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학원의 CCTV를 처음 본 젊은 부부의 대화

전화가 왔다. 애가 아파서 지금 병원에서 링거를 맞고 있다고 했다. 나보다 일찍 퇴근한 아내가 병원을 데려갔다면 애나 아내나 다 저녁을 못 먹었겠다 싶어, 애 먹을 죽과 아내가 먹을 간단한 요기로 김밥을 싸들고 병원으로 향했다.

병원은 4층에 있었고, 그 바로 아래층인 3층에는 학원이 하나 있다. 1층에서 엘리베이터를 같이 탄 젊은 부부. 젖먹이를 안고, 3살 정도 되는 아이는 걸렸다. 엘리베이터 문이 닫히는데 40대 후반은 되어 보이는 아저씨가 한 분이 탔고 3층을 눌렀다. 엘리베이터는 그 아저씨를 내려주기 위해 3층에서 문이 열리고 그 아저씨가 내리는 잠깐 동안 학원의 카운터(?)를 보게 되었다. 그 학원은 3층의 전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엘리베이터를 주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보이는 중앙에는 카운터가 있고, 왼쪽으로는 복도가 이어져 있고 강의실도 보였다. 카운터 오른쪽에는 8개 정도의 모니터가 있었고, 모니터에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모습이 비춰지고 있었다. 아마도 이 두 젊은 부부는 그런 학원을 처음 본 듯했다. 아기를 안은 젊은 부인이 남편에게 말했다.

"저봐, CCTV도 있어. 애들 교실을 다 비춰주네."

"감시하는 것 같아 별로 안 좋네."

"감시? 누굴 감시하는거야? 학생들?"

"학생들을 왜 감시해. 학교도 아닌데. 선생들 감시하나보지."

잠깐 띵~했다. 감시에 대한 이야기까지는 일반적인 생각이니 그렇게 들어넘겼는데, 뒤에 이어지는 생각은 교사인 나와는 정말 달랐다. 그들의 대화를, 특히 그 젊은 애 아빠의 말을 찬찬히 되짚어 보면 결국 이런 얘기가 된다.

"학원에서는 강사들을 감시하고, 학교는 학생들을 감시한다."

.

.

.

.

.

나는 지금 야간자습 감독(감시?)중이다. 자꾸만 그 젊은 두 부부의 말이 마음에 걸린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운하백지화국민행동 뉴스레터 제4호

 


[알림] 대운하 예정지 답사산행 - 예봉산

산을 좋아하시는 분들에게 산행을 추천합니다.

최근 팔당역이 전철로도 접근 가능하게 되어서 각광을 받고있는 산입니다.
683m의 예봉산 인데요,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류하는 양수리, 두물머리가 보이는 곳입니다.
예봉산의 능선이나 정상에 올라서면 유유히 흐르는 한강과 팔당댐을 볼 수 있습니다.
운하가 예정돼 있는 곳이라 답사도 겸할 수 있습니다.

일 시 : 2008년 3월 9일(일요일)

시간  및 장소 :
  -  회기역 : 오전 9시 15분( 덕소,팔당방면 맨 뒷쪽, 9시23분 열차임)
                                     늦으면 30분 기다려야함
  -  팔당역 : 대합실 오전 10시(팔당역으로 직접 오실분)

산행코스 : 팔당역 -  예봉산 -  직녀봉 -  율리고개 -  견우봉 -  팔당역

준 비 물 :
  도시락, 물, 간식, 여벌옷, 아이젠(눈이 올 경우)

문의 : 대운하반대시민연합 02-537-4372

관련링크 : http://www.gobada.co.kr/bbs/board.php?bo_table=a001&wr_id=1616


대운하반대시민연합 회원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합니다


---------------------------------------------------
대운하반대시민연합 http://www.gobada.co.kr
전화 : 02-537-4372 / 팩스 : 0303-3442-5372
서울 마포구 염리동 164-4 삼부골든타워 101-319  


▶ 더 이상 정보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 해 주십시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입시폐지 대학평준화 제6호

2008년 3월 3일 여섯번째 소식지

 

<꾸벅>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입시국본 소식지 와글와글 6호입니다. 강남부자정권 이명박 정부의 ‘영어몰빵교육’과 ‘학교시장판교육’에 맞서 새로운 저항과 실천이 일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입시국본은 그 선봉에 있구요.

