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미, 영, 프랑스 후데이다 장악위해 군사적 추가 압박

 
미국, 영국, 프랑스 후데이다 장악을 위해 예멘에 대해 군사적 추가 압박
 
번역, 기사 이용섭 기자 
기사입력: 2018/06/21 [09:40]  최종편집: ⓒ 자주시보
 
 

미, 영, 프랑스 후데이다 장악위해 추가 압박

 

미국을 위시한 서방 연합세력들은 자신들이 내세운 꼭두각시인 사우디가 주도하는 페르샤만 동맹군들이 2015년 3월 예멘을 전격적으로 침공한 이래 3년이 지나도록 예멘을 완전하게 장악하지 못하자 최근 들어서는 자신들의 군대를 직접 파병하여 예멘을 붕괴시키고자 하고 있다.

 

특히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 홍해 → 아덴만 → 인도양 · 페르샤만으로 통하는 해로는 완벽하게 장악하기 위해 예멘전쟁을 벌였음에도 아직까지도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자 이제는 미국, 영국, 이스라엘 뿐 아니라 프랑스도 간접 개입에서 직접적으로 군대를 파병하여 예멘전을 벌이고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프랑스가 이제야 예멘전에 개입을 한 것은 아니다. 이전에는 예멘에 투입된 사우디 주도의 연합군(실제로 테러분자들) 신병들에 대해 훈련을 하는 교관을 파견하거나 무기 지원 등 간접적인 방법으로 개입을 해왔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프랑스도 간접개입에서 벗어나 자국의 군대를 예멘에 파병하여 예멘전을 벌이는 등 직접적인 개입을 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사실에 대해 서방의 그 어떤 언론들도 언급을 하지 않고 있으며, 한국의 언론 역시 그 어느 언론도 예외가 없이 서방연합세력들이 예멘전에 개입을 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보도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숨긴다고 하여 숨겨지는 것이 결코 아니다. 역사는 부정의가 정의를 이긴 적이 없다. 물론 일시적으로는 부정의가 정의의 탈을 쓰고 있기에 승리하는 듯 하는 착시현상을 줄 수는 있다. 하지만 장기적인 역사적 관점에서 보면 부정의는 정의를 절대로 이길 수가 없다.

 

현 중동정선에 대한 진실과 정의 역시 마찬가지 이다. 미국, 이스라엘, 영국, 프랑스 등 서방패권주의연합세력들의 언론들과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와 여타 지역 나라들의 주류 및 거대 언론들이 사실을 왜곡하고 자신들이 유리한 방향으로 진실을 호도한다 해도 결코 부정의와 허위와 위선 기만이 가려지는 것은 아니다.

 

중동에서 강력한 반미전선을 형성하고 있는 이란, 수리아, 예멘 등의 언론매체와 러시아의 보도들을 통해 중동전선의 진실과 정의와 허위·기만·왜곡·조작 그리고 부정의가 명명백백하게 밝혀지고 있다. 다만 한국의 언론들에서 다루지 못하다 보니 이 땅의 대부분의 백성들은 허위와 기만, 왜곡과 조작된 부정의한 내용들이 진실과 정의 사실인양 잘 못 받아들이고 있는 현실이 대단히 안타깝다.

 

본지에서는 바로 이 땅에서 벌어지고 있는 조선반도만이 아닌 세계적 차원에서의 정의와 부정의, 그리고 진실과 허위를 가려볼 수 있도록 서방의 언론들에서 다루지 않는 국제정세에 관한 내용들을 보도하고 있다.

 

아래 이란 관영 파르스통신의 보도를 보면 프랑스도 이미 예멘전에 깊숙하게 개입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 영국 마찬가지 이다. 영국은 이미 예전 보도들에서도 예멘전에 직접 개입을 했다는 사실에 대해 보도를 한 바 있다.

 

현재 예멘에서는 예멘 서부 홍해에 연해 있는 후데이다흐항을 장악하여 예멘을 완전히 외부로부터 봉쇄함으로서 자신들과 맞서는 예멘을 붕괴시키려고 갖은 방법을 다 동원하고 있다. 그 동원되는 수법 중에 하나가 바로 서방연합세력들이 소유하고 있는 세계적인 거대 언론매체를 통한 사실 왜곡과 허위사실을 대대적으로 유포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 점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진실과 진리 그리고 정의가 허위와 기만 그리고 부정의에 어떻게 맞서 투쟁을 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가려보아야 한다.

 

-----번역문 전문-----


2018년 6월 17일. 일요일. 12시 37분

미국, 영국, 프랑스 후데이다흐(항)을 장악하기 위해 추가 압박 작전

▲ 최근 들어 미국과 영국 그리고 프랑스는 예멘을 완전히 붕괴시키기 위해 자국군대를 예멘에 파병하여 직접적인 군사적 개입을 하고 있다. 현재 예멘에서는 예멘 서부 홍해에 연해 있는 후데이다흐 항과 국제공항을 장악하기 위해 사우디가 주도하는 연합군들 뿐 아니라 프랑스, 미국, 영국 등이 함선 및 특수병들을 파병하여 전투를 벌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예멘군의 강력한 반공격에 의해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 이용섭 기자

테헤란 (파르스통신)- 프랑스 르피가로에 따르면 프랑스 특수부대가 예멘에 배치(투입)되어 홍해(紅海) 항구도시인 후데이다흐시 점령을 위하여 현재 진행중인 사우디 주도 군사작전을 지원하고 있다.


프랑스는 미국과 영국과 함께 예멘전쟁(원문-예멘분쟁)에서 리야드(사우디아라비아)를 지원(배후)하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레이트 두 나라에 무기와 무장장비를 제공하고 있다.
 
프랑스 국방부는 파리(Paris)가 연합군들이 군사작전에 집중(원문- 몰두)하기위해 후데이다 항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소해작전(해저의 기뢰 및 어뢰제거 작전)’을 연구하고 있다고 금요일에 말 했다. (예멘에서 전투를 하고 있는 서방연합세력들의 군사 작전에 몰두(집중)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후데이다 항을 통해 군 수송선으로 군사 및 무장장비들을 투입-지원-하는 안전한 해로확보를 위한 기뢰 및 어뢰를 제거하는 《소해작전(mine-sweeping)》을 연구하고 있다는 말이다.)

 

프랑스 국방부는 그 과정(단계-소해작전)에서 프랑스는 후데이다항 지역에서 군사작전을 수행하지 않았으며 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하는 연합군에도 합류(소속)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렇지만 안사룰라 대변인 모하마드 아부둘살람은 영국과 프랑스 군함들이 미사일과 전파공격을 하기 위해 예멘의 서부해안에 대기하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아부둘살람은 (예멘을)침략국들인 미국-영국은 후데이다흐를 기습공격 하였는데 이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레이트가 그러한 기습공격(맹폭)하는 것과 같은 (미사일)포격 능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아랍어 텔레비전 방송인 알-마시라와의 대담에서 말 하였다.

 

또한 아부둘살람은 안사룰라전사들은 서방의 침략자(세력)들에 맞서 대응포격(반격)을 퍼부었다고 말하였다.

 

“도적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지 못한 적들은 예멘 서해안에서 그들의 침략목적을 달성하는데 실패를 하였으며, (이를 숨기기 위해) 심리전에 기대어 선전선동을 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와 같은 선전선동과 심리전은 서방연합세력들이 자신들이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는 세계적인 거대 언론 매체들을 통해 수행하고 있는, 현대전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형적이고 교활하기 그지없는 주요한 수단이다.)

 

이번에 이루어진 (미사일)기습포격은 세계 최빈국의 인도주의 위기를 더욱 악화(심화)시킬 것이라는 유엔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수요일에 감행되었다.

 

예멘 수입물품의 70% 이상이 후데이다흐 항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전투는 이미 기아선상에 빠져있는 나라에 인도주의적인 대재앙을 증대시킬 것이라는 유엔의 우려를 더욱더 증대시켰다. (후데이다흐항에 대한 서방연합세력들의 공격으로 이미 기아선상에 빠져있는 예멘이라는 나라를 인도주의적인 대 재앙의 충격-출렁이게 하는-에 빠져들 것이라는 유엔의 우려를 더욱더 증대시켰다는 말이다.)

 

 후티와 그 연합군들은 자국의 군대가 침략군들인 아랍에미레이트군들을 대량으로 죽여 큰 타격을 입혔으며, 예멘 항의 해안에 대해 미사일 공격을 하는 아랍에미레이트 전투함선을 목표로 하여 반공격을 가하여 아랍에미레이트 군을 죽였다고 발표하였다.


-----원문 전문-----

 

Sun Jun 17, 2018 12:37

US, UK, French Forces Aid Push to Seize Hudaydah

▲ 최근 들어 미국과 영국 그리고 프랑스는 예멘을 완전히 붕괴시키기 위해 자국군대를 예멘에 파병하여 직접적인 군사적 개입을 하고 있다. 현재 예멘에서는 예멘 서부 홍해에 연해 있는 후데이다흐 항과 국제공항을 장악하기 위해 사우디가 주도하는 연합군들 뿐 아니라 프랑스, 미국, 영국 등이 함선 및 특수병들을 파병하여 전투를 벌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예멘군의 강력한 반공격에 의해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이용섭 기자

TEHRAN (FNA)- French special forces are present on the ground in Yemen supporting the ongoing Saudi-led military operation on the Red Sea port city of Hudaydah, according to Le Figaro newspaper.


France, along with the United States and Britain, backs Riyadh in the Yemen conflict and provides weapons to both Saudi Arabia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The French Defense Ministry said on Friday that Paris was studying the possibility of carrying out a mine-sweeping operation to provide access to Hudaydah once Saudi Arabia and the UAE had wrapped up their military operations.

The Defense Ministry added that France at this stage had no military operations in the Hudaydah region and was not part of the Saudi offensive.

Ansarullah Spokesman Mohammad Abdulsalam, however, stressed that British and French warships are on standby on Yemen's Western coast to launch missile and aerial attacks.

Abdulsalam told Arabic-language al-Masirah television network that the Hudaydah assault is an American-British operation as the aggressor states - Saudi Arabia and the UAE - are not capable of launching such a campaign.

Abdulsalam also hailed counter-attacks by Ansarullah forces against the Western-sponsored aggressors.

"The enemies, who are not committed to moral values, have failed to achieve their objectives in Yemen's Western coastline and thus resorted to psychological warfare," he stated.

The assault was launched on Wednesday despite UN warnings that it would compound the impoverished nation's humanitarian crisis.

More than 70 percent of Yemeni imports pass through Hudaydah's docks and the fighting has raised UN fears of humanitarian catastrophe in a country already teetering on the brink of famine.

The Houthis and allied armed forces announced that they have dealt a heavy blow to the aggressors, killing Emirati soldiers and targeting a UAE warship with a missile off the coast of the Yemeni port in a counter-attack.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뜨거운 감자' 난민, 文대통령 생각은?

제주 예멘 난민 추가 입국 막고 범죄 예방 지시
2018.06.20 14:29:30
 

 

 

 

세계 난민의 날인 20일, 한국에서도 난민 문제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제주도에 무비자 입국한 예멘 난민들에 대한 처우 문제가 현안이다. 국제 난민 문제에 보수적이던 한국 정부의 기존 입장은 문재인 정부라고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국내로의 추가 유입은 막고, 이미 입국한 이들에 대해서는 인도적 차원의 조치를 한다면서도 청와대 대변인이 "범죄 예방"을 언급하기도 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0일 오전 브리핑에서 예멘 난민 문제 관련 질문을 받고 "대통령이 어제(19일) 현황 파악을 지시했다"며 "무사증(비자)입국 불허 국가에 예멘을 추가했고, 지금의 500명 이상으로 난민이 들어올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제했다. 법무부는 지난 1일부터 무비자 입국 불허 대상으로 기존 11개국(가나, 나이지리아, 마케도니아, 수단,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이란, 코소보, 쿠바, 팔레스타인) 외에 예멘을 추가했다. 김 대변인은 '무비자 입국 불허 조치가 최근 예멘 난민의 입국이 많아졌기 때문이냐'는 물음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현재 들어와 있는 500여 명에 대해서는 어떻게 할 것인가, 3가지 정도 (방침을) 말할 수 있다"며 "첫째, 원래는 난민 신청일로부터 6개월이 지난 후에 취업이 가능하지만 인도적 필요성에 따라 그 전이라도 내국인 일자리 침해 가능성이 낮은 업종에 취업 허가를 내주고 있다. 주로 농사·축산 관련 일자리다. 둘째, 재정적으로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난민 신청자에게 빵·밀가루 등 식자재를 지원해 주고 무료진료 등 의료 지원을 하고 있다. 셋째, 순찰을 강화하고 범죄 예방에 집중 나서서 불필요한 충돌이나 잡음을 방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난민 대책으로 '순찰 강화'와 '범죄 예방'을 거론한 것이 난민에 대한 인종적 편견을 부추기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그는 "제주도민들을 중심으로 걱정과 우려가 나오고 있지 않느냐"며 "실제로 예멘 난민들이 위험한지 아닌지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그런(주민 우려 대응) 차원에서 정부가 할 수 있는 조처를 취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다만 청와대는 이번 예멘 난민 사안에 대한 구체적 답변 외에, 난민정책 전반에 대한 기조를 밝혀 달라는 요청에는 "추후 밝히겠다"거나 "이번 (예멘) 문제를 처리하는 방향·방침을 보고 이해해 달라"며 난색을 표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현황 파악을 지시한 것 외에 추가로 언급한 바가 있느냐는 질문에도 김 대변인은 "말씀이 좀 있었다"면서도 "제가 말씀드린 내용(무비자 입국 불허 및 기존 입국자 3대 조치)에 포함돼 있다고 봐 달라"고만 했다. 

난민 문제는 지구촌 전체에서 뜨거운 감자다. 2011년 '아랍의 봄' 사태 이후 내전 등 정치적 격변을 피해 고국을 떠나온 이들에 대한 인종주의·국수주의적 반감은 유럽에서 극우세력이 발호하는 토대가 되기도 했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어서, 예멘 난민이 수백 명 규모가 되자 당장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예멘 난민 입국 반대' 등의 청원이 올라왔고 이같은 청원 중 한 건은 25만 명의 동의를 얻어 청와대 답변 요건(20만)을 충족하기도 헀다. 청와대 관계자는 "예멘(난민) 청원 답변은 청원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답변할 예정"이라고 했다. 

법무부의 '무비자 입국 불허' 조처 등 한국 정부의 난민 대응에 대해서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인권위는 지난 1일 "난민 신청자에 대한 보호는 선택이 아닌 국제사회와의 약속"이라며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과 '난민법'에 명시된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난민인권센터와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등 수십 개 시민·사회단체는 지난 8일 성명에서 "예멘 국적 무사증 허가를 제외시킨 법무부의 행보는 '세계인권선언'과 '난민협약'의 가치를 명백히 위반하는 처사"라며 "아울러 법무부가 이번 조치의 사유로 '악용 개연성 상존'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예멘 난민의 위급한 상황을 왜곡, 자신들의 책임 방기를 난민의 탓인 양 떠넘기는 비열한 행태"라고 비판했다.  

'공익법센터 어필' 소속 김세진 변호사는 지난 19일 문화방송(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유럽 쪽 문제는 수만 명씩 난민을 받는 상황에서 생겨난 것"이라며 "사람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범죄가 일어날 수 있는데 난민의 범죄는 크게 부각돼 보도되는 면도 있다"고 지적했다. 김 변호사는 "한국이 난민협약에 가입한 것은 국제적으로 난민을 보호하겠다고 약속한 것인데, 예멘 난민이 한국의 문을 두드렸을 때 바로 무비자 금지 국가로 하는 것이 올바른 태도냐. 협약에 가입했는데 '난민 받지 않겠다'고 하는 것은 국제사회 일원으로서 책임을 거부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휴먼라이츠워치(HRW) 등 국제 인권단체도 지난 정부 시기부터 난민 지위 인정 문제에 대해 한국 정부의 각성을 촉구해온 바 있다. 지난 2007년 당시 열린우리당 임종인 의원은 미얀마 난민 문제를 지적하며 "1980년대 한국이 군부독재에 신음하고 있을 때 수많은 사람이 외국에서 난민 지위를 인정받았으나, 수백 명 버마인이 한국에 피신해 있는데 난민으로 인정된 이는 10여 명에 불과할 정도로 우리 정부는 난민 문제에 대해 매우 소극적"이라고 지적하기도 했었다. 
 

▲2015년 9월 2일, 터키의 휴양지 보드룸 지역 해안에서 3세 시리아 난민 소년 아일란 쿠르디의 주검이 발견됐다. 전 세계적인 추모 물결이 일었고, 다음날 유럽연합(EU) 소속 각국이 시리아 난민을 의무적으로 분산 수용하겠다는 발표가 있었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당시 터키 대통령은 "인류의 양심은 어디에 있는가"라고 개탄하며 "(쿠르디의 죽음은) 주변 국가들이 어떤 비용을 감수하고서라도 이들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헀다. ⓒAP=연합뉴스

 

 

 관련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유일하게 한반도 통일 원하는 건 바로 이 나라?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8/06/20 11:03
  • 수정일
    2018/06/20 11:03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우수근의 '아시아 워치'] 한러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앞두고

 

 

 

그동안 분단이 고착됐던 한반도에 변화의 움직임이 빠르게 움트고 있다. 역사적인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등을 거치며 조성된 한반도의 '데탕트' 분위기가 연내 종전선언 추진 등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 속에서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 4강 또한 이러한 분위기를 반기며 "한반도의 평화통일 지지"를 표방하고 있기도 하다.

한반도의 통일. 우리에게는 숙원사업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한반도의 주변 4강은 실제로 통일을 지지할까? 저마다의 "관련 국익"을 고려할 때 그렇지만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 관련 국익을 위해서도 정말로 한반도의 통일을 지지할 만한 나라가 있다. 그곳은 심지어 통일된 한국의 역량이 어느 정도까지 강화되기를 바라기도 한다. 여기는 과연 어디일까? 

먼저 가장 가까운 이웃인 일본을 살펴보면, 현재 일본 정권이 이를 바라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에 대해 근현대사에서 "원죄"가 있고 아직도 과거의 냉전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정치인들이 정권을 장악하고 있는 일본으로서는 강대한 한반도가 국익에 도움은커녕 오히려 위협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한반도의 통일과 관련된 표리부동한 자세는 중국 또한 크게 다를 바 없다. 중국은 그렇지 않아도 그 거대한 규모로 인해 주변국들과의 영토 및 영해 분쟁 등 온갖 마찰이 끊이질 않고 있다. 이 상황에서 한반도가 하나의 강한 존재로 부상하게 된다면 중국으로서는 달갑지만은 않을 것이다.  

게다가 일찍이 수양제는 고구려 침공에 실패하기도 했다. 이어 고구려를 치려다가 병사한 당 태종 또한 이에 실패한 뒤 고구려를 다시는 침공하지 말라고 말할 정도였다. 그러한 역사적 배경을 고려했을 때 한반도가 또다시 강성한 하나로 거듭나는 것이 중국으로서는 바람직하지 만은 않은 것이다. 

미국과 러시아는 어떨까? 먼저 미국은 태평양을 사이에 두고 멀리 떨어져 있다는 지리적 측면 등을 고려할 때, 한반도에 대한 기본 관점이 중국이나 일본보다는 상당히 여유롭다. 자국 본토의 국가안보 등 "치명적 국익"에는 직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미국에게도 통일된 한반도보다는 분단된 한반도가 국익 극대화에 더 유리하다. 하나가 된 강한 한반도보다는 분단된 약한 한반도로 남아 있는 것이, 미국이 이 지역에 다각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활용하기가 훨씬 수월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러시아는 어떨까? 수도인 모스크바가 유럽과 가까이 위치해 있어 자국의 치명적 국익 등과 직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러시아는 미국과 유사한 측면이 없지 않다. 하지만, 통일된 한반도가 러시아의 국익에 나쁘지 만은 않다는 측면에서는 미중일 3국과 맥을 달리 하기도 한다.  

세계 최대의 영토를 지니고 있는 러시아에게는 그들의 극동지역과 맞닿은 한반도가 마냥 무관하지 만은 않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지금보다 더 강한 통일 한반도의 등장은 주변 강대국들에 대한 세력 견제 등도 가능하기 때문에 나쁘지 않은 상황이다. 

게다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최대 현안 중 하나인 낙후된 극동지역 개발 등을 고려하더라도 사이가 좋아진 남북한이나 통일된 한반도는 막힌 혈맥을 뚫어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물론 러시아 입장에서 통일된 한반도가 지나치게 강해질 것을 우려할 필요도 별로 없다. 중국과 일본 등이 그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적절히 대처할 것이기 때문이다.

오는 21일~23일까지 모스크바에서 한러 정상회담이 개최된다. 이를 앞두고 만난 러시아 외교관들에 의하면, 문재인 대통령을 맞이하는 푸틴 대통령의 기대가 한국의 이전 대통령들을 만날 때와는 사뭇 다르다고 한다.  

이미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를 설치함으로써 러시아와 관계 강화에 대한 의욕을 보인 문 대통령이다. 그러면서 그 실질적 추진을 위해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위원장으로 임명했다. 송 위원장은 이미 오래 전부터 러시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양국 관계를 중시해왔고, 푸틴 대통령이 그를 "절친"이라고 부를 정도다. 

