문입니다“라고 전했다.

이어 “정상회담 광경을 지켜본 이 인사는 문재인 대통령 말씀자료가 외교부 사무관 수준의 허접한 내용으로 채워져 있고, 청와대 누구도 사실을 검증하거나 전략적인 고민을 하지 않는 데 대해 크게 놀란 것”이라며 “저라도 만일 저의 보좌관이 이런 보고서를 저에게 제출하였다면 48시간 이내에 해고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또한 “오늘 아침 유엔안보리에서 통과된 대북 제재 결의안을 보니까 애초 미국이 공언했던 대북 원유수출 중단이나 노동력 수출 차단은 아예 빠져 있다”며 “정말 의문은 문재인 대통령이 정말 이 사실을 예상하지 못했느냐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 정부의 외교 난맥의 일정한 패턴이 드러나고 있다”고 짚었다.

결국 “미국이 북한에 대한 ‘최고의 압박’을 공언하면 청와대 안보실이 지레 겁을 먹고 미국보다 더 강경한 말을 쏟아낸다. 그러면 슬그머니 미국은 자신의 말을 거둬들이면서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전혀 다른 행보를 보이는 거다. 그러면 우리만 외톨이가 된다”는 것.

특히 지난 6월 문정인 특보가 미국에서 ‘북한 핵동결과 한미연합훈련 축소와 전략자산 배치 철회’를 언급하자 청와대가 “문 특보 개인 생각”이라고 선을 그을 당시에 “나중에 알고 보니 그 시각에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이 백악관의 맥마스터 안보보좌관을 집으로 찾아가 밀담을 나누었다”고 적었다.

청와대는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를 전하며 정의용 실장이 워싱턴 도착 직후 맥마스터 안보보좌관 자택으로 찾아가 맥마스터 안보보좌관은 물론 매튜 포틴저 NSC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과 5시간에 걸친 심야 마라톤 대화를 나눴다고 공개한 바 있다.

김 의원은 “생산적인 대안을 제시하면 지레 “미국이 싫어한다”며 우리가 고려할 수 있는 대안을 다 제거해버린 청와대 내부의 인사가 도대체 누구냐”고 묻고 “걸핏하면 백악관의 맥마스터 안보보좌관과 전화한 걸 가지고 “미국의 생각은 이것이다”라고 정보를 독점하고 편향된 사고를 문재인 대통령에게 주입한 사람”이라고 정의용 안보실장을 지목했다.

김종대 의원은 이날 <통일뉴스>와 전화통화에서 “작심하고 쓴 것이 맞다”며 “의외로 언론에 정의용 실장이 맥 마스터 보좌관과 몇십분간 통화했다는 기사가 많은데, ‘미국에 관한 정보는 내가 다 안다’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 한미 정상회담 직전 정의용 안보실장은 맥마스터 보좌관 자택을 방문, 5시간여에 걸쳐 사드 문제 등을 협의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사진제공 - 청와대]

최근에만도 정의용 안보실장은 북한이 6차 핵실험을 한 6일 이후 세 차례 맥마스터 보좌관과 전화통화를 한 것을 비롯해 8월 29일 15분간, 8월 11일 40분간 등 잦은 통화를 했고, 7월 29일 북한이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한 직후에도 통화했으며 청와대는 전화통화 사실을 공개해 언론에 보도되곤 했다.

한편, 김종대 의원은 사드 발사대 추가배치를 강행한데 대해 지난 7일 정의당 상무위원회에서 “문재인 정부가 왜 이러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이렇게 미국의 요구에 속수무책으로 끌려가는 이 정부는 이제 트럼프 대통령의 푸들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가 당에 의해 ‘트럼프 대통령의 푸들’이라는 대목이 삭제되기도 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 국방부, 북의 강경경고에 한풀 꺾인 반응, 출구전략?

 
미 국방부, 북의 강경경고에 한풀 꺾인 반응, 출구전략?
 
 
 
이창기 기자 
기사입력: 2017/09/13 [02:17]  최종편집: ⓒ 자주시보
 
 

 

▲ 2017년 9월 2일 핵무기연구소의 핵무기병기화사업을 현지지도하면서 국가 핵무력건설 완성을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을 지시하였다. 

 

12일 미국의소리 보도에 따르면 크리스토퍼 로건 국방부 동아태 담당 대변인은 11일, 북 외무성이 이날 미국을 향해 협박 성명을 내놓은데 대한 'VOA'의 논평 요청에 미국과 동맹 방어에 대한 확고한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답했다. 

 

대변인은 미 본토는 물론 “북한의 위협에 맞서 한국과 일본 등 미 동맹에 대한 방어 공약은 강철같다”며 북한 정권의 협박을 일축했다. 그러면서 “공격이나 도발로부터 우리 자신과 동맹을 방어하기 위한 준비가 언제든 돼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11일 북 외무성은 성명에서 미국이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서 강력한 대북제재 결의를 추진할 경우 "그 어떤 최후 수단도 불사할 준비가 다 되어 있다"고 경고했었다.

성명은 "미국이 유엔안전보장리사회에서 보다 더 혹독한 불법무법의 '제재결의'를 끝끝내 조작해내는 경우 우리는 결단코 미국이 그에 상응한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며 "우리가 취하게 될 다음번 조치들은 미국으로 하여금 사상 류례없는 곤혹을 치르게 만들 것"이라고 지적하고 "세계는 우리가 미국이 생각조차 하지 못하는 강력한 행동 조치들을 연속적으로 취하여 날강도 미국을 어떻게 다스리는가를 똑똑히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이런 북의 무자비한 경고에 비한다면 미국의 반응은 다소곳한 편이어서 의외다. 이에 대해 미국의소리는 북 정권의 반복되는 협박 수사에 일일이 대꾸하지 않은 채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기존의 입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풀이하였다.

 

▲ 4일 북의 대륙간탄도미사일용 수소탄 시험 직후 '강력한 군사적 보복'을 경고하고 나선 던포드 미 합참의장과 매티스 미 국방장관 

 

미국의소리는 기존 단호한 대응 입장으로, 북핵시험 직후인 지난 4일 짐 매티스 국방장관이 백악관 대핵회의 가진 기자회견에 “미국이나 괌을 포함한 미국 영토, 혹은 우리의 동맹에 대한 어떤 위협도 거대한 군사적 대응, 효과적이고 압도적인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던 내용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일 기자들에게 세계 최강의 군사력을 강조하며 “북한에 이런 군사력을 사용하길 바라지 않지만, 이를 사용하면 북한(정권)에 매우 슬픈 날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었다는 사실을 들었다.

 

하지만 이랬던 미국이 북에 대한 강경 표현은 하나도 없이 미국과 동맹국 방어의지만 밝힌 것은 아무래도 이상하다. 

이번 11일 채택된 유엔대북결의안 2375호도 헤일리 미국 유엔 대사가 원유공급 완전 중단을 호헌장담했던 것에 비하면 퍽이나 낮은 수위이다. 그것도 중국 러시아의 반대 때문도 아니었다. 설득작업도 거의 하지 않고 매우 빨리 결정된 것만 봐도 그렇다.

 

이는 미국이 더 이상 북을 자극하지 않고 출구전략을 찾겠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추정을 가능케 하는 현상들이라고 판단된다.

문제는 이런 식으로 과연 출구를 찾을 수 있겠는가에 있다. 퍽 수위를 낮춘 제재라도 북의 자주권을 심대하게 침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북은 강력하게 반발할 것이 자명하다. 

결국, 외교 언언 수사를 조절하는 미봉책으로는 격화되는 북미대결전을 가라앉힐 수 없다는 것이다. 미국은 이제 근본적인 출구전략을 심각히 고민해야할 때가 아닌가 생각된다.

 

북의 핵무장력 강화, 국가 핵무력건설 완성으로 가기 전에 문제를 해결하려면 이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다.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우리시대의 깃발과 예수

 
[두 어른] 명진 스님이 백기완, 문정현에 바치는 헌사

17.09.13 10:00 | 명진스님 기자쪽지보내기

[사전구매하기] '백발의 거리 투사' 백기완 선생님과 '길 위의 신부' 문정현 신부님이 공동 저자로 나서서 <두 어른>이란 책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 책 수익금은 비정규노동자들이 '꿀잠'을 잘 수 있는 쉼터를 만드는 데 보탭니다. 사전 구매하실 분은 기사 하단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번 글은 최근 불교적폐청산을 위해 단식을 했던 명진 스님(전 봉은사 주지)이 보내 왔습니다.[편집자말]
▲ 불교 적폐청산을 외치며, 명진 스님이 단식에 들어갔다. ⓒ 정대희

踏雪野中去(답설야중거) 
눈 내린 들판을 걸을 때에는 

不須胡亂行(불수호난행) 
그 발걸음을 어지러이 걷지 말라. 

今日我行跡(금일아행적) 
오늘 걸어가는 나의 발자국은 

遂作後人程(수작후인정) 
뒤에 오는 사람의 이정표가 되리니……. 

- 서산대사

단식을 끝내고 근 스무 날 만에 곡기를 다시 입에 넣으니 나도 모르게 눈물이 핑 돌았다. 멀건 죽 한 사발만으로도 감개무량이랄까. 산다는 것은 이렇게 생생하고 절절한 감격이다. 덜컥 두 분의 어른에 대해 글을 쓰겠노라 약속해 놓고 쓰지 못하고 있다가 단식을 끝낸 지금 겨우 이 글을 쓴다.

효림스님과 함께 조계종 적폐청산을 위해 스무날 가까이 한 단식이었다. 조계사 옆 우정공원에 단식농성 천막을 쳤다. 2013년 8월 어린 승려이던 적광스님이 자승 총무원장의 비리를 고발하는 기자회견을 하려다 경찰이 보는 앞에서 백주대낮에 호법부 승려들에게 끌려가 집단폭행을 당한 곳이다. 자비와 생명평화를 가장 소중한 가치로 여기는 절집에서 일어난 무자비한 폭력사태에 대해 철저한 진상규명과 재수사, 책임자 처벌을 제1 과제로 요구했다. 지금도 우정공원에는 조계종의 적폐를 청산하자며 대안스님과 용상스님이, 불자들이 단식을 이어가고 있다.

단식은 하루를 하건 열흘을 하건 힘들긴 매한가지다. 단식은 그것 외에는 길이 없는 이들이, 힘없는 이들이 목숨을 담보로 마지막으로 세상을 향해 보내는 절규다. 참 역설적이게도 살려달라는 SOS신호이기도 하다. 세월호 유가족, 용산참사 가족들, 무수한 이 땅의 노동자들이 오늘도 이 바보 같은 행위를 멈추지 못하고 있다. 아직 세상이 사람이 사람답게 살만한 곳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 시대의 깃발
▲ 백발의 투사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 ⓒ 박승화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위해 한 평생을 살아오신 분들이 있다. 거리에서, 감옥에서 끌려가고 두들겨 맞으며……. 그러나 단 한 번도 도망가거나 물러서지 않고 그 길을 걸어온 분들. 두 분의 어른, 백기완 선생님과 문정현 신부님이다.

백기완 선생님은 깃발이다. '산 자여 따르라'고 호령하시며 이 거친 역사의 길을 훠이훠이 뚫고 나가는 깃발이다. 이 깃발이 있어 우리는 끌려가고 매 맞고 흩어졌다가도, 길을 잃었고 헤매다가도 다시 모일 수 있었고 길을 바로 잡아나갈 수 있었다. 

2011년 8월 한여름 뙤약볕 아래서 목숨을 건 고공농성을 하던 노동자 김진숙씨를 구하기 위해 한진중공업 담벼락을 넘을 때, 모두가 주저하고 망설이던 그 때, 그 넘을 수 없을 것만 같던 높다란 담장을 넘어 성큼 첫 발을 내딛은 분이 백기완 선생님이셨다. 그 뒤로 수많은 사람들이 그 담장을 함께 넘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하니 어찌 깃발이 아니겠는가.

'아리 아리 떵!' 
길이 없으면 길을 만들면서 가야 한다는 당신의 지론처럼 백기완 선생님은 그렇게 길 없는 길을 만들어 오신 것이다.  
  
백기완 선생님은 우리가 두려움에 떨거나, 정신을 잃고 나태해지거나 나약해져 불의에 휘둘릴 때 매운 죽비처럼 우리를 두들겨 깨우시는 분이다. 삶의 현장에서, 역사의 굽이굽이에서 번쩍 우리의 정신을 일깨우시는 눈 밝은 선지식이다. 온몸으로 역사를 밀고나가는 깃발이고 우리의 길을 밝게 열어주는 선지식인 셈이다.

우리시대의 예수
▲ 문정현에겐 참사의 현장이 교회였고 고통받는 이들이 예수였다. 한뎃잠을 마다하지 않았다. ⓒ 노순택

예수님이 이 땅에 있다면 어떤 모습일까? 부처님이 이 땅에 오신다면 어떤 모습으로 오실까? 그런 생각을 할 때마다 떠오르는 분이 문정현 신부님이다. 

2012년 문정현 신부님께 광주인권상을 드리며 김준태 5·18기념재단 이사장은 "평생 권력으로부터 탄압받는 약자 편에서, 생명과 평화가 위협받는 곳이라면 어디라도 달려가 그들과 함께 소리치고, 아파하고, 밥을 나누고, 비를 맞으며 살아온 한국 현대사의 압축"이라고 말했는데 한 치도 오차가 없다.

2009년 용산참사 때 유가족과 함께 농성을 하고 계신 문정현 신부님을 찾아뵌 적 있다. 그때 신부님께서 하신 말씀이 지금도 잊히지 않는다.

"내가 뭐 하는 게 있겠소. 이들이 곁에 있어 달라면 같이 있어 줄 뿐이지." 

그 말씀을 듣는 순간 등골이 서늘했다. 참으로 무서운 말씀이셨다. 고통 받는 이들에게 어떤 것보다 큰 위로가 같이 있어 주는 것이라는 말씀을 듣는 순간, 너무나 커다란 부끄러움이 밀려 왔다. 지금 제주 강정에서도 문정현 신부님께서는 여여한 모습이다. 문정현 신부님의 삶에는 어떤 미사여구가 필요 없다. 다만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 있을 뿐이다. 

어떤 것이 종교일까? 고통에 함께함이 종교다. 고통에 함께하지 않음은 종교가 아니다. 그래서 현실의 예수가 있다면, 이 땅의 예수가 있다면 문정현 신부님의 바로 저 모습이 아닐까 싶은 것이다.

두 어른의 길
▲ 문정현 신부(좌),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우) ⓒ 박승화

나는 두 어른을 보고 있노라면 왠지 모를 성스러움을 느낀다. 그 어떤 법당의 부처님보다도, 그 어떤 성전의 예수님을 볼 때보다 더 그렇다. 박제화된 성스러움이 아니라 진흙탕 같은 현실의 고통을, 칼날 같은 세상의 아픔을 내 것으로 껴안고 함께 뒹굴고 계시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불교식으로 얘기하자면 동체대비의 자비심일 것이며, 기독교적으로 말하자면 예수의 사랑일 것이다.   

역사의 길을 걷는다는 것은 비단길도 아니고 박수 받는 길도 아니다. 말 그대로 고통으로 가득 찬 풍찬노숙의 길이고 가시밭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어른은 그 길을 가는 것을 마다하지도, 주저하지도 않고 가고 계시다. 

그 길을 걸어 우리가 바라는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은 언제 이뤄질지 모른다. 우리 생이 끝나고 그 다음, 다음 세대가 와도 이뤄지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그 길을 끊임없이 가는 것뿐이다. 

나는 그런 세상이 어느 순간 이뤄질 것이라고 생각지 않는다. 다만 우리가 그 길을 향해, 옳음을 위해 끊임없이 가고 있을 때 그런 세상은 이뤄져 가고 있는 것이라고 믿는다. 

