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앰네스티, 김혜영석방촉구<긴급행동> 제안

  • 앰네스티, 김혜영석방촉구<긴급행동> 제안
  • 임진영기자
    2016.06.06 17:02:52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현충일, 국립묘지 안 떠나는 친일파들

 

독립군 때려잡던 사람, 뇌물수수 혐의 징역형 받은 인물도 국립묘지에

16.06.06 10:32l최종 업데이트 16.06.06 17:32l

 

기사 관련 사진
▲  서훈을 박탈당한 박성행의 묘. 지난 해 11월 이장했다.
ⓒ 홍경표

관련사진보기


[기사수정: 6일 오후 4시 46분]

6일은 현충일이다. 이때가 되면, 그냥 지나치기 힘든 일이 하나 있다. 대전국립현충원에는 친일·반민족 행위가 드러나 국립묘지 안장 자격이 사라졌는데도 국립묘지를 떠나지 않기 위해 애쓰는 인물들이 많이 있다. 정부가 애초 국립묘지 안장을 허투로 결정해, 정작 순국선열을 욕되게 하는 인물들도 있다.

그동안 대전국립현충원에 안장돼 있다가 친일·반민족 행위가 드러나면서 뒤늦게 서훈이 취소돼 이장된 사람은 여럿이다. 그런데 이장을 달게 받아들이는 사람은 거의 없다.

지난 2004년 현충일을 하루 앞두고 대전국립묘지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돼 있던 서춘(1894∼1944)의 묘비가 이장됐다. 하지만 이는 정부가 친일행위로 서춘에 대한 독립유공자 서훈을 박탈한 지 8년만의 일이었다. 이장을 요구했지만 유족들이 이런 저런 이유로 이장을 거부한 때문이다. 

'서훈 박탈'에서 '묘지 이장' 까지 최소 수 년
 

바로 잡습니다
앞서 본 기사에서는 <동아일보>를 설립한 김성수도 대전 현충원에 안장돼 있다는 서술과 함께 '<동아> 설립자 김성수의 묘'라고 설명한 사진을 내보낸 바 있습니다. 하지만 기사에서 소개한 묘는 경남 밀양 출신으로 3.1 운동을 주도하고, 의열단 활동 등 독립운동을 전개한 애국지사 김성수의 묘였습니다. 대전현충원에 인촌 김성수의 묘는 없습니다. 이에 해당 서술과 사진을 삭제했음을 밝힙니다. 사실과 다른 보도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다른 이들도 마찬가지다. 대전현충원 안장자 중 박성행(1892∼1950), 김응순(1891~ 1958), 박영회, 유재기(1995∼ 1949), 이동락(1890∼1969) , 강영석(1906~1991)은 친일행위가 드러나 2010년 또는 2011년 서훈이 박탈됐지만 묘 이장까지는 수 년이 걸렸다.
 

 

이중 강영석은 묘지는 그대로 남겨두고 묘비만 그의 부인인 신경애 명의로 바뀌었다. 그의 부인인 신경애(1907~1964)는 강영석의 부인으로 독립운동단체인 근우회 활동 등으로 2008년 건국포장을 추서했다. 친일행위가 드러나 서훈이 취소되자 부인의 안장 자격을 빌어 국립묘지에 묻혀 있는 것이다.

 

대전국립현충원 관계자는 "부인인 신경애 여사와 함께 합장돼 있다"며 "관련법에는 국립묘지에 안장된 사람의 배우자는 예우 차원에서 유족의 희망에 따라 합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구 선생 살해 혐의 김창룡, '국가에 공 많은 사람'


대전민족문제연구소 등 대전지역시민사회단체가 매년 현충일 때마다 파묘시위를 벌이는 대상이 있다. 그는 대전국립현충원 장군묘역 제2열 69호에 안장된 김창룡 전 특무부대장이다. 그는 시민사회단체에 의해 대표적 반민족행위자로 꼽히는 인물이다.

그는 일제강점기 관동군 헌병대 정보원으로 일하며 항일조직을 무너뜨리고 독립군을 체포하고 고문했다. 이 일로 해방 후 친일죄로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오히려 육사 3기생으로 입교했다. 이후 육군특무대를 만들어 사건 조작을 통해 이승만 정적을 제거했다. 한국전쟁 때는 대전 산내골령골 민간인 학살 등 전국의 민간인 학살을 지시한 인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지난 1992년에는 안두희가 김구 선생 암살 당시 '실질적 지령'을 내린 인물로 '김창룡'을 지목한 바 있다. 하지만 그는 △방첩분야에서의 혁혁한 공로 세우고 △순직했다는 이유로 국립묘지를 차지하고 있다. 국립묘지 안장자격 중 하나인 '순직·전사자', '기타 국가에 공이 현저한 사람'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대전현충원 국가유공자묘역에 있는 오제도 검사(1917-2001)도 △국가에 공이 현저한 사람'에 해당돼 안장됐다. 하지만 그는 한국전쟁 직전 전향 좌익인사들을 한데 묶어 집단학살의 빌미를 줬던 '보도연맹'을 주도해 만들었고, 한국전쟁 때는 부역자를 가리는 '군검경 합동수사본부총지휘관'을 맡았다. 

특히 그는 '진보당사건'과 관련 당시 조봉암 진보당 당수의 사형선고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이 사건은 이승만 정권 때의 대표적 '정치재판'이자 '사법살인'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기사 관련 사진
▲  지난 해 현충일인 6일 대전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국립대전현충 입구에 서 김창룡 파묘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들 단체는 매년 현충일마다 시위를 벌이고 있다.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12.12 핵심인물 유학성 '복역 중 사망..형 확정전 무죄 추정'   

김창룡이 있는 인근에는 유학성 전 의원(1927-1997, 육군대장)이 안장돼 있다. 유 전 의원은 12.12 당시 수경사 30경비단 모임에 참석한 12.12 핵심인물로 이 사건과 관련, 군 형법상 반란중요임무 종사 등의 혐의로 항소심에서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던 중 병세가 악화돼 구속집행정지로 석방돼 있던 상태에서 숨졌다. 

그는 '형 확정전 무죄추정'과 '피고인 사망 시 공소기각'이라는 법리를 내세워 국립묘지 안장이 허용됐다.

뇌물수수 안현태 대통령 경호실장 '뇌물 5000만원은 떡값 수준'
 

기사 관련 사진
▲  대전지역 시민단체가 대전 현충원에 인장된 김창룡의 행적을 제시한 후 파묘를 요구하고 있다.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지난 1997년 뇌물수수 혐의로 징역형을 받은 안현태 전두환 전 대통령 당시 경호실장의 묘지도 대전현충원에 있다. 당시 국립묘지안장심의위원회는 그가 받은 뇌물 5000만 원은 떡값 수준이고, 군인으로 복무했던 공적, 사면복권 된 점 등을 이유로 안장을 허용했다.    

시민단체에서는 내란·외환죄를 범하거나 친일·반민족 행위를 한 사람은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없고 이미 안장된 경우 강제 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국립묘지법개정'을 요구하고 있지만, 의원들은 국립묘지법 개정안을 손도 대지 않고 있다.

대전지역 시민단체는 오는 6일 제61회 현충일에도 대전현충원에서 김창룡 파묘 및 국립묘지법개정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통일조국에서 춤추며 부활하소서!

[포토뉴스]제25회 민족민주열사ㆍ희생자 범국민추모제
▲민족민중운동 과정에서 산화하신 650여 민족민주열사ㆍ희생자들의 정신을 기리는 범국민추모제가 4일 오후 광화문광장에서 열렸다. “끔찍한 독재이자 소름끼치는 독재, 지긋지긋한 박근혜 정권의 독재를 반드시 끝장내야 한다.” 노구를 이끌고 참석한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 소장이 ‘박근혜 퇴진’ 손팻말을 들고 대회사를 하고 있다.

제25회 민족민주열사ㆍ희생자 범국민추모제가 전국에서 모인 유족과 시민 등 8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4일 오후 광화문 광장에서 열렸다.

이날 참석자들은 결의문을 통해 “열사들이 꿈꾼 참민주, 참민생, 평화통일 대동세상, 국가와 자본의 폭력이 없는 새로운 세상을 향해 변함없이 전진해 나갈 것”이라고 선언하고, “앞서가신 열사들이 염원했던 세상으로 가기 위해 어떤 탄압에도 굴함 없이 반민생, 반민주, 반평화에 맞선 거침없는 행진을 이어가겠다”고 다짐했다.

추모제는 노동부문 사전행사와 여는 노래, 추모영상 상영을 시작으로 추모사와 유가족 인사 등이 이어졌으며, 투쟁 영상과 추모 공연, 각계 투쟁발언 이후 전체 분향과 헌화로 마무리됐다.

행사를 마친 참가자들은 세월호 분향소와 시청 앞 한광호 열사 분향소, 기아차 고공농성장까지 범시민걷기대회를 진행했다.

▲노동부문 사전 결의대회를 마치고 참석한 노동자들이 민족민주열사들에 대한 묵념을 하고 있다.
▲추모제에 참석한 유족과 내빈들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있다.
▲추모제에 앞선 열정단의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합창 공연.
▲“이제 우리 민족과 미국과의 대결전은 막바지에 와있습니다…. 분단과 속국의 비정상을 청산하고 자주통일과 평화번영의 새 시대를 여는 날, 자주통일의 청사에 길이 빛날 열사들과 유가족들을 맨 앞자리에 모시고 통일잔치를 할 수 있도록 더 분발하고 더 힘차게 싸워 나가겠습니다.” 추모사를 통해 유가족들께 거듭 감사의 인사를 전한 이규재 범민련남측본부 의장.
▲“모든 열사들의 삶과 죽음은 현재로 통합니다. 세월호의 진실! 백남기 농민의 진실! 모두 밝혀내고, 세월호 아이들을 수장한 자! 백남기 농민을 쓰러트린 자! 한광호 열사를 죽음에 이르게 한 자! 모두 단죄하고 생명의 존엄과 안전을 위해 투쟁할 것!”을 다짐하는 최종진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
▲“불의에 항거하여 민주주의 회복을 원했던 열사들의 뜻은 오늘날에도 빛바래지 않고 살아 있습니다. 우리 유가협 부모들은 목숨이 다할 때까지 참 민주와 참 통일의 그날까지 열사 정신을 지키겠습니다.” 장남수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의장이 유가족 대표로 인사를 했다.
▲지난해 민중총궐기 등 투쟁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
▲송경동 시인의 추모시 ‘나는 한국인이 아니다’를 낭독극 형태로 꾸민 <무브먼트 당당>의 추모 공연.
▲세월호 참사로 딸 예은 양을 잃은 유경근 세월호유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이 열사 영전에 향을 사르고 있다.
▲“아빠가 쓰러진 지 반 년이 자났지만 사과하는 사람도, 책임지는 사람도 없습니다.” 투쟁 발언을 하는 백남기 농민의 딸 백도라지씨.
▲유성기업영동지회 지회장 등 각계의 연대투쟁 발언을 들으며 눈물을 흘리는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 여사(가운데). 오른쪽은 1969년 박정희 정권의 사법살인으로 아버지 권재혁 열사를 잃은 권재희씨. 당시 중앙정보부에 의해 조작된 ‘남조선해방전략당 사건’으로 사형 당한 열사는 45년 만인 재작년 대법원 재심에서 무죄 선고를 받았다.
▲분향 헌화하는 한기명 대구경북범민련 의장(가운데, 88세)과 박중기(오른쪽) 추모연대 명예의장, 김상진열사기념사업회 김준기 고문.
▲열사의 영정 앞에서 흐느끼는 유족.
▲노동운동 중에 음독 자진한 정태봉 열사의 영정 앞에 국화꽃 한 송이가 놓여 있다.
▲꽃으로 뒤덮인 1961년 이후 650여 열사들의 영정이 지난한 현대사의 굴곡을 이야기한다.
▲세월호광장, 시청 앞 한광호 열사 분향소와 기아차 고공농성장을 향해 행진에 나서는 참가자들.
▲아빠를 따라온 중학교 1학년인 강진현 군 등이 “평화협정 체결” 구호를 외치며 당당히 행진하고 있다.
▲시청 앞 한광호 열사 분향소에서 열사를 죽음으로 내몬 현대차와 유성기업의 노조파괴 공작을 규탄하는 참가자들.
▲‘정규직 전환’을 명령한 법원의 판결도 무시하는 기아자동차에 맞서 옛 인권위 옥상 광고탑에서 359일째 고공농성 중인 기아차 화성지회 비정규직분회 최정명, 한규협 조합원에게 격려의 함성을 보내는 참가자들.
▲“정몽구 처벌! 모든 사내하청 정규직 전환!”을 내걸고 목숨을 건 고공농성 투쟁을 전개한 두 노동자는 363일째인 오는 8일 오후 지상에서의 새로운 투쟁을 준비하며 하늘감옥에서 가족과 노동자의 품으로 돌아올 예정이다.

류경완 담쟁이기자  ryukyung2010@gmail.com

인기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은밀히 날아와 벼락같이 타격한다는 무인타격기

[북무기연재6] 은밀히 날아와 벼락같이 타격한다는 무인타격기(무인공격기)
 
 
 
이창기 기자 
기사입력: 2016/06/06 [07:55]  최종편집: ⓒ 자주시보
 
 

 

▲ 지난 4월 15일 열병식에서 공개된 북 무인공격기의 모습 [자료사진= 인터넷 검색, 한호석 소장 제공]     ©

 

 

북은 자신들이 개발한  신형무기를 좀처럼 잘 드러내지 않는다. 공개하더라도 외모만 사진이나 열병식 영상으로 공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외모의 도색이나 형태의 세련미는 미국이나 우리 국군이 개발한 무기에 비하면 사실 떨어져도 한참 떨어진다. "저게 정말 날아가기는 할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들 정도이다.

 

그런데 실제 시험사격 모습을 보면 입이 떡 벌어지는 경우가 한 두번이 아니다. 춤추듯 비행하며 목표기를 따라가 정확히 타격하는 번개계열의 북의 대공미사일, 너무나 자연스럽게 바다에서 솟구쳐올라 힘차게 쭉쭉 비상하는 잠수함탄도미사일 등을 보면 러시아나 미국의 첨단무기 못지 않다.

 

최근 북에서 연재기사로 자랑하고 있는 세계 최첨단 무기들도 그런 것들인데 북에서 첨단은 세계 최고 수준이고 최첨단은 세계 최고수준을 돌파한 가장 위력한 것을 의미한다. 

 

그 최첨단 무기 중에 초정밀무인타격기(무인공격기)가 있다고 북의 언론이 보도한 연재기사가 최근 인터넷 사이트에 올라왔다. 그 보도의 핵심 요지는 다음과 같다.

 

[주체102(2013)년 3월에 공개한 공화국의 초정밀무인타격기는 설정된 장거리비행후 적대상물을 무자비하고 벼락같은 돌입으로 정확히 타격소멸할수 있다. 

우리의 초정밀무인타격기는 속도가 빠르고 목표식별능력이 대단히 높으며 작전반경은 적들이 예상하는것보다 더 크다.
적 대상물이 도사리고있는 상공까지의 거리를 타산하여 비행항로와 시간을 정하고 목표타격능력을 검열해본 결과 그 어떤 대상물들도 마음먹은대로 초정밀타격할수 있다는것이 확증되였다. 

