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하메네이-바시지 & DPRK-THAAD-하와이

하메네이, 이란 개혁세력에 최후통첩 (연합 090619)

이란 사태 새 국면..봉합이냐 극한 대치냐 갈림길

 

IRAN-POLITICS-KHAMENEI

19일 테헤란 대학에서 열린 금요예배에 참석한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AFP=연합뉴스)

 

(카이로=연합뉴스) 고웅석 특파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가 19일 선거 부정 의혹을 제기하며 연일 거리시위를 벌여왔던 개혁파 세력에게 최후통첩을 보냈다. 이란의 실질적인 통치권자인 하메네이는 이날 금요예배에서 보수파인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의 당선을 적극적으로 옹호하면서 미르 호세인 무사비 전 총리를 지지하는 개혁세력에 거리시위의 중단을 요구했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상응한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선 것이다. 하메네이는 1979년 이란 이슬람 혁명 이후 가장 대규모로 열려왔던 거리시위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재선거나 여야 거국내각 구성 등 타협책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는 일각의 전망을 여지없이 일축하고 강공책을 들고 나왔다.

그는 이날 테헤란 대학에 모인 군중 앞에서 선거부정은 있을 수 없고, 전체 4천만표 중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이 얻은 2천450만표에서 어떻게 1천100만표를 조작할 수 있겠느냐고 언급, 보수파 현 대통령의 손을 들어줬다. 게다가 하메네이는 "나의 대내외 정책관은 다른 누구보다도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의 정책관에 가깝다"면서 아마디네자드가 자신의 정치적 대리임을 사실상 공개적으로 선언해 개혁파 세력을 압박했다.

이번 설교에서 주목할 내용 중 하나는 그가 무사비 전 총리를 포함, 개혁파 인사들에게 책임론을 제기한 것이다. 하메네이는 "정치 지도자들은 극단주의 행위에 따른 유혈사태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밝혀 이번 사태로 시위대 일부가 사망하게 된 책임을 개혁파 인사들에게 돌렸고, 추후에 시위사태가 재발하면 응분의 대가를 치르도록 하겠다고 위협했다. 이와 관련, 영국 일간 런던 타임스는 하메네이가 이날 설교를 앞두고 무사비 전 총리에게 대선 결과에 승복하든지, 아니면 강제 추방되든지 양자택일을 하라는 메시지를 보냈다고 보도했다.

하메네이는 또 국민을 향해 시위 중단을 촉구하며 또다시 시위를 위해 거리에 나서면 강경 진압을 할 것임을 시사했다. 개혁파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이란의 신정(神政)체제를 지지하는 무사비 전 총리는 하메네이의 이번 연설로 `자제력'을 발휘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번 대선을 통해 폭발한 이란 내 개혁파의 목소리는 쉽게 잦아들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자칫 대규모 유혈사태로 번질 우려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대선 결과가 발표된 지난 13일에 시작된 개혁파 지지자들의 시위는 15일에는 테헤란에만 수십만명, 전국적으로는 200만명이 참여했다. 특히 이슬람 혁명 이후 최대 규모의 시위가 벌어진 지난 15일에는 민병대가 시위대를 향해 총기를 발포해 7명이 숨지는 사태가 발생했으며, 18일에는 이들 희생자를 추모하는 집회가 테헤란을 중심으로 이란 곳곳에서 열렸다. (연합뉴스, 2009/06/19 20:47)

 

이란, 시위대의 공포 ‘바시지’ 민병대 (경향 090619)
폭행·총격·약탈… UN인권기구 비난 성명

이란의 이슬람 ‘바시지’ 민병대가 개혁을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대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미국 CNN방송은 19일 최고지도자 아야툴라 알리 하메네이의 테헤란대학교 금요예배 연설에 맞춰 시내 곳곳에서 이슬람 ‘바시지’ 민병대가 결집하는 모습이 포착됐다고 보도했다. 바시지는 전날 밤 테헤란대학을 습격해 학생들에게 흉기와 곤봉을 휘두르며 난동을 부렸다. 앞서 시위대에 총격을 해 8명의 목숨을 앗아간 것도 이들로 추정된다. 대학생들은 바시지의 난동으로 테헤란과 시라즈 등지에서 7명이 추가로 숨졌다고 주장했다. 나바네템 필레이 유엔인권기구 대표는 이날 “이란 정부는 민병대가 시위대를 폭력 진압하지 않도록 할 책임이 있다”는 성명을 냈다. 유엔 인권담당 특별보고관들도 이란 상황에 우려를 표했다.

바시지는 이번 사태 이전에도 정부 보안당국을 대신해 시위를 폭력으로 저지하는 역할을 해 왔다. 미국 워싱턴 이란현대연구소의 모흐센 사제가라 소장은 “바시지는 특별한 군대”라며 “그들은 젊은 시위자들을 체포해 살해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정권이 시위 진압에서 빚어지는 인명살상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기 위해 민병대에 진압 역할을 떠맡기고 있다는 것이다. 2003년 테헤란대 학생들이 개혁을 촉구하는 시위를 했을 때에도 바시지가 오토바이와 군용차량을 타고 나타나 곤봉으로 학생들을 진압했다. 개혁파들은 “군복을 입지 않은 군인들이 거리에 배치돼 있는 꼴”이라며 바시지가 활개치도록 내버려두는 정부를 비판하고 있다.

바시지는 1979년 아야툴라 호메이니가 이라크로부터의 공격이 예상되자 시민 지원병들을 모집하면서 창설됐다. 당시 호메이니는 “라이플총을 든 2000만명의 젊은 시민군이 있는 나라는 누구도 침탈할 수 없다”며 민병대 출범을 격려했다. 하지만 이후 바시지는 외적이 아닌 내부의 반정부세력이나 개혁파, 민주화 운동가들을 탄압하는 준군사조직으로 변질됐다. (김향미기자, 경향 입력 : 2009-06-19 18:12:34ㅣ수정 : 2009-06-20 00:14:09)

 

미국, 북한 선박 추적중…대량살상무기 관련 물자 의심 (경향 090619)
북한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874호가 채택된 이후 미국의 대북 압박이 본격화되고 있다. 미군 당국은 대량살상무기(WMD) 관련 물자를 적재한 것으로 의심되는 북한 선박 강남호(사진)를 공해상에서 추적 중이라고 18일 복수의 워싱턴 군소식통이 확인했다. 대량살상무기 또는 모든 무기류의 북한 반출을 금지한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결의 1874호가 채택된 뒤 미국이 실제 행동에 나선 것은 처음이다. 앞서 폭스뉴스는 미측은 강남호가 지난 17일 북한 모처에서 출발할 당시부터 추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강남호는 북한의 1차 핵실험 직후인 2006년 10월에도 WMD 관련 물자를 적재한 혐의로 홍콩에 억류된 바 있어 WMD 또는 무기류를 운반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미군은 현재 남지나해상에서 싱가포르로 향하는 것으로 보이는 강남호에 대해 공중추적을 하고 있으며 연료 재급유를 위해 기항할 경우 해당 국가에 검색을 촉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1874호는 북한을 오가는 선박에 대해 금지된 물자를 실은 것으로 의심될 경우 기국(旗國)의 동의를 얻어 검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강제검색 권한을 부여하지는 않았다. 북한은 공해상에서의 강제승선 및 검색활동을 ‘전쟁행위’로 간주, 보복할 것을 밝혔다. 하지만 각국은 영토인 항구 또는 영해 내에서 의심선박을 검색할 권리를 갖고 있다. 일본 정부는 북한 선박에 적재된 미사일 부품을 압수, 처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북한 선박 화물 검사를 위한 특별조치법안을 마련했다.

 

로버트 게이츠 미 국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비해 고고도방어체계(THAAD) 미사일 방어망과 해상배치 X밴드 레이더(SBX)를 하와이로 이동했다고 밝혔다. THAAD는 대륙간탄도미사일이 대기권으로 진입한 최종 단계에서 격추하는 미사일방어(MD) 체계의 하나다.

미 재무부도 이날 미국의 모든 금융기관에 북한 은행 및 북한 기업 관계자들과 관련된 계좌가 개입될 수 있는 거래를 철저히 조사할 것을 요청했다. 재무부는 “북한이 금융제재를 회피하기 위해 다양한 ‘속임수’를 동원할 수 있다”면서 “북한 기업, 관계자들이 신분을 속이거나 제3자를 통해 우회 거래하는 수법을 동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 | 김진호·도쿄 | 조홍민특파원, 경향 입력 : 2009-06-19 18:15:30ㅣ수정 : 2009-06-19 18:15:30)

 

2

1. Ali Khamenei, actuel guide de la révolution, durant la guerre Iran-Irak [이란-이라크 전쟁중의 하메네이] -위키-
2. Soldats iraniens portant des protections contre les armes chimiques (Dès 1983, des armes chimiques (sarin, Tabun, gaz moutarde et cyclosarin) sont utilisées par l'Irak) [83년부터 사용된 화학전에 맞서 마스크를 쓴 이란 병사] -"-

 

이란이 내부상황에 강경대응을 한다는 것은, 그들이 오래지도 않은-불과 20여 년 전에 겪었던 서구 제국주의 세력들의 농간과 이간질에 대한 기억을 잊지 않았다면(1980~88년 이란-이라크 전쟁, 화학전의 피해와 상처), 충분히 예상 가능하고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그런데 이란 국민의 2/3가 30세 이하의 젊은이들이라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이슬람혁명-전쟁 세대'와 '전쟁 이후 신세대' 사이에 놓여있는 간극을 종교지도자의 목소리로는 메꾸지 못할 듯하고, 결국은 유혈사태라는 극단의 과정을 거쳐 '이슬람 정체'를 유지시키는 길로 나아갈 듯하다. 작금의 이란 시위가 민주주의라는 대의에서는 전혀 무의미한 것은 아니겠지만, 그리고 아무리 서방 언론들이 그것을 부추기고 과장한다 하더라도,  결국은 성공할 수 없는 시위로 끝날 것이라는 얘기다.

 

이런 어줍잖은 전망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것은 미국인데, 미국도 아마 이란 사태를 대충 이렇게 전망할 것으로(희망은 다르겠지만) 보이는데, 더 중요한 것은 앞으로의 미국의 선택이고, 그 선택의 한 과정으로 나타난 것이 미사일 방어망의 하와이 이동이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든다. 다시 말하면,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이 미국을 향해 실제로(실험이 아니라) 발사될 가능성을 전제로한 방어망 이동조치가 아니겠느냐는 의심 말이다. 북한은 미국이 먼저 공격하지(혹은 공격에 상응한 행위를) 않는다면 미국으로 미사일을 쏠 이유가 없고(이래 죽으나 저래 죽으나 마찬가지라는 자멸을 각오한 발사만 가능), 그런데도 미국이 이에 대비를 한다는 것은 미국이 북한을 먼저 공격하겠다는 얘기가 된다.

결국 미국이 이란에서 해결책을 찾지 못할 경우에는, 이란의 핵개발을 막을 수 있는 가능한 다른 모든 수단들을 동원하는 것이 당연하겠는데, 그 첫번째 타켓이 북한이 될 듯한 느낌이다(하와이 방어망 이동은 그 사전조치). 물론 대 북한 전쟁을 억제할 중국과 러시아라는 방패막이 있지만, 이라크에서 처럼 무조건 침략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과 러시아도 뭐라 못할 침략의 구실을 만들어내기가 아주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이집트와 시리아에 핵관련 장비를 제공한 것이 모두 북한으로 알려졌고, 2007년에 이스라엘은 시리아를 공격하여 관련시설을 파괴한 바가 있듯이, 이란의 핵개발을 미국-이스라엘이 용납할 수는 절대 없는 상황에서는, 이란 핵과 미사일 개발의 핵심 연대국가인 북한을 통한 우회 저지책을 찾는 길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을 듯하다.

 

미국이 예방전쟁으로 이라크를 침략했듯이 이란과 전쟁을 벌이고 핵관련 시설을 직접 파괴하면 문제는 쉽게 해결된다(미국입장에서). 그러나 만약에 전쟁과 동시에 이란에 있을지도 모를 핵이 이스라엘로 날아간다면(이라크에 핵이 있다고 가정했다면 미국은 침공을 못했다) 문제는 아주 심각해지기에, 이건 미국이 선택할 사항이 못된다(이란에 아직 핵이 없다고 해도 여러 이유로 쉬운 선택사항은 아니다). 그러한 연유로 이유를 갖춰 북한을 침공하여 이란 핵개발에 일정 정도의 제동을 걸고(본보기도 보이고), 그래서 혹여 북한의 핵이 미국으로 날아올 때 하와이 상공에서 파괴하겠다는 것이 만약에 미국의 복안이라면(남한이나 일본이야 어떻게 되든 미국만 지키자는)...... 북한과의 돈(핵폐기-보상)이 문제가 아니라 시간만 잡아먹는 6자회담을 계속하는 동안에 이란이 핵개발을 완수한다면 모든 게 헛일이겠기에, 그동안 오바마가 북한문제에 소홀히 했고 중동권에 집중한 게 아닌지 모르겠다. 여하튼 이란사태와 우리의 대북정책을 안일하게 구경만 할 때가 아니라는 얘기다. 이란문제에 우리가 끼어들 처지는 못되지만, 오바마가 홀대하는(!) 북한문제를 우리도 소홀히 하거나 더 무식하게 다루기에는 상황이 약간은 미묘하게 흘러가는 듯하다.

 

[6/20오전] Iran: la manifestation de l’opposition est maintenue (Liberation, Monde 20/06/2009 09h36)
La manifestation de l'opposition, prévue samedi après-midi à Téhéran, n'a pas été annulée: c’est la confirmation faite par un conseiller des responsables de l'opposition, malgré l'avertissement du guide suprême iranien, l’ayatollah Ali Khamenei, à cesser les manifestations contre la réélection controversée du président, Mahmoud Ahmadinejad. «Je n'ai rien entendu indiquant que la manifestation a été annulée, elle se tiendra à 16h (heure locale) sur la place Enqelab», a assuré ce conseiller.
L'ordre de rassemblement a été donné par le candidat réformateur à la présidentielle Mehdi Karoubi, qui conteste, comme l'autre candidat déclaré perdant Mir Hossein Moussavi, et principal rival de Mahmoud Ahmadinejad, la réélection de ce dernier. Ex-président du Parlement, Mehdi Karoubi continuait à demander, vendredi, sur son site Internet l'annulation du scrutin, dans une lettre ouverte au Conseil des Gardiens de la constitution qui doit rendre, au plus tard dimanche, un avis sur un possible nouveau décompte partiel. «En décidant (...) l'annulation des élections et l'organisation d'un nouveau scrutin, vous accepteriez la volonté du peuple et garantiriez ainsi l'avenir du régime», écrit Karoubi. Karoubi avait demandé mercredi une autorisation pour cette manifestation, qui lui a été refusée, bien que la demande ait aussi été appuyée par l'influente Association du clergé combattant, dont l'ex-président réformateur, Mohamad Khatami, est l'un des fondateurs. Selon le conseiller des responsables de l’opposition, «Khatami a prévu de s'exprimer», samedi. Même si ses partisans appellent à la manifestation de samedi, Moussavi, lui, ne s’est, pour l’heure, pas prononcé. Un silence qui lui permet de ne pas passer comme son organisateur auprès du pouvoir, mais qui revient à un feu vert pour ceux qui souhaitent y participer.
(...) Vendredi, dans la soirée, de nombreux bassidjis, miliciens dévoués à la cause du président Ahmadinejad, se sont déployés sur les principales places de la capitale. Pour la première fois depuis le début du mouvement de protestation, ils étaient vêtus de leur uniforme et portaient des casques et des matraques, certains des kalachnikovs. Ils ont notamment établi des barrages sur les axes principaux de Téhéran.