많은 이들이 세상이 혼탁하고, 인간의 길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하기도 한다. 과연 우리가 꿈꾸는 세상이 오기는 하겠냐고 불안해 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이미 꿈의 좌표가 사라진 시대라고 하기도 하고, 길을 이끌어줄 스승이 없는 세상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나는 감히 말하고자 한다. 걸음걸음으로 좌표가 되시고, 온몸으로 시대의 스승이 된 두 어른이 있는 한, 우리가 가야 할 길을, 이뤄야 할 뜻을 잃지는 않을 것이라고. 

만일 이 두 어른이 우리 사회에 없었다면 어땠을까? 나는 도무지 상상이 되지 않는다. 이 두 어른을 대체할 누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지도 않는다.  

그래서 이 두 어른은 고유명사 백기완, 고유명사 문정현이 아니라 그 이름만으로 다른 설명이 필요치 않은 보통명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백기완이 없는, 문정현을 뺀 우리 현대사가 쓰일 수 없기 때문이다. 

지금 두 어른의 연세는 적지 않다. 이미 두 어른은 백발이 성성하시다. 하지만 이 분들을 누구도 노인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당신들도 뒷방으로 물러날 생각이 조금도 없으신 것 같다. 다행이다. 그래서 너무 고맙다. 우리의 영원한 현역이시고, 영원한 당대이신 백기완 선생님, 문정현 신부님 늘 건강하시기를 빌고 또 빈다.   

꿀잠을 위하여
▲ 아스팔트 위에서 낮을 견디다 거리에서 밤을 지새던 노동자들. 이들을 위한 쉼터가 생겼다. 비정규노동자의 쉼터 '꿀잠'이다. ⓒ 신유아

두 어른이 아름다운 것은 가장 낮은 곳을 향하시고, 가장 고통 받는 이들과 함께하시기 때문이다. 특히 가장 소외받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손을 함께 잡아주셔서 감사할 따름이다. 이번 책도 비정규직 쉼터 꿀잠을 위해 전액 기부된다니 더욱 그러하다. 나도 작은 힘이나마 정성껏 보태고자 한다. 이 땅의 비정규노동자들이, 아니 고통을 받는 모든 이들이 '꿀잠'을 잘 수 있는 날까지!

*대담집 <두 어른>의 사전판매(1쇄) 전액은 꿀잠 기금에 보태 빚을 갚는 데 사용됩니다.
▲ <두 어른> 표지 이미지 ⓒ 오마이북
 
대담집 <두 어른> 사전구매하기
1. 다음 스토리펀딩 기사 읽고 신청하기
2. 비정규노동자의 집 '꿀잠' 에서 신청하기
3. <두 어른>과 함께하는 오마이뉴스 후원하기 휴대폰 010-3270-3828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김련희·北여종업원 12명 송환...남북 화해 앞당기는 계기되길'

김련희 송환촉구모임, "가족에게 가겠다는 사람 억지로 잡아놓고 무슨 일을 하나"
이승현 기자  |  shlee@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7.09.12  12:13:05
페이스북 트위터
   
▲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를 비롯한 14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평양시민 김련희 송환촉구모임'은 11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김련희 씨와 북 해외식당 종업원 12명의 즉각 송환을 촉구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김련희 씨와 북 해외식당 종업원 12명 송환 문제는 문재인 정부가 가짜 촛불이냐 진짜 촛불이냐를 가르는 시금석이다."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와 민가협양심수후원회,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통일위원회를 비롯한 14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평양시민 김련희 송환촉구모임'은 11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평양시민 김련희 씨의 즉각송환과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12명에 대한 기획탈북 진상 규명·원상회복을 강한 어조로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한찬욱 사월혁명회 사무처장이 낭독한 기자회견문에서 "지금 문재인 정부는 박근혜 적폐청산을 한다고 하면서도 유독 분단적폐에 관해서는 오히려 박근혜를 능가하고 있다. 절대로 용납할 수 없는 반민족적 행태"라며, "정부가 남북관계 개선에 거짓이 없다면 당장 사대매국적인 외세공조, 동족대결정책을 그만두어야 한다"고 성토했다.

또 "인도주의와 동포애의 정신으로 평양시민 김련희 씨를 조건없이 송환하고 북 해외식당 종업원에 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원상회복 조치를 당장 실천해야 할 것"이라고 거듭 촉구했다.

   
▲ 왼쪽부터 권오헌 민가협양심수후원회 명예회장, 이규재 범민련 남측본부 의장, 장경욱 북 해외식당 종업원 기획탈북의혹사건대응 TF팀장, 최진미 전국여성연대 상임대표, 김련희 씨.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권오헌 민가협양심수후원회 명예회장은 "꽉 막혀있는 지금의 남북관계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은 평양시민 김련희 씨를 송환하는 것이고 강제로 끌고 와서 생사조차 알 길 없는 북 해외식당 종업원 12명에게 지금도 가해지고 있는 반인륜 반인권 범죄의 책임을 묻고 원상회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는 전임 정권이 저지른 이 두가지 일을 떳떳이 밝힘으로써 국민의 지지와 함께 인권과 민주주의, 남북관계를 복원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규재 조국통일범민족연합 남측본부 의장은 "남북관계가 이토록 경색되고 긴장된 상황에서, 가족에게 돌아가겠다는 사람을 억지로 붙잡아 놓고 도대체 무슨 일을 할 수 있나. 정의니 인권이니 하는 모든 것에 앞서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한시바삐 김련희 씨와 12명 여종업원들을 보내주고 그걸 계기로 남북관계 완화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화해정책 시대로 갈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장경욱 북 해외식당 종업원 기획탈북의혹사건대응 TF팀장은 "최근 정부 관계자들을 만나 12명 여종업원들을 여전히 국정원에서 특별 관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김련희 씨의 경우 간첩죄를 뒤집어 쓰고 대구구치소에 갇혀 있었기 때문에 수소문이라도 가능했는데, 12명 종업원의 신변 안전은 도무지 알 수가 없고 새 정부 들어서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또 변호사 접견이나 외부와의 접촉을 허용하지 않는 데 대해서는 "본인들이 원하지 않는다. 변호사들을 통해 자유의사로 남에 온 사실이 확인되면 북의 가족이 다 죽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아직도 앵무새처럼 똑같은 이유를 대는데, 이게 상식적으로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장 변호사는 "대명천지에 북측 가족의 위임을 받은 변호인조차 그 생사안위를 확인할 수 없는 이 나라는 민주주의와 인권이 보장되는 나라일 수 없으며, 그토록 북의 가족들이 원하는데도 만나게 해주기는커녕 오히려 북의 가족들이 위험에 빠질 수도 있다는, 말 같지도 않은 비상식의 언어로 국민을 세뇌시키는 이런 상황은 정상이 아니"라고 비판했다.

이어 "김련희 씨의 경우 본인 의사에 따라 북으로 송환하고 12명 종업원은 진정한 의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변호인들의 접견을 신속하게 보장하며, 그 과정에서 국정원의 잘못이 드러날 경우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달라"고 촉구했다.

김련희 씨는 "누구에게나 있는 행복한 가정과 가족을 7년째 송두리째 빼앗긴채 혈육한점 없는 이 남녘땅에 강제로 억류되어 있다. 그 7년동안 나는 끊임없이 이 나라 정부에 나를 가족이 있는 평양으로, 북으로 보내달라고, 가족이 그립다고, 딸자식을 안아보고 싶다고 한결같이 호소했다"고 말했다. 

김 씨는 최근 한 통일부 관계자가 공개석상에서 '김 씨의 송환운동은 북의 가족에 해가 끼칠 것을 우려한 자작극'이라고 발언한 일이 있다며, "나의 신념, 나의 생각, 나의 의사 분명하다. 나는 나의 조국 나의 고향 나의 가족의 품으로 한시바삐 돌아가고 싶다. 당국은 하루 빨리 우리들을 우리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주길 바란다"고 다시 한 번 자신의 뜻을 천명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국에게 치욕을 안긴 쿠바혁명이 시사하는 북미대결전

미국에게 치욕을 안긴 쿠바혁명이 시사하는 북미대결전
 
 
 
정설교 화백
기사입력: 2017/09/12 [01:38]  최종편집: ⓒ 자주시보
 
 
▲ 뉴욕타임즈의 보도와 미국의 턱 밑 쿠바 미사일 사태    ©정설교 화백

 

 

▲ 카스트로와 흐르시초프     © 정설교 화백

 

 

▲   쿠바 혁명   © 정설교 화백

 

 

▲ 미국과 화해하는 카스트로 ,

승자의 모습이다.   © 정설교 화백

 

 

"미국은 니콰라과에서 시작하여 이란을 거처 필리핀까지 부패한 독재자의 보호세력이었다미국의 지원을 등에 업은 현지정권들은 자국의 국민들이 독재자와 불공정한 경제 질서에 저항하면 경찰과 군인을 동원하여 무력으로 진압하였다." <출처비밀무기 CIA: 이란 과테말라쿠바칠레 개입 181>

 

쿠바는 3715개의 섬으로 이루어졌으며 면적은 11만 Km로 한반도의 절반 정도의 섬나라다쿠바는 미국에서 거리는 144Km로 열대 남단에 위치하여 여름에는 21도 겨울은 오히려 여름보다 높은 27도로 평균 21도의 온화한 기후를 이루고 매우  비옥한 이 땅이다.  1898년 4월 *스페인을 상대로 선전포고를 한 미국은 쿠바에서 스페인을 몰아내는데 성공하며 1900년 미국의 매킨리 대통령은 쿠바를 협박하여 외교권을 빼앗고 경제적 식민지로 만든다.

 

하지만 1959년 쿠바에서 카스트로체 게바라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났다이들 사회주의자들은 미국의 지원을 받으며 부패한 독재정권 푸렌시오 바티스타를  몰아낸 것이다카스트로는 토지개혁을 단행하고 사탕수수를 재배하기 위한 거대한 미국인 소유의 땅들과 재산을 모조리 몰수하여 가난한 농민들에게 무상으로 나누어주었다. 미국은 이에 큰 충격에 빠졌지만 쿠바와 비슷한 상황에 놓인  가난한 민중들은 쿠바혁명을 열렬하게 환영했다.

 

이에 미국은 쿠바에 모든 경제관계를 중단하고 보복했다특히 쿠바로부터 설탕수입 95%를 중단하여 주된 수입원이었던 쿠바는 타격을 입었다이에 쿠바는 사회주의 소련과 통상 조약을 맺고 급격하게 가까워졌다.

 

1960년 존 F케네디가 대통령에 당선되어 이듬해 케네디는 쿠바와 국교를 완전히 단절했다그리고 쿠바정권을 무너뜨리기 위하여 쿠바에서 미국으로 망명한 사람들로 군대를 만들어 미국에서 훈련시켰다미국은 이들 망명인사들을 쿠바에 상륙시키면 쿠바인들은 망명정권을 환영하고 카스트로 정권에 봉기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1961년 쿠바의 망명부대를 동원하여 미국은 쿠바 피그스만을 공격했다그러나 쿠바인들은 카스트로를 절대적으로 지지하고 쿠바에서 민중봉기는 일어나지 않았으며 1400여 친미 피그스만 공격부대는 전멸했다.

 

이에 쿠바는 소련과 더욱 밀착되고 미국의 위신은 땅에 떨어졌다쿠바에서 완전히 패전한 케네디는 소련의 턱밑인 터키에 미사일기지를 마련하여 소련을 겨누었다이에 소련도 미국의 턱밑 쿠바에 미사일기지를 건설하게 되었고 후일 언론들은 후르시초프는 겁쟁이고 케네디의 위대한 용기라고 쿠바 미사일 사태에 미국이 승리자라고 추켜세웠지만  실은 케네디가 은밀하게 터키의 미사일기지를 해체하는 조건으로 소련의 쿠바 미사일 기지 철수를 타협하였던 것이며 케네디는 쿠바의 주권을 존중하고 다시는 쿠바를 침공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였다. 미국은 그만큼 핵미사일로 위협받는 상황이 무섭고 견디기 힘든 일이었던 것이다. 풍요로운 단맛에 취해있는 미국인들에게 핵공포는 상상조자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었을 것이다.

 

북한의 핵미사일이 미국의 심장을 겨누고 있는 오늘날의 현실에서 미국은 과연 북과 전쟁을 선택할 것인지 아니면 북과 평화를 선택할 것인지는 쿠바혁명과 소련의 쿠바 미사일 사태를 주시한다면 어렵지 않은 예측거리이며 베일은 곧 벗겨질 것이다북한은 이미 단 한발의 *EMP탄으로 미국을 몰락시킬 만큼의 군사적 강대국으로 성장하였기에 미국은 북한의 주권을 존중하며 동북아에 평화를 정착시키는 북미평화협정이 절실한 상태가 아닐 수 없다

 

부끄러움은 잠깐이고 진실은 영원하다고 하지만 미국을 예측하기란 역사와 상식으로는 좀 곤란한 면이 있는 것 같다. 미국은 대북제재에 매달리지만 미국이 조금만이라도 이성이 있는 나라라면 이기지 못할 북미전쟁으로 인한 몰락을 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디 애틀랜틱, ‘문재인 대통령이 옳다’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7/09/12 13:05
  • 수정일
    2017/09/12 13:05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북한이 힘의 논리를 믿는 한 트럼프의 강경책은 역효과 낼 것
 
뉴스프로 | 2017-09-12 10:27:10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디 애틀랜틱, ‘문재인 대통령이 옳다’ 
– 북한이 힘의 논리를 믿는 한 트럼프의 강경책은 역효과 낼 것 
– 문 대통령, 핵-군사훈련 상호 동결이 평화협정의 시작이라 생각 
– 트럼프 행정부, 상호 동결안 동의 못하는 건 북한 못 믿기 때문 
– 한, 중 주도권 인정하고 북한 입장 고려한 핵 외교 펼쳐야

미국의 저명한 매체 디 애틀랜틱이 북한 핵 위기에 대응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방법이 옳다고 주장하는 논평을 실었다. ‘한국이 옳다’ 라는 헤드라인으로 선보인 이 논평은 전쟁 협박과 적극적 전쟁준비가 김정은이 핵무기를 포기할 최선의 방법이라고 보는 트럼프의 해법을 지적하면서, 북한은 핵을 포기한 후세인이나 카다피처럼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북한이 경제적 제재에도 핵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이유가 바로 이러한 힘의 논리를 믿기 때문이며 트럼프의 정책이 역효과를 낼 이유 또한, 북한이 힘의 논리를 믿는 것에 있다고 보았다.

한편,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서는 다른 입장을 내놨다. 6월 문 정부의 대북 정책 수석고문이 “만약 북한이 핵무기와 미사일 활동을 중단한다면, 우리도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줄이는 것을 미국과 논의해 볼 수 있다” 고 제안한 것을 예로 들며, 문 대통령 또한 7월 워싱턴 방문 중 트럼프와 그 점에 관해서 이야기한 것 같다고 전한다. 문 대통령은 이러한 상호 동결이 한국 전쟁을 종식시키는 공식적인 평화협정을 목표로 하는 협상의 첫걸음이라고 믿으며 북한의 핵 개발을 제한하는 최선의 방법은 미국과 한국이 평양에 협박을 더가 아니라, 덜 하는 것이라고 문 대통령은 생각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디 애틀랜틱은 주변국에 관한 입장도 다루고 있다. 문 대통령의 방식이 훨씬 더 타당한 이유는 우선, 중국이 문 대통령과 뜻을 같이한다는 것이라고 말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굴복하게 만들라고 끊임없이 중국에 요구해왔지만, 중국의 일부 관측통은 중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현재의 갈등 상황을 끝내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자국의 인근 지역에서 전쟁이 나는 것을 원하지 않고 해결 방안을 중재할 경우 중국의 이미지도 향상될 것이라고 말한다. 기사는 또, 중국은 북한의 핵개발 프로그램을 달갑게 여기지 않지만 또한 미국이 핵 위기를 구실 삼아 중국을 견제하려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북한의 핵개발 프로그램을 제한하기를 원하는 한편 한반도에서 미국의 힘도 제한하고 싶어 한다고 밝힌다. 중국에게 최악의 상황은 남북한이 통일을 하고 미군이 국경에 남게 되는 상황이다. 중국은 또한 미국이 한국에 설치하고 있는 사드 미사일 방어체계도 강력하게 반대하는데, 이는 사드의 목적이 적어도 어느 정도는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중국은 “동결 대 동결”을 제안했으며 문 대통령은 이를 지지하는 듯 보인다고 기사는 말한다.

