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IAEA는 미국의 하수인인가

2007년 '북한-시리아 핵 협력설'의 진상 <하>
2017.12.12 00:53:31

 

 

 

2007년 9월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제기된 '북한-시리아 핵협력설'은 당시 진행되던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가로막은 중대한 걸림돌이었다. 특히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011년 5월 발표된 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시리아에 영변형 원자로를 지어준 것을 기정사실화 했다. 북한을 핵확산의 주범으로 지목한 것이다. 

하지만 미국의 독립연구자 가레쓰 포터는 1993년부터 10년간 북한 핵시설을 모니터링 했던 IAEA 사찰관 등의 증언을 통해 이스라엘이 공습으로 파괴한 시설은 원자로가 아니라 이미 5년 전 폐기된 미사일 격납고였다고 밝혔다. (☞ 원문 보기 : How Syrian-Nuke Evidence Was Faked) 지난 기사에 이어 포터의 기사 중 2번째, '시리아 핵 개발 증거는 어떻게 조작됐나'를 소개한다. 편집자 (☞ 2007년 '북한-시리아 핵 협력설'의 진상 <상> : 북한은 어떻게 악마화되었나)  

최고의 북핵 전문가를 검증팀에서 배제 

2008년 5월,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관 유스리 아부샤디는 안전담당 사무부총장 올리 하이노넨에게 곧 구성될 시리아 원자로 검증팀에 자신을 끼워달라고 요청했다. 아부샤디는 CIA가 '시리아 핵개발 증거'라며 공개한 동영상을 면밀히 분석해 불과 이틀 후인 2008년 4월 26일, 문제의 시설이 북한식 원자로일 수 없다는 점을 엘바라데이 사무총장 등에게 알린 바 있다. 그는 북핵 문제가 불거진 1993년부터 10년간 영변 원자로를 감시해 왔으며 이 문제로 북한을 15번이나 방문한 최고의 북핵 전문가였다.  

그러나 하이노넨 부총장의 반응은 의외였다. 아부샤디를 검증팀에 포함시키지 않겠다는 것이었다. 사찰관은 자신의 조국에 대한 사찰에는 참여할 수 없다는 IAEA의 불문율을 그 이유로 댔다. 아부샤디는 자신은 시리아가 아니라 이집트 출신이라고 항변했다. 이에 대해 하이노넨은 "하지만 자네는 아랍 국가 출신이고 무슬림이잖아!"라고 받아쳤다. 

결국 아부샤디는 검증팀에서 배제됐다. 아마도 그가 처음부터 CIA의 이른바 '시리아 핵증거'를 부정적으로 평가했기 때문일 것이다. 가레쓰 포터는 이 문제에 관해 하이노넨에게 논평을 요구했으나 하이노넨은 응답하지 않았다. 

2008년 6월 하이노넨 부총장과 2명의 사찰관으로 시리아 핵 개발 검증팀이 구성됐다. 이들은 이스라엘이 공습한 알키바르 시설물 인근에서 시료를 채취했다. 그리고 2008년 11월 첫 보고서를 통해 공습 현장에서 채취된 우라늄 입자들을 분석한 결과 "인위적 가공의 흔적이 보인다"고 밝혔다. 즉 누군가가 우라늄을 가공했다는 말이고, 이는 알키바르 시설이 핵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포터에 따르면 복수의 전 IAEA 사찰관들은 하이노넨의 시료 분석 및 결론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했다. 우선 2011년까지 IAEA 검증 및 안보정책 조정국장을 지낸 타리크 라우프는 "우라늄이나 플루토늄의 방사성 동위원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3, 4개 연구소에 분석을 의뢰해 그 결과가 모두 일치해야 한다는 것이 IAEA의 원칙"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시리아의 경우, 이 시료들을 분석한 연구소들에서 인공 처리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시료 채취 3개월 후인 2008년 9월 말, 엘바라데이 사무총장이 직접 "현재까지 우리는 어떠한 핵물질의 증거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을 정도였다. 그런데 그 후 다른 연구소에서 인공 처리의 흔적이 '처음 발견'됐고 이것이 11월 보고서의 근거가 된 것이다. 이는 IAEA의 핵물질 분석 절차 및 기준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고 포터는 지적한다.
 

▲ 이스라엘이 공습한 시리아의 건물. 위성으로 촬영됐다. ⓒ미 정부


알키바르 사찰관의 고백 

이보다 더 충격적인 고백이 있다. 하이노넨 검증팀에 참여했던 몽골 출신의 사찰관 오를로흐 도르즈카이다프의 고백이다. 그에 따르면 알키바르 시설물 주변에서 채취된 모든 시료들에서 인공 처리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은 반면 유일하게 양성 반응을 보인 시료는 이른바 원자로 건물 옆 지원 시설의 화장실에서 채취된 것이었다.  

그는 최초의 핵처리 증거가 '발견된' 직후 이 사실을 미국 출신의 전직 IAEA 고위 사찰관 로버트 켈리에게 털어놓았다. 켈리는 포터와의 인터뷰에서 도르즈카이도프가 이른바 최초의 핵처리 증거가 나온 직후 너무도 충격을 받은 나머지 누군가 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 이 사실을 알려야겠다고 마음먹었다고 전했다. 켈리는 미 에너지부 산하의 원격탐지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이라크에 대한 핵사찰에서 책임자로 일했던 인물이다.

도르즈카이도프는 이후 IAEA를 퇴직하고 몽골로 돌아갔다가 2015년 12월 사망했다. 켈리는 그의 사망 이후에야 그의 고백을 포터에게 전했다. 

포터는 이메일을 통해 하이노넨에게 켈리의 증언에 대한 논평을 요구했으나 하이노넨은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포터는 미국의 저명한 핵전문가이자 하이노넨과 몇 차례 논문을 공동 저술한 바 있는 데이비드 올브라이트가 2013년 1월 자신이 속한 연구소의 웹페이지에 알키바르의 우라늄 입자 시료는 "원자로 옆 건물의 탈의실에서 발견됐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포터는 만일 알키바르 시설이 원자로이고 여기서 핵활동이 이루어졌다면 방사성 우라늄이 건물 내부에서만 발견될 수가 없으며 건물 외부에서도 다량으로 검출됐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와 관련, 켈리는 포터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이에 대한 "가장 합리적 설명"은 '교차 오염', 즉 사찰관의 옷 등 외부에서 묻혀온 우라늄 입자가 내부에 원래 있던 것으로 오인된 경우라고 말했다. 교차 오염에 대해서는 앞에 말한 타리크 라우프도 같은 의견이었다.

1990년대 초 이라크 핵사찰팀의 책임자였던 켈리에 따르면, 당시 IAEA 분석 결과 이라크가 우라늄을 무기급인 90%까지 농축했던 것으로 나타나 관계자들을 놀라게 했다. 그러나 이는 IAEA 연구소에 있던 우라늄 입자가 실수로 시료에 포함된 결과였음이 밝혀졌다. 즉 교차 오염으로 인한 잘못된 분석이었으며 이러한 사례는 종종 있었다는 것이다. 

흑연감속로가 파괴됐는데 방사성 흑연이 전혀 없다? 

그러나 2008년 11월의 첫 보고서에서 아부샤디가 가장 납득할 수 없었던 것은 방사성 흑연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다는 점이었다. 영변 원자로는 흑연감속로이다. 만일 키바르 시설이 흑연감속로이고 이스라엘 공습 당시 가동 중이었다면 수 백 톤의 방사성 흑연이 사방으로 흩어졌어야 마땅하다. 당연히 하이노넨 검증팀이 방사성 흑연을 검출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런데도 검증팀은 알키바르 현장에서 방사성 흑연을 검출해내지 못했다. 이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2008년 11월 13일, 보고서 초안을 놓고 벌어진 회의에서 아부샤디는 이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대해 하이노넨은 "아직 흑연 시료의 방사성 여부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아부샤디는 "방사성 흑연이 뭔지 모르십니까? 방사성 흑연은 금세 확인할 수 있습니다"라고 쏘아붙였다. 

이 문제에 대한 포터의 질문에 대해서도 하이노넨은 대답하지 않았다. 자신의 문제 제기에도 불구하고 첫 보고서가 11월 중 발표될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아부샤디는 엘바라데이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현 상태로 보고서가 발표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저의 전문가적 소견으로는 (방사성 흑연이 검출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검증팀의 분석 결과와 결론은 서로 모순됩니다. 즉 알키바르 시설은 원자로(흑연감속로)일 수가 없습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보고서는 예정대로 발표됐다. 그리고 며칠 후 엘바라데이의 특별보좌관 그레이엄 앤드루는 아부샤디에게 "이 문제에 관해 더 이상 (사무총장에게) 이메일을 보내지 말 것"과 "조직의 방침을 따를 것"을 명령했다. 

이렇게 해서 IAEA 내에서 누구보다 북한 원자로를 잘 아는 전문가는 이른바 '북한-시리아 핵 협력'의 현장 검증에도 참여하지 못했고, 검증팀의 보고서에 대한 이의 제기도 묵살됐다. 이후 IAEA는 2년 반에 걸쳐 '북한-시리아 핵 협력'에 대한 보고서를 9차례 발표했지만 방사성 흑연 문제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했다. 다만 2011년 5월의 최종 보고서에서 흑연 시료 입자가 "너무 작아서 제대고 순도 분석을 할 수 없었다"고 해명했을 뿐이다. 그리고 보고서의 결론은 알키바르 시설은 북한 지원 하에 비밀리에 건설된 원자로라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미국 오크리지 국립핵연구소에 근무했던 핵공학자 베라드 나카이는 흑연 입자가 방사성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지 못했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헛소리"라고 반박했다.

하이노넨은 어떤 사람인가? 

알키바르 현장 검증을 책임졌던 IAEA 사무부총장 올리 하이노넨은 2010년 8월 IAEA를 떠났다. 그리고 한 달도 채 안 돼 하버드대의 과학 및 국제문제 벨퍼센터에 자리를 꿰찼으며 이후 이란 핵 협상에서 이스라엘 네타냐후 정부의 입장을 대변했다. 그는 또한 민주주의수호재단의 과학 및 비확산 담당 선임 고문으로 있으면서 이스라엘 리쿠드당 정부의 노선을 따르고 있다.  
 

▲ 지난 2007년 올리 하이노넨 국제원자력기구(IAEA) 부총장(가운데 붉은 넥타이)과 칼루바 치툼보 안전조치국장 등 4명으로 구성된 IAEA 실무대표단이 북한 핵시설 폐쇄를 위한 사전 협의를 위해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한 모습. ⓒ연합뉴스


시리아 핵보고서와 북핵 협상 

미 CIA가 북한-시리아 핵 협력의 증거라며 11분짜리 동영상을 공개한 것은 북핵 신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실무팀이 북한을 방문하고 돌아온 2008년 4월 24일이었다. 즉 북핵 협상이 진전을 보이자 이를 가로막기 위한 의도가 분명했다. 

그렇다면 IAEA의 시리아 핵 검증과 북핵 협상은 관계가 없을까? 시기를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IAEA가 시리아 핵 검증에 착수한 2008년 6월 북한은 영변 냉각탑을 폭파했다. 6월 27일이다. 2007년 2.13합의에 따른 북핵 불능화의 첫 가시적 조치였다. 

이에 대해 미국은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지정을 해제하기로 했다. 그러나 미국은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8월 11일로 예상된 테러지원국 명단 삭제를 실행에 옮기지 않은 것이다. 북한은 강력하게 반발했다. 영변 핵시설 불능화 조치를 중단하고 재가동에 들어갔으며 사용 후 연료봉에서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있는 방사화학실에 대한 IAEA 감시요원들의 접근도 차단했다.  

다급해진 미국은 10월 1일 크리스토퍼 힐 차관보를 평양에 급파해 북한과 협상했고 결국 10월 11일 테러지원국 지정을 해제했다. 그리고 11월 IAEA는 북한-시리아 핵협력에 대한 첫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와 관련, 당시 IAEA 수장인 엘바라데이 사무총장의 당시 발언을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아스라엘의 공습 사실이 알려지고 한 달 여 후인 2007년 10월 28일 그는 "이스라엘과 미국은 이스라엘이 공격한 시설물이 비밀 핵시설임을 증명하기 위해 어떤 증거도 제공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나아가 "어떤 국가가 핵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는 정보를 갖고 있으면 우리(IAEA)에게 와야 하는 시스템이 있으며 가서 조사할 권한은 우리가 갖고 있다"면서 "선제 폭격을 하고 나중에 질문을 하는 것은 이 시스템을 허물고 어떤 의혹에 대한 해결에도 이르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IAEA의 시리아 핵 검증이 시작된 지 3개월 후인 2008년 9월 말에는 "현재까지 우리는 어떠한 핵물질의 증거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과연 무엇이 IAEA로 하여금 북한-시리아 핵 협력을 확신하게 만든 것일까? IAEA는 1957년 미국 주도 하에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연구와 국제적 공동관리를 위하여 설립된 국제기구다. 하지만 미국의 하수인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예컨대 1993년에는 IAEA 헌장에도 없는 북한 군사시설에 대한 특별사찰을 요구했다가 북한의 거센 반발을 샀다. 1990년대 초 이후 이라크에 대한 광범위한 사찰로 이라크가 핵무기 건설을 포기했음을 알고도 이를 빌미로 한 미국의 이라크 침공을 막지 못했다. 

우리는 북한-시리아 핵 협력을 기정사실화한 2011년 5월 IAEA 보고서가 왜, 어떤 과정을 거쳐 채택됐는지 구체적 사정을 알지 못한다. 확실한 것은 이 보고서가 실제 상황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중요한 것은 IAEA 보고서가 북한-시리아 핵협력에 대한 국제 사회의 공식 견해로 남아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는 앞으로도 북핵 문제 해결의 중대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끝)  

 

inkyu@pressian.com다른 글 보기

▶ 관련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노종면이 직접 밝힌 'YTN 보도국장' 거부 이유

[영상 인터뷰] 노종면 "최남수 사장 내정자, MB 칭송하고 노 전 대통령 조롱한 사람”

17.12.11 19:13l최종 업데이트 17.12.11 19:15l

 

▲ [오마이TV] 노종면이 직접 밝힌 ‘YTN 보도국장’ 거부 이유
ⓒ 조민웅

관련영상보기


"MB(이명박 전 대통령)를 칭송하는 칼럼을 쓰고 노무현 전 대통령을 조롱하는 칼럼을 쓴 사람을 YTN 사장으로 받는다? 저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9년 만에 회사로 돌아와 '보도국장'으로 내정됐던 노종면 YTN 기자는 망설임이 없었다. YTN 새 사장으로 선임된 최남수 내정자가 사장으로서 부적합한 이유를 하나하나 설명하며 "최남수 같은 사람이 사장으로 온다면, YTN 해고자들의 복직은 의미가 없다"고 단언했다. 

앞서 YTN은 사내 공지글을 통해 지난달 30일 "노사 간에 합의된 단체협약 제20조에 따라 차기 보도국장에 앵커실 부장 노종면을 내정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노 기자는 YTN 노조에 '최남수 사장 내정자의 적폐청산 의지를 확인해 달라'고 요청했다.

 

YTN 노조와 최남수 사장 내정자는 4차례 만났지만 인사 문제에 대한 견해 차이만 확인했다. 노조는 '구본홍·배석규·조준희 전 사장 체제에서 3년 이상 보직을 맡았던 간부의 보직 임명자격을 잠정 보류하자'고 제안했으나 최 내정자가 이를 거부했다.

결국 노 기자는 "사장의 적폐청산 의지, 언론개혁의 자격 등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어떤 직을 맡는 것도 무의미하다"며 보도국장직을 거부했다. YNT 노조도 8일 오전 서울 상암동 YTN 사옥에서 사내집회를 열고, 최남수 내정자 퇴진 투쟁을 다시 시작한다고 밝혔다. 

오마이TV가 노종면 YTN 기자를 만나, 보도국장 내정과 거부까지의 고민을 직접 들어봤다.
 

 노종면 YTN 기자.
▲  노종면 YTN 기자.
ⓒ 조민웅

관련사진보기


(취재: 김종훈 기자, 영상취재·편집: 조민웅 기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전교조-정의당-민중당, 전교조 법외노조 철회 촉구

전교조-정의당-민중당, 전교조 법외노조 철회 촉구
 
 
 
편집국
기사입력: 2017/12/12 [00:00]  최종편집: ⓒ 자주시보
 
 
▲ 전교조와 민중당이 법외노조 철회를 촉구하는 공동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 민중당)     © 편집국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은 11일 국회에서 정의당민중당과 잇달아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 정권시절 자행된 법외노조 철회와 성과급-교원평가 폐지를 촉구했다.

 

기자회견참가자들은 전교조 법외노조 통보는 고용노동부 장관이 내렸던 행정처분을 취소하거나 노조법 시행령 9조 2항을 폐기하는 것으로 철회시킬 수 있다며 대법원의 판결을 기다려보자는 정부의 태도는 학교 현장에서 벌어지는 모순과 6만 전교조 조합원의 고통에 눈감겠다는 것이라고 문재인 정부의 즉각적인 행동을 촉구했다.

 

또한 참가자들은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공공부문 성과퇴출제가 폐지됐지만 교원 성과급과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여전히 시행 중이라며 성과급과 교원평가제를 이대로 유지한다면 줄 세우기식 평가로 교사 간의 협력을 저해하고 학교 현장에서 불필요한 갈등이 계속 양산될 것이며이는 교육의 질 하락으로 연결되어 학생들의 피해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부는 스스로 촛불시민혁명으로 탄생한 정부라고 자임하고 있다혁명이 일어났는데 무엇이 변했나며 국정농단의 가장 상징적인 사건이 바로 전교조의 노동조합 자격을 박탈한 일이며적폐 중의 적폐라고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노 원내대표는 지금 정치인 사면보다 더 중요한 것이 전교조의 원상회복이라며 잘못된 조치로 노동조합 자격을 잃은 전교조를 원 위치시킬 책무가 바로 촛불시민혁명으로 탄생한 문재인 정부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 전교조와 정의당이 법외노조 철회를 촉구하는 공동기자회견을 진행라고 있다. (사진 : 전교조)     © 편집국

 

<민중의소리보도에 따르면 민중당 김종훈 상임대표는 참교육을 하겠다는 의지만으로 (전교조 선생님들은법외노조가 되고 길거리로 내몰렸다며 좌고우면 하면 안 될 일이다진심으로 정말 마지막으로 간곡히 호소하는 마음으로 정부에 당부한다고 호소했다.

 

-------------------------------------------------------------------

<정의당-전국교직원노동조합 공동 기자회견문>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은 지난 정권에서 벌어진 법외노조 통보와 노동기본권보장성과급-교원평가 폐지를 위해 총력 투쟁해 왔습니다그리고 이는 지금까지도 마찬가지입니다이는 전 정권의 교육적폐를 청산하고 교육현장을 협력과 자치로 바꾸기 위한 너무나 정당한 요구입니다.

