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247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8/04/15
    영화 여정 (1)
    hongsili
  2. 2018/02/04
    2017년 지나간 책 이야기들 (2)
    hongsili
  3. 2018/02/04
    2017년 지나간 책 이야기들 (1)
    hongsili
  4. 2017/10/09
    이 참에 공연들도
    hongsili
  5. 2017/10/09
    기기묘묘 영화들
    hongsili
  6. 2017/10/09
    폭력의 감소 이해하기2
    hongsili
  7. 2017/10/09
    폭력의 감소 이해하기1
    hongsili
  8. 2017/03/12
    밀린 영화와 공연 기억들
    hongsili
  9. 2017/03/07
    과학과 이성에 대한 책들
    hongsili
  10. 2017/03/06
    불평등을 다룬 책들
    hongsili

영화 여정 (2)

 

 

# 공동정범 (김일란, 이혁상 감독, 2018년)

 
 
 
 
전작 '두개의 문' 이후 무슨 이야기가 더 남아있을까 의아했는데...
영화 보는 동안 가슴이 너무 답답하고 머리는 쉴새없이 오만 가지 생각이 들고...
아 정말 힘든 영화였음 ㅠㅠ
 
국가 폭력의 피해자들이 오히려 공동정범으로 묶이고 용서도 위로도 나누기 힘든 어정쩡한 상태가 지속되는 걸 보는 심정이라니...당사자의 마음이 너무나 각각 이해가 가서 더 힘들었음...
 
연대란 도대체 무엇이며, 가해와 피해의 인식이 뒤엉킨 사람들 사이에 공동체는 어떻게 성립될 수 있는 것일까...
 
영화가 저대로 끝나는 갠가 전전긍긍하다 박래군 소장 등장하고 다섯명이 조금씩 함께 머리를 맞다는 모습을 보고 아이고 다행이다 가슴을 쓸어내림 ㅠㅠ
 
같이 본 부추도 팥수수도 다들 똑같은 마음이었더라구...  ㅠㅠ
 
 

# 패딩턴2 (폴 킹 감독, 2018년)

 
 
 
 
 
나의 심장을 빼앗겼어...
이 영화 비판했다가는 너무 모질고 나쁜 사람 될 것만 같은 느낌적 느낌...
은근 블록버스터라서 손에 땀을 쥐고 본 데다, 예상 가능한 감동 포인트에서도 어찌나 또 우직하게 감동적인지... 나이브하다고 코웃음쳐버리기에는 그 우직함 때문에 정말로 정말로 설득되어 버리고 말았다고...
 
창문닦기 알바 할 때나, 도둑이랑 조우해서 추격전 벌일 때, 기차에서 추격전 할 때 정말 현웃 터진 건 나만은 아니었음. 특히나 시럽사과를 발가락에 끼우고 기차 천장을 걸어다니고, 브라운 아저씨 다리 찢으면서 오픈 유어 마인드 할때, 브라운 아저씨네 부부가 피닉스 집 털다가 들켰을 때 나 정말 웃겨서 숨이 넘어갈 뻔했다구 ㅋㅋㅋㅋㅋㅋ
 
원래 핑크 엄청 싫어하는데, 흉악범들을 핑크 플라맹고로 만들어버린 그의 실수에 아이구야.. 이렇게 따뜻한 색이구나 ㅋㅋㅋㅋ 가족들이 너를 잊을 거라고 했는데 마침 면회날 제 시간에 오지 못했을 때 패딩턴의 표정은 정말...  세상을 다 잃은 표정이었다구...
 
애니메이션과 실사가 그리도 절묘하게 조합되고, 배우들의 원래 캐릭터와 연기가 너무나도 맞춤옷처럼 맞아들어간 데다, 아  패딩턴의 그 귀염귀염 표정과 털의 감촉..... 빠져들고 말았잖아....
 
나야 패딩턴 동화 보고 자란 세대가 전혀 아니고, 2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의 동화가 얼마나 차별적이고 제국주의적인지  악명이 자자하지만 (로얄드 달을 보라지), 그걸 이렇게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인간에 대한 믿음으로 살려내다니 정말 감독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음.
 
 

# 블랙팬서 (라이언 쿠글러 감독, 2018년)

 

 
 
와 나 정말 감동먹음 ㅠㅠ
 
힙스터 반영웅(anti-hero)이 대세인 헐리우드 블록버스터에서 이토록 진중한 정공법의 영웅서사라니... 그 고귀함에 엎드려 절할뻔 했음 ㅠㅠ
 
아프리카 전통 문화에 대한 존중과 그들 역사에 대한 위로, 현재 미국에서 흑인들이 처한 현실과 자존의 힘을 자기 연민없이 조롱과 냉소 혹은 허튼 자문화 우월주의 없이 이렇게 담아낼수 있는 거였구나...
후반부 LA 그 현장에 다시 왔을때 아무것도 가진 것 없는 흑인 아이들의 모습, "부품 떼어다 이베이에 팔자"는 대사는 그냥 가벼운 농담도 아니고 조롱도 아니고.....너무 슬픈 대사이지만 그걸로 또 끝내지는 않는다는게 미덕. 유엔연설에서 우리가 동포들을 직접 돕겠더고 했을 때 난 정말 이게 현실이면 좋겠다고 간절히 바랐다니까 ㅠㅠ
우리를 지킨다는 이유로 이웃의 고통을 외면해오던 전통을 이토록 멋지게 벗어던지고 세상밖으로 나가는 모습 너무 좋았다구...
 
여자들은 또 어찌나 멋진지...
정념에 사로잡히지 않고 프로페셔널하게 자신의 일을 척척 해내는 여캐들에게 반해버림.... 오코예의 그 결기와 슈리의 거칠것 없는 재기발랄함.... 오코예가 부산 클럽에서 가발 집어던지며 썅 할 때 와우 반해버렸네 ㅋㅋ
그리고 예비 시어머니인 왕비가 나키아에게 네가 허브를 먹고 싸우라는 장면도 꽤나 인상적....특히 슈리는 정말 한 세대의 흑인 소녀들이게 좋은 롤모델이 되어줄 것 같음. 최근에 나온 분석 보면 현재 30대 여성 STEM 분야 종사자들이 스컬리를 롤 모델로 하면서 자랐다잖아...
이 영화가 빈곤 지역 흑인 어린이 청소년들에게 닿게 하기 위해 사람들이 노력하는 모습도 너무나 인상적.. 대중문화 속에서 긍정적 표상과 롤모델을 찾고 뿌리 뽑힌 삶의 기원을 보여준다는 것이 얼마나 멋진 일인가 말여...  그런 면에서 여캐들이 백인의 옷차림, 백인의 해어스타일과 매너가 아니라 그들 본연의 모습으로 등장한 것이 정말 너무 좋았음...
 
킬몽거의 남겨진 삶에 대해서는 정말 한없는 연민이....
그가 연옥 어딘가에서 아버지를 만났을 때 화해도 없고 위로도 없고 그저 회한만 가득 ㅠㅠ
그러고보니 치탈라가 아버지를 만나던 보라색 오로라 드리워진 사바나의 풍경과 나무에 걸터앉은 흑표범들의 모습도 잊을 수가 없네... 음바쿠네 부족이 살고 있는 설산의 대나무 발이 드리워진 공간설계도 너무  좋고...
 
아프리카에 남겨인 흑인들과 풍요 속 소수자로서 미국 흑인들이 갖는 미묘한 차이와 갈등, 서로에 대한 인식 세계, 헤어/의상과 음악스타일까지, 내가 그 겹겹의 역사를 어떻게 감히 이해하겠냐마는, 최소한 영화를 보는 동안에는 너무나 알것만 같고 다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음.. 
 
뜻밖에, 골룸/스미골과 빌보 배긴스 투샷에 나 혼자 빵터졌던 건 소소한 즐거움 ㅋㅋㅋ
 

# the shape of water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 2017년)

 
 
 
 
한국개봉 제목이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임.. 근래에 보기 드문 썩은 제목 ㅋㅋ 그냥 물의 모양, 물의 형태 하면 될 것을 뭔 개소리를 하는 건지...
 
그나저나 우리 수남이 정말 멋지구나!!!
일라이자 역의 샐리 호킨스는 너무 예뻐보여서, 와 진짜 콩깍지가 씐다는 게 이런 거구나 실감했음
 
둘이 포옹하고 있는 투샷이 너무도 따뜻하고 진심이 느껴져서, 다름은 정말 아무것도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을 진심으로 하게 됨...  
 
쇠락해가는 커다란 극장 안에 홀로 서 인간세상의 화면에 빠져들어가는 수남이 모습도 한편으로는 호기심과 한편으로는 깊은 연민... 
서슬퍼런 냉전 시대, 게이, 흑인, 여성, 장애인, 이주민, 그리고 비인간으로 살아간다는 것의 신산함을 보여주면서도, 그들이 서로 도와 권력과 싸우고 작은 승리를 거두는 과정은 카타르시스....
그러면서도 일라이자가 그저 가련한 사회적 약자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자신의 욕망을 인식하고 표현하고, 대담하게 싸울 줄 아는  '사람'으로 그려진 것이 너무 좋았음.. "우리가 아무 것도 안 하면, 우리 또한 인간이 아니다"는 일라이자의 말은 정말 가슴을 후벼팠음... 
 
우리 조드장군님은 거칠고 폭력적이고 입만 있되 들을 줄 모르는 시대의 마초를 너무나 생생하게 그려내심...  저러다가 어디서 슈퍼맨 날아오는 거 아닌가 걱정할 정도 ㅋㅋ
 
어쩜 그리 영상도 아름답고 음악도 멋지고...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 진짜 성공한 괴수덕후... 이 정도는 해야 덕후라 할 수 있지!!
 
참, 영화에 두 가지 풀리지 않는 궁금증이 있었음.. 이후 인터넷 검색해봐도 딱히 명쾌한 답은 없고... 다들 추측만 난무 ㅋ
 
첫째, 수남이는 아마존 강 인근에서 데려왔다고 했는데 왜 욕조물에 소금을 뿌려줘야 하는가?? 혹시 아마존 강과 바다가 만나는 해역에서 데려온 건가? 담수에 살고 있던 생명체라면 굳이 소금 필요 없는데 혹시 그래서 시름시름 아팠던 건 아니겠지??
둘째, 일라이저 목에 있던 상처.... 딱 아가미가 있었을 것만 같은 위치인데 혹시 일라이저 또한 수남이네 동족의 먼 후손이 아닌가 싶음...
 
 

# 더 포스트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2017년)

 
 
 
 
 
이렇게 복잡한 스토리와 맥락을 짧은 시간에 기승전결을 담아 그려내다니 시나리오와 연출의 힘이 그야말로 대단함.. 배우들의 연기는 말할 것도 없고..
찾아보니 스포트라이트 썼던 작가가 이 작품도 썼다 함... 
 
뭐랄까.... 시대에 구속된 사람들이 최선의 노력을 다해서 조금씩  그 시대를 벗어나고 있는 모습이랄까?
메릴 스트립.. 와 이 언니 정말...
직장 일이라고는 한 번도 안 해본  교양있는 상층계급 중년 여성이 표출하는 공적 공간에서의 불안과 위축, 자꾸만 뒤로 물러서려는 그 머뭇거림, 하지만 결정적 순간에 결단을 내리고 책임지며 성장해가는 모습을 그리도 잘 표현할 수는 없다구!!!
특히 후반부 대법원 판결 이후 뉴욕타임즈 회장과 편집장이 언론의 조명을 받으며 인터뷰할 때, 아무런 입장 발표없이 멋적은 표정으로 계단을 내려오며 (홍해를 가르는 모세처럼) 한 세대의 젊은 여성들을 뚫고 지나오는 모습은 너무나 상징적...
 
스필버그 특유의 이래도 감동 안 할래? 안 할래? 하는 요소들이 몇 번 있었지만, 스토리 자체가 가진 힘 때문에 크게 거슬리지는 않았음... 
 
가장 거슬렸던 것은 ㅋㅋㅋㅋ
한국적 상황에서 '가족기업'이라는게 하도 개차반이라 그 부분만 나오면 참 이입이 안 되더라는 ㅋㅋㅋ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영화 여정 (1)

 

# 블레이드 러너 (드니 빌뇌브 감독, 2017)

 
 
 
 
라이언 고슬링이 주연으로 나온다 그래서 대실망했는데, 의외로 너무 탁월한 선택이었음
드니 빌뇌브 감독을 SF 장인 인정해주기로 나 혼자 결심함.
 
일단 음악과 그 아득하고 황량한 풍광의 완벽한 계승과 발전에 일단 10점 만점 주고,
꼼꼼한 플롯과 개연성 있는 스토리에 다시 10점을 주겠네...
도대체 음악은 어떻게 그 핵심을 가져오면서 이토록 색다르게 변주한 것일까... 난 오리지널 버전의 OST만 들어도 심장이 쿵쾅거리는 사람이라고......
 
영화 후반부, 드디어 데커드가 등장해서 '내가 니 에비다' 할까봐 엄청 노심초사 ㅋㅋㅋ
다행히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음.
데커드보다는 예상 못했던 레이첼의 등장이 너무나 반가웠지 뭔가...
 
인터뷰들 보면 해리슨 포드는 아직도 데커드가 인간이라고 생각한다니, 배우가 자신의 정체성을 모르는 이 웃픈 상황 ㅋㅋ
 
이 영화를 둘러싸고 여성의 성적 대상화에 대한 비판들이 꽤나 있었는데, 영화를 보고나니 그게 좀 과도한 억측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음.
어리버리 스스로가 누구인지를 알지 못하는 K, 그저 구조를 기다리는 무력한 존재로 그려진 데커드에 비해 적극적으로 무언가를 하는 인물들은 모두 여자 아니였나 말여...
세상의 구체적 존재로 물화되기를 시도하는 조이, 우리 LAPD 멋쟁이 국장님은 너무 시크해서 저 분 밑에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이 막 솟구쳤음. 게다가 세상 살벌한 러브, 꿈의 세계를 만드는 면역결핍 행세 박사님.... 심지어 레플리컨트 반란군 보스와 핵심 메신저도 여성임.
공식적으로 정의된 주인공은 찐따 같은 남성 둘이지만, 이 세상을 움직였던 것 그리고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아는 것은 모두 여성들 아닌감???
이 정도로 여성을 주체적으로 그린 영화마저 반여성적이라고  비판하는 건 어쩐지 너무 기계적 평가라는 생각...

 

# 스타워즈: 라스트제다이 (라이언 존슨 감독, 2017)

 

 
 
중2병 남자들 어쩔 거임?
 
아니 루크는 이제 나이가 몇 살인데 아직도 그 모냥 ㅠㅠ
와, 난데없이 '나는 자연인이다' 찍는데 나 정말 현웃 터졌음... 어쩜 요다 스승님한테 받은 가르침으로 기껏 바다괴물 모유나 갈취하고 개폼 잡으면서 물고기 작살낚시나 해대는 건가... ㅋㅋ
 
요다 스승도 잠깐 스노크 악령 들린 중 알았잖아.. 왜 그리 갑자기 나타나서 잔망을 떨어대는지....
 