기사는,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도 이에 협력한다면 중국은 이를 이행할 수 있음을 증명하도록 엄청난 압박을 받을 것이지만 북한은 여전히 거절할지도 모른다고 한다. 그러나 6월, 인도 주재 북한 대사는 “핵과 미사일 실험 동결에 대해 대화를 할 의사가 있으나 단, 미국이 거대한 대규모 군사 훈련을 일시적이든 영구적이든 중단한다는 조건에서”라고 말한 바 있다고 보도했다. 한중 양국의 결단력(러시아도 이를 지지한다.)으로 북한이 미국 해안가를 타격할 수 있는 핵미사일을 개발하는 일에 더욱 근접하게 나아가지 못하도록 막을 기회가 있으며 이것이 바로 샘 넌 전 상원의원, 마이크 뮬렌 전 합동참모본부 의장, 그리고 전략무기감축회담에서 협상했던 리차드 버트 대사가 모두 한미 군사훈련의 제한이 외교적 협상의 일환이 될 수 있다고 의견을 밝혔던 이유라고 기사는 밝히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이 제안을 그토록 싫어하는 이유에 대해, 뉴욕타임스는 백악관이 북한은 속임수를 쓸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북한이 핵무기에 관한 약속을 언제나 어긴다는 주장은 미국에서 일종의 신앙처럼 되어 공화당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타임스도 뉴스 보도에서 이를 사실로 단언한다. 그러나 이것은 왜곡된 해석이라고 기사는 말한다. 1994년 제네바 기본합의에서 북한은 핵프로그램을 동결하겠다고 약속했다. 그 대가로, 미국은 플루토늄 원자로를 폐쇄함으로써 북한이 잃은 전력을 보상해주기 위해 “중유”를 제공하고, 새 “경수로” 건설을 지원하며, 관계 정상화로 나아가겠다고 약속했다. 비판자들은 북한이 속임수를 써서 비밀리에 우라늄을 농축해 폭탄을 만들 방법을 찾고 있었다고 말한다. 그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미국도 똑같이 속였다. 공화당이 장악한 의회의 거부로 인해 미국은 약속했던 중유를 여러 번 제때에 공급하지 못했다. 1997년 북한은 미국이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북한도] 지키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는 사실에 미국 사회과학연구협의회의 레온 시갈 동북아 협력안보 프로제트 책임 연구원은 주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100개의 핵폭탄을 생산할 수 있는 플루토늄 원자로를 재가동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클린턴 행정부가 끝날 때까지는 미국과 북한은 상대방에 대해 “적대 의사”를 갖지 않기로 서약했었다.

하지만 부시 행정부가 들어서고 미국은 “적대 의사”가 없다는 약속의 재확인을 거부했다. 2002년 미국이 북한의 비밀 우라늄 프로그램에 대해 알게 되었을 때, 미국은 이를 이용해 합의를 온전히 폐기해버렸다. 북한은 외교관계를 맺고 제재를 종료하는 것을 내용으로 최종 합의를 해주면 플루토늄과 우라늄 프로그램을 모두 포기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존 볼튼 당시 국무부 군비통제 및 국제안보 담당 차관은 “그것은 내가 제네바 기본합의를 산산이 깨부수기 위해 찾고 있던 망치였다”고 시인했다. 기사는, 북한의 핵무기 제조를 억제하는 한 방법으로서 “핵 외교”가 “협상 없이 제재 압력을 가하고 북한을 고립시키는 것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었음’이 입증되었다고 시갈 책임 연구원의 주장을 실으면서 정치인들과 전문가들은 북한 정권의 관점에서 핵 프로그램이 왜 타당한지 그 이유를 인정하지 않은 채로 핵 프로그램을 폐기하라고 북한에 계속 요구한다고 말한다.

또한 그들은 미국이 시키는 대로 하는 것은 중국에 이로운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은 채로 미국의 뜻대로 하라고 중국에 끝없이 요구하면서 중국과 한국이 북한뿐만 아니라 미국의 양보도 요구되는 제안을 하면 언론은 대개 이를 무시해버린다고 밝힌다. 마지막으로 기사는, 지금은, 한국이 옳다. 한국 대통령은 북한의 핵 야심을 제한하는 데 있어 도널드 트럼프 보다 훨씬 더 현실적이고 인도주의적인 계획을 가지고 있다. 트럼프는 모욕적인 언행으로 이 계획에 답했다고 마무리 하고 있다.

다음은 뉴스프로에서 번역한 디 애틀랜틱의 논평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theatln.tc/2eGzCfZ

South Korea Is Right 
한국이 옳다

Trump has characterized its policy as “appeasement.” But Seoul’s approach is far more sensible than Washington’s. 
트럼프는 한국의 정책을 “유화책”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국의 접근 방식이 워싱턴의 방식보다 훨씬 분별력 있다.

PETER BEINART SEP 5, 2017

Here’s a rallying cry for Democrats unsure what to say about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The South Koreans are right. On Sunday, in a typically self-aggrandizing and grammatically challenged tweet, Trump chastised America’s longtime ally. “South Korea is finding, as I have told them that their talk of appeasement with North Korea will not work,” he declared. “They only understand one thing!” The implication is that because Pyongyang understands only the logic of force, Trump’s policy of threatening war, and aggressively preparing for it, is the best way to convince Kim Jong Un to relinquish his country’s burgeoning nuclear arsenal.

북한 핵 위기 앞에 어찌할 바를 모르는 민주당 지지자들을 위한 구호가 여기 있다: 한국인들이 맞다. 일요일, 전형적으로 자기 과시적이며 문법은 엉망인 트윗을 통해 트럼프는 미국의 오랜 동맹국을 꾸짖었다. “내가 말했듯 한국은 북한에 유화 정책이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며 “북한은 오직 한 가지만 이해한다!”고 말했다. 그 트윗이 암시하는 바는 북한이 오직 힘의 논리만 이해한다는 것이며, 트럼프의 전쟁 협박과 적극적 전쟁준비가 김정은이 북한의 늘어나는 핵무기를 포기할 최선의 방법이라는 것이다.

The premise is correct but the conclusion is exactly wrong. Yes, North Korea understands the logic of force. It says so all the time. Again and again, Pyongyang has observed that adversaries of the United States who abandon their nuclear weapons programs—Saddam Hussein, Muammar Qaddafi—end up dead. Kim thinks America wants to add his scalp to the list. And why shouldn’t he? The U.S. dropped more bombs on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than it dropped on the entire Pacific region during World War II, George W. Bush declared the North a member of the “axis of evil” in 2003, and the United States regularly practices “decapitation raids” against Kim’s totalitarian regime. It is precisely because North Korea believes in the logic of force that it is accelerating its nuclear program despite economic sanctions. And it is precisely because North Korea believes in the logic of force that Trump’s policies are so wildly counterproductive. Imagine you’re in a standoff with a man you have bloodied before. You have an AK-47. He has a hunting rifle, which you consider a threat but he considers his best shot at staying alive. If you fire in the air and scream that you’re going to blow him to smithereens, as Trump has done in recent weeks, you won’t make your adversary drop his weapon. You’ll make him to cling to it for dear life.

전제는 옳지만, 결론은 완전히 틀렸다. 그렇다. 북한은 힘의 논리를 이해한다. 북한은 늘 그렇게 말하고 있다. 평양은 사담 후세인이나 무아마르 카다피처럼 핵을 포기한 미국의 적들이 결국 죽는 것을 반복적으로 보아왔다. 김정은은 미국이 자신을 그 리스트에 추가하고 싶어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이유가 무엇인가? 미국이 한국 전쟁 중 북한에 떨어뜨린 폭탄의 양이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태평양 지역 전체에 투하한 폭탄의 수보다 더 많았고, 조지 W. 부시는 2003년 북한이 “악의 축” 중 하나라고 공표했으며, 미국은 김정은의 전체주의 정권에 대한 “참수 작전”을 정기적으로 연습한다. 북한이 경제적 제재에도 핵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이유가 바로 이러한 힘의 논리를 믿기 때문이다. 트럼프의 정책이 전혀 역효과를 낼 이유 또한, 북한이 힘의 논리를 믿는 것에 있다. 당신을 피 흘리게 했던 사람과 대치 상황에 있다고 상상해보라. 당신에게는 AK-47이 있다. 상대방은 사냥용 라이플총을 가지고 있는데 당신은 그것을 위협이라 생각하지만, 그는 살아남기 위해서는 그 총이 자신이 가진 최선책이라 생각한다. 트럼프가 지난 몇 주에 걸쳐 그랬듯, 만약 당신이 공중에 총을 쏘고 상대를 산산조각 내겠다고 소리를 지른다면, 당신은 상대가 무기를 내려놓도록 하지 못할 것이다. 살아남기 위해 그는 그것에 더욱 매달릴 것이다.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 In favors a different approach. In June, his top adviser on North Korean affairs proposed that “we and the U.S. can discuss reducing the South Korea-U.S. joint military exercises if North Korea suspends its nuclear weapons and missile activities.” Moon himself reportedly broached the idea with Trump when he visited Washington in July. This sort of mutual freeze, the South Korean leader believes, could be the first step toward negotiations aimed at a formal peace agreement ending the Korean War. (Back in 1953, the opposing sides merely signed an armistice.) Moon, in other words, thinks the best way to limit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is by making America and South Korea less—not more—menacing to Pyongyang. That’s pretty much the opposite of Trump’s view, which helps explain why Moon on Sunday found himself on the wrong side of Trump’s Twitter feed.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다른 접근 방식을 선호한다. 지난 6월 그의 대북 정책 수석고문은 “만약 북한이 핵무기와 미사일 활동을 중단한다면, 우리도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줄이는 것을 미국과 논의해 볼 수 있다”고 제안했다. 문 대통령 또한 7월 워싱턴 방문 중 트럼프와 그 점에 관해서 이야기했다고 전해진다. 한국의 지도자는 이러한 상호 동결이 한국 전쟁을 종식시키는 공식적인 평화협정을 목표로 하는 협상의 첫걸음이라고 믿는다. (1953년 양국은 휴전 협정을 체결했을 뿐이다.) 다시 말하면, 북한의 핵 개발을 제한하는 최선의 방법은 미국과 한국이 평양에 협박을 더가 아니라, 덜 하는 것이라고 문 대통령은 생각한다. 이것은 트럼프의 견해와 반대되는 것으로서, 바로 이 때문에 지난 일요일 트럼프는 문 대통령에 대해 부정적인 트윗을 날렸다.

But Moon’s approach makes far more sense. For one thing, China agrees with him. Since taking over as president, Trump has endlessly demanded that Beijing bring North Korea to heel. And some China watchers think Beijing genuinely wants to end the current standoff: both because it doesn’t want war in its backyard, and because brokering a solution would enhance its image. “Beijing,” wrote the Asia scholar Lionel Fatton earlier this year, “is eager to show the new American administration its centrality in dealing with North Korea.”

하지만 문 대통령의 방식이 훨씬 더 타당하다. 우선, 중국이 문 대통령과 뜻을 같이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한 이래로 북한을 굴복하게 만들라고 끊임없이 증국에 요구해왔다. 또, 중국의 일부 관측통은 중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현재의 갈등 상황을 끝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중국은 자국의 인근 지역에서 전쟁이 나는 것을 원하지 않으며 해결 방안을 중재할 경우 중국의 이미지도 향상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시아 학자인 라이오넬 패튼 박사는 올해 초 “중국 정부는 미국의 새 행정부에 자국이 북한을 상대하는 일에 있어 그 중심에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싶어 한다”고 썼다.

China, however, won’t muscle North Korea into accepting a deal it doesn’t consider to be in its own interest. Beijing dislikes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But it also suspects that the U.S. is using the nuclear crisis as a pretext for ratcheting up its containment of Beijing.

그러나 중국은 북한이 스스로에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협상을 받아들이도록 압력을 행사하지는 않을 것이다. 중국은 북한의 핵개발 프로그램을 달갑게 여기지 않는다. 그러나 중국은 또한 미국이 핵 위기를 구실 삼아 중국을 견제하려 한다고 생각한다.

So China wants to limit Pyongyang’s nuclear program while also limiting American power on the Korean peninsula. Its nightmare scenario is a re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that leaves American troops on its border, something China went to war to prevent in 1950. It also strongly opposes the THAAD missile defense system the U.S. is installing in South Korea, which the Chinese believe is aimed at least partially at deterring them.

그렇기 때문에 중국은 북한의 핵개발 프로그램을 제한하기를 원하는 한편 한반도에서 미국의 힘도 제한하고 싶어 한다. 중국에게 최악의 상황은 남북한이 통일을 하고 미군이 국경에 남게 되는 상황으로, 이미 1950년 이를 막기 위해 중국은 전쟁에 나섰던 일이 있다. 중국은 또한 미국이 한국에 설치하고 있는 사드 미사일 방어체계도 강력하게 반대하는데, 이는 사드의 목적이 적어도 어느 정도는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China came up with the “freeze for freeze” proposal that Moon appears to support. And if the Trump administration got on board, Beijing would feel tremendous pressure to show that it could deliver. Pyongyang might still refuse. But in June, North Korea’s ambassador to India said that, “we are willing to talk in terms of freezing nuclear testing or missile testing … if the American side completely stops big, large-scale military exercises temporarily or permanently.”

중국은 “동결 대 동결”을 제안했으며 문 대통령은 이를 지지하는 듯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도 이에 협력한다면 중국은 이를 이행할 수 있음을 증명하도록 엄청난 압박을 받을 것이다. 북한은 여전히 거절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6월, 인도 주재 북한 대사는 “핵과 미사일 실험 동결에 대해 대화를 할 의사가 있다… 단, 미국이 거대한 대규모 군사 훈련을 일시적이든 영구적이든 중단한다는 조건에서”라고 말했다.

So there’s a chance the Chinese-South Korean initiative (which Russia supports too) could prevent North Korea from moving ever closer to a nuclear missile able to hit America’s shores. Which is why former Senator Sam Nunn, former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Mike Mullen, and Ambassador Richard Burt, who negotiated the Strategic Arms Reduction Talks, have all suggested that limiting U.S.-South Korean military exercises could be part of a diplomatic deal.

그러므로 한중 양국의 결단력(러시아도 이를 지지한다.)으로 북한이 미국 해안가를 타격할 수 있는 핵미사일을 개발하는 일에 더욱 근접하게 나아가지 못하도록 막을 기회가 있다. 이것이 바로 샘 넌 전 상원의원, 마이크 뮬렌 전 합동참모본부 의장, 그리고 전략무기감축회담에서 협상했던 리차드 버트 대사가 모두 한미 군사훈련의 제한이 외교적 협상의 일환이 될 수 있다고 의견을 밝혔던 이유이다.

Why is the Trump administration so hostile to the idea? According to The New York Times, because the White House thinks North Korea will cheat. Claiming Pyongyang invariably reneges on its nuclear commitments has become such a catechism in Washington that not only Republicans—but even the Times, in its news pages—asserts it as fact.

트럼프 행정부가 이 제안을 그토록 싫어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미 백악관 측은 북한이 속임수를 쓸 것이라고 생각한다. 북한이 핵무기에 관한 약속을 언제나 어긴다는 주장은 미국에서 일종의 신앙처럼 되어 공화당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타임스도 뉴스 보도에서 이를 사실로 단언한다.