이러한 배경으로 푸틴 대통령은 문 대통령을 이전과는 다르게 각별한 마음으로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러시아 측의 상황을 고려할 때, 향후 한러 관계 또한 전례 없는 밀월기를 맞이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한러의 밀월기는 "스트롱맨 푸틴"의 직·간접적 협력을 통한 남북의 거리 좁히기에 또 다른 순풍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리가 준비를 잘 해놓아야 한다. 역량을 갖춰온 인사나 관련 기구에게 "실질적" 권한을 부여하고, 이들이 국내적 정쟁이나 소모적 견제 등에 휘말리지 않으면서 과업을 추진해 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뒷바라지 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한반도의 통일을 향한 지금의 좋은 기회를 최대한 잘 활용해 나가야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검찰, 사상 초유 사법부 수사... "우린 준비 다 됐다"

대법원에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 컴퓨터 하드디스크 전체 요청

18.06.19 16:51l최종 업데이트 18.06.19 19:19l

 

 2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앞에서 전국공무원노조 법원본부 조합원들이 '재판거래' 양승태 전 대법원장을 형사고발하며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법원노조 조합원들이 양승태 전 대법원장을 감옥에 가두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  2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앞에서 전국공무원노조 법원본부 조합원들이 '재판거래' 양승태 전 대법원장을 형사고발하며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법원노조 조합원들이 양승태 전 대법원장을 감옥에 가두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기사 보강 : 19일 오후 7시 19분]

검찰이 양승태 전 대법원장 재임 당시 벌어진 '재판 거래' 의혹과 관련해 본격적으로 수사에 착수했다. 검찰은 법원행정처에 관련자들의 컴퓨터 하드디스크 자체를 제출해달라고 요청할 예정이다.

검찰 관계자는 19일 취재진과 만나 "오늘 중 서면으로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과 관련해 대법원에 수사에 필요한 자료들을 제출해달라고 요청할 것"이라며 "저희는 다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검찰이 전날 이 사건을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신자용)로 재배당한 지 하루 만이다. 이 관계자는 "사실상 이 사건 주임검사는 윤석열 지검장"이라고 말했다. 특수1부로 수사가 넘어갔지만, 서울중앙지검 전체 차원에서 이 사건을 신중히 보고 있다는 의미다.

 

검찰은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의 컴퓨터를 비롯한 하드디스크 전체를 제출받을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하드디스크 자체를 봐야 한다. 현재까진 검찰이 다른 자료를 갖고 있는 게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앞서 법원은 내부 조사에서 관련자들의 동의를 받아 키워드 중심으로 PC를 검색한 뒤 문건 410개를 골라냈다. 문건엔 KTX 승무원 해고 사건, 전교조 시국선언 사건 등 박근혜 정부의 관심 사건 재판 결과를 "국정 운영의 동반자·파트너" "윈윈" 같은 표현을 사용해가며 사법부 숙원 사업과 맞바꾸려 한 정황이 담겨 있었다.

그러나 검찰은 문제가 된 하드디스크 전체를 받아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검찰 관계자는 "수사는 진실을 규명하는 작업이다. 대단히 중요한 사건이고 따라서 더욱 통상적인 사건의 전례와 수사방식을 따라야 한다는 게 저희 생각"이라고 말했다.
 

 2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앞에서 전국공무원노조 법원본부 조합원들이 '재판거래' 양승태 전 대법원장을 형사고발하며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2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앞에서 전국공무원노조 법원본부 조합원들이 '재판거래' 양승태 전 대법원장을 형사고발하며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또, "문건 410개는 재판거래를 염두하지 않고, 키워드 검색으로만 나온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자료가)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법원이 자료제출 요청을 거절할 경우, 압수수색에 대한 가능성도 내비쳤다. 검찰 관계자는 취재진이 압수수색 가능성을 묻자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고 하면서도 "필요한 방법을 선택하겠다"라고 답했다.

검찰은 필요한 자료가 확보된 뒤 고발인 조사 등을 계획하고 있다. 양승태 전 대법원장과 임 전 차장을 소환해 조사하는 것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중앙지검엔 양승태 사법농단과 관련해 시민단체 등이 고발한 사건만 20건이 접수돼있는 상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기자의 눈> ‘6.15정신’ 폄훼하는 통일부의 못된 관성

<기자의 눈> ‘6.15정신’ 폄훼하는 통일부의 못된 관성
조정훈 기자  |  whoony@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8.06.19  18:31:05
페이스북 트위터

‘6,15민족공동위원회 공동위원장단 회의’에 참석할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대표단 21명 중 5명의 방북이 19일 불허됐다. 이유는 불분명하다. “방북 목적, 행사 성격, 관계기관 협의,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는 말뿐이다.

통일부와 국정원, 법무부가 머리를 맞대고 앉아서 솎아내려는 명분을 찾지도 못하고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옛말만 되풀이했다.

묻고 싶다. 불허된 5명이 과연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이란 말인가. 통일부의 논리대로라면 이들은 남북관계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이들이 정말 악영향을 끼쳤을까.

불허된 이들 중에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남북 민간단체 활동을 위한 실무협의 차 여러 차례 방북한 이가 있다. 남북노동자의 교류협력을 위해 애쓴 이도 있다. 더 놀라운 점은 국가보훈처 산하 단체장도 포함됐다는 사실이다. 그는 독립운동가의 후손이다.

방북 승인된 15명은 남북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물로 통일부가 인정해줬다는 이야기가 될 뿐이다. 이는 정부가 자신들의 잣대로 민간을 재고 있다는 말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방북 신청을 낸 21명은 ‘6,15민족공동위원회 공동위원장단 회의’에 참석해 남북교류사업을 추진하고자 했다. 방문목적과 행사 성격이 개인마다 다르지 않다.

“교류협력의 목적에서 이루어지는 민간 차원의 북한 주민접촉 또는 방북은 대북제재 국면이라고 하더라도 유엔 안보리 결의 또는 국가안보에 반하지 않는 한 널리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난해 통일부 정책혁신위원회 의견서를 통일부는 보기 좋게 걷어찼다. 아니, 세금 들여 만든 의견서는 창고에 썩고 있다는 표현이 더 정확해 보인다.

통일부가 6.15남측위 대표단의 방북을 선별 불허한 이유는 따로 있어 보인다. 통일부는 지금까지 6.15남측위를 문재인 정부의 통일정책 방향 파트너로 인정하는 모습을 보인 적이 없다.

“6.15남측위가 너무 진보진영에 치우쳐 있다”, “제발 그 분들은 가만히 있으면 좋겠다”라는 인식이 통일부 당국자들에게 팽배했다. 남북 당국에 의해 무산된 ‘6.15공동행사’를 정부가 주도하면서 기존 ‘6.15남측위’의 역할을 무시했다.

통일부의 이러한 인식 그리고 방북 선별 불허는 과연 ‘6.15남측위’에게만 해당할까. 일부 시민사회는 이번 결과를 당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그들에게도 되묻고 싶다. 당신들이라고 방북 선별 불허 대상자가 되지 않으리라는 법이 있는가.

왜냐고? 통일부는 자세한 설명도 없이 자신들의 잣대만으로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이유를 들고 있기 때문이다.

‘6.15정신’은 그 누구의 소유물이 아니다. 분단 55년의 벽을 넘어 남북의 정상이 처음 만나 만든 ‘6.15공동선언’은 분단사회를 사는 우리 모두에게 금과옥조와 같은 것이다. “나라의 통일문제를 그 주인인 우리 민족끼리 서로 힘을 합쳐 자주적으로 해결하는” 역할은 정부와 민간이 따로 일 수 없다.

“사회, 문화, 체육, 보건, 환경 등 제반 분야의 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여 서로의 신뢰를 다져 나가”는 일에 정부와 민간이 구분될 수 없다.

이번 방북 선별 불허 상황을 보면서, 통일부가 ‘6.15정신’과 여전히 동떨어져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6.15정신’을 깡그리 무시하고 싶던 박근혜 정부가 내세운 ‘남북관계 영향’이라는 말을 문재인 정부 통일부에서 듣게 됐다.

통일부는 이들의 방북 불허 사유를 명확하게 제시해야 한다. 불허된 5명이 범법자인지, 국가전복세력인지를 명확히 밝혀라. 통일부의 잣대로 통일운동가들을 재단하는 것이 아니라면 통일부는 불허된 이들에게 분명하고 정확하게 그 이유를 밝혀줘야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3차 북중정상회담으로 전면적 교류협력 확대할 듯

  3차 북중정상회담으로 전면적 교류협력 확대할 듯
 
 
 
이창기 기자 
기사입력: 2018/06/20 [03:12]  최종편집: ⓒ 자주시보
 
 

 

▲ 2018년 6월 1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격적으로 3차북중정상회담을 위해 북경을 방문했다. 

 

19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참매 1호 전용기로 북경을 방문하여 같은 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3차 북중 정상회담을 열었다.

 

관영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시 주석과 김 위원장은 이날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북중 관계 발전과 한반도 정세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하고 북중 관계 발전을 더욱 공고히 유지하기로 의견을 같이했다.

그러면서 현재 한반도 평화 및 안정 추세가 발전하는 방향으로 함께 노력하고 지역 및 세계 평화와 안정 유지에 적극적인 공헌을 하기로 했다.

 

▲ 3차북중정상회담에 대한 중국 외교부 입장

 

 

♦ 시주석 발언 요지

 

시 주석은 이날 회담에서 "김 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 실현, 한반도의 영구적 평화 체제 건설이라는 공동 인식을 달성하고 성과를 거둔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높이 평가한다"면서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북한이) 북중 양당과 양국 간 전략적 소통을 고도로 중시함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불과 3개월 만에 김 위원장과 세 차례 회담을 통해 양당이 양국 관계 발전의 방향을 제시했고 북중 관계 개선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면서 "국제 지역 정세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북중 관계를 발전시키고 공고히 하려는 중국의 확고한 입장과 북한 인민에 대한 우호, 사회주의 북한에 대한 지지에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이 경제 건설로의 전환이라는 중대한 결정을 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북한 사회주의 발전 사업이 새로운 역사적 단계에 진입했다"면서 "우리는 북한의 경제 발전과 민생 개선을 지지하며 북한이 자국 국정에 부합하는 발전의 길로 가는 것을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김 위원장이 한반도 비핵화 실현, 한반도 평화 유지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했다"면서 "이번 북미 정상회담은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에 중요한 한 걸음을 내디뎠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북미 양측이 정상회담 성과를 잘 실천하고 유관국들이 힘을 합쳐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함께 추진하길 바란다"면서 "중국은 계속해서 건설적인 역할을 발휘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 김정은 위원장 발언 요지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시 주석을 다시 보게 돼 기쁘다"면서 "중국은 우리의 위대한 우호 이웃 국가로 시 주석은 존경하고 믿음직한 위대한 지도자로 시 주석과 중국 당, 정부, 인민이 나와 당, 정부, 인민에 보내준 우의와 지지에 감사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북한 노동당 전체와 인민을 잘 이끌어 시 주석과 달성한 공동 인식을 이행하고 북중 관계를 더 높은 단계로 끌어올리겠다"면서 "북미 정상회담이 국제사회의 기대대로 적극적인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그는 "북미 양측이 정상회담에서 달성한 공동 인식을 한 걸음씩 착실히 이행한다면 한반도 비핵화는 새로운 중대 국면을 열어나갈 수 있다"면서 "북은 중국 측이 한반도 비핵화 추진, 한반도 평화 및 안정 수호 방면에서 보여준 역할에 감사하고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는 중국 및 유관국들과 함께 영구적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을 추진하고 한반도의 영구적인 평화를 위해 함께 노력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중국 고위간부들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두손을 내밀어 정답게 반겼다.  

 

▲ 북의 간부들도 두손으로 시진핑 주석의 손을 잡으며 친근한 정을 표시했다.  격이 없이 친밀해진고 있는 현 북중관계의 단면을 보여주는 악수들이었다. 특히 박봉주 내각총리까지 이번 방중에 참석한 것을 보면 경제적 교류협력 사업도 심도있게 논의될 것으로 보였다.

 

 

♦ 분석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을 위한 양국 공조를 강화하고 북중혈맹관계를 앞으로 계속 더욱 더 높은 단계로 발전시켜가자는 의지를 다시 서로 확인한 3차북중정상회담으로 보인다.

 

북미정상회담의 성과를 시진핑 주석이 높이 평가를 해주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에 기여한 중국의 역할에 사의를 표함과 동시에 앞으로도 계속 함께 노력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했다. 

 

사실 북미정상회담이 난관에 봉착할 때마다 중국은 '북이 핵시험장까지 폐기하는 등 선제적 노력을 하고 있는데 미국이 리비아식이니 뭐니 하며 북을 압박하는 행위는 바른 처사가 아니다'라며 대화준비 단계에서부터 북의 건설적인 노력에 지지 입장을 밝혔다.

 

그리고 중국 수뇌부들이 이용하는 전용기를 두 대나 내주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북미정상회담에 나설 수 있게 도와주는 등 물심양면으로 지원해주었다. 

 

또한 북미정상회담이 끝난 당일 중국 외교부는 그 어떤 나라보다 먼저 '이제 북에 대한 제재 해제를 논의할 때'라며 국제사회에도 환기를 시키고 중국 스스로 대북제재를 대폭 풀어나가는 조치를 취해오고 있다.

끊어진 북중 항공로가 다시 열리고 있으며 중국 내 대북 여행사들이 활발하게 영업을 확대하고 있다. 오늘 kbs 9시 보도에서는 중국 내 여행사에서 40%나 대북 관광객 모집이 늘었다는 소식도 전했다. 단둥 세관도 북적거리고 있다고 한다. 적극적으로 북미정상회담 합의를 받아 안고 중국 국정에 즉각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이런 중국에 대해 사의를 표함과 동시에 계속적인 노력을 바란다는 마음을 표한 것이다. 

 

다음으로는 북중관계를 더 높은 단계로 발전시켜가기 위한 교류협력사업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을 것이다.

그 구체적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시진핑 주석이 "우리는 북한의 경제 발전과 민생 개선을 지지하며 북이 자국 국정에 부합하는 발전의 길로 가는 것을 지지한다"고 밝힌 대목에서 많은 암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시진핑 주석의 이 말만 봐도 북중관계가 얼마나 높은 단계로 접어들고 있는지 단적으로 느낄 수 있다.

 

대다수 남측의 제도권 전문가들은 물론이고 정세현,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처럼 식견이 높은 전문가까지도 북미관계가 정상화되면 북이 중국이나 베트남식 개혁개방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으며 심지어 북미, 북중, 중미 관계를 심도있게 연구하여 소설로 쓰고 있는 김진명 작가도 북미관계가 정상화되어 미국이 북에 무관세 무역협정만 맺어주면 북이 폭발적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며 통일비용도 걱정없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는데 다들 헛다리를 짚고 있는 것이다.

 

북은 하늘이 두 쪽나도 자본주의식 개혁개방에는 절대로 나서지 않을 것이다. 중국이 조금이라도 북을 그런 식으로 유도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경제교류에 임한다면 북은 단호히 배격했을 것이다. 

한 때 중국의 일부세력들이 미국과 손잡고 장성택 일파를 매수하여 북의 체제를 봉괴시키고 영향력을 행사해보려고 시도했다가 북으로부터 서릿발같은 호된 타격을 받았다. 북이 다 공개하고 있지는 않지만 북러 군사과학기술교류로 푸틴대통령이 지난 3월 소형원자로를 장착한 핵추진 순항미사일 등 6가지 어마무시한 차세대 슈퍼무기를 개발했다는 것이 본지의 판단이다. 

그것이 아니더라도 무기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이라면 2016년 북이 원형공산오차 1미터급의 초정밀타격이 가능한 200km 사거리 300미리 방사포를 단번에 개발 시험발사에 성공했다는 것만으로도 북이 중국 러시아보다 훨씬 뛰어난 정밀타격 인공지능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아차릴 수 있을 것이다.

 

시진핑 주석도 이제는 그것을 잘 알고 있으며 미국도 그런 북의 힘에 밀려 대화에 나서고 있음을 잘 알고 있다. 따라서 이번 북미정상의 합의는 쉽게 깨지지 않을 것이란 것도 모르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시진핑 주석은 북러경제교류협력 사업을 대폭 확대하는 데 있어 "북이 자국 국정에 부합하는 발전의 길로 가는 것을 지지한다"는 원칙 아래 추진할 것임을 밝힌 것이다. 

특히 시진핑 주석은 "북이 경제 건설로의 전환이라는 중대한 결정을 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북한 사회주의 발전 사업이 새로운 역사적 단계에 진입했다"고 분석 평가하고 있는데 이는 북이 사회주의 이상사회 완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는 평가라고 봐야 한다.

 

이미 북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절 말기에 사회주의 이상사회 문어구에 들어섰다고 평가했었다. 그 이후에도 북은 몰라보게 발전했다.

사회주의 무상교육체계를 1년 더 늘려 확대하였으며 학교 등 시설을 대대적으로 개건, 신축하였고 모든 교육기관과 도서관을 광통신망으로 연결하여 교육에 일대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 

무상의료혜택의 질도 더욱 비약적으로 늘려, 아동병원, 구강병원, 여성전문병원 등 새로운 시설을 갖춘 병원들이 우후죽순 일어나고 있으며 이런 병원들이 각 지방과 부문별로 계속 확대되고 있다.

사회주의 이상적인 일터를 만들기 위해 대표적인 여러 공장들에 기숙사, 휴식장 등을 개건, 신축하고 있는데 공장마다 대형 수형장에 온갖 편의봉사시설들이 들어서 공장인지 호텔, 호화유원지인 모를 지경이다. 물론 현재 전체 모든 공장이 다 그렇지는 않을 것이지만 앞으로 경제발전에 집중하면 이런 모범 전형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것이다.

뿐만 아니라 마식령 스키장은 규모나 시설이 세계적 수준임이 직접 가본 우리 선수들에 의해 증명되었고 온갖 놀이공원, 문수물놀이장, 귀족들이나 할 수 있었던 승마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미림승마장, 동물원, 식물원, 항공구락부 등이 새로 개건 되어 휴식일날 북 주민들이 마음껏 문화생활을 즐기고 있다. 

이제 원산해안 관광단지까지 만들어지면 한층 수준 높은 문화를 향유하게 될 것이다. 

 

북이 지금 시작한 경제발전 집중전략이 빛을 발하기 시작하면 이런 모범 단위들이 전국으로 확산되어 명실상부한 사회주의 이상사회 완성을 멀지 않은 날에 선포할 가능성이 높다. 

 

시진핑 주석은 바로 그 이상사회 건설에 도움이 되는 방향에서 북중교류협력사업을 대폭 확대할 뜻을 피력한 것이며 이번 3차 북중정상회담에 그 구체적인 내용을 논의했을 것이다. 그래서 박봉주 내각총리까지 이번 중국방문에 참여했던 것이 아닌가 싶다. 

 

물론 북은 국가 경제를 철저히 사회주의를 강화하는 방향에서 발전시켜갈 것이 확실하지만 특구만은 외국자본의 투자를 적극 유치할 것이다. 이 특구에 누가 먼저 투자해서 선점하느냐에 따라 향후 동북아 경제에서 주도권을 잡는데 승패가 갈릴 것이다. 

 

현재는 중국이 적극 나서고 있다. 이런 중국의 행보는 주변국을 자극할 것이 자명하다. 북은 지정학적으로 너무나 중요한 곳이다. 동북아의 관문이다.

미국이 북과 공존을 결정한 이상 경제적 이득을 통해 미국 자체의 번영을 꾀하기 위해 이미 북과 대규모 특구 개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을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그 어떤 지도자보다 극찬하고 예우를 다해 대한 이유가 한반도 비핵화 때문만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미국의 자본이 들어가면 북 특구의 천지개벽은 시간문제다. 다만 미국은 여전히 북에 투자해서 돈만 벌겠다는 것이 아니라 북에 자본주의를 침투시켜 내부 붕괴도 꾀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북은 사회주의 이상사회 건설에 동의하고 중국 스스로도 그런 사회주의를 지향하기로 한 중국과 먼저 경제교류협력 사업을 추진하려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 놀라운 김정은 위원장의 외교력

 

어쨌든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외교를 보고 있노라면 할 말을 잃게 된다.

축구로 치면 호날두와 메시를 합쳐놓은 것 같다. 강력한 힘으로 밀어붙일 때는 무섭게 밀어붙이면서도 섬세하고 치밀하게 골문을 향해 지혜롭게 육박해들어가는 실력이 추종불허이다. 

 

기존의 관행이나 격식은 안중에도 없다. 중국을 두 달 반만에 3번이나 방문을 했다. 사상 유례없는 외교행보이다. 어디 그뿐인가. 그 시기 남북정상회담 두 차례에 북미정상회담까지 동시에 진행했다. 모두 다 처음 만나는 정상들이고 역사적 의미를 지니는 정상회담이다. 그런데 이 모든 정상회담을 맞물리게 하면서 상승효과를 자아내며 폭발적인 속도로 한반도 정세와 세계정세를 완전히 뒤바꾸어 놓았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단 3개월이 되지 않은 짧은 기간에 전쟁 일보 직전이었던 한반도정세를 평화번영과 평화통일의 기대가 부풀어 오르는 정세로 바꾸어 놓았고 세계인들에게 호전적인 지도자에서 평화애호적인 지도자로, 무서운 독재자에서 시민들을 따뜻하게 대하는 친근한 지도자로 인상을 확 바꾸어놓았다. 

 

끝까지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독재자라고 비난하는 사람들은 이상하게 자국민들에게 왕따를 당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변호사 사무실 개업을 신청했고 아베도 그럴 조짐이 보이고 있다.

 

세상에 이런 외교전도 있었던가 싶다.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일어날 수도 있는가! 꿈인가 생시인가! 차마 믿기지 않아서 글을 쓰는 손등을 꼬집어보지 않을 수 없다. 

아픈 것을 보면 분명한 사실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북, 무토양재배태양열옥상온실 인기

북, 무토양재배태양열옥상온실 인기
 
 
 
박한균 기자 
기사입력: 2018/06/18 [14:55]  최종편집: ⓒ 자주시보
 
 
▲ 북 매체는 "국가과학원 자연에네르기연구소에서 연구 개발하여 류원신발공장에 도입한 무토양재배태양열옥상온실은 농작물을 자래우는데 필수적인 토양을 전혀 쓰지 않으면서도 자연에네르기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실리 있는 온실"이라고 소개했다.     ©

 

북 매체 ‘조선의 오늘’은 “최근 공화국에서 무토양재배태양열옥상온실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고 소개했다.

