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트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탱고5] Adios nonino. ‘잘 가요, 할아버지’

Adios nonino. ‘잘 가요, 할아버지’

 

탱고의 ‘레퀴엠.’

현대 탱고의 거장 아스트로 피아졸라 곡 가운데 ‘보석 중의 보석.’

 

피아졸라는 1959년 10월에 ‘아르헨티나 탱고단’을 구성하여 푸에르토리코에 공연을 갔다가 아버지가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뉴욕으로 돌아와서 부엌에서 눈물을 흘리며 이 곡을 작곡했다고 합니다. 피아졸라가 38세 때입니다.

‘nonino’는 이탈리아말로 ‘할아버지’란 애칭이고, 피아졸라와 그 자녀들은 할아버지를 ‘노니노nonino’라고 불렀습니다. 할머니는 ‘노니나nonina’라고 합니다.

부친을 위한 장송곡, 혹은 추모곡인 셈입니다.

실제 ‘Adios nonino’를 들어보면 아버지에 대한 추억, 슬픔이 애절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 1980년 서독방송에서 피아졸라의 공연

http://www.youtube.com/watch?v=QCmP4bEJfOg

 

* 1983년 스위스 루가노에서 Cologne Radio Orchestra와 피아졸라의 실황 레코딩

http://www.youtube.com/watch?v=VTPec8z5vdY&feature=player_embedded

 

* 1989년 영국 BBC에서 피아졸라의 생방송 공연

http://www.youtube.com/watch?v=ccY5IcwWyV8

 

‘Adios nonino’는 1959년에 작곡된 이후에 20번 이상 다르게 편곡되고 수천 번 이상 연주될 정도로 유명한 곡인데, 피아졸라 스스로도 “아마도 나는 천사들에 둘러싸였던 것 같다. 나는 최고의 곡을 작곡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이보다 더 잘할 수 있을 지 모르겠다. 아마 못할 것 같다.”고 말했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피아졸라 전기>에 따르면, 이 곡은 피아졸라 탱고의 역사에서 하나의 분기점을 형성하는 계기이기도 합니다.

사실 어릴 때 클래식 음악과 재즈를 더 좋아했던 피아졸라로 하여금 탱고로 이끌어주고, 처음으로 반도네온을 사주었으며, 피아졸라에게 ‘아르헨티나인’이 될 것을 강하게 요구해 왔던 사람이 아버지였는데, 아버지의 죽음은 그 이전까지 자신의 내부를 지탱해 왔던 하나의 구조가 무너지는 것을 뜻했습니다.

아버지 ‘nonino’가 죽은 이후에 피아졸라의 창조성이 최대한 발휘되고, 과거 자신이 가져왔던 클래식 음악과 재즈에 대한 사랑을 탱고와 결합시키면서 자신만의 음악세계를 만들어 내게 된 것입니다.

 

피아졸라는 1960년 6월에 뉴욕에서의 활동을 정리하고 부에노스 아이레스로 향합니다.

그리고 뉴-탱고의 시대를 열어가게 됩니다.

“이제 나는 탱고에 대한 내 개념을 강조할 것이다. 나는 단지 소수 마니아를 위해 음악을 만들지 않을 것이다. 나는 다양한 대중을 정복할 자신이 있다. 앞으로 지켜보면 알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그렇게 됐습니다.

 

* 기타 4중주, Del Mar College Guitar Quartet, the University of Texas Brownsville Guitar Competition에서

http://www.youtube.com/watch?v=ns3_RlZNvpg

 

* 2006년 11월, Helycon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의 연주

http://www.youtube.com/watch?v=k36ifoCd_e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노동운동 내, ‘정파’는 어떻게 ‘정파’가 됐나

노동운동 내, ‘정파’는 어떻게 ‘정파’가 됐나

 

 

문제는 ‘정파’다?

 

‘정파’에 대한 융단 폭격이 끊이지 않고 있다. 민주노조운동이 직면한 ‘총체적 위기’의 원인이 민주노조 내 ‘정파’때문이라는 비판들이 그것이다. 물론 이런 진단이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다시 ‘정파’의 문제가 불거진 것은 지난 민주노총의 ‘성폭력 사건’과 지도부의 총사퇴로 민주노총의 위기 논란이 본격화되면서 이다. “87년 노동자 대투쟁 이래 민주노조운동 역사에서 최대의 위기” 상황과 맞물리면서 위기의 주범으로 민주노조운동 내 정파의 ‘존재’, 정파간 ‘갈등’과 ‘나눠먹기’가 지목됐다.

 

내놔라하는 민주노조운동의 전현직 지도자들의 입에서, ‘정파’의 폐해를 우려하고 질타하는 말들이 쏟아져 나왔다. 노동운동 내 ‘정파’는 “이념도 없는 파벌”이고 “내용도 없이 선거를 통해 권력을 재창출하는 도구”이며, 오로지 “정파간 타협을 통한 미봉책, 땅따먹기식의 정파싸움, 서로의 발목을 잡으면서 민주노총의 힘을 소진”시켜 버리는 집단이라는 것이다.

나아가 정파의 ‘논리’는 “자기 식구 감싸기”에 불과하며, 굳건하고 고질적인 정파구도는 이제 “권력이 됐고 기득권이 되어”버려서, 대중조직인 민주노총은 “정파를 주도하는 사람들이 대중조직의 주요 집행단위의 결정을 무시하고 자기입장을 가지고 흔들면 흔들리는 조직”으로 전락해 버렸다는 탄식이 뒤이어졌다.

 

그래서 “정파들의 민주노총에서 조합원의 민주노총으로 거듭나기 위해”, “정파의 폐해부터 투명하게 공개”해서 정파를 철저하게 “혁신”하거나 “해체”시켜야 하고, 아니면 “한국 노동운동을 재생시키려면 제대로 된 정파를 (재)형성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덧붙여진다.