But that’s a skewed reading of the history of American-North Korean nuclear talks. As I argued in July, under its 1994 Agreed Framework with the Clinton administration:

그러나 이것은 미국과 북한의 핵무기 회담의 역사를 왜곡하여 해석한 것이다. 필자가 7월에 주장한 바와 같이 클린턴 전 대통령 행정부와 맺어진 1994년 제네바 기본합의는 다음과 같다:

Pyongyang promised to freeze its nuclear program. In return, the U.S. promised to provide “heavy fuel oil” to compensate for the electricity North Korea would lose by shutting down its plutonium reactor, to help build an entirely new, “light water” reactor, and to move toward normalizing relations.

북한은 핵 프로그램을 동결하겠다고 약속했다. 그 대가로, 미국은 플루토늄 원자로를 폐쇄함으로써 북한이 잃은 전력을 보상해주기 위해 “중유”를 제공하고, 새 “경수로” 건설을 지원하며, 관계 정상화로 나아가겠다고 약속했다.

Critics say North Korea cheated by secretly pursuing a different path—via uranium enrichment—toward a bomb. That’s true. But the U.S. cheated too. Because of objections by the Republican Congress, the United States repeatedly failed to deliver the fuel oil it had promised on time. As early as 1997, notes Leon Sigal, director of the Northeast Asia Cooperative Security Project at the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Pyongyang warned that if the U.S. didn’t meet its commitments, [North Korea] wouldn’t either. Still, North Korea did not reopen its plutonium reactor, a facility that could, according to U.S. estimates, have produced 100 nuclear bombs. And by the end of the Clinton administratio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had pledged that neither country would have “hostile intent” toward the other.

비판자들은 북한이 속임수를 써서 비밀리에 우라늄을 농축해 폭탄을 만들 방법을 찾고 있었다고 말한다. 그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미국도 똑같이 속였다. 공화당이 장악한 의회의 거부로 인해 미국은 약속했던 중유를 여러 번 제때에 공급하지 못했다. 1997년 북한은 미국이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북한도] 지키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는 사실에 미국 사회과학연구협의회의 레온 시갈 동북아 협력안보 프로제트 책임 연구원은 주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100개의 핵폭탄을 생산할 수 있는 플루토늄 원자로를 재가동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클린턴 행정부가 끝날 때까지는 미국과 북한은 상대방에 대해 “적대 의사”를 갖지 않기로 서약했었다.

When the Bush administration took office, however, it refused to reaffirm this declaration of no “hostile intent.” And in 2002, when it learned about North Korea’s secret uranium program, it used the revelation as an opportunity to scrap the agreement altogether. The North Koreans offered to abandon both their plutonium and uranium programs in return for a final deal that provided diplomatic relations and an end to sanctions. But as then-Under Secretary of State for Arms Control and International Security John Bolton admitted, “This was the hammer I had been looking for to shatter the Agreed Framework.”

하지만 부시 행정부가 들어서고 미국은 “적대 의사”가 없다는 약속의 재확인을 거부했다. 2002년 미국이 북한의 비밀 우라늄 프로그램에 대해 알게 되었을 때, 미국은 이를 이용해 합의를 온전히 폐기해버렸다. 북한은 외교관계를 맺고 제재를 종료하는 것을 내용으로 최종 합의를 해주면 플루토늄과 우라늄 프로그램을 모두 포기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존 볼튼 당시 국무부 군비통제 및 국제안보 담당 차관은 “그것은 내가 제네바 기본합의를 산산이 깨부수기 위해 찾고 있던 망치였다”고 시인했다.

So, yes, diplomacy with North Korea hasn’t worked perfectly. But as a method of restraining North Korea’s bomb making, Sigal argues, “nuclear diplomacy” has proved “far superior to the record of pressure of sanctions and isolation without negotiations.”

그래, 시인한다. 북한과의 외교는 완벽하게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그러나 북한의 핵무기 제조를 억제하는 한 방법으로서 “핵 외교”가 “협상 없이 제재 압력을 가하고 북한을 고립시키는 것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었음’이 입증되었다고 시갈 책임 연구원은 주장한다.

Democrats should say so loudly. So far, the North Korean nuclear standoff has been a case study in Washington’s narcissistic foreign policy debate. The unstated assumptions are: 1) America’s interests are universal, and thus, other countries should want exactly the same outcome in North Korea as the United States does, and 2) Other countries should force North Korea to make concessions without asking America to make any of its own.

민주당 지지자들은 큰소리로 그렇게 말해야 한다. 지금까지 북한의 핵 교착상태는 워싱턴의 나르시스적인 외교 정책 논쟁의 연구 사례였다. 말로 표현되지 않은 두 가지 전제가 있는데 첫째, 미국의 이익은 보편적인 것이므로 다른 나라들도 북한 문제에 있어 미국이 원하는 바와 똑같은 성과를 원해야 한다는 것과 둘째, 다른 국가들은 미국에 어떤 것도 요구하지 말고 그저 양보하도록 북한을 압박해야 한다는 것이다.

Thus, politicians and pundits endlessly demand that the North Korean government scrap its nuclear program without acknowledging why, from the regime’s perspective, a nuclear program makes sense. They endlessly demand that China do America’s bidding without acknowledging that doing America’s bidding may not be in China’s interest. And, when China and South Korea offer a proposal that requires concessions from Washington as well as Pyongyang, the media largely ignores it. The Trump administration actually seems to consider a preventative military strike against North Korea—which would likely kill thousands if not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preferable to the diplomatic proposal being pushed by North Korea’s two closest neighbors. And by disregarding the Chinese and South Korean initiative, the media helps make that possible.

따라서 정치인들과 전문가들은 북한 정권의 관점에서 핵 프로그램이 왜 타당한지 그 이유를 인정하지 않은 채로 핵 프로그램을 폐기하라고 북한에 계속 요구한다. 또한 그들은 미국이 시키는 대로 하는 것은 중국에 이로운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은 채로 미국의 뜻대로 하라고 중국에 끝없이 요구한다. 그리고 중국과 한국이 북한뿐만 아니라 미국의 양보도 요구되는 제안을 하면 언론은 대개 이를 무시해버린다.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의 가장 가까운 인접국가인 중국과 한국이 추진하고 있는 외교적 해법보다는, 수십 만 명, 혹은 최소한 수천 명을 죽일 수도 있는 예방 차원의 군사 공격을 북한에 대해 실제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중국과 한국의 주도권을 묵살함으로써, 언론은 이를 가능하도록 돕고 있다.

In a time of jingoism and fear, it’s never easy to side with another country’s government over your own. But a decade ago, many liberals (myself included) regretted that during the debate over war with Iraq, we hadn’t uttered these three simple words: France is right. Today, South Korea is right. Its president has a vastly more realistic, and humane, plan for limiting North Korea’s nuclear ambitions than does Donald Trump. Trump has rewarded him for that with insults. Democrats should offer solidarity instead.

호전적 애국주의와 공포가 판을 치는 시대에 자국보다 다른 나라 정부의 편을 드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10년 전 많은 진보주의자(나 자신을 포함한)들은 이라크 전쟁에 관한 논쟁에서 우리는 이 간단한 말, 즉 ‘프랑스가 옳다’라는 말을 하지 않은 것을 후회했다. 지금은, 한국이 옳다. 한국 대통령은 북한의 핵 야심을 제한하는 데 있어 도널드 트럼프 보다 훨씬 더 현실적이고 인도주의적인 계획을 가지고 있다. 트럼프는 모욕적인 언행으로 이 계획에 답했다. 민주당 지지자들은 이와 달리, 연대할 것을 제안해야 한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896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확정, 중·러 반대로 원유 공급 중단 못해

 

정제유 200만 배럴로 축소·섬유 수출 전면 금지... 전문가 "김정은 셈법 바꾸긴 어려울 것" 전망

17.09.12 08:30l최종 업데이트 17.09.12 09:21l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응해 대북 제재안을 확정했다. 원유는 현 수준에서 동결하고 휘발유 등 정제유는 200만 배럴로 제한, 전체적인 유류 제공을 30% 축소했다. 의류·섬유 수출은 전면 차단하고, 해외 파견 노동자는 신규 허가를 금지하기로 했다. 

미국이 만든 초안에 중국과 러시아가 반발하면서 원유 공급 중단이 빠지는 등 약화됐으나, 기존 8차례 제재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정제유와 의류·섬유 금지가 포함되면서, 북한이 어떻게 대응할지 주목된다.

의류·섬유 수출은 전면 금지, 유류에 상한제 첫 적용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중장거리전략탄도미사일 화성-12형 발사 훈련을 참관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중장거리전략탄도미사일 화성-12형 발사 훈련을 참관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유엔 안보리는 11일 오전(현지시각), 이 같은 내용으로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 2375호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2006년 이후 역대 9번째 유엔 대북제재다.

 

원유와 석유나 휘발유 같은 정제유 등 유류에 대해 처음으로 '상한제'를 적용했다. 관심이 집중됐던 원유는 현재 북한 수입량으로 추산하는 400만 배럴(북한 50만톤, 러시아 4만톤 등 약 54만톤)을 유지하기로 했고, 정제유는 금년 4분기 석 달 동안 50만 배럴로, 내년 1년 동안 200만 배럴로 축소하기로 했다. 단,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가 사전 승인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수출이 가능하다.

외교부 관계자는 "정유 제품의 경우 현 공급량 450만 배럴(추산치)에서 250만 배럴(약 35만톤)을 줄이는 점에서 이번 조치로 약 55% 감축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 제품인 컨덴세이트(비정제 초경질유)와 LNG(액화천연가스)의 수출은 완전 금지되며, 유엔 회원국들은 북한에 유류를 제공할 때 매달 그 내역을 제재위원회에 통보해야 한다. 

이번 제재안은 북한에 수출되는 원유와 정제유 제공을 기존 대비 30% 정도 축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과 중.러가 첨예하게 맞붙은 유류 부분은 미국의 초안이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중장기적으로 10억 달러 감소 효과 기대, 제재 대상서 김정은·김여정 제외

반면 의류·섬유 수출 금지에 대해서는 미국의 의견이 그대로 관철됐다. 지난해 7억5200만 달러(약 8500억원)를 수출해 수출 품목 2위(26.67%)로 추산되는 의류·섬유는 완제품과 부분품을 막론하고 90일의 유예기간 뒤에는 전면 금지하도록 했다.

정부가 40여 개국에 약 6만명이 나가 있는 것으로 추산하는 북한의 해외파견 노동에 대해서는 신규 고용때 안보리 허가를 받도록 해 중장기적으로 전체 규모를 줄여나가기로 했다. 

유엔 안보리와 정부는 북한이 해외 노동자 파견을 통해 얻는 수입 규모를 12억~23억 달러(1조3500억~2조6000억원)로 보고 있는데, 이번 조치로 이중에서 장기적으로 약 2억 달러 차단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외교부는 의류·섬유  수출 금지와 해외파견 노동자 신규 고용 허가로 북한이 약 10억 달러의 손실을 입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중 해외 파견 노동자 규제는 중장기 효과 항목이라는 점에서 정확하지 않은 액수다.

선박 검색 문제에 대해서는, 초안은 안보리가 제재를 위반했다고 규정한 화물용 선박에 대해 192개 유엔 회원국이 '필요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운항을 금지하고 수색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허나 최종적으로는 기국(선박 국적국) 동의 하에 공해상에서 검색하도록 촉구하고,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적절한 항구로 이동시켜 검색하는 것으로 약화됐다. '의무·강제'가 '요청'으로 바뀐 것이다. 반면 이를 거부할 경우 제재위가 본선박의 자산을 동결하고, 등록 취소 대상으로 지정하도록 했다. 

또 미국은 러시아의 석탄이 북한 나진항을 통해 운송되는 예외조항도 빼려했으나 러시아의 반대로 무산됐다. 금융 분야는 북한과의 합작 사업에 대한 설립·유지·운영을 전면 금지하고, 기존 합작 사업체는120일 내에 폐쇄하도록 했다. 

초안에는 여행금지 및 자산동결 제재 대상에 북한 김정은 조선노동당 위원장과 여동생인 김여정 당 선전선동부 부부장,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 김기남 당 부위원장, 박영식 인민무력상(당 군사위원) 등 정권 지도부 및 핵심실세 5명과 고려항공 등 기관 7곳이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개인은 박영식 인민무력상, 기관으로는 고려항공 등이 빠지면서 당의 중앙군사위와 조직지도부, 선전선동부 등 3곳으로 줄었다.

이번 제재안은 이전 제재안들과 마찬가지로 유엔 헌장 7장 41조 비군사적 조치를 인용해 군사적 조치는 배제했고, 역시 외교적 해결 촉구하는 문안과 평화적·정치적· 외교적 해결을 촉구하는 문구도 포함돼 있다.

"미국 초안을 중러가 대폭 수정... 북한 무역 90% 차지하는 중국의 힘 과시"

이번 2375호 제재결의에 대해 북중 관계 전문가인 박종철 진주경상대 교수는 "역대 가장 강력한 제재안이기는 하지만, 미국의 초안에 대하여 중러의 수정안이 대폭 수용된 것이라는 점에서, 북한 문제에 대한 중국과 러시아의 힘을 과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 무역의 90%를 차지하는 중국 외에는 사실상 북한에 경제적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국가가 없다는 점을 다시 확인시켜 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박 교수는 '석유 정제품 250만 배럴 축소'에 대해 "적지 않은 규모이지만, 중국이 2009년부터 북한에 공급하는 품목들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자국 연구자들에게까지 공개하고 있지 않은 데다 이 품목들은 주로 비공식무역에 의존하는 분량이 많아 이 축소량이 실제 사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기 어렵다"면서 "북한이 제재에 대비해 수력, 태양광, 석탄액화설비 등으로 에너지 다변화를 위하여 노력해 왔기 때문에 제재 효과를 상쇄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제재안의 목적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폐기인데, 이번 제재로 김정은 위원장의 셈법을 바꾸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북한 외무성은 이번 제재가 확정되기 전, 미국 뉴욕 시각으로 10일 오후(한국 시각 11일 오전)에 낸 성명에서 미국을 겨냥해 "미국이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서 보다 더 혹독한 불법무법의 '제재결의'를 끝끝내 조작해내는 경우 우리는 결단코 미국이 그에 상응한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며 "우리는 그 어떤 최후수단도 불사할 준비가 다 되어 있다"고 밝혔다. 또 "우리가 취하게 될 다음번 조치들은 미국으로 하여금 사상 유례 없는 곤혹을 치르게 만들 것"이라고도 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이 성명에 대해 "안보리 제재 결의를 앞두고 이에 대한 경고성 및 추가 도발의 명분을 축적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분석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사설] 결국 문제는 미국이다

촛불민심은 ‘탈미자주’로 단결해야 한다

사드 추가배치 강행이 불러온 파장이 만만치 않다. 지난 7일 사드 추가배치를 강행하는 과정에서 60여명이 실신하고, 앰블런스로 이송된 사람이 30여명에 달하며, 부상자가 70명에 이르렀다. 일단 사드배치를 완료하고 나면 잠잠해질 것이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사드 추가배치는 당일 몸을 내대어 싸운 사람들은 물론이고 촛불혁명에 참가했던 다수 국민들의 영혼에 상처를 남겼다. “이건 아닌데…”라는 의혹이 던져지기 시작하면 나중에는 걷잡을 수 없게 된다. 백남기 농민 국가폭력 사건 때도 그랬다.

벌써부터 문재인 지지자와 동맹세력 내부에서 균열이 확산되고 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사회서비스망(SNS)에서는 치열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서로 위험수위를 넘나드는 발언들도 꽤 있다.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등을 비롯해 내부에서부터 쓴소리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직후 “사드 추가반입은 충격적”이라고 말했을 때만 해도 국민들은 최순실, 록히드 마틴 등으로 이어지는 뿌리깊은 분단적폐 청산으로 진전될 것을 기대했다. 터무니 없는 한미동맹이라는 금기도 손댈 수 있겠구나 하는 상상도 해보았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가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사드 추가배치를 인정하는 것으로 첫 단추를 바꾸어 달면서 모든 것이 뒤틀리기 시작했다.