 

인터넷 소식에 따르면 매체는 “국가과학원 자연에네르기연구소에서 연구 개발하여 류원신발공장에 도입한 무토양재배태양열옥상온실은 농작물을 자래우는데 필수적인 토양을 전혀 쓰지 않으면서도 자연에네르기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실리 있는 온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온실은 공장의 종업원식당에서 나오는 폐설물을 지하메탄가스탱크에 넣어 가스와 발효액을 생산한 다음 가스 등으로 온실 안에 탄산가스를 보장하고 겨울에는 가스열로 온도를 보장하게 되어 있으며 발효액은 유기영양액으로 쓰게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또 “온실은 태양빛에네르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농작물을 키우는데 필요한 물은 빗물을 받아 자화시켜 유기영양액과 함께 방울식 관수를 하게 되어 있다”며 “한마디로 건물의 옥상과 자연에네르기를 이용하여 운영되는 경제적으로 가치 있고 실리 있는 온실”이라고 매체는 설명했다.

 

매체는 “온실에서는 토양대신 질석부품제와 벼겨를 이용하여 남새를 키우고 있다”며 “우선 자연에네르기를 이용하여 온도를 보장하는 것으로 하여 한겨울에도 얼마든지 남새를 자래울 수 있어 좋고 생태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일”이 없는게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도시구역에 자리잡고 있는 건물에서 옥상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신선한 남새를 사철 생산하는 것은 참으로 자랑할 만 하다”며 “국가과학원 자연에네르기연구소에서 내놓은 무토양재배태양열옥상온실은 얼마 전에 진행된 제33차 전국과학기술축전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받고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다”고 매체는 전했다.

 

지금 “류원신발공장에서는 이 온실의 덕을 크게 보고 있다”며 “현재 이 온실에서는 토마토와 고추, 푸초, 배추, 쑥갓을 심어 자래우고 있다”고 매체는 말했다.

 
광고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제주도에 온 예멘 난민 500명, 무슬림 혐오에 내몰리다

제주도에 온 예멘 난민 500명, 무슬림 혐오에 내몰리다

등록 :2018-06-18 16:57수정 :2018-06-18 22:11

 

예멘 난민들 말레이 거쳐 대규모 제주 입국 두 달째
대부분 반군의 강제 징집 피해 국외 도피한 청년들
SNS 등에 “테러리스트”“강간범” 무슬림 혐오 봇물
인권단체들 “정부가 침묵하며 오해 부추긴다” 비판
“난민은 또다른 우리“ 도움 호소 청원도 등장해
예멘 출신 난민들의 대규모 제주 유입이 두 달째를 맞으면서 일각에서 무슬림 혐오를 바탕으로 예멘 난민들을 추방하자는 의견이 거센 호응을 얻고 있어 파장이 일고 있다. 예멘 난민 신청을 계기로 올라온 난민신청 허가를 폐지하자는 청와대 국민청원은 올라온 지 5일만인 18일 오후 4시 현재 22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었다.

 

지난 17일에는 ‘제주도 난민 수용 거부’를 촉구하는 비슷한 내용의 또 다른 청와대 국민청원이 등장했다가 ‘허위 사실과 명예 훼손’을 이유로 삭제되는 일도 있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겨레21>에 “허위 사실이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이 포함된 청원 등을 삭제할 수 있다는 운영 규정에 따라 청원을 삭제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삭제 사실을 두고도 청와대 등을 향한 거센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4년차 맞은 예멘 내전과 제주도 입국 과정

 

우선 예멘 난민들은 어쩌다 제주도로 입국하게 됐을까. 2015년, 예멘에서는 수니파 정부군과 시아파 후티 반군 사이의 내전이 발발했다. 유엔난민기구에 의하면, 2017년 11월 기준 예멘을 떠난 난민은 28만여명이다. 지난 4월 유엔은, 4년차를 맞은 예멘 내전을 올해 최대의 인도주의 위기 상황이라고 규정했다. 예멘 현지의 실질적으로 유일한 의료기관이라는 국제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지난 4월 “2년 동안 무수히 많은 환자들을 치료했지만 환자 수가 줄지 않는다”고 현지 상황을 전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예멘을 떠난 난민 가운데 일부는 먼저 말레이시아로 가서 체류하기 시작했다. 말레이시아에 비자없는 ‘무사증 입국’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말레이시아에서 체류 기간 연장이 가로막히자, 다시 무사증 입국이 가능한 제주도로 떠밀려왔다. 지난 6월1일 외교부가 예멘을 무비자 입국 가능국에서 제외하기 전까지 예멘 국적자들은 제주도에 무비자로 30일까지 머물 수 있었다. 게다가 지난해 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와 제주 간 저가 직항 노선이 생긴 것도 이들의 제주도 입국을 도왔다. 이 때문에 올들어 예멘인 561명이 제주도에 입국했고, 이 가운데 519명이 난민 신청을 했다.

 

 

추방 청원에서 드러나는 무슬림에 대한 혐오

 

하지만 이 사실이 서서히 언론 보도 등을 통해서 공개되면서, 무슬림 혐오를 담은 난민 추방 여론이 거세게 일기 시작했다. 난민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은 우선 무슬림에 대한 혐오성 반감에 더해 이들이 저임금 일자리를 빼앗으러 온 ’가짜 난민’이라는 비난이 대부분이다. 트위터와 페이스북에는 “테러하는 사람들을 받아줘선 안 된다”는 글과 난민 유입이 현 정부의 인권주의 정책 탓이라며 “이슬람이 들어와 여러분의 아들을 죽이고 딸과 며느리를 강간할 것”이라는 글이 돌고 있다. 전형적인 무슬림 혐오다.

 

게다가 기독교 모임을 중심으로 “이슬람이 퍼지지 않도록 절대 육지에 발 못 붙이게 해야 한다”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예멘 사람들은 난민이 아니라 극우 이슬람일뿐”이라며 난민 자격과 종교를 연결짓는 의견들도 나왔다.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는 “반대 청원 글을 삭제한 관리자를 해고하라”, “근거 없는 사실이라고 삭제한 청와대 관계자는 무슬림이냐”라는 내용을 담은 글들도 등장했다. “(북미, 유럽 국가들과 달리) 대한민국은 난민 문제에 책임이 없다”는 내용도 올라와 있다. 제주도 누리집 도민소통공간 자유게시판 등에도 “이슬람은 살인을 밥먹듯 하는 집단”이라며 무슬림 혐오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의견이 등장했다.

 

난민 신청자들이 대부분 10대 후반에서 20대 후반 사이의 젊은 남성이라는 점을 들어 “같은 문화권도 아닌 한국에 굳이 온 건 돈을 벌기 위해서”라며 이들이 이른바 ‘가짜 난민’이라고 규정하는 글들도 있다. 특히 난민 신청자들은 체류 시작 뒤 최초 6개월 동안 일할 수 없는 기존 규정과 다르게, 예멘 출신인들에게만 특별취업허가를 내준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예멘난민 특별취업허가, 일손 부족한 현장서 채용 문의

 

정부가 이들에게 특별취업허가를 내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는 이들의 인원이 워낙 많기 때문이다. 구호물품 부족은 물론이고 서류 접수에만도 한참 걸리는 탓에 심사 과정은 더 길어질 수도 있다.

 

게다가 제주출입국·외국인청은 제주 지역 일간지 <제민일보>에 “현재 일손이 부족한 현장에서 이들을 채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문의가 들어온다”며 “도내 인력부족 업종에 취업을 특별히 허가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당장 연명할 식료품이 모자란 상황에서 일부 기관과 개인의 후원만으로는 이들이 낯선 땅에서 버티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 취업 허가가 난 일자리들은 제주도 내 일손 부족한 양식장, 어선, 어업, 농업 분야다. 아울러 예멘 난민 대부분이 청년인 것은 징집을 피하기 위해 말레이시아로 대거 빠져나간 청년들이 한 번에 입국했기 때문이다. 현재 제주 체류 난민들은 ‘징집을 피해 가족 중 먼저 빠져나왔다’고 증언하고 있다. (▶관련기사: "제주 온 예멘 난민 560명…‘수용이냐 거부냐’ 물음표를 던지다")

 

 

“정부가 침묵하면서 난민에 대한 오해를 부추긴다”

 

예멘 출신 난민들을 돕고 있는 인권 단체들은 법무부가 이들을 두고 ’가짜 난민’이라고 왜곡된 사실을 퍼뜨리거나 ’테러리스트’ 무슬림 혐오 표현을 쏟아내는 여론과 언론 보도 등에 대응하지 않고 침묵함으로써 이런 오해가 확산하고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1일 낸 위원장 성명에서 “정부가 구체적인 방안 없이 방치하고 있다”며 “사람답게 살기 위한 희망으로 본국을 떠날 수밖에 없는 예멘 난민 신청자의 절박한 처지에 대한 공감과 수용은 선택이 아닌 국제 사회와의 약속”이라며 정부에 신속한 심사와 심사기간 동안의 주거 지원 등 범정부적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공익법센터 어필, 제주지역 인권단체 연석회의, 이주노동자 차별철폐와 인권 노동권 실현을 위한 공동행동, 이주인권연대 등은 지난 9일 낸 공동성명에서 “객관적 정황 검토와 근본적 대안 제시 없이 현 시점에서 예멘 국적에 대한 무사증 허가를 제외시킨 법무부의 행보는 세계인권선언과 난민협약의 가치를 명백히 위반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난민인권센터는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난민제도 운영” 정부 규탄성명 서명 운동을 시작했다.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 “불법난민, 가짜난민 등 언론의 혐오 발언 규제” 등이 성명의 주된 요구사항이다.

 

시민들 중에도 예멘 난민들을 정부가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지난 16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예멘 난민들이 한국전쟁 후 가난한 대한민국을 일으켜 세운, 국적만 다른 광부와 간호사라면?”이라는 제목의 글을 쓴 청원인은 “1950년대 한국전쟁 후 우리의 황폐한 모습이나 2017년 예멘의 상황을 쓴 기사가 별반 다를 게 없다”며 “난민은 또 다른 우리”라며 지지를 호소했다.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에도 청와대 청원이 20만명을 넘긴 것을 두고 “타인의 고통을 철저하게 외면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이렇게 많다니 충격적이다”, “너무 슬픈 뉴스”라며 난민 추방을 비판하는 의견들도 보였다.

 

제주 내 시민단체들과 도민들도 여전히 이들을 돕고 있다. ‘제주의 예멘 난민들(Yemen Refugees in Jeju)’ 페이스북 그룹에는 시민들이 이들 위해 제공하는 구호 물품 지급처와 무상 의료서비스 시간 등의 정보가 꾸준히 올라온다. 취업자들에게 한국인 고용주들에게 보여주는 데 활용하라며 “저는 돼지고기를 먹지 않습니다. 이해해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쓴 이미지 파일이 올라오기도 한다. 이들에게 구호 물품을 전달하던 제주 지역 활동가들은 문화 차이가 있는 이들이 취업한 곳에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도 시작했다.

 

외국에 거주하는 예멘인들의 메시지도 있다. 이들을 돕고 있는 한국인들에게 감사하다는 내용과 제주 체류 중인 예멘인들에게 조언을 하는 내용 등이다. 한국 내 부정적인 여론을 알고 있는 한 예멘인은 “다른 문화권에 있는 만큼 취업한 이들은 기회를 소중하게 알고 공중도덕과 법을 지켜달라”는 의견도 올렸다. 현지의 한 예멘인은 <코리아 익스포제>와의 인터뷰에서 “우리에게 잘해준 한국인들을 잊지 못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유엔난민기구는 18일 입장을 내고 “유엔난민기구는 예멘인은 물론, 한국에 도착하는 모든 난민 및 난민신청자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정부를 조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 아울러 지금 현재, 폭력, 질서의 부재, 대규모 실향, 기근 등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에 처한 예멘으로 그 어떤 예멘인도 강제송환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유엔난민기구의 단호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박수진 기자 sujean.park@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rights/849580.html?_fr=mt1#csidx87781aa687a25b59ed5e41d7aac82d3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체육회담, 2018 아시안게임 공동입장, 단일팀 구성 등 합의

남북, ‘7.4계기’ 통일농구경기 평양서 개최체육회담, 2018 아시안게임 공동입장, 단일팀 구성 등 합의 (전문)
조정훈 기자  |  whoony@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8.06.18  19:55:24
페이스북 트위터
   
▲ 남북은 18일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 집에서 남북체육회담을 가졌다. 7월 4일 평양 남북통일농구경기와 아시안게임 공동입장 등에 합의했다. 사진은 남북 회담 대표들이 오전 전체회의에서 악수하는 장면. [사진제공-문체부]

남북이 오는 7월 4일 평양에서 남북통일농구경기를 열기로 했다. ‘7.4성명’ 발표 46년을 기념해서다. 또한, 인도네시아 아시안게임 공동입장, 일부 종목 단일팀 구성에 합의했다.

남북은 18일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 집에서 남북체육회담을 가졌다. 이번 체육회담은 지난 1일 열린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남북고위급회담에 따른 것이다.

남북은 공동보도문에서 “7월 4일을 계기로 평양에서 남북통일농구경기를 개최하기로 하고 가을에는 서울에서 개최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평양 경기에 남측 남녀 선수단을 북측에 파견하며, 경기는 남북선수 혼합경기와 친선경기 형식으로 진행된다. 규모는 선수단과 심판, 지원인력 등 약 100명이 될 예정이다. 응원단은 논의되지 않았다.

남북통일농구경기는 1999년 9월과 12월 평양과 서울에서 민간차원으로 열린 ‘현대 통일농구 교환경기’, 2003년 10월 평양 정주영체육관 개관 기념 친선경기 이후 15년 만이다.

남측 수석대표인 전충렬 대한체육회 사무총장은 이날 오후 서울정부청사 별관에서 회담결과 브리핑을 열고, “역사적으로 남북공동으로 만난게 처음은 7.4공동성명이다. 그런 의미가 있다”며 “구체적인 날짜는 7월 3일부터 6일까지로 합의를 봤다”고 설명했다.

   
▲ 이날 남북체육회담에 남측에서는 전충렬 대한체육회 사무총장을 수석대표로 김석규 통일부 과장, 이해돈 문화체육관광부 과장이 대표로 나섰다. 북측은 원길우 체육성 부상을 단장으로, 박천종 체육성 국장, 홍시건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부장이 마주했다. [사진제공-문체부]

이와 함께, 오는 8월 열리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개.폐회식에 ‘코리아(KOREA)’라는 명칭(약어, COR)으로 아리랑에 맞춰 단일기(한반도기)를 들고 공동입장한다. 국제경기에서의 남북공동입장은 2000년 시드니올림픽 이후 이번이 12번째이다.

일부 종목은 단일팀을 구성하며,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를 비롯한 종목별 국제 체육기구들과 협의하기로 했다.

또한, 2018 장애인 아시아경기대회 등 국제경기에 공동으로 진출하고, 남북이 개최하는 국제경기에도 참가하고, 종목별 합동훈련 및 경기 등 남북 사이의 체육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전충렬 수석대표는 “(단일팀 구성 종목은) 구체화하지 못하고 협회와 종목 단체와 계속 논의하기로 했다”며 “모든 종목을 놔두고 진도를 나가봐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은 “남북통일농구경기, 2018년 아시아경기대회 공동 진출을 비롯한 체육 분야에서 제기되는 실무적 문제들을 문서교환 방식으로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18년 아시아경기대회 공동 진출 등 체육교류 활성화를 통해 남북관계 개선과 민족 동질성 회복 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해 나가겠다”고 알렸다.

   
▲ 남측 수석대표 전충렬 대한체육회 사무총장과 북측 단장 원길우 체육성 부상이 악수하고 있다. [사진제공-문체부]

이날 남북체육회담에 남측에서는 전충렬 대한체육회 사무총장을 수석대표로 김석규 통일부 과장, 이해돈 문화체육관광부 과장이 대표로 나섰다.

북측은 원길우 체육성 부상을 단장으로, 박천종 체육성 국장, 홍시건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부장이 마주했다.

한편, 남북은 오는 22일 금강산에서 남북 이산가족상봉을 비롯한 인도적 문제 협의를 위한 남북적십자회담을 연다. 그리고 오는 19일과 20일 이틀에 걸쳐 개성공단 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설치를 위한 준비작업에 들어간다.

(추가, 20:55)

[전문] 남북체육회담 공동보도문

남과 북은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고위급회담에서 합의한 데 따라 2018년 6월 18일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남북체육회담을 진행하고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1. 남과 북은 7월 4일을 계기로 평양에서 남북통일농구경기를 개최하기로 하고 가을에는 서울에서 개최하기로 하였다. 이번 평양 경기에 남측은 남녀선수단을 북측에 파견하며 경기는 남북선수 혼합경기와 친선경기 형식으로 진행하기로 하였다.

2. 남과 북은 2018년 아시아경기대회 개폐회식에 공동으로 입장하며, 명칭은 코리아(KOREA), 약어 표기는 COR로, 깃발은 한반도기로, 노래는 아리랑으로 하기로 하였으며, 일부 종목들에서 단일팀을 구성하여 참가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남과 북은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를 비롯한 종목별 국제 체육기구들과 제기되는 문제들을 협의해 나가기로 하였다. 

3. 남과 북은 2018년 장애인 아시아경기대회를 비롯한 국제경기들에 공동으로 진출하고 남과 북이 개최하는 국제경기들에 참가하며, 종목별 합동훈련 및 경기 등 남북 사이의 체육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4. 남과 북은 남북통일농구경기, 2018년 아시아경기대회 공동 진출을 비롯한 체육 분야에서 제기되는 실무적 문제들을 문서교환 방식으로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하였다.

2018년 6월 18일
판문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고려인삼의 힘, 빙하기 견디며 DNA 2배 된 덕분

오철우 2018. 06. 18
조회수 155 추천수 0
 
유전체로 본 인삼 생태와 기원
 
음지 성장하며 월동…생육 독특
약리작용 물질 만들어 뿌리 저장
 
36억 염기쌍에 유전자 5만9천종
고려인삼, 원산종보다 게놈 2배
 
빙하기 때 ‘종 합성’으로 불어나
덕분에 추위 강한 생명력 확보
 
100만년 전 북미대륙으로 퍼져
‘우장춘의 종 합성론’ 새 주목

 

 
i1.jpg» 고려인삼연합회 제공, http://www.ekga.org
 
인삼을 인삼답게 하는 성분인 ‘인삼 사포닌’의 효능은 어디에서 나오는 걸까? 각지의 인삼속 식물들에서, 고려인삼은 어떤 진화의 계보를 걸어왔을까? 30억 염기쌍의 인간 유전체보다 큰 규모인 고려인삼의 유전체(게놈) 염기서열이 최근 해독됐다. 고려인삼과 다른 인삼속 식물들의 유전체를 비교한 분석결과는 고려인삼 유전자의 특징과 역사를 얼핏 보여준다.
 
“인삼은 월동기엔 잎과 줄기를 모두 없애고 뿌리만으로 생존하다가 봄엔 다시 제 나이에 따라 다르게 줄기와 잎을 내며 성장하죠. 2년생이 1년생과 다르고 3년생이 또 다르고. 인삼 사포닌의 성분도 이전에 만들어둔 것을 바탕으로 새롭게 만들어내죠. 100년근이 있다면 그 성분은 100년 세월이 만든 겁니다. 인삼은 한 세대 안에 독특한 ‘진화’를 보여주는 식물인 거죠.” 오랜 인삼 연구자인 양덕춘 경희대 교수(한방재료가공학과)가 말하는 ‘진화’는 해마다 다른 변화를 축적해가는 인삼의 고유한 생육을 뜻하는 듯하다.
 
수천 년 동안 약용 식물로 쓰여온 인삼의 유전체(게놈) 염기서열이 거의 모두 해독되어 발표됐다. 양태진 서울대 농생명과학대 교수와 김남훈 박사, 인도 출신 무루카르틱 자야코디 박사 등 연구진 44명은 고려인삼의 유전체를 모두 해독하고서 다른 인삼속 식물들의 유전체와 비교해,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식물 생명공학 저널' 등에 최근 발표했다. 덕분에 인삼의 생태와 기원, 이동의 역사가 유전체 분석을 통해 새롭게 조명됐다.
 
i2.jpg» 실선 원은 인삼속의 현재 분포, 점선 원은 과거에 분포했으리라 추정되는 지역. 600만~700만 년 전쯤에 2배체 인삼이, 그리고 100만 년 전쯤에 4배체 인삼이 북미대륙으로 건너갔을 것으로 유전체 비교분석에서 나타났다.
 
220만년전 ‘종 합성’ 유전체 2배로
 
인삼 유전체 해독은 10년 걸린 작업이었다고 한다. 생육이 길고 까다로워 분석에 쓸 안정적인 식물체를 선별하기 어려운 데다 유전체 규모도 상당히 크기 때문이다. 이번 분석으로 고려인삼의 유전체인 36억 염기쌍과 5만9352개 유전자가 해독했다. 연구진은 이어 인삼속의 다른 식물들과 유전체를 비교해, 고려인삼의 유전자 특징과 진화 계통을 추적했다. 36억 염기쌍을 염색체별로 모두 다 배열하기까지는 작업이 좀 더 필요하지만, 현재 수준에서도 유전체 분석 결과는 고려인삼에 관해 잘 몰랐던 여러 사실을 보여주었다.
 
i3.jpg» 인삼 연생에 따른 변화. 왼쪽부터 1년근, 2년근, 3년근, 4년근, 5년근 6년근. 고려인삼연합회 제공.
 
무엇보다 고려인삼과 미국인삼(화기삼)이 중국 운남성, 베트남 북부, 히말라야에 사는 인삼속 식물들보다 훨씬 나중에 생겨나 진화했을 가능성이 유전체 구조에서 확인됐다. 고려인삼과 화기삼은 염색체를 12쌍(2배체) 지닌 히말라야 등지의 인삼속 식물들과 달리 그 2배인 24쌍(4배체) 염색체를 지니는데, 이런 특징이 이번 유전체 분석에서 자세히 다뤄졌다.
 