 

그 투쟁의 연장선상에서 전교조는 5월 9일 문재인정부 출범이후 지금까지 긴 시간동안 여러 경로로 충분하게 전교조의 요구를 전달하였고, 7개월이라는 기간은 누가 보아도 문재인 정부가 귀를 기울이고 방안을 마련하기에 충분한 시간이었습니다그러나 아직도 바뀐 것은 없습니다.

 

문재인 정부 출범이후 이미 국제노동기구(ILO)와 유엔사회권위원회는 문재인 정부에 ILO협약87호와 98호의 비준을 요구하였습니다그리고 이 내용은 이미 문 대통령의 공약에도 포함되어있습니다그렇다면 문재인 정부는 이미 이를 위한 행정적 작업에 착수했어야 합니다문 대통령은 매우 오랜 기간 동안 시민의 기본권노동권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그러나 문 대통령이 취임하고서도 교육노동자의 기본권은 회복되지 못하고 있습니다노동조합을 결성할 수 있다는 헌법상의 기본권은 정략적인 이유로 미루어둘 문제가 아닙니다고용노동부는 법외노조 통보의근거가 된 노조법 시행령을 삭제하고 연내 전교조의 법외노조를 철회하여야 합니다고용노동부장관은 인사청문회에서 전교조와 직접 만나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답변하고서도 아직까지 한 번도 전교조와 머리를 맞대고 논의하지 않았습니다이는 전교조뿐만 아니라 국민 앞에서 한 약속을 저버리는 것입니다.

 

또한 문재인 정부는 박근혜 정부처럼 교원을 경쟁시키고 평가를 앞세워 교사를 통제하려는 길과는 다른 길을 걸어가야 합니다교육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개혁에 착수하여야 합니다교육현장에 도입된 교원평가와 성과급은 이미 실패한 정책으로 판명이 났고, 90%가넘는 압도적 다수의 교원들이 성과급과 교원 평가 폐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상황에서 교원평가성과급 폐지의 요구는 비단 전교조의 것만이 아닙니다교육부는 정부가 지금까지 추진해 온 성과연봉제 방침 폐기와 같은 선상에서 성과급과 교원평가를 연내 폐지하여야 합니다.

 

전교조는 그동안 안으로 눌러왔던 요구를 더 이상 지체할 수 없어서 전국의 교사들이 오는 15일 연가투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문재인 정부는 공약을 이행하는 차원에서도 교사들의 연가투쟁 이전에 전교조의 요구를 수용하여 교육현장에서 이를 둘러싼 대립과 갈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을 강력히 촉구합니다전교조와 정의당은 함께 연대하여 문재인 정부에게 사태해결에 신속히 나설 것을 요구하며 아래의 사항을 다시 한번 촉구하는 바입니다.

 

첫째박근혜 정권의 적폐인 전교조 법외노조를 철회하고 교원·공무원의 노동기본권을 조속히 보장해야 합니다.

 

둘째교원들간의 무분별한 경쟁을 부추겨 교육공동체의 협력을 파괴하는 성과급과 교원평가를 폐지해야 합니다.

 

셋째정부와 교육부는 이상의 요구를 하루빨리 받아들여 전교조 지도부가 단식을 중단하고 교육을 혁신하는 본연의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2017년 12월 11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정의당

 

 

 

<민중당-전국교직원노동조합 공동 기자회견문>

 

전교조 법외노조 철회문재인 정부가 결단해야 한다.

 

2013년 10월 24박근혜 정부의 전교조 법외노조 통보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시계를 20세기로 되돌린 것이었다(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비망록을 보면 전교조는 박근혜 정부의 주요 감시와 탄압 대상이었고 법외노조 통보 역시 그 일환이었음을 알 수 있다.

법외노조 통보 이후 전교조 6만 조합원은 4년이 넘는 세월 동안 민주주의를 바로 잡기 위해 노력해왔고, 1,700만 국민의 촛불혁명의 결실로 정권교체가 이루어졌을 때 비정상의 정상화를 기대했다그러나 새 정부 출범 7개월이 지나도록 전교조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직후법원에서 소송이 진행 중인 세월호 기간제 교사 순직자 인정과 관련해 대통령의 업무 지시로 조치를 취한 바 있다전교조 법외노조 통보 또한 고용노동부 장관이 내렸던 행정처분을 취소하거나 노조법 시행령 9조 2항을 폐기하는 것으로 철회시킬 수 있다.

대법원의 판결을 기다려보자는 정부의 태도는 학교 현장에서 벌어지는 모순과 6만 전교조 조합원의 고통에 눈감겠다는 것이다. ‘촛불 정부를 자처하면서 우리 사회의 대표적 적폐인 이 사안을 외면하는 이유가 도대체 무엇인가.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공공부문 성과퇴출제가 폐지됐지만 교원 성과급과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여전히 시행 중이다성과급과 교원평가제를 이대로 유지한다면 줄 세우기식 평가로 교사 간의 협력을 저해하고 학교 현장에서 불필요한 갈등이 계속 양산될 것이며이는 교육의 질 하락으로 연결되어 학생들의 피해로 이어질 것이다교육 적폐인 교원 성과급과 교원평가를 폐지함으로써 자율적이고 전문적인 교사들이 교육현장의 주인이 되어 교육개혁의 주체로 나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교조 교사들이 광화문 광장에서 철야농성을 벌인지 오늘로 41일째이다법외노조 철회성과급 및 교원평가 폐지 요구에 힘을 싣는 목소리가 학교 현장과 시민사회로 번져나가고 있다민중당도 이들과 함께 적폐 청산을 위해 힘 모아 싸울 것이다.

문재인 정부는 좌고우면 할 것이 아니라 촛불 민심과 역사적 당위성을 믿고 호시우보하길 바란다대통령의 결단이 필요한 때다.

 

2017년 12월 11일 

민중당전국교직원노동조합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조용한 군사회담에서 펠트먼 평양방문까지

[개벽예감277] 조용한 군사회담에서 펠트먼 평양방문까지
 
 
 
한호석 (통일학연구소 소장) 
기사입력: 2017/12/11 [13:57]  최종편집: ⓒ 자주시보
 
 

 

<차례>

1. 리처드 클락과 샤오위안밍의 조용한 군사회담

2. 화약고 안의 불장난은 자구책이며 전선이동징후

3. 펠트먼을 평양에 보낸 구떼헤스의 구상

4. 55년 만에 되살아난 우탄트의 기억

5. 구떼헤스의 중재시도는 성공할 수 있을까?

 

1. 리처드 클락과 샤오위안밍의 조용한 군사회담

 

조선이 화성-15형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서 성공을 거두었던 2017년 11월 29일 <AP통신>에 흥미로운 기사 한 편이 실렸다. 제목은 ‘북조선과의 긴장 속에서 미국과 중국이 진행한 조용한 군사회담’이다. 보도기사에 서술된 “조용한 군사회담(quiet military talks)”이라는 말은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는데, 하나는 고위급 군사회담이 아니라 준고위급 군사회담이라는 뜻이고, 다른 하나는 비공개 군사회담이라는 뜻이다. 그날 비공개 군사회담은 워싱턴에 있는 국방대학교(National Defense University) 교내에서 진행되었다. 국방대학교는 미국 국방부가 직영하는 고등군사교육기관이다. 또한 그 비공개 군사회담에는 미국군 합동참모본부 기획국장인 리처드 클락(Richard D. Clarke) 육군 중장과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참모부 부참모장인 샤오위안밍(邵元明) 육군 소장이 각각 회담대표로 참석하였다. 

 

<AP통신> 보도에 따르면, 그날 진행된 미국-중국 준고위급 군사회담은 조섭 던포드(Joseph F. Dunford) 미국군 합참의장이 지난 8월 15일 중국 베이징에서 팡펑후이(房峰輝) 중국인민해방군 총참모장을 만나 고위급 군사회담을 진행할 때 준고위급 군사회담을 열자고 합의하였고, 그 합의에 따라 지난 11월 29일에 열린 것이라고 한다. <워싱턴포스트> 2017년 8월 16일 보도에 따르면, 던포드-팡펑후이 군사회담에서는 미국군 합동참모본부 기획국장 리처드 클락과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참모부 부참모장 샤오위안밍을 각각 대표로 하는 ‘합참대화기구(Joint Staff Dialogue Mechanism)’라고 부르는 상설회의체를 개설하기 위한 합의서를 채택하였다고 한다. 

이런 사정을 살펴보면, 2017년 11월 29일 워싱턴에 있는 국방대학교에서 진행된 준고위급 군사회담은 미국-중국 합참대화기구 제1차 회담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 조용한 군사회담에서 어떤 의제가 논의되었을까? <사진 1> 

 

▲ <사진 1> 이 사진은 2017년 8월 15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한 조섭 던포드 미국군 합참의장이 팡펑후이 중국인민해방군 총참모장의 영접을 받으며 그와 함께 의장대를 사열하는 장면이다. 당시 던포드-팡펑후이 고위급 군사회담에서 준고위급 군사회담을 열자고 합의하였는데, 그 합의에 따라 2017년 11월 29일 워싱턴에 있는 국방대학교 교내에서 미국-중국 합참대화기구 제1차 회담이 열렸다. 합참대화기구는 상설회의체다. 이 회담에는 미국군 합참본부 기획국장 리처드 클락과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참모부 부참모장 샤오위안밍이 각각 대표로 참석하였다. 미국 언론보도에 따르면, 미국-중국 합참대화기구 제1차 회담에서 쿠바미사일위기에 대한 공동의 사례연구결과가 논의되었다고 한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AP통신>은 2017년 11월 29일 보도기사에서 지난 8월 중순 베이징을 방문한 던포드 미국군 합참의장은 팡펑후이 중국인민해방군 총참모장에게 조선의 “우발사태(contingencies)들”에 관한 문제를 제기하였고, 양측은 “발생할 수 있는 갈등(conflict) 또는 핵재앙(nuclear disaster)의 위험”에 대해 논의하였다고 하면서, 이번에 워싱턴에서 진행된 미국-중국 합참대화기구 제1차 회담에서도 그 문제를 또 다시 논의하였을 것이라는 중국문제전문가들의 추측발언을 인용하였다. 던포드-팡펑후이 회담에서 논의되었다는 ‘갈등’이라는 것은 조미핵대결 위험이 극도로 고조된 상황을 뜻하는 말이고, 그 회담에서 논의되었다는 ‘핵참화’라는 것은 조미핵대결이 우발사태를 도화선으로 폭발한 핵전쟁상황을 뜻하는 말이다. 

 

조미핵대결→우발사태→핵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사태와 관련하여 <워싱턴포스트> 기고자 데이빗 이그네이셔스(David Ignatius)는 2017년 12월 5일 그 신문에 실린 자신의 글에서 미국 국방부 고위관리가 전해준 말을 인용하면서 미국-중국 합참대화기구 제1차 회담에서 “쿠바미사일위기에 대한 공동의 사례연구(a joint case study of the Cuban Missile Crisis)”가 진행되었다고 밝혔다. 

조미핵대결이 최종국면에 접어든 지금, 미국 군부 대표들과 중국 군부 대표들이 상설회의체를 개설하고 쿠바미사일위기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니,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들이 쿠바미사일위기 사례연구를 진행한 것은 조미핵대결 최종국면과 쿠바미사일위기 사이에 어떤 공통점이 있을 것으로 보고, 조미핵대결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쿠바미사일위기를 재평가하는 토론을 진행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사정을 살펴보면, 미국-중국 합참대화기구 제1차 회담에서 “위기를 어떻게 관리하고, 오판을 어떻게 예방하고, 오해의 위험을 어떻게 줄이느냐 하는 문제를 논의”하였다고 지적한, 미국 합참본부가 <AP통신>에 보내온 보도자료가 무슨 뜻인지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담에서 그들은 조미핵대결이 우발사태를 도화선으로 하여 핵전쟁으로 폭발하지 않도록 위기를 어떻게 관리하고, 오판을 어떻게 예방하고, 오해의 위험을 어떻게 줄이느냐 하는 해법을 쿠바미사일위기 해결경험에서 찾으려고 하였던 것이다. 

 

조미핵대결 최종국면과 쿠바미사일위기를 비교하면서 어떤 해법을 찾아보려는 논의는 미국군 합참본부에서만 진행되는 게 아니다. 조미핵대결 해법을 쿠바미사일위기 해결경험에서 찾아보려는 미국의 전직 외교관리, 정치분석가, 언론인들의 주장과 견해들이 올해 들어 미국의 주요언론매체들에 지속적으로 보도되었다. 온라인에서 눈에 띄는 것만 추려내더라도, 2017년 4월 16일 <뉴욕타임스>, 8월 9일 <워싱턴포스트>, 8월 23일 <더 네이션(The Nation)>, 9월 25일 <포츈(Fortune)>, 10월 26일 <허핑턴포스트(Huffington Post)>, 12월 6일 <뉴스윅(Newsweek)> 등이 그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었다. 한국의 언론매체들은 보도하지 않고 있지만, 지금 미국에서는 조미핵대결 해법을 쿠바미사일위기 해결경험에서 찾으려는 논의가 빈번하게 진행되는 중이다. 

그러므로 그 문제에 대해 누구보다 가장 민감하게 반응할 백악관 국가안보회의도 조미핵대결 해법을 쿠바미사일위기 해결경험에서 찾으려는 내부논의를 진행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미국 주요언론매체들이 활발히 논의하는 가운데, 최근에는 미국-중국 합참대화기구 제1차 회담에서까지 논의된 문제를 정작 책임 있는 당사자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가 외면하는 것은 생각하기 힘든 일이다.  

  

조선이 화성-15형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서 성공하자, 조미핵대결을 종식시킬 시간과 기회를 잃어버려 다급해질 대로 다급해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가 그 문제를 논의하였다면, 지금쯤 그와 관련된 움직임이 나타나는 게 정상이다. 아래에 서술한 두 가지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2. 화약고 안의 불장난은 자구책이며 전선이동징후 

 

2017년 12월 6일 도널드 트럼프(Donald J. Trump)  미국 대통령은 팔레스타인의 알꾸드스(Al-Quds)를 이스라엘 수도로 공인한다고 선언하고, 이스라엘 주재 미국 대사관을 텔아비브에서 알꾸드스로 이전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사람들이 무심코 예루살렘이라고 부르는 그 도시의 아랍어 명칭은 알꾸드스다. 예루살렘은 히브리어 명칭이다. 이스라엘이 불법적으로 강점한 그 도시는 팔레스타인의 고유한 영토이므로, 독도를 ‘다께시마’라고 부르면 안 되는 것처럼 알꾸드스를 ‘예루살렘’으로 부르면 안 된다.) 길게 설명할 필요도 없이, 트럼프 대통령의 그런 결정은 무리수를 넘어 자충수를 둔 것이었다. 트럼프의 자충수가 미국과 중동에 얼마나 큰 해악을 불러오게 되는지는 시간이 말해줄 것이다.

 

트럼프 이전 역대 미국 대통령들은 미국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는 미국의 유대인계 정치세력을 의식한 나머지 자기들의 대선공약에 이스라엘 주재 미국 대사관을 텔아비브에서 알꾸드스로 이전하겠다는 공약을 약방의 감초처럼 어김없이 집어넣곤 하였지만, 집권한 뒤에는 그 공약을 이행하지 않고 슬그머니 접어두었다. 왜냐하면, 미국이 알꾸드스를 이스라엘 수도로 인정하는 경우, 전 세계 이슬람국가들과 격렬한 충돌을 각오해야 하기 때문이고, 국제사회와 유엔으로부터 백악관으로 몰아칠 반대와 저항을 각오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국의 역대 대통령들은 폭탄뇌관 같은 그 문제를 대선공약 안에 슬쩍 끼워 넣었다가, 백악관에 들어간 뒤에는 흐지부지 넘어가는 관례를 불문율처럼 지켜왔던 것이다. <사진 2>

 

▲ <사진 2> 이 사진은 2017년 12월 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팔레스타인의 알꾸드스를 이스라엘 수도로 공인한 문서에 서명한 뒤에 그 문서를 자랑스럽게 취재진에게 보여주는 장면이다. 뒤에 서 있는 사람은 마익 펜스 부통령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 주재 미국 대사관을 텔아비브에서 알꾸드스로 이전하라는 지시도 내렸다. 이스라엘이 불법적으로 강점한 알꾸드스는 팔레스타인의 고유한 영토일 뿐 아니라, 전 세계 이슬람교도들의 성지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런 알꾸드스를 아랍민족의 적인 이스라엘에게 넘겨주겠다는 망발을 늘어놓았으니 거대한 화약고 안에 들어가서 불장난을 하는 꼴이다. 그는 왜 그처럼 위험하기 짝이 없는 자해행동을 저지른 것일까?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은 그 ‘불문율’을 제 손으로 깨버렸다. 거대한 화약고 안에 들어가서 불장난을 하는 꼴이다. 미치광이 대통령의 ‘불장난’이야말로 중동에서 극도의 정치혼란과 새로운 전쟁위험을 불러일으키고, 국제사회에서 반미테러위험과 미국의 외교고립을 겹겹이 자초하는 자해행동이 아닐 수 없다. 미치광이 대통령의 ‘불장난’에 격노한 팔레스타인 민중은 곧바로 항쟁(Intifada)에 궐기하였고, 이스라엘군은 그들의 항쟁을 난폭하게 진입하고 있다. 미국-이스라엘 침략동맹에 맞서 싸우는 팔레스타인 민중항쟁이 차츰 격화되면서 중동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은 갑자기 왜 그런 자해행동을 저지른 것일까? 미국의 정치분석가들은 제각기 이 문제에 대한 여러 해석들을 내놓았는데, 최근 백악관을 불안과 공포에 몰아넣은 이른바 트럼프-러시아 내통사건에 대한 특검수사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트럼프-러시아 내통사건이란 트럼프가 대선에서 이긴 직후인 2016년 12월 당시 그의 최측근이었던 마이클 플린(Michael T. Flynn)이 쎄르게이 킬스약(Sergey Kilsyak) 당시 워싱턴 주재 러시아 대사와 은밀히 접촉하였던 사건이다. 지금 특검의 수사방향은 그 비밀접촉이 미국 대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는지를 파헤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혀있다. 

 

2017년 12월 1일 전격적으로 특검에 기소된 플린은 자신과 킬스약의 비밀접촉이 트럼프의 사위이며 백악관 선임고문인 재럿 쿠쉬너(Jared C. Kushner)의 지시에 따른 것이었다는 ‘폭탄진술’을 내던졌다. 이 ‘폭탄진술’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왜냐하면 쿠쉬너가 플린에게 전달한 지시는 곧 트럼프 대통령 자신의 지시였기 때문이다. 만일 플린에 이어 쿠쉬너까지 줄줄이 특검에 기소되면,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와의 내통’을 쿠쉬너에게 지시한 정치적, 법적 책임을 피할 길이 없어진다. 이것은 정치생명을 끊어버릴 실각위기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엄습하기 시작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위중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특검에 기소당할 위험에 빠진 쿠쉬너를 구출하려는 ‘긴급구조’를 요청하는 수밖에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긴급구조’를 요청한 지지세력은 워싱턴의 정계 및 관계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유대계 미국인 정치인맥이다. 이들 유대계 미국인 정치인맥과 직통하는 사람이 재럿 쿠쉬너의 아버지인 찰스 쿠쉬너(Charles Kushner)다. 찰스 쿠쉬너는 베냐민 네타냐후(Benjamin Netanyahu) 이스라엘 총리에게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정치자금을 보내는 5대 후원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며, 유대복고주의(Zionism)를 지지하는 부동산개발업자다. 

