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7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1/04/04
    짝지(1)
    ou_topia
  2. 2010/11/13
    La terra(e)strema: 전태일, 그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1)
    ou_topia
  3. 2010/11/12
    IN MEMORIAM GILLES DELEUZE(1)
    ou_topia
  4. 2010/11/02
    스펙쌓기
    ou_topia
  5. 2010/07/09
    법과 물
    ou_topia
  6. 2010/05/02
    전파도둑질과 키보드 워리어(2)
    ou_topia
  7. 2010/04/17
    인생의 아름다움(1)
    ou_topia

짝지

짝지와 난, 만나기는 일찍 만났는데 늦게 합해져서 아이가 없다. 그래서 아이 둘을 데려다가 키우고, 한 녀석은 커서 날아갔고, 다른 녀석도 곧 날아갈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요즘 잔소리가 많아졌다. 인생은 이러니저러니, 학문은 이러니저러니. 야단도 많이 친다. 옛날에는 고등학교 졸업시험을 4과목만 보았는데, 학제간 연구에 눈이 뜨이게 한다는 취지로 그러는지 수학-자연과학분야, 예술-언어분야, 그리고 역사-사회분야로 구분된 분야에서 서로 다른 분야에 속한 두 과목을 골라 한 테마를 만들어 다루고 프레젠테이션을 작성하여 한 20분 발표해야 하는 것이 추가되었다.

 

근데, 요놈이 6개월 시간을 주었는데 미루다가 발표할 날이 닥치자 허둥지둥이다. “그 사이 담당선생님과 몇 번 만났어?” 침묵. 공부는 선생을 찾아가야 한다. 선생 찾아가지 않으면 공부 못한다. 공부는 자기가 모르는 것을 정확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선생을 자주 찾아가야 내가 모르는 것이 뭔지 안다. 등등의 잔소리. 발표도 마찬가지라고. 아는 것보다 ‘내가 모르는 것이 이것입니다’라고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하려고 안달하지 말라고 안심시키기도 한다.

 

뭔가 더 많은 것을 주고 싶은데 줄 것이 없다. 문득, ‘주지 않아도 가지고 갈 것은 다 가지고 가겠지’하는 생각이 든다. 아버지가 광산 촌 신문에서 오려내 책상에 세워놓은 사진이 생각나서다. 80년대 초반 이스라엘 군에 쫓기던 아라파트가 팔레스타인 해방군을 이끌고 베이루트에서 튀니지로 철수하기 위해서 배를 타기 전 한 갓난아이를 번쩍 쳐들고 환하게 웃는 사진이었다. 이 사진에 대하여 아버지와 주고 받은 말은 없었지만 종종 머리에 떠오르는 사진이고 생각하게 만드는 사진이다.

 

 

부모가 자식들에게 주는 것은 무엇이고, 자식이 부모님들로부터 가지고 가는 것은 무엇일까?

 

살다 보면 짜증나는 일이 많다. 특히, 하루를 시작하는데, 코 앞에서 [시간 맞춰 다니는] 버스가 떠나버리면 정말 짜증 난다. 뛰어오는 것을 뻔히 보고서, 버스 문 앞에 헐레덕 거리며 서면 문을 닫고 출발해 버리는 버스. 그 운전수 아저씨 정말 때려 죽이고 싶다.

 

근데, 이상하다. 짝지는 다르다. 막 뛰어가면 기다려 준다. 안 기다려 준 것을 못 보았다. 아니, 운전수 아저씨가 뛰지 말라고 손짓하면서 대려 천천히 앞으로 와서 선다. 참.

 

왜 그러지? 내 얼굴이 뭐가 잘못되었나? 짝지가 멋있게 뛰어서 그러나? 그건 아닌데. 대려 멋이 하나도 없는데. 사지를 허우적거리면서 뛰는 모습이 마치 갓난아이가 뛰는 모습이다. 아, 그렇구나. 측은한 마음! 아이가 아장거리는 것을 보면 발동하는 측은한 마음!

 

보토 슈트라우스(Botho Strauss)의 <짝짓는 사람, 스쳐가는 사람/Paare Passanten>에서 그랬던가, 애인이 길 건너편에서 우아한 모습으로 서 있는 모습에 흡족한 남성이 실망에 빠지는 이야기가 있다. 애인이 발을 잘못 디뎌 그 우아한 모습이 흥크러지는 것을 보고서 남자가 실망하게 된다는 이야기다. 하이힐을 신고서 당당하게 걸어가는 여성이 삐그덕하면 너무 초라하게 보이는 느낌과 비슷한 것일 것이다.

 

폼이 무너지면 참 초라해 보인다. 그래서 다들 폼을 잡으려고 노력하고, 그 폼을 유지하기 위한 코르셋을 입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코르셋은 부모의 “안돼”하는 눈길로 엮어져 있지 않나 한다.

