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Simone Weil, 100 ans (텍스트 듣기)

Il y a tout juste 100 ans, le 3 février 1909, naissait Simone Weil. Pour donner toute sa place à cette philosophe française en quête d’absolu, Canal Académie propose une série de quatre émissions animées par Virginia Crespeau. Voici la première, consacrée au personnage historique de Simone Weil, telle qu’elle sera portée à l’écran par la cinéaste Emanuela Piovano, incarnée par la comédienne Lara Guirao, et racontée par sa nièce Sylvie Weil.
Née à Paris en 1909 dans une famille juive non pratiquante, Simone Weil étudie au lycée Henri IV avec le philosophe Alain. Suivant le modèle de son frère, brillant mathématicien, elle entre à l’Ecole normale supérieure et passe son agrégation de philosophie en 1931. Elle enseigne ensuite au Puy, à Roanne et à Saint-Étienne, où elle se rapproche de la classe ouvrière. Elle écrit ses premiers essais ( Oppression et liberté) en confrontant sa conception du marxisme avec la réalité du travail qu’elle expérimente ensuite dans les usines Alsthom et Renault. Toujours en quête d’absolu, Simone Weil rejoint le Front républicain espagnol en 1936 et connaît sa première révélation mystique à l’abbaye de Solesmes, deux ans plus tard. Dès lors, elle veut comprendre la volonté de Dieu et l’articuler intellectuellement avec ses propres expériences religieuses. Elle donne dans Pensées sans ordre concernant l’amour de Dieu une interprétation mystique de la religion chrétienne, pleine de son désir de sacrifice. En 1942, forcée de se réfugier aux Etats-Unis, Simone Weil refuse de quitter ses compatriotes et revient aider les Forces françaises libres en Angleterre. Atteinte de tuberculose, elle s’éteint à 34 ans dans un sanatorium anglais à Ashford le 24 août 1943.

 

1/ Simone Weil : sa vie bientôt portée à l’écran (1/4) [시몬 베이여의 삶이 곧 영화로 나온다는...]
http://www.canalacademie.com/Simone-Weil-le-regard-du-cinema.html (le 01/03/2009)
avec la cinéaste Emanuela Piovano, la comédienne Lara Guirao, et Sylvie Weil [대담자]

2/ Simone Weil : moments d’une vie intense (2/4) [열정으로 보낸 압축된 짧은 삶 34년...]
http://www.canalacademie.com/Simone-Weil-elements-d-une-vie.html (le 01/03/2009)
avec Laure Adler, Sylvie Courtine Denamy, Sylvie Weil [대담자]

3/ Parcours et oeuvres de la philosophe Simone Weil (3/4) [개괄과 저작]
http://www.canalacademie.com/Simone-Weil-3-4.html (le 08 mars 2009)
avec Florence de Lussy, Sylvie Courtine-Denamy, Bertrand Saint-Sernin

 

4/ La vie et la grève des ouvriers en 36, une expérience de la philosophe Simone Weil (4/4) [텍스트 듣기]
http://www.canalacademie.com/La-vie-et-la-greve-des-ouvriers-en.html (le 22 mars 2009)
Lectures d’extraits de textes de Simone Weil, par Lara Guirao
Simone Weil a voulu se faire ouvrière, en 1936. Elle a raconté par écrit son expérience en usine, une vie pénible, physiquement et moralement. Lara Guirao, comédienne française qui interpréte au cinéma le personnage de Simone Weil, nous fait lecture des passages qui l’ont le plus touchée.



Emission proposée par : Virginia Crespeau, 22 mars 2009

Cette lecture a été enregistrée en février 2009 alors que le film sur Simone Weil est en finition de montage et sortira prochainement sur les écrans français. La réalisatrice en est l’italienne Emanuela Piovano.

"Commander ne rend pas facile de se mettre à la place de ceux qui obéissent. Rien ne paralyse plus la pensée que le sentiment d’infériorité nécessairement imposé par les atteintes quotidiennes de la pauvreté, de la subordination, de la dépendance. La première chose pour eux, c’est d’arriver à retrouver ou à conserver selon le cas le sentiment de leur dignité. Je ne sais que trop combien il est difficile dans une pareille situation de conserver ce sentiment, combien tout appui moral peut être alors précieux.

J’espérais de tout mon cœur pouvoir par ma collaboration à votre journal apporter un petit peu d’un tel appui aux ouvriers de Rosières… Pour les malheureux, leur infériorité sociale est infiniment plus lourde à porter du fait qu’ils la trouvent présentée partout comme quelque chose qui va de soi…

Laure Adler, <i>L'insoumise</i>
Laure Adler, L’insoumise

C’est ma première journée dans cette usine ; elle m’avait paru accueillante la veille, après toute un journée passée à arpenter les rues, à présenter des certificats inutiles, enfin ce bureau d’embauche avait bien voulu de moi ; comment se défendre au premier instant d’un sentiment de reconnaissance…

Me voici sur une machine. Compter 50 pièces, les placer une à une sur la machine, d’un côté pas de l’autre, manier à chaque fois un levier, ôter la pièce, en mettre une autre, encore une autre, compter encore, je ne vais pas assez vite, la fatigue se fait déjà sentir, il faut forcer, empêcher qu’un instant d’arrêt ne sépare un mouvement du mouvement suivant, plus vite, encore plus vite. Allons bon, voilà une pièce que j’ai mise du mauvais côté -qui sait si c’est la première, il faut faire attention, cette pièce est bien placée, celle-là aussi, combien est-ce que j’en ai fait ces 10 dernières minutes ? Je ne vais pas assez vite, je force encore, peu à peu la monotonie de la tache m’entraine à rêver, pendant quelques instants je pense à bien des choses, réveil brusque, combien est-ce que j’en ai fait ? Ca ne doit pas être assez, faut pas rêver, forcer encore, si seulement je savais combien il faut en faire, je regarde autour de moi, personne ne lève la tête, jamais, personne ne sourit, personne ne dit un mot, comme on est seul ! je fais 400 pièces à l’heure, savoir si c’est assez, pourvu que je tienne à cette cadence au moins ; la sonnerie de midi enfin, tout le monde se précipite à la pendule de pointage au vestiaire hors de l’usine, il faut aller manger, j’ai encore un peu d’argent heureusement, mais il faut faire attention, qui sait si on va me garder ici. Je ne chômerai pas encore des jours et des jours. Il faut aller dans un de ces restaurants sordides qui entourent les usines, ils sont chers d’ailleurs, certains plats sont assez tentants, mais ce sont d’autres qu’il faut choisir, les meilleurs marché, manger coûte un effort encore. Ce repas n’est pas une détente. Quelle heure est-il ? Il reste quelques moments pour flâner mais sans s’écarter trop. Pointer une minute en retard, c’est travailler une heure sans salaire… l’heure avance, il faut rentrer. Voici ma machine, voici mes pièces, il faut recommencer, aller vite, je me sens défaillir de fatigue et d’écoeurement, quelle heure est-il ? Encore deux heures avant la sortie, comment est-ce que je vais tenir ? Voilà que le contremaître s’approche : « combien en faites-vous ? » « Quatre cents à l’heure » « il en faut huit cents, sans quoi je ne vous garderai pas, si à partir de demain vous en faites huit cents, je consentirai peut-être à vous garder ». Il parle sans élever la voix, pourquoi élèverait-il la voix quand d’un mot il peut provoquer tant d’angoisses, que répondre, « je tâcherai ». Forcer, forcer encore, vaincre à chaque seconde ce dégoût, cet écoeurement qui paralyse, plus vite, il s’agit de doubler la cadence. Combien en ai-je fait ? Au bout d’une heure six cents, plus vite. Combien au bout de cette dernière heure six cent cinquante. La sonnerie, pointer, s’habiller, sortir de l’usine, le corps vidé de toute énergie vitale, l’esprit vide de pensées, le cœur submergé de dégoût, de rage muette, et par-dessus tout cela d’un sentiment d’impuissance et de soumission car le seul espoir pour le lendemain c’est qu’on veuille bien me laisser passer encore une pareille journée… Il s’agit après avoir toujours plié, tout subi, tout encaissé en silence pendant des mois et des années, d’oser enfin se redresser, se tenir debout, prendre la parole à son tour, se sentir des hommes pendant quelques jours, indépendants des revendications. Cette grève est en elle-même une joie, une joie pure, une joie sans mélange, oui une joie.

 

© collections privées de Lara Guirao: http://filmoguirao.chez.com/index.ht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Albert Camus, philosophe (+audio)

Albert Camus : une pensée pertinente pour aujourd’hui

Regard sur la philosophie, la chronique de Damien Le Guay

A l’occasion de la publication des deux derniers tomes de son œuvre complète, dans la collection La Pléiade, il nous a semblé nécessaire de rendre hommage à Albert Camus dont la pensée, si juste en son temps, reste pertinente aujourd’hui. Damien Le Guay lui consacre sa chronique.
Emission proposée par : Damien Le Guay
Référence : CHR521
Adresse de cet article : http://www.canalacademie.com/Albert-Camus-est-toujours-vivant.html
Date de mise en ligne : 8 mars 2009

Partons de cette phrase d’Albert Camus, en 1956, quand il rend hommage à Salvador de Madariaga, intellectuel espagnol parti en exil après l’arrivée au pouvoir de Franco : « Ceux qui se sentent faits d’abord pour admirer et pour aimer, et qui, dans le désert du monde contemporain, risquaient de périr de faim et de soif, ont une dette de reconnaissance infinie envers tous ceux qui, en des temps déshonorés, leur ont offert une image digne et fière de l’homme et de l’intellectuel ». Cette phrase s’applique à Albert Camus lui-même, mort jeune dans un accident de la route le 4 janvier 1960 à l’âge de quarante six ans, encore auréolé de son prix Nobel reçu deux ans auparavant.

Rejeté par des intellectuels médusés par le communisme

Dans les années 1950, il fut l’honneur des intellectuels (de gauche) qui, en masse, s’étaient embrigadés dans le glacial parti de la justice meurtrière. Quand il « fallait » prendre le train de l’Histoire, et « justifier » ainsi, les Goulags « nécessaires », lui, Albert Camus, dénonçait les « bouchers de la vérité » et ce « socialisme des potences ». Quand eux mentaient pour « la bonne cause » et disaient « que le ciel est bleu quand il est gris », lui les accusait de prostituer les mots. Quand tout ce beau monde mettaient de l’essence marxiste dans le moteur de l’histoire pour le faire tourner à plein régime (régime aussi concentrationnaire), lui, l’enfant d’Alger d’origine modeste, répétait sa conviction jugée hérétique : « Aucun des maux auxquels prétend remédier le totalitarisme n’est pire que le totalitarisme lui-même. ». Il fut rejeté par la gauche inoxydable. Fut vomi pour sa tiédeur. Dénonçait ce qui pollue les idées généreuses : le cynisme, les compromissions, le conformisme des moutons – ou plutôt des loups. Il rejetait la haine et mettait en avant son contraire qui, dit-il, n’est pas « l’idéalisme timide mais la justice généreuse »

Une oeuvre sans aucune ride

Mais cette œuvre, si juste en son temps, soucieuse d’éviter les emportements furieux et embrigadements soit disant « nécessaires », n’est-elle pas un peu datée ? Le vent de la liberté, celui qui fit tomber le mur de Berlin, ne l’a-t-il pas emportée ? Il n’en est rien. Les deux derniers volumes de ses œuvres complètes en Pléiade, qui viennent de paraître, et vont de 1949 jusqu’à sa mort, en donne la preuve. Albert Camus, dans son théâtre et ses romans, restitue la complexité du monde, les mille nuances de la pensée, l’épaisseur des sentiments humains. Pour lui, il faut à la fois consentir à la beauté et refuser la cruauté et les injustices du monde. Il faut tenir les deux. N’être ni en retrait du monde ni embrigadé par l’époque. Ni pour un art désincarné ni pour un art ancillaire – au service d’une Cause.

L’amitié et l’honneur selon Camus

Camus était homme d’amitié. C’est ainsi qu’il fut proche de René Char et fit découvrir les œuvres de la philosophe Simone Weil. Mais surtout il sait ne pas être seul. Quand il reçoit le prix Nobel, il écrit aussitôt à Louis Germain, son ancien instituteur – qui avait persuadé tout le monde que le petit Albert devait poursuivre ses études - : « Sans vous, sans cette main affectueuse que vous avez tendue au petit enfant pauvre que j’étais, sans votre enseignement, et votre exemple, rien de tout cela ne serait arrivé. » Camus est homme d’honneur. Il honore ses dettes. Sait que le monde est fragile et qu’il peut à tout moment se défaire, se disloquer en mille morceaux. (Texte de Damien Le Guay)

 


 

빠리고등사범학교에서 2007년 3월에 있었던 까뮈에 대한 꼴로끄(학술대회)의 불어 요약본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안 나오고 간략한 몇 줄짜리의 문제재기 차원이다. '까뮈 철학(혹은 문학)에서 뭐가 문제인지' 정도의 흐름이나 살펴보는 것으로 만족해야겠다. 발표자들은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인데, 그 중에서 주목할 사람은 프레데릭 봄스(Frédéric Worms)라는 릴3대학 교수이며 프랑스 최고의 베르크손(Bergson) 전문가라고 함. 다음의 주소로 가면 꼴로끄 동영상이 나옴: http://www.diffusion.ens.fr/index.php?res=conf&idconf=1807

 

Colloque Albert Camus : littérature, morale, philosophie
Organisé par : Jean-Charles Darmon (univ. Versailles/Institut universitaire de France/ENS) et Lissa Lincoln (The American University of Paris) et Michel Murat (ENS) et Frédéric Worms (univ. Lille III, CIEPFC, ENS)

Colloque international et interdisciplinaire organisé par le Département littérature et langages et le Centre international d’étude de la philosophie française contemporaine (Département de philosophie) de l’École normale supérieure, avec le soutien du Programme « Littérature, Philosophie et morale » (ENS) et de l’American University of Paris.

 

Ressources en ligne
Introduction - Albert Camus : littérature, morale, philosophie (le 29 mars 2007) — Jean-Charles Darmon, Lissa Lincoln, Michel Murat et Frédéric Worms

A l’endroit la littérature, la philosophie à l’envers (le 29 mars 2007) — Kevin Newmark
La déclaration faite un jour par Camus « Je ne suis pas un philosophe » manifeste un certain agacement devant les multiples tentatives pour le situer par rapport à cette discipline. Il s’agit d’étudier les raisons de cette interrogation récurrente sur le statut de son œuvre. À partir de l’avis superficiel selon lequel Camus serait un « mauvais philosophe », il faut considérer les véritables sources d’une œuvre dans laquelle le rocher de Sisyphe, représentation de l’immense détresse de l’homme absurde, constitue l’envers d’une œuvre littéraire où la figure romanesque de l’Etranger devient une incarnation de la Différence.