 

‘정파’는 노선투쟁의 역사적 산물

 

물론 민주노조의 위기의 원인을 다 ‘정파’때문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리고 모든 정파가 다 똑같은 수준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도매금으로 평가할 문제도 아니다. 그러나 피할 수는 없다. 또 그래서도 안된다. 지난 20여 년간 민주노조운동의 역사에서 ‘정파’의 역할은 중요했기 때문이다. 중요했기 때문에 “민주노조운동의 위기는 곧 지난 20여 년간의 ‘정파운동의 위기’이며, 바로 ‘정파운동의 위기’가 민주노총을 총체적으로 무력한 상황으로 몰아넣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정파’ 자체에 대한 진단과 평가가 마녀사냥식으로 이루어져서는 곤란하다. 마치 자신은 정파적 질서와 책임으로부터 무관한 듯이 초월해서 양비론적으로 훈계하는 방식으로 진단과 평가를 하는 것은 더 더욱 곤란하다. 자칫 ‘정파’가 노동운동 내 노선투쟁의 역사적인 산물이고, 노동운동이 합법칙적으로 발전하는 과정의 일부라는 점을 은폐하거나 왜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정치적 허무주의를 조장함으로써 노동운동을 탈정치화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은 정파의 ‘폐해’에 대한 진단과 평가가 아니다. 정파의 ‘실체’, 정파의 ‘노선과 입장’, 정파의 ‘실력’을 더욱 분명하게 대중적으로 드러내 놓고 공론화하고 실천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민주노조운동의 위기가 ‘정파운동의 위기’로부터 비롯되고 있다는 진단은 민주노조운동이 정파의 ‘발전’때문이 아니라 정파의 ‘미발전’ 때문에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는 진단이기도 하다. 목욕물을 버리려다 그 안에 있는 아이까지 버리는 우는 범하지 말아야 한다.

 

‘정파’는 어떻게 ‘정파’가 됐나

 

1987년 노동자대투쟁 이후 민주노조운동의 발전은 정파의 탄생과 발전, 그리고 그 분화 과정과 분리할 수 없다. 물론 1987년 이전에도 반독재 민주화투쟁과정에서 “통일과 민족 문제 중심으로 변혁운동을 전개해 나갈 것인가”, “남한 내 계급 문제를 중심에 둘 것인가”를 둘러싸서 ‘민족해방파(NL)’와 ‘민중민주파(PD)’ 등의 정파가 형성됐고, 여전히 이 두 흐름이 지금까지 노동운동 내에서 커다란 정파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만, 민주노조운동 내에서 ‘정파’가 ‘정파’로서 형성⋅발전⋅분화되어 온 것은 1990년대 초반 이후였다.

 

1990년 전노협이 출범한 이후 ‘전노협 사수’를 둘러 싼 두 차례의 총파업을 거치면서, ‘노동운동 위기론’이 전면적으로 제기됐다. ‘전투적 조합주의’를 둘러싼 노동운동 위기 논쟁 과정에서 주로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사회발전적 노동운동론’, ‘진보적 노사관계론’ 등이 제기됐다. 노동운동의 목표를 둘러싸서 변혁적인 ‘노동해방’의 기치를 계속 내세울 것인지, 변혁노선을 포기하고 체제내적 노동운동을 해나갈 것인지가 핵심적인 쟁점이었다. 그리고 이 때 형성된 노동운동의 목표에 대한 두 가지 노선적 경향은 지금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어 민주노조운동 내에서 ‘노선’의 문제가 본격화된 것은 민주노총의 출범 직후 1기 집행부가 내건 ‘국민과 함께하는 노동운동’을 둘러싼 논쟁을 통해서였다. ‘사회개혁적 요구’를 전면에 내걸어 ‘사회적 합의’를 통해 국민적 지지를 획득해야 한다는 ‘국민과 함께하는 노동운동’노선에 반대하며, 노동자의 ‘계급적 요구’와 ‘계급적 단결’을 통해 사회를 변혁시켜 나가야 한다는 ‘계급적 노동운동’노선이 제기됐다.

 

이러한 노선적 대립은 1996~97년 노동법개악 저지총파업 이후 총파업에 대한 평가와 노동자정치세력화를 둘러싼 입장의 차이로 분화되었다. 노동법개악저지 총파업의 패배가 노동자출신 국회의원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평가한 세력들은 이후 ‘국민승리21’을 거쳐 진보정당인 ‘민주노동당’ 건설로 나아갔다. 이에 대해 노동자민중의 전면적인 투쟁으로 진전시키지 못한 지도부의 ‘국민주의적 노선’과 ‘유연한 전술’이 패배의 원인이었다고 평가한 세력들은 변혁적인 계급정당 건설로 나아갔다. 민주노조운동 내 노선의 차이와 분화가 노동자 정치세력화를 둘러 싼 차이로까지 확장된 것이다.

 

민주노조운동 내에서 ‘정파’간 분화와 갈등이 본격적으로 가장 첨예하게 드러난 과정은 1998년 1월 정리해고제 직권조인 이후 거세져가는 정권과 자본의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구조조정 공세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둘러싸서였다. 특히 당시 김대중 정권의 ‘노사정위원회’에 참여할 지 여부를 둘러싸서 정파간 입장의 차이와 대립은 첨예해졌다. 물론 겉으로는 노사정위원회에 참여할 것인가, 거부할 것인가의 차이로 드러났다.

