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사장 바꾸면 20년 철도적폐가 바로 사라지나?

[기고] 성공한 '개혁'이 가져온 사고

 

 

 

지난 12월 8일 토요일, 휴일 이른 아침 여행에 나선 198명의 승객을 태운 강릉발 서울행 KTX 고속열차가 출발 5분여 만에 탈선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탈선한 열차의 앞쪽 2량은 진행방향에서 90도로 꺾어진 채 기울었고 나머지 8량은 선로를 이탈해 기운 상태로 멈춰 섰다.  천만 다행스러운 것은 열차 탈선 같은 큰 사고가 발생했음에도 인명피해는 경상 16명에 불과했다는 점이다. 
 
이번 사고의 원인은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로 밝혀지겠지만, 현재까지 드러난 직접적인 사고의 원인은 선로전환기의 상태를 나타내주는 회선 연결이 잘못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철도에서 연이어 사고, 그 이유는? 
 
최근 오송역 전차선 끊김으로 인한 운행중단 사태 등 철도사고가 이어져서 시민들의 불안은 점점 커져가고 있다. 가장 안전한 교통수단인 철도에서 갑자기 사고가 연이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중대 철도 사고는 갑자기 일어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오래 동안 문제가 쌓이다 임계점을 넘는 순간 발생한다. 한국사회가 이번 사고로 교훈을 얻기 위해서는 임계점에 다다르기까지 쌓여온 문제가 무엇인지 하나하나 톺아봐야 한다.  
 
철도안전을 위해서는 2중 3중의 페일세이프 시스템이 가동되어야 한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피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 존재해야 한다. 대표적인 것이 크로스 체크 시스템으로 인간의 오류를 시스템이 보완하고 시스템의 오류는 인간이 바로 잡아 주는 방식이다. 기관사가 의식을 잃을 경우 운전실에는 경보장치가 작동하고 기관사가 반응하지 않으면 자동 정차한다. 반면 신호상태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기관사가 시계운전을 통해 안전을 확보한다. 그러나 이같은 크로스 체킹 방식도 시속 300킬로미터가 넘는 고속철도시대에는 완벽한 안전을 보장하지 못한다. 이번 강릉사고도 정상신호를 본 기관사는 아무 의심 없이 운행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미 잘못 연결된 회선이 정상신호를 보낸 것은 설비 단계의 문제였기 때문에 운행선상에서의 크로스 체크 체계가 개입할 여지가 없었다. 이번 강릉 탈선 사고에서 일부 언론이 제기하듯 누군가가 신호보안장치를 열어서 회선을 바꿔 연결할 수 있는 구조도 아니었다. 모듈화된 채 밀봉된 신호 장치를 허가 없이 열고 또 복잡한 결선을 고의든 실수든 바꿔 연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설비의 문제냐 운영의 문제인가로 부딪힌다. 설사 철도시설공단의 설비단계에서 실수가 있었더라도 운영책임을 맡은 철도공사는 무엇을 했느냐는 문제가 제기된다. 철도공사 입장에서는 완제품을 납품 받았는데 오류의 가능성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느냐의 문제가 발생한다. 새로 산 휴대폰이 혹시라도 문제가 있는지 분해해보는 사용자는 없기 때문이다. 
 

▲ 강릉발 서울행 KTX 고속열차 사고 현장. ⓒ박흥수

효율화가 만든 구조적 문제 
 
안전의 핵심은 책임의 일원화와 위험의 분산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철도 정책은 책임의 분산이었다. 철도의 특성은 다른 교통수단과 달리 교통로와 차량이 일체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철도가 등장한 이래 수많은 전문가들이 지적한 것이다. 그러나 한국 철도는 철도 개혁이라는 이름 아래 시설과 운영의 분리가 이루어졌다. 
 
효율화를 명목으로 철도의 근본적 특성을 저해하는 구조가 만들어졌는데 이 구조가 발생시킬 문제를 해소할 대안은 마련되지 못했다. 더 나아가 철도시설공단과 철도공사는 이해관계에 따라 사사건건 대립을 일삼으며 반목한지 오래됐다. 한국철도를 책임질 컨트롤 타워가 존재하지 않은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국토부가 컨트롤 타워의 역할을 맡아야 하나 그런 의지나 역량은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다.  
 
국토부의 철도 정책을 총괄하는 자리는 여러 부서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거쳐 가는 곳이다. 철도와 전혀 무관한 업무에 있던 사람이 철도 정책의 수장이 돼서 몇 달간 업무 파악을 한다. 이런 사람이 수 십 년을 철도에 몸담았던 사람들을 향해서 철도에 대해 훈시하는 모습은 블랙 코미디에 가깝다. 이런 조건에서 해외 수주나 국제 경쟁력을 말하는 것 자체가 넌센스다. 철도에 대한 이해나 철학의 부재는 지난 수 십 년간 철도의 공익적 역할보다는 수익을 최우선 하는 길로 달려왔다. 
 
최고의 안전성을 자랑하는 일본 고속열차 신칸센은 시설과 운영이 통합된 철도회사 JR이 맡고 있다. 독일의 경우 종합적인 컨트롤타워는 독일 철도공사 도이치반(DBAG)이다. DB 산하에 운영을 책임지는 여객과 화물철도 사업부가 있고 시설관리와 역사관리를 책임지는 사업부도 있다. 독일에서 사고가 발생한다면 최종 책임은 독일철도공사에 있다. 프랑스는 시설과 운영을 분리했다가 재통합하여 프랑스철도공사(SNCF)가 철도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다. 한국철도를 책임지는 주체는 국토부일까? 철도공사일까? 철도시설공단일까?
 
사고가 났으나 안전책임자는 여객팀장 한 명뿐 
 
탈선사고가 나자 승객들은 알아서 대피해야 했다. 휴가 나온 장병이 승객들을 대피시키는 사진은 철도공사의 무대책을 질타하는 상징적인 장면이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예견된 것이었다. 198명의 승객이 탄 열차에 객실 안전을 책임지는 승무원은 단 1명이었다. 경강선 KTX에는 철도공사 여객팀장 1명과 코레일 자회사인 관광개발 소속 승무원 1명이 탑승한다. 이 중에서 안전책임자는 여객팀장 1명뿐이다.  
 
한때 상징적인 비정규직 문제였던 KTX 여승무원 대량 해직 사태 때 여승무원은 여객 안전 업무가 아니라 서비스 담당이라는 유권해석과 법원 판결 때문이었다. 불법파견 소지를 없애기 위한 편법적 조치였다. 효율화를 위해 안전을 뒷전으로 돌린 셈이다. 
 
모스크바-페테르부르크 간을 운영하는 러시아 고속열차 삽산은 KTX 산천과 같이 10량 1편성인데 승무원이 분야별로 20명이 넘는다. 폴란드의 고속열차 펜돌리노도 10명 이상의 승무원이 탑승한다. KTX 산천에 안전담당 1명과 서비스 담당 1명의 승무원 운영체제는 만일의 사태는 없다는 가정 아래 유지되는 체제다.  
 
항공기 승무원들에게 힘들기로 악명 높은 비상탈출 훈련은 수시로 반복된다. 항공기 승무원 대부분은 퇴직할 때 까지 실제로 한 번도 경험해 보지 않을 상황을 승객 안전을 위해서 반드시 수행하는 훈련이다. 왜 철도에는 이같은 정신이 적용되지 않는 것인가?
 

▲ 강릉발 서울행 KTX 고속열차 사고 현장. ⓒ박흥수

성공한 '개혁'이 가져온 사고 
 
공기업 문제가 발생하면 사장 문책론이 일고 낙하산 인사 문제가 불거진다. 철도 안전 확보가 사장 문책으로 해결될 문제였다면 어쩌면 다행스러운 일일수도 있다. 철도공사는 2018년 내내 공공성 강화를 내걸고 달려왔지만 내재된 구조적 문제의 해결 없이는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사실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지금 비전문가의 낙하산 인사 문제를 강하게 제기하는 정당이 집권했을 때의 인사 난맥상과 낙하산 문제는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았다. 그동안 철도 공사 사장은 대부분 낙하산이었지만 그 속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했다. 노동조합을 적으로 간주해 진압 대상으로 삼아 끝없는 분쟁이 계속되기도 했다. 반면 공기업 문화를 배려와 존중으로 바꿔 안전사고를 적극 예방하고자 했던 CEO도 있었다. 오히려 철도 전문가란 이름을 달고 부임한 사장은 평소의 입장까지 바꿔가며 정권이 밀어붙인 고속철도 분리운영에 총대를 멨다. 
 
공기업 사장은 전문성도 중요하지만 공기업의 존재 이유, 목적과 기능을 이해해야 한다. 공기업의 사회적 역할은 그 기업이 수행하는 사업 속에서 실현되어야 한다. 1년 내내 수익성의 채찍을 휘두르다 연말 연탄배달 사진 한 장으로 사회적 역할을 다했다는 최면을 거는 일을 얼마나 많이 봐왔는가.  
 
이번 사고가 한국사회에 주는 경고가 무엇인지 고민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 상대 정치세력에 대한 좋은 공격 소재로 써먹거나 핫한 보도 아이템으로 조회수를 올리다가 새로운 이슈가 터지면 우르르 달려가는 과정의 하나라면, 분풀이는 했을지언정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다.  
 
철도공사의 승객 대피 안내 실태를 꾸짖는 언론이나 국회의원들도 사실은 현 사태의 조력자들이다. 철도공사의 방만 경영에 따른 적자가 과도한 인력과 인건비에서 비롯됐다며 인력감축을 통한 효율화를 역설했던 당사자들이 바로 그들이기 때문이다. 철도구조개혁을 줄기차게 진행해온 국토부 역시 철도공사의 인력 효율화는 중요한 개혁과제였다. 성공한 개혁이 가져온 사고. 어쩌면 온 사회가 한 마음으로 달려온 효율화의 종착역이 강릉 탈선 사고였는지도 모른다. 
 
다른 글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민의 그대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하라”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8/12/11 13:47
  • 수정일
    2018/12/11 13:47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민의 그대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하라”
 
 
 
백남주 객원기자
기사입력: 2018/12/11 [01:41]  최종편집: ⓒ 자주시보
 
 
▲ 원내외 7개 정당과 시민사회단체들이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간의 '야합'을 규탄하며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요구했다. (사진 - 참여연대)     © 편집국

 

거대 양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선거제도 개혁을 요구해 오던 정당들을 배제한 채 2019년도 예산안을 합의·통과시킨 것에 대한 정치권과 시민사회의 반발이 거세다.

 

정치개혁공동행동과 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민중당노동당녹색당우리미래 등 원내외 7개 정당그리고 비례성이 보장되는 선거제도 도입을 촉구하는’ 교수·연구자들은 10일 오후 1시 30분 국회 본청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임시국회를 열어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요구했다.

 

이들은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은 당장 눈앞에 이해관계 때문에 개혁 논의의 발목을 잡고 있다며 민의 그대로 국회를 구성할 수 있는 선거제도 개혁을 외면하고도 국민의 지지가 계속될 것이라 믿는다면 그것은 착각이고 오산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지지보다 많은 의석을 차지해왔던 잘못된 이익을 계속 누리기 위해 정녕 개혁을 거부하고 수구 기득권 정당이라는 오명을 자초할 것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참가자들은 자유한국당을 향해서도 한국 정치를 바꿔야 한다는 의지나 당의 비전이 있는가?”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구체적인 요구사항으로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12월 임시국회를 즉각 열어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합의하고세부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정개특위 시한을 연장할 것을 제시했다.

 

정치개혁공동행동과 원내외 7개 정당은 오는 15일 오후 3시 국회 앞에서 선거제도 개혁을 위한 여의도 불꽃집회를 개최해 기득권 양당의 야합을 규탄하고연동형 비례제 도입 등 선거제도 개혁을 촉구할 예정이다.

 

----------------------------------------------------------------

<기자회견문>

 

민주당과 한국당은 12월 임시국회 합의하고 정개특위 연장하라!

민의 그대로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하라!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야합으로 선거제도 개혁 논의는 시작도 못하고 정기국회가 끝났다. 12월 임시국회 일정 논의도 진척이 없고정개특위 시한 연장도 감감 무소식이다이대로 선거제 개혁에 대한 합의 없이 국회가 문을 닫아서는 절대 안 될 일이다.

 

선거제도 개혁은 민심을 왜곡하는 선거제도를 바꿔 낡은 정치구태정치특권정치를 바꾸자라는 국민의 명령이다하지만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은 당장 눈앞에 이해관계 때문에 개혁 논의의 발목을 잡고 있다민의 그대로 국회를 구성할 수 있는 선거제도 개혁을 외면하고도 국민의 지지가 계속될 것이라 믿는다면 그것은 착각이고 오산이다힘없는 다수와 정치적 약자를 대변하지 못하는 한국 정치는 민의를 왜곡하는 선거제도에서 기인한다지금 국민 다수는 더할 나위 없는 불신과 분노의 대상으로 전락한 국회를 향해 민의가 반영되고 국민을 위해 일하는 국회이를 위한 선거제도 개혁을 소리 높여 요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답해야 한다.

특권기득권을 깨고공정하고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국가를 만들라는 촛불 민심을 끝내 외면할 것인가지지보다 많은 의석을 차지해왔던 잘못된 이익을 계속 누리기 위해 정녕 개혁을 거부하고 수구 기득권 정당이라는 오명을 자초할 것인가?

 

자유한국당에게 묻는다.

한국 정치를 바꿔야 한다는 의지나 당의 비전이 있는가고집하고 있는 도농복합 선거구제가 과연 국민에게 불신과 냉소의 대상으로 전락한 국회를 바꾸기 위한 대책인가지금 지지율로는 장담하기 어려우니 도시 지역구에서 여럿을 뽑는 중대선거구로 뱃지를 달고 싶은 속내 아닌가?

 

우리는 지금이라도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깊이 각성하고 불공정한 선거제도를 바로 잡는 길에 함께 나설 것을 요구한다문재인 대통령도 선거제 개편에 대한 원칙적 찬성의 입장을 넘어 보다 분명하고 적극적으로 개혁에 힘을 실어주어야 한다.

 

당연히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은 12월 임시국회를 즉각 열어야 한다그리고 민의 그대로 국회를 구성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합의하고세부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정개특위 시한을 연장해야 한다.

 

우리는 연동형 비례대표 도입 등의 선거제도 개혁이불신과 절망의 아이콘이 되버린 한국 정치를 바꿀 큰 걸음이 될 것이라 믿기에국민의 요구를 외면하고 있는 두 거대정당을 규탄하고 압박하는 활동을 이어갈 것이다오는 12월 15일 여의도 불꽃집회를 통해 전면적인 항의행동에 나설 것이다이 자리에 선 우리는 선거제도 개혁이 이뤄지는 그날까지 정치개혁을 바라는 시민들과 손잡고 싸워 나갈 것임을 분명히 밝혀 둔다.

 

2018. 12. 10.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민중당 노동당 녹색당 우리미래 정치개혁공동행동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남북, 한강하구 물길 찾아냈다

총 35일간 660km 한강하구 공동조사 완료
조정훈 기자  |  whoony@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8.12.10  13:36:07
페이스북 트위터
   
▲ 총 35일간 660km의 한강하구 공동조사를 마친 남북이 9일 마지막 인사를 하고 있다. 남측 서주석 국방부 차관과 북측 조사단장인 오명철 대좌가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방부]

남북이 지난 9일 총 35일간 660km의 한강하구 공동조사를 마쳤다. 정전협정 이후 65년 만에 한강하구에 민간선박이 다닐 물길을 찾아냈다.

국방부와 해양수산부는 9일 “정전협정 이후 65년 만에 최초로 11월 5일부터 남북 공동수로조사를 시작하여 12월 9일에 북측과의 마지막 현장 만남을 끝으로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에 따라, 남북은 지난달 5일부터 35일간 한강하구를 공동조사했다. 남북 수로전문가 각 10명이 남측 조사선 6척에 탑승해 경기도 파주시 만우리로부터 인천광역시 강화군 말도까지 660km의 수로를 측량해 선박이 다닐 수 있는 물길을 찾아냈다.

남측 김포반도 동북쪽 끝점으로부터 교동도 서남쪽 끝점까지, 북측 개성시 판문군 임한리로부터 황해남도 연안군 해남리까지 70km, 약 280㎢ 면적에 이르는 한강하구 수역이 공동이용수역이다.

이 과정에서 남북은 한강하구 물속 위험물인 암초 21개를 찾아냈으며, 위치와 대략적인 크기를 확인하는 등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확보했다. 3개의 조석관측장비도 설치해 7개 주요 지역의 조석을 처음으로 관측하기도 했다.

애초 남북은 날씨와 한강하구 환경 등을 고려해 11일까지 현장조사를 마칠 예정이었으나, 예상 보다 앞당겨 마무리된 것. 국립해양조사원은 남북 간 소통이 조사를 신속하게 마칠 수 있게 된 배경이라고 밝혔다.

현장조사를 마침에 따라, 국립해양조사원은 수로측량 및 조선 관측자료를 분석해, 2019년 1월 25일까지 선박이 임시로 이용할 수 있는 해도를 제작할 예정이다. 제작된 해도는 북측과 민간선박에 제공된다.

   
▲ 한강하구 공동이용수역에 대한 남북 공동수로조사도[자료제공-해양수산부]

이번 현장조사는 선박의 이동을 위한 해도 작성에 집중된 만큼, 한강하구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가 필요하다는 게 해양수산부의 입장이다. “향후 공동이용수역에 대한 정밀 해저지형 및 장기 조석, 조류 관측 등을 시행하여 한강하구 내 선박의 안전하고 자유로운 항해를 위해 적극 노력할 계획”이라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이번 조사를 두고, 국방부와 해양수산부는 “지금까지 교류와 접촉이 없었던 한강하구에서 남북이 손을 잡고 ‘평화와 협력의 공간’으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물길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한강하구 내 안전한 뱃길이 개척되어, 앞으로 민간선박의 안전하고도 자유로운 항해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리고 “민간선박의 접근이 제한되었던 한강하구 수역을 군사적으로 개방하여, 또 하나의 새로운 평화공간이 복원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 남측 단장 윤창희 대령과 북측 단장 오명철 대좌가 9일 마지막 현장조사를 논의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방부]
   
▲ 조사를 마친 북측 조사선이 돌아가고 있다. [사진제공-국방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인권의 날] 문 대통령 “차별·혐오가 우리 사회 갈라...타인의 권리도 존중해야”

“평화를 통해 인권 보장, 인권을 통해 평화 확보”

최지현 기자 cjh@vop.co.kr
발행 2018-12-10 10:45:57
수정 2018-12-10 10:45:57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세계인권선언 70주년을 맞은 10일 오전 국가인권위원회 주최로 서울 중구 대한성공회 서울대성당(주교좌성당)에서 열린 2018년 인권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연설을 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세계인권선언 70주년을 맞은 10일 오전 국가인권위원회 주최로 서울 중구 대한성공회 서울대성당(주교좌성당)에서 열린 2018년 인권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연설을 하고 있다.ⓒKTV 방송 캡처
 
 

문재인 대통령은 세계인권선언 70주년을 맞은 10일 "국가인권위는 앞으로도 독립적인 활동을 철저히 보장받을 것"이라며 "정부도 사회적 약자를 포함해 모든 사람이 동등한 권리를 누리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천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가인권위원회 주최로 서울 중구 대한성공회 서울대성당(주교좌성당)에서 열린 '2018년 인권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누구도 차별받지 않는 포용적인 사회를 만들겠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특히 "최근 차별과 혐오가 우리 사회를 갈라놓고 있다"라며 "최영애 위원장님과 국가인권위원회가 앞장 서 이 문제를 풀어내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들었다. 우리 자신이 소중한 만큼 타인의 권리도 존중하는 문화가 정착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당부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지난 8월 발표한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번 기본계획에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추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대한 권리,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인권존중에 관한 내용을 새롭게 추가했다"라며 "우리나라의 인권수준이 나날이 향상되고 인권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식민지배와 독재, 전쟁을 겪은 국가 중에 대한민국 정도의 인권 수준을 가진 국가는 거의 없다"라며 "여기 계신 인권활동가 한분 한분의 진정어린 노력의 결실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하지만 가야할 길이 아직 멀다"라며 "한반도의 전쟁이 완전히 끝나지 않았고 평화가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세계인권선언의 첫 초안을 작성한 존 험프리는 '전쟁의 위협이 없어지지 않는 한 인간의 자유와 존엄을 지킬 수 없다'고 했다"라며 "지금의 세계인권선언 서문도 '인류의 존엄성과 권리를 인정하는 것이 세계의 자유, 정의, 평화의 기초'라고 천명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평화를 통해 인권이 보장되고, 인권을 통해 평화가 확보되는 것"이라며 "한반도에서 냉전의 잔재를 해체하고 항구적 평화를 정착시키는 것은 우리 민족 모두의 인권과 사람다운 삶을 위한 것이다. 이는 곧 한반도와 동북아, 더 나아가 전 세계의 자유와 정의, 평화의 기초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한반도에서 인권과 민주주의, 평화와 번영이 함께 실현되길 기대한다"라며 "우리의 노력은 전 세계에 희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직 대통령이 세계인권의 날 기념행사에 참석한 것은 지난 2003년 12월 10일 당시 노무현 대통령 이후 문 대통령이 처음으로, 대통령으로서 역대 2번째다.

다음은 문 대통령의 연설 전문이다. 이번 문 대통령의 연설은 수화통역사를 통해서도 현장에서 동시에 전달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세계인권선언 70주년을 맞은 10일 오전 국가인권위원회 주최로 서울 중구 대한성공회 서울대성당(주교좌성당)에서 열린 2018년 인권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연설을 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세계인권선언 70주년을 맞은 10일 오전 국가인권위원회 주최로 서울 중구 대한성공회 서울대성당(주교좌성당)에서 열린 2018년 인권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연설을 하고 있다.ⓒKTV 방송 캡처

2018 인권의 날 기념식 연설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은 세계인권선언 70주년입니다.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모든 숭고한 노력에 
깊은 존경의 마음을 보냅니다. 

세계인권선언은  
2차 세계대전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했습니다.  
인류역사상 가장 참혹했던 전쟁과 야만의 역사를  
다시는 반복하지 않겠다는 결연한 의지가  
전문과 각 조항에 담겨있습니다. 

세계인권선언 1조는, 모든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하며, 평등하다고 천명했습니다.  
이어지는 30개의 조항은 
국가를 비롯한 그 어떤 권력도 침해할 수 없는  
인간의 기본권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인권의 역사도  
자유와 평등을 향한 치열한 투쟁의 여정이었습니다. 
인간답게 살 권리를 갖기 위해 
평범한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열망이 모였습니다. 
종교계, 법조계, 시민사회도 힘을 보탰습니다. 

우리가 모인 대한성공회 서울대성당 곳곳에는 
영광스런 투쟁의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한국 전쟁 당시  
종교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사제들과 수녀들의 순교가 이어졌습니다. 
성당 안쪽 뜰에 순교자를 위한 기념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군사정권의 불법적인 구금과 고문에 항거했던  
민주항쟁의 진원지도 이곳이었습니다. 
1987년 6월 10일 오후 6시, 
민주주의를 알리는 종소리가 나지막이 성당을 채웠고 
그렇게 시작된 민주 항쟁은 전국으로 들불처럼 퍼져나갔습니다.
마침내 군사독재의 시대를 끝냈습니다. 

2년 전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했을 때  
다시 회복시킨 촛불의 물결도 
예외 없이 이곳에서 타올랐습니다. 

오직 국민의 힘으로 대한민국 인권의 역사는 시작되었습니다.
지금 그 역사는 대한민국 헌법과 법률에 아로새겨졌고
독립기구인 국가인권위원회의 탄생으로 이어졌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인간으로서 누릴 수 있는 권리는 무궁무진합니다. 
어린이는 충분히 쉬고 놀 권리를 가지며, 
노동자는 공정하고 유리한 조건으로 일할 권리가 있습니다.
가족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적절한 생활수준을 누릴 권리도 우리에게 있습니다. 