 2007년 우리는 준비위를 결성하고 2000km자전거대장정, 1124공동행동을 성공적으로 치루었고 입시폐지대학평준화운동의 출발을 선언했습니다. 올 2008년에는 그 성과를 이어받아 5월 본조직 출범, 여름방학 더욱 업 된 자전거대행진, 11월 전국 100곳 동시다발 공동행동을 통해 국민적 대중운동으로 상승시키고자 합니다.

 입시국본은 지난 2월3일 대전에서 전국의 동지들이 모인 가운데 워크샵을 개최하여 올해 운동방향과 계획을 논의하고 결의하였습니다. 2월25일 이명박정부 출범일에는 범국민교육연대와 대학생단체, 청소년단체 등과 함께 시장판교육에 맞짱뜨고 입시폐지대학평준화로 진정한 교육혁명을 열어 나갈 것을 선언하였습니다.

 2008년 우리는 또 커다란 전진을 이룰 것입니다. 2mb 정부의 사교육증폭정책, 강남편향정책, 경쟁서열강화정책은 오히려 우리 운동의 정당성과 동력을 더욱 증대시킬 것입니다. 전국의 뜻있는 분들과 회원들이 함께 노력하여 10만회원, 100곳동시다발 공동행동을 이루어 낼 것입니다. 우리의 실천을 통해 올해 말 입시폐지대학평준화의 교육혁명은 현실로 성큼 다가와 있을 것입니다. 그럼 올해도 함께 힘내서 실천할 것을 다짐하며 아자아자 화이팅!

 

 

 

[2/25 2mb의 시장판교육에 입시폐지대학평준화의 교육혁명선언으로 맞짱]

           

- 지난 2월25일 이명박정부의 출범식이 있던 여의도 국회의사당 근처 문화공원에서 입시국본은 범국민교육연대, 전국대학생교육대책위 등과 함께 이명박 정부의 영어노예화, 학교시장화정책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진행

- 경찰병력으로 몇 겹의 장벽이 쳐진 여의도 문화공원 한가운데서 기자회견은 장소의 상징성 등 언론의 이목(?)을 끌었고 2mb 취임식 참가자들도 호기심어린 눈길을 부족하지 않게 줌

- 입시국본을 비롯 여러 단체가 입장을 발표하고 청와대지붕을 ‘오린지’로 부수는 퍼포먼스가 있었습니다. 퍼포먼스에는 언론의 카메라가 집중..

- 취임식장 근처였음에도 기자회견에 박수치는 행인도 있었고, 과감히 오린지 퍼포먼스에 참여하는 분도 있어 최근 2mb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서민들의 반감을 몸소 체험

- 이 날 맞짱 실천은 중앙 이외에도 부산에서 가두선전전, 울산에서 걷기대회 등이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자세한 것은 아래 참고 기사를 클릭!  


 [통일뉴스] MB취임식날, '청와대'가 '어륀지'를 맞는 이유?

 [부산일보] "몰입식영어 교육 반대"

 [뉴시스] 대학생단체, '비정규직 철폐와 등록금 인하' 기자회견

 [기자회견문] '대통령은 교육에 관한 국가의 책무를 시장에 넘기지 말아야 한다.'

 

 

 

[2/3 전국워크샵! 2008년 입시폐지대학평준화운동 방향과 계획을 논하다]

         

- 2/3일 대전에서는 입시국본 집행부와 전국의 공실단이 함께 모여 2008년 운동방향과 사업계획에 대한 논의를 전개

- 울산, 광주, 부산, 홍성, 목포, 순천, 대전, 마산, 서울 등 전국 00 지역에서 40여명이 모여 진지하게 논의

- 2008년 방향과 사업 계획 외에도 홍성과 울산, 광주의 모범 사례 발표가 있었고 지역에서의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공유

- 회원확대가 곧 운동이고 실천임을 공유하면서 앞으로 회비는 중앙과 지역의 사업비로 나누기로 함.

 

 

 

[전교조 대의원대회에서 공세적 대안투쟁으로 입시폐지대학평준화,민중적교육재편 결의 ]

- 2/27 무주에서 개최된 2008년 전국교직원노조 정기대의원대회에서 2mb의 학교시장화에 맞서는 투쟁본부 결성과 입시폐지대학평준화, 교육과정개편 등 공세적 대안투쟁을 전개하기로 결의

- 전교조 공식사업으로 결정된 만큼 입시폐지대학평준화 운동에 더욱 힘이 실리리라 기대됨

 

 

[신간: 하재근 著 <서울대학교학생선발지침> 출간]


 - 학벌없는사회 사무처장이자 입시국본 대변인으로 활동하고 있는 하재근님 께서 ‘서울대학생선발지침’이라는 의외의 제목을 단 책을 출간

- 한겨레, 한국일보, 경향 등에 주목할 책으로 소개된 이 책은 학벌깨기, 대학서열화깨기, 입시폐지에 대해 저자의 역사적 식견과 남다른 교육혁명의 열정을 진솔하게 피력하고 있음. 게다가 거의 낚시(?)에 가까운 제목도 혹시나 사회적 주목에 한 몫하느거 아니냐는 설왕설래^^...