주체적국방력의 힘을 지닌 우리의 초정밀무인타격기들은 특대형범죄행위의 아성, 도발의 소굴들을 모두 겨냥하고 발사명령만 기다리고있으며 공화국의 존엄을 해치려드는 원쑤들에겐 자비를 모르는 무서운 칼벼락이 될것이다.]

 

일단, '초정밀'이란 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제적으로 정해진 바는 없지만 총과 같은 저격무기가 아닌 미사일과 같은 유도무기의 경우 통상 원형공산오차(오차 반경)이 10여미터쯤 되면 정밀타격으로 보고 1미터정도 되었을 때 초정밀타격이란 말을 쓴다. 20여년 북의 보도를 꾸준히 접해온 결과 북에서 그런 것 같다. 

 

따라서 북의 무인타격기는 목표건물의 유리창도 골라가며 타격할 수 있는 정밀도를 지니고 있다는 주장인 셈이다. 남측에서는 사거리 1천키로로 북 전역을 사정권에 두고 있는 현무 순항미사일이 목표건물의 유리창도 골라가며 타격할 수 있는 정밀도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은 이 현무나 미국의 토마호크와 같은 순항미사일을 잡기 위해 자행고사로켓을 개발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창과 방패의 대결에서 서로 승자라고 말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음 글이 바로 자행고사로켓소개글이다.)

 

북은 무인공격기로 그렇게 유리창도 골라가며 타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무인타격기의 카메라영상으로 타격지점을 조종실에서 보면서 타격하기에 초정밀타격이 가능하고 또 위장 목표물인지 아닌지를 사람이 직접 영상을 보면서 판별하기 때문에 순항미사일보다 훨씬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다. 그래서 미국에서도 주민지대에 숨어서 활동하는 테러세력을 찾아내어 타격할 때 무인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래도 민간인에 대해 오폭을 많이 해서 세계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다음으로 속도가 빠르고 작전반경이 서방에서 예상하는 것보다 훨씬 넓다는 것이다.

무인기는 미사일에 비해서 속도가 느릴 수밖에 없다. 대신 추진력과 함께 날개의 양력을 충분히 활용하기 때문에 장거리 비행이 가능하다. 그런데 북은 속도까지 빠르다는 것이다. 북 보도를 종합적으로 따져보면 한반도 전역은 물론 일본까지도 사정권에 두고 있는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그래서 북은 이 무인타격기로 군 지휘소나 청와대와 같은 핵심 거점을 타격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포탄처럼 빠르게 날아오는 대상물도 레이더로 추적하여 원점을 자동을 계산 바로 원점보복타격을 할 수 있는 대포병레이더 아서와 같은 탐지장비를 갖추고 있는 미군과 국군의 레이더망을 포탄은 물론 미사일보다도 훨씬 속도가 느린 무인타격기가 어떻게 뚫고 들어오냐가 문제이다.

 

북이 뚫고 오는 것을 자신있어 한다면 남측의 레이더를 모두 무력화시킬 방법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아니면 레이더는 물론 눈에도 보이지 않는 스텔스 기능을 장착하고 있거나...

 

연평도 포격전을 상기해보면 레이더 무력화로 무인타격기의 침투를 보장할 가능성이 높다.

 

다음은 관련 보도이다.

 

[대통령 직속인 국방선진화추진위원회의 이상우 위원장은 2011년 2월 14일, <중앙선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연평도 포격전을 놓고 “한심하고 처참하게 당했다”고 평가하였습니다. 이상우 위원장은 “K-9은 땅에 고정시켜 발사하면 백발백중하는 무기다. 포격전 당일 4문으로 각각 15발씩, 60발 쐈다. 그런데 국군이 59발 째 쏘자마자 곧바로 북에서 포탄이 날아왔다”며 북한군은 우리 해병대가 K-9을 다 쏠 때까지 해안포를 숨겨서 기다렸다가 정확하게 K-9 포탄을 재장전하려는 찰나에 공격해왔다고 했습니다. 우리 군의 자주포 성능을 환히 들여다보며 그 틈새를 정확히 찍었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상우 위원장은 땅속 터널에 있던 예비용 자주포 2문에 대해서도 북한군이 특수 장갑탄을 쏴 터널을 뚫고 들어가 2문의 전자제어장치를 고장내버렸다고 했습니다.

 

이상우 위원장은 당시 연평도에는 북한의 포탄을 추적해 발사원점을 찾아내는 대포병 레이더가 있었지만 두 대 모두 작동이 안 된 것도 북이 재밍(전파교란)해서라고 보고 있었습니다. 당시 해병대는 북한군의 포탄이 어디서 날아오는지도 몰랐습니다. 해병대는 연평도 앞 작은 섬의 해안포에 반격을 했는데 나중에 보니 실제로 북한군이 포를 쏜 곳은 그 섬이 아니라 개머리 반도였다고 했습니다. 국군이 헛짚었다는 것입니다.

 

이상우 위원장은 “군이 얼마나 나사가 빠졌는지 예를 들면 한이 없다. 더 조사해야겠지만 북한은 무인정찰기까지 동원해 탄착 지점을 봐가며 쐈다. 완벽하게 준비했다”면서 “통일되면 포격을 기획한 북한 장교를 불러 술 한 잔 사고 싶을 만큼 빈틈없는 기획이다”라고 언급하기까지 하였습니다.] 2015. 03. 01 자주시보, 곽동기의 '-[자주국방담론] 2 한반도 재래식 전쟁, 누가 이기나?  중에서

 

▲ 북의 쌍방실동훈련 소개 동영상에서 포착된 북의 무인정찰기 2대가 가상 적진상공을 날며 정찰활동을 벌이고 있다.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보통 무인정찰기는 무인타격기보다도 더 속도가 느린 경우가 많은데 연평도 포격전에서 그것까지 마음 놓고 활략을 했을 정도이니 사실상 남특의 모든 레이더는 다 재밍 즉 교란에 빠져버린 것이다. 주민들의 손전화조차 불통되었다고 한다.

 

연평도 포격전이 퍽 지났고 국군도 대포병레이더 아서도 신형으로 교체했으며 대비책을 세워오고 있는데 어쨌든 북의 레이더 교란을 막을 대책을 세우지 못한다면 북의 무인타격기와 정찰기에 의해 심각한 피해을 입지 않을 수 없을 전망이다. 타격기도 문제이지만 정찰기도 미사일 등을 목표물로 레이저 등을 쏘아 정밀유도 역할 등을 하게 되면 정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북에서도 초기의 무기타격기 1종을 제외하고 실제 위력적인 무인기는 외양조차 공개하고 있지 않다. 그만큼 북에서 중시하는 무기가 무인공격기, 무인정찰기인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북 조선소년단 70년 역사와 현재

"항상 준비!"[친절한 통일씨] 북 조선소년단 70년 역사와 현재
조정훈 기자  |  whoony@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6.06.06  03:16:12
페이스북 트위터
   
▲ 북한 조선소년단의 "항상 준비!" 인사 모습. [자료사진-통일뉴스]

"사회주의 조국을 위하여 항상 준비하자! 항상 준비!"

붉은 넥타이를 맨 아이들이 오른 손을 편채로 머리 위에 올리는 인사를 하며 외친다. 아이들은 이제 명실상부한 나라의 기둥이자 정치적 생명을 지닌 존재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이들은 바로 북한 조선소년단원들이다.

6일 북한 조선소년단이 창립 70돌을 맞았다. "소년들의 대중적인 주체형의 소년조직으로 소년들을 주체의 혁명위업을 떠메고나갈 주체형의 혁명가, 지덕체를 갖춘 전면적으로 발전된 사회주의건설의 역군으로 키우는" 목적을 가진 조선소년단의 역사와 현재를 살펴본다.

"항일혁명의 전통을 이어받은 당의 전투적 후비대"

조선소년단의 기원은 192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14살이던 김일성 주석은 중국 무송지역에서 12월 15일 소년들을 모아 '새날소년동맹'을 조직한다. 여기서 "나라와 민족을 묶어 세워 일제의 침략적 죄행을 폭로하고 조선독립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조선민족이 단결하여 싸워야 한다"는 내용의 연설을 했다.

'새날소년동맹'은 8~16세의 소년으로 구성, 조선혁명을 위한 정치, 군사, 사상적으로 무장하고 혁명을 위해 동맹생활에 적극 참가하는 등의 맹세를 통해 반일투쟁, 반일선전 및 계몽사업 등의 활동을 했다. 당시 입단식에서는 곤봉과 수첩을 받았으며, 매일 하루생활총화, 매주 동맹생활 검토회의, 군사지식 학습, 군사훈련 등을 받았다.

그러다 1932년 5월 김일성 주석이 두만강연안 일대에 소사하유격구를 창설하면서, 어랑촌, 우복동, 왕우구, 해란구, 소왕청, 요영구 등지 유격구 지역에 소년조직인 '아동단'을 만들었다. 당시 그는 "아동단은 어린이들을 우리혁명에 무한히 충실한 참된 혁명가로 키우기 위한 소년들의 반일적이며 공산주의적인 정치조직"이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여기서 '전 세계 무산계급의 해방을 위하여 항상 준비하자'라는 구호가 제시됐다. 현재 '항상 준비'라는 구호가 여기서 출발한 셈이다. 또한, 아동단의 상징은 깃발, 붉은 넥타이, 경례, 곤봉 등으로 여기서 깃발과 붉은 넥타이는 항일의 붉은 피를 의미하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 1981년 조선소년단원들이 김일성 초상화 앞에서 노래를 부르고 있다. [사진출처-독일 Der Spiegel]

아동단원은 △아동단에서 조직하는 모든 사업에 자유롭게 참가할 수 있고 아동단 사업을 더 잘하기 위한 의견을 마음대로 내놓을 수 있으며, △누구나 다 아동단의 간부로 선거를 받을 수 있고 선거에 참여할 수 있고, △동무 또는 자기비판을 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며, △아동단 생활에 대한 좋은 의견과 요구를 공청이나 아동단 조직에 제기할 수 있는 권리와 의무를 지녔다.

반일과 공산주의 혁명을 기치로 내건 아동단은 1945년 해방 이듬해인 6월 6일 창립된 '조선소년단'으로 역사가 이어졌다. 1946년 당시 북한은 각 분야별 대중단체 조직을 하나의 통일조직으로 결성하는데 주력했다. 노동자, 농민, 청년, 여성, 소년 등으로 나뉘어 통일조직 건설이 활발히 시작된 것이다.

그런데 소년단의 경우는 북조선민주청년동맹(민청)이 적극적으로 관여했다. 이들은 각 지역에서 소년단 창립의 정당성과 조선소년운동의 임무와 전망 등에 대한 정치사업을 펼쳤다. 또한, 중앙에서 지역 민청 위원회에 이르기까지 소년부를 설치했으며, 소년단 총칙, 세칙을 발표하는 등 본격적인 소년단 사업을 시작했다. 그래서 현재까지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청년동맹) 산하에 조선소년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소년단 창립의 의미에 대해 북한은 "역사상 처음으로 주체사상의 혁명적 기치 아래 지도되는 통일적인 자기조직을 가지게 되었으며, 모든 소년들을 우리 혁명 위업의 믿음직한 후비대로 키울 데 대한 사명을 훌륭히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조선소년단의 역사는 1971년 6월 6일 창립 25돌을 맞아 김일성 주석이 발표한 축하문으로 요약할 수있다.

"새날소년동맹과 아동단의 붉은 깃발은 해방 후 조선소년단의 깃발로 이어졌습니다. 항일 혁명투쟁의 빛나는 혁명전통을 이어받았으며, 조선노동당에 의하여 교양된 우리 소년들은 소년단 생활을 통해 간결한 젊은 투사로 자라났으며 새 민주조선을 일떠세우는데 적극 이바지하였습니다. 소년단원들은 혁명적 조직생활에 충실하였던 항일유격대원들과 아동단원들처럼 정치적 생명을 귀중히 여기며 소년단 시절부터 그것을 빛내기이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여야 합니다."

   
▲ 조선소년단원들은 1인 1악기가 필수다. [자료사진-통일뉴스]
   
▲ 유희를 즐기고 있는 소년단원들. 소년단원은 소학교 2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활동하며 중학교 4학년부터 청년동맹원이 된다. [자료사진-통일뉴스]

토끼도 기르고 무기도 보내는 좋은 일하기 운동

조선소년단의 기본임무는 "소년들을 주체의 혁명위업을 떠메고나갈 주체형의 혁명가, 지덕체를 갖춘 전면적으로 발전된 사회주의건설의 역군으로 키우는 것"이라고 북한은 설명한다.

그리고 "소년들 속에서 정치사상교양사업을 강화하고 조직생활을 잘 조직진행하며 소년들을 지덕체를 겸비한 인간으로 키우"며 "소년선전대, 가창대 등을 조직하여 과외시간이나 방학기간에 공장과 농촌, 건설장과 거리에 나가 사회정치활동을 벌리기도 하며 나무심기운동, 거리와 마을을 알뜰히 거두기 위한 운동 등도 적극 진행하"는 역할을 지닌다.

즉, 소년단은 김일성-김정일의 혁명사상으로 무장한 사회주의 국가건설의 조력자, 후비대로 향후 국가건설의 현장에 투입될 준비조직인 것이다. 그래서 북한 어린이들은 소년단에 입단하면서 비로소 정치적 생명을 지닌 존재로 인정받는다.

이는 소년단이 청년동맹 산하 조직으로 구성된 점에서도 엿볼 수 있다. 소학교 2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 기간까지 소년단으로 활동한 아이들은 중학교 4학년이 되면서 자연스레 청년동맹에 가입되는데, 소년단원은 곧 청년동맹원이 되며 이는 사회주의 국가건설의 후비대의 역할을 어려서부터 익힌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소년단원은 후비대, 청년동맹은 척후대라고 불린다.

실제 1993년 채택된 청년동맹 규약에는 청년동맹과 소년단의 관계를 "소년단은 사로청(당시)의 믿음직한 교대자로 한다. 청년동맹은 조선소년단 단체들의 모든 활동을 조직 지도한다"라고 설명한다. 

김정일 국방위원장도 "새 세대들은 누구나 소년단생활을 거쳐 사로청 생활을 하게 되는 것만큼 소년단 사업에 대한 지도를 잘하여야 소년단원들이 당과 수령, 조국과 인민을 위하여 모든 것을 다 바쳐나가는 훌륭한 새 세대로 자라날 수 있으며, 사로청 일꾼 후비도 전망성 있게 키워나갈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 만경대혁명학원을 방문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소년단원으로부터 붉은 넥타이를 받고 있다. [자료사진-통일뉴스]

이러한 조선소년단의 역할을 김일성.김정일 시대에 부여된 임무에서도 북한 사회가 이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가늠하게 한다.

1946년 창립된 소년단원에게 처음 주어진 임무는 그해 11월 3일 도, 시. 군 인민위원회 첫 선거를 위한 선거선전대, 가창대 활동이었다. '새 민주조선을 위하여 항상 배우고 준비하자'라는 구호에 맞게 농촌일 돕기도 소년단에게 부여된 임무였다.