레아공주가 보낸 옛적 홀로그램 보니 참으로 짠하더군.... 그토록 오랜 세월 레아는 우주를 떠돌며 투쟁하는데 루크는..... 자연인 행세하며 전설 코스프레하다 조카 잘못 건사하고 심지어 죽이려고 했음 아이구야... 그러다 조카한테 졌으니 더 횡당...
 
오스카 아이작의 포 다메론은 온 우주 말아먹을 민폐 캐릭터에
아 우리 카일로 렌...... 어쩜 이렇게 남주에게 매력을 1도 못 느끼게 만드는지 이것도 능력...
웃통벗고 훈련하다 레이와 연결되었을때 레이가 화들짝 놀라며 얼른 옷 입으라고 잔소리하는데 여기에 나도 진심 공감 ㅋㅋㅋㅋㅋ
레이 구해내서는 스노크 일당 처단하고 뜬금없이 '노인네 다 죽이고 우리가 우주 지배하자' 하는데 역시 현웃 터짐... 쟤 뭐야??? ㅋㅋ
 
레아는 고귀한 가문 출신인가 했지만 역시 흙수저얐고 드디어 스토리는 완전히 새로운 프레임에 안착하게 되었음. 고귀한 귀족 혹은 제다이 혈통의 영웅서사에서 아무 것도 아니지만 용기를 가진,  보통 존재들의 서사로 전환됨... 이름없던 스톰트루퍼에서 한 명의 온전한 존재가 된 핀이며, 충실한 가드에서 전사로 거듭난 로즈며, 심지어 노예 생활을 하던 어린이들까지...
 
그나저나 레아 장군 저리 함들게 살려놓았는데 실재에서 돌아가심 ... 어쩌....
 
그리고 우주 최강 전투로봇 BB8 너무 갖고 싶네 ㅋㅋㅋㅋㅋㅋ
우리 편이길 너무 다행.... 그 동글동글하고 귀여운 모습 뒤에 숨겨진 냉혹한 킬러본능 ㅋㅋㅋㅋ
 
 

# 1987 (장준환 감독, 2017)

 

 
 
낯익은 공간과 시간, 낯익은 (실존) 인물들이 눈앞에 흘러가면서 묘한 감정....
 
아마도 80년대 초중반에 대학을 다닌 사람들에게 '그나마 아쉽지만' 승리의 역사로 기억되는 반면, 90년대 초반 패배 또 패배, 고립 또 고립만을 경험했던 세대에게는 뭐랄까 슬픔과 회한을 극대화시킨 영화... ㅡ.ㅡ
나중에 이야기해보니, 87학번 선배들 중에는 아직 대면할 용기가 나지 않아 영화를 보지 않았다는 이들도 있었음...  해피엔딩이기는 하지만, 고문과 죽음과 상실과... 이 모든 것들을 다시 대면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일 거라고 짐작만... 나만 해도 백골단 쫓기는 장면에서 모골이 송연.. 이런 게 '재경험'이구나 실감할 수 있었으니....
 
학생운동만을 과도하게 부각시키지 않고, 특정 인물의 초인적 영웅담에 기대지도 않고, 
보통 사람들, 아주 완전 선량하지는 않지만 대강 직업적 자존심은 가진 사람들의 작은 결단이 역사를 바꾸는데 조금씩 기여한 것으로 그려낸 방식이 몹시 마음에 들었음. 검사나 교도소장이 지나치게 미화되었다는 비판도 있는데, 영화를 봐도 그 사람들이 절대 선인이나 결의에 찬 사람은 아니라는 게 잘 드러남.
 
한편으로는 여성주의 시각에서 여성의 비중이 작고, 나이어린 여자(연희)가 주변 남자들의 도움으로 각성해가는 모습으로 그린 것이 성차별적이라는 지적도 있는데, 이것도 동의하기는 어려움...
 
전반부에서 권력게임에 몰두하는 조폭같은 망나니들이 떼로 등장한 때야 남초인 것이 당연할 것이고, 후반부 운동의 조직화로 가는 상황에서 이름 가진 여성들이 더 많이 나왔더라면 좋았을 걸 하는 아쉬움은 물론 있음. 그러나 이 때는 여성의 대학진학률은 채 40%가 안 되던 시절이고, 대학생 숫자에서 남/여 격차가 엄청났던 것은 사실....
특히 연희만 주체성이 결여된 것처럼 그렸다는 비판은 정말 동의하기 어려움. 앞서 등장한 주요 인물들의 개인별 '전사'가 한두마디로 간략히 설명되는 데 비해, 오히려 개인의 서사가 살아있는 실제 인물은 연희밖에 없음. 광주 비디오를 보고, 선배의 죽음을 경험하고, 운동에 뛰어드는 경험은 너무 전형적이지만 당시 정말 상황이 그랬었고, 연희에게 비디오를 보여주고 데모에 데리고 나갔던 선배들도 다 똑같은 과정을 거쳤음. 다만 그 과정을 처음부터 보여준 게 연희였고, 그래서 나는 살아있는 개인 서사가 있다는 점에서 여성차별적이라고는 보기 어렵다고 생각함....
만일 뒤집혀서, 여자 선배들이 처음부터 '타고난, 자발적으로 결의한' 운동권으로 그려지고 남자 후배의 개인 성장서사가 그려졌다면, 오히려 그게 더 성차별적이지 않을까 말여... 
 
영화 중 의외로 나 혼자 빵터진 장면은 하정우가 김윤석에게 북한사투리 고만 쓰라고 말하는 장면 ㅋㅋㅋ 경상도 사투리, 북한 사투리 정말 미쳐버릴 것 같았는데 내 속이 다 시원해짐...
 
문성근, 우현 배우는 본인 역할 하면서 너무 흥미진진했을 것 같음. 보통 사람이라면 경험하기 어려운, 자신의 적이자 가해자 역할을 천연덕스럽게 해내야 하는 도전을 이들은 어떻게 해냈을까? 
 
강동원 마스크 벗는 장면에서 극장 안에 일제히 터지던 '탄식'에 진심으로 빵 터짐 ㅋㅋㅋㅋㅋ 극장에서 이런 거 첨 봤는데, 아마도 전국적으로 동일한 현상이 있었던 듯....  정말 강도원님 현재 꽃미모 원탑일세....

 

 

# 패터슨 (짐 자무시 감독, 2016년)

 

 
 
 
 
이 영화 보고나서 후향적으로 카일로 렌을 좋아하게 됨 ㅋㅋㅋㅋㅋㅋㅋㅋ
아담 드라이버  이사람, 매력있잖아??? 왜 이제서야..
이런 배우를 왜 그리 찐따로 만들었나 좀 어안이 벙벙 ㅋㅋ
 
와.... 폭력과 빈곤이 물든 패터슨에서 자연시를 쓰는 전직 해군 출신 버스기사의 삶이란 무엇인가? 패터슨 시 로미오 줄리엣 커플 총질쇼에서 순간 카일로 렌이 광선검 꺼내는 줄 알았음 ㅋ
 
패터슨 시에 사는 패터슨 씨를, 아담 드라이버가 맡아서 버스 드라이버 일을 하는데, 시 너머로 흐르는 “조금만 아름다운 “ 풍광, 그리고 의외로 울림 좋은 아담 드라이버의 낭송에 푹 빠져들었음....
 
매일 똑같은 일상의 반복이지만 어느 하루도 정말 똑같지는 않았음. 아 그 미묘한 변주.....
인생이 루틴으로 굴러가는 것 같지만 정말 어느 한 날도 같지 않고, 세상에 현재가 두 번 반복되지는 않지만 오히려 그로 인해 미묘한 '리듬'이 생긴다는 걸 깨달아버렸다니까....... 
 
그런데 내가 너무 세파에 찌들었는지, 강아지 마빈이 어느 날 유괴/납치라도 될까봐 영화 보는 내내 전전긍긍했다구.... 그런 영화 아니잖아...
그런데 도저히 마음을 놓을 수가 없더라는... 
 
영화적 경험을 충만하게 해주는 매우매우 좋은 영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2017년 지나간 책 이야기들 (2)

#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권내현, 2014)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 어느 노비 가계 2백년의 기록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 어느 노비 가계 2백년의 기록
권내현
역사비평사, 2014

 

 
세금을 걷기 위해 정리된 한 지역의 호구조사 자료와 족보를 추적하여, 오늘날 족보니 양반가문이니, 성이니 본관이니 하는 뻘짓이 얼마나 우스꽝스러운 것인지를 (뜻하지 아니하게) 폭로해주는 재미난 책 ㅋ 
 
조선 후기, 절대 다수인 평민이나 노비 같은 하천민이 사회적 장벽을 뛰어넘기 위해 노력했는데, "그 방향은 양반 기득권의 직접적인 해체가 아니라 모두 다 양반이 되는 독특한 길"... 나 이 말 너무 공감함... 이 전통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음. 불평등과 불공정에 대한 resentment 는 대개 불평등 그 자체보다 내가 그 자리에 가지 못한 것에 대한 사실에 대한 원통함으로 귀결되는 슬픈 사실을 너무 많이 목도함 ㅡ.ㅡ
 
자신을 소유한 양반가의 성씨는 아니지만 인근에 흔한 양반성씨를 신분 세탁에 활용했고, 그 대표적인 성씨가 김해김씨라는 추적에 너무 고개를 끄덕임. 이게 아니고서야 어떻게 전국민의 1/3이 김해김씨일 수 있냐는 말여 ㅋㅋ
 
 
"성왕이 천하와 국가를 다스림에 있어서 반드시 그 사정이 가지런하지 못한 것으로 인하여 귀한 자는 귀하게 여기고 천한 자는 천하게 여기며 후한자는 후하게 여기고 박한 자는 박하게 여겼습니다. 그런데 호포의 경우 귀천을 논함이 없이 모두 포를 내게 되니, 만약 선비들로 말한다면 평생 고생하며 부지런히 독서만 하는 자가 한 글자도 읽지 않는 자와 같이 그 포를 낸다면 또한 억을하지 않겠습니까?"
 
숙종실록 7년 4월 3일에 대사헌 이단하의 상소문 내용이라는데 내용이 아주 대단함 ㅋㅋㅋㅋ 
한국 사회의 대표적 사기 개념단어인 '선비' 대신, '지주/유한 계급'이라고 이름 바꿔야 함.  노블리스 오블리제는 개뿔, 저런 새끼들이 나라를 지배한다고 깝치고 있었으니 조선 망해버린 거 아닌가 말여. 자신의 '사적 이해'를 위해 노골적으로 제도를 바꾸고 빠져나갔던 기회주의적 조선 양반계급 진짜 너무 혐오스러움. 당대의 유교적 기준으로 보아도 이건 납득할 수 없는 부도덕한 처사
 
양반이 관직을 얻지 못하고 죽어도 신주에 으레 '학생부군신위'라고 썼던 것은 살아서는 유학, 죽어서는 학생이라는 당대의 관행을 따른 것 뿐임. ㅋㅋㅋ 평생 놀고 먹었던 양반이라 해도 학생...
 
 
조선 후기는 정말 한반도의 암흑시대랄까.... 지금 존재하는 가부장제의 온갖 악행들이 이때 강화됨. 시집살이며, 동성촌락이며, 되도 않는 양반 문화에 남존여비... 심지어 오리지널인 중국보다 더 심해 ㅋㅋㅋ
현재의 화이트칼라/블루칼라 신분차별, 교육에 대한 과도한 집착 또한 이 시기에 (사실은 허울 뿐인) 과거제도를 통해 공직에 진출하고 봉건지배 계급으로 각종 특혜를 독식했던 나쁜 전통이 epigenetic change 로 굳어버린 게 아닐까 싶음....역사에서 지워져야 할 시기였음
 
무슨 가문 몇 대손이고, 조상 중에 무슨 벼슬한 아무개 있다.. 이런 거 대개 개소리라고 보면 된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줌. 설사 그게 (일부) 사실이라 해도, 오늘날 그의 삶을 설명해주는 게 아무것도 없지 않은가 말여... 게다가 대대로 호의호식하고 조선 망하는데 크나큰 기여했던 지주 계급이었던 게 뭐 자랑이라고 그러는지 정말 이해할 수 없음
 
근본없는 우리 집안, 조상 덕이라고는 1도 내세우지 않는 우리 가족이 새삼 자랑스러움 ㅋㅋㅋ 
 
 

# 보이지 않는 고통 (카렌 메싱, 2017)

 
 
이 미묘함... 실천적 연구에서 몹시 훌륭한 분인데 막상 본인의 삶에 대한 반추는 나이브하기가 이를데 없어서 매우 당황스러움... ㅡ.ㅡ 심지어 한 다리 건너면 아는 분...
물론 이 분의 연구/실천활동에 대한 존경 자체가 사라진 것은 아님. 그래서 더 찜찜....
 
 
현장과 연구의 괴리, 노동자 편에 서지 못하는 연구자의 문제를 공감격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명하지만, 이건 현상에 대한 명명이지 문제의 진단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 아녀...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나 운좋게도 이런 기회를 얻어 나는 훌륭하게 되었지만 다른 사람은 불쌍한 노동자의 처지를 이해하려는 마음이 1도 없어...세상에나 저들은 왜 저러지???? 이런 마인드셋은 술먹고 뒷담화에서 할 이야기 아닌가 말여 ㅠㅠ  Pont of production에서 지식생산의 정치경제 분석을 시도했던 것에 비하면 지나치게 나이브해서 깜놀 ㅠㅠ
 
공감만 하면 다 잘 해결될 것인가? 공감에는 무시무시한 어두운 면도 있잖여. 난 경영자와 공감할거야....... 누구와 무엇을 가치에 둔 공감 혹은 연대인가, 왜 이것이 어려운 가에 대한 탐색 없이 공감은 모두 선량한 우리 편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생각에 동의가 안 됨...
 
 
서로 다른 각자의 자리에서도 대등하게 존중하며 연대할수 있는 차가운 sympathy 보다 경험해보고 깊게 이입하는 empathy 전략만을 강조하는 게 찜찜함.. 아마도 메싱은 심퍼시, 엠퍼시 구분해서 책을 쓴 건 아닌 거 같음...
 
“교수라는 나의 지위는 그들의 곤경을 보다 잘 드러낼 수 있는 신뢰감을 형성한다”
 
하아... 너무 한국사회의 전형적 지사주의... 불쌍한 노동자 위해 권력 있는 내가 나서서 말해주겠어, 나의 커리어 위협, 연구비 위협을 무릅쓰고 그들을 위해 싸워주겠어... 아 뭐 이런 건가..ㅡ.ㅡ
 
그녀의 평생에 걸친 연구와 실천활동을 익히 알고 존경함에도 불구하고, 뭔가 뜨악한 이 불편함을 잘 설명할 길이 없네.... 한국사회에서 소위 진보적 지식인들의 '과잉대표되는' 사회적 발언에 대한 평소의 불만이 메싱 할매한테 표출된 건가.... ㅡ.ㅡ
 
심지어 한국사회는 현장 연구의 기회나 계급적 만남의 기회가 훨씬 많은데 이제는 연구자들도 이런 책 번역할게 아니라 한국의 경험을 후속 세대에게 전달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함....
 
