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칼 슈미트

1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9/03/24
    칼 슈미트, 국가에 대한 사상가 (Kervegan 서평)(4)
    tnffo

칼 슈미트, 국가에 대한 사상가 (Kervegan 서평)

L’État selon Carl Schmitt / par Jean-François Kervégan (28-08-2008)
Sandrine Baume, Carl Schmitt penseur de l’État. Genèse d’une doctrine, Paris, Presses de la Fondation Nationale des Sciences politiques, 2008, 316 p., 24 euros.

서평: 슈미트가 말하는 국가 / 쟝-프랑수와 케르베강(*). 서평 대상: 산드린 봄므, <슈미트, 국가에 대한 사상가. 독트린의 연원>, 빠리, 2008. [*서평자는 헤겔 <법철학>의 불어판 최신 준거본을 1998년에 번역한 빠리 1대학 철학교수. 참고로 아래 서평에서는 년대가 좀 중요하니(나찌때문에!) 슈미트의 긴 생존기간(97세)을 기억해둘 필요가 있다: 1888-1985.]

Carl Schmitt, penseur de l'Etat : Genèse d'une doctrine

 

Issu d’une thèse en sciences politiques soutenue à l’Université de Lausanne, ce livre, d’une lecture aisée et agréable, examine en son entier développement la théorie de l’État de Carl Schmitt, en accordant comme il se doit, puisque c’est durant cette période qu’elle s’est développée, toute leur importance aux écrits des années 1914-1945. C’est dire que les écrits postérieurs à la fin de la 2e guerre mondiale, où la question de l’État est moins centrale – puisque la conviction de Schmitt est que désormais « l’ère de l’État est à son déclin » (La notion de politique, Préface de 1963) – ne sont pas au centre de l’examen, qui se concentre plutôt sur les textes datant de la période de Weimar, que l’on s’accorde au demeurant à considérer comme la plus féconde de la très longue carrière intellectuelle de celui qui se définissait dans son Glossarium comme un « théologien de la science juridique ». De même, les écrits de la période nazie, à l’exception de l’ouvrage Le Léviathan dans la doctrine de l’État de Thomas Hobbes (1938, trad. Le Seuil, 2002) ne sont guère sollicités ; non pas que Sandrine Beaume veuille masquer les aspects les plus déplaisants de la production schmittienne – elle s’explique tranquillement, dans son Introduction, sur « les ruptures révélatrices » qui la traversent, celle de 1933 étant certainement la plus profonde – mais parce qu’elle estime, selon moi à juste titre, que les écrits de la période nazie sont tout simplement moins intéressants, du point de vue de la théorie politique, que ceux des années 1920. 

 

[대충번역] 이 책은 산드린 봄므(Sandrine Baume)의 정치학 박사학위 논문으로 씌어진 것으로, 슈미트의 국가이론 발전 전반을 쉽고 친근한 언어로 점검해 낸다. 물론 당연히 그래야겠지만, 저자는 슈미트의 1914-1945년 사이의 글들에 방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 했는데, 그것은 슈미트의 국가이론이 바로 그 시기에 체계적 발전을 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2차세계대전 이후에 이뤄진 슈미트의 저작에서는 국가문제가 덜 중심적이라는 말이다. 왜냐하면 그 때 이래로 "국가의 세기는 침체국면으로 접어든다"는 슈미트의 믿음 때문이다(<'정치적인 것'의 개념>(Der Begriff des Politischen, 1932(1927-art.) 서문 참조). 마찬가지로 나찌 기간(1933~45)에 씌어진 슈미트의 저술도 고려의 대상에서 제외되는데, 이는 그것들이 1920년대의 저술보다 정치이론적 견지에서 덜 흥미롭다는 지극히 단순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단, 슈미트의 1938년 저작인 <홉스의 국가이론 속에서의 레비아탄>(註1) 만은 예외적인 경우가 되겠다. (결국 이 논문의 저자가 슈미트의 국가이론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나찌 기간 이전인 주로 1920년대 라는 말씀.)
  