Camus et Heidegger, les noces avec le monde (le 29 mars 2007) — Jean-François Mattéi
La condamnation par Sartre de « l’incompétence philosophique » de Camus manifeste son incompréhension d’une éthique où la générosité s’exprime au sens cartésien du terme, celui de l’estime de soi-même. Camus ne se comprend en effet que par ce fragile équilibre entre la vertu d’une volonté juste et le bonheur de l’estime de soi. Paradoxalement, on retrouve Camus lecteur de Hölderlin dans des œuvres philosophiques comme L’Envers et l’endroit, L’Homme révolté, Le Mythe de Sisyphe, tandis que des œuvres lyriques comme Noces à Tipasa sont influencées par sa lecture de Heidegger. Les deux approches fusionnent dans le sacré privé de joie de L’Eté.

La figure de l’innocent chez Camus (le 29 mars 2007) — Denis Salas
L’étude de la question du terrorisme telle qu’elle est traitée dans Les Justes par un Camus lecteur de Dostoïevski est celle d’une oscillation permanente entre le thème de l’innocence pure et celui de l’innocence pervertie. Le propos s’élargit dans L’Etranger, où l’on trouve simultanément un ordre menacé par la dissidence de Meursault et l’expression! d’une révolte contre la totalité des valeurs sociales.

La question de l’incroyance (le 29 mars 2007) — Carole Auroy-Mohn
Dans Le Premier Homme, Camus annonçait l’ouverture d’un troisième volet de son œuvre : le cycle de l’amour, après ceux de l’absurde et de la révolte. Le Premier Homme se constitue ainsi comme une nouvelle Genèse. Jacques Cormery, nouvel Adam, a cette particularité de s’avancer dans un univers sans créateur. Si Camus se déclarait d’une incroyance « passionnée », on est frappé pourtant par la perpétuelle résurgence de la question de Dieu, grand absent-présent du Premier Homme. La structure du manuscrit inachevé conduit Jacques Cormery à accepter la dérobade et l’oubli de l’origine, avant un ressourcement dans l’évocation de l’enfance.

Albert Camus, morale et littérature (le 30 mars 2007) — Michel Jarrety
Dans quelle mesure la morale que Camus a tenté de concevoir après Le Mythe de Sisyphe a-t-elle infléchi sa conception de littérature ? Dans quelle mesure cette conception a-t-elle pu se soumettre à une pensée morale ? Il faut partir de l’idée que Le Mythe de Sisyphe définit une morale personnelle, tandis que L’Homme révolté, dix ans plus tard, cherche à formuler une morale collective dont la clef de voûte est la notion de communauté. Il devient ensuite nécessaire de s’interroger sur la tâche assignée par Camus à la création littéraire, sur la nature de l’esprit de révolte, sur le double refus du réalisme comme des oeuvres dont la réalité est expulsée, et enfin d’étudier le rapport de Camus avec la poésie.

Chute libre et déclin du jugement (le 30 mars 2007) — Lissa Lincoln
Dans son oeuvre, Camus, loin de défendre tel ou tel système de valeurs, utilise le matériau littéraire pour mettre ces différents systèmes en tension. La « question du juste » (savoir ce qui est juste) y joue un rôle capital. Cette préoccupation se retrouve dans L’Étranger, La Peste, Les Justes et Caligula, et tout particulièrement dans La Chute, où le problème du jugement est évoqué par le monologue du personnage unique.

Camus et la revue Esprit (le 30 mars 2007) — Jean-Yves Guérin
Les relations entre Camus et la revue Esprit sont ici étudiées en détails. A un examen chronologique des rapports entre l’auteur et la revue avant et pendant l’Occupation est associé celui des comptes-rendus des œuvres de Camus faits par les rédacteurs d’Esprit (E.Mounier, A.Béguin, J.-M. Domenach), ainsi que l’étude des relations de Camus avec le Parti Communiste et les chrétiens de gauche.

Camus et Pascal : penser les limites (le 30 mars 2007) — Emanuel Germano

De L’Envers et l’endroit au Premier homme (le 30 mars 2007) — Pierre-Louis Rey
Il s’agit dans cette leçon d’étudier le lien entre L’Envers et l’Endroit et Le Premier Homme à la lumière des textes antérieurs qui s’y rattachent, ainsi qu’à celle de l’influence de Jean Grenier sur Camus. Le sentiment de sensibilité, déjà présent dans les Carnets, peut-il recevoir le nom d’amour dans ce roman symbolique de la condition humaine, qu’il est peut-être également pertinent de nommer « roman de la mère » ?

Le Premier homme : mémoire et manoeuvres intertextuelles (le 30 mars 2007) — Peter Dunwoodie
Cette leçon présente Le Premier Homme comme une litanie de la déshérence, qui ne laisse aucun doute sur le statut précaire de l’Européen en terre algérienne. Camus renverse la donne coloniale principalement à l’aide de deux œuvres (Le manuscrit d’Eugène François et À l’aube de l’Algérie française : le calvaire des colons de 48). L’intertextualité avec ces œuvres est étudiée au plus près pour mettre en lumière l’opposition entre travail de la mémoire et rôle de l’Histoire.

La peste comme analogie (le 30 mars 2007) — Michel Murat
Cette leçon s’attache à l’usage de l’allégorie dans La Peste de Camus. A partir de l’étude de quelques mots et notions, comme « fléau » ou « pestiféré », on s’interroge sur la portée et les limites de l’analogie, sur les identifications de sa teneur (« occupation » vs « nazisme »), ainsi que sur les effets produits par son intégration dans l’histoire d’une guerre qui pour Camus « n’est pas finie ». Ces effets expliquent l’écart entre l’accueil fait au livre par un public qui y trouvait une évocation crédible et émouvante de l’expérience commune, et sa réception critique par des lecteurs focalisés sur une mythologie de la Résistance, qui ne pouvaient accepter de l’identifier aux « formations sanitaires » qui la représentent dans le roman.

Le moment de Camus (le 30 mars 2007) — Frédéric Worms
A partir d’une question fondamentale sur la condition métaphysique de l’homme révolté (« l’absurde commande-t-il la mort ? ») cette leçon étudie, à un moment philosophique précis (celui de la deuxième guerre mondiale en France) à travers L’Homme révolté et les Lettres à un ami allemand, les trois tâches assignées par Camus à la philosophie : établir une métaphysique de l’Absurde, une morale de la Révolte, puis nous ramener à l’unité primitive masquée par l’absurde et la révolte. La dernière partie de la leçon met en évidence les trois types de pratique littéraire choisis par Camus pour traduire chacune de ces taches philosophiques.

 

Table ronde Albert Camus : littérature, morale, philosophie (le 30 mars 2007) — Jean-Charles Darmon
Organisateurs
Jean-Charles Darmon (univ. Versailles/Institut universitaire de France/ENS), directeur adjoint de l’École normale supérieure
Lissa Lincoln (The American University of Paris)
Michel Murat (ENS), directeur du Département de littérature et langages
Frédéric Worms (univ. Lille III, CIEPFC, ENS), Centre international d’étude de la philosophie française contemporaine, Ecole normale supérieure et université de Lille III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500명의 용산 / 40만의 명동

다들 다음주 토요일 '10만 국민 대회'를 기약한 때문인지, 2월 21일 토요일 '용산 추모 대회'에는 500여명이 모였고, 경찰의 강제해산 과정에서 영정사진이 깨지고 경찰에게 짓밟혔다는 소식이다. 사건의 직접적 당사 가족이 아닌 누가 그 아픔과 분노를 감히 실감할 수 있을까만, 그들의 고립과 관심에서 멀어진 처지가 안타깝고 미안하다. 토요일이라 블로그들도 한산하기만 하던데, 다들 어디로 가고 고작 500명만이 모여 그들과 함께했다는 말인가! 공권력이 사악해서가 아니라, 공권력에 무시되고 괄시될 만한 숫자만을 남기고 모두들 떠나버린 무관심이 낳은, 경찰의 마구잡이 행동이 아닐까 싶다. 이런 생각을 하고 있자니 갑자기 며칠 전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에 임한 조문객의 행렬이 인산인해를 이뤘고 그 숫자가 40만명에 육박한다는 소식이 겹쳐진다. 감히 이런 불경한 비교를 한다는 꾸짖음이 옆에서 들리는 듯하지만, 아마도 그것은 남은 자들의 것이지 떠나신 분의 것은 아니리라는 믿음으로, 간략히 두 기사를 함께 엮어둔다. 

 

▲산산조각이 난 영정사진 (사진=손기영 기자) 

 

경찰, 유족 폭행 영정사진 짓밟아 / [현장] 5차 추모대회 원천 봉쇄…시민들 "어떻게 이럴 수가"

(...) 경찰의 봉쇄를 피해 청계광장에서 프라자호텔 앞으로 집결한 유족들과 시민 500여명은 추모대회 개최가 어렵다고 판단한 뒤, 오후 5시 10분 행진을 시작했다. 김태연 범대위 상황실장은 “청와대로 행진하면서, 아무런 사과도 하지 않는 이명박 정부를 규탄하는 목소리를 시민들에게 전하겠다”며 항의했다. 하지만 추모행진은 채 5분도 되지 않아, 서울시청 앞 광장 부근에서 봉쇄되었다. 전경 500여명은 행진에 나선 참석자들을 둘러 샀고, 유가족들과 시민들은 거칠게 항의했다. 이어 경찰이 참가자들을 인도 쪽으로 밀어붙이는 과정에서 양 측간에 거친 몸싸움이 벌어졌다.
전경들은 유족들이 들고 있던 영정사진을 방패로 밀쳤고, 나무 프레임으로 된 액자와 유리는 산산조각이 났다. 또 영정사진이 바닥에 떨어지자 군화발로 마구 짓밟기도 했다. 한 전경은 고 양회성씨의 영정사진을 빼앗아 바닥에 내팽겨 쳤고, 유족들은 “이게 뭐하는 짓이냐”며 통곡했다. 이에 흥분한 고 이성수씨의 아들 상흔군이 거칠게 항의하자, 전경 3~4명은 그를 대오 안으로 끌고 들어가 안면 주변을 주먹으로 가격했다. 또 고 이상림씨의 아들 성연씨는 전경들과 심한 몸싸움을 벌이는 과정에서, 어지러움 증과 구토증상을 호소한 뒤 실신해 응급실로 긴급 이송되었다.

(...) 연좌시위를 마친 추모대회 참가자들은 다시 청와대를 향해 행진을 진행하려고 했지만, 경찰 봉쇄에 막혀 시내 일대에서 산발적인 시위를 이어갔다. 이들은 저녁 7시 45분 경 명동 ABC마트 앞에 집결해, 정리 집회를 열었다. (...) 이날 추모대회 참가자들은 정리 집회를 마치고 저녁 8시 대부분 자진 해산했지만, 일부 시민들은 밤늦게까지 종로 탑골공원 등지에서 산발적인 시위를 벌였다. 한편, 범대위는 오는 28일 오후 ‘10만 국민 대회’를 통해,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와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국민들의 목소리를 모을 예정이다. (손기영 기자, 레디앙, 2009년 02월 21일 (토) 22:44:09, 전체기사의견(0))

 

▲ 21일 오후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릴 '용산철거민 살인진압 희생자 제5차 범국민추모대회'가 경찰들에게 원천봉쇄 되자 서울시청 광장에 모인 용산 철거민참사 희생자 유가족들과 시민들이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며 청와대로 행진을 시도하다가 경찰들에게 둘러쌓여 있다. (ⓒ 유성호 출처 : 부서진 희생자 영정들... "이런 나라에서 어떻게" - 오마이뉴스)

 

‘정신적 지도자’ 잃은 상실감이 ‘국민장’ 승화   
 

...파 성철스님 입적 이후 처음ㆍ“현 지도층 도덕적 리더십 부재 실망감 표출”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을 애도하는 추모 열기가 갈수록 뜨거워지며 국민적 추모 신드롬을 ... ... 열기가 갈수록 뜨거워지며 국민적 추모 신드롬을 낳고 있다. 서울 명동성당에만 조문객40만명에 육박하면서 김 추기경의 장례식은 사실상 ‘국민장’으로 승화되고 있...    [사회/사회 일반] 2009.02.19. 23:09:06

조문객 39만명 ‘끝없는 추모 물결’     

...정진석 추기경 교황특사 자격 입관식 집전 김수환 추기경 선종 4일째인 19일에도 빈소가 마련된 명동성당은 조문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김 추기경의 마지막 모... ...입관식 집전 김수환 추기경 선종 4일째인 19일에도 빈소가 마련된 명동성당은 조문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김 추기경의 마지막 모습을 보려는 시민들이 새벽부...

[사회/사회 일반] 2009.02.19. 18:07:46 경향

 

김수환 추기경 '사랑 바이러스' 퍼트리고 영면

“고맙습니다. 서로 사랑하십시오.” 한국 천주교 지도자이자 사회의 큰 어른으로 ‘모든 이들을 위하여’ 헌신했던 고 김수환 추기경은 이런 메시지를 남기고 그가 평생 믿고 의지했던 하늘나라로 떠났다.

김 추기경 선종 닷새째인 20일 오전 서울 명동성당에서 천주교 주교단과 사제단, 한승수 국무총리와 주한 외교사절, 신자 등 성당 안팎에 1만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김 추기경과의 마지막 작별을 고하는 장례 미사가 봉헌됐다. 서울대교구장 정진석 추기경이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이름으로 집전한 장례 미사는 오전 10시 참석자들이 입당성가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라’를 부르면서 엄숙하게 시작됐다. 미사는 성경의 지혜서와 요한의 서신, 마태오의 복음 등을 읽고 정 추기경의 강론을 듣는 ‘말씀 전례’와 ‘성찬 전례’, 고별식 순으로 1시간 40분 가량 진행됐다. 정 추기경은 강론을 통해 ‘김 추기경은 우리 사회의 큰 어른으로서 빛과 희망이 되어주었고 가톨릭 신자뿐 아니라 모든 한국인의 ‘사랑과 평화의 사도’였다”며 “사랑과 나눔을 우리들에게 그 어떤 것보다도 중요한 유산으로 남겨주어 이 슬픈 상황에서도 한 가닥 희망을 가질 수 있다”고 추모했다. 정 추기경은 고별식에서 “장례 미사에 모인 김 추기경의 친족과 모든 분에게 주님의 힘과 위로에 대한 보증으로서 진심으로 사도의 축복을 보내드린다”는 교황의 위로 메시지를 대독했다. (...) 장례 미사 후 김 추기경의 관은 경기 용인의 천주교 성직자 묘역으로 운구됐으며, 오후 1시30분부터 정진석 추기경, 윤공희 대주교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관을 땅에 묻는 하관 예절이 진행됐다. 하관 예절은 흙을 관 위에 덮기까지 30분이 걸렸을 정도로 간소하게 진행됐다. 김 추기경은 이제 영면에 들었다.

