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기억1 - 반공이데올로기에선 나도 자유롭지 않았다.

새해를 맞이하기 위한 나름대로의 정리 작업 중 하나는 책상을 정리하는 일이다.

 매년 쓰는 일기나 친구들에게 받은 편지나 카드, 오래된 카세트 테이프 등등.

책상 언저리에 모아 놓았던 것들을 하나하나 정리하는데, 이게 꽤 쏠쏠한 재미가 있다.

 지금은 전혀 기억 나지도 않는 옛날 일들을 되짚는 되는 기록을 들추어내는 것보다 확실한 건 없는 것 같기도 하다. 단기기억의 최강자인 나에게는 특히 더.

 

중학교 때 글짓기에 재능이 있다고 착각하고는 무슨 대회마다 나갔던 기억이 났다. 1학년 때 지은 시가 국어 선생님의 맘에 들었는지, 시화전에 시를 내고 그 이후엔 꼭 무슨 글짓기 행사가 있을 때마다 불려나갔었다.

그러다가 교내 웅변대회에도 몇 번 나갔었는데, 주제가 통일이었던 모양이다.

난 반공 이데올로기와는 약간 거리가 있는 세대라고 생각했는데(내 기억엔 반공포스터보다는 통일포스터 그리기나 통일글짓기로 명칭을 불렀기 때문이다.) 그 당시에 웅변대회에 나가서 상을 받았다는 글을 보니, 나 역시 이데올로기와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았다.

 

 "우리는 단군의 자손이기 때문에 같은 핏줄이며 그런 우리는 한 가족이 떨어져 살지 못하듯이 37년 전에 일어난 6.25를 수습하고 우리의 허리를 조이는 3.8선을 걷어내야 할 것입니다"

 

와...이걸 내가 썼다니. 제도교육의 민족이데올로기를 고스란히 주입받아 풀어낸 내용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세상에...

 

아직도 기억나는건 이 글을 쓸 때 국어 선생님이 옆에서 붙어서 하나하나 고쳐줬던 일이다.

여기에 통일이 필요한 이유로 경제적 이득이 있고, 문화와 언어의 이질성을 극복하는 실천방안이 필요하다고. 글만 고쳐줬던가. 웅변할 때 자세, 옷차림에 숨쉬는 구간까지 일일이 지정해줬었다.

 

 꼭두각시처럼 조잘거리던 그 날 사복이었던 학교에 생전 입지 않던 치마까지 입었다.

웅변시간보다 불편한 치마스커트와 스타킹에 얼마나 진땀을 뺏던지...

 

북한을 바로 알자고 내용을 담으면서, 정작 나는 북한을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는 당위만 되풀이했던 셈이었다.

 이런. 눈물날 것 같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