그러나 그 근저에는 크게 자본의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구조조정을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대세라고 보고, 자본의 틀 내에서 사회적 합의를 통해 가능한 방안을 모색해보자는 입장과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구조조정 그 자체에 맞서 비타협적인 투쟁을 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으로 대별되었다. 현실에서는 이 두 가지 모두 현실화되지 못했고, 그 결과 ‘민주노조운동의 위기’는 더욱 깊어지고 확장됐다.

 

이와 더불어 민주노조운동의 전략적 과제의 하나인 ‘산별노조’ 건설을 둘러싸서도 산별교섭과 조직형식 전환 중심으로 산별노조를 건설해 나간 입장과 아래로부터의 계급적 산별투쟁을 통해 산별노조를 건설해 나가자는 입장이 대별되었는데, 이 역시 두 주장이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민주노총의 ‘사회연대전략’을 둘러싸서, 사회연대전략을 통해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과 ‘정규직 노동자 양보론’으로는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는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이명박 정권 아래서 민주당까지 포괄하는 반MB연합을 결성하자는 주장과 반MB연합은 민주당에 대한 비판적 지지론의 연장이며 반신자유주의 진보대연합을 결성해야 한다는 주장 등이 서로 논란을 벌이고 있다.

 

민주노조운동 전체가 ‘반자본’ 정파로 서나가야

 

이렇게 민주노조운동 내 정파는 우파-중앙파-좌파의 3분립 구도로 형성⋅분화되어 왔다. 정파의 역량과 실력의 한계 때문에, 또 정파운동에서 필연적으로 등장할 수밖에 없는 정파적 이기주의나 종파주의적 활동방식 때문에, 정파 운동이 때론 대중조직운동에 폐해를 끼치고 질곡에 빠뜨리기도 하지만, ‘정파’의 형성과 발전과 분화는 민주노조운동의 질적 발전을 위해 피할 수 없는 길이다.

 

정파냐 아니냐가 아니라 ‘어떤 전망과 주장을 하는 정파냐’, ‘어떻게 활동하는 정파냐’, ‘어떻게 정치적 책임을 지는 정파냐’로 논의 지형을 구체화시켜야 한다. 그래서 정파‘다운’ 정파로 서나가야 한다. 무엇보다도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한 민주노조운동 전체가 한국사회에서 ‘반자본’ 정파로 굳건하게 서나가야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1c 한국사회에서 ‘인간’으로 살아남는다는 것

21c 한국사회에서 ‘인간’으로 살아남는다는 것

 

<진보교육>36호(2009.12.월호)

 

이렇게 2009년을 보낼 수는 없다

 

‘눈물’과 ‘분노’로 얼룩졌던 2009년 한 해도 다 가고 있다. 아니 ‘눈물’과 ‘분노’마저도 메말라 버리고, 오직 ‘두려움’과 ‘절망’만이 강요됐던 한 해가 지나고 있다. ‘용산 참사’와 ‘쌍용자동차 정리해고’가 우리에게 강요한 것은 노동자와 서민을 삶의 터전에서 내쫓는 ‘구조조정’과 ‘재개발의 광풍’이 계속될 것이라는 ‘경제적 폭력’에 대한 두려움만이 아니었다.

생존을 위한 어떤 몸부림도 이른바 공권력의 무자비한 폭력을 피해갈 수 없을 거라는 ‘공권력의 폭력’에 대한 두려움 역시 뼈에 사무치게 강요됐다. 더 더욱 이러한 경제적⋅정치적 폭력을 얼마든지 은폐하고 왜곡하고 정당화시킬 수 있는, 사법부와 언론이라는 ‘또 다른 폭력’이 굳건히 버티고 있는 점이 우리를 절망으로 내몬 한 해였다. 그래서 대자본과 국가권력과 사법부와 언론의 지배동맹이 강요한, 폭력에 대한 두려움이 우리의 ‘눈물’도 ‘분노’마저도 뒤덮어 버리려 한 2009년이었다.

 

그래서 마음이 불편하지만 한 해를 보내면서 우리는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이러한 현실이 어쩔 수 없는가? 이 위기와 두려움과 절망의 시대에 그나마 살아남으려면 눈물도 분노도 거두거나 삭힐 수밖에 없는가? 거대한 지배동맹의 ‘폭력’ 앞에서 주눅 들고, 숨죽일 수밖에 없는가? 약간 비겁하게라도 눈을 감고 숨을 죽이고 있으면 살아남을 수 있는가? 살아남을 수는 있지만 진정 ‘인간’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가?

그리고 다시 이 사회에 물어야 한다. 냉동고에 갇힌 용산 철거민들을 그대로 두고 이 한 해를 보낼 수 있는가? 감옥에 갇히고, 거리를 떠도는 쌍용차 노동자들을 방치하고 이 한 해를 보낼 수 있는가? 이렇게 2009년을 보낼 수 있는가?

 

죽거나 조금 비겁하거나, 아니면---

 

2009년은 우리에게 ‘위기’의 시대에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물었던 한 해였다. ‘나’ 혹은 ‘나의 가족’, ‘나의 직장’만이 아니라, ‘우리’가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함께’ 살아가야 하는가”를 물었던 한 해였다.