Il y a à cela, indépendamment de la répulsion que l’on éprouve face au caractère antisémite et platement flagorneur à l’endroit des nouveaux maîtres de Berlin de textes comme Staat, Bewegung, Volk (1933 ; trad. État, Mouvement, peuple, Kimé, 1997), une excellente raison que Sandrine Beaume expose fort clairement : pour comprendre la doctrine schmittienne de l’État, il convient de « ne pas considérer d’emblée la République de Weimar dans sa fin tragique, mais davantage dans ce qui la précède » (p. 15) : l’effondrement de l’Empire wilhelminien à l’issue de la première guerre mondiale et, ajouterai-je volontiers, l’expérience traumatique de la Révolution allemande, et en particulier de l’éphémère Räterrepublik de Munich. Traductrice de la thèse d’habilitation de Schmitt (Der Wert des Staates, 1914 ; trad. La valeur de l’État et la signification de l’individu, Droz, 2003), Sandrine Beaume sait d’ailleurs mieux que quiconque que la pensée de Schmitt s’enracine dans la culture intellectuelle de l’Empire, qu’elle s’est construite en réaction contre la doctrine dominante de cette période, le positivisme de Gerber, Laband et G. Jellinek. Un tel argument, fort bien étayé, est sans doute la meilleure réponse que l’on puisse apporter aux tenants de la reductio ad Hitlerum, selon le mot de Leo Strauss. Il n’est même pas besoin de minimiser la durée et l’intensité de l’engagement de Schmitt (tentation à laquelle S. Beaume succombe lorsqu’elle affirme, p. 17, que Schmitt a été à partir de 1938 « chassé des cercles d’obédience nazie », ou lorsqu’elle écrit à tort, p. 23, que Schmitt « est contraint de quitter ses fonctions de Conseiller d’État au début de 1937 », alors qu’il les conservera, comme son poste d’Ordinarius à l’Université de Berlin, jusqu’à la chute du régime) pour montrer que le centre de gravité de sa pensée est extérieur et antérieur à cet engagement.

 

그러므로 슈미트의 국가이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언제-얼마나 나찌정권에 협조를 했고-거리를 뒀고 하는 역사적 사실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의 사상의 무게 중심은 현실참여 밖에 그리고 전에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고 이 책의 저자는 역설한다. 저자의 이런한 지적은, 그녀(Sandrine Baume)가 벌써 2003년에 슈미트의 교수자격논문인 "국가의 가치와 개인의 의미'(1914)를 번역해 낸 역자라는 사실 때문만은 아니더라도, 경청할 충분한 가치가 있다.

 

La thèse de l’ouvrage, dont il ne faut pas oublier que l’auteur n’est ni juriste, ni philosophe, mais politiste de formation, est que « la théorie schmittienne de l’État doit être comprise dans un vaste projet de réaménagement des équilibres entre les organes de l’État » (p. 267). Il faut comprendre : un réaménagement au profit de l’exécutif, seul à même de lutter de manière efficace contre le « désordre public » qui menace l’État constitutionnel-démocratique. Cette thèse est exposée et justifiée au chapitre 3 du livre. Elle n’est évidemment pas fausse : il est certain que tous les efforts de Schmitt, durant l’histoire convulsive du régime de Weimar, vont dans le sens d’une redéfinition plébiscitaire de la démocratie, ainsi que le montrent clairement sa controverse de 1931 avec Kelsen sur l’identité du « gardien de la Constitution » et les considérations développées en 1932 dans Legalität und Legitimität. Mais elle paraît restreindre trop étroitement le propos de l’auteur de la Théorie de la Constitution à un programme de reconstruction autoritaire du « grand et puissant Léviathan ». Non que cet aspect soit absent des écrits schmittiens, et notamment de ceux qui accompagnent la crise finale de la République de Weimar. Mais parce qu’il n’est lui-même intelligible qu’à partir de positions théoriques et philosophiques indépendamment desquelles, comme Sandrine Beaume en fait l’épreuve au chapitre 6 de son livre (« L’État au miroir de l’Église : l’institution en ‘réflexion’ »), les options politiques de Schmitt risquent d’apparaître inintelligibles ou gratuites. Schmitt n’est peut-être pas un « théologien du politique », comme le soutient Heinrich Meier (voir Die Lehre Carl Schmitts, 2e éd., Metzler, 2004). Mais sa pensée de l’État, objet du livre de S. Beaume, ne peut être reconstruite et évaluée en mettant entre parenthèses les engagements philosophiques (et religieux) de l’auteur de la Théologie politique.