하메네이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개혁진영의 후보였던 카루비(Mehdi Karoubi, 구 국회의장)와 무사비(Moussavi, 전직 총리(80~88))를 지지하며 이번에 후보를 사퇴했던 카타미(Mohamad Khatami, 전직 대통령(97~04))는 시위대의 동원을 명령(요청)했다고 한다. 그러나 직접적 경고 대상이었던 무사비는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다고 함. 한편 바시지(bassidjis) 민병대는 금요일 저녁부터 테헤란의 주요 광장들에 전개돼있고, 시위 발생 이래로 처음으로 유니폼-모자-방패를 갖추고는 테헤란의 주요 거점에 방어벽을 설치했다고 함 [바시지 민병대는 지난 15일 테헤란에서 시위대에 총탄을 발사해 최소 7명(앰네스티는 15명이라고 주장)을 숨지게 한 바 있다]. 이제 얼마나 더 큰 유혈사태가 발생할는지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이다. 짙은 눈화장에 썬그라스 낀, 서구 여성보다 더 세련된, 이 아름다운(?) 이란 여성들의 용기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Les partisans de Moussavi, candidat déclaré perdant à la présidentielle, manifestent à

Les partisans de Moussavi, candidat déclaré perdant à la présidentielle, manifestent à Téhéran, le 18 juin.

(Stringer Iran / Reuters)

 

[6/20오후] Entre 1.000 et 2.000 personnes se sont rassemblées près de l'Université de Téhéran, malgré l'interdiction de manifester et les menaces de répression.// (...) Les leaders de l'opposition, eux, avaient joué la prudence en appelant leurs partisans à ne pas manifester. Mir Hossein Moussavi, dont les partisans ont été à la pointe du mouvement de protestation, a cependant annoncé, via son site Internet, qu'il ferait une déclaration "importante" dans la journée. L'ancien président Rafsandjani devrait également prendre la parole samedi après-midi. Le parti Etemad-e Melli du réformateur Mehdi Karoubi, l'autre candidat malheureux à l'élection du 12 juin, a déclaré de son côté qu'il annulait le rassemblement en raison de l'absence d'autorisation tout comme l'Association iranienne des religieux combattants de l'ancien président Khatami. (...) Ali Khamenei avait déclaré, vendredi, que "s'il y a un bain de sang, [les leaders de l'opposition] en seront tenus directement responsables". [LEMONDE.FR avec AFP, Reuters et AP | 20.06.09 | 16h09 http://www.lemonde.fr/proche-orient/article/2009/06/20/a-teheran-la-manifestation-de-tous-les-dangers_1209175_3218.html#ens_id=1190750

오전까지만해도 시위를 독려했던 모든 정치지도자들이 오후에는 한발짝 물러나, '시위를 하지 말 것을 호소'하며 조심하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헤란대학 앞에는(시내는 통제) 1000~2000명 정도가 모여있다고 함. 어제 하메네이가 "만약에 피의 홍수를 만난다면, 그 책임은 곧바로 정권 반대파 지도자들에게 있다"고 밝힌 경고가 빈말로 통하지는 않았다는 말이다.  최고지도자의 권위는 그렇게 아직 살아있다는 의미인데, 그것이 경찰과 민병대의 봉쇄작전에 의한 것인지, 반대파들의 자발적 복종(혹은 비겁한 주저) 때문인지는 좀 더 두고볼 일이겠다. 

 

[6/20저녁] Mir Hossein Moussavi, qui serait le réel vainqueur de l'élection présidentielle du 12 juin, est descendu aujourd'hui dans la rue, à Téhéran, pour s'adresser à ses partisans: «Je me suis lavé et suis prêt au martyr», a expliqué le candidat réformateur, selon une source proche de son entourage. Cette déclaration semble indiquer qu'il ne cédera pas face à Mahmoud Ahmadinejad, et que l'on se trouve désormais quasiment dans une situation de guerre entre les deux factions. (Liberation Monde 20/06/2009 à 18h35 http://www.liberation.fr/monde/0101575298-moussavi-est-pret-au-martyr)
비겁하게 무릎꿇지도 물러나지도 않겠다는 듯이, 드디어 무사비가 용감하게 다시 나섰다고 한다 : "나는 이제 몸을 씻었고 순교할 준비가 돼있다." 무사비의 측근이 이렇게 전했다는데, 측근이 전하는 말의 과장인지 신빙성있는 그대로의 전갈인지는 알 수가 없지만, 만약에 사실이라면, "이제는 두 분파[개혁:보수(정파적+대중적)] 간의 준 전쟁상황에 모두가 돌입하는 것"이라고 기사는 말한다.

 

[6/21오전] La télévision iranienne Press TV a établi un bilan de 13 morts après des combats entre policiers et "terroristes", accusant les manifestants d'avoir brûlé deux stations-service, une mosquée et d'avoir attaqué un poste militaire. La télévision d'Etat parle de 10 morts et au moins 100 blessés. (...) La chaîne CNN parle de 19 morts depuis une semaine, selon des sources hospitalières, et estime que le bilan pourrait atteindre jusqu'à 150 morts. Auparavant, le bilan officiel établi par le régime iranien faisait état de 7 morts depuis une semaine. (...) Selon Reuters, les rues de la capitale iranienne étaient silencieuses, samedi en début de soirée. Seules les ambulances se faisaient entendre. (...) Face à l'intransigeance du pouvoir, Mir Hossein Moussavi a, pour la première fois depuis une semaine, critiqué indirectement le guide suprême Ali Khamenei. (...) Evoquant l'argument de M. Khamenei selon lequel aucune fraude ne pouvait expliquer une aussi large victoire de M. Ahmadinejad (62,63 % des voix), il a rétorqué: "si cette énorme taille de la fraude (...) est présentée comme la preuve d'une absence de fraude alors l'aspect républicain du système sera massacré et cela prouverait que l'islam est incompatible avec la République." [LEMONDE.FR avec AFP, Reuters | 21.06.09 | 08h01  •  Mis à jour le 21.06.09 | 12h54 http://www.lemonde.fr/proche-orient/article/2009/06/21/craintes-de-nouveaux-affrontements-en-iran_1209542_3218.html#ens_id=1190750]
서방 언론이 시위 현장을 직접 취재할 수가 없으니 테헤란의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전혀 알 수가 없다. 어제는 시위대와 경찰의 대결이 별로 심하지도 않은 듯 하더니만, 오늘 이란 국영방송의 발표에 따르면 어제 토요일 시위에서 10명이 죽었고 최소 100명이 다쳤다고 하니, 미루어 시위의 성격을 짐작해 볼 수가 있겠다. 더구나 무사비가 처음으로 하메네이를 간접적으로 비판하고 나왔고, 부정선거에 대한 하메네이의 입장에 대하여 "이슬람과 공화국의 양립불가능성"을 언급하는 상황까지 왔다니(이건 엄청난 도전이고, 정말 "순교"를 각오한 발언이 아닌가), CNN의 예상대로 죽음의 행렬이 150명까지 이를지도 모르겠다.

Des partisans de Mir Hossein Mousavi affrontent la police à Téhéran, le 20 juin 2009.

Des partisans de Mir Hossein Mousavi affrontent la police à Téhéran, le 20 juin 2009. (© AFP photo AFP)


[6/21오후] Après la répression de la veille dans la capitale iranienne (10 morts selon les sources officielles), les manifestants protestant contre la réélection contestée de Mahmoud Ahmadinejad ne semblent pas être descendus dans les rues, quadrillées par les forces de police. / Aucun signe de manifestation de l'opposition iranienne n'est visible ce dimanche en fin d'après-midi dans le centre de Téhéran. La capitale iranienne est quadrillée par de très nombreuses forces de l'ordre, selon des déclarations de témoins à l'AFP. «La police disperse tout rassemblement d'au moins deux ou trois personnes en leur disant de circuler», a indiqué une personne, sous couvert de l'anonymat. Il a fait état d'une très forte présence policière, avec des policiers anti-émeutes et des miliciens islamiques du bassidj, à toutes les grandes intersections du centre, théâtre samedi de violentes manifestations. Aucun appel à manifester n'avait été lancé par les responsables de l'opposition, et notamment le candidat à la présidentielle Mir Hossein Moussavi. La manifestation de samedi, qui a commencé en fin d'après-midi et s'est terminée à la nuit tombée, était un véritable défi au guide suprême iranien, qui avait averti vendredi qu'il ne «cèderait pas à la rue». (Monde 21/06/2009 à 10h39 (mise à jour à 16h41), http://www.liberation.fr/monde/0101575328-teheran-se-prepare-a-de-nouvelles-manifestations)

Téhéran a de nouveau visé la Grande-Bretagne dimanche, l'accusant d'avoir comploté depuis plus de deux ans contre le scrutin présidentiel du 12 juin. «Nous avons observé un afflux (de Grande-Bretagne) avant les élections», a avancé le ministre des Affaires étrangères Manouchehr Mottaki , évoquant la présence d'«éléments liés aux services secrets britanniques». La Grande-Bretagne «voulait que personne n'aille voter», a-t-il ajouté, «c'était la ligne des médias britanniques». Le correspondant permanent de la BBC en Iran, Jon Leyne, a d'ailleurs reçu l'ordre des autorités de quitter le pays sous 24 heures, pour avoir «soutenu» les émeutiers, selon l'agence Fars, proche du gouvernement. (Liberation Monde 21/06/2009 à 13h53, http://www.liberation.fr/monde/0101575352-teheran-accuse-la-grande-bretagne-de-complot)
일요일 오후 현재(16:41), 다행히도 테헤란 거리에는 어떤 시위의 조짐도 없단다. 어제 과격한(아마도) 시위에서 공식 발표로 10명이 죽었다는 여파인지, 경찰의 '거리 구석구석 빈틈없는 경비'(rues quadrillées) 탓인지, 반대파 지도자들의 침묵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제의 '이슬람 정체에 대한 도전'의 용기는 하루만에 수그러들었다는 얘기다. 한편, 정부 측에서는 이제 화살을 '외국 간섭 세력'에게로 돌렸다는데, 특히 영국이 -1950년대의 음모 때처럼(cf. http://blog.jinbo.net/radix/?pid=224,샤의 쿠데타 )- 선거가 있기 이전부터 개입한 흔적을 알고 있고 시위대를 부추긴다며 비난하고 나섰다 함. 같은 맥락에서 BBC방송의 테헤란 영구특파원에게 '24시간 내에 이란를 떠나라'는 추방명령이 내려졌다 함.

 

[6/21저녁] TEHERAN (AFP) - 457 personnes ont été arrêtées dans les affrontements de samedi soir autour de la place Azadi à Téhéran, ont indiqué lundi des sources policières citées par la radio d'Etat. Selon l'agence Fars, qui cite également des sources policières, 40 policiers ont été blessés et 34 bâtiments gouvernementaux endommagés. © 2009 AFP (Liberation Dépêches 22/06/2009 à 06h21) + Le rival malheureux de Mahmoud Ahmadinejad à la présidentielle iranienne[Hossein Moussavi] a déclaré que protester contre la «fraude» était un «droit du peuple», appelant ses partisans à la «retenue», dans un communiqué publié dimanche sur son site internet.

시위에 대한 반대파 지도자들의 어떠한 언질도 없는 가운데, 일요일에는 밤까지 시위가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무사비는 '선거부정에 항의하는 것은 국민의 권리'이므로 저항권을 계속 지킬 것을 지지자들에게 요청하는 글을 자기 인터넷 사이트에 올렸다고 함. 한편 지난 토요일 시위에서 457명이 체포되고(공식 사망자 10명) 경찰 40명이 다치고 34채의 공공건물이 파손됐다고 경찰 측에서 밝혔다 함 (시위가 아주 격렬했었다는 얘기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Baccalauréat - 200년 역사

오늘(6/18)이 2009년 바깔로레아 시험 첫 날(철학시험) 이란다. 고등학교 졸업장인 동시에 대학 입학 자격증인 바깔로레아가 처음 만들어진 것은 1808년에 나폴레옹에 의해서라 함. 첫 시험은 그 이듬해인 1809년에 있었고, 총 응시자는 31명. 처음에는 구술시험이었다가, 첫 필기시험이 도입된 것은 1830년. 합격율은 동년배 중에서 1880년-1%, 1945년-3%, 1970년-20%이던 것이 1995년-63%, 2006년-64,2% 선으로 상승했다 함 (주의: 응시자 합격율이 아님 - 하단 참조). 참고로 이웃나라들의 바깔로레아에 해당하는 시험의 명칭 : A-level au Royaume-Uni, Abitur en Allemagne, Maturité en Suisse, Ylioppilastutkinto en Finlande. [핀란드는 무지 어렵군]

 

Diplôme de baccalauréat

바깔로레아 증서 (고교졸업장) [학·석·박사도 똑같은 양식]

 

Un diplôme créé en 1808 (Liberation Vous 08/06/2007 à 08h11, MALLAVAL Catherine)
Equivalent du A-level au Royaume-Uni, de l'Abitur en Allemagne, de la Maturité en Suisse ou encore du Ylioppilastutkinto en Finlande, le bac a sacrément évolué depuis sa création, en 1808. Originellement, il ne comportait que des épreuves orales portant sur des auteurs grecs et latins, sur la rhétorique, l'histoire, la géographie et la philosophie. Les premiers bacheliers étaient au nombre de trente et un ! L'introduction de la première épreuve écrite (composition française ou traduction d'un auteur classique) date de 1830.
Ce diplôme, qui a la double particularité de sanctionner la fin des études secondaires et d'ouvrir l'accès à l'enseignement supérieur, s'est démocratisé au fil du temps : en 1880, à peine 1 % d'une classe d'âge obtient le baccalauréat ! En 2006, ils sont 64,2 % de la classe d'âge concernée (à ne pas confondre avec le taux de réussite). (...)

 

De 31 à 622.000 candidats... (Liberation Société 17/06/2009 à 11h44)
Chrono Le bac existe depuis deux cents ans, il a depuis largement évolué. La proportion de bacheliers sur une génération est passée de 3 % en 1945, à 25 % en 1975, pour atteindre 63,6 % en 2007.
17 mars 1808 : création du bac par Napoléon Ier.

1809 : 31 candidats reçus.

1830 : près de 3000 reçus.

1861 : Julie-Victoire Daubié est la première femme à avoir son bac (à son age de 37 ans)

1880 : le latin recule, à côté du bac classique, le bac moderne se passe en français.

1924 : programmes unifiés pour les filles et les garçons.

1948 : 30 000 bacheliers.

1965 : épreuve anticipée de français en première.

1968 : bac technologique.

1985 : bac professionnel.

1993 : les séries ES, L et S (scientifique), remplacent les A, B, C et D ; épreuves anticipées en première.

2007 : 512 000 lycéens décrochent le bac, soit un taux de réussite de 83,3%.

2008 : Sur 100 bacheliers, 54 ont un baccalauréat général, 26 un baccalauréat technologique et 20 un baccalauréat professionnel.