김 추기경은 1969년 한국의 첫 추기경으로 임명된 후 개발에 밀린 사람 등 언제나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의 편에 섰으며 1970~80년대의 격동기에는 민주화운동을 후원한 사회의 큰 어른이었다. 30년간 봉직한 서울대교구장에서 1998년 은퇴한 그는 지난해 건강이 나빠져 입원 치료를 받던 중 16일 향년 87세로 선종했다. 김 추기경 선종 후 명동성당의 빈소를 찾은 신자와 일반 시민의 추모 행렬은 40만명에 달했으며, 각막 기증 소식에 장기 기증자가 줄을 잇는 등, 고인의 죽음은 우리 사회에 놀라운 사랑과 화해의 정신적 메시지를 주었다. (한국아이닷컴 고광홍 기자, [김수환 추기경 영면] "서로 사랑하며 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경제한파에 지친 국민 가슴에 '따듯한 가르침' ⓒ 인터넷한국일보, 입력시간 : 2009/02/21 03:03:52)

 

* 아마도, '사랑이란, 너무나 소중해서 혼자서만 가슴 속에 꼭꼭 묻어두고 곱게 간직하다가 죽을 때 쯤 장기 기증 등으로나 증명해 보이면 되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으나 사는 게 아닌 소외받고 가난한 사람들의 옆에서, 설령 별 뽀족히 해줄수 있는 게 없더라도, 함께 손 잡고 있어주고, 때로는 투쟁으로 실천으로 쟁취해가는 과정을 일컫는다'는 것이 고인의 가르침이 아닐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선망의 북유럽? (박노자 글 중 4문장)

그냥 한번 읽고 버리려고 했는데, 글의 마지막 문장들이 자꾸만 머릿속에 맴돌아 퍼다 둔다. 우리의 선망의 대상(부자들에게는  여전히 미국이겠지만, 가난한(!) 진보들의)인 북유럽에 대해 그곳의 소속인인 박노자가 알려주는 실상의 묘사가 아주 흥미롭다('흥미'보다 더 적절한 단어 -'분노' 이런 거 말고- 가 필요하겠는데, 생각이 안 남). 이하, "맑스주의는 개무시"되고 그들만의 "민주주의"는 "초선진"이라는 해설의 부제를 달고있는 박노자 글의 마지막 네 문장 : 

 

사회적 갈등들이 잘 봉합되고 만족감이 만연한 곳에서는

우민화되는 게 (...) 훨씬 더 쉽지요.

그리고 남은 것은 '향유'지요.

1년에 3~4번이나 남유럽에 가서 좋은 피자와 좋은 섹스를 즐기고,

정기적으로 운동을 잘하고, 아이와 웃으면서 같이 자주 놀고,

그리고 물건을 고르는 재미를 천천히 즐기고….

공황이다 뭐다 하는데 노르웨이 소매업 매상고가 높아지기만 합니다!


출처) 박노자(노르웨이 오슬로대), "민주주의 초선진의 노르웨이, 맑스주의 '개무시'도 초선진", 레디앙, 2009년 02월 20일 (금) 10:40:28 http://www.redian.org/news/articleView.html?idxno=12725

 

 

뱀발) "1년에 3~4번이나 남유럽"으로 바캉스를 떠나는 능력있는(?) 북구인들이라니 놀랍다. 내가 아는 파리에 사는 친구는 유학생활 5~6년 동안에 파리를 벗어나 본 것이라고는, 한국에서 손님이 와서 함께 베르사이유궁전에 간 게 가장 먼 여행이었다는데... 그리고 여름철이면 파리 쎈느강변에 해수욕장을 흉내 낸 '빠리쁠라즈'라는 것을 해마다 만든다는 사실은 하도 소문을 들어서 이제 우리도 잘 안다. 그런데 그 낭만적 시설이라는 것의 이면에는 경제적 여유가 없어 바캉스를 떠날 수 없는 48%(작년통계)의 시민들을 위한 위안처로서의 음모(?)가 숨어있다니,  겉으로는 여유로운 '파리의 낭만'일지 몰라도 속으로는 만성화된 '선진 불평등'의 가면이겠다. 또, 그 친구의 이웃에는 직업도 없이 매일 수퍼마켙만 다니는 게 일과인 한 부부(한국인 아줌마와 돈많은 프랑스 할-아저씨)가 사는데, 그들에게는 사시사철이 바캉스임에도 불구하고 꼭 학기중에 3번 정도 있는(긴 여름바캉스 빼고 주로 '스키바캉스'로 불려지는) 학생들 바캉스 때만 되면 알프스나 따뜻한 남불로 여행을 떠난다고 한다. 부럽다고 해야할지 억울하다고 해야할지 냉정히 감수해야 할지는 그 친구의 몫이겠으나, 아주 '아그레아블'(agreable-유쾌)한 동네와 시절이 아닌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펌] 일본공산당, 당원이 급증한다는데...

“청년 공산당원 급증 비결? 비정규직 문제 파고든 덕”
[뉴스 쏙] 한겨레가 만난 사람 시이 가즈오 일본공산당 위원장 
 
지역별 상담망 통해 사회 취약층 밀착 활동 / 생활보호 신청·채무 해소 도우며 당세 약진
“파견노동 확대로 일회용품 노동자 양산 / 최소한 ‘룰 있는 자본주의’ 전환 꾀해야”

 

세계 2위 자본주의 대국 일본에서 요즘 공산당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1년 사이 1만5천명이 당원으로 가입했다. 같은 기간 외국 언론 스물두곳이 일본공산당을 취재해 갔다.

자민당 등 일본 주요 정당들의 당원이 줄고, 무당파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일본 공산당만 유독 약진하는 까닭은 뭘까?

기본적으로 신자유주의식 구조개혁과 규제완화의 부작용으로 비정규직과 ‘워킹 푸어’(일을 해도 가난을 벗어나기 어려운 계층)가 늘어난 것이 요인으로 꼽힌다. 또 공산당의 풀뿌리 활동이 호소력을 얻었기 때문으로도 풀이된다. 그러나 다른 두가지 요인도 거론되고 있다. 열악한 노동현실에 맞서 싸우는 노동자를 그린 프롤레타리아 작가 고바야시 다키지의 80년 전 소설 <게공선>이 최근 다시 각광받으며 50만권이나 팔려나가 공산당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나머지 요인은 바로 일본 공산당 최고책임자 시이 가즈오(55) 위원장의 활약이다. 지난해 2월 일본 정기국회에서 시이 위원장이 날품팔이 파견노동자의 노동 실태를 지적하는 동영상이 인터넷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며 그는 스타가 됐다. 당시 인터넷 댓글에 올라온 ‘잘했어, 시이’라는 뜻의 시지제이(CGJ, ‘시이 good job’)란 신조어까지 생겼다. 시이 위원장은 이달 열린 올 정기국회에서도 막대한 흑자로 돈을 쌓아놓고도 비정규직을 잘라내는 대기업의 행태를 지적하며 ‘룰 있는 자본주의’를 주창해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시이 위원장은 도쿄대 물리학과 1학년 때 일본 공산당에 입당해 1990년 35살에 당 중앙위 서기국장에 취임하는 등 일찍부터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2006년 일본 공산당 당수로는 처음 한국을 방문해 서대문형무소 터를 찾아가 헌화했다. 지난 1월에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신년모임에 참석해 재일 외국인에게 선거권·피선거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지지 발언을 하기도 했다. 13일 도쿄 요요기의 일본공산당 당사에서 만난 시이 위원장은 시종 부드러운 미소를 잃지 않았다. 

 » 시이 가즈오 일본공산당 위원장

 

-일본공산당의 당세가 크게 신장되고 있습니다. 이유가 뭔가요?
“일본의 노동조건은 심각한 상황입니다. 비정규직 노동자가 전체의 40%까지 늘었습니다. 1999년 파견노동 금지를 풀어 2004년 제조업까지 확대하는 등 노동을 완화시킨 결과입니다. 젊은이들이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워킹 푸어를 벗어날 수 없는 상황에서 일본 사회의 미래는 없습니다.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했고, 열악한 노동조건에 괴로워하는 많은 젊은이들이 당에 들어왔습니다. 20~30대의 젊은층이 20~30%쯤 됩니다. 20대 커플이 나란히 입당한 경우도 있습니다. 젊은 세대들이 당에 활력을 주고 있습니다.”

 

-일본공산당은 지금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에 주력하고 있나요?

“저희는 각 지역에서 생활 노동상담 활동을 펼칩니다. 어떤 노동 상담도 가능합니다. 생활보호 신청에 대한 지식부터 다중채무자를 위한 노하우까지 공산당만큼 생활문제에 대한 지식이 축적된 곳이 없습니다. 구청이나 경찰서에 도움을 청하면 ‘정말 생활이 곤란하면 공산당과 의논하라’고 할 정도입니다. 국민의 고통을 덜어주는 것이 우리 당을 창당한 근본 이유입니다. ”

일본 공산당은 전국 40만 당원들과 2만여 지부로 거미줄 같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한때 ‘1억 총중류’라고 할 정도로 중산층 평등사회였던 일본 사회의 사회안전망이 신자유주의 구조개혁으로 허술해지면서 공산당이 구축한 전국 조직망이 사회적 약자를 위한 안전망 구실을 하고 있다.

 

-일본에서 왜 이렇게 빈곤 문제가 심각해졌다고 보는지요?

“노동정책의 잘못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규제 완화를 극단적으로 진행하면서 ‘일회용품 노동’이 급속도로 확대됐죠. 연수입 200만엔(한화 3170만원 정도) 이하 저임금 노동자가 1천만명이 넘는 사태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가장 불행한 것은 경비절감을 위해 정규직을 비정규직으로 바꾸는 일입니다. 대기업들이 한때 유례없는 흑자를 올렸는데도 일본 사회 전체를 보면 빈곤화되는 구조입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보면 일본이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상대적 빈곤율이 높은 빈곤대국이 되었습니다.”

 

-일본공산당은 어떤 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까?

“비정규직 노동을 규제하는 제도가 필요하고, 파견노동은 전문직 말고는 금지해야 합니다. 유럽에선 비정규직도 같은 임금을 받기 때문에 정규직을 비정규직으로 바꿔도 기업으로선 비용절감 혜택이 별로 없어요. 비정규직이 10% 정도에 불과합니다. 더구나 휴업수당도 넉넉합니다. 반면 일본의 자본주의는 노동자와 중소기업, 환경을 지키려는 룰이 없어요. 사회보장 제도도 선진국 중 가장 빈약합니다. 일본 실업자의 20%에게만 고용보험에서 실업급여가 나옵니다. 일본처럼 룰이 없는 자본주의에서는 세계적 불황이 오면 문제점들이 ’노숙자 양산’ 등 가장 잔혹한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대기업이 내부유보금을 조금만 풀어도 고용을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요.

“지난 10년간 제조업 대기업들의 내부유보금은 88조엔에서 120조엔으로 늘었습니다. 그중 1%만 풀어도 비정규직 40만명의 고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불경기에는 배당을 동결하고 고용을 유지했는데 지금은 미국식 경영 방식으로 주주 배당을 중시합니다. 소니의 경우 1만6천명 해고를 발표해놓고 이번 회계연도 주주배당을 늘리고 있어요. 이런 기업이 적지 않습니다.”

 

-일본공산당이 주장하는 파견노동 금지 요구에 대해 여당과 경제계는 일본 기업의 국제경제력을 갉아먹는다며 반대합니다.

“단기적으로는 비정규직 노동자를 늘리는 것이 경비를 줄여 경쟁력을 높일지 모릅니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보면 정말로 우수한 인재를 잃어버리고 기술향상과 새 분야 개척 역량을 기업 스스로 떼어내는 게 될 수 있습니다. 인재, 인간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기업은 진정한 의미의 경쟁력을 잃어버린다고 생각합니다.”

 

-세계적 금융위기로 자본주의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현재의 자본주의는 어디가 잘못됐다고 보십니까?

“저희는 지금 사태를 공황의 표면화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이른바 ‘카지노 자본주의’는 미국을 중심으로 금융자유화를 극단적으로 진행시켜 1929년 공황의 교훈으로 만든 금융과 증권의 분리를 1999년 폐지했습니다. 그 결과 전세계 자본을 버블처럼 부풀려 각종 금융투기를 확대시켰죠. 가장 심한 예가 신용이 낮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서브프라임론입니다. 서브프라임론이 다른 증권과 섞여 금융 파생상품을 만들어 우후죽순처럼 전세계에 퍼져나갔습니다. 그 도박이 파탄난 것이 리먼 브러더스 파산입니다. 그러나 실물경제를 파괴하는 것은 현상적인 면에 불과합니다.”

 

-더 심각한 이면이 있는 건가요?

“그 근본에는 상품의 과잉생산이란 문제가 있습니다. 일본은 2002년부터 6년 동안 수출이 1.6배가량 늘어났습니다. 외주 덕분에 기업은 엄청나게 돈을 벌었지만 근로자의 급료는 2조엔이 줄었습니다. 생산은 늘어나도 소비는 점점 줄어든 거죠. 그런 자본주의의 모순이 아래에 깔려 있습니다. 마르크스가 말한 대로 사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자본주의의 특징인 이윤제일주의가 생산을 위한 생산, 곧 과잉생산을 일으켜 노동자의 빈곤와 소비저하가 드러난 게 공황이라는 거죠.”

차분하게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그의 모습은 정치가가 아니라 마치 경제학자처럼 비쳤다. 실제 그는 12권의 저서를 낸 지식인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을 분석하고 타파하는 데 공산주의가 어떤 의미가 있다는 것인가요?