트럼프 대통령이 유대계 미국인 정치인맥을 움직여 쿠쉬너를 위험에서 구출하려면, 그들의 오랜 숙원을 풀어주어야 하는데, 그 숙원이 바로 알꾸드스를 이스라엘 수도로 공인하는 대통령의 조치다. 이런 내막을 살펴보면, 자해행동처럼 보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그 결정은 실제로는 궁색스러운 자구책인 것이다.  

 

알꾸드스를 이스라엘 수도로 공인한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을 놓고 미국의 언론매체들이 보도한 분석기사의 논지는 여기서 끝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그 결정 속에 깔려있는 속셈은 그게 전부가 아니다. 아래의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진 3>

 

▲ <사진 3> 팔레스타인의 알꾸드스를 이스라엘 수도로 공인하는 문제는 커다란 '폭탄뇌관'이므로, 당연히 백악관 국가안보회의에서 신중히 논의, 결정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그 문제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에서 의제로 꺼내놓았을 때, 그의 핵심측근들인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을 비롯한 대다수 성원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의견에 반대의사를 표명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대다수의 반대의견을 돌려세우고, 자기 의사를 관철하기 위해 그들을 설득할 강한 명분을 꺼내놓았는데, 그것이 바로 전선이동론이었다. 전선을 한반도에서 중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논리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트럼프 대통령이 알꾸드스를 이스라엘 수도로 공인하는 문제는 커다란 ‘폭탄뇌관’이므로, 그가 백악관 집무실에서 혼자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 문제는 당연히 백악관 국가안보회의에서 논의, 결정되었다. 미국 언론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그 문제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에 의제로 제기하자, 논란이 일었다고 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측근들인 렉스 틸러슨(Rex W. Tillerson) 국무장관과 제임스 매티스(James N. Mattis) 국방장관이 반대의사를 밝혔다는 것이다. 꾸드스를 이스라엘 수도로 공인하는 경우, 미국에게는 얻을 것이 별로 없고, 잃을 것이 거의 전부일 것이라는 불길한 예감이 그 핵심측근을 반대의견으로 끌어갔던 것으로 보인다. 국무장관과 국방장관이 반대하였다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성원들 대다수가 반대한 것이다. 

 

누구나 짐작할 수 있는 것처럼,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성원 대다수의 반대의견을 돌려세우고 자기 의사를 관철하려면 그들을 설득할 강한 명분을 꺼내놓아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꺼내놓은 명분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전선이동론이었다. 전선이동론이란 전선을 한반도에서 중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논리다. 다시 말하면, 미국이 조선을 상대로 벌여왔으나 이미 패색이 짙어진 한반도 전선에서 발을 빼고, 그 대신 중동에서 새로운 전선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요즈음 정치력, 군사력, 경제력이 날로 약해지고 있는 미국에게는 이전처럼 한반도와 중동의 두 전선에서 동시에 싸울 수 있는 힘이 없다. 미국이 이른바 ‘두 개의 전쟁전략’을 폐기한 지도 오래 되었다.     

그런 미국이 이미 패색이 짙어진 조선과의 핵대결을 무모하게 계속하면서 그와 동시에 중동전쟁을 벌이는 확전은 불가능한 일이므로, 어느 한 전선을 택할 수밖에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패색이 짙어진 조선과의 핵대결을 포기하고, 새로운 중동전쟁의 길을 택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조선과의 핵대결을 포기한다는 말은, 조선의 화성-15형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성공으로 미국이 사실상 패한 핵대결을 더 이상 확대하지 않고, 조미핵대결을 종식시킬 협상의 길을 택한다는 뜻이다. 

 

이런 맥락을 이해하면, 며칠 전에 트럼프 대통령이 ‘화약고 안에서 저지른 불장난’은 자신에게 몰아닥친 정치위기에서 탈출하려는 자구책인 동시에 전선을 한반도에서 중동으로 이동시키려는 징후라고 말할 수 있다.  

  

▲ <사진 4> 이 사진은 리용호 조선 외무상이 2017년 12월 7일 조선을 방문한 제프리 펠트먼 유엔사무차장을 만나는 장면이다. 펠트먼을 평양에 보낸 사람은 안또니오 구떼헤스 유엔사무총장이다. 구떼헤스 유엔사무총장은 조미핵대결을 종식시키기 위해 조선과 미국 사이에서 중재를 서겠다고 나선 것이다. 조선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펠트먼의 조선방문을 계기로 조선과 유엔사무국은 각이한 급에서 내왕하면서 의사소통을 정례화하기로 합의하였다고 한다. 구떼헤스가 이끄는 유엔사무국이 핵대결을 벌이는 조선과 미국 사이에서 과연 중재를 제대로 설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보아야 하지만, 지금으로서는 유엔사무국의 중재 이외에 다른 대안을 찾기 힘들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3. 펠트먼을 평양에 보낸 구떼헤스의 구상  

 

2017년 11월 29일 워싱턴에서 미국-중국 합참대화기구 제1차 회담이 진행된 때로부터 엿새가 지난 12월 5일 평양국제공항에 착륙한 고려항공 여객기에서 낯선 미국인 한 사람이 내렸다. 검은 뿔테 안경을 쓴 그 미국인 손님은 유엔사무국 정치부 수장인 제프리 펠트먼(Jeffrey D. Feltman) 유엔사무차장이었다. 그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 국무부에서 중동담당 국무차관으로 일하였는데, 미국 국무부는 2012년에 그를 유엔사무차장에 천거하여 임명되도록 하였다. 그런 배경과 경력을 가진 사람이 조미핵대결위기가 고조된 시점에 평양에 나타난 것이다. <사진 4> 

 

<교도통신> 2017년 12월 9일 보도에 따르면, 펠트먼 유엔사무차장을 평양에 보낸 사람은 안또니오 구떼헤스(Antonio Guterres) 유엔사무총장이다. 그 보도기사에서 구떼헤스 유엔사무총장은 “북조선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북조선과 관계국 간의 의미 있고, 열린, 건설적 대화가 가능한 환경을 마련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 마디로 표현하면, 유엔사무국이 조미핵대결을 종식시키기 위해 조선과 미국 사이에서 중재를 서겠다는 말이다. 

중국 <신화통신> 2017년 12월 8일 보도에 따르면, 구떼헤스 유엔사무총장의 중재의사를 전하기 위해 평양에 간 펠트먼 유엔사무차장은 원래 3박4일이었던 체류일정을 하루 더 연장하였다고 한다. 체류일정은 연장한 것은 조선 외무성과 유엔사무차장 사이에서 대화가 원만히 진행되었음을 말해주는 징후였다. 

 

징후는 즉각 현실로 되었다. <조선중앙통신> 2017년 12월 9일 보도에 따르면, “우리측과 유엔사무국측은 이번 유엔부사무총장의 방문이 우리와 유엔사무국 사이의 리해를 깊이 하는 데 기여하였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앞으로 각이한 급에서 래왕을 통한 의사소통을 정례화할 데 대하여 합의하였다”고 한다. 각이한 급에서 내왕을 통한 의사소통을 정례화한다는 말은, 조선과 미국 사이에서 중재를 서겠다는 유엔사무국의 제안을 조선이 받아들였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또한 각이한 급에서 내왕한다는 말은 구떼헤스 유엔사무총장의 조선방문을 예고한 것으로 해석된다. 

 

2017년 9월 말 최선희 조선 외무성 북아메리카국장이 모스크바를 방문하였을 때, 이고르 모르굴로브(Igor V. Morgulov) 러시아 외무차관이 조선과 미국 사이에서 중재를 설 용의가 있다고 하였지만, 조선은 러시아의 중재제안을 거절하였다. 2017년 11월 17일 쑹타오(宋濤) 중국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이 시진핑(習近平) 중국공산당 총서기의 특사로 평양을 방문하여 조선과 미국 사이에서 중재안을 제시하였으나, 조선은 중국의 중재안을 거절하였다. 그런데 이번에 조선은 유엔사무국의 중재제안을 받아들였다. 

 

러시아의 중재제안와 중국의 중재안을 각각 거절한 조선이 유엔사무국의 중재제안을 받아들인 까닭은, 구떼헤스 유엔사무총장의 정치성향이 중재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구떼헤스 유엔사무총장은 포르투갈 사회당 총비서로 재직하던 기간에 국제사회주의(Socialist International) 의장과 포르투갈 총리를 겸임하였던 중도좌파 정치인이다. 중도좌파 구떼헤스가 이끄는 유엔사무국이 핵대결을 벌이는 조선과 미국 사이에서 과연 중재를 제대로 설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보아야 하지만, 지금으로서는 유엔사무국의 중재 이외에 다른 대안은 찾기 힘들다. 

  

 

4. 55년 만에 되살아난 우탄트의 기억 

 

나는 이 글을 시작하면서, 조선이 화성-15형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성공으로 자기의 핵무력을 완성한 2017년 11월 29일 미국 워싱턴에서는 미국-중국 합참대화기구 제1차 회담이 진행되었는데, 그 회담에서 조미핵대결 해법을 찾기 위해 쿠바미사일위기 사례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지금으로부터 55년 전 쿠바미사일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중재노력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쿠바미사일위기→우발사태→핵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극심한 불안과 공포 속에서 중재역할을 수행했던 것은 유엔사무국이었다. 55년 전 유엔사무국의 중재경험은 아래와 같다.

 

쿠바미사일위기가 격화되면서 미국과 소련의 핵전쟁위험이 시시각각 다가오고 있었던 1962년 10월 26일 당시 유엔사무총장이었던 우탄트(U Thant)는 미국, 소련, 쿠바 3국 사이에서 적극적인 중재노력을 펼치겠다는 의사를 공식 발표하였다. 우탄트는 소련이 쿠바에서 미사일을 철수하면, 그에 상응하여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지 않는다는 중재안, 다시 말하면 소련의 핵무력 철수와 미국의 쿠바 불가침을 맞바꾸는 중재안을 미국과 소련에게 각각 제시하였다. <사진 5>

 

▲ <사진 5> 이 사진은 1960년 11월 20일 쿠바미사일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과 소련 사이에서 중재노력을 펼치던 우탄트 유엔사무총장이 유엔본부 청사에서 양측 대표들과 회담을 마치고 촬영한 것이다. 사진에서 우탄트의 왼쪽에 서 있는 두 사람이 미국측 회담대표들이고, 그의 오른쪽에 서 있는 두 사람은 소련측 회담대표들이다. 이 사진을 보면, 우탄트 유엔사무총장이 미국과 소련 사이에서만 중재노력을 펼친 것처럼 생각하기 쉽지만, 그런 게 아니었다. 그는 미국, 소련, 쿠바 3자 사이에서 중재노력을 펼치면서 쿠바미사일위기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니끼따 후르쇼브(Nikita S. Khrushchev) 당시 소련공산당 서기장은 우탄트의 중재안을 받아들이면서 소련이 미국과 협상하는 동안에는 소련군 미사일을 실은 수송선을 쿠바에 보내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다. 요즈음 쓰이는 말로 표현하면, 핵동결을 약속한 것이다. 

그런데 1962년 10월 27일 쿠바혁명군은 자국 영공을 침범하여 공중정찰을 감행하던 미국군 고고도정찰기 U-2를 S-75 지대공미사일로 격추하였다. 쿠바미사일위기가 최고조로 치닫고 있던 시점이었으므로, 미국은 그 사건으로 ‘개망신’을 당했다. 그로부터 55년이 지난 오늘도 미국은 오산공군기지에서 U-2를 매일같이 군사분계선 상공으로 출동시켜 조선에 대한 공중정찰을 감행하고 있고, 조선인민군은 S-75를 개량한 번개-1 지대공미사일을 실전배치하고 U-2가 군사분계선 상공을 조금이라도 넘어서기만 하면 격추해버릴 즉시발사태세를 갖추고 있다. 

 

55년 전, 미국 군부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실행위원회는 쿠바혁명군의 U-2 격추에 대한 보복으로 쿠바무력침공을 주장하였다. 백악관과 펜타곤은 무력침공을 떠벌였으나, 존 케네디(John F. Kennedy) 당시 대통령은 남다르게 신중한 태도를 취했다. 그가 각료들과 군부의 무력침공주장에 맞장구를 치지 않았던 까닭은, 전쟁을 반대하는 평화주의자였기 때문이 아니라 소련과의 핵전쟁을 두려워하는 겁쟁이였기 때문이다. 

 

흥미로는 사실은, 케네디가 후르쇼브도 자기처럼 겁쟁이라는 사실을 몰랐다는 점이다. 그래서 케네디는 미국이 쿠바를 침공하면, 소련이 미국과 전쟁을 벌일 것으로 생각하였고, 그 전쟁은 곧 핵전쟁으로 될 것으로 우려하면서 공포를 느꼈다. 바로 이것이 케네디가 쿠바무력침공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전전긍긍하였던 원인이다. 하지만 케네디만큼 겁쟁이였던 후르쇼브에게는 미국이 쿠바를 침공하는 경우, 미국과 핵전쟁을 벌여서라도 쿠바를 끝까지 지켜주려는 의지가 전혀 없었다. 그러므로 만일 케네디가 쿠바침공을 명령하였더라면, 미국군은 군사력이 약한 쿠바를 점령했을 것이다. 이처럼 쿠바를 점령할 기회를 놓쳐버린 겁쟁이 케네디는 쿠바침공에 광분하던 전쟁광신자들의 저격으로 암살당하였으니, 그 때가 쿠바미사일위기로부터 1년이 지난 1963년 11월 22일이었다. 

 

겁쟁이 케네디가 쿠바무력침공을 결정하지 못하면서 마음속으로 기대를 걸었던 것은 우탄트의 중재노력이었다. 그래서 케네디는 소련이 국제사찰단 감시 하에 쿠바에서 미사일을 철수하면, 그에 상응하여 쿠바에 대한 불가침을 보장하고, 터키에 전진배치한 미국군 미사일을 철수한다는 우탄트의 중재안을 받아들였다. 터키는 자국 영토에 배치된 미국군 미사일들이 철수되는 것을 반대하였으나, 케네디는 그것을 철수하는 수밖에 없었다. 

 

1962년 10월 28일 후르쇼브 서기장은 케네디 대통령이 제시한 협상조건을 받아들였고, 그 사실을 피델 알레한드로 까스뜨로 루쓰(Fidel Alejandro Castro Ruz) 쿠바공화국 수상(당시 직책)에게 일방적으로 통보하였다. 까스뜨로는 자기와 한 마디 상의도 하지 않고, 케네디와 타협하여 쿠바에서 핵무력을 철수하려는 후르쇼브의 비겁하고 굴욕적인 처사에 격노하였다. 

 

위기상황이 이런 방향으로 흘러가자, 우탄트 유엔사무총장이 다시 중재에 나서는 수밖에 없었다. 그는 쿠바를 방문하여 까스뜨로 수상과 회담하였다. 그 자리에서 우탄트는 격추당한 미국군 정찰기 U-2 조종사의 시신을 미국에 반환해줄 것과 국제사찰단이 쿠바에 입국하여 소련군 미사일 철수과정을 감시할 수 있게 허락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하지만 국제사찰단 입국을 쿠바의 주권침해로 본 피델 까스뜨로 수상은 국제사찰단 입국을 거부하였고, 미국군 정찰기 조종사의 시신만 반환하였다. <사진 6> 

 

▲ <사진 6> 1962년 10월 28일 피델 까스뜨로 쿠바 수상은 케네디 미국 대통령과 타협하여 쿠바에서 핵무력을 철수하려는 후르쇼브 소련공산당 서기장의 비겁하고 굴욕적인 처사에 격노하였고, 후르쇼브-케네디 비밀협상을 전면 거부하였다. 까스뜨로 수상은 쿠바의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5개항을 발표하고, 이를 관철하기 위해 미국과 끝까지 싸울 결의를 표명하였다. 위쪽 사진은 쿠바미사일위기 당시 까스뜨로 수상이 반미결사항전에 나선 쿠바혁명군 고사포부대를 시찰하는 장면이고, 아래쪽 사진은 쿠바혁명의 영원한 지도자들인 피델 까스뜨로와 에르네스또 체 게바라가 담화하는 장면이다. 체 게바라의 이글거리는 눈빛이 그의 혁명생애만큼 강렬한 인상을 안겨준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우탄트의 중재안을 거부한 피델 까스뜨로는 쿠바의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5개항을 발표하고, 이를 관철하기 위해 미국과 끝까지 싸울 결의를 표명하였다. 그의 명령에 따라 반미결사항전을 결의해 나선 쿠바혁명군과 쿠바인민은 전투동원태세에 진입하였다. 그가 제시한 평화안은 미국은 쿠바에 대한 해상봉쇄와 경제제재를 중단할 것, 미국은 쿠바 정부에 대한 전복활동, 무력침공, 침투공작을 중단할 것, 미국은 쿠바 선박에 대한 해적행위를 중단할 것, 미국은 쿠바 영공 및 영해에서 모든 불법행동을 중단할 것, 미국군은 쿠바의 관따나모 해군기지에서 철수할 것 등이었다.  

 

겁쟁이 케네디와 비겁한 후르쇼브는 비밀협상으로 쿠바미사일위기를 해결하였다고 안도의 한숨을 쉬었지만, 그들의 비밀협상을 거부하고 결사항전을 결의한 쿠바는 케네디-후르쇼브의 해법을 걷어차 버렸다. 미국과 소련 사이에서 발생한 쿠바미사일위기가 케네디-후르쇼브 비밀협상으로 종식된 이후에도, 미국과 쿠바 사이에서 발생한 쿠바미사일위기는 종식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쿠바미사일위기가 1962년 10월 28일에 종식되었다는 주장은 쿠바를 제외시킨 미국과 소련의 편중된 시각으로 쿠바미사일위기를 바라본 반쪽짜리 해석에 지나지 않는다. 

 

1962년 11월 2일 후르쇼브는 아나스따스 미꼬얀(Anastas I. Mikoyan) 소련 제1부수상을 쿠바에 급파하여 국제사찰단을 받아들이라고 피델 까스뜨로 수상을 여러 날 동안 설득해보았으나, 까스뜨로 수상은 그런 굴욕적인 요구를 거부하면서 쿠바의 주권과 자존심을 지켰다. 그렇게 되자 미국이 조작해놓은 국제사찰단은 미국 공군 해상정찰기의 공중지원을 받는 가운데 미국 해군 군함을 타고 쿠바 영해로 접근하여 쿠바 영해 밖에서 대기 중이던 소련 수송선들에 승선하여 사찰놀음을 벌이는 수밖에 없었다. 

 

 

5. 구떼헤스의 중재시도는 성공할 수 있을까?

