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3건
중국_1997 - 2004/12/26 16:11

함께 중국여행 가기로 했던 친구는 여행가기 3개월전부터 "우리 스터디나 해볼까?"하고 절 잡았죠...-_-;;;

 

그래서 얼떨결에 봤던 책중에 하나가

[바로보는 중국 현대사] - 20세기초에서 천안문 사태 이후까지 -

(찰리호어 지음/조남선 옮김. 풀무질 신서)

입니다.

겉표지가 빨간 벽돌모양이라 우리끼리는 벽돌책이라고 불렀었어요.

이제 보니 그때 요약해놓은 자료도 남아있었네요.



. 중국사회의 개화 -

1840년대 아편전쟁과 함께 시작. 아편전쟁의 시작으로 제국주의가 중국에 침탈. 청조정부는 제국주의의 확장을 지지하는데 철저히 무능력. 자신의 조세권조차 상실.


 

. 1911년의 유산된 민족주의 봉기 [신해혁명으로 이어진 무창봉기] -

노쇠한 제정 몰락. 공화정부 수립. 그러나 실질적인 권력은 지방군벌들에 의함. 기근과 내전, 비격단의 역할이 만성화. 혹독한 과세와 군벌의 가렴주구로 농민 핍박. 농민들의 도시이동

 

.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도시화의 가속화 -

식량과 피복에 대한 교전국의 수요증대로 1913~19년 시기동안 40%나 수출증가. 중국과 일본의 자본가 번창. 공업기계류의 수입이 1915~21년동안 13배 증가. 산업노동자계급도 비례증가. 약 150만명 도시 산업노동자 출현. 이들은 가족이나 촌락출신의 끈에 의해 수공업노동자와 운송노동자, 실업자와 연결

 

. 1차대전후의 5.4운동(1919) -

젊은 지식인들은 서구 사상에 영향을 받아 중국 구원의 길로 '과학'과 '민주주의'를 주장. 구래전통을 진보의 장애물로 간주. 그러나 베르사이유 회담에서 일본의 무력점거 협약을 승인한 서구세력에 배신감을 느낀 그들은 1919년 5월 4일 3,000여명의 학생들이 천안문 광장에서 집회. 서구열감 비판. 중국의 이익을 팔아먹는 북경정부 비판. 중국 최초의 민족주의 시위. 중국사회의 뿌리깊은 관행과 관습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 여학생들이 중심적 역할을 수행. 여성의 남성에 대한 복종에 도전. 지식인들 주도로 도시의 대중을 운동속으로 끌어들임. 최초의 노동자 파업. 주슬로건: 일본상품 배격, 북경정부의 무기력 비판, 파업으로 체포된 학생 석방, 친일장관 해임.

 

. 중국 공산당 창당(1921) -

지식인이 창당 멤버. 노동자 계급속에 영향력 확대. 노동조합 조직화. 군벌과 적대관계(군벌==중구자본가). 1919년 군소군벌들과 동맹한 국민당 정부(신해혁명 이끔)가 재조직. 국민당은 수동적인 대중기반을 가짐. 국민당과의 합작 결의. 독자적인 공산당 세력이 아닌 국민당의 가장 활동적인 분자로 작업하며 당의 현장기반 구축. 중국 공산당은 민족주의 색채가 강했음. 노동자 독자당이라기 보다는 제국주의에 대항한 민족주의가 주 슬로건.

 

. 1925년 노동자 혁명 -

임금인상, 파업으로 시작해 공안부대의 노동자 살해사건 발발로 정부와 외세에 대항하는 총파업 확대(공산당 주도). 그러나 중국 부르조아지의 지지를 잃지 않기 위해 외국인 소유공장에 한정하려 했지만, 중국인 소유업체까지 미쳐 제국주의 반대 투쟁이 아닌 부르주아지에 대항하는 독자적인 노동운동으로 확산. 지식인이나 공산당도 노동자세력에 따라가게 됨.