“자본주의 안에서는 공황은 피할 수 없지만 적어도 ‘룰 없는 자본주의’에서 ‘룰 있는 자본주의’로의 전환을 쟁취해야 한다는 것이 저희 입장입니다. 투기자본이나 공황을 해결하려면 이윤제일주의, 곧 자본 이익을 위한 생산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한 생산으로 사회경제를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는 겁니다. 우리는 이를 공산주의나 사회주의라고 부릅니다.”

-자민당이 독주하는 일본에서 정권 교체가 가능할까요?

“이번 선거에서 정권 교체 여부를 떠나 공산당의 약진 여부가 최대 초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요타나 소니 같은 대기업에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 파견해고 그만두라’고 말할 수 있는 정당인가가 중요하죠. 이런 말을 할 수 있고 실제 하는 당이 공산당입니다. 자민당과 민주당은 매년 일본 경단련(일본경제단체연합회)으로부터 성적표를 받습니다. 이런 정당은 국민의 생계를 지킬 수 없다고 봅니다.”

 

-진전이 없는 북-일 국교 정상화에 대한 돌파구는 있습니까?

“역시 6자 회담 틀 안에서 핵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북-일 국교정상화는 평양선언에 근거해서 해야 합니다. 고이즈미 총리가 한 일 중에서 가장 평가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미사일 핵문제, 북한의 일본인 납치문제, 과거청산 문제 등 두 나라 현안을 포괄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에선 북핵 문제가 진전되면 납치 문제가 방치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있는데,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어느 한쪽이 먼저 해결되는 것은 다른 문제 해결을 방해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촉진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본공산당은…

지부 2만곳…지방의원 3천여명 / “가장 강력한 풀뿌리 정당” 평가

    

“일본 공산당은 전세계에서는 아니지만, 아시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비집권 공산당이다.” “일본 공산당은 일본에서 가장 강력한 풀뿌리 조직을 갖고 있는 유일한 정당이다.”

2007년 미국 시사잡지 <타임>에 실린 내용이다. 얼핏 ‘정말 그런가’라고 고개를 갸웃거리게 할 만한 내용이지만 일본 공산당을 들여다보면 결코 과장된 표현은 아니다. 1991년 옛 소련 붕괴와 소련 공산당 해체 이후에도 일본 공산당이 허물어지지 않고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정당(1922년 창당)으로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소련 및 중국 공산당과 일정한 선을 긋고 독자적인 노선을 걸었기 때문이라는 평이 많다. 몇 해 전에는 ‘천황제’도 인정했다.

여기에 40만명이 넘는 당원, 2만개가 넘는 지부, 3천명 이상의 지방의원 등 하부조직도 튼튼하다. 전성기 때 40명이 넘던 의원 수는 비록 16명(중의원 9명, 참의원 7명)으로 줄었지만 지난 총선거에서 7.25%의 득표율을 과시했다. 궁극적인 목표로 ‘사회주의·공산주의’ 실현을 내걸고 있지만 당면 목표로는 자본주의 틀 안에서 대미 종속과 대기업 지배 타파를 지향하고 있다.

 

도쿄/글 김도형 특파원, 사진 황자혜 <한겨레21> 전문위원, 기사등록: 2009-02-19 19:45, 기사수정: 2009-02-20 08:46 ⓒ 한겨레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6억euro, 부족하다, 3월 19일 다시 보자!

우리 민주노총은 죽 쑤고 욕 먹고 깨지느라 바빠서, 무능하고 사악한 정부에 맞서 싸우기는 커녕 협상의 대상도 못 되는 참담한 처지에 있는데, 멀리 프랑스에서는 아래 사진에서 처럼 대통령과 노동자 대표단이 2월 18일 마주앉아 4시간 동안의 밀고 당기는 치열한 협상을 했다는 소식이다. 그리고는 사르코지가 TV 저녁 뉴스에 직접 나와서, 실업자 등의 경제위기 피해자들을 위한 26억 유로(4조7000억원)를 풀겠다고 발표했고, 이 금액은, 아래의 기사에 의하면, 지난주까지만 해도 14억 유로 어쩌고 저쩌고 하다가 노동계에서 '택도없다'고 화를 한 번 내니까 근 2배로 부풀린 대책자금이라는데, 26억에 대한 노동단체들의 반응은 '그래도 부족하다'로 모아지는 모양이다. 다시 3월 19일 '검은 목요일' 거리에서 만나잔다. (부럽다!)

Nicolas Sarkozy a reçu les partenaires sociaux à l'Elysée, le 18 février.Nicolas Sarkozy, le 9 février.

AFP/REMY DE LA MAUVINIERE / Nicolas Sarkozy a reçu les partenaires sociaux à l'Elysée, le 18 février.

 

'검은 목요일'이라고, 주지하다시피, 지난달 1월 29일 목요일 프랑스 전역에 걸쳐 250만명이 시위에 참여했고 근 20년만에 처음으로 일반 봉급쟁이들이 거리로 나섰다는 소식이 있었다 (cf. http://blog.jinbo.net/radix/?pid=71). 그리고 그 결실이 26억 유로라는 대책자금으로 나타난 것이고, 대책자금의 구체적 용도는, 아래 기사에 의하면, 실업자들에게는 받던 월급의 75%와 특별수당을 지급하고, 초임들의 세금을 감면하고, 300만 가족에 신학기 보조금으로 150유로씩 지급하고, 등등의 내용이 있으나, 이런 것까지 우리가 알 필요는 없겠고,  중요한 것은 노동단체가 어떻게 정부를 압박하고 요리하느냐 하는 것이겠다. 노동자와 그 단체가 갖는 권리와 힘이라는 게 결국은 파업과 거리시위 밖에는 없으니, 다시금 3월 19일의 검은 목요일을 기대해 본다. 그런 내용을 담은 맨 밑의 기사에 의하면, 3월 19일로 예정된 전면파업은, 사르코지의 26억 제안에도 불구하고, 거의 실행될 것으로 보이지만, 확실한 것은 다음주 월요일 노동단체 대표들이 만나 결정하겠다 함.  

경제는 만국공통어인지 이 나라의 노동단체 대표들이 하는 얘기도 우리의 그것과 별로 다르지 않다. 위기의 세계경제 속에서 국가경제가 어렵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마당에 정부금고 털어서 보너스 몇 푼 더 받자고 이 짓 하는 게 아니라는 말이다. 숨죽인 경제를 살리려면 얼어붙은 구매력을 풀어줘야 할 것이고, 떨고있는 실업위기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해결책이라고 그들은 주장한다. 이런 주장의 배경에는 물론 35시간 폐지(일 많이 하고 돈 많이 벌라는 자유!), 각종 민영화 정책, 공공근로자 축소 등, 그동안 사르코지가 취한 일련의 미국식(알다시피 부시의 가장 친한 친구는 mb와 사르코지고, 이놈은 대놓고 지가 가장 좋아하는 시스템이 미국이라 했었다니..) 경제정책들에 대한 비판과 반발이 숨어있다. 이런 속사정에 바탕하여 바라보는 부시똘마니와 노동자 간의 투쟁이 흥미로운 것이지, '검은 목요일'에 범람할 '붉은깃발'에 대한 향수때문에 3월 19일을 말하는 것은 아니리라. 

 

Sommet social : "Que du baratin" ? LEMONDE.FR | 18.02.09 | 17h23  •  Mis à jour le 18.02.09 | 17h23
Durée : 1:55  |  Images : TF1, France 2, France 3, iTélé, LCI, BFM-TV

Revue de presse quotidienne des JT de la mi-journée.

 

Sommet social : 2,6 milliards d'euros pour les classes moyennes
LEMONDE.FR avec AFP | 18.02.09 | 15h58  •  Mis à jour le 18.02.09 | 20h17   

L'Elysée a rendu publiques, mercredi 18 février, les mesures proposées par Nicolas Sarkozy lors de sa rencontre avec les organisations syndicales et patronales. L'ensemble de ces mesures atteint 2,6 milliards d'euros pour l'Etat, selon les chiffres de l'Elysée et en fonction des options retenues. Une enveloppe supérieure à la somme de 1,4 milliard évoquée le 5 février, jugée alors "nettement insuffisante" par les syndicalistes. L'augmentation de l'indemnisation des salariés au chômage partiel à 75 % du salaire brut. "Il n'est pas question dans mon esprit de vous demander de renégocier les accords que vous venez de signer. Je crois en revanche que nous pourrions procéder par voie de conventions ad hoc entre l'Etat et les branches ou des entreprises données, comme nous l'avons fait pour l'automobile", a précisé le président. Le taux d'indemnisation est actuellement de 60 % du salaire brut. Sur ce dossier, le chef de l'Etat a demandé aux partenaires sociaux s'ils étaient prêts à un accord Etat-Unedic pour partager les coûts. 

La création pour deux ans (2009-2010) d'un fonds d'investissement social doté de 2,5 à 3 milliards d'euros financé pour moitié par l'Etat et animé par une cellule de veille composée des ministres concernés et des partenaires sociaux. Cette idée avait été formulée par la CFDT, qui voulait qu'il soit doté de 5 à 7 milliards d'euros et financé par le paquet fiscal (loi TEPA). L'Elysée devrait privilégier un financement conjoint passant par l'Unedic et les fonds de la formation professionnelle. Une prime exceptionnelle de 500 euros  les chômeurs non indemnisés pouvant justifier de deux mois de travail. Cette prime devrait être entièrement financée par l'Etat. Son montant n'a pas été annoncé. La suppression d'une partie de l'impôt sur le revenu pour les personnes de la première tranche. Cette mesure prendrait la forme de l'élimination d'une partie de l'impôt sur le revenu pour les familles assujetties à la première tranche d'imposition. Elle se traduit par une suppression provisoire des deux tiers provisionnels restant à payer en 2009. La mesure concernerait 4 millions de ménages. Selon l'Elysée, cela représente un gain moyen par ménage de 200 euros. 

Une prime de 150 euros pour 3 millions de familles qui bénéficient aujourd'hui de l'allocation de rentrée scolaire. Cette mesure aurait "un coût total de 150 millions d'euros". La mise en place de "bons d'achat" de services à la personne de 200 euros, pour l'aide à domicile, la garde d'enfants, le soutien scolaire ou le ménage, à certaines personnes âgées dépendantes et à certains parents pour la garde d'enfants. Parmi les bénéficiaires possibles de cette mesure, le chef de l'Etat a notamment cité les "660 000 ménages bénéficiant de l'allocation personnalisée d'autonomie à domicile et qui ont besoin d'aide à la maison". Il a également ciblé "les 470 000 bénéficiaires du complément mode de garde gagnant moins de 43 000 euros par an, qui ont besoin d'aide pour faire garder leur enfant", "les 140 000 foyers qui ont un enfant handicapé" ou "les demandeurs d'emploi qui retrouvent du travail et ont besoin de solutions temporaires pour faire garder leurs enfants". L'encadrement des bonus des patrons lorsque leurs entreprises recourent à du chômage partiel ou décident un licenciement économique.  

 

Les syndicats veulent maintenir la pression sur l'Elysée
LEMONDE.FR avec AFP et Reuters | 18.02.09 | 20h04  •  Mis à jour le 18.02.09 | 20h36    

Les mesures proposées mercredi 18 février par Nicolas Sarkozy ne sont pas suffisantes pour répondre à la crise sociale, ont déclaré mercredi les dirigeants syndicaux, qui ont appelé à maintenir la pression sur le gouvernement. A la sortie de la table ronde de près de quatre heures organisée à l'Elysée, où le président français a annoncé des mesures sociales d'un coût de 2,6 milliards d'euros en faveur des ménages les plus modestes, la CFDT, FO et la CGT ont précisé que la journée de grèves et de manifestations prévue le 19 mars aurait bien lieu. Les syndicats doivent se revoir lundi pour déterminer les modalités de cette journée d'action.  

Pour le secrétaire général de la CGT, Bernard Thibaut, le président a annoncé "des mesures d'accompagnement social en direction d'un public qu'il considère comme le plus fragile", les classes moyennes. Or ces mesures "ne sont pas en mesure de faire sortir le pays de la crise, a-t-il estimé sur France 2, on cherche à rendre la situation plus acceptable, il faut une autre ambition politique". Qualifiant l'entretien de "tendu", le syndicaliste a fustigé l'attitude trop intransigeante à ses yeux du Medef. Il a ensuite comparé le chiffre de 2,6 milliards d'euros consentis par l'Elysée aux 8 milliards d'euros que coûtera l'exonération de la taxe professionnelle en faveur des entreprises : "Le Medef menait 8 milliards à zéro. Il mène aujourd'hui 8 milliards à 2,6", a-t-il souligné.  

"Face à la situation des salariés actuellement, les mesures gouvernementales annoncées sont insuffisantes", a déclaré à la presse le secrétaire général de la CFDT, François Chérèque. "Comme l'action syndicale commence à payer, la CFDT estime qu'il faut continuer de faire pression sur le gouvernement et sur le patronat pour aller jusqu'à un vrai changement de cap." "C'est beaucoup trop court et il y a des oublis", a renchéri le secrétaire général de Force ouvrière, Jean-Claude Mailly, qui a déploré une "fin de non-recevoir sur le smic et les négociations salariales de branches". S'il reconnaît quelques "avancées", le leader de FO estime que "ça bouge trop doucement" et qu'il faut donc "maintenir le 19 mars". La situation en Guadeloupe a largement été évoquée lors de cette rencontre. Afin de répondre à cette situation "inadmissible", Bernard Thibaut dit avoir demandé au chef de l'Etat une "initiative en faveur des salariés des DOM". Selon les syndicats, Nicolas Sarkozy doit annoncer jeudi matin des mesures politiques et sociales pour la Guadeloupe sur RFO.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바이바이~ 두바이

남의 불행을 내 기쁨의 원천으로 삼는 잔인함이 썩 좋아보이지는 않지만, 그것이 용산과 삼성, 삼성과 두바이, 두바이와 첨단 금융자본주의의 표상, 등에서 연유된 것이라면, 내 '사악한 기쁨'이라도 약간은 용서가 되려나? 하여튼 '노통' 이래로 그렇게 본받아야 할 모델로 추앙됐던 유령같은 첨단자본주의의 지상낙원이라는 두바이에 이제는 유령이 횡행한다니, 그나마 다행이라면 다행이고 그래서 나는 기쁘다. '두바이' 하면 우리 입장에서야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삼성이 첨단공법으로 짓고 있다는 무슨 엄청난 빌딩일텐데, 용산과 우리 노동자들의 피땀 빨아다가 혹시나 있을지도 모를 그쪽의 위험대비자금으로나 쓰이지 않았으면 다행이겠다. 삼성과 관련된 '남의 불행'  중 두 번째 것은, 지금 신문의 '가장많이본기사' 1등으로 올라와 있는 우리나라 일등기업 대빵의 장남 부부가 이혼소송 중이라는 소식인데, 재산분할 요청액이 5000억이라나 뭐라나... 뭐 이건 사적인 문제이니 더이상의 언급은 자제하는 게 도리겠지만, 단지 두바이 관련 글을 보다보니 연계돼서 일어난 나의 잡상이다. 이하 이제는 '유령의 도시'가 되고 있다는 두바이의 실상에 대한 실감나는 기사를 펌 한다. "바이바이~ 두바이" 라는데..., 나의 너무 섣부른 기쁨이 아니길 희망하면서...


