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생각_펌 - 2005/11/16 12:00

2005년도 논술고사 예시 문제라는데...

 

'돌본다'는 행위는 어느 시대에나 사회적 약자에게 전가될만큼 혹독하고, 보살핌의 사슬은 이제 전지구화되고 있나보다.
조만간 정서노동 연구의 대가라는 Hochschild 의 원서 하나를 모임에서 강독할 예정인데 꽤 기대된다.

 



--------------------------------------------------------------
비키 디아즈는 34세로서 다섯 아이의 엄마이다. 필리핀에서 대학을 졸업한 후 학교 교사를 하다가 여행사에서 근무했던 그녀는 미국으로 건너왔다. 미국에서 비키는 로스엔젤레스의 비벌리힐스에 있는 부유한 가정의 가정부 겸 두 살짜리 아들의 보모로서 일한다. 그녀는 연구 조사자인 라첼 파레나스에게 이렇게 설명했다.

지금도 내 아이들은 내게 집으로 돌아오라고 설득한다. 아이들은 내가 떠날 때 화를 내지 않았다. 그때는 아이들이 아직 아주 어렸기 때문이다. 남편도 화를 낼 수가 없었다. 그것만이 아이들을 기로도록 내가 실제적으로 도울 수 있는 유일한 길임을 알았기 때문이다. 그래야만 아이들이 학교에 다닐 수가 있었다. 나는 매달 아이들에게 돈을 보낸다.

곧 출판될 자신의 저서 『전 지구적인 하인들(The Global Servants)』에서 라첼 파레나스는 ‘엄마 되기의 세계화’인 이 당혹스런 이야기를 소개한다. 비키는 그녀가 여기서 소개하는 여성 응답자의 이름이다.

비벌리힐스의 그 가족은 비키에게 주급 400달러를 지급한다. 그리고 비키는 다시 필리핀에 있는 자기 가족의 가정부에게 주급 40달러를 지급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전 지구적인 보살핌의 사슬’ 속에서 사는 것은 비키와 그녀의 가족에게 쉬운 일이 아니다. 비키는 파레나스에게 이렇게 얘기했다.

보수가 많다 해도 일이 너무 힘들다. 옷을 다리고 있다가도 부엌에서 부르면 가서 그릇을 닦아야 한다. 그것은 또 울적한 상황이기도 하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곤 모든 사랑을 아이(두 살짜리 미국 아이)에게 주는 것뿐이다. 내 아이들과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모든 사랑을 그 아이에게 주는 것이다.

역설적이지만, 비키는 자신을 고용할 사람에게 자신의 아이들을 기른 경험이 있다고 말함으로써 일자리를 얻었다. 그녀의 얘기를 들어보자. “나는 신문 광고에서 그 자리를 알게 되었다. 나는 그들에게 전화했고, 그들은 나에게 와서 면접을 받으라고 얘기했다. 나는 결국 채용되었다. 그들은 나에게 아이를 어떻게 돌보는지 아느냐고 물었을 뿐이고, 나는 나에게도 다섯 명의 아이가 있기 때문에 그렇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가만히 생각해보면, 아이들을 보살핀 사람은 내가 아니었다. 가정부가 그 일을 대신했기 때문이다.”

세계 자본주의는 무엇이든 그것이 만지는 것에 영향을 끼친다. 그리고 그것은 거의 모든 것을 만지는데, 그 중에는 내가 얘기하는 ‘전 지구적인 보살핌의 사슬’도 포함된다. 이것은 유급 혹은 무급의 보살피는 일을 바탕으로 한 전 세계 사람들간의 일련의 개인적 연결이다. 대개는 여자들이 이런 사슬을 만들지만, 어떤 경우에는 여자와 남자 모두가 만들고, 드문 경우에는 남자들만이 만든다. 이와 같은 보살핌의 사슬은 국지적, 국가적 혹은 전지구적일 수도 있다.

전 지구적인 사슬은 (비키 디아즈가 이에 해당하는데) 대개 가난한 나라에서 시작해 부자 나라에서 끝난다. 어떤 경우 그런 사슬은 가난한 나라들에서 시작하고, 바로 그 가난한 나라 안의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한다. 혹은 그것들이 하나의 가난한 나라에서 시작해 다른 약간 더 가난한 나라로 확장되고, 이어서 후자의 나라 안에서 하나의 장소와 다른 하나의 장소를 연결한다. 사슬들은 또 연결되는 지점의 수에서도 다양하다. 어떤 것은 하나이고, 어떤 것은 둘이나 셋이다. 그리고 연결되는 강도도 다양하다.

이런 사슬의 한 가지 흔한 형태는 다음과 같다.

(1) 가난한 가족의 손위 딸이 동생들을 보살피고, 그동안에

(2) 어머니는 보모로 일하면서 다른 곳에 보모로 가 있는 사람의 아이들을 보살피고, 후자의 보모는 다시

(3) 부자 나라에 있는 가족의 아이를 보살핀다. 어떤 보살핌의 사슬은 보살핌의 대상(가령 아이나 혹은 돌봐야 할 나이 든 사람)에 기반하고, 어떤 사슬은 보살핌의 주체(보살피는 사람들 자신, 그들도 보살핌을 받기 때문에)에 기반한다. 각각의 사슬 종류는 보살핌의 비가시적인 인간 생태학을 표현하는데, 한 종류의 보살핌이 다른 종류의 보살핌에 의존하는 식이다.

 

- 알리 러셀 혹스차일드, 「보살핌 사슬과 감정의 잉여가치」에서
--------------------------------------------------------------

출처 : http://163.239.1.51/sogang/university/pride/albatross/v36/discourse_2.html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11/16 12:00 2005/11/16 12:00
TAG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jineeya/trackback/286
  1. 이재유 2005/11/17 15:44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저도 나중에 공부해 보고 싶네요. 그런 쪽에 관심이 있어서요, 그리고 논문의 내용과도 좀 연관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