외세에는 반대하나 국가권력의 지도권을 쥐고자 하던 국민당 정부는 표면적으로는 대중의 지지를 얻고자 노동운동을 등에 업었으나, 은밀하게 서방과의 공동이익을 교섭. 농촌에서도 농민봉기(이 봉기로 농민을 유린했던 구관습이 분쇄되고, 여자와 아이의 인신매매가 금지, 아편과 비용이 많이 드는 종교의식 금지, 전족의 악습폐지, 고리대금업자와 지주 추방, 지대와 토지세 중단). 이는 국민당의 이익과 대립되어 국민당은 농촌노동자 탄압 시작. 중간에 낀 공산당은 '악덕지주'와 '선량지주'를 구별해줄 것을 요구. 이는 노동자계급의 이해에 모순. 노동자, 농민의 반발로 공산당은 중립을 지킴.

혁명기간동안 성장한 공산당은 노동자 대중에 영향력이 막강해졌고, 공산당과 제휴한 국민당은 상해에 입성. 입성후 공산당과 노동계급을 본격적으로 탄압하기 시작. 민족주의적 부르주아지의 권력을 보유하기 위해 노동운동을 파괴. 이 노동자 패배는 공산당의 노동운동을 철저히 파괴시킴. 그러나 지역국부적으로 노동운동이 계속. 공산당은 체제노선전환(국민당에서 완전독립, 독자적 노동계급조직으로의 전환)하지 못해 예전 역량을 거의 잃음. 공산당이 살아남기 위해 '광동꼬뮌'을 일으켰으나, 이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당의 사업으로 노동자계급과 완전히 고립되어 수행된 모험. 이로 공산당과 노동계급사이의 끈이 완전히 끊김. 위의 공산당은 소련 스탈린에 의해 영향받은 조직.

 

. 모택동의 대장정 -

잔존하는 공산당 세력중 국민당 지방군벌의 힘이 미약함. 척박한 영토를 중심으로 농민집단을 중심으로 확장. 1932년 국민당에 위협세력으로 성장. 국민당의 탄압. [대장정]으로 대응. 모택동 정부의 근거지에 탄압이 들어오자 자구책으로 본거지를 중국 서부의 오지로 옮김. 이 대장정은 1년을 지속. 살아남은 사람이 2% 정도로 고된 여정. 이 대장정의 성공으로 게릴라 근거지 구축. 또한 핍박받는 농민들에게 인간적 대접을 해 농민의 지지를 얻음

 

. 모택동 공산당의 권력 구축 -

대장정이 끝날 때쯤 일본의 침투로 국민당과의 대립을 접어두고, 민족주의 운동을 하기 시작. 같은 일본타도를 내세운 국민당과의 통일전선 구축. 농민의 지지를 받던 독점지주폐지가 없어지고, 투쟁초점은 항일애국연합이 됨. 효과적인 게릴라전으로 일본에 저항 지도 권력을 구축(대장정과정에서 고통스럽게 체득한 게릴라전의 교훈들이 화북평원과 구릉지대에서 눈부시게 적용).

모택동의 공산당은 대중적 농민 민족주의위에서 권력 구축. 대중지지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잔인한 일본군대의 행동이 농민의 민족주의를 부추겼고, 일보군대를 막아준 모택동군을 의지. 이에 향신세력의 절대권력을 꺾음으로써 더욱 지지받음. 일본군에 승리하자마자 국민당과의 내전이 다시 시작. 이 내전은 게릴라전이 아니라 대중을 구경꿈으로 하는 두 정규군사이의 일반적 전쟁.

두 군대의 근본적 차이는 모택동의 홍군은 자신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싸우고 있다는 신념으로 움직였지만, 국민당 군대는 자동인형이었다.

 

<사회주의 혁명은 노동자 계급의 자기해방이어야 했으나, 민족 상황에 힘입은 대중과 연결고리가 없는 공산당의 권력장악이 중국 현정부의 수립과정>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4/12/26 16:11 2004/12/26 16:11
TAG
중국_1997 - 2004/12/26 16:02

준비물사항

 - 여행사에서 준비하라고 했던 준비물들이었는데 갔다와보니 준비물에 대해서도 몇가지 코멘트할게 있었서...