외국인 떠나고…집값 폭락하고 ‘바이바이~ 두바이’
금융위기 직격탄 맞아 외국인 수십만명 이탈  
 
‘사막의 기적’으로 불리던 아랍에미리트 두바이가 ‘사막의 신기루’로 판명나고 있다. 5년째 두바이에 주재하고 있는 한 해운회사 직원은 최근 <한겨레>와 통화에서 최근 경기 침체의 풍경을 “요새 거리에 차가 없다”는 한마디로 묘사했다. 연중 내내 ‘러시아워’였던 두바이의 주요 도로가 한산해졌다는 것이다.

 

두바이에 차량이 줄어든 것은 전체 인구(137만)의 90%를 차지하는 외국인들이 떠나고 있는 까닭이다. 일자리를 잃은 외국인 수십만명이 이미 두바이를 뜬 것으로 추정된다. 취업비자로 체류하다가 실직하면 한달 안에 출국해야 한다. 지난달 현지 언론은 날마다 취업비자 1500여건이 취소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최근에는 외국인 출국자들이 두바이공항에 버리고 간 차량이 3천대가 넘는다는 보도도 있었다. 금융과 관광, 부동산붐을 통해 급속히 덩치를 키운 두바이 경제는 전 세계를 휩쓴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았다. ‘중동의 허브’라고 큰소리치던 두바이 시장도 인구가 줄면서 활력을 잃고 있다. 지난주 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어두운 경제전망을 이유로 두바이 6대 국유회사들의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고급 차량의 중고 가격은 한달 전보다 40% 떨어졌다. ‘인공섬 팜 주메이라가 가라앉고 있고, 그곳 호텔에는 바퀴벌레가 드글거린다’는 소문도 떠돈다.

 

두바이 경제를 급성장시킨 부동산 거품도 꺼졌다. 일부 지역 집값은 최근 두세달 사이 30% 이상 폭락한 것으로 나타난다. 주요 건축사업 몇십건은 아예 연기 또는 취소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 8월 평방피트당 1200디람(약 45만원)을 호가하던 두바이의 건축비용(마감재 제외)은 이달 들어 최저 350디람으로 약 70% 폭락했다고 주간 <아라비안비즈니스>가 최근 전했다. 외국인이 떠나고 집값이 떨어지자 시장이 침체돼 다시 고용을 위협하는 악순환 속에서, “두바이는 유령도시처럼 보인다”고 <뉴욕 타임스>가 12일 전했다. 그러나 두바이 행정 당국은 현실을 덮으려 한다. 두바이의 위기를 전하려는 언론에 대해선 족쇄를 채우기 시작했다. 새 언론법은 ‘국가 경제나 명성에 해를 끼치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하고, 최고 100만디람(약 3억8천만원)의 벌금을 물릴 수 있도록 했다.

 

아랍에미리트를 구성하는 7대 토후국 중 ‘맏형’인 아부다비가 ‘동생’ 두바이의 몰락을 막기 위해 구제금융을 시도할 법도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난 몇년간 두바이에 주도권을 뺏겼던 아부다비가 이 참에 중앙집권화를 통해 두바이를 발 아래 두려 할 것으로 내다본다. 두바이 정부는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지난해(8%)의 3분의 1에도 못미치는 2.5% 이하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두바이는 인접한 걸프(페르시아만) 지역과는 달리 석유 생산량이 사실상 전무하며, 최근의 성장을 일구는 데 일조한 금융, 부동산 등 분야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침체를 면치 못하고 있다. (김외현 기자 / 기사등록 : 2009-02-12 오후 07:16 ⓒ 한겨레)

 

Carte de localisation de Dubaï

دبي, Dubai-Dubayy-Dubaï-Doubaï

Dubaīy is one of the seven emirates and the most populous city of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다윈 탄생 200주년 (2월12일) [기사모음]

1/5) 다윈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런던 AP=연합뉴스) 찰스 다윈의 200번째 생일인 12일을 전후해 영국에서만도 300개가 넘는 각종 축제와 전시 등 기념 행사가 열려 그의 생애를 조명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증언들을 내놓고 있다. 72명에 이르는 다윈의 고손자녀 가운데 하나인 루스 페이들은 진화론이 일반 기독교 신도들의 분노를 일으켰을 뿐 아니라 신앙심 깊은 다윈의 아내 에마도 불편하게 만들었다고 밝혔다. 다윈이 책을 빨리 출판하지 않은 것도 아내의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으려는 배려에서였다는 것이다. 페이들은 "에마는 남편이 신을 점점 멀리 밀어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래도 두 사람은 이 문제에 관해 속속들이 대화를 나눴고 에마는 '내 마음을 상하지 않으려고 당신의 이론을 바꾸지 말라'고 격려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런던 자연사 박물관의 특별사업 책임자인 봅 블룸필드는 다윈이 아내의 마음을 상하지 않게 하려던 것 뿐 아니라 인간이 동물로부터 진화했다는 자신의 이론이 어떤 논란을 빚을 지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했던 것이라고 해석했다. 다윈은 진화론을 단순한 가설로서가 아니라 많은 관찰과 사실로 뒷받침되는 설명으로 제시하고 싶어 했다는 것이다. 그는 "다윈은 자신의 이론을 무쇠처럼 절대적인 것으로 제시하기 원했다. 그는 자신의 모든 저술 내용이 증거에 기초해야만 한다고 믿었던 진정한 과학자였다"고 말했다.

 

자연사 박물관에는 5년에 걸친 비글호 항해 기간 다윈이 수집한 수천 점의 표본과 함께 그의 일기장들도 전시돼 있는데 여기에도 그의 빈틈없고 분석적인 접근방법은 그대로 드러나 있다. 그는 심지어 결혼의 이점과 단점까지도 꼼꼼히 짚고 있다. 장점이라면 평생 동반자이자 노년에는 친구가 돼 줄 아내가 있다는 것, 집안에 음악과 여성 특유의 한담이 넘친다는 것. 그러나 마음대로 돌아다니고 밤 늦게까지 독서를 할 자유를 잃는다는 것, 번거롭게 찾아오는 일가친척들, 그리고 책이 아닌 아이들에 돈을 써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라고 그는 생각했다. 한참 생각한 끝에 다윈은 결국 독신 생활은 할 것이 못 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늙어 비틀거리는 몸으로 친구도, 자식도 없이 냉담한 인간이 돼 주름진 자기 얼굴을 들여다 보는 외톨이 생활은 할 수 없다"고.

 

페이들은 다윈의 일기에 그의 성격이 그대로 나타나 있다면서 "그는 극도로 호기심이 많아서 항상 `어떻게 이렇게 될까?'라고 생각했고 그것이 출발점이었다"고 말했다. 다윈은 결혼한 뒤 가족 모두를 연구에 동원했다. 그는 피아노 뚜껑 위에 지렁이가 가득 담긴 병을 올려놓고 아내에게 피아노를 치게 해 지렁이가 음악에 반응하는 지를 관찰했다. 지렁이는 아무 반응도 보이지 않았다. 손자인 스티븐 케인스(81)에 따르면 다윈은 꿀벌들이 가는 길을 알기 위해 자기 자녀들을 시켜 꿀벌들에게 밀가루를 던지게 했다. 그러나 아이들이 벌에 쏘였다는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다윈은 지극히 자상스러운 아버지여서 연구 작업 중에도 언제든 아이들이 서재에 들어올 수 있도록 허락했다. 그는 또 표본을 빨리 가져올 수 있도록 서재 의자에 바퀴를 달아 오늘날의 사무실 의자 같은 것을 만든 발명가이기도 했다.

 

다윈은 런던 동물원을 자주 방문했는데 그 곳에서 제니라고 불리는 오랑우탄과 친한 사이가 됐다. 그는 제니에게 입으로 부는 오르간을 주고 거울에 비친 자기 모습을 보도록 했다. 제니는 사육사가 사과를 주지 않으면 어린애처럼 토라지기도 했는데 얼핏 보기에 사소한 것 같은 이런 관찰이 인류의 영장류로부터의 진화에 관한 그의 이론을 발달시킨 것이다. 런던 동물원의 베키 코 교육국장은 "다윈은 동물들, 특히 영장류의 표정이 사람과 얼마나 비슷한지에 큰 관심을 가졌다"면서 그가 자신의 이론의 모든 측면에 물질적 증거를 찾기 위해 동물원을 수없이 드나들었다고 밝혔다.

 

페이들에 따르면 다윈은 말년에 병석에 누웠을 때 창가의 식물이 햇빛을 향해 구부러진 것을 보고서도 `어떻게 저렇게 할까?'라고 말하곤 했다. "그는 항상 관계에 대해 생각했고 그 결과 자연선택을 이해하게 됐다. 그는 모든 개체들이 다른 개체들과 경쟁관계에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종들이 언제나 햇빛과 물과 먹이를 놓고 경쟁하기 때문에 환경에 적응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페이들은 말했다. 그는 고조 할아버지가 지금도 살아 있다면 십중팔구 DNA와 면역체계를 연구하고 있을 것이며 인터넷에 매달려 엄청난 양의 e메일을 보내고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c)연 합 뉴 스 2009-02-10 09:53 송고)

 


2/5) "다윈의 진화론 바탕은 노예제 혐오" 
 
(서울=연합뉴스) 진화와 종의 기원에 관한 찰스 다윈의 혁명적인 사고의 바탕에는 노예제도에 대한 강력한 혐오감이 자리잡고 있다는 증거를 제시한 새로운 책이 출판됐다.    에이드리언 데즈먼드와 제임스 무어 등 두 작가가 공동 집필한 `다윈의 신성한 대의(Darwin's Sacred Cause)'는 흑인과 백인이 별개의 종이라는 관념이 지배하던 시대에 다윈이 어떻게 이처럼 놀라운 이론을 내놓게 됐는지 그 과정을 찬찬히 보여주고 있다고 BBC뉴스 인터넷판이 보도했다.

 

저자들은 갈라파고스의 앵무새와 핀치새, 코끼리거북과 땅늘보가 다윈의 진화론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은 틀림없지만 그의 마음 밑바닥에서는 그가 목격한 야만적인 노예제도에 대한 혐오감이 떠나지 않았던 것이 틀림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다윈 일가의 편지들과 케임브리지 대학 도서관의 기록 등 수많은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다윈이 직접 표현하진 않았지만 `노예제도 철폐'라는 신성한 목표를 갖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했다. 다윈은 비글호를 타고 5년동안 항해하면서 흑인 노예들이 채찍질과 고문을 당하는 광경을 생생하게 목격했으며 고분고분하지 않은 노예들에게 "자식들을 팔아버리겠다"고 위협하는 주인들의 얘기를 가장 끔찍하게 여겼다. 다윈은 이에 대해 "피를 끓게 만드는 일"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다윈은 1831부터 1836까지 비글호 여행을 끝내고 런던에 정착했으며 1838년 `자연선택' 이론을 발표한 뒤엔 켄트주의 다운 마을에 틀어박혀 연구에만 몰두했다. 그는 1845년에 발표한 비글호 항해기에서 흑인 노예들의 참상을 목격하면서 "항의 한마디 못하는 자신이 어린애처럼 무력하게 느껴졌다"고 표현했지만 귀국 후 노예제도의 정당성을 뒤집는 이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다윈이 1858년까지 이렇다 할 저서나 논문을 발표하지 않은 것은 당시 다른 학자들로부터도 제기되기 시작한 진화론이 케임브리지 대학 학우들 사이에서 극도의 혐오감을 자아냈던 현실로 미뤄볼 때 이해가 가는 대목이라고 저자들은 지적했다. 당시 한 자연연구가는 진화론에 대해 "혁명가들이 토해 놓은 역겨운 쓰레기"라고 매도했고 실제로 일부 급진주의자들은 교회 세력의 기반인 창조론 신화를 뒤집기 위해 독자적인 진화론을 내세우기도 했다. 다윈의 교수였던 케임브리지 대학의 애덤 세지위크는 1844년 진화론에 관한 한 책을 "추잡한" 것이라면서 "경멸, 멸시, 조롱" 등의 표현을 쏟아붓을 정도였다.

 

저자들은 이런 상황에서 다윈이 침묵을 지키면서도 서로 다른 여러 종의 `공동조상'이라는 반노예적 이론의 근거를 제시하게 된 동기를 그의 가정 배경에서 찾고 있다. 다윈의 외할아버지인 조시아 웨지우드는 유명한 도자기 업체 소유주로 웨지우드사의 대표적인 카메오(양각 세공품)에는 무릎 꿇은 흑인 노예가 "나는 사람이 아니고 형제가 아닌가요?"라고 말하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조시아는 장장 5만6천㎞의 항해를 통해 세계 도처에서 자행되는 노예무역의 실태를 조사한 반노예 운동가 토머스 클라크슨에게 자금을 대기도 했다. 다윈의 외삼촌이자 장인인 조스 웨지우드는 런던의 전시장 매각대금을 반노예단체에 기부했으며 영국 깃발 아래 노예의 모습과 함께 "신은 하나의 피로 모든 민족을 만드셨다"'라는 문구가 새겨진 상표를 사용했다. 당시는 아메리카에서 아직도 노예무역이 성행하던 1850년대였다.