그리고 1958년 '공산주의 건설의 후비대가 되기 위하여 항상 준비하자'라는 구호에 따라, 당시 사회의 화두였던 '천리마운동'에 맞춰, '모범분단 쟁취운동'을 벌였다. '모범분단 쟁취운동'은 사상, 기술, 문화 3대혁명 주창에 따라 '영예의 붉은기 분단 쟁취운동'으로 발전됐다. 여기에는 '꼬마계획활동', '토끼 기르기 운동' 등 '좋은 일하기 운동'도 있다. 

1980년대 김정일로의 유일영도체계가 구축되면서 김혁. 차광수 따라배우기 운동이 시작됐으며, 김정일 시대에 들어 선군사상교양이 강화되면서 2006년 '사회주의 건설의 후비대가 되기 위하여 항상 준비하자'라는 구호로 바뀌었다. 

이 중 대표적인 임무는 '좋은 일하기 운동'이다. "김일성과 김정일에게 기쁨을 드리고 나라살림살이에 보탬을 주는 충성의 애국운동이며 학생소년들이 배운 지식을 실천 활동을 통해 공고히 하고 어려서부터 노동을 사랑하는 정신을 키워 쓸모있는 혁명인재로 준비하도록 이끌어주는 대중운동"이라고 북한은 설명한다.

대부분 방과후 활동으로 토끼기르기운동, 꼬마계획활동, 나무심기, 학교꾸리기 등이 있다. '토끼기르기운동'은 1978년 2월 김일성 주석의 사로청 중앙위 일꾼들과 담화에서 시작됐다. 당시 김 주석은 청소년 학생들이 토끼를 많이 길러 가죽으로 외투, 모자, 신발, 장갑 등을 만들어 군인에게 주고, 고기는 인민들에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 2012년 6월 조선소년단 창립 66돌 경축행사에서 김정은 제1위원장이 소년단원으로부터 붉은 넥타이를 받고 있다. [자료사진-통일뉴스]

김정은 시대 "앞날의 강성조선을 떠받드는 기둥이 되라"

70년 역사 속에서 사회주의 국가건설의 후비대로 역할해 온 조선소년단은 김정은 시대에도 고스란히 이어지고 있다.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지난 2012년 6월 창립 66돌 경축 조선소년단 전국연합단체대회에서 "소년단원들은 억만금의 금은보화에 비길수 없는 귀중한 보배이며 희망과 미래의 전부"라고 표현했다.

그리고 "공부도 잘할 뿐아니라 사회주의 도덕을 잘 지키고 언제나 조직과 집단, 동무들을 사랑하고 선생님들과 웃사람들을 존경하며 체육도 잘하고 애국의 한마음으로 좋은 일을 더많이 찾아하는 모범소년단원이 되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정은 시대의 소년단 구호인 '사회주의 조국을 위하여 항상 준비하자'라는 것 처럼, 당의 후비대로서 조선소년단은 "앞날의 강성조선을 떠받드는 기둥이 되라"는 것. 그래서 지난 5월 열린 당 7차대회 결정 관철을 위한 '200일전투'에서 조선소년단의 역할도 강조될 전망이다.  

이를 뒷받침하 듯, 최룡해 당 중앙위 부위원장은 지난 3일 창립 70돌 경축행사 참가 대표단들에게 대표증을 수여하며 "힘있는 사회정치활동과 좋은일하기운동으로 만리마속도창조의 불길높이 당 제7차대회 결정관철을 위한 충정의 200일전투에 떨쳐나선 아버지, 어머니들을 적극 도와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이란 경애하는 원수님, 김정은 원수님은 조선노동당. 나어린 애국자 기특한 건설자 앞날의 청년강국의 주인으로 씩씩하게 자라겠습니다. 그 어떤 바람이 몰아친대도 한모습으로 백두의 혈통만을 끝까지 따르겠습니다. 열백번 쓰러져도 다시 일어나 어머니당을 결사옹위하는 소년근위대, 소년혁명가가 될 것을 굳게굳게 맹세합니다."

지난달 당 7차대회 조선소년단원들이 김정은 당 위원장 앞에서 낭독한 축하문이다. 이미 조선소년단은 김정은 시대의 후비대로 역할을 시작한 셈이다. 그리고 이들은 '좋은 일하기 운동'의 일환으로 군 부대에 '소년호' 방사포를 기증했다.

   
▲ 조선소년단 입단식 모습. 입단식에는 북한 당, 군, 정 인사들이 나와 붉은 넥타이와 휘장을 달아준다. [자료사진-통일뉴스]
 
   
▲ 2002년 10월 금강산에서 열린 남북해외 청년학생통일대회에 참석한 남측 대표단에 소년단원이 꽃다발을 건네고 경례하고 있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조선소년단 단원 입단 절차와 입단식

조선소년단원은 약 3백만 명으로 추산된다. 소년단 조직생활은 소학교 2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 기간으로 이후에는 청년동맹에 가입된다.

1969년까지 1차 인민군창건 기념일인 2월 8일, 2차 김일성 주석 생일인 4월 15일, 3차 소년단 창립일인 6월 6일로 입단시기가 정해졌으나, 현재 1차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인 2월 16일로 변경됐다.

입단 자격은 첫째, 학생 출신성분과 사회성분, 둘째, 부모의 직업 및 지위, 셋째, 학생의 학업성적과 학교생활 등을 기준으로 한다. 1차적으로 학급 담임교사가 추천하며 소년단 심의를 거쳐 입단 대상이 선정된다. 만약 불합격하면 입단 기회가 다음으로 미뤄진다. 하지만 3차 입단식인 6월 6일까지 모든 학생이 소년단에 입단해야 한다. 

이러한 입단 기준에 미루어 사회성분과 학업 등이 소년단원의 중요한 자격이 되고, 이는 나아가 청년동맹으로까지 이어져 당 핵심간부로 성장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으로 김정은 제1위원장의 부인 리설주가 소년단 핵심단원으로 청년동맹에서도 주요 인물이었다는 증언이 있다.

입단식에서는 각 지역 시, 군당 위원회 간부들과 학교 책임일꾼들이 나와 소년단 상징인 '붉은 넥타이', '휘장' 등을 달아준다. 단원들은 "사회주의 건설의 후비대가 되기 위하여 항상 준바하자!"라는 구호와 와 경례인사인 "항상 준비!"를 외친다.

그리고 "나는 자애로운 할아버지 김일성 대원수님께서 세워주시고 경애하는 아버지 김정일 원수님께서 빛내어 주시는 영광스러운 조선소년단에 입단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대원수님과 지도자 선생님의 가르치심대로 생각하고 행동하며 주체의 혁명 위업을 빛내어 나가는 사회주의 건설의 믿음직한 후비대로 억세게 자라날 것을 소년단 조식 앞에 굳게 맹세합니다"라는 입단 선서문을 읽는다.

조선소년단 상징은 '붉은 넥타이'

   
▲ 조선소년단 휘장.[자료사진-통일뉴스]

조선소년단을 대표하는 상징은 소년단 깃발, 붉은 넥타이, 휘장, 구호, 인사, 열성자 표식, 문건 등이다.

깃발은 김일성.김정일에 충직하며 주체혁명위업의 승리를 위해 힘차게 앞으로 나아가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전국 연합단체 깃발, 군 연합단체 깃발, 단 깃발, 분단 깃발 등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자기 단체를 상징한다.

대표적인 '붉은 넥타이'는 붉은 색에 삼각형으로 된 스카프로 항일 빨치산의 붉은 피를 상징한다. 소년단원들은 항상 착용해야 하며, 체육운동이나 집에서 놀 때는 착용하지 않는다.

휘장은 왼쪽 가슴에 착용하는 데 붉은 넥타이와 함께 자신이 소년단원임을 입증하는 표식이다. 

현재 구호는 '사회주의 건설의 후비대가 되기 위하여 항상 준비하자'이며, 인사는 "항상 준비!"이다. 이러한 인사는 소년단원 상호간, 선생님과 웃어른에게도 사용한다. 상호간에 먼저 인사하는 단원이 "준비하자"라고 말하면 다른 소년단원은 "항상 준비"라고 대답한다.

단원들은 매주 토요일 3교시부터 소년단 활동인 '토요 소년단의 날'을 갖는다. 여기서는 대열 보고, 사열식 행진, 소년단구호 및 답례 등을 하며, 주요 행사는 연합단체대회, 소년단 행사, 소년단 총회, 분단총회, 생활총화 등이 있다.

북한은 소년단원들에게 "소년들 속에서 학과학습을 잘하여 모두가 우등, 최우등생이 되도록 하는것과 함께 아름다운 도덕품성을 키우며 체육활동과 예술활동을 활발히 벌려 모두가 건장한 체력과 한 가지 이상의 악기를 다루도록 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르몽드 “박대통령, 국내 힘 빠져 외치로”…“독재자 딸”로 소개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6/06/06 10:57
  • 수정일
    2016/06/06 10:57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朴 국내 정치 사면초가…대선후보 없어 구세주로 반기문 거론”뉴스프로 (TheNewsPro)  |  balnews21@gmail.com
 

   

프랑스의 유력 일간지 <르몽드>가 1일 박근혜 대통령의 프랑스 방문의 의미를 짚었다. 아롤드 티보 기자는 “국내에서 힘 빠진 박근혜 한국 대통령이 국제적 이미지 관리에 나서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박 대통령이 외교적 성과로 국내 정치의 난맥상을 풀어보려 한다고 보도했다.

기사는 지난 총선 패배로 박 대통령의 소속 정당이 제1당 지위를 잃은 점, 선거 기간 동안 박 대통령의 측근들이 무리하게 후보가 되면서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비판을 받은 점, 노동법 개악 시도로 청년층의 거센 반발에 직면하고 있는 점 등을 들어 박 대통령이 힘을 잃었다고 판단했다.

또한 개성공단 폐쇄 조치 등 박 대통령의 대북 강경기조 역시 의회 권력의 교체로 인해 벽에 부딪혔으며, 한반도의 긴장 조성은 결국 미국의 군사력에 대한 의존을 높이는 결과만 낳았다고 분석했다. 기사는 2017년 대선을 앞두고 마땅한 후보가 없는 새누리당의 구세주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거론되고 있다는 점을 소개했다.

기사는 프랑스 방문길에 박 대통령은 올랑드 대통령으로부터 북한에 대한 단호한 입장을 얻어내길 원할 텐데, 최근 북한이 또 미사일 실험에 나선 것이 알려지면서 그리 어렵지 않은 일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국내 문제에서 사면초가에 처한 박 대통령이 외교적으로 인정을 받고자 하는 심리를 드러낸 것이라고 봤다.

기사는 세종연구소 연구원의 말을 인용해 “박근혜 대통령이 국내 정치 게임에서 힘을 잃었기 때문에 외교적 성과들을 주워담으려 하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르몽드의 기사 전문이다.
번역 및 감수 : Sang-Phil JEONG
기사 바로가기 ☞ http://me2.do/xm82RDwN

Affaiblie dans son pays, la présidente sud-coréenne Park soigne son image internationale
국내에서 힘 빠진 박근혜 한국 대통령이 국제적 이미지 관리에 나서다

LE MONDE | 01.06.2016 à 12h35 • Mis à jour le 01.06.2016 à 13h44 | Par Harold Thibault
아롤드 티보

   
   

C’est une présidente sud-coréenne politiquement affaiblie qui devait entamer mercredi soir 1er juin une visite d’Etat de quatre jours en France marquant cent trente ans de relations diplomatiques. Après avoir fait étape dans trois pays africains, Park Geun-hye achève dans l’Hexagone une tournée de douze jours censée redorer son image à domicile.
정치적으로 힘이 빠진 한국 대통령이 6월 1일 수요일 저녁 양국 수교 1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4일간의 프랑스 방문길에 오른다. 아프리카 3개국을 돌아본 박근혜 대통령은 프랑스를 마지막으로 12일 간의 해외 순방을 마친다. 이번 순방은 국내에서 자신의 이미지를 드높이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Sur la scène intérieure, les dernières législatives ont en effet affaibli Mme Park. Le 13 avril, son parti, le Saenuri (Nouvelle Frontière, droite), a perdu la majorité pour ne conserver au Parlement que 122 sièges (contre 152 avant le scrutin), tandis que le parti démocrate Minjoo en gagnait 123. Au sein même de sa formation, Mme Park est critiquée pour avoir imposé des candidats trop proches d’elle. Son programme économique pèse également sur sa cote de popularité : son intention de faciliter les licenciements lui a valu le mécontentement à l’heure où les jeunes Sud-Coréens s’inquiètent des difficultés pour trouver un emploi.
국내 정치에서 사실상 최근의 국회의원 선거 결과가 박 대통령을 약화시켰다. 4월 13일 선거에서 자신의 정당인 우파 정당 새누리당은 122석(이전에는 152석)을 얻어 과반의 지위를 잃었고 상대정당인 더민주당이 123석을 얻었다. 박 대통령은 자신과 가까운 인사들을 국회의원 후보로 세우려는 것 때문에 자신의 정당 내부에서도 비판을 받았다. 그녀의 경제 정책 역시 국민들로 나쁜 평판을 자아내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구직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의 젊은이들은 박 대통령이 해고를 쉽게 하는 법률 개정을 추진하자 커다란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Cette nette défaite, à laquelle le camp de Park Geun-hye ne s’attendait pas, a réduit la marge de manœuvre de la présidente conservatrice. Le parti Minjoo, avec lequel elle doit désormais composer, voit notamment d’un mauvais œil la ligne dure qu’elle tient face à la Corée du Nord.
박근혜 진영에서는 예상치 못했던 이번의 명백한 패배는 보수당 출신 대통령의 운신의 폭을 좁혀버렸다. 이제 박 대통령에게 타협의 대상이 된 더불어민주당은 특히 그녀가 북한에 대해 강경노선을 취하는 것을 불편하게 바라보고 있다.

Après un quatrième essai nucléaire, le 6 janvier, la République populaire démocratique de Corée a procédé en février à un lancement de fusée interprété comme un essai de missile balistique. En réponse, Mme Park avait fait fermer la zone de Kaesong, un parc industriel où des entreprises du Sud employaient des Nord-Coréens, seul projet de coopération qui subsistait encore entre les deux pays.
지난 1월 6일 4번째 핵실험을 마친 북한은 2월 대륙간 탄도미사일로 간주될 수 있는 미사일 실험을 감행했다. 이에 대해 박 대통령은 개성공단을 폐쇄하는 것을 화답했다. 개성공단은 한국의 업체들이 입주해 북한 주민을 고용하는 방식으로 운영된 두 나라 사이에 유일한 협력 프로젝트였다.