 
참, 한국과 캐나다의 공통점들이 그대로 드러난 대목은 나름 흥미로웠음. 의사한테는 팁을 안주면서 저임금 서비스 노동자에게 팁을 주는 것, 안전보건 문제보다는 고용과 보상에 노동자들이 훨씬 경도될수밖에 없는 상황, 공부 못하면 저렇게 된다는 속물적 언사들 .... 세상 다 비슷함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2017년 지나간 책 이야기들 (1)

# 사소한 정의 (엔 레키, 2016)

 

사소한 정의
사소한 정의
앤 레키
아작, 2016

 

엄청 재밌게 읽었는데 메모를 안 해놔서 다 까먹음 ㅋㅋㅋ
일단 모든 보편 인칭이 그녀인 것이 흥미로움. 심지어 통상적 욕도 남성 성기를 빗댄 것이 아니라 여성 가슴을 빗댐 ... ㅋㅋ  페미니스트 작가로 추앙받는 어슬러 르귄의 [어둠 속의 왼손]에서조차 전형적 여성성과 남성성을 상정한 가운데 둘 사이를 오가고, 심지어 디폴트는 남성(he) 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참으로 격세지감.... 이 작품에는 아예 성별 전형성이 존재하지 않음....  심지어 성별을 구분해야 예의를 지켜야 하는 행성 언어가 몹시 괴이하다는 설정으로 등장함....
 
 
또한 개별 인공지능으로의 로봇 이야기가 아니라, 네트워크로 존재하는 클라우드 인공지능과 개별주체의 관계를 그린 것이 몹시 신선함. 네트워크가 단절된 상태에서 그들이 느끼는 패닉은, 와이파이가 단절된 곳에서 요즘 사람이 느끼는 공포에 비할 바가 아닐 것...
 
곁가지 서사와 세부 디테일을 떼어네면, 대위를 사랑한 인공지능 함선의 애정복수사 쯤 될 법한데, 이렇게만 요약해 버리기에는 매우 복잡한 서사들이 존재함.
세이바든과 팀을 이루어 행동에 나선다는 점에서 당연히 베일리 경감과 다니엘 R 올리버를 떠올릴 수밖에 없었지만, 제1애스크(브렉)는 뭔가 다니엘과 지스카드의 합성체로 여겨짐. 
 
이 작품에서 가장 납득하기 어려운 것은, 이토록 발전한 세상에서 왜 사람들이 이렇게 또라이같은 종교와 가문에 집착하는 건지....  아서 클라크 영감님의 초월적 발전 세계가 나의 로망... 하지만 21세기에도 여전히 사라지지 않는 막장 종교 드라마들을 보면, 기술 발전과 별개로 이런 상황이 상당히 오래 갈 수도 있겠다 하는 우려가 들게 됨... 
 
무엇보다도, 글쓰기의 꿈을 접고 생활인으로 살아오다 옥타비아 버틀러의 글쓰기 수업을 듣고 6년에 걸쳐 이 소설읇 첫 작품으로 완성했다니, 오히려 이 스토리가 더 소설같음!

 

# 채식주의자 (한강, 2007)

 
 
채식주의자
채식주의자
한강
창비, 2007

 

 
뭐가 좋은 건지 잘 모르겠네.. ㅡ.ㅡ
내 안목이 후진 겐가...
 

 

# 소년이 온다 (한강, 2014)

 
 
소년이 온다
소년이 온다
한강
창비, 2014

 

 
몇 년만에 도서관에서 대출 성공 ... (아니 이게 웬 떡이냐 하고 냉큼 집어왔는데, 알고보니 시각약자를 위한 큰글씨 편집본... 장애인 주차구역에 차댄거랑 다름 없는 매너없는 행동이었음 ㅜ.ㅜ)
이런 글을 '아름답다'고 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 표현일지 모르겠으나
르포르타쥬도 아니고 설익은 프로퍼갠더도 아니면서,'문학적'으로 '직조'한 어쩔 줄 모르겠는 비극적 사실에 참 많이도 울었다
 
문학은 '다른 나'가 되어 그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나는 광주 외곽 어두운 야산에 버려지고 썩어가는 나의 시체를 내려다보고 있었다.  
내 차례가 돌아오기까지 이 책을 거쳐간 수많은 이들도 나와 비슷한 경험을 했을 것이라 생각하면 더욱 마음이 아득해짐...
 

# 518 10일 간의 야전병원 (전남대학교 병원, 2017)

 
 
 
"모든 연락이 끊긴 상태에서 난 전국이 광주와 같은 상황인 줄 알았다. 광주만 전쟁터같은 상황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이제 여기서 끝이다'라는 생각마저 했다"
 
지금처럼 미디어가 편재한 시대에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스토리... 자라리 '고립'을 모르고 있었던 것이 공포를 덜어주었을지도 모르겠다. 이들이 반복적으로 이야기하듯, 나중에 학회에서 협회에서 다른 지역 사람들을 만났을 때 그 무지와 오해에 대해서 받았던 충격과 분노란....
 
 
"새벽에 전공의, 전문의 할 것 없이 가운을 입고 있는 사람은 모두 거리로 나갔다. 청소도 하고 시민들에게 우리가 비록 고립돼서 이상한 전쟁을 하고 있지만, 사형장에 끌려가는 사람이 물구덩이를 뛰어서 건너가는 것처럼, 마지막까지 우리가 가져야 할 것은 이성적인 사고를 하는 것, 그러기 위해서는 안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어필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 우리는 몰랐었다. 전남대병원 뿐 아니라 다른 병원에서도 우리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을 줄은. 전화도 되지 않고, 어떤 연락도 취할 수 없는 고립상태에서 기독병원, 적십자병원, 개인 병원들까지 모두 같은 생각으로 청소하고 있었다"
 
이런 것이야말로 인간 존재의 위대함이라고밖에 표현할 수 없다. 
 
 
"헬리콥터가 계속 떠다닌다. 지구전이다. 우리가 이길 수 없다는 것은 틀림없다. 그러나 항복하지 않으리라는 것 또한 틀림없다. 이제 와서 무릎 꿇기에는 너무 많은 피를 흘렸다."
 
대대손손, 이 땅에 사는 자들은 광주시민들에게 머리를 조아릴 줄 알아야 한다. 그들에게 얼마나 많은 민주주의, 인간 존엄성의 빚을 지고 있는지 말로 다할 수가 없다. 
 
 

# 투명인간 (성석제, 2014)

 
 
투명인간
투명인간
성석제
창비, 2014

 

 
사회적으로 투명인간이었던 자들이 생물학적 투명인간으로 변태한다 한들 뭐가 그리 새롭고 놀라울까?
 
성석제 소설에서 작가의 말이 이렇게 쓰라린 적은 없었던거 같다 
 
"현실의 쓰나미는 소설이 세상을 향해 세워둔 둑을 너무도 쉽게 넘어들어왔다. 아니 그 둑이 원래 그렇게 낮고 허술하다는 것을 절감하게 만들었다
소설은 위안을 줄 수 없다. 함께 있다고 말할수 있을뿐. 함께 느끼고 있다고, 우리는 함께 존재하고 있다고 써서 보여줄뿐.
이 소설의 첫문장을 쓰기 시작한 이후 깨달은 것은 이것이다" 
 
나의 동시대 삶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남루했고
감당할수 없는 삶의 무게란 것이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 믜리도 괴리도 없시 (성석제, 2016)

 

믜리도 괴리도 업시
믜리도 괴리도 업시
성석제
문학동네, 2016

 

 
* 믜리도 괴리도 업시 - 청산별곡에 등장하는 " 미워할 이도 사랑할 이도 없이"라는 구절.....중년 남성 화자가 '나'를 들여다보는 이야기. 이 짧은 글에 이토록 미묘하고 서늘하고 아이고 모르겠다 인정하고, 그리고 여전히 따뜻하고 ㅋㅋ "사랑이야? 사람이야?"
 
*매달리다 - 사람이라는 인연에 매달리는 것이기도 하고, 고문틀에 혹은 나무에 매달리기도 하는 삶 
* 골짜기의 백합 - 판소리 한 자락
* 블랙박스/사냥꾼의 지도/몰두 - 프로 이야기꾼의 이야기 한마당 ㅋㅋ 교훈도 없다 오로지 이야기만 있을 뿐이다 ㅋㅋ 태초에 이야기가 있었다 ㅋ
 
이런 맛에 울적할 때는 성석제의 작품을.... (그러다가 투명인간 읽고 오히려 더 울적...ㅡ.ㅡ)
 

# 첫사랑 (성석제, 2016)

 

첫사랑
첫사랑
성석제
문학동네, 2016

 

이 아저씨 독특함.... 먼저 읽었던 [믜리도 괴리도 없이]의 전편이 이것이었군.... 
있는 그대로의 인정과 '아무렇지도 않음'이 너무 좋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이 참에 공연들도

 

정리해보자...ㅋ

 

# 콜드플레이 (잠실종합운동장, 2017/04)

 

포스터이미지

 


일찌감치 올해 초부터 티켓이 매진되어 있던지라 기대 1도 안했었는데,

나미비아 사막에서 해미 왈, 이렇게 인터벌이 긴 공연은 표 예매해두고 중간에 깨지는 커플들이 있어서 취소표가 꼭 나온다는 예언을 했음.  아니나 다를까 ㅋㅋㅋㅋㅋㅋ

무대 어마어마함.... 자이로 팔찌 대장관 ㅋㅋㅋㅋ
그렇게 큰 스타디움 공연은 첨인데, 그게 몰입이 된다는게 엄청 신기했음

사실, 콜드플레이 음악이 너무 매끈하다고 생각해서 열혈 광팬은 아니었는데, 라이브의 힘이란...

 

 

# 넬 단콘 "We Are" (하나투어 브이홀, 2017/05)

 

포스터이미지

 


의자의 불편함 수준이라면 올림픽 공원 뮤즈 라이브홀과 일합을 겨룰 만 했음
하지만, 꽉 찬 연주는 역시 좋았고, 아무리 거친 사운드를 내도 바닥을 뚫는 그들만의 우울함은 변함이 없었음
 

 

# 블랙스트링 "Black Shade" (국립극장 달오름, 2017/07)

 

포스터이미지

 


잠비나이 음악 듣다가 연관 검색으로 떠서 접하게 된 프로젝트 밴드인데, 와 정말 엄청났음
대금 비트박스며, 거문고의 거친 타악기 용법에, 낮고 분명한 창가와 타악기, 일렉트로닉 기타의 조화가 후덜덜...
무대 조명과 배경 영상도 이보다 더 맞춤일 수는 없겠더라고...
녹지에 둘러싸인 국립극장 정경이나, 사운드와 무대 시야가 너무 알맞은 극장 내부도 맘에 쏙들었음.

 

 

# 희비쌍곡선  판소리 - 필경사 바틀비 (학전블루, 2017/09)

 

포스터이미지


조촐한 무대 공간에 참으로 맛깔나게 원작을 잘 살린 창극이었음.
연주도 좋고 노래도 좋고.. 무엇보다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작품을 3차원 현실에 너무도 잘 구현함.

예전에 책을 첨 읽었을 때는, 새로운 (금융) 자본주의에 거부하는 인간형이라고 생각했다가
이후에는 우울증 환자에 대한 임상보고서 인가 했는데 극을 보고 그런 생각이 더 강해짐 ㅋ


비평가들의 해석은 어떤가 찾아보니 의외로 바틀비가 변호사의 또다른 자아를 나타낸다는 해석도 있네 그려...
생각해보니 그럴 법도 함. 변호사의 설명하기 힘든 바틀비에 대한 호의와 죄책감이 그렇다면 완벽하게 이해가능하지...

.

 

# 이승열 "Rewind myself2" (세종문화회관 M 씨어터, 2017/09)

 

포스터이미지

 

예상밖에, 첫 곡은 조동진의 '나뭇잎 사이로'... 울컥하는 감정이 안 들 수 있나....
예전 공연 때는 적혈구 화면으로 내 눈을 테러하더니, 이번에도 역시 불타오르는 화산 장면과 알 수 없는 박테리아 증식 장면을 비롯해 객석으로 하이라이트 조명 때리기 등 안구테러는 여전하더만.. 음악은 더할 나위 없이 좋았음. 덕분에 이번에도 눈감고 온전하게 음악에만 집중 ㅋㅋㅋ


마지막 곡을 부른 후, 잠시 암전된 후 파업을 알리는 배철수의 음악캠프 막방 영상이 흘러나옴.
사람들 약간 당황했지만, 다들 박수치면서 끝남....
예술가들의 이런 무심한 듯 예술적인 연대 넘 좋음...  
 

 

# 뮤지컬 서편제 (광림아트센터, 2017/09)

 

포스터이미지

 

9월에 뜻하지 아니하게 문화 풍년.....ㅋ

사실 소설부터 영화까지, 절대 내 취향은 아니라서 뮤지컬 공연 안내가 떴을 때도 별 흥미를 갖지 않았음. 이는 또한 사실로 증명됨 ㅋㅋ
뮤지컬 장르가 가진 고유의 극적 과장, 감정의 고양을 불러일으키는 과잉서사와 음악에 피곤 한 가득 ㅋㅋㅋㅋ

사람들은 엄청 울면서 봤다는데 나로서는 도대체 감정이입이 1도 안 된다고.... 저건 노골적 아동학대 아니냐...
이자람의 탁월한 노래와 연기가 아까버라....

특히 허공으로 날리던 그 눈물 한 방울... 그리고 심청가....

나중에 완창 판소리 공연을 꼭 봐야겠음

 

 

# NT Live 프랑켄슈타인 (국립극장 해오름, 2017/10)

 

포스터이미지

 


이런 신세계가 있나!!!!
연극을 영상으로 쏘아준다는 게 뭘까, 별 기대도 안 하고 갔는데 너무 몰입해서 스스로 깜놀..
같이 본 토끼도 연신 대박, 짱이다를 연발...
심지어 저녁에 잠들기 전에도, 모든 장면이 영상이 아닌 '연극'으로 기억됨

연기력들 너무 빼어나고, 무대 장치도 너무나 적절해서,
저것이 지구 반대편, 극장 무대일 뿐이고, 저들은 모두 '진짜인 척' 연기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을 잊게 됨.
마치, 초원이 펼쳐져 있고, 오두막이 불타고 있고, 외딴 섬에서 번개치는 어두운 밤 처녀 시체를 훔쳐다 몬스터의 신부를 만드는 장면을 내가 몰래 훔쳐보고 있다고 믿어버리고 말았다니까??? 인간의 이성줄이란 정말 허약하기가....