사드 추가배치 다음은 무엇일까? 전술핵이다. 
사드도 처음에는 반대했다. 그러나 결국은 배치했다. 지금 전술핵을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끝까지 그럴지는 두고 볼 일이다. 자유한국당은 전술핵 배치를 당론으로 정하고 1천만 서명운동을 하겠다고 나섰고, 장외투쟁마저 거두어 들였다. 자유한국당과 야당들은 이남주 성공회대 교수가 예리하게 통찰했듯이 문재인 정부에 대한 ‘하이재킹 작전(보수 볼모화)’에 들어갔다.

지금 전술핵 배치 주장이 나온 것은, 당장은 대중국 압박용이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중국이 한반도에 전술핵이 들어오는 것을 허용하거나 그것이 싫으면 원유공급 중단 등 최고강도 대북압박에 동의하라는 것이다. 미국이 한국에 전술핵을 배치하는 것은 북의 핵무장이 합법화되고 한국, 일본의 핵무장을 불러와 핵 비확산체제의 와해로 이어지기 때문에 결코 선택할 수 없다는 지적도 틀린 이야기는 아니다. 그런데 사드도 그렇게 시작했다. 중요한 것은 전술핵 배치가 된다, 안 된다의 문제가 아니다. 이 논쟁을 둘러싼 정치군사구도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되는가이다.

이후에는 필연적으로 전술핵 배치 주장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북미간 대결이 치열해지면 치열해질수록 이른바 “북의 도발”에 대해 뭐라도 해야한다는 논리로 전술핵 배치 주장들이 목소리를 더 높일 것이다. 이 과정에서 문재인 지지층의 논쟁과 균열이 가열되고, 보수는 더욱 집결하게 된다. 아직은 걱정할 정도는 아니지만 견고한 지지는 흔들릴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폐족의 운명에 처한 분단적폐세력에 가했던 정치적 봉인이 풀릴 수 있다. 적폐세력이 귀환하도록 밑밥을 깔아주면서 적폐청산을 밀고 나간다는 것은 자가당착일 뿐이다. 좌우협공론이라며 그 누구를 탓하는 것도 더 먹히지 않을 것이다.

문제의 근원과 본질은 무엇인가. 결국 미국이다. 진보와 보수를 막론하고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모든 억압과 갈등의 근원에는 미국의 지배가 있다. 70년 이상을 남과 북이 으르렁 거리고, 영호남이 분열되고, 지금에 있어서 각계각층의 균열 역시 그 근본 원인을 따지고 보면 결국 미국이다. 민족 내부의 원한과 갈등은 우리가 원한 것도 우리가 만든 것도 아니다.

해방 직후 친일분자를 비호하여 그들의 정권을 세우고, 혁명과 항쟁으로 일궈낸 민주주의를 5.16쿠데타, 광주학살, 친미수구보수 대연합정권을 통해 뒤집어 엎었던 전 과정의 배후에도 역시 미국이 있다. 자주없는 민주주의는 언제나 실패했다. IMF 외환위기를 더 큰 위기로 키워 오늘날 헬조선 사회로 만들어낸 배후에도 역시 미국이 있다. 당장 학교비정규직 교사의 정규직화와 교대생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뿌리 또한 따지고 들어가 보면 미국식 신자유주의에 있다.

사드의 한반도 배치 역시 동북아에서 미국의 미사일방어망을 완성함으로써 미 본토의 방어력을 높이고, 중국, 러시아, 북에 대한 핵선제공격의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기 위한 미국 군사전략의 산물일 뿐이다. 그 위대하고 어마어마했던 촛불혁명을 등에 업고 등장한 문재인 정부를 아랑곳도 하지 않고 “한미 FTA 재협상”으로 협박하고, “거지 같다”고 함부로 대하면서, 상상할 수도 없는 압력을 넣어 민족대결의 돌격대로 몰아대는 것 역시 미국이다.

언제까지 이렇게 살아야 하나? 지금 “문재인을 지켜야 한다”, 아니 “비판해야 한다” 하면서 우리끼리 아웅다웅하고 있을 상황이 아니다. 미국의 외압에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은 보수 지지자들조차 예외가 아니다.

문제는 미국이다. 우리는 미국으로부터 벗어날 준비를 해야 한다. ‘탈미자주’로 결집해야 할 힘을 다른 데 쏟지 말자. 미국을 보지 못하고 눈앞의 공권력만 보아서는 안 된다. 미국을 보지 않고 눈앞의 비판만 아파하면 안 된다. 촛불혁명을 완수하려면 미국에 저항하라. 문재인 정부를 지키고 싶으면 미국을 향한 촛불을 들어야 한다.

문재인 정부는 촛불혁명의 민심을 깊게 읽고 그 키잡이 역할을 해야 한다. 그만큼 민족사적, 시대적 임무가 막중하다. 개별 정당들의 당리당략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문재인 정부는 탈미자주로 가야 한다. 
굳이 선언하라는 뜻이 아니다. 지금부터 행보를 그렇게 하고 전략을 수정해야한다는 뜻이다. 사드 추가배치에도 불구하고 애써 문재인 정부를 옹호하는 시민들이 ‘문재인 정부가 무언가 있을 거야’하고 기대하는 ‘그 무언가’는 바로 탈미 플랜 말고 다른 것이 될 수 없다.

그러나 지금 문재인 정부는 ‘친미자주’의 길을 가고 있다. 가도 너무 많이 갔다. 스스로를 부정하지 않으면 돌아올 수 없을 정도로 갔다. 문재인 대통령 특유의 성찰의 힘이 작용해야 할 시점이다.

문재인 정부가 탄핵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취임 초기, 인재부족이라는 점을 감안해도 외교안보와 남북관계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는 힘들다. 북미대결에 대한 전망이 취약하고, 미국선택에 대한 개입전략에서 대담성이 떨어진다. 미국과 신뢰를 쌓으면 운전석을 내줄 것이며, 한국 정부의 말을 귀담아 들을 거라는 순진한 환상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대통령이 ‘한반도에서 전쟁은 안된다’는 언급 정도는 지금 미국에게는 의미있는 마지노선이 아니다. 한발 더 들어가야 한다. 이미 미국 본토가 북의 타격대상에 들어가고 전역이 한반도를 넘어 아메리카 대륙을 포괄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신의 선택과 결단에 골몰해야 하는 처지에 몰려있다. 한국 정부가 전쟁은 안 된다고 주장해도 미국이 전쟁을 선택하면 전쟁을 하는 것이다. 이런 조건에서 미국은 한국의 역할을 대북압력의 도구 이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지금 북은 단기결전을 원하고, 미국은 장기화를 추구한다. 미국은 북미대결 장기화과정에서 한미일 동맹을 강화하고, 한일의 군비강화를 통해서 군사적, 경제적 이익을 실현해 가려는 것이다. 대중국 무역전쟁을 강화하고, 동북아에서 기득권을 극대화하려고 한다.

친미자주 노선은 미국의 장기화 전략에 종속되는 길이며, 미국의 대북협상에 대한 선택과 결단만 늦춰주고, 오판만 강화시켜줄 뿐이다. 그렇게 되면 남북관계는 결코 풀리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지속적인 코리아 패싱으로 이어지고, 무언가 개입력을 확보해야 하는 문재인 정부로서는 미국이 원하는 대로 대북제재의 첨병이 될 수밖에 없는 악순환 구조에 빠지게 된다. 이것은 국내 지지기반의 약화로 이어질 것이다.

문재인 정부는 지금 당장 친미자주 기조를 탈미자주 기조로 바꾸어야 한다. 
친미자주 전략은 북미간 조기협상을 끌어내는 전략이 아니라 동북아 핵무기 경쟁을 심화시키고, 한미동맹의 늪에서 헤어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만약 전격적 북미협상 국면이 열려 무임승차하는 기회가 생긴다해도 한국의 위상은 땅에 떨어질 것이고, 한국과 민족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에 적극적인 참여가 어려워질 것이다. 다른 한편 북미간의 대결이 장기화되면 결국 전쟁위기만 고조되고 문재인 정부의 입지는 더욱 악화될 것이다. 때문에 친미자주 전략을 계속 밀고 나갈 아무런 이유가 없다.

사드 추가배치와 전술핵 논란으로 인해 벌어질 중국의 한국에 대한 역제재 역시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금한령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이제 산출하기도 힘들 정도로 커지고 있다. 여행, 호텔, 면세점, 재래시장에 그치지 않고, 중국에 진출한 화장품, 대형마트, 자동차 등 그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이것이 문재인 정부에게 또 하나의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은 군사적 조치까지 준비하고 있다. 북과 남 사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중국과의 관계에서 한국 정부는 어떠한 실마리도 찾지 못하고 있다. 탈미자주외교가 가시화될 때에만 중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잡을 수 있다.

또한 친미자주 기조는 대결적 남북체제경쟁 시각에 갇혀 있다는 약점이 있다. 70년대 닉슨이 데탕트를 추구하고, 중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며 아시아에서 손을 떼려할 때, 7.4남북공동성명이 있었다. 그런데 박정희 정권은 곧바로 이러한 남북간의 합의를 이행하기보다는 6.23선언을 통해 남북 체제경쟁을 택했다. 이것은 변형된 멸공전략에 불과한 것이었다.

경제적으로는 북에 비해 우위에 있으나, 핵으로 무장한 북에 밀리지 않기 위해 군비를 확장하고 방어력, 군사력을 높인다는 것은 일견 틀린 주장은 아니다. 그러나 이것이 대북 적대적 한미동맹 아래서 진행되는 친미자주 국방전략일 때는 의미가 다르다. 결국 미국과 손잡고 북을 적으로 삼아 치겠다는 것이다. 국방부 장관이 “참수부대 창설” 운운하는 것이 그렇다. 군사적으로 여전히 북을 주적으로 하는 수준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친미자주 외교전략의 필연적 결과이다. 6.15 민족공조의 시각은 실종되었다. 한국군을 한반도 평화군으로 개편한다든가 하는 탈미자주 전략에 기초한 국방전략이 없다. 오직 대북적대적 한미동맹만이 있을 뿐이다.

문재인 정부가 친미자주의 길에서 탈미자주의 길로 전환하는 것은 물론 쉽지 않다. 생각보다 너무 많이 왔고 뾰족한 방안을 찾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담한 전환이 시급하다. 일단은 너무 많이 나간 친미자주 기조에 브레이크부터 밟아야 한다.

문재인 정부가 탈미자주로의 대전환을 가능케 하는 유일한 길은 무엇인가. 주권자를 믿는 것뿐이다. 여전히 강력한 미국의 힘만 보지 말고, 무너져내리는 제국의 약점도 볼 줄 아는 시대적 혜안도 필요하다. 그러나 결정적인 것은 주권을 가지고 당당히 살기 위해 인류사적 대사건이라고 하는 촛불혁명을 만들어낸 국민의 힘을 믿는 것이다. 거기에 기초하여 문재인 대통령의 최대 장점인 성찰력을 발휘해야 한다. 이것은 정치공학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철학의 문제이고 시대사적, 민족사적 사명의 문제이다.

현장언론 민플러스  webmaster@minplus.or.kr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해발고 2,205m 화강암산 통째로 뒤흔든 거대한 폭발진동

[개벽예감265] 해발고 2,205m 화강암산 통째로 뒤흔든 거대한 폭발진동
 
 
 
한호석 (통일학연구소 소장) 
기사입력: 2017/09/11 [12:27]  최종편집: ⓒ 자주시보
 
 

  

[차례]

1. 전 세계에서 사상 처음 공개된 회백색 열핵탄두

2. 열핵탄두기폭시험까지 자력갱생 간고분투 30년 

3. 핵융합탄의 일반적인 기본구조, 구성요소, 작동원리

4. 조선의 열핵탄두에 대한 공학기술적 고찰 

5. 만탑산 통째로 뒤흔든 1Mt급 폭발진동

6. 조선핵무기연구소 앞에 남아있는 마지막 공정

 

▲ <사진 1> 이 사진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17년 9월 2일 핵무기병기화사업을 현지지도하는 장면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조선핵무기연구소 핵과학자들의 설명을 들으며 열핵탄두를 살펴보고 있다. 열핵무기는 기초과학분야에서 여러 가지 최첨단이론들을 습득하고, 응용과학분야와 기술공학분야에서 수많은 최첨단기술들을 확보해야 만들 수 있는, 현대과학기술이 응축된 최정상급 종합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1. 전 세계에서 사상 처음 공개된 회백색 열핵탄두

 

조선핵무기연구소가 열핵탄두 실물사진을 세상에 공개하고, 그로부터 약 6시간 뒤 열핵탄두기폭시험을 단행한 2017년 9월 3일. 전 세계 핵과학자들과 군사전문가들은 충격을 받았고, 전 세계 진보정치계는 찬탄을 금지 못했으며, 백악관과 연방의회는 경악실색하였다.  

 

흔히 수소탄이라고 불리는 열핵무기(thermonuclear weapon)는 수학, 물리학, 화학 등 기초과학분야에서 여러 가지 최첨단이론들을 습득하고, 핵공학, 컴퓨터공학, 금속공학, 기계공학, 열역학, 유체역학을 비롯한 응용과학분야, 기술공학분야에서 수많은 최첨단기술들을 확보해야 만들 수 있는, 현대과학기술이 응축된 최정상급 종합체다. <사진 1>

 

조선보다 먼저 열핵무기를 만든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5대 핵강국들 가운데 마지막으로 프랑스가 열핵폭탄기폭시험을 진행한 1968년 8월 24일 이후 오늘까지 근 반세기 동안 열핵무기는 5대 핵강국들이 장악한 국제핵과두체제(international nuclear oligarchy)의 전유물이었다. 

 

그런데 바로 그 5대 핵강국들로부터 유례없는 초강도 경제재재를 받고 있는 조선이, 영토는 미국에 비해 13분의 1밖에 되지 않고, 인구는 미국에 비해 76분의 1밖에 되지 않는 조선이 5대 핵강국들만 만들 수 있다던 열핵무기를 자력으로 만들어냈으니, 전 세계 핵과학자들과 군사전문가들이 어찌 놀라지 않을 수 있으며, 전 세계 진보정치계가 어찌 찬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백악관과 연방의회가 어찌 경악실색하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 

 

국제핵과두체제를 장악한 5대 핵강국들이 유엔안보리 권위를 내세워 자기들 마음대로 나눠먹고 주물러온 불온한 국제정치현실은, 국제핵과두체제의 전횡에 단독으로 맞서 싸우는 조선이 열핵탄두기폭시험을 성공시킨 2017년 9월 3일을 기하여 마침내 지각변동을 일으키기 시작하였다. 이미 최종단계에 들어선 조미핵대결도 국제핵과두체제의 지각변동 속에서 종식될 것으로 예견된다. 조선의 열핵탄두기폭시험이 주는 정치적 의의가 거기에 있다.  

나의 정세전망에 따르면, 조선의 열핵탄두기폭시험은 마지막 격돌을 앞둔 조미핵대결을 조선의 승리와 미국의 패배로 종식시킬 결정적인 요인 이외에 다른 게 아니다. 그 마지막 격돌이 머지않아 어떤 양상으로 일어날지 정확히 예측하기는 힘들지만, 숨 막히는 절체절명의 위기와 그것을 단숨에 뒤집어버릴 극적인 대반전을 예감할 수 있다. 이것이 2012년부터 오늘까지 5년 동안 <자주민보>, <자주시보>에 내가 매주 월요일마다 발표해온 220여 편의 글에서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서술해오고 있는 ‘개벽예감’의 총주제다. 그러고 보면, ‘개벽’을 예감하기까지 꼬박 5년이 걸린 셈이다.    