최근 많은 국민들이 아동폭력 문제를 염려하고 계십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문제가 된 아동양육시설에  
아동인권에 대한 직무교육을 권고하고, 
관할 관청에 특별 지도점검을 실시하는 의견을 표명했습니다. 
아이들이 학대와 폭력에 장기간 노출될 때 
건강한 발육과 정서적 안정에 해가 될 수 있다는 판단이었습니다.

정신병원 환자에 대한 사물함 검사에 대해서는 
사생활 비밀과 자유를 침해할 소지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열악한 환경에 있는 구금시설 수용자에 대해서는  
적절하고 전문적인 의료 처우를 제공할 것을 
법무부와 보건복지부에 권고 했습니다. 

최근 차별과 혐오가 우리 사회를 갈라놓고 있습니다.  
최영애 위원장님과 국가인권위원회가 앞장 서 
이 문제를 풀어내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우리 자신이 소중한 만큼 타인의 권리도 존중하는 문화가
정착되기를 기대합니다. 

인권은 일상에서 실현될 때 그 가치를 발합니다.  
국가인권위의 노력은 
우리의 삶 속에 인권을 뿌리내리게 할 것입니다. 

한때, 국가인권위가 사회의 중요한 인권현안에 눈과 귀를 닫고
관료화되어간다는 뼈아픈 지적이 있었지만 
다시, 약자들 편에 섰던 
출범 당시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 같아 반갑습니다. 

국제사회에서 모범적인 국가인권기구로 인정받았던 활약을 
되살려주길 바랍니다. 
대통령으로서 약속합니다. 
국가인권위는 앞으로도 독립적인 활동을 철저히 보장받을 것입니다.

아울러 정부도 사회적 약자를 포함해  
모든 사람이 동등한 권리를 누리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누구도 차별받지 않는 포용적인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지난 8월 발표한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이번 기본계획에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추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대한 권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인권존중에 관한 내용을 새롭게 추가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인권수준이 나날이 향상되고 
인권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기를 바랍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식민지배와 독재, 전쟁을 겪은 국가 중에 
대한민국 정도의 인권 수준을 가진 국가는 거의 없습니다.
여기 계신 인권활동가 한분 한분의  
진정어린 노력의 결실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가야할 길이 아직 멉니다. 
한반도의 전쟁이 완전히 끝나지 않았고  
평화가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세계인권선언의 첫 초안을 작성한 존 험프리는 
“전쟁의 위협이 없어지지 않는 한  
인간의 자유와 존엄을 지킬 수 없다”고 했습니다. 
지금의 세계인권선언 서문도 
“인류의 존엄성과 권리를 인정하는 것이  
세계의 자유, 정의, 평화의 기초”라고 천명하고 있습니다.

평화를 통해 인권이 보장되고, 
인권을 통해 평화가 확보되는 것입니다. 

한반도에서 냉전의 잔재를 해체하고 
항구적 평화를 정착시키는 것은  
우리 민족 모두의 인권과 사람다운 삶을 위한 것입니다.
이는 곧 한반도와 동북아, 더 나아가  
전 세계의 자유와 정의, 평화의 기초가 될 것입니다. 

한반도에서 인권과 민주주의, 평화와 번영이  
함께 실현되길 기대합니다. 
우리의 노력은 전 세계에 희망이 될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대성당을 둘러보니,  
건축양식이 참으로 아름답습니다. 
서양식과 전통 한국식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습니다.
서로의 본질을 잃지 않고, 존중하며  
평화가 가득한 공간을 만들어 냈습니다. 

건축과정도 경이롭습니다. 
모금활동을 통해 부족한 재원을 조금씩 모으며 
87년 동안 성당을 완성했다고 합니다. 

인권도 이런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름을 차별이 아니라 존중으로 받아들이고 
함께 어우러져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것입니다. 
어떠한 고난에도 포기하지 않고,  
묵묵히 변화를 완성시키는 것입니다. 

또한 인권을 무시할 때 
야만의 역사가 되풀이 될 수 있다는 역사의 교훈도 
결코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오늘 세계인권선언의 역사와 의미를 담아 
행사를 잘 준비해주신 인권위원회 관계자 여러분께 
격려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인권의 가치를 최우선에 두면서, 
결코 포기 하지 않고 
한 발 한 발 앞으로 나아가겠습니다. 
인권과 평화를 향한 이 길에  
국민 여러분께서 함께 해주시길 희망합니다. 

감사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강철보다 200배 강하고 20% 가벼운 中헬기 특수소재, 이 기술 어디서 왔을까

[윤석준의 차·밀]강철보다 200배 강하고 20% 가벼운 中헬기 특수소재, 이 기술 어디서 왔을까
 
윤석준  | 등록:2018-12-10 07:36:30 | 최종:2018-12-10 08:40:41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중국 육군(PLAGF)이 2012년부터 야전배치하고 있는 공격헬기 Z(直)-10은 지난 30년간의 미국과 서방국가의 대(對)중국 무기 수출금지라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중국이 독자적으로 헬기를 만들 수 있었다는 자력갱생(自力更生)의 상징이며, 장차 중국 육군이 미군과의 지상 전투에서 동등(同等)하게 싸울 수 있다는 대표적인 무기수단이다.

[출처:바이두백과]

그런 Z-10에 지난 9월 27일에 시진핑 주석이 중국군 북부전구사령부 산하 랴오닝(遼寜)에 주둔한 중국 육군 제79집단군 예하 항공여단을 전격적으로 방문하여 중국군 관계관으로부터 Z-10 공격헬기의 탑재 장비와 무장, 전투력 성능에 대한 설명을 듣는 사진들모습이 9월 29일자 『중국 신화망(China Xinhua News)』에 공개되었다. 시진핑의 이와 같은 행보는 이는 중국 영도(領導)의 통상적 행보로는라기 보다는 상당히 파격적이자 공세적이었다.
  
특히 시진핑 주석의 동북 3성 군부대 방문은 매우 의례적이었다. 전통적으로 중국 지도부는 주로 중국 남부와 동부에 위치된 군부대 시찰을 선호하여 왔였으며,다. 이를 통해 중국 지도부는 해당 부대 장병들을 격려하면서, 대만과 남중국해에 대한 중국의 영토통합(territorial integration) 의지를 피력하고자 하였다. 
  
반면에 하지만 중국 지도부는 동북 3성 군부대 방문은 다소 주저하였다. 우선 과거 중국 동북 3성에 전개된 군 지휘관이 정치권과의 결탁하여 “군벌(軍閥)”을 형성하여해 중앙정부에 대항한 적이 있었다. 도전한 경험이 있었는 바, 따라서 북부전구사령부에 대한 영도 방문은 자칫하면 반대파에게 정치적 역공의 빌미를 줄 여지가 있었다.

[출처:바이두백과]

또한 해당 북구전구사령부가 한반도 위기시 직접적 군사작전을 수행하기 때문에 중국 지도부는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서도 직접 방문하는 것을 자제하였다. 따라서 북구전구사령부의 해당 부대 지휘관만은 당 지도부의 신임이 높은 장성으로 임명하면서 필요 시 현장 지휘관을 당 중앙군사위원회로 불려 격려하였다.
  
따라서 시진핑 주석이 전통적인 그런 금기를 깨고 지난 9월 27일에 북부전구사령부 예하 북한과 가장 근접된 정예부대를 방문하여 Z-10 공격헬기에 탑승한 행보는 지난 7월과 9월 하순 미국 공군 B-52가 남중국해, 동중국해와 한반도 동해에서 군사적 시위를 한 것에 대한 강한 대응 의지를 과시하면서 서방 방산업체들이 중국에 첨단기술 이전을 금지하여도 중국의 기술적 자력갱생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2018년 9월 27일 인민해방군 79집단군을 방문한 자리에서 중국의 최신형 공격용 헬기인 '즈-10'의 조종석에 탑승, 헷맷을 쓰고 있다.[출처:CCTV캡처]

또한 국내적으로는 장차 한반도와 남중국해에서의 미군과 전투에서 “싸우면 반드시 이기는” 강군사상(强軍思想)을 중국군에 강조하려는 의도라고 볼 수도 있다.
  
실제 중국 육군의 Z-10 개발은 국민당과 내전시의 마오쩌둥(毛澤東) 장정(長程) 보다 더 힘든 과정이었다. 1970년 말 중국군은 대규모 전차 위주의 지상전은 미래에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평가하고면서, 전차 규모를 줄이기 위해 시작하여 차세대 신형 전차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전차 대수는 줄었으나, 지상전투를 위한 전용 근접공중항공지원(Close Air Support: CAS)과 대(對)전차전을 수행할 중국 육군항공전력(PLAGAF)은 없었다.

[출처:바이두백과]

당시 중국 육군의 대전차 공격헬기는 유럽 Aeropatiale사의 인원수송 및 정찰용 경(輕)헬기 Gazelle에 대전차 미사일 Euromissile HOT(High Subsonic Optical Remote-Guided Tube-Launched Missile)를 탑재한 것이 유일하였으나며, 그나마 8대 뿐이었다. 반면 당시 미 공군은 A-10 Thunderbolt Ⅱ와 미 해병대는 Harrier 수직이착륙 전투기를 근접항공지원으로 운용하고 있었다. 
  
이에 중국군은 미국 등 서방국가로부터 최신예 공격헬기를 도입하여 동체 역설계에 의한 독자형 공격헬기를 개발하여 전차 공백을 메우고자 하였다.

우선 유럽이 1983년에 최초로 개발한 AgustaWestland사 A129 Mangusta와 미국 Bell사 AH-1 Cobra 도입을 추진하였으나, 1989년 톈안먼(天安門) 사건으로 구매가 중단되었다. 급히 동구권의 Mi사 Mi-24와 Kamov사 Ka-50 도입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마저도 구소련의 붕괴와 동유럽 민주화로 어렵게 되었고 설상가상으로 중국이 접촉한 러시아와 불가리아는 Mi-24와 Ka-50 판매를 거절하였다.  

대안(代案)은 유럽의 민용 경헬기를 또다시 도입하여 역설계를 통해 공격헬기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1980년대에 Eurocopter사의 수색 및 구조용 Dauphin과 Ecureuil 경헬기를 도입해 중국항공공업집단공사(中國航空工業集團公司: AVIC) 예하 하얼빈항공공업공사(哈爾浜飛機工業公司: HAMC)와 창허항공공업공사(昌河飛機工業公司: CAMC)에서 2∼2.3톤 규모의 Z-9/19 공격헬기로를 전환해 개발하여 지상전에 투입하였으나, 1대 엔진사용에 의한 탑재무장 제한과 그리고 출력 부족으로 근접항공지원과 대(對)전차전 수행에는 문제가 많았다. 당시 미군은 5톤 AH-1 Cobra를 11톤에 좌우측 무장패드를 탑재한 중무장 Ah-64 Apache로 대체하고 있었다.
  
1990년 중반에 이르려 중국 육군은 Z-X형 중형 헬기(China Medium Helicopter: CHM) 개발계획을 수립하였으며, 2개 터보샤프트 엔진, 전방 2개 후방 1개 3각 랜딩기어, 주날개 4-5개 회전익, 후방 4개 회전익, 120도 시야의 텐덤(tandem) 조종사 2석, 좌·우현 무장패드의 하드웨어 그리고 MIL-STD 1290 기준의 항공안전도 유지, 정·부조종사 간 혼성 교전체계, 최대 50km에서 200개 표적에 대한 주야간 전술탐지, 추적 및 처리 체계(TADS) 및 자동화 헬맷전시기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기본성능으로 제시되었다.

이를 위해 하얼빈항공공업공사(HAMC), 제602/603연구소와 제613연구소가 무장헬기개발팀(Armed Helicopter Development Work Team)으로 구성되어 Z-X 연구개발에 투입되었다. 

[출처:봉황망]

그러나 여전히 독자형 Z-X 동체와 엔진 등의 하드웨어와 탑재장비와 무장 관련 소프트웨어의 확보가 매우 어려웠다. 사실 이러한 문제들은 중국군이 아무리 인내를 갖고 예산을 투입하여도 단시간 내에 해결할 수 없는 기술적 이슈였다. 
  
결국 1998년부터 직면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용한 모든 해외 부품을 도입하여 약 6톤 중형 Z-X 모형을 먼저 설정하여 각종 해외 부품을 끼워 맞추는 『Special Use Armed Helicopter Project(專用武裝直升機工程)』 방식을 채택하였다. 동체는 러시아 Kamov사, 회전날개는 프랑스와 독일 Eurocopter사, 터보샤프트 엔진은 캐나다 Pratt & Whitney Canada사, 감속기어는 이탈리아 Agusta Westland사, 비행균형계기는 남아공 Denel Rooivalk사 그리고 동체 재질, 방탄유리, 조종사 의자, 전자계기판 등은 프랑스와 이스라엘로부터 도입하였다.

한마디로 중형 공격헬기를 6톤으로 정해 놓고 이 크기에 맞도록 부품을 도입하여 시제기를 만들었으며, 탑재무장과 장비는 그 다음 이슈이었다.

대부분의 회전익 항공기 개발이 자국의 독자적 헬기 관련 기술도 중요하지만, 연구개발 비용 절감을 위해 해외 우수 부품을 도입하여고 시제기 개발을 신속히 하는 복합적 조립 과정이라도 해도 과언은 아니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중국 Z-X 경우는 다음과 같이 달랐다고 평가한다. 
  
우선 군용이 아닌 상용 부품의 도입이었다. 6톤 중형 Z-X를 정해 놓고 해외 민수용 헬기 부품을 도입해 조립하는 ‘마구잡이’식이었으며, 그마저 미국의 제재를 피해야 했기 때문에 비용이 더 들었다. 즉, 실제 중국에 부품을 판매한 서방 방산업체가 나중에 미국의 제재 대상으로 확인되어 벌금을 받을 경우까지 고려하여 벌금 금액을 원가에 더해 주는 방식이었다.

2012년 7월 26일자 중국 『환구시보(環球時報)』에서는 2012년 6월에 캐나다 Pratt & Whitney Canada Corp사와 Hartford 위치한 United Technologies Corp사가 중국에게 엔진 관련 부품을 불법으로 판매한 협의로 7천5백만 불의 벌금을 미국으로부터 부과받은 사례를 비난하면서, Z-10 엔진은 베이징항공항천대학(北京航空航天大學: Beijing University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이 1990년부터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술로 만든 엔진이라고는 것을 주장하는 기사를 보도하였다.
  
다음으로 탑재 장비와 무기 유형이었다. 즉, Z-X 탑재장비와 무장으로 어느 방식을 채택할 것인가였다. 중국 육군은 러시아 방식보다는 미국 등 서구 방식을 선호하였다. 왜냐하면 중국 육군의 교리와 교범이 러시아식 대평원 전차전이 아니라 미국과 유사하게 공지기동전(Air-land warfare)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Z-X 제작사가 러시아 유형 위주의 하얼빈항공공업공사(HAMC)에서 서구형 유형에 강한 정허항공기공업집단공사(CHMC)로 변경되었다. 제602, 603 및 613기술연구소가 주축이 되어 근접항공지원과 대전차전 수행을 위한 건십(gunship) 개념하의 서구형 대전차 미사일, 전자전 대응장비, 각종 항법장비와 센서 그리고 조종사 헬맷 자동전시기 등을 프랑스와 이스라엘의 기술지원으로 개발하였다. 
  
이러한 중국군 지도부의 인내와 전폭적 예산 지원에 의한 마구잡이식 해외부품 도입과 조립에 따라 Z-10 시제 동체가 2003년 4월에 출품되었으며, 2004년 12월까지 약 400시간의 공중작전 시뮬레이션, 지상 엔진 테스트, 피로도 평가 등의 비행 테스트를 거쳐 시제 Z-10 시제동체가 완성되어 2006년 1월부터 제602기술연구소 우시밍(吳希明) 소장의 주도로 리더십 하에 Z-10 시제동체에 장비와 무장이 탑재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면 제602기술연구소가 개발한 HJ(紅箭)-9/10 대(對)전차 미사일은, 프랑스 DIGIBUS를 모방하였으나, 베이두(北斗), GLONASS와 GPS 체계는 모두가 가능한 중병광전과기유한공사(China North Industries Group Corporation Electro-Opticals Science & Technology Ltd: 中兵光電科技有限公司)사가 개발하였고, GJV289A 항법장비와 YH(浴火)-96 전자전 장비는 중국북방전자공사(China North Electronic Co; 中國北方電子公司)사와 제613기술연구소가 개발하였고, YH(宇火) 계열 HDSS 체계는 미 Honeywell사 M142 헬맷전시시각체계(Helmet and Display Sighting System: HDSS)를 모방하여 개발하였다.  

문제는 엔진이었다.

Z-X 공격헬기로 설정한 6톤 중형에 적합한 엔진을 맞추어야 했다. 특히 Z-9/19에 탑재한 WZ(淶釉)-8 터보샤프트 엔진 출력은 500kW 정도이라서 Z-10에 적합한 1,000kW 이상 출력을 내는 터보샤프트 엔진을 개발해야 했다. 이를 위해 GAIC사가 약 1,500kW의 독일 MTU MTR390 기술을 입수하여 WZ(淶釉)-9 터보샤프트 엔진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여 겨우 탑재할 수 있었다.
  
이제는 엔진 출력에 따른 회전익 날개가 문제가 되었으며, 이는 탑재무장과 연계되었다. 기본적으로 중국 육군은 최소 8발의 대전차 미사일을 탑재하기를 원하였으며, 이는 엔진 출력에 따라 탑재중량을 최대로 제작하기 위한 5개의 회전익 날개로 집중되었다.

이에 따라 탄소와 유리 복합소재가 추가되었다. 미 육군 AH-64 Apache에 적용된 4개 회전익 꼬리날개를 적용한 Type 95KT 합성 회전익 날개 개념이 적용되었다.

[출처:셔터스톡]

이는 유럽 Eurocopter사 헬기를 복제한 Z-19와 다른 점이며, 후방 날개를 회전식이 아닌, 4개 회전익으로 채택하여 3각 랜딩기어에 위한 MIL-STD 1290 기준의 항공안전도를 만족시키고 공중 기동력이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탑재무장이었다. Z-10은 GJV289A 전투체계를 탑재하고 있으며, 러시아 무기와 서방 무기를 모두 탑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독자형 23㎜ 기관총, HJ(紅箭)-8/9/10 대(對)전차 미사일, TJ(天箭)-90 공대공 미사일, ADK-10 공대지 미사일 등을 탑재하며 추가로 뿐만 아니라 좌우현 무장패드에 로켓을 추가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Z-19 탑재무장의 2배 수준으로 Z-19 700kW 보다 큰 1,200kW 출력이 필요한 이유이었다.

지난 9월 20일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중국 육군이 기존 Z-10의 935kW 출력보다 향상된 1,200kW 출력에 이르는 개량형 WZ-9 엔진 개발에 성공하여 Z-10ME 001형 공격헬기 생산에 성공하였다면서 이제는 국내 소요만족 만이 아닌, 해외 수출에도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고 보도하였다. 실제 Z-10ME 001형 공격헬기는 11월 5~11일 중국 주하이 에어쇼에 해외 판촉용으로 전시되었다. 
  
현재 Z-10은 중국 육군의 공격헬기용으로 Z-10 그리고 중국 공군용으로 전투기로 Z-10K가 생산되고 있으며, 지난 11월의 광둥성 주하이 에어쇼에 해외수출용 Z-10ME 001형이 선을 보였다. 이를 지난 11월 14일자 영국 『제인국방주간(JDW)』지는 중국의 Z-10ME가 양쪽 무장패드에 기존 HJ 계열의 대전차 미사일을 개선한 BA-7/KD-10 대전차 미사일, PL-90 공대공 미사일 그리고 추가로 적 지대공 미사일을 탐지하는 대미사일 탐지체계와 이를 저지하기 위한 대전자전 채프탄(chaff)과 플레어(flare)를 탑재하며, 작전속도 시속 270km/h, 작전고도 16,732ft로 작전시간은 4.6시간이라고 소개하면서 이는 미 육군 AH-64 Apache와 거의 대등한 성능이라고 보도하였다. 
  
특히 지난 10월 10일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시진핑 주석이 탑승한 중국군 79집단군 항공여단 소속 공격헬기 Z-10는 베이징항공기술연구소(北京航空材料硏究所: Beijing Institute of Aeronautical Materials)가 개발한 그래핀(graphene) 특수강판 소재를 사용하여 철보다 200배 단단하고, 철보다 20% 가벼워서운 탑재무장을 증가시키고 작전시간을 연장하는 효과를 보았다고 보도하였다.
  
그러나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직도 남아있다. 우선 스텔스 효과가 없다. 재질상 스텔스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나, 설계에 있어 전자파 반향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갖추어 나름대로의 생존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세(大勢)는 재질을 스텔스로 개발하여 적 지대공 미사일에 대비해야 한다.

다음으로 영국과 같이 현재 대형 상륙함 Type 071에 Z-10을 탑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마도 이는 중국이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에서의 해양영토 분쟁 시에 적의 상륙작전에 대비한 대응조치로 이해된다. 그러나 육군 공격헬기와 해상 공격헬기는 차원이 전혀 다르다.

[출처:셔터스톡]

중국이 향후 이를 어떻게 부합시킬지 의문이다. 현재 건조 중인 Type 075형 강습상륙함에 공격헬기를 탑재하는 경우 해상작전용 Z-10의 성능추가개발이 별도로 필요하다. 다음으로 아울러 특수전용 대(對)테러 Z-10이다. 미 특수전사령부는 약 4억 불 예산을 배정하여 특작부대용 MH-47G 특수공격헬기를 확보하고 있다.

중국 육군은 이미 Z-10 또는 Z-20을 MH-47G 성능에 달하는 특작부대용 헬기로 생산을하기 위하여 제작사에 주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향후 중국은 Z-10을 미 육군 AH-64 Apache와 같이 다양한 개량형으로 지속적으로 개선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중국은 Z-10을 국내 내수용만이 아닌, 해외수출용으로 개선시켜 해외무기시장에 내놓고자 한다. 지난 9월 20일 『환구시보(環球時報)』는 미 육군 AH-64D 개량형의 1,200kW 출력을 내는 개량형 WZ-9 엔진을 탑재한 Z-10ME 001형 공격헬기 생산에 성공하였다고 보도하였으며, 11월 14일자 영국 『제인국방주간(JDW)』지는 양쪽 무장패드에 기존 무장 이외에 추가로 대전자전 채프탄(chaff)과 플레어(flare)를 탑재하고 특수 강판소재를 사용하여 작전시간을 4.6시간으로 늘린 Z-10ME 001형을 중국 주하이 에어쇼에 선보였다고 언급하면서 이는 미 육군 AH-64 Apache와 거의 대등한 성능이라고 보도하였다.

Z-10은 중국 육군만이 아닌, 해외 수출용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제는 실전 경험과 전술자료 축적으로 미 육군 AH-64 Apache와 같이 A∼E 개선형으로 개량하여 성능을 발전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이제 중국은 미국과의 군사협력은 물 건너 간 것으로 보고 모든 상황에 대비한 전투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는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 일대일로가 미국 인도-태평양 전략과 충돌하여 지난 2018년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에서 공동성명이 불발되는 등 미중 간 협력 보다는 충돌이 각종 이슈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중국군은 모든 전투 상황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비하는 모습이다. 이는 왜 중국군이 시진핑 주석의 어려운 북부전구사령부 방문 시에 공격헬기 Z-10에 탑승하도록 기획하고 이를 대내외적으로 공개하였을까에 대한 답이 된다. 
  