저임금과 삶의 불안으로 고통받는 850만의 비정규 노동자들, 구조조정과 정리해고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없는 정규직 노동자들, 끝 모를 입시경쟁에 내몰리는 청년학생들, 직업 자체를 가져볼 기회조차 박탈당한 수백만의 청년실업자들, 저임금과 무권리 속에서 가장 바닥의 일을 떠맡은 45만의 이주노동자들, 400만이 넘는 금융피해자, 농업포기정책과 기업농 정책으로 하향 분해되는 300만의 농민들, 또 끊임없는 해체의 위협에 직면하면서 불안한 생업을 이어가야 하는 500만 자영업자들, 철거민과 노점상들--- 이들‘과 함께’, 이들‘이 함께’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물었던 한 해였다.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스스로에게 묻기 위해서는 “어떻게 살아왔는가”, “계속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가능한가”를 물어야 한다. 어떻게 살아왔는가? 이런 현실을 ‘나’만은 피할 수 있다고 믿고 그렇게 살아왔다. 10여 년전 IMF 외환위기 이후 ‘위기 극복’이라는 명분으로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구조조정이 전면화 될 때, 한국사회가 자본의 신자유주의적 경쟁논리에 의해 철저하게 재편되어 나갈 때, 그래도 내가 ‘경쟁력’을 갖추면 나, 나의 가족, 나의 직장, 나의 국가가 살아남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조금만 더 열심히 일하면 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거라는, 내일이 오늘보다는 좀 더 나아질 거라는, 그래서 두 눈 감고 버티고, 잔업특근 더하고, 투잡을 하고, 허리띠를 졸라매고, 시간을 쪼개 자격증을 따고, 영어를 공부하고, 스팩을 늘리고 처세술을 익혀 몸 가치를 높힌다면, 그래서 남과의 경쟁에서 조금이라도 앞서 나갈 수 있다면, 아니 최소한 밀리지는 않아야 나와 내 가족이 지금보다는 낫고 안정된 삶을 살 수 있으리라는 가냘픈 희망을 가꾸며 살아 왔다. 나와 내 가족의 모든 희망을 ‘좋은 일자리’와 ‘집 한 채’와 ‘자식 좋은 대학 보내는 것’에 가두며 두 눈 질끈 감고 살아왔다.

 

그러나 그것은 헛된 ‘환상’이었고 ‘욕망’이었다. 2008~9년 미국발 세계대공황은 다른 무엇보다도 경쟁에서 이겨 ‘혼자 살아남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현실을 냉혹하게 보여주었다. 자본주의 경제공황은 우리들의 일자리와 임금, 민주적 권리만이 아니라 “좀 더 나아질 거”라는 기대와 희망조차도 송두리째 앗아갔다. 우리들은 삶의 ‘근거’만 빼앗긴 것이 아니라, 삶의 ‘희망’조차도 빼앗기고 있다.

각 자 열심히 노력하면 달라질 수 있을 거라는 실날같은 기대도 더 이상 부질없게 됐다. 20 대 80의 구조, 아니 10대 90이라는 사회적 양극화는 더욱 탄탄하게 구조화되었다. 재산과 소득은 물론 교육, 의료 혜택 등 경제와 사회 전 부문에 걸쳐 양극화와 불균형은 점점 심화되고 있다. 2009년 모든 갈등의 진원지였던, 한국 사회 전체를 대립과 갈등으로 몰아갔던 이명박 정권은 이런 경제위기 시기의 자본과 지배세력의 충실한 대변자일 뿐임이 확인됐다. ‘소통’보다는 ‘독단’과 ‘폭력’으로, 가진 자들을 위해 위기 비용을 노동자와 서민들에게 전가시키는 철저한 신자유주의 정권일 뿐임이 명백하게 확인됐다.

이런 절망적이고 숨막히는 현실에서, 생존권을 위한 최소한의 몸부림조차도 폭력적으로 탄압하는 MB정권 아래서 노동자와 서민들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죽거나 죽임을 당하거나 아직 조금의 여유가 있다면 숨죽여 비겁해 지거나, 둘 중 하나뿐이다.

 

세상을 바꿔서라도 함께 살아남기

 

다시 가다듬어 물어야 한다. 그런가? 죽거나 비겁하게 숨죽이거나 둘 가운데 하나밖에 선택할 수 없는가? 우리는 진정 무기력한가? 만약 우리가 과거와 같이 자본의 경쟁논리를 우리의 욕망으로 내면화해서 계속 살아간다고 하면 우리는 이런 현실을 피할 수 없다. 10 vs 90으로 양극화된 현실에서 90의 원인이 10이 아니라, 모든 90이 10될 수 있다는 헛된 기대와 환상과 결별하지 않으면 우리는 계속 절망할 수밖에 없다.

MB 정권은, MB 정권의 독단과 폭력성은 바로 우리에게 내면화된 ‘경쟁 논리’와 ‘욕망’과 헛된 ‘기대’위에서 작동하고 있다. ‘민주주의의 후퇴’만이 아니다. ‘신자유주의 세계화’로 구체화된 자본의 논리, 경제공황으로 드러난 자본의 위기 자체에 직접 대면해야 한다.

 

문제는 자본주의다. 위기에 직면한 자본주의 체제 그 자체가 문제이다. 우리의 욕망으로 내면화된 ‘자본의 경쟁 논리’가 문제다. 이 지점에 직접 대면하고, 성찰하고, 그래서 찾아야 한다. “함께 살아남을 방법”을. 내가 살기 위해 남이 죽을 수밖에 없는, 이 ‘무한경쟁’, ‘약육강식’, ‘승자독식’의 세상을 끝장내고,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찾아내야 한다. 필요하다면, 세상을 바꿔서라도 함께 살아남아야 한다. 아니 함께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필요하면 세상을 뒤집어 바꿔야 한다.

2009년 용산과 쌍용차는 우리에게 묻고 있다. “어떤 길을 선택할 것이냐”고. “21c 한국사회에서 진정 ‘인간’답게 살아가는 것이 무엇이냐”고.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탱고4] 샤벨라 바르가스(Chavela Vargas)의 ‘요로나(La Llorona)’

샤벨라 바르가스(Chavela Vargas)의 ‘요로나(La Llorona)’

 

오늘 소개할 곡은 탱고는 아닙니다.

탱고를 추적(?)하다가 알게 됐는데, 노래도 가수도 사연도 너무 흥미로워서 소개합니다.