“식물에선 ‘종 합성’이 종종 일어납니다. 수정이 불가능한 다른 종간에도 가까운 종끼리 합해져 새로운 종이 생겨나죠. 동물과는 다른 식물의 독특한 진화 동력이지요. 종 합성이 일어나면 두 식물 종의 염색체가 통째로 합쳐져 염색체는 배수가 됩니다. 이걸 배수체화라고 합니다.” 양태진 교수는 “고려인삼이 바로 그런 경우”라고 설명했다. 당연히 자연 산삼도 염색체 24쌍인 4배체다.
 
고려인삼이 4배체인 것은 어떤 의미일까? 덕분에 고려인삼은 더 많고 다양한 유전자 자원을 얻었을 것으로 연구진은 해석했다. 고산지대의 서늘한 음지에서 자라지만 추위엔 약한 히말라야 등지의 2배체 인삼속 식물과 달리, 4배체는 추위를 견디게 하는 월동 유전자들도 갖추어 한반도와 동북아 등지에 퍼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언제 이런 4배체 인삼이 출현했을까? 양태진 교수는 “유전체들을 서로 비교하며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4배체 인삼은 대략 220만 년 전에 등장했을 것으로 보이는데, 당시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되던 시기에 4배체가 출현하면서 새로운 환경적응력을 갖추어 한반도를 비롯해 동북아에 살아남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북미대륙에 사는 미국인삼(화기삼)도 4배체 인삼인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대륙엔 현재 2배체와 4배체의 인삼속 식물이 모두 산다. 연구진은 두 차례에 걸쳐 인삼속 식물의 대륙이동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유전체를 비교해보면, 4배체 인삼이 출현하기 훨씬 전인 600만~700만 년 전쯤에 본래의 2배체 인삼속 식물이 먼저 북미대륙으로 건너가 ‘삼엽삼’으로 정착했고, 동북아에서 출현한 4배체는 100만 년 전쯤 건너가 ‘화기삼’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는 것이다.
 
‘진세노사이드’ 생합성 원리에 주목
 
국내에선 인삼 연구가 일찍 시작됐다. 1978년 한국인삼연초연구소가 설립돼 인삼 연구의 중심이 됐다. 1998년엔 인삼 게놈 프로젝트(5개년)가 시행되면서 유전자 연구가 본격화했다. 당시 인삼 게놈 프로젝트를 이끈 양덕춘 경희대 교수는 “갖가지 환경과 품종에 따라 발현되는 유전자 염기서열 2만여 점을 수집해 이후의 여러 연구에 기초가 됐다”고 말했다. 이번에 공개된 인삼 유전체 데이터베이스는 인삼유전학에 새로운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i4.jpg» 인삼의 부위별 명칭. 고려인삼연합회 제공.
 
인삼유전학 연구는 인삼 고유의 약리물질인 인삼 사포닌, 즉 진세노사이드를 중심으로 이뤄져 왔다. 진세노사이드가 어떻게 합성되며, 인삼 부위별로 함량과 성분이 어떻게, 왜 다른지, 새로운 성분을 합성하는 방법을 어떻게 찾을지 등의 물음이 연구 초점이 됐다. 진세노사이드의 생합성 과정을 연구해온 김유진 경희대 연구교수(생명과학대학)는 “지금까지 인삼속 식물들에서 최소 150종의 진세노사이드가 발굴됐고 고려인삼에선 홍삼을 포함해 40여 종이 알려졌다”면서 “진세노사이드의 생합성 과정이 아직 다 밝혀지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이번 유전체 분석에서는 진세노사이드가 잎에서 합성돼 뿌리로 이동해 저장된다는 점이 다시 확인됐다. 진세노사이드 합성에 관여하는 후보 유전자 100여 종을 찾아냈으며, 그것이 발현되는 곳을 확인해보니 주로 잎 부위라는 것이 확인됐다. 진세노사이드는 인삼이 어릴 적엔 잎에 더 많다가 나이가 들수록 뿌리에 많이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공처리를 통해 새로운 성분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양덕춘 교수는 “열 처리, 발효 처리, 산 처리를 하면 진세노사이드의 화학구조를 조금씩 바꿔 새 성분을 만들 수 있어, 홍삼 가공 같은 분야의 연구도 활발하다”고 전했다.
 
인삼 연구하다 만난 ‘우장춘 이론’
 
흥미로운 점은 인삼 유전체 연구자들이 10년 동안 유전체를 들여다보면서 뜻밖에 80여 년 전 육종학자 우장춘 박사(1898~1959)가 발표한 ‘종 합성’ 학설을 유전체 수준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서울대와 농촌진흥청 연구진은 같은 배추속 다른 종끼리 합성해 새로운 종이 자연에서 만들어진다는 ‘우장춘의 종 합성’ 이론(‘우의 삼각형’ 이론)의 사례를 유전체 분석에서 확인해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최근 발표했다. 즉 ‘배추 + 양배추 = 유채’, ‘양배추 + 흑겨자 = 에티오피아 겨자’, ‘흑겨자 + 배추 = 갓’처럼 2배체 식물들이 합해질 때 4배체 식물인 유채, 에티오피아 겨자, 갓이 생겨난다는 것을 우장춘 박사가 염색체 관찰과 육종으로 입증했는데, 유전체 연구자들은 염기서열 비교 분석으로 이를 입증했다.
 
종 합성 이론에 의하면, 고려인삼의 출현은 2배체 식물 2종이 우연히 종간교잡해 4배체를 만들어내고 그것이 살아남음으로써 가능했던 식물 진화의 사건으로 해석된다. 양태진 교수는 “적어도 식물 진화에선 종의 분화 외에 종의 합성도 중요한 요인임이 유전체 비교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며 “식물의 진화와 육종학자로서 우장춘의 업적이 다시 조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철우 선임기자 cheolwoo@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文대통령, '사형제 모라토리엄' 선언한다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8/06/19 04:57
  • 수정일
    2018/06/19 04:57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文, 사상 첫 '사형제 폐지' 역대급 기록 남길까?
2018.06.18 16:08:54
 

 

 

 

사형제도는 대한민국 땅에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될까? 국가인권위원회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12월 '사형제 모라토리엄(중단)' 선언을 추진한다. 이어 사형제도를 공식적으로 폐지하는 절차를 밟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당시 TV 토론회에서 홍준표 후보가 '사형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자 "저는 사형제도를 반대한다"고 답한 바 있다. 대선 당시 사형제 폐지 자체를 공약으로 내놓진 않았지만 '사형제 폐지를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다소 전향적인 약속을 내놓았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유인태 전 의원 등이 발의한 사형제 폐지 법안에 서명자로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만약 문재인 정부에서 실제 사형제 폐지가 실현된다면 근대 이래로 대한민국에 존재해왔던 사형제도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된다. 


국가인권위원회는 12월 10일 세계 인권의 날 70주년을 맞아 문 대통령의 사형제 폐지 공식 선언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심상돈 인권위 정책교육국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 12월 인권위가 6년 만에 대통령에게 특별보고를 한 자리에서 나온 핵심 주제 중 하나가 사형제 폐지였고, 당시 문재인 대통령께서도 폐지에 관해 긍정적으로 답변하셨다"며 "현재 주무 부처인 법무부와 실무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국가인권위는 지난 2005년 4월 국회의장에게 사형제도 폐지 관련 의견을 표명했으며, 2009년 7월에는 헌법재판소에 사형제도 폐지 의견을 제출하는 등 사형제 폐지가 헌법과 국제인권규범, 국제적 흐름에 부합한다는 의견이다.  

현재 사형 확정판결을 선고받고 집행을 대기 중인 사형수는 유영철, 강호순 씨 등 61명(군인 4명 포함)이다. 여중생 딸 친구를 유인·추행한 뒤 살해하고 사체를 유기해 1심에서 사형을 선고받은 이영학 씨의 사형 선고가 확정되면, 62번째 사형수가 된다. 

한국은 1997년 12월 이후 현재까지 약 20년간 사형을 집행하지 않은 사실상 사형제 폐지 국가다. 하지만 사형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어금니 아빠' 이영학 사건과 같은 강력 범죄가 발생할 때마다 혼선이 거듭됐다.  

 

그러나 사형제 폐지는 역사적으로 큰 의미를 갖는다.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사형제도는 독재정권의 무자비한 통치의 상징이었다. 특히 민청학련 사건 때 박정희 정권의 사법부는 사형 확정 18시간만에 사형을 집행했다. 이는 아직까지 '사법 살인'으로 불리며 한국 현대사의 암흑기의 상징처럼 기록돼 왔다. 전두환 정권 때 김대중 전 대통령도 내란 음모로 살인 선고를 받은 바 있다.  

 

한국에서 사형제 폐지 화두가 엄혹했던 한 세대를 정리하고 가는 의미를 갖는 이유다. 

 

문재인 정부는 그간 사형제 폐지에 전향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7일 청와대에서 이성호 국가인권위원장에게 인권위 특별 보고를 받고 "사형제 폐지나 양심적 병역거부 인정 같은 사안의 경우 국제 인권원칙에 따른 기준과 대안을 제시하면 좋겠다"고 지시했다. 

 

또한 올해 초에 문 대통령이 발의한 개헌안에는 '사형'이라는 단어가 빠졌다. 사실상 사형제 폐지 개헌안을 내놓은 것으로 해석됐다.   


인권위는 오는 9월 사형제도 폐지 관련 토론회를 열고, 10월까지 6개월간 사형제 폐지 및 대체 형벌에 관한 실태조사를 할 계획이다. 

심 국장은 "지금까지 사형제 관련 실태조사가 단순히 찬반 의견을 물었다면, 이번 실태조사에서는 석방 없는 종신제 등 대안에 대한 찬반까지 물을 계획"이라며 "이렇게 좀 더 구체적으로 질문하면 대답 역시 상당히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사형제 폐지 어떻게?  

 

사형제 폐지는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국회에서 사형제 폐지 법안 통과, 둘째, 헌법재판소의 사형제 위헌 판결, 그리고 사형제 폐지 국제 조약 가입니다. 

 

관련해 심 국장은 "'사형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이하 의정서)' 가입도 검토할 계획"이라며 "이 의정서에 가입하면 제도를 공식적으로 폐지하는 게 된다"고 덧붙였다. 

 

사형의 전면적 폐지를 담고 있는 이 의정서는 1989년 12월 15일 국제연합 제44회 총회에서 채택, 1991년 7월 11일 발효된 국제 조약이다. 이 조약에 한국이 가입하면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갖기 때문에 사형제도 자체가 폐지되는 효과를 낳는다. 

 

그간 국회에서는 민청학련 사건으로 사형을 선고 받았던 유인태 전 의원 등이 사형제 폐지 법안을 지속적으로 내 왔었다. 그러나 국회는 '국민 감정' 등을 핑계로 사형제 폐지법안 처리를 계속해서 미뤄왔다. 만약 의정서에 가입하고 이를 국회가 비준하면 별도 입법 절차 없이 사형제는 폐지된다.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도 기대하기 어렵다. 우리 헌법에는 '사형'이라는 단어가 포함돼 있다. 110조 4항에는 "비상계엄하의 군사재판은 군인·군무원의 범죄나 군사에 관한 간첩죄의 경우와 초병·초소·유독음식물공급·포로에 관한 죄중 법률이 정한 경우에 한하여 단심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사형을 선고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라고 돼 있다. 

 

헌법에 포함된 '사형'이라는 단어 때문에 그간 헌법재판소는 사형제 폐지가 불가하다는 판단을 내려왔다는 해석이 법조계에서는 지배적이다.  

 

이같은 배경 때문에 국가인권위는 국제 조약 가입을 추진하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자유한국당 등 '사형제 포퓰리즘'에 경도된 보수 야당의 반발은 넘어야 할 산이다. 사형제 폐지에 부정적인 법무부 등 정부 내 이견 조율도 과제로 꼽힌다. 이같은 현실적 장애물 때문에 문 대통령의 '사형 모라토리엄' 선언이 현 정부에서 가능한 최대 한도라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사형제 모라토리엄 선언을 넘어, 만약 사형제 자체가 폐지된다면 문재인 정부는 또 한번의 '역대급' 기록을 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명선 기자 overview@pressian.com 구독하기 최근 글 보기

 

방송국과 길거리에서 아나운서로 일하다, 지금은 '언론 협동조합 프레시안 기자' 명함 들고 다닙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트럼프가 말하지 않은 조미정상회담의 비밀

[개벽예감 303] 트럼프가 말하지 않은 조미정상회담의 비밀
 
 
 
한호석(통일학연구소 소장) 
기사입력: 2018/06/18 [13:38]  최종편집: ⓒ 자주시보
 
 

<차례>

1. 민족사적 의의와 세계사적 의의

2. 막판까지 논쟁 벌인 두 가지 중대한 문제

3. 트럼프가 말하지 않은 조미정상회담의 비밀

4. 종전선언은 왜 합의되지 않았는가? 

5. 역사적인 공동성명에 명기된 네 가지 합의사항

6. 오찬에서 작별까지 극적인 장면들

 

 

1. 민족사적 의의와 세계사적 의의

 

8천만 민족과 76억 인류가 고대해온 조미정상회담이 2018년 6월 12일 싱가폴공화국의 쎈토사섬에 있는 카펠라 호텔에서 진행되었다.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이 시대와 민족에게 안겨준 거대한 의의를 두 갈래로 설명할 수 있다. 

 

(1) 고구려가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진 이후 오늘까지 강대국들의 침략과 강점, 지배와 간섭을 받아온 1,350년의 민족수난사에서 우리 민족이 강대국을 상대로 대등한 담판을 벌이는 것은 상상할 수 없었다. 그러나 조선이 1,350년 만에 그 상상을 뛰어넘었다. 조선은 세계의 지배자로 자처하는 미국을 상대로 대등한 담판을 벌였을 뿐 아니라, 그 담판을 승리로 이끌었다. 그로써 조선은 반만년 민족사를 새로 썼다. 8천만 민족은 조선의 승리로 빛나는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의 민족사적 의의를 목도하였다. <사진 1>   

 

▲ <사진 1> 8천만 민족과 76억 인류가 고대해온 조미정상회담이 2018년 6월 12일 싱가폴공화국의 쎈토사섬에 있는 카펠라 호텔에서 진행되었다. 위의 사진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조미정상회담을 시작하기에 앞서 회담장 복도에서 촬영한 기념사진이다. 조선은 세계의 지배자로 자처하는 미국을 상대로 대등한 담판을 벌였을 뿐 아니라, 그 담판을 승리로 이끌었다. 세계정치사에 일찌기 없었던 기적 같은 사변이 일어난 것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2) 세계정치사에 두드러진 자취를 남긴 역사적인 정상회담들이 있다. 1961년 6월 4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미소정상회담이 열렸고, 1972년 2월 21일 중국 베이징에서 미중정상회담이 열렸다. 그 두 정상회담은 대국 대 대국의 담판이었다. 그처럼 적대관계에 있는 대국들이 정상회담을 벌인 사례들은 있었지만, 적대관계에 있는 소국과 대국이 정상회담을 벌인 사례는 없었다. 더욱이 소국이 대국과 대등한 담판을 벌여 승리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고정관념이 세계정치사를 지배해왔다. 그러나 조선의 강한 힘은 그 고정관념을 깨뜨렸다. 조선은 ‘유일초대국’으로 자처하는 미국을 상대로 대등한 담판을 벌였을 뿐 아니라, 그 담판을 승리로 이끌어 세계정치사를 바꿔놓았다. 76억 인류는 조선의 승리로 빛나는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의 세계사적 의의를 목도하였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Donald J. Trump) 대통령 사이에 진행된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에서 주역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고, 트럼프 대통령은 옆자리에서 조역을 맡았을 뿐이다. 그러므로 조역의 시각이 아니라 주역의 시각에서 싱가폴 조미정상회담 진행과정을 고찰해야 전모와 실상을 파악할 수 있다.  

 

 

2. 막판까지 논쟁 벌인 두 가지 중대한 문제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을 이틀 앞둔 2018년 6월 10일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싱가폴에 도착하였다. 이튿날 최선희 조선외무성 부상과 성 김(김성용) 미국측 협상대표는 싱가폴에서 실무회담을 진행하였다. 판문점에서 실무회담을 여섯 차례나 진행하면서도 합의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으므로,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막판 실무회담을 진행한 것이다. 두 가지 중대한 문제를 합의하지 못했었다. 

 

(1) 조미정상회담 준비과정을 잘 아는 워싱턴 소식통의 말을 인용한 <조선일보> 2018년 6월 14일부 보도기사를 보면, 미국은 싱가폴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비핵화의 범위와 시간표”를 명기할 것을 요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막판 실무회담에서 미국이 “완전하고, 검증할 수 있고,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가 아니라 “비핵화의 범위와 시간표”를 요구하였음을 말해준다. 하지만 조선은 그 요구마저 끝내 받아들이지 않았고, 자기 요구를 기어이 관철하였다. <사진 2> 

 

▲ <사진 2> 이 사진은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이 개최되기 하루 전인 2018년 6월 11일 싱가폴에서 최선희 조선외무성 부상과 성 김(김성용) 미국측 협상대표가 실무회담을 진행하는 장면이다. 그들은 판문점에서 실무회담을 여섯 차례나 진행하면서도 합의하지 못한 문제가 있어서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막판 실무회담을 진행한 것이다. 그들은 막판까지 "비핵화의 범위"를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명기하는 문제를 놓고 논쟁을 거듭하며 실무회담을 진행하였는데, 조선은 "비핵화의 범위"를 공동성명에 명기하려는 미국의 계략을 봉쇄하고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개념을 공동성명에 명기하게 만들었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조선은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비핵화의 범위와 시간표”를 명기하려는 미국의 요구를 왜 받아들이지 않았을까? 그 까닭은, 미국이 비핵화의 범위를 한반도로 확대하지 않고, 조선으로 한정시키려고 획책하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미국은 “조선반도의 비핵화”가 아니라 “조선의 비핵화”를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명기할 것을 요구한 것이다. 

 

만일 미국의 요구대로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 “조선의 비핵화”라고 명기하면, 미국은 핵전략자산을 한국에 반입하거나 배치해도 되지만, 조선은 그런 핵위협을 받으면서도 비핵화 합의를 이행해야 하는 사태가 벌어질 것이다. 조선이 “비핵화의 범위”를 공동성명에 명기하려는 미국의 요구를 단호히 거부한 까닭이 거기에 있다.

 

문제는 거기서 끝나는 게 아니다. 만일 미국의 요구대로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비핵화의 범위”를 명기하면, 미국의 사찰단은 ‘현장검증’을 구실로 조선에 들어가 일방적인 핵사찰을 감행하게 될 것이다. 조선이 “비핵화의 범위”를 공동성명에 명기하려는 미국의 요구를 단호히 거부한 또 다른 까닭이 거기에 있다. 

 

그와 반대로, 조선의 요구대로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 “조선반도의 비핵화”라고 명기하면, 조선과 미국은 현장검증을 위한 상호핵사찰을 해야 하는데, 상호핵사찰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미국은 주한미국군기지들을 조선의 사찰단에게 개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 “조선반도의 비핵화”라고 명기하는 문제는 “조선의 비핵화”라는 개념을 “비핵화의 범위”라는 개념으로 바꿔치기하여 합의하려던 미국의 계략을 봉쇄하느냐 못하느냐 하는 문제, 다시 말해서 조미정상회담의 승패를 결정짓는 매우 심중한 문제였던 것이다. 그래서 쌍방 실무협상단은 막판까지 “비핵화의 범위”를 공동성명에 명기하는 문제를 놓고 논쟁을 거듭하였던 것이다. 

조선은 “비핵화의 범위”를 들고나온 미국의 계략을 봉쇄하였고, 공동성명에는 조선이 제기한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고 명기되었다. 

 

(2) 대미소식통들의 말을 인용한 <중앙일보> 2018년 6월 15일 보도에 따르면, 조미정상회담 전날인 6월 11일 자정을 조금 넘겨 끝난 마지막 실무회담에서 최선희 외무성 부상은 조선이 핵시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중지하고, 미국인 범죄자 3명을 송환하고, 지하핵시험장을 폐기하는 성의 있는 행동을 하였는데, 미국은 그에 상응한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면서, 대조선제재를 해제하는 문제를 공동성명에 명기할 것을 요구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미국은 그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튿날 발표된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는 대조선제재를 해제하는 문제가 명기되지 않았다. 그렇게 된 까닭은, 트럼프 대통령을 수행하여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에 참석한 백악관 각료들이 조선의 제재해제요구를 거부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은 각료들과 다른 견해를 가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마친 직후, 현장에서 진행된 단독기자회견에서 “(조선의) 핵무기가 더 이상 위험요인이 아니라고 판단될 때, (대조선)제재가 해제될 것이다. 제재는 큰 역할을 하였으나, 바로 그 지점에서 해제될 것이다. 나는 빨리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데, 제재는 해제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을 들어보면, 그가 대조선제재를 이른 시일 안에 해제하려는 의사를 가진 것이 분명하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추가적인 비핵화 조치를 취하면, 트럼프 대통령도 그에 상응하여 대조선제재를 해제하기 시작할 것이다.  

 

 

3. 트럼프가 말하지 않은 조미정상회담의 비밀

 

2018년 6월 12일 오전 9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 국기들이 나란히 걸려있는 상봉장소에서 악수를 나누었다. 이 역사적인 상봉은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적대관계를 유지해온 65년 세월을 마감하는 기적적인 사변이었다. 

 

양국 정상은 역사적인 상봉을 마치고 회담장으로 자리를 옮겨 단독회담을 시작하였다.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배석자 없이 진행한 단독회담이다. 