 

이런 환경에서 자란 다윈은 에든버러 대학에 재학중이던 16살 해방된 노예와 들판을 누비면서 "친한" 친구가 되기도 했다. 이 무렵 영국을 방문한 미국인들은 백인과 흑인이 친구로 지내는 것을 "역겨운" 일로 간주했다. 저자들은 "다윈이 비글호 항해에서 돌아온지 몇 달 만에 공동자손이라는 진화론적 관점에 매달리기 시작했다"면서 과학 연구에 정치와 도덕이 개입하는 것을 `오염'으로 보는 사람들이 있지만 다윈은 이를 성공적으로 결합시킨 사례라고 강조했다. (youngnim@yna.co.kr (끝) (c)연 합 뉴 스 2009-01-30 10:21 송고)
 

 

3/5) 진화론의 본질은 자유다
 
찰스 다윈(1809~1882)은 매우 성공적인 개업의였던 아버지 로버트 다윈과 유명한 도자기 제조업자 웨지우드 가문의 어머니 수재너 사이에서 1809년 2월12일 태어났다. 다윈이 마을 학교에 입학하던 1817년 여름 어머니가 병으로 세상을 뜨고 말았지만, 슬픔이 그리 오래가지는 않았던 듯하다. 나이 차가 나는 세 명의 누나와 그 아래로 다섯 살 위의 총명한 형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에든버러 대학과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의학과 신학을 공부하던 시절에도 그의 곁에는 함께 공부하고 사냥을 다닐 형이나 사촌형이 있었으며, 아버지의 옛 동료들이나 할아버지를 기억하는 사람들의 기대 어린 시선이 있었다. 영국 군함 비글호로 남아메리카 연안을 누빈 경험과 그간의 연구 결과들을 출판하며 학계에 발을 내디딘 다윈은 외가 쪽 사촌 에마와 결혼해 런던에서 멀지 않은 시골인 다운에 정착했다.

 

그 뒤 다윈은 공식 행사를 멀리하며 연구에 몰두했다.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도, 아끼던 열 살배기 딸이 죽었을 때도, 가장 가까웠던 동료인 라이엘이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힐 때도 그는 장례에 참석하지 않았다. 감정의 동요를 느끼면 심장의 박동이 불규칙해지는 것을 느꼈고 구토와 현기증이 이어지곤 했던 것이다. 그는 자신의 건강 상태를 매일 기록하기 시작했고, 몇 군데 목욕치료 시설을 찾아다니며 장시간 찬물로 목욕하며 피부를 마사지하는 다소 엉뚱해 보이는 치료에 집착했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학계나 주변 사람들과 담을 쌓고 살았던 것은 아니었다. 학자들은 그가 주고받은 편지들을 편집해 출판하고 있는데, 그가 쓴 1만5천통 정도의 편지가 수집됐다. 경건한 종교인은 아니었지만 다윈은 또한 마을의 교구목사와 함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공제조합을 설립했다. 그리고 매년 일정액을 기부하면서 죽는 해까지 들고 나는 소소한 금액을 꼼꼼히 기록하면서 조합 회계를 맡았다.

 

다윈이 쉰 살 되던 해에 출판된 <종의 기원>은 자연선택을 통한 진화 이론을 설파해 종교적 인간관을 깨뜨림으로써 당시 영국 사회에 충격을 준 혁명적 저술이라는 점이 강조돼 왔다. 하지만 다윈의 할아버지 이래즈머스 다윈은 이미 생물 종이 자연의 형성물로서 변해 왔음을 너무도 당연한 사실로 여기고 있었다. 자유사상가였던 이래즈머스 다윈은 종교적 도그마를 비교적 자유롭게 해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던 처가 웨지우드 가문 사람들의 종교관을 “추락하는 기독교를 떠받치는 솜털 이불”이라며 놀리기도 했다. 게다가 사실 <종의 기원>에 그려진 진화론으로 인해 신앙을 잃어버린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았다. 자연선택의 어두운 자연관으로 인해 삶의 궤도를 바꾸는 사람도 거의 없다. 그런데도 19세기 영국인들이 다윈 진화론을 두고 논쟁을 벌였던 데는 영국교회 및 귀족층을 중심으로 한 기득권 사회와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는 중산층 및 전문인 집단 사이의 갈등이 그림자처럼 드러난다.
 
역사학자들은 이런 연구로부터 과학과 사회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이 매우 다양하고 또 역동적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기 시작하고 있다. 다윈은 필연적인 자연의 진보를 부정했다. 하지만 그는 진화를 논하면서 자연과 사회가 진보해 온 과정을 되풀이 언급했다. 다윈은 노예제를 혐오했다. 하지만 그는 인종의 차이를 확신했고, 열등한 인종의 절멸을 당연한 자연법칙의 귀결로 보았다. 외가 및 친가의 할아버지 세대로부터 아버지와 형을 통해 이어진 자유사상의 열망과 산업혁명기 영국 경쟁사회의 그림자가 다윈 자신의 삶과 그의 진화이론 속에 얽혀 있는 것이다. 지금도 다윈의 모습, 다윈의 과학이론이 너무도 다채로운 모습으로 그려지면서 과학의 이상과 사회의 모습을 그리는 도구가 돼 있다. 우리 자신은 지금 어떤 열망과 어떤 배경으로 다윈의 삶과 그의 과학을 바라보고 있는가? (김기윤/한양대 강사·전 한국과학사학회장/기사등록 : 2009-02-10 오후 06:15:19 ⓒ 한겨레)
 

 

4/5) 다윈 탄생 200주년..'新창조론' 부흥

 

(워싱턴 AFP=연합뉴스) 오는 12일 찰스 다윈의 탄생 200주년을 앞두고 미국에서는 과학자들과 종교 우파 간에 진화론을 둘러싼 해묵은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한 여론조사에서는 미국인의 63%가 어떤 식으로든 창조론을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창조론자들은 교실에서 창조론은 빼놓은 채 진화론만 가르치는 것은 학생들의 선택의 자유를 침범하는 것이라며 창조론의 변종인 '지적 설계론'(Intelligence Design)도 함께 가르쳐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여왔다. 지적설계론은 '지적인 존재'가 자연을 창조했다는 이론으로 창조론의 변형된 형태지만, 기독교처럼 '하느님'을 직접 지칭하지는 않는다.

 

지난달 텍사스주 교육위원회 공청회에서는 진화론의 강점뿐 아니라 약점에 대해서도 과학교과서에 명시해야 한다는 법안을 놓고 진화론자들과 창조론자들이 열띤 논쟁을 벌인 끝에 교육위원회는 결국 진화론의 손을 들어줬다. 전미과학교육센터(NCSE)의 유진 스콧 소장은 "생물의 진화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일을 우리가 이해하는 것은 아니지만 진화론에는 약점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나 2005년 캔자스주 교육위원회는 학교에서 진화론 외에 지적 설계론을 가르치는 것을 허락한 바 있다. 반면, 1년 전 펜실베이니아에서는 학교에서 지적설계론을 가르치는 것을 금지해달라는 소송을 학부모가 제기해 승소하는 등 진화론 대 창조론을 둘러싼 논쟁은 '엎치락뒤치락'을 거듭하며 계속되고 있다.

 

미국 사법 역사에서 진화론 대 창조론의 논쟁 역사는 1925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테네시주 데이튼에서 젊은 생물학 교사 존 스코프스가 창조론을 부정하고 학교에서 진화론을 가르쳤다는 이유로 재판에 넘겨져 벌금 100달러를 내야했다. 대법원은 1968년에 가서야 진화론 교육금지는 정교분리 원칙에 따라 헌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판시했다. 대법원은 이어 1987년에는 학교에서 창조론을 믿도록 강제하는 것도 정교분리 원칙에 어긋나는 것이라며 위헌 판결을 내렸다. 사법체계를 통한 창조론의 확대가 난관에 부딪히자 이들은 다른 접근법을 택했다. 즉 종교적 신념이 과학에 의해 탄압을 받고 있다며 아이들에게는 학교에서 지적설계론을 배울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고 주장하기 시작한 것.

 

이후 각 주 교육위원회에서는 진화론 외에 창조론의 논쟁이 다시 불붙기 시작했다. 미국과학아카데미(AAS)는 최근 '신 창조론'(neo-creationism)의 부흥에 맞서 진화론을 옹호하는 웹사이트를 개설하기도 했다. 한편, 여론조사기관인 퓨리서치센터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들의 절반 이상이 어떤 식으로든 창조론을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퓨리서치센터 측은 미국인의 63%는 인간이 현재의 모습 그대로 항상 존재해왔다고 믿거나, 절대자의 뜻에 따라 현재의 형태로 발전해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반면, 응답자의 26%만이 다윈이 밝힌 것처럼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에 의해 인간이 현재의 형태로 진화해온 것으로 믿는다고 답했다. 이 센터의 데이미드 마스키 연구원은 "진화론을 가르치는 일은 이제 미국 '문화 전쟁'의 한 축이 됐다"고 말했다. (yonglae@yna.co.kr (c)연 합 뉴 스 2009-02-07 16:35)

 

 
5/5) 영국 영웅 다윈, 미국선 여전히 논란 / 다윈, 링컨과 같은날 탄생 200주년 맞아

 

(워싱턴=연합뉴스) 김재홍 특파원 =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16대 대통령과 진화론의 창시자인 영국의 과학자 찰스 다윈이 오는 12일 탄생 200주년을 앞두고 미국과 영국은 제각기 기념주화와 우표 발행 등 각종 기념행사로 추모 열기가 가득하다. 미국과 영국의 주요 언론 매체들은 앞다퉈 링컨과 다윈이 1809년 2월12일 같은 날 태어나 19세기에 누구보다도 세계의 역사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긴 거장이라고 평가하고 두 사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소개하며 이들의 발자취를 조명하고 있다. 일간 시카고 트리뷴은 8일 다윈과 링컨의 탄생 200주년이 다가오면서 이들의 영향력이 더욱더 커지고 있다면서 역사가들은 이들이 19세기 누구보다 세상을 변화시키는데 많은 일을 했고 세계를 근대화로 이끈 인물들이라고 평가했다.

 

다윈은 1859년 `종의 기원'이라는 저서를 통해 진화론을 주장함으로써 종래의 과학과 종교, 사회적 사상들을 철저하게 뒤흔들어 놓았다. 링컨은 당시 불안전한 실험으로만 여겨졌던 미국의 민주주의 이념을 반석 위에 올려놓아 미국의 꿈에 생명과 가치를 불어넣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책 한 권으로 과학의 역사를 다시 쓰게 만든 다윈에 대한 미국에서의 평가는 아직도 논란이 가시지 않고 있다. 미 공영 라디오 방송인 NPR는 영국에서는 다윈의 진화론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는 공감대가 있기 때문에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지 않지만, 창조론이 득세하는 미국에서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고 보도했다. 영국은 진화론은 어떻게 일어났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이며 존재의 이유에 물음에 대한 해답은 성격이 전혀 다를 수 있다고 보고 있다는 것이다.

 

캔자스 대학은 종의 기원 초판본 1천250권 가운데 1권을 소장하고 있지만, 이번 다윈 탄생 200주년을 맞이하고도 1쇄본을 전시하지 못하고 여전히 소장고에만 보관하고 있다. 영국이라면 다윈이 남긴 소장품 하나하나가 일반에 공개됐을 것이다. 고생물학자인 레오나드 크리시탈카 캔자스대 자연사박물관장은 이와 관련, "미국 34개주에 진화론에 반대하는 이런저런 종류의 법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며 이들 법안은 교과서에 스티커나 경고문 부착을 통해 이 책을 읽으면 정신건강에 해롤 수 있다고 주의를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창조론은 지적 설계론으로 변모해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 강력한 호응을 얻고 있다. NPR는 진화론을 둘러싼 "과학이 아닌 사회적 주도권을 놓고 이런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면서 "과학은 이미 다윈이 승자임을 선언했지만, 150년 전에 시작된 이런 주도권 논란은 줄어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미국의 역사학자인 데이비드 R. 콘토스타는 작년에 링컨과 다윈을 비교한 최초의 역사서인 '반역의 거장'이라는 책을 통해 "링컨과 다윈 모두 혁명가들이었다"고 평가했다. 콘토스타는 "두 사람은 그들이 태어났던 세계를 지배했던 현실과 가치체계를 다시는 되돌릴 수 없을 정도 뒤바꿔 놓았다. 그들이 남겨 놓고 떠난 세계에서 우리가 여전히 살고 있기 때문에 그들은 바로 지금의 사람들처럼 느껴진다"고 밝혔다. 그러나 콘토스타는 다윈이 종의 기원을 오랫동안 세상에 내놓지 않고 있다가 자연과학자인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가 진화론을 자신보다 먼저 발표할 수 있다는 생각에 서둘러 발표했다고 지적했다. 월리스는 당시 다윈과는 독자적으로 자연선택을 통한 진화라는 동일한 개념에 착안한 자연과학자다. 콘토스타는 따라서 다윈의 진화론의 경우 (누가 하더라도 발표했을) 어떤 필연성이 있으므로 링컨이 더 위대한 인물이라고 주장하면서 미국의 역사는 링컨을 제외하고는 생각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jaehong@yna.co.kr (c)연 합 뉴 스 2009-02-09 10:09 송고)

 

 

* 다섯개의 기사 중 가장 인상적인 것은 물론 "다윈 진화론의 바탕은 노예제 혐오"가 아닐까 싶다. 그 노예제가 또 링컨과 이렇게도 연결되는 것도 재미있고. 그러고보니 '그레고와르' (Abbe Gregoire, 1750~1831)라는 주교가 프랑스 대혁명기의 국회에서(아마도 1792~3년: 다윈이나 링컨이 태어나기 근 20년 전에) 벌써  '노예제 폐지'를 요청한 최초 주창자들 중의 1명이라는 사실도 함께 기억해 둘 만 하겠다. [Henri Grégoire, également appelé l'Abbé Grégoire est un prêtre français, l'une des principales figures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l'un des premiers à avoir demandé l'abolition de l'esclavage à l'Assemblée. -wiki-] 그리고, 참고: http://blog.jinbo.net/radix/?pid=37 친구들2) 다윈과 맑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Adieu la LCR, bonjour le NPA

Sous l'impulsion de son porte-parole, Olivier Besancenot, la Ligue communiste révolutionnaire (LCR) va donner naissance, les 6, 7 et 8 février, au Nouveau Parti anticapitaliste (NPA).Les porte-paroles de la Ligue communiste révolutionnaire (LCR) Olivier Besancenot (D) et Alain Krivine s'entretiennent, le 19 janvier 2006 à Saint-Denis, avant l'ouverture du 16e congrès de la LCR.