Retour au socle traditionnel
전통적 기반으로 회귀

Même l’orientation diplomatique suivie depuis sa prise de fonction, en février 2013, par la fille du dictateur Park Chung-hee (au pouvoir de 1961 à son assassinat en 1979) est remise en cause. Mme Park avait misé sur sa proximité économique avec la Chine de Xi Jinping pour faire pression sur Pyongyang, mais le retour des tensions dans la péninsule l’a contrainte à revenir davantage au socle traditionnel qu’est la protection militaire de l’allié américain.
독재자 박정희(1961년부터 피살된 1979년까지 집권)의 딸이 임기를 시작한 2013년 2월부터 외교의 정책 방향에 의문이 제기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평양을 압박하기 위해 시진핑의 중국과 경제적으로 더 가까워지는 것에 판돈을 걸었다. 그렇지만 한반도의 긴장이 조성되자 전통적 기반인 동맹국 미국의 군사적 보호 아래 들어갈 수밖에 없게 됐다.

Dans cette position difficile, la question du candidat que le parti Saenuri mettra en avant lors de la prochaine présidentielle, en décembre 2017, se pose déjà. Le mandat de cinq ans n’est pas renouvelable. Selon les sondages, le candidat du Minjoo pourrait l’emporter en décembre 2017, à moins que l’actuel secrétaire général des Nations unies, Ban Ki-moon, dont le second mandat s’achève à la fin de 2016 à New York, ne vienne prendre le relais. En visite sur l’île de Jeju, mercredi 25 mai, M. Ban, conscient de sa position d’homme providentiel, confiait ouvertement : « J’ai tenu un passeport de l’ONU jusqu’à présent, mais à compter du 1er janvier 2017 je serai de nouveau un citoyen coréen. Je m’interrogerai davantage sur mon rôle en tant que tel. »
이런 난처한 상황 속에 2017년 12월로 예정된 대통령 선거에서 새누리당의 후보 문제는 이미 제기됐다. 대통령 임기는 5년 단임이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2017년 12월 선거는, 2016년 말 두 번째 임기를 마치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새누리당의 대통령 후보로 나서는 변수를 제외하면 더민주당의 승리가 점쳐진다. 지난 5월 25일 제주도를 방문한 반 총장은 자신이 구세주의 위치에 있다는 걸 의식하고 있다. 그는 “현재까지는 유엔의 여권을 갖고 있지만 2017년 1월 1일부터 한국의 시민으로 돌아온다. 시민으로서 나의 역할에 대해 고민 중이다”고 말했다.

Reconnaissance
인정받기


D’ici là, des réussites à l’international sont importantes pour l’image de Mme Park et de son parti Saenuri. « C’est parce que Park Geun-hye est affaiblie dans le jeu politique interne qu’elle espère engranger des succès diplomatiques », estime Cheong Seong-chang, un spécialiste de l’Institut Sejong à Séoul.
이제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에게는 국제적으로 성공을 거두는 것이 중요해졌다. 서울의 세종연구소 소속 전문가 정성장 씨는 “박근혜 대통령이 국내 정치 게임에서 힘을 잃었기 때문에 외교적 성과들을 주워 담으려 하는 것이다”라고 분석했다.

De la France, Mme Park attend un message d’absolue fermeté en réponse aux provocations de la Corée du Nord. Cela constituerait une forme de reconnaissance de sa politique. Selon le Sud, la RPDC a procédé mardi à un nouveau test de missile balistique de moyenne portée, qui s’est soldé par un échec, comme trois tentatives précédentes en avril. Il ne sera donc pas difficile d’obtenir une position vigoureuse du président François Hollande lorsqu’il recevra Mme Park, vendredi à l’Elysée.
박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에 대한 프랑스의 확고부동한 메시지를 기대하고 있다. 이는 자신의 대북정책에 대한 일종의 인정 행위와도 같을 것이다. 한국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화요일 중거리 탄도미사일 실험을 감행했고, 앞선 4월의 세 번의 시도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실패했다. 그래서 박 대통령이 금요일 엘리제궁에서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을 만나 북한에 대한 그의 단호한 입장을 얻어내는 게 어려운 일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

A Paris, Park Geun-hye, qui assiste jeudi à un forum économique organisé par le Medef, doit finaliser un partenariat entre la Caisse des dépôts et le fonds souverain Korea Investment Corporation. La France s’intéresse notamment à la manière dont les start-up sud-coréennes se sont développées, adossées à de grands groupes. Paris et Séoul se félicitent également du succès des événements organisés dans le cadre de l’année France-Corée, qui s’achèvera en décembre 2016.
박근혜 대통령은 목요일 파리에서 프랑스경제인연합회(MEDEF)가 주최하는 경제포럼에 참석하고 프랑스 기탁금고와 한국투자공사 간 협력 문제를 마무리지어야 한다. 프랑스는 특히 대기업의 지원으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식 스타트업 모델에 관심을 갖고 있다. 프랑스와 한국 정부는 또한 2016년 12월에 끝나게 될 한불 수교 130주년 행사의 성공을 자축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뉴스프로 (TheNewsPro)의 다른기사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전국민 대상 독극물 테러, 정부는 뭐했나

 

[인터뷰] 강찬호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와 가족모임 대표

16.06.05 15:18l최종 업데이트 16.06.05 19:07l

 

2011년이다. 정체 모를 폐질환으로 죽어가던 어린 생명들을 앗아간 것이 밤마다 엄마 아빠가 정성스레 물을 갈고 넣어주었던 가습기살균제 탓이었음이 최초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이... 지금껏 밝혀진 피해자만 해도 수천 명이고 사망자가 수백 명에 이르는 이 참사는, 지난해 말 정부가 피해 접수를 그만둔 뒤로도 높은 관심 속에 피해 접수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아래 가피모)도 2011년부터 활동을 시작했다. 하지만 세간의 주목을 끈 것은 최근 '특별수사팀'까지 꾸려 개시된 검찰 수사 덕분이다. 가피모로서도 어안이 벙벙할 정도로 검찰의 수사가 본격화되면서, 가습기살균제 피해의 전개과정과 그 피해 규모가 널리 알려졌고, 그에 따라 크게 알려지지 못했던 가피모의 목소리도 언론과 사회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가피모 강찬호 대표의 딸 나래양도 2011년(당시 5세) 원인불명의 간질성 폐렴으로 사경을 헤매다 의료진의 온갖 항생제 처방 끝에 구사일생 목숨을 건졌으나 폐기능 저하를 평생 안고 살아야 한다. 억장이 무너지는 피해자 가족들의 하소연을 귀담아 듣는 일이 이런 어처구니없는 참사의 재발을 막는 일의 첫 걸음일 터. 지난달 18일 강 대표를 만나 하고픈 이야기를 모두 털어놓아 달라 부탁했다. 
 

기사 관련 사진
▲  "이 사건은 국가적 재난이다"
ⓒ 참여사회

관련사진보기


"마르기 시작한 아이... 그제야 대학병원에 갔다"

 

- 따님이 목숨을 잃을 뻔했다.
"지금은 학교도 다니고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데, 앞으로 어찌될지 조마조마하다. 정부에서 하는 모니터링이란 게 일반검진 때 따로 의사를 만나서 10분 정도 폐기능 검사를 하는 정도다. 우리 애는 한 발 먼저 병원에 갔던 것뿐이다. 그 한 발의 차가 생사를 나누는 것일 줄 어찌 알았겠는가." 

- 처음 병원 갈 때, 증세가 어땠나?
"겉으로는 그냥 기침감기 같았다. 동네병원에서 비슷한 약 바꿔가며 처방하느라 시간만 보내는 바람에 애는 약물에 노출되고 습도 맞춰주느라 가습기를 더 틀어줬다. 폐가 희한한 게 애가 계속 기침을 하는데도 뛰어놀긴 했다. 그러다 마르기 시작했는데, 확 티가 날 정도는 아니었으니 그걸로는 알 수가 없었다. 그러다 간호사인 애 엄마가 밤에 애가 잘 때 호흡이 빨라지는 걸 보고, 이건 그냥 흔한 증상이 아니라고 해서 그제야(2011년 6월 15일) 서울대병원에 데려갔다. 두 번의 겨울 동안 애한테 가습기살균제를 쏘아준 거다."

- 당시 서울대병원에서도 병의 원인을 모른다고 했을 테고….
"이런 증상의 환자 10명 중 6명은 예후가 좋지 않았다. 원인 모르니 치료법도 없다고 하더라. 그게 곧 애 죽는다는 얘기 아닌가. 우리도 초비상이 걸렸다. 엑스레이(X-ray)와 컴퓨터 단층 촬영(CT) 상의 소견에 따라 단계별로 말라리아 치료, 항암치료 등을 거쳐 스테로이드제 처방으로 한 달 입원 끝에 겨우 염증의 확산을 잡았다. 폐는 일회용품이라 망가진 부위는 회복이 안 된다. 딱딱하게 굳어버려 화석화라고 하지 않나. 다른 성한 부위만으로 호흡하며 평생 살아야 하는 거다."

- 많은 분들은 그런 증상으로 아이를 잃고 유족이 되셨다.
"8월 31일에 정부 발표가 나왔고(질병관리본부의 역학조사 결과 가습기살균제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9월경에 환경보건시민센터 분들이 불러서 첫 피해자 모임에 갔더니 죄다 아이들을 잃은 유족이었다. 한 시간 정도 다들 울고만 있었다. 난 그래도 아이가 그만큼이라도 버텨준 게 힘이 되어 '우리, 뭐라도 합시다'라고 나설 수 있었다."

- 피해자모임, 즉 가피모가 그때 생겨난 건가?
"그렇다. 정부 발표에도 불구하고 가습기살균제의 수거가 이뤄지지 않아 우리는 즉시 수거를 요구했고, 정부가 발표한 '원인 모를 산모의 피해'가 아닌 가피모에 모인 대부분의 영유아 피해자들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가피모 유족들의 경우 가족을 잃은 상실감과 더불어 '내가 그걸 애한테 썼다'라는 죄책감에 동시에 시달렸다. 그런 이중고 탓에 기자들 앞에 떳떳이 얼굴 내밀기를 꺼리는 경우도 많을 정도였다. 초창기 '조용히 소송이나 해야죠'라는 입장이 대다수였다. 그 중 '나가서 뭘 해야 한다'는 몇몇 분이 모여 가피모가 만들어졌고, 환경단체와 손을 잡고 활동을 시작했다. 가피모의 모태가 된 정보공유 카페의 가입자 수는 현재 4500명 수준이다."

"청문회 안 하면 가습기살균제 사건 진위 알 수 없어"

- 잠시만 2011년 이전으로 돌아가보자. 2011년의 역학조사 이전에는 정말 아무 이유없이 죽어가는 아이들의 사태가 마냥 방치되었던 건가? 
"그 전에는 학회나 개별 의사들을 통해 이 의문의 질환이 세균성, 감염성은 아니라는 보고가 나오고 있었다. 2007년 무렵 정부의 역학 관련 당사자들 모임에서 이 사태가 논의되었다는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는데, 이건 청문회 등을 통하지 않으면 그 진위를 알 수 없다. 만약 그때 사태 파악이 제대로 되어 이 참사를 막을 수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겠나."

- 원인불명의 영유아 사망이 잇따르는데, 보건 당국의 구태의연한 늑장 대응이 사태를 키웠다는 말씀인가? 
"그럴 개연성이 크다. 세월호를 봐라. 떼죽음이 일어났는데도 안 움직이지 않나."

지난 5월 19일 참여연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환경운동연합은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참사와 대규모 피해의 책임을 방조한 정부와 각 정부부처의 법률적·행정적·사회적 책임을 묻는 공익감사청구서를 감사원에 제출했다.
 

기사 관련 사진
▲  가습기살균제 관련 정부의 책임을 묻는 공익감사청구서를 감사원에 제출했습니다
ⓒ 참여사회

관련사진보기


- 최근 알려지기 시작한 피해 사례들을 접하면서, 어쩌면 이게 또 다른 '빙산의 일각' 아닌가 싶어서, 엄청난 참사로 밝혀지지 않을까 싶어 섬뜩해질 때가 많다.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가습기살균제 재난에는 세월호나 삼풍 같은 사태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측면이 있다. 전국민을 상대로 팔린 제품이 목숨을 끊어놓은 것 아닌가. 일어나서는 안 될 전근대적인 사건이라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단일 사업장, 단일 사건이 아니라 전국민을 상대로 일어난 사건이라는 점에서 이번 사태는 매우 심각하다. 

사건이라는 게 원래 파헤칠수록 점점 커지는데, 이 사태가 어찌 흘러갈지 생각하면 정말 섬뜩하다. 이런 사건을 그냥 묻어버린다는 건 말도 안 된다. 그런데 지난 5년을 무관심하게 지나온 게 사실이다. 피해자들이 열심히 싸우고 환경단체가 애를 썼지만 사회적으로는 무관심했다. 올해 들어 이 사건이 "떴다"고 하지만, 이게 우리가 띄운 게 아니다. 검찰이 띄운 거다."

- 검찰이 왜 갑자기?
"알 수 없다. 지난 4년 내내 수사관 1명, 검사 1명이 진행하던 사건을 갑자기 특별수사팀까지 꾸려 달려들었다. 검찰 수사가 언론에 전해지면서 사태가 알려졌다. 그러고 보니 거기 피해자단체가 싸우고 있었고, 그 옆에 자그만 환경단체가 하나 붙어 있었던 것도 알려졌다. 국회도 정치적 상황에 밀려 뒷짐지고 있었고 참여연대도 큰 힘을 못 싣는 가운데, 검찰 전담팀 덕분에 커다란 정치적 사안으로 다시 재조명되는 분위기가 마련됐다. 

그렇다고 검찰의 행보만 바라보고 있을 수는 없다. 권력형 비리의 고리를 푸는 일, 정부나 국회 등 여러 기구들이 잘 협력하여 사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체계를 만들어나가는 일 등 참여연대가 맡을 수 있는 몫이 분명히 있다. 관련부처 공무원 감사 청구를 참여연대와 가피모가 함께하는데, 그런 게 좋은 사례 아니겠나. 

그 전에는 감사원에 가서 피해 접수 계속 받게 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조차도 우리에겐 버거운 일이었다. 정부 업무에 대한 참여연대의 꾸준한 모니터링 내공 덕분에 이번 감사 청구도 일사천리로 해결될 수 있었다. 참여연대 운영위원의 한 사람으로서 뿌듯하다. 큰 사회적 논란임에 틀림없는 이번 가습기 사태에 참여연대가 올바른 방향으로 개입하고 있는 것 같다."

"피해자들 후속타 연신 맞고 있는데..."

- 전국민을 향한 독극물 테러 같은 건데, 왜 정부가 나서지 않고 개별 피해자들이 소송을 진행했던 건가?
"처음부터 골치 아픈 사태란 걸 알았던 것 아닐까? 그래서 정부는 역학조사 발표 이후 손을 떼버린다. 사람 엄청 죽었고, 일어난 지 한참 지났고, 산업자원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등 세 개 부처나 관련되어 있고, 여러모로 골치 아파 보이니까 즉시 핑퐁게임이 시작되었다. 