 

2018년 6월 14일 조선에서 방영된 싱가폴 조미정상회담 기록영화에 나오는 해설에 따르면, 단독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수십년간 지속되여온 적대적인 조미관계에 종지부를 찍고,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깃들도록 하는데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실천적 문제들에 대하여 솔직한 의견을 나누시였”다고 한다. 솔직한 의견을 나누었다는 말은 마음을 터놓고 담화하였다는 뜻이다. 

 

마음을 터놓고 담화하였다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서 가장 듣고 싶은 문제를 제기하였을 것이고, 트럼프 대통령도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서 가장 듣고 싶은 문제를 제기하였을 것이다. 단독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가장 듣고 싶었던 것은 주한미국군을 철수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향이었고,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듣고 싶었던 것은 비핵화를 실현하겠다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의향이었다. 이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사진 3>

 

▲ <사진 3> 이 사진은 싱가폴 조미정상회담 중에 단독회담을 시작하기 직전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모두발언을 하는 장면이다. 양국 정상은 단독회담에서 마음을 터놓고 깊은 담화를 하였다. 단독회담 중에 트럼프 대통령은 비핵화가 실현되는 것에 상응하여 주한미국군을 철수하겠다고 구두로 약속하였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미국의 철군조치에 상응하여 비핵화를 실현하겠다고 구두로 약속하였다. 주한미국군의 완전한 철수와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단계별-동시적 행동원칙에 따라 실현해나갈 것을 구두로 합의한 것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나는 2018년 6월 11일 <자주시보>에 발표한 ‘결승선이 보인다’라는 제목의 글에서 <워싱턴포스트> 2018년 6월 7일부 기사를 인용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자기 임기 중에 주한미국군을 철수하려는, 고집에 가까운 의지를 가졌다는 사실을 서술한 바 있는데, 그가 미국 여론의 반대를 무릅쓰고 주한미국군을 철수하려는 의지를 가진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그는 단독회담 중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비핵화가 실현되는 것에 상응하여 주한미국군을 철수하겠다는 속마음을 털어놓은 것이 분명하다.  

 

이런 사정을 살펴보면, 단독회담 중에 트럼프 대통령은 비핵화가 실현되는 것에 상응하여 주한미국군을 철수하겠다고 구두로 약속하였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미국의 철군조치에 상응하여 비핵화를 실현하겠다고 구두로 약속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주한미국군의 완전한 철수와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단계별-동시적 행동원칙에 따라 실현해나갈 것을 구두로 합의한 것이다. 바로 이 구두합의가 트럼프 대통령이 말하지 않은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의 비밀이다. 

 

단독회담에서 철군문제와 비핵화문제를 구두로 합의하면서 마음이 서로 통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전화번호를 주고받았다. 미국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한 <연합뉴스> 2018년 6월 17일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단독회담에 이어 진행된 확대회담 중에 양측 배석자들에게 “우리 두 사람이 대화를 나눌 때 전화번호를 주고받으면서, 앞으로 서로 자주 통화하자고 이야기했다”고 밝혔다고 한다. 양국 정상은 단독회담 중에 김여정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과 쌔라 쌘더스(Sarah H. Sanders) 백악관 대변인을 각각 불러 그들에게 양국 정상의 전화번호를 알려주었다. 그로써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위성전화를 이용한 직통연락선을 갖게 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6월 15일 미국 텔레비전방송 <팍스 뉴스>와 진행한 대담에서 “김 위원장에게 직접 연결되는 내 전화번호를 주었다. 그는 어떤 어려움이 생기면 나에게 전화를 걸 수 있다. 나도 그에게 전화를 걸 수 있다. 우리는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됐다. 매우 좋은 일”이라고 말하면서, 2018년 6월 17일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전화를 걸겠다고 밝힌 바 있다. 조미관계개선은 예상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진척되기 시작했다.  

 

 

4. 종전선언은 왜 합의되지 않았는가? 

 

<연합뉴스> 2018년 6월 17일 보도에 따르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확대회담 중에 “전 세계 사람들은 내 책상 위에 있는 핵단추가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치워지게 됐다는 걸 알고 당신을 존경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2018년 6월 14일 조선에서 방영된 싱가폴 조미정상회담 기록영화에 나오는 해설에 따르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확대회담 중에 “두 나라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뿌리 깊은 불신과 적대감으로부터 많은 문제가 산생되였다. 조선반도의 평화를 이룩하고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량국이 서로에 대한 리해심을 가지고 적대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약속하며 이를 담보하는 법적, 제도적 조치를 취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적대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약속하며 이를 담보하는 법적, 제도적 조치”는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조선은 미국에게 대조선적대정책을 폐기하라고 끊임없이 요구해왔다. 미국이 대조선적대정책을 폐기하는 법적, 제도적 조치는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 주한미국군을 철수하는 것으로 완료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려는 의사를 가진 것은 분명하다. 그는 평화체제를 구축하지 않고서는 핵전쟁위험도 해소할 수 없고, 조미관계를 정상화할 수도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는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을 마친 직후, 회담장에서 진행된 단독기자회견에서 이렇게 말했다.

 

“정전협정이 체결되었어도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오늘까지도 끝나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 모두는 그 전쟁이 곧 끝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있다. 전쟁은 곧 끝날 것이다. 과거가 미래를 규정해서는 안 된다. 어제의 갈등이 내일의 전쟁으로 이어져도 안 된다. 역사가 거듭 증언하는 것처럼, 적이 벗으로 될 수 있다.”  

 

싱가폴 조미정상회담 준비과정을 잘 아는 워싱턴 소식통의 말을 인용한 <조선일보> 2018년 6월 14일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 종전선언 초안을 만들어 가지고 싱가폴에 갔다고 한다. 만일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종전선언이 합의되었더라면,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과 한반도 종전선언문이 동시에 발표되었을 것이다. <사진 4>

 

▲ <사진 4> 이 사진은 싱가폴 조미정상회담 중에 확대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악수하는 장면이다. 양측에서 3명의 배석자들이 각각 참석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 종전선언 초안을 만들어 가지고 싱가폴에 갔으나,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을 따돌리고 한반도 종전선언을 발표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경솔한 행동을 용납하지 않았으며,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에 이바지하기 바라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입장을 고려하여야 했고, 종전선언과 평화체제구축을 분리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도 받아들일 수 없었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그런데 왜 평화협정이 아니라 종전선언인가? 만일 조미정상회담에서 평화협정을 체결하면, 그 협정은 미국 연방의회 비준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요즈음 미국 연방의회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기들과 협의하지 않고 독단적으로 한반도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주한미국군을 철수할까봐 우려하고 있다. 철군을 반대하는 연방의회가 평화협정을 비준해주지 않으리라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다. 워싱턴 정치권의 내부사정이 그처럼 복잡하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의회의 비준을 받지 않아도 되는 종전선언을 준비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종전선언은 합의되지 않았다. 초안까지 준비해왔으면서도, 왜 합의되지 않았을까?  

 

원래 한반도 종전선언은 노무현 대통령이 조지 부쉬(George W. Bush) 대통령에게 요구하였으나 거절당한 사안인데,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 문재인 대통령이 다시 제기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을 전적으로 신뢰하는 문재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종전선언을 발표하려는 조짐을 미리 눈치 채고, 자신도 싱가폴에 가서 남북미 3자가 한반도 종전선언을 합의하게 되기를 간절히 소망하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그런 소망을 갖게 된 까닭은, 지난 4월 27일 판문점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합의한 판문점 선언에 다음과 같이 명기되었기 때문이다. “남과 북은 정전협정체결 65년이 되는 올해에 종전을 선언하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며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구축을 위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회담 개최를 적극 추진해나가기로 하였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은 문재인 대통령의 간절한 소망을 외면하고,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종전선언을 합의하려고 초안을 준비했던 것이다. 만일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종전선언이 합의되면, 판문점 선언은 훼손될 판이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을 따돌리고 한반도 종전선언을 발표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경솔한 행동을 용납하지 않았으며, 한반도 평화체제구축에 이바지하기 바라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입장도 고려해야 했다. 베이징과 싱가폴의 외교소식통들이 전한 말을 인용한 <교도통신> 2018년 6월 15일 보도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자신이 싱가폴 조미정상회담 개최시점에 맞춰 싱가폴을 전격 방문하는 문제를 그 정상회담이 개최되기 직전까지 검토하였다고 한다.  

 

거기에 더하여,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종전선언과 평화체제구축을 분리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도 받아들일 수 없었다. 한반도에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려면, 종전선언과 평화체제구축을 분리시키지 말고 포괄적으로 합의해야 한다. 그래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종전선언을 합의하려던 트럼프 대통령의 경솔한 행동을 중지시켰다.  

 

 

5. 역사적인 공동성명에 명기된 네 가지 합의사항

 

가장 중요한 첫 번째 합의사항에는 조선과 미국이 “평화와 번영을 바라는 두 나라 인민들의 념원에 맞게 새로운 조미관계를 수립해나가기로 하였다”고 명기되었다. 이것은 국교를 수립하게 된다는 뜻이다. 특수한 사정에 놓인 조선과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 중에 국교를 수립할 것이다. 

 

두 번째 합의사항에는 “조선반도에서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공동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명기되었다.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라는 개념은 임시적이고 불안정한 정전체제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평화체제가 구축되면 반드시 조미국교도 수립될 것이고, 조선과 미국이 국교를 수립하려면 평화체제가 반드시 구축되어야 한다. 조선과 미국이 일반관례에 따라 평화협정을 채택하면, 미국 연방의회를 장악한 반대파의 비준저지선을 돌파하기 어렵다. 협정(treaty)이라는 용어 대신 합의(agreement)라는 용어를 쓰면, 의회 비준을 받을 필요가 없다. 1973년 1월 27일 북베트남과 미국은 프랑스 빠리에서 ‘베트남에서 전쟁종식과 평화회복에 관한 합의’라는 사실상(de facto)의 평화협정을 채택함으로써 평화체제를 구축한 바 있다. 

 

세 번째 합의사항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8년 4월 27일에 채택된 판문점 선언을 재확인하면서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향하여 노력할 것을 확약하였다”고 명기되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조선의 완전한 비핵화”가 아니라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고 명기되었다는 점이다. 이에 관해서는 위에서 논하였으므로, 재론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 조항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놓고 지금 미국과 한국에서 횡설수설, 시끌벅적하지만, 그 조항을 정확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진 5>

 

▲ <사진 5> 이 사진은 싱가폴 조미정상회담 확대회담을 마치고 진행된 오찬장면이다. 양측에서 7명의 배석자들이 각각 참석하였다.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 오찬에서는 조미정상회담의 성과를 공고히 하고 조미관계를 획기적으로 발전시켜나가기 위하여 쌍방 사이에 의사소통과 접촉 및 내왕을 활성해나갈 데 대한 의견들이 교환되었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1) 조선이 판문점 선언을 재확인한다고 공동성명에 명기한 까닭은, 판문점 선언에 명기된 비핵화 조항에 따라 조선반도의 비핵화가 실현된다는 뜻을 명확하게 밝혀야 했기 때문이다. 판문점 선언에는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였다”고 명기되었는데, 바로 이 조항이 싱가폴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도 재확인된 것이다. 

(2) 조선이 공동성명에 명기한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개념은 조선이 주한미국군철수에 상응하여 단계적 비핵화를 실현한다는 뜻이며, 조선이 외부의 개입 없이 자체적으로 비핵화를 실현한 뒤에 완전한 비핵화가 실현되었음을 확정, 발표한다는 뜻이며, 미국이 조선반도의 비핵화를 검증할 수도 없고, 검증할 필요도 없다는 뜻이다.   

 

(3) 완전한 비핵화가 실현된 조선반도, 다시 말해서 판문점 선언에 명기된 “핵 없는 조선반도”는 조선의 핵무기가 완전히 폐기된 상태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이 대조선전쟁연습을 중지하고 주한미국군을 철수함으로써 핵전쟁위험이 완전히 해소된 상태를 뜻하는 것이다. 

 

확대회담 중에 트럼프 대통령은 6.25전쟁 중에 포로로 잡혔거나 행방불명된 미국군의 유골을 발굴하고, 이미 발굴, 확인된 유골들을 즉시 미국에 송환해달라고 요청하였다. 원래 이 문제는 정상회담 의제에 들어있지 않았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즉흥적으로 제기한 것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제기한 요청을 즉석에서 흔쾌히 수락하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당면해서 상대방을 자극하고 적대시하는 군사행동들을 중지하는 용단부터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것은 대조선전쟁연습을 중지하라고 요구한 것이다. 

 

2018년 6월 14일 조선에서 방영된 싱가폴 조미정상회담 기록영화에 나오는 해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조미 사이에 선의의 대화가 진행되는 동안 조선측이 도발로 간주하는 미국-남조선합동군사연습을 중지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안전담보를 제공하고, 대화와 협상을 통한 관계개선이 진척되는 데 따라 대조선제재를 해제할 수 있다는 의향을 표명”하였다고 한다. 그는 한미합동군사연습을 중지하고, 조선에 대한 안전담보를 제공하고, 조미관계개선이 진척되는 것에 상응하여 대조선제재를 해제하겠다는 전향적인 의사를 표시한 것이다. 

 

 

6. 오찬에서 작별까지 극적인 장면들

 

확대회담을 마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수행원들과 함께 오찬에 참석하였다. 2018년 6월 14일 조선에서 방영된 기록영화에 나오는 해설에 따르면, 오찬에서는 “조미회담의 성과를 공고히 하고, 조미관계를 획기적으로 발전시켜나가기 위하여 쌍방 사이에 의사소통과 접촉 및 래왕을 보다 활성화해나갈 데 대한 의견들이 교환되였”다고 한다. 이처럼 조선과 미국이 의사소통, 접촉, 내왕을 활성화하기로 하였으니,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국적자의 조선여행을 금지시킨 행정명령을 취소하는 것은 시간문제다. 

 

오찬 직후 양국 정상은 배석자나 통역관을 대동하지 않고 카펠라 호텔 경내의 산책길을 거닐었다. 이름 모를 열대식물들이 피어난 산책길을 거닐며 담소를 나누는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모습은 조선과 미국이 불신과 적대를 뒤로 하고 이해와 소통의 새로운 길로 들어섰음을 보여준 극적인 장면이다. <사진 6> 

 

▲ <사진 6> 위쪽 사진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오찬을 마치고 배석자나 통역관을 대동하지 않고 카펠라 호텔 경내의 산책길을 걸어가는 장면이다. 산책하면서 담소를 나누는 양국 정상의 모습은 조선과 미국이 불신과 적대를 뒤로 하고 이해와 소통의 새로운 길로 들어섰음을 보여준 극적인 장면이다. 아래쪽 사진은 산책길이 끝나는 지점에 이르렀을 때,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대통령 전용차로 안내하여 전용차 내부를 공개하는 매우 이례적인 장면이다. 누구에게도 보여주지 않은 비밀공간을 전격적으로 공개한 것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에 대한 신뢰와 호의를 표시한 것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그런 분위기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흥분하였다. 그래서 그는 산책길이 끝나는 지점에 이르렀을 때, 야수(beast)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대통령 전용차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안내하여 전용차 내부를 공개하였다. 누구에게도 보여주지 않은 비밀공간을 전격적으로 공개한 것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에 대한 신뢰와 호의를 표시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6월 15일 <팍스 뉴스>와 진행한 대담에서 “나는 지금 북조선과 훌륭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하면서 “우리는 마음이 잘 통했다”고 말했다.     

 

이윽고 공동성명 서명식이 진행되었다. 양국 국기가 나란히 걸려있는 서명식장에서 양국 정상은 역사적인 문서에 서명하기에 앞서 모두발언을 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이번에 김정은 위원장과 상봉하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한다. 김정은 위원장과 훌륭한 대화를 나누고, 여러 가지 좋은 일을 시작하려고 합의하였다. 나는 김정은 위원장에게 이와 관련하여 사의를 표하며, 이번 수뇌상봉이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던 훌륭한 결과들에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오늘 우리는 과거를 덮고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력사적인 공동성명에 서명하게 된다. 세계는 중대한 변화를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 7>

 

▲ <사진 7> 이 사진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싱가폴 조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 서명하는 역사적인 장면이다. 양국 정상이 서명한 공동성명은 양국 정상이 지켜보는 가운데 김여정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과 마익 팜페오 미국 국무장관이 서로 교환하였다.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은 8천만 민족과 76억 인류의 열망과 기대에 부응하는 영원불멸의 자취를 역사에 아로새겼다. 개벽의 새로운 시대가 밝아오고 있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양국 정상은 공동성명에 각각 서명한 직후, 굳은 악수를 나누며 기념사진을 촬영하였고, 곧이어 작별인사를 나누었다. 

 

조선이 지난 44년 동안 온갖 풍파를 헤치며 성사시키려고 애써온 조미정상회담은 역사상 처음으로 조미국교수립과 평화체제구축과 한반도의 비핵화를 실현하기로 공약한 눈부신 성과를 이루어냈다. 싱가폴 조미정상회담은 8천만 민족과 76억 인류의 열망과 기대에 부응하는 영원불멸의 자취를 역사에 아로새겼다. 인천 월미도에 상륙한 미국군이 200대의 군용트럭을 타고 서울에 들어가 38도선 이남지역을 점령하였던 1945년 9월 9일로부터 장장 73년 동안 흘러온 낡은 시대가 저물고, 바야흐로 개벽의 새 시대가 밝아오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선거 때는 큰절하더니, 낙선하니 ‘유권자 탓’하는 자유한국당

‘인물보다 정당을 택한 민심’이라며 유권자를 비꼬는 낙선 현수막
 
임병도 | 2018-06-18 08:40:48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대구북구의회 의원에 당선되 자유한국당 이정열 후보의 당선 현수막, 초심을 읽지 않고라고 표기돼 있다. ⓒ온라인커뮤니티

 

613 지방선거가 끝이 났습니다. 선거에 출마했던 후보자들은 선거 현수막을 철거하고, 당선 인사 현수막이나 낙선 현수막을 거리에 내걸었습니다.

대구 북구의회 의원에 당선된 자유한국당 이정열 당선인은 ‘초심을 읽지 않고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라는 당선 현수막을 내걸었습니다.

‘초심을 잃지 않고’라고 써야 맞는 표현이지만 ‘초심을 읽지 않고’라는 오타 덕분에 당선 현수막이 이상해졌습니다.


교묘하게 유권자 탓을 하는 낙선 현수막

 

▲자유한국당 강요식 후보가 내건 낙선 현수막 ⓒ온라인커뮤니티

 

구로구청장에 출마했다 낙선한 강요식 자유한국당 후보는 ‘반성하고 새롭게 뛰겠다’라는 낙선 현수막을 게시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인물보다 정당을 택한 민심’이라는 문장입니다.

이 현수막에는 인물은 안 보고 정당, 특히 민주당 쏠림 현상 때문에 자신이 낙선했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동시에 유권자를 탓하는 듯한 모양새가 보입니다.

온라인에서는 낙선 현수막이지만 유권자를 비아냥하고 지역 구민들을 조롱하는 듯한 태도라는 댓글들이 달리기도 했습니다.


강요식 후보는 인물론에서 앞섰나?

▲구로구청장 선거에 출마한 이성 민주당 후보와 강요식 자유민주당 후보 비교

강요식 후보가 주장하는 인물론을 살펴보겠습니다. 이성 당선인은 스물넷의 나이로 행정고시에 합격해 서울시 시정개혁단장과 감사관과 부구청장을 역임한 행정가 출신입니다.

강요식 후보는 육군사관학교을 졸업한 국방부장관 정책보좌관 출신입니다. 정치 경력은 자유한국당 구로을 당협위원장과 19대 20대 국회의원 출마가 전부입니다.

이성 당선인은 재선에 성공했던 현역 구청장이었고, 강요식 후보는 선거 때마다 출마해서 낙선했던 정치인에 불과했습니다. 강 후보는 자신이 인물론에서 낫다고 주장하지만, 구로구민이 볼 때는 결코 그의 말에 동의하기는 어려웠습니다.


선거 전에는 낮은 자세로 큰절을 해놓고..

 

▲강요식 자유민주당 후보는 선거 기간 내내 큰절을 하고 다녔다. ⓒ강요식 후보 블로그

 

강요식 후보의 블로그와 선거 당시 사진을 보면 큰절을 하는 모습을 여러 번 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강 후보는 이성 구청장의 3선을 막겠다며 삭발을 하기도 했습니다.

강 후보는 ‘지상보다 낮은 자세로 겸허하게 주민이 사랑할 때까지 뛰는 강요식’이라는 글을 선거 당일인 6월 13일 공식 블로그에 올리기도 했습니다.

‘주민이 사랑하실 때까지’를 외쳤던 선거 후보가 낙선하자 ‘인물보다 정당을 택한 민심’이라며 유권자를 비꼬는 낙선 현수막을 내건 모습을 구로구 주민들은 계속 기억할 것 같습니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13&table=impeter&uid=1585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주류 언론의 배신, 소셜 미디어가 혁명의 무기가 됐다”

[브랜드 저널리즘 현장을 가다 ①] 2000개 소셜 미디어 채널 운영하는 스페인의 급진 좌파 정당 포데모스

이정환 미디어오늘 편집인 black@mediatoday.co.kr  2018년 06월 18일 월요일
 

언론이 게이트 키퍼 역할을 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정보를 취사선택하고 의미를 부여하고 사회적 의제를 제안하고 민주적인 토론을 주도하는 일은 여전히 언론의 사명이고 본질입니다. 그러나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함께 언론의 역할도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습니다. 이제 누구나 미디어를 조직하고 대중에게 직접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시대가 됐습니다.

청와대가 직접 페이스북 라이브 방송을 내보내고 기자들은 청와대 방송을 인용해서 기사를 씁니다. 청와대 출입기자들이 지금까지 해 왔던 것처럼 기자들에게 브리핑을 먼저 해달라고 항의하기도 했지만 확실히 시대가 바뀌었죠. 이제 누군가가 메시지를 대신 전달해 주는 시대가 아닙니다. 메시지를 갖고 있다면 직접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시대가 됐습니다. 카드뉴스를 만들거나 동영상을 만들거나 페이스북이나 유튜브나 채널은 얼마든지 있고 효과적인 스토리텔링 기법도 넘쳐납니다.