 

근데, 짝지는 “안돼”하는 눈길로 엮어진 폼을 배우지 않았나 보다. 그래서 짝지는 아직도 사지를 흔들면서 뛰나 보다. 버스 잡는 것 외에도 장점이 참 많다.

 

(초등학교 4학년에서 5학년으로 올라갈 무렵. 담임선생 짝지에게)

담임선생: 구구법 못하면 시집 못 가.

(짝지 엄마한테 가서)

짝지: 엄마, 구구법 못하면 시집 못 간데.

엄마: 괜찮아. 내가 다 보내 주마.

(짝지, 담임선생한테 가서)

짝지: 우리 엄마가 그러는데요. 구구법 못해도 저 시집갈 수 있데요.

선생: 구구법 못하면 시집가서도 물건값 계산을 못하기 때문에 속고 살아.

(짝지 다시 엄마한테 가서)

짝지: 엄마, 구구법 못하면 물건값 계산을 못해서 속고 산데.

엄마: 걱정하지 마라. 구구법 잘하는 사람 딸려 시집 보내 주마

 

아무튼 짝지는 5학년이 거의 다 끝나갈 때까지 구구법을 못했다고 한다. 그래도 할 일 다하고, 할 공부 다하고, 남에게 줄 것 다 주고 살았다. 그 힘이 어디서 왔을까 늘 생각하다가 오늘 몇 자 써본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La terra(e)strema: 전태일, 그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La terra(e)strema.

 

"흰 고개
검은 고개"

 

이 추상의 길에 하얀 점으로 사라진 이모와 함께 고개 넘어 서울로 향했던 모든 사람들이 겹쳐진다.

 

EU 경계선을 넘으면서 바다 한 가운데서 사막에서 셀 수 없이 죽으면서 몸 팔러 가는 아프리카 사람들이 겹쳐진다.

 

미국 멕시코 철조망을 넘어 몸 팔러 가는 사람들이 겹쳐진다.

 

이 길은. “국경을 넘어 인류 전체의 삶의 문제를 끌어안고 두 발로 직접 현장을 뛰며 지구마을 민초들과 가슴으로 통한” 길이 아니다.

 

갑순이가 넘어가던 흰 고개 검은 고개 길인데, 온 인류가 아니라 인류로 취급 받지 못하는 사람들이 가는 길을 담고 있다.

 

전태일,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IN MEMORIAM GILLES DELEUZE

지난 밤 정말 오랜만에 "IN MEMORIAM GILLES DELEUZE" 들었다.  한때 한밤의 친구가 되어 주었는데.  박노해의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란 시를 읽고 또 읽으면서 하고 싶은 말들이  이리저리 교차한다. 지문이 사라진, 자본의 지배에 완전히 예속되어, 오직 근육과 힘줄의 작동으로만 존재하는, 완전히 사물화된 존재가 주체로 일어서는 강인함을 갇다 주었던 분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은데, 말이 잘 안된다.

 

YouTube에 두 번째 CD 9번째 소리 "Fetischpark" 가 있다. 실어본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스펙쌓기

주인을 찾으려면 개도 스펙을 쌓아야 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법과 물

모뚜님의 [세계이주민의날 한국대회 기념 이주민발언대 - 난민] 에 관련된 글.

모뚜님의 글 <세계이주민의 날 한국대회 기념 이주민발언대 난민>에 트랙백을 달아본다. 이 글에 달려있는 ppp님의 덧글 때문이다. 뭐라고 말하기 참 힘든 덧글이다. ppp님의 글이 논리적이어서, 진실을 이야기하고 있어서 힘든 것이 아니다. 인성 자체가 참으로 힘들다. 그런 느낌이 물씬 다가온다.

 

<우주의 신비>를 알기 이전부터 이주민으로 생활하고 있는 나로서는 ppp님의 덧글을 읽으면서 이상한 감정을 억누를 수가 없다. 한국에 돌아가도 ppp님과 같은 사람들과 상대하고 살아야 한다면 차라리 여기가 더 낫다는 생각이 든다. 정말 세상은 오래 살고 볼 일이다. 언제 어디서 태어났다는 것이 사람의 생각을 저렇게 결정지을 수가 있구나. 개구리가 올챙이 시절을 알 수야 없겠지만. 개구리 하니까 생각나는 이야기가 하나 있다. 레토와 리키아 농부들의 이야기다.

 

제우스의 쌍둥이를 임신한 이유로 헤라의 미움을 받아 이리 저리 쫓기다가 레토는 다른 신들의 도움을 받아 출산하고 아르테미스와 아폴로를 낳는다. 그러나 헤라의 질투는 끝나지 않고 계속하여 레토는 쌍둥이를 안고 도망치는 신세가 된다. 어느 날 탈진된 상태로 한 연못에 도착한다. 고루하고 옹졸한 리키아 농부들이 살고 있는 마을에 속한 연못이었다. 레토가 엎드려 목을 축이려 한다. 그때 농부들이 와서 물을 못 마시게 한다. 레토의 말을 한번 들어보자.