정부는 처음부터 이번 재난을 교통사고 취급했다. 당사자들이 소송을 통해 피해 보상 받으라며, 자기들은 손을 털어버린 거다. 아까 말했듯 이중고를 겪는 피해자들이 경제적 피해와 가정 파탄 등의 후속타를 연신 얻어맞고 있는데, 거기다 대고 자기 비용 대서 소송하라니? 100% 이기는 소송이라는 보장도 없었다. '규제의 공백'이 있는 사건이었고, 기업은 정부 허가 없이 불법으로 만든 게 아니라는 입장이었다. 김앤장을 고용한 옥시랑 개별적으로 싸운다? 쫄 수밖에 없다. 위축된 상황에서 소송이 진행될 수밖에 없었다. 

이제 와서 보니 피해자들이 김앤장에게 당했다는 걸 깨달았고, 그래서 가피모를 통한 집단공동소송을 하겠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엊그제 민변과 함께 1차 원고 436명을 모집해 소송을 시작했다. 2차 소송도 진행할 예정이지만, 법적으로 쟁점이 많고 즉각 대응을 못해 가뜩이나 많던 사각지대가 더 벌어져 손쓰기 어려운 지경이다. 4~5년의 허송세월 탓에 말이다. 그 기간 동안 약자인 피해자가 자기 돈을 들여 자기 피해를 입증해야 하는 '갈 데까지 간 나라의 모습'이 민낯으로 드러났다." 

- 국가가 제대로 일했다면 어떻게 해야 했나?
"이 사건은 국가적 재난이다. 국가적으로 벌어진 사회적 재난! 국가가 선제 조치를 취해서 피해구제를 해주고, 인과관계 규명을 통해 사후에 기업에게 구상권 청구를 하는 노력을 기울였어야 한다. 구상권 청구가 명료하지 않은 부분은 국회에서 여러 차례 토론해 사회적 기준을 만들면 된다. 나머지 경우, 즉 피해는 명백한데 구제방법이 없는 경우엔 국가가 배상을 해줘야 한다. 이런 재난에 당면해 이런 체계들을 마련해야 하는데, 단 한 번도 그런 노력이 없었다. 화학물질 담당하는 환경부장관이 아직도 교통사고로 취급하니, 이런 사태로부터 대체 뭘 배울 수 있겠나."

- 20대 국회에 요청한 가피모의 '피해대책 및 재발방지 촉구' 안을 보니, 윤성규 환경부 장관 해임 건의와 더불어 정부의 사과, 특별대책기구의 대통령 직속 설치 등을 요구하더라. 
"2011년 당시 국무총리실에 대책기구가 마련되었고, 우리는 피해구제 및 재발 방지책 마련 등을 기대했다. 그런데 고작 한 게 살균제 수거와 의약외품 지정뿐이다. 그런데 이번에 다시 국무총리실에 만들어 무슨 실효가 있겠나. 대통령 직속기구로 설치해 제대로 파헤치고 제대로 대책을 마련하길 기대하고, 새 국회에서 그런 결의를 해주길 바란다."
 

기사 관련 사진
▲  강찬호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와 가족모임 대표
ⓒ 참여사회

관련사진보기


- 정부뿐만 아니라 검찰 수사, 기업에 대해서도 요구하는 게 있나. 
"일단 검찰 수사가 제대로 진행되는 게 중요하다. 4년의 공백을 잘 메워야 한다. 4년간 증거 인멸 다 했을 테니 더 속속들이 파헤쳐야 한다. 관련 기업은 민사소송 과정을 통해 김앤장을 내세워 합의 보게 만들었는데, 아마 틀림없이 그간 그런 노력 많이 했으니 정상참작 해달라고 요구할 거다. 그러니 더 철저하게 수사해 모든 가해기업에게 정확한 책임을 물어달라는 거다. 하나하나 사망사건이다. 과실치사 시효가 7년이지만, 유해성을 알고도 제조했다는 고의성이 인정되는 살인사건이 되면 시효가 없어진다. 철저하게 수사하면 그렇게 처벌이 가능하다고 본다. 

검찰이 여전히 손 놓고 있는 건 정부의 몫이다. 이 제품이 개발되고 유해성 심사를 거쳐 17년 동안 유통되는 동안 정부의 책임은 과연 없을까? 왜 행정 책임 부분에 대해서는 수사를 안 한다는 걸까? 곧 이에 대해 수사를 촉구하는 고발장을 접수하려고 민변과 준비 중이다. 아까 얘기했듯 참여연대와 함께 진행한 감사 청구에서도 떠넘기기 등 행정의 과실에 대한 책임을 캐물을 거다.

우리는 일차적 책임과 원인이 정부에 있다고 본다. 이런 가해 제품을 허가해놓고 가해 기업을 방치한 점, 자국 국민이 당한 이런 재난적 사고에 대해 피해 구제를 해야 하는데 이에 나서지 않은 점, 왜 초기에 적극 대처를 하지 않아 피해를 키웠는지 등등 의혹투성이다. 오히려 여당을 통해 법 못 만들게 한다든지, 피해자 분열 조장이라든지, 피해접수 중단이라든지, 정부가 나서서 방해하지 않았나. 이쯤 되면 우리 세금으로 만든 이 정부가 도대체 어느 나라 정부인지 망연자실해진다."

인터뷰 도중, 강 대표는 해임을 요청한 윤성규 환경부 장관이 억울해 하는 이유를 한참 설명했다. 듣는 내내 서글펐다. 왜 황당한 전근대적 피해를 입은 국민이 공무원의 처지까지 헤아려야 하나? 뭔가 바뀐 거 아닌가? 국가가 나서서 먼저 국민의 눈물을 닦아주는 것은 정녕 이 나라에선 불가능한 건가?

행정 사각지대에서 일어난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독극물 테러. 가습기살균제 사태를 한 줄로 요약하면 딱 그렇다. 그런 테러가 백주대낮에 버젓이 행해졌다는 사실에 경악한 우리들 사이에서 지금 생활 속 화학물질에 대한 공포가 들불 번지듯 번지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테러는 완벽하게 성공했다. 하지만 테러 앞에 굴복할 수는 없다. 공포를 딛고 분노로 힘을 모아 신뢰할 수 있는 새로운 체계를 만들어내야 한다. 아이를 사랑하는 일조차 마음놓고 할 수 없는 나라에 미래는 없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을 쓴 박유안님은 번역가이고 '알트' 출판사에서 일합니다. "까칠해도 친절하게"가 삶의 모토이며, "쟌 모리스를 번역한 작가"로 기억되길 바랍니다. 밤엔 주로 땅고 추며 놀며, 맘 놓고 춤 출 좋은 세상을 염원합니다. 사진은 박영록님이 촬영했습니다. 이 글은 월간 <참여사회>6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진짜 문제는 ‘메피아’ 품은 ‘외주화’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6/06/05 09:54
  • 수정일
    2016/06/05 09:54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박은하 기자 eunha999@kyunghyang.com

 

서울도시철도 노동조합원들이 2008년 서울 고덕차량기지에서 공공기관 외주화가 주된 내용인 창의혁신계획을 반대하는 총파업 전야제를 하고 있다. / 김영민 기자

서울도시철도 노동조합원들이 2008년 서울 고덕차량기지에서 공공기관 외주화가 주된 내용인 창의혁신계획을 반대하는 총파업 전야제를 하고 있다. / 김영민 기자

 

서울메트로 구조개선을 위한 효율화 과정이 19세 노동자의 죽음 불러
 

 

“매출이 증가하였고 인건비 등 관리비용이 감소하여 전반적인 손실규모 감소함.”

행정안전부(현 행정자치부)가 2012년 전국 219개 지방공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1년도 경영실적 평가 결과’에서 서울메트로는 최고 등급인 ‘가’ 등급을 받았다. ‘가’ 등급을 받은 곳은 상위 10% 격인 총 25곳이었다. ‘가’ 등급을 받은 공기업은 사장의 경우 301~450%, 임직원의 경우 201~300%의 지급률로 성과급이 결정된다. 단계가 내려갈수록 성과급 지급률이 깎이며, 최저 등급인 ‘마’ 등급의 경우 성과급이 동결되고 사장이나 임원의 연봉도 5~10% 삭감된다. 경영개선명령을 받아 사업규모 축소, 조직개편, 법인 청산 등의 조치도 취해야 한다.

서울메트로도 한때는 ‘문제아’였다. 2001년 행정안전부로부터 경영개선명령을 받았다. 이듬해에는 감사원으로부터도 경영효율화 추진을 요구받았다. 오세훈 서울시장 취임 이후인 2008년 서울메트로는 구조개선을 위한 ‘창의혁신프로그램’을 가동, 전동차 경정비 업무를 최저입찰제를 적용해 민간에 위탁용역을 맡기는 것을 시작으로 구조개혁의 시동을 걸었다. 인력은 줄어들고 재무구조는 개선됐다. 그러나 안전업무 외주화 등 ‘효율화의 과정’은 19세 스크린도어(안전문) 정비노동자의 죽음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방공기업 효율화의 가이드라인은 행정자치부가 제시한다. 행정자치부의 2011년도 평가보고서를 보면 지하철공사 7곳(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 부산교통공사, 대구지하철, 인천지하철, 광주도시철도, 대전도시철도) 전체를 합쳐 9038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2006년(8556억원) 이후 최대 손실규모였다. 행정안전부는 적자의 이유로 초기 건설차입금으로 인한 금융비용 부담, 대규모 시설의 감가상각비, 수송원가 대비 낮은 운송요금 수준과 더불어 ‘복지무임승차’를 지목했다. 노인 등 교통약자들에게 적용되는 지하철요금 면제로 인한 손실규모는 총 3689억원으로, 손실규모의 40%, 전체 매출액의 18%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수도권 환승할인도 적자폭을 높인 이유였다.

행정자치부는 보고서에서 지하철공사의 부채구조는 “초기건설비와 낮은 요금적정화율 등의 구조적 어려움”으로 인한 것으로 내다봤다. 따라서 “적자 경영상태를 탈피해 지자체의 부담을 해소하고 자립경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재무구조 및 경영수지 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수송원가 대비 요금률(요금현실화율)이 55%에 불과해 전반적 요금 현실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거론했으면서도 “현실적으로 물가상승률 억제로 인한 요금 현실화가 어려우므로 자체 사업을 추진해 손실구조를 탈피하기 위해 부대수익사업 발굴, 민자 유치 등 사업 다각화를 통한 수익성 제고”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시설물 임대, 비핵심부문의 분사 또는 아웃소싱 등을 통한 구조조정 등을 예시했다. 지하철공사 7곳 모두 인력 감축으로 1인당 매출액이 400만원 늘어났다는 점도 제시했다.

서울메트로는 이전부터 행정안전부의 권고를 충실히 따랐다. 2009년에 세운 서울메트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보면 조직개편으로 404명, 점검업무 기계화로 54명, 2호선 지선 1인 승무제로 37명 등 인력 467명을 감축할 계획이 나타난다. 이외 비핵심업무 외주 위탁으로 453명을 감축할 계획을 세웠다. 역무, 철도장비, 전동차 정비, 유실물센터 업무가 ‘비핵심업무’로 분류됐다. 또한 일부 ‘외주’로 운영되던 궤도시설물 유지·보수, 건축시설 보수, 신호설비 및 전원장치·통신설비·지상전력 공급로 보수, 청원경찰 업무분야의 외주 규모를 확대해 228명을 추가로 감축하기로 계획했다. 조건부 외주업체로 파인서브웨이(유실물센터), ㈜성보세이프티(구내운전), 프로종합관리㈜(전동차 경전비), ㈜고암(모터카 및 철도장비), 은성PSD(역사 유지·관리)가 선정됐다. 이번에 숨진 19세 전동차 안전문 정비노동자는 은성PSD 소속이었다. 일부 업무와 역을 민간위탁하면서 잔여 인력이 발생했고, 서울메트로는 재교육 후 재배치 대신 조건부 민간위탁된 용역회사로 전직을 유도했다. 프로종합관리㈜의 경우 서울메트로에서 이직한 직원은 2008년 1차 계약 때 33명이었고, 2011년 2차 계약 때는 64명으로 늘었다.

전동차 애자(절연체 덮개) 청소 중인 이주업체 (주)프로종합관리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 3명과 서울메트로 소속 정규직 1명. /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전동차 애자(절연체 덮개) 청소 중인 이주업체 (주)프로종합관리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 3명과 서울메트로 소속 정규직 1명. / 한국비정규노동센터

‘메피아’의 탄생은 외주 구조에서 가능했다. 외주업체는 지속적으로 원청업체인 서울메트로로부터 일감을 수주하는 대가로 인건비와 노사관리 부담을 떠안았으며, 이렇게 생긴 부담은 비정규직과 청년층의 인건비 절감에서 메웠다. <CBS 노컷뉴스>가 폭로한 2011년 서울메트로와 은성PSD가 체결한 용역계약서를 보면 서울메트로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 스크린도어 정비·관리 용역비로 210억원(월 5억8000만원)을 지불하기로 계약했다. 계약은 2016년까지 연장돼 은성PSD는 약 350억원을 지급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은성PSD 임직원 143명 중 정비 관련 자격증을 보유한 직원은 전체의 41%인 59명이고, 자격증이 없는 나머지 84명 중 상당수가 서울메트로 퇴직자였다. 서울메트로 출신 퇴직자에는 은성PSD가 담당하는 대치역, 신천역 전 부역장 등이 포함돼 있다. ‘인건비 부담’은 줄어든 것이 아니라 외주업체로 떠넘겨진 것이었다. 은성PSD에서 비정규직 정비공으로 일한 김군의 월급은 매달 144만원, 정규직 정비공의 월급 역시 매달 180만~220만원 정도다. 반면 서울메트로 퇴직자들은 300만~400만원 선의 월급이 지급됐다. 부담을 떠넘기는 과정에서 하청구조가 생겨나고 ‘퇴직자’의 몫이 커졌다.