 

[그건 그렇고] 이 책의 핵심 주장은 이렇다: 슈미트의 국가이론은 헌정-민주 국가를 위협하는 '공적 혼돈'(désordre public)에 대항하는 효과적인 투쟁으로써의 국가 장치들을 재 조정하려는 광범한 계획에 있다. 슈미트가 민주주의에 대한 인민투표적 재 개념화 작업과 합법성과 정당성을 고려한 헌정 질서의 수호자를 자처한 점을 고려할 때, 저자의 주장이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그녀는 슈미트가 리바이어든의 크고 강력한 권위를 재구성해 내려는 기획에서 꾸려낸 <헌정 이론>을 너무 지엽적으로 해석한 측면이 있다. 슈미트는 아마도 누구의 말마따나 "정치적인 것의 신학자"가 아닐지는 몰라도, 국가에 대한 그의 생각에서 철학적(그리고 종교적) 개입을 괄호친 상태에서는, 우리의 <정치 신학>(1922)의 작가, 슈미트 사상의 어떤 재구성도 재평가도 불가능하다.

 

par Jean-François Kervégan, 28-08-2008; Si vous souhaitez critiquer ou développer cet article, vous êtes invité à proposer un texte au comité de rédaction. Nous vous répondrons dans les meilleurs délais : redaction@laviedesidees.fr.

 

 Livre - Le Leviathan Dans La Doctrine De L'Etat De Thomas Hobbes ; Sens Et Echec D'Un Symbole PolitiqueLivre - Theorie De La Constitution

 

(註1) 칼 슈미트의 1938년 저작인 <홉스의 국가론 속에서의 리바이어던>(*)이 2002년 11월에 불어판으로 처음 번역이 되어 바디우(A.Badiou)와 마담 까쌩(B.Cassin)이 주관(collection)하는 문지방(Seuil) 출판사의 "철학적 질서"라는 시리즈를 통해 출판됐었다. 더구나 이 번역본에는 발리바르(E.Balibar)가 59쪽이나 되는 장문의 서문을 쓰고, 독일인 W.Palaver라는 사람의 52쪽의 후문을 달고 나온 귀한 책이다. 그런데 프랑스에서 홉스철학을 주도하는 쟈르카(Y.-Ch. Zarka) 라는 자가 '어떻게 철학전문출판 시리즈 물에 이런 나찌철학자(정확히는 '철학적 나찌')의 저작을 출판할 수 있느냐'는 류의 비판기사를 르몽드 지의 한 면 전체를 할애받아 발표했다. 그러자 바디우는 침묵했고(이유는 모름), 마담 까생이 즉각적인 반박문을 아마 일주일 후에 같은 신문에 올렸고, 그 다음 주에는 발리바르가 '참으로 가소롭고 웃기는 도전'이라는 류의 같은 신문 기고문을 통해 쟈르카를 걷어찬 적이 있다. 그러고도 아마 다른 많은 사람들 사이에 논쟁이 계속됐고(벤사이드도 아마 참전), 그 이전에도 벌써 우파 지식인들 사이에서 있어왔던 '반 나찌-친 유대'적 분위기가 쟈르카 같은 사람에게 용감하게 나서도록 추동했는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대체로 쥐프(juif-유태인)계열과 중도-우파 성향의 교수-학자들이 광기어린 막말로 칼 슈미트와 기타 나찌에 연관이 있는 학자들을 비하-조롱하며 이어지는 조금은 덜 학술적인 논쟁이었음이 분명하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을 알랭 드 버누와스트(A.de Benoist)가 총정리로 빠짐없이 요약한 것이 바로 주석을 102개나 달고 2003년에 나온 "슈미트 그리고 찌질이들" (Carl Schmitt et les sagouins, Alain de Benoist, Eléments, n° 110, septembre 2003, http://www.grece-fr.net/textes/_txtWeb.php?idArt=180#note102) 이라는 긴 논문인데, 아주 훌륭하고 흥미롭다. 참고로, Benoist가 칼 슈미트의 아주 중요한 논문들만 모아서 1990년에 (그의 제자들을 시켜) 불어로 번역-출판한 <정치적인 것에 대하여>(Du politique)에 쓴 25쪽짜리 훌륭한 서문도 기억할 만하다. 즉, 그는 슈미트 전문가 이고 이런 심판의 글을 쓸 자격이 충분한 대가라는 얘기 정도.