미국의 NASA(항공우주국)는 30명의 소셜 미디어 담당자들이 700여 개의 채널을 동시에 운영합니다. 복잡한 연구 결과를 알기 쉽게 풀어내고 계속해서 이벤트를 만들고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 모으죠. 보도자료를 뿌리고 언론을 통해 독자들을 만나던 시대는 이미 지났습니다. 수백만 수천만 명의 독자 또는 소비자를 직접 만날 수 있는데 보도자료가 무슨 필요가 있겠습니까. 

미국의 병원 체인 클리블랜드 클리닉은 ‘헬스허브’라는 미디어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헬스허브의 편집팀은 날마다 아침 8시30분에 편집회의를 하고 그날의 이슈를 선정해 의사들에게 원고를 청탁합니다. 주류 언론사의 뉴스룸 모델을 흉내내지만 프로패셔널한 스토리텔링으로 확고한 신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 뉴스룸에서 만드는 ‘업스탠더스‘는 커피 이야기는 한 마디도 없는 오리지널 콘텐츠입니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우리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습니다. 스타벅스 회장 하워드 슐츠는 “이것은 스타벅스의 홍보나 마케팅과 무관한 진짜 미국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레드불은 이미 “우리는 스포츠 음료도 만드는 미디어 회사”라고 말합니다. 레드불 미디어 하우스는 열정과 도전을 주제로 다양한 콘텐츠를 쏟아내고 있고요. ‘레드불레틴‘은 11개 국에서 발행부수가 200만 부에 이릅니다. 이밖에도 코카콜라와 어도비, 사우스웨스트항공, GE 같은 기업들이 기업 뉴스룸을 만들고 브랜드 저널리즘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일찌감치 현대카드가 ‘채널 현대카드’를 시작했고 CJ가 ‘채널 CJ’, 현대자동차가 ‘HMG저널’, SK는 ‘미디어SK’라는 이름으로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물론 여기에는 기대와 우려가 공존합니다. 

주목할 대목은 기업들이 미디어를 마케팅 채널로 활용하는 것을 넘어 전통적인 저널리즘 기법을 브랜드 전략의 일환으로 차용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흔히 브랜드 저널리즘이라고도 부르지만 기업들의 이른바 오운드(owned) 미디어에는 특별히 공익적 가치 판단이나 저널리즘 윤리가 없습니다. 철저하게 기업의 이해관계에 따라 메시지의 크기를 조절하는 뿐이죠.  

가치 판단은 다르겠지만 분명한 것은 이미 변화가 시작됐다는 것입니다. 브랜드와 저널리즘이라는 이질적인 개념이 공존할 수 있느냐는 문제의식도 있고 일부에서는 브랜드 스토리텔링이나 브랜드 퍼블리싱이라고 고쳐 부르기도 합니다. 분명한 것은 이제 실험 단계일 뿐이지만 기업들에서 먼저 시작된 변화가 사회 전반으로 확산될 거라는 사실입니다. 여기에 엄청난 자본과 인력을 쏟아 부을 것이고 새로운 채널이 힘을 얻게 되면서 직간접적으로 여론에 영향을 미치게 될 거라는 사실입니다.

미디어오늘은 세상을 바꾸는 도구로써의 미디어의 가치에 주목해 왔습니다. 저널리즘이 더 이상 언론의 전유물이 아닌 것처럼 기업이 유사 저널리즘으로 여론을 움직이는 것을 경계해야 합니다. 미디어의 외형이 확장됐고 새로운 윤리 문제와 사회적 책임 문제가 대두될 것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이제 정치와 기업 뿐만 아니라 시민운동과 사회혁신 파트에서도 미디어를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980년 5월 광주에서 등사기로 밀어 만들었던 투사회보처럼, 주현우씨의 ‘안녕들하십니까’ 대자보처럼, 방혜성씨의 노란 리본처럼, 강남역과 구의역에 나붙었던 수많은 포스트잇처럼, 대한항공 노동자들의 제보 카톡처럼, 여전히 누군가는 아직도 기사 한 줄이라도 관심을 얻기 위해 전광판에 올라야 하지만 조금씩 달라질 것입니다. 이제 세상을 바꾸고 싶은 사람들은 누구나 목소리를 내고 소통할 수 있는 시대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용기를 내고 목소리를 내기 시작할 때, 그들의 목소리에 서로 귀를 기울일 때 더 나은 세상이 올 거라고 믿습니다. 

미디어오늘 기자들이 글로벌 브랜드 저널리즘 현장을 찾아 떠납니다.

미디어는 누가 소유하고 지배하느냐에 따라 민주적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이 될 수도 있고 정치 프로파간다로 변질될 수도 있고 마케팅 선전 도구로 활용될 수도 있고 행동하는 시민들에게는 세상을 바꾸는 무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브랜드 저널리즘 그 다음 단계는 무엇일까요? 언론의 역할도 달라질 것입니다. 권력을 감시하고 비판하는 것은 여전히 언론의 사명입니다. 그러나 단순히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준을 넘어 의제를 제안하고 토론을 주도하고 대안을 고민하는 새로운 역할을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미디어오늘의 기획 취재 ‘브랜드 저널리즘 현장을 가다’ 첫 순서로 스페인의 급진 좌파 정당 포데모스(Podemos)의 미디어 전략을 소개합니다. - 편집자 주

※ 이 기획 취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했습니다. 
※ 통역=최인회(서울)·최슬기(마드리드). 취재 도움=바꿈, 세상을 바꾸는 꿈.

 

포데모스(Podemos)와의 인터뷰는 결코 쉽지 않았다. 50여 통 이상 메일을 보내고 여러 차례 전화 통화까지 했지만 포데모스 국제팀은 한국 언론과 인터뷰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어렵게 소개 받은 담당자는 스페인 정치 상황이 급변하고 있어 확답을 줄 수 없다는 답변만 계속했다. 

실제로 인터뷰를 준비하던 지난 한 달여, 스페인 정치는 요동을 쳤다. 포데모스의 당 대표 파블로 이글레시아스(Pablo Iglesias Turrión) 부부가 호화 주택 매입 논란으로 불신임 투표 끝에 재신임을 받은 게 5월28일. 집권당인 국민당 출신의 총리 마리아노 라호이가 부패 스캔들에 휘말려 하원 불신임 투표에서 불신임 결의안이 가결된 게 6월1일이었다. 사회당 대표 페드로 산체스가 6월2일 신임 총리에 취임한 뒤에 불신임 결의안에 동참했던 포데모스를 내각에서 배제하겠다고 선언해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정국 개편의 소용돌이 와중에 어렵사리 6월4일 오전 포데모스 국제팀 팀장 호세 메디나와 인터뷰가 성사됐다. 이에 앞서 5월25일에는 서울을 방문한 포데모스의 소셜 미디어 디렉터 에마 알바레즈 크로닌을 인터뷰했고 6월4일 오후에는 스페인 의회를 방문해 포데모스 소셜 미디어팀을 인터뷰했다. 

포데모스는 스페인 말로 ‘우리는 할 수 있다’는 의미다. 2014년 1월16일에 창당한 뒤 4개월 만에 치러진 유럽 의회 선거에서 120만 표를 얻어 5명의 의원을 배출했다. 2015년 총선에서는 69석을 차지해 창당 1년여 만에 제3정당으로 자리를 잡았다. 2018년 6월 기준으로 350석 가운데 71석의 의석을 확보하고 있다.

 

▲ 사진=CC0
▲ 사진=CC0
 
포데모스는 2011년 5월15일, 이른바 15M 운동에 정치적 기반을 두고 있다. TV 토론자로 유명했던 대학 교수 파블로 이글레시아스가 주도해 풀뿌리 조직 서클(circle)과 온라인 네트워크 플라자 포데모스(Plaza Podemos)를 통해 직접 민주주의를 실험하면서 스페인 정치 지형을 뒤흔들었다. 창당 2년 만에 주류 정당의 반열에 들고 심지어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에서는 시장을 배출하기도 했다.

우리가 특별히 포데모스에 주목하는 것은 포데모스가 보여준 소셜 커뮤니케이션과 디지털 직접 민주주의의 가능성 때문이다. 2000개 이상의 소셜 미디어 채널을 운영하면서 다양한 정책 활동가들과 연대하고 시민들과 일상적으로 소통하면서 열린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대안 정당. 포데모스의 직접 민주주의 실험이 성공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시민들이 조직한 소셜 미디어와 토론 문화, 그리고 완전히 새로운 분산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과 열린 소통 방식이었다. 한국의 시민운동 진영과 진보 정당에 시사하는 바가 크고 미디어의 민주적 소유 지배에 맞는 롤 모델이라고 판단해서 인터뷰를 요청했다.  

 

▲ 15M 운동을 촉발했던 2011년 5월15일의 마드리드 솔 광장 시위. 사진=CC0
▲ 15M 운동을 촉발했던 2011년 5월15일의 마드리드 솔 광장 시위. 사진=CC0
 

다음은 포데모스 소셜미디어팀 빅토르 로페즈 곤잘레스(Victor Lopez)와 에마 알바레즈(Emma Alvarez Cronin) 등의 인터뷰를 종합한 것이다.

스페인 현지에서 이뤄진 국내 최초의 인터뷰다.  

 

- 한국은 지난해 촛불집회로 정권을 바꿨지만 우리는 여전히 한국 사회에 토론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정당을 바꾸는 게 아니라 우리가 어떤 세상에 살기 원하는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포데모스가 광장에서 시민들이 주도하는 토론을 끌어내는 데 성공한 요인이 뭐라고 생각하는가. 

“실제로 유럽의 많은 나라들에서 우파 국가주의가 확산되고 있는데 왜 스페인은 예외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스페인 국민들에게는 15M 운동의 경험이 있다. 2008년 금융위기 때 스페인의 청년 실업률이 43.5%에 육박했다. 2011년 5월15일 스페인의 젊은이들은 진짜 민주주의를 돌려달라는 구호를 내걸고 광장에 모여들었다. 15M 운동은 우파 국가주의자들과는 다른 제안을 내놓았다. 실업과 사회보장과 의료와 교육 등의 지출 삭감 등의 논의가 있을 때 비난 받아야 할 사람들은 이민자들이 아니라 엘리트들이라는 것이다. 광장 곳곳에서 총회가 열렸고 시민과 정당의 연대 조직으로 발전했다. 강제 퇴거를 저지했고 의료 민영화를 막아냈다. 경제 위기를 맞닥뜨린 스페인의 양대 정당인 사회당과 보수당이 일련의 신자유주의 정책에 합의했을 때 이러한 시민사회의 지속적인 요구를 구현할 새로운 정당이 필요했다. 15M 운동이 없었다면, 스페인에서도 프랑스나 다른 유럽 나라와 마찬가지로 우파의 세상이 됐을 것이다. 다행히도 15M 운동 덕분에 40년의 우파 독재에서 이제 막 벗어난 스페인은 다른 선택을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다른 나라들과 달리 새로운 방식의 열린 토론을 할 수 있었던 것도 중요한 경험이었다.” 

- 나는 포데모스의 온라인 직접 민주주의와 이를 가능하게 한 소셜 미디어 전략을 취재하러 왔다. 재스민 혁명을 비롯해 수많은 소셜 미디어 기반 사회 운동이 결국 실패했다. 소셜 미디어 기반 정치 조직이 스페인에서 처음 태동한 역사적 배경이 있다고 보나. 

“2014년 창당 이후 우리는 소셜 네트워크의 사회적 활용이 15M 운동의 가장 중요한 자산이라고 생각했다. 포데모스는 다른 정당에 비해 트위터 팔로워 수가 3~4배나 많다. 페이스북의 경우 다른 정당에 비해 15~20배나 많은 압도적인 팬을 확보하고 있다. 트위터는 해시태그를 통해 핵심 현안을 전달하고 확산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15M 운동 이후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사회 운동가들이 대거 출현했고 이들이 주축을 이뤄 창당한 정당이 포데모스다. 2011년부터 꾸준히 활동을 이어온 인적 자원과 3년 동안 축적된 그들의 노하우와 인프라가 포데모스에 흡수되면서 소셜 미디어를 통한 사회 운동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 2011년 5월15일, 15M 운동. 사진=CC0
▲ 2011년 5월15일, 15M 운동. 사진=CC0
 
- 포데모스는 무엇이 달랐다고 생각하나.

“주택 담보대출 피해자들의 모임이 주축이 된 강제 철거 반대(Stop Desahucios) 운동이 있었다. 스페인 경제 위기 이후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시민연대 플랫폼이 쏟아졌는데 그 가운데 가장 성공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트위터를 통해 강제철거가 진행될 시간과 장소 등을 시민들과 공유하고 반대 집회를 주도했다. 이들의 노하우가 지금도 포데모스의 소셜 네트워크 전략에 그대로 녹아있다. 물론 이러한 시민연대는 지금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이들이 모두 포데모스에 유입된 건 아니고 모든 연대들이 포데모스와 정치적으로 관련을 갖는 것도 아니다. 다만 상당수의 활동가들이 포데모스에 합류했고 정치적 방향성을 공유한다고 할 수 있다. 의료 민영화 반대 운동(Marea Blanca)이나 교육 사학화 반대 운동(Marea Verde)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모두 스페인의 정치·사회·경제 엘리트 세력의 헤게모니에 맞서 일반 시민들의 권리를 주장하는 거대한 연대를 구성하고 있다.” 

▲ 포데모스의 당 대표 파블로 이글레시아스. 사진=CC0
▲ 포데모스의 당 대표 파블로 이글레시아스. 사진=CC0
 
- 포데모스와 활동가들이 어떤 식으로 연대 활동을 하는지 궁금하다.

“포데모스에서 활동하는 온라인 사회 운동가와 이슈 메이커들은 모두 자원봉사자들이다. 스페인의 다른 정당들처럼 조직 안에 각각의 정치적 어젠다에 따라 지역에 따라 여러 주제의 토론 모임이 있는데 포데모스에서는 이러한 토론 그룹을 써클(Círculo)이라고 부른다. 지역마다 포데모스 지지자들의 집회(Assembly)가 형성되어 있고 이런 지역별 서클 외에 정책별 서클들이 따로 조직돼 있다. 의료와 교육, 스포츠, 동물 보호, 환경, 에너지 등등. 이러한 토론 모임에서 논의되는 내용들이 포데모스에서 당 차원의 정책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포데모스는 다른 정당들과 달리 중앙집권 체제를 벗어난 유연한 서클 문화를 장려한다. 오프라인 서클에서 논의되지 못하는 수많은 내용들이 온라인 정책 서클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 서클들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자체적으로 운영된다. 포데모스 미디어팀은 이러한 토론 이슈가 정책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지원할 뿐 관리하거나 개입하지 않는다. 지역 단위의 서클의 활동도 활발하다. 스페인 무르시아(Murcia) 지방의 한 작은 마을의 분쟁상황이 주류 언론에 기사화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이런 서클들이 시민들의 고발 창구로써 활발히 기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 시민들의 의견이 주류 언론에 반영되는 장벽을 낮추었다는 데 크게 의미가 있다. 이번에 라호이 총리를 끌어내리는 과정에서도 온라인 투표를 실시했는데 무려 50만 명이 참여해 99%의 찬성 표를 던졌다. 포데모스 당원이 아니라도 누구나 온라인 등록만으로 참여할 수 있는 투표였다.”

▲ 소셜 미디어 기반 대안 정당, 포데모스는 창당 2년 만에 69석을 확보해 스페인의 제3정당으로 부상했다. 사진=CC0
▲ 소셜 미디어 기반 대안 정당, 포데모스는 창당 2년 만에 69석을 확보해 스페인의 제3정당으로 부상했다. 사진=CC0
 
- 포데모스 이전에는 시민운동이 정치에 참여하는 통로가 없었나.

“15M 운동 때 유행했던 슬로건 가운데 하나가 ‘No nos representan(그들은 우리를 대표하지 않는다)’였다. 물론 15M 이전에도 사회 활동가들이 존재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고 정치적인 어젠다 제시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소통했다. 하지만 그들의 행보가 조직적인 움직임으로 확산되고 사회적으로 파급력을 지니게 된 건 15M 운동 이후다. 마드리드 솔 광장에 운집한 첫 집회의 상황이 전국적으로 퍼져나간 건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였다. 많은 사람들이 주류 언론에서 침묵하고 다루지 않는 15M 시위 상황을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생생하게 중계했고 젊은이들 사이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됐다. 많은 사람들이 시위 진압 예고나 진압 상황, 집회 관련 소식 등을 전달받기 위해 트위터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페이스북과 왓츠앱 등을 통해 전달된 여러 주장과 의견이 시민운동의 기초가 됐다. 주류 언론은 이들의 주장을 사회 질서를 헤치고 혼란을 야기하는 반국가적인 행태로 규정하고 오히려 탄압에 앞장섰다. 물론 그럴수록 더 많은 시민들이 너도 나도 트위터와 페이스북 계정을 만들며 15M 운동을 지지했다.” 

- 주류 언론에 대한 불신이 소셜 미디어의 폭발을 불러왔다고 볼 수 있겠다.

“실제로 M15 집회 현장에서는 의료 민영화와 교육정책 등의 다양한 주제로 거리 토론회와 세미나가 열렸다.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소셜 네트워크 활용 세미나도 자주 열렸다.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설치하고 간이 천막 아래서 진행된 세미나에서 트위터와 페이스북 계정을 만드는 방법부터 트윗을 중계하고 리트윗하는 방법 등을 설명했다. 지금도 포데모스 조직에서는 커뮤니케이션팀 주도로 이런 세미나를 계속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가 확산되면서 다양한 사회적 정치적 이슈를 중심으로 같은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조직적으로 연대하기 시작했다. 15M 운동 관련 페이스북 그룹과 복지예산 긴축 정책에 반대하는 해시태그가 쏟아지기 시작했다. 낡은 정치 세력의 부정부패에 맞서 참여하고 연대하는 시민들의 유일한 무기가 바로 소셜 미디어와 소셜 네크워크였던 것이다. 2011년 5월 광장의 시민들이 만든 정당이 바로 포데모스라고 할 수 있다.” 

 

▲ 포데모스 소셜미디어팀 빅토르 로페즈 곤잘레스(Victor Lopez) (오른쪽)와 인터뷰. 사진=이정환 기자
▲ 포데모스 소셜미디어팀 빅토르 로페즈 곤잘레스(Victor Lopez) (오른쪽)와 인터뷰. 사진=이정환 기자
 
- 소셜 네트워크 세미나는 어떻게 운영되나.

“첫째, 포데모스 소속의 정치인들, 둘째, 커뮤니티 매니저 등 소셜 미디어 관련 당직자들, 셋째, 온라인에서 주로 활동하는 포데모스 기반의 사회 운동가들이 대상이다. 소셜 미디어 파트 당직자나 사회 운동가들 상당수는 좀 더 전문적인 지식을 다루는 세미나에 참여하기도 한다. 핵심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아닌 사람들을 대상으로 좀 더 효과적인 소셜 미디어의 활용을 권장하는 것이다. 포데모스 소속 의원이라면 소셜 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크 사용이 필수적이다. 60~70대 정치인들도 적극적으로 시민들과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스페인 정통 좌파 정당인 사회노동당의 경우 포데모스보다 지지층이 훨씬 두터운데도 소셜 미디어 노출이 거의 없다. 지지자들의 상당수가 중장년층이고 이들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 채널이 굉장히 많은데 어떻게 관리하나. 

“2000개 정도의 채널이 운영되고 있는데 정치인 계정 500여 개를 제외한 나머지 채널은 서클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공식 채널이다. 스페인 역사 바로보기를 주제로 모이는 서클은 페이스북 그룹을 운영하고 있다. 포데모스 확성기(Equipo de difusión Podemos)라는 서클의 경우 6만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 5000명 이상의 팔로워들 보유한 그룹이 100개 정도 있다. 이런 페이스북 그룹이나 트위터 계정 등에서 이뤄지는 토론이나 게시물들은 일일히 관리하지 않는다. 관리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지지자들만 활동하는 것도 아니고 가끔 안티들이 욕설이나 비방 글을 올리기도 하지만 그 역시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열린 토론 문화를 스포츠처럼 즐기는 소셜 네트워크 유저들이 포데모스의 주요한 지지 기반이다. 우리는 이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수렴하지만 관리하려 들지는 않는다. 의견의 다양성을 존중하기 때문이다.”

- 스포츠처럼 즐기는 토론 문화라는 설명이 흥미롭다. 통제되지 않은 목소리가 나가는 것에 대해 조심스러워 하는 분위기는 없나. 최소한의 공통된 기조는 있을 것 아닌가.

“통일된 메시지라는 건 없다. 가능하지도 않고. 정당 대변인의 채널 등만 관리하고 나머지는 자율적으로 운영되도록 지켜보되 유저들의 의견이나 사회적인 니즈를 적극 수렴해 정책에 반영하려고 노력한다. 우리가 관리하거나 권장하지 않아도 포데모스가 추구하는 가치와 맞닿는 다양한 의견들이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M15 운동 때부터 사회 저변에 깔려있었던 문화인데 이런 논의가 포데모스 창당 이후 정책으로 이어지거나 사회적 어젠다로 확산될 수 있는 장이 열린 것이다. 포데모스의 목소리는 정당이 아니라 시민들에게서 나온다고 생각한다. 물론 포데모스 내부에서는 소셜 미디어 관련 당직자들이 주간 회의를 통해 일반 매체들이나 포데모스 공식 채널을 통해 게시 또는 유포되는 콘텐츠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해서 대략적인 가이드 라인을 만든다.” 

