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조금 더 생각해보면.

** 이 글은 부깽님의 [남성 페미니스트] 포스트에 트랙백 되어 있습니다.
** 그리고 [아직 정의내리지 못한 것] 포스트와 연결된 이야기입니다.

* 웹링의 문제를 너무 확장해서 바라봤다는 느낌이 없지않지만, 이런 생각들이 나의 여성주의에 대한 고민들을 넓힐 수 있다는 생각에 쓰게 됐다.

여전히도 여물지 못한 고민이지만, 부깽님의 글을 보고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나는 과연 '여성주의자'로서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가?" 여기서의 '입장'이 부깽님의 글에서 표현된 것처럼 "단순히 하나의 시각을 갖는 정지상태가 아니라, 끊임없이 주변을 중심으로 탈바꿈시키는(사유하는) 동적인 상태를 말한다."는 것이라면 나는 100% 그렇다고 말하지는 못할 것이다. (말하지 못하는 이유는 복잡하면서도 간단하다. 성과주의적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나는 '여성으로 살아남는 것'이외에는 어떠한 것도 바꾸어내고 있다고 생각되지 않기 때문이고, 말 할 수 있는 이유는 내가 주변인으로서 살아가는 것에 대한 고민을 '생각'의 차원을 넘어 '행동'으로 발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싶어한다는 측면에서 일 것이다.)

여성주의적 입장의 동일성을 통해 웹상에서의 연대를 구축한다는 차원에서 mi-ring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오프공간이 아닌 온라인 공간이라는 공간의 특수성이라는 것을 제외한다면 웹링이 진정 '특별한 연대'를 구성해 낼 수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이제 시작인 웹링에 대해 그 의미를 사전에 평가하는 것은 분명 올바른 것은 아니지만, 나는 여성운동이 이제 최소한의 '입장'만을 공유하는 것 만으로 연대를 확장하는 것 보다는, 좀 더 논쟁적인 방식으로 '확고한 연대'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이번 여성행진에서 일어난 해프닝(기사 참조)을 보면서 '여성'이라는 생물학적 공통점과 '여성주의'라는 광범위한 입장을 공유 이외에 진정한 연대와 확장을 위해서 생산적인 논쟁들이 구성되어져야 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됐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