멕시코의 여가수 샤벨라 바르가스(Chavela Vargas)가 부른 ‘흐느끼는 여인(La Llorona)’입니다.

‘요로나(La Llorona)’는 스페인어로 “우는 여인”, “울부짓는 여인”, “흐느끼는 여인”이랍니다.

먼저 노래부터 들어보죠.

샤벨라 바르가스가 2000년 스페인의 마드리드에서 부른 노래인데, 1919년 생이니, 82세에 부른 거네요. 물론 지금도 살아있습니다.

 

* http://www.youtube.com/watch?v=vFD-HxPpP_U&feature=player_embedded

 

샤벨라 바르가스의 얼굴은 범상치 않고, 목소리는 탁하면서도 애절합니다.

‘요로나’는 멕시코의 설화에 등장하는 인물인데, 대강의 줄거리는 이렇답니다.

 

“멕시코 어느 지방에 아주 아름다운 여인이 살고 있었다 (이 여인의 이름은 대개 ‘마리아’로 통한다). 이 여인은 반드시 자신의 외모만큼이나 잘 생기고 좋은 집안의 총각과 결혼하기로 다짐을 하였는데, 마침 이웃 마을의 한 사내를 발견하게 된다. 마리아는 잘 생기고 집안도 좋은 이 사내를 유혹하여 결혼에 까지 이르게 되고, 아이도 둘을 낳아 행복하게 살게 된다.

그러다가 차츰 사내는 마리아에 대해 애정이 식어가게 되고, 두 아이만 챙기기 시작한다. 이런 상황에 대해 불안감이 늘어가던 마리아는 우연히 사내가 다른 여자와 같이 있는 장면을 보게 되면서 감정이 일시에 폭발한다. 그래서 가눌 수없는 분노에 이끌려 마리아는 두 아이를 강에 던져버렸고, 물속에 잠겨 들어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던 마리아는 퍼뜩 제 정신을 차렸지만 이미 때는 늦고야 말았다.

결국 마리아는 죄책감에 그 강가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게 되었지만, 그 영혼은 차마 잠들지 못하였다. 그 후로 거센 바람이 불 때마다 그 속에서는 아이들을 부르는 마리아의 울음소리가 들려왔고 사람들은 그걸 ‘요로나’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 줄거리는 주로 멕시코계가 많이 사는 미국 남부 쪽의 것이고, 멕시코 본토에서는 사내가 집을 나가 오랜동안 돌아오지 않자 생계가 막막해진 마리아가 두 아이를 강물에 던지고 자신도 그 강가에서 목숨을 끊는다는 줄거리로 전해진다.”

 

‘요로나’는 2002년에 개봉한 영화 <프리다>에도 삽입되어 있는데, 샤벨라 바르가스가 직접 출연하여 노래합니다.

20c 초중반, 멕시코의 여성 화가인 ‘프리다 칼로’를 극화한 이 영화는 2003년에 우리나라에서도 상영된 바 있습니다.

남편(멕시코의 세계적인 벽화 작가인 디에고 리베라)의 바람기 때문에 상심한 프리다 칼로가 술집에서 술을 마시는데, 샤벨라 바르가스가 프리다 칼로를 위로하는 노래를 부릅니다. 그 노래가 ‘요로나’입니다.

 

* http://www.youtube.com/watch?v=0gQ31m4Yt0s&feature=player_embedded

 

근데 재미있는 것은 샤벨라 바르가스가 실제로 프리다 칼로와 연인관계(동성애)였다는 겁니다.

프리다 칼로가 죽기 전 5년간 그녀의 침대 곁을 지켜주었다고 합니다.

프리다는 생전에 샤벨라 바르가스의 탁한 음색을 듣고, “목에 악기가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답니다.

샤벨라 바르가스 역시 프리다 칼로와의 사랑에 대해, “첫 눈에 반한 황홀함은 지상의 것이 아니었다. 다른 차원, 행성에서 찾아온 빛이었다. 희생, 순수, 자유, 슬픔, 열린 마음으로 그녀를 사랑하리라 결심했다”고 합니다.

비디오 마지막 부분에서 누군가에 의해 살해당하는 사람은 프리다 칼로의 연인이었던 ‘트로츠키’입니다.

 

다른 가수들이 부른 ‘요로나’와 비교해 보면, 샤벨라 바르가스가 부른 ‘요로나’의 깊이를 더 잘 느낄 수 있을 것 같네요.

 

* Lila Downs가 부른 ‘요로나’

http://www.youtube.com/watch?v=iq3dJgUyM_c

 

* 애니메이션 ‘유령의 신부(?)에서 ‘Eugenia León’이 부른 ‘요로나’

http://www.youtube.com/watch?v=9E7wgUTKM0c

 

*** ‘요로나’ 가사 ***

 

(스페인어 가사)

 

Todos me dicen la negra Llorona

Negra pero, carinosa

Yo soy como el chile verde Llorona

Picante pero sabrosa

 

Dicen que no tengo duelo Llorona

Porque no me ven llorar

Hay muertos que no hacen ruido Llorona

Y es mas grande en su penar

 

Ay de mi Llorona

Llorona de ayer y hoy

Ayer maravilla fui Llorona

Y ahora ni sombra soy

 

Ay de mi Llorona

Llorona de azul celeste...

