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2021/03/10

[이어서]

철학은 축시대 Achsenzeit발생 당시 손가락 다섯 개로 셀 수 있는 형이상학적 또는 종교적 세계관에 속했다. 이것이 철학에겐 운명이 되었다. 왜냐하면,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 플라톤주의가 발생함으로써 믿음과 지식에 대한 담론은 그 이후 그리스 철학 유산의 발전에 구성적인 역할을 맡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게 이  담론은 철학이 어떻게  – 철학 개념을 사용하는 기독교 교리의 형성과 맞물려 – 종교적 유산의 핵심적인 내용들을 취하고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지식으로 변환했는지 보여주는 후기형이상학 사유의 계보를 정립하는데 있어서 지침 역할을 한다. 바로 이런 의미론적인 삼투에 칸트와 헤겔을 추종하는 세속적인 사유의 주제인 이성적인 자유 및 실천철학의 기본개념들이 그 근거를 두고 있다. 그리스 우주론은 다시 뿌리를 내리지 못했지만, 성서에서 기원하는 의미론적 내용들은 후기형이상학의 기본개념으로 옮겨지게 되었다.

철학이 아직 감히 감당할 수 있고 또 감당해야 하는 게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은, 철학이 세속적인 성격을 과시함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앞에서 언급한 종교적 기원의 유산과 밀착되어 결정된다. 그러나 이 유산은 단지 오늘날 서로 경쟁하는 두가지 형태의 후기형이상학 사유 중 그 하나만 물려받았다. 이 상황을 후기형이상학 사유의 경험주의적 혹은 자연주의적 줄기만이 종교적 유산에서 철저히 벗어나는데 성공했다는 식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이런 가정에 대한 반박은 역사적이고 동시에 유물론적인 청년헤겔학파의 사유가, 어쨌든 헤겔을 이어받고 있다고 하지만, 헤겔에 등을 돌리는 급진적 종교비판의 골이 깊는 단절이 말해주고 있다. 그들이 물론 역사 안에 있는 이성의 흔적에 대한 관심과 보편적으로 철학의 노고는 이성적 생활관계의 증진을 지향하는데 있다는 철학에 대한 이해는 포기하지 않았지만 말이다. 이와 같은 철학의 직무에 대한 자기이해는, 철학사를 나락으로 떨어질 위험을 뛰어넘어 불규칙한 학습과정의 연속으로 꿰맬 수 있는 경우, 철학사에 대한 이런 수긍 가능한 해석으로 뒷받침된다. 이런 의미에서의 >>계보학적<< 서술의 진행과정에서 학습과정을 야기한 우발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포괄적인 이성개념 및 이에 상응하는 철학사유에 대한 중차대한 자기이해의 견지를 뒷받침하는 원인들이 분명하게 될 것이다.    

[계속]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