 

NPA (엔뻬아-반자유주의신당)의 탄생 

 

(1) 프랑스의 새로운 좌파정당 '엔뻬아-반자유주의신당'의 창당이 마무리됐다. 2월 5일 목요일 LCR(엘쎄에르-혁명적공산주의연대)의 해체식을 갖고, 금-토-일 3일간에 걸쳐 새로운 정당을 탄생시켰다. 확정된 당명에서 보듯이 당의 1차적 목표는 '반 자본주의 투쟁'이다. 이것을 제외한 어떤 자본주의 시스템에 종속된 각종 선거의 현실적 요청에도 굴하지 않겠다며, 사회당이나 기타 좌파 정당들과도 분명한 선을 그었다. 특히 프랑스공산당(PCF)과 얼마전에 새로 생긴 좌파정당(PG)의 선거나 운동의 공조에 대한 애원의 손길도 단호히 거부했다(註1). 작금에 불어닥친 '자본주의 위기'의 호기를 철저히 활용하며 프랑스공산당의 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좌파의 좌파'로 다시 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긴장과 의욕은 3200명에서 3배가 불어난 9200명의 엔뻬아 투철당원들(militants)의 모습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2) 선거를 통한 정권교체라는 대의명분에 함몰되어 그동안 수없이 사회당과 협조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게 현실이고, 특히 프랑스공산당은 2010년 지방선거에서도 기존하는 자리 몇 석을 지켜내기위하여 사회당에 빌붙을 게 뻔한 상황에서, 이제 더는 그럴 시간도 가치도 없다는 사실을 엔뻬아는 확증한다. 이러한 엔뻬아의 '통치의지 상실적 행보'가 결국은 좌파의 정권획득 실패를 야기할 것이라고 사회당과 공산당은 우려와 경고를 늘어놓지만, 좌파의 실패는 우파와 구별되는 분명한 정책적 차이를 노정하지 못했고 때로는 그들을 모방하며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에 기꺼이 복무하는 정체성 상실적 행태를 갖는 사회당에 있다고 엔빼아는 답한다. 
(3) 그렇다면 엔뻬아의 상징이 된 브장스노가 과연 우파의 표상인 사르코지의 대적수가 될 수가 있으며 '사회당의 위험'으로 부상할 것인가? 이에 대해 우파 관계자는 이렇게 말한다: "브장스노는 사르코지에 대적하는 좌파의 지휘자"이고 "사회당은 엔뻬아의 경향을 무시할 수 없다". 물론 고정표10~15%를 갖는 극우정당(FN-쟝-마리 르팽)이 사르코지 정당에 맥을 못 추고 침체일로(돈이 없어 당사를 싼 동네로 옮겼고 그 당사는 중국인이 인수했다는..)를 걷는 것을 극좌 정당과 사회당에 비교하며 엔뻬아의 대두에 별로 개의치 않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빠리1대학의 유능한 정치 전문가인 레이노(Ph.Raynaud)라는 사람은 엔뻬아와 사회당의 관계는 사르코지와 르팽의 관계와는 다르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르팽의 극우당은 아주 쉽게 '사악한 것'으로 국민적 동의가 이뤄지지만, 브장스노는 국민의 60%가 호감을 갖는* 선호인물이기 때문이며, 고로 사회당이 엔뻬아와의 연대 국면에서 져야할 위험은 전혀(pas du tout) 우파들의 것과는 다르다고 전문가는 설명한다. [* 여론조사에서 60%라고 나왔지만 사실상 공산주의나 좌파를 싫어하는 사람들조차도 브장스노를 싫어하지 않을 정도로, 그는 서른도 되기 전부터 LCR 내의 정치고수들을 통해 철저하고 끈질긴 교육과 단련으로 관리돼 왔다는 말씀. 예컨데 상단 오른쪽 사진에서 처럼.]

(4) 그렇게 엔뻬아의 정체성은 자본주의의 거부와 사회당으로부터의 독립으로 요약된다. LCR이 기존에 지켜왔던 트로츠키주의와 그의 제4회 인터네셔날의 축을 탈피하여, 이제는 더 밑으로 민중 속으로 내려가서 함께 자본주의에 맞서 싸우겠다는 것을 명시한다. 이러한 드러나는 변화는 그 지지자들의 바뀐 성향에서도 찾을 수 있는데, '줄어든 지식인 늘어난 반항자(révolté)'의 모습이 그것이다.

註1) 2월 10일자 레디앙에 엔뻬아가 "공산당 등과 선거연합"을 하기로 했다는 부제의 기사가 났기에, 나의 밑줄친 번역을 다시 확인해야만 했다. 기사 원문에 의하면, "애원을 단호히 거부한" 것은 아니고, 아직 결단을 못 해서 "일부러 말을 아끼는"(réticence)정도가 되겠으나, 공산당-사회당의 지방선거 연대 불가피성에 대한 엔뻬아의 비판 등의 전후 맥락을 참작하여 나는 '단호한 거부'로 옮겼던 것이다(좀 지나쳤지만 아주 틀린 건 아니라 그대로 둔다). 그래서 아래 기사 다음날(2/9) 나온 기사를 다시 살펴보니 이렇다: "몸값이 올라간 엔뻬아는 내년 6월 유럽의원선거에서 공산당-좌파정당과 연합전선을 짜자는 제안에 아예 문을 닫지는 않았다. 그러나 합의될 가능성이 별로 없는 아주 분명한 조건을 걸면서 문을 열어둔다는 것이다(조건:사회당과의 확실한 절연=공산당에는 불가능한 것)"[Liberation, lundi 09/02/2009 à 06h51//Sitôt né, le NPA enchérit à la gauche de la gauche/(...) Ainsi, le parti de Besancenot ne ferme pas la porte aux appels de Jean-Luc Mélenchon à participer à un front avec le Parti de gauche (PG) et le PCF au scrutin de juin, mais il pose des conditions très strictes, rendant peu probable un accord.] 한편 당명 결정 투표에서 '반자본주의신당'(NPA)이 6표(총580표 중) 차이로 예선에서 '혁명적반자본주의정당'(PAR)을 앞섰고, 결선에서는 53%의 득표로 당명으로 선정됐다 함. [Liberation, lundi 09/02/2009 à 06h51//Les pronostiqueurs ont frémi, samedi soir, lors du vote sur les propositions pour le nom du parti. Donné largement en tête, NPA (Nouveau parti anticapitaliste), d’abord choisi comme un sigle de travail, n’a devancé que de 6 voix (sur 580), au premier tour, le Parti anticapitaliste révolutionnaire (PAR). Il a finalement été adopté à 53 % des suffrages.]

.

Adieu la LCR, bonjour le NPA (Liberation, dimanche 8 fév. 19h43)

(1) Tout juste porté sur les fonts baptismaux lors d’un congrès de trois jours en Seine-Saint-Denis, le Nouveau parti anticapitaliste (NPA) d’Olivier Besancenot doit maintenant se faire sa place à la gauche de la gauche. Fort de ses 9.100 militants revendiqués (contre 3.200 à la LCR dissoute jeudi), le NPA, «le parti dont la gauche révolutionnaire a besoin au XXIe siècle» selon Olivier Besancenot, entend bien profiter de «l’échec du capitalisme» et du déclin du Parti communiste français (PCF).(...) Dans ce cadre, le NPA qui compte sur la popularité de son leader, a confirmé dimanche sa réticence à rejoindre le «front de gauche» proposé par le PCF et le Parti de Gauche de Jean-Luc Mélenchon. Selon lui, l’alliance serait ponctuelle, et le PCF rejoindrait le Parti socialiste «pour sauver ses élus» lors des régionales (2010). (...)
(2) Nombreux sont ceux qui, au PCF comme au PS, voient le NPA comme une «machine à faire perdre la gauche» qui «ne souhaite pas gouverner». «C’est le PS qui est une machine à perdre pour la gauche et il cherche à expliquer son échec par les autres», répond M. Krivine. Le NPA «polarise l’attention de beaucoup, peut-être que certains ont envie de nous utiliser», à gauche comme à droite, reconnaît-il. Mais déclare M. Besancenot, «on n'est les marionnettes de personne».
(3) Ainsi, Xavier Bertrand, secrétaire général de l’UMP a déclaré dimanche que le postier de Neuilly était «devenu quasiment le chef d’orchestre de l’opposition à Nicolas Sarkozy» et que le PS avait «tendance à courir après l’extrême gauche», lors de l’émission «Le grand rendez-vous Europe1-Aujourd’hui en France». Alors, le NPA est-il un danger pour le PS? Philippe Raynaud, professeur de Sciences politiques à l’université Paris-II Panthéon-Assas, n’y croit pas. Pour lui, «le NPA ne sera pas pour le PS ce qu’était Jean-Marie Le Pen pour la droite». Le Front national est «facilement assimilé au diable» alors que «les gens ont plutôt de la sympathie pour Besancenot», deuxième personnalité politique préférée des Français (selon le baromètre annuel du JDD). Ainsi, «le type de danger que court le PS dans des alliances avec le NPA n’est pas du tout le même que celui que courait la droite», explique-t-il. (...) (Source AFP)

(4) LE MONDE | 04.02.09 | 13h17  •  Mis à jour le 05.02.09 | 15h36 // (...) Le NPA se veut donc un nouveau parti radical dont les deux identifiants sont "la rupture avec le capitalisme" et "l'indépendance totale vis-à-vis du PS". Avec une touche d'écologie, rebaptisée "écosocialisme". Finie la référence au trotskisme comme au communisme : le parti d'Olivier Besancenot ne sera plus affilié à la IVe internationale, fondée par Léon Trotski. Seuls les militants de la LCR resteront adhérents. "Nous avons pris la décision de faire le NPA par le bas, sans autre partenaire politique et nous avons réussi. Ce n'est pas une LCR bis", assure Pierre-François Grond, bras droit de M. Besancenot. Le changement est visible : le profil militant a changé ; plus révolté et moins "intello". Mais le positionnement idéologique comme l'essentiel de la structure organisationnelle demeurent ceux de la LCR. La ligne d'auto-affirmation et de démarcation vis-à-vis du PS - "la vraie gauche, c'est nous", ne cesse de clamer M. Besancenot - rappelle en effet les débuts de la Ligue communiste qui, avec ses comités Rouge, pensait capter seule "l'esprit de Mai" 1968.

 

 

cf.) 1. 브장스노 인터뷰 Vidéo: Avec le NPA, Besancenot veut "changer d'échelle" LEMONDE.FR | 05.02.09 | 11h37 

2. 버장스노 인터뷰(글): http://www.liberation.fr/politiques/0101317053-on-assume-une-part-d-utopie-car-la-gauche-ne-nous-fait-plus-rever

Durée : 1:38  |  Images : France Inter
La Ligue communiste révolutionnaire (LCR) va s'autodissoudre, jeudi 5 février. Elle renaîtra sous une nouvelle forme, le Nouveau parti anticapitaliste (NPA). Le porte-parole de la LCR, Olivier Besancenot, était l'invité de France Inter. Avec le NPA, il veut "écrire une nouvelle page" de l'extrême gauche en élargissant le mouvements aux militants qui ont "une autre histoire politique".  

3. 알랭 크리빈(상단 사진 오른쪽) 인터뷰(글): http://www.lemonde.fr/politique/article/2009/02/05/alain-krivine-il-n-est-pas-question-de-faire-du-npa-un-parti-fourre-tout_1151283_823448.html 

4. 버장스노의 참모진 9명의 사진과 이력: http://www.lemonde.fr/politique/portfolio/2009/02/04/npa-la-garde-rapprochee-de-besancenot_1150797_823448.html#ens_id=1143731

5. Lundi 9 février 2009, 07:46 Liberation Diaporama / Congrès du NPA: paroles de militants
http://www.liberation.fr/politiques/1101353-congres-du-npa-paroles-de-militants
Le Nouveau parti anticapitaliste est en congrès fondateur vendredi et samedi, après la dissolution de la LCR jeudi. Parole à sept militants, âgés de 25 à 60 ans, issus du PC, anciens de la Ligue, écolo, ou simplement nouveaux arrivants. (창당대회 현장에서 직접 들은 참석자들의 목소리: 25세의 젊은이에서 60세의 할머니까지, 처음으로 당활동에 참석하는 새식구 이거나, 구 공산당-녹색당 혹은 LCR에서 활동한 적이 있었으나 이제는 엔뻬아 당원으로 다시 모인 7명의 모습과 목소리를 전하는 슬라이드 기사)

 

 

6. 사진으로 보는 LCR의 소사

http://www.lejdd.fr/dossier//politique/c-etait-la-lcr/l-heritiere.html#gallery (Le journal du dimanche 05 février 2009)
C'était la LCR... (그때 그곳에는 LCR이 있었다.)

L'héritière   1. L'héritière : Officiellement, l'acronyme LCR est né en 1974. Toutefois, le parti d'extrême gauche s'inscrit dans une longue lignée de mouvements trotskistes. Idéologiquement, ses racines plongent dans les thèses de la Quatrième internationale initiée en 1938 par le créateur de l'armée rouge, en réaction à la politique bureaucratique et répressive de Staline. Résolument tournée vers l'extérieur de l'URSS, l'organisation communiste agrège à elle une cinquantaine de groupuscules, dont, en France, la LCF, l'ancêtre de la LCR. [유산: 공식적으로 LCR은 1974년에 탄생했고 오랫동안 트로츠키 운동노선을 견지했다. 이 극좌파의 뿌리는 1938년의 제 4차 인터네셔날에 대고 있다. ...]

Mai-68, le tournant   2. Mai-68, le tournant : Les événements de Mai-68 ont entraîné une importante mutation pour la mouvance d'extrême gauche. Sitôt le calme revenu, deux organisations ayant pris une part importante dans les troubles qui ont agité le pays sont dissoutes par le pouvoir gaullien: le Parti communiste internationaliste (PCI) et la Jeunesse communiste révolutionnaire (JCR). Interdits, les deux mouvements fusionnent alors en un seul: la Ligue communiste (LC). Figure marquante de Mai-68, le jeune Alain Krivine se présente à l'élection présidentielle de 1969. Il recueille un peu plus d'1% des voix. Toujours fidèle aux principes de la Quatrième internationale, la LC, en raison d'épisodes violents contre l'extrême droite, sera à son tour dissoute en juin 1973. L'année suivante, un nouveau parti est créé. Il est baptisé Ligue communiste révolutionnaire (LCR). [2. 68혁명과 격변: 68을 거치면서 국제공산당(PCI)과 혁명적공산주의청년단(JCR)이 해체 융합하면서 공산주의연대(LC)가 탄생하고, 젊은 알렝 크리빈이 연대의 대표로 69년 대선에 출마하여 1% 조금 넘는 표를 획득한다. 그리고는 1973년에 극우파와의 대결 국면을 거치면서 LC는 해체되고 이듬해에 새로운 당이 만들어지는데, 그것이 바로 혁명적공산주의자연대(LCR) 이다.