 

▲ 6월6일 스페인 마드리드 포데모스 당사 회의실에서 국제팀 매니저 호세 메디나 마테오스가 미디어오늘 기자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이정환 기자
▲ 6월6일 스페인 마드리드 포데모스 당사 회의실에서 국제팀 매니저 호세 메디나 마테오스가 미디어오늘 기자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이정환 기자
 
- 15M 운동에서 출발했지만 정당으로 발전하면서 좀 더 체계가 잡힌 것 같다.

“포데모스에서 왜 소셜 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세 가지 이유를 말하고 싶다. 첫째, 시민 참여의 중요성이다. 포데모스에서는 모든 이슈를 시민들이 온라인 집회(Online Assembly)에서 결정한다. 간단한 온라인 투표자 등록 절차를 따라 등록한 모든 사람들(정당 정기적 후원자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이 투표권을 갖는다. 투표가 모두 온라인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소셜 네트워크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디지털 투명성은 창당 때부터 포데모스의 대표적인 정체성이다. 포데모스에서는 선출된 정치인들이 시민들의 의견을 올바르게 반영하고 대표할 수 있도록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라이브 토론회를 개최한다. 실시간 온라인 토론회를 통해 시민들이 다양한 질문을 던지고 의견을 제시한다. 접속 중인 정치인들이 답변을 하고 토론에 참여하면서 시민들과 소통하는 것이다. 파블로 이글레시아스도 직접 라이브 토론회에 참여한다. 요즘 젊은이들은 집에 TV가 없는 경우도 많고 정치적 사안에 대한 주요 뉴스를 놓칠 때가 많다. 게다가 15M 운동 이후 많은 젊은이들이 기존 매스 미디어를 보이콧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국민의 대다수는 TV를 통해서 뉴스를 접한다. 그래서 포데모스는 국무회의나 TV 토론회 하이라이트 영상, 포데모스의 주요 정책 결정 등을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온라인에 영상을 제공한다. 시민 참여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셋째, 포데모스의 정치자금 조성을 위해서도 소셜 미디어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포데모스 정당 소속 정치인들은 다른 정당과 비교해 3분의 1 정도의 수입을 받는다. 나머지 자금은 소셜 네크워크를 통해 제시된 공익 프로젝트에 투자하는데 프로젝트의 대부분이 시민들이 제안하거나 의견을 낸 것으로 역시 온라인 투표를 통해 채택된다. 이 모든 것들은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포대모스는 스페인 정당 가운데 정치자금 조성을 위해 은행 대출을 받지 않는 유일한 정당이다. 지지자들의 후원금으로 정당을 운영하고 있다. 후원금 조성을 위해서 온라인 크라우드 펀딩(Crowdfunding)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후원금은 개인 1000유로 이하로 제한되고 후원금 평균 액수는 1인당 10유로 정도다. 은행 및 거대자본에 종속되지 않기 위해 후원금 관리도 최대한 은행의 역할을 배제하는데 후원금의 사용 현황은 인터넷 사이트에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고 투명하게 공개된다. 당직자들의 월급부터 정치인들의 주요 정치자금 운용 현황까지 낱낱히 공개하고 있다.” 

- 커뮤니케이션팀과 소셜 미디어팀의 조직 구성을 설명해 달라. 어떤 방식으로 업무를 분담하고 있나. 

“헤드쿼터 아래 커뮤니케이션 업무를 맡고 있는 당직자들이 40~50명 정도 된다. 소셜 미디어와 프레스, 미디어 영상, 디자인 그리고 사진 등 역할에 따라 세부 파트로 나뉜다. 소셜 미디어팀은 우리를 포함해 10명이다. 지역 사무실에도 커뮤니케이션팀이 4~5명으로 꾸려진다. 포데모스는 스페인의 다른 정당과 비교해 커뮤니케이션 파트에 파격적인 예산을 편성하는데 이는 포데모스의 주요 지지층이 45세 이하인 것과도 크게 관련이 있다. 만일 45세 이하만 투표가 가능하다면 포데모스의 집권도 얼마든지 가능할 거라고 본다. 포데모스는 주요 지지층이자 디지털 네이티브인 18~45세 사이의 유권자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소셜 네트워크 사용을 활발히 하고 예산의 적지 않은 부분을 커뮤니케이션 부서에 편성하고 있다.” 

- 2000개의 채널을 관리하는 것 말고 시민들의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프로세스도 있나. 

“당연히 있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 많은 소셜 네트워크의 계정과 다양한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다양한 피드백과 해시태그를 분석해 어떠한 게시물들이 어떤 방식으로 전달될 때 크게 반향을 일으키고 공감을 끌어 내는지 분석한다. 그러한 노력의 결과로 탄생한 것이 ‘그루텔이 온다(Gurtel is coming)’는 정치 풍자 영상이었다. 그루텔이라는 부정부패 게이트를 인기 미국 시리즈인 ‘왕좌의 게임’에 빗대어 풍자한 것이다.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수많은 트윗과 리트윗 그리고 관련 게시물들이 확산됐다. 이처럼 트레이딩 토픽(Trading Topic)을 이용한 시민 고발이 매우 효과적이었다. 포데모스 이전부터 15M을 주도한 시민연대의 기본 가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지 다양한 방식을 고민하고 있다.”

 

▲ 15M 운동은 스페인 민주주의의 새로운 역사를 만들었다. 15M 운동의 경험이 고스란히 포데모스의 창당으로 이어졌다. 사진=CC0
▲ 15M 운동은 스페인 민주주의의 새로운 역사를 만들었다. 15M 운동의 경험이 고스란히 포데모스의 창당으로 이어졌다. 사진=CC0
 

- 메시지의 성과 측정도 하나. 데이터 전문가가 조직 내에 있나.

“데이터 분석과 성과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고 있지만 모두 자원봉사자들이다. 포데모스와 정치적인 뜻을 같이 하는 이들이 자발적으로 소셜 네크워크를 통해 유입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우리들과 공유하고 있다. 데이터 분석 관련 전문 지식들과 온라인 툴 사용법을 커뮤니케이션 파트 당직자들과 세미나 등을 통해서 교육하고 있다. 캠페인마다 그래프와 다이어그램을 통해 시각화한 분석 자료를 만들고 왓츠앱이나 텔레그램을 통해 공유한다. 어떤 콘텐츠가 트윗되고 리트윗되는지, 어떤 지역에서 어떤 주제에 좋아요가 많이 달리는지, 단순히 시민들의 참여도 뿐만 아니라 어떤 방식이 가장 효과적인지를 다각도로 분석한다. 트위터는 그중에서도 오픈 API를 지니고 있어 효과적인 통계 분석이 가능하다. 오픈 알고리즘 방식을 채택하는 페이스북도 체계적이고 유용한 분석 자료를 뽑아낼 수 있다. 오픈 알고리즘은 더 많은 유저가 참여 할수록 노출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엄청난 파급력을 지닌다. 페이스북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라이브 폴(Poll)을 이용한 사회적 이슈 찬반 투표나 온라인 게임 세대를 겨냥하여 부패 정치인의 이름 또는 부정부패 관련 키워드를 맞추는 인터랙티브 게임을 제공하는 것도 매우 효과적이었다. 소셜 네크워크가 확산되기 전까지 사람들은 TV나 신문 등 기존 매체에서 정치인들이 부적절한 발언을 하더라도 그런 분노를 표출할 마땅한 표현의 장이 없었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면 주류 언론의 왜곡 보도를 바로 잡거나 일부 정치인들의 잘못된 발언에 대해 얼마든지 반박할 수 있다. 물론 소셜 미디어도 얼마든지 악용될 소지가 있다. 지금 포데모스는 겉으로는 대안 언론을 표방하는 반대 세력의 가짜 뉴스에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 그들은 실체가 없는 포데모스의 부정 부패 루머 등을 뉴스 형식을 빌어 퍼뜨린다. 모든 소셜 미디어가 대안 언론이 될 수 있다는 일반화의 오류는 이런 인터넷 상에 떠도는 정보들이 마치 사실인 것처럼 확산되게 한다. 지금도 반대 세력의 소셜 미디어를 통해 수많은 네거티브들이 영상 콘텐츠의 형식으로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거대 자본들의 사주를 받았을 것으로 의심되는 이런 네거티브 콘텐츠들은 포데모스를 부정하고 호도함으로써 자신들의 정당성을 회복하려는 양상을 보인다.”

- 한국도 마찬가지지만 갈수록 텍스트 콘텐츠는 몰입도가 떨어지는 것 같다. 포데모스도 동영상에 투자를 많이 하나. 

“많은 콘텐츠를 영상으로 제작한다. 다른 정당과 비교하면 우리가 제작하는 영상 콘텐츠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다른 정당들은 외주 프로덕션을 통해 선거 캠페인 기간에만 일시적으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지만 우리는 조직 내부에 많은 테크니션 당직자들이 계속해서 직접 제작한 양질의 영상 콘텐츠들을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공급하고 있다. 외주는 거의 없다. 모든 것을 내부에서 자체 조달한다. 배우 대신 시민 자원봉사자나 당직자가 영상에 등장하고 각본과 연출, 미술 등 모든 것을 우리가 직접 한다. 포데모스는 인적 자원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한다. 성공적인 사례로 지난 3월8일 있었던 여성 파업 지원 영상이 있다. 포데모스는 페미니스트 연대 기관들이 주도한 여성 파업을 지지하는 영상을 제작했고 이런 영상을 주요 소셜 미디어를 통해 내보냈다. 파업이 추구하는 가치와 목표, 이들의 주장을 담은 영상은 아주 심플한 플롯을 토대로 만들어졌다. 요즘 트렌드를 반영해 인터랙티브한 요소를 가미했다. 여성 파업은 성공적으로 진행됐고 여성 파업을 공산주의적이고 반자본주의적이라 반대했던 다른 주요 정당들도 파업 이후 스페인에서 이런 사회적인 운동이 일어나고 있는 것은 아주 고무적인 일이라고 앞다퉈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 

 

▲ 선풍적인 인기를 불러 모았던 포데모스의 정책 공약집. 다음 링크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https://lasonrisadeunpais.es/wp-content/uploads/2016/06/Podemos-Programa-Electoral-Elecciones-Generales-26J.pdf
▲ 선풍적인 인기를 불러 모았던 포데모스의 정책 공약집. 다음 링크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https://lasonrisadeunpais.es/wp-content/uploads/2016/06/Podemos-Programa-Electoral-Elecciones-Generales-26J.pdf
 
▲ 선풍적인 인기를 불러 모았던 포데모스의 정책 공약집. 다음 링크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https://lasonrisadeunpais.es/wp-content/uploads/2016/06/Podemos-Programa-Electoral-Elecciones-Generales-26J.pdf
▲ 선풍적인 인기를 불러 모았던 포데모스의 정책 공약집. 다음 링크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https://lasonrisadeunpais.es/wp-content/uploads/2016/06/Podemos-Programa-Electoral-Elecciones-Generales-26J.pdf
 
- ‘이케아 카탈로그’도 꽤 효과가 컸던 것 같다. 정책 공약집을 이케아 카탈로그 스타일로 만들었던데.

“맞다. 우리는 정치자금 조성을 위해 소액의 후원금 외에는 받지 않기 때문에 이 카탈로그를 8유로라는 적지 않은 가격에 판매했는데 모두 완판됐다. 해외 언론에도 많이 소개됐던 것으로 알고 있다.” 

▲ 포데모스 국제팀 호세 메디나 마테오스(José Medina Mateos). 사진=이정환 기자
▲ 포데모스 국제팀 호세 메디나 마테오스(José Medina Mateos). 사진=이정환 기자
 
다음은 스페인 정치 상황과 관련해 포데모스 국제팀 매니저 호세 메디나 마테오스(José Medina Mateos)와의 인터뷰를 정리한 것이다.

- 이번 총리 불신임 결의에도 포데모스가 캐스팅 보트 역할을 했다. 포데모스가 짧은 시간에 주류 세력으로 성장한 것이 사실이지만 아직 확장성이 부족하고 정책에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다. 

“포데모스는 15M 이후 사회적인 요구를 현실 정치에 반영하고자 했던 많은 사람들의 바람과 변화에 대한 열망으로 탄생한 정당이다. 우리는 시대적인 요구를 정치에 즉각 반영하고자 늘 노력하고 있고 그러한 결실로 얼마 전 탄핵을 단행했다. 포데모스가 확장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는 크게 동의할 수 없다. 결국 정당은 의석 수로 이야기한다. 포데모스의 의석 수는 총 71석이다. 우리 정당의 강력한 탄핵 단행의지가 큰 힘을 발휘 할 수 있었던 것은 포데모스가 이미 현실 정치에 단단히 뿌리내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 나라의 수도인 마드리드와 국제적 요충치인 바르셀로나의 시장을 배출한 정당은 이미 정치권 주류 세력에 편입되어 있다고 봐도 될 것이다. 포데모스가 창당 4년 차에 접어드는 신생 정당이라는 점을 감안해 보았을 때 이는 무척 고무적인 일이다. 우리의 정책이 현실성이 없다는 비판에는 더더욱 공감할 수 없다. 우리는 이미 수많은 사회적 요구를 현실 정책들로 반영하고 이뤄냈다. 마드리드시의 성공적인 운영 사례가 증거다. 탄핵 이후 출범한 시범 정부에서 포데모스에 정당한 제안을 해온다면 내각에 힘을 보탤 능력도 충분하다고 본다.” 

- 한국도 마찬가지지만 분노하는 청년들은 세계 어디에나 있다. 그러나 스페인에서 특히 기존의 메인 정당들을 위협 할 정도로 크게 성장한 진보 정당이 발전한 것에는 특별한 이유가 있다고 보나. 

“포데모스가 발현한 정치적 배경에 있다고 본다. 스페인 국민들은 전통 좌파 정당과 보수 우파정당이 세력을 나눠가지고 순차적으로 내각을 구성하는 양당정치에 큰 피로감과 무력감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한 정치적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정당이 포데모스이고 실제로 많은 이들의 지지를 받았다. 포데모스의 주역들이 직접 정당을 창당하고 현실 정치에 뛰어들 수 있었던 배경에는 작은 정당도 쉽게 의석을 확보 할 수 있는 유럽의회의 투표방식이 있다. 스페인 정치의 특수성과도 맞닿아 있다. 만약 스페인의 메인 두 정당이 진정으로 국민들을 요구를 정책으로 반영하는 대표자 역할을 충실히 이행했다면 포데모스가 설 자리는 만들어 지지 않았을 것이다.”

- 포데모스는 낡은 정치와 보수적인 언론의 공세에 맞서야 했다. 10여 년 전 한국의 노무현 전 대통령도 좌파 포퓰리즘이라는 공격에 부딪혀 개혁 정책이 좌절한 경험이 있다. 포데모스는 기득권 세력의 저항을 어떻게 돌파했는가 궁금하다.

“쉬운 문제는 아니다. 다만 공격은 끊이지 않고 터무니 없는 정치 공세에 정면 대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않다. 보수 언론이 포데모스를 포퓰리스트라고 공격하고 베네수엘라와 연관돼 있다고 비난했을 때 우리는 다른 주제를 이야기하면서 공격을 무시했다. 나중에는 소수의 극우 보수 집단과 일부 마이너 매체들만 남았다. 주류 언론은 우리가 광범위한 대중의 지지를 받는 것을 보고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일방적인 정치 공세로 지지율을 떨어뜨릴 수 없다는 걸 알아차린 것이다. 스페인에서는 정치 토론 프로그램이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했는데 두 가지 측면이 공존하는 것 같다. 그들은 계속 공격할 것이고 쉽게 바뀌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생존을 위해 싸워야 했고 그 과정에서 상당한 타격을 입기도 했다. 그게 우리가 지난 선거에서 충분한 표를 얻지 못했던 이유이기도 하고 많은 사람들이 우리가 실제로 집권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부당한 공격에 반응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우파 저널리스트가 당신을 이란이나 베네수엘라와 엮으려 한다면 그런 논의에 시간을 쏟지 않는 게 좋다. 정치 공세에 말려들수록 지지율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그럴 시간에 선거 공약에 대해 이야기하는 게 훨씬 유리할 거라고 생각한다.” 

- 파블로 이글리아스의 호화주택 논란을 당내에서는 어떻게 보고 있는가?

“물론 이해하기 어렵다는 여론이 있는 것은 알고 있다. 하지만 결국 이런 논란을 야기한 것은 추측성 보도와 해당 정치인에 대한 사생활 침해를 바탕으로 늘 그렇듯 여론을 움직인 주류 언론이다. 잘 아시다시피 포데모스는 파블로 이글레시아스의 신임 여부를 투표에 붙였고 대다수의 지지자들이 문제가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우리는 정당한 투표 절차를 거쳐서 민주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고 본다. 근본적으로 두 가지의 상황이 겹쳐 이러한 사태를 야기한 것인데 첫째, 주류 언론의 무분별한 악의적 공세, 둘째, 이번 사태가 포데모스 정치인들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기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는 것이다.” 

 

다음은 5월25일 포데모스의 소셜 미디어 디렉터 에마 알바레즈(Emma Alvarez Cronin)의 한국 강연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포데모스의 양해를 얻어 전문을 그대로 전재한다.  
※ 번역=바꿈, 세상을 바꾸는 꿈. 

15M 운동과 인디그나도스(indignados) 운동의 근원 

2008년 스페인은 남유럽의 여러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글로벌 위기로 휘청거렸다. 유럽 연합에 불균형한 영향을 미쳤고 중앙은행이 자국 금융 정책의 모든 자치권을 잃고 정부가 IMF 및 유럽 의회의 긴축 요구에 따르면서 더욱 심화됐다. 위기의 결과는 생산 시스템의 중심에 금융 투기와 부동산 붐을 일으키면서 스페인 경제를 카지노로 바꿔놓은 은행과 민간 기업이 아니라 시민들에게 전가됐다.

그 이후 경제적 상황 뿐 아니라 총체적 정치 체제에 대한 사회 불만이 고조되기 시작했다. 2009년 PAF(담보 대출 피해자 플랫폼)이 창설됐다. 당시 나타난 사회 조직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큰 단체로 당시 발생하기 시작한 수천 건의 강제 퇴거를 막고 극단적 상황에 고통 받는 가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조직은 15M 운동의 열기 속에서 크게 성장했다. 

2010년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의 사회주의 정부 아래서 정부의 노동 개혁에 반대한 총파업이 시작됐다. 같은 해 스테판 에셀의 ‘분노하라’가 출간됐다.

청년들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실업률이 10%에서 20% 이상으로 뛰자 청년 실업률은 40%를 넘어섰다. 청년들은 비난에 시달렸다. 일도 공부도 하지 않고 아무 노력도 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NINI 세대라는 신조어가 등장했고 이들을 전형적인 게으른 세대로 비난하는 분위기가 확산됐다. 그러나 2011년 마드리드의 3개 대학에서 ‘미래 없는 청년’이라는 대학 그룹이 구성되고 다른 지방으로 퍼져나갔다.

15M 운동은 경제적 사회적 요구에 관한 것 뿐만 아니라 스페인 정치 체제에 문제를 제기하고 국민의 관심사와 요구, 두 주요 정당의 역할에 대한 요구를 진정으로 대변하지 못한 데 이의를 제기한 민주주의 운동이기도 했다. 이 운동이 우파 경제 정책을 시행해야 했던 사회주의 정부에서 발생했다는 사실은 스페인 양당 체제의 위기를 나타내는 징후였다. 2011년 5월15일 한 달 전에는 데모크라시아 레알야(Democracia Real Ya, 이제는 진정한 민주주의를)이라는 플랫폼이 등장했다.

▲ 포데모스의 소셜 미디어 디렉터 에마 알바레즈(Emma Alvarez Cronin).
▲ 포데모스의 소셜 미디어 디렉터 에마 알바레즈(Emma Alvarez Cronin).
 
2011년 5월15일 데모르카시아 레알야는 60개 이상의 도시에서 집회를 열었다. 집회는 양당 체제와 기업 권력, 긴축 정책에 반대하고 정의와 참여적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행진이었다. 주요 슬로건은 “우리는 정치가와 은행가의 손에 놀아나는 꼭두각시가 아니다”였다.

이런 메시지는 미디어를 통해 빠르게 번져 나갔다. 그 속에서 활동가들은 이미 자체적으로 조직화하기 시작했고 수천 명의 사람들이 참여했다. 그날 밤 집회가 끝난 후 마드리드 솔 광장에는 많은 사람들이 그대로 남아 캠프를 차리려고 했으나 경찰이 강제 해산했다. 다음날은 솔 광장 뿐만 아니라 전국의 광장에 캠프가 차려졌고 모든 연령대에서 다양한 사상과 사회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넘쳐났다. 솔 광장은 이 운동의 핵심적인 상징이 됐다. 

처음 인디그나도스 운동은 지방 선거가 있는 5월22일까지 광장에 남기로 했다. 그러나 6월12일에서야 캠프를 해산했다. 캠프는 훌륭하게 조직화됐으며 위원회와 지속적인 집회를 열어 더욱 민주적인 체제를 만들고 자신들을 대변해 주지 않는 정치 체제를 끝내기 위한 제안과 아이디어를 분석했다. 사람들의 주된 요구는 정치적 특권 제한 양당 체제를 지원하는 선거 제도의 개혁, 정치 참여를 위한 새로운 메커니즘 창출, 더욱 엄격한 금융 시스템, 반부패 조치, 공공 교육과 보건 시스템, 모든 공공 서비스의 보호, 노동권 지속가능한 개발, 강제 퇴거 중단에 관한 것이었다.

15M은 스페인이 민주주의로 전환한 이래 경험했던 어떤 다른 사회 운동과도 확연한 차이가 났다. 총체적 체제와 국가를 통치하던 정치 경제 엘리트의 합법성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전환 이후 가장 정치적인 사건이 됐다. 메시지와 담론도 전통적인 좌파 정당들과 매우 달랐다. 사회주의 정당은 신자유주의에 넘어가 상당한 한계를 보였고 국민의 요구와 연결될 수 없었다. 모든 꼬리표를 거부하고 스페인의 정치와 사회를 분석하는데 사용된 틀, 더 구체적으로 우리가 경제 위기를 분석하는 방식을 완전히 바꿔놓은 시민운동이었다.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는 위기의 초기에 대중 매체와 기업, 정치 엘리트가 스페인 사람들에게 보내려고 하는 메시지의 요점을 말해주는 표현을 사용했다. “우리가 분수에 넘치는 생활을 해왔다.” 