 

그러나 ‘개벽’을 예감하지 못하는 미국의 핵과학자들과 군사전문가들은 조선이 열핵탄두기폭시험에서 성공하였다는 사실을 도무지 믿지 못하겠다는 볼멘소리를 늘어놓았다. 그들은 초강도 국제경제제재를 받을 뿐 아니라 핵기술이전도 철저히 봉쇄당한 동방의 작은 나라가 어떻게 열핵탄두를 자력으로 만들 수 있느냐고 하면서 설레설레 도리질을 쳤다. 하지만, 그들은 볼멘소리나 하면서 도리질을 칠 게 아니라, 조선의 과학기술발전사를 무지와 편견으로 대해온 자신의 어리석음을 탓해야 할 것이다.  

 

현대과학기술의 최고 정수가 응축된 열핵탄두를 만들려면, 손꼽을 수 없을 만큼 많은 과학이론난제들을 자력으로 풀어야 하고, 손꼽을 수 없을 만큼 많은 공학기술난관들을 자력으로 돌파해야 한다. 국제핵과두체제를 장악한 5대 핵강국들은 열핵탄두제조기술을 국가기밀로 철저히 은폐하고 있기 때문에 열핵탄두의 간단한 내부구조와 작동원리만 세상에 알려졌을 뿐, 열핵탄두제조법은 여전히 비밀에 쌓여있다. 5대 핵강국들은 열핵탄두를 촬영한 사진마저도 외부에 공개하지 않았다. 5대 핵강국들 가운데 열핵공학기술분야에서 가장 앞섰다는 미국은 40여 년 전에 만든, 열핵탄두가 들어있는 재돌입체를 찍은 사진을 세상에 공개하였으나, 그 사진에 나타난 피사체는 재돌입체이지 열핵탄두는 아니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미국이 만든 열핵탄두 재돌입체만 기억하고 있었을 뿐, 열핵탄두가 어떻게 생겼는지는 알지 못했다.  

 

미국이 실전배치한 열핵탄두가 어떻게 생겼는지를 처음으로 알려준 것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지역언론매체 <쌘호제 머큐리 뉴스(San Jose Mercury News)> 1999년 6월 보도기사였다. 지금은 누구나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는, 열핵탄두구조를 보여주는 도해(diagram)는 그 보도기사에 간략하게 수록된 열핵탄두에 관한 서술내용에 바탕을 두고 형상한 상상도다. <사진 2> 

 

▲ <사진 2> 이 사진은 누구나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는, 열핵탄두구조를 보여주는 간단한 구조도다. 조선보다 먼저 열핵무기를 만들었던 5대 핵강국들은 열핵탄두제조기술을 국가기밀로 철저히 은폐하고 있기 때문에, 열핵탄두의 간단한 내부구조와 작동원리만 세상에 알려졌을 뿐, 열핵탄두제조법은 여전히 비밀에 쌓여있다. 5대 핵강국들은 열핵탄두를 촬영한 사진마저도 외부에 공개하지 않았다. 미국이 실전배치한 열핵탄두가 어떻게 생겼는지를 처음으로 알려준 것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지역언론매체 <쌘호제 머큐리 뉴스> 1999년 6월 보도기사였다. 위의 사진은 그 보도기사에 간략하게 수록된 열핵탄두에 관한 서술내용에 바탕을 두고 형상한 상상도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그런데 놀랍게도, 열핵탄두 실물사진이 전 세계에서 사상 처음 공개되었다. 2017년 9월 2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핵무기병기화사업을 현지지도하였는데, 그 현지지도소식을 전한 조선의 언론보도사진에서 조선핵무기연구소가 만든 열핵탄두 실물이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기존 5대 핵강국들이 지난 40여 년 동안 공개하지 못한 열핵탄두를 신흥 핵강국 조선이 보란 듯이 공개한 것은 열핵무기분야에서 5대 핵강국들과 겨루게 된 조선의 패기만만한 행동이라고 인정할 수 있다. 

 

조선의 시각에서 보면, 조선핵무기연구소가 열핵탄두를 만들어낸 것은, 기초과학성과들의 토대 위에서 지난 30여 년 동안 열핵공학기술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면서 그 분야의 정보와 기술을 축적, 개발해온 자력갱생 간고분투의 결실로 보일 것이다. 그래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17년 9월 9일 핵과학자, 기술자들을 위한 축하연회에서 연설하면서 “이번에 울린 수소탄의 폭음은 간고한 세월 허리띠를 조이며 피의 대가로 이루어낸 조선 인민의 위대한 승리”라고 격찬하였던 것이다. 

 

 

2. 열핵탄두기폭시험까지 자력갱생 간고분투 30년 

 

열핵공학기술을 자력으로 개발하기 위한 조선핵무기연구소의 자력갱생 간고분투는 핵융합기술을 개발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공개된 자료들에서 그 배경과 사연을 찾아보면 아래와 같은 흔적을 더듬을 수 있다. 

 

첫째, 오늘날 5대 핵강국들이 개발하고 있는 핵융합기술은 관성집초융합(inertial confinement fusion)과 자기집초융합(magnetic confinement fusion)으로 구분된다. 관성집초융합이란 중수소(deuterium)와 삼중수소(tritium)로 구성된 아주 작은 알갱이 모양의 혼합연료에 금(gold)을 씌운 다음, 레이저를 쏘아 그 혼합연료를 초고온, 초고압으로 압축하는 방식으로 핵융합을 일으키는 것이다. 자기집초융합이란 자기장(magnetic field)을 사용하여 고온융합연료를 플라즈마 상태로 변환시켜 핵융합을 일으키는 것이다. 

조선은 그 두 종류의 핵융합기술 중에서 관성집초융합기술을 개발하는 길을 선택하였다. <문화일보> 2017년 9월 5일 보도에 따르면, 조선은 1980년대 중반 중국에서 레이저융합설비를 수입하였다고 한다. 이것은 조선이 이미 1980년대 중반부터 레이저를 사용하는 관성집초융합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하였음을 말해준다. 

 

둘째, 2013년 1월 20일 조선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조선의 핵과학자들은 기존 핵융합기술개발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새로운 수소-붕소 집초융합에 대한 연구를 심화시키고 있다고 한다. 이 보도내용은 조선의 핵과학자들이 관성집초융합기술개발에서 성과를 이룩한 뒤에 수소-붕소 집초융합기술을 새로 개발하고 있다는 뜻이다. 

원자력에너지와 핵무기를 연구, 개발하는 사업을 지휘하는 미국 연방정부 산하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는 2009년 3월 31일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에 국립점화시설(National Ignition Facility)을 완공하고, 그 시설에서 레이저를 사용하는 관성집초융합연구를 더욱 심화시키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조선의 핵과학자들은 관성집초융합방식보다 훨씬 더 우월한 최신 핵융합기술인 수소-붕소 집초융합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조선의 핵과학자들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미국의 핵융합기술과 열핵무기제작기술을 따라잡기 위한 연구사업을 빠른 속도로 진척시키고 있는 것이다. <사진 3>  

 

▲ <사진 3> 이 사진은 원자력에너지 및 핵무기를 연구, 개발하는 데서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에 있는 국립점화시설내부의 작업장 일부를 촬영한 것이다. 미국 연방정부 에너지부는 2009년 3월 31일 국립점화시설을 완공하고, 그 시설에서 레이저를 사용하는 관성집초융합연구를 더욱 심화시키도록 하였다. 그런데 조선의 핵과학자들은 관성집초융합방식보다 훨씬 더 우월한 최신 핵융합기술인 수소-붕소 집초융합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조선의 핵과학자들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미국의 핵융합기술과 열핵무기제작기술을 따라잡기 위한 연구사업을 빠른 속도로 진척시키고 있는 것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셋째, 2010년 5월 15일 조선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조선의 핵과학자들이 “우리 식의 독특한 방법으로” 핵융합반응을 성공시켰다고 한다. 조선의 핵과학자들이 핵융합반응을 성공시켰다는 사실은 다른 나라 과학자들이 발표한 연구논문들에서 입증되었다. 

스웨덴 국방연구원 소속 대기과학자 라스 에릭 데예르(Lars-Erik De Geer)는 2012년 2월 3일 과학전문지 <네이쳐(Nature)>에 발표한 논문에서 2010년 4월 15일경과 5월 11일경 한국, 일본, 러시아에서 포집된 대기표본들에서 평소보다 매우 높은 농도의 방사성핵종들이 검출된 사실을 지적하면서, 조선이 고농축우라늄을 사용한 소규모 핵시험을 진행하였다고 결론하였다. 또한 중국과학기술대학 지질학연구진은 2014년 12월 20일에 발표한 논문에서 미세지진을 검측하는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조선이 2010년 5월 12일에 진행한 소규모 핵시험에서 발생된 약한 인공지진파를 포착하였다고 밝힌 바 있다. 조선이 2010년에 진행한 소규모 핵시험들은 열핵무기를 만드는 데 필요한 핵융합기술을 개발하는 핵시험들이었다. 레이저를 사용하는 관성집초융합기술을 습득한 조선은 그 다음 단계로 나아가 핵분렬로 열핵장약을 압축, 점화하여 핵융합을 일으키는 기술을 개발하였던 것이다.  

 

넷째, 조선 정부는 2016년 1월 6일 성명을 발표하면서 당일 오전 10시 조선의 첫 수소탄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고 밝혔다. 정부 성명에서 언급된 것처럼, 그 수소탄은 “시험용 수소탄”이었다. 시험용 수소탄이란 아직 무기화되지 못한 핵융합탄을 말한다. 조선은 핵융합탄을 만드는 데 필요한 핵융합기술을 개발하는 소규모 핵시험들을 연속 진행한 2010년으로부터 5년 뒤에 시험용 핵융합탄기폭시험을 진행한 것이다. 

 

다섯째, 위에 열거한 것처럼 수많은 연구, 개발, 시험을 거쳐온 조선의 핵과학자, 기술자들은 시험용 핵융합탄 기폭시험을 진행한 때로부터 약 1년 6개월 뒤에 화성-14형 대륙간탄도미사일에 장착하는 열핵탄두를 만들었고, 마침내 2017년 9월 3일 열핵탄두기폭시험을 성공시켰다.  

 

▲ <사진 4> 이 사진은 2017년 9월 2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핵무기병기화사업을 현지지도한 현장에 걸려있는 사진을 확대한 것이다. 다른 글씨들은 식별하기 힘들지만, "<화성-14>형 핵탄두(수소탄)"이라고 쓴 제목과 열핵탄두 구조는 식별할 수 있다. 이 사진이 말해주는 것처럼, 화성-14형 대륙간탄도미사일 전투부에 열핵탄두 1발이 장착된다. 화성-14형 전투부는 길이가 3.2m이고, 지름 1.3m로 추산된다. 거기에 들어가는 열핵탄두는 격발기를 제외하고 길이 1.4m, 가장 긴 부위의 지름이 65cm, 무게가 700kg인 것으로 추산된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사진 4>는 2017년 9월 2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핵무기병기화사업을 현지지도한 현장에 걸려있는 사진을 확대한 것이다. 확대과정에서 영상이 흐려져 사진에 나타난 작은 글씨들은 식별할 수 없지만, “<화성-14>형 핵탄두(수소탄)”이라고 쓴 제목과 열핵탄두 구조는 식별할 수 있다. 이 사진이 말해주는 것처럼 화성-14형 대륙간탄도미사일 전투부에 열핵탄두 1발이 장착된다. 

화성-14형 전투부는 길이가 3.2m이고, 지름이 1.3m로 추산되므로, 거기에 들어가는 열핵탄두는 격발기를 제외하고 길이가 1.4m, 가장 긴 부위의 지름이 65cm, 무게가 700kg인 것으로 추산된다. 격발기 무게까지 합하면 열핵탄두의 총중량은 850kg인 것으로 추산된다. 

 

 

3. 핵융합탄의 일반적인 기본구조, 구성요소, 작동원리

 

조선핵무기연구소가 열핵탄두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부닥친 수많은 공학기술난관들 가운데서 돌파하기 가장 힘들었던 난관은 방사능내폭설계기술과 열핵장약대칭압축기술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인 내용이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그 두 가지 열핵공학기술이 어떤 것인지 대략적으로 파악하려면, 핵융합탄의 기본구조, 구성요소, 작동원리에 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첫째, 핵융합탄의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다. 핵융합탄은 1차계(primary stage), 주면체(cylinder), 2차계(secondary stage)로 이루어졌다. 1차계 외형과 2차계 외형은 구면체(sphere)처럼 생겼는데, 원통형으로 생긴 주면체가 1차계와 2차계를 연결한다. 조선의 열핵탄두 외형이 장구처럼 중간부분이 잘록하게 생긴 까닭이 거기에 있다. 

 

둘째, 핵융합탄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1차계는 농구공처럼 생긴 구면체 핵분렬탄(핵폭탄)이다. 1차계와 2차계를 연결한 주면체의 내부표면은 방사선이 사방으로 흩어져 복사되지 않게 하는 반사재(reflector)로 만들어졌고, 주면체 안에는 방사선을 잘 통과시키는 무색투명한 합성수지의 일종인 폴리스티렌(polystyrene)이 채워졌다. 2차계에는 열핵장약이 이중구조로 채워졌는데, 안쪽에는 중수소화 리튬(lithium deuteride)이 들어있고, 바깥쪽에는 핵융합반응을 촉발시키는, 점화전(sparkplug)이라 불리는 무기급 고농축우라늄이 들어있다. 중수소화 리튬의 주입량에 따라 핵융합탄의 폭발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사진 5>

 

▲ <사진 5> 이 사진은 이스라엘의 '항공 및 우주 전략연구 피셔연구원(Fisher Institute for Air & Space Studies)' 소속 연구원들이 컴퓨터로 작성한 조선의 열핵탄두 합성사진이다. 위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열핵탄두 1차계는 농구공처럼 생긴 구면체 핵분렬탄이다. 열핵탄두 2차계에는 열핵장약이 이중구조로 채워졌다. 1차계와 2차계를 연결한 주면체의 내부표면은 방사선이 사방으로 흩어져 복사되지 않게 하는 반사재로 만들어졌고, 주면체 안에는 방사선을 잘 통과시키는 폴리스티렌이 채워졌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셋째, 핵융합탄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1차계에서 일어난 핵분렬(핵탄기폭)은 열핵방사능(thermoradiation)과 중성자(neutron)를 방출한다. 열핵방사능은 주면체의 방사능 반사재를 초고온으로 가열하면서 폴리스티렌을 플라즈마 상태로 만든다. 주면체의 방사능 반사재는 열핵방사능과 중성자를 2차계로 방사한다. 1차계에서 2차계로 방사된 열핵방사능이 2차계의 열핵장약을 압축하면 중수소와 헬륨(helium)이 융합되어 더 강력한 중성자가 방출된다. 강력한 중성자는 열핵장약 안에 있는 리튬과 반응하여 삼중수소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삼중수소는 중수소화 리튬 안에 내포된 중수소와 반응하여 핵융합을 일으킨다. 또한 중성자는 무기급 고농축우라늄에 충격을 주어 2차 핵분렬을 일으킨다. 핵융합탄은 이처럼 핵분렬 → 핵융합 → 핵분렬로 이어지는 순간연쇄반응으로 폭발위력을 엄청나게 증폭시킨다.  

  

▲ <사진 6> 이 사진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17년 9월 2일 핵무기병기화사업을 현지지도하는 장면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리홍섭 조선핵무기연구소 소장의 해설을 들르며 열핵탄두를 살펴보고 있다. 뒤쪽에는 그 열핵탄두가 들어갈 화성-14형 전투부가 세워져 있다. 조선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열핵탄두의 폭발위력을 타격대상에 따라 수십kt급으로부터 수백kt급에 이르기까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고 한다. 열핵탄두 2차계에 들어가는 열핵장약의 주입량을 조절하면 폭발위력을 조정할 수 있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4. 조선의 열핵탄두에 대한 공학기술적 고찰  

 

위에 서술한 핵융합탄의 기본구조, 구성요소, 작동원리를 파악하면, 조선핵무기연구소가 만든 열핵탄두에 관해 설명한 그 연구소의 성명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사진 6>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17년 9월 2일 핵무기병기화사업을 현지지도하는 장면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리홍섭 조선핵무기연구소 소장의 해설을 들으며 열핵탄두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에 나타난 열핵탄두는 장구처럼 중간부분이 잘록하게 생긴 회백색 금속물체다. 핵분렬탄이 들어있는 1차계는 거의 완전한 구면체이고, 열핵장약이 들어있는 2차계는 1차계보다 조금 더 큰, 약간 일그러진 구면체다. 열핵탄두 옆에 놓여있는 것은 핵분렬탄을 기폭시키는 격발기다.