- 함 읽어 보시고 주변에도 권해보시면 좋을 듯.

 

 
 

 

[2mb 교육정책 비판 쏟아지다]


- 2mb 정부의 무지하고 비교육적인 교육정책에 대해 비판들이 범람하고 있습니다. 많이들 보셨겠지만 몇 개만 소개해 봅니다.

 

 이명박 미니홈피, 영어수업 발표 이후 10대들의 항의로 도배

 신해철 “영어교육 정책, 어느 새대가리 이야기냐”

 [송경원] 입시자율화는 승차거부의 자유

 [장혜옥]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 자율과 다양...

 [하재근]이명박정부, 결국 교육을 버리는가

 [오마이뉴스] MB 교육정책, 왜 이리 시끄러워?

 [오마이뉴스] 초딩들의 반란? "또시험... 코피 나는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김원일, <나는 나를 안다>

<서사의 겹침, 삶의 겹침>

마당 깊은 집의 저자, 김원일. 분단 문학의 깊이를 보여준 작가를 정평이 높다. 분단이 60년이 지난 지금도 사회적 갈등의 뿌리가 되고 있음을 목도하면서 이 글을 읽었다. 수구보수와 진보 간에도 분단은 존재했고, 내가 철 들고 처음으로 시민권을 획득한 진보세력인 민주노동당 내의 사분오열에도 분단이 있다.

자칫 분단 극복의 주제가 감상적인 민족애로 귀결되는 것도 막으면서, 현실의 부조리로 환치된 고발을 넘어서면서, 인간 개체에 미치는 삶으로의 지평을 살뜰하게 보여준다.

 

 

환멸을 찾아서
손풍금

나는 나를 안다
임을 위한 진혼곡
 

 

네 개의 작품은 각각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읽으면서 자꾸만 하나의 이야기인 듯 싶어, 앞서 읽었던 작품을 돌려보게 된다. 우연히 얻게 된 월북 지식인의 수기를 통해 이를 접하는 남한 사회의 경직성에 대한 '환멸'과 '이상 국가'인 북한에서 좌익 지식인의 '환멸'을 보게 된다<환멸을 찾아서>. 좌익 활동으로 비전향 장기수로 복역한 작은 할아버지의 삶을 추적하는 이야기는 왠지 <환멸을 찾아서>의 이야기와 자꾸만 겹쳐진다.

수다스러운 할머니의 방백과 같은 <임을 위한 진혼곡>까지 읽고서 생각해보았다. 분명 다른 이야기들인데, 분명 독립된 이야기 구성들이 자꾸만 겹쳐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주제가 "분단"으로 하나였고, 분단으로 인해 극단적이고 폐쇄적 이데올로기로 강점된 남한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그 삶을 비슷비슷하게 얽었다는 것이 '겹침'의 이유이지 않았나 싶다.

 

진보 세력의 분열의 근저에 '분단' 문제가 있고, 이것이 발현되는 형태가 북한에 대한 태도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지금 시점이 이 책을 더욱 빛나게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현수막

고향이래야 내가 사는 양산에서 1시간 거리인 창원이다. 오랜만에 내려가 거의 집에만 있다가 아는 몇 분 찾아뵈었다. 가는 길에 나의 출신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지나게 되었다. 고등학교 앞에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뻔하다. 소위 SKY이를 비롯한 상위권 대학 진학자들의 이름이 걸려 있을테다. 그리고 지나 중학교 앞을 지나는데 중학교 앞에도 현수막이 걸려 있는 것이었다. 특목고 진학자들이 이름이 적힌 현수막... ㅜㅜ
교육이란 게 이런 것인가 싶었다. MB 방식으로 교육 개혁을 하면 곧 초등학교에도 이러한 현수막이 걸리게 되겠지...

올 한해 삶의 방향은 또다시 자의에 의해서보다 타의에 의해서 결정될 수밖에 없으리란 생각을 한다. 교사가 교사다울 수 있는 길이 싸우는 길일 수밖에 없다는 이 참담함을 MB는 이해할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