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에 해당되는 글 1건
전시만화영화책 - 2006/09/02 14:21

pannella님의 [롭스 & 뭉크 전시회]

사뿐사뿐.Idolog님의 [뭉크&롭스전] 에 관련된 글.

 

이 전시의 부제는 [남자와 여자]이다.

그러나 제목에 [악마/돼지와 여자]라고 적은 건 남자는 안보이고 그 자리에 악마와 돼지만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물론 악마주의를 세상 종말의 징후로 보고 이를 이끄는 존재를 여자라고 생각했던 화가들의 작품을 대하는 21C 여성인 나에겐 

관람 내내 그게(남자) 그걸(악마와 돼지)로 보이는 야릇한 체험 상태였지만...ㅋㅋ

확실히 부제 [남자와 여자]는 표현 상 어폐가 있을만큼 '남자'가 안보인다.

오히려 남자와 여자는 마치 '관찰하는 자와 관찰당하는 자'의 경계라도 되는 것 같다.

 

창부정치가(1896)

 



남성이 되어 즐겨볼까하다가

괜히 좁은 속에 '지들이 세상 망쳐놓은 주제에 적반하장도 유분수'라는 외침이 머리속을 메아리치고 있는 지라,

그냥 편하게 여자인 내맘대로 해석하고 즐기기로 했다.

제일 간단한 방법으로

작가들이 관찰의 대상인 여성(뭔가 남자와 달라 인간이 아닐 것 같은)을 그린 동안,

나는 그들의 그림에 표상된 여성이 되어 악마와 돼지들의 세계를 보고 있었다.

 

 

롭스는 책 속 삽화 그림을 많이 그렸던 것 같은데 이 작품 [주술] 역시 옥타브 위잔의 [여전하] 中 '마법의 거울'편에 수록된 삽화이다. 별 설명없어도 무슨 분위기인지 척보면 알만한 상황. 여성에 대한 화가의 전형적인 시각을 볼 수 있다.


 

 

[사탄-골고다]는 롭스의 사탄 연작 시리즈 중 하나인데, 예수의 모습을 한 악마와 그 아래 자신의 머리카락으로 목졸리고 있는 여성이 보인다. 

사탄 연작은 악마주의의 도발을 새로운 위기로 받아들이고 육체에 대한 두려움을 표시했다는 데, 시리즈중 [사탄-제물]이 참 인상적이었다.

사탄의 몸통이 사탄을 나타내는 데 주로 쓰이는 소 두개골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주변부에 날아다니던 천사를 패러디한 해골모양의 아기악마들, 오~ 압권.

 

 

롭스는 어릴 때부터 인물을 캐리컬쳐화하는 걸 좋아하고 썩 잘했다고 한다.

이 작품 [발론지방의 장례식] 역시 인물을 희화한 것이 인상적이다.

특히 장례 진행중인 신부가 너무 가까이 얼굴에 갔다댄 성경을 보면서,

언젠가 보좌관이 써준 글을 있는 그대로 교과서 읽듯이 읽던 국회의원이 떠올랐다.

 

 

[악녀- 범죄의 기쁨]도 '악녀들'이라는 시리즈 중 하나인데 역시 소설 삽화로 쓰였다고 한다.

남성을 꼬신 여성이 메두사상에서 키스하는 동안 남성에게 버림받은 여성은 상 아래서 캬라멜 녹듯 녹고 있다. 롭스는 '이미 악마는 지배하고 있고 여성을 매개체로 사용한다'고 했다던데, 그림 상으로만 보면 어찌 그 결과의 가혹함 또한 다시금 여성의 몫이 되는지...

 

사실 악녀들 시리즈 중에는 [악녀들-돈후안의 가장 아름다운 사랑]이 매우 인상적이었는데, 나신의 여성이 뭉크의 [사춘기]에서 본 소녀의 자세와 비슷하게 살짝 겁 먹은 듯, 울먹이는 듯한 표정으로 앉아있다.

그리고 돈후안이라고 추정되는 남자는 온 몸을 망토로 가린 채 흐릿하게 뒷편에 보인다. 마치 자신을 드러내지 못하는 남자의 모습, 베일을 선호하는 모습, 악마같은 대체물로만 발현되는 모습을 상징하는 느낌이다.

 

 

롭스의 그림이 상대적으로 화려한 반면 뭉크의 그림은 상대적으로 칙칙하기 이를 때 없다.

그러나 이 그림 [마돈나]만큼은 다르다. 그림 속 그녀는 사랑스러운 동시에 두려운 존재이며, 육체적이면서도 정신적인 존재이다. 그녀는 매우 매혹적이면서도 뭉크가 꿈꾼 순종적인 여성의 이미지도 동시에 내재하고 있다.

한편 그녀를 둘러싸고 있는 아기와 정자들은 여성과 모성을 동시에 표상함으로써 그녀를 완벽한 '마돈나'로 만드는 데 성공한 지는 모르겠으나,

내가 보기에 오히려 이 그림은 많은 여성들이 섹스할 때마다 겪게 되는 임신에 대한 공포를 극단적으로 표현했다는 느낌이다.


 

 

[흡혈귀II]는 뭉크의 여인에 대한 피해의식, 선입견을 그대로 표현한다. 그래서 심지어 자기 자신을 여성의 제물로 바치고 있다.

 

이 작품[골목길]은 그린 이의 의도와 나의 받아들임이 완전 반대인 대표적인 경우인데,

화가는 숨 막힐 듯한 골목길에서 여성이 마치 남성을 희롱하는 듯 상징적인 구도와 포즈로 묘사한거라고 큐레이터가 적어놨더라.

그러나 나는 아무리 봐도 권위적 남성성이 극대화된 완전 정장 차림의 수많은 남자들이 골목을 만들고 뚫어져라 쳐다보고 있는 한가운데인지라, 그 여성이 희롱당하기보다 희롱하고 있다는 게 참 믿기기 어려운 상황 판단이다. (선입견 과도?ㅋㅋ)


 

 

'여성은 악마의 공범자이며 남성이 저지른 모든 살인 , 범죄 , 혐오는 여성 때문에 일어난 것이다'라고 말했다길래

그림 안의 여성들이 일정 정도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자 권력도 있는 존재인 줄 알았는데... 현실과 똑같네.

여전히 여자는 악마가 될 수 없었고 그저 악마의 시녀일 뿐이다.

그리고 그 이유만으로 어떠한 처벌과 수치와 모욕도 모두 받아 마땅한 존재이다.

 

적어도 나에게 그림의 안과 밖은 같은 세상이다. 마음 편히 숨어들거나 거만해지거나 평정심을 유지하거나 내가 '나'로 있을 만한 공간은 극히 드물다.

만국의 여성들은 한(恨)으로 승화하려나?

 

* 그림 출처 : 덕수궁 미술관 http://www.deoksugung.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9/02 14:21 2006/09/02 14:21
TAG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