2009: 622 322 candidats inscrits. Les épreuves débutent jeudi 18 juin avec la philo, dans exactement 4 428 centres d’examen (voir le calendrier des épreuves). 500 candidats passent l'épreuve facultative de langue des signes, proposée à tous les élèves (malentendants ou non).

A lire : Nos années bac, Liesel Schiffer, Ed. Aubanel, 29 €.

 
[통계-wiki] Statistique baccalauréat depuis: 1990-2006-2008 (남-녀-합) 

Taux de réussite (응시자 합격율: 시험 본 학생의 83%는 합격)

Garçons : 72,1 ; 80,2 ; ?.  Filles : 73,9 ; 83,7 ; ?.  Ensemble : 73,1 ; 82,1 ; 83.3

Proportion d'admis dans une génération (비응시자 포함한 합격율*)
Garçons : 58,9 (2006). Filles : 69,9 (2006). Ensemble : 43,5 ; 64,3 ; 63.4

(*) 아예 시험자체를 포기하거나 고교 중퇴-진학 포기자을 포함할 경우 63%의 합격율. 그래서(남학생 중에 중도 포기자가 많겠기에) 여자들의 합격율이 남자보다 10% 이상 높다 (70%:59%). 다시 말하면, 동년배 10명 중에서 남자는 6명, 여자는 7명이 대학을 갈 수 있다는 얘기다. 돌려 말하면, 청소년 3명 중 1명은 고등학교 졸업장도 없이(중졸) 바로 험한 사회로 등떠밀려 나가야만 한다는 것. 그러므로 응시자 합격율(83%대) 보다도 응시생 비율을 높이는 게(중도포기자 구제) 더 문제...

 

결국 바깔로레아 학위 취득자를 늘려서 동년배 간의 위화감을 해소하고, 학위로 인해 처음 진출하는 사회생활에 장애를 없애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1970년에는 기술계열 학위(bac techno)를 신설했고, 1985년에는 전문직 학위(bac pro)도 신설 함 [전문직 학위 응시자는 철학시험 면제]. 그래서 학위 취득율이 60년-12%, 70년-20%, 80년-25%, 90년-45%, 95년-63% 선으로 상승했으며, 95년 이래로 이 비율은 정체상태에 있다 (다시 고교생 100명의 진로를 요약하면 : 37명-무학위, 34명-일반학위, 17명-기술계열학위, 12명-전문직학위). '이제 바깔로레아가 더는 우수한 인재를 선별하기 위한 과정이 아니라 어떤 상징적 가치로 자리잡았다'고 아래 전문가는 말하지만, 그래도 아직 100명 중 37명은 여기에도 포함되지 못하는 게 현실이고, 더구나 하층계급 출신의 경우는 어림잡아 둘에 하나는 고교졸업장도 없이 사회에 진출하는 실정이겠다. 그래서 지금의 학위취득율 63%를 80% 대로 끌어올리는 것이 국가적 목표라고 함. [다음의 전문가 진단의 발췌-첨가-번역임] "(...) Lorsqu’on a créé le bac pro en 1985, on a tenu à l’appeler ainsi pour conférer du prestige à cette filière. Le bac est désormais très peu sélectif, mais il garde une valeur symbolique. / De quoi est-il le symbole ? Avec le bac, on est un jeune bien intégré, un jeune comme un autre. C’est en quelque sorte la preuve que l’on a eu une jeunesse sans encombres. (,...) En 1960, 12 % d’une classe d’âge avait le bac et il n’existait que le bac général. En 1970, ce taux est monté à 20 % - le bac techno, qui vient d’être créé, représente alors 3,5 %. En 1990, 45 % d’une classe d’âge avait le bac, et ce taux atteint aujourd’hui 63 % : 34 % ont un bac général, 17 % un bac techno et 11,5 % un bac pro.(...)" http://www.liberation.fr/education/0101574732-avec-le-bac-on-est-un-jeune-comme-un-autre

 


 

2009년 바깔로레아 철학 시험 문제

 

"교환행위에서 우리는 무엇을 얻는가?"
"어떠한 과학도 답변하지 못하는 질문이 있는가?"
"언어가 생각을 배반 하는가?"

 

오늘 오전에 바깔로레아 철학시험에 나온 문제 중 대표적인 몇 개 란다. 밑에서 보듯이, 수험생들은 주어진 한 문제에 무조건 답변을 해야하는 것은 아니고, 두 가지 질문형 문제와 텍스트 설명하기의 셋 중에서 가장 자신있는 것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우등생을 제외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텍스트 설명하기'를 선택함). 답안 작성 시간은 아침 08시에서 12시까지, 네 시간으로 충분하다. 예컨데, 1번 문제는 '교환이란 상품뿐만이 아니라 의견이나 생각·이념·사랑 등으로 무한히 확장이 가능하며, 그런 일련의 교환행위가 우리에게 무엇을 주고 어떤 사회적 결과를 낳는가' 하는 것을 나름대로 논리만 갖춰 풀어내면 되니, 문제가 어려운 만큼이나 답은 한없이 자유로워도 좋다는 말이겠다. 그렇게 오늘 첫 날의 철학시험만 무사히 치뤘다면 내일과 다음주 수요일까지(토·일빼고) 기타 암기과목의 답안을 좀 덜 어렵게 메꾸어내기만 하면 수험공부 끝이고 바캉스고 자유다(결과 발표는 7/7일). 어디서나 그런 통계가 나오듯이, 이번 바깔로레아의 최연소자는 13세의 소년이고, 최연장자는 78세의 할아버지(or할머니)라고 함.

 

Dès 8 heures, les 331 575 candidats au bac général plancheront sur les sujets de philosophie, qui est traditionnellement la première épreuve écrite.

시험 문제(2질문형과 1텍스트설명하기 중 택1)를 살피는 수험생들

 

L'impossible, l'échange et l'objectivité au programme du bac de philo
LEMONDE.FR avec AFP | 18.06.09 | 06h29  •  Mis à jour le 18.06.09 | 11h45 
"Que gagne-t-on à échanger ?" "Y a-t-il des questions auxquelles aucune science ne répond ?" "Le langage trahit-il la pensée ?" Voici quelques-uns des sujets de philosophie sur lesquels planchent, ce matin, environ 500 000 candidats aux séries générale et technologique. Les candidats au bac professionnel commençant, eux, lundi prochain. Les 331 575 candidats au bac général ont commencé à composer à 8 heures, les 163 085 candidats au bac technologique disserteront, eux, à partir de 14 heures.

Les candidats aux bacs général et technologique auront leurs autres épreuves écrites jusqu'à mercredi 24 juin, tandis que les 127 662 candidats au bac professionnel passeront les leurs de lundi 22 à vendredi 26 juin. Les 622 322 candidats passent à 53 % un bac général, à 26 % un bac technologique et à 21 % un bac professionnel. Le plus jeune est un lycéen de 13 ans et 3 mois de l'académie de Strasbourg, le plus âgé a dépassé 78 ans et concourra dans celle de Montpellier.

Mercredi, les professeurs de philosophie de l'académie de Lille ont décidé en assemblée générale de protester contre la dégradation des conditions de correction du baccalauréat, en refusant de prendre en charge un tiers des copies à corriger.

Ces derniers jours, trois élèves de terminale du lycée Romain-Rolland d'Argenteuil (Val-d'Oise) ont été placés en garde à vue, soupçonnés d'avoir voulu dérober des sujets du bac en s'introduisant dans le bureau de la proviseure. Ils ont été laissés libres mardi.

Les candidats au bac sauront mardi 7 juillet s'ils ont obtenu le diplôme du premier coup ou s'ils doivent passer l'oral de rattrapage, dont les résultats tomberont samedi 11 juillet. Tous les résultats seront disponibles gratuitement sur le site www.education.gouv.fr.


Les sujets complets [전체 문제]

 

Série L (littéraire), coefficient 7 [문과]

- L'objectivité de l'histoire suppose-t-elle l'impartialité de l'historien ?

- Le langage trahit-il la pensée ?

- Expliquer un extrait de Le Monde comme volonté et comme représentation, de Schopenhauer.


Série S (scientifique), coefficient 3 [이과]

- Est-il absurde de désirer l'impossible ?

- Y a-t-il des questions auxquelles aucune science ne répond ?

- Expliquer un extrait de De la démocratie en Amérique, d'Alexis de Tocqueville.


Série ES (économique et social) coefficient 4 [경제-사회계열]

- Que gagne-t-on à échanger ?

- Le développement technique transforme-t-il les hommes ?

- Expliquer un extrait de l'Essai sur l'entendement humain, de John Locke.

 

Télézapping
Philosopher pour commencer
LEMONDE.FR | 18.06.09 | 17h21  •  Mis à jour le 19.06.09 | 07h33
Durée : 2:02  |  Images : TF1, France 2, France 3, iTélé, LCI, BFM-TV

Revue de presse quotidienne des JT de la mi-journée.

Images :
TF1
France 2
France 3
LCI
BFM-TV
iTélé

Réalisation : Le Monde.f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란혁명(1979)의 발단과 전개

 

 

1905, 이란에 서구식 입헌군주제 최초 도입.

1908, 영국 석유회사 이란 진입.

 

 

1951-1953, 모사데그(Mossadegh(1882~1967)) 집권기(수상) : 석유산업 국유화 의회 통과, 서구 제국주의로부터의 독립 정책 [무사데그는 1909~1914, 프랑스-스위스에서 공부, 법학 박사]

 Mohammad Mossadegh, figure emblématique de la nationalisation du pétrole.

Mohammad Mossadegh est un homme politique iranien(1882 à Téhéran~1967 à Ahmadabad). Il a été Premier ministre de l'Iran de 1951 à 1953. Connu pour avoir nationalisé l’industrie pétrolière iranienne en 1951, il reste, dans de nombreux pays, un symbole de l’anti-impérialisme.

En 1951, le Majlis nomma Mohammad Mossadegh nouveau premier ministre par un vote de 79 contre 12, qui, peu de temps après, nationalisa la compagnie pétrolière détenue par les Britanniques. Mossadegh était opposé au Shah qui craignait un embargo pétrolier imposé par l'Occident, qui laisserait l'Iran ruiné économiquement. Le Shah s'enfuit d'Iran mais revint quand la CIA organisa un coup d'Etat contre Mossadegh en août 1953 (voir Opération Ajax). Mossadegh fut ensuite arrêté par les forces armées pro-Shah.

 

1953년 8월, 샤의 쿠데타 (Mohammad Reza Shah Pahlavi(1919~1980), 팔라비 왕조(Dynastie Pahlavi, 1925-1979)의 마지막 군주) : 영국 MI6와 CIA의 개입-조작으로 무사데그를 끌어내리고 권력 독점, 친정 독재 체제로 전환. '백색혁명'이라고 불리는 서구화-친서방 정책 실시. 막강한 석유자본 덕에, '백색혁명'은 이란의 근대화와 서구적 번영을 가져옴 (그래서 이란은 이슬람 국가 중에서 가장 서구화된 국가가 된다. 여성들의 서구화도 물론). 샤는 별로 강골도 아니고 물컹한 성격의 소유자였으나 집요한 미국놈들(처음에는 영국이 주축이었지만 점차 미국이 대체)의 지지와 조종에 힘입어 79년 혁명을 피해 도망 갈 때까지 권력을 장악 (근대화와 독재는 거의 박정희 수준이군..). 그러나 이러한 근대화와 번영은 당연히 사회적-국가적 정체성은 말살 시켰고, 번영이라는 이름 뒤에 숨은 독재에 인민의 자유는 반납해야만 했다. 결국 1975년 경 부터는(cf. 1973년 석유파동) 국가 정체성 회복을 위한 종교 지도자들의 반발과 다양한 사회운동 조짐이 생겨나면서 1979년 혁명의 맹아가 싹튼다.

 Mohammad Reza Shah, dernier représentant de la monarchie.

En 1953, Mohammad Reza Pahlavi reprend le pouvoir en Iran après avoir fui le pays. Cela est possible en renversant le gouvernement de Mohammad Mossadegh avec l'aide d'une opération clandestine menée par la CIA et le MI6 dont le nom de code est Opération Ajax. Pahlavi maintient de bonnes relations avec les États-Unis. [MI6 (à l’origine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6), est le service de renseignements extérieurs du Royaume-Uni.]

En 1955, l’Iran appartient au pacte de Bagdad et se trouve alors dans le camp américain pendant la guerre froide. Mohammad Reza Shah modernise l’industrie et la société grâce aux revenus très importants du pétrole et à un programme de réformes nommé la Révolution blanche. L’Iran entre dans une période de prospérité fulgurante et de modernisation accélérée mais la société, bouleversée dans ses racines, souffre du manque de liberté.

Faisant face à une opposition grandissante des leaders religieux, rejoints par les propriétaires de petites entreprises en 1975, le Shah tente un nouvel effort pour reprendre le contrôle de la société iranienne. Cet effort consiste à essayer de minimiser le rôle de l'Islam dans la vie de l'empire, en louant à la place les réalisations de la civilisation Perse pré-Islamique.

 

 

1979년, 이란 혁명

혁명은 다양한 사회-종교 세력들에 의해 추동 되었으나 실질적 주축은 대학생들이었다 함. 시위 세력에 샤는 발포를 했고 수백명의 희생자를 냈으나 결국 혁명은 성공, 그 희생자들은 조국을 위한 순교자로 오늘날까지 대접된다. 결국 샤는 미국-이집트 등으로 도망다니다가 이듬 해에 죽고, 혁명세력들은 1964년 이래로(63년에 서구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연설로 인해) 이란에서 추방되어 터어키·이라크·프랑스 등에서 망명생활을 하던 호메이니의 귀국을 열렬히 환영. 호메이니는 입헌군주제를 폐기하고 '이슬람 인민 공화국' 수립을 주동하고, 새로 만든 공화국 헌법에 따라 종신 '최고 지도자'가 된다. 공화국 헌법은 군사 등의 모든 중요한 결정권을 '최고 지도자'에게 귀속시키고 통치는 대통령에게 할당한다. 초대 대통령은 암살되고, 이어서 하메네이가 이란-이라크 전쟁기간(1980~88)을 포함한 1981년에서 1989년까지 대통령 직을 수행한다. 1989년 호메이니가 죽은 후 하메네이는 '최고 지도자'로 선출되어 지금에 이른다.

Révolution iranienne est la révolution de 1979 qui a transformé l'Iran en république islamique. En 1978, l'Iran était une monarchie constitutionnelle autoritaire pro-occidentale, sous le règne du Shah Mohammad Reza Pahlavi ; à la suite de la révolution, l'Iran devient une république théocratique islamique et populiste [1], dirigée par l’ayatollah Khomeini. La révolution comporte deux phases : la première phase voit l'alliance des groupes religieux, libéraux et de gauche afin de chasser le Shah du pouvoir ; la seconde partie, souvent nommée Révolution Islamique voit l'ascension au pouvoir de l’ayatollah Khomeini.

 

1979-1989 : 호메이니 지도체제(Guide suprême)
Rouhollah Mousavi Khomeini Khomeini, aussi transcrit Khomeiny ou Khomeyni (1902-1989)
un dignitaire religieux chiite possédant les titres d'ayatollah et de seyyed, un homme politique iranien et le guide spirituel de la révolution islamique de 1979 qui renverse le shah d'Iran Mohammad Reza Pahlavi. Il était également considéré comme Marja par de nombreux chiites après la mort de l'ayatollah Borudjerdi. Il installe en Iran une théocratie chiite qu'il gouverne depuis son établissement jusqu'à sa mort en 1989, période où il occupe le poste de Guide de la révolution. 