궁극적으로 시진핑 주석이 지난 9월 27일에 탑승한 공격헬기 Z-10은 중국군에게 부강(富强)의 주역임을 강조하고 미국에게 싸우면 반드시 이기는 강군사상(强軍思想)을 대변하기에 가장 적합한 수단이었다. 1980년대부터 시작한 공격헬기 Z-10은 중국군, 항공방산업체 그리고 국방과학기술연구소가 지난 30년간 미국의 대(對)중국 무기금지 제재를 극복한 역경의 상징이자, 중국 육군의 핵심전력으로서 중국의 기술적 자력갱생을 시현하고, 남중국해, 대만 그리고 한반도에서 미군과 “싸우게 되면 반드시 이길 수 있다”는 군사적 의지를 보일 수 있는 가장 손쉬운 수단이었다.

글=윤석준 한국군사문제연구원 객원연구위원  
차이나랩

윤석준은 
한국군사문제연구원 객원연구위원이자, 예비역 해군대령이다. 2011년 12월31일 제대 이전까지 수상함 전투장교로 30년 이상 한국해군에 복무했으며, 252 편대장, 해본 정책분석과장, 원산함장, 해군본부 정책처장, 해본 교리발전처장 및 해군대학 해양전략연구부장 등을 역임했다.

 
본글주소: http://www.poweroftruth.net/news/mainView.php?uid=4685&table=byple_new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중패권대전과 한반도의 정세변화

[개벽예감 325] 미중패권대전과 한반도의 정세변화
 
 
 
한호석(통일학연구소 소장) 
기사입력: 2018/12/10 [09:32]  최종편집: ⓒ 자주시보
 
 

<차례>

1. 멍완저우 체포사건의 내막

2. ‘천인계획’과 ‘중국제조 2025’가 이룩한 성과들

3. 미중패권대전과 한반도의 정세변화

 

 

1. 멍완저우 체포사건의 내막

 

2018년 12월 1일 중국 홍콩국제공항에서 캐나다 밴쿠버국제공항에 도착하여 메히꼬(멕시코)로 가는 항공기로 바꿔 타기 위해 환승장에서 대기하던 중국인 여성이 캐나다 사법당국요원들에 의해 현장에서 전격 체포되었다. 이 체포사건으로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중국인 여성의 이름은 멍완저우(孟晩舟)다. 중국의 전자통신부문을 대표하는 거대기업인 화웨이기술유한공사(華爲技術有限公司, Huawei Technologies)의 최고재무책임자(CFO) 겸 부회장인 멍완저우는 화웨이 창업주 런정페이(任正緋)의 딸이며 그의 사실상 후계자다. 멍완저우 부회장은 자기 부모가 이혼하자 어머니의 성을 따라 멍 씨 성을 가졌다. 

 

1987년에 창업한 화웨이는 2012년 스웨리예(스웨덴)의 전자통신기업 에릭슨(Ericsson)을 인수, 합병하여 몸집을 키웠고, 2017년 현재 총자산 774억6천2백만 달러를 보유하였고, 종업원 18만명을 고용하였다. 미국의 다국적 기업전문지 <포천(Fortune)>이 발표한 세계 500대 기업순위에서 화웨이는 72번째로 올라섰다. 

 

세계적인 전자통신기업의 부회장이 무슨 큰 죄를 지었기에, 캐나다 밴쿠버국제공항 환승장에서 체포되었을까? 그녀를 체포한 것은 캐나다 사법당국이지만, 그녀를 체포하라고 캐나다에게 요구하였을 뿐 아니라, 구금된 그녀의 신병을 넘겨달라고 요구한 것은 미국이다. 멍완저우 체포사건를 오래 전부터 치밀하게 계획하였고, 결정적인 시각에 그 계획을 행동에 옮긴 장본인은 백악관이다. 

 

<뉴욕타임스> 2018년 12월 7일 보도에 따르면, 멍 부회장은 자신이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감시와 추적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2017년 3월에 눈치챘다고 한다. 미국 연방법원 동부지청이 멍 부회장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한 날은 2018년 8월 22일이었다. 

 

미국 통신사 <블룸벅> 2018년 12월 7일 보도에 따르면, 캐나다가 멍 부회장의 신병을 미국에 넘겨주는 경우 미국은 그녀를 미국 국내법을 위반하였다는 죄목에 걸어 최장 30년 징역형을 선고할 수 있다고 한다. 멍완저우 체포사건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진 1>  

 

▲ <사진 1> 위의 사진은 2014년 10월 1일 로씨야 모스크바에서 진행된 VTB 금융투자연단에 참석한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이 울라지미르 뿌찐 로씨야 대통령 옆에서 발언하는 장면이다. 화웨이는 중국의 대표적인 전자통신기업이다. 화웨이는 세계 500대 기업순위에서 72번째에 올랐다. 그런데 2018년 12월 1일 캐나다 사법당국은 홍콩국제공항을 떠나 밴쿠버국제공항에 도착하여 메히꼬로 가는 항공기를 바꿔 타기 위해 환승장에서 대기하던 멍완저우 부회장을 전격 체포하였다. 그녀를 체포한 것은 캐나다 사법당국이지만, 그녀를 체포하라고 캐나다에게 요구하였을 뿐 아니라, 구금된 그녀의 신병을 넘겨달라고 요구한 것은 미국이다. 멍완저우 체포사건을 오래 전부터 치밀하게 계획하였고, 결정적인 시각에 그 계획을 극적으로 행동에 옮긴 장본인은 백악관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1) 미국이 캐나다를 앞세워 멍 부회장을 체포한 까닭은, 지금으로부터 5년 전 영국 통신사 <로이터즈(Reuters)>가 2013년 1월 31일부 기사에서 자세히 서술한 바 있다. 그 보도기사에 따르면, 멍 부회장은 2008년 2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중국 홍콩에 있는 전자통신기업 스카이컴 텍(Skycom Tech)의 이사로 있었는데, 스카이컴 텍은 화웨이의 “자회사(subsidiary)”라는 것이다. 또한 그 보도기사에 따르면, 2010년 말 이란이슬람공화국 수도 테헤란에 있는 스카이컴 텍 지사는 미국의 대이란제재법을 어기고 미국의 다국적 정보기술회사 HP가 생산한, 148만 달러 상당의 컴퓨터 핵심부품을 이란의 전자통신기업인 모빌 텔레커뮤니케이션(Mobile Telecommunication)에 판매하였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스카이컴 텍은 영국계 다국적 은행 HSBC에 계좌를 개설하고 모빌 텔레커뮤니케이션과 금융거래를 하였다. 

 

그런데 <뉴욕타임스> 2018년 12월 7일 보도에 따르면, 캐나다 연방검사들은 이란과 금융거래를 하기 위해 스카이컴 텍이라는 위장회사를 만들어 영국계 다국적 은행 HSBC를 속인 사기행위에 “직접적으로 관여한” 사기혐의로 멍 부회장을 기소하겠다는 것이다. 대이란제재법이 없는 캐나다가 멍 부회장을 미국의 대이란제재법을 걸어 구속할 수는 없으므로, 금융거래사기죄에 걸어 구속하려는 수작으로 보인다.  

 

(2) 미국 일간지 <월스트릿저널> 2018년 12월 6일 보도에 따르면, 2007년 중국에 진출한 영국계 다국적 은행 HSBC에서 국제자금세탁 및 규제위반을 감시해온 익명의 감독관이 화웨이의 자금거래내역을 2012년부터 미국 사법당국에 넘겨주었다고 한다. 이런 정황은 이미 오바마 행정부 시기부터 미국 법무부가 HSBC의 내부제보자를 통해 화웨이의 자금거래내역을 은밀히 조사해왔음을 말해준다. 2012년부터 화웨이의 자금거래내역을 은밀히 조사해오던 미국 법무부는 2018년 8월 22일 멍 부회장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하였고, 연방수사국은 2018년 12월 1일 멍 부회장이 밴쿠버국제공항에서 환승할 것이라는 정보를 파악하고, 캐나다 사법당국에 그녀를 체포하도록 요구하였던 것이다.  

 

(3) 2018년 12월 6일 미국 라디오방송 <NPR> 대담프로그램에서 존 볼턴(John R. Bolton)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대담진행자는 멍완저우 체포사건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대담진행자 -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체포사건을 미리 알고 있었는가?”

볼턴 - “당신도 알다시피, 나는 그 문제에 대해 어떻게 답변할지 모르겠다. 나는 (멍완저우 체포사건을) 미리 알았다. 우리는 미국 법무부로부터 (그 사건에 대해) 알았는데, 그런 일은 흔히 일어난다. 우리는 그런 모든 일들을 대통령에게 알려드리지 않는다.”

 

<NPR> 대담프로그램에 출연한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이 자신은 멍완저우 체포를 사전에 알고 있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사전에 알았는지에 대해서는 답변하지 못하겠다고 발뺌을 한 까닭은, 멍완저우 체포사건을 일으켜 미중관계를 더욱 악화시킨 트럼프 대통령의 책임이 세상에 드러나지 않게 은폐하려는 서툰 정치촌극이다. <사진 2> 

 

▲ <사진 2> 1987년에 창업한 중국의 대표적인 전자통신기업 화웨이는 2012년 스웨리예의 전자통신기업 에릭슨을 인수, 합병하여 몸집을 키웠고, 2017년 현재 총자산 774억6천2백만 달러를 보유하고, 종업원 18만명을 고용한 거대기업이다. 며칠 전 라디오방송대담프로그램에 출연한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자신은 멍완저우 체포사건을 사전에 알고 있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사전에 알았는지에 대해서는 답변하지 못하겠다고 발뺌을 하였다. 이것은 멍완저우 체포사건을 일으켜 미중관계를 더욱 악화시킨 트럼프 대통령의 책임이 세상에 드러나지 않게 은폐하려는 서툰 정치촌극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관심의 초점은 트럼프 대통령이 체포사건을 사전에 알았느냐 아니면 알지 못했느냐 하는 게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이 체포명령을 내렸느냐 아니면 내리지 않았느냐 하는 것이다. 멍 부회장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린 장본인은 매튜 위터커(Matthew G. Whitaker) 미국 법무장관 직무대행이 아니다. (현재 미국 법무장관은 공석이다.) 미중관계에 엄청난 파란을 일으킬 체포사건은 위터커 직무대행이 사법적으로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미국 연방정부의 사업집행체계에 따르면, 위터커 직무대행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멍 부회장을 밴쿠버국제공항에서 2018년 12월 1일에 체포하겠다고 보고하였고, 미국 연방수사국 크리스토퍼 뤠이(Christopher A. Wray) 국장에게 체포명령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왜 멍 부회장을 체포하라고 명령했을까? 미국이 캐나다를 앞세워 멍 부회장을 전격 체포하였던 2018년 12월 1일, 트럼프 대통령은 아르헨띠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한 길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만찬회동을 갖고 무역담판을 벌였다. 무역담판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2019년 1월 1일부터 2,000억 달러에 상당하는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현행 10%에서 25%로 인상하려던 계획을 보류하고, 앞으로 90일 동안 중국산 수입품들에 대한 추가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다. 이 약속은 앞으로 90일 동안 미중무역회담을 벌이면서 중국을 더욱 압박하여 굴복시키겠다는 뜻이다.  

 

그러나 멍완저우 체포사건은 미국이 미중무역회담에서 중국을 압박하려는 술책이 아니다. 그 체포사건은 미국이 아주 오래 전에 치밀하게 계획하였고 그 동안 체포기회를 노려왔었는데, 미국 연방수사국이 자신을 감시, 추적하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 챈 멍 부회장이 미국에 입국하지 않아 그녀를 체포하지 못하다가, 그녀가 메히꼬로 가기 위해 밴쿠버국제공항 환승장에 나타난 기회를 놓치지 않고 그녀를 체포한 날이 공교롭게도 트럼프-시진핑 무역담판이 진행된 날과 겹친 것뿐이다. 멍완저우 체포사건과 미중무역전쟁은 직접 연관되지 않는다. 미국이 멍완저우 체포사건을 일으킨 목적은 다른 데 있다. 그 목적은 아래에 서술한 것처럼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다. 

 

 

2. ‘천인계획’과 ‘중국제조 2025’가 이룩한 성과들  

 

2008년 12월 중국 정부는 해외에 있는 과학기술인재 1,000명을 2009년 1월 1일부터 10년 동안 중국으로 귀국시키기 위한 ‘천인계획(千人計劃, Thousand Talents Plan)’을 발표하였다. 2010년에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중국 국무원은 기존 ‘천인계획’을 확대, 보강하였다. 새로 확대, 보강된 ‘천인계획’은 세 갈래로 추진되었는데, 55살 미만 중국인 과학자 및 기술자 1,000명을 귀국시키는 프로그램, 40살 미만 중국인 청년과학자 및 청년기술자 1,000명을 귀국시키는 프로그램, 그리고 55살 미만 외국인 과학자 및 기술자 1,000명을 해외에서 영입하는 프로그램이다. ‘천인계획’은 해외에서 활동하는 우수한 과학기술인재 3,000명을 모집하여 중국을 과학기술선진국으로 일으켜 세우고 21세기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그런데 2009년 1월 1일부터 10년 동안 추진되어온 ‘천인계획’은 올해 2018년 12월 31일에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 된다. 지난 10년 동안 중국은 ‘천인계획’을 추진해오면서 얼마나 많은 과학기술인재들을 중국으로 불러들였을까? <블룸벅> 2018년 6월 22일 보도에 따르면, 2018년 6월 현재 중국은 ‘천인계획’에 따라 해외에서 우수한 과학기술인재 2,629명을 중국으로 불러들였는데, 그 구성비를 살펴보면, 의학자, 생명공학자, 보건학자 44%, 응용과학자 22%, 컴퓨터공학자 8%, 항공우주공학자 6%, 천문학자 6%, 그 밖에 경제학자, 재정학자, 수학자 등이라고 한다. 중국이 ‘천인계획’을 추진하면서 모집한 과학기술인재들은 중국의 각 분야에 흩어져 들어가 첨단과학기술연구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사진 3> 

 

▲ <사진 3> 이 오래된 흑백사진은 1979년 1월 미국을 방문한 덩샤오핑 당시 중국 부총리가 워싱턴 주재 중국대사관을 방문하여 1979년 12월에 중국이 사상 처음으로 미국으로 보낸 중국 유학생들과 촬영한 기념사진이다. 사진 속의 유학생들은 중국 정부가 선발한 제1차 도미유학단 52명 가운데 먼저 워싱턴에 도착한 선발대였다. 도미유학단 52명은 중국의 과학기술발전을 추동한 1세대 과학기술인재들이다. 그때로부터 지금까지 40년 동안 중국 정부가 지원하여 미국, 유럽, 일본에서 유학한 중국인 과학기술인재는 60만 명에 이른다. 바로 이들이 중국의 첨단과학기술발전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올려세웠다. 중국은 지난 10년 동안 '천인계획'을 추진해오면서 해외에서 활동하는 우수한 과학기술인재 2,629명을 중국으로 불러들였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2015년 3월 5일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중국의 경제발전전략을 발표하면서 ‘중국제조(中國製造) 2025’를 언급하였다. 이것은 2016년부터 2025년까지 10년 동안 중국을 경제강국으로 일으켜 세우겠다는 뜻인데, ‘중국제조 2025’를 추진하는 동력은 첨단과학기술이다. 그런 점에서, 중국의 첨단과학기술개발에 결정적으로 공헌한 ‘천인계획’은 ‘중국제조 2025’의 추진동력으로 되었다고 볼 수 있다.

 

2018년 11월 9일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중국은 2년 안에 미국을 따라잡으려고 했지만 아직은 격차가 크다. 중국은 ‘중국제조 2025’를 포기했다. 그 계획은 중국이 2025년까지 세계경제를 제패하겠다는 뜻이므로, 우리는 그 계획이 무례하다고 지적했고, 그런 일이 일어날 리 없다고 말했다”고 했다. 중국이 ‘중국제조 2025’를 결코 포기할 리 없는데도, 트럼프 대통령이 위와 같이 포기를 운운한 것은 세계경제패권을 추구하는 중국에 대한 미국의 불안감이 어느 정도인지 보여준다. 

 

‘중국제조 2025’와 ‘천인계획’은 미국의 경제패권과 기술패권에 대한 정면도전이다. 중국의 정면도전을 받은 미국은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첨단과학기술개발을 가로막지 않으면, 21세기 4차 산업혁명의 주도권이 중국에게 넘어갈지 모른다는 심각한 위기감에 사로잡혔다. 

 

중국이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린 첨단과학기술분야에서 특히 국제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것은 우주개발과 5세대 이동통신망이다. 21세기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첨단과학기술이 응축된 최고 정수는 단연 우주개발과 5세대 이동통신망이라고 할 수 있는데, 중국은 바로 그 두 분야에 국가적 투자를 집중시킨 것이다. 그렇게 노력한 끝에 중국은 그 두 분야에서 미국과 경쟁하는 고도의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1) 2016년 12월 27일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2016 중국항천백서’를 발간하였는데, 거기에 항공우주선진국으로 일어서려는 우주개발의 원대한 꿈이 담겨있다. 중국은 백서에서 “광활한 우주를 탐험하고, 우주산업을 발전시키며, 중국을 항공우주강국으로 건설하는 계획은 우리가 지속적으로 추구할 꿈”이고, “항공우주전력을 평화적으로 이용하고 국가안보를 보장하며 첨단과학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하면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추진하는 우주개발 5개년 계획을 밝혔다. 중국공산당 창건 100주년이 되는 2021년에 우주개발 5개년 계획을 완수하려는 것이다.

 

중국의 우주개발계획에 따르면, 2018년에 달뒷면에 탐사로봇을 착륙시키고, 2020년에는 화성에 탐사로봇을 착륙시키고, 우주정거장도 건설하며, 2031년에서 2036년까지 기간에는 우주비행사를 태운 유인우주선을 달에 착륙시키고, 화성을 탐사한 다음에는 우주탐사범위를 목성까지 확대한다는 것이다. 

 

1966년 7월 15일 샤오바오(소豹)라는 이름을 붙여준 두 살짜리 강아지를 태운 실험용 로켓을 쏘아올리며 첫 우주비행시험을 하였던 중국이 지금은 달-화성-목성으로 이어지는 원대한 우주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2018년 12월 8일 중국은 인류 최초로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 달뒷면에 착륙할 달탐사선 창어(嫦娥)-4호를 쏘아올렸다. 중국은 달뒷면으로 접근하는 달탐사선과 지구관제소 사이의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2018년 5월 21일 통신중계위성 췌차오(烏鵲橋)를 지구-달 전이궤도에 쏘아올렸다. 중국은 2007년 10월 24일 달탐사선 창어-1호를 쏘아올린 때로부터 11년 동안 자기의 우주개발계획을 시간표에 맞춰 실행해오면서 우주개발분야에서 미국과 러시아를 곧 따라잡을 기세다.  

 

(2) 21세기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첨단과학기술들 가운데는 흔히 ‘5G’라고 부르는 혁신적인 정보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도 있다. ‘5G’라는 말은 5세대 이동통신망(5th Generation Mobile Network)을 뜻한다. 

 

2000년에 상용화된 2세대 이동통신망은 휴대전화기로 문자를 전송하는 수준이었고, 2006년에 상용화된 3세대 이동통신망은 전송속도가 100배나 빨라져 휴대전화기로 사진을 전송하고 영상통화를 하는 수준이었고, 2011년에 상용화된 4세대 이동통신망은 정보처리용량이 엄청나게 늘어나 휴대전화기로 영화도 전송할 수 있었다. 

 

그런데 지금 기술선진국들은 4세대 이동통신망보다 전송속도는 20배 이상 빠르고, 정보처리용량은 100배 늘어난 5세대 이동통신망을 개발하는 중이다. 5세대 이동통신망이 출현하면, 40초 걸리는 영화전송시간이 2초로 줄어드는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5세대 이동통신망의 공식명칭은 IMT-2020인데, IMT라는 글자는 국제이동원격통신(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의 머리글자이고, 2020이라는 숫자는 2020년까지 5세대 이동통신망을 개발하게 된다는 뜻이다. 

 

사람들은 4세대 이동통신망을 사용하면서 불편을 느끼지 못하는데, 기술선진국들이 5세대 이동통신망을 개발하는 까닭은, 5세대 이동통신망을 개발해야 21세기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과 지능로봇을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사물인터넷이란 인터넷으로 연결된 각종 전자기기들이 정보자료를 서로 주고받으며 자동으로 주변환경을 감지, 식별하여 분석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즉시 전송하면, 사용자가 원격조종으로 지령을 내려 각종 전자기기들과 지능로봇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을 사용하려면, 260억 개에 이르는 각종 사물들이 이동통신망에 연결되어야 하는데, 기존 4세대 이동통신망으로 그처럼 방대한 정보를 처리하면 전송속도가 크게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전송속도가 매우 빠르고 정보처리용량이 매우 큰 5세대 이동통신망이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 지금 기술선진국들이 개발하고 있는 5세대 이동통신망이 완성되는 것과 더불어 국제기술표준이 제정되게 된다. 왜냐하면, 5세대 이동통신망에 사용되는 각종 통신기기를 국제기술표준에 맞춰 각국에서 생산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느 나라가 개발한 5세대 이동통신기술로 국제기술표준을 정하느냐 하는 것이 초미의 문제로 나선다. 5세대 이동통신망을 가장 먼저 완성한 나라가 자기 기술을 가지고 국제기술표준을 정하게 되기 때문에, 기술선진국들은 5세대 이동통신기술을 먼저 완성하기 위한 불꽃 튀는 경쟁을 벌이는 중이다. 

 

영국계 기업자문회사인 딜로잇 컨설팅(Deloitte Consulting)의 분석자료를 인용한 <포천> 2018년 8월 7일 보도에 따르면, 지금 5세대 이동통신망을 완성하는 데서 중국의 기술이 미국의 기술을 앞지르고 있다고 한다. 미국은 5세대 이동통신망을 완성하는 데서 중국에게 뒤질까봐 조바심과 불안으로 속을 태우며 안절부절 못하고 있다. <사진 4> 

 

▲ <사진 4> 이 사진은 2018년 12월 6일 중국의 전자통신기업인 샤오미가 세계에서 최초로 공개한 신형 지능휴대전화기 시제품이다. 이 신형 지능휴대전화는 중국이 미국을 앞질러 기술개발완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5세대 이동통신망에 사용될 것이다. 샤오미보다 이틀 앞서 미국의 전자통신기업 퀄컴도 5세대 이동통신망에 사용될 신형 지능휴대전화기 시제품을 공개하였지만, 그것은 아직 완벽한 시제품은 아니었다. 중국에서는 샤오미에 뒤질세라 화웨이와 원플러스도 5세대 이동통신망에 사용될 신형 지능휴대전화기를 2019년 초에 내놓으려고 한다. 특히 화웨이가 개발 중인 신형 지능휴대전화기는 접이식 지능휴대전화기다. 중국은 2019년에 5세대 이동통신망을 시범적으로 상용화하고, 2020년에 완성하는 개발목표를 향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2018년 12월 6일 중국의 전자통신기업 샤오미(小米)가 5세대 이동통신망에 사용될 신형 지능휴대전화기(smartphone) 시제품을 세계 최초로 공개하였다. 그보다 이틀 앞서 미국의 전자통신기업 퀄컴(Qualcomm)이 5세대 이동통신망에 사용될 신형 지능휴대전화기 시제품을 공개하였지만, 그것은 아직 완벽한 시제품이 아니었다. 중국에서는 샤오미에 뒤질세라, 화웨이와 원플러스(OnePlus, 一加科技)도 5세대 이동통신망에 사용될 신형 지능휴대전화기를 2019년 초에 세상에 내놓으려고 한다. 이처럼 중국은 2019년에 5세대 이동통신망을 시범적으로 상용화하고, 2020년에 완성하려는 개발목표를 향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샤오미가 5세대 이동통신망에 사용될 신형 지능휴대전화기를 공개하였던 2018년 12월 6일, 백악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재로 비공개 대책회의가 진행되었다. 미국에서 5세대 이동통신망을 개발하고 있는 핵심기업들인 구글(Google), 마이크로소프트(MS), IBM, 오러클(Oracle), 퀄컴의 최고경영자들이 그 회의에 참석하였다. 그런데 눈길을 끄는 것은, 5세대 이동통신망개발과는 무관하게 보이는 헨리 키씬저(Henry A. Kissinger)가 그 대책회의에 참석하였다는 사실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정책에 관한 자문을 구하는 키씬저가 백악관 대책회의에 참석한 것은, 5세대 이동통신망 개발경쟁에서 중국을 어떻게 꺾을 수 있는가 하는 대책적 문제가 논의되었음을 말해준다. 