 

(영어 가사)

 

Everyone calls me the dark one, Llorona

Dark but loving

I am like the green chile, Llorona

Spicy, but tasty

 

모두들 나를 어둠 속의 사람이라 하지, 요로나,

어둡지만 사랑스럽다 하지,

나는 녹색의 칠리와 닮았네, 요로나,

아주 맵지만 그 맛은 좋지,

 

They say that I do not feel pain, Llorona

Because they don't see me cry

There are dead people who do not make a sound, Llorona

And it is greater than their worry

 

사람들은 내가 고통을 느끼지 않는다 하지, 요로나,

그건 그들이 내가 우는 걸 보지 못해서 그래,

이 세상에는 아무런 소리도 내지 못하는 죽은 이들이 많지, 요로나,

그들의 고통이 너무 커서 소리조차 내지 못하는 거지,

 

Ah me, Llorona

Llorona of yesterday and today

Yesterday I was a marvel Llorona

Today, I am less than a shadow of that

 

아, 나는 요로나,

어제의 나, 그리고 오늘의 나,

어제 나는 참으로 멋진 요로나 였지,

오늘 나는 옛 것의 그림자보다 못하지,

 

Ah me, Llorona

Llorona of the blue sky...

 

아, 나는 요로나,

푸른 하늘의 요로나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탱고3] ‘라 쿰바르시타’- 탱고 중의 탱고

[탱고3] ‘라 쿰바르시타’- 탱고 중의 탱고

 

지난 번 탱고 강습을 마치고 뒷풀이 자리에서 김 모 강사 왈(曰),

 

“탱고 춤은 무게 중심을 자기 안에 두는 게 아닙니다. 둘 사이의 가운데에 무게 중심을 두는 거죠. 그래야 탱고가 되죠.”

그렇구나!

끊임없이 중심을 자기밖으로 내쳐야 하고, 둘 사이에서 그 중심을 다시 역동적으로 만들어내야 하는 것이 탱고구나!

그래야 탱고가 되는구나!

 

오늘도 애들 연극을 위한 소품 만든다고 밤낮으로 애쓰는 8학년 엄마, (일부)아빠들을 위해 경쾌한 탱고 한 곡 소개를.

‘이런 탱고도 가능하다’에서 소개했던 ‘라 쿰바르시타’입니다.

탱고곡 가운데서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대표적인 탱고곡입니다.

“탱고 중의 탱고, 탱고의 왕”이라고 불리는 곡입니다.

 

1917년에 당시 17살로 우르과이 대학생이었던 마토스 로드리게스가 낡은 피아노를 치면서 작곡한 곡이라고 합니다.

이 곡이 유명해진 것은 프랑스에서 다른 작곡가가 이 곡에 서정시를 붙여 'Si Supieras'라는 노래로 알려지면서였는데, 로드리게스는 이 곡을 작곡한 후 7년이 지난 후에 프랑스에 갔다가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후 20여 년간 법정 싸움 끝에 저작권을 되찾았다고 하네요.

 

‘라 쿰바르시타’는 아르헨티나의 속어(俗語)로 ‘가장행렬’이라고 합니다.

곡은 16절 단위의 3부로 나뉘어 단조(短調)로 되어 있어, 경쾌하면서도 애절합니다.

 

먼저 이 곡의 종주국을 자처하는 ‘우르과이 버전’으로 노래를 들어보죠.

http://www.youtube.com/watch?v=__QyFpfveis

 

이어 20c 초반 아르헨티나에서 전설적인 탱고의 황제였던 카를로스 가르델Carlos Gardel의 노래로. 가사는 스페인어로 되어 있어 무슨 뜻인지는 모르겠고.

http://www.youtube.com/watch?v=1BB7XdyU-Z0

 

탱고의 맛을 가장 잘 표현해 주는 반도네온 연주로.

http://www.youtube.com/watch?v=VUiH_HpWYSc

 

Gustavo Naveira와 Giselle Anne의 정통적인 탱고춤과 함께 ‘라 쿰바르시타’를.

http://www.youtube.com/watch?v=eHNz3vEnhUM

 

2005년 Gotta 스케이트대회에서 여성 가수의 ‘라 쿰바르시타’ 노래에 맞춰 여성 피겨스케이터(Shae lynn Bourne)가 의자를 소품으로 색다른 공연.

http://www.youtube.com/watch?v=1ZO8V0LQWeY

 

마지막으로 새로운 탱고의 흐름을 만들었다는 격찬을 받는 탱고 그룹 ‘탱고 파이어(TANGO FIRE)'의 세계 순회 중 스위스의 쮜리히에서의 '라 쿰바르시타' 공연 모습. 관능적이고 정열적인 탱고. 2007년 5월에 한국에서도 첫 공연.

http://www.youtube.com/watch?v=R7_rnucyZg8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탱고2] 탱고 '춤'에 주눅들지 않는 방법

[탱고2] 탱고 '춤'에 주눅들지 않는 방법

 

솔직히 얘기하면 이렇습니다.

탱고에 대해 아는 것도 없고 탱고를 출줄도 모르지만 --- 여기에 계속 올려봐야겠다.

처음에는 그랬습니다.

그래서 사실 탱고1,2,3 --- 번호를 매기면서 시작했죠.

근데 걱정됐습니다.

탱고에 대해 아는 것도 없는데 ---

여기에 자꾸 올리면 8학년 분위기가 어떻게 되는거 아냐?

아니 8학년 분위기가 어떻다고 문제제기 받는 것 아냐? ---

그래서 마음이 소심해졌습니다.

더 올릴까 말까 ---

 

아마 며칠 전에 집에서 '현이 모'가 이런 얘기를 하지 않았으면 벌써 여기에 올리는 걸 접었을 겁니다.

"나도 춤을 잘 출 수 있는데 ---"

 

그리고 앞 글에서

8학년 대표이신 '초롬 모'께서 탱고를 보시고 난 후 "ㅅㅅ;;;;" - 아직도 이게 뭘 뜻하는지 모르겠지만, 대략 이해하기로는 재밌지만 뭔가 난감한??? - 라고 감상을 표하시고,

이어 '민지 모'께서 "뾰쪽구두를 신은 적이 업고 --- 운운"하시는 걸 보면서,

"아! 지금 여기서 멈춰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얘긴즉슨

이렇습니다.