위기를 초래한 것은 시장 규제 완화나 투기 거품이 아니라 경제 호황기 동안 너무 많은 은행 대출을 요구한 일단 사람들이라는 것이었다. 15M 운동은 사람들의 고통과 명확한 메시지를 보내 이러한 문제를 공동의 관심사로 만들었다. 강제 퇴거, 실업, 직업을 찾아 나라를 떠나야 하는 청년 등은 더이상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었으며 비난 받을 대상은 국민이 아니라 체제였다. 

15M의 또 다른 특별한 결과는 사람들의 정치적 역량 강화에 관한 것이었다. 수년 간 정치적 불만을 품은채로 지내오던 개인들은 정치가 일상 생활과 관련이 있으며 자신이 뭔가 할 수 있다는 것을 불현듯 깨달았다. 거리와 광장은 회의하는 사람들, 토론하는 사람들, 시위하는 사람들로 가득했으며 이를 통해 운동은 점점 성장하고 사람들은 어느 순간 무엇인가 바뀌어야 한다고 믿게 됐다. 

처음에는 언론과 정치 지도자들은 이 진정한 주류 운동을 게으르고 더럽고 혼란을 불러 일으키는 몇몇 사람들의 작은 시위라고 표현했다. 그러나 이후 이 운동을 향한 엄청난 지원과 대중적 참여로도 인해 그 실질적인 힘과 규모를 깨닫기 시작했다. 보수적인 소규모 매체들만이 인디그나도스 운동을 비합법화하려는 논조를 유지했다. 

사람들은 솔 광장과 카탈루냐 광장을 비롯해 15M 운동 중 점거했던 모든 광장을 떠날 때 그냥 집에 돌아간 것이 아니었다. 특히 강제 퇴거에 반대하는 PAH 플랫폼 등 인디그나도스 운동에 앞장 섰던 운동들은 그 이후 몇 년 동안 강화됐다. 동시에 사람들은 특정 분야에 대해 조직화하는 물결을 만들기 시작했다. 공공 교육 체계를 위한 녹색 물결, 공공 보건 시스템을 위한 하얀 물결, 나라를 떠나야 하는 젊은이들을 위한 붉은 물결, 사회 서비스를 위한 주황색 물결, 여성 권리를 위한 자주색 물결 등이다. 

그러나 보수당이 이미 집권한 채로 2014년이 돼서야 비로소 이러한 사회적 불만과 15M이 제시한 정치적 계획이 정당으로 전환됐다. 포데모스는 인권과 부패 반대를 위해 오랫동안 정치적 활동을 했던 사람들에 의해 창당됐다. 정치 지도자 파블로 이글레시아스는 정치 토론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유명해진 지식인이자 대학교수였다. 첫번째 목적은 유럽 의회 선거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자원이나 미디어의 지원이 없고 전통적인 양당 체제에서 완전히 새로운 당이었던 포데모스는 거의 자발적인 지원에 힘입어 가까스로 선거운동을 했다. 소셜 미디어와 집회에서 익명의 사람들이 스스로 조직화돼 전단지를 나눠주고 포스터를 붙이며 소셜 미디어에서 선거운동과 그룹을 준비하고 토론 채널을 열고 창당의 기반을 마련해 얼마 되지 않아 전국으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가장 후한 점수를 준 여론조사에서도 1석에 그칠 거라고 예측했지만 포데모스는 유럽의회에서 5석을 얻었다. 그리고 꾸준히 우리의 정치 체제와 사회를 완전히 변화시켰다. 포데모스는 15M이 반대해 왔던 양당 체제를 깨뜨렸다. 사회당과 보수당은 둘 다 긴축 체제에 동의하고 국민들에게 다른 선택의 여지를 남겨두지 않았다. 포데모스는 수천 명의 사람들이 실제로 더 좋아질 수 있고 소수가 아니라 대중을 위한 정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해줬다. 

더 폭넓은 민주주의를 위해 포데모스는 한 가지 주요한 원칙을 따랐다. 포데모스가 전국적으로 제안했던 이니셔티브를 당 내부에서 실행하는 것이다. 당은 인디그나도스 운동의 수평적 조직화와 더 많은 정치 참여에 대한 요구에 따라 사람들이 서로 연결돼 정치 프로그램이나 전략적 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내부 구조인 씨르쿨르스 또는 서클을 만들었다. 또한 내부 및 외부 후보를 선출하는 주요한 형식으로 예비선거를 도입했다. 다른 어느 당에서도 예비선거를 거행한 적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포데모스는 이를 완전히 공개했기 때문에 혁신적이었다. 예비선거와 협의 등에 관한 내부 절차에 투표하기 위해 돈을 지불하거나 공식 당원이 되지 않고도 포데모스 유권자로 등록하기만 하면 됐다. 

사회 경제적 요구와 관련해 포데모스의 목표 가운데 하나는 합법적으로 보이는 부패를 포함해 모든 형태의 부패를 척결하는 것이었다. 처음부터 당은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사이에 존재하는 회전문을 비난했다. 정치인들은 정치를 그만뒀을 때 경영진에 들어앉는 대가로 대기업과 은행, 전력회사에 유리한 법을 제정했다. 이런 행위는 기본적인 자원에 대한 사람들의 접근에 영향을 미치고 경제 위기의 조건을 만드는 데 일조하며 결과적으로 불평등을 심화시켰다. 포데모스는 모든 공공 서비스에 대한 재정 지원을 정상화하고 노동권을 보호, 회복하며 강제 퇴거를 중단하고 더욱 강력한 공공 주택 정책을 세우며 성폭력과 불평등에 맞서 싸우기 위해 더 많은 자원을 제공하고 더욱 진보적인 체제를 위한 세제 개혁을 위해 노력한다. 또한 인디그나도스 운동이 옹호하기도 했던 다른 여러 제안들을 내놓고 있다.

▲ Podemos supporters in Madrid, 31 January 2015. 사진=위키커먼스.
▲ Podemos supporters in Madrid, 31 January 2015. 사진=위키커먼스.
 
그 이후 2015년 5월 포데모스의 큰 선거인 지역 선거와 지방 선거가 있었다. 그들은 지방 차원에서 포데모스를 대표하는 사람들이 다른 사회와 정치 조직을 포괄해 더욱 광범위한 기반의 후보를 배출할 수 있도록 지역 선거에서 포데모스로만 참여하도록 하는 전략적 결정을 내렸다. 포데모스는 특히 아스투리아와 아라곤, 발렌시아, 까스띠아이라만차, 에스뜨레마두라 등 모든 지역에서 폭넓게 대표자를 확보해 사회민주당이 사회 및 경제 정책의 변화를 수용한 이후에는 보수당을 사회주의 정부로 대체하고 긴축에서 벗어났다. 가장 중요한 것은 포데모스가 추진한 시민 후보 대다수가 지방 선거에서 승리했으며 현재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 카디스, 발렌시아 등 주요 도시를 관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제도권과 풀뿌리 운동이 매우 다른 논리와 역동성을 갖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리고 우리는 시시각각 나라를 바꾸고 있는 것처럼 보였지만 사실은 변화도 그 자체의 속도가 있다. 

포데모스는 2015년 12월과 2016년 6월 총선에서 대중적 지지를 얻었지만 승리하지 못했다. 현재 포데모스는 더이상 두 정당이 좌우하지 않는 의회에서 주요 야당으로 있다. 체제는 더욱 다원화됐고 포데모스에 수렴된 새 지역 정당을 포함하는 동시에 국민당의 부패를 좋아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그들의 원칙을 지지하는 우익 유권자 기반의 보수적 새 정당도 있다. 

결국 앞으로 긴 여정이 남아있으며 목표는 여전히 국가 전체에 급진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2019년에 다시 지역 선거와 지방 선거가 있으며 시민 후보가 나가는 시장 선거가 힘과 대중적인 지지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데모스는 이러한 사례를 축적해 지방 정부를 구성할만큼 충분한 대중적 지지를 얻고자 한다. 카탈루니아 위기가 몇 달 동안 공개 토론의 중심이 돼 긴장되고 보수적인 분위기를 조성했지만 새로운 두 사회운동이 생성되면서 신선한 바람을 몰고 왔다. 평등과 지속 가능성, 포괄적 성장, 복지, 민주주의와 같이 일상 생활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 본질적인 문제에 주의를 환기시킨 연금 수령자 시위와 페미니즘 운동이 그것이다.

그러나 포데모스나 다른 시민 정당이 영향을 미치거나 결정을 내렸거나 공공 정책을 세운 모든 곳에는 특정 정책을 뛰어넘는 엄청난 영향력이 있었다. 그들이 사회에 증명하고 있는 것은 유토피아가 있다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의 정치를 할 수 있다는 것과 긴축의 대안이 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PAH 플랫폼의 리더 아다 콜라우와 마누엘라 까르메나는 바르셀로나와 마드리드에서 엄청난 진보를 이루고 있다. 사회 정책에 대한 투자를 늘리면서 공적 부채를 줄이고 금융 투기에 대처하고 협력 경제를 지원함으로써 이들 도시의 경제 모델을 변화시킨다. 재생 에너지에 투자하고 관용과 다양성, 양성 평등을 고취하며 국민 투표와 참여적 예산 정책 등을 통해 주요 의사 결정에 시민이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최임 개악, 결국 재벌에 이롭다

[오민규의 인사이드 경제] 한국의 임금 분포, 비정상의 정상화를 위해

 

 

 

지자체·교육감 합동 선거가 끝이 났다. 웃는 정당과 후보도 있고, 우는 정당·후보도 있다. 치열하게 평가도 하고 대안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대안을 모색함에 있어 노동자·서민들의 ‘먹고 사는 문제’를 빼놓을 수는 없는 법. 선거도 끝났으니 <인사이드 경제>는 좀 더 본격적으로 이 문제를 파고들어볼 생각이다.
 
 
한국 노동자들의 비정상적인 임금 분포 
 
아래 표 역시 최저임금법 개악 직후인 5월 29일, 고용노동부가 배포한 자료에 등장한 것이다. 전체 노동자를 평균임금 기준으로 크게 5분위로 나눈 뒤, 산입범위 확대에 따라 영향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다만 맨 오른쪽 칸의 ‘영향률 차(%p)’, 그리고 붉은색·푸른색 강조선과 설명박스는 필자가 추가한 것임.) 
 
지난번에 언급한 것처럼 고용노동부는 듣도 보도 못한 ‘영향률 증감률’이라는 개념을 도입하더니, 임금수준이 높은 4분위와 5분위에서 증감률 수치가 높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백분율을 비교할 때에는 ‘차이’를 사용해야지 백분율 변화의 백분율을 따지는 것은 비정상적이다. <인사이드 경제>가 추가한 ‘영향률 차(%p)’ 항목을 보면 각 분위별로 영향률이 1~3% 포인트가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위 표에서 <인사이드 경제>의 눈길을 강력하게 끌어당기는 항목이 하나 있었다. 바로 분위별로 적시된 평균임금(왼편 붉은선 강조 부분)이다. 월 임금 평균 수치인데 1분위는 82만 원, 2분위는 147만 원, 3분위는 200만 원으로 조금씩 늘다가 4분위에서 286만 원으로 껑충 뛰더니, 5분위는 4분위의 2배인 무려 552만 원으로 솟아오르고 있다. 
 
이 이야기는 무엇을 뜻하는 걸까? 그렇다. 한국 노동자들의 임금은 1~3분위 사이에 빽빽하게 몰려 있는 반면, 4~5분위와의 격차가 상당히 벌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임금의 전체 평균이 253만 원인 것을 봐도 그렇다. 보통 3분위 평균과 전체 평균이 비슷해야 정상인데, 오히려 4분위 평균치에 가까운 전체 평균이 나오지 않았는가. 
 
비정규(!) 분포곡선 
 
고용노동부가 제시한 표를 토대로 한국 노동자 임금 분포를 추정해보자. 우선 연봉 2000만~3000만 원 사이에 노동자들이 최대로 밀집되어 있을 것이다. 월 250만 원이 연봉 3000만 원에 해당하는데 (3분위 평균임금 200만 원, 4분위 평균임금 286만 원임을 감안하면) 아마도 4분위에 속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연봉 3000만 원 미만에 대략 60~70%의 노동자들이 밀집되어 있을 것이라 볼 수 있다. 
 
나머지 30~40%는 연봉 3000만 원 이상을 받고 있지만 격차가 매우 크게 벌어지게 될 것이다. 전체 평균은 월 253만 원 가량의 임금을 받고 있는데, 이는 연봉 3000만 원과 거의 일치한다. 이 정보를 토대로 한국 노동자 임금 분포 그래프를 그려본다면, 아래 왼쪽으로 치우친 곡선(보라색)의 형태를 띨 것이다. 
 
통계학에서 저 그림처럼 왼쪽으로 치우친 곡선을 얄궂게도 ‘비정규 분포곡선’이라 부른다. 반대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가운데 빈도가 밀집되며 전체 평균과 일치하는 곡선(푸른색)을 ‘정규 분포곡선’이라고 부른다. 
 
자연계에서는 정규 분포곡선이 가장 자연스럽고 안정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물론 사회학에까지 그런 이치가 적용되지는 않는다. 이를테면 임금분포의 경우, 오른쪽으로 치우친 비정규 분포곡선이 훨씬 바람직하다. 대부분 노동자들이 전체 평균치보다 높은 임금을 받는다는 점을 의미하니까 말이다. 이 경우 저임금은 매우 예외적인 경우로 제한되고 있음을 뜻하기도 한다. 
 
그런데 왼쪽으로 치우친 비정규 분포곡선이라니? 한국의 경우 정반대로 60~70%의 노동자들이 전체 평균치(연봉 3000만 원)보다 낮은 임금을 받고 있으며 고임금이 매우 예외적인 현상임을 말해준다. 이런 경우에는 차선책으로 정규 분포곡선으로라도 이동하도록 제도와 환경을 개선해주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중요한 수단이었던 최저임금 제도를 망가뜨리다 
 
정규 분포곡선으로 옮기려면 뭐가 필요할까? 우선 연봉 2000만~3000만 원에 몰려 있는 부분의 임금을 전반적으로 상승시켜야만 가능하다. 그 과정에서 연봉 4000만~5000만에 걸린 노동자들 임금도 조금씩은 상승시켜야만 균형을 갖추게 된다. 지금까지 이런 기능을 해줬던 중요한 수단이 바로 최저임금 제도였다. 
 
최저임금 인상은 최저임금에 걸려 있는 노동자들만이 아니라 그보다 위에 있는 노동자들에게 영향을 미쳐왔다. 이명박·박근혜 정권의 경우 평균인상률이 각각 5%, 7.3%로 낮았다는 한계는 있을지언정 “최저임금 인상으로 고임금 노동자들이 혜택을 받는다”는 말은 하지 않았다. 
 
문재인 정권은 첫해 최저임금 인상률을 16.4%로 대폭 올렸다. 그런데 이명박·박근혜 정권도 얘기하지 않았던 주장을 소리 높여 외친 것이다. 최저임금보다 높은 임금을 받는 노동자들에게 일정한 수준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최저임금 제도의 자연스런 순기능이었는데 이걸 죽여야 한다고 난리를 친 것이다. 결국 최저임금법을 개악시켜 산입범위를 대폭 넓혀버렸다.
 
그 결과가 몰고 올 후폭풍은 엄청날 것이다. 최저임금 제도가 갖고 있던 기능 중 하나를 완전히 죽여 버렸다. 한국의 임금 분포를 정규분포로 옮겨주는 기능 말이다. 최저임금 인상은 매우 제한적인 노동자 층(저임금 노동자들 중 상여금도 수당도 없는 소수)에게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아니, 최저임금 제도는 이제 과거보다 더 ‘막강한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저임금 노동자들 중에서 상여금과 수당을 조금이라도 받는 노동자들의 임금이 제자리에 머물도록 만들어 버렸다. 최저임금이 올라도 이들의 임금은 전혀 오르지 않는다. 이 모든 것이 바로 이번 최저임금법 개악 때문이니, 얼마나 결정적인 영향력을 갖게 된 것인가.
 
한국 노동자들의 임금 분포는 위 그림의 붉은색처럼 훨씬 기형적인 형태가 될 것이다. 연봉 2500만 미만의 노동자들 중 극히 일부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임금인상 효과를 볼 것이다. 그러나 연봉 2500만~3000만 원을 받는 노동자들의 임금은 전혀 오르지 않게 된다. 연봉 2000만~3000만 사이에 노동자들 밀집 정도는 훨씬 강해질 것이며 연봉 2500만 원에 거의 집중되고 말 것이다. 
 
문재인의 최저임금법 개악, 누구에게 이로운가 
 
아래 표는 SK그룹의 주력산업 중 하나인 유·무선 통신사업 관련 기업들의 기초 정보들이다. 모든 수치 정보는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한 2017년 사업보고서에서 가져온 것이다. (홈&서비스는 지난해 SK브로드밴드가 기존에 설치·수리업무를 도급업체 중심으로 운영하다가 ‘정규직 전환’을 하겠다며 새롭게 만든 자회사이다.)
 
다만 홈&서비스 평균연봉 데이터는 아직 공시되지 않고 있어서 SK브로드밴드비정규지부에 문의한 것이다. (홈&서비스 소속 노동자들이 통신업계에서 종사한 근속은 대략 10년 안팎이나, 이러한 경력은 자회사 전환시 인정되지 않았다. 아울러 평균연봉 3000만 원도 너무 높게 본 것이라는 지부 측 의견이 있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일단 수치만 봐도 놀라자빠질 수준이다. SK텔레콤의 직원 수는 4498명인데 작년 평균 연봉 1억 600만 원을 기록했다. SK브로드밴드 역시 8800만 원에 달한다. 그런데 가장 많은 직원 수를 가진 홈&서비스 평균 연봉은 3000만 원에 불과하다. SK브로드밴드 인터넷 또는 IPTV를 설치·수리할 때 우리가 흔히 보는 바로 그 기사들이다. 그렇다. 전신주를 타다가, 혹은 고층 아파트에서 작업하다가 추락사가 다반사로 일어나는 고위험직군의 바로 그 기사들 말이다.
 
자본 구조를 살펴보면 위와 같다. SK브로드밴드는 100% 지분을 소유한 SK텔레콤의 자회사이며, 홈&서비스는 SK브로드밴드의 자회사, 그러니까 SK텔레콤 입장에서는 손자회사가 된다. 우리가 휴대폰 개통할 때 자주 찾는 위탁 대리점의 경우 SK텔레콤과 도급계약·위탁계약을 체결한다. 
 
현재 SK텔레콤의 대리점 수는 대략 4000개 안팎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평균적으로 2~3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고 가정하면 종사하는 노동자 수는 약 1~2만 명에 달할 것이다. 이들의 임금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지만, 일반인의 상식에 비춰보면 최저임금 선에 해당할 것이다. 대략 연봉 2000만~2500만 원 사이에 모두 몰려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SK 통신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을 임금분포 곡선에 나타내면 위와 같아진다. 약 1~2만 명의 노동자들이 연봉 2000만~2500만 원 사이에 몰려 있다. 최상위 지배자인 SK텔레콤 노동자들은 멀찌감치 떨어져 연봉 1억을 기록하고 있다. 자회사인 SK브로드밴드 노동자들 역시 연봉 8800만 원으로 바로 옆에 위치한다. 그런데 손자회사인 홈&서비스 노동자들은 이들과 완전히 떨어져 있다. 
 
우선 여기서 간단한 것부터 묻자. 한국 사회 임금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 필요한 일은 무엇일까? 그렇다. 대리점과 홈&서비스 노동자들의 저임금을 높여서 SK텔레콤과 브로드밴드 노동자들과의 격차를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그래프로 보면 너무 명백한 얘기 아닌가.
 
그런데 문재인 정권은 무슨 짓을 했는가? 연봉 3000만 원을 받는 홈&서비스 노동자들이 너무 고임금이니 임금인상을 억제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대신 연봉 2500만 원이 안 되는 대리점 노동자들만 챙기면 된다고 주장한다. 대리점 노동자들을 위해 홈&서비스 노동자들이 양보해라, 연봉 2500 미만을 위해 연봉 3000만 원 받는 노동자들이 양보하라는 논리이다.
 
평균적인 상식을 갖고 있는 독자 여러분께서 한번 평가해 보시기 바란다. 최저임금이 인상되어 홈&서비스 노동자들 임금까지 함께 올라가는 것이 우리 경제에 그토록 해악적인 일이었나? 게다가 <인사이드 경제>가 지금까지 입증해온 것처럼, 수많은 꼼수들이 동원되면 대리점 노동자들의 임금인상이 안정적으로 보장되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이번 최저임금법 개악은 누구에게 이로울까? SK브로드밴드와 텔레콤 노동자들? 아니다. 이들도 임금 동결 압박을 강하게 받을 것이다. 결국 법 개악은 이 모든 먹이사슬의 최고 정점에 위치한 SK 자본과 재벌이다. 매년 1~2조의 영업이익을 내는 SK브로드밴드와 SK텔레콤 자본 말이다. 가장 많은 책임을 물어야 할 그들에게 이익을 보장해 주었다. 당장 개악 법안을 폐기하지 않는 한, 역사 속에서 문재인 정권은 이러한 평가를 벗어날 길을 찾지 못할 것이다. 
 
 
전국비정규직노조연대회의 정책위원입니다. 2008년부터 <프레시안>에 글을 써 오고 있습니다. 주로 자동차산업의 정리해고와 비정규직 문제 등을 다뤘습니다. 지금은 [인사이드경제]로 정부 통계와 기업 회계자료의 숨은 디테일을 찾아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