* 손목시계, 알람시계, 옷, 우산, 우비, 속옷, 양말, 손수건
 -> 호텔 투숙시에는 모닝콜 해주므로 알람시계 필요없음.

* 비상약(소화제,안연고,마데카솔,감기약,아스피린,진통제,멀미약,변비약,피로회복제,소독약,대일밴드,모기약,면봉,붕대,반창고)
 -> 북방은 모기가 없으나 북경의 경우(특히 공항) 모기가 많다. 바르는 모기약이 효과적

* 선글래스, 모자
 -> 여름휴가를 이용한 여행이라면 필수. 특히 중국은 관광지마다 넓고 나무를 심지 않은 곳이 많아 햇빛이 강하다.

* 화장품, 목욕용품
 -> 북방쪽에서는 호텔이라도 물이 나오는 시간이 정해져있거나 색깔(?)있는 물이 나오기도 함.

* 물티슈, 반투명비닐지퍼백, 계산기, 필름, 김치, 고추장
 -> 물티슈와 지퍼백은 여러모로 유용하므로 되도록 가져간다.
 -> 계산기는 계산할 시간이 없어 거의 안썼다.
 -> 생각외로 중국음식 소화하기 어렵지 않았다. 게다가 연변 지역은 한식도 꽤 많음. 오래 있을거 아니면 김치나 고추장 필요없다. 가이드들중에는 고추장 좋아하는 사람이 많아서 선물하면 좋아한다.

* 병따개, 라이터, 칼, 가위, 실, 바늘, 빗
 -> 중국은 과일이 굉장히 싸서 꼭 사게 된다. 따라서 칼은 필수.
 -> 위의 물건들은 대체로 관광지에서 찾기 어려우므로 되도록 준비해가는 것이 좋다.



실제 일정표

- 6박7일간 싸돌아다닌 실제 일정표였죠.


1997/8/2(토)


16:30 김포공항 제2청사 1층 외환은행앞 집결
21:00 서울출발(CA126) #비행기 2시간 연발
22:00 (이후 중국시간)북경도착후 전용차 탑승
22:50 석식(중국식)
24:40 숙소

 

8/3(일)


06:30 조식(호텔)
07:20 천안문광장, 자금성 (~10:10)
10:30 중약원(일명 '약방') 도착
11:25 중식(오리구이)
13:45 북경출발(CJ6715:북경->심양)
15:00 심양도착
      신락유적박물관, 북릉공원 (~18:00)
18:30 석식(한국관)
21:20 열차탑승(T255:심양->통화). 열차내 숙박

 

8/4(월)

05:30 통화 도착. 조식
08:15 출발(차:통화->집안)
10:45 5회분 5호묘
11:30 집안박물관
11:50 중식
12:30 장군묘, 호태왕비, 태왕릉, 유람선(압록강), 국내성터
18:00 석식
18:30 출발(차:집안->통화). 숙소

 

8/5(화)

07:00 조식
08:45 열차 탑승(T645:통화->이도백하)
12:00 중식(도시락)
18:15 이도백하 도착
18:45 출발(차)
19:30 석식(송아지고기)
22:00 숙소

 

8/6(수)

07:00 조식
07:30 백두산으로 출발(차)
08:30 천지 (~09:10)
09:40 장백폭포
12:00 중식
13:00 출발(차:백두산->연길). 도중에 청산리 전적지
19:00 석식(대동강 식당)
20:00 숙소

 

8/7(목)

07:30 조식(한식)
08:30 출발(차:연길->용정). 도중에 해란강
09:15 대성중학
10:10 출발(차:대성중학->반달곰 사육장). 도중에 일송정(11:30)
11:00 반달곰 사육장 도착
11:50 출발(차)
12:40 중식
14:00 출발(차:용정->도문)
14:50 국경, 두만강
16:30 출발(차:도문->연길)
17:00 석식(연길)
21:20 연길출발(CJ6608:연길->심양)
22:30 심양 도착
23:30 숙소

 

8/8(금)

05:40 조식
06:40 출발(차)
07:20 심양공항 도착
08:00 출발(차:심양->북경)
09:00 북경 도착
11:00 이화원
12:00 중식 (~12:30)
13:20 공항도착
15:40 북경출발(CA125:북경->서울)
18:00 (한국시간)서울도착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4/12/26 16:02 2004/12/26 16:02
TAG
중국_1997 - 2004/12/26 15:55

1997년 8월 2일부터 8일까지 달랑 7일간 중국여행을 한 적이 있어요.