 청년 호메이니

 

1980-1988 : 이란-이라크 전쟁 [Saddam Hussein(1937-2006), président (1979-2003) de l'Irak]
En juillet 1980, le conseiller à la sécurité nationale des États-Unis, Zbigniew Brzezinski rencontre le Roi Hussein de Jordanie à Amman, afin de discuter d'une opération visant à amener Saddam Hussein à sponsoriser un coup d'état en Iran contre Khomeiny. Le Roi Hussein est alors le plus proche confident de Saddam dans le monde Arabe, et sert d'intermédiaire pendant la préparation de ce coup d'état. L'invasion de l'Iran par l'Irak se ferait sous prétexte d'un appel à l'aide d'officiers loyalistes iraniens ayant préparé leur propre soulèvement le 9 juillet 1980 (nom de code Nojeh, d'après le nom de la base aérienne Shahrokhi/Nojeh à Hamedan). Les officiers iraniens sont coordonnés par Shapour Bakhtiar, qui a fui en France lors de la prise de pouvoir par Khomeini, mais opère depuis Bagdad et Sulaymaniyah au moment de la rencontre entre Brzezinski et Hussein. Cependant, Khomeiny est informé de l'opération Nojeh par des agents soviétiques en France et en Amérique latine. Peu après la rencontre de Brzezinski avec Hussein, le président de l'Iran, Abolhassan Bani Sadr fait arrêter 600 officiers et exécuter la plupart d'entre eux, marquant l'arrêt brutal du coup d'état de Nojeh[2]. Saddam décide alors d'envahir son voisin sans l'assistance des officiers iraniens, déclenchant la Guerre Iran-Irak le 22 septembre 1980. Elle a également été appelée guerre du Golfe persique jusqu'à la deuxième guerre du Golfe entre l'Irak et le Koweït en 1990-1991, puis a pris le nom de première guerre du Golfe. Elle a fait entre 500 000 et 1 200 000 victimes.

 

 

1989- 현재 : 하메네이 지도체제
Guide suprême : L'ayatollah Seyyed Ali Khamenei (1939, Mashhad-)
l'actuel Guide suprême de la révolution islamique (Rahbar en persan), ce qui est le poste le plus élevé de la République islamique d'Iran, au-dessus de la charge officielle de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qu'il occupa lui-même de 1981 à 1989. Son turban noir indique qu'il est un seyyed, un des nombreux descendants du prophète de l'islam, Mahomet.
Durant la présidence du réformateur Mohammad Khatami (1997-2005), Khamenei freine souvent la politique d’ouverture de la société et des institutions voulue par le président. Et même avec le président Mahmoud Ahmadinejad, il n'hésite pas à user de son veto contre les décrets lui déplaisant. Au printemps 2006, il a bloqué un décret autorisant l'entrée des femmes dans les stades. Lors de la crise internationale liée aux caricatures de Mahomet, l'ayatollah Ali Khamenei a dénoncé le 7 février 2006, à Téhéran, la publication de caricatures du prophète de l'islam Mahomet dans la presse européenne comme étant une « conspiration sioniste ».

예컨데, 2006년에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이 '여성들에게 경기장 관람을 허용하는 법안'을 만들자 하메네이는 거부권을 행사했고, 마호메트를 우롱한 서구와 이스라엘을 사탄으로 규정하며 엄정한 대결노선을 견지.

 

Le guide suprême, l'ayatollah Ali Khamenei, lors d'une interview télévisée, le 12 juin 2009.

Le guide suprême, l'ayatollah Ali Khamenei, lors d'une interview télévisée, le 12 juin 2009. (REUTER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란-시위상황 vs 블로거국가-이란

이란 대선, 아마디네자드 재선 성공 (2009년 06월 13일, http://blog.jinbo.net/radix/?pid=219)에서 이어지는...

 

[이란 6/16일 상황] http://www.lemonde.fr/proche-orient/actu-minute/2009/06/15/iran-les-manifestations-en-direct_1206919_3218.html#ens_id=1190750 에서 발췌

06:37 - Bilan des affrontements revu à la hausse : 7 morts / Sept civils ont été tués lundi à Téhéran, en marge de la manifestation pro-Moussavi, après s'en être pris à une unité militaire, affirme la radio officielle d'information Radio Payam."Plusieurs voyous voulaient attaquer un poste militaire et vandaliser les équipements publics près de la place Azadi. Malheureusement sept personnes ont été tuées et de nombreuses autres blessées", dit la radio. Un photographe iranien avait vu au moins un mort, lundi soir, après que des manifestants s'en furent pris à une base de la milice islamique du bassidj, et que ses occupants eurent ouvert le feu sur eux à l'arme automatique.

08:04 - Mahmoud Ahmadinejad arrive à Ekaterinbourg / Mahmoud Ahmadinejad arrive à Ekaterinbourg, dans l'Oural (Russie) pour participer au sommet de l'Organisation de coopération de Shanghai (OCS). M. Ahmadinejad doit représenter la République islamique au sommet qui réunit la Russie, la Chine, et les ex-républiques soviétiques du Kazakhstan, d'Ouzbékistan, du Tadjikistan et du Kirghizistan. L'Iran est convié à la réunion de l'OCS en tant qu'observateur.

11:59 - Le Conseil des gardiens ne devrait pas annuler l'élection / Selon la télévision d'Etat, la Conseil des gardiens de la Constitution n'annulera pas l'élection présidentielle, comme le demande Mir Hussein Moussavi, le principal candidat opposé à Ahmadinejad. "En vertu de la loi, la demande de ces candidats en vue de l'annulation du vote ne peut être examinée", a déclaré le porte-parole du Conseil, Abbasali Kadkhodai. Ce qui n'exclut pas un recompte partiel, souligne la BBC.

12:15 - Les journalistes étrangers interdits de manifestation / Le gouvernement a annoncé avoir interdit à la presse étrangère de se rendre aux manifestations "illégales", c'est-à-dire aux mobilisations appelées par Mir Hussein Moussavi et ses partisans.

12:19 - Moussavi appelle ses partisans à ne pas manifester / Mir Hossein Moussavi appelle ses partisans à ne pas participer à la manifestation de Téhéran, pour "protéger les vies". "Le rassemblement des modérés est annulé", pour ne pas tomber dans des "confrontations planifiées", dit son conseiller Abolfazl Fateh. Deux rassemblements rivaux étaient prévus à une heure d'intervalle sur la place Vali-ye Asr de Téhéran, risquant d'accroître encore les tensions dans la capitale, où les violences post-électorales ont fait sept morts lundi selon une télévision officielle.

15:16 - Les partisans d'Ahmadinejad défilent dans les rues de Téhéran / Selon la télévision iranienne, qui a diffusé en direct des images du rassemblement pro-Ahmadinejad à Téhéran, des milliers de personnes brandissant des drapeaux iraniens se sont regroupées sur la place Vali-ye Asr pour soutenir le président sortant, dont la réélection à la tête du pays est contestée. D'après un envoyé spécial du Guardian, près de 20 000 manifestants auraient pris part au cortège.

15:39 - Des fidèles de Moussavi se rassemblent dans le calme dans le nord de Téhéran / Des partisans de Mir Hossein Moussavi se sont rassemblés dans le calme, par petits groupes, dans le nord de Téhéran, bastion de l'ancien premier ministre. "Nous voulons simplement l'annulation du résultat de l'élection (présidentielle)", a dit l'un d'eux. Plusieurs dizaines de jeunes sympathisants du candidat réformateur ont par ailleurs marché vers le siège de la télévision publique, également dans le nord de Téhéran, selon Reuters et la chaîne Al-Jazeera.

16h33: Le Guardian explique que selon des fuites émanant du ministère de l'Intérieur iranien, Moussavi aurait gagné la présidentielle, rassemblant 57% des voix lors du scrutin de vendredi. [http://www.liberation.fr/monde/0101574355-iran-sept-civils-tues-en-marge-de-la-manifestation-pro-moussavi]

 

어제(6/15일) 테헤란 시위에서 7명이 죽었으나, 오늘 아침 일찍 대통령 당선자 아마디네자드는 '상하이 연합(OCS)'의 정상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러시아엘 갔고(사진), 점심때에는 '헌정수호 위원회(Conseil des gardiens)'에서의 "선거를 무효화할 수 없다"는 결정이 나왔고, 모든 외국 기자들의 시위 참가 금지령이 내려졌고, 잠시 후(12:19분) 무사비는 그의 지지자들에게 '시위를 하지말 것'을 드디어 호소했다 함. 오후 15시 경, 이번에는 2만여 명의 아마디네자드의 지지자들이 테헤란 거리행진을 했으며, 반면 비슷한 시간대에 무사비 열광자들은 테헤란 북쪽 지역에 소그룹으로 조용히 모였다고 한다. [여기까지가 르몽드 속보인데, 이어지는 시간대(16:33)의 리베라씨옹에는 "이란 내무부측 빨대(?)를 통해 입수한 정보에 의하면 무사비가 지난 금요일 선거에서 57%를 획득했다고 Guardian 지는 말한다"는 기사가 뜬다. 글쎄...]

뭐 이런 상황 추적의 악취미로 이 포스트를 만드는 것은 아니고, 아래에 이어지는 "이란인들, 블로거들의 국가"라는 기사가 이번 시위의 성격(자유주의, 남녀평등...)을 파악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도구가 될 듯해서, 그것을 퍼오면서 상황을 대충 추려봤다. 이란의 인터넷 인구가 2천100만(7천200만 인구 중) 명이고, 블로거 인구는 세계 3위 라는데... [우리는?]

* 사진보기: http://www.liberation.fr/monde/1101517-en-images-la-colere-gronde-a-teheran


Les Iraniens, une nation de blogueurs (Liberation Monde 15/06/2009 à 19h18)
ARTICLE + VIDEOLe cyberactivisme des Iraniens est profondément ancré dans cette société qui compte plus de 20 millions d'internautes. / SYLVAIN MOUILLLARD

영어 동영상의 작동에 제동이 걸릴 시에는 직접 아래의 링크로 가서 보시길

 

Alors que les manifestations se multiplient en Iran, deux jours après la réélection contestée de Mahmoud Ahmadinejad, la mobilisation des Iraniens sur Internet est largement commentée. Ce cyber-activisme est-il uniquement le fait des milieux étudiants et intellectuels de Téhéran, face à des classes populaires soutenant plutôt le président sortant ?

Selon Julien Pain, responsable du site participatif des observateurs sur France 24, «l'Iran est un des pays les plus connectés dans la région. Il y a près de 21 millions d'internautes pour 72 millions d'habitants». La première plateforme de blogs du pays, Blogfa, compte deux millions d'inscrits. Internet ratisse donc plus large que ce que l'on pourrait penser. C'est ce que souligne cette vidéo de la Vancouver Film School, qui parle même du «troisième plus grand pays de blogueurs».

Les internautes iraniens ne sont pas uniquement férus de politique. «Il y a un nombre impressionnant de blogs de poésie», note Julien Pain. Cette ouverture à Internet date du premier mandat du réformateur Khatami, débuté en 1997. La campagne électorale 2009 a elle été marquée par la stratégie web offensive du candidat réformateur Moussavi, qui comptait par exemple 40.000 amis sur sa page Facebook. Les partisans d'Ahmadinejad n'étaient pas en reste, même s'ils fréquentaient moins les réseaux sociaux tels que Facebook ou Twitter.

«L'Iran a des infrastructures de qualité, ainsi que des fournisseurs d'accès privés. La population a un bon niveau d'éducation», explique Julien Pain. Un point de vue conforté par Thierry Coville, chercheur à l'Iris: «Les Iraniens sont à 70% urbains. La modernisation de la société concerne l'ensemble du pays, pas uniquement les grandes villes», explique-t-il. Selon lui, «les Iraniens utilisaient beaucoup Internet pour la drague. Mais c'est aussi devenu un espace de mobilisation politique face à la répression exercée par le régime». Mais comme le souligne Julien Pain, «il faut relativiser l'impact d'Internet». La jeunesse iranienne utilise les outils à sa disposition, mais le rapport de force avec le pouvoir, lui, se crée toujours dans la rue.

http://www.liberation.fr/monde/0101574243-les-iraniens-une-nation-de-blogueur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스라엘의 왜곡된 건국신화/최갑수 (+이스라엘 좌파?)

이스라엘의 왜곡된 건국신화 / 최갑수 (경향 2009-01-08)

 

새해를 맞이해 희망의 노래를 합창해야 하는데, 올해는 벽두부터 마음이 무겁다. 대공황에 준하는 경제위기가 주요인이지만, 연말연시에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벌이는 무자비한 학살극이 스산함을 참담한 전율로 바꿔놓는다. 중동 사태의 근원을 캐다 보면 유럽의 모순을 엉뚱하게 해외로 수출한 제국주의와 유럽 중심주의 그리고 오리엔탈리즘의 칙칙한 현실과 마주하게 된다. 그것을 증폭시켜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막는 것 가운데 하나가 편향된 역사인식이다. 우리 사회 역시 기독교, 미국, 서방 여론의 영향 아래 이로부터 자유롭지 않아 중동 사태에 대한 공정한 이해를 심각하게 방해받고 있다.

 

이스라엘이 학교 교육을 통해 가르치는 ‘유대민족사’를 보면, 역사를 의도적으로 왜곡하고 있다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 이에 따르면 오늘날의 이스라엘 사람들은 모세가 시나이 산에서 ‘토라’(율법)를 받은 이후 줄곧 존재해 온 유대 민족의 유일한 직계 후예다. 유대인들은 ‘출애급’ 하고 ‘약속의 땅’에 정착해 다윗과 솔로몬의 위대한 왕국을 세우나, 이후 왕국의 분할과 함께 결국 두 차례(기원전 6세기와 기원후 70년)의 유배생활을 경험한다. 2000년에 걸친 방랑(‘이산’)으로 유대인들은 예멘, 모로코, 스페인, 독일, 폴란드, 러시아 등지로 퍼져갔는데, 하지만 언제나 혈연적 관계를 유지해 민족성을 결코 상실하지 않았다. 이 역사 해석에 따르면, 19세기 말이 되면서 옛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나치의 대학살이 없었더라면 더 많은 유대인들이 오랜 염원을 실현해 성서가 말하는 ‘이스라엘의 땅’에 정착했을 것이다. 팔레스타인은 무주공산이며, 애초의 주민이 돌아오기를 기다린 처녀지이다. 거기에 살고 있는 소수의 아랍인들은 우연히 그렇게 된 것이며, 독자적인 역사를 갖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팔레스타인은 유대인에 속한다. 유랑민족이 땅을 되찾기 위해 벌이는 전쟁은 정당하며, 그것에 저항하는 것은 범죄행위이다.