Les premiers pas   3. Les premiers pas : La création de la LCR marque, malgré des débats non tranchés sur l'utilisation de la violence ou sur la stratégie révolutionnaire à appliquer, la fin de la période «gauchiste» du mouvement. En 1974, de nouveau candidat à l'élection présidentielle, Alain Krivine, concurrencé par la néophyte Arlette Laguiller pour Lutte ouvrière (LO), plafonne à 0,36% des voix. Au tournant des années 80, alors que l'union de la gauche se profile, la LCR dénonce "la politique de division" du PCF. Empêché - en raison du seuil non atteint de 500 parrainages politiques - de présenter un candidat à la présidentielle de 1981, le mouvement trotskiste appellera à voter François Mitterrand au second tour. [4. LCR의 첫 걸음: 1974년 대선에서의 실패와 1981년 대선에서의 거듭된 좌절은 미테랑의 비판적 지지로 이어지고...]

1995, le renouveau   4. 1995, le renouveau : Après une longue traversée du désert au cours d'une période marquée par l'effondrement du communisme en Europe de l'Est, la LCR reprend du poil de la bête au milieu des années 1990. L'opposition de la rue à la réforme de la sécurité sociale initiée en 1995 par Alain Juppé permettra à l'organisation de peser à nouveau dans le débat public - notamment par la création d'associations proches des thèses de la LCR, comme le syndicat SUD ou l'organisation Agir contre le chômage. En 2002, et pour la première fois depuis 1974, la Ligue communiste révolutionnaire est en mesure de présenter un candidat à la présidentielle de 2002. Il se nomme Olivier Besancenot. Il recueille 4,25 % des suffrages. [4. 1995년 다시 : 장벽이 무너지고 동구가 붕괴한 후, 1995년 미테랑이 죽고 우파정권이 들어서면서 동시에 불어닥친 반동적 사회보장제도의 개혁은 95년 민중 대폭동을 불러왔다. 이 여세에 힘입어 다양한 좌파 동맹이 탄생하고, 급기야 LCR에서는 크리빈이 스스로의 자리를 28살의 청년 버장스에게 물려주는 결단으로 2002년 대선에서 4,25%라는 놀라운 득표를 일궈낸다.]

Besancenot, le héraut   5. Besancenot, le héraut : Adhérent à la LCR depuis 1991, Olivier Besancenot, 38 ans, en est devenu au fil des années sa principale figure médiatique. Le porte-parole de l'organisation s'est porté deux fois candidat à l'élection présidentielle. Il y a, à chaque fois, obtenu de très bons scores (4,25% en 2002 et 4,1% en 2007), permettant au parti trotskiste de revendiquer son leadership à la gauche de la gauche. Le facteur, qui officie à Neuilly-sur-Seine, le fief de Nicolas Sarkozy, a su séduire les médias et l'opinion grâce à sa gouaille et son discours direct. Couvé par Alain Krivine, Olivier Besancenot est programmé pour prendre les rênes du Nouveau parti anticapitaliste, un parti censé coller à l'image de son leader: plus ouvert, plus moderne, plus ancré dans les couches moyennes. [5. 영웅 버장스노: 200년에 이어 2007년 대선에서도 버장스노는 4,1%를 획득함으로써 명실공히 좌파(사회당 뺀)의 선두주자로 부상(기타 공산당과 노동자투쟁당은 1~2%의 득표력으로 명색만 유지). 애두르지 않는 달변과 능변으로 훈련되고(물론 크리빈 등의 고수들의 지도하에) 무장된 버장스노는 수많은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으며, 장차 사르코지의 가장 강력하고 가능한 대적수로 우뚝 선다. 그리고는 지금 NPA(엔뻬아) 탄생의 중심에 그가 있다. 더 열리고, 더 현대적이고, 더 중산층에 닻을 대고 건설할 좌파의 진짜 좌파가 이제 NPA 다. (원문의 나이는 잘못됐음. 버장스노는 74년생이므로 34살)]

 Bensaïd, le penseur    6. Bensaïd, le penseur : Professeur de philosophie à Paris VIII, Daniel Bensaïd, 62 ans, est le théoricien de la Ligue Communiste révolutionnaire. Militant à la Jeunesse communiste révolutionnaires (JCR) aux côtés d'Alain Krivine, il participe activement aux événements de Mai-68. En 1969, après la fusion entre la JCR et le Parti communiste internationaliste, ce tenant de la ligne "gauchiste" du mouvement entre au bureau politique de la Ligue communiste Depuis, il exerce son tutorat idéologique sur la LCR et sert notamment de référent à Olivier Besancenot. Il collabore également avec le périodique québécois La Gauche. Daniel Bensaïd est également membre de l'Institut International pour la Recherche et la Formation. [6. 사상가 벵사이드 : LCR의 핵심 이론가로서 브장스노에게 정치이론을 공급하는 투쟁의 주유소. ...]

Krivine, l'historique   7. Krivine, l'historique : Rompu au combat politique dans les différentes sections jeunesse du PCF, Alain Krivine, 67 ans, adhère au mouvement trotskiste en 1966. Cette année-là, il fonde la Jeunesse communiste révolutionnaire (JCR), qui pourfend notamment la guerre au Vietnam et qui tiendra "le haut du pavé" en Mai-68. La JCR est dissoute en juin 1968 et Alain Krivine est emprisonné. En 1974, il prend une part active à la création de la LCR, dont il représentera les couleurs à l'élection présidentielle de 1974. Jusqu'à la dissolution du mouvement ce jeudi, il est resté, malgré sa démission du bureau politique en 2006, l'un des porte-paroles de la Ligue communiste révolutionnaire. Comme Daniel Bensaïd ou plus proche de lui, François Sabado, Alain Krivine est également le "mentor" d'Olivier Besancenot. [7. 역사적인 크리빈: 선임 당 지도자이자로서 브장스노를 단련하는 조련사.]

L'ombre Rouillan    8. L'ombre Rouillan : Jean-Marc Rouillan a fait un retour fracassant dans l'actualité au coeur de l'été 2008. Expliquant avoir rencontré Olivier Besancenot et lui avoir fait part de son intention d'adhérer au NPA, l'ancien militant d'Action directe a confié à L'Express ne pas regretter l'assassinat du P-DG de Renault, George Besse, tué en 1986. Il a également justifié la violence comme arme politique. Des propos qui lui ont valu un retour en prison et qui ont également terni l'image du porte-parole de la LCR. En effet, Olivier Besancenot ne s'est jamais résolu à condamner les déclarations de Rouillan, laissant ainsi planer le doute quant à ses réelles motivations politiques. [8. 그늘 속의 루이양: (덜 알려진 인물인데) 구 LCR에서 버장스노와 나란히 대변인을 맡았던 사람 (무슨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의 주체인 모양인데 나는 잘 모르겠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혁명과 예술 [서평/이순예,'예술,서구를 만들다']

지금은 괴롭지만 어딘가에 행복이 존재한다는 믿음을 환기시키고, 이 믿음을 결속력 삼아 사회를 통합한다는 ‘유토피아 기획’은 이렇게 예술과 사이좋게 만났다. -부르주아혁명가들-

예술은 현상계가 아닌 물자체의 존재, 곧 또다른 세계가 존재함을 보여줌으로써 전복적인 힘을 지닌다. -저자 이순예-
자본주의의 병폐가 극에 달한 21세기야말로 예술이 지닌 전복성과 사회통합력을 절박하게 불러내야 하는 시기. -"-

문명화 과정이 필연적으로 동반하는 폭력을 내부로 흡수해 들이면서 문명에 대한 안티테제로 자신을 정립하는 예술. -"-

 

» 에두아르 마네 <폴리 베르제르의 술집>, 1882. 전통적으로 남성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역할을 담당해온 여성들이 대중사회에서 주로 서비스업을 담당하게 됐다. 여급의 처지로는 세상에 온전한 자리를 기대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는 그림 속 여자는 “술과 더불어 여자를 눈으로 마시겠다고 나선 남자”가 아무리 수작을 걸어와도 무표정하게 있어야 한다.  


 
혁명 부르주아는 왜 모나리자를 사모했나

한겨레 김일주 서평, <예술, 서구를 만들다>, 이순예 지음/인물과사상사·2만5000원

 

<라 조콘다>. <모나리자>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그림은 프랑스 파리 시내 한복판에 자리잡은 루브르 박물관의 독방에서 방탄 유리를 쓴 채 오늘도 조용히 미소짓고 있다.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으로 왕궁을 접수한 부르주아는 왕궁을 박물관으로 탈바꿈시키고 약탈도 서슴지 않고 수집·분류한 수많은 예술품과 함께 <라 조콘다>를 걸었다. 관람자 자신만을 특별히 응시한다는 리자의 눈빛과 영혼이 깃든 듯한 얼굴의 생동감은 자기소외라는 근대적 병폐를 앓고 있던 이들을 어루만졌다. 물질에서 영혼을 제거해 분석 대상으로 삼고 생산성 극대화를 향해 내달리던 근대 시민은 잠시나마, 박물관이라는 공적인 장소에서 ‘영혼과 물질의 조화’를 내밀하게 맛보았다. 지금은 괴롭지만 어딘가에 행복이 존재한다는 믿음을 환기시키고, 이 믿음을 결속력 삼아 사회를 통합한다는 ‘유토피아 기획’은 이렇게 예술과 사이좋게 만났다. 새로운 시민사회를 건설하는 데 예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했던 부르주아의 생각을, 박물관 속 모나리자의 미소는 오롯이 실현한 것이다.

 

<예술, 서구를 만들다>는 예술이 ‘서구 근대의 꽃’으로 화려한 자태를 뽐내며 빛나며 ‘삶의 의지’와 ‘내면의 소통’을 담당할 사회적 기관으로 떠오르는 과정과, 이를 뒷받침하거나 이끈 철학적 미학의 성립, 그리고 오늘날까지 변함없는 예술의 중요성을 성찰한 결과를 담은 책이다. 인류 최초의 예술로 꼽히는 알타미라 동굴 벽화와 그리스·로마 신화부터 현대 미술, 얼마 전 개봉했던 영화 <다크 나이트>까지, 시공간과 형식을 불문한 방대한 예술 작품들을 성찰의 대상으로 끌어들였다. 독일에서 18세기 칸트에서 20세기 아도르노에 이르는 독일 ‘철학적 미학’을 연구한 지은이 이순예(빌레펠트대 박사)씨가 이를 통해 내리는 결론은 자본주의의 병폐가 극에 달한 21세기야말로 예술이 지닌 전복성과 사회통합력을 절박하게 불러내야 하는 시기라는 것이다.

 

<라 조콘다>로 서구의 근대 시민사회 형성에서 예술이 한 역할과, 시간이 흘러 오늘날 사진 한 장으로 그 아우라를 간단히 구매하는 현실까지 상황의 변화를 일별한 지은이는 알타미라 동굴 벽화로 시선을 돌려 자연과 인간의 통합과 동화(Mimesis)를 읽어낸다. 인간의 정신능력이 도구의 발달, 특히 언어의 발달과 함께 발전하자 “의사소통은 합리적 분석능력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믿는 문명의 미신이 들어섰고, 미메시스는 우스꽝스러워지고, 분석은 전지전능해졌다.” 문명인은 주체와 타자를 구분하고, 자연을 분석해 ‘객관적’으로 보는 능력을 기른 대가로 필연적으로 ‘분열’됐다. 정신능력, 곧 이성이 아무리 발달해도 인간은 땅에 발을 딛고 있는, 들끓는 살을 지닌 존재이기 때문이다. 지은이는 계몽된 일상의 삶과 삶의 궁극이 분리되는 ‘분화’가 근대인의 조건임을 제일 먼저 밝히고 이 둘이 다시 합치되는 영역으로 예술을 발견한 이가 칸트라고 설명한다. <판단력 비판>에서 칸트는 인간이 감각적 지각을 통해 인식으로 경험할 수 있는 세계인 ‘현상계’와 인식 가능성과 경험을 초월한 현상의 참 실재인 ‘물자체’가 합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미적 통합’에서 찾았다. 통합의 지점은 인간이 아름다움을 느끼는 곳이었으며, 허구일지언정, 예술은 물자체가 실재함을 증명해줬다.

 

 
» 〈예술, 서구를 만들다〉
 

예술은 현상계가 아닌 물자체의 존재, 곧 또다른 세계가 존재함을 보여줌으로써 전복적인 힘을 지닌다고 지은이는 강조한다. 따라서 자본주의의 모순과, 결코 자율을 허락하지 않으면서 자유를 향해 구성원을 채찍질하는 시민사회의 당착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은이는 예술에서 찾는다. “문명화 과정이 필연적으로 동반하는 폭력을 내부로 흡수해 들이면서 문명에 대한 안티테제로 자신을 정립하는 예술은 미래지향적이다. 예술을 통해 우리는 문명비관주의에서 벗어날 수 있다.”

 

지은이의 여성학자적 시각은 예술과 근대성의 관계를 서술하는 내내 곳곳에서 빛을 발하며 서술의 깊이를 더한다. 서구 근대화의 주체인 ‘생각하는 남자’의 기획 아래 탄생한 근대 가족 구성과 성매매라는 부르주아 가족제도의 보충물을 에드가 드가의 <벨렐리 가족>과 에두아르 마네의 <나나>를 통해 설명할 때 이는 특히 도드라진다. “일부일처제 가족을 중심으로 추진된 정서 계발 기획은 자연을 인간의 필요에 알맞게 가공하는 기교가 최고조에 달한 결과였다.” ‘기획의 입안자’가 아닌 엄마와 딸들에게는 조신함을 가장한 딱딱함을 내면화시키는 일에 탈출구가 없었지만, 이 기획을 입안하고 실행한 남자들은 내부 자연을 욕구의 형태로 내장했다. 따라서 남성들은 다스려지지 않는 본성을 타자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었고, 이는 성매매가 마네의 그림에서처럼 또다른 일상으로 굳어진 이유라는 것이다. (김일주기자, 그림 인물과사상사 제공, 기사등록 : 2009-02-06 오후 08:47ⓒ 한겨레)

 

 

* 혁명과 예술에 대한(여성까지는 힘들겠고) 생각은 나중에 천천히....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