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은 없다>는 유난히 갈등도 많고
5개월 동안 내가 작성한 문서량은 A4 용지로 300장을 넘어선다
그러나 내가 공들인 시간의 흔적은
아주 오랜만에 충분히 감정이입을 해서 작성한 나레이션이었지만
엄마가 되어본 적 없는 나로선 부끄러운 대목이 많다
작년 10월에 완성해서 올해 2월에 KBS <열린채널>에 방영되었고
지난 2년간 방영했던 모든 영상물 중에서
방송사를 떠나고 나니 방송프로그램으로 상을 받네,
아래는 대본에서 인터뷰와 에필로그를 제외한 본문이다
--------------------------------------------------
[나레이션]
선택은 없다-일과 양육 (한국여성민우회 제작, 이혜란 연출)
[1]
아이를 키우면서 모든 것이 달라졌다
나와 내 시간을 이끌어 가는 건 이제 내 아이다
가끔 삐걱거리는 몸뚱이처럼
내 마음도 집안에만 머물고 있는 건 아닌지
분주하지만 어쩐지 외롭고
익숙해졌지만 어딘가 어색한 하루하루,
엄마라는 존재로 서서히 적응하는 동안
둘째를 가졌다
아이를 낳기 전 난 누구보다 열심히 일했다
세상의 중심에 내가 있었고 시간의 주인은 나였다
남편과 같이 일하던 시절 내겐 부러울 것이 없었다
둘째가 태어나면 또 저만큼 멀어질 세상
세상의 엄마들은 지금 행복할까
[2]
저녁 7시, 옆자리로 자꾸만 눈길이 간다
부장님은 아직도 자리를 지키고 있고
마음은 벌써 문턱을 넘어서는데
몇 걸음만 늦어도 아이는 전화를 하고
보고 싶어? 그래 나도 보고 싶어
안쓰런 얼굴 품어주기엔 남은 시간이 너무 짧다
돌아와도 쉴 틈은 없다
내 손길이 닿기를 기다리는 건
아이도 집안일도 마찬가지...
아빠한테 갈래, 아이는 칭얼거리고
오늘도 남편은 야근 중
종일 헤어졌다 만나도 고단한 우리
나도 가끔은 등을 돌리고 싶다
나쁜 꿈이라도 꾼 것일까
오늘따라 잠투정이 유난하다
차가 붕 가버려, 친구도 붕 가버려
늦기 전에 유치원 가자
잘하고 있나? 거울 속의 내가 묻고
조금만 참자, 거울 밖의 내가 답하고
어제와 같은 아침
씁쓸한 마음 자물쇠로 채워놓고
일하는 엄마는 집을 나선다
[3]
막내와 함께 나서는 아침
그 작은 손 종일 손바닥에 맴돌고
아이 셋을 이끌고 혼자 서울에 온 지 3년
둘째 낳고도 미싱을 잡았던 나
낯선 이 곳에서 간병인이 되었다
남의 아픔을 돌보다 보면
내 아픔도 덜어진다지만
구청에서 지원받는 생계비로는
네 식구 살림이 빠듯하다
학교가 파하면 곧장 집으로 오는 둘째
아침에 미리 해둔 밥 한 그릇 볶아 먹고
술래잡기하듯 골목길로 나선다
막내가 돌아올 시간
집까지 데려오는 건 날마다 언니 몫이다
책가방도 숙제도 던져 놓은 채
만화영화 보느라 허기를 잊었던 아이들
엄마 발소리에 달려나오면 해가 저문다
오늘도 찌개 하나로 둘러앉은 저녁상
잘 먹어서 고마워, 잘 커줘서 고마워...
방 한 칸에 넷이 누우면 밤이 깊었다
내일도 그 다음날도 저희들끼리 크는 아이들...
'창작과비평사'에서 일하는 후배의 요청으로 썼던 글, 벌써 5년전이다. (아래 글을 이 블로그에 옮긴 건 2007년)
|
주관과 객관 , 과거와 현재의 충돌이 발굴한 "진실" - 서울독립영화제 본선 진출작 「먼지, 사북을 묻다」
나루
역사적 사건을 기록하고 재해석하는 작업은 외롭고 고단한 일이다. 우리가 기억하건 못하건 그 사건은 시대에 따라 명패를 바꿔 달며 어두운 입구를 열어둔 채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보일 듯하던 진실은 다가갈수록 다시 저만치 물러나곤 한다. 언제 무너져 질식할지 모르지만 쉬지 않고 장애물을 폭파하며 진실에 다가가는 그 작업을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등을 돌린 '독립영화'로 세상에 선보이는 것은 더 외롭고 고단할 것이다.
---> 그런데, 창비측의 동의는 구하지 않았습니다. (나루, 2007, 10, 22)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