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주체화

1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4/01/25
    [노숙자와 공간]-1
    ou_topia

[노숙자와 공간]-1

제목을 대괄호로 묵었다. 노숙자와 공간의 주제화에 적당한 제목이 떠오르지 않고 일종의 수행모순을 느끼기 때문이다.

 

공간은 텅 빈 추상적인 0이 아니라 삶이 펼쳐지는 구체적인 장이다. 그래서 공간은 항상 시간과 얽혀있다. 단지 이 얽힘이 상상력부족으로 따로따로 추상될 뿐이다.

 

삶의 공간적인 전개는 은유가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 첫머리에서 모슨 사람은 앎을 향해 뻗어나간다고 한다. 스피노자는 <에티카> 3부 감정론에서 시공에서 뻗어나가는 걸 두고 conatus라 한다. 그리고 뻗어나가는 것의 흐름에, 즉 에너지가 막혔는지 열렸는지에 주목하고 감정을 구분하고 정의한다.1 삶은 나무가 자라는 것과 같다. 한 공간을 채운다. 개성(individuality)은 삶이 펼쳐진 공간에서 나타난다. 치매에 걸려 기억을 상실한 사람의 개성은 그의 삶이 펼쳐진 환경에 있다. 기억상실이 개성상실로 이어지는 건 아니다. 벼룩시장에 흩날리는 사진, 편지, 엽서 등에 개성이 있다. 단지 독해력부족으로 그 개성을 읽어내지 못할 뿐이다.

 

삶의 구체적인 장으로써 공간은 넉넉해야 한다. 그리고 넉넉하다. 근데 삶의 공간을 규제하고 출입방해하고 통제하여 부족하게 하는 요소들이 있다. 각종 법적규제와 행정조치, 건물배치 및 설계 등에 이어서 강신주류의 이데올로기담론 등이 이런 요소들이다. 그래서 삶의 공간은 또한 투쟁의 장이기도 하다. 주체화의 공간이다.

 

이 글 제목의 어려움은 여기에 있다. 노숙자 말하기가 되어야 한다는 전제아래 노숙자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데 있다.

 

이 어려움의 극복은 실천적인 것이다. 그래서 베를린에 어떤 ‘노숙자말하기’가 있는지 소개해 보려고 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 S. Tomkins의 뒤를 이어 발달심리학에서는, 예컨대 D. Nathanson은 부끄러움(shame)이란 신경임펄스의 밀집도가 떨어짐으로서 발생하는 정서라고 한다. 정서(emotion)은 affect와 feeling과 구분되는 것으로서 affect는 생물학적 차원, 즉 존재적인 차원에서 일어나는 일이고, feeling은 이런 사건의 지각으로서 생각과 감정이 얽혀있는 것인 반면, 정서(emotion)는 감정과 삶의 과정에서 습득한 관계경험의 결합이라고 한다.텍스트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