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가을로 -살아남은 이들의 꿈

 

가을로

-살아남은 이들의 꿈

 

또 다시, (김대승 감독이 연출했던 <번지점프를 하다>, <혈의 누>에서와 마찬가지로.) 영화는 이미 죽은 사랑, 멈춘 시간 속에서 살아남은 자의 삶을 이야기하고 있다.

 

세상을 떠난 애인을 잊지 못하는 현우(유지태 분), 상처와 죄책감을 안고 살아간다. 때떄로 분노하고, 혼란스러워하고, 고통스러워 한다. 그러나 어떻게 살아야 할 지 모른다. 그러다 어느날 장인(이 될뻔한)으로부터 받은 죽은 애인 민주(김지수 분)의 '신혼여행의 계획이 담긴 노트'를 건내받고 그 곳에 적힌 그 길대로 따라 여행을 떠난다.

 

현우는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때때로 기억 속(노트 속)의 민주와 마주치며 살아남은 자신의 삶을 다시 재구성해나간다. 그들의 행로 중 소쇄원이 있었는데 10여년전 어릴때 갔던 기억이 다시 생생하게 떠오르는 것 같았다. 그 아름다운 여행길 속에서 만난 세진(엄지원 분)은 민주가 죽기전 몇일간 삼풍백화점의 무너진 잔해 속에 파묻혀 이야기를 나누었던 사람이다. 둘은 삶의 상처를 이 여행길에서 치유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삶으로 돌아가는 둘. 현우의 삶은 무언가로 채워진다. 그리고 영화는 끝난다.

 

환상이 아닐까. 상처는 치유되지 않을 것이다. 나의 경우라면 말이다. 그 아름다운 여행길, 전경, 맑은 공기. 그러나 다시 돌아온 현실은 너무 극단적이지 않나. 여행길은 아름답기만 한데, 이 거친 세상을 살아가는 법들 중 무엇이 그 여행길에 있었는지 잘 기억이 안난다. 마치 몇일밤 꿈을 꾼 느낌이랄까?

 

-너무 슬퍼, 너무 사랑했었으니까.

 

민주가 죽기전에 세진에게 했던 말이다. 여행이 너무 아름다웠었으니까, 얼마후면 삶은 다시 너무 슬프지 않을까. 그럴수록 도피처가 되어버리는 여행은 잦아질 것이다. 세진은 벌써 세 번째라던데. 굳이 현우를 만났기때문에 그 고통스러운 기억이 치유된다는 개연성이 너무 떨어지고.

 

-엔딩에 대한 내 생각

 

장면은 슬프고, 또 아름다운데, 그 아름다운 장면들에 비해 서사의 개연성이 떨어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서울 검찰청으로 돌아왔는데 계장(?)이 "검사님 믿습니다."라고 하는 것도 좀 억지스럽고, 민우가 세진의 주소를 알아봐달라고 부탁하는 것도 좀 그렇다. 원래 안친했는데 왜 친해지려는걸까?

 

여행길의 마지막 종착지 산 꼭대기에서 노트를 불태워버렸으면 어땠을까? 불탄 노트는 바람에 날려 저 깊고 깊은 산 속으로 사라지고. 그리곤 서울로 돌아와서 부장에게 말없이 검사직 사표를 제출하는 것이다. 검찰청 건물 계단을 나오는 현우의 머리 위로 가을 낙엽이 떨어진다.

 

그리고, 엔딩 크레딧.

 

에구구, 영화 만든 분들이 기분 나쁠지도 모르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