 

(*) 놀랍게도 이 책의 한국어 번역본은 벌써 1992년에 <로마 가톨릭주의와 정치형태 홉스 국가론에서의 리바이어던>라는 이름으로 출판이 됐었던 것으로 알라딘 검색에 나온다. 물론 다른 대분분의 슈미트 번역본들과 마찬가지로 이 책도 품절이다. 슈미트 책 중에서 품절이 아닌 책은 그나마 가장 가볍게 읽을 수 있는 <파르티잔>이란 이름 하에 번역된 슈미트의 1963년 책 '당원 이론'(Theorie des partisanen)이 유일하다. 심지어는 <대지의 노모스>(Der Nomos der Erde im Völkerrecht des Jus Publicum Europaeum, 1950 ; 불어본: Le Nomos de la Terre, PUF, Paris, 2001) 라는 책도 -물론 품절이지만- 95년에 번역이 됐다는 것이 놀랍다. 중요한 책인데 번역이 안 된 듯한 것으로는, -서평에서도 언급된- <정치 신학>(Politische Theologie (1922) et Politische Theologie, II (1970)), 그리고 <헌정 이론>(Verfassungslehre (1928); 불어본: Théorie de la constitution, PUF, 1993) 정도로 보인다.

Le Nomos de la terreLe nomos de la terre dans le droit des gens du Jus publicum europaeum

 

[뱀발] 지나가는 길에 주제넘는 참견 한 마디만 스스로 허용한다: 돈 때문이지 번역의 질 때문인지는 알 수 없지만, 뭔가가 한 번 유행이다 싶으면(요즘의 들뢰즈나 랑시에르 경우처럼) 우 달려들어 잽싸게 번역을 하고는 10년도 안 돼 품절당해 버리는 이런 출판 풍토는 도대체 어디서 온 것일까? 품절이 돼도 물론 도서관에서 빌려 보거나 복사 뜨서 볼 수도 있겠지만, 고전을 홀대해서 아무나 번역하는 것은 물론이고 아무렇게나 품절시켜버리는 행위도 참 무책임해 보인다. 다른 동네에서는 번역본 초판은 가격을 세게 때렸다가(번역자의 권위에 따라) 도서관이나 전문가들에게 다 풀리고 나면, 품절이 아니라 일반인 대상의 문고판으로 다시 나온다는데... 예컨데, <대지의 노모스> 같은 경우는 불어 번역본 2001년 초판이 60유로였다가(그래서 나는 살 생각도 못 했었다), 이제 보니 어느새 문고판으로 15유로에 작년 10월에 나와있다(이제 사야겠지만 그놈의 환율때문에 이제는 15유로도 비싸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