 

이 역사관이 신화에 불과한 것임을 입증하는 책들이 이미 국내에 소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해온 ‘신 역사가들’의 논지를 요약한다. 먼저 성경을 역사서로 볼 수 있느냐이다. 종교적 진리를 민족교육의 토대로 만든 것이 19세기 후반기의 시온주의 역사가들인데, 최근 ‘신 고고학’ 등의 연구는 출애급과 관련한 ‘모세 오경’의 사실적 근거를 의심하며, 솔로몬의 왕국도 ‘영화’를 운위하기에는 소왕국에 불과했음을 지적한다. 또한 ‘바빌론 유수’에 대해서는 소수의 지배층만이 유배당했고, 기원후 70년의 ‘제2차 성전 파괴’로 유다왕국의 주민들이 유랑생활을 겪기는커녕 그대로 살다가 일부는 4세기에 기독교로, 대부분은 7세기에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그렇다면 고대 이래 지중해에 흩어져 살던 유대인들은 어디에서 온 것인가? 놀라운 사실은 고대에서 중세 초에 걸쳐 유대교 역시 가장 강력한 경쟁자인 기독교에 못지않게 중동과 지중해 세계에서 개종자들을 다수 확보했다는 점이다. 예컨대 오늘날 쿠르드족의 거주지에 기원후 1세기에 있었던 한 왕국이 유대교를 받아들여 유대왕국이 되었으며, 5세기에는 예멘에 유대왕국이 들어서 그 후예들이 오늘날까지 신앙을 지켜왔다. 또한 7세기에는 북아프리카의 일부 베르베르족이 유대교를 받아들이고 아랍의 이베리아 반도 정복에 동참해 일종의 공동정권을 이루었다. 대규모 개종은 8세기에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에 있던 하자르족에게서 일어났다. 여기서 유대교는 우크라이나로, 13세기 몽골 침입 이후에는 동유럽과 독일로 퍼져나가 ‘이디시 문화’의 토대를 제공했다.

 

하지만 이스라엘의 ‘국사학계’는 건국신화에 어긋나는 사실을 애써 무시한다. 가관인 것은 과학을 동원해 유대민족성의 유전학적 근거를 찾으려는 노력이다. 그런 것이 발견될 리 만무하지만 이스라엘의 정체성은 정치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인구의 약 4분의 1이 비유대인으로 간주되어 법적으로 국가에서 배제당한 상태인 반면에, 이스라엘은 다른 나라의 정식 시민임에도 전 세계 유대인들의 고국으로 자처한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 당선자의 비서실장 내정자인 람 이매뉴얼은 미국 시민이면서 이스라엘 군에 입대해 아랍군과 싸운 바 있다. 이스라엘 군이 이런 건국신화를 내면화하고 있다면, 하마스에 대한 ‘최종적 해결’은 강력한 정신무장의 지원을 받는 셈이다. 참으로 상상조차 싫을 정도로 무서운 일이다. (최갑수, 서울대교수·역사학, 경향 입력 : 2009-01-08-18:28:35ㅣ수정 : 2009-01-08 18:28:38)

 

 


 

 

이스라엘에 ‘좌파’는 존재하는가? / 장석준 (레디앙 2009-01-09)

 

(...) 이스라엘의 의회인 크네셋의 정당 분포를 살펴보자. 이스라엘은 100% 정당명부 비례대표제를 실시한다. 그래서 그런지 수많은 정당이 난립하고 있다. 현재 집권 연정을 주도하는 카디마당조차 득표율이 20%를 겨우 넘는 수준이다.

(...) 유대인들 사이에서도 그들의 출신지에 따라 경제사회적 처지가 전혀 다르다. 부유층이 주로 이스라엘 건국을 주도한 서유럽, 미국 출신 이스라엘인들인 반면, 동유럽이나 북아프리카, 중동 출신 이스라엘인들은 대부분 빈곤층이다. 역설적인 것은 바로 이들 상대적 빈곤층, 소외계층이 주로 극우 정당들을 지지한다는 점이다.

(...) 리쿠드당과 함께 오랫동안 이스라엘 정치를 반분해오던 노동당도 위기 상태인 것은 마찬가지다. 노동당의 지지율은 심지어 한 자리 수로까지 폭락했다. 노동당은 이스라엘 노총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도 가입한, 유럽 기준으로 보면, 사회민주주의 정당이다. 하지만 현재 가자 침공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국방장관 에후드 바라크가 노동당 대표인 데서 알 수 있듯이, 노동당 역시 강경 시온주의 세력일 뿐이다. 게다가 최근에는 블레어 식 ‘제3의 길’을 주장하고 있어서, 도대체 리쿠드당이나 카디마당과 차이가 무엇이냐는 핀잔을 듣는 형편이다. 다가올 총선에서는 아마도 노동당의 존립 자체가 위협받을 것으로 보인다.

(...) 그럼 전쟁에 반대하는 좌파는 정말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 그렇지만은 않다. 하지만 이스라엘 국가의 원죄와 전쟁 반대의 대의 사이에서 동요하거나 그 세력이 너무 미약하다. 크네셋 안에는 우선 지난 총선에서 3.77%를 얻은 ‘메레츠-야차드’(‘생명력-다함께’)가 있다. 이 당 역시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속해 있으며(즉, 사회민주주의 정당), 시온주의 내에서 팔레스타인과의 공존을 받아들이는 흐름(현재는 ‘지금 평화를’이라는 평화운동 단체가 이 흐름을 대표)을 대변한다. 하지만 그 뿌리가 결국 이스라엘 건국이념과 잇닿아 있다 보니 ‘방어전’이라는 알리바이와 ‘평화’라는 이상 사이에서 끊임없이 동요하는 모습을 보인다.

(...) 그나마 원칙 있는 반전 정당은 크네셋 안에 ‘하다쉬’, ‘통합 아랍 리스트-타알’ 그리고 ‘발라드’뿐이다. 이들의 득표율을 모두 합쳐도 8%가 조금 넘는 정도다. 이 중 통합 아랍 리스트-타알과 발라드(‘민족민주회의’의 약칭)는 이스라엘 내 아랍 주민들을 대변하는 정당들이다. 이스라엘 선관위는 이들 아랍계 정당들이 하마스, 헤즈볼라 등과 연계한다고 해서 정당 해산을 요청했지만, 대법원에서 가까스로 해산 판결을 면했다.

한편 하다쉬(‘평화와 평등을 위한 민주전선’의 약칭)는 이스라엘 공산당을 비롯한 좌파 정파들의 연합이다. 하다쉬는 이스라엘 내에서 거의 유일하게 아랍인과 유대인(대부분 북아프리카 출신 유대인)이 함께 참여하는 정치조직이다. 하지만 이스라엘 사회 안에서는 거의 게토처럼 유폐당한 신세다. 예를 들어 하다쉬와 입장이 비슷한 평화운동 단체 ‘거쉬 샬롬’(‘평화 블록’)은 이스라엘 평화운동 안에서도 왕따 취급을 당한다.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을 인정하자고, 가자 지구를 포기하자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현재 이스라엘의 정치 현실이다. 우리는 민주공화국은 진보좌파의 필수적인 정치 무대이며, 모든 민주공화국에는 대중적인 좌파가 존재하기 마련이라고 생각하곤 한다. 하지만 분명히 민주공화국의 외양을 띠고 있는 한 나라, 이스라엘은 이러한 상식에 들어맞지 않는다. 어떤 국가 구성은 애초부터 인류사의 대의와 어긋날 수 있다는 것을, 미래의 희망이 과거의 제약을 넘어설 가능성 자체를 봉쇄할 수 있다는 것을 이스라엘의 사례는 말해준다.(끝) 레디앙 2009년 01월 09일 (금) 11:54:47 장석준 / 진보신당 정책실장


cf.) 이스라엘 양심 세력들이 힘 못쓰는 이유 / 박노자 http://www.redian.org/news/articleView.html?idxno=12218

 

 

<홀로코스트, 유럽 유대인의 파괴> 라울 힐베르크 지음·김학이 옮김, 개마고원 / 서평-이세영, 090116

“현존하는 가장 위대한 홀로코스트(유대인 대학살) 연구서”로 꼽히는 <홀로코스트, 유럽 유대인의 파괴>의 원제는 ‘유럽 유대인의 파괴(The Destruction of the European Jews)’다. 500만명 넘게 희생된 인류사의 비극을 ‘파괴’라는 건조한 언어로 기술했으니, 피해자인 유대인들이 반발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였다. 이 책이 출간된 1961년, 미국과 이스라엘의 시온주의자들은 책과 저자를 향해 분노와 저주를 퍼부었다. 그러나 책을 쓴 라울 힐베르크 역시 유대인이다. 힐베르크가 ‘파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다분히 의도적이었다. 그는 학살을 기획하고 실행한 주체보다, 그 과정의 철저한 기계성익명성에 주목했다. 히틀러나 나치당이 아니라, 기계적 합리성을 원리 삼아 작동하는 독일 관료제와 조직화된 독일 사회 전체에 비극의 책임을 묻고자 했던 것이다.

힐베르크에 따르면 반유대주의 정책과 행동은 나치가 집권한 1933년에 비로소 나타난 것이 아니다. 시작은 4세기 로마였다. 이후 개종·추방·학살이라는 세 종류의 반유대인 정책은 유럽 역사를 통해 반복됐다. 나치 역시 처음에는 추방과 배제를 택했다. 당초 계획은 유대인들을 아프리카의 마다가스카르 섬으로 이주시키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들이 벌인 전쟁 때문에 장거리 대량수송이 불가능해지자 ‘유대인 문제’는 다른 방식으로 해결돼야 했다. 학살이었다. 힐베르크는 유대인 파괴가 세 단계로 진행됐다고 본다. 먼저 유대인의 개념이 ‘정의’됐고, 다음엔 유대인들이 게토로 ‘집중’됐다. 마지막 단계는 유대인의 ‘절멸’이었다. 정의와 집중 사이에 ‘약탈’이 끼어들었고, 집중과 절멸 사이에는 ‘노동착취’가 개입했다. 그런데 이 과정은 치밀한 마스터플랜에 의해 진행된 게 아니었다. “파괴과정은 한 단계 한 단계 실행된 작전이었고, 행정은 한 단계 앞 이상을 내다볼 수 없었다.” 중요한 것은 파괴가 어느 한 기관의 주도로 이루어진 게 아니었다는 점이다. 힐베르크가 볼 때, 그것은 ‘파괴기계’라는 ‘집합적 총체’에 의해 실행됐다. 이 기계는 행정기구와 군, 기업, 나치당이라는 독일의 주요 기관들로 구성됐는데, 평범한 독일인 누구라도 그 기관의 부속이 될 수 있었다.

나아가 힐베르크는 유대인 자치기구와 학살센터의 유대인 노동대, 저항 없이 가스실로 향한 유대인들까지도 파괴기계에 포함시킨다. 이들의 순응과 체념이야말로 학살을 지극히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준 동력이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 많던 유대인의 이웃들은 다 어디에 있었나. 힐베르크에 따르면 그들 대부분은 일상에 몰두하며 중립을 지켰다. 그것은 위험도, 도덕적 부담도 지지 않으려는 일종의 전략적 선택이었다. 힐베르크는 말한다. “희생자에 대한 도움을 막은 것은 무엇보다 자아 몰두였다. 공포와 트라우마에 시달릴 때조차 사람들은 정상적인 삶의 외관에 매달렸다. 파블로 피카소는 계속해서 그림을 그렸고, 장 폴 사르트르는 극본을 썼다. 그들처럼 고상한 야망이 없는 사람들은 영화와 스포츠와 술로 향했다.” 말하자면 악은 일상의 도처에 있었다. 일상적인 관료행정과 일상적 생계활동, 그리고 일상적 자아실현에. 그 일상은 불타는 가자시티를 구경하며 환호하는 홀로코스트 유대인의 후손들과, ‘팔레스타인 잔혹극’이 방영중인 텔레비전 앞에 앉아 ‘모진 이웃’ 만나지 않았음에 안도하며 위안받는 우리들의 삶에서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 (이세영 기자, 한겨레 기사등록 : 2009-01-16 오후 06:21:05)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네탄야후,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최초 조건부 인정

Affiche représentant

REUTERS/BAZ RATNER / Placardées par l'extrême droite, des affiches représentant "Hussein Obama l'antisémite" coiffé d'un keffieh palestinien sont visibles à Jérusalem. Lors de sa campagne électorale, M. Netanyahu avait assuré qu'il était le mieux placé pour maintenir l'alliance stratégique avec les Etats-Unis.

Benyamin Nétanyahou prêt à tenir tête à Barack Obama
LEMONDE.FR avec AFP | 14.06.09 | 10h22  •  Mis à jour le 14.06.09 | 11h40  
Le premier ministre israélien Benyamin Nétanyahou ne devrait pas accepter la création d'un Etat palestinien et un gel de la colonisation, selon les médias, lors de son discours de dimanche, présenté comme crucial. Il doit répondre au discours de réconciliation avec le monde musulman prononcé le 4 juin au Caire par le président américain Barack Obama, qui a pressé l'Etat hébreu d'endosser le principe de "deux Etats pour deux peuples" et appelé à un gel total de la construction dans les colonies de Cisjordanie, où vivent déjà prés de 290 000 Israéliens. Le premier ministre va s'exprimer à 20 h 10 locales (19 h 10 à Paris GMT) de l'université Bar-Ilan à Ramat Gan, dans la banlieue de Tel Aviv. (...) [http://www.lemonde.fr/proche-orient/article/2009/06/14/benyamin-netanyahou-pret-a-tenir-tete-a-barack-obama_1206730_3218.html#ens_id=1106055]

 

이스라엘 수상인 벤야민 네탄야후가 최초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조건부 인정하는 발언을 어제(6/14일) 저녁에 있은 한 대학 강연에서 했다고 한다. 이란 강경파가 대통령 재선에 성공한 덕택인지, 오바마의 지난 이집트 연설(6/4일)과 지속적인 국제적 압력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위한 조건의 수용 가능성 여부를 떠나서 획기적인 방향 전환으로 보인다. 불과 이날 아침까지만해도(10:22분 기사), 위의 사진에서 보듯이, 절대로 오바마의 '두 국가 상호 인정 프로그램'에 동의해서는 안되고 "오바마에게 대들어야 한다"(tenir tête à Barack Obama)는 분위기가 우세했던 모양인데, 갑자기 저녁(20:13분 기사) 연설에서는 전향적인 발언이 나왔다고 긴급 속보가 뜬다. 네탄야후가 내 건 조건은, '팔레스타인의 비 무장화', '유태 민족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을 인정', '팔레스타인이 이란과 헤즈볼라와의 연대의 단절' 등이다. 팔레스타인 측에서는 [속은 게 얼만데 뭘 믿고 무장해제를 하느냐는 듯이] 제안을 즉각 거부했다고 함. 뭐 더 세부적인 것까지는 모르겠고 더 지켜봐야겠지만, 일단은 이란 대선 결과 덕분에 이스라엘이 찌그러지는 형태로 분위기가 엮여가는 듯하니 그나마 다행이다. [아무리 돈 많은 족속(juif)들이 지들 맘대로 전쟁으로 장난을 치며 무고한 국가와 생명을 농락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역시 평화를 지키고 일궈내는 핵심은 핵억제력(핵의 전쟁 억제력)에 있었다는 말인가! 슬퍼고 위험한 현실이지만, 그래서 그렇게 더욱 북한을 이해할 수도 있겠다. 당분간은, 자본주의/자본의 제국주의가 그 명을 다하는 그 날 까지는...]

 

Nétanyahou pose ses conditions à l'existence d'un Etat palestinien
LEMONDE.FR avec AFP | 14.06.09 | 20h13  •  Mis à jour le 14.06.09 | 21h57

Des Palestiniennes passent devant un téléviseur qui diffuse le discours de Benyamin Nétanyahou, le 14 juin, à Ramallah.