 

위에 서술한 쿠바미사일위기 해결경험을 보면, 유엔사무국이 미국과 소련 사이에서 발생한 위기를 해소하는 데서 중재역할을 수행한 것은 분명하지만, 미국과 쿠바 사이에서 발생한 위기를 해소하는 데서는 중재역할을 수행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미국은 군사력이 약한 쿠바를 얕잡아보고 국제사찰단을 들이밀려는 주권침해의도를 버리지 않았고, 쿠바는 반미결사항전을 결의하고 자기의 자주권을 지키려는 투쟁정신을 굽히지 않았기 때문에, 유엔사무국의 중재노력도 허사로 되었던 것이다.  

 

이런 역사적 사실을 돌이켜보면서, 조미핵대결과 쿠바미사일위기를 굳이 비교한다면, 조미핵대결은 미국과 소련 사이의 타협가능한 대결보다는 미국과 쿠바 사이의 비타협적인 대결에 더 가깝다. 조선은 전략적 핵압박공세로 주한미국군을 철수시켜 자주권을 지키려고 하고, 미국은 조선의 전략적 핵압박공세를 계속 얻어맞으면서도 주한미국군을 철수하지 않겠다고 버티기 때문에 조미핵대결은 비타협적인 대결로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비타협적인 대결이라고 해서 언제까지나 계속되는 것은 아니고, 수세에 몰려 얻어맞는 쪽이 공세를 펴며 들이치는 쪽에게 굴복하는 것으로 멀지 않아 종식될 것이다.

 

그런데 미국 언론매체들이 보도한 내용만 읽어보면, 이번에 구떼헤스 유엔사무총장이 펠트먼 유엔사무차장을 조선에 파견한 중재시도가 백악관과의 사전조율에 따라 이루어진 것인지 아니면 유엔사무국이 백악관에게 알리지 않고 독자적으로 추진한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미국의소리> 2017년 12월 5일 보도에 따르면, 펠트먼 유엔사무차장의 조선방문은 유엔사무국이 미국 정부와 협의를 거쳐 추진한 것이라고 하였는데, 그렇게 하였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사진 7>

 

▲ <사진 7> 이 사진은 2017년 1월 1일 안또니오 구떼헤스 유엔사무총장이 2017년을 평화의 해로 만들자고 전 세계에 호소하는 장면이다. 지금 그는 조선과 미국 사이에서 중재노력을 펼치려고 하지만, 조선과 미국 사이에서 벌어지는 비타협적인 핵대결이 유엔사무국의 중재로 과연 종식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유엔사무국이 조선과 미국 사이에서 떠맡을 중재역할이 있다면, 그것은 아메리카제국의 체면을 고려하여 미국의 굴복을 굴복이 아닌 타협처럼 포장해주는 중재역할로 될 것이다.     © 자주시보, 한호석 소장

 

2017년 12월 5일 헤더 노어트(Heather A. Nauert)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언론설명회에서 펠트먼 유엔사무차장이 조선에 갈 때 미국 정부의 어떤 메시지도 지참하지 않았고, 미국 정부를 대표하여 조선을 방문한 것도 아니라고 말했지만, 그것은 하나마나한 소리다. 왜냐하면 펠트먼 유엔사무차장은 구떼헤스 유엔사무총장이 중재를 시도하기 위해 조선에 보낸 유엔사무국의 외교사절이므로, 처음부터 미국의 의사를 조선에 전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구떼헤스 유엔사무총장이 펠트먼 유엔사무차장을 조선에 파견한 것은 조선과 미국 사이에서 중재를 시도하려는 노력이므로 펠트먼 유엔사무차장이 유엔사무국으로 돌아가면 구떼헤스 유엔사무총장은 그를 통해 전달받은 조선의 의견을 백악관에게 전달할 것이라는 점이다. 하지만 조선과 미국 사이에서 벌어지는 비타협적인 핵대결이 유엔사무국의 중재로 과연 종식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물론 유엔사무국이 중재에 적극적으로 나선다면, 조미핵대결 최종국면에 일정한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은 예견할 수 있다. 유엔사무국이 조선과 미국 사이에서 떠맡을 중재역할이 있다면, 그것은 아메리카제국의 체면을 고려하여 미국의 굴복을 굴복이 아닌 타협처럼 포장해주는 중재역할로 될 것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7년 '7대 좋은 뉴스'는?

[사회 책임 혁명] 탄핵되고, 탈핵되고, 사회책임 강화됐다

 

 

 

한국사회책임네트워크(KSRN·대표 김영호)는 2017년 한 해 동안 한국 사회가 보다 책임성 높은 사회로 진일보하는 데 기여한 사건과 이에 역행하는 사건을 모아 '올해의 7대 뉴스'를 선정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중심으로 한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집행위원회(위원장 안치용 한국CSR연구소장)가 집담회를 통해서 '7대 좋은 뉴스(Good News)'와 '7대 나쁜 뉴스(Bad News)'를 선별했다. 먼저 '7대 좋은 뉴스'를 발표하고, 다음 주에 '7대 나쁜 뉴스'를 전할 예정이다. 새해에는 좋은 뉴스만 넘쳐나길 기원한다. 

1.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에너지 정책 

지난 7월 8일 문재인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를 통해 원자력발전과 석탄화력발전 중단을 골자로 하는 에너지 정책을 공개하면서 국가에너지 정책의 대전환을 천명했다. 정부는 지난 6월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8기의 일시 가동 중단을 시작으로, 고리 원전 1호기 영구정지, 탈원전 로드맵 발표까지 확고한 탈원전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지난 10월 정부가 발표한 탈원전 에너지 정책 로드맵에 따르면 신규원전 건설계획은 백지화된다. 원전은 2017년 24기, 2022년 28기가 되지만 2031년부터는 18기, 2038년에는 14기까지 단계적으로 감축되며, 이러한 원전의 단계적 감축 방안을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31년)과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2038년)에 반영할 방침이다. 또한 현재 7%인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30년에는 20%까지 확대함으로써 태양광ㆍ풍력 등과 같은 청정에너지를 확대 공급할 계획이다. 

2.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확정 및 사회책임투자위원회 설립

국민연금이 내년 하반기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하고 사회책임투자위원회를 설립한다. 지난 10월 31일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정부는 국민연금기금을 관리 및 운용하는 최고의결기구인 기금운용위원회에 사회책임투자 관점에서 기금운용을 평가하고 모니터링하는 '사회책임투자위원회'를 별도로 설치하기로 했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한 기업에 대해서는 연금투자를 제한하거나 투자처를 다른 기업으로 변경하겠다는 방침이다. 12월 1일에는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내년 하반기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을 공식화함으로써 국민연금이 지분을 보유 중인 국내 주요기업에 대한 지배구조 감시가 본격화한다. 그간의 국민연금 행태에 비추어 사회투자위원회 설립과 스튜어드십 코드의 도입 결정은 매우 의미 있는 사건으로, 국내 금융 시장의 사회 책임 투자 진전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3. 산업발전법 개정안 국회 통과 

지난 11월 24일 국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촉진을 위한 5개년 계획 수립을 골자로 한 '산업발전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 개정안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속가능경영 종합시책을 5년마다 수립해야 하며 연차별 세부계획도 함께 수립해 시행해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 지속가능경영 종합시책은 오는 2018년 11월 24일까지 수립된다. 현행 산업발전법 제19조 제1항에 '정부가 기업이 경제적 수익성, 환경적 건전성, 사회적 책임성을 함께 고려하는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종합시책을 수립·시행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동안 실제로 종합시책이 수립되지는 않았다. 이 법안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속가능경영 촉진이 정부 차원에서 실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4.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속 

지난 2월 17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박근혜 전 대통령 '비선실세' 최순실 씨에게 거액의 뇌물을 건넨 혐의로 구속됐다. 당시 특검팀이 확보한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의 업무수첩에는 세 차례에 걸친 대통령과 이 부회장의 단독 면담 사실과 이 자리에서 경영권 승계가 논의된 정황 등이 담겨 있는 것으로 전해졌고, 이는 구속영장 발부에 결정적인 증거가 되었다. 이후 재판부는 "대한민국의 최고 정치권력자인 대통령과 대규모 기업집단의 정경유착 병폐가 과거사 아닌 현재진행형이었다는 충격에 대한 신뢰감 상실은 회복 어렵고, 피고인들이 삼성그룹 대표 임원들이란 점에서 사회와 경제에 미친 부정적 영향 크다"며 1심에서 징역 5년의 실형을 선고했다. 철옹성 같았던 삼성에 대한 최초의 법적 단죄임과 동시에 부도덕한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는 계기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5. MBC 최승호 사장 선임, 공영방송의 사회책임 강화 

지난 7일 MBC 대주주 및 관리감독기구인 방송문화진흥회는 새 MBC 사장에 최승호 PD를 내정했고, 이어 MBC 주주총회에서 선임이 최종 확정됐다. 이로써 최승호 신임사장은 지난달 해임된 김장겸 전 사장의 잔여 임기인 2020년까지 MBC 사장직을 수행하게 된다. 최 신임사장은 2010년 을 통해 4대강사업 문제점을 다루다 경영진과 갈등을 빚었고, 지난 2012년 파업 참여를 이유로 해고된 후 1997일 만에 사장으로 복귀하게 됐다. 최 신임사장은 첫 출근일인 8일,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와의 공동선언문 발표를 통해 지난 2012년 해고된 MBC 언론인 6명을 전원 복직시킨다고 밝힘으로써 지난 9년간 권력이 정보기관을 동원해 자행한 방송장악의 역사를 청산하기 시작했다. 최 신임사장의 선임을 계기로 MBC 정상화 및 공영방송의 사회책임 실현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6. 노동이사제 논의 본격화 

지난 7월 발표된 국정 운영 5개년 계획에는 "2018년부터 공공기관 감사 독립성 강화 및 노동이사제 도입을 통한 공공기관 지배구조 개선"이 명시됐다. 이후 최근 KB금융지주 임시 주주총회에서 노동자 추천 사외이사 선임안에 최대 주주인 국민연금이 찬성표를 던지면서, 부결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노동이사제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다. 노동이사제는 이사회 기능이 정상화하면서 비윤리적 경영을 견제할 가능성을 높여주고 노사관계를 안정시킴으로써 기업의 효율성 및 사회적 효용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중에서는 서울시가 2014년 도입 계획을 밝힌 데 이어 현재 공공부문에서 노동이사제(근로자이사제)를 시행하면서 근로자 100명 이상인 공공기관에서는 노동자 대표 1~2명이 이사회에 이사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7. 최흥식 금감원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공시 추진 

지난 9월 최흥식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독려하기 위해 비재무적 정보의 공시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저출산 대응 노력, 환경 보호, 노사 관계 등과 같은 비재무적 사항(ESG : 환경, 사회, 지배구조)을 공시하도록 해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한 기업이 시장에서 인정받도록 하고, 국민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제대로 알고 투자할 수 있도록 공시 범위를 확대하겠다는 의미다. 실제로 지난 3월 국회 정무위원회를 통과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개정안에는 기업의 윤리경영, 지배구조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정보를 사업보고서에 기재 공개하도록 권고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아직은 자율공시에 머물러 있는 수준이지만, 투자자 입장에서 그동안 접하기 힘들었던 기업의 비재무적 정보를 앎으로써 투자 판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다른 글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MBC ‘복직자들’ 사원증 걸고 2000여일만의 ‘꽃길’

8일 복직 처리된 6인, 동료 600여 명 환호 속에 MBC 출근…이용마 기자 “다시 살아날 수 있을 것 같다”

노지민 기자 jmnoh@mediatoday.co.kr  2017년 12월 11일 월요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문재인 케어 반대 투쟁위원장 '최대집' 누군가 봤더니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7/12/11 12:08
  • 수정일
    2017/12/11 12:08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백남기 농민 사망 당시엔 '경찰 물대포에 의한 사망이 아니다' 주장

17.12.11 08:56l최종 업데이트 17.12.11 08:56l

 

 문재인 케어를 반대하는 의사 집회를 1면에 배치해 보도한 중앙일보와 조선일보.
▲  문재인 케어를 반대하는 의사 집회를 1면에 배치해 보도한 중앙일보와 조선일보.
ⓒ 중앙,조선일보 PDF

관련사진보기


지난 10일 문재인 케어 반대 및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 반대를 외치는 '전국 의사 총궐기 대회'가 대한문 앞에서 열렸습니다.

의사들이 한의원에서 의료기기 사용을 반대하는 주장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문재인 케어'는 무엇이고, 의사들이 왜 반대를 할까요?

'문재인 케어 '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으면 본인이 내는 돈과 건강보험이 부담하는 비용이 있습니다. 가령 진료비가 1만 원이면 3천 원은 개인이, 7천 원은 건강보험공단이 지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모든 의료비를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해주지는 않습니다. 특히 MRI나 초음파 검사 등 일부 검사 비용은 비싸도 전액 본인이 부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비싼 검사비용이나 고가의 약 등 보험 적용이 되지 않던 '비급여 항목'을 개선하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를 가리켜 '문재인 케어'라고 부릅니다. - 기자 주

환자나 국민 입장에서는 의료 복지라는 측면에서 문재인 케어를 환영할 만합니다. 그러나 의사들은 현실적인 의료수가를 무시하고 의료 정책을 추진한다고 반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강보험 재정이 악화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이 나빠질 것이다'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의사들의 문재인 케어 반대가 의료 정책 차원이라면 앞으로 다양한 논의 등을 통해 해결하면 됩니다. 그러나 이번 의사들의 '문재인 케어' 반대는 문재인 정권을 흔들기 위한 정치적 투쟁의 모습도 엿보입니다.

조갑제씨가 '애국 의사'리고 칭찬했던 최대집 투쟁위원장
 

 비대위 최대집 투쟁위원장은 의사보다는 ‘극우보수 단체 지도부’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  비대위 최대집 투쟁위원장은 의사보다는 ‘극우보수 단체 지도부’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 임병도

관련사진보기


문재인 케어 반대를 위한 집회와 시위 등을 주도하는 '대한의사협회 국민건강수호 비상대책위원회' (아래 비대위) 투쟁위원장은 최대집씨라는 인물입니다.

최씨를 단순히 국민 건강만 생각하는 의사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최씨는 "과거 서북청년단과 대한청년단 등 공산주의자들과 맞서 싸우는 청년들의 정책과 정신을 계승하겠다"라며 '자유개척청년단' 등 극우보수 단체를 조직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조갑제씨는 그를 가리켜 '애국 의사'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최씨는 백남기 농민 사망 사건에서 '빨간 우비는 타격 전문가'라며 '경찰 물대포에 의한 사망이 아니다'라고 주장하거나 '박근혜 탄핵 반대 태극기 집회' 등을 주도하는 지도부입니다. 최씨는 박근혜 탄핵은 내란에 준하는 사태라며 손석희 JTBC 사장과 문재인 대통령을 고발하기도 했습니다.

최씨는 극우보수 집회에서 "승리의 날이 곧 온다. 문재인은 청와대에서 최후의 만찬을 잘 즐기길 바란다"고 하거나 '진보좌파를 용납하면 정통보수는 없다'는 등의 발언을 했습니다.

협상 없이 문재인 케어 백지화가 비대위의 목표
 

 의협 비대위는 문재인 케어 백지화가 투쟁의 목표이고, 다른 단체와의 공동 협상은 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  의협 비대위는 문재인 케어 백지화가 투쟁의 목표이고, 다른 단체와의 공동 협상은 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 라포르시안 화면 캡처

관련사진보기


비대위 활동을 최대집 투쟁위원장이 주도하다 보니, 그의 극우 성향과 행동 방식이 문재인 케어 반대에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의학 전문매체 <라포르시안>은 '비대위의 투쟁목표는 '문재인 케어 백지화'라고 보도했습니다. 비대위의 대한문 집회 한 달 전에 최씨는 "우리는 부탁하거나 요청하지 않는다. 정당한 주장을 하고 정부가 이를 무시하고 의료계를 탄압한다면 전례가 없고 이제까지 전혀 경험해보지 못한 의료계 대투쟁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비대위는 '보건복지부가 제안한 문재인 케어 관련 협상에는 응하지 않겠다'라며 '정부와의 협상은 의협과 일대일이어야 한다. 의·병·정협의체는 인정 못 한다'고 밝혔습니다.

'문재인 케어'는 환자, 병원, 의사, 제약회사, 학회, 정부 등 다양한 분야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등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그런데 비대위는 현실은 무시하고 오로지 정부가 자신들하고만 협상하지 않으면 2단계 투쟁에 돌입하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케어 반대 비대위 지도부의 태도를 보면, 극우 보수 단체가 해오던 주장이나 시위와 유사하다는 착각마저 듭니다.

국민 때문에 문재인 케어 반대? 비대위의 이상한 행보
 

 비대위가 문재인 케어 반대를 위해 제작한 웹툰과 신문광고. 비대위는 문재인 케어를 위한 연구 용역에 협조하지 말라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  비대위가 문재인 케어 반대를 위해 제작한 웹툰과 신문광고. 비대위는 문재인 케어를 위한 연구 용역에 협조하지 말라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 임병도

관련사진보기


문재인 케어를 반대하는 비대위는 국민을 위하는 마음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비대위의 모습을 보면 민심과는 다른 행보를 보입니다.

최근 비대위는 문재인 케어 및 한의사 현대의료기기 저지를 위한 특보 150만 장을 제작해 배포했습니다. 특보에는 윤서인 작가의 웹툰이 게재됐습니다. 윤 작가는 세월호 참사와 위안부 소녀상을 비하하는 발언을 하는 등 극우 성향의 작가입니다.

비대위는 신문광고에 '돈 앞에 안전이 무릎 꿇는 사회, 한의사 의과 의료기기 허용, 국민 건강 한 방에 무너집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포항 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본 필로티 구조의 건물 사진을 배경으로 사용했습니다.

SNS에서는 비대위의 웹툰과 광고 사진을 지적하며 '의사들이 밥그릇 싸움만 한다'라는 비판 글들이 올라왔습니다. 하지만 비대위는 'SNS 홍보 콘텐츠가 주 평균 15만 명 노출을 달성해 회원은 물론 국민들에게도 문재인 케어와 한의사 의과 의료기기 허용에 대한 문제점을 적극 전달하고 있다'며 자화자찬을 하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문재인 케어를 위해 서울대 김윤 의료관리학 교수에게 MRI 및 초음파 급여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용역을 의뢰했습니다. 그러자 비대위는 영상의학회에 김윤 교수의 연구용역에 협조하지 말라는 공문을 보냈습니다.

'문재인 케어'는 의료계 내부에서도 찬반이 갈리기도 하는 등 복잡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정부도 5년 임기 동안 건강보험 보장률을 6.6% 정도만 높인 70%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15년 63.4%. OECD 평균은 80%)

사실 문재인 케어 자체가 국민 의료 복지와 병원의 입장이 달라 부딪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럴수록 '문재인 케어'는 국민과 의료계가 함께 만족할 수 있도록 협의를 통해 갈등을 풀어나가야 할 사안이지,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한 극우 정권을 되찾기 위한 도구가 아닙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정치미디어 The 아이엠피터 (theimpeter.com)에도 실렸습니다.