 

그 사진에서 첫 번째로 주목되는 것은, 1차계에 들어있는 핵분렬탄의 크기가 조선에서 표준화, 규격화한 기존 핵분렬탄의 크기보다 조금 작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조선핵무기연구소가 열핵탄두에 들어가는 더 소형화된 핵분렬탄을 별도로 만들었다는 점을 말해준다. 열핵탄두에 들어간 핵분렬탄은 핵분렬로 열핵방사능과 중성자를 방출하는 일종의 기폭장치이므로, 적은 분량으로도 핵분렬이 잘 일어나는 무기급 플루토늄을 사용한 핵분렬탄인 것으로 생각된다. 플루토늄은 고농축우라늄에 비해 중량 대 폭발위력의 비율이 더 높기 때문에, 핵분렬탄에 적은 분량의 플루토늄을 장입해도 쉽게 기폭된다.  

 

그 사진에서 두 번째로 주목되는 것은, 2차계의 크기가 1차계의 크기보다 더 크다는 점이다. 2차계에는 열핵장약인 중수소화 리튬과 무기급 고농축우라늄이 들어있는데, 그 열핵장약의 주입량에 따라 열핵탄두의 폭발위력을 조절할 수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핵무기병기화사업 현지지도소식을 전한 조선의 2017년 9월 3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핵탄위력을 타격대상에 따라 수십kt급으로부터 수백kt급에 이르기까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우리의 수소탄”이라고 하였는데, 열핵탄두설계에서 예정한 폭발위력에 맞춰 2차계의 열핵장약을 조절, 주입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 사진에 나타난 열핵탄두의 크기와 미국이 실전배치한 열핵탄두의 크기를 비교하면, 조선이 이번에 기폭시험을 진행한 열핵탄두의 폭발위력은 미국이 실전배치한 열핵탄두의 폭발위력보다 2배 정도 더 큰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핵무기연구소 성명에 따르면, “시험을 통하여 수소탄 1차계의 압축기술과 분렬련쇄반응시발조종기술의 정밀성을 재확인하였”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1차계의 압축기술이란 무기급 플루토늄을 장입한 핵분렬탄을 기폭, 압축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분렬련쇄반응시발조종기술의 정밀성”이라는 말은 1차계의 핵분렬탄을 기폭, 압축시킬 때 일어나는 핵분렬반응을 정밀하게 조종하는 기술을 뜻한다. 그 성명은 1차 핵분렬반응을 정밀하게 조종하는 체계를 가리켜 “밀집배치형 핵폭발조종체계”라고 하였다. 조선핵무기연구소는 그 핵폭발조종체계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동되는지 밝히지 않았지만, 핵분렬반응을 정밀하게 조종하는 고도의 기술로 핵분렬 폭발위력을 임의로 조정한 것이 분명하다.  

 

조선핵무기연구소 성명에 따르면, “1차계와 2차계의 핵물질리용률이 설계에 반영된 수준에 도달하였다”고 한다. 이것은 1차계에 들어간 무기급 플루토늄의 이용률과 2차계에 들어간 열핵장약(무기급 고농축우라늄과 중수소화 리튬)의 이용률이 설계에서 예정된 수준에 도달하였다는 뜻이다. 핵물질이용률이 높을수록, 폭발위력이 강해진다. 핵물질이용률이 높다는 말은 열핵탄두를 정밀하게 설계하였다는 뜻이므로, 핵물질이용률은 열핵탄두설계의 정밀도를 말해주는 지표다. 조선핵무기연구소는 열핵탄두설계의 정밀화를 실현한 것으로 보인다. <사진 7>

 

▲ <사진 7> 이 사진은 2017년 9월 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평양 인민극장에서 성대히 진행된, 열핵탄두기폭시험 성공을 축하하는 음악공연 중 공연무대에 설치된 대형화면에 나타난 장면이다. 세 사람이 열핵탄두를 조립하는 모습이다. 그들이 조립하고 있는 열핵탄두에 수소탄이라고 쓰인 글씨가 선명하게 보인다. 조선핵무기연구소는 성명에서 1차계와 2차계의 핵물질이용률이 설계에 반영된 수준에 도달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이것은 1차계에 들어간 무기급 플루토늄의 이용률과 2차계에 들어간 열핵장약의 이용률이 설계에서 예정된 수준에 도달하였다는 뜻이다. 핵물질이용률이 높을수록 폭발위력이 강해진다. 핵물질이용률이 높다는 말은 열핵탄두를 정밀하게 설계하였다는 뜻이다. 조선핵무기연구소는 열핵탄두설계의 정밀화를 실현한 것으로 보인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조선핵무기연구소 성명에 따르면, “수소탄 2차계의 핵융합위력을 높이는 데서 핵심기술인 핵장약에 대한 대칭압축과 분렬기폭 및 고온핵융합점화, 뒤이어 매우 빠르게 전개되는 분렬-융합반응들 사이의 호상강화과정이 높은 수준에서 실현된다는 것을 확증함으로써 우리가 수소탄제작에 리용한 1차계와 2차계의 지향성결합구조와 다층복사내폭구조설계가 매우 정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고 한다. 이 인용문은 2차계의 열핵장약을 대칭적으로 압축하는 기술, 2차계의 무기급 고농축우라늄을 기폭, 압축시키는 핵분렬기술, 2차 핵분렬로 핵융합을 일으키는 열핵장약점화기술, 그리고 핵분렬과 핵융합의 연쇄내폭으로 폭발위력을 극대화시키는 기술이 이번 열핵탄두기폭시험에서 확증되었음을 말해준다. 

 

조선핵무기연구소 성명은 “이번 시험을 통하여 우리는 1차계와 2차계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물리적 과정들에 대한 우리식의 해석방법과 계산프로그람들이 높은 수준에 있으며 2차계의 핵장약구조 등 주체식으로 설계한 핵전투부로서의 수소탄의 공학구조가 믿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조선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17년 9월 2일 핵무기병기화사업을 현지지도하면서 “분렬 및 열핵장약을 비롯한 수소탄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100% 국산화되고 무기급 핵물질생산공정으로부터 부분품정밀가공 및 조립에 이르기까지 핵무기제작에 필요한 모든 공정들이 주체화됨으로써 우리는 앞으로 강위력한 핵무기들을 마음먹은 대로 꽝꽝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고 한다.

 

 

5. 만탑산 통째로 뒤흔든 1Mt급 폭발진동

 

조선은 2017년 9월 3일 평양시간으로 정오에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만탑산에 있는 지하핵시험장에서 열핵탄두기폭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하였다. 조선이 기폭시킨 열핵탄두의 폭발위력수치는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으나, 폭발과정에서 발생된 인공지진규모는 외부에서 측정되었다. 인공지진은 폭발위력에 직결되는 요소이므로, 인공지진규모를 파악하면 폭발위력이 얼마나 강한지 가늠할 수 있다. 하지만 인공지진규모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아래와 같은 요인들이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이다.

 

첫째, 핵시험장의 지질 및 지층구조, 기폭심도, 갱도의 차폐능력에 따라 인공지진규모가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 있는 지하핵시험장에서는 다른 핵보유국들이 사용한 지하핵시험장들에 비해 인공지진규모가 실제보다 적게 나타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사진 8>

 

▲ <사진 8> 어느 한 남녘 보도에 소개된 만탑산 지하핵시험장 상상도다. 조선의 핵시험장 기폭실은 화강암층으로 이루어진 해발고 2,205km의 만탑산 정상 지표면에서 수직으로 약 2km 아래 깊은 땅속에 있다. 이것은 기폭실이 2km의 화강암층 안에 설치되었음을 의미한다. 위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기폭실 가까운 곳의 지하갱도는 달팽이처럼 감겨있고, 지하갱도에는 10개의 강철차폐문이 설치되었다. 조선은 거의 완벽에 가까운 차폐시설을 건설한 것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1) 조선의 지하핵시험장이 자리 잡은 만탑산 해발고는 한라산 해발고보다 255m나 더 높은 2,205m다. 더욱이 만탑산은 암석 중에서도 강도가 가장 높은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돌산이다. 조선은 한라산보다 더 높은 돌산을 파내어 지하핵시험장을 건설한 것이다. 

(2) 조선의 핵시험장 기폭실은 만탑산 정상 지표면에서 수직으로 약 2km 아래 깊은 땅속에 있다. 이것은 기폭실이 2km의 화강암층 안에 설치되었음을 의미한다.  

(3) 조선의 핵시험장 갱도입구에서 기폭실까지 가려면, 수평갱도에 설치된 10개의 강철차폐문을 차례로 열고 들어가야 한다. 기폭실 가까운 곳의 지하갱도는 달팽이처럼 감겨있는 모양으로 굴설되었다. 조선은 거의 완벽에 가까운 차폐시설을 건설한 것이다.

 

둘째, 인공지진파가 발생한 기폭점으로부터 지진관측소까지의 거리 및 지질상태에 따라 인공지진규모가 다르게 나타난다. 그래서 조선에서 진행된 열핵탄두기폭시험에서 발생한 인공지진규모를 측정, 분석한 결과는 측정기관들마다 조금씩 다르게 나왔다. 이를테면, 일본기상청과 포괄적핵시험금지기구는 각각 6.1이라고 발표하였고, 미국지질조사국과 중국지진국은 각각 6.3이라고 발표하였으며,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산하 지질물리국 캄챠카지부는 6.4라고 발표하였다. 그런데 한국 기상청만 5.7이라고 축소발표하여 신뢰도를 스스로 떨어뜨리고 국제망신을 샀다. 위에 열거한 사실들을 살펴보면, 조선의 열핵탄두기폭시험에서 발생한 인공지진규모는 가장 적게 추산해도 6.1에 이른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인공지진규모를 폭발위력으로 환산하는 계산법이 측정기관들마다 서로 다르기 때문에 폭발위력 추산값이 매우 큰 편차를 드러냈다. 이를테면, 미국 정보기관은 140kt(킬로톤)으로 추산했고, 중국과학기술대 연구진은 약 150kt으로 추산했고, 일본 방위성은 160kt으로 추산했고, 동아시아 영문매체 <디플로맷(Diplomat)> 2017년 9월 6일 보도기사는 500kt 이상일 가능성을 언급하였고, 러시아는 1,000kt으로 추산했다. 1kt은 상용폭약(TNT) 1,000t이 폭발하는 위력이고, 1,000kt은 1Mt(메가톤)이다. 1Mt는 상용폭약 1백만t이 폭발하는 위력이다. 상용폭약 1백만t은 적재중량이 10t인 대형 화물차 10만대로 실어 나를 엄청난 분량이다. 10t급 화물차 10만대가 5m 간격을 두고 일렬종대로 운행하면, 그 행렬의 길이는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의 3.4배에 이른다. 

 

▲ <사진 9> 위쪽 사진은 포괄적핵시험금지기구의 지진측정장치에 나타난 조선의 열핵탄두기폭시험 인공지진파장을 보여준다. 그들은 인공지진규모가 6.1이라고 발표하였다. 아래쪽 사진은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산하 지질물리국 캄챠카지부의 지진측정장치에 나타난 조선의 열핵탄두기폭시험 인공지진파장을 보여준다. 그들은 인공지진규모가 6.4라고 발표하였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캘리포니아주립대학 연구진이 2006년에 작성한, 지진규모를 폭발위력으로 환산하는 '켈리 킬로톤 지표'에 따르면, 6.0의 지진규모를 폭발위력으로 환산하면 1Mt이고, 6.1의 지진규모를 폭발위력으로 환산하면 1.4Mt이다. 그러므로 조선의 열핵탄두기폭시험에서 발생한 인공지진규모를 6.0-6.1로 보면, 폭발위력은 1-1.4Mt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나는 조선이 이번에 기폭시험을 진행한 열핵탄두의 폭발위력을 1Mt으로 추산한다. 그렇게 추산하는 네 가지 논거들은 아래와 같다. 

 

(1)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캘리포니아주립대학 연구진이 2006년에 지진규모를 폭발위력으로 환산하는 ‘켈리 킬로톤 지표(Kelly Kiloton Index)’를 만들었는데, 그 지표에 따르면 6.0의 지진규모를 폭발위력으로 환산하면 1Mt이고, 6.1의 지진규모를 폭발위력으로 환산하면 1.4Mt이다. 그러므로 조선의 열핵탄두기폭시험에서 발생한 인공지진규모를 6.0~6.1으로 보면, 폭발위력은 1~1.4Mt이다. <사진 9> 

 

(2) 현재 미국이 실전배치한 열핵탄두들 가운데 공학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되었다는 열핵탄두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트라이던트(Trident)-2 전투부에 8~12발 들어가는 W88인데, 이 열핵탄두의 무게는 360kg이다. 그런데 조선이 이번에 기폭시험을 진행한 열핵탄두의 무게는 700kg으로 추산된다. 무게가 2배 더 무거우면, 폭발위력이 2배 더 강하다고 볼 수 있다. W88의 폭발위력은 475kt이므로, 조선이 이번에 기폭시험을 진행한 열핵탄두의 폭발위력은 그보다 약 2배 강한 1Mt으로 추산된다. 

 

(3) 조선의 열핵탄두기폭시험 폭발시각으로부터 약 8분 30분초 지났을 때, 지하핵시험장 갱도에서 인공지진규모가 4.6에 이르는 함몰지진이 발생했다. 조선이 이전에 진행한 지하핵시험들에서 발생하지 않았던 함몰지진이 이번에 처음 발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핵시험에서는 폭발위력에 상응하는 초고온과 초고압이 발생하는데, 기폭점 주변의 암반이 초고온과 초고압으로 30배 이상 팽창되고, 그에 따라 동굴 같은 팽창공간이 땅속에 생기고, 그 팽창공간이 무너지면서 함몰지진이 발생한다. 이번 열핵탄두기폭시험에서 처음으로 강력한 함몰지진이 발생한 것은 폭발위력이 엄청나게 컸음을 의미한다. 만일 폭발위력이 1Mt 미만이라면, 인공지진규모가 4.6에 이르는 강력한 함몰지진이 일어날 수 없다.  

 

(4) 미국 온라인매체 <38 노스(North)> 2017년 9월 5일 분석기사에 실린 상업위성사진은 조선이 열핵탄두기폭시험을 진행한 이튿날 만탑산을 촬영한 것인데, 그 위성사진을 보면 조선의 지하핵시험장이 자리 잡은 만탑산 정상과 그 주변 골짜기들에서 열핵탄두기폭시험에서 발생한 폭발진동으로 산사태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만탑산 전체가 거대한 폭발진동으로 덜덜 흔들리는 놀라운 장면을 상상할 수 있다. 만일 폭발위력이 1Mt 미만이라면, 한라산보다 더 높은 화강암산을 통째로 흔드는 폭발진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6. 조선핵무기연구소 앞에 남아있는 마지막 공정

 

조선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17년 9월 2일 핵무기병기화사업을 현지지도하면서 “핵무기연구소가 국가핵무력완성을 위한 마감단계의 연구개발전투를 빛나게 결속하기 위한 총돌격전을 힘있게 벌려야 한다고 강조”하였다고 한다. 2017년 9월 4일에 발표된 조선핵무기연구소 성명도 이번 열핵탄두기폭시험은 “국가핵무력완성의 완결단계목표를 달성하는데서 매우 의의있는 계기로 된다”고 지적하였다. 