 

주목되는 것은, 화웨이가 5세대 이동통신망 기술개발분야에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화웨이가 미국의 견제와 공세를 받고 있는 까닭이 거기에 있다. 5세대 이동통신망을 완성하는 데서 자기를 앞지르고 있는 중국의 기술발전을 가로막기 위해 갖은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고 있는 미국은 이미 2012년부터 화웨이와 ZTE(중국의 전자통신기업)가 생산하는 통신장비들이 미국에서 판매되는 것을 금지하였다. <월스트릿저널> 2018년 11월 22일 보도에 따르면, 최근 미국은 영국, 도이췰란드, 이딸리아,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게 화웨이가 생산하는 부품과 장비를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하였다고 한다. 미국의 추종국들은 미국의 요구에 따라 화웨이 제품을 배제시켰다. 미국이 화웨이를 그처럼 완전히 고립시켰는데도, 5세대 이동통신망을 완성하기 위한 중국의 기술발전이 빠른 속도로 진척되자, 미국은 비상대책을 취할 수밖에 없었으니 그것이 바로 멍완저우 체포사건이다.  

 

 

3. 미중패권대전과 한반도의 정세변화

 

트럼프 대통령이 2018년 3월 22일 중국에게 무역전쟁을 선포하고, 6월 15일 중국산 상품에 대한 관세부과조치를 강행하여 무역전쟁을 도발한 이래 미국과 중국은 관세부과와 관세보복을 주고받으며 갈등을 빚어왔는데, 2018년 12월 1일에 일어난 멍완저우 체포사건은 미국과 중국의 첨단과학기술전쟁에 불을 붙인 계기로 되었다. 거기에 더하여, 미국과 중국은 이미 동중국해, 대만해협, 남중국해에서 해양지배권을 놓고 계속 충돌하고 있다. 이런 상황은 미국과 중국이 피차 국운을 걸고 격돌하는 패권대전에 돌입하였음을 말해준다. 패권대전에서 어느 쪽이 승리할지는 예측하기 힘들지만, 미중관계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단계적으로 악화될 수밖에 없다. 

 

주목되는 것은, 미중패권대전의 소용돌이 속에서 한반도의 비핵화가 실현된다는 사실이다. 한반도의 비핵화는 민족주체역량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지만, 날로 격화되고 있는 미중패권대전이 한반도의 비핵화 실현과정에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이 고찰할 수 있다. 

 

(1) 미중패권대전은 미중협력을 중단시키고, 조미협상을 촉진시켰다. 2018년 6월 12일 조미정상회담이 성사되었고, 2018년 6월 15일 미중패권대전이 일어났다. 세계를 뒤흔든 대사변이 불과 사흘 차이로 일어난 것은 우연이 아니다.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패권대전을 도발하려면, 조선과의 대결에서 한 발 물러서야 한다. 왜냐하면, 미국이 중국과 패권대전을 벌이면서 조선과 대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에게는 두 강적을 동시에 상대하여 싸울 수 있는 힘이 없다. 어느 한 쪽을 선택하고, 거기에 힘을 집중해도 이길지 말지 모르는 판에 두 강적을 동시에 상대하여 싸우는 것은 패배를 자초하는 어리석은 짓이다. 그래서 미국은 중국과 맞서 싸우는 패권대전에 힘을 집중하기로 결정하고, 조선과 맞서 싸우는 대결에서는 뒤로 물러섰던 것이다. 

 

조미핵대결이 조선의 승리와 미국의 패배로 종식된 것은 명백한 사실인데, 미중패권대전은 조미핵대결이 종식된 이후 조미대결에서 미국을 한 발 물러서게 만든 외재적 요인으로 되었다. 조미핵대결이 종식된 이후 조미대결에서 미국을 한 발 물러서게 만든 주체적 요인은 두말할 나위 없이 조선의 힘이다. <사진 5>   

  

▲ <사진 5> 이 사진은 2018년 6월 12일 싱가폴공화국 싼토스섬에서 진행된 역사적인 조미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단독회담을 시작하기 전에 모두발언을 하는 장면이다. 2018년 6월 12일 조미정상회담이 성사되었고, 2018년 6월 15일 미중패권대전이 일어났다. 세계를 뒤흔든 대사변이 불과 사흘 차이로 일어난 것은 우연이 아니다.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패권대전을 도발하려면, 조선과의 대결에서 한 발 물러서야 한다. 왜냐하면, 미국이 중국과 패권대전을 벌이면서 조선과 대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에게는 두 강적을 동시에 상대하여 싸울 수 있는 힘이 없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2) 미중패권대전은 조선에게 가해오던 미국의 ‘최대 압박’을 결정적으로 약화시켰다. 미중패권대전의 전개양상을 보면, 기존 패권을 장악한 미국은 도발적이며 공격적이고, 아직 패권을 장악하지 못한 중국은 수세적이며 방어적이다. 미중패권대전에서 수세적이고 방어적인 중국이 외부지원을 요청할 대상은 미국과 날카롭게 대립하고 있는 조선과 러시아다. 그런 까닭에 조선, 중국, 러시아는 미국과 대립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게 된다. 미중패권대전이 격렬해질수록 조선, 중국, 러시아 삼각관계에 조성된 전략적 협력은 더욱 강화된다. 이런 정세변화는 미국이 조선에게 가해오던 ‘최대 압박’을 결정적으로 약화시켰다. 요즈음 트럼프 행정부가 조선에게 ‘최대 압박’이라는 말을 더 이상 쓰지 못하고, 조선을 제재한다는 말만 쓰는 까닭이 거기에 있다. 미국이 떠들어대던 ‘최대 압박’이라는 것도 사실은 조선에게 별반 압박으로 되지 못한 허장성세 언사에 지나지 않은 것이었지만, 요즈음은 그런 허장성세 언사마저 종적을 감췄다. 

 

지금 조선은 미국에게 대조선제재를 완화하라고 강하게 요구하면서 제재를 완화하지 않으면 미국과 협상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미국은 어떻게 해서든지 협상을 재개해보려고 조선에게 협상을 거듭 요구해오고 있지만, 조선은 미국이 대조선제재를 완화하고 종전선언을 발표하겠다고 하기 전에는 미국의 협상요구에 일절 반응도 하지 않고 무시해버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대조선제재는 실효 없는 헛발질이다. 왜냐하면, 조선은 장장 60년 동안 제재를 받으면서도 국가경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기 때문이다. 조선은 미국의 제재를 실효 없는 헛발질로 만드는 비결을 자력갱생에 의거한 자급자족에서 찾았다. 2018년 12월 현재 조선에서 자력갱생에 의거한 자급자족은 사상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다. 조선에서 ‘만리마 속도’로 추진되고 있는 첨단과학기술개발과 인민경제발전이 그런 사실을 말해준다. 그런 사정을 알면서도, 미국은 대조선제재의 헛발질만 부질없이 계속하고 있다. 조선이 미국에게 대조선제재를 완화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미국의 제재가 조선의 첨단과학기술개발과 인민경제발전을 가로막았기 때문이 아니라, 조선의 국가적 자존심이 미국의 제재를 받는 것을 용인하지 않기 때문이다. 

       

(3) 미중패권대전은 남북교류를 촉진시킨다.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는 속담처럼, 고래 두 마리가 싸움하는 거센 소용돌이 속에서 등이 터지는 쪽은 한국이다. 이미 성장동력을 상실한 한국경제는 미중무역전쟁의 충격파를 맞으며 위험지경에 들어서고 있다. 90일 휴전기간이 끝나는 2019년 4월 1일부터 미중무역전쟁이 더 격화되어 중국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량이 크게 줄면, 한국이 중국으로 수출하는 물량 중에서 80%나 되는 비중을 차지하는 중간재 수출도 당연히 줄어들게 된다. 그렇게 되면, 내수시장이 피폐해져 대중국수출로 명맥을 유지해오던 한국경제는 치명상을 입을 것이다. 이런 위험을 간파한 문재인 정부는 경제붕괴위험을 막을 방지책을 북방정책에서 찾았다.  

 

그런데 문재인 정부가 북방정책을 실행하려면, 남북철도를 연결해야 하고, 남북철도를 연결하려면, 남북교류가 실현되는 것과 더불어 미국의 대조선제재가 해제되어야 한다. 요즈음 문재인 정부가 남북교류에 적극 나서면서 미국에게 대조선제재를 완화해줄 것을 요청하는 까닭은, 북방정책을 추진하여 경제붕괴위험에서 벗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가 2018년 12월 3일에 발표한 남북관계발전기본계획(2018~2022년)에서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제기한 까닭이 거기에 있다,

 

이처럼 남측은 경제붕괴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남북교류를 추진하고 있는 데 비해, 북측은 자주통일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있다. <사진 6> 

 

▲ <사진 6> 위의 사진들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울방문을 고대하는 서울시민들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요즈음 남측에서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울방문을 환영하는 조직들이 자발적으로 결성되어 활동을 벌이기 시작했다. 최근 남측에서 실시된 여론조사결과에 따르면, 남측 각계각층 가운데 60% 이상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울방문을 환영하는 의사를 표명하였다고 한다. 문재인 정부도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울방문이 어서 이루어지기를 바래서 북측에게 거듭 서울방문을 요청하였지만, 북측은 이제껏 아무런 응답도 주지 않고 있다. 조선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조선제제를 완화하고 종전선언을 발표하겠다는 전향적인 태도를 보여야, 제2차 조미정상회담과 제4차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대조선제재도 완화하지 않고, 종전선언도 발표하지 않는데, 맥빠진 정상회담이나 반복해서 무슨 의의가 있겠는가.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 <사진 6> 위의 사진들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울방문을 고대하는 서울시민들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요즈음 남측에서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울방문을 환영하는 조직들이 자발적으로 결성되어 활동을 벌이기 시작했다. 최근 남측에서 실시된 여론조사결과에 따르면, 남측 각계각층 가운데 60% 이상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울방문을 환영하는 의사를 표명하였다고 한다. 문재인 정부도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울방문이 어서 이루어지기를 바래서 북측에게 거듭 서울방문을 요청하였지만, 북측은 이제껏 아무런 응답도 주지 않고 있다. 조선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조선제제를 완화하고 종전선언을 발표하겠다는 전향적인 태도를 보여야, 제2차 조미정상회담과 제4차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대조선제재도 완화하지 않고, 종전선언도 발표하지 않는데, 맥빠진 정상회담이나 반복해서 무슨 의의가 있겠는가.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일부 사람들은 문재인 정부가 판문점선언과 평양공동선언을 충실히 이행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그것은 아주 단순한 생각이다. 문재인 정부가 남북합의를 이행하는 범위는 남북교류로 한정되었고, 그나마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남북교류는 ‘한반도 신경제구상’의 범위 안으로 축소되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가 남북교류를 추진하면서도, 북을 ‘반국가단체’라고 모략하면서 남측의 통일운동을 탄압하는 만고의 악법인 ‘국가보안법’을 여전히 방치하는 자가당착에 빠진 까닭은, ‘국가보안법’을 존치하고서도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착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문재인 정부가 남북교류를 추진하면서도 북을 자극하는 미국의 대조선인권공세에 가담하는 자가당착에 빠진 까닭은, 대조선인권공세에 가담하면서도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착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문재인 정부가 남북교류를 추진하면서도 북을 자극하는 한국군 군사훈련과 무력증강을 여전히 계속하는 까닭은, 군사훈련과 무력증강을 계속하면서도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착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문재인 정부가 남북교류를 추진하면서도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하는 당면과업을 외면하는 까닭은, 정전협정체제에서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착각하기 때문이다. 

 

이런 사정을 살펴보면, 문재인 정부가 판문점선언 및 평양공동선언의 합의사항들 가운데서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일부 합의사항들만 선별적으로 이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그런 선별적 이행은 그 두 선언의 합의사항들 가운데서 겨우 20%만 이행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판문점선언과 평양공동선언은 남북교류, 남북화해, 한반도 평화, 민족공동번영, 통일국가건설이라는 다섯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졌는데, 그 가운데서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구상’에 부합되는 구성요소는 남북교류 뿐이므로, 20%만 이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다. 그런 남북교류도 미국의 대조선제재가 해제되어야 실현될 수 있다. 문재인 정부에 대한 과도한 기대를 접고,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KTX 탈선사고도 강성노조 때문이다?

한국·경향·한겨레·중앙일보 ‘정비업무 외주화, 안전시스템 구멍’ 지적하는데
동아일보 ‘노조 친화로 기강 해이’, 조선일보 ‘노조 요구 수용하고 마음은 콩밭’

김예리 기자 ykim@mediatoday.co.kr  2018년 12월 10일 월요일
 

KTX가 선로를 벗어나는 대형 사고가 지난 8일 아침 일어났다. 승객 198명을 태우고 강원 강릉역을 출발해 서울로 가던 강릉선 KTX 열차가 출발 5분 만인 아침 7시35분께 탈선했다. 열차 10량이 모두 선로를 이탈했고 2량은 완전히 꺾였다. 승객 15명과 선로작업자 1명 등 총 16명이 다쳤다. 속도가 더 빨랐거나 비탈로 떨어졌다면 참사가 벌어질 뻔했다.  

 

▲ 동아일보 1면 갈무리
▲ 동아일보 1면 
 

이번 사고는 인재(人災)라는데 무게가 실린다. 자체 조사결과 선로전환기의 고장상태를 외부로 알려주는 경보장치 케이블이 서로 엇갈려 연결된 사실이 확인됐다. 이상 신호가 사고 지점인 ‘21-B’에서 나타나야 하는데 케이블이 뒤바뀌어 ‘21-A’에서 발생했고, 점검팀은 사고와 무관한 지점만 점검한 뒤 철수했다. 케이블이 뒤바뀐 원인은 애초 부실 시공과 임의 조작으로 좁혀졌다. 

문책론이 비등한다. 사고는 강릉선이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지난해 12월22일 개통한 지 채 1년도 안돼 발생했다. 지난달 20일엔 충북 오송역에서 열차 전기공급이 중단돼 KTX 열차 120여대 운행이 지연됐다. 이에 코레일이 대국민사과와 함께 비상경영에 들어가고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 5일 재발방지를 지시했다. 이후 3일 만에 다시 사고가 일어났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현장을 찾아 대국민사과를 한 뒤 “코레일과 철도시설공단에 대한 신뢰가 더 이상 물러설 수 없을 만큼 무너졌다. 정확한 사고 원인을 밝혀 안전관리체계에 대해 엄중하게 책임을 묻고 기강을 바로잡겠다”고 말했다. 

10일 대다수 아침종합신문이 KTX 사고를 사설로 다뤘다. 그러나 사고 근본 원인에 대한 해석은 갈렸다. 대다수 신문이 인력과 예산 부족을 지적하며 근본 개선책을 요구한 반면 일부 보수신문은 ‘노조 편향 경영’을 꼽았다. 

 

신문들은 철도안전시스템에 구멍이 뚫렸다고 공통적으로 짚었다. “최근 3주일 동안 코레일이 운영하는 철도 구간에서 무려 10건의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했다고 입을 모았다. 동아일보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홍철호 의원(자유한국당)에 따르면 2013년부터 올해 7월까지 코레일의 기관차‧전동차 고장 건수는 661건으로 사흘에 한 번 꼴”이라고 했다.  

KTX를 운영하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무능도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서울신문은 “(안전관리 강화 추진) 후에도 사고가 발생한 것을 보면 강화된 철도 안전대책이 허구였음을 보여준다”고 했다. 한국일보는 “사고 원인을 철저히 가려내고 행여 인재라면 경영진의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 한다”고 했다. 한겨레는 책임을 엄중히 묻는 걸로 그칠 일이 아니라며 “철도 안전 전반에 대한 대대적 감사를 실시하고 근본적인 개선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했다. 중앙일보와 다른 신문들도 사고 원인과 관련자 문책이 뒤따라야 한다고 했다. 

 

▲ 한국일보 5면 갈무리
▲ 한국일보 5면 갈무리
 

한국일보와 경향신문, 한겨레는 문제의 뿌리가 “수익성 추구와 유지보수 부문 축소”에 있다고 봤다. 

한국일보는 ‘선로시설(기찻길)은 증가 추세인데 정비 인력과 예산은 줄고 있다’고 짚었다. “차량 유지보수 분야 정비인력의 경우 2015년 정원에 비해 38명이 부족했는데 2016년에는 190명, 지난해에는 205명이나 부족했다. (...) 선로전환기 신호시스템 오류 역시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1년 넘게 사고 지점의 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점과 무관치 않다.” 

한겨레는 “KTX 연이은 사고가 이전 정부들이 공기업 평가 기준을 바꿔 수익성을 앞세운 결과라는 지적도 나온다. 관리해야 할 선로는 계속 늘어나는데 유지보수 인력과 예산을 줄이고 정비업무를 외주화하면서 문제가 생겼다”고 했다. 경향신문도 “특히 그동안 코레일이 수익성만 추구하며 유지보수 부문을 외주화하고 투자를 축소한 것이 사고를 유발했는지 등 시스템적 측면도 철저시 조사해야 한다”고 했다.  

 

▲ 한겨레 사설 갈무리
▲ 한겨레 사설 갈무리
 

중앙일보는 “정비 인력 축소와 외주화가 원인이란 분석도 나온다. 최근 열차 선로가 크게 늘었는데도 유지보수 인력과 예산은 줄고 그 빈틈을 외주 인력이 메꾸고 있다”고 썼다. 그러면서도 “일각에선 지난 정부의 성과주의를 문제 삼기도 한다. 현 정부 출범 후 1년 반이 흐른 시점에서 전 정부 책임으로 돌리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했다. 

반면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친노조 경영’이 기강 해이를 불러왔다고 했다.  

동아일보는 사설에서 “코레일은 올해 초 정치인 출신 오영식 사장이 취임한 이래 노조 편향적 경영으로 논란을 빚어왔다. 잇단 사고 발생도 노사 간 긴장이 풀어지면서 근로 기강 해이가 원인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지만 번번이 무시됐다”고 했다.  

 

▲ 조선일보 1면 갈무리
▲ 조선일보 1면 갈무리
 

조선일보는 1면에서 “잇따른 철도 사고에 대해 전문가들은 ‘문재인 정부 출범 후 국토부와 코레일이 본연의 임무인 안전보다는 ‘콩밭’(남북 철도 연결)에 관심을 집중해왔다’고 했다”고 평했다. “인천공항공사 등 다른 공기업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놓고 갈등을 빚는 동안 코레일은 전대협 의장 출신 오영식 사장과 민노총 산하 철도노조가 뜻을 맞춰 노조의 요구를 대폭 수용했다”는 것이다. 조선일보는 팔면봉에선 “KTX 사고 나자 정치권 일부 안전 업무 외주화 탓. 또 정규직 만든다며 ‘세습 잔치’ 벌일까 무섭네”라고도 논평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5871#csidx7a4b65811f2aca08cede14a2682836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4주째 이어진 佛 '노란조끼' 시위, '2018혁명'으로 불릴까

트럼프는 "파리기후협정 탈퇴 결정한 나를 원하는 시위"로 조롱
2018.12.09 18:17:33
 

 

 

 

유류세 인상 정책으로 촉발된 프랑스의 '노란조끼' 운동이 마크롱 정부의 유류세 인상 철회 발표에도 불구하고, 8일(현지시간) 4번째 주말 시위를 이어갔다.

이날 이들이 내건 플래카드에는 "마크롱 퇴진', '자유·평등'을 넘어 '1789(프랑스 혁명)', '1968(68혁명)', '2018(프랑스혁명과 68혁명의 뒤를 잇는 사회혁명)'라는 숫자들이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노란조끼' 운동이 이제 특정 세금뿐 아니라 서민들을 위하는 방향으로 조세정책의 획기적인 전환을 요구하는 등 사회개혁적인 운동세력으로 변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반면 마크롱 정부는 정권 차원의 위기에 직면해 당황한 모습이 역력하다. 지난달 17일 시작된 노란조끼 운동의 시위가 심상치 않게 지속되자, 마크롱 정부는 지난 2일 유류세 인상 철회는 없다고 했다가 이틀뒤 '6개월 유예', 바로 다음날인 5일에는 '유류세 인상 철회'로 3일새 입장을 180도로 바꾸면서 이미 권위를 상실했다. 

 

▲ 프랑스의 노란조끼 시위대가 유류세 인상 철회 발표에도 불구하고 지난 8일 4주째 주말시위를 이어갔다. ⓒAP=연합


9만명 경찰 투입 불구, 12만 명 시위 
 

 

유류세 인상 철회를 약속했는데도 노란조끼 운동 측은 '지속적인 시위'를 예고하자, 마크롱 정부는 물대포와 최루탄, 장갑차로 무장한 채 무려 9만 명에 육박하는 경찰을 투입해 특히 파리 중심가 샹젤리제 거리로 시위대가 진입하는 것을 원천차단하려고 나섰다. 하지만 이날 파리에만 8000명의 경찰이 투입된 가운데 1만 명이 넘는 시위 참가자들이 운집했고, 프랑스 전역에서 12만5000여명이 노란조끼를 입고 시위에 동참했다.

시위가 폭력적으로 변할 것을 우려해 이날 에펠탑과 루브르 박물관, 백화점 등 주요 관광명소 및 공공시설은 임시로 폐쇄됐다. 상점들은 철제 셔터를 내려 파손·약탈에 대비했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전국적으로 1400여명이 체포되는 등 많은 사람들이 샹젤리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공권력이 나섰다"면서 "지금까지와 달리 사전에 시위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공권력 운영 방침이 바뀐 것으로 보여줬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번에도 시위대와 경찰 간 무력 충돌을 피하지는 못했다. 시위가 폭력적으로 변할 것을 우려해 이날 에펠탑과 루브르 박물관, 백화점 등 주요 관광명소 및 공공시설은 임시로 폐쇄됐고, 상점들은 철제 셔터를 내려 파손·약탈에 대비했지만, 일부 참가자들은 여전히 상점 유리창을 깨고 약탈을 일삼거나 방화를 일으켰다. 또한 시위대가 돌과 불꽃·화염병을 던지고고, 경찰은 최루탄과 물대포, 고무 총알로 맞서고 양측 간 난투극도 벌어졌다.

외신들은 "그나마 전국적으로 차량 100대와 건물 여러 채를 불태웠던 지난 주와는 달리 전반적인 폭력성은 옅어진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프랑스 국민들이 나를 원한다", 마크롱에 대한 조롱?


프랑스의 노란조끼 운동은 이미 국경을 넘어서 확산조짐을 보이고 있다. 벨기에 수도인 브뤼셀에서는 유럽의회 근처에서 500여 명이 노란조끼를 입고 "세금 인하" 등의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 지난달 30일에 이어 두 번째 노란조끼 시위다.

네덜란드 헤이그에서만 약 100여 명이 시위를 벌였고,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에서도 시위가 벌어져 최소 2명이 연행되는 등 600여명이 평화시위를 벌였다. 이탈리아에선 프랑스로 향하는 고속도로를 시위대가 점령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노란조끼 운동이 소득불평등 수준이 높은 미국과 영국에서도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와중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프랑스의 노란조끼 운동이 자신의 노선이 옳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변해 눈길을 끌었다. 프랑스의 유류세 인상이 탄소 배출 감소를 명분으로 하는 일종의 '환경세'라는 점을 꼬집은 것이다. 

그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프랑스 국민들은 환경 보호를 명분으로 제3세계 국가들에 많은 돈을 지불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서 "그들은 '트럼프를 원한다'고 외치고 있다"는 글을 올린 뒤 5시간 뒤에 다시 올린 글에서는 "비용만 터무니없이 많이 들어가는 파리기후협정을 끝장내고, 세금 인하로 국민에게 돈을 돌려줄 때"라면서 "미국은 그 점에서 이미 앞서가고 있으며,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이 감소한 유일한 주요국"이라고 주장했다.