 

태그:#문재인 케어#의협 비대위#최대집#윤서인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반도에 핵전쟁이 터지면 중국은 어떻게?

원제: 지린일보 핵무기 상식 소개, 어떤 상황이기에?
환구시보 사설/강정구 번역  |  tongil@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7.12.11  11:28:42
페이스북 트위터

원제: 吉林日报介绍核武常识,啥情况?(환구시보 사설)
출처: http://opinion.huanqiu.com/editorial/2017-12/11427214.html (2017-12-06 13:47:00环球时报 分享 1103参与_
역자: 강정구 전 동국대 교수

이 내용은 환구시보 사설로 게재되었다가 지금은 사라진 것임. (역자 주)

 

<길림일보>는 오늘 신문 한 면 전체를 사용해 핵무기 상식과 핵공격을 받았을 때 방호방법까지를 소개했다. 이 내용은 인터넷망에 오르내리며 신속히 전달돼 인터넷 폭주를 일으켰고 또 분분한 논의를 유발했다.

현재 조선반도의 정세는 긴장 상태이다. 조선은 이미 6차 핵시험을 단행했고, 이미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 밖에도 조선의 미사일 기술은 올해 이후 아주 빠른 속도로 돌진해 미국본토까지 도달하는 사정거리를 가진 대륙간탄도탄을 성공적으로 시험 발사했다. 이에 미국은 조선경제를 목 졸라 죽이겠다고 선언했고, 미국과 한국은 조선을 겨냥해 군사압력을 한층 더 강화하고 있어, 미국과 조선간의 무력충돌 발생의 위험은 증가하고 있다.

길림성은 조선과 인접하고 있기에, 이 성의 성보가 이 시기에 핵무기 상식과 방호를 한 면에 걸쳐 소개하는 것은, 즉각 사람들로 하여금 이게 이 성의 조선반도 전쟁위험에 대한 일종의 반응이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그러나 언론 매체에서는 이것이 길림성 인민 방공 판공실이 제공한 내용이고, 정상적인 국방교육에 관련된 것이고, 그래서 길림성 방공 판공실의 공익광고로 간주될 수 있다는 소식이 신속하게 퍼지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종류의 설명이 대체로 믿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평소 중국매체들이 조선반도 정세가 동북지역에 끼치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너무 적게 다뤄왔기 때문에, <길림일보>가 다룬 이번의 전면 ‘공익광고’는, 이런 배경 하에서 볼 때, ‘돌출적’인 것임이 분명하다. 이 내용을 둘러싸고 자세한 “내막”은 알려지지 않고 있고, 인터넷 상에 자연스럽게 그에 대한 단서와 “보충”에 대한 추측이 분분할 따름이다.

이 전면 광고가 어떻게 나오게 되었는지 무관하게, 이 일장의 풍파에 대한 추측은 여론에서 깊은 인상을 남겼고, 또 사람들에게 각종 연상을 촉발시켰다. 길림성은 특수한 지연적 위치 때문에 조선반도의 정세에 특별히 민감하다. 더 나아가 동북지구 전체(3개 성, 곧 길림성, 흑룡강성, 요녕성—역자)의 민감성은 소실되지 않을 것이다. 조선반도의 긴장 정세가 지속하면, 이에 따라 이런 종류의 민감성은 계속해서 발효할 것이다.

동북아지구가 영향을 받게 되는 조선반도 정세의 잠재적 위험에 대해 생각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우리는 생각한다. 이에 대해 우리 자신이 잘 파악하고 있는 상황을 모두에게 숨김없이 다 말해서, 모든 사람들이 전체 정세를 충실히 파악하도록 하겠다.

첫째, 중국 국가는 줄곧 세심하게 조선반도 정세를 추적하고 있다. 조선반도에서 일단 변고가 발생하면, 각종 상황 모두에 대해 국가가 충분한 준비를 갖추게 된다. 국가는 정세가 최악의 상황으로 나아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만약 전쟁이 다시 발생하면, 중국 국가는 전쟁이 우리나라 동북지구에 가져올 충격을 최소한도로 낮추기 위해 전력을 다 할 것이다. 중국은 강대한 실력을 갖춘 국가이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안전을 수호할 능력을 가지고 있어, 우리 국토가 전쟁의 나쁜 결과가 함부로 밖으로 넘치는 지역이 되도록 놔두지는 않을 것이다.

둘째, 길림성 인민 방공 판공실은 대중들에게 핵 상식을 소개하였는데, 이러한 방호선전은 많은 국가들과 지역에서 국민들에게 교육하는 내용이다. 특히 한국, 일본은 교실교육뿐 아니라 방호 실기연습도 한다. 길림성과 조선은 바로 서로 잇닿아 있기 때문에, 성의 신문이 이런 선전을 하는 것은 길림성이 긴박한 핵 공격 위험이 임박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우리는 판공실에서 성보에 이런 종류의 선전을 게재할 때는, 응당 추가 정보를 함께 게재해서 공민들의 오해를 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셋째, 최악의 상황에서 만약 조선반도에 전쟁이 폭발하면 한국은 조선의 제1차 무력보복을 당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마찬가지로 일본과 미국의 아·태 군사기지 역시 조선의 제1차 보복목표가 될 것이다. 중국 국토가 전쟁의 직접 재앙을 입을 가능성은 의심할 나위 없이 위에 제시한 지역 목표 다음 순서이다. 특히 한국 다음 순서이다.

넷째, 미국이든 아니면 조선이든 불문하고, 어떤 충돌이 발생하드라도 고의로 중국에 대해 군사타격을 진행할 가능성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으로 쌍방은 모두 그럴 이유가 없다.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은 강대한 핵 국가이고, 누구든지 중국을 공격하면 모두가 중국의 치명적인 보복을 반드시 당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이 세상에서 누구든 감히 중국을 겨냥해 군사타격이나 특히 핵공격을 감행할 충동을 가질 나라를 우리는 생각할 수 없다.

다섯째, 조선반도 정세는 분명히 악화되고 있다. 그렇지만 지금 현재 전쟁이 이미 불가피하다고는 말할 수는 없다. 당연하지만 중국은 상황악화 시점에서부터 준비할 필요가 있고, 국가와 민간 모두 응당 경계를 높여야 한다.

언론매체가 핵과 관련된 선전을 일부 하는 것 또한 유익하다. 특별히 일단 전쟁이 폭발하면 조선반도에서 핵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여기에 대해 특별히 진지하게 연구하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 또한 응당 관련 논의를 속속들이 드러내 일반 민중들이 잘 파악하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만 이런다고 해서 우리는 결코 우왕좌왕할 필요는 없다.

서울과 동경은 조선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나는 상황이 되면 모두 위험권 안에 들어간다. 이들 도시는 일상적인 준비를 하고 있고, 동시에 이곳 도시 생활이 이에 연속적으로 대비하고 있다. 중국 동북지역은 지연 상 조선과 바싹 달라붙어 있고 한국도 서로 비슷하다. 그렇지만 우리는 첫 번째로 전쟁에 말려들 가능성이 거의 없다. 이 점에서 우리는 한국보다 안전하다. 현재는 바로 겨울철이 되었다. 조선반도에서는 주로 서북풍이 분다. 이 또한 중국 동북지구에 유리한 요소이다. 길림의 유일한 불리한 요소는 조선의 풍계리 핵시험 장소와 비교적 가깝다는 것이다.

반드시 강조할 것은 우리가 지금 여기서 논의하는 것은 조선반도의 정세를 “최악의 상황”으로 가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조선반도에서 발생하는 어떠한 군사충돌에 대해서도 중국은 모두 확고하게 반대하고 있다. 미국과 조선은 전쟁발생에 대해서 어떠한 종류든 모두 꺼리고 있다. 중국은 조선의 인접국으로서 유비무환을 갖춰야 하고, 해이하지 않고 언제나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전력을 다해 대응해 나갈 때 응당 침착하고 진중해야 한다.

우리는 당, 정부, 전체 중국의 강대한 실력이 모두 동북 민중의 안전한 삶을 지키기 위해 있다고 믿고 있다. 이 국가는 하나의 총제적인 존재이다. 그럴 뿐 아니라 각종 전략적 위험에 동고동락하며 대응하기에 충분한 총체적 존재이다.

社评:吉林日报介绍核武常识,啥情况?
http://opinion.huanqiu.com/editorial/2017-12/11427214.html
2017-12-06 13:47:00环球时报 分享 1103参与

《吉林日报》今天用一个整版介绍了核武器常识及在遭到核攻击时的防护方法。这个版的内容传到互联网上后,迅速刷屏,引起纷纷议论。

目前半岛局势紧张,朝鲜已进行了六次核试验,被广泛认为已经拥有了核弹头。另外朝鲜的导弹技术今年以来快速突破,成功试射了射程可覆盖美国本土的洲际弹道导弹。美国发誓扼杀朝鲜经济,美韩对朝军事压力进一步升级,美朝发生军事冲突的风险在增加。

而吉林省与朝鲜接壤,该省省报在这个时候刊出核武器常识及其防护的整版介绍,立刻让人想到这是该省对半岛战争风险的一种反应。

但是媒体圈里迅速又流传开一个消息,说这是吉林省人防办公室提供的内容,系正常国防教育,也可以看成是省人防办的公益广告。我们觉得这种说法大体是可信的。但是由于平时中国媒体关于朝鲜半岛局势对东北地区的潜在影响报道得太少了,《吉林日报》刊出的这个整版“公益广告”在这一背景下显得很“突然”。围绕这一内容有大量外围的“来龙去脉”没有交代,互联网自然会把那些线索“补上”,猜测纷纷。

不管这个整版怎么登出来的,这场风波估计会在舆论中留下烙印,触发人们的各种联想。由于吉林省的特殊地缘位置,它对半岛局势的特殊敏感,以及整个东北地区的敏感不会消失,随着半岛局势持续紧张,这种敏感还可能继续发酵。

我们认为,有必要就东北地区受半岛局势影响的潜在风险做一个梳理,我们在此把自己了解的情况向大家和盘托出,充实大家对局势的整体了解。

首先,国家一直在密切跟踪半岛局势,对半岛一旦生变的各种情况都做了充分准备。国家在努力抑制局势走向最坏情况,即使半岛再次发生战争,国家也会尽全力使战争对我国东北地区的冲击降到最低。中国是有强大实力的国家,我们有能力保卫自己的安全,不让自己的国土成为战争恶果肆意外溢的地区。

第二,吉林省人防办向公众介绍核常识,这样的防护宣传在很多国家和地区是国民教育的一部分。尤其在韩国、日本,不仅有课堂教育,还有防护演习。吉林省与朝鲜毗邻,省报做这样的宣传,不意味着该省面临着遭到核攻击的紧迫风险。我们主张,人防办在省报刊登这类宣传,应当有附加信息做铺垫,避免公众的误解。

第三,在最坏的情况下,万一半岛爆发战争,韩国最有可能遭到朝鲜的第一轮武力报复,同样可能成为朝鲜第一轮报复目标的还有日本和美国的亚太基地。中国国土受战争直接殃及的可能性无疑排在上述地区和目标、特别是在韩国之后。

第四,无论美国还是朝鲜,在任何冲突中故意对中国进行军事打击的可能几乎不存在。一方面,双方都没有那样做的理由。另一方面,中国是强大的核国家,谁那样做,都势必遭到中国的致命报复。换句话说,我们看不到这个世界上有谁敢于纵容自己对中国实施军事打击尤其是核攻击的冲动。

第五,朝鲜半岛局势的确在恶化,但现在不能说战争已经不可避免。当然了,中国有从坏的情况做准备的必要,国家和民间都应该提高警惕。媒体做一些与核有关的宣传也是有益的。尤其是,一旦战争爆发,半岛产生核污染的可能性无法排除,这尤其需要认真研究对策,也应当把话摊开来,让老百姓了解。但是与此同时,我们完全没必要惊慌。

首尔和东京都在半岛生战情况下的危险圈内,那些城市有日常的准备,同时城市的生活在按部就班延续。中国东北在地缘上紧贴朝鲜,这与韩国相似。但是我们几无第一轮卷入战争的可能,这点比韩国安全。现在时值冬天,半岛主要刮西北风,这也是对中国东北有利的因素。吉林的唯一不利因素是,离朝鲜的丰溪里核试验场比较近。

必须强调,我在此讨论的是朝鲜半岛局势的“最坏情况”。半岛发生任何军事冲突都是中国坚决反对的,美朝对发生战争也都有所忌惮。中国作为朝鲜的邻国,做到有备无患,常备不懈,全力应对是应有的稳健。我们相信党和政府和全中国的强大实力都在为捍卫东北民众的安全运转着。这个国家是一个整体,而且是能够休戚与共对抗各种战略风险的整体。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408일을 했는데…다시, 갈 곳은 하늘밖에 없었다

등록 :2017-12-10 09:36수정 :2017-12-10 09:44
 
  • 페이스북
  • 트위터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토요판]르포
파인텍 굴뚝농성

 
차광호 금속노조 파인텍지회장이 12월6일 서울 양천구 목동 열병합발전소 굴뚝 위로 밥과 물이 든 가방을 올리고 있다. 11월12일 고공농성을 시작한 홍기탁·박준호가 굴뚝 위에서 가방을 끌어올렸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차광호 금속노조 파인텍지회장이 12월6일 서울 양천구 목동 열병합발전소 굴뚝 위로 밥과 물이 든 가방을 올리고 있다. 11월12일 고공농성을 시작한 홍기탁·박준호가 굴뚝 위에서 가방을 끌어올렸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 다시 고공이 솟았습니다. 2년4개월 전 408일 굴뚝농성을 끝낸 스타케미칼 해고노동자들입니다. 파인텍으로 고용승계 된 지 2년이 못 돼 그들이 다시 굴뚝에 올랐습니다. 죽음을 넘나드는 하늘 동료를 지키며 땅에서 하늘을 살았던 두 남자가 그 하늘에 갇혔습니다. 그들이 지키는 굴뚝 위에서 국내 최장기 고공농성을 했던 남자가 이젠 땅에서 두 동료를 지키고 있습니다. 그들에겐 돌아갈 곳이 없었고, 더 내려갈 곳도 없었으며, 다만 올라갈 곳만 남아 있었습니다. ‘408일+○○일째’ 계속되고 있는 그들의 굴뚝 이야기를 전합니다.

 

하늘 75m 고공에서 두 남자가 어른거렸다.

 

땅 차광호(47)와 조정기(35)가 물건들을 챙겼다. 12월6일 서울 양천구 목동 열병합발전소(서울에너지공단) 옆 천막 안에서 추위가 펄펄 끓었다. 바닥 군데군데에 핫팩을 놓고 이불을 덮은 ‘핫팩 보일러’는 치밀어 오르는 냉기를 이기지 못했다.

 

“이건 굴뚝 연기 막는 방진 마스크, 이건 소음 차단하는 귀마개, 이건 얼굴과 몸 닦는 물티슈, 이건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배터리….”

 

오전 10시30분 김옥배(39)가 식당에서 사온 갈비탕을 들고 천막 안으로 들어왔다. 김옥배와 조정기가 갈비탕을 가방에 넣는 동안 차광호가 천막 구석에서 노끈 두 다발을 꺼냈다. 오전 10시35분. 차광호가 가방을 들고 발전소 안으로 들어갔다. 문을 열어준 경찰(공단의 시설보호 요청)이 가방의 내용물을 확인했다.

 

서울 양천구 목동 열병합발전소 굴뚝에 올라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는 금속노조 파인텍지회 홍기탁(전 지회장)과 박준호(사무장)가 12월6일 밥과 물이 든 가방을 끌어올리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서울 양천구 목동 열병합발전소 굴뚝에 올라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는 금속노조 파인텍지회 홍기탁(전 지회장)과 박준호(사무장)가 12월6일 밥과 물이 든 가방을 끌어올리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2년4개월 만에 다시 오른 굴뚝

 

하늘 녹색 가방이 밧줄에 묶여 내려왔다. 맑은 하늘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홍기탁(44·전 금속노조 파인텍지회장)과 박준호(44·사무장)가 작은 점처럼 흐렸다. 11월12일 새벽 그들은 사다리를 타고 발전소 굴뚝에 올랐다. 굴뚝을 사선으로 휘감으며 허리께까지 두 사람을 안내한 사다리는 몸을 직선으로 펴 그들을 꼭대기로 올려 보냈다. 주위 굴뚝에서 빠져나온 하얀 연기 기둥이 바람에 쪼개져 산개했다. 굴뚝 5기 중 연기가 오르지 않은 한 굴뚝에 그들이 있었다. 서울에너지공단은 11월20일 건조물 침입과 업무방해 등으로 두 사람을 고소했다.

 

 차광호가 가방을 받았다. 전날 저녁 식사로 올린 가방에서 밧줄을 풀어 이날 아침 겸 점심 식사를 담은 가방에 묶었다. 차광호가 챙겨 온 노끈을 가방 한쪽에 연결했다. 홍기탁·박준호가 밧줄을 끌어당겼다. 한 끼를 지켜줄 밥과 물이 밧줄에 매달려 허공에 떴다. 차광호가 노끈을 당겨 가방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밧줄을 긴장시켰다. 굴뚝 중간에 설치된 도르래가 가시처럼 튀어나와 가방의 오르내림을 방해했다. 가방의 귀환을 도우려던 노끈마저 도르래에 걸려 공중에서 맴을 돌았다.

 

하늘 차광호가 408일(2014년 5월27일~2015년 7월8일) 동안 45m 굴뚝에 매달려 있을 때 땅에서 그의 하늘을 지켜준 홍기탁과 박준호가 2년4개월 뒤 그 하늘에 올랐다. 차광호(당시 스타케미칼 해고자복직투쟁위원회 대표)가 땅으로 내려오며 합의했던 내용들이 지켜지지 않자 그를 땅으로 내리기 위해 땅에서 하늘을 살았던 두 사람이 ‘하늘 감옥’에 스스로를 가뒀다.

 

“흔들리고 부식돼서 위험했던 스타케미칼 굴뚝보다 난간은 튼튼한데, 난간에서 굴뚝 내경(가스·연기 배출 통로)까지가 60~70㎝ 정도밖에 안 된다.”

 

차광호가 땅을 밟은 날 박준호는 그의 하늘 살림을 내리러 스타케미칼 굴뚝(통로 1m)에 올랐었다. 목동 굴뚝의 통로 너비 60~70㎝는 1인용 텐트도 칠 수 없는 공간이었다. 움직이는 것 자체가 아슬아슬했다. 두꺼운 천을 두르고 비닐을 씌워 바람만 막은 ‘방’에서 그는 전화로 말했다.

 

“아래가 더 힘들 것이다.”