탱고가 '춤'만 아니라 '노래'도 있다는 거죠.

탱고는 '추는 것'만이 아니라, '듣는' 탱고도 있다는 사실 --- 이 애기는 제 얘기가 아니라 유명한 탱고 작곡가이자 연주자인 피아졸라가 한 얘깁니다.

탱고를 춤으로만 접근했을 때,

'춤'에 대해서는 다들 동경하지만, 또 다들 주눅이 듭니다.

뾰족구두 때문에 좌절하고,

몸매 때문에 좌절하고,

몸치 때문에 좌절하고 ----.ㅋㅋㅋ, ㅠㅠ

 

그래서 고민해 봤습니다.

'춤' 때문에 주눅들지 않고, 일단 탱고를 즐길수 있는 방법!!!

다행히 방법을 찿아냈습니다.

듣는 거죠.

즐겁게 듣는 것부터 시작하는 거죠.

 

다 아는 탱고입니다.

지난 4월인가요? 5월인가요?

8학년 문화제에서 우리 애들이 연주했던 '리베르 탱고'!

 

'리베르 탱고'는 알고보니 꽤 유명한 곡이더군요.

아르헨티나 최고의 탱고음악 작곡가이자 반도네온 연주자인 아스토르 피아졸라(Astor Piazzolla, 1921~1992)가 1974년(1975년?)에 발표한 곡인데.

“자유를 향한(위한) 탱고”라는 뜻이고,

고전 탱고에서 누에보 탱고(뉴탱고)로 변화하는 대표곡이라고 합니다.

"발보다는 귀를 위한" 탱고라고 하면, 실례가 될 지 ----.

 

아무튼,

‘리베르 탱고’는 이후 전세계 많은 음악가들에 의해서 다양한 악기로 편곡 연주되었고,

세계적으로는 파리에서 태어나 4세에 뉴욕으로 이주한 중국계 미국인 첼리스트인 요요마의 연주 덕택에,

한국에서는 드라마 '베에토벤 바이러스'에서 정희연(송옥숙)의 연주 덕택에,

그리고 과천자유학교에서는 8학년 애들의 문화제 공연 덕택(?)에,

대중적으로 유명해진 곡입니다.

그리고 최근에 한국의 젊고 잘생긴 첼리스트인 송영훈이 이 곡을 포함해서 9곡의 탱고를 연주한 CD를 발매하기도 했는데,

저도 처음으로 돈을 주고 CD라는 걸 사봤습니다.

 

'리베르탱고'에 대해 전 세계 많은 음악가들이 연주한 것 가운데,

제가 보기에 괜찮다는 것 12가지만 골라서 올리니,

바쁘더라도 30~40분 정도 시간을 투자해서

탱고를 듣고,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춤 때문에 주눅든 마음에 조금은 위안을 삼길 바랍니다.

"추지는 못하지만 들은 수는 있다"고!

 

(1) 요요마(첼로)와 마르꼬니(반도네온)의 연주

 

http://www.youtube.com/watch?v=_tMgVMxG95A

 

(2) 아코디언, Richard Galliano playing Libertango (the concert “Piazzolla Forever”)

 

http://www.youtube.com/watch?v=quZuGOcmVQ0

 

(3) 첼로 프로젝트(첼로와 피아노)

 

http://www.youtube.com/watch?v=f6iyig-cPG4

 

(4) 피아노 듀오: Anderson & Roe

 

http://www.youtube.com/watch?v=R0INlumRpL8

 

(5) 기타 3중주: 몬트리올 기타 트리오가 편곡한 리베르 탱고

 

http://www.youtube.com/watch?v=8QEu37v0Q4c&feature=player_embedded

 

(6) 바이올린 이중주: El Tango De Roxanne/Libertango: Sephira In Concert at Liverpool Philharmonic Hall 14th March 2008

 

http://www.youtube.com/watch?v=5fH3rLP3kFM

 

(7) 국악버전, 박솔비(한예종)

 

http://video.naver.com/2008041521121264018

 

(8) 봉고 프로젝트

 

http://www.youtube.com/watch?v=iHvZuK0m8r0

 

(9) 반도네온과 오케스트라: Lothar Hensel, bandoneón, M. Neuman and the Xalapa symphonie.

 

http://www.youtube.com/watch?v=9DNCN6eUwVY

 

(10)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반도네온

 

http://www.youtube.com/watch?v=gIX0q6QhgZA

 

(11) 피아노와 바이올린: Duo orientango Concert

 

http://www.youtube.com/watch?v=Z7t2j01ywaM

 

(12) 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5)’에서 첼로 연주(정희연/송옥숙)

 

http://www.youtube.com/watch?v=IFPRZu8ZYt4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탱고1] 이런 탱고도 가능하다!

떨림7_2009.09.04.

이런 탱고도 가능하다!

 

탱고하면, 흔히 영화 ‘여인의 향기’에서 프랭크(알 파치노)가 추었던 탱고를 상상하는데 ---

이런 탱고도 가능하다!

 

경쾌한 탱고곡 ‘라 쿰바르시타’(1915, 로드리게스)에 맞춰

Eduardo Cappussi와 Mariana Flores가 춘 탱고.

오랜만에 맘껏 웃어본다.

 

Eduardo Cappussi와 Mariana Flores는

1997년부터 함께 탱고를 추고, “Tango Argentino”를 가르쳐 왔는데,

독특하고 극적인 요소를 결합한 스타일의 탱고로 유명하다고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건 아니다! 지금은 아니다!

이건 아니다! 지금은 아니다!