그나저나 메리 셀리는 약관의 나이에 어떻게 저런 성찰을 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기기묘묘 영화들

# 로건 (제임스 맨골드 감독, 2017)

 

 


영화 본 직후에 엄마 병수발....
말 안 듣는 노인네  자비에 교수와 천방지축 야수같은 로라를 데리고 도대체 존재하는지조차 알 수 없는 약속의 땅으로 쫓기며 도망가야 하는 로건의 미칠 것 같은 심경에 너무 이입해버림....  그 피곤한 표정.. 하아....

.
이 감독은 이렇게 만들 수 있는 거 그동안 왜 안 했대??? ㅡ.ㅡ
마지막 로건의 묘비에 세워진 십자가 아닌 X자... 어쩐지 울컥했지 뭔가 ㅜ.ㅜ

이것이야말로 엑스멘에게 바치는 아름다운 경의....

이렇게 하고 나중에 DNA 복원 어쩌구 하면서 울버린 살려내면 정말 ............

꼬마 울버린 소녀의 야성과 포스에 완전 매료됨.

 

 

# 문라이트 (배리 젠킨스 감독, 2016)

 

 

포스터에 겹쳐진 세 명의 얼굴이 정말 동일 인물의 성장사인 것마냥 느껴짐
3부에서 도대체 그동안의 모습과는 너무도 이질적인 근육남이 등장하지만, 그 눈 속에서 깨질 것 같이 유약한 아까 그 소년의 모습을 보았지...
말도 안 되게 아름다운데, 아... 그 푸른 문라이트....
 
도대체 어쩔 건가 싶은 그들의 삶을 보면서, 엉뚱하게도 힙합은 저 정도는 되어야 하는 거 아닌가 하는 괴이한 깨달음을...
저런 삶에 비견될 수 있는 건 우리 그네 언니 뿐이라고...

 

# 스타트렉 비욘드 (저스틴 린 감독, 2016)

 

 

뭔가 스케일 큰데 공허함.... 뭐지?? 그냥 잘 만든 평범한 시리즈물....


스팍이 너무 정념에 휩싸이는 거 싫다구....
하지만 씩씩한 소피아 부텔라의 제이라는 매력 만발...

그리고, 무엇보다 안톤 옐친의 유작이라는 게 슬픔 포인트...

 

# Shame (스티브 맥퀸 감독, 2011)

 

 


패스빈더에게 맞춤 옷 같은 영화...
오빠와 여동생 나오는 영화에 특별히 감정이입을 잘 하지만, 우리 남매는 저렇지 않아....ㅋ
여동생이 더 calm  하다는 게 우리 집안 특징이지 ㅋ

영화가 클라이맥스에 접어들고, 감당 못할 망가져버림과 미친 듯한 후회, 남루함이 그 디테일에서는 일반적 경험이 아님에도 커다란 울림을 주는 것은 누구나의 인생에나 존재하는 통제할 수 없음과 부끄러움에 대한 감정을 공유하기 때문이겠지.. 내가 나를 다스릴 수 없는...


매그니토보다, 인공지능로봇보다... 패스빈더에게는 이런 역할이 어울린다고...  

 

# Alien: covenant (리들리 스콧 감독, 2017)

 


리들리 스콧... 이 노인네 치매에 걸린게 틀림없음..
그리고 도대체 저놈의 영화사에는 저걸 걸러내 내보낼 안전 장치도 없단 말인가..

고색창연해서 신선함이라고는 1도 찾아볼 수 없는 클리세 - 인공지능의 창조욕구와 감정 - 는 그렇다고 치고,
우주 탐험 나선 인간들의 그 정념에 정말 어처구니 상실...
과학을 잘 알든가, 전투를 잘 하든가... 어떤 기준으로 선발대가 뽑힌 거냐구...
세상에 2천 명을 싣고 첨 보는 행성에, 안전장비도 없이 떡하니 내리질 않나
대원들 구한다고 또 2천명 실은 비행선으로 폭풍 속으로 기어둘어가지 않나,
비행선 안에서는 연달아 두 명이 에일리언 점액질 밟고 미끄러져 죽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와, 정말 나 정말 너무 황당해서 영화보다 육성으로 쌍욕했음
아니, 산소 농도만 맞으면 외계 행성에 막 살 수 있나? 그렇게 녹음이 시퍼런데 어떤 바이오스피어가 존재할 줄 알고???

1950년대 아시모프 영감님 소설에서도 이런 막장은 연출하지 않았다고....

미친 과학자, 미친 탐험가, 이제 미친 AI까지... 아오 정말.....

한 가지 소득이라면... 항상 아시모프의 로봇 시리즈를 영화로 옮긴다면 누가 다니엘 R 올리버에 적합할까 생각했었는데 역시 그래도 마이클 패스빈더였어!!! 그럼 지스카드는 누가 좋을까? 맥어보이? 안 돼 너무 귀염상이라서 ㅋㅋㅋ 기종은 낡아보이고 더 완고해보이는 인상이어야 한다고....

 

# Get out (조던 필레 감독, 2017)

 

 


세상에 무서운 현실 공포영화...
어쩜 그렇게 디테일을 잘 포착해내고, 추상 개념을 구체적 장면과 표현으로 담아낼 수 있을까 너무 깜놀함
갇혀 있는 몸과 정신, 하지만 아주 작은 창문을 통해서 자신이 심연으로 가라앉고 있음을 목도하고 있는 이들의 미칠듯한 눈물 한줄기...


가정부의 한없이 어색한 인조 미소와 어울리지 않게 하염없이 흐르던 눈물, 전직 재즈 뮤지션의 폭주하는 눈물과 "겟아웃"의 단말마 비명이 그토록 슬플 수는 없었다고... ㅡ.ㅡ


극도로 세련된 차별, 차별이 없어졌다고 믿는 세상의 차별에 대해서 이보다 잘 그려낼 수는 없을 것이여....
 

# 옥자 (봉준호 감독, 2016)

 

 

옥자와 미자의 트루러브 스토리...
말도 안 되게 투박하게 생겼지만 이루 말할 수 없이 총명하고, 그리고 현실에서 존재하지도 않는 생명체에 나도 모르게 빠져버렸다네...
강원도의 풍광도 너무 초록초록초록....

이보다 더 아기자기하고 예쁘고, 그리고 잔혹할 수 없는 봉준호의 동화...
감독의 한결같은 바가지 머리 취향은 두고두고 미슷헤리...

 

# 덩케르크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2017)

 

 


아이맥스 화면과 사운드에 압도 - 전쟁은 결코 멋있지도 통쾌하지도 않았음.
첫장면 골목 전투신부터 시작해서 망망대해와 끝없는 해변과, 그리고 하늘, 하늘... 자꾸만 뒤집히는 하늘...

전쟁이란, 그냥 뭣도 모르고 이리저리 쓸려다니다가 겨우겨우 살아남아 돌아오면 다행.
모든 것이 영화적 우연같지만, 실제로 전장에서 살아돌아온 이들은 모두 저런 우연의 우연을 거듭했을 것... ㅡ.ㅡ


영국판 국제시장이라고 하면서 국뽕이라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 상황이 실제이기도 했고, 대통령이 한강철교 끝고 먼저 피난간 국가의 시민 입장에서 보기엔 저들의 리더가 쿨하지 못하지만 정치적 책임과 연대란 저런 것이겠지 싶어 부럽더라구 ㅜ.ㅜ

 

톰하디는 얼굴 안보여주는 걸 커리어 전략으로 삼았나 왜 이렇게 꽁꽁 감추는 거야 ㅜ.ㅜ

다른 사람이랑 같이 있는 장면은 마지막 포로로 잡혀갈 때밖에 없으니 혼자 모형 비행기에 앉아 얼굴 클로즈업하며 연기했을 생각하니 그냥 짠하기만...


킬리언 머피는 심지어 엔딩크레딧에 이름도 없네 그려.. shivering soldier 라니!!!

왜 우리 머피에게 번듯한 역할 하나 안 주는 거야... ㅡ.ㅡ
마이클 케인은 초반 공군 작전 지시한 음성으로만 출연했다니, 놀란 아저씨의 사람 부리는 마법은 뭐람

영화 끝나고 우리 연구소 부추가 영국군 장군(케네스 브레너) 레미제라블의 그 경감 아저씨 (러셀크로) 아니냐고 해서 나 뒤집어짐 ㅋ 아 놔.. 우리 케네스 브레너에 대한 모욕이라고......

 

# 혹성탈출: 반격의 서막 (맷 리브스 감독, 2014)

 

 


긴장감 높게 엄청 촘촘하게 잘 만들었는데
인간 주인공 영화라면 젠더 불균형 땜시 욕좀 먹었겠지만 유인원이라 퉁치고 넘어감 ㅋ
사춘기 아들이란 자고로 집안 말아먹는 존재라는 것을 경고해준 의미심장한 영화라 할 수 있음...
코바가 쌍장총 들고 말을 몰며 폭주할 때, 무슨 상산 조자룡 등장한 줄 알았어 ㅋㅋㅋㅋㅋ

지옥에서 온 원숭이냐 ㅋㅋㅋㅋ

 

# 공범자들 (최승호 감독, 2016)

 

 


최승호 피디의 그 없는 취급, 경멸당하는 모습, 낯설지 않아... ㅡ.ㅡ
하지만 그의 뚝심에 새삼 존경...

우리 김재철님... 이렇게 앙증맞은 분인줄 미처 몰랐네 그려 ㅋㅋㅋㅋ 엠비도 한결같으셔...
방문진을 비롯하여 곳곳에 등장하는 우리 언론학 학자님네들.... 어쩜 이렇게 대쪽같으실까.....
세상에 가장 뿌리깊은 해악을 미치는 건, 조폭도 아니고 사기꾼도 아니고, 바로 이런 정신나간 학자들.... 하...
 
도대체 너네는 그동안 뭐하다 정권 바뀌고 나서야 목소리내는거냐, 라고 쉽게 말해버릴 수 없음을 조용히 깨달음. 내 눈에 안 보인다고 안 싸우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가끔은 까먹지...

 

# 여배우는 오늘도 (문소리 감독, 2017)

 


혼자 미친 듯이 웃고 공감하면서 봤음. 깨알같은 그 디테일과 풍자와, 영화에 대한 미칠 듯한 사랑이라니!!!!

문소리는 이제 직접 각본도 쓰고 영화를 감독해야 함.


본인의 자아성취나 예술혼 실현까지는 내가 잘 모르겠고, 온통 남탕 조폭, 아버지, 국뽕으로 얼룩진 이 한국 영화판을 구원해야 할 시대적 책무가 그녀에게 있음 ㅋ

한국에 뛰어난 여자배우들이 얼마나 많냐구.... 왜 그녀들이 맨날 말도 안 되는 장식품처럼 영화에, 드라마에, 예능 프로에 나와야 하는 거냐고..

 

# 멀홀랜드 드라이브 (데이빗 린치 감독, 2001)

 

 


다시 봤네...

어쩜 이렇게 기억이 불량품인지, 학생 때 본 줄 알았는데 그건 아니고 2000년대 영화여 ㅋㅋ
영화에 대해서 기억나는 거라고는 "저게 다 망상이다 + 저 여인 둘이 사귄다" 딱 두가지 ㅋㅋㅋ

계속 새로운 장면인 양 몰입해서 봤다니까 ㅋㅋ
그래도 이 영화 이후 한 번도 스크린에서 본 적이 없음에도 리타역의 로라 해링 얼굴은 너무 잘 기억하고 있음
나이 들면서 심장이 쪼그라든게냐.. 왜 이렇게 쫄리면서 보게 되는지 모르겠네 ㅋ

역시 이런 영화 너무 좋음.

한시도 긴장을 늦출 수 없고, 뭔가 수수께끼를 풀어야 하고, 영상과 음악에 빠져버리는...
심지어 실렌시오 클럽에서의 노래는 너무 고퀄이라서 깜놀....
이 영화를 첨 볼 때만 해도 나오미 왓츠가 누군지 잘 몰랐었지...
그녀가 이후로 승승장구해서 넘 좋음.

90년대 2000년대는 과연 어떤 시대였길래, 저런 영화가 쏟아지고
키노 같은 잡지와 정은임의 영화음악같은 라디오 방송이 생존할 수 있었던 걸까? 미슷헤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폭력의 감소 이해하기2

hongsili님의 [폭력의 감소 이해하기1] 에 관련된 글.

 

아니 글이 길다고 에러가 발생하네??

할 수 없이 두 개로 나눠서 포스팅...

 


Inner demons


*

인생에서 가장 폭력적인 시기는 청소년기와 청년기가 아니라 'terrible two"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러게 맞네...


*

moralization gap: violence triangle of aggressors, victims, and neurtral parties


*

본질적으로, 대뇌는 inner demons 도 아니고 better angels 도 아님. 이들은 폭력을 조장할 수도 억제할 수도 있는 인지적 도구!


* 폭력의 5개 범주


1) practical, instrumental, exploitative, or predatory

탐욕, 야망 같은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채택하며 seeking system에 의해 셋업되고 사람의 지능에 의해 전적으로 가이드 (dorso lateral prefrontal cortext). 공감이나 도덕적 고려 같은 억제 요인이 부재하는 상태이자, 희생자에 대한 적의도 없음


2) dominance

지배 경합에서 즉각적으로 걸려 있는 재화는 '정보'임. 특히 지배는 갱이나 고립된 사업장처럼 소집단 안에서 폭력으로 발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경우 파벌 집단 내부의 위계가 그의 사회적 가치를 전적으로 결정하기 때문. 테스토스테론은 남성들을 보다 공격적으로 만든다기보다, 지배 관련한 도전에 그들을 준비시키는 역할(testosterone fueled dominance or intermale aggression system ). 청년 남성이 더 폭력적이라는 것은 설명이라기보다 기술이며, 남성이 여성보다 왜 더 공격적이도록 진화해왔는지는 분명한 데 비해 왜 청년이 노인 남성보다 더 폭력적인가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하지 못함. 또한 낮은 자존감이 폭력의 원인이라는 오래된 대중적 착각이 있는데, 실제로는 폭력은 너무 낮은 자존감 때문이 아니라 해당이 없는 경우에조차 너무 높은 자존감 때문에 일어나는 것임. ㅡ.ㅡ  근데, 이런 퍼스낼리티로 예를 든 사람들이 무가베, 후세인, 카다피, 김정은, 이디 아민 등등이고 미국이 서포트한 미친 독재자들 이름은 어디에도 없음 (어리둥절!). 국가 수준의 사례로도 미친 나르시스트 없어서 전쟁없는 평화로운 국가로 캐나다, 뉴질랜드와 더불어 싱가포르 지목함. 아니 항구적 생존전쟁을 일삼는 싱가포르가 여기 왜??? 핑커 양반은 전쟁이 눈먼 민족주의와 나르시스트 지도자에 의해서 일어난다는 나이브함에 푹 빠져 있음. 인종 간 비폭력의 좋은 사례로 뉴질랜드, 말레이지아, 캐나다, 벨기에, 미국을 예로 드는 것도 제정신인가 싶음. 인종간 위계와 제도화된 비인칭의 구조적 폭력은 안 보임. 좋겠어! 전형적으로 자신의 역사를 영화로운 것으로 신격화하면서 타자를 사회적 계약으로부터 배제시키는 정부에 대해서 비판하는데, 이게 바로 이스라엘이라는 이야기는 또 하지 않지 ㅋ


3) revenge

 rage system에서 비롯. 심지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에서 세익스피어의 해결안 (사체 위에 정의가 구현)보다는 체홉의 해결책 (모든 사람들이 상처받고 실망하지만 여전히 살아 있는)의 선호한다는 소리에, 이게 가해자가 할 소리는 아닌거 같음


4) sadism (joy of hurting)

네 가지 동기는 macabre, dominance, revenge, sexual sadism. 그리고 사디즘은 문자 그대로 획득한 취향!