 

 

11월12일 파인텍지회 홍기탁·박준호
서울 목동 열병합발전소 굴뚝 농성
차광호의 408일 고공 지켜낸 그들
2년4개월 만에 “합의 지켜라” 농성
하늘·땅 역할 바꿔 차광호가 굴뚝지기

 

 

스타케미칼 11명 파인텍 고용승계 뒤
사쪽 ‘가동 당월 단협 체결’ 미이행
지난 8월 기계 철수하며 회사 증발
평생 폐업 겪으며 하늘로 몰린 그들
남은 5명 “굴뚝밖에 달리 방법 없다”

 

 

 홍기탁과 박준호가 올려주는 밥으로 408일(국내 최장기 고공농성)을 견딘 차광호가 2년4개월 뒤 두 사람의 하늘을 지키며 25일째(12월6일 시점) 그들의 밥을 올렸다. 그는 굴뚝에서 내려온 직후 “누구든 하늘에 올라가면 안 된다”고 했었다. “올라갈 수밖에 없어도 올라가지 않았으면 좋겠다. 최장기 기록을 깨며 성과를 내는 건 성과가 아니다. 그렇게 만드는 희망은 희망도 아니다.”

 

하늘과 땅의 역할이 역전될 수밖에 없었던 지난 시간을 돌아보며 차광호가 말했다.

 

“왜 안 말렸겠나.”

 

한국합섬 2공장이 1995년 경북 구미국가산업단지에서 영업을 개시(1공장은 1989년)했다. 그해 8월 서울에서 일하던 차광호가 고향으로 내려와 한국합섬 노동자가 됐다. 경북 상주에서 온 홍기탁이 입사동기가 됐다. 박준호(경북 예천)는 3조3교대가 4조3교대로 바뀐 2003년 입사했다. 2006년 3월 기계를 멈춘 한국합섬이 이듬해 5월 파산했다. 2005년 말 860여명이던 조합원 중 차광호·홍기탁 등 3명(조합원 자격은 108명이 유지)이 끝까지 남아 빈 공장을 지켰다. 2010년 7월 스타플렉스(스타케미칼 모기업)가 산업은행(주채권은행)과 합의해 옛 한국합섬을 인수했다. 스타케미칼(폴리에스테르 원사 제조)로 이름을 바꾼 공장이 2011년 4월 5년 만에 재가동(고용승계와 신규채용 합쳐 직원 230여명)했다. 공장 인수 1년8개월 만인 2013년 1월 시무식에서 김세권 사장이 회사 청산을 언급(1월23일 법인 해산)했다. 사쪽은 적자 누적을 이유로 댔고, 노동자들은 ‘먹튀’ 의혹을 제기했다. 금속노조 스타케미칼지회는 회사 청산에 반대하는 차광호 지회장을 불신임(1월3일)·제명(2월19일)했다. 희망퇴직원을 제출하지 않은 28명이 해고자복직투쟁위원회(대표 차광호)를 결성했다. 스타케미칼 노사가 공장에서 철수(2014년 5월26일)한 다음날 차광호는 “할 수 있는 게 그것밖에 없어” 공장 안 45m 굴뚝에 올랐다. 공장엔 11명이 남아 있었다.

 

차광호 금속노조 파인텍지회장이 굴뚝으로 올릴 빵과 휴대전화용 배터리를 챙기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차광호 금속노조 파인텍지회장이 굴뚝으로 올릴 빵과 휴대전화용 배터리를 챙기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파기된 약속

 

하늘 “그때나 지금이나 땅에서 할 수 있는 게 없으니까.”

 

구미 하늘에 있을 때 차광호가 했던 말을 박준호가 목동 하늘에서 했다. 목동은 스타케미칼과 파인텍의 모기업인 스타플렉스가 있는 도시였다.

 

차광호 착륙 하루 전 작성된 합의서는 고용 보장, 노동조합 및 단체협약(2016년 1월 내 단협 체결 완료), 생계 및 생활 보장을 약속했다. 고용은 구미가 아닌 “평택 지역 이하”에 신설법인을 세워 승계하기로 했다. 강민표 당시 스타케미칼 전무(현 파인텍 대표)는 “노조 때문에 모기업까지 망하면 어떡하냐”(2015년 3월 인터뷰)며 ‘스타플렉스로의 고용은 절대 불가’ 입장이었다. “그들은 일을 하려는 사람이 아니라 노동운동만 하려는 사람”이라고도 했다(2017년 12월6일 인터뷰에선 “당시 신설법인을 통한 고용은 해고자들의 요구” 주장).

 

2016년 1월 충남 아산에서 파인텍(타폴린 생산)이 가동됐다. 직원은 해고자복직투쟁위 노동자 11명뿐이었다. 구미에 가족을 두고 갈 수 없는 3명이 ‘아산행’을 포기했다. 합의서에 명시된 임금은 ‘최저임금(6030원)+1천원’이었다. 하루 8시간 근무 외에 야근이나 잔업은 주어지지 않았다. 세금과 4대 보험료 등을 떼면 월 실수령액이 120여만원이었다. “우리를 고립시키고 스스로 지쳐 떠나게 하려는 것”(박준호)이라고 노동자들은 판단(사쪽 “동일 업종 공장에 비해 직원들 생산성이 떨어졌다”)했다.

 

2016년 1월 안에 완료하기로 했던 단협(노조활동과 복지가 쟁점) 체결은 이뤄지지 않았다. 지난해 4월 18차례를 끝으로 교섭이 중단됐다. 노조는 지방노동위원회 조정을 거쳐 2016년 10월28일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2017년 1월 1명, 2월 1명, 5월 1명이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구미로 내려갔다. 5명만 남았다.

 

8월30일 회사가 공장에서 기계를 들어냈다. 건물 임대기간은 연장하지 않았고, 건물주는 새 사업체를 입주시켰다.

 

서울 양천구 목동 열병합발전소 굴뚝에서 고공농성 중인 홍기탁 전 파인텍지회장(오른쪽)과 박준호 사무장. 홍기탁·박준호씨 제공
서울 양천구 목동 열병합발전소 굴뚝에서 고공농성 중인 홍기탁 전 파인텍지회장(오른쪽)과 박준호 사무장. 홍기탁·박준호씨 제공
땅 한국합섬은 파산했다. 구미 스타케미칼 공장은 철거(차광호가 농성한 굴뚝도 해체)됐다. 파인텍 공장도 사라졌다. 두차례 공장 폐업과 한차례 증발을 겪는 동안 차광호·홍기탁·박준호는 20대 청춘에서 40대 중년이 됐다. 한국합섬 가동 중단 이후 11년 동안 그들이 일한 기간은 2년6개월뿐이었다. 그들에겐 돌아갈 곳이 없었고, 더 내려갈 곳도 없었으며, 다만 올라갈 곳만 남아 있었다.

 

5명 중 2명(홍기탁·박준호)은 하늘 사람이 됐고, 1명(차광호)은 전국을 다니며 연대를 호소했다. 1명(김옥배)은 매일 밤 문화제마다 사회를 봤고, 1명은 음향부터 나머지 모든 일을 처리했다. “여기보다 땅이 더 걱정”(박준호)이라며 굴뚝 위가 굴뚝 아래를 보며 애태웠다.

 

굴뚝농성 시작 16일째 날(11월27일) 차광호의 장모가 세상을 떠났다. 장모의 암은 그가 굴뚝에 있을 때 발견됐다. 사경을 헤매는 장모에게 그의 아내는 “남편이 외국으로 장기출장을 갔다”고 했다. 2015년 3월엔 그의 부모가 교통사고를 당했다. 부러진 갈비뼈가 내장을 찔러 어머니는 장출혈을 일으켰다. “부모가 다 죽어가는데 뭐 하고 있냐”며 굴뚝으로 전화한 아버지가 호통쳤다. 2년 뒤 새로 솟은 굴뚝은 장모의 빈소에까지 드리웠다. 장모의 삼우제를 지낸 다음날 그는 굴뚝 밑으로 복귀했다.

 

하늘 홍기탁과 박준호는 좁은 통로에서 스트레칭을 하고 제자리 뛰기와 푸시업을 했다. 운동을 마치면 물티슈로 땀을 닦고 땅에서 올려준 옷으로 갈아입었다. 차광호의 조언을 따라 최대한 규칙적인 생활을 하려고 노력했다. “시간표를 짜서 철저하게 지키지 않으면 몸도 마음도 무너진다”고 ‘굴뚝 선배’ 차광호는 하늘에 당부했다. 하늘에서도 땅에서도 그들은 “아직 포기할 수 없다”고 했다.

 

“내 인생이고 내 삶이니까. 공장이 사라지는 일을 되풀이해 겪다 보니 스스로를 지켜야 했다. 바꾸지 않으면 계속 똑같이 살게 된다는 것을 안 이상 예전처럼 살 순 없다.”(박준호)

 

 고공농성 이후 교섭은 열리지 않았다. 지회의 우선 요구사항은 차광호 농성 해제 때 합의한 ‘3승계’(고용·노조·단협) 이행과 공장 정상화였다. 회사는 “방법이 없다”고 했다.

 

“단협을 체결하기로 하고 안 했다는 건데, 5명 회사에서 스타케미칼 수준의 단협을 요구(차광호 “교섭 당시 인원인 8명 수준으로 축소해서 제시”)한다. 적자가 계속 나는데 언제까지 평생직장을 보장해줘야 하나. 폐업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그걸 빌미로 또 어떻게 나올지 몰라 못하고 있다.”(강민표 파인텍 대표)

 

*이미지를 누르면 확대됩니다.
*이미지를 누르면 확대됩니다.

 

“408일+○○일째”

 

정치 고공농성 시작 5일 뒤 고용노동부에서 민주노총에 연락해 농성 이유와 상황을 확인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투쟁사업장 해결을 위한 노정 협의체(양대 노총 각각 고용노동부와 별도 테이블)가 가동(7월)됐다. 민주노총의 경우 전국 100여개 사업장이 논의 안건으로 올라가 있다. 이명박·박근혜 정부 땐 없던 움직임이다. 10차례 회의가 열렸고 12월15일 11차 회의가 예정돼 있다. 민주노총은 이날 회의에 파인텍 고공농성을 의제로 올릴 계획(이승철 조직쟁의실장)이다.

 

지난 두 정부는 고공농성을 방치했다. ‘노사관계’란 논리 뒤에 숨어 사실상 고사시켰다. 사용자의 불법을 처벌하라며 하늘에 올라도 농성의 대가(사법처리)는 노동자에게 집중됐다. 유사 이래 한국에서 벌어진 200일 이상 초장기 고공농성 7건은 모두 이명박(2건)·박근혜(5건) 정부에서 벌어진 ‘현상’이었다. 차광호의 408일 기록도 이 시기에 쓰였다. 파인텍 고공은 문재인 정부에서 솟아 한달(12월11일)을 채우고 있다.

 

“파인텍은 갈등이 오래된 사업장이라 고용노동지청(천안) 차원에서도 살펴보고 있다. 해결을 모색하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방안이 있는 것은 아니다.”(고용노동부)

 

하늘과 땅 “갔다 올게요.”

 

굴뚝에서 내린 빈 그릇과 옷을 들고 김옥배와 조정기가 ‘꿀잠’(서울시 영등포구 도신로)으로 향했다. 비정규노동자 쉼터에서 그들은 설거지와 빨래를 하고 얼굴을 씻었다.

 

“오늘(12월6일)은 25일째가 아니라 433일째.”

 

차광호가 날수를 세었다. 408일 고공농성을 했던 그때처럼 기계가 멈췄고, 그때처럼 공장이 없어졌고, 그때처럼 그들은 단협 체결을 요구하고 있었다. 평온해 보이는 도시를 내려다보며 굴뚝에서 박준호(12월5일 통화)가 말했다.

 

“저 일상 속으로 들어가는 게 참… 쉽지가 않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적폐청산 이제 그만’ 적폐세력 반격 시작되나

정용인 기자 inqbus@kyunghyang.com

입력 : 2017.12.10 09:31:00

 

11월 12일 이명박 전 대통령이 바레인으로 출국하기 위해 인천공항에 도착하자 시민들이 피켓 시위를 하고 있다. / 김창길 기자

11월 12일 이명박 전 대통령이 바레인으로 출국하기 위해 인천공항에 도착하자 시민들이 피켓 시위를 하고 있다. / 김창길 기자

 

 

국정원 적폐청산TF 활동 다음 주 종료… 국정원 댓글 부대 이후엔?

 

 

적폐청산. 문재인 정부 출범 후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핵심기조다. 정권 출범 2개월 후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완성한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언급된 100대 국정과제 중 1번 과제가 ‘적폐의 철저하고 완전한 청산’이었다. 과제의 내용을 보면 국정농단 조사와 관련해서 부처별 TFT를 구성하여 국정농단 실태를 분석하고, 기소된 사건의 공소 유지 철저, 진상규명 및 재발 방지대책을 수립한다고 되어 있다. 

“요새 적폐청산을 이야기하지만 이 적폐청산은 결국 정치보복으로 흐를 수밖에 없다. 그 몇 가지 논거를 말씀드리겠다.” 11월 30일 자유한국당 원내대책회의. 정우택 원내대표가 패널의 번호를 하나씩 떼면서 설명했다. 정 대표가 제시한 논거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유한국당 조사에 따르면 각 부처별 적폐청산TF는 39개에 달하는데, 법적 근거가 없다. 두 번째로, 현재 중앙지검 검사 인력의 약 41%가 이 업무에 전례 없이 투입되고 있다. 셋째, 변창훈 검사의 자살사건에서 드러나듯 마녀사냥식, 망신주기식 여론몰이 검찰 수사다. 넷째로 전 두 보수정권, 이명박·박근혜 정부에 한해서 수사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편파수사로 비난 받을 수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TF 위원들 선정을 보면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나 블랙리스트 피해자 등 편파인사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청산작업은 공정성을 잃을 수밖에 없다. “정말 적폐청산을 한다면 시스템 개혁이나 제도개선을 통해 적폐를 청산해야 하는데, 그게 아니고 표적 또는 보복수사를 통해 사람을 구속시키는 것을 이 정권은 적폐청산이라고 하고 있다.” 각 부처별로 만들어진 적폐청산TF는 사실상 정치보복용 TF라는 주장이다. 이 주장은 사실일까. 

하나씩 짚어볼 필요가 있다. 적폐청산TF가 39개?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정 원내대표는 그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정부기관 19곳 적폐TF 운영… ‘사실상 수사’ 월권 논란도” 정 원내대표의 주장 한 달 전인 10월 30일, ‘적폐청산에 갇힌 대한민국’이라는 부제가 달린 동아일보 기획보도 제목이다.

동아일보는 청와대 민정비서관이 각 부처에 내려보낸 비공개 문건을 인용하고 있다. 7월 20일자로 작성된 이 문건은 “각 정부 부처 장관과 위원장들은 적폐청산을 위한 부처별 TFT 구성 현황 및 향후 운용계획을 4일 뒤인 7월 24일까지 회신해 달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각 부처가 어떻게 회신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해당 문건에 언급된 정부 부처들을 세보면 모두 19개다. 당시 보도에서 동아일보가 28개 정부기관을 전수조사한 결과 적폐TF가 운영 중인 정부기관은 모두 19곳으로 집계되었다. 정 원내대표의 주장은 이 보도가 제시한 프레임을 따르고 있다. 자유한국당의 39개 TF 주장이 맞다면 한 달 사이에 20개가 새로 생긴 셈이다. 

<주간경향>은 ‘대외비’ 표시가 되어 있는 자유한국당이 작성한 “문재인 정부 ‘정치보복TF’ 구성 현황” 문건을 입수했다. 11월 24일자로 되어 있는 이 조사문서는 각 상임위별로 해당 부처에서 운영하는 TF들을 조사한 것이다. 자유한국당의 집계에 따르면 총 29개 부처에서 39개 TF가 운영 중이며, TF 참여인원은 589명(검사 100명 포함)이다. 정 대표가 “39개 TF팀이 만들어졌다”고 밝힌 근거로 보인다. 

문건을 보면 상임위별로 취합된 TF 리스트는 비교적 꼼꼼하다. 그런데 여기에 망라된 TF들을 모두 ‘적폐청산TF=정치보복TF’로 보기엔 상당한 무리가 따른다. 예를 들어 산자부의 조직문화개선 TF나 보건복지부의 ‘불합리한 제도 및 조직문화 혁신 TFT’, 고용노동부의 ‘고용노동행정개혁위원회’, 환경부의 ‘환경부 제도개선 TFT’, ‘환경정책제도개선위원회’ 등은 태스크포스팀, 그러니까 임시조직이라는 형식만 같을 뿐, 전 정권의 적폐 조사와는 거리가 멀다. 역대 정권 출범 후 흔히 만들어지는 혁신위원회, 개혁위원회 등과 같은 민·관 자문기구의 성격을 띤 TF를 적폐청산TF로 규정하는 견강부회의 사례도 없지 않다. 예를 들어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정거래 법집행체계 개선 TF, 관세청의 관세행정혁신 TF, 조달청의 조달정책 TFT,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정개혁위원회와 같은 곳이 그렇다. 명시적으로 적폐청산을 조직 이름으로 내건 TF는 전체 TF 중 ‘군 적폐청산위원회’ 딱 한 곳이었다.

부처별 TF의 설립시기를 뜯어보면 “청와대 민정 지시→현황파악 후 없으면 적폐청산TF 신설→좌파 시민단체, 전 정권 피해자로 위원을 채워 적폐청산을 빌미로 정치보복”이라는 프레임은 맞지 않는다. 앞서 동아일보가 공개한 청와대 현황 파악 문건의 작성일은 7월 20일로, 국정기획위 100대 과제 발표 바로 다음날이다. 그런데 경찰개혁위(6.16), 공정위 신뢰제고 TF(7.6), 외교부 혁신 TF(7.11) 등은 국정개혁 100대 과제 발표 전에 만들어져 활동을 시작한 조직이다. 현재 ‘적폐청산’을 주도하고 있는 국정원 개혁위의 발족일도 6월 19일이다. 
 

10월 28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촛불집회 1년을 기념하는 촛불집회에 참석한 참가자가 적폐청산 사회대개혁이라고 적힌 컵을 받친 촛불을 들고 있다. / 이준헌 기자

10월 28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촛불집회 1년을 기념하는 촛불집회에 참석한 참가자가 적폐청산 사회대개혁이라고 적힌 컵을 받친 촛불을 들고 있다. / 이준헌 기자 

<주간경향>은 자유한국당의 대외비 문서의 내용을 근거로 TF팀에 언급된 외부 민간위원들을 접촉했다. 편향인사들을 위원으로 참여시킨 ‘정치보복TF’라는 주장에 대해 “터무니없다”는 반응이다.

“잘못한 것을 사건처리해 누구를 구속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중요한 것은 다시는 이런 불행한 일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라고 첫 회의 때 논의를 했기 때문에 이름도 적폐청산위원회가 아니라 개선위원회로 하는 것이 어떠냐는 제안이 나왔었다.” 군 적폐청산위원회에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문재웅 제이컴 대표의 말이다. 군 적폐청산위원회의 조직 구성방식도 국정원 등과 비슷하다. 각계각층의 외부 인원과 내부 인원이 거의 동수로 참여해 사이버 댓글, 기무사 민간인 사찰, 국방 의문사 사건, 여군 인권문제 등을 두고 논의를 하고 있다. 