 

한때 트럼프 대통령과 '맞짱 뜨는' 유일한 서유럽 최고지도자의 모습으로 인기를 끌었던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노란조끼 시위 사태를 맞아 한달째 전면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미 지지율 23%로 정치적으로 사망선고를 받은 상태나 다름없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프랑스 언론들은 이번 주에 대책을 발표한다는 마크롱에게 "모든 시선이 쏠려 있다"고 전하고 있다.   

 

관련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석기 석방이 곧 사법·분단 적폐 청산'

광화문광장서 2만명 모여 '이석기 의원 석방촉구대회' 개최
이승현 기자  |  shlee@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8.12.08  22:17:18
페이스북 트위터
   
▲ 올 겨울 가장 추운 날씨로 기록된 8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2만명의 시민들이 모인 가운데 '12.8 사법적폐 청산! 종전선언 촉구! 이석기의원 석방대회'를 진행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수감 6년째에 접어든 이석기 전 통합진보당 의원의 석방을 촉구하는 대회가 올 겨울들어 가장 추운 날씨로 기록된 8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진행됐다.

이날 ‘이석기 의원 내란음모사건’ 피해자 한국구명위원회를 비롯한 56개 시민사회단체는 광화문 광장에서 주최측 추산 2만여명의 참가자들이 모인 가운데 '12.8 사법적폐 청산! 종전선언 촉구! 이석기 의원 석방대회'를 진행했다.

대회는 25명의 남녀 어린이들이 무대에 올라 크리스마스 캐롤을 부르고 뒤이어 300여명으로 구성된 대규모 시민합창단이 '행복의 나라로'를 부르며 시작되었다. 

이창복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상임대표의장은 "이땅의 민주주의와 정의를 바로 세운 것도, 민족의 평화를 되찾은 것도 우리 촛불 국민들이다. 평화 번영과 통일로 나아가는 한반도의 미래는 그 누구도 감히 되돌릴 수 없다"고 하면서 "분단체제를 유지해 온 낡은 제도와 질서는 역사의 무대에서 과감히 퇴장시켜야 한다. 분단이 안긴 아픈 상처도 또한 하나도 빠짐없이 치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석기 전 의원을 비롯해 감옥에 갇힌 모든 양심수들과 웃으며 얼굴 마주하는 기쁜 날이 정녕 얼마 남지 않았다. 그날까지 건강하시라. 함께 하겠다"고 격려했다.

   
▲ 이창복 6.15남측위원회 상임대표의장은 한반도 평화번영과 통일의 미래는 감히 되돌릴 수 없으며, 분단이 남긴 상처의 치유를 위해 이석기 의원과 양심수들이 웃으며 얼굴 마주할 그날이 곧 오게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석기 의원과 양심수들이 감옥문을 열고 나와 광장에서 손붙잡고 통일을 노래할 때 분단적폐는 끝난다고 하면서 이들의 석방을 촉구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2년전 12월 국회는 박근혜 탄핵 망치를 두드렸지만 지금 분단적폐와 반통일적폐는 끝나지 않았다"고 지적하고는 "이석기 의원과 같은 양심수들이 감옥문을 열고 나와 광장에서 만나 함께 손붙잡고 통일을 노래할 때 분단적폐는 끝난다"고 이석기 의원과 양심수들의 석방을 촉구했다.

종교계 원로 및 시민사회 대표들도 영상을 통해 정부 당국에 이석기 의원의 석방을 공개 청원했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인 김희중 대주교는 대회장에서 상영된 영상을 통해 "정치적 소신을 가지고 양심의 자유에 따라서 발언한 내용으로 구속이 되었다면, 대한민국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양심의 자유를 정면으로 거부하는 것"이라며, "감히 대통령님께 호소한다. 양심의 자유를 존중하고 헌법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이석기 의원이 하루빨리 석방되어서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대장정에 합류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인 이홍정 목사는 "내란음모죄로 구속된 이석기 의원 사건은 분단과 냉전의 구조악이 빚어낸 산물"이라며, "이제 평화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데, 이석기 의원은 잊혀진 인물이 아니라 평화의 새싹을 틔우는 인물로 우리에게 오래 기억에 남아야 되리라고 생각한다. 문재인 정부의 탄생은 주권재민의 가치 위에 서 있고 그 가치가 요구하는 양심수 석방을 정치적 고려의 대상으로 전락시키지 말고 법적 근거를 따라 즉각 석방하는 것이 옳다"고 강조했다.

함세웅 신부는 "두달 전에 수원구치소에서 이석기 의원을 만나 함께 기도하고 성체를 모셔드렸다"면서 "그날 이석기 의원에게 문재인 정부는 이석기 의원을 꼭 석방할 의무와 책무가 있다고 이야기했다. 이석기 의원의 건투와 건승과 건강을 기원한다"고 말했다.

김영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전 총무는 "인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양심의 자유인데, 그분의 자유와 삶의 철학을 그분 마음대로 표현할 수 있는 사회가 왔으면 좋겠다. 문재인 정부도 너무 망설이지 말고 이석기 의원을 석방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이 인권을 존중하는 사람들의 첫 출발점"이라고 이 의원의 석방을 촉구했다. 

박래군 인권재단 사람 소장은 이석기 의원의 구속 수감 과정을 되돌아보면 그 사건을 주도했던 세력들은 국정농단 세력으로 다 감옥게 가 있으며, 통합진보당이 해산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다는 것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하고는 "이런 상황에서 여전히 이석기 의원을 감옥에 가둬둔다는 것은 정의롭지 못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 "이에 대해 정부가 빨리 결단해서 이석기 의원 뿐만 아니라 이전의 잘못된 법집행으로 인해 고통받는 사람들이 사면복권될 수 있도록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학교 교수는 "진정한 민주주의의 시작은 양심수 석방부터이다. 이석기 전 의원이 석방되지 않았다는 것은 적폐청산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증거 중의 하나이다. 양심수들이 존재하는 이상 우리나라에는 민주주의도 없고 인권도 없다. 그런 의미에서 이석기 의원의 석방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말했다.

   
▲ 이석기 전 의원은 옥중서한을 통해 자신의 석방을 위해 대회에 참가한 참가자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이 전 의원의 옥중서한은 안동섭 전 통합진보당 사무총장이 대독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대회 말미에는 수감중인 이석기 전 의원이 보낸 옥중서한을 안동섭 전통합진보당 사무총장이 대독하기도 했다.

이 전 의원은 서한에서 "저의 석방을 위해 애써주신 분들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를 드립니다. 오늘 이렇게 마음을 모아주신 건 단지 저 한사람의 구명을 위한 것은 아니리라 생각합니다. 가장 먼저 촛불을 들었던 사람들로서 흔들리는 촛불혁명을 끝까지 완수하기위해 이렇게 모이신 것이라 생각합니다"라며 참가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날 광화문 대회에 앞서 서초동 대법원 정문 앞에서 '사법적폐 청산! 이석기 의원 석방대회'가 열려 3천여 명의 참석자들이 '양승태 구속과 이석기 석방'을 외치며, 대법원을 향해 플라스틱 공을 던지는 항의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 300인 시민합창단의 '행복의 나라로' 합창으로 12.8 이석기의원 석방대회는 시작됐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오늘도 김정은 답방 날짜 맞추기 계속

[아침신문 솎아보기] 한국 ‘18~20일’, 세계 ‘13일’, 조선일보는 “12~14일 당일치기도”

이정호 기자 leejh67@mediatoday.co.kr  2018년 12월 08일 토요일
 

한국일보는 8일자 신문에 김정은 답방 날짜가 오는 18~20일 사이가 될 것이라고 점 찍었다. 한국일보는 이날 4면에 ‘靑, 김정은 답방 대기… 18~20일 가능성’이란 제목의 기사를 썼다.  

한국일보는 그 근거로 외국 출장 나가 있던 통일부 등 관련 부처 직원들이 이 날짜 직전에 대거 귀국하고 청와대 참모들도 이 날짜에 냈던 휴가를 취소했다고 언급했다. 한국일보는 여권 일각에서 “답방 날짜가 정해졌는데 경호를 우려해 일정을 비공개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고 했다. 

▲ 한국일보 8일자 4면
▲ 한국일보 8일자 4면
 

한국일보는 지난 3일자 3면엔 김정은 답방 날짜를 ‘20일 또는 21일’이나 아니면 내년으로 연기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들 오늘도 김정은 답방 날짜 맞추기 계속 

세계일보는 단수의 날짜를 정확히 못 박았다. 세계일보는 8일자 1면에 ‘김정은 13일 답방 유력’이라고 제목 달아 보도했다. 세계일보는 1박2일이 될지, 2박3일이 될지는 유동적이고 “청와대가 내일쯤 공식 발표할 것 같다”고 보도했다. 역시 세계일보도 답방 날짜가 정해졌고 곧 발표할 것이란 쪽에 무게를 실었다. 

 

▲ 김정은 답방 소식을 점친 8일자 신문기사. 위에서부터 중앙일보 6면, 조선일보 1면, 세계일보 1면(붉은 상자), 한겨레 6면
▲ 김정은 답방 소식을 점친 8일자 신문기사. 위에서부터 중앙일보 6면, 조선일보 1면, 세계일보 1면(붉은 상자), 한겨레 6면
 

 

한국일보와 세계일보 사이에도 1주일 가량의 공백이 생긴다. 반면 중앙일보는 8일자 6면에 ‘올까 말까 김정은 서울 답방, 속 타는 청와대 전화라도 되면…’이란 제목의 기사를 통해 올지 안 올지도 아직 명확치 않다고 보도했다. 중앙일보는 2차 북미 정상회담 전엔 답방이 어려울 것이라는데 무게를 실었다. 

한국 ‘18~20일’, 세계 ‘13일’, 조선일보는 “12~14일 당일치기도” 

조선일보는 8일자 1면에 ‘김정은 답방, 방중 때처럼 깜짝 발표 가능성’이란 제목으로 관련 뉴스를 전했다. 조선일보는 이 기사 작은 제목을 “출발 직전이나 도착 직후 알릴 듯, 조명균 ‘연내 답방으로 협의 중’”이라고 달았다. 조선일보는 답방 자체보다는 남북한 정부가 “김정은의 신변 및 경호를 가장 신경 쓰고 있는 이상 방중 때와 같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며 ‘깜짝 발표’에 무게를 실었다. 조선일보는 이 기사에서 답방 시기를 12~14일을 점치면서 당일치기나 1박2일 정도의 짧은 답방을 예고했다.  

한겨레신문은 8일자 6면에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의 발언을 직접 인용해 “김정은 연내 답방으로 북과 협의중”이라 제목의 기사를 썼다. 한겨레는 답방 날짜보다는 우리 정부가 ‘연내 답방’쪽으로 북한과 협의중이라는 사실을 중심으로 보도했다.  

볼턴 입에서 ‘제재 해제 검토’ 처음 나와 

▲ 한국일보 8일자 4면
▲ 한국일보 8일자 4면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5857#csidx69bbfc5f4658997adf90f6b44e1df67 

 

언론의 날짜 맞추기 경쟁이 계속되는 가운데 북핵 해결과 남북미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대화 소식은 오히려 묻히고 있다. 남북미 대화 분위기가 연내 답방을 가르는 기준이 될 것인데도 언론은 답방 날짜에만 혈안이 돼 있다.  

이런 가운데 강경파로 알려진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6일 “북한 비핵화에 성과가 있으면 대북 경제 제재 해제를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소식은 한국일보가 8일자 4면에 보도했다. 미국내 매파의 입에서 처음으로 ‘제재 해제’라는 단어가 나온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물론 ‘검토’라는 수식어가 붙어 있지만 이런 보도가 맹목적인 답방 날짜 맞추기 경쟁보다 한반도 미래를 전망하는데 훨씬 도움이 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유미가 살아 돌아오지 않는 한…가슴만 더 아파요”

[커버스토리]“유미가 살아 돌아오지 않는 한…가슴만 더 아파요”

속초 | 장은교 기자 indi@kyunghyang.com

 

삼성 사과 이후…‘백혈병 피해자’ 고 황유미씨 부모 인터뷰

고(故) 황유미씨의 어머니 박상옥씨(왼쪽)와 아버지 황상기씨. 속초 | 이준헌 기자

고(故) 황유미씨의 어머니 박상옥씨(왼쪽)와 아버지 황상기씨. 속초 | 이준헌 기자

 

황유미씨는 아버지의 택시 뒷자리에서 숨졌다. 2007년 3월6일, 수원 아주대병원에서 백혈병 치료를 받고 속초 집으로 가던 길이었다. 앞좌석에 있던 유미씨 부모는 심상치 않은 딸의 숨소리를 듣고 영동고속도로 갓길에 급히 차를 세웠다. 어머니가 딸의 눈을 감겼다. 삼성전자에 취직해 기숙사로 떠나는 열여덟살의 유미씨를 속초시외버스터미널에서 기쁜 마음으로 배웅한 지 3년5개월 만에 부부는 딸을 영원히 잃었다. 

그 후로 11년, 유미씨 가족은 ‘삼성 백혈병 투쟁’의 상징이 됐다. 2018년 11월23일 ‘삼성전자 반도체 등 사업장에서의 백혈병 등 질환 발병과 관련한 문제해결을 위한 조정위원회’는 삼성 백혈병 문제에 대한 최종 중재안을 냈고, 삼성은 공식 사과문을 발표했다. 유미씨가 세상을 떠난 지 4280일 만이었다. 5일 속초에서 유미씨의 부모인 황상기(63)·박상옥(58)씨 부부를 만났다. 딸이 세상을 떠난 뒤 우울증을 앓았던 어머니는 이날 처음으로 언론 인터뷰에 응했다.

- 두 분 건강은 어떻습니까. 

황상기씨(이하 황) = 괜찮습니다. 먼 길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황씨는 괜찮다고 했지만 실은 이날 오전 급하게 치과에 다녀왔다. 이를 4개나 뽑았다. 이 뿌리가 다 썩었는데 노숙농성을 오래 하다가 치료할 때를 놓친 것 같다고 했다.

- 어머님은 우울증을 오래 앓았다고 들었습니다. 

박상옥씨(이하 박) = 저는… 아직 괜찮지 않아요. 우울증약도 먹고 위장약도 먹고. 여러 곳이 아파서…. 
 

삼성의 사과, 다짐으로 생각…중재안에 하청업체들도 포함해야죠
 

|우리 둘째 딸은 
남동생 공부 돕겠다고 고3 때 취직
삼성 입사한다니까 주위서도 축하 
2년 만에 급성백혈병 판정받고
2년 뒤 내 택시 안에서 세상 떠나 

 

|긴 싸움의 시작 
“개인적 질병인데 회사에 바가지”
산업재해 주장에 돌아온 건 고성 
언론도 정당도 날 도와주지 않아
이종란 노무사 만나면서 본격 소송
 

- 삼성과의 중재안에 마음이 복잡하셨을 것 같습니다. 

황 = 기분을 뭐라고 딱 한마디로 얘기할 순 없어요. 너무 오랜 시간을… 유미가 병에 걸린 게 2005년 6월 초니까 13년 반쯤 걸린 거거든요. 협약식 하는 날 ‘내가 정말 사인을 해야 하나’ ‘이 사람들하고 악수를 해야 하나’ 이런 생각이 머릿속에 가득 차 있었어요. 근데 억울함만 가지고 문제를 풀 수는 없는 거니까요. 지금 힘들게 병마와 싸우는 사람들한텐 삼성의 사과도 중요하지만 치료할 돈과 먹고살아야 할 돈이 더 중요하거든요. 만족하기 어렵지만 합의를 안 할 수가 없어서 한 거예요.

박 = 전 속 시원한 건 없어요. 우리 유미가 살아온다면 모를까…. 살아오지 않는 한… 가슴만 더 아파요. 삼성이 사과를 했다는데 진정성 있는 사과인지, 겉으로만 하는 건지도 잘 모르겠어요.

- 중재안에선 어떤 점이 아쉬운가요. 

황 = 이번 중재안에선 삼성 반도체 공장과 LCD 부문 노동자들에 대한 것만 합의를 했거든요. 디스플레이 부문은 빠졌어요. SDS, SDI… 휴대폰 제조하는 하청업체, 협력업체 노동자들은 포함이 안됐어요. 같은 공장에서 일하고 병에 걸렸는데도 안 들어갔기 때문에 상당히 억울하고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많을 거예요. 

이번 중재안은 개인별 보상액을 낮추되, 피해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최대한 포함하는 방안으로 마무리됐다. 황씨 가족을 비롯해 여러 피해자들이 개별적 손해를 감수한 결과다.

- 삼성의 사과는 어떻게 보셨습니까. 

황 = 이번 사과는 다짐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봐요. 삼성이 (산업안전보건 발전기금) 500억원을 출연하고 공공기관에 기탁해 전자산업 노동자들의 안전문제를 연구하기로 한 거거든요. 돈을 내놓는다고 끝이 아니에요. 작업장에서 노동자들이 어떻게 일하는지, 어떤 화학약품을 쓰는지도 알아야 하는데 삼성에서 자료 제출을 안 하면 병과 노동자의 인과관계 규명을 방해하는 거예요. 삼성은 여태껏 공익적 약속이라고 해놓고 지킨 적이 한번도 없어요. 삼성이 앞으로 적극적으로 협조를 해야 피해자들은 그것이 진정성 있는 사과라고 인정할 거예요. 지금 당장 (이번 사과문이) 사과다 아니다 판단하긴 이른 것 같아요. 삼성은 10년 넘게 거짓말만 반복해왔어요. 처음엔 유미의 질병은 회사와는 아무 상관 없는 개인 질병이라고 했다가, 화학약품은 취급도 안 한다고 했다가, 나중엔 안전한 화학약품만 쓰는데 뭘 쓰는지는 영업비밀이라고…. 대기업이 대기업다운 행동을 해야죠. 자기 일터에서 노동자들이 병에 걸려 죽게 만들어놓고 끝까지 책임 안 지려고 10년 넘게 가난한 노동자들을 몰아붙인 건 상당히 파렴치한 행동이잖아요. 

<b>아버지 택시 안에서 떠난 딸</b> 고 황유미씨의 아버지 황상기씨가 ‘휴무’ 조명이 켜진 택시를 몰고 집으로 향하고 있다. 삼성과 싸운 11년 동안에도 황씨는 1주일의 절반은 택시기사로 일하며 생계를 꾸렸다. 이준헌 기자 ifwedont@kyunghyang.com

아버지 택시 안에서 떠난 딸 고 황유미씨의 아버지 황상기씨가 ‘휴무’ 조명이 켜진 택시를 몰고 집으로 향하고 있다. 삼성과 싸운 11년 동안에도 황씨는 1주일의 절반은 택시기사로 일하며 생계를 꾸렸다. 이준헌 기자 ifwedont@kyunghyang.com

- 유미씨는 어떤 딸이었습니까. 

박 = 3남매 중 둘째였는데 아주 착하고 솜씨 좋고 노래를 잘 불렀어요. TV에 나오는 거 보면서 율동 다 따라하고 웃고… 사진도 잘 찍고(박씨는 이날 인터뷰 중 이때 유일하게 엷은 미소를 지었다).

- 속초상고를 다니다 졸업 전에 취직이 됐죠. 

황 = 저는 전문대학에 가길 바랐는데 유미는 굳이 취직해 남동생 공부를 돕고 결혼할 돈도 벌겠다고 고집을 부렸어요. 

- 취직했을 땐 다들 기뻐하셨겠네요. 

황 = 그랬죠. 고3 때 삼성에서 학생들을 보내달라는 요청서를 보냈어요. 성적 상위 30% 애들 중에 취업할 사람을 모집하는데 유미가 신청한 거예요. 삼성이 대기업이라 월급도 많이 주고 복지도 좋다고 해 주위에서 다들 아주 잘했다고 그랬어요. 나도 자랑도 하고 그랬어요. 2003년 10월5일에 속초상고에서 한 10명인가 선발돼서 속초시외버스터미널에서 수원으로 가는 버스를 탔죠. 나랑 유미 엄마랑 같이 가서 태워 보냈어요. 기숙사로. 

- 회사생활은 어때 보였습니까. 처음부터 힘들어했나요. 

박 = 일보다는 기숙사 생활이 좀 힘들어 보였어요. 유미가 막내라 쉬는 날이면 자기가 청소를 많이 한 것 같더라고요. 

황 = 4조 3교대로 일했는데 쉬는 날은 집에 종종 왔어요. 유미도 냉면을 좋아하고 유미 엄마도 냉면을 되게 좋아해요. 자기가 월급받은 돈으로 냉면도 사먹고 엄마랑 동생 옷도 사주고 그랬죠.

- 유미씨가 아픈 건 언제 알게 됐나요. 

박 = 2005년 5월 말쯤에 자꾸 어지럽고 토한다고 전화가 왔어요. 우린 체한 줄만 알고 소화제를 사먹으라고 했죠. 근데 자꾸 숨이 차고 멍이 든대요. 그래서 회사 앞에 작은 병원에 갔더니만 큰 병원에 가보라고 했대요. 6월인가 병원에서 엄마·아빠가 좀 와야 한다고 해서 갔는데… 가서 보니까 애가 주사를 꽂고 병실에 누워 있더라고요. 사실 나는 그전에도 애가 눈이 희미해 보이길래 속으로 이상하다 생각했어요. 그게 아파서 그랬던 거였어요. 

황 = 병실에 있는데 의사가 저를 잠깐 복도로 나오라고 하더니 급성골수성백혈병이래요. 그 얘길 들으니까 다리에 힘이 없고 머리가 멍해지더라고요. 아는 선배 아들이 초등학교 4학년 때 백혈병에 걸렸는데 죽어서 화장하고 제가 같이 산에 가서 뿌려준 적이 있어요. 그 생각이 딱 났죠. 유미한테 말을 해줘야 할 것 같아, 며칠 있다가요… 그때가 아주 더웠는데 유미를 데리고 시원한 그늘 쪽에 앉아 병을 얘기하면서 ‘우리가 집을 지으려고 돈 모아놓은 게 있으니 치료비는 걱정하지 말고 치료만 잘 받으면 된다’고 했어요. 그랬더니 유미가 ‘우리 집에 돈이 어딨어’ 하고 걱정하더라고요.

- 회사에는 그때부터 못 나가겠군요. 

황 = 네. 바로 항암치료를 시작했어요. 다행히 2005년 12월6일에 골수이식수술을 받았어요. 수술하고 회복이 잘됐어요. 

- 삼성에선 언제 처음 연락이 왔나요. 

황 = 2006년 9월쯤에 회사 과장이 라인 담당하는 사람과 둘이서 집에 왔어요. 과장이 나랑 둘이서 얘길 하재요. 그러더니 더 이상 휴직을 해줄 수가 없다는 거예요. 사표를 써야 하는데 사표 쓰기 전에 회사에 하고 싶은 얘기를 해달래요. 반도체 공장에서 일하다 백혈병에 걸린 사람이 내가 아는 사람만 6명인데 산업재해로 인정해 치료받게 해달라고 했어요(유미씨는 2인 1조로 일했는데 유미씨와 함께 일하던 이모씨도 백혈병에 걸려 2006년 8월 숨졌다). 그랬더니 그 과장이 ‘아버님 이 큰 회사 삼성을 상대로 이기려고 그러십니까’ 그래요. 난 못 이긴다고 했어요. 내가 어떻게 이겨요. 그럼 다른 걸 얘기하래. 그때까지 유미 치료비가 8000만원 정도 들어갔어요. 근데 회사에서 유미 치료비 모금운동도 하면서 유미 통장으로 얼마씩 돈을 보내준 게 있었어요. 그걸 합해보니까 3000만원쯤 되는 것 같았어요. 그래서 내가 나머지 5000만원을 해달라고 했어요. 과장이 그렇게 하자면서 저쪽 방에 있는 유미를 오라고 하더니 백지 한 장을 꺼내서 반으로 접고, 거기에 유미 주민등록번호랑 이름을 쓰래요. 