5) ideology

 true believers weave a collection of motives into a creed and recruit other people to carry out its destructive goals.

이데올로기가 가져올 수 있는 세 가지 병리는 polarization, abtuseness, animosity... 스탈린, 마오, 폴포트를 지적하되 일관되게 극우 독재자와 학살자들은 언급조차 없음.. 하.... 도덕적 판단을 흐리는 방식에는  euphemism (위해를 무언가 다른 것으로 프레이밍), gradualism, displacement or diffusion of responsiblity, distancing, deratation of the victim.. 어쨌든 이데올로기라는 악마에 대응하는 백신은 개방된 사회 ㅋㅋ 순수악이라는 신화에 대한 대안은 사람들이 마주치는 위해의 대부분이 모든 보통 사람에게서 발견되는 동기로부터 온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임 (뭔가 사디스틱함 ㅋㅋ).

 

Better angels


오늘날 empathy는 1960년대 love 가 담당했던 sentimental idea가 되었지만, 폭력의 감소요인으로는 과대평가 되었음.  분명, 폭력의 감소가 감정이입의 확장과 일부 관련은 있겠지만, 이는 보다 하드보일드한 속성인 사려깊음(prudence), 이성, 공정함, 자기통제, 규범, 타부, 인권 개념과 관련이 더 큼


1) empathy (feeling into; feeling or acting in the mind's muscle)


대중적으로 공감(sympathy)이나 연민(compassion)의 의미를 갖게 되면서 급격히 부상하게 됨. 대중 심리학의 다양한 개념들을 포괄하고 있는데, 다른 사람에 대한 호의는 그들인 척하고, 그들이 느끼는 것을 느끼며,  그들의 가죽슬리퍼를 신고 1마일을 걸을 때 그들이 느끼는 것을 느끼며, 그들의 관점을 취하고 그들의 눈을 통해 세상을 보는 것 등등을 포괄함.


원래의, 가장 기계적 의미에서 감정이입은 투사 projection 을 의미하며, 관련된 것은 관점을 취하는 기술임. 마음 읽기, 마음의 이론, mentalizing, empathic accuracy 등이 그러한 능력인데, 사실 마음 읽기는 다른 사람의 생각(자폐증에서 결여된 능력)과 감정(사이코패스에서 결여된 능력)을 읽는 두 가지 능력을 포괄함


공감은 타인의 기쁨이나 고통의 인식에 근거하여, 스스로의 안녕을 다른 존재의 것과 동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사람들이 다른 이들과 관계하는 원인이라기보다 오히려 그 결과이며 내생적이라 할 수 있음


그런데, 공감적 우려에 해당하는 도덕적 센스로서의 감정이입은 거울 뉴런의 자동반사가 아니며, 온/오프 되고 심지어 반대의 감정이입이 생겨날 수도 있음. 우리의 신경계에 감정이입 뉴런과 감정이입 센터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안으며, 타인의 상황,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의 성격에 대한 인식 주체의 해석에 의존하는 복잡한 활성화와 조정의 유형이 있을 뿐임. 연민의 의미에서 감정이입과 가장 가까운 뇌조직은  cortex, subcortical organ 이 아니라 오히려 호르몬 체계 (옥시토신)


지금까지의 심리학 실험에 의하면,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타인의 고통을 목도함으로써 겪는 자신의 곤경을 회피하려는 이기적 동기에서 타인을 돕지만, 희생자와 공감하는 경우, 그러한 행동이 자신의 곤경을 덜어주든 아니든 타인의 고통을 감소시키려는 동기에 의해 장애를 극복함. 그렇다면 폭력 감소와 관련하여 핵심 질문은 과연 공감이 외적으로 강제될 수 있는가 하는 것.

현실에서, 공감에 대한 관점 취하기의 효과는 도덕화에 의해 걸러지게 됨. 타인의 관점 취하기 훈련은 사람들의 공감 반경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


주의할 점은, 감정이입이 어두운 이면을 갖고 있다는 점. 보다 근본적 원칙은 공정함과 충돌해서 작동할 때  감정이입은 오히려 인간 안녕을 해칠 수 있음. 또한 감정이입은 인간 이해의 보편적 고려하는 힘으로 작동하기에는 너무 지엽적/국소적임. 실제로 감정이입의 반경은 인권의 반경만큼 확장하지 못했음.


궁극적 목표는 정책과 규범이 이차 천성이 되고 감정이입이 불필요하게 만드는 것이며, 감정이입은 사랑과 마찬가지로 당신이 필요한 전부가 아님 ㅋㅋ


2) self control


limbic grasshopper & frontal lobe ant ㅋㅋㅋ 이런 비유 넘 좋음 ㅋㅋ


전두엽님 - 가장 뒤쪽은 자극에 반응하고, 측면은 맥락에 반응하며, 전방극은 에피소드에 반응. 뇌영상 실험은 폭력이 변연계로부터의 충동과 전두엽으로부터의 자기통제 사이의 불균형으로부터 일어남을 보여줌


prefrontal cortex의 와이어링은 60대까지도 완전히 완료되지 않음. 폭력은 단지 자기통제 뿐 아니라 자기통제가 통제해야만한다는 욕구에 의존. 청소년기는 18세에 정점에 이르는 seeking system 에 의해 추동되는 sensation seeking의 시기이며, 테스토스테론에 의해 추동되는 남성-남성 경쟁이 증가하는 시기


지능은 범죄와 매우 상관성이 높음. 멍청한 사람들이 보다 폭력적인 범죄를 저지르며 폭력 범죄의 희생자가 될 가능성이 높음. 그러나 사람마다 다른 안정된 속성은 역사를 거치면서 폭력 발생률이 감소한 현상을 설명할 수 없음. 사람과 사회는 시간에 걸쳐 자기통제 속성을 육성하고, 폭력을 줄였다고 할 수 있음


다른 많은 메타포처럼, 자기통제가 물리적 노력이라는 설명은 사실. 마치 근육처럼 자기통제도 피로하게 됨 (ego depletion)


자기통제의 사회 수준 지표를 나타내는 것이 이자율.. 응? (ㅡ.ㅡ) - 장기 지향의 사회는 미래 보상을 향한 실용적 가치 (저축, 인내 등) 지향적이며, 단기 지향 사회는 과거와 현재 (민족적 자긍심, 전통 존중, 낯 세우기)와 관련된 가치를 촉진 == indulgence vs. restraint


이러한 심리, 뇌과학, 경제학 모두 인간이 폭력적, 비폭력적 충동을 조절하는 자기통제 속성을 장착하고 있음을 보여줌


최근의 생물학적 진화? - 행동유전학은 공격적 성향이 유전될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이는 인구집단의 평균적인 폭력 성향의 이동에서 자연선택에 구체성을 부여함 - 1) self-domestication and pedomorphy, 2) brain structure, 3) oxytocin (cuddle hormone), 4) testosterone, 5) neurotransmitter


3) morality and taboo


어떤 행동이 부도덕하기 때문에 (살인은 나쁘다) 회피하는 것과 그것이 단지 동의하지 않거나 (나는 콜리플라워가 싫다) 혹은 경솔하기 때문에 (모기 물은데 긁지 마라) 회피하는 것 사이에는 유의미한 심리적 구분이 존재. 첫째, 도덕화된 행동의 불승인은 보편화됨, 2) 도덕화된 믿음은 행동 가능함, 셋째, 도덕화된 범죄는 처벌가능함


아동발달과 역사, 진화에서 출현 순서로 도덕의 관계적 설명 모델 나열하면 communal sharing > authority ranking > equality matching > market pricing. 모든 사회에서 도덕성은 이러한 관계 모형들의 일부를 존중하거나 위반하는 것으로 구성됨.

communcal sharing 은 부족 구성원들을 단합하는, 순수하고 신성한 정수를 결여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을 배제하기 때문에 dehumanization 발생 / authority ranking 은 하층을 보호하고 지원해야 한다는 온정주의적 책임감으로 평화 과정의 심리적 근간을 이루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 비순응이나 불복종에 대한 폭력적 처벌을 정당화 / equality matching 은 눈에는 눈, 이에는 이의 논거를 제공 / rational-legal reasoning 은 그 자체로 폭력을 강제하거나 장려하지 않지만 이윤 추구를 위해 노예를 착취할 수도 있고, 공리주의자처럼 최대 다수의 최대 선을 추구할 수도 있음

도덕적 제도를 역사적으로 이렇게 이동시킨 외부적 힘이라면? 1) 지리적, 사회적 모빌리티 2) 역사에 대한 객관적 탐구


4) reason


좌측의 비판이론가와 탈근대론자, 우측의 종교 수호자들이 동의했던 바는, 두 차례 세계대전과 홀로코스트가 계몽 시대 이래 서양의 과학과 이성 가꾸기의 독이 든 열매였다는 것. 심지어 과학자들도 이런 의견에 동조. 하지만 모든 바보같은 짓들에도 불구하고 현대 사회는 점점 똑똑해지고 있으며, 똑똑한 세계는 보다 덜 폭력적인 세계 ㅋ

심지어 미국 자료 보면 대통령 아이큐 한 포인트 높아질 때마다 13,440명이 전쟁에서 덜 사망 ㅋ


피터 싱어의 '이성의 에스컬레이터' 비유: "우리가 에스컬레이터가 뭔지 이해하지 못한다면, 몇 미터만 가려고 올라탈지도 모른다. 하지만 일단 올라타면 끝까지 가는 걸 피할 수 없음을 알게 되고 만다. 마찬가지로, 일단 리즈닝이 시작되면, 그것이 어디에서 멈출지 알아채기 어렵다" "리즈닝은 근본적으로 팽창주의자"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빼어난 사상가의 산발적 출현에 의하여 동력이 생길 뿐 아니라, 모든 사람의 사고의 질에서 상승에 의해 그리 됨. 우리가 점차 스마트해지기 때문에 점점 더 잘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음


근데... 이 책의 논거들이 모두 진짜 폭력, 물리적 폭력에 한정되다보니 이러한 주장이 다 받아들일만한데, 사실 화이트칼라들의 구조적 폭력이나 금융범죄 갈은 것은 다 빠져나가는 경향. 일차원적 폭력을 덜 쓸 수는 있겠지만, 그건 그들이 굳이 몸을 안 써도 되기 때문이겠지. 스마트해진다고 선해지지는 않잖여.. ㅡ.ㅡ


지난 수십년 간 지능에서 산술, 정보, 어휘보다는 매트릭스와 유사성 점수 상승 (flynn effect). 이것만 보면 일반지능 g가 가장 상승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는 엄청 유전 영향이 크고 환경 요인에 의한 영향이 비교적 작음. 그런데 짧은 시간에 변한 걸로 보아, 상승 효과는 거의 확실히 환경 영향으로 보임. 여기에 미스테리가 존재하는데, 최근 알려진 것은 실제로 상승한 것은 일반 지능이 아니라는 것 - postscientific thinking


현재의 아이큐 테스트는 추상적이고, 공식적인 리즈닝을 포착. 이는 자신을 스스로의 작은 세계의 지엽적 지식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순수하게 가설적인 세계의 함의를 탐색할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음


이성의 평화 효과 - 이성의 힘은, 즉각적 경험을 밀어놓고 스스로를 지엽적인 시각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자신의 생각을 추상적이고 보편적 용어로 프레임하는 능력이며, 이는 더 나은 도덕적 헌신으로 이어질 수 있음. 지난 20세기에 사람들의 이러한 리즈닝 능력은 꾸준히 개선되었음


도덕적 진보와 관련된 리즈닝의 종류는 순수한 브레인파워 의미로서의 일반 지능이 아니라 추상적 리즈닝의 배양이라 할 수 있음. 에스컬레이터 가설은 합리성의 영향에 관한 것이지 (한 사회에서 추상적 리즈닝의 수준), 지식인들의 영향력에 대한 것이 아님. 리즈링 능력과 평화 가치의 연관성 - 1) 지능과 폭력적 범죄, 2) 지능과 협조, 3) 지능과 자유주의 (그런데 좌파 자유주의보다는 전통적 자유주의에 더 가까움) - " bright children become enlightened adults", 4) 지능과 경제문해력, 5) 교육, 지적 유창함, 민주주의, 5) 교육과 내전, 6) 정치적 담화의 정교화

 

천사의 날개 위에서


중요하지만 일관되지 않은 결과 - 1) 무기와 무장해제, 2) 자원과 권력, 3) 부, 4) 종교

정리하자면...