행정자치부는 2014년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에서 “모든 (지하철)공사가 재난·안전관리의 기본적인 체계를 구축했으며, 시설 및 설비의 보완, 적극적인 홍보 전개 등을 통해 안전사고 ZERO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이영수 사회공공연구소 연구위원은 지난 2월에 발간한 ‘서울지하철 전동차 정비 외주화의 문제점과 직영화 필요성’을 통해 경정비 업무의 직영화를 주장했다. 담당 조직이 분할돼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소통과 정보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고, 특히 외주 직원의 의견이 제대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이유에서였다. 비용 절감이 목표인 외주 운영체계로는 노후 지하철의 최적 정비가 어렵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적자도 싫고, 요금 올리기도 싫은 상황에서 세금과 요금으로 다수가 부담을 떠안는 대신, 외주화와 하청을 통해 소수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시스템이 만들어졌다. 한국비정규노동센터가 2014년 발간한 서울메트로 ‘경정비 용역실태 보고서’를 보면 ㈜프로종합관리 소속 직원들은 전동차 애자(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절연체를 사용한 전동차 덮개) 청소 등 분진이 발생하는 위험업무를 상당수가 담당하고 있었음에도 제대로 된 방진복이 지급되지 않았고 면장갑만 주어졌다. 정규직 직원들에게는 신발 살균장비 등이 지급됐지만 외주 직원들에게는 이런 장비가 주어지지 않았다. 은성PSD는 수시로 ‘2인1조’ 작업 규정을 어겼지만 업무보고에는 허위로 올려놓은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사고 후 안전업무의 외주화를 전면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메트로는 오는 8월 자회사를 설립해 스크린도어 정비업무를 맡길 예정이다. 그러나 또 다른 스크린도어 정비업체이자 광고대행사인 유진메트로컴과는 2022년까지 계약이 돼 있다. 서울지하철 5~8호선을 담당하는 서울도시철도에서는 1인 우울증 및 공황장애로 2003년 이후 현재까지 총 9명의 기관사들이 자살했다. 전 구간 지하터널인 노선에서 ‘1인 승무제’가 원인으로 꼽히지만 해결되지 않고 있다. 효율성을 잣대로 하는 공공기관 경영평가도,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 고용하는 공무원의 수를 크게 늘리지 못하도록 한 ‘총액인건비제’도 계속 존재한다.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서울메트로’가 부실공기업에서 모범공기업으로 거듭나는 동안 마련된 제도들이다. 그동안 위험은 더 소수에게, 더 약자에게 응축된 형태로 떠넘겨졌다. 그 연쇄의 끝자락에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19세 노동자가 있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세비 논란, 그리고 안철수란 이름의 비극

세비 논란, 그리고 안철수란 이름의 비극
(WWW.SURPRISE.OR.KR / 권종상 / 2016-06-05)


원 구성이 되지 않는다면 세비를 받지 않겠다는 안철수 국민의 당 대표의 말을 뉴스를 통해 전해들었습니다. 그런데, 이 뉴스가 나가고 나서 들러봤던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가보고 상단에 배치된 의견들을 읽어보면서 저는 솔직히 좀 화가 났습니다. 적지 않은 의견들은 안 대표의 의견에 대해 찬성한다는 입장이었던 것이지요.

국회의원이라는 직책에 대한 안철수 대표의 인식은 이전에도 문제가 됐던 바 있습니다. 한국의 입장에서 저는 의원수가 지나치게 많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국회는 말 그대로 각 지역 뿐 아니라 국민들의 입장을 다각도로 반영해야 하는 곳입니다. 오히려 어떻게 생각하면 국회가 민의를 정확히 반영하기엔 작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함량 미달의 의원들이 자기들의 보스를 위해 말도 안 되는 주장들을 하는 곳도 그곳입니다만, 우리는 4년마다 그들을 걸러낼 수 있는 권리를 갖습니다. 선거라는 과정이 필요한 것은 바로 그런 역할입니다. 물론 이것이 최선이 아니라 차악을 뽑아야 한다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을지언정, 국민의 감시와 참여는 국회의 역할을 올바른 쪽으로 유도하는 데 있어서 큰 역할을 합니다. 참정권이라는 국민에게 주어진 권리만 잘 활용해도 국민들이 짜증날 일은 확실히 줄어듭니다.

저는 이 발언에서 안철수 의원이야말로 얼마나 스스로의 일에 대해 가치를 격하시키고 있는가를 봅니다. 지금 원구성 작업도 정치활동의 일환입니다. 안철수 의원 스스로야 대한민국에서 몇 번째로 손꼽힐 부자일수도 있지만, 가난한 국회의원들도 있습니다. 그들에게 세비를 지급하는 것은 청렴하게, 특정 세력으로부터의 로비에 기대지 말고 소신을 갖고 일해달라는 것입니다. 세비는 국민의 혈세이니까요. 그리고 그 돈을 활용해 국민에게 도움되는 일을 하라는 겁니다. 실제로 세비만으로는 국회의원 활동을 열심히 하기엔 부족하기도 합니다. 그 때문에 정치인들은 후원을 받는 것이지요.

안철수 의원의 이번 발언에서 제일 문제라 지적하고 싶은 부분은, 이 발언이 국민들의 정치 혐오를 부추겨 자신의 인기를 챙기려는 저열함이 묻어난다는 것입니다. 정치는 혐오를 통해 이뤄지지 않습니다. 제대로 된 정치는 더 정확한 대표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고 조율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 소외계층들의 대표들도 더 많이 원내로 들어와야 합니다. 

그 때문에 저는 지역구도 지역구지만 더 중요한 것은 비례대표 의원들을 많이 확보해야 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또 더 나아가 지금의 소선거구제의 한국 총선 제도를 중대선거구제로 바꾸거나, 아예 모든 선거를 정당 지지도를 제대로 반영하는 독일식 제도로 바꿔야 한다고 믿습니다. 

민주주의의 원칙은 CEO 마인드로 세워지는 게 아닙니다. 대의제 민주주의는 물론 직접민주주의처럼 민의를 직접 반영하지는 못하기에 완전히 효율성을 보장하지 못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에도 효율성을 들이대는 순간 현실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사람들은 돈 있고 권력이 원래부터 있는 사람으로 한정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그건 민주주의가 아닙니다. 그리고 이렇게 현실정치에 대한 감각이 떨어지는 사람이 주요 대권후보의 한 사람으로 거론되고 있는 건 한국 정치의 비극입니다. 


시애틀에서...

 
http://surprise.or.kr/board/view.php?table=surprise_13&uid=30272
 
 
 
 
최근 대문글
- 권종상
- 트위터
- 정욱식
- 뉴요코리안
- 경향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왜 대륙간탄도미사일 고도가 중요한가

왜 대륙간탄도미사일 고도가 중요한가
 
 
 
이창기 기자 
기사입력: 2016/06/05 [04:27]  최종편집: ⓒ 자주시보
 
 

 

▲ 일반적 탄도미사일 궤적     ©자주시보

 

▲ 요격 회피 위해 변형 포물선 궤적을 그리는 러시아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  

 

▲ 이 사진의 화성14호 대륙간탄도미사일은 화성13호의 탄두와 비교할 수 없이 직경이 크다. 다탄두미사일인 것이다. 노길남 민족통신 특파원은 북의 고위 간부로부터 소형 수소탄이 10발까지 들어가는 미사일도 있다는 말을 들었다고 했다. 이 화성14호가 신형 대출력로켓엔진을 장착하여 지구 어디든 타격할 수 있는 미사일로 추정된다.   ©자주시보

 

▲ 2016년 4월 9일 북이 공개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용 대출력로켓엔진 연소시험 성공 장면, 로켓의 불꽃만 봐도 러시아나 미국에서도 가장 강력한 출력을 내는 최신 로켓과 비슷한 비엔나 소시지 형태이다. 북에서는 러시아, 미국의 신형엔진보다 더 출력이 강하다고 말했다고 노길남 특파원이 2016년 6월 2일 평양취재 보고회견에서 전했다.     ©자주시보

 

최근 어느 한 독자가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정지궤도 높이까지 올리는 경우는 없다며 민족통신 노길남 특파원의 방북취재 보고 내용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노길남 특파원은 보도회견을 통해 북에서 지난 4월 8일 고도 1만키로미터를 훨씬 넘어서는 대출력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했다는 정보를 북 고위 간부로부터 들었다는 이야기를 전했는데 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1만키로미터 이상의 고도는 정지궤도위성용인 것은 맞는 말이다. 고도가 올라가면 중력의 힘은 점점 약해져서 위성의 속도가 아주 빠르지 않아도 원심력과 평형을 이루게 된다.

 

특히 정지궤도위성은 특정 지역 위에 항상 떠있게 해야 하기 때문에 그 고도에서 지구의 자전속도와 일치시켜야 하고 그 속도에 따른 원심력과 중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이 3만 6천km 고도에서 형성되게 된다. 

 

그에 비해면 대부분의 대륙간탄도미사일은 1만키로미터 아래를 비행하여 목표물을 타격한다. 과거에는 포물선 궤도비행을 했는데 이것은 초기의 속도와 각을 알면 쉽게 이동 지점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쳐 놓은 요격망에 걸릴 우려가 높다. 그래서 요즘은 요격을 회피하기 위해 변형포물선 비행, 지그재그 비행 등을 하도록 발전하였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과거와 달리 더 높은 고도로 미사일을 쏘아올릴 필요가 있다. 그래서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높은 고도로 올릴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것이다.

 

다음으로는 군사정찰위성이나 군사용 통신위성을 무력화시키는 것이 현대전쟁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정지궤도나 그 2000km 아래의 준정지궤도를 돌고 있는 군사위성을 타격할 미사일을 보낼 수 있어야 한다. 중국에서 자신들의 폐기처리할 정지궤도 위성을 미사일로 쏘아 파괴하는 시험을 진행한 것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북이 대륙간탄도미사일을 고각으로 쏘아 최대한 높은 고도로 올린 것은 수평비행을 하는 과정에 주변국에 피해를 줄 수도 있고 미사일 기술이 노출될 수도 있으며, 세계를 놀라게 하여 군비경쟁을 불러올 여지가 있어 그만큼 갈 추진력으로 각도를 높여 더 높이 쏘아올리는 시험을 한 것이다.

 

노길남 특파원이 북에서 들은 바에 따르면 북이 4월 8일 시험발사한 대륙간탄도미사일을 고각이 아닌 수평비행을 할 수 있게 쏘았다면 1만3천키로미터 즉 지구 절반 넘게 날아갈 수 있는 미사일이라고 했다. 이는 미국의 워싱턴, 뉴욕 등 동부지역은 물론 지구 어디든 타격이 가능한 사거리를 시험했다는 말과 같다.

특히 노길남 특파원은 북의 신형대륙간탄도미사일은 다탄두 미사일로 최대 10발까지 소형수소탄이 장착된다고 한다. 그렇게 여러개의 핵탄두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탄두부(북에서는 전투부라고 함)가 더 크고 무거워지기 때문에 로켓의 출력도 높아져야 한다. 그런 높은 출력을 시험하면 당연히 고도가 높이 올라가지 않을 수 없다.

 

고도를 높이는 것도 어려운 기술이지만 고도가 높을수록 지구 대기권 재진입시 속도가 빨라져 그만큼 대기권과의 마찰열도 높아지게 됨으로 이 열로부터 탄두내부의 수소탄과 여러 전자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일도 어려워지게 된다. 북에서는 이번 시험 당시 탄두 내부 온도계로 측정한 결과 8000도까지 올라갔다고 한다. 그 열을 이겨내고 대기권에 진입한 후 목표 고도에서 안전하게 기폭장치를 가동해 폭발시험까지 성공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높은 고도로 미사일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은 로켓엔진에서부터 전자 기술, 소재공학 기술 등 모든 분야가 세계 최고를 넘어서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노길남 특파원의 북 간부들의 전언이 사실이라면 북이 세계 최강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고 모든 과학기술분야가 세계 최강이기 결국 미국도 대화에 나서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진단한 것이다.

사실 이런 미사일 기술이 사실이라면 이것과 최근 북이 강조하여 보여주고 있는 잠수함 탄도미사일 발사 기술이 결합되면 미국은 북의 핵미사일 타격을 피할 방법이 없게 된다.

 

노 특파원은 특히 지금 공개한 무기들도 일부의 무기일 뿐이고 실제 더 위력적인 비공개무기도 많이 있다는 말도 들었다고 그는 전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새총으로 헬기 부쉈다고 5억2천만원 내라는 법원

 

쌍용차 해고자 DNA까지 채취하겠다니... "해도 해도 너무 한다"16.06.04 20:17l최종 업데이트 16.06.04 20:25l글: 고동민(playman0825)편집: 박정훈(twentyrock)

기사 관련 사진
▲ 쌍용차 최루액 살포 쌍용차 해고자들에게 최루액을 쏟아 붓고 있는 경찰헬기
ⓒ 이명익

관련사진보기

기사 관련 사진
▲ 쌍용차 최루액 살포 경찰은 스티로폼이 녹을 정도의 최루액을 헬기에서 쏟아부었다
ⓒ 이명익

관련사진보기


헬기에서 비닐봉지가 떨어졌다. 떨어지면 비닐봉지에 담겨있던 노란 물이 사방에 튀었고 그 물은 이내 하얀 분말로 굳어갔다. 하얀 분말은 흩날리는 바람에 나부끼며 숨쉬기 어려울 정도의 매캐한 냄새와 고통을 그 주변에 선사했다. 최루액이었다. 그 최루액이 얼마나 지독한지 몸에 닿으면 수포가 올라왔다. 

눈에 들어간 최루액을 아무리 씻어내려고 해도 눈물만 나지, 씻겨지지 않았다. 어떤 날은 소방용 헬기가 날아왔다. 그리고는 옥상 곳곳에 웅크리고 있던 노동자들을 향해서 산불을 끌 때 소화용수를 뿌리는 것처럼 최루액을 토해냈다. 폭포처럼 최루액이 쏟아졌다. 몸에만 닿아도 수포가 올라오는 최루액 폭포를 피해 이리저리 뛰어다니다 넘어지고, 팔이 부러지고, 이가 부러지는 노동자들도 있었다. 2009년 여름, 경찰은 보유하고 있던 십 년치 최루액을 쌍용차 평택공장에 쏟아 부었다. 

 

기사 관련 사진
▲ 쌍용차 최루액 실험 스티로폼이 녹을 정도의 최루액을 경찰은 쌍용차 해고자들에게 헬기에서 쏟아부었다.
ⓒ 이명익

관련사진보기

기사 관련 사진
▲ 쌍용차 최루액 살포 쌍용차 해고자들에게 뿌려진 최루액이 몸에 닿자 수포가 올라오고 허물이 벗겨졌다.
ⓒ 이명익

관련사진보기


새총 쏴서 헬기가 부서졌으니 '5억2천'을 보상하라? 

헬기는 낮게 날았다. 무슨 게임을 하듯 노동자들 사이에 나타나 이리저리 선회를 하고 여름날 햇볕을 가리던 천으로 만든 지붕을 날려버렸다. 헬기가 너무 낮게 날아 자신의 몸을 덮칠 것 같은 공포에 시달리는 매일매일이 이어졌다. 밤에는 서치라이트를 켜고 야간비행을 했다. 구석구석 숨어서 잠을 청하던 노동자들을 찾아다니며 잠을 깨우듯 2대가 번갈아가며 상공을 유유히 날아다녔다. 쌍용차 노동자들은 그 후로 헬기소리가 들리면 몸이 반사적으로 숙여지고 골목으로 숨거나 도망 다녔다. 그리곤 스스로가 한심해져 어린아이처럼 울었다고 한다.

노동자들을 공포에 떨게 했던 그 헬기가 부서졌다고 경찰은 주장했다. 문방구에서 팔던 노란색 고무줄과 철물점에 팔던 굵은 철사로 만든, 노동자들이 쏜 새총을 맞고서 말이다. 헬기가 부숴진 곳도 다양했다. 노동자들이 무서워서 쳐다보지도 못했던 헬기 바닥도 아니고 조종석 앞유리와 주 날개, 뒤쪽 날개 부분이 파손되었다고 했다. 

그 수리비용이 자그마치 6억8천만 원이었다. 그리고 경찰은 고스란히 최루액을 맞던 노동자들에게 손해배상청구소송을 했다. 아마도 겁박용이었을 것이다. 영화도 아니고 새총을 쏴서 하늘에 떠 있는 헬기가 부서지다니 너무 우습지 않은가 말이다. 하지만 결과는 우습지 않았다. 법원은 노동자들이 새총으로 헬기를 부쉈다는 경찰의 의견을 그대로 반영해서 손해배상청구금액으로 판결했다. 

