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세기의이슈메이커,여자><섹슈얼리티와 광기><카탈로니아찬가>

 

책을 읽은지는 꽤 됐는데, 한 두달? 시간이 없다보니 정리할 시간도 없다.

그래도 잊어버리기 십상이니, 몇 줄 끄적거려 놓는다는...

 


 
세기의 이슈메이커, 여자
황정.이다 지음, 양성희 옮김 / 눈과마음
나의 점수 : -

 

  - 조르주 상드 라는 인물을 검색하다가 읽게 된 책.

 좌우 넓게 여성이라는 인물을 키워드로 인물들에 대한 간략한 일화와 평가를 곁들였다.

저자의 생각에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 간혹 나오기는 하는데,

넓은 맥락에서 새내기 교양수준으로 읽을 수 있을 것 같다는 메모를 해놨었다.


 

 


 

여성 철학자
마르트 룰만 지음, 이한우 옮김 / 푸른숲
나의 점수 : -

여성, 철학, 역사와 관련된 이야기.

 

이 책은 따로 포스트를 작성하다가 말았다.

우선 정석같은 두께때문에 흠칫 하기도 했지만, 여성철학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점에서는 뭐...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만 배우는 남성들의 철학사에서

고대 여성철학에서부터 현대 철학자까지 간략하게 다루는 책이기에 그 의의에 만족.

 

프로이드가 그 고매한 정신분석학을 주창하기까지 환자로 연구대상이 되었던 여성들과

함께 연구했던 여성들은 묻혀져갔다는 사실.

그리고 여성성에 대해 그런건 과연 있을까? 뭘까? 등등을 고민하던 내게

여성성에 대해 아무런 규정도 하지 않을때 비로소 알게 된다는 말도 좀 신선했다.

나머지는 잘 모르겠더라.

 

 

 

 -케렌 호니

환자들의 자기 치유력을 강조한다. 구체적인 관계들에 대한 통찰에서 나오는 자기인식이

바로 분석이 지향해야 할 바이고, 인성의 성장, 즉 퍼스낼리티의 형성은 그 결과이다.

-로자 마이레티(1858-1938)

"규범의 독재에 저항하며"    " 사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

여성들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관해 사전에 아무런 규정도 하지 않게 될 때

비로소 사람들은 여성들이란 어떤 존재인지를 알 게 될 것이다.

 

 

그외 메모

20세기 이후

시몬드 보부아르:

  "따라서 인간은 죽음을 향해 -아무런 근거나 목표도 없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인간은 자기로서 존재해야 하며, 그는 매 순간마다 존재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이것이 바로 자기를 내던지는 것이다. 인간의 존재는 이 같은 내던짐의 형태로 실존하지만,

이런 내던짐은 죽음을 향해서가 아니라 일정한 목표들을 향해서이다.

'거의 모든 문명은 남성과 여성이라고 불리는 거세된 인간 사이의 중간적인 형태를 만들어낸다."

하이데거-한나아렌트/ 수잔 캐서리나 랑어(선지식에 대한 해석)


 

 
섹슈얼리티와 광기
이수영 지음 / 그린비
나의 점수 : -


 

근대문학과 관련해서 섹슈얼리티와 광기라고 해서

주로 김동인을 떠올리며 책을 집어들었는데, 

생각보다 넓게 근대문학을 병리성과 관련지어 다루고 있었다.

문학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맥락을 고려하며 접근한 것인가 싶었다.

 

<약한자의 슬픔>을 읽으면서 울컥했던 부분을 짚고 있어서 고런 부분만 골라 읽고

그냥  읽다 말았다.

왜... 이렇게 책을 어렵게 쓰는거얌...ㅠ.ㅠ

이렇게 제목은 읽고 싶게 해놓고 어렵게 쓴 책들은 맘부터가 싫어지더라는...

 

 

 

카프에 대한 새로운(개인적으로 새롭다는) 시선.

 

"계급문학이 일제의 억압적 정책에 의해 패배한 것은 아니다.

문학이 갖는 근대적 공리, 다시 말해 인간의 진실을 병리성에 연루시키는 문학담론의 공리적 자장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 근대 문학의 운명이기 때문이다."

 

 


 

 

 

카탈로니아 찬가
조지 오웰 지음, 정영목 옮김 / 민음사
나의 점수 : -

 

작가의 스페인 내전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마치 수필처럼 써놓은 소설.

초기 소설이라 내용은 재미없는데, 당시 상황을 영국인의 눈으로 서술해 놓아서

고런 점들을 감안해 보면 흥미롭다.

혁명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해 고민하면서 읽을만한 글.

 

 

 

 

 

카탈로니아 찬가 중에서...

 

 

-이론적으로 따지자면 노동자들의 군대에서 규울은 자발적인 것이다.

이들의 규율은 계급에 대한 충성에 기초한다. 반면 부르주아 징집병 군대의 규율은

궁극적으로 공포에 기초를 둔다.

 

 

- 아무도 아첨하거나 팁을 받지 안았다. 웨이터와 꽃파는 여자와 구두닦이가 손님을 똑바로

마주보며 <동지>라고 불렀다. 노동계급은 시작은 되었으되 결코 견고하게 자리잡지 못했던

혁명을 믿엇다. 부르주아지는 겁에 질려 잠시 노동자로 위장했다.

 

 

- 정치적 목적 -<정치적>이란 용어는 이 경우 가능한 넓은 의미의 것이다.

세계를 특정 방향으로 밀고 가려는 욕망, 성취하고자 하는 사회가 어떤 사회여야 할 것인가하는

문제를 놓고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바꿔보려는 욕망,

다시 말하지만, 어떤 책도 진정한 의미에서 정치적 편견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예술은 정치와 무관해야 한다는 견해 자체도 하나의 정치적 태도이다.  <나는 왜 쓰는가>에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