- 유미씨가 싫다고 하진 않았나요. 

황 = 유미는 그 상황을 잘 몰랐어요. 쓰라고 하니까 쓴 거죠. 우리는 이게 직업병 같다고 의심은 했지만 사실 잘 모르잖아요. 근데 5000만원 치료비를 해준다니까 상당히 고마운 거예요. 그때 여기 송이가 많이 날 땐데, 내가 송이 따는 친구가 있어요. 송이 좀 땄냐고 물어보니까 큰 거 두 개가 있다고 해서 ‘유미가 일했던 곳 과장님이 오셔서 치료비를 해주신다니 그분들 드리게 좀 가져와’ 했죠. 송이가 아주 커서 신문지에 둘둘 싸서 줬죠. 

- 그걸 받아가던 가요. 

황 = 네. 근데 며칠 있다 보니까 유미가 밥도 잘 안 먹고 눈빛이 또 희미해요. 병원에 가서 검사를 해보니까 수치가 다 바닥이야. 병원에서 약을 받아와선 잠을 잤는데, 일어나니까 유미가 열이 아주 펄펄 난다고 그래요. 병원에 전화해보니까 백혈병이 재발한 것 같다고 빨리 오래. 겨우 입원해서 열 내리는 작업만 한 달을 넘게 했어요. 11월 어느 날인가 우리 집에 왔던 과장이 전화해서 병원 1층 로비에서 보재요. 과장이 100만원짜리 수표 다섯 장을 주면서 돈이 이것밖에 없으니까 이것만 받으래요. 기가 막힌 거예요. 치료비를 준다고 사표를 받아갔는데… 내가 속았구나. 이 사람들이 자기네 공장에서 일하다 병든 사람을 이렇게 쫓아내는구나 하는 생각이 확 드는 거예요.

- 소리라도 지르시지 그러셨어요. 

황 = ‘약속한 게 틀리잖아’라고 소리를 질렀죠. 그 돈을 안 받고 그 사람을 확 쥐어박고 싶었어요. 손이 막 이렇게 올라가려고 했는데 그러질 못했어요. 그 돈 500만원이라도 안 받으면 치료비가 부족할 것 같더라고요. 그때 받은 수표 100만원에 돈을 보태 병원비 200만원을 냈어요. 그리고 나머지 수표를 점퍼에 넣어뒀는데 유미 엄마도 정신이 없으니까 그걸 그냥 빨아버렸어요. 옷을 보니까 하얀 게 막 떨어져요. 수표 쪼가리 오그라든 걸 하나씩 펴서 책갈피에 놓고 맞췄어요. 석 장은 맞췄고 한 장은 절반이 날아갔는데… 그대로 덮어서 은행에 가져갔더니 직원이 한참을 보더니 수표번호를 보고 입금을 해줬어요. 그 직원이 참 열심히 고생해줬어요. 

- 그때부터 싸워야겠다고 생각하신 건가요. 

황 = 너무 억울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때부터 삼성과 싸우기 시작한 거예요. 유미는 반도체를 화학약품에 담갔다 뺐다 하는 일을 했고, 같이 일하던 사람들도 병에 걸렸는데… 이대로 있으면 안되겠다고 생각했어요. 근데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잖아요. 인사과에 전화해서 막 욕을 했어요. 이게 산업재해가 아니면 뭐가 산업재해냐고. 그랬더니 부장, 과장들이 5명인가 차에 타고 왔어요. 요 밑에 지금은 없어진 ‘꼴통 다방’이라는 데서 그 사람들이 ‘개인적인 질병인데 왜 삼성에 바가지를 씌우려고 하느냐’고 나한테 막 소리를 지르는 거예요. 유미는 집에서 다 죽어가는데 유미가 어떠냐곤 한마디 묻지도 않고. 그때는 내가 말주변도 없어서 뭐라고 말도 잘 못하고 막 울면서 나왔어요.

- 다른 곳에 도움을 청하셨습니까. 

황 = TV를 보니까 제보를 받는다고 나오는 거예요. 서울에 있는 큰 방송국이었는데 어떤 분이 전화를 받길래 얘기를 했죠. 그랬더니 나보고 회사에서 병이 걸렸다는 공문을 받아서 가져오면 방송을 해주겠대요. 그걸 어떻게 해요. 다음엔 114에 우리나라에 노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당이 어디냐, 단체가 어디냐 물어봤어요. 그래서 전화했더니 다 내 얘길 듣고만 마는 거예요. 그러다 생각이 들었죠. 큰 방송사나 신문사는 삼성에서 광고를 받으니까, 삼성에 피해가 가는 기사는 안 쓰겠구나. 그래서 내가 유미한테 컴퓨터 들어가고 나오는 걸 물어봐서 배웠어요. 몇 날 며칠을 보니까 조그만 전화번호가 나와서 전화를 걸었어요(황씨가 그때 전화를 건 곳은 지금은 정간된 독립언론 ‘말’지였다). 기자가 속초로 와서 우리 유미 사진도 찍고 취재를 했어요. 

- 그 기사는 유미씨가 세상을 떠난 뒤에 나왔지요. 

황 = 유미가 2007년 3월6일에 죽었는데 기자가 온 게 2007년 2월이었어요. 한 달 전쯤이었죠. 기사는 2007년 4월1일자로 나왔어요(황씨는 잠시 말을 잇지 못했다). 일하다가 점심 먹으러 들어왔는데 우체부가 기사 난 것을 갖다줬어요. 밥 먹다 말고 둘이 울었어요.

- 유미씨 마지막을 여쭤봐도 될까요. 

황 = 수원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고 오던 길이었어요. 유미를 (내 택시) 뒷좌석에 눕히고 굴러떨어지지 않게 보따리를 놓아 고정시켜놨어요. 영동고속도로에서 원주를 조금 못 왔는데 유미가 ‘아 더워’ 그러는 거예요. 보니까 땀을 죽죽 흘리는 거예요. 그래서 앞에 창문을 요만큼 열어서 바람이 조금만 들어오게 했어요. ‘됐어?’ 하니까 ‘응’ 그래요. 한 10분쯤 있다가 ‘아 추워’ 그래요. 창문을 올리고 ‘됐어?’ 하니까 ‘응’ 그래요. 원주를 지나서 횡성휴게소 고갯길을 올라오는데….

박 = 애가 어떤가 하고 뒤를 보니까 그때 벌써 애 눈이 하얗게 뒤집혀 올라갔더라고요.

황 = 애가 숨을 몰아쉬고 있었어요. 얼른 고속도로 옆에 차를 세워놓고 내려 뒷문을 여니까 그사이에 벌써 숨이 다 넘어가버린 거예요. 유미 엄마가 막 울면서 눈을 감겨줬어요.

박 = 옛날에 할머니들이 사람이 저거할 때(박씨는 차마 딸이 죽는다는 표현을 쓰지 못했다) 눈을 감겨줘야 한다는 소리를 들어서, 눈을 감겼는데 잘 안 감겨지더라고요(박씨는 두 손으로 얼굴을 감싸고 말을 멈췄다. 인터뷰는 잠시 중단됐다). 

황 = 차에서 어떻게 할 수 없어 이불을 덮어주고 두 시간을 달려서 왔어요. 병원에 가서 사망확인서를 받고 영안실에 안치했는데 삼성에서 전화가 왔어요. 오겠다고. 지금도 궁금해요. 어떻게 알고 전화했는지. 부장이란 사람이 ‘아버님 유미 보상 문제는 깔끔하게 마무리 지을 테니 아무 걱정도 하지 마시고 장례식 잘 치르세요’ 하는데 이 사람들이 또 쓸데없는 소리를 하는구나 생각하고 아무 대답도 안 했어요. 

<b>“우리 딸 이야기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b>고 황유미씨의 아버지 황상기씨(왼쪽)와 어머니 박상옥씨가 5일 파도가 일렁이는 속초 바닷가 앞에 나란히 섰다. 황씨 부부는 “우리 딸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가슴 아파해주신 많은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준헌 기자 ifwedont@kyunghyang.com

“우리 딸 이야기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고 황유미씨의 아버지 황상기씨(왼쪽)와 어머니 박상옥씨가 5일 파도가 일렁이는 속초 바닷가 앞에 나란히 섰다. 황씨 부부는 “우리 딸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가슴 아파해주신 많은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준헌 기자 ifwedont@kyunghyang.com

유미가 우리와 함께 싸웠죠…이젠 엄마 아빠 걱정 말고 편히 쉬기를
 

|산업재해 인정받기까지 
“대기업이 사람 몇 명 죽었다고…”
되레 삼성 편들던 근로복지공단 
역학 조사 땐 문제 내용 바꾼 회사
작업 내용 적힌 유미 일기로 입증 

 

|살아있다면 서른셋 
우린 아직까지 ‘죽었다’ 표현 못해
반올림 활동, 지금부터 진짜 시작 
11년 전에는 힘들고 외로웠지만
‘피해자 연대’ 친구들 함께 걸어가
 

- 본격적인 싸움은 어떻게 시작하셨습니까. 

황 = 수원시민신문이라고 그때 막 창간된 곳에서 유미 기사를 쓰고 그 기자가 삼성 공장 앞에 가서 신문을 다 돌리고 했는데 경비원이랑 삼성 직원들이 다 빼간다는 거예요. 그걸 보고 내가 같이 싸워줄 사람을 찾아야겠다고 생각했어요. 나 혼자선 못 싸우니까. 그 기자한테 아는 사람 좀 소개해달라고 했더니 며칠 뒤에 다산인권센터를 알려줬어요. 2007년 8월에 서울에서 만나기로 했는데 내가 서울 지하철이랑 버스를 안 타봐서 찾아갈 수가 없으니, 속초에서 버스가 출발하면 동서울터미널까지 가니까 거기서 만나면 안되겠냐고 했더니 그렇게 하자고 하더라고요. 동서울터미널에서 처음으로 이종란 노무사님과 박진 활동가님을 만났어요. 

삼성 백혈병 문제를 얘기할 때 이종란 노무사를 빼놓을 수 없다. 이 노무사는 황씨와 반올림을 만들고 산재소송과 최종 중재안 도출까지 전 과정을 함께했다. 이 노무사는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은 했지만 반도체 공장에 대해 알려진 게 없어 단순히 한두 명의 산재 신청만으로는 어려울 것 같았다”며 “여러 사람들의 힘을 모아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산업재해노동자협의회,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등 19개 단체가 모였고 2007년 11월20일 유미씨가 다녔던 기흥공장 앞에서 ‘삼성백혈병대책위’ 발족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모임은 이듬해 2월 반도체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반이라도 올리자는 의미로 ‘반올림’이라는 이름으로 바꿨다. 

- 산재소송은 어떻게 진행됐습니까. 

황 = 평택에 있는 근로복지공단에 산재 신청을 하고, 유미가 죽고 난 뒤에 제가 조사를 받으러 갔어요. 직원이 옆에 쌓여 있는 서류를 자기 앞으로 가져와 그중에 한 장을 빼더니 ‘유미씨는 라벨 붙이는 작업을 하다가 3라인 3베이(화학약품 처리를 하는 곳)에선 석 달만 일을 했는데요’라고 하는 거야. 내가 그건 삼성에서 거짓으로 서류를 꾸민 거라고 하니까 그 사람이 책상을 꽝 치면서 ‘삼성 같은 큰 기업에서 사람 대여섯 명 죽었다고 서류를 거짓말로 꾸며서 올릴 것 같아요?’라면서 소리를 지르는 거예요. 근로복지공단에서 삼성 편을 못 들어서 안달을 하더라고요(황씨는 그 직원의 이름을 기억한다고 했다). 

- 유미씨가 수습기간부터 반도체 공정 라인에서 일한 건 어떻게 입증됐나요.

박 = 유미 서랍에 일기가 있어서 내가 유미 아빠한테 줬어요. 삼성전자 2003년도 다이어리였어요.

유미씨가 남긴 다이어리와 작업노트에는 유미씨가 수습 때부터 화학약품을 취급하는 라인에서 일했다는 내용이 있었다. 화학약품에 물건을 떨어뜨렸는데 앞으로 주의하겠다는 내용의 다짐서와 약품 이름 등도 적혀 있었다. 근로복지공단에선 유미씨의 병을 산재로 인정하지 않았으나, 1심(서울행정법원)과 2심(서울고등법원)은 산재를 인정했다. 

- 역학조사(산재 신청에 따른 현장조사) 때도 문제가 많았지요.

황 = 2007년 9월1일에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역학조사를 처음 하러 들어갔어요. 유미가 병에 걸린 게 2005년 6월이니까 2년이 넘었어요. 유미한테 듣기론 라인 사이에 칸막이도 없고, 너무 더워서 마스크를 벗었다가 혼났다고 했거든요. 근데 들어가서 보니까 칸막이가 다 돼 있고 서늘한 게 환기도 잘되게 만들어놓았더라고요. 내가 이 역학조사가 제대로 된 거냐고 막 소리를 질렀죠.

- 삼성으로부터 거액을 제안받았다고 들었습니다. 

황 = 역학조사를 한 그날이었어요. 기흥공장에서 안전담당하는 그룹장이 저를 회의실로 불렀어요. 이런저런 얘길 하더니만 ‘아버님 제가 10억을 해드릴 테니까 아무 말도 하지 말고 그냥 가만히 계세요. 기자도 만나지 말고 사회단체 사람들도 만나지 말고 가만히 계세요’ 그래요. 그냥 밖으로 나왔어요. 그 길로 민주노총 경기본부까지 차를 몰고 한 20분쯤인가 가서 바로 이종란 노무사님한테 다 얘기했어요. 바로 소송 제기하고 기자회견 하니까 그때부턴 삼성 인사과 사람들이 수시로 우리 집에 찾아왔어요. 꽃바구니 들고 과일바구니 놓고 가면서 산재보상금보다 낫게 해줄 테니까 (소송 취하하고) 돈 받으라고요. 한번은 얼마든지 다 해줄 테니까 금액을 얘기하래요.

- 백지 사표를 받아가더니 백지수표를 내밀었네요. 

황 = 그랬죠. 자꾸 찾아와서 쫓아내느라 몸싸움을 하고 밀어내고 그랬어요.

- 삼성이 제발 돈을 받으라는 입장으로 바뀐 거네요. 흔들릴 수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

황 = 아니요. 전혀요. 다른 사람들이 있는데 어떻게 그래요. 

- 반올림 지원을 받다가 삼성 돈을 받고 사라지는 분들도 많이 있지요.

황 = 네. 근데 나는 이해해요. 사람이 당장 돈을 안 벌면 생활비가 끊기는 거잖아요. 반올림 싸움이 길어지니까 당장 돈을 받을 수밖에 없는 거예요. 

- 삼성본관 앞에서 1인 시위도 오래 하고 노숙농성도 1000일 넘게 하셨습니다. 생계는 어떻게 꾸리셨습니까. 

황 = 1주일에 2~3일은 서울에서 시위하고 나머지는 속초에 내려와 택시운전을 했지요.

박 = 저도 올해 7월까지는 식당에서 계속 일했어요. 그러다 몸이 엄청 아파서 지금은 못 나가고 있어요. 

황씨 등 백혈병 피해자 5명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산재인정소송 1심 판결은 2011년 6월23일 나왔다. 노동법 전문가인 판사 출신 박상훈 변호사와 산업의학의 출신인 박영만 변호사가 황씨 측 소송을 맡았지만 누구도 승소를 예상하지 못했다. 소송 상대는 사실상 삼성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재판 결과는 노동자들의 승리였다. 계란으로 바위를 깼다. 삼성 측 변호인들은 침울한 표정으로 법정을 나갔다. 1심 판결 후 삼성 백혈병 문제는 국민적인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 1심에서 승소했을 땐 많이 기쁘셨을 것 같습니다. 

황 = 법정에서 판사님이 판결을 읽고 방망이를 두드리잖아요. 그러고 나서 내가 일어나서 ‘판사님 고맙습니다’ 하고 절까지 했어요. 그런데 나는 너무나 당연한 거라고 생각했어요. 힘들게 이기긴 했지만 위대한 판결이라고까진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 1심 판결 이후엔 삼성에서 조정을 하자고 했죠. 

황 = 삼성은 재판을 스톱하자고 했죠. 우리는 대화는 대화대로, 재판은 재판대로 해야 한다고 했어요. 삼성은 말로는 대화하자고 했지만 전혀 진도가 안 나갔어요. 2심 법원에서도 재판을 미루다가 대화 진척이 없으니 판결을 내린 거예요. 

2014년 5월14일 권오현 당시 삼성전자 사장이 백혈병 문제와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나 반올림은 당시 사과를 사과라고 기억하지 않는다. 이종란 노무사는 말했다. “발표문을 보면 가족들의 아픔과 어려움에 저희가 소홀한 부분이 있었다고만 해요. 작업환경에 대해선 어떤 잘못도 인정하지 않았어요. 사과라기보단 유감표명이었죠.” 2014년 8월21일 2심 판결도 황씨가 이겼다. 공단이 상고를 포기해 이 판결은 확정됐다.

- ‘삼성을 상대로 싸워 이긴 유일한 사람’이라고들 합니다. 두렵거나 포기하고 싶은 순간은 없었습니까. 

황 = 그런 생각은 한번도 안 했어요. 내가 혼자 아무것도 할 수가 없어서 같이 싸워달라고 해서 시작된 거잖아요. 반올림을 만들어 그 많은 사람들이 함께했는데…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당했다고 제보하고 기다리고 있는데… 어떻게 내가 그만둬요. 

박 = 유미 아빠 나이가 있으니까 건강이 걱정은 됐지만 말리진 않았어요. 혼자가 아니라 여럿이 시작한 거잖아요. 우리 애들도 안 말렸어요. 

- 생각나는 분들이 많으시죠. 

황 = 고마운 분들이 너무 많죠. 반올림은 어떤 한두 사람이 아니고 개개인과 단체가 다 모여서 된 거잖아요. 노무사님, 변호사님, 산업의학 의사 선생님들… 반올림 후원해주신 분들도 많잖아요. 언론인들, 와서 연극해주시고 영화 만들어주시고, 종교인들도 어느 종교 할 것 없이 와서 기도해주시고… 농성장 지나가다 고생한다고 커피 사주시고 밥, 과자 갖다주신 분들, 농성장 밤샘 지킴 해주신 분들, 지나가면서 한마디씩 해주시는 분들… 너무 많이 계셨어요. 

황씨의 말대로 여러 사람들이 삼성과의 싸움에 기꺼이 참전했다. 백도명 서울대 교수 연구팀은 2009년 재판과 무관하게 진행했던 반도체 공장 역학조사 결과를 공개해 재판에서 결정적인 증거로 채택됐다. 2014년엔 영화 <또 하나의 약속>(감독 김태윤)이 개봉됐고, 문화창작집단 ‘날’이 만든 연극 <반도체 소녀>도 무대에 올랐다. 한 대학생은 유미씨를 ‘반도체 소녀상’으로 만들어 황씨에게 전달했다. 

- 평범한 가장에서 산재전문가가 되셨습니다. 자식 잃은 부모를 조롱하고 모욕하는 일들이 많았던 이 사회에 꼭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십니까. 

황 = 삼성이 변질된 건 정부 탓이라고 생각해요. 정부가 관리감독 역할을 하나도 못했잖아요. 직업병에 걸린 사람들이 자기가 왜 죽는 줄도 모르고 죽어갔고 가정이 파탄났어요. 노동자를 보호하라고 만들어진 게 산재보험 아닙니까. 자료가 불충분하다고 기계적인 판단을 내리는 산재인정제도를 바꿔야 됩니다. 중재안이 발표되고 반올림에 제보가 굉장히 많이 들어왔어요. 11월에만 피해자 180명 제보가 왔어요(반올림에 따르면 11월28일 기준으로 삼성전자 사업장에서 일하다 병에 걸렸다고 제보한 이들의 수는 450명이고 이 중 151명은 이미 세상을 떠났다). 얼마나 더 많은 피해자가 있을지 몰라요. 피해자 여러분, 가만히 있는다고 회사나 정부가 나서서 절대 해결해주지 않습니다. 용기를 내서 자신 있게 억울함을 얘기해주세요. 반올림 활동은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고 끝까지 도울 겁니다. 

황씨는 지난해 출범한 ‘생명안전시민넷’의 공동대표도 맡고 있다.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을 위해 만들어진 시민단체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과 세월호 참사 유족들도 함께하고 있다. 거대한 비극의 한가운데 내쳐졌던 이들은 ‘피해자’라는 이름을 넘어 이렇게 연대하며 앞으로 앞으로 걸어나가고 있다. 

- 유미씨가 살아 있다면 서른세 살이겠네요. 

박 = 나는 아직까지 우리 유미가 죽었다 이런 표현을 못해요. 그냥 ‘우리 유미가 잘못됐다’…. 유미도 여태 아빠랑 같이 싸웠을 거라고 생각해요. 이제 엄마 아빠 걱정하지 말고 하늘나라에서 편히 좀 쉬었으면 좋겠어요. 

11년 전 외로웠던 유미씨 가족에겐 친구들이 많이 생겼다. 인터뷰를 한 5일 저녁 속초에선 ‘황상기를 지지하는 모임’이란 이름으로 뭉친 이들이 황씨 부부를 위한 작은 문화제를 열어줬다. 시 낭송과 음악 연주 등이 어우러진 자리에 속초시민이 70명 넘게 함께했다. 황씨 부부는 지난 6일 오전 유미씨를 뿌린 울산바위를 찾았다. 딸이 생전에 좋아하던 레모네이드와 딸기, 귤, 프리지어 꽃을 가져갔다. 박씨는 딸에게 오랜만에 인사를 건넸다. “유미가 도와줘서 아빠가 이겼어. 고마워.”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12080600035&code=210100&sat_menu=A070#csidx6aad15e8ec36b8b92cf03cdf1b8fdf6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르포] 빈소에 놓인 30대 철거민의 ‘주민등록증 영정’…통곡한 어머니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8/12/08 10:55
  • 수정일
    2018/12/08 10:55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남겨진 아현 2구역 철거민들, 그리고 다가오는 겨울

이승훈 기자 lsh@vop.co.kr
발행 2018-12-07 12:26:10
수정 2018-12-07 16:09:02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6일 고 박준경 씨의 빈소를 채우고 있는 화환들.
6일 고 박준경 씨의 빈소를 채우고 있는 화환들.ⓒ민중의소리
 
 

“영정 사진 구하는 게 너무 힘들었어요. 강제집행 때 사진을 들고 나오지 못해서…” (전국철거민연합 관계자, 故 박준경 씨 빈소에서)

6일 오후, 故 박준경(37) 씨의 빈소를 찾았다. 고인의 명복을 빌기 위해 분향소 앞에 섰는데, 그의 얼굴이 그려진 영정사진이 어딘가 낯설어 보였다. 장례식장을 찾으면 볼 수 있었던 고인의 활짝 웃는 얼굴이 아니었다. 무덤덤한 얼굴의 영정사진은 어딘가 오래된 사진처럼 빛이 바래 있었다. 

사연은 이랬다. 

빈소는 전날 밤늦게 서울 서대문구 동신병원 지하에 차려졌다. 유가족이 경찰로부터 시신을 인도받고 난 뒤 빈소가 차려졌다. 빈민해방실천연대와 용산참사진상규명위원회 등으로 대책위도 급하게 꾸려졌다. 

그런데 빈소 분향소에 놓을 사진이 없었다. 남은 사람들이 구할 수 있었던 박 씨의 사진이라고는, 주민등록증에 프린트 된 증명사진뿐이었다. 동절기를 앞둔 지난 11월30일 강제집행이 들어올 때, 박준경 씨가 자신이 살던 집에서 갖고 나올 수 있었던 것은 빨간 점퍼와 지갑, 노트, 휴대폰이 전부였다. 이 주민등록증은 박준경 씨가 한강에서 발견됐을 때 소지하고 있던 지갑에서 발견됐다.