1) 리바이어던 - 시민을 서로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물리력을 독점한 국가는 가장 일관된 폭력 감소자

2) 신사적 상업 gentle commerce

3) 여성화 - 폭력은 남자가 너무 많은 문제가 아니라 젊은 남자가 너무 많은 문제

4) 공감 서클의 확장

5) 이성의 에스컬레이터 - 공감서클의 확장과 더불어, 동일한 외적 요인, 특히 문해력, 코스모폴리타니즘, 교육에 의해 동력을 얻음. 공감서클이 다른 사람의 시야를 갖고 그 사람이었다면 가졌을 감정을 상상하는 것이라면, 이는 올림푸스 산의 초이성적 시야로 올라서는 것임


성찰 -  근대성을 바라보는 방식 좀 바꾸자. 비감상적인 역사와 통계적 문해력은 근대성에 대한 우리의 시각을 변화시킬 수 있음. 이는 평화로운 과거에 대한 노스텔지어가 엄청난 착각이라는 것을 보여줌 ㅋㅋㅋㅋㅋ . 물론 근대성의 힘 (이성, 과학, 인본주의, 개인의 인권)이 한 방향으로만 꾸준히 작동했던 것은 아님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폭력의 감소 이해하기1

얼마만의 포스팅이냐.. ㅋㅋ 감개가 무량하구먼...
에버노트에 밀린 책과 영화/공연들이 즐비하단 말이다...
도대체 왜 그동안 포스팅을 안/못 했을까? 책읽을 시간, 공연 보러 다닐 시간은 있어도 포스팅할 시간은 없었더란 말이지... 지금도 연휴 끝자락 울면서 포스팅한다. 이렇게 연휴가 긴데, 보고서 쓰다가 세월이 다 저물 줄은 미처 몰랐다구 ㅜ.ㅜ
 
일단 오늘 정리할 책은, 스티븐 핑커의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나미비아 사막에서 읽었던 책인데 이제야... ㅡ.ㅡ
일단 책이 담고 있는 내용이 많으니 핵심 요약 정리부터...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 인간은 폭력성과 어떻게 싸워 왔는가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 인간은 폭력성과 어떻게 싸워 왔는가
스티븐 핑커
사이언스북스, 2014

 

폭력과 관련한 역사적 경향 6가지:

1) pacification process - 수렵채집 ~ 농경 사회, 도시, 정부가 나타나기까지 
2) civilizing process - 중세~20세기 (warriars to courtiers - due to leviathan & gentle commerce),
3) humanitarian revolution -17-8세기 계몽주의 (볼테르 "those who can make you believe absurdities can make you commit atrocities") - 읽기쓰기, 문자 혁명으로부터 비롯된 연민의 확장! (다른 이의 관점으로부터 세상을 볼 수 있게 됨 - 리딩은 perspective-taking technology!), 도덕은 복수심에 가득찬 신에 의해 명령되거나 책에 쓰인 자의적 규제 셋트가 아니며, 특정한 문화나 부족의 관습도 아님. 이것은 포지티브 섬 게임에 세계가 제공하는 관점과 기회의 상호 교환가능성의 그 여파 - 바로 이런 점에서 이성이 중요
4) long peace - 2차 대전 이후 
5) new peace - 냉전 종식 이후, 6) rights revolution - 1950년대 이후
 

폭력을 부추기는 우리 내면의 다섯 악마:

1) predatory or instrumental violence (practical, exploitative) 
2) dominance,
3) revenge,
4) sadism,
5) ideology - 유토피아 이데올로기가 제노사이드를 초래하는 이유는, 이것이 치명적인 공리주의적 계산을 하게 만들고 (유토피아에서는 모두가 영원히 행복하기 때문에 그 도덕적 가치는 무한함!), 말끔한 청사진에 부합해야 한다는 점 때문 (그래서 일탈은 용서되지 않고 전체주의로 나아감)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4인방:

1) empathy (sympathetic concern),
2) self-control,
3) moral sense,
4) reasons
 

폭력 감소에 기여한 다섯 가지 역사적 힘:

1) leviathan ( a state & judiciary with a monopoly on the legitimate use of force - law is better than war 홉스에 의하면 분쟁은 이득 predatory raids,  안전 preemptive raids, 평판 retaliatory raids 세 가지에 의해 발생하는데 리바이어던은 공지성과 무력의 독점을 통해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음),
2) commerce (postive-sum game, "gentle commerce - doux commerce"),
3) feminization 
4) comsmopolitanism,
5) escalator of reason
 
*
전반부 인간의 폭력과 잔혹함 묘사에 너무나 후덜덜....
지금의 시각에서 보면 정말 말도 안 되게 그로테스크하고 공포스럽고 잔인함. 하지만 렛츠고 시간탐험대에서 유머코드로 언뜻 드러나듯, 아름다운 목가적 과거 따위는 없음. 일상적 폭력과 되도 않는 위계, 잔인성에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지 않을 수 없다고.... 나는 이런 무시무시한 이야기를 아름다운 나미비아 사막 캠프 사이트에서 읽었단 말여... ㅜ.ㅜ
 
특히 성서의 잔혹함은 ㅋㅋㅋㅋ 그래서 폭력에 대한 감각은 사람들로 하여금 사람들이 성경에 나온 잔혹한 스토리를 분리하여 일종의 도덕적 상징, 메타포로만 받아들이면서 실질적 규범은 보다 현대의 원칙에 따른다는 지적에 격하게 공감. 나쁜 거는 다 메타포와 비유로 해석하고, 오늘날에도 받아들일만한 도덕적 규범들만을 성서의 가르침으로 인식하면서 종교의 효용과 가치를 논하는 거 보면 참 편리하다 싶음.  사후적으로 설명 안 되는 게 없는 전지전능한 하느님 ㅋㅋㅋ 그런 거 나도 해보고 싶네
 
"since they cannot defend a  belief based on faith by persuading skeptics it is true, the faithful are apt to react to unbelief with rage, and may try to eliminate that affront to everything that makes their lives meaningful" 이거 너무 절절함...
 
 
*
중세 시절 slavic  사람들이 하도 잡혀서 노예가 되었던 것이 slave 의 어원이라는 사실 식겁... 국가(리바이어던) 없는 게 이렇게 무섭습니다요... ??
 
 
*
폭력의 전반적 감소에 대한 경향성은 부인할 수 없어보이나, 최근의 두 차례 세계대전이 과연 아웃라이어로 취급되도 되는지는 심하게 의문...  그 두 개를 빼면 최근의 폭력은 매우매우 감소한 것이 사실이나, 너무 명명백백하고 규모가 대빵인 아웃라이어가 과연 아웃라이어인지???
 
*
폭력과 사회계급 사이에서 관찰되는 연관성은, (최소한 오늘날) 엘리트와 중산층은 법적 시스템 안에서 정의를 추구할 수 있는데 비해 낮은 계급은 '자조'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해석에  동의함.
 
*
흔한 오해와 달리 1) 폭력은 도덕과 정의가 부족하기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행위자가 도덕과 정의를 추구하기 때문에 발생. 또한 2) 폭력은  정신질환 때문에 생기는 것이 결코 아님 (분노조절 장애가 진짜 아무 데서나 폭발하는 게 아니라 만만한 상대 앞에서만 폭발하는 한국의 상황을 보라구 ㅜ.ㅜ). 3) 낮은 사회계급이 절대적 필요에 의해 폭력을 저지르는 것은 아니며 상처입은 자존감에 대한 감정적 분노가 더 큰 역할. 특히 젊은 흑인 남성들이 살고 있는 곳은 실질적으로 법적 체계, 리바이어던이 존재하지 않는 곳이라 할 수 있음
 
*
미국 폭력의 역사를 서술하면서 freakonomics의 추론, 즉 낙태시술이 합법화되면서 잠재적 범죄자들을 낙태해서 90년대 폭력이 줄었다는 가설을 반박하는 건 좋은데 (가장 리스크 낮은 집단이 실제 낙태 시술했고 고위험군은 오히려 서비스 이용하지 않았다), 뭔가 인종주의와 보수주의의 아슬아슬한 경계에서 위태로움
 
*
이 책에서 가장 불안하고 맘에 안드는 부분은.. 이데올로기에 대한 평가와 모든 폭력을 동일 선상에 놓는 것. 이를테면 분할통치로 갈등이 조장되었던 식민지 민족국가들이 해방 직후 '식민모국-선진국' 이 철수한 이래 내전에 빠져드는 게 해방되었다는 사실 그 자체 때문임? 리바이어던이 사라지고 아직 미개해서??? 1차 대전 즈음 민족자결주의에 대해서도, 실제로는 nation 이라 할 만한 실체가 없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것이 그저 이데올로기 일 뿐이라고 지적하지만, 반/식민지에서 차별을 경험해본 인도나 조선, 중국 입장에선 정말 어이가 없는 발언 아닌감?. 민족자결주의로 민족이 호명된 것이 아니라, 제국주의가 민족/국가 범주를 통해 착취와 수탈을 제도화하면서 오히려 민족이 생겨난 거 아닌가 말여.... 조선 사람들이 뭐 그렇게 애국애족심이 있었겠냐구.. 임진왜란 때 왜구보다 양반들 때려잡은 거 보면 알잖여? 하지만 일제 지배가 공고화하면서, 정체성을 기반으로 차별과 수탈이 일어났고, 그래서 운동도 그렇게 만들어진 거잖아.... ㅡ.ㅡ  아자씨 해석에 의하면 후발 민족국가들의 투쟁은 모두 헛짓이 되어버림. 게다가 사회주의가 국제주의 시각에서 전쟁에 반대한 것도 모르는지, 무시한 건지.. 그저 예외적 사례로 취급함. 사회주의는 악의 근원이니까 전쟁에 반대할 리가 없다는 겐가??? ㅡ.ㅡ
 
게다가 제국주의 국가들이 마구 그어놓은 국경선이 비논리적이지만 그래도 존중해야 한다는 논리는 전형적인 status quo ... 없는 의미도 만들어내서 현존 질서를 정당화하다니... 피식민국가 내부의 갈등이 제국주의에 의해 촉발된 것은 안중에도 없고, 사람들이 미개해서 한줌도 안 되는 자원낭비하며 헛짓한다고 생각함.... 
 
전후 가장 치명적인 갈등으로, 미친 지도자가 있었던 중국, 한국, 베트남의 공산주의 레짐을 꼽다니, 다 참고 살아야 했던 거구나. 베트남 민중들도 민족해방 투쟁이고 뭐고 하지 말고.... 심지어 호치민을 North Vietnamese dictator 라고  표현함.. 와...
 
폭력이 좋을리는 없지만...  사회정의 같은 가치를 훼손해서라도 무해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면 좋은 걸까? 난 정말 동의가 안 됨. 
심지어 미국 남부의 흑인과 백인, 점령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사람들, 아파르트헤이트 남아공에서의 흑인들처럼 서로 불신하고 경멸하는 이들도 제노사이드하지 않고 공존할 수 있다고 함. ㅋㅋㅋ 이미 천천히 제노사이드 했잖여... 이걸 말이라고 함? 직접 폭력만 아니면, 폴 파머가 이야기한 구조적 폭력(structural violence) 등은 우습다는 건가... 하아.....
발전 국가 내에서 국내 테러리즘은 사라져 가고 있다면서, 이스라엘 보라고.. 여전히 현존하고 있지 않냐고 이야기하는 데 나 뒷목 잡았음.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이스라엘에서 테러 자꾸 일으켜서 오히려 그들에 대한 공감이 전부 사라지고 테러를 없애겠다는 의지만 키웠다니.. 난 아닌데??? 심지어 팔레스타인 자살 폭탄에 대해서는, 남은 형제들이 신부를 살 수 있는 금전적 보상이 주어져서 그의 희생이 재생산 관점에서도 뜻있게 만든다는 해석도 함...  그리고 내세에서 해피밴드에 조인할 가능성이 늘어난다고...  
 
심지어 잘못된 위험 인식이 정책에 악영향 미친 사례로 스리마일 섬 이야기함. 실제로는 아무도 안 죽었고 암 발생률도 증가 안 했고, 오히려 원전 개발이 억제되면서 지국 온난화에 악영향만 끼쳤다고 이야기함
 
뿐만 아녀. 인본주의 혁명의 폭력 감소 효과를 뒤집은 '낭만주의' 운동 중 하나로 사회주의를 지적함. 그 이전 어느 이론보다 냉정하고 이성과 합리성에 충실한 이론이었는데 이를 낭만주의 운동으로 분류하는 것은 그야말로 불가해.. ㅡ.ㅡ
20세기 대량 학살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 공산주의 ㅋ 심지어 히틀러도 그 영향을 받음 (왜냐, 국가사회주의니까 ㅋ)
 
*
정치경제와 심리학의 층위가 다르다는 것을 책을 읽으며 실감함.
예컨대 히틀러가 없으면 홀로코스트가 없을 것이라는 해석에는 동의하기 어려움. 물론 홀로코스트처럼 괴랄한 형태의 극단주의는 카리스마 리더의 영향이 크다는 데 동의하지만, 독일 제국주의에 대해서 과학기술/산업자본의 팽창, 만연한 우생학과 인종주의에 대한 정치경제적 분석 없이 미친 놈 하나 때문으로 해석하는 건 너무 한 거 아님???  
그리고 특이하게도... 이데올로기에 의한 폭력의 광품을 다루면서 인도네시아나 라틴아메리카 등지에서 벌인 우파들의 난동은 언급하지 않음 ...  그저 사회주의가 원죄임... 
 
전쟁/폭력 설명 위해 회귀분석 결과들 차용한 것도 너무 웃김. 개인 수준에서 폭력이 감소한 것은 이해 하겠으나, 국가 수준에서 폭력이 감소한 것을 정치경제 없이 심리적 요인으로 과연 설명할 수 있나? 이건 전형적인 원자론적 오류 아님? 자본주의 성장과 제국주의 수탈, 전쟁이 아닌 구조적 폭력 그 자체에 대서는 너무나 모른 척..
 
"통계에서 놀라운 점 중 하나는 흥미진진한 일들, 이를테면 즉각 독립, 천연자원, 혁명적 마르크스주의, 선거 민주주의가 폭력으로 인한 사망을 증가시킬 수 있고, 지루하게 들리는 것들, 예컨대 효과적인 법집행, 세계경제에의 개방, 유엔평화유지군 등이 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임"
찰스 틸리 영감님은 이데올로기가 불평등을 적용하고 모방하여 영속시키는 도구이고 그 과정에 강압으로서의 폭력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단 말여. 그런데 핑커는 아무런 배경도 없이 이념이 폭력을 초래한다고 주장함. 왜? 그냥 미워서...??
 
*
여전히 국가의 통제기능이 약하고 저개발 상태인 국가들에서 폭력/전쟁 발생하는 게 그래도 부국과 빈국 모두에서 발생하는 것보다 낫다는 논리는 정말 미친 게 아닌가 싶음.  선진국에서 전쟁 발생하면 데미지가 더 크니까... 응응응?? 이거 너무 공리주의 나쁜 사례 교과서잖아?
 
*
사회과학이 '정치적 올바름' 때문에, 인종적 적대감을 재도입할지 모른다는 과도한 두려움 때문에 nature-nurture 대조에서 지나치게 nuture 로 경도되었다는 지적에 동의는 하면서도 뭔가 아슬아슬... 인간 본성에 관한 정치화된 부정은 인간 본성에 관한 특별히 어두운 이론을 전술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배신하게 된다는 지적에는 물론 동의 
 
*
페미니즘은 남성에게도 좋다네.. 대개 여성이 정부와 전문진에 더 많이 포진하는 국가일수록, 근로소득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국가일수록 여성들이 배우자 폭력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낮음. 또한 보다 개인주의적인 문화일수록 (사람들이 스스로의 목표를 추구할 권리를 가진 개인으로 느낌), 집합주의적으로 분류된 국가들보다 (사람들이 공동체의 일원으로 느끼고 공동체의 이해가 스스로의 것보다 선행한다고 생각하는 곳) 가정 폭력이 적음
 
*
역시 아동권리에 대한 발상 전환의 중요한 계기로 루소 등장함. 원죄에서 원초적 무지로 프레임을 전환함 (그런데 자기 애들 갖다버리는 건 뭐임 ㅡ.ㅡ)
 
*
동성애공포에 기반한 폭력은 그야말로 인간 폭력의 카탈로그에서 매우 신비로운 위치 ㅋㅋㅋ 왜냐하면 이는 가해자가 아무 것도 얻을 게 없기 때문.
하지만 아니여, 핑커 아자씨가 한국의 반동성애 기독교 또라이들을 못봐서 그럼 ㅋㅋ 하느님의 나라를 지키겠다는 열망, 가족과 자녀를 지키겠다는 열망, 혹시라도 성적 응시와 성폭력의 피해자가 될 수도 있다는 남성들의 미친 피해의식이 엄연히 존재하잖여... ㅋㅋ 이건 실재라고...
 