Le premier ministre israélien, Benyamin Nétanyahou a appelé, dimanche 14 juin, "les dirigeants palestiniens à reprendre immédiatement des discussions de paix sans conditions préalables", dans son premier discours de politique étrangère depuis les élections de février, prononcé à l'université Bar Ilan, près de Tel-Aviv. "Je dis aux Palestiniens ce soir : nous voulons vivre à vos côtés en relations de bon voisinage", a-t-il ajouté.

Il a toutefois posé plusieurs "conditions préalables" à l'existence d'un Etat palestinien. Avant tout, il devra s'agir d'un Etat démilitarisé. Ensuite, "le problème des réfugiés doit être résolu hors des frontières d'Israël", a expliqué M. Nétanyahou, parce que "leur retour va à l'encontre du maintien d'Israël comme Etat juif". A ce propos, il a exigé "que les Palestiniens reconnaissent de façon sincère et publique qu'Israël est le pays du peuple juif". "Le coeur du conflit a toujours été le refus des Arabes d'accepter l'existence d'un Etat juif", a-t-il ajouté, assurant que "les retraits qu'Israël a opérés dans le passé n'ont pas changé cette réalité".

"À CHACUN SON DRAPEAU, À CHACUN SON HYMNE"

Sur la question de la colonisation, si M. Nétanyahou a exclu un gel des constructions dans les colonies existantes au nom de la "croissance naturelle", il "ne souhaite pas faire construire de nouvelles colonies ou confisquer des terres à cette fin".

Comme attendu, le premier ministre a réagi à la réélection du président iranien, Mahmoud Ahmadinejad. "La plus grande menace pour Israël, le Proche-Orient et le monde entier, c'est la rencontre entre l'arme nucléaire et l'islam radical", a-t-il déclaré, appelant "à une coalition internationale contre l'armement nucléaire de l'Iran".

"Si nous recevons ces garanties sur la démilitarisation et si les Palestiniens reconnaissent Israël comme l'Etat du peuple juif, alors nous parviendrons à une solution fondée sur un Etat palestinien démilitarisé au côté d'Israël", a-t-il poursuivi avant de conclure : "A chacun son drapeau, à chacun son hymne (...) Le territoire alloué aux Palestiniens sera sans armée, sans contrôle de l'espace aérien, sans entrée d'armes, sans la possibilité de nouer des alliances avec l'Iran ou le Hezbollah".

L'AUTORITÉ PALESTINIENNE ÉVOQUE "UN PROTECTORAT ISRAÉLIEN"

L'Autorité palestinienne a réagi, par la voix du porte-parole du président, Mahmoud Abbas, en accusant le chef du gouvernement israélien de "torpiller toutes les initiatives de paix dans la région". "Il entrave les efforts visant à sauver les processus de paix dans un clair défi à l'administration américaine", ajoute la présidence palestinienne. Un proche collaborateur de M. Abbas, Yasser Abed Rabbo, ajoute qu'"il a employé les mots 'Etat palestinien' mais en fait, il veut un protectorat israélien". A Gaza, le Hamas dénonce l'idéologie "raciste et extrémiste" de M. Nétanyahou.

Le président américain, Barack Obama, a salué, par la voix de son porte-parole, Robert Gibbs "l'important pas en avant" constitué selon lui par le discours de M. Nétanyahou, qui a accepté pour la première fois le principe d'un Etat palestinien. "Le président s'est engagé en faveur de deux Etats, un Etat juif d'Israël et une Palestine indépendante dans le berceau historique de chacun des deux peuples. Il pense que cette solution peut et doit garantir la sécurité d'Israël et l'accomplissement des aspirations légitimes des Palestiniens à un Etat viable, a-t-il expliqué.

Le site Internet anglophone du quotidien israélien Haaretz avait confié à l'un de ses journalistes, Benjamin Hartman, le soin de suivre et commenter le discours du premier ministre. Pour lui, "M. Nétanyahou a clairement affirmé qu'il suivra la ligne de sa coalition et ne fera aucun vraie concession", mais le journaliste note que le chef du gouvernement a mentionné à plusieurs reprises l'idée de deux Etats. "Donc, les Palestiniens doivent reconnaître Israël comme un Etat juif, renoncer à leurs réfugiés, et de désarmer leur Etat encore, le tout dans un territoire non encore défini, et Jérusalem ne sera pas divisée", ironise M. Hartman.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란 대선, 아마디네자드 재선 성공

Mahmoud Ahmadinejad, à la sortie du bureau de vote, le 12 juin 2009.

محمود احمدی نژاد Mahmoud Ahmadinejad (1956년10월생, 52세)

 

아무리 이란에서는 대통령에게 국가정책이나 군사적 결정권이 거의 없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미국이나 서구에서는 재선에 도전하는 보수-강건파인 아마디네자드(M. Ahmadinejad, 52세) 보다는 개혁-온건파인 무사비(H. Moussavi, 67세)가 당선되길 몹시도 기다리고 부추기는 듯 하더니만, 아마디네자드가 2차전까지 갈 것도 없이 1차에서 바로 과반을 얻어 당선될 모양이다. 투표 열기가 엄청나서 마감시간인 18시에도 투표를 기다리는 줄이 줄어들지 않아 20시까지 연기, 다시 22시까지 투표를 했다고 함 (사진의 재선 도전자도 자기 지역 투표구에서 주민들과 함께 45분 동안이나 줄을 서서 기다렸다고). 투표율은 4600만 유권자의 70%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 개표상황에 따른 두 사람의 득표율을 비교하면:

- 19% 개표된 상황에서 두 사람의 득표율(MA:HM) = 69% : 28,42% (註1)

- 87% 개표상황(02:22 GMT) = 64,88% : 32,6% (註2)

- 당선자 확정 공식발표 = 62, 6% : 33,75% (註3)

최종 득표율에서 선두 두 사람이 96% 이상을 가져가고 나머지 3, 4위 둘은 각각 2% 미만을 얻다니, 이건 공산당보다 더 심한 결속력이 아닌가... 놀랍다. 최종 투표율은 85% 이상이라고 함. 어쨌거나 방송에서는 치열한 접전을 예상 하더니만, 역시 믿을 게 못 되는 것이 방송이고 여론조사인지, 아니면 우리 신문의 분석처럼 유세기간 막판에 무사비가 너무 치고올라와서 역으로 보수파들의 결속을 가져왔는지, 그도 아니면 부정선거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란은 결국 보수-강경파를 선택했다. 선거 결과가 당초의 예상 분위기와 많이 다르게 나온 탓에 무사비 측에서는 부정선거(예컨데, 무사비 우세지역에서 나중에는 투표용지가 부족해서 투표를 못 한 사람들이 있다는 둥) 의혹을 제기하고, 그 지지자들은 테헤란의 거리로 몰려나와 항의하고, 서구 언론도 의혹을 부추기는 양상이다. 오바마를 비롯한 거의 모든 서구 국가들이 무사비가 되길 바랬으니, 대놓고 남의 나라 일에 뭐라 할 수는 없으니 반응을 상당히 자제하는 분위기이고, 유일하게 베네주엘라의 차베스만 아마디네자드의 당선을 축하했다 함.

[참고] 이란 대충보기: 인구 7000만, 1인당 국민소득 8400달러, 세계 4위 석유 생산국 - 세계 2위 석유 수출국(OPEC 회원국중), 세계 2위 천연가스 매장국 - 세계 6위 천연가스 생산국 [Le pays a une superficie de 1 648 195 km² et une population de plus de 70 millions d’habitants. Avec un produit national brut de 570 milliards de dollars en 2005, il constitue la deuxième économie de la région. Son produit intérieur brut par habitant s’élève à 8 400 dollars. L'Iran est le 4e producteur de pétrole au monde et le 2e exportateur de l'Organisation des pays exportateurs de pétrole (OPEP). Il dispose aussi de la 2e plus grande réserve en gaz naturel, après la Russie, et en est le 6e producteur. (wiki)]

여하튼 상황과 사건은 대충 그렇고, 이 시점에서 아마디네자드의 재선을 과연 어떻게 평가해야 할는지가 좀 애매해진다. 서구적-비판적-진보적 관점에 선다면 당연히 민주주의 원리에 더 충실해 보이는 무사비를 지지하고, 보수-강건 후보의 재선에 분노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비판적 시각을 갖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특히 남녀 평등/분리 등의 문제를 고려할 때). 그래서 아마도 대부분의 서구 언론이나 지식인들은 부정선거 의혹과 무사비 지지자들의 테헤란 시위장면을 가능한한 많이 부각시키려 애쓰고 있으며, 예컨데, 한 이란 출신 스위스 대학 교수는 단도직입적으로 부정선거의 만연상을 이렇게 폭로하기도 한다: 20%나 되는 문맹율로 인해 대리투표의 당연시; 이란에는 선거인 명부라는 것도 없어서 신분증만 있으면 한 사람이 몇 번이라도 투표할 수 있다는 등(리베랑씨옹에 이런 인터뷰 기사가 있으나, 나는 그의 말에는 뭔가모를 반민족적-서구추종적 입장이 녹아 있으리라는 판단에서 링크는 생략함). 물론 종교의 힘이 지배하는 국가이다보니 서구적 민주주의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는 않을테니, 이 대학교수의 말이 어느정도는 진실이고(한 사람이 몇 번씩 투표하느라 그렇게도 줄이 길었는지도..), 위의 개표상황별 득표율 변화 추이만 봐도 뭔가 조작적인 냄새가 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문제가 그렇게 간단하지만은 않다. 미국-이스라엘과 대결하고 있는 이란의 민족적-주권적(자주적) 입장에서는 어쩌면 무사비는 버마의 구 아웅산 정권이나 우리의 친일-친미 정권이 걸은 길로 나아갈 가능성이 있을 수가 있다면(물론 그런 가능성은 종교세력에 의해 별로 용납이 안되겠지만), 이것이 과연 바람직한지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도 없다. 아무리 좌파-진보가 민주주의를 옹호하고 민족주의를 거부한다손 치더라도, 나는 민주주의라는 허울 쓴 제국주의에 민족주의를 팔아먹어서는 안된다고 믿는 '덜 진보'(!)를 선호한다. 그런 측면에서 차베스처럼 나도 아마디네자드 재선이 더 반가운 것이 안타깝지만 슬픈 사실이다(여기에는 북한의 고립을 염려하는 작은 계기도 작용). 더구나 아마디네자드의 이념적 경향이 어떻든 그의 도덕성이나 검소한 생활은 충분히 존중받을 가치가 있을 것이며, 이런 요인들도 그의 재선에 중요한 작용을 했을 것이다. 아무리 부정선거가 있었다손 치더라도 근 두 배나 되는 아마디네자드의 득표율은 재선의 정당성으로 어느 정도는 충분하지 않을까도 싶다.

[한겨레 분석] 현 대통령 예상밖 압승 왜? / 급진개혁 거부 보수파 결집 - 분배정책에 서민층 지지 
12일 치러진 이란 대선에서는 투표 전날까지도 안팎에서 ‘양강 박빙’ 또는 ‘무사비 우세’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었다. 그러나 결과는 다소 뜻밖이었다. 현직 프리미엄과 부정선거 시비를 고려하더라도, 마무드 아마디네자드가 미르 호세인 무사비를 2배 가까운 표 차이로 따돌리며 여유 있는 승리를 거머쥘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무사비는 테헤란 등 도시 지역 젊은층과 여성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그들은 무사비의 당선을 통해 경제적 기회와 정치·사회적 자유의 확대를 기대했다. 그러나 이란은 신정일치 체제이며, 보수-개혁의 대립도 그 틀 안으로 한정된다. 유달승 한국외대 이란어과 교수는 “무사비 후보를 통해 분출된 요구들은 그 수준을 넘어선 것이었으며, 보수파는 급격한 변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나친 녹색 물결이 보수파의 경계심리를 자극해 표를 결집시켰다는 이야기다.
아마디네자드는 ‘포퓰리즘’ 딱지까지 붙을 만큼 철저한 분배 중심의 경제정책으로 농촌 지역과 서민층에 탄탄한 지지 기반을 쌓아왔다. 이런 경제정책은 인플레와 산업투자 부족 등의 역효과를 낳기도 했으나 서민들은 나빠진 거시경제 지표보다 당장의 경제적 수혜에 관심이 컸다. 그는 한 나라의 대통령이라고 믿기지 않을 만큼 검소한 생활로도 유명하다. 2005년 대통령 당선 당시 재산은 작은 집 한 채와 낡아빠진 승용차 한 대 정도였다. 당선 뒤에도 단돈 5달러짜리 면점퍼를 즐겨 입었고, 국제무대에서도 노타이 차림의 양복 한 벌이 트레이드마크였다. 이런 ‘서민 대통령’의 면모는 그가 2005년 대선에서 이란혁명 이후 비성직자 출신으로는 최초로 대통령에 당선된 데 이어 이번에 재선에 성공한 힘이기도 하다. (조일준 기자, 기사등록 : 2009-06-14 오후 07:07:24  기사수정 : 2009-06-15 오전 12:53:20  ⓒ 한겨레)

우리 코가 석 자나 빠져있는 상황에서 별로 가깝지도 않은 남의 나라 일에 무슨 관심이 그리도 많냐고 할지도 모르겠지만, 금방 말한대로 이란의 사례는 '서구-자유-민주주의와 보수-전통주의', '제국주의와 민족주의' 등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작은 계기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특히, 자유라는 말만 붙으면 다 훌륭한 줄 알고, 남녀평등 주장은 무조건 정당한 것이고, 보수와 전통은 마냥 타파의 대상이고, 민족주의를 반대하면 저절로 진보가 되는 줄로 생각하는, 그런 좌파들에게는 더 더욱. 마지막으로, '덜 민주주의적이고 시대에 뒤처져 보이는 아마디네자드'의 서민우대 정책(이념이고 주의를 떠나서)을 통한 재선 성공이, 우리의 '민주와 법치를 존중하는 MB정권'에 적으나마 교훈으로 작용하길 희망해 본다. 원가가 어쩌고 합리성이 저쩌고 하면서 못 사는 사람들의 전기세까지 올리려고 하는 그런 좀스런 행태 말고... [MB의 전기세 인상에 대한 홍헌호의 비판을 버리기 아까워 링크(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90612132606§ion=01) 건다. 비판 요지 3: - 녹색성장론 주장하는 자들이 에너지 과소비 부추기나; - 전기요금 낮아 에너지 과소비? 근거없는 억측일 뿐; - 전기요금체계 개편, 비수도권 주민들에 직격탄]

 


 

(註3) Election en Iran : Mahmoud Ahmadinejad réélu (LE MONDE | 13.06.09 | 08h46  •  Mis à jour le 13.06.09 | 15h43)
Le président iranien sortant, Mahmoud Ahmadinejad, a été déclaré officiellement vainqueur, samedi 13 juin, de l'élection présidentielle qui s'est tenue la veille, avec une passion, une hargne et une participation (plus de 85 %) rarement égalées. Samedi après-midi, le ministère de l'intérieur a officiellement annoncé son élection dès le premier tour avec 62,6 % des voix. Celui qui, au long de la campagne, était devenu son plus sérieux rival, l'ex-premier ministre Mir Hossein Moussavi, soutenu par ce qui semblait être une "vague verte" (symbole de la campagne) réformatrice, qui avait rassemblé de nombreux jeunes et des femmes, n'obtient que 33,75 % des voix selon le ministre de l'intérieur. Les deux autres candidats, le réformateur Mehdi Karoubi, ex-président du Parlement, et le conservateur modéré Mohsen Rezai, ex-chef historique des Gardiens de la révolution, feraient juste de la figuration avec moins de 2 % chacun. (...) (http://www.lemonde.fr/proche-orient/article/2009/06/13/mahmoud-ahmadinejad-en-route-vers-la-victoire_1206422_3218.html#ens_id=1190750)