“주민등록증에 있는 사진을 핸드폰으로 찍었어요. 그런데 빛 반사 때문에 얼굴이 제대로 찍히질 않는 거예요. 지금 영정 사진은 사진관 아저씨가 다시 그리다시피 여기저기 만져서 완성해준 겁니다.” 

유족과 대책위는 이 사진으로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물에 빠지고 오래되기까지 한 주민등록증을 다시 핸드폰으로 찍어 영정사진으로 만들었으니, 빛바랜 사진처럼 보이는 게 당연했다. ‘주민등록증 영정’은 그렇게 낯설게 분향소 액자를 채우고 있었다. 

고 박준경 씨가 10년 가까이 살았던 집.
고 박준경 씨가 10년 가까이 살았던 집.ⓒ민중의소리

“엄마 가슴은 이렇게 아픈데, 네 얼굴은 왜 이리도 편하니” 

고인은 10년 넘게 서울 마포구 아현동에서 살아온 ‘아현동 주민’이다. 그런데 재건축 사업이 진행되면서 살던 집에서 쫓겨났다. 세입자였던 그에게 조합은 나가라는 말 뿐이었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 572-55번지. 그가 어머니(60)와 10년 넘게 살았던 반지하 집이다. 지금은 감옥처럼, 모든 창문과 입구엔 쇠창살이 쳐져 있다. 살던 주민들이 다시는 들어갈 수 없도록 막아놓은 쇠창살이다. 6일 이곳을 찾았을 때, 준경 씨가 살던 집안은 밝은 대낮인에도 어두워 잘 보이질 않았다. 집 주변엔 그의 죽음을 애도라도 하듯 노랗고 파란 연꽃등이 달려 있었다.

올해 8월 말, 처음 강제집행이 들어왔다. 철거민들이 힘을 합쳐 집행을 막아냈다. 9월 초에 진행된 두 번째 집행은 기습적이었다. 어떤 대비도 못하고 있던 준경 씨와 어머니는 그날로 10년 가량 살아왔던 집에서 쫓겨났다.  

그때부터 모자는 임시방편으로 건너편 집 방을 빌려 지냈다. 그러다 너무 협소해 어머니는 다른 철거민의 집으로 거처를 옮겼다. 11월 30일, 준경 씨가 혼자 머무르고 있던 방마저 강제집행을 당했다. 

집에서 쫓겨난 그는 2~3일 간 거리를 전전했다. 그러다 한강 다리 근처에 2G 휴대폰과 가방, 유서만 남긴 채 홀연히 사라졌다. 

항상 어머니의 안위를 걱정했던 그였다. 매일 연락을 했던 그가 어머니에게 하루 동안 연락이 없었다. 어머니가 이상하다고 생각할 때쯤인 3일, 마포경찰서에서 연락이 왔다. 한강변에서 박 씨의 유서와 유품을 발견했다는 전화였다.  

다음 날 한강에서 시신이 떠올랐다. 어머니는 아들임을 확인하곤 통곡했다.

함께 있었던 대책위 관계자는 말했다. “얼굴이 너무나 편안해 보였어요. 아들을 본 어머니도 그 말을 했어요. ‘엄마는 가슴이 이렇게 아픈데, 너는 얼굴이 왜 이리도 편하니…’ 그러면서 많이 우셨어요.” 

평소 사는 게 얼마나 고통스러웠으면, 숨을 멈춘 그의 얼굴이 편안해 보였던 걸까.

그는 마지막까지 어머니를 걱정했다. 그의 유서는, 남겨진 사람들을 위해 세상에 보내는 ‘마지막 탄원서’였다. 남겨진 어머니와 철거민들이 자신과 같은 선택을 하지 않도록 도와달라는 탄원이었다.

남겨진 어머니의 통곡 “무슨 소용이냐, 나가라” 

“저는 이렇게 가더라도 저희 어머니께는 임대아파트를 드려서 저와 같이 되지 않게 해주세요. 어머니께 힘이 되어 드려야 했는데, 항상 짐이 되어 부끄럽고 죄송합니다”

그가 남긴 마지막 편지의 한 대목이다. 

준경 씨의 유서를 봤는지, 5일 밤늦게 빈소를 찾아온 구청장은 그의 어머니에게 “임대아파트를 마련해주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 말을 들은 어머니는 분통을 터뜨리며 이같이 말했다고 한다.

“내가 임대아파트를 원한 건, ‘아들과 함께’ 맘 편히 누울 수 있는 집에 살고 싶어서였다. 이젠 아들이 없는데, 임대아파트가 무슨 소용이냐. 다 필요 없다. 나가라.”

이 상황을 전해준 대책위 관계자는 “내 몸 하나 누울 곳이 없다는 게 얼마나 큰 자괴감이 드는 일인지 아느냐”고 기자에게 물었다. 이어 그는 침통한 표정으로 말했다.

“세입자라는 이유로, 아무런 보상도 없이 수년 간 살았던 곳에서 나가라면 나가야 한다. 들어와서 살 때보다 4배 가량 높아진 전월세를 낼 돈이 없으니 재정착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래서 나가지 못하고 있으면, 그 자체가 불법이라고, 용역을 동원해서 내쫓는다. 이게 한국이란 나라다.”

시장이, 정권이, 정책이 바뀌어도 여전히 민간 주도의 재개발은 추진되고 있었다.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뿐, 그곳에선 철거용역들과 원주민들이 밤낮으로 전쟁을 치르고 있었다. “갈 곳 없다”는 원주민을 끌어내기 위해 온갖 방법이 동원되는 그런 ‘지옥’이었다.  

이광남 씨가 거주하고 있는 재개발 구역.
이광남 씨가 거주하고 있는 재개발 구역.ⓒ민중의소리
강제집행의 흔적
강제집행의 흔적ⓒ민중의소리

“밤마다 옥상에선 ‘쿵쿵’ 소리가 나요” 

이날 마포구 아현 2구역에서 준경 씨와 함께 투쟁해온 이광남(50) 씨를 만났다. 이 씨의 집은 준경 씨가 살던 집에서 10분 거리에 있었다. 

이 씨의 집은 이곳 재개발 구역에서 몇 채 안 남은 집 중 하나다. 재개발조합 측은 12월 동절기를 앞두고 11월1일, 11월28일 강제집행을 몰아쳤다. 올해 7월 개정된 ‘서울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조례’에 따라, 12월 1일부터 2월말까지 동절기엔 ‘철거 및 퇴거행위’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동절기 전에 어떻게든 원주민들을 끄집어내기 위한 작전이 진행된 것이다.

당시 원주민과 철거용역의 싸움이 얼마나 치열했는지는, 곳곳에 흔적으로 남아 있었다. 창문은 남아난 게 없어 포장용 에어캡 등으로 막아놨고, 방 안 곳곳엔 뜯어진 문짝과 소화기가 굴러다니고 있었다. 골목엔 온갖 생필품들이 나뒹굴고 있어 발 디딜 곳이 없었다. 집으로 들어가는 곳만 그가 쓸었는지 새로운 길이 나 있었다. 

그는 이곳에서 거동이 불편한 80세 노모와 살고 있었다. 그의 집 옥상엔 철거 용역들이 항시 대기하며 살다시피 한다고 했다. 그래서 밤마다 천장에선 ‘쿵쿵’ 소리가 들려 쉽사리 잠을 이룰 수 없다고 했다. 그는 구청 측에 조치를 취해달라고 요청했다. 

살던 집에서 나가지 못하고 버틸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이 씨는 “저희가 바라는 건, 최소한 제가 살고 있는 조건을 유지시켜 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여전히 자행되는 비인간적 강제집행에 대해 토로했다. 그는 “조합 측에선 차라리 (강제집행 규제)조례를 어겨서라도 강제집행을 하고 벌금을 물겠다는 식”이라며, “11월 강제집행 당시 조합 측은 구청·시청 관계자와 인권지킴이도 오기 전에 강제집행을 밀어붙였다”고 전했다.

그는 다시 준경 씨의 빈소에 가봐야겠다며 집을 나서며 말했다.

“재개발은 주거환경과 도시경관을 재정비하는 공공사업입니다. 그런데 민간주도로 추진돼요. 철거용역들이 동원되고, 온갖 비인간적인 일들이 벌어집니다. 요즘도 사람을 쫓아내기 위해 똥물을 뿌리고, 소화기를 뿌리는 일이 버젓이 벌어지고 있어요. 관리·감독의 책임이 있는 시청과 구청은 사실상 묵인·방조하고 있는 것 같아요. 제발 대책이 마련됐으면 좋겠습니다.”

관련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해외단체, "북미관계개선, 평화협정체결 촉구 성명 발표"

[민족통신]해외단체, "북미관계개선, 평화협정체결 촉구 성명 발표"
 
 
 
노길남 
기사입력: 2018/12/08 [00:32]  최종편집: ⓒ 자주시보
 
 
▲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 합의문에 서명을 끝내고 악수하는 모습.     

 

[편집자주] 150여 해외단체들이 북미관계개선,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국내에서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울 방문을 계기로 교착된 북미관계의 돌파구를 열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지에서는 해외언론사 민족통신에서 보내온 보도자료를 그대로 게재합니다. 

 

150여 해외단체,북미관계개선,평화협정 촉구성명

 

제시 잭슨 목사, 노엄 촘스키 교수 등 미국의 저명인사를 비롯한 152개 해외동포 단체들과 미국 시민사회단체들은 12월 6일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미관계 개선과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해외동포 및 외국인 벗들의 성명’을 발표하고 북의 합의 이행조치에 상응하여 “미국도 6. 12 싱가포르 합의의 이행에 나설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 성명에 대한 주관처의 보도문과 성명을 게재한다. [민족통신 편집실]

 

 

제시 잭슨, 노암 촘스키  ‘미국, 종전선언 채택하고 평화협정 체결하라’

 

- 해외동포 및 미국시민 단체  관계 개선과 평화협정 체결 촉구 공동성명

- 북의 이행조치에 상응하여 미국도 합의이행에 나서야

- 대북 제재 해제, 미국인 방북금지 조치 해제, 연락사무소 설치 등 촉구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 관계를 뚫기 위한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다시 북에게 ‘나머지 합의 이행을 하면 원하는 것을 들어주겠다’는 식의 일방적인 요구를 하고 김정은 북 국무위원장의 남쪽 답방이 가시권에 들어 온 가운데 미국의 저명인사들과 해외동포단체, 미국의 민권단체 및 종교단체, 시민사회단체 등이 미국에게 종전선언 및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고 나서 주목을 끌고 있다.

 

제시 잭슨 목사, 노엄 촘스키 교수 등 미국의 저명인사를 비롯한 152개 해외동포 단체들과 미국 시민사회단체들은 12월 6일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미관계 개선과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해외동포 및 외국인 벗들의 성명’을 발표하고 북의 합의 이행조치에 상응하여 “미국도 6. 12 싱가포르 합의의 이행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남과 북의 정상이 합의한 ‘4. 27 판문점공동선언’, ‘9월 평양공동선언’, 북과 미국의 정상이 합의한 ‘6. 12 싱가포르 북미공동성명’을 적극 지지”하며 “남과 북, 북과 미국의 정상간 합의는 한반도에서 전쟁의 위험을 막고,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는데 토대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성명서는 이어  2018년 한 해 동안 “남과 북이 비약적인 관계개선을 이룬 것과 북이 그동안 한반도의 평화와 비핵화를 향해 중대한 진전을 이룬 것에 지지와 환영을 보낸다”고 밝히며, “아울러 이와 같은 조치들에 상응하여 미국도 더 이상 머뭇거리지 말고 6. 12 싱가포르 합의의 이행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미국이 취할 구체적인 조치로 “첫째, 미국은 종전선언을 채택하고, 평화협정 체결에 나서야 한다. 둘째, 미국은 대북제재를 해제하고, 북미관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성명서는  “미국은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종전을 선언하고, 즉시 평화협정 체결을 추진해야 한다”며, “북미 간 평화협정 체결만이 한반도와 미국본토에서의 핵전쟁 위기는 물론 재래식 전쟁의 가능성과 무력충돌의 위험을 막고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들은 북미관계 개선을 위해 ▲대북제제 해제와 북에 대한 테러지원국 재지정, 압류한 북 자산 동결 해제 ▲미국 국민의 자유로운 방북 허용  ▲평양과 워싱턴디씨에 연락사무소 개설 등 북미 개선을 위한 미국의 구체적인 행동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번 공동성명에는 해외 동포사회에서는 56개 재미동포단체를 비롯 캐나다,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지역에 거주하는 해외동포들이 동참하는 등 총 71개 단체가 참여했으며 미국인으로는 민권운동가 제시 잭슨 목사, 진보학자 노엄 촘스키 교수 등 저명인사를 비롯 59명의 개별인사, 미국 내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평화단체, 민권단체, 종교기관 등 다양한 미국 시민사회단체 81개가 참여했다.

 

미국 시민사회단체로는 미국내 대표적인 평화운동단체인 ANSWER Coalition, Peace Action, International Action Center, United for Peace and Justice, Veterans For Peace, 미국친우봉사회(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등이 참여했으며 여성 평화운동단체인 코드핑크(CODEPINK). Women Against War, Women Cross DMZ, 민권운동단체 Rainbow PUSH Coalition 등이 참여했다.

 

종교 기관의 참여도 눈길을 끌었다. 종교 기관으로는 미국의 최대 장로교 기관인  미국 장로교회(Presbyterian Church USA)를 비롯하여  연합감리교회 총회 사회부(The United Methodist Church, General Board of Church and Society), 한인연합감리교회 평화위원회 (The Peace Committe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등이 참여했으며 미국 녹색당 평화행동위원회(Green Party of the United States Peace Action Committee) 등이 이름을 올렸다.

 

이번 성명서는 지난 6월 제 1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성명서를 발표한 단체들을 중심으로 마련됐다.

 

지난 6월 해외단체들은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과 다가올 북미정상회담에 관한 재미동포 및 미국인 벗들의 성명’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 평화체제 구축, 북미관계 개선을 촉구하였고 며칠 뒤 이러한 요구가 그대로 담긴 싱가포르 북미공동성명이 발표되어, 내외의 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6월 성명서 전문과 참가단체 명단 https://sites.google.com/view/peace-treaty-now) 

 

이번 성명은 더 내이션 (https://www.thenation.com/)에 게재될 예정이며, 11월 미국 중간선거 이후 새로이 선출된 미 연방 상, 하원의원 등 미국 정치권에 전달하여 한반도 평화를 위한 이들의 협조를 당부할 예정이다.

 

이번 성명서는  지난 11월 감리교 측이 미국 아틀란타에서 주관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원탁회담'과 성공회 롱아일랜드교구 창립 150주년 기념대회 등 종교기관에서 개최한 행사에서 평화협정 촉구 선언과 결의문이 잇따라 발표된데 이어 내놓은 해외동포단체들과 미국 시민사회단체들의 공동 성명으로 미국 내에서 북미관계 개선과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여론에 불을 지필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공동성명서 전문이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미관계 개선과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해외동포 및 외국인 벗들의 성명

 

2018년 한반도는 세계사적인 격동의 중심에 우뚝 섰다. 남과 북의 정상은 3차례 만남을 가졌고, 북과 미국은 지난 6월 싱가포르에서 첫 정상회담을 가졌다. 전 세계인의 환호와 경탄속에 이어진 남북, 북미 정상회담은 이제 제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울 방문을 눈앞에 두고 있다.

 

 

1. 우리는 남과 북의 정상이 합의한 ‘4. 27 판문점공동선언’, ‘9월 평양공동선언’, 북과 미국의 정상이 합의한 ‘6. 12 싱가포르 북미공동성명’을 아래와 같은 이유에서 적극 지지한다.

 

남과 북, 북과 미국의 정상간 합의는 한반도에서 전쟁의 위험을 막고,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는데 토대를 마련했다.

 

남과 북이 합의한 판문점선언과 평양선언은 적대관계인 분단시대에 마침표를 찍고 평화와 번영, 자주통일 시대로의 진입을 알리는 선언이었다. 한편 북과 미국의 정상은 6월 싱가포르 공동성명에서 ‘새로운 북미관계수립’을 합의했다. 북미간의 ‘새로운 관계수립’은 두 나라가 전쟁위험과 적대관계를 해소하고 관계정상화, 수교의 길로 나간다는 의미이다. 지난해 북미간 핵전쟁의 접경까지 치달았던 상황을 돌이켜보면 극적인 전환이다.

 

최근 북은 한반도의 평화와 비핵화, 그리고 북미간의 합의이행과 관련 여러 선제적 조치를 취하고 있다. 우선 북은 지난 12개월 동안 핵시험과 미사일시험을 유예하고 있다. 북은 9월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아래 우선 영구적으로 폐기”할 것과 미국이 상응조치를 취하면 영변 핵시설을 영구적으로 폐기할 용의가 있음을 표명했다.

 

또 북은 10월 미국 국무부 장관의 평양방문에서 풍계리 핵시험장의 해체를 확인하기 위한 외부 검증단의 초청을 약속했다. 그리고 북은 지난 7월 55구의 미군 전사자 유해를 송환했다.

 

한편 미국은 그동안 한미합동군사훈련을 잠정 중단해왔다.

 

4월 판문점선언 이후 반 년여 동안 남북관계는 돌이킬 수 없는 화해와 평화, 통일의 길로 접어들었다. 남과 북의 정상간 만남이 수시로 이루어지고, 개성에는 남북 당국자가 상주하는 공동연락사무소가 개설됐으며, 이산가족의 상봉과 체육, 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민간교류가 확대, 심화되고 있다.

 

또 차단된 땅길, 바닷길, 하늘길이 다시 열려 남북을 잇는 동, 서해선 철도 및 도로 연결 준비가 한창이다. 무력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들 역시 진전을 이루어 남북 군사 분야 이행합의서가 채택되고 군사공동위원회가 가동되기 시작했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이 비무장지대로 전환됐고, 비무장지대(DMZ)의 평화지대화, 서해 평화수역 조성이 추진되고 있다.

 

 

2. 우리는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아래와 같은 입장을 밝힌다.

 

우리는 남과 북이 비약적인 관계개선을 이룬 것과 북이 그동안 한반도의 평화와 비핵화를 향해 중대한 진전을 이룬 것에 지지와 환영을 보낸다. 아울러 이와 같은 조치들에 상응하여 미국도 더 이상 머뭇거리지 말고 6. 12 싱가포르 합의의 이행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1) 미국은 종전선언을 채택하고, 평화협정 체결에 나서야 한다.

 

1953년 북과 미국이 체결한 정전협정 체제는 그동안 한반도에서 전쟁 위기가 빈발하는 근본 원인이 되어왔다. 이에 남과 북은 판문점선언을 통해 “정전협정체결 65년이 되는 올해에 종전을 선언하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며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회담 개최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미국은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종전을 선언하고, 즉시 평화협정 체결을 추진해야 한다. 북미간 평화협정 체결만이 한반도와 미국본토에서의 핵전쟁 위기는 물론 재래식 전쟁의 가능성과 무력충돌의 위험을 막고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2) 미국은 대북제재를 해제하고, 북미관계 개선에 나서야 한다.

 

트럼프 미국대통령은 6. 12 북미공동성명을 통해 ‘새로운 북미관계수립’과 ‘상호 신뢰구축’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무엇보다 우선 대북제제를 해제해야 한다. 아울러 북에 대한 테러지원국 재지정, 압류한 북 자산의 동결도 해제해야 한다.

 

둘째, 미국 국민의 자유로운 방북을 허용해야 한다. 북과 미국, 두 나라의 국민들이 경제, 문화, 과학, 교육, 의료, 체육, 여행 등 다방면의 민간 교류를 통해 상호 신뢰와 이해 증진을 이루어갈 수 있도록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미국인의 방북 금지조치를 즉시 해제해야 한다.

 

셋째, 북과 미국간 관계정상화, 수교를 위한 첫 단계적 조치로 쌍방의 수도 평양과 워싱턴 디씨에 연락사무소를 개설해야 한다.

 

우리는 향후 열릴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결과로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에서 70여 년 간 지속되어 온 낡은 대결구도가 해체되고, 새로운 평화와 번영의 시대가 열리길 바란다.

 

 

2018년 12월 6일

 


 

 

Joint Statement of U.S. Civil Society Groups

 

in Support of the Peace Process in Korea

 

 

December 6, 2018

 

2018 has been a year of historic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leaders of North and South Korea met three times, and President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also held their first summit in Singapore in June.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has invited Chairman Kim to visit South Korea, and President Trump has expressed willingness to meet Chairman Kim in a second summit. We welcome these positive developments for permanent peace in Korea.

 

In particular, we support the April 27 Panmunjom Declaration and the September 19 Pyongyang Joint Declaration signed between the leaders of South and North Korea, as well as the June 12 Singapore Summit Joint Statement signed between the leaders of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These agreements lessen the danger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reate a foundation for a lasting and stable peace regime. The Panmunjom and Pyongyang Declarations signed between the two Koreas opened the door to family reunions, civil society engagement, and concrete steps towards demilitarization. Likewise, the Singapore Joint Statement emphasized the “establishment of new U.S.-DPRK relations,” away from war and hostility towards normal diplomatic recognition. We applaud the leaders of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ho, on the brink of nuclear war last year, boldly chose the path toward peace.

 

As concrete steps in the spirit of the Singapore Joint Statement, North Korea has:

 

•     Suspended its nuclear and missile tests, including destroying the Punggye-ri nuclear test site and inviting outside inspectors to verify that it has been destroyed;

 

•     Agreed to “permanently dismantle the Dongchang-ri missile engine test site and launch platform under the observation of experts,” as well as dismantle its nuclear facilities in Yongbyon if “the United States takes corresponding measures”; and

 

•     Returned the remains of fifty-five U.S. servicemen who had died there during the Korean War of 1950-1953.

 

 

On the other hand, the United States, thus far, has:

 

•     Temporarily suspended major war drills with the South Korean military.

 

While commendable, this U.S. action is insufficient to sustain the normalization process.

 

In line with the important steps North Korea has taken toward peace and denuclearization and in support of unprecedented peace-building engagemen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 demilitarization of the Joint Security Area at Panmunjom, preparations to reconnect highways and railroad lines across the DMZ, and the establishment of a joint liaison office in the northern city of Kaesong - we urge the U.S. government to take the following steps as further confidence-building measures with North Korea:

 

 

1) Issue a joint declaration to end the Korean War and negotiate a Peace Treaty to replace the outdated and broken Armistice Agreement. The continuing state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is at the root of recurring war threats in Korea. In the Panmunjom Joint Declaration, the two Korean leaders declared as follows:

 

During this year that marks the 65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actively pursue trilateral meetings involving the two Koreas and the United States, or quadrilateral meetings involving the two Koreas,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ith a view to declaring an end to the war and establishing a permanent and solid peace regime.

 

Ahead of another summit with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should commit to declaring an end to the Korean War and demonstrate a willingness to pursue a formal Peace Treaty. Only a genuine and verifiable Peace Treaty between the main parties to the Korean War and the Armistice Agreement can drastically reduce the risk of nuclear and conventional war in Korea. It is the foundation for lasting and stabl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2) Lift broad-based U.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at harm the most vulnerable and ordinary Koreans as a concrete step toward establishing “new U.S.-DPRK relations.” Further, halt international pressure campaigns to isolate North Korea as this is contrary to the spirit of the Singapore Joint Declaration. 

 

3) Lift the travel ban on U.S.citizens from visiting North Korea. The ban blocks U.S. humanitarian aid projects in North Korea, impedes people-to-people exchanges, and prevents thousands of Korean-Americans, who have family members in North Korea, from visiting them.

 

4) Establish a liaison office in Pyongyang to facilitate diplomatic engage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towards mutual trust and understanding.

