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노동석 감독 인터뷰

나의 역사에서 길어올린 청춘영화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노동석 감독
2006.02.28 / 허지웅 기자 

<마이 제너레이션>을 통해 신용자본사회의 허상과 그 안을 살아가는 젊은이들의 무기력함을 그렸던 노동석 감독이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로 돌아온다. 현재 촬영에 한창인 노동석 감독을 만났다.

새 영화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를 간략히 설명해달라.
종대(유아인)와 기수(김병석)라는 형제보다 더 절친한 두 친구를 축으로 하는 청춘영화다. 여기에 김 사장(최재성)이라는 권력을 가진 인물이 등장해 종대를 유혹하는데, 그는 부정적 의미의 기성세대를 대변하는 인물이다. 두 젊은이가 아무도 돌보지 않는 현실 속에서 희망을 현실로 바꿔보려 발버둥치지만 역시 녹록지 않다. 비극적으로 비춰질 수 있는 이야기지만 젊음이라는 주제 자체가 그러하듯 기본적으로 희망을 논하는 영화다.

촬영은 어느 정도 진행됐나?
10회 차까지 찍었고, 전체적으로 보면 40%가량 진행됐다. 총 29회 차 계획했던 것이라 앞으로는 좀 설렁설렁해도 욕먹을 일은 없을 것 같다.(웃음) 계획대로라면 가을쯤 개봉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이 제너레이션>에 이어 두 번째 청춘영화를 연출하면서 달라지는 것이 있나?
나도 나이를 먹어가고 있으니까, 내 자신을 영화 속에 위치시키는 지점들, 대상을 바라보는 시점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 같다. 전작에서 내가 주인공의 입장에서 극을 구성했다면 이번에는 조금 더 윗세대, 그러니까 극중 기수의 입장에서 만들었다. 영화를 만들면서 내가 80년대 이후 세대들에 대해 이렇게 몰랐구나 하는 생각을 했고, 그래서 현장에서 새롭게 재구성되는 요소들이 매우 많았다. 만약 한 편을 더 찍는다면 시간의 흐름만큼 내 자신을 위치시키는 지점이 달라질 것 같고, 인물들을 바라보는 눈높이 역시 또 그만큼 달라질 것이다.

시나리오가 참 좋다. 일상적인 청춘영화의 틀을 따라가는 듯 싶다가 기대를 배반하고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한다. 공을 많이 들인 흔적이 역력하다.
최초 시나리오는 <마이 제너레이션> 후반작업하면서 썼는데 거의 날림으로 작업한 것이라 주위에서 욕을 많이 들었다. 내가 봐도 무슨 예전 홍콩영화 짝퉁 같았다. 반성을 하고 대대적인 개보수를 해 완성한 것이다.

철저하게 인물 중심으로 진행되는 영화 속성상 캐스팅 과정이 고민스러웠을 것 같다.
캐스팅을 생각하면 입가에 웃음부터 돈다. 내가 생각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캐스팅이다. 배우 오디션 때 유아인을 만난 그 처음 5분을 잊을 수 없다. 다른 배우들에게 종대 캐릭터에 대해 물어보면 보통 '어떤 옷을 입을 것 같고 무슨 머리 스타일에 이런 성격일 것 같다'고 대답한다. 그런데 아인이는 창 밖을 한참 바라보더니 살짝 울컥하면서 “슬프죠” 한 마디를 하는 거다. 그 순간 '종대는 얘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기수 역의 김병석은 <마이 제너레이션>에 이어 다시 주연을 맡았다. 그는 내가 단편 작업할 때 스탭으로 도와주다 연기를 시작한 사람이다. 늘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별 고민 없이 주인공으로 캐스팅했다. 앞으로도 계속 함께 갈 친구라고 생각한다.

앞의 두 배우가 노동석의 영화에 납득할 만한 캐스팅이라면, 최재성의 경우는 의외다.
김 사장 역을 가지고 적임자를 찾을 수 없어 굉장히 고민했다. 김 사장과 종대가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는 캐릭터라는 것이 중요했다. 김 사장은 어떤 의미에서 종대의 성장한 모습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여기서 착안해 최재성 선배를 떠올렸다. 종대 역의 유아인이 <반올림>을 통해 인기를 얻은 청춘 스타라면, 최 선배는 그 나이에 <공포의 외인구단>으로 대단한 인기를 누린 청춘 스타 아니었나. 이 두 배우 사이에서 어떤 아이러니컬한 공통점을 느꼈다. 영화 찍으면서 최 선배에게 한국의 존 트라볼타로 만들어주겠다고 말했다.(웃음) 마치 <펄프픽션>으로 재기에 성공한 존 트라볼타처럼 말이다.