지난 5월 17일 쌍용차 파업에 대한 국가손해배상소송 2심판결이 있었다. 쌍용차 파업을 진압하기 위해 경찰들이 다쳤고, 경찰이 보유한 헬기 등을 포함한 장비가 파손되었으며, 경찰이 파업진압을 위해 부른 크레인 파손에 대한 책임 또한 쌍용차 해고자들에게 있다는 내용의 판결이었다.

2심 재판부는 가장 큰 액수(7억4천만 원)를 차지하는 크레인 3대 파손을 전부 인정한 1심과는 달리 경찰의 무리한 장비조작을 인정한다면서 5억9천4백4십만 원(80%)을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파업진압에 사용되었던 헬기(3대) 손해(6억8천만 원가량) 배상 관련해서는 1심에서 관련 없는 수리비용으로 본 7천만 원을 감액했고, 여기에 더하여 로터블레이드(주 날개, 꼬리날개) 감가상각액 9천만 원 감액, 중고로터블레이드 처분액 4백만 원을 감액하여 총 5억 2천5십만 원을 인정하였다. 크레인과 헬기 수리비는 전체 손배금액 중 95.5%를 차지했다. 

 

기사 관련 사진
▲ 최루액을 던지는 경찰 최루액이 담긴 비닐봉투를 던지는 경찰
ⓒ 이명익

관련사진보기


복직 기다리고 있는 노동자들에게... 이게 무슨 날벼락

나머지 경찰 위자료 3천8백7십만 원, 경찰 치료비로 1천8십만 원, 기타 차량피해, 진압장비, 무전기 피해에 대하여 3백2십만 원을 합하여 총 11억 6천7백6십만 원을 판결했다. 그리고 판결 이전은 연이자 5%, 판결 이후에는 연이자 20%로 책정되었다. 그래서 현재까지 이자를 포함하면 15억 정도가 손해배상청구금액으로 책정되었고 이후로는 하루에 62만 원의 지연 이자를 내라고 판결했다. 숨이 막혔다.

공권력이 무리하게 장비운용을 했으면 책임은 공권력에게 있다고 판결해야지 애꿎은 노동자들에게 배상하라는 이상스런 판결이었다. 땅에 내려앉은 헬기도 아닌 하늘에 날아다니던 헬기를 노동자들이 새총으로 쏴서 헬기가 파손되었단다. 노동자들이 만든 새총은 영점도 잡히지 않고 끄덕하면 고무줄이 끊어지는 조잡한 물건이었는데도 말이다. 이건 사기였다. 

노동자들의 파업은 불법파업이고, 새총 등의 불법무기를 들었던 폭력파업이니까, 그래서 누가 헬기에 새총을 맞췄는지 특정할 수도 없고 실제 파손되었는지도 불명확하지만 쌍용자동차 해고자들이 저지른 일임이 확실하다는 추론으로 이어진 끼워 맞추기식 판결이었다. 형사사건도 아닌 민사사건에서 해당 행위를 누가 했는지, 어떤 행위로 손해가 발생했는지 입증하지도 않은 채 그냥 공동정범으로 쌍용차 해고자들이 책임지라는 게 말이 되는 이야기인가.

당시 이명박 정부는 노사문제에 대해 개입할 수도 없고 개입해서도 안 된다면서도 '오죽하면 기업이 직원을 해고하겠냐', '귀족노조의 배부른 파업이다'라고 노조때리기에만 열을 올렸다. 쌍용차 구조조정사태가 왜 일어났는지, 경영상의 위기는 누구의 잘못으로 진행된 것인지 낱낱이 밝혀야 할 책임을 외면하곤 불법파업을 그만두라 으름장을 놓다 결국 경찰특공대를 포함한 1만여 명의 경찰들을 진압작전에 투입했다. 

더욱이 쌍용차 공장점거파업은 노동자들의 자주적인 판단과 적법한 방법으로 진행된 파업이었다. 정부가 나서서 헌법에 보장된 노동 3권을 부정하고 파업을 깨기 위해 공권력을 투입하는 것 자체가 일방적인 폭력이었고 불법행위였다.

쌍용차 정리해고로 인해 7년간 28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그 과정에서 경영상의 위기를 불러온 경영진들, 파업을 깨기 위해 폭력을 저지른 관리자들과 용역깡패들, 불법적인 공무집행을 하고 집단폭력을 자행했던 경찰들은 누구도 처벌되지 않았다. 오로지 쌍용차 해고자들만이 불법폭력 파업으로 낙인찍힌 범죄자가 되거나 사실상의 죽임을 당했다. 어렵게 노노사 합의로 쌍용차 문제가 해결되어 가는 마당에 국가와 법원이 나서서 이런 사기 같은 판결을 내린 저의가 궁금하다.  

노노사 합의가 끝나고 쌍용차 노동자들은 다시 복직할 날만을 기다리면 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노동자들이 끝낸다고 모든 것이 끝나는 것이 아님을 정부와 법원은 분명히 했다. 

손해배상 대상자 중 희망퇴직을 해서 하루하루 어렵게 살아가고 있는 동료들도 있고, 지금은 공장으로 복귀해서 열심히 일하는 동료들도 있다. 그들에게 손해배상판결이 내려진 직후 검찰청에서는 DNA채취 출석요구서를 보내왔다. 검찰청에 문의하니 담당직원은 강력범죄를 저지른 이들에게만 보내는 건데 마음 많이 상하지 말라며 위로를 건넸다고 한다. 위로는 그렇게 전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국가의 위로 따윈 원하지도 않는다. 이 지긋지긋한 고통이 멈추기를 기대할 뿐이다. 

DNA채취 출석요구서를 받은 희망퇴직한 동료에게 전화가 왔다. "해도 해도 너무한다. 이제 어떻게 하냐?"

쌍용차 해고자들은 모르겠다. 이제 어떻게 해야 좋을지. 노동을 천시하고 불법으로 내몰고 끝내 죽이는 이 사회가 이제 어떻게 할지 답할 차례다.

 

기사 관련 사진
▲ 검찰청이 보낸 DNA채취출석요구서 강력범죄를 저지른 범죄자에게만 요구한다는 DNA채취를 파업했다는 이유로 쌍용차 해고자들에게 보내고 있다.
ⓒ 김득중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글쓴이 고동민씨는 쌍용차 해고노동자이며, 현재 복직 대기중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파리에 울려퍼진 <김혜영석방! 박근혜퇴진!> ...

  • 파리에 울려퍼진 <김혜영석방! 박근혜퇴진!> ... 박근혜방불 항의하며 국제위·코리아연대 주최
  • 김재권기자
    2016.06.04 17:11:58
  • 3일(현지시간) 오후7시 프랑스 파리 생미쉘광장에서 <김혜영양심수석방·박근혜정부퇴진>을 촉구하는 집회가 열렸다. 
     
    남코리아의민주주의적권리를위한국제위원회(CILD)의 주최로 열린 집회에는 코리아연대(자주통일민주주의코리아연대) 양고은공동대표, 프랑스코리아친선협회(AAFC) 파트릭 퀜즈망대표·부노아 켄느데부대표, 아시아의자유와민주주의를위한연대(Solida) 올리비에 부샤흐회원 등 10여명이 참석해 1시간20분동안 진행됐다.
     
    이날 집회는 박근혜<대통령>의 프랑스방문을 규탄하며 진행됐다.
     
    첫 발언으로 코리아연대 양고은공동대표는 <두번의 갑상선암수술을 하고 현재는 공황장애까지 앓고 있는 김혜영양심수가 26일 무기한 옥중단식에 들어갔다.>며 <건강상태가 심각함에도 2년실형이 확정된 것은 최소한의 인도주의적 조치조차 무시한 반인권적 판결이다.>고 강력하게 규탄했다.
     
    이어 <프랑스정부가 박근혜파시스트<정부>의 본질을 안다면 박근혜를 공식초청하여 정상회담을 하고 박사학위를 수여하면서 박근혜<정부>에 힘을 실어주는 행위를 하지 말았어야 했다.>며 일침을 놓았다.
     
    또 <코리아연대는 김혜영양심수를 비롯한 남코리아의 정의를 위해 싸우다 감옥에 수감된 모든 양심수가 석방되고 파쇼적 악법인 국가보안법철폐·박근혜파시스트<정부>퇴진을 위해 더욱 열심히 싸우겠다.>며 결의를 밝혔다.
     
    Solida 부샤흐회원은 <남코리아의 인권유린과 민주주의말살 현실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자리다.>며 <왜 우리가 거리에서 동지의 석방을 요구해야 하는가. 이미 우리곁에 있어야 정상이다.>고 일갈했다.
     
    이어 <남코리아<정부>는 통합진보당 강제해산이후 정치탄압을 심화하고 있지만 그전부터 있어왔다. 강정마을해군기지건설을 반대하는 활동가도 구속한 바 있다.>고 비판했다.
     
    끝으로 <이제는 더이상 참을 수 없다. 공안탄압 중단하고 구속동지 석방하라!>고 촉구했다.
     
    AAFC 켄느데부대표는 <김혜영양심수가 목숨건 단식을 진행하는 가운데 박근혜<대통령>이 프랑스를 방문해 올렁드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파리6대학에서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며 < 프랑스 학문과 외교의 권위가 실추됐다.>고 비난했다.
     
    이어 <올렁드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박근혜<대통령>에게 인권탄압중단과 양심수석방을 얘기했어야 했다.>며 프랑스정부를 비판했다.
     
    또 <2014년 12월 통합진보당강제해산이후 공안탄압에 반대해 설립된 CILD는 남코리아의 부당한 현실을 국제사회에 알리는데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각오를 표했다.
     
    이날 켄느데부대표는 남코리아 민주주의와 인권에 대해 장시간 백과전서적인 연설을 해 많은 사람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끝으로 참가자들은 남코리아의 민주주의와 인권유린의 심각성을 널리 알리고 김혜영양심수석방과 박근혜<정부>퇴진을 위한 강력하고 지속적인 연대의 뜻을 모았다.
     
     
    0604-1.jpg

     

    0604-2.jpg

     

    0604-3.jpg

     

    0604-4.jpg

     

    0604-5.jpg

     

    0604-6.jpg

     

     

    0604-7.jpg

     

    0604-8.jpg

     

    0604-9.jpg

     

    0604-10.jpg

     

    0604-11.jpg

     

    0604-12.jpg

     

    0604-13.jpg

     

    0604-14.jpg

     

    0604-15.jpg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

 
조홍섭 2016. 06. 03
조회수 1440 추천수 0
 
`가정 독물'인 살생물질 관리에 특별한 대책 필요…디디티 교훈 잊지 말아야
과학적 불확실성 있어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 예상되면 조기경보 들어야 
 
1.jpg»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5월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옥시레킷벤키저 본사 앞에서 불매운동으로 수거한 옥시레킷벤키(옥시) 제품을 모아놓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생물을 죽이는 독성물질이 가정에서 점점 많이 쓰이지만 그 안에 어떤 성분이 들어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아침에 쓴 샴프나 손에 든 휴대전화, 금세 썩지 않는 나무의자에는 모두 화학물질이 들어있다. 사실, 화학물질 없는 현대문명은 생각하기 힘들다. 문제는 그 가운데는 생물을 죽이는 성분이 들어있고 날로 쓰임새를 넓혀가고 있다는 점이다. 모기약을 뿌리고 곰팡이를 없애며 손을 소독하는 데 쓰는 화학물질이 그것이다. 
 
살아있는 생명체를 죽이는 이런 물질을 ‘살생물질’(바이오사이드)이라고 한다. 가습기 살균제는 살생물질이 사람까지 죽일 수 있음을 비극적으로 보여줬다. 같은 뿌리에서 진화한 생명체의 작동 원리는 기본적으로 비슷하기 마련이다. 어떤 생물을 죽이는 물질은 다른 생물에도 해를 끼칠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살생물질’이란 어려운 표현보다는 ‘가정 독물’이 더 적합한 표현 같아 보인다. 실제로, 덴마크 환경부는 살생물질이 사람과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알고 조심스럽게 쓰자는 “독이 든 일상용품을 쓰기 전에 생각해 봅시다!”란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Poison_miljø_03 (2).jpg» 덴마크 환경부가 벌이는 살생물제 신중하게 쓰기 캠페인 포스터. "독물이 들어가는 생활용품을 쓰기 전에 생각해 보자"라고 적혀 있다. 사진=덴마크 환경부
 
살생물질 가운데 가장 심각한 피해를 일으킨 물질을 꼽는다면 디디티이다. 석면, 프레온, 휘발유 납 첨가제 등 세계적 참사를 부른 다른 화학물질처럼 디디티도 세상을 구할 물질처럼 보였다. 값이 싸고 살충효과가 뛰어난데다 사람과 포유류에는 독성이 없어 보였다. 2차 세계대전 때는 이가 옮기는 발진티푸스를 막아 연합국의 승리로 이끈 숨은 공신이었고, 이후 말라리아와 뎅기열 퇴치의 주역으로 수천만명의 목숨을 구했다.
 
CDC_DDT_WWII_soldier.jpg» 옷 속에 디디티 분말을 살포하는 모습. 이차대전 때 발진티푸스를 옮기는 이를 퇴치하기 위해 많은 양의 디디티를 뿌렸다. 사진=미국 CDC
 
그러나 쉽게 분해되지 않고 끈질기게 살충효과를 유지하는 디디티의 장점은 환경속에 잔류해 생물농축을 일으키는 치명적 약점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1962년 <침묵의 봄>을 쓴 레이철 카슨이 이 위험을 대중에게 처음 경고했지만 부작용은 훨씬 전부터 알려졌다. 디디티를 살충제로 개발한 공로로 194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폴 뮐러조차 수상 연설에서 디디티가 파리에 발달장애를 일으키는 문제를 언급했을 정도다. 
 
cdc_1280px-DDTDichlordiphényltrichloréthane7.JPG» 미국에서 시판되던 디디티 분말 제품. 10% 디디티를 함유한 프랑스 시바 가이기 제품인 50그램 용량의 이 제품에는 다음과 같은 광고 문구가 적혀 있다. "벼룩, 이, 개미, 빈대, 바퀴, 파리 등 기생충을 파괴합니다." "가루를 가능하면 오래 뿌려 두십시오" "해충이 바로 죽지는 않지만 결국 죽습니다." "사람과 온혈동물에는 해가 없습니다." "틀림 없고 지속적인 효과에 냄새가 없습니다."
 
디디티 사례는 새로운 살생물질이 뛰어난 효과를 자랑하며 등장할 때 알려지지 않은 부작용도 면밀히 검토해야 하며, 남들보다 앞서 문제를 경고하는 목소리를 묵살해선 안 된다는 교훈을 남겼다.  우리나라는 1961년 디디티 사용을 금지했지만 토양과 먹이사슬을 통한 오염 때문에 아직도 미량이지만 상수원수와 생선, 모유 등에서 검출되고 있다.
 
eea.jpg» 유럽환경기구(EEA)가 2001년에 이어 2013년 내놓은 ‘조기 경보와 뒤늦은 교훈’이란 보고서.
 