 

 

Signed,

 

Endorsing U.S. Organizations (In alphabetical order, 133 total)

 

 

416 Global Networks—San Diego 세월호를 기억하는 샌디에고 사람들/416 Human Rights & Peace Global Network 416 인권 평화 해외연대/615 U.S. Midwest Committee 6.15 공동선언실천 미중부위원회/615 U.S. Seattle Committee 6. 15 공동선언실천 미국시애틀위원회/615 West Cost Committee 6.15 공동선언실천 미서부위원회/Action One Korea (AOK) Action One Korea (AOK)/Alliance for Global Justice/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Atlanta SaSaSe 애틀란타 사람사는 세상/Baltimore Nonviolence Center/Brooklyn For Peace/Campaign for Peace, Disarmament and Common Security/Center for Human Rights & International Justice, Boston College/Channing and Popai Liem Education Foundation 임창영 • 이보배 교육재단/Chicagoans in Solidarity with Sewol Ferry Victims and Families 세월호를 잊지 않는 시카고 사람들의 모임/Citizen for Equality Peace And Liberation 평등 평화 해방을 위한 시민연대/Coalition for Peace Action/Coalition of Civic Action for Cheonahnham’s Truth in U.S.A. 천안함범시민사회단체대책협의회 미주본부/Coalition of Koreans in America 미주희망연대/Codepink/Community Organizing Center/Concerned Citizens for Change/Concerned Citizens for Nuclear Safety/D.C. Methodist Church 들꽃교회/Deoham Korean American Community Church 시카고 더함교회/Environmentalists Against War/FCNL Peterborough Advocacy Team/Fight For Voter’s Rights(F4VR) 유권자 권리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들의 모임(유권소)/FreedomTrainers/GABRIELA USA/Global Network Against Weapons & Nuclear Power in Space/Good Friends USA/Granny Peace Brigade, New York/Greater Brunswick PeaceWorks/Green Party of the United States Peace Action Committee/Hawai'i Peace and Justice/HOBAK (Hella Organized Bay Area Koreans) 호박/Hope Coalition of New York 희망세상 뉴욕모임/Houston Sewol HAMBI 휴스턴 세월호 함께 맞는 비/INOCHI(NoWarWithNorthKorea.org)/Institute for 21st Century International Relations 21세기 연구원/International Action Center/Kaua`i Alliance for Peace and Social Justice/Kazakh Foundation/Korea Culture & Heritage Society of LA 민족문제연구소 엘에이지부/Korea Culture & Heritage Society of NY 민족문제연구소 뉴욕지부/Korea is One 우리는하나/Korea Peace & Unification Action of Boston 평화와 통일을 여는 보스턴 행동/Korea Policy Institute 코리아정책연구소/Korean American Alliance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평화를 위한 미주 동포연대/Korean American Civic Action Atlanta 애틀란타행동/Korean American 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재미동포전국연합회/Korean Americans for Social Justice - Chicago 시카고 한인 민주연대/Korean Book Club of Riverside 리버사이드 한마음 독서회/Korean Peace Alliance 진보의 벗/LA SASASE 엘에이 사람사는세상/LEPOCO Peace Center (Lehigh-Pocono Committee of Concern)/Maine Green Independent Party/Maine War Tax Resistance Resource Center/Malu 'Aina Center for Nonviolent Education & Action/Massachusetts Peace Action/Maui Peace Action/Mennonite Central Committee U.S. Washington Office/Military Families Speak Out/minjok.com 민족통신/Minjung Solidarity of New York 민중당 뉴욕연대/Missy 100 부정재산 환수 특별법 지지 해외 미씨백/Mundo Obrero / Workers World Party/Muslim Peace Fellowship/NANUM Corean Cultural Center 우리문화나눔회/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Americans 미주동포전국협회/National Coalition to Protect Student Privacy/National Institute of Hahm Seokhon Philosophy, DC, Indianapolis, NY, Hahm Seokhon Peace Center 함석헌사상연구회/Network for Peace and Unification in USA 평화와 통일을 위한 연대/New Hampshire Peace Action/New Hampshire Veterans for Peace/New Jersey Peace Action/New York Campaign for Peace in Korea/NJ Sewol Truth Seekers 뉴저지 416 진실찾기/Nodutdol for Korean Community Development 노둣돌/North Carolina Peace Action/Nuclear Age Peace Foundation/Ohana Ho`opakele/One Corea Now One Corea Now/One Heart for Justice 샌프란시스코 공감/Out of My ultari Now 소식지 ‘내 울타리 밖에서는 지금’/Oversea Supprers Korean School in Japan 일본 우리학교 지키는 재외동포모임/Pan-Korean Alliance for Reunification in USA 조국통일범민족연합 재미본부/Party for Socialism and Liberation - New Hampshire/Peace & Prostirity Forum 평화와 번영 포럼/Peace Action/Peace Action Maine/Peace Action Michigan/Peace Action New York State/Peace Action Wisconsin/Peace21.org 내일을 여는 사람들/Peaceworkers/Peoples Budget Campaign/Philadelphia Committee for Peace and Justice in Asia/Popular Resistance/Presbyterian Church (USA)/Presbyterian Peace Network for Korea/PressArirang.org 프레스아리랑/Progressive Asian Network for Action (PANA)/Rainbow PUSH Coalition/Resources for Organizing and Social Change/S.F. Rohjjang lovers 노짱러버스/Samidoun: Palestinian Prisoner Solidarity Network/San Diego Central Committee of the Peace and Freedom Party of California/SD SASASE 샌디에고 사사세/Seattle Evergreen Coalition 시애틀 늘푸른 연대

/SolidarityINFOService/Support Committee for Korean Prisoners of Conscience in U.S. 미주 양심수 후원회/The Moon keeper in America 미주문지기/The Peace Committe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한인연합감리교회 평화위원회/The Peace Farm/The United Methodist Church, General Board of Church and Society/TRACE Collective (Transracial Adoptees Creating Empowerment)/Tri-Valley CAREs/United for Justice with Peace Boston/United for Peace and Justice/United Nations Association of Greater Milwaukee/US Peace Council/Veterans For Peace/Veterans For Peace - NYC Chapter 034/War Prevention Initiative/Washington DC Remembers Sewol 워싱턴 세월호를 기억하는 들꽃/Western States Legal Foundation/Women Against War/Women Cross DMZ/Woori Madang Chicago 우리마당 시카고/World BEYOND War/Young Korean Academy of New York 미주 흥사단 뉴욕지부.

 

 

미국외 해외지역 단체( 북미, 유럽, 아시아 Total 19)

 

 

416 Canlelights JKT 416 자카르타 촛불행동

 

416 Global Networks 416 해외연대

 

416 Global Networks - Ottawa 세월호를 기억하는 오타와사람들

 

노길남샌, [07.12.18 02:13]

416 Global Networks - Toronto 세월호를 기억하는 토론토 사람들

 

416 Network Paris 416 해외연대 파리

 

Edmonton Hope Network 에드먼튼 희망실천 네트워크

 

Gangjeong UK

 

Ireland Candlelight Action 아일랜드 촛불행동

 

June 15 Joint Oceania Committee For One COREA 615 공동선언 실천 대양주위원회

 

Korean New Zealanders for a Better Future 더 좋은 세상 뉴질랜드 한인모임

 

National Institute of Hahm Seokhon Philosophy, London, UK headquarters 함석헌사상연구회- 영국대표부

 

PEN International San Miguel Center, Mexico

 

Pika 피카

 

RemeberingSewol UK

 

Remenbering Sewol Germany (NRW)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는 재독 NRW모임

 

SASASE OTTAWA 사람사는세상 오타와

 

Solidarity of Korean People in Europe 한민족 유럽연대 (독일)

 

STOP the War Coalition Philippines

 

Vienna Culture Factory 비엔나 문화 제작소

 

 

 

개인 연명(총 59명)

 

Ann Wright, Retired U.S. Army Colonel, Veterans for Peace

 

Ayumi Temlock, New Jersey Peace Action

 

Barbara Nielsen, Women's International League for Peace and Freedom, United States Section

 

Bok-dong Yoon, Korean Adoptees of Hawai'i

 

Bonnie J Ruggiero, Elder, Presbyterian Church USA

 

Caleb Carman, Bard College

 

Carolyn Cicciu, New Hampshire Peace Action

 

Charles Ryu, Pastor, St. Paul's United Methodist Church, Middletown, New York

 

Choon Shik Lim, Regional Liaison for East Asia, Presbyterian Church USA

 

Christine A. DeTroy, Women's Intenational League for Peace & Freedom, Maine Branch

 

Clara Lee, PhD student,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Danielle Saint Louis, Executive Director, Brooklyn Zen Center

 

Debbie Kim, Gangjeong UK

 

Debbie Leighton, Women’s International League for Peace and Freedom

 

Diane Nahas, LaGuardia Community College

 

Donna San Antonio, Associate Professor of Counseling Psychology, Lesley University

 

Frederick Carriere, Research Professor, Syracuse University

 

Gar Smith, Co-founder, Environmentalists Against War

 

Garrett Walker, Party for Socialism and Liberation, New Hampshire

 

Haeinn Woo, New York Institute of Technology 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Hwanhee Kim,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Jacquelyn Wells, Entrepreneur/Artist, Oohjacquelina

 

Jacqui Deveneau, Senior Advisor, Maine Green Independent Party

 

James Nordlund, Communications Director, National Action Network, Kansas

 

Joan Roelofs, New Hampshire Peace Action

 

John Arnold, Alliance for Global Justice

 

John Bernard, Maine People's Alliance

 

John Feffer, Director of Foreign Policy in Focus,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John MacDougall, Veterans for Peace

 

John Raby, Nuclear weapons Working Group of New Hampshire

 

Joyce Bressier, Stony Point Center/Community of Living Traditons

 

Judith Bello, United National Antiwar Coalition

 

Katherine Griswold, Presbyterian Church USA

 

Kilsang Yoon, President, Korean American 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Lawrence Wittner, Professor of History Emeritu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Albany

 

Leif Rasmusen, Student, Point Arena High School

 

Lindis Percy, Co-Founder, Campaign for the Accountability of American Bases

 

Liza Maza, Chairperson Emerita, GABRIELA, Women’s alliance Phils.

 

Marcus Christian Hansen, Board member, New Hampshire Peace Action

 

Martha Bartlett, Presbyterian Church USA

 

Martha Spiess, Chair, Peace Action Maine

 

Michael Eisenscher, National Coordinator Emeritus, U.S. Labor Against the War

 

Mike Hearington, Veterans for Peace

 

Ngovi KITAU, First Kenyan Ambassador to the Republic of Korea (2009-2014)

 

Noam Chomsky, Professor, University of Arizona

 

Pamela Richard, Peace Action Wisconsin

 

Paul Shannon, Co-coordinator, Peoples Budget Campaign

 

Pete Shimazaki Doktor, Hawai’i Okinawa Alliance

 

Rajendra Sahai, Institute for Critical Study of Society

 

Reverend Jesse L Jackson Sr, Founder and President of Rainbow PUSH Coalition

 

Roger Leisner, Women in Black

 

Seri Lee, Chicago Organizer, National Asian Pacific American Women's Forum

 

Sofia Woman, Northeast Regional Executive Committee Member,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Sungju Park-Kang, Adjunct Professor, University of Turku, Finland

 

Tae Lim, PhD student,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Theodore Wilcox, Peace Action and Education

 

Unzu Lee, Co-convener, Presbyterian Peace Network for Korea

 

William H. Slavick, Pax Christi Maine

 

Young Han, Dr. Of Ministry Candidate,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다시 이어진 덕수궁 돌담길... "절대 헤어지지 않을 것"

영국대사관에 막힌 미연결 70m 구간, 궁궐 안으로 길을 내 개방

18.12.07 13:40l최종 업데이트 18.12.07 17:24l

 

 박원순 서울시장, 정재숙 문화재청장, 사이먼 스미스 주한영국대사 등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새롭게 개방한 덕수궁 돌담길을 둘러보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 정재숙 문화재청장, 사이먼 스미스 주한영국대사 등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새롭게 개방한 덕수궁 돌담길을 둘러보고 있다.ⓒ 이희훈
 박원순 서울시장, 정재숙 문화재청장, 서양호 서울중구청장, 사이먼 스미스 주한영국대사,헤리 헤리스 주한미국대사등이 참석해 7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성공회 뒷마당에서 영국대사관으로 인해 막혔던 덕수궁 돌담길 전구역을 개방하는 연결기념 행사에서 테이프 커팅식을 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 정재숙 문화재청장, 서양호 서울중구청장, 사이먼 스미스 주한영국대사,헤리 헤리스 주한미국대사등이 참석해 7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성공회 뒷마당에서 영국대사관으로 인해 막혔던 덕수궁 돌담길 전구역을 개방하는 연결기념 행사에서 테이프 커팅식을 하고 있다. ⓒ 이희훈
 박원순 서울시장, 정재숙 문화재청장, 사이먼 스미스 주한영국대사 등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새롭게 개방한 덕수궁 돌담길을 둘러보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 정재숙 문화재청장, 사이먼 스미스 주한영국대사 등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새롭게 개방한 덕수궁 돌담길을 둘러보고 있다.ⓒ 이희훈

20세기 추억의 명소였던 서울의 덕수궁 돌담길이 마침내 완전히 연결돼 시민들에게 개방됐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정재숙 문화재청장, 사이먼 스미스 주한영국대사,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 등은 7일 오전 10시 그동안 연결되어 있지 않던 돌담길 70m 구간(영국대사관 후문~정문) 앞에서 테이프 커팅 행사를 열고 처음으로 이 길을 함께 둘러봤다.
 
덕수궁은 1897년 10월 12일 대한제국을 선포한 조선왕조 고종이 말년까지 머문 곳이고, 특히 궁을 둘러싼 돌담길은 1970~80년대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 각광을 받았다.

1980년대에는 반미 정서의 발흥으로 인근 주한 미국대사 관저(하비브하우스) 경호를 위해 1년 365일 내내 경찰버스가 상주하며 시민들의 불심 검문을 하는 등 우리 현대사의 애환이 깃든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덕수궁 돌담길(1100m)은 170m가량이 가로막혀서 이 길을 한 바퀴 도는 것이 불가능했었다.

1883년 4월 19일 영국이 70m(정문~직원숙소) 구간을 매입했고, 1959년부터는 100m 구간(직원 숙소 앞~대사관 후문)을 추가로 점유하며 길이 온전히 이어지지 못한 것이다.
  
 영국대사관으로 인해 막혔던 덕수궁 돌담길이 7일 오전 전구역이 개방되어 막혔던 길이 연결되었다.
영국대사관으로 인해 막혔던 덕수궁 돌담길이 7일 오전 전구역이 개방되어 막혔던 길이 연결되었다.ⓒ 이희훈
 영국대사관으로 인해 막혔던 덕수궁 돌담길이 7일 오전 전구역이 개방되어 막혔던 길이 연결되었다.
영국대사관으로 인해 막혔던 덕수궁 돌담길이 7일 오전 전구역이 개방되어 막혔던 길이 연결되었다.ⓒ 이희훈
  
그러다 박원순 시장이 2014년 10월 '덕수궁 돌담길 회복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길이 다시 열릴 가능성이 생겼다. 그 후 서울시와 영국대사관의 협상 끝에 2017년 8월 100m 구간이 개방된 데 이어, 나머지 70m 구간도 135년만에 시민에게 열린 것이다.
 
길을 다시 여는 과정에서 최대 난제는 돌담길 바로 앞에 세워진 영국대사관 건물이었다. 서울시는 길을 제대로 내기 위해 건물을 사들인 뒤 이를 철거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대사관 측이 난색을 보여 궁궐 안으로 길을 내 돌담길을 연결하는 방안을 채택했다.
 
보행길 조성은 서울시, 문화재청과 중구청이 긴밀한 협조 속에서 진행됐다. 특히 서울시는 세종대로부터 영국대사관 정문까지의 구간을 재포장하고, 담장과 어울리는 볼라드(자동차가 인도에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경계면에 세워두는 원통 모양의 구조물)를 설치해 보행공간을 확보했고, 경관 조명은 중구청과 함께 설치했다. 문화재청은 덕수궁 담장 안쪽에 만들어진 보행데크와 목재 난간 설치를 맡았다.
 
박원순 시장은 감성적인 축사로 돌담길 개방에 의미를 부여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성공회 뒷마당에서 새롭게 개방한 덕수궁 돌담길을 연결 기념식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성공회 뒷마당에서 새롭게 개방한 덕수궁 돌담길을 연결 기념식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 이희훈
 
"덕수궁 돌담길을 함께 걸으면 연인이 반드시 헤어진다는 말이 있었는데 이젠 아니다. 그때는 단절되어 있었지만, 이제는 1100m가 완전히 연결됐기 때문에 절대 헤어지지 않는다. 사귀기 시작한 커플이 이 길을 걸으면 (관계가) 더욱 단단해질 것이다."
 

사이먼 스미스 영국 대사도 2분간에 걸쳐 유창한 한국어로 인사말을 전해 좌중의 눈길을 끌었다. 옥스퍼드대에서 언어학 석사 학위를 받은 그는 영어, 한국어, 독일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일본어, 우크라이나어 등 7개 국어를 구사할 줄 아는 언어능통자로 알려졌다.
  
 태극기혁명국민운동본부 회원들이 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예술회관 계단에서 김정은 방남 반대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이먼 스미스 주한영국대사가 7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성공회 뒷마당에서 새롭게 개방한 덕수궁 돌담길을 연결 기념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이희훈
 박원순 서울시장, 정재숙 문화재청장, 사이먼 스미스 주한영국대사, 헤리 헤리슨 미국대사 등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새롭게 개방한 덕수궁 돌담길을 둘러보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 정재숙 문화재청장, 사이먼 스미스 주한영국대사, 헤리 헤리슨 미국대사 등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새롭게 개방한 덕수궁 돌담길을 둘러보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희훈
 
스미스 대사는 "주한영국대사관은 서울의 역사적 장소에 자리 잡은 것이 행운이라고 생각한다"며 "135년 전에 대사관 부지를 매입했고 서울시의 오랜 친구로서 이 사업의 준비 기간 동안 긴밀히 협력해 왔고 마침내 새 길이 열리는 것을 보게 돼서 정말 기쁘다"고 말했다.
 
덕수궁 경내로 연결되는 보행로는 덕수궁 경비 등을 고려해 궁궐 관람 시간(오전 9시부터 저녁 6시) 동안 개방되고, 매주 월요일에는 휴무로 개방하지 않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박병대·고영한 영장 기각…법원 ‘제 식구 감싸기’ 비판 불가피

박병대·고영한 영장 기각…법원 ‘제 식구 감싸기’ 비판 불가피

등록 :2018-12-07 00:58수정 :2018-12-07 01:40

 

  • 페이스북
  • 트위터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공모관계 성립 의문…증거인멸 우려 없다”
‘공범’ 적시 임종헌 구속과 형평 어긋나
양승태 전 대법원장 향하는 수사 길목 차단
박병대(왼쪽)·고영한 전 대법관. <한겨레> 자료사진
박병대(왼쪽)·고영한 전 대법관. <한겨레> 자료사진
법원이 7일 새벽 직권남용 등 혐의를 받는 박병대·고영한 전 대법관의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구체적 물증과 현직 법관들의 진술이 담긴 A4 158쪽, 108쪽에 달하는 영장 속 범죄사실보다, 두 전직 최고 법관의 ‘죄가 안 되거나 약하다’는 주장에 법원이 좀 더 무게를 둔 것이다. 양승태 전 대법원장으로 올라가는 수사 길목이 차단당하면서 검찰의 양 전 대법원장 소환 조사 일정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앞서 두 사람의 지시를 받아 움직인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이 구속됐던 것과도 형평이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거셀 전망이다. 임 전 차장 구속영장에는 직속상관인 두 전직 대법관이 ‘공범’으로 적시돼 있다. 이 때문에 법원이 ‘사법사상 초유 전직 대법관 구속’이 미칠 내부 파장을 먼저 고려해 ‘제 식구 감싸기’에 나섰다는 후폭풍이 불가피하다. ‘방탄판사단’ 논란이 재연되며 특별재판부 구성 요구도 다시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전날 박 전 대법관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뒤 숙고에 들어갔던 임민성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7일 0시37분께 “범죄 혐의 중 상당 부분에 관해 피의자의 공모관계의 성립에 의문의 여지가 있다. 또 이미 다수의 증거자료가 수집되어 있고, 현재까지 수사경과 등에 비춰 증거인멸 우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며 검찰이 청구한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같은 시간 고 전 대법관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을 진행한 이 법원의 명재권 영장전담 부장판사도 “범행에서 피의자의 관여 정도 및 행태, 일부 범죄사실에 있어서 공모 여부에 대한 소명 정도, 주거지 압수수색 등 광범위한 증거수집이 이루어진 점” 등, 박 전 대법관 기각 사유와 동일한 이유로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에서 영장심사 결과를 기다리던 두 전직 대법관은 바로 풀려났다.

 

대법관이 겸직하는 법원행정처장을 잇달아 맡았던 두 전직 대법관은 전날 영장심사에서 “정당한 지시였다” “죄가 되지 않는다”며 혐의를 적극적으로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사법행정의 영역을 범죄로 몰아가고 있으며, 일부 부적절한 내용이 있더라도 실무선에서 벌어진 일이라 자신들은 모른다는 취지다. 특히 고 전 대법관은 ‘다른 사람보다 죄가 약하다’는 취지의 주장을 통해 불구속 재판을 받게 해달라는 ‘차별화’ 전략을 썼다고 한다. 그는 영장심사에서 “나는 청와대와의 (재판) 거래는 없어서 상대적으로 (죄가) 약한 거 아니냐”고 항변했는데, 이는 2014년 10월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 등을 직접 만나 일제 강제노역 사건 재판 지연 등을 논의했던 박 전 대법관의 혐의와 자신의 행위는 가벌성을 다르게 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 전 대법관의 영장심사에선 그가 2015년 4월 이병기 대통령 비서실장으로부터 이완구 국무총리의 낙마로 공석이 된 총리직을 제안받은 사실을 두고 설전이 벌어졌다. 검찰이 이를 ‘박근혜 정부와의 유착’ 증거로 먼저 제시하자, 박 전 대법관은 “거절하지 않았느냐”며 재판 거래는 없었다고 거듭 주장했다고 한다.

 

지난 3일 구속영장을 청구하며 영장 발부를 자신했던 검찰은 “영장 기각은 재판 독립을 훼손한 반헌법적 중범죄의 전모 규명을 막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영장 재청구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검찰은 영장심사에서 “업무상 상하·지시관계에 따른 범죄”라며, 앞서 법원이 구속을 허가한 임종헌 전 행정처 차장에게 적용된 범죄 혐의가 당시 상급자였던 두 행정처장의 지시에 의한 것임을 강조했다. 구속기소된 임 전 차장보다 범죄 실행에 더 큰 결정권을 행사했기 때문에 구속이 마땅하다는 것이다. 행정처에서 작성된 문건들, 재판 개입 및 사법행정권 남용의 윗선으로 두 사람을 지목한 전·현직 법관의 진술 등 구체적 증거도 제시했다.

 

법원이 사법농단 수사 전체를 떠받치는 이런 증거에도 불구하고 두 전직 대법관의 구속영장을 기각하면서 양 전 대법원장을 피의자로 소환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보강수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재판 개입과 법관 사찰 등이 ‘양승태→박병대·고영한→임종헌’으로 내려가는 지시·승인을 통해 이뤄졌다는 수사 구도를 그리고 있다. 이를 입증할 증거도 다수 확보된 상태라고 한다.

 

이 때문에 법원이 ‘전직 대법관 구속’이 미칠 내부 파장을 우선 고려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두 사람의 범죄혐의가 워낙 광범위한데다 양승태 전 대법원장과 직접 연결되는 혐의도 상당수다. 두 사람이 구속될 경우 국회의 법관 탄핵소추 논의에도 힘이 실릴 수 있는 상황이었다. 법원의 구속영장 기각 결정은 지난 6개월 검찰 수사를 ‘원점’으로 되돌렸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최우리 김양진 기자 ecowoori@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73417.html?_fr=mt1#csidx10f36adbd3faedfa9ea3636e51ae443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