앞의 자유한국당 문건을 보면 9월 25일 만들어져 내년 2월까지 활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의 경우 총 15인의 민간위원이 참여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조사의견’이 붙어 있다. “-. 조사위원 대부분이 문재인 대통령 지지선언을 하거나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 대한민국의 정통성과 발전을 폄훼하고 북한을 미화하는 검인정 역사교과서를 옹호했던 전력이 있는 사람 포함. -. 대한민국의 체제를 부정하고 북한을 미화한 이적단체 조직원으로 활동하다 국가보안법을 위반한 사람이 진상조사위원회 간사를 맡아 주도.” 

“자유한국당의 입장에서는 보다 중립적인 인사들로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할지 모르지만 국정화 교과서 문제에 대해 중립적인 사람이 어디 있습니까.” 이 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고 있는 고석규 전 목포대 총장의 말이다. 과거 여론조사 때 역사교사, 학자들 중 97%가 반대입장을 보였던 ‘국정화 교과서’의 문제를 다루는 위원회가 그렇다면 국정화 찬성이나 중립적인 사람이 조사를 해야 하느냐는 반론이다. 그는 “나 같은 사람은 역사 국정교과서 반대서명은 했지만 거리에 나서진 않았고, 또 대학총장으로 사용자 입장에서 전교조나 교수협회의 반대쪽 입장에도 서봤으니 굳이 따진다면 나름대로 중립이라고 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블랙리스트 피해자가 조사위원이 되어 편향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장관 훈령으로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법적 근거가 없다”고 자유한국당이 주장한 문화체육관광부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 관계자는 “이미 국정감사에서 장관이 답변했듯 ‘적폐청산과 문화 민주주의를 위한 문화예술대책위원회’라는 민간단체가 만들어졌고, 이 분들이 민간위원을 추천한 만큼 편향성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진상조사위원회가 문화체육부 훈령으로 만들어진 것과 관련해 이 관계자는 “법률을 제정하면 여야 합의가 필요하고, 대통령령으로 제정하는 경우도 3개월은 걸리기 때문에 조속히 마무리해야 한다는 현장 의견을 반영한 것”이라며 “훈령을 만들더라도 법률 내용 검토 후가 절차라서 법제처의 검토를 거친 후 제정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세청 국세행정개혁TF 단장을 맡고 있는 강병구 인하대 경제학과 교수는 자유한국당 정치보복TF 문서에 ‘전 참여연대 조세재정개혁센터장’이라는 경력에 밑줄을 쳐 강조돼 있다. 그는 <주간경향>과 통화에서 “공정과세와 조세정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단체의 성격이 내 생각과 맞아 단체활동에 참여했었다”며 “센터 소장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2년 전인 2015년 봄에 그만뒀다”고 말했다. 국세청의 경우 세무조사개선분과와 조세정의실현분과의 두 TF가 있다. 강 교수는 세무조사개선분과의 분과장과 전체를 총괄하는 단장을 맡고 있다. 그는 “국세청 본연의 업무, 투명하고 공정한 세정, 열린 국세청을 이루기 위해 어떻게 납세자 친화적으로 세무조사를 개선할 것인가가 세무조사개선분과에서 논의하는 일”이라며 “개선을 위해서라도 과거 어떤 측면에서 세무조사가 문제가 있었는지 이명박·박근혜 정부뿐만 아니라 DJ·노무현 정부 때까지 포함해 20년을 돌아봐 중대한 위반사항을 담은 사례 유형을 중간보고서의 형태로 제시한 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취지로 진행하는 사안에 대해 정치보복을 운운하는 것은 또 다른 차원에서 정치적으로 중립적이지 못한 평가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국정원 특수활동비를 청와대에 상납한 의혹을 받고 있는 남재준 전 국정원장이 조사를 받기 위해 12월 8일 오후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으로 들어가고 있다. / 이준헌 기자

국정원 특수활동비를 청와대에 상납한 의혹을 받고 있는 남재준 전 국정원장이 조사를 받기 위해 12월 8일 오후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으로 들어가고 있다. / 이준헌 기자 

“법적으로 뒷받침되지 않았기 때문에 위법 소지가 있다”는 주장도 무리한 주장으로 보인다. 상설 독립기구인 인권위원회나 중앙행정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 그리고 세월호조사위원회와 같은 특별기구들은 관련법이 있는 것이 맞고, 실제로 설치 등에 관한 법령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들 TF는 자문위원회다. 결정과 관련해 수행하는 업무도 ‘권고’다. 다시 말해 어떤 사항에 대해 조사해 나온 결과를 소속 부처의 장들에게 ‘권고’할 수는 있지만 소속기관장들이 반드시 이행해야 할 의무는 없다. “위원회 중 결과에 대해 입법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는 경우나 강제적으로 처분을 내릴 수 있는 위원회는 별도의 입법적 권한이 필요한 것이 맞다. 하지만 자율적으로 민·관 합동으로 하거나 기관이 내부조사에 민간인을 참여시킨다는 것이 굳이 일반 국민의 권한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훈령 등을 넘어선 별도 입법이 필요하지는 않다.” 박근용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의 말이다. 그 역시 ‘법무·검찰 개혁위원회’에 민간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확인되지 않은 피의사실을 흘린다든가, 근거가 충분치 않은 혐의를 공표하는 것은 과거에도 종종 있었고, 어느 정부든 해서는 안되는 일은 맞다. 하지만 어느 정도 객관적 사실이 확인되었고, 대부분 팩트 중심으로 기존에 알려진 사실을 확인하는 것을 그렇게 말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망신주기식 여론몰이 편파수사’라는 주장에 대해 박 처장이 덧붙인 말이다.

적폐청산 기조는 언제까지 유지될 수 있을까. 12월 5일 문무일 총장의 “올해 말까지 주요 수사 마무리” 발언을 둘러싼 논란이 벌어졌지만 일단은 “결실을 맺을 때까지 중단해선 안된다”고 일단락됐다. (박스 참조) 하지만 현실적인 타임 테이블 역시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문 대통령은 개헌 국민투표를 내년 지자체선거(6월 13일)에 같이 실시하겠다는 것을 공약했다. 어떤 형태의 권력구조이든 개헌은 간단치 않다. 최소 수개월은 논의가 필요하다. 당장 1월 1일 발표될 신년사에서 어떤 형식으로든 한국 사회의 미래를 위해 개헌의 필요성이나 당위성이 언급되어야 한다. “아무리 늦어도 4월, 적어도 2월 임시국회 이전에 관련 작업은 마무리되어야 하지 않을까.” 국정원 개혁위원회 간사를 맡고 있는 장유식 변호사의 말이다. 실제 대부분의 개혁TF는 올해 말, 늦어도 내년 2월까지는 종료하는 것을 목표로 개설된 한시적 기구다. 

문제는 남은 시간이다. 12월 말을 상정하는 경우 남은 시간은 사실상 2~3주다. 보통 주 1회 내지는 2회 회의를 한다고 하면 많아도 3~4번 회의 후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 각 부서별 TF들의 활동계획을 보면 1년 단위로 계획되어 있는 4~5개 ‘개혁위원회’를 제외하고 내년 2월 활동을 종료하도록 되어 있는 데 비해 대부분 개설시기는 8월 하순 이후로, 실제 진상조사 토론 후 권고까지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심지어 개설 후 현재까지 한 번도 회의를 개최하지 않은 TF조차 있다. 

비교적 정권 초반기부터 일찍 시작한 국정원 개혁위원회의 경우, 12월 20일을 전후로 활동기한이 종료된다. 장 변호사는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12월 18일이 마지막 회의가 될 것 같다”고 말한다. 외부위원들이 참여하고 있는 개혁위원회와 달리 국정원이 설정한 15개 적폐 리스트를 조사한 ‘국정원 적폐청산TF’는 12월 둘째 주 해산할 예정이다. 앞서 “국정원에서 더 이상 수사의뢰가 오지 않을 것으로 보고 받았다”며, 검찰총장이 “주요 사건의 수사를 연내에 마무리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이유 중 하나다. 

돌이켜보면 지금까지 언론에 보도된 ‘전 정권 적폐’와 관련한 대부분의 소식은 국정원 발이었다. 정확히 말하면 국정원 개혁위의 ‘권고’에 따라 국정원장과 국정원 적폐청산TF가 검찰에 수사의뢰를 하는 과정에서 흘러나온 뉴스였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경찰 인권침해진상조사위원회가 만들어진 것은 8월 25일이다. 15개 과제를 국정원이 선정한 것처럼 경찰도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기에 경찰이 개입된 백남기 농민, 밀양 송전탑, 제주강정마을, 평택 쌍용차, 용산 화재참사 등 5개 사건을 우선조사대상 사건으로 선정했다. 그런데 국정원 댓글사건 등에 비해, 이쪽에서 진상규명 소식은 언론에 나오지 않았다. 이유는 무엇일까.

“그동안 국감 등에서 야당이 줄기차게 불법기구라고 주장하며 활동 중단을 요구했다. 발목을 잡은 것은 예산이었다. 불법기구이기 때문에 한푼도 줄 수 없다는 것이었다. 밀고 당기기 끝에 최종적으로 진상조사위원회 훈령을 법제처의 자문을 받아 고치기로 하면서 어렵게 예산을 확보할 수 있었다.” 유남영 경찰청 인권침해진상조사위원회 위원장의 말이다. 원래 7억9000만원으로 책정되어 있던 예산은 최종적으로 4억2000만원으로 결정됐다. 우선조사대상 사건을 비롯해 진상조사활동은 1월 중순으로 예정된 조사원 10여명을 뽑은 뒤에 본격화될 예정이다. 그러니까 지금까지 ‘국정원발 적폐’ 소식만 나왔던 것은 자유한국당 등 보수야당의 방해로 경찰의 경우 조사가 이뤄질 수 없었기 때문이었던 것이다. 

“초기 논의 때 전 부처를 총괄하는 적폐청산위원회 같은 기구를 설치하거나 청와대 내 제도혁신비서관을 두는 방식의 논의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렇게 되면 다시 청와대가 총괄거점이 되고 각 부처에 내려보내는 방식이 된다는 내부 반론으로 추진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작성에 참여한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실무자의 말이다. 계속되는 이 관계자의 말이다. “참여정부 때 노무현 대통령은 국정원이나 검찰과 같은 권력기관을 장악하지 않겠다고 생각했고, 그건 지금 문재인 대통령도 마찬가지 생각이다. 부처 자율로 하다보니 부처별 상황도 다르고, 장관의 의지나 공무원들 생각도 다 제각각이어서 결과도 천차만별로 나타나는 것이다. 지금 보여주는 모습이 역설적으로 적폐청산이 청와대 지시에 의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방증이다.”

적폐청산은 제도개혁, 권력기관 개편 논의와 이어져 있다. 가장 뜨거운 쟁점은 공수처와 검·경 수사권 조정문제다. 법무부 산하에 법무·검찰 개혁위원회가 개설되어 있는데도 검찰이 검찰개혁위원회를 별도로 구성한 것 역시 기득권을 내놓지 않으려는 검찰의 ‘암묵적인 저항’으로 풀이하는 시각도 있다. “국정원 수사의뢰가 끝났으니 중요 수사는 연내 마무리하고 검찰 본연의 민생수사로 돌아가겠다”는 문무일 총장의 발언이 말 그대로 읽히지 않는 까닭이다. 그동안 숨죽여 왔던 ‘청산’ 대상들이 ‘정치보복’ ‘개혁피로감’ 등을 주장하며 펼치는 물밑 여론전 이 반영된 발언이라는 해석이다.

국정원개혁위 간사를 맡았던 장유식 변호사는 “지금 법무·검찰 개혁위원회가 우선과제로 꼽고 있는 공수처 설치나 경찰개혁위원회가 발표한 검·경 수사권 조정안에 대해 어쨌든 자신이 가졌던 것을 무엇이든 내놔야 하는 검찰로서는 내심 찬성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검찰뿐 아니라 기존 적폐세력의 ‘저항’을 예상하면서 돌파하기 위해서는 전체를 총괄하는 종합적인 헤드쿼터가 필요했는데 그것이 없었고 앞으로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 아쉬운 대목”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안 적폐수사 마무리” 문무일 총장 발언 본심은 

 

 

11월 27일 오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문무일 검찰총장이 위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 김기남 기자

11월 27일 오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문무일 검찰총장이 위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 김기남 기자 

“올해 안에 주요 수사를 마무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12월 5월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한 문무일 검찰총장의 발언이다. 문 총장의 발언은 미묘한 파장을 일으켰다. 문 총장이 언급한 ‘주요 수사’가 적폐청산 관련 수사로 해석되었기 때문이다. 문 총장은 “주요 수사를 마무리하고 내년에는 국민의 억울함을 풀어주는 민생사건 수사에 보다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모두발언에서 문 총장이 언급한 ‘주요 수사’가 국정원 수사의뢰로 해석된 것은 이후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을 통해서다. 연내 마무리가 현실적으로 어렵지 않으냐는 질문에 대해 문 총장은 “국정원에서 온 수사의뢰는 주로 중앙지검에 배당됐고, 다른 부서에서 의뢰해온 수사는 분산 배당을 하고 있는데 모두 금년 내 끝내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지금처럼 모든 검찰업무가 수사의뢰, 각 부처에서 넘어온 개혁과 적폐 논의에 집중되는 것처럼 보이는 상황은 연내에 마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간단히 정리하면 ‘청부 수사’는 끝내고 검찰이 주도하는 수사로 돌아가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하지만 즉각 반발이 터져나왔다. 정청래 전 의원은 12월 6일에 인터넷 커뮤니티에 ‘문무일 검찰총장에게’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마라톤 출발 전 준비운동하다가 레이스를 포기하려 하는가?” 비난의 목소리다. 논란이 확대되는 조짐을 보이자 청와대가 나섰다. 경향신문, JTBC 등이 보도한 이 청와대 고위관계자의 발언은 대동소이하다. “(문 총장의 발언을) 선의로 해석한다면 속도를 내겠다는 뜻으로 이해한다.” ‘적폐청산은 언제까지’라는 식으로 시간을 정해놓고 하는 것이 아니며, 마무리를 하지 않고 중단한다면 더 큰 문제라는 인식이다.

 

오늘의 핫클릭!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12100931001&code=910100#csidx65548a9db242f60a3d14e8aaf8f60d2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폭스뉴스, 북 2발의 슈퍼EMP탄 보유

폭스뉴스, 북 2발의 슈퍼EMP탄 보유
 
 
 
이창기 기자 
기사입력: 2017/12/10 [05:14]  최종편집: ⓒ 자주시보
 
 

 

 

 

▲ 북 EMP무기 관련 폭스뉴스 대담방송 

 

 

 

폭스뉴스는 8일 보도한 모 시사대담방송을 통해 북에 미국의 전자장비를 마비시킬 EMP무기가 2발 준비되어 있다(North Korea will use EMP on us. They have 2 EMP's)는 다보스포럼 내부자 정보를 소개하였다.(미국 뉴욕 정기열 제4언론 편집장 제공 정보)

 

내부자는 그러면서도 북이 그 무기를 사용하려 할 경우 미국이 먼저 EMP공격을 가해 무력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면서 그 정보를 전한 방송인은 부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대화에 나오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점점 미국인들의 북 수소탄과 그 파생무기인 슈퍼 EMP무기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어가고 있는 것 같다. 특히 화성-15형이 미국 본토 어디든 타격할 수 있는 능력까지 확실하게 보여주었고 이를 이제 누구도 부인할 수 없게 되자 그런 공포는 더욱 증가하고 있는 것 같다. 

사실, 북이 EMP탄을 만들었다면 어찌 2발만 만들었겠는가. 아마도 한반도는 물론 일본과 태평양작전지대의 주요 거점을 모두 무력화시킬 양은 물론 미국 본토의 주요거점도 마비시킬 전자기파폭탄을 이미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만약 북이 화성-15형을 정상각으로 쏘게 되면 미국의 대북 공포는 극한 단계에 이를 것이며 대북 선제타격을 하든, 대화와 협상에 적극 나서건 뭔가 행동에 나서지 않을 수 없을 전망이다. 

 

향후 북의 행보가 주목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박근혜 탄핵 1주년, 광화문서 ‘양심수 석방’ 촛불 든 청년산타들

  • 분류
    알 림
  • 등록일
    2017/12/10 09:54
  • 수정일
    2017/12/10 09:54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양심수석방추진위원회 “모든 양심수 배제없이 석방하라”

양아라 기자 yar@vop.co.kr
발행 2017-12-09 19:13:00
수정 2017-12-09 19:18:37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양심수석방추진위원회 관계자들이 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적폐청산과 인권회복을 위한 양심수 전원 석방 촛불문화제을 열고 있다.
양심수석방추진위원회 관계자들이 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적폐청산과 인권회복을 위한 양심수 전원 석방 촛불문화제을 열고 있다.ⓒ임화영 기자
 

박근혜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지 1년 되는 날인 9일, 산타 모자를 쓴 청년들이 광화문광장에서 촛불을 들었다. 이들은 "양심수는 박근혜 정권이 탄압했던 인권 침해의 피해자"라며 '성탄절 양심수 특별사면'을 촉구했다.

양심수석방추진위원회(추진위)는 이날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적폐청산과 인권회복을 위한 양심수 전원 석방 촛불 문화제'를 열고 청와대를 향해 "모든 양심수를 배제없이 석방하라"고 목소리 높였다.

탄핵 1년... 광장서 울려 퍼진 ‘양심수 석방’ 목소리
청년산타가 낭독한 ‘양심수 전원 특별사면’ 9행시

'이석기의원 내란음모사건 피해자 한국구명위원회' 공동대표인 김한성 연세대 법대 명예교수가 9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적폐청산과 인권회복을 위한 양심수 전원 석방 촛불문화제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석기의원 내란음모사건 피해자 한국구명위원회' 공동대표인 김한성 연세대 법대 명예교수가 9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적폐청산과 인권회복을 위한 양심수 전원 석방 촛불문화제에서 발언하고 있다.ⓒ임화영 기자

'이석기의원 내란음모사건 피해자 한국구명위원회' 공동대표인 김한성 연세대 법대 명예교수는 이날 발언을 통해 박근혜 정부 시절 의도적으로 사람을 죽이는 '작위에 의한 살인'이 '내란음모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내란, 역모로 몰아가지고 구시대처럼 사람을 죽이려고 했다"며 "작위에 의해 죽이려고 했던 것은 이석기 의원과 통합진보당과 관련된 피해자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명심보감'을 인용하며 "천 사람을 불러서 즐겁게 하는 것보다 한 사람의 억울함을 풀어주는 것이 낫고, 천 가지 새로운 일을 하는 것보다 한 가지 묵은 숙제를 푸는 게 낫다라고 했다"며 "억울하게 옥에 갇혀 있는 사람과 그의 가족들의 눈물을 닦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교수는 대통령의 사면권의 핵심에 대해서 "사법부가 재판을 통해서 인권을 침해하는 결과를 가져왔을 때 최후로 국가의 지도자인 대통령에게 풀 수 있는 기회를 준 것"이라며 "따라서 대통령은 자기에게 주어진 인권의 마지막 보루인 대통령의 사면권을 행사해서 옥에 갇혀 있는 이석기 의원, 한상균 위원장 등 양심수 28명을 풀어내야 이것이 헌법의 명령이고 시대의 명령이다"라고 역설했다.