심지어 친구와 같이 간데다가 패키지여행이었죠.

그 때 준비하거나 모아놓거나 갔다와서 정리해놓은 자료가 꽤 있는데,

자료를 보니 웃겨서(?) 되도록 있는 그대로 다 적어보기로 했어요.

 

음... 아래 건 97년 8월 이전의 정보이니, 현재는 엄청나게 바뀌었을지도...



1. 국제전화


1) 직통으로 전화걸기(한국으로)
 001(or 002)          - 82                 - 2
 (국제인식번호)  (한국의 국가번호)  (0을제외한 지역번호:서울)
2) 콜렉트콜로 전화걸기
 한국통신 108-821              로 걸면 한국어 사용 교환원이 나옴
 데 이 콤 103-828,858           (카드식인 경우 call을 제일 먼저 누름)

 

2. 우편

 

1) 호텔 프론트에서 대행(믿을 수 없다) 또는 호텔내의 우체국 이용
2) 우체국 업무시간 - 09:00~17:00
3) 요금 - 엽서는 1.6 元. 편지는 10g까지는 3 元, 10g증가때마다 0.5元 추가
4) 한국까지 4,5일 걸림

 

3. 소포

1) 항공편 - 보통 4,5일 걸림. 호텔대행처나 중앙우체국
   선박편 - 20~30일 걸림
2) 우체국에선 내용물 검사후 바느질 포장하여 세관 도장 찍고 접수창구로 간다.

4. 여권을 잃어버렸을 경우
1) 여권번호, 발행일, 발행지, 유효기간을 알아둔다.
2) 한국대사관에 연락(10-505-3171)
3) 여권재발급서류 - 여권번호, 발행연월일, 사진2매, 현지공안국발행여권분실증명서
4) 재발급기간 보통 1개월. 인지대 US $ 62
5) 단기여행자는 여행증명서만 발급받음
   공안국출입경관리처(10-55-3102)에서 여권분실증명서 받음(수수료 10元)
   -> 여권분실증명서와 사진 4장 가지고 한국대사관에서 신청
   신청후 4일만에 나오며, 2~3일 뒤 공안국출입경관리처에서 중국비자를 받는다.
   이후 곧장 귀국해야함.

 

5. 중국의 통화

1元(위안) == 10角(쟈오) == 100 分(펀)
동전 : 1元, 5角, 1角, 5分, 2分, 1分

 

6. 중국의 도량형

궁진(公斤) : kg
1진(斤) == 500g == 1근
커(克) : g
궁리(公里) : km
미(米) : m

 

7. 중국내 주요 연락처

한국대사관
T. 10)505-3171(오전), 10)505-2587(오후)
건국문외대가1호 중국국제무역센터 3,4층
09:00~11:30, 14:00~16:30 (토요일은 오전, 일요일은 휴무)

영사관
T. 10)532-6775 F. 10)532-4271

상해총영사관
T. 021)6219-6417~20

주청도영사관
T. 0532)288-8900

한국무역진흥공사
T. 10)505-2324

북경급구센터
T. 10)601-4433

중일우호의원
T. 10)422-1122

대한항공
북경 : 10)505-1047
심양 : 024)421-0088
청도 : 0532)387-0088
천진 : 022)230-0099

아시아나항공
북경 : 10)506-1118
상해 : 021)6270-9900

중국동방항공
상해 : 021)6247-2255,1960
연대 :0535)624-5851

중국국제항공
북경 : 010)601-6667
청도 : 0532)286-3129

토탈해외여행자서비스
북경공안국 10)512-2076
국제SOS긴급구조센터 10)500-3419
아시아긴급구조센터 10)505-3521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4/12/26 15:55 2004/12/26 15:55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