 

[현자노보 칼럼]2009.05.27.

 

이건 아니다!

‘만장용 죽봉’을 ‘죽창’이라며, 전원 검거하여 사법처리하겠다는 이명박 정권의 적반하장, 이건 아니다.

이건 더욱 아니다!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노동자와 민중들의 집회 시위가 ‘국가 브랜드’를 실추시킨다며, ‘국가브랜드’를 국민의 삶과 목숨보다 더 중요하게 보는 이명박 정권의 철면피함, 이건 더욱 아니다.

이건 더더욱 아니다!

지난해 촛불집회에 참여한 1,800여개 단체를 불법폭력시위 단체로 지목하고,

반정부 투쟁 가능성이 있는 모든 집회를 사실상 불허하고,

금지된 집회를 강행하면 사전에 집회장소를 경찰차와 경찰병력으로 봉쇄하고,

이에 항의하는 기자회견마저 불법이라고 참가자를 연행하고,

최루탄을 다시 쏘겠다고 협박하고,

시민사회단체 단체 활동가와 네티즌 2,500여 명을 상습시위꾼으로 규정하여 검거할 계획을 세우고,

철지난 국가보안법을 다시 동원하여 통일단체 회원을 구속하고 ---

‘엄정한 법 집행’을 내세우며 미친개처럼 날뛰는, 이명박 정권의 막무가내식 탄압, 이건 더더욱 아니다.

거꾸로 가는 것은 벤자민 버튼의 시간만은 아니다.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도 거꾸로 가고 있다.

어떤 치장도 벗어버리고 ‘신자유주의 경찰국가’의 모습을 날 것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아니다! 아니다! 미친 것이 결코 아니다.

‘잃어버린 10년’을 되찾기 위해 거꾸로 가는 것이 아니다.

미친 것도 아니고 거꾸로 가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두려움’의 표현이다.

지난해 꺼졌던 촛불이 다시 되살아오를까 두려워하고 있다.

학생들과 시민들이 들었던 촛불을 노동자와 민중들이 다시 들 것에 대한 두려움의 표현이다.

경제위기를 노동자 민중에게 전가하지 않고서는 극복할 수 없는 현실에서,

임금을 삭감하고, 구조조정하고, 해고하고, 실업자를 다시 양산해야만 이윤율을 되찾을 수 있는 이 자본주의 현실에서,

이러한 전가가 필연적으로 가져올 노동자 민중들의 생존을 위한 폭발적 저항에 대한 이명박 정권과 자본가 계급의 두려움의 표현이다.

올해 내에 구조조정을 강행하고,

가진 자들을 위한 입법을 완료하고,

집시법, 미디어악법과 비정규악법을 통과시키지 못한다면 지배계급과 보수세력 내부에서도 지지기반을 상실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이명박 정권의 ‘초조함’의 표현이다.

 

그래서 지금은 아니다.

침묵하고 지켜볼 때가 아니다.

위축될 때가 아니다.

지금은 그나마 가진 것을 지키고 있을 때가 아니다.

우리의 생존과 민주주의는 별 개의 것이 아니다.

민주주의의 후퇴는 생존권의 후퇴다.

용산 철거민만의 문제도,

대량해고를 앞둔 쌍용자동차 노동자만의 문제도,

박종태 열사와 화물 건설노동자만의 문제도 아니다.

이명박 정권의 노동자민중 죽이기, 민주주의 죽이기에 맞서 아래로부터 행동에 나서야 된다.

바로, 지금! 나서야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떨림6]브람스의 헝가리무곡 1번: '열정'과 '노련함'2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떨림6]브람스의 헝가리무곡 1번: '열정'과 '노련함'1

떨림6_2009.05.10.

브람스의 헝가리무곡 1번: '열정'과 '노련함'

 

브람스(1833~1897)의 헝가리무곡 1번(G minor)은 브람스가 작곡한 헝가리무곡 21개 가운데 첫번째 곡입니다.

우리에게는 헝가리무곡 5번이 많이 알려졌죠.

브람스가 19세 때, 헝가리 출신 바이롤리니스트인 에듀아르드 레메니아Eduard Remenyi의 연주를 듣고 감명받아 그의 피아노 반주를 자청해서 함께 연주여행을 하게됐는데, 이 때 헝가리 집시음악의 독특한 리듬과 선율을 익히게 됐고, 이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21개의 피아노연탄곡인 헝가리무곡을 작곡하였다고 합니다.

 

21개의 헝가리무곡은 두권의 책으로 발표됐는데,

1~10번은 1869년 2월에

11~21번은 1880년 6월에 출판됐습니다.

 

피아노연탄곡으로 작곡됐지만, 이후 관현악으로 편곡한 연주가 더 웅장한 느낌을 주고,

바이올린으로 편곡한 연주는 더욱 애절한 느낌을 줍니다.

물론 헝가리무곡 1번 자체가 "정처없는 유랑생활로 떠도는 집시들의 숙명적인 고독과 우수가 묻어나는 서정적인 곡"이고, 또 "집시 특유의 격렬하고도 정열적인 리듬"도 마음을 사로잡습니다.

 

인터넷에서 여러 연주를 찾아 듣다가 두개의 연주를 동영상으로 보게 됐습니다.

하나는

독일 슈트트가르트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Stuttgart Radio Symphony Orchestra

지휘자인 조르쥬 프레트르Georges Pretre가 지휘한

브람스의 헝가리무곡Hungarian Dance 1번입니다.

대가다운 '노련함'이 느껴집니다.

 

다른 하나는

2009년 4월 포스코 창립 40주년 기념음악회(포스코센터 아트리움)에서 장한나가 지휘한 연주입니다.

젊고 힘찬 '열정'이 느껴집니다.

 

< p>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