광장에서는 양심수 전원 석방을 위한 '성탄특사'를 촉구하는 크리스마스 캐럴도 함께 울려퍼졌고,청년 6명은 캐롤에 맞춰 율동을 선보였다

또한 산타 모자를 쓴 청년이 촛불을 들고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양심수 전원 특별사면'으로 9행시를 낭독했다. 촛불을 든 200여명의 시민들은 한 글자마다 운을 띄우며, 정부가 올해가 가기 전 촛불의 정신으로 양심수 적원 석방에 나서주기를 촉구했다.

양:심과 사상의 자유가 강물처럼 흐르는 꿈을 꿉니다. 
심:사숙고하며 이석기 의원 등을 비롯한 양심수들의 특별사면을 고민하고 있을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 관계자분들에게 이야기 드리고자 합니다. 
수:개월 전 우리는 촛불을 들고 거리에서 박근혜 퇴진과 적폐청산을 얘기했고, 우리는 마침내 박근혜를 감옥에 가뒀습니다. 
전:국민이 함께 민주주의를 실현시켰고, 사회 대개혁으로 가는 간절함을 촛불을 통해 밝혔습니다. 
원:하건데, 촛불의 정신으로 양심수 전원 석방에 대통령이 나서주시기를 간곡히 촉구합니다. 
특:특별사면을 통해 박근혜가 가둔 이석기 의원과 한상균 위원장 등 모든 양심수들을 석방시켜주십시오. 더이상 같은 감옥에 갇혀있는 것을 우리는 지켜볼 수 없습니다. 
별:처럼 반짝이던 촛불을 대통령과 국민들은 모두 기억합니다. 
사:람이 먼저다. 이렇게 이야기한 인권 대통령, 대통령의 진짜 모습을 올해가 가기 전에 보여주시길 저는 바라고, 그렇게 해 주실 거라 믿습니다. 
면:허개전(免許皆傳), 스승이 제자에게 전수함을 의미합니다. 촛불을 밝힌 시민들의 가르침을 잘 받아 안길 기대하며 대통령의 용기있는 결단을 요구합니다.

 

추진위는 촛불 문화제 직후 광화문 광장에서 청와대 분수대 앞까지 행진을 진행한다.

양심수석방추진위원회 관계자들이 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적폐청산과 인권회복을 위한 양심수 전원 석방 촛불문화제을 열고 있다.
양심수석방추진위원회 관계자들이 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적폐청산과 인권회복을 위한 양심수 전원 석방 촛불문화제을 열고 있다.ⓒ임화영 기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KBS·YTN 다루고 탄핵 1주년까지, MBC 뉴스가 달라졌다

KBS 비리 이사 해임 및 YTN 사장 내정자 퇴진 촉구 투쟁 조명… 김수진 기자 “朴 탄핵소추 1년 의미, 무겁게 다가와”

김도연 기자 riverskim@mediatoday.co.kr  2017년 12월 10일 일요일
 

지난 8일부터 ‘뉴스데스크’ 간판을 내리고 재정비 시간을 갖고 있는 MBC 뉴스가 9일에는 KBS·YTN 언론 노동자들의 투쟁 소식을 두 꼭지 할애해 보도했다. MBC는 이날 오후 메인 시간대 뉴스를 통해 전국언론노조 KBS본부(이하 KBS 새노조)의 총파업 소식과 언론노조 YTN지부의 최남수 사장 내정자 퇴진 투쟁을 보도했다.

최훈 MBC 기자는 “최장기 파업 KBS, YTN은 다시 파국?”이라는 리포트에서 “파업 97일째, KBS 창사 이래 최장기 파업 중인 이들의 주장은 크게 두 가지”라며 “KBS는 사상 처음으로 지난 8일 지상파 재허가 심사에서 탈락 점수를 받았다. 현 경영진과 이사진의 재임 기간 중 공적 책임과 공정성, 공익성 분야가 모두 낙제점을 받았는데,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하라는 것이다. 또 국민이 낸 수신료로 제공되는 업무추진비를 사적으로 쓰다 적발된 KBS 이사들을 즉각 해임할 것을 방통위에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 MBC 뉴스는 9일자 “최장기 파업 KBS, YTN은 다시 파국?”이라는 리포트를 통해 KBS·YTN 언론 노동자들의 공정방송 투쟁 소식을 보도했다. 사진=MBC
▲ MBC 뉴스는 9일자 “최장기 파업 KBS, YTN은 다시 파국?”이라는 리포트를 통해 KBS·YTN 언론 노동자들의 공정방송 투쟁 소식을 보도했다. 사진=MBC
 

또한 KBS 비리 이사 해임을 촉구하면서 지난 7일 단식에 돌입한 김환균 언론노조위원장과 성재호 KBS 새노조위원장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은 뒤 “MBC는 다행히 일찌감치 적폐 청산에 성공하고 있지만 KBS는 여전히 박근혜 체제의 공영방송 KBS 체제가 이어지고 있다”는 성 위원장 멘트도 보도했다.

 

최 기자는 또 “박근혜 정부 당시 선임된 조준희 전 YTN 사장이 자진 사퇴하고, 해직자 3명이 복직하면서 정상화되는 듯했던 YTN도 다시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며 “최남수 신임 사장 내정자는, 전임 사장 시절 뉴스를 이끌었던 보도 책임자들을 일단 배제해 달라는 노조 측의 요구를 거부했다”고 전했다. KBS와 YTN에서 벌어지고 있는 ‘공정방송’ 투쟁을 같은 언론 노동자와 시민 눈높이에서 생생하게 보도한 것.

 

 
▲ MBC 뉴스는 9일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고대영 사장 퇴진을 촉구하며 24시간 ‘릴레이 발언’을 이어가고 있는 KBS 언론인들의 절박한 싸움을 보도했다. 박대기 KBS 기자가 KBS 언론 노동자들의 공정방송 투쟁에 대한<br />시청자들의 관심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MBC화면
▲ MBC 뉴스는 9일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고대영 사장 퇴진을 촉구하며 24시간 ‘릴레이 발언’을 이어가고 있는 KBS 언론인들의 절박한 싸움을 보도했다. 박대기 KBS 기자가 KBS 언론 노동자들의 공정방송 투쟁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심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MBC화면
 

이어진 MBC 뉴스에선 지난 5일부터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고대영 사장 퇴진을 촉구하며 24시간 ‘릴레이 발언’을 이어가고 있는 KBS 언론인들의 절박한 싸움을 보도했다.

 

최유찬 MBC 기자는 “스포츠 중계석이 익숙했던 아나운서가 함박눈이 쏟아지는 광화문 광장 한복판에서 마이크를 잡았다”면서 이광용 KBS 아나운서의 발언을 담아 보도했고, “지난 5일 아나운서들이 시작한 밤샘 24시간 릴레이 발언은 벌써 100시간을 넘겼고, 기자와 PD들도 바통을 넘겨받았다”면서 현재 상황을 설명했다.

2012년 파업에 참여한 뒤 마이크 앞에 서지 못했던 김수진 MBC 기자는 전직 대통령 박근혜씨에 대한 국회 탄핵소추안 가결 1년 리포트를 통해 “탄핵소추의 주역이었던 시민들은 인터넷과 광장에서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낸다”며 “그 뜨거운 변화의 열망을 국회와 정당이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질책도 그 어느 때보다 매섭다. 그만큼 그 의미가 무겁게 다가오는 오늘, 탄핵소추 1년”이라고 밝혔다. 기계적 중립에 머물지 않고 탄핵소추 1년이 담고 있는 의미를 해석하고 평한 것이다.

이날 MBC 주말 뉴스 진행은 엄주원 아나운서가 임시로 진행했다. 이상현·배현진 앵커가 교체된 지난 8일에는 김수지 아나운서가 진행했다. 김 아나운서는 “저희 MBC는 신임 최승호 사장의 취임에 맞춰, 오늘(8일)부터 뉴스데스크 앵커를 교체하고 당분간 뉴스를 임시체제로 진행한다”며 “저희들은 재정비 기간 동안 MBC 보도가 시청자 여러분께 남긴 상처들을 거듭 되새기며, 철저히 반성하는 시간을 갖겠다. 치밀한 준비를 거쳐 빠른 시일 안에 정확하고 겸손하고 따뜻한 뉴스데스크로 시청자 여러분께 다시 인사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사설] 사법 적폐 청산과 개혁이 절실하다

▲사진 : 대법원 홈페이지

김명수 대법원장이 판사들의 적폐청산 방해 판결을 옹호하여 국민을 아연케 하더니 문무일 검찰총장이 나서 주요 적폐 사건을 연내에 마무리하겠다고 하여 국민을 분노케 하고 있다. 국민적 여망인 적폐청산의 주요한 책임을 지고 있는 검찰과 법원의 수장이 적폐청산에 앞장서지는 못할망정 몇몇 고위직 판사들의 고의적인 적폐 수사 방해와 수구세력들의 반발에 ‘국민적 피로감’을 운운하며 적폐청산이란 시대적 역사적 과제를 또 다시 뒤로 물리려는 기색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최근 고위직 판사들의 고의적인 적폐 수사 방해 행위는 노골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신광렬 부장판사는 이미 영장실질심사를 통해 구속된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이나 임관빈 전 국방부 정책실장을 아무런 변경 사유가 없음에도 구속적부심을 통해 석방하였다. 자신들이 구속 사유가 분명하다고 인정하여 구속시켜놓고 불과 며칠 만에 구속 사유가 안 된다고 풀어준 것이다. 이게 법치인가. 이에 국민적 비난이 일자 대법원장이 나서서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재판 결과를 과도하게 비난하는 행위는 헌법정신과 법치주의에 어긋난다”고 국민을 훈계했다. 한마디로 국민적 비난을 정치적 이해관계로 폄하하고, 자신들의 판결은 헌법정신과 법치주의 실현이니 조용하라는 것이다. 오만하기 이를 데 없다.

참으로 소가 웃을 일이다. 적폐청산이란 자기들의 정치, 경제적 이해실현을 위해 헌법정신을 유린하고 법치를 악용하여 국정을 농단한 사안에 대해 진상을 규명하고 관련자들을 처벌하는 것이다. 이것은 정치적 이해관계의 문제가 아니다. 이야말로 헌법정신을 수호하고 법과 정의를 바로 세우는 과정인 것이다. 오히려 정치적 이해관계를 법의 이름으로 포장하여 실현시키려 하고 있는 게 판사들이다. 더욱이 판사의 판결보다 국민적 여망을 받들어야 할 사법부 수장이 잘못된 판결을 내린 자를 징계는커녕 거꾸로 두둔해 나서는 것은 자유한국당이나 조선일보류들이 적폐청산 수사를 정치보복이라고 생떼를 쓰는 주장과 궤를 같이하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법원의 적폐사건 관련자들에 대한 연속적인 영장실질심사 기각판결 또한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오민석, 권순호, 강부용 영장실질심사 부장판사들은 마치 짜기라도 한 듯이 적폐사건 관련자들에 대해 줄줄이 영장을 기각하였다. 이들은 우병우, 정유라, 이영선을 비롯해 국정원 직원들, 김재철 전 MBC 사장, 추선희 어버이연합 전 총장, KAI 관련자 등의 영장을 예외 없이 기각하였다. 며칠 전에는 우병우의 핵심 측근인 최윤수 전 국정원 2차장에 대한 구속영장마저 기각하였다. 우병우에 대한 세 번째 영장 청구도 기각하겠다는 뜻이다. 판사들이 영장을 기각한 사유는 간결하다. 이들이 증거인멸과 도주의 우려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7일 국정원 내부 고발자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에 보낸 편지에서 보듯 국정원은 증거인멸과 조작을 일상적으로 행했다. 국기문란이다. 판사들의 이런 판결은 명백한 수사방해이자 적폐옹호다. 오죽했으면 서울중앙지검이 나서서 “국민이익과 사회정의에 직결되는 핵심 수사의 영장들이 거의 예외 없이 기각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국정농단이나 적폐청산 등과 관련된 진실규명과 책임자 처벌이라는 검찰의 사명을 수행하기가 사실상 어렵다"고 하소연 했겠는가.

법원의 이런 수사방해 행위의 압권은 지난 6일 최순실 조카 장시호에 대해 구형량보다 많은 2년6개월 실형을 선고하고 법정 구속한 것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적폐사건 수사에 협조한 자에게 괘씸죄가 적용된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적폐사건 관련자들에게 수사에 협조하지 말라는 신호라는 것이다. 이렇듯 사법부의 적폐사건 판결에 대한 국민적 불신은 높다.

사법부의 적폐청산과 개혁이 절실하다. 한국의 사법부 신뢰도가 OECD 42개 가맹국 가운데 거의 꼴찌 수준인 39위라는 보도가 나왔다. 국민의 27%만이 사법부를 신뢰한다고 답할 만큼 이들에 대한 국민적 불신감은 극에 달해 있다. 한국의 사법부는 지난 60년 이상 ‘독립성’이란 미명 아래 외풍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자신들만의 세계를 구축해 왔다. 국민세금으로 그들의 높은 지위와 보수를 보장받고 전관예우라는 해괴한 관례로 자신들의 이해를 실현해 왔다. 그러다 보니 그들의 시각에 국민은 훈계해야 할 대상이요, 자신들의 판결은 이해관계를 뛰어넘은 법치주의의 최고 권위인양 우월감이 만연돼 있다. ‘민중은 개, 돼지’라고 했던 나향욱 전 교육부 정책기획관이 파면 불복소송에서 파면이 부당하다고 나 전 기획관의 손을 들어준 게 바로 법원의 시각이다.

철저히 보수화된 사법부에 약간의 변화라도 올 수 있는 적폐청산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사법부 적폐청산의 일환으로 제기된, 진보성향 판사들의 신상자료를 따로 관리해왔다는 이른바 ‘사법부 불랙리스트’ 조사를 지금까지 시작도 못하고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중이 제 머리 못 깎는다’는 말처럼 사법부가 자체의 힘으로 내부 적폐를 청산하고 개혁을 한다는 것은 경찰, 검찰보다 어려울 것 같다.

적폐청산에 기한은 없다. 피로감을 느끼는 자들은 적폐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자들뿐이다. 정의를 바로세우는 데 피곤해 할 국민은 없다. 히틀러의 나치였거나 그에 부역한 자들에 대한 청산작업이 70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듯이 국기를 문란케 하고 헌법정신을 훼손하고, 법치를 악용한 자들에 대한 청산작업에 시한이 있을 수 없다. 더구나 우리는 이제 시작일 뿐이다. 문부일 검찰총장은 민생을 앞세워 적폐수사를 연내에 마무리하겠다는 거짓된 말로 국민을 우롱해서는 안 된다. 진정한 민생은 적폐를 청산하는데 있다. 사회를 공정하고 투명하게 만들면 민생은 더욱 나아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사법부 적폐, 검찰, 경찰, 국정원 내부의 적폐는 그들 자체의 힘으로 청산되기 어려울 것이다. 오직 외부에 공정하게 구성된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만이 그나마 어느 정도라도 시대적 역사적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공수처법 통과에 온 힘을 기울여야 할 때다.

현장언론 민플러스  webmaster@minplus.or.kr

인기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북, ‘우리식 과학기술 산물 진출식’

북, ‘우리식 과학기술 산물 진출식’
 
 
 
이정섭 기자 
기사입력: 2017/12/09 [07:34]  최종편집: ⓒ 자주시보
 
 
▲ 북은 신향 트랙터와 화물 자동차 출정식을 가졌다.     © 이정섭 기자

 

북은 자체로 개발 생산한 만리마 시대 자력자강의 고귀한 창조물인 새 형의 뜨락또르(트렉터)와 화물자동차진출식이 진행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8일 금성 뜨락또르공장승리자동차 연합기업소충성호 뜨락또르 공장에서 생산한 천리마804호 뜨락또르승리호화물자동차충성122호 뜨락또르들이 드넓은 광장에 즐비하게 정렬해 있었다고 전했다.

 

박봉주 내각 총리는 행사에서 순천 기관 공장김책공업종합대학평양기계종합대학평양철도종합대학한덕수평양경공업종합대학 등의 과학자기술자연구사들이 생산에서 제기되는 과학기술적 문제들을 적극 풀어준 것을 언급했다.

 

▲     © 이정섭 기자


 

박 내각 총리는 금성뜨락또르 공장과 승리 자동차 연합기업소충성호 뜨락또르공장 일꾼들과 노동계급이 안아온 오늘의 자랑찬 성과는 혁명의 최후승리를 앞당기기 위한 총 공격전에 떨쳐나선 천만군민의 가슴마다에 무궁무진한 힘과 용기를 북돋아주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내각 총리는 모든 부문모든 단위에서 자력자강의 혁명정신과학기술의 위력을 총 폭발시켜 국가경제발전 5개년전략고지를 점령하기 위한 증산투쟁창조투쟁생산돌격전을 힘 있게 벌려나감으로써 사회주의경제강국건설에서 보다 큰 승리를 이룩할 것대하여 말했다.

 

그는 우리의 힘과 기술로 개발창조형의 뜨락또르를 만들어낸 것이 너무도 기뻐 몸소 뜨락또르에 올라 운전도 하고 천리마804호 뜨락또르들이 사회주의협동전야를 꽉 메우게 하자고새형의 80hp 뜨락또르들이 내 나라의 논과 밭을 풍요하게 가꾸어가는 모습을 그려보니 신심이 넘친다고 말하며 환한 미소를 짓던 김종은 위원장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개발창조형의 뜨락또르와 화물자동차들은 우리의 앞길을 가로막아보려고 미쳐 날뛰는 적들의 책동에 강타를 안기고 당중앙의 사상과 권위를 백방으로 옹위한 우리 노동계급의 자력갱생의 고귀한 창조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 “우리의 멋우리의 슬기우리의 식이 살아 숨쉬는 새 형의 뜨락또르와 화물자동차들의 기운찬 동음은 그대로 우리 노동계급의 자력자강의 숨결이고 하늘에 닿은 우리의 자긍심이여서 시민들의 감탄을 끝없이 자아냈다.”고 말했다.

 

이어 창전네거리와 옥류교문수거리 등 거리들을 보란 듯이 누비며 사회주의협동전야로 달려가는 뜨락또르와 화물자동차행렬의 장관을 보면서 시민들은 자력갱생의 생명력과 주체공업의 무궁무진한 위력을 다시금 굳게 확신하며 승리자의 기쁨에 넘쳐 손을 저어주었다.”고 알렸다.

 

기사는 끝으로 새 형의 뜨락또르와 화물자동차 진출식은 김정은 위원장의 영도따라 자주의 기치 드높이 사회주의 승리봉을 향하여 힘차게 전진해나가는 주체조선의 자력갱생의 위력필승불패의 기상을 다시금 힘 있게 과시하였다.”고 자랑차게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