*
권리 혁명의 외적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에 돈을 걸으라면 아이디어아 사람의 이동성을 높인 기술에 걸겠다는 말.. 에 나도 동의
 
 
그럼 하나씩 살펴볼까나? --- 2부에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밀린 영화와 공연 기억들

탄핵은 되었지만, 싸움이 쉽사리 끝나지 않을 것임을 만천하에 과시한 빌런의 퇴장에....

아, 생각보다 강하고 질긴 상대였어... 새삼 깨달음.

밀린 포스팅이나 하며 가출한 어이를 기다려보자고.. ㅡ.ㅡ

 

 

#, Nell C 콘서트
 
 
포스터이미지
 
 
이번 앨범 뭔가 분위기 묘하게 다름. 아마도 현악기 느낌을 내는 신디 편성이 두드러진 것과 관련 있는 듯. 일렉트로닉 기타 중심의 연주가 거칠고 정통 록 분위기를 좀더 강하게 보여준다면, 뭔가 유로팝스러운 느낌이 더 강해졌달까.... 그런데 은근히 중독성이 있는데다 현장에서 듣는 이들의 연주와 노래는 더할 나위 없이 훌륭했음... 갈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은근히 조명을 잘 다룸.. 
 
물론 공연의 클라이맥스는.... 정드러머의 공중부양 ㅋㅋㅋㅋ
콘 때마다 개인기 하는 거에 은근 맛들인 듯... 정말 공연장이 떠나가는 줄 알았슴.. 팬들의 열화와 같은 반응 ㅋㅋㅋ
 
그런데 공연 시작 직후부터 내내 전면 스피커 작동하지 않는다른 컴플레인이 줄을 이었음.
문제가 된다고 해도 공연장 측에서는 반응을 하는지 안 하는지... 왜 아티스트들이 나서서 일일이 그런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 잘 이해는 안 갔다고...

 

#. 스페이스 공감 [두번째달]
 
상세 이미지
 
 
양방언 캐주얼 버전
여름, 아니 가을이 더 좋겠다...
서늘한 한줄기 바람과 청명한 밤하늘을 떠올리게 함

정자에 앉아 맑은 술과 함께라면 정말 금상첨화겠지!!!

 

# 국카스텐 연말투어 [Happening]
 
포스터이미지
 
 
이제 가히 국민 밴드인지라 관객 연령층이 너무나 다양해서 깜놀...
분명히 어디 산악회나 동네 계모임에서 같이 오신 듯한 분들이 ㅋㅋ
체육관 사운드가 정말 거지같아서 아쉽기는 했는데,
저들의 실력은 현장을 헤쳐나가며 계속 성장하는듯... 지켜보는 기쁨을 주는 밴드

 

# Sigur Ros
 
 
포스터이미지
 
 
와와와... 정말 눈감고 사운드에 젖어들면서 눈물이 찔끔 났음
저런 연주, 저런 보이스는 어떻게 가능한 거냐고 ㅠㅠ 
아무리 저장매체의 음질이 좋아도 현장의 그 터질 듯한 사운드와 공간감은 정말 무엇으로 대체할 수 없음
 
오늘 특히 무대조명과 영상 컨셉은 지옥에서 살아돌아온 사탄의 밴드 ㅋㅋㅋㅋ
 
 
# 잭 스나이더 감독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 (2016년)
 
 
 
 
혼세마왕 나온 줄 알고 깜짝 놀람. 성층권으로 데려가는 거 보고 진심으로 빵 터짐 ㅋㅋㅋㅋ
 
닐 타이슨 아자씨 저기 왜 나오신겨.... 품격 떨어지게....
 
정말 잭 스나이더 특유의 허술미에 영화 보는 내내 빵빵 터짐. 이건 일종의 신종 개그 장르???
마더 이름이 마사인 것은 애교..  엄마 이름 같다는 이유만으로 둘이 갑자기 친구됨...
로이스 레인은 세상에 없는 민폐캐릭터... 참 저렇게 사람 찐따 만들기도 쉽지는 않았을 것....
정말 총체적 난국이라는 말로밖에 설명할 수 없는 영화라니....
크리스토퍼 놀란은 과연 장인이었단 말인가...
잭스나이더는 어떻게 계속 영화를 만들 수 있는 건지 진심으로 궁금해짐. 알고보니 아빠가 헐리우드 대주주??? 이 정도 되면 매장될 만도 한데 ㅜ.ㅜ
 
 
# 기에르모 델 토로 감독 [크림슨 피크] (2015년)
 
 
미아 와시코프스카 너무 좋음. 드레스 입고 귀신 잡는 해병대 ㅋㅋㅋ
타자기로 소설 쓰는 신흥 부르조아의 딸이라니, 일단 멋짐...
심지어 '평생 독신으로 살아간 제인 오스틴'이 아니라 '미망인이 된 메리 셀리'가 되고 싶다고 잠재적 시어머니에게 쏴대는 모습에서 혼자 빵 터짐 ㅋㅋㅋ
 
톰 히들스톤이랑 차스카 채스테인이랑 다들 연기 너무 잘하고 미장센도 너무 아름다운데...
캐릭터가 좀 과하게 나갔다는 게 문제...
난 이들이 뱀파이어인 줄 알았다고.....
 
 
# 김지운 감독 [밀정] (2015년)
 
 
 
경성에 잠입한 비밀 독립군인데 10리밖에서도 보이는 훤칠한 키에 꽃미모라니.... 
공유만 나오면 몰입이 깨짐ㅋㅋ
그리고 이병헌은 정말 언제 저렇게 훌륭한 배우가 되었나.... JSA 에서 '아니 저 자가 연기란 걸 하다니?'하며 깜놀 했었는데, 이제는 부정할 수가 없게 되었다고.. ㅡ.ㅡ
사람을 대하고 내 사람으로 포섭하는 극중 정채산의 능력에 주사파 활동가의 이미지가 겹친 건 나의 편견... ㅋㅋ
 
송강호 배우는 이제 정말 입신의 경지... 그의 얼굴이 장르가 되어 버림...
저 애매함과 흔들림, 아마 본인도 쉽사리 판단하지 못할 복잡한 정체성의 이동을 저리도 잘 표현해낼 수 있다니...
 
확신을 가진 소수와, 흔들림 속에서도 순간순간 무언가를 판단하며 어쩌면 자신의 의지와는 조금씩 엇나가게 질주해 나갔던 많은 사람들의 행동이 모여 오늘날의 상황이 만들어졌다는 걸 다시한번 구체적으로 실감하게 해 주는 영화... 
 
시골 애들 데려다가 폭탄이나 던지게 한다고 독립이 올 것 같냐는, 지들끼리 임시정부라고 모여 앉아서 장관이랍시고 여기저기 돈 빌리러 다니는 모습이 짠하다는 친일세력들의 조롱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지라 마냥 과거의 일로 '감상'할 수는 없었다는...
저렇게, 어쩌면 한점 그림자도 남기지 못하고 사라져간 사람들의 목숨을 딛고 오늘 여기에 서 있는 건데, 그게 또 쉽사리 결판도 안 난다는 게 문제...
 
 
# 켄 로치 감독 [나, 다니엘 블레이크] (2016년)
 
 
 
따뜻한 희망을 주는 영화라니, 내가 뭘 놓친 겐가? 어디서 희망을 찾아야하냐고 ㅜ.ㅜ
 
난 사람들이 이 영화를 비인간적 관료주의에 대한 비판으 읽는 것이 너무 싫음 
성과 연봉제와 경영평가, 외주화를 추동한 세력에 대해 이야기하지않고 우스꽝스러울 정도로 경직된 관료의 무능력과 비인간성을 이야기하는 건 너무 피상적 이해 아닌가 말여...
저 관료들 또한 소외된 노동에 종사하고 있고, 어쨌든 공평하게 원칙대로 일을 처리하려는 국가의 완손을 놀려먹는 건 하등 의미가 없지 않은가 ㅠㅠ
입장을 바꿔 소외된 노동에 종사하는 복지사의 딜레마를 보여주는 영화였다면 또 얼마나 진상고객과 상사를 욕했겠어 ㅠㅠ
 
말단 공무원과 빈곤층의 대립으로 해석되지 않았으면 좋겠는데 아오 불길해... 
전화대기 두 시간 걸리는 건 관료주의 잘못이 아니라 전화응대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잖여 ㅠㅠ 좌파가 집권하고 평등주의가 꿀처럼 넘친다해도 관료제의 효율성은 버릴 수 없어
우리는 이런 제도를 설계한 아키텍트를 비판해야 함
 
 
# 가렛 에드워즈 감독 [로그원: 스타워즈 스토리] (2016년)
 
 
 
 
스타워즈 팬이 아니라도 즐길 수 있는 깔끔한 스페이스 오페라
하지만 오래된 팬이라면 진정 눈물을 삼키며 보았겠지 ㅠㅠ
아 저렇게 지도를 구했구나, 저렇게 많은 이들이 흔적 없이 스러져갔구나 ㅠㅠ
하필 며칠 전 레아공주 세상 떠났는데, 마지막 디스크 전하는 장면에 울컥한 건 나만이 아니겠지
심지어 인딩 크레딧에도 캐리피셔가 올라왔다구 ㅠㅠ
 
AT-AT와 엑스윙들, 잠깐 등장한 알투디투... 
실재하지 않는 세계에 나는 애틋한 고향의 향수를 느꼈다고 ㅠㅠ
 
와이파이 속도는 역시 한국이 짱인데 저 느려터진 업로드와 물리적 드라이브 분할만 아니었어도 빨리 문제를 해결하고 다들 살 수 있었을텐데, 아이고 아쉬워라 ㅠㅠ
 
그리고 남주 디에고 루나가 유병재 닮아서 어느 순간부터 얼굴 나올때마다 집중 불능 ㅋㅋ
우리 다스베이더가 샤우론네 집에 함께 사는 줄은 일찌기 몰랐네 ㅋ
견자단 아저씨 너무 컬트 미치광이로 묘사되어 살짝 빈정 상했지만 그래도 제다이 후손이라 조금 위로가...
 
# 드뉘 블뇌브 감독 [컨택트 a.k.a. 어라이벌] (2017년_
 
 
 
왜 제목이 이따구인가... ㅡ.ㅡ
심지어 수입사에서는 컨택트라는 영화가 있었는지를 몰랐다고 하니, 이런 사람들이 영화수입업에 종사할 자격이 있기나 한 건지.. ㅡ.ㅡ
 
원작 소설에 없던 부분, 특히나 시각적 형태로 구현되지 않았던 문자체계를 발명(?)하고 문자텍스트에 최적화된 서사 구조를 극적 장치로 전환하여 그려낸 부분에서 영화는 빼어남.  에미미 아담스의 연기도 나무랄 데 없음. 슈퍼맨 시리즈에서 이런 배우를 천하 민폐녀로 만들었던 감독 욕을 다시 하지 않을 수 없음.
제러미 레너는 어벤저스 시리즈에서의 얼빵한 모습과 영화쇼케이스에서 보여준 진상남 이미지 때문에 집중이 안 되더라구..  저 얼굴에 물리학자일리가 없잖아.. 저 다정함과 존중은 다 페이크라고, 얼릉 피해!!  이런 말을 하고 싶었단 말이지..
이건 영화 컨택트에서 조디포스터 가는 길마다 걸림돌을 콱콱 놓던 매튜 매커너히한테 던지고 싶던 말이기도 했지...
 
암 것도 안하고, 공격 포메이션도 아닌데 굳이 선제공격하는 걸로 나오는 중국 이미지도 어이 없음.. 전화 한통화에 마음 돌리는 중국 장군은 찐따인가.. ㅡ.ㅡ
그러나 이런 소소한 불만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전반적으로 아름답고, 군더더기 없었으며, 음악이 몹시 아름다운 걸로 기억되는 영화.... 
 
하지만 트위터에서 보았던 문과의 인터스텔라라는 말은 지금도 이해가 안 됨.
아마도 칭찬이라고  한 거 같은데 인터스텔라 과학적으로 정말 거지같았다고..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과학과 이성에 대한 책들

 

# 올리버색스 [깨어남]
 
 
 
고통에 빠졌던 이들을 생각한다면 신비롭다는 표현이 적절할지 모르겠지만, L-dopa에 의해 그야말로 깨어남을 경험한 이들을 본다면 그저 신비롭다는 표현밖에 할 수 없는, 기면성 뇌염 환자들의 놀라운 깨어남과 시련, 적응에 관한 이야기...
 
수십년 만에 깨어난 순간, 그토록 오랜 "갇혀" 있던 삶에서도 내면이 시들지 않았다는 점을 경외감으로 바라보지 않을 수 없었고,
하지만 그 이후의 걷잡을 수 없는 시련에 가슴이 철렁 ㅡ.ㅡ
어쩌면 잠깐의 깨어남만 맛보고 다시 심연의 세계로 침잠해야 하는 그 시련이 너무나 격렬하여, 과연 이러한 투약이 윤리적으로 적절한 것이었나 책을 읽는 내내 마음이 조마조마조마... ㅜ.ㅜ
 
'내게 있는 것은 어떤 끔찍한 실재다.. 그리고 어떤 끔찍한 부재가 있다"
 
 
이 한 마디에 담겨 있는 차마  몇 마디로 풀어낼 수 없는 고통을 감히 이해할 수 있을까...
 
"나는 지옥이란 그 누구도 살아서 돌아오지 못하는 곳이라고 생각하곤 했다. 그러나 나의 환자들은 돌아왔다. 돌아온 이들에게서는 그 경험의 자국이 영영 지워지지 않는다."
 
샌드맨의 유폐가 이 사건을 모티브로 한 것이었나 의문이 들어 찾아보니 정말 그러네.....
영원히 잠들고 꿈이 사라진 세계라니....
 
 
# 마이클 셔머 [사람들은 왜 이상한 것을 믿는가]
 
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
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
마이클 셔머
바다출판사, 2007

 

너무너무 기대하며 봤는데 생각만큼 속시원하지는 않음.
굉장히 미국사회 맥락 의존적임 한국이라고 다르지야 않겠지만 구성하는 사례들이 그렇다는 소리...
걱정인 건 이러한 괴상하고 황당한 믿음일수록 전염력이 강해서 시차를 두고 한국에 재현된다는 점 ㅡ.ㅡ
 
 
회의주의는 '입장'이 아니라 주장에 접근하는 '방법'이며 과학 또한 '주제'가 아니라 '방법'이라는 언술은 무척이나 명쾌함.
 