 
유럽환경기구(EEA)는 2001년에 이어 2013년 ‘조기 경보와 뒤늦은 교훈’이란 보고서를 내어, 주요한 화학물질로 인한 피해와 환경문제가 일찍부터 나온 경고를 어떻게 무시했는지 사례를 들어 분석했다. 놀랍게도 주요한 환경사고는 피해가 발생하기 수십년에서 100년 전에 조기 경보가 울렸다. 그런데도 이런 문제제기로부터 애써 눈을 돌려 결국 대규모 인명이나 재산 피해를 불렀다. 보고서의 결론은 ‘사전예방 원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과학적 불확실성이 있더라도 결정을 미루지 말라는 것이 핵심이다.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될 때는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
 
05583508_R_0.jpg» 5월23일 서울 새문안로 환경보건시민센터에서 열린 애경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박나연양의 기족회견 모습. 사진공동취재단
 
가습기 살균제 사고 때에도 수많은 경보가 울렸지만 정부와 기업, 전문가, 언론인 할 것 없이 무책임하게, 또는 소극적으로 이를 묵살했다. 구멍이 숭숭 뚫린 것으로 드러난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법을 제정할 때도 정부와 기업은 화학산업이 다 망한다고 아우성쳤고 박근혜 대통령은 “악마는 디테일에 숨어있다”며 규제완화를 촉구했다. 
 
이제 살생물질은 사람을 죽일 수 있는 가정 독물로서 제대로 관리해야 한다. 어떤 회사가 제품을 만들었는지, 어떤 유해성이 있는 물질이 들어있는지가 투명하게 공개돼야 한다. 사업장 화학물질과 달리 살생물제는 소비자가 소량으로 늘 노출되는 물질이다. 대량으로 사용하는 업체만 관리대상으로 삼아서는 곤란하다. 여러 살생물질에 복합적으로 노출되는 누적효과도 고려해야 한다. 이미 유럽에서 시행되는 제도이니 기업 경쟁력이 떨어질 우려도 없다. 뼈아픈 교훈을 얻고도 고치지 못한다면 희망은 없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부 지방재정 개악.. 지방자치 본령 훼손 반헌법적 폭거”

 

이재명 시장 1인 시위 이어 단식농성.. 정청래 “이 시장 이유 있는 저항 지지”김미란 기자  |  balnews21@gmail.com
 

박근혜 정부가 지방재정 개편과 관련, ‘특정 지자체의 과도한 특례를 폐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강행을 시도하자 경기 6개 시와 더불어민주당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관련기사☞ 이재명 “朴정부 ‘재정약탈 장물분배’…남경필 침묵, 2천억 때문?”>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수석대변인은 3일 오후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정부의 지방재정 개편 강행 시도에 대해 “지방자치의 본령을 훼손하는 반헌법적 폭거”라고 규정했다.

박 수석은 “현행 조정교부금 제도는 정부와 지자체간 대타협을 거쳐 2013년 변경돼 작년에야 시행된 제도인데도 불구하고, 행자부는 일방통행식으로 지자체를 겁박하며 개악을 밀어붙이고 있다”며 이같이 비판했다.

그는 또 “지방자치가 21살 성년이 지났지만 자치단체의 지방재정 자립도는 1995년 63.5%에서 지난해 45.1%로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지방정부간 윗돌 빼서 아랫돌 괴는 식으로 땜질 처방하겠다는 행자부의 발상은 하지하책일 수밖에 없다”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행자부는 지자체간 갈등만 부추기면서 군사작전 하듯 밀어붙이고 있는 시행령 입법 예고를 당장 그만두고 해당 지자체와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민주 정청래 전 의원도 트위터를 통해 “민주화의 또 하나의 상징인 지방자치를 군부독재시절 지방통치로 회귀시키려는 것에 맞선 이 시장의 이유 있는 저항을 지지한다”며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상명하복의 관계가 아니다. 협의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이날 이재명 성남시장은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지방재정 개악 반대’ 1인 시위에 나섰다.

그는 박근혜 정부에 “5천억 더 뺏을 생각하지 말고 4조 7천억 환원 약속부터 이행하라”고 촉구하며 정부와의 전면투쟁을 예고했다. 이재명 시장은 1인 시위에 이어 오는 7일에는 광화문에서 단식농성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달 31일 부터 수원·용인·화성·과천·성남·고양 등 경기도 6개 지방자치단체장은 정부의 지방재정개편안 철회를 요구하는 릴레이 1인 시위를 해왔으며 이달 중순까지 번갈아 1인 시위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관련기사]

 
김미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카운트다운에 들어간 북미평화체제

카운트다운에 들어간 북미평화체제
 
 
 
우리사회연구소 곽동기 상임연구원 
기사입력: 2016/06/04 [06:02]  최종편집: ⓒ 자주시보
 
 

조선노동당 7차 당대회가 끝났습니다. 당대회를 기점으로, 북한은 이제 적극적으로 대화제의에 나서고 있습니다. 6월 1일, 리수용 조선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주석을 만났습니다. 이 자리에서 리수용 부위원장은 시진핑 주석에게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구두친서를 전달하였다고 합니다. 

 

 

한 번 살펴봅시다. 올해 1월에 제4차 핵시험이 있었고 2월에는 인공위성 광명성 4호를 발사했습니다. 3월에는 소행핵탄두와 탄두대기권 재진입기술, 고체연료 로켓기술을 통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을 공개하였습니다. 4월에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발사하였습니다. 5월에는 조선노동당 7차 당대회를 개최하였고 6월에는 중국방문으로 대북제재를 사실상 무산시켰습니다.

 

평균적으로 1달에 1건 꼴로 북한발 중대뉴스가 터져 나왔습니다. 1월부터 4월까지는 주로 군사분야의 소식이 주를 이루었다면 5월 7차 당대회를 계기로 대화 관련 소식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북한의 행보가 한반도, 그리고 남북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동북아 체제 전환을 노린 두드림

 

북한의 행보는 분명 이전과 달라졌습니다. 이제 1달에 1건 꼴로 북한발 주요뉴스가 타진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북한의 핵시험이나 인공위성 발사는 한미연합군의 대북압박에 대응하는 차원이었습니다. 한미의 압박에 대응하는 것이 목적이었기에 북한의 정치군사적 행동은 최소한으로 억제되었습니다. 군사적 측면에서 보더라도, 북한은 전력을 최대한 숨기는 ‘베일전략’을 구사해왔습니다. 한미연합군이 대북전쟁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는 것을 방해하는데 목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2016년을 기점으로 북한의 행보는 확연히 달라졌습니다. 1월에 핵시험을 하고 2월에 인공위성, 3월에 ICBM을 공개하고 4월에 SLBM을 공개했습니다. 북한은 이제 ‘베일전략’을 벗었습니다. 심지어 앞으로 북한이 자신의 핵탄두 개수를 발표하더라도 이상할 것이 없습니다. 이제는 개별 사건들을 분리해서 독자적으로 분석할 것이 아니라 북한의 연이은 순차적 조치들을 하나로 묶어서 그 배경과 전망을 논해야 합니다.

 

북한이 핵시험과 장거리 타격수단을 연이어 공개하는 행위는 미국이 패권을 쥐고 있는 동북아 안보체제를 전환하려는 공세입니다. 보수진영은 지금껏 북한이 군사적 행보에 나설 때마다 “내부 체제결속용”이라고 하였지만 2016년에 들어서는 그런 묘사도 불가능해졌습니다. 한미연합군 앞에서 다달이 군사적 행보를 펼치는 것은 “내부용”이 아니라 명백하게 “외부용”입니다.

 

미국의 대북압박정책 파산을 선언

 

북한의 일련의 정치군사적 조치는 첫째, 지난 과거의 미국의 대북압박정책은 총파산하였다는 것을 입증하였습니다. 너무나 명백하게, 북한의 군사적 조치는 미국의 대북압박정책이 파산하였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북-미 군사대결에서 북한의 확고한 자신감은 지난 2013년 3월 31일에 선언하였던 <경제건설과 핵무력건설 병진노선>때에 벌써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제건설과 핵무력 건설 병진노선>은 사실상의 핵증산 선언이었습니다. 당시 미국의 대응은 어땠나요? 백악관은 4월6일에 대북전략실행지침인 “더플레이북”을 중단시켰습니다. 이어 4월 8일에는 미국의 ICBM인 미니트맨 발사시험을 연기하였습니다.

 

북한이 핵증산에 나서는데 미국은 대북군사행동을 뒤로 물린 것입니다. 이 때로부터 오바마행정부의 이른바 ‘전략적 인내’는 전면화되었습니다. 

 

 

‘전략적 인내’는 그 자체가 정책이 아니라 실질적 대북정책이 없는 미국의 현 상황을 묘사한 말이 불과합니다. 결국 미국은 북한이 핵증산을 하는 데에도 아무런 손을 쓰지 못하고 우두커니 지켜보기만 한 것입니다. 이제 북한은 마음먹은대로 핵시험에 나서고 장거리 타격수단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대북압박정책이 총파산하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스스로 동북아 중심국임을 주장

 

북한의 일련의 정치군사적 조치는 둘째, 북한은 현재 동북아의 주변국이 아니라 중심국에 진입하였다고 선언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북한은 지금까지 한미연합군의 압박공세에 대응하는 전술로 핵시험을 하고 인공위성을 쏘아올렸습니다. 그런데 올해 1월 8일의 제4차 핵시험은 북한이 주도적으로 결행하였습니다. 3월의 ICBM 기술 공개와 4월의 SLBM도 마찬가지입니다. 5월의 7차 당대회도 북한의 주도적 행사입니다.

 

2016년의 북한의 연이은 조치들은 한미당국의 공세에 방어적으로 대응하는 틀이 아니라 북한이 먼저 이슈를 형성하였다는 점이 예전과 다릅니다.

 

더욱이, 북한은 일련의 정치군사적 초지를 취하면서도 국제사회로부터 심각한 압박을 받지도 않았습니다. 1월 8일에 제4차 핵시험을 단행하였지만 북한은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았습니다. 조치가 있었다면 박근혜 정부가 대북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정도입니다. 수소폭탄을 시험했다는데 그 대응이 확성기에 불과하였다니, 북한은 거침없이 2단계로 나아가자고 결심하였을 것입니다. 

 

2월 7일에 광명성 4호를 발사하였지만 그 대응은 박근혜 정부의 개성공단 가동중단 선언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마저도 북한보다 오히려 남측의 개성공단 관련자들이 타격을 입었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3월 2일에 어렵사리 타결한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안 2270호는 3개월도 채 못가서 흐지부지되고 있습니다. 6월 1일,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리수용 당 중앙위 부위원장을 접견하였습니다. 앞으로 중국발 고강도 대북제재는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이제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이 모여서 남북한을 어떻게 관리한다는 논의는 무의미해진 것입니다. 2016년 상반기에 걸친 북한의 일련의 조치들은 별다른 제재를 받지 않았습니다. 북한은 36년만에 당대회를 개최하고 대규모 대표단이 시진핑 주석을 만났습니다. 이제 북한 스스로 동북아 중심국임을 주장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또한 북한이 무려 36년만에 조선노동당 제7차 대회를 개최하게 된 주요한 배경이기도 합니다.

 

동북아 정세 주도를 선언

 

북한의 일련의 정치군사적 조치는 셋째, 앞으로 동북아의 정세를 북한이 주도하겠다고 선언한 의미가 있습니다.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조선노동당 7차대회 중앙위원회 사업총화보고에서 “우리는 세계자주화위업실현에 적극 이바지하여야 하며 세계혁명을 추동하는 주인이 되여야 합니다.”라고 하였습니다. 북한이 세계혁명을 추동하는 주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북한이 앞으로 동북아 정세를 주도하겠다는 선언과 다름없습니다.

 

이어 김정은 제1위원장은 총화보고에서 “우리 당과 공화국정부는 정세가 어떻게 변하든, 주변관계가 어떻게 바뀌든 자주, 선군, 사회주의의 불변침로를 따라 곧바로 나아갈 것이며 자주와 정의의 수호자로서 세계자주화를 실현하기 위한 투쟁에서 선구자적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세계자주화를 위한 선구자적 역할은 미국의 세계패권이 집중되는 동북아에서 나타날 수밖에 없습니다. 현 체제에서 미국의 세계패권은 동북아 패권에서 출발하며 미국의 동북아 패권은 주한미군을 서울땅에 주둔시키게 된 제도적 근거인 정전협정에서 출발합니다.

 

결국 북한의 주장은 앞으로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데에서 선구자적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선언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는 북한의 전략적 목적과도 연결됩니다. 북미관계에서는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남북관계에서는 6.15/10.4 선언 이행을 통한 통일을 실현하는 것입니다.

 

한국사회에 한미동맹이 존재하는 이상, 북미관계는 남북관계와 떼어서 바라볼 수 없으며 한반도 평화체제도 조국통일과 떼어서 생각할 수 없습니다.

 

결국 북한의 향후 동북아 행보는 7차 당대회 사업총화보고에서 밝힌 “세계 자주화를 위하여”와 “조국의 자주적 통일을 위하여”로 나타날 수 밖에 없습니다.

 

격변하는 동북아

 

북한은 이제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씨름을 시작한 듯합니다. 지난 기간을 ‘미국과 대결하기 위해 힘을 비축하는 시기’라 한다면, 2016년은 북한에게 ‘본격적으로 미국과 대결하는 시기’로 보입니다.

 

평화협정과 관련된 북-미간 물밑 접촉은 이미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5월 2일, <뉴욕타임즈>는 북한이 7차 당대회 이후 북미대화를 제의해오면 오바마행정부는 그에 응해야 한다는 사설을 실었습니다. 5월 4일, 제임스 클래퍼 미 국가정보국장이 방한해 한민구 국방부장관, 국정원, 청와대 관계자들을 만나 “북미평화협정을 논의한다면 한국정부가 어디까지 양해할 수 있는지”를 타진했다고 합니다. 한낱 정치쇼로 치부할 수도 있지만, 미 공화당의 트럼프 대선주자는 김정은 위원장과 대화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5월 31일, 대니얼 러셀 미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미국이 원하는 결과는 “북한을 굴복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정신이 들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제 박근혜 정부가 주목됩니다. 박근혜 정부는 이제는 외로울 정도로 대북제재의 효과와 필요성을 애타게 호소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남북군사회담을 제안하였지만 박근혜 정부는 단호히 거부하였습니다. 오바마행정부가 물밑에서 북한과 접촉을 하게 된다면, 박근혜 정부는 과연 언제까지 대화를 거부할 수 있을까요?

 

지난 5월 26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 남북 함정간 충돌이 있었습니다. 남측은 북한함정이 NLL을 넘었다고 주장하며 북한은 우리 함선이 해상군사분계선을 넘었다고 주장합니다. 남북군사회담을 계속 외면하다가는 서해에서 원치 않는 무력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북한은 남북군사회담을 필두로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 이행을 요구할 것이고 남북관계의 전면적 발전을 통해 6.15 정신에 의거한 통일을 이루자고 제안할 가능성이 큽니다.

 

바야흐로 한반도 평화협정과 조국통일이 구체적 형태로 타진되는 시대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끝>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