 

조선핵무기연구소가 화성-14형 대륙간탄도미사일에 장착하는 소형화, 경량화된 열핵탄두를 만들었으니, 이제는 조선의 핵무력이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위의 인용문들은 조선의 핵무력이 아직 완성되지 않았고, 마감단계에 이르렀다고 인정하였다. 그렇다면 이번에 기폭시험에 성공한 열핵탄두 이외에 무엇을 더 만들어야 핵무력이 완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일까? 

열핵탄두를 더 소형화, 경량화하여 대륙간탄도미사일 전투부 안에 여러 발 장착할 수 있게 되었을 때, 조선은 자기의 핵무력이 완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 말하면, 각개발사식 재돌입체들(MIRVs)에 들어가는 소형화, 경량화된 열핵탄두를 만들어내는 마지막 공정이 조선핵무기연구소 앞에 남아있는 것이다.  

 

현재 미국이 실전배치한 열핵탄두들 가운데 공학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되었다는 W88 열핵탄두는 길이가 85cm이고, 가장 긴 부위의 지름은 40cm로 추산되는데, 조선이 이번에 기폭시험을 진행한 열핵탄두는 길이가 1.4m이고, 가장 긴 부위의 지름이 65cm로 추산된다. 지름이 65cm인 열핵탄두는 크기가 너무 커서 화성-14형 전투부에 1발밖에 넣을 수 없다. 

조선의 열핵탄두를 각개발사식 재돌입체에 넣으려면, 열핵탄두 지름을 40cm 정도로 줄여 좀 더 소형화, 경량화해야 한다. 그렇게 소형화, 경량화된 열핵탄두 재돌입체들은 전투부 지름이 화성-14형보다 60cm 정도 더 긴 전투부를 얹은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에 장착할 수 있다. 지름을 40cm 정도로 줄여 소형화, 경량화된 신형 열핵탄두들은 2017년 4월 15일 태양절 105주년 열병식에서 7축14륜 발사대차와 8축16륜 발사대차에 실려 등장한, 아직 시험발사를 하지 않은 대륙간탄도미사일들에 장착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열핵탄두 8발을 장착한 대륙간탄도미사일이 출현하게 되는 것이다. 

 

열핵탄두를 그 정도로 소형화, 경량화하면, 폭발위력은 500kt으로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500kt급 열핵탄두 8발을 장착한 대륙간탄도미사일의 총폭발위력은 약 4배가 커진 4Mt으로 크게 증폭될 것이다. 대륙간탄도미사일 전투부에 500kt급 각개발사식 재돌입체 열핵탄두 8발을 장착하는 과제, 다시 말해서 소형화, 표준화, 규격화된 대륙간탄도미사일 장착용 열핵탄두를 만들어내는 과제, 바로 이것이 조선핵무기연구소가 핵무력을 완성하기 위해 달성해야 할 마지막 과제다.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논 줄면서 천연 에어컨, 저수지, 피난처 잃었다

 
이은주 2017. 09. 11
조회수 137 추천수 0
 
지난 10년 새 16% 감소…밭 전용, 택지 개발, 공공용지로
춘천댐 24배 저수, 소양댐 8배 지하수, 가뭄 때 생명 피난처
 
03160265_P_0.JPG» 논에 물을 대기 위해 조성해 물이 마르지 않는 둠벙은 습지 생물의 마지막 피난처이다. 충남 홍성군의 한 둠벙에서 생물다양성을 조사하는 모습. 조홍섭 기자
 
밥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매일 먹는 주식이다. 밥은 쌀에 물을 부어서 조리해 먹기 좋게 만든 것이다. 그 쌀을 생산하기 위해 벼를 재배하는 곳이 논이다. 벼농사는 단순하게 쌀을 생산하는 농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 생물다양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논이 가지는 다양한 부가 가치는 무엇일까?
 
동아시아 중심에 자리 잡은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6월부터 8월까지 장마전선이 형성되어 일 년 강우량의 60%가 넘는 비가 이때 내린다. 이러한 이후에 잘 맞는 농작물이 바로 벼이다. 벼는 원래 아열대 및 열대지역이 원산지이므로 따뜻한 곳을 좋아한다. 우리 선조는 이런 벼를 온대기후에 잘 맞게 순화시키고 선발해서 우리 주식 농작물로 정착시켰다. 구한 말에는 우리 선조들을 따라 만주지역으로, 또다시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까지 벼농사가 전파되었다. 
 
05051571_P_0_김경무.JPG» 더운 곳이 원산인 벼를 우리 조상이 온대기후에 맞게 선발해 주식 농작물로 정착했다. 김경무 기자
 
벼농사란 우기에 강우량이 집중돼 홍수피해가 심하고, 고온다습해서 수변 잡초가 잘 자라는 몬순지대에서 진화·발달한 농업이다. 이 때문에 유럽과 달리 아시아지역은 밀 대신 벼농사를 짓게 되었다. 지금도 전 세계 쌀 생산량의 90%가 이 지역에서 나오며 대부분 국가에서 주식으로 먹고 있다. 미국과 호주는 수출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으며, 쌀 생산 방식 역시 생태적으로 차이가 있다. 즉 우기 때 몬순 비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겨울비나 눈 녹은 물을 인공적으로 저수해 이용하고 있다. 이런 벼농사 방식은 인위적인 물 대기, 기계화 농법 및 화학물질 투입에 의존하는 반환경적인 농법이다. 
 
볍씨를 뿌리고 수확하기까지 약 6개월이 걸리지만 이 기간에 벼는 기후에 잘 적응하면서 우리의 주식을 제공해 주고 동시에 기상재해를 방지하고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 구실을 한다. 만약 벼농사를 짓지 않는다면 장마철에 쏟아지는 그 많은 빗물은 어디로 가며, 무엇으로 홍수를 조절할 것인가? 장마 때 전국 논에 가둘 수 있는 물의 양은 춘천댐 저수량의 24배(36억t)이며, 논에서 지하수로 스며드는 물의 양은 전 국민이 사용하는 수돗물양의 2.76배(소양댐 저수량 8.3배)가 된다고 한다. 벼농사는 수질정화 기능도 있다. 논에 가두어 놓은 빗물의 45%는 지하로 침투해서 우리가 필요로하는 정수된 맑고 깨끗한 지하수 물이 된다. 생활하수가 논에 들어오면 질소는 52∼66%, 인산은 27∼65% 제거된다고 한다. 논만으로 전체 생활하수의 36%를 정화할 수 있다. 
 
00934967_P_0.JPG» 태풍 때 물에 잠긴 전남 나주평야의 모습. 논은 다량의 빗물을 머금어 홍수를 완화해 주는 기능을 한다. <연합뉴스>
 
더불어, 논은 여름철 냉각 기능이 있다. 자연 에어컨 기능이다. 논에 있는 물이 증발할 때마다 주위의 열을 빼앗는데 이러한 증발 잠열에 의해 우리나라 논에서 하루에 조절되는 열량은 원유 543만㎘에 해당하는 열량을 빼앗아 가기 때문에 여름에 시원해진다. 호수에 둘러싸인 마을을 생각해 보라. 이러한 호수 구실을 우리 주변에서는 여름철 물에 잠긴 논이 대신한다. 또한 벼는 광합성 작용을 통해 대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우리가 호흡할 때 필요한 산소를 방출하는데, 그 효과가 다른 작물에 비해 높다. 
 
논은 빠르게 사라지고 있는 자연 습지의 기능을 보완해 준다. 논은 주변 야산과 하천을 연결해 주는 완충지 역할을 하며, 자연스럽게 습지 생물을 키우는 습지생태계 기능을 한다. 특히 농사용 작은 연못인 둠벙은 생물의 좋은 서식지이다. 서부 민통선 안에 있는 둠벙은 관개시설 기능이 잘 유지되고 있으며, 다른 논 습지에 비해 생물다양성이 높았다. 서부 민통선 안 46개의 둠벙에서 발견된 수서곤충은 총 137종이고, 둠벙 당 평균 19종이 발견되었다. 
 
04726582_P_0.JPG» 전남 강진군이 2010년 새로 조성한 둠벙. 둥범의 생태적 가치가 알려진 결과이다. 전남도청.
 
올해처럼 봄 가뭄이 심한 해에는 수심이 깊어 물이 완전히 마르지 않는 둠벙이 다양한 습지 생물의 좋은 피난처 노릇을 하였다. 또한 둠벙 주변에 다양한 습지식물이 있는 경우 생물다양성이 높았다. 다른 연구자의 결과에서는 둠벙이 있는 논이 없는 논에 비해서 서식종이 35∼47% 더 높았다. 따라서 둠벙은 논과 달리 일 년 내내 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물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논 면적은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둠벙 또한 관계시설 확충으로 감소하고 있다. 농경지 면적은 전체 국토 중 16.4%이며 이중 논 면적이 9%이다. 즉 국토 면적의 10분의 1이 논이다. 통계청에 의하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년 동안 논 면적은 16.4% 감소했다. 한편 밭 면적은 지난 10년 동안 거의 감소하지 않았다. 이는 기존의 논을 개간하여 밭으로 전환한 것도 한 요인이다. 논 면적의 감소 이유는 밭으로의 전환, 대규모 택지개발, 공공시설 조성 순이다. 통계청은 “경기에서 논 면적이 2500㏊ 줄어 전체 시·도 중 가장 많이 감소했다”며 “수도권인 경기 지역이 도시화하면서 논에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한 건축물이 많이 들어섰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05823513_P_0.JPG» 논은 오랫동안 이 땅의 사람들을 먹여살렸다. 그러나 식량 이외의 다양한 환경 기능을 한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지리산의 다락논. 이병학 기자
 
논농사는 단순한 경제적인 이유로 포기할 수 없는 다양한 환경적 가치를 가지며, 농사용 작은 연못인 둠벙은 요즘처럼 가뭄이 심할 때는 다양한 습지 생물의 마지막 피난처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유지·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이은주/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환경과 공해연구회 운영위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저들을 법의 심판대에 세우라!”

 

[언론포커스] KBS·MBC 적폐 경영진 퇴출, 공영방송 정상화의 첫걸음

신태섭 민언련 이사·동의대 교수 media@mediatoday.co.kr  2017년 09월 11일 월요일
이명박·박근혜 정권에 의한 공영 미디어 장악·악용의 본질은 다음 두 가지에 있다. 첫째는 정권의 핵심이 기획·집행한 불법 정치공작이라는 사실, 둘째는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헌정유린이라는 사실이다.

이명박근혜 정권 공영 미디어 장악의 경과와 수순

 

2008년 1월2일, 이명박 정부 인수위는 문체부에 언론사 간부들의 정치적 성향을 조사해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 이후 KBS 비여권 성향 이사들의 전향·사퇴·해임을 도모, 이사회를 장악했다. 이어서 감사원·검찰·국세청·방통위 등 국가기구들의 전방위적 압박과 공작으로 KBS 정연주 사장을 해임·구속하고, 공영방송은 정부정책의 추진도구라는 정권의 반민주적 언론관을 구현할 낙하산 사장을 투입했다. 그리고 낙하산 사장과 함께 정권홍보 방송을 도모할 간부인사를 단행했다. 인적 장악을 완료한 것이다. 

 

 
▲ 2008년 방송 장악을 위한 MB정부의 사정기관 압박으로 해임됐던 정연주 전 KBS 사장이 뉴스타파 인터뷰에서 당시 상황을 증언했다. 사진=뉴스타파
▲ 2008년 방송 장악을 위한 MB정부의 사정기관 압박으로 해임됐던 정연주 전 KBS 사장이 뉴스타파 인터뷰에서 당시 상황을 증언했다. 사진=뉴스타파
 
이후 이들은 이전 사장이 내적 자유와 효율 제고를 위해 폐지했던 상명하달의 관료주의적 통제체제를 부활시키고, 정권이나 사회기득권층을 감시·비판해온 프로그램들을 축소·폐지시키고, 친정부·친기득권 홍보방송을 편성·실행하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방송독립성 훼손과 정권호위 불공정·편파 방송에 비판적인 사내구성원들을 징계·축출하는 과정이 병행됐다. 권력호위를 위한 여론 조작·동원의 국민기만 체제는 이렇게 완성, 가동됐다.

 

이는 MBC·YTN·연합뉴스 등 다른 공영 미디어들에서도 구체적 양태만 다를 뿐 본질적으로 동일했다. 박근혜 정권도 이를 그대로 계승했다. 다른 것은 이명박 정권이 친정권 홍보방송을 국민의 눈에 잘 안 보이게 요구하려 한 반면, 박근혜 정권은 노골적으로 강압했다는 점이다. 

 

그 본질은 헌정유린과 저널리즘 파괴의 불법 정치공작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잘못된 점, 책임을 져야 할 점, 향후 다시는 재연돼선 안 될 점은 두 가지다. 하나는 그 과정이 불법과 비윤리로 점철됐다는 사실이다. 방송장악의 결정적 순간인 공영방송 경영진 교체의 방식이 불법적인 정치공작(정연주 KBS 사장 해임)이거나 저널리즘윤리를 파괴하는 정치공작(엄기영 MBC 사장 자진 사퇴, 낙하산 사장 밀실 투하)이었다. 해임·징계 무효판결 양산에서 보듯 내부의 비판과 저항을 제압하는 방식도 불법으로 점철되었다.  

 

▲ 2010년 5월 동아일보 앞에서 열린 광우병 촛불집회에서 참가자가 이명박 탄핵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이치열 기자
▲ 2010년 5월 동아일보 앞에서 열린 광우병 촛불집회에서 참가자가 이명박 탄핵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이치열 기자
다른 하나는 정권친위대의 공영방송 접수부터 내부 언론인 탄압 및 정권홍보 방송체계로의 전환·운영에 이르는 그 모든 과정이 헌정유린에 해당한다는 점이다. 그 모든 과정을 관통하는 것이 ‘방송의 정부로부터의 독립성’과 ‘기자·PD 등 저널리즘 관련 제작자의 자율성’에 대한 파괴이다. 이는 국민의 기본권인 표현의 자유와 국민의 알권리를 훼손하는 과정이었고, 헌법이 추구하는 가치이자 체제인 민주주의의 토대를 허무는 과정이었고, 방송법이 정한 방송독립성을 파괴하는 과정이었다.

 

“저들을 법의 심판대에 세워라!” 

KBS와 MBC의 기자·PD 등 내부 구성원들은 지금 적폐 경영진 퇴출을 요구하는 총파업에 나서 온 힘을 다해 투쟁 중이다. 이들의 공영방송 정상화 염원은 온 국민의 간절한 소망이기도 하다. 많은 시민들이 이 투쟁에 성원을 보내고 동참하고 있다. 참여연대 등 5백여 시민단체가 함께하는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전국 238개 시민단체가 참여하고 있는 KBS‧MBC 정상화 시민행동도 방통위의 조속한 공영방송 정상화 조치와 KBS·MBC의 적폐인사 퇴출을 외치고 있다.  

이들의 목표는 자사 언론인의 입에 족쇄를 채우고 권력의 하수인이 되어 불공정·편파 방송을 일삼은 KBS‧MBC의 적폐 경영진을 퇴출시켜 다시는 권력에 의한 방송 장악이 재연되지 않도록 하는 것, 방송의 독립성과 공정성이 제도적으로 보장되고 꽃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용산참사 8주기인 1월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용산참사 유가족들이 당시 대통령과 경찰청장이었던 이명박 전 대통령과 김석기 자유한국당 의원을 ‘광화문교도소’에 입소시키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 연합뉴스
▲ 용산참사 8주기인 1월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용산참사 유가족들이 당시 대통령과 경찰청장이었던 이명박 전 대통령과 김석기 자유한국당 의원을 ‘광화문교도소’에 입소시키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 연합뉴스
 
공영방송에 똬리 틀고 앉은 저들을 떼어내 공영 미디어를 이전의 인적장악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은 공영 미디어 정상화의 실질적인 첫걸음이다. 이제 국민들의 단호한 목소리가 총파업투쟁의 목소리와 함께 울려 퍼져야 할 때다. “언론장악의 공범들은 즉각 퇴진하라!” “언론장악의 주범들과 공범들을 법의 심판대에 세우라!”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