회의주의의 열쇠는 '아무 것도 모른다'는 회의와 '어느 것이든 괜찮다'는 미혹 사이의 불안정한 지협을, 과학의 방법을 쉬지않고 적용하면서 빠져나가는 것
 
 
인용해놓은 스피노자의 발언은 지금, 여기에서, 매우 유효함
 
내가 지금까지 쉬지않고 노력해온 목적은 사람의 행동을 조롱하기 위해서도, 통탄하기 위해서도, 모욕하기 위해서도 아니다. 바로 사람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다른 사람의 믿음체계가 아무리 엉뚱하고 근거가 없고 해롭게 보인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덮거나 숨기거나 억압하거나 아니면 최악의 경우 국가의 힘을 빌려 억눌러서는 안되는 논거를 다음과 같이 제시함
1) 그들이 옳을 수 있음
2) 그들이 부분적으로 옳을 수 있음
3) 그들이 완전 잘못이지만 그것을 검토함으로써 진실을 찾아내고 그 과정에서 생각의 기술 연마 가능
4) 과학에서 절대적 진리를 아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늘 유심히 살펴야함
5) 다수에 속했을 때 관용 베풀면 소수에 속했을 때 관용 얻을 가능성 커짐. 예컨대 검열 메커니즘 확립되면 정세 역전 시 우리에게 검열의 칼날이 날아올 수도 있음
 
그런데 혐오 발언이나 차별 논거의 "실질적" 해악을 과소 평가한건 아닌가 우려됨 ㅠㅠ 물론 검열 그 자체가 위험한 것은 틀림없지만 논리와 이성으로 설득되고 억제하기 어려운 무대포 믿음은 어쩌라고 ㅠㅠ
 
어쨌든 사람들이 이상한 것을 믿는 이유는 요약하자면...
1) 크레도 콘솔란스 credo consolans : 내 마음을 달래주기 때문에 믿는다 (철학적 유신론)-- 과학이나 이성으로 해결할수 없는 형이상학적 문제에 직면했을때 신앙의 도약을 인정한다고 저자는 이야기하지만 난 싫음 ㅋ
2) 즉석 만족
3) 단순성
4) 도덕과 의미: 현재의 과학 혹은 비종교적 체계로는 도덕과 의미에 대한 설명이 불만족스럽다는 것. 과학은 차갑고 잔인한 논리라는 건데, 과도한 뜨거움이 더 문제여 ㅋㅋ
5) 영원히 마르지 않는 희망 - 이게 진짜 문제. 나 좋을대로 생각해서 믿어버리는 것에는 정말 약도 없음
 
그래서 마이클 셔머가 주는 메시지는
"Cogita tute ㅡ 스스로 생각하라" 이지만,
이렇게 안 하기로 작정한 사람들에게 어떻게 스스로 생각하라고 하냐고... ㅜ.ㅜ
 
 
# 레베카 솔닛 [A Paradise built in hell]
 
 
 
솔닛의 책 처음 읽었는데... 부정적 느낌만 싸~~~
.
밑도 끝도 없는 아니키적 자율주의에 대한 상찬과 제도화된 권력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은 낯선 것도 아니여...
담론의 균형을 놓고 본다면야 사실, 시민참여와 자율성을 강조하고 관료주의의 경직성과 엘리트의 민중 불신에 대해 비판하는 것을 적극 권장할 만하다만.....
역사적으로 제도와 권력의 공백이 사라진 곳에 자율적 평화보다는 카오스적 폭력이 횡행하지 않았냐 말이여... ㅜ.ㅜ 특히 여성과 소수자, 사회적 약자에 대한 폭력.... 
제도화된 권력으로서, 합법성을 부여받은 폭력으로서 국가에 대한 불신은 건전한 비판이라고, 하지만 그것이 국가와 제도는 사라져라, 알아서 놔두면 주민들끼리 알아서 다 잘 할거야... 이건 아니잖여.. ㅜ.ㅜ
 
타인의 고통에 연민을 갖고, 위기 상황에서 기존 질서와 제도를 넘어서는 협력의 포텐셜이 터지는 것은 참 아름답지... 기존의 강고한 제도가 사라진 곳에서 자기효능감을 획득하는 것도 쉽고...
하지만 책에 달아놓은 메모 "밑도 끝도 없는 낙관에 질식할 지경"이 나의 심정을 잘 드러냄
 
긍정적인 사례에 대한 삽화적 근거만을 제시하는 것으로는 논증을 뒷받침할 수가 없다고요...
이것이 학술서적이 아니라 실천적 담론을 강화하는 것이라면, 더더군다나...
실패와 성공의 사례들을 검토하고 그로부터의 교훈들. 특히나 국가가 실패하는 이유, 혹은 시민이 실패하는 이유와 조건, 성공하기 위한 여건과 조건들을 꼼꼼하게 살펴보아야 나중에 그렇게 할 수 있지 않겠나...
 
자연발생적으로, 위기나 재난이 터지면 알아서 다 잘 될 거라고 기다릴 건가???
뭐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것, 우리는 잘 하고 있어라는 믿음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면야 의미가 있겠지만...
 
사실 세월호나 메르스 보고서 쓸 때, 시민참여에 대해서 누구보다 강조했지만,
여전히 일차적 책임은 정부에 있고 어떻게 인권과 참여 민주주의를 존중하고 강화하면서도 정부의 책무성을 강화할 것인가가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나로서는 "시민들이 알아서 자발적으로 할테니 정부 빠져... 정부가 끼어들고 나서 생동감이 사라졌어!" 이런 거 너무 위험하다고.. ㅜ.ㅜ
 
심지어 "매일의 일상이 이미 재난 상태라, 실제 재난이 우리를 해방시킨다"니... 와... 위험 불평등은 갈아 드셨나.... 매일이 재난인 사람은 진짜 재난 닥치면 그레이트 재난에 처하게 된다고.. ㅜ.ㅜ
 
물론 지배 엘리트들이 재난 상황에서 민중을 2차적 재난으로 생각하고 패닉에 빠져서 강압적 통제를 하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적절한 비판이라고 생각함. 한국의 메르스나 세월호 때에도 우리는 보았지..
그렇다고 해서 정부 물러나라고 하면 그만한 물리력과 자원을 가진 정부가 없는 곳에서, 아무런 이해관계도 갖지 않은 순수한 시민들과 비정부기구들이 협력할 것이라는 생각은 잘해야 망상....
거버먼트와 거버넌스의 개념을 혼돈한게 아닐까 싶음
 
지배 엘리트를 설득하는 사례로 소개하기에는 좋으나,
지금 여기 한국사회에서 필요한 것은 오히려 합리적 국가의 제도적 개입이라는 점에서 아쉬움이 몹시도 큰 책...  
 
* 뱀발: PTSD 개념의 오용과 과용, 소위 trauma industry 지적하는 것에는 매우 동의  

 

#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도서관 대출 순서 1년 기다리다가 결국 사서 읽었음 ㅜ.ㅜ
몹시 흥미로웠는데, 후반부로 가면 어째 좀 기력이 떨어지는 느낌?
 
호모 사피엔스의 성장과 번성 과정을 네 가지 테마로 풀어감
1) 인지혁명 - 근력도 약하고 어디 특출난 데가 없지만, 인지혁명을 거치며 생태계의 가장 위험한 (ㅜ.ㅜ) 종으로 자리잡게 됨
2) 농업혁명
3) 인류의 통합 - 여기에는 돈, 제국, 종교
4) 과학혁명
 
"스스로 무엇을 원하는지도 모르는 채 불만스러워하며 무책임한 신들, 이보다 더 위험한 존재가 또 있을까?"
 
후덜덜.. 아이쿠야....
 
1) 인지혁명
 
자연도태와 적자생존이 진화의 법칙이기는 하지만, 모든 것이 효율성 법칙에 의해 설명되지는 않는 법. 게다가 외계는 끝없이 변한다고.. 그런 의미에서 다음의 해석에 고개를 끄덕이게 됨.
 
 '인간은 너무나 빨리 정점에 올랐기 때문에 생태계가 그에 맞춰 적응할 시간이 없었다. 게다가 인간 자신도 적응에 실패했다.. 인간은 최근까지도 사바나의 패배자로 지냈기 때문에, 자신의 지위에 대한 공포와 걱정으로 가득차 있었고, 그 때문에 두 배로 잔인하고 위험해졌다'
 
2) 농업혁명
 
근대 산업혁명 이래 인류가 생태계에 가장 치명적인 존재가 되었고, 그 전에는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아름다운 존재였다는 거 개뻥이라고 설명함 ㅋㅋㅋ  이미 농업혁명 시절부터 범죄는 시작됨.. 그러니 지금이라도 더 열심히 보호해야 한다고 이야기함. 역시 진화론에 입각한 필자들은 피도 눈물도 없음.. 목가적 낭만주의 따위는 개나 줘버리곤 하지 ㅋ
 
현재의 농업작물들이 대개 기원전 9800-3500년 사이에 작물화한 것이고 지난 천년 동안은 주목할만한 작물화나 가축화의 진전이 없었다는 점에서, '우리의 마음이 수렵채집인 시대의 것이라면, 우리의 부엌얶은 고대 농부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고 함 
 
게다가 수렵채집에서 농업혁명으로이행하면서, 식량 사정은 더욱 불안정해지고 삻은 더욱 고달팠다는 지적에 눈물이.. ㅡ.ㅡ  
 
'역설적이게도 일련의 개선이 합쳐져서 농부들의 어깨에 더 무거운 짐으로 얺혔다. 각각의 개선은 삶을 좀더 나은 것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었는데 말이다... 진화적 성공과 개체의 고통 간의 이런 괴리는 우리가 농업혁명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교훈'
 
'상상 속의 질서' - 더 커진 공동체를 운영하기 위한 힘으로서 신화 등의 상상 속 질서는 현실에서 실제로 막강한 힘을 발휘했다는 설명에 매우 동의. 이는 직접 연결되지 않은 거대한 집단을 하나로 결속시키게 됨.  
그래서 작가는 매우 도발적인 문제제기를 함. 이를테면 인권의 개념, 평등의 개념 또한 상상 속 질서라고... 당연히 동의함. 인권이 유전자에 각인된 것은 아님. 하지만 이렇게 상상 속의 질서가 일단 확립되면 그것이 실체가 된다는 점 또한 분명함.
저자는 이러한 상상 속 질서가 언제나 붕괴의 위험을 가지고 있기에 (중력과는 달리) 이를 보호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활발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특히 일부는 폭력과 강요의 형태를 띤다는 점 지적함. 그리고 폭력과 강요를 넘어선 진정한 믿음의 중요성 이야기함 
생물학적 결정, 생물학적 신화를 통해 정당화하려는 노력을 구분하는 경험법칙 '자연은 가능하게 하고 문화는 금지한다'는 기준 너무 적당함 ㅋ
 
3)  인류의 통합
 
'인지부조화는 흔히 인간 정신의 실패로 여겨진다. 하지만 사실 그것은 핵심자산이다. 만일 사람들에게 모순되는 신념과 가치를 품을 능력이 없었다면 인간의 문화 자체를 건설하고 유지하기가 불가능했을 것이다'
 
"철학가와 사상가와 예언자는 수천년에 걸쳐 돈을 흉보면서 돈이 모든 악의 근원이라고 매도했다. 물론 그렇기도 하지만, 한편 돈은 인류가 지닌 관용성의 정점이다. 돈은 언어나 국법, 문화코드, 종요, 신앙, 사회적 관습보다 더욱 마음이 열려 있다. 인간이 창조한 신뢰 시스템 중 유일하게 거의 모든 문화적 간극을 메울 수 있다. 종교나 사회적 성별, 인종, 연령, 성적 지향을 근거로 사람을 차별하지 않는 유일한 신뢰 시스템이기도 하다. 돈 덕분에 서로 알지도 못하고 심지어 신뢰하지도 않는 사람들이 효율적으로 협력할 수 있다'
 
오케이!
 
로마인들이 오랫동안 관용을 거부했던 유일한 신은 일신교이며 개종을 요구하는 기독교 신이었다는 점에 나 너무 동의함. 율도국에서는 다신교만 인정할 것임 ㅋㅋㅋㅋ 유일신교 혼자 맘으로 믿는 건 말리지 않겠으나 공개적 전파 행위는 절대 금지라고 ㅋ 생각만 해도 짜릿함
 
'왜 역사를 연구하는가? 물리학이나 경제학과 달리, 역사는 정확한 예측을 하는 수단이 아니다. 역사를 연구하는 것은 미래를 알기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서다. 우리의 현재 상황이 자연스러운 것도 필연적인 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하기 위해서다. 그결과 우리 앞에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더 많은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다'
 
4) 과학혁명
 
'길가메시 프로젝트는 과학이 하는 모든 일을 정당화하는 구실을 한다. 프랑켄슈타인 박사는 길가메시의 어깨에 목말을 타고 있다  길가메시를 막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프랑켄슈타인을 막는 것도 불가능하다. 우리가 시도할 수 있는 유일한 행동은 이들이 가고 있는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어떻게? 유발 하라리는 답을 하지 않지만 칼 세이건 할배는 이야기하지 ㅋㅋ
 
 
# Carl Sagan [The Dragons of Eden]
 
에덴의 용 - 인간 지성의 기원을 찾아서
에덴의 용 - 인간 지성의 기원을 찾아서
칼 세이건
사이언스북스, 2006

 

요즘 트럼프 꼴 보면서 문득 할배 생각이 나서 꺼냈더랬지... 
나미비아 여행을 함께 했던 책. 아마 지금 살아계셨어도 홧병으로 쓰러졌을거라 생각하며 읽어나갔지.. ㅜ.ㅜ
 
이미 40년 전에 발행된 뇌과학에 대한 책인데,
정말 믿을 수 없이 아름답고, 명료하고... 그리고 너무 정확함.
두 마리의 말을 모는 전차, 에덴의 용 같은 메타포들 너무 아름답고 직관적임.
그거 예상했던 것보다 뇌의 더 많은 것이 밝혀졌고, 예측했던 것보다 과학기술/정보통신의 발달 속도는 더욱 빨랐지만,논리적 추론으로부터 비롯된 그의 예측 방향은 틀리지 않았음.
과학책이 40년이 지나도 여전히 유효하고 흥미로울 수 있다니 이거 너무 이상한 일이잖아..
 
그리고 과학의 위력에 대한 경고, 그래서 시민의 지적 능력이 향상되고 이 무서운 수단을 통제할 줄 알아야 한다는 그의 믿음은 이후로도 한치도 변하지 않았음을 나는 이후 저작을 통해 알고 있음.
 
eloquent 하다는 말은 이런데 써야 한다고 여러 번 생각했음.
스티븐 핑커의 [Better angels of our nature] 읽는 중인데 현재 마음 몹시 불편함. 하지만 그동안 칼 세이건 할배의 책들에서는 1세계  리버럴들의 그런 거슬림을 전혀 발견하지 못했다구... 할배 ㅜ.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