촬영 중에 어려운 점은 없나?
이렇게 큰 식구를 데리고 영화를 만드는 것은 처음인데, 스탭들이 그만큼 많은 준비를 해주고 노력을 하기 때문에 별 다른 어려움 없이 촬영 중이다. 배우 황정민씨가 한 시상식에서 배우는 스탭들이 차려놓은 밥상을 맛있게 먹기만 하면 된다고 하던데, 나도 딱 그 짝이다. 아, 한 가지 큰 애로사항이 있다. 이건 정말 꼭 써줬으면 좋겠는데, 촬영감독님이 하루 2갑 반의 담배를 피워대는 바람에 5년 동안 끊었던 담배를 다시 시작하게 된 것이다. 서로 대화를 하려면 내가 담배를 안 필 수 있나. 이렇게 우회적으로 압력을 가하면 담배를 좀 줄여주지 않을까 싶다.(웃음)

제목이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다. 동명의 영화에 등장하는 클라이드도 종대처럼 성 불구자다. 어떤 연관성을 염두에 둔 것인가?
아서 펜 감독의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를 워낙 좋아하기도 하고, 그 시대 미국영화들의 정서를 사랑한다. 왠지 모를 반란의 기운이랄까, 기성세대들에 대한 분노 같은 것 말이다. 하지만 내 영화의 캐릭터들은 기본적으로 내 주위 친구들에게서 역할 모델을 따온 것이다. 청춘영화라는 것이 어찌 보면 전형적인 것이고 이것이 힘을 받으려면 동시대적인 지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나는 그것을 내 자신과 주위 사람들의 역사에서 가져온다.

처음에는 상당히 암울하고 정적일 것이라 생각했는데, 전작과 달리 인물들이 상당히 역동적이다. 주인공들은 더 이상 무기력하지 않고 자신들의 꿈을 성취하기 위해 기꺼이 몸을 던진다.
영화사에서 시켜서 그렇다.(웃음) 전작과는 다른 느낌으로 가보자는 생각도 있었고. 실제 촬영하면서 시나리오보다 더 격정적인 느낌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전작이 영화적인 형식미를 거의 보여주지 않았다면 이번 작품은 그 반대 지점에 위치한 작품이 되지 않을까 싶다. 카메라 움직임부터 음악, 미술 등의 요소를 아끼지 않고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기수와 종대는 혈연이 아닌데 실제 형제 이상의 유대관계를 유지한다. 반면 기수와 영수는 실제 형제인데 둘 사이 관계는 뭔가 어그러져 있다. 당신의 영화를 보면 늘 가족의 기능이 제한적이거나 아예 부재하는 경향이 있다.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 데 핏줄이 그리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영화를 만들면서 내 시점이 주로 기수 쪽에 놓이다보니 좀 더 윗세대인 영수에 대해서는 비관하거나 무시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아무래도 기성세대에 대한 불만이 투영되다 보니 그렇게 된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고.

“멀쩡하게 살기가 왜 이리 힘드냐”처럼 현실에 대한 발언으로 느껴지는 대사가 많아졌다.
영화를 현실에서 무슨 발언을 하려고 만드는 것은 아니다. 다만 내가 아무리 안 그러려고 해도 동시대의 젊은이들이 공유하는 섬세한 느낌들, 바로 이곳, 바로 이 시간의 느낌을 담는 것을 좋아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사회적인 맥락이 섞여들지 않을 수 없다. 사실 그런 것들이 가장 많이 힘들고 고민하는 지점이다. 자칫하면 잘못 해석될 수도 있고, 또 실제 당사자들에게 누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영화를 찍으면서 카메라를 어디에 둬야할지 고민하는 경우가 많다. 이전 청춘영화들 보다 보면 대상을 착취한다는 느낌, 볼거리로 전시한다는 느낌이 드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것들을 경계하려 한다. 또 워낙 강하고 다양한 볼거리가 많은 영화다 보니 소재주의의 함정에 빠지는 것 또한 조심하려 하고.

그간의 영화들을 돌아보면 대부분 사회적인 맥락과 상당히 맞닿아 있으면서 비판적인 시각, 특히 윗세대들에 대한 분노를 견지하는 경향이 짙다. 이번에도 역시 마찬가지인데.
아까도 말했듯이 내 영화는 모두 경험에서 우러나온 것이다 보니 내가 가지고 있는 성향이나 정서가 일관되게 도드라져 보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화를 찍으면서 영화는 현실을 따라갈 수 없다는 것을 거듭 깨달았다. 촬영을 할 때마다 내 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와 꼭 닮거나 더 비극적인 실제 군상들을 수시로 마주친다. <마이 제너레이션>에서 여 주인공이 카드로 금을 구매하는 방식의 대출수법도 사실 매우 너그러운 것이다. 현실은 그보다 훨씬 냉혹하고 잔인하다.

마지막 즈음해서 등장하는 안마 시술소에서의 사건들은 전작들을 고려할 때 매우 의외다. 하드보일드 누아르에서나 등장할 듯한 이 장면은 <택시 드라이버>를 떠올리게 한다.
안마 시술소를 섭외하기가 너무 힘들었는데, 폐업 직전의 시술소를 간신히 섭외하고 마지막 부분을 몽땅 몰아서 찍어버렸다. 그 장면도 그때 이미 찍었는데, 스탭들은 한국영화사에 남을 명장면이라고 하더라.(웃음) 하지만 시나리오를 보면서 떠올리는 것만큼 하드하지는 않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관객의 일반적인 정서에 부합하는 영화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당신은 한국에서 가장 독특한 청춘영화를 만들었고, 또 만들고 있다. 젊음이라는 주제에 집착하는 이유가 있나?
내 자신이 아직 젊기도 하거니와, 청춘영화라는 타이틀 그 자체가 좋다. 욕심 같아선 한 편 정도 청춘영화를 더 해서 연작으로 꾸며보고 싶다. 내가 통과해온 젊은 시절이 너무나 고통스러웠기 때문에 내 영화도 어두워 보이지만, 갈수록 더 밝은 영화를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그만큼 내 자신도 더 밝아질 수 있지 않을까.

사진 김태일 기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