 

뭐라고요? 물 마시는 것을 허락할 수 없다고요? 물은 만인이 사용하라고 있는 것이 아닌가요?

해와 공기를 자연이 특정인의 소유물로 만들었단 말인가요.
그리고 흐르는 물을? 나는 만인의 소유물을 취하려 할 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절히 빕니다. 나에게 물을 허락해 주십시오.

지친 몸과 축 늘어진 팔과 다리를 씻자는 것도 아니고,
오직 타는 목을 축이자는 것입니다. 목이 타서

말도 제도로 안 나옵니다.” (오비드, 변신, 6, 349-354)

 

레토가 이렇게 애원하고 품에 안긴 갓난아기들까지 손짓으로 간구하는 데도 불구하고 리키아 농부들은 물을 못 마시게 할뿐만 아니라, 아예 연못에 뛰어 들어가 흙탕물을 만들어 물을 마실 수 없게 만든다. 이에 분노한 레토는 그들이 영원히 그런 짓을 하게 만든다. 개구리가 되게 한 것이다. 오비드는 리키아 농부들의 본성이 원래 개구리 본성이었다는 점을 지적한다.

 

욕지거리를 일삼는 혓바닥을

그만두지 못하고 물속에서도 연습하고 얼굴 붉힐 줄 모르는 뻔뻔스러움으로 소리를 높이고 있다.

물밑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꾸악꾸악 욕지거리를 일삼는다.“ (같은 책 374-376)
(Quamvis sind sub aqua, sub aqua maledicere temptant.)

 

법은 만인이 공유하고 만인이 사용하는 물과 같은 것이다. 그렇게 되어야 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전파도둑질과 키보드 워리어

뽀삼님의 [학출: 80년대, 공장으로 간 대학생들] 에 관련된 글.

"전파도독질"과" 키보드 워리어".... 잘 어울린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인생의 아름다움

출처: www.kunstkopie.ch/a/albrecht-duerer/duerers-mutter.html

 

삶의 멍에아래 겪은 갖은 수모와 그에 대한 원한이 움푹 페인 할머니의 얼굴을 보여주는 이 그림에 얼른 호감이 가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 그림은 그러한 거부로 다가오는 첫 충동에 고삐를 채우고 우리의 눈길을 거기에 고정시킬만한 가치가 있는 그림이다. 왜냐하면, 바로 이러한 아무런 타협이 없는 진실성이 자기 어머니를 그린 뒤러의 이 작품을 위대한 미술작품이 되게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우리가 금방 알아볼 수 있는 것은 어떤 그림의 아름다움은 뭔가 아름다운 것을 그려내는 것과는 전혀 무관하다는 사실이다.” (곰브리히, 예술의 역사)

 

가난, 내일에 대한 근심걱정, 분노, 냉대, 무관심, 끓어오르는 열정, 치우친 목적만을 움켜 쥔 전전긍긍, 요동, 이리저리 갈라진 산만한 정신, 외부 자연에 예속된 상태, 한마디로 어디서나 한계에 부딪히는 인생의 이런저런 우연이 온통 독특한 것으로만 얼굴에 낱낱이 각인되고 표현되어 인상으로 남아있다. 그래서 어떤 인상은 모든 열정이 하나같이 파괴적인 폭풍이 되어 모든 것을 휩쓸어 부셔버린 표현을 담고 있는가 하면, 어떤 인상은 삭막하고 진부한 것으로 가득 찬 내면만을 엿보이게 하고, 그런가 하면 또 어떤 인상은 아집으로만 가득 차 보편적인 유형이 거의 다 사라진 형상만이 남아있을 정도다. 이렇게 인상이 갖는 형상의 우연한 모습은 셀 수 없이 많다. 그래서 어린이가 대체적으로 가장 아름답다. 왜냐하면, 어린이들은 아직 모든 독특성을 아무런 요동 없는 씨에서와 같이 간직하고 있고 또 아직 편파적인 열정이 가슴을 휩쓸고 지나가는 법이 없어서 삶 속에서 이리저리 갈라지는 소원과[Interesse] 그것을 달성하려는 노고의 흔적이 그 어느 하나 아직 유연한 표정에 다시 지을 수 없는 획으로 패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천진난만함에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생동성은 있지만, 거기에는 자신을 붙들고 씨름하면서 더 보편적인[wesentlich] 방향과 목적을 향해서 박차를 가한 정신의 흔적이 없다.“ (헤겔, 미학강의)

 

그래서 쭈굴쭈굴한 시골 할머니의 얼굴이 가장 아름답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