 

(註2) A 02H22 GMT, sur 87% des urnes ouvertes, soit l'équivalent de 28,909,689 bulletins, M. Ahmadinejad était crédité de 64,88% (...) Son principal rival, le conservateur modéré Mir Hossein Moussavi, qui avait clamé sa victoire à la clôture du scrutin, obtenait 32,6%. (http://www.lemonde.fr/web/depeches/0,14-0,39-39575837@7-37,0.html)

 

(註1) Iran : les premiers résultats partiels donnent Ahmadinejad en tête
LEMONDE.FR avec AFP et Reuters | 12.06.09 | 20h53  •  Mis à jour le 12.06.09 | 22h53  

Vendredi soir, les premiers résultats partiels donnaient le président sortant en tête avec 69 % des suffrages (sur 19 % des bulletins dépouillés), contre 28,42 % à Mir Hossein Moussavi. L'agence officielle Irna a d'ailleurs d'ores et déjà annoncé qu'Ahmadinejad l'avait emporté. Selon un proche du pouvoir, Agha Mohammadi, ancien porte-parole du conseil suprême de la sécurité nationale, le président sortant devrait être réélu dès le premier tour avec un peu plus de 50 % des voix. (...) Seule certitude, les Iraniens se sont rendus massivement aux urnes. Face à l'affluence devant les bureaux de vote, le ministère de l'intérieur a décidé de prolonger le scrutin de deux heures, jusqu'à 20 heures (17 h 30, heure de Paris). Il a ensuite annoncé que les opérations de vote dureraient jusqu'à 22 heures (19 h 30). Le scrutin a alors été proclamé officiellement clos, mais les électeurs qui faisaient encore la queue devant les bureaux de vote ont été autorisés à voter après les délais. Le ministère de l'intérieur a prédit un taux de participation dépassant 70 % des 46 millions d'électeurs inscrits. (...) http://www.lemonde.fr/proche-orient/article/2009/06/12/iran-le-camp-de-moussavi-revendique-la-victoire-des-le-premier-tour_1206416_3218.html#ens_id=1190750

 

(부록) 전문가가 진단하는 네 후보의 차이와 한계
Iran : "Les quatre candidats sont nationalistes jusqu'au bout des ongles"
LEMONDE.FR | 12.06.09 | 13h35  •  Mis à jour le 12.06.09 | 14h44  

Le Conseil iranien des Gardiens de la Constitution a approuvé les candidatures du président Mahmoud Ahmadinejad, de Mir Hossein Moussavi, Mehdi Karoubi et Mohsen Rezaï pour l'élection présidentielle du 12 juin.

AFP/- Le Conseil iranien des Gardiens de la Constitution a approuvé les candidatures du président Mahmoud Ahmadinejad, de Mir Hossein Moussavi, Mehdi Karoubi et Mohsen Rezaï pour l'élection présidentielle du 12 juin.

Dans un chat au Monde.fr, vendredi, Marie-Claude Decamps, chef du service international au "Monde" et spécialiste de l'Iran, souligne que le prochain président iranien, quel qu'il soit, devra répondre à une question claire : l'Iran doit-il continuer à être le "mauvais" du reste des nations ?
Romain : Quel est le risque que Mahmoud Ahmadinejad soit réélu ? S'il l'était, pensez-vous qu'il suivra sa ligne politique actuelle ou qu'il la durcira de nouveau ?

Marie-Claude Decamps : Je ne sais pas si on peut appeler ça un risque. Peut-il être réélu ? Sincèrement, je n'ai pas la réponse. On se rend compte qu'il y a un mouvement qui n'était absolument pas envisagé il y a quelques semaines, qui est cette vague "verte", de la couleur choisie par les réformateurs qui soutiennent M. Moussavi, qui prend de l'ampleur. Mais en face, il y a aussi quelqu'un qui ne manque pas d'arguments et de troupes, même au sens littéral, et qui a eu l'aval du Guide suprême. M. Ahmadinejad joue sur un registre qui a toujours bien marché en Iran, le nationalisme. Mais le problème, c'est qu'il en rejoue toujours le même scénario, celui des débuts de la révolution, où le pays était seul contre tous, encerclé, et où il était facile de rassembler les gens contre le danger extérieur. C'est là que j'ai un doute, car je me dis que la société iranienne et les électeurs ont évolué, ils se rendent compte que trente ans sont passés depuis la révolution. (...) http://www.lemonde.fr/proche-orient/article/2009/06/12/ouvert-ou-ferme-le-prochain-president-iranien-sera-confronte-aux-memes-defis_1205972_3218.html#ens_id=1190750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佛 '좌파 전선'의 의욕

 

'프랑스공산당'(PCF)과 '좌파정당'(PG)의 연대체인 '좌파전선'(Front de gauche)이 이번 유럽의원 선거에서 6,05%를 얻고 4석을 확보 하면서 활력에 넘친다. 연대체를 만든지 불과 몇 달 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상당히 성공적인 출발로 평가받는 가운데(사진의 두 당수의 모습이 밝다), 공산당 당수께서 엔뻬아(NPA-버장스노당) 지지자들과 사회당(PS) 지지자들에게 <전선>에 함께 동참하여 세력을 넓혀가자며 제안하고 나섰다고 한다. 뭘 어떻게 해야할지 갈피도 못 잡는 혼돈 속 사회당의 지금 분위기를 고려할 때 적절한 제안으로 보여지지만, 과연 엔뻬아가 어떻게 나올지가 주목된다 (엔뻬아도 4,8%를 얻어 나름대로 순조로운 출발을 (그러나 의석은 없다, 왜냐면 전략지역 없이 고른 득표율만 갖기에) 막 한 마당이니...). 뭐 내 생각이나 바램이야 '프랑스공산당+좌파정당+엔뻬아+노동자투쟁당(LO -이번에 1% 약간 넘게 얻어 생존이 위급한)'의 네 당이 합하면 12,3% 정도가 나오니까, 여기에 사회당 내의 '진지한 좌파들'(불만세력; 이번에도 몇 %는 멜랑숑을 따라 '좌파전선'으로 이동했을 듯)이 가세를 하면, 사회당과 선의의 경쟁으로 동반성장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상황과 약간 비슷할려나...]


Buffet appelle à élargir le Front de gauche (Liberation Politiques 10/06/2009 à 17h48)
Après le scrutin européen qui a placé l’alliance PCF-PG devant le NPA, avec 6,05% des voix, la numéro un communiste a annoncé une série d’initiatives pour «élargir» le rassemblement, ciblant ses appels aux électeurs «socialistes et du NPA». LAURE EQUY

 

Jean-Luc Mélenchon, fondateur du Parti de Gauche et la secrétaire nationale du PCF, Marie-George

Jean-Luc Mélenchon, fondateur du Parti de Gauche et la secrétaire nationale du PCF, Marie-George Buffet, alliés pour les européennes sous les couleurs du Front de gauche, lors du congrès du PG, le 31 janvier 2009 à Limeil-Brévannes. (AFP/ BORIS HORVAT)

 
Le Front de gauche, Marie-George Buffet en redemande. Requinquée par le «score satisfaisant de cette démarche naissante» (6,05%), la secrétaire nationale du PCF a appelé à «poursuivre» et à «élargir» l’alliance scellée par le PCF, le PG de Jean-Luc Mélenchon et Gauche unitaire de Christian Picquet (ex-NPA). «Nous avons fait l’union à trois: maintenant, il faut aller plus loin», a-t-elle lancé mercredi, annonçant une série d’initiatives pour garder l’élan.

La première pourrait se tenir fin juin «dans une grande salle parisienne», a précisé Buffet qui doit soumettre la proposition au PG et à Gauche unitaire, jeudi et vendredi, et leur suggérer de reprendre les réunions hebdomadaires du «comité de liaison» du Front de gauche. Suivraient «une série de débats et de confrontations» cet été avec, comme point d’orgue, la Fête de l’Humanité, en septembre, où sont traditionnellement invités les autres partis de gauche.

 

«Faire émerger du neuf à gauche»
Se félicitant de la progression du score communiste dans toutes les régions aux européennes, qui a permis au Front de gauche de décrocher 5 sièges à Strasbourg, Buffet veut aussi poursuivre la campagne d’adhésion au PCF.

Elle a aussi salué la percée surprise d’Europe Ecologie, traduction, selon elle, de «l’aspiration des électeurs à ce que l’avenir de la planète et les préoccupations environnementales soient prises en compte» par les partis. Et de se dire disposée à «mener le débat» avec les écolos sur «les choix politiques que sous-tendent une nouvelle croissance et le développement durable».

Mais c’est surtout aux électeurs du PS et du NPA qui veulent «faire émerger du neuf à gauche» que Buffet a voulu tendre la main. Elle leur a assuré ne pas leur demander de «renier leur formation, ni leur vote», alors que le parti d’Olivier Besancenot avait boudé les appels, en février, les appels à rejoindre le Front de gauche, préférant partir sous ses propres couleurs au scrutin du 7 juin.

 

«Dans sa chambre, un drap sur la tête»
«Il n’y a pas de frontières au Front de gauche, qui doit être encore plus populaire et citoyen», a promis Buffet, espérant «qu’encore plus de sensibilités de gauche s’y retrouvent et, pourquoi pas, de forces de gauche». Les leaders communistes pourraient par ailleurs rencontrer le PS, la semaine prochaine.

http://www.liberation.fr/politiques/0101573278-buffet-appelle-a-elargir-le-front-de-gauch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佛 사회당 참패의 교훈

지난 일요일 유럽의원 선거에서 유럽 좌파가 대대적으로 침몰했다 (cf. http://blog.jinbo.net/radix/?pid=210). 다른 나라 사정은 내가 잘 모르니 생략하고, 프랑스 사회당의 치욕적 침몰(16,8% 획득)에 대한 상황진단과 원인분석을 나름대로 해보고자 한다. 괜한 시간보내기용 궁상떨기가 아니라, 혼란 속에 있는 우리적 정치지형에 작은 본보기로나마 역할한다면 다행이겠다는 기대로 부려보는 뻘짓이다. 프랑스 사회당이 전국단위에서는 2위를 간신히 지켰지만, 파리와 남불에서는 녹색당에 2위 자리를 내줬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고 우리에게도 중요한 참고점이 될 듯하다. 이 두 지역은 우리의 수도권적 정서나 처지와 별반 안 다르겠기에...

Paris : UMP (29,9%) - Europe Ecologie (27,5%) - PS (14,7%).
Sud-Est : UMP (29,34%) - Europe-Ecologie (18,27%) - PS(14,49%) - FN(8,49%) - Modem(7,37%).
                                   http://www.liberation.fr/politiques/0101572221-les-resultats-region-par-region

우파(UMP) 고정표 30%는 일단 고려대상에서 제외하고 살펴볼때, 파리지역은 '먹물-중산층-화이트칼라'가 많다보니 극우(FN)나 어중간한 중도(Modem) 혹은 비틀대는 사회당 보다는 시대적 요청에도 맞고 외견상 건전해 보이는 녹색당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27,5%, 놀랍다). 반면, '단순-부자-귀족'이 집중돼 있는 남불(Sud-Est, 마르세이유)은 역시 우파는 고정표고, 사회당보다는 녹색당을, 중도보다는 극우를 선택했다. 어쨌거나 이 두 지역에서 사회당이 얻은 14% 대는 전국 평균 16,8%에 많이 못 미치며 3위를 했으니, 이건 치욕을 넘어 심각한 문제다. 이 두 지역이 소위 말하는 여론주도층의 소굴이라는 사실을 고려할때 더 그렇다.

이 현상을 '먹물-중산층-(혹은 부자)'가 이제는 이념적 가치를 버리고 삶의 질을 선택하는 쪽으로 방향을 튼 것이 녹색당의 도약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진단한다면, 이제 좌파의 투쟁 전선은 더 험해지고 넓어지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녹색당이 결정적인 순간에는 좌파와 연대를 하겠지만, 그들이 대변해야할 세력은 반드시 좌파의 그것과 일치하지는 않겠기에 하는 걱정이다. 여하튼, 파리지역의 먹물-중산층의 변신(혹은 배신)이 가장 큰 문제다(마치 우리의 서울-경기처럼). 분노로만 해결될 문제도 아니고... [이런 세계사적 경향을 잘만 참고한하면 우리의 진보신당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선택과 성공에 -씁쓸하지만- 많은 도움이 될 수도 있겠다.]

 

그렇다면 먹물-중산층이 사회당을 외면한 이유는 무엇일가? 단순히 이념이 싫어서 녹색당으로 옮겨탄 것일까? 아닐 것이다. 엄밀한 좌-우 대결이라는 축 속에서 정치적 결정을 하는 오랜 전통을 갖는 프랑스인들은 그동안 좌-우 대결이 긴박한 때에는 늘 녹색당에 2~3% 대의 지지만을 보낼 정도로 이념지향적 선택을 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지난 대선과 얼마전의 사회당 당수 선출 과정에서 로와얄(사회당 대통령 후보)이 드러냈던 이념 탈색과 중도와의 연대의 모습, 그리고 그녀를 떠받드는 적지않은 지지자들 탓에 지금의 사회당은 좌파의 정체성을 많이 상실한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회당의 한 거물이었던 쟝뤽 멜랑숑 같은 사람들이 사회당을 탈당하여 '좌파정당'을 새로 만들고, '프랑스공산당'과 연대하여 '좌파전선'이라는 타이틀로 이번 선거에 임하기도 했던 것).

여기서 기존의 사회당 지지자들은 실망과 짜증이 났던 것이 분명하고, 그 반발심리로 녹색당을 밀어준 것으로 보여진다. 고로 녹색당의 이번 지지율을 순수한 정치지형의 변화로 볼 필요는 없을 듯하고, 좀 덜 중요한 선거에서 유권자가 부려본 호기의 결과로서 일회적 현상으로 파악하는 것이 맞겠다. 문제는 사회당의 내부 혼란(그 주동자는 로와얄과 그 지지자들)을 하루속히 평정하고 정통좌파의 전통을 회복하는 것이리라(정체성 회복-정립). 그러기 위해서는 충분한 권위를 갖는 강력한 지도부가 필요하겠는데, 현 지도부는 아직도 로와얄파를 완벽히 제압하지 못하고 정체성 회복에도 눈치를 보는 상황이니 좀 더 시간이 필요하겠다. [근데, 이게 다 무조건 머릿수만 늘리고보자는 심보에서 2만원짜리 싸구려, 신념도 의지도 없는 놈들을 마구잡이로 당원으로 받아들이고는, 그놈들이 무턱대고 대중선동적인 얼굴마담 (게다가 생각도 신념도 저열한 주제에 의지만 출중한) 로와얄을 대통령후보로 밀어부친 업보이다.]

 

물론 사회당이 이런 식이든 다른 식이든 서서히 몰락의 길로 가고 프랑스공산당이나 버장스노 당 등의 세력이 확대된다면야, 그보다 더 바람직한 길은 없겠지만, 당장에 그럴 가능성이 많지는 않은(없다) 것이 사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당이나 우파당이나 '그놈이그놈'이 되는 상황은 결국 사람들에게 정치 무관심(혹은 혐오)을 불러오거나 녹색당같은 이것도 저것도 아닌(이념적 요청 차원에서) 제 3의 길로 그들을 밀어내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사회당은 몰라도 죽어도 공산당은 싫다는 사람도 많을테니). 이런 결과는 결국에는 극좌파 계열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사회당을 좌파로 묶어두는 것이 역설적이게도 진짜좌파가 동시에 살아남거나 성장하는 차선의 길이 아닐까 싶다(이건 우리의 경우도 마찬가지).

Elles se sont revues !

Martine Aubry et Ségolène Royal au meeting de Rezé, près de Nantes, le 27 mai 2009.

Assaillie par les demandes de rénovation profonde du parti, la première secrétaire Martine Aubry a rencontré mardi matin son ancienne rivale Ségolène Royal. [사회당 당수-오브리(좌)와 사회당 대통령 후보였던 로와얄의 찌그러진 만남]

 

PS: comment faire autrement ? (Audio Le Duel Libé-Le Point 10/06/2009 à 09h37)
A ECOUTER. C'est le duel du jour entre Laurent Joffrin (Libération) et Sylvie Pierre-Brossolette (Le Point). Avec France Info. 14 réactions http://www.liberation.fr/politiques/06011008-ps-comment-faire-autrement

 

 

[추가] 선거 3일 후 사르코지의 반응은 이렇다: "우리는 환경문제의 중요성을 알기 위하여 녹생당을 기다리지 않았다"(이미 환경 관련 장관도 중요 인물이 맡고있고 적극 추진 중이라는 말씀). 이에 대한 조제 보베(녹색-당선자)의 대답: "염소의 머리 위에 녹색 모자를 씌워봤자 [사슴이 되는 것은 아니고] 맹 염소다." [맹: 언제나의 경상도 사투리]

 

Sarkozy: «On n'a pas attendu les Verts...» (Liberation, Politiques 10/06/2009 à 19h02)
Après s’être fait mousser, mardi, en champion de l’écologie, surfant sur le succès surprise des listes Europe Ecologie, Nicolas Sarkozy a décoché mercredi une flèche en direction de Daniel Cohn-Bendit: On n’a «pas attendu les Verts pour savoir que l’environnement est important», a ironisé le chef de l’Etat, en recevant les sénateurs UMP.

Les Verts ont, de leur côté, regretté mercredi que le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ne se soit montré qu’à «demi-écologiste», selon l’expression de leur porte-parole, Jean-Louis Roumégas. Sarkozy «a apparemment pris acte du poids du vote écologiste dans ces élections» mais «la leçon qu’il tire n’est absolument pas la bonne», a-t-il jugé.

Le chef de l’Etat a affiché sa volonté de faire de la France un «leader» des énergies renouvelables, sans toutefois renoncer au nucléaire, lors d’un discours en Savoie mardi. «Il ne s’agit pas de mettre un euro dans le nucléaire et un euro dans les énergies renouvelables, il s’agit de mettre les deux euros dans les énergies renouvelables», a voulu rectifier Roumégas pour qui «le nucléaire est déjà ultra-dominant en matière d’électricité».

Lassé par les tentatives d’instrumentalisation tous azimuts du discours écolo, Noël Mamère, qui avait déjà appelé mardi à «arrêter de nous faire croire que la droite serait par miracle devenue le 7 juin au soir écologiste», a renouvelé ses critiques mercredi: «lorsqu’on met un chapeau vert sur une chèvre, c’est toujours une chèvre», a taclé le député (Verts) de Gironde, considérant qu’on ne «pouvait pas croire à la sincérité des partis et de l’exécutif» sur l’environnement. (http://www.liberation.fr/politiques/0101573297-sarkozy-on-n-a-pas-attendu-les-vert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북핵 관련, 신문 바로 읽기

북핵 문제와 힐러리 발언(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 다시 올리고 어쩌고 하는)에 관한 다음의 기사 셋을 비교해 보면 놀라운 구석이 발견된다 : 그것이 한겨레든 경향이든 특파원 기사도 알고보면 믿을 게 못 된다는 사실. 신문 바로 읽기 훈련 정도가 되려나...  참고로 세 기사의 입력시간을 미리 비교해보면 : 경향 6/8일 18시, 프레시안 6/9일 09시 & 14시.

 
미, 전방위 압박… 북핵대응책 방향 잡은듯 [경향, 6/8일 18시]

북한에 대한 미국의 압박이 전방위로 가해지고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에서 논의되는 해상봉쇄와 금융제재에 이어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7일(현지시간) 테러지원국 재지정 카드까지 꺼내들었다. 지난달 25일 두번째 핵실험으로 북한의 핵보유 야망이 분명해진 데 따라 미국의 대응 전략 역시 분명한 가닥을 잡았음을 말해준다. 클린턴 장관이 이날 ABC방송 인터뷰에서 공개한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재지정 움직임은 미국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테러지원국 해제는 적성국교역금지법안 적용 금지와 함께 미국이 지난해 10월 북한에 제공한 마지막 보상조치다. 6자회담 합의를 번복한 북한에 대해 미국 역시 과거의 보상조치를 소급, 무효화하겠다는 말이다. 클린턴은 “우리는 북한이 국제테러를 지지했다는 최근의 증거들을 분명히 보길 원한다”고 말해 엄포에 그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북한이 최근 몇년간 테러지원 활동을 했다는 증거는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하지만 북한이 판매한 무기가 테러단체에 들어가거나, 북한 산 위조지폐가 테러단체에 유입됐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미국의 의지에 따라 증거를 찾아낼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테러지원국 재지정이 실질적인 제재 효과보다는 상징적 의미에 주안점이 있다면 유엔 안보리에서 논의되고 있는 화물검색은 잠재적인 폭발성을 갖고 있다. 안보리 결의 초안대로 북한을 오가는 모든 선박·비행기를 상대로 무기 적재 여부를 검색하게 될 경우 군사적 대치 가능성이 높아진다. 클린턴은 “(북한을 오가는 무기를) 중간에서 차단하고, (거래를) 예방하며 북한 돈의 흐름을 끊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다짐했다. 아울러 “국제사회의 강한 대북 행동이 없다면 동아시아에서 군비경쟁의 위협이 있다”고도 강조했다. 특히 일본이 핵무기 개발을 금지하고 있는 오랜 입장을 뒤집을 경우에 예상되는 혼란보다는 북한과의 잠재적 충돌을 무릅쓰겠다는 말로 읽힌다.
지난 5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한 제임스 스타인버그 미 국무부 부장관팀 역시 전례 없는 논리로 중국을 설득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측은 중국이 이번에도 북한을 통제하지 못하면 동아시아 미군의 주둔규모가 더 커지는 것을 포함해 중국 스스로 원치 않는 상황을 야기할 수도 있음을 경고했다고 뉴욕타임스가 8일 전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 행보는 중유·경수로·현금·식량·불가침 서약 등의 보상으로 북한의 초기단계 핵물질·무기를 사들일 수 있다고 믿었던 빌 클린턴 및 조지 부시 행정부와 전혀 다른 궤적을 보이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최소한 북한이 이미 보상을 챙긴 과거의 합의를 원상복구시키는 데 전임자들처럼 새로운 인센티브를 제공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북한은 장거리미사일 발사준비를 하는 등 추가도발의 연기를 피우고 있다. 미국 역시 스타인버그팀의 한·중·일 순방에서 다음 도발에 대한 제재 준비작업을 벌이는 등 활시위를 단단히 매기고 있다. 미국은 물론 국제사회를 상대로 강 대 강의 대치를 하고 있는 북한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워싱턴, 김진호특파원, 경향 입력 : 2009-06-08 18:20:22ㅣ수정 : 2009-06-08 18:20:22)

 
"북한·북핵 보도, 혹세무민은 이제 그만"
[정세현의 정세토크] 오바마 '보상 없이 해결'은 역사외면? 레토릭?
  

요즘 우리 언론들이 한반도 상황을 보도하는 걸 보면, 미국이 곧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 다시 올리고, 북핵 문제를 보상 이외의 방식으로 해결할 것으로 작정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몇 가지 사실관계를 좀 정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테러지원국 문제부터 보죠.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7일 방송 '디스 위크'(This Week)에 나와 북한의 테러지원국 명단 재등재를 검토한다고 말했다는 것. 우리 언론들은 그 '검토'가 마치 테러지원국 명단 재등재를 전제로 한 검토처럼 썼는데, 그건 그렇지 않아요. 무리한 의미 부여입니다.

오늘(8일) 오전에 민주당 지도부에서 대북정책 관련 긴급 정책간담회를 했는데 나를 외부 인사로 초청했어요. 거기서도 많은 사람들이 언론 보도의 내용을 곧이곧대로 믿고 북한이 곧 테러지원국 명단에 다시 올라가는 것처럼 말하더라고. 그런데 그 자리에 참석했던 송민순 의원, 전 외교통상부 장관이 클린턴 답변의 원문을 보면 그렇지 않다는 얘길 했어요. 그래서 나도 인터넷으로 찾아보니까 진짜 클린턴은 아주 조심스럽게 답변을 했더라고요. 인터뷰 진행자가 '공화당 상원의원 몇 명이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 다시 등재해야 한다는 걸 촉구하는 편지를 대통령한테 보냈는데 어떻게 할거냐?'고 물으니까 클린턴이 "검토를 할 것이다. 등재하려면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북한이 최근 국제 테러리즘을 지원했다는 증거가 있는지 찾아보려고 한다"고 답했어요. 그런 요구에 답을 내기 위해서는 확실한 증거가 있는지 조사를 해야 한다고 말한 겁니다. 진행자가 다시 '증거 있느냐?' 물어보니까 "이제 막 검토를 시작했다. 지금 여기선 답할 수 없다"고 했어요. 다만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빼줄 때는 목적이 있었는데, 그 목적이 북한의 최근 행동으로 달성하기 어렵게 되었기 때문에 검토해야 한다"고 까지만 얘기했습니다. 근데 그걸 가지고 마치 테러지원국에 다시 올리기 위해 작정하고 조사하는 것처럼 몰아가면 어떻게 합니까?

며칠 전에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테러지원국 재등재와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절차가 있는데 간단하지 않고, 구체적인 증거가 있어야 하고, 작년에 삭제했는데 뚜렷한 증거 없이 다시 올리면 테러지원국 명단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는 식으로 답했어요. 실무자 차원에서 '안 된다'는 말을 돌려서 한 걸로 봐야 합니다. 또 정치인 출신인 클린턴 장관이 얼마 전까지 의회 동료였던 사람들이 보낸 편지를 보자마자 내칠 수 없으니까 법적인 검토를 해야 한다고 애매하게 말한 측면도 있을 겁니다. 그런 내막도 안 따져 보고, "들여다보고 있다"는 말밖에 안 했는데, 미국도 이제 강경으로 돌아섰다고 생각하도록 기사 제목을 뽑고 그러면 어떡합니까? 참...그거 언론이 이렇게 해도 되는 겁니까? 지금 우민화(愚民化)를 하고 있어요. 언론을 무관의 제왕이니, 제4부니, 사회의 목탁이니 그러는데 이렇게 혹세무민하고 마치 미국이 강경으로 가니까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도 사실 잘못된 게 아니라는 식으로 인식시키려고 이러는 거 아닙니까?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올린 건 1987년 KAL기 폭파 때문인데, 작년 10월 해제가 되면서 KAL기 사건 이후 북한의 행적은 일단 면죄부를 받은 셈입니다. 그러니 다시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하려면 작년 10월 이후, 지난 8개월 동안 북한이 테러 지원을 했다는 기록이 나오지 않으면 안 되는 겁니다. 그렇지 않고 그냥 올리면 미 국무부와 의회의 권위에 손상이 가요. 8개월 동안 북한이 테러와 관련해 뭔가를 했으면 벌써 소문이 났을 겁니다. 미국이 알면서도 안 터뜨렸다면 그것도 미국 대북정책의 신뢰나 공신력을 해치는 거구요. 있으면 벌써 나왔어야지...그러니까...안 되는 일을 가지고 미국이 자꾸 그쪽으로 갈 것처럼 국민들한테 알린다는 게, 참 뭔가 이게 노림수가 있지 않나...북한이 일을 벌여주길 바라는 건지, 미국이 강하게 나가서 북한이 더 강하게 반발하면서 사태가 악화되면 나쁠 게 없다는 생각인지...이거 참 걱정입니다. 북풍이 불기를 바라는 모양인데, 그거 그렇게 하면 안 돼요. 이제 국민들이 국제정세도 잘 알고 있고, 사태의 전후좌우를 앞뒤를 지켜보고 있어요. 독자들은 방송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원문해석을 한 번 해봤으면 좋겠어요. 뭐가 제재 쪽으로 가겠다는 겁니까? 클린턴도 굉장히 조심스럽게 얘기한 거예요. 진행자의 유도질문에 빠지지 않더라고. (☞힐러리 인터뷰 中 북한 관련 발언 원문보기) (하략) (황준호 정리 프레시안 기사입력 2009-06-09 오전 9:45:01)

 
美백악관·국무부, 힐러리 '테러지원국' 발언 적극 진화
"질문에 대한 답변일 뿐"…확대 해석 경계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이 북한을 테러지원국에 재지정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말한 것과 관련해 국무부와 백악관이 진화에 나섰다. 로버트 깁스 백악관 대변인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테러지원국 재지정을 요구한) 상원의원들의 편지와 관련해 받은 질문이었다는 점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클린턴 장관의 전날 발언은 질문에 대한 답변일 뿐 능동적인 입장에서 나온 얘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깁스 대변인은 "클린턴 장관이 인터뷰에서 언급한대로 (테러지원국 지정을 위한) 법령은 명확하며 일련의 필요조건들이 명백히 있다"면서 "주된 초점은 우리가 국제적으로 어떤 조치들을 취할 수 있느냐는 점"이라고 덧붙였다.

이언 켈리 국무부 부대변인도 "의회가 국무부에 테러지원국 재지정 가능성을 검토해 보기를 원한다고 보낸 서한과 관련해서 언급한 것"이라면서 현 단계에서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등재하기는 어려움을 내비쳤다. 켈리 대변인은 "클린턴 장관의 발언은 우리가 이 문제를 들여다보기 시작했다는 것"이라면서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려면 반드시 법적 절차가 뒤따르고 국무장관은 북한이 반복적으로 국제테러를 지원했다는 최근 증거가 있음을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상원의원들이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는 문제를 전체적으로 다시 살펴봐달라고 국무부에 요청한 만큼 국무장관으로서 대응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면서 "의회가 요청하면 이를 살펴보는 것은 하나의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색스비 챔블리스 상원의원 등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 8명은 지난 3일 북한의 최근 도발행위와 관련해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해 달라고 요구하는 서한을 클린턴 장관에게 보냈다. 이에 클린턴 장관은 지난 7일 방송 인터뷰에서 관련 질문이 나오자 '검토'를 언급했다. 이에 국내 일부 언론들은 마치 미국이 테러지원국 재지정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는 뉘앙스로 기사를 썼고, 전문가들은 언론들이 발언 의미를 과장했다고 지적했다. (☞관련 기사 : 정세현의 정세토크 "북한·북핵 보도, 혹세무민은 이제 그만") (황준호 기자, 프레시안 기사입력 2009-06-09 오후 2:26:46)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