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원전

<격주간 정치신문-사노위 : 16호> 핵 폐기, 한국만 피해갈 것인가

핵 폐기, 한국만 피해갈 것인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3월, 끔찍했던 원전사고 일주일 후, 도쿄 시부야에 100여명의 시민들이 원전을 중단하라고 요구하며 거리에 나섰다. 이를 시작으로 정부에 대한 비판과 항의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지식인들도 정부의 원전 정책을 비판하고 있다. 4월 19일 일본 문부과학성은 후쿠시마 내의 초등학교나 유치원 교정의 방사능량을 ‘연간 20시버트’로 상향조정하는 발표를 하였고, 이후 학부모들이 주축이 된 투쟁도 이어지고 있다. ‘연간 20시버트’는 원자력발전소 노동자가 백혈병 발병 혹은 산재인정을 받을 수 있는 양이다. 게다가 통상 5년간 100시버트로 제한되어 있던 원자력 발전소 노동자의 피폭양도 250시버트로 상향조정하였다.
 
일본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이 심각한 ‘인재’를 되풀이하지 말자는 전세계적 차원의 투쟁도 줄을 잇고 있다. 스위스에서는 반핵 집회 이후 핵 에너지의 이용을 보류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5기의 핵발전소는 정해진 수명까지 가동된 이후 2034년엔 최종적으로 폐지될 예정이다. 스페인도 2014년까지 완전 중단하기로 한 7개의 핵발전소에 대한 가동 허가를 연장하지 않을 계획이다. 유럽의 최대 핵발전 국가인 프랑스에서도 77%의 국민이 핵발전에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역시 2022년까지 핵발전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앞서 독일 전역의 20개 도시에서는 16만 명 이상이 핵발전에 반대하는 시위를 열었다. 독일은 내년을 시작으로 총 17기의 핵발전소 중단에 들어간다.
 
이뿐만이 아니다. 베를루스코니 정부는 핵발전 비중을 25%로 높이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후쿠시마 사고 후 핵발전소 건설 계획을 1년 동안 보류하기로 발표했다. 그러나 국민투표 결과, 이탈리아 국민의 94%가 핵발전에 반대하는 것으로 공식 추산, 결국 핵포기를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실제 지난 20년 동안 유럽연합(EU)에서는 177개에서 143개로 핵발전소가 34개 줄었다.
 
그러나 국내로 돌아와 보자. 3월 18일,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이 한국의 원전 정책은 변함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국은 작년 말 기준으로 총 21기의 원전이 가동 중이고, 2014년까지 5기, 2017년 까지 2기, 2021년까지 2기, 2030년까지 8~10기를 추가 건설할 계획이다.
 
여기에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전발전소 본부는 안전성과 경제성을 내세우며 고리1호기의 수명연장을 주장하고 있다. 15조원 규모로 추정되는 폴란드 원전 수주를 놓고 한국전력을 비롯한 한국 컨소시엄이 수주 의욕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정부는 지난해 3월 폴란드와 핵에너지 협력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핵문제에 있어서 경제성, 안전성, 효율성 같은 미사여구는 더 이상 먹히지 않는다. 유엔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도 2050년까지 세계의 에너지 수요 중 80%는 재생가능에너지원으로 충당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핵은 그냥 ‘악’이다. ‘악’을 ‘좋은악’과 ‘나쁜악’으로 나누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 소위 ‘필요악’이라는 것이 말 그대로 ‘필요없다’는 것을 전세계 민중들이 자신의 힘으로 증명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핵은 반대하지만, 핵발전소는 필요하다’는 말은 일고의 가치 없다.
 
김정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격주간 정치신문-사노위 : 14호>이탈리아 국민투표, 원전 폐기가 세계민중의 요구임을 확인!

 

이탈리아 국민투표,

원전 폐기가 세계민중의 요구임을 확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산산조각난 원전 부활 기도

 
지난 13일 이탈리아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의 재가동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가 94%의 압도적 반대로 부결됐다. 이탈리아는 체르노빌 원전 사고가 있고나서 1년 6개월 후인 87년 11월에 국민투표를 하여 원전건설을 중단하고 가동원전을 폐쇄할 것을 결정했다. 이탈리아는 수력발전 12%, 프랑스 원전으로부터의 수입전력 14%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천연가스, 석유, 석탄 화력발전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 정부가 다시 원전 재가동을 주장하는 근거는 국가안보적 차원에서 에너지 자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탈리아는 화력발전에 많이 의존하기 때문에 막대한 양의 화석연료를 수입해야 하는데, 06년과 09년에 러시아가 천연가스 공급을 중단하면서 심각한 에너지 위기에 직면했다는 것이 그들의 근거이다.
누구를 위한 에너지 자립인가?
 
하지만 이탈리아 민중은 원전 부활을 반대했다. 에너지 자립이 필요하다는 논리는 민중의 입장에서는 헛소리고, 오직 자본의 입장에서만 절실하다는 것이 확인된 것이다. 유럽 평균보다 30% 비싼 전기료를 낮추기 위해 건강과 생명을 원전에 담보주지는 않겠다는 결정이다.
 
한국도 에너지 정책은 자본을 위해서만 존재한다. 삼성경제연구소의 08년 자료에 의하면 한국의 총에너지 소비량은 산업용이 64%, 수송용이 23%, 가정용이 13%로 구성되어 있다다. 04년 산업자원부 자료에 의하면 2,157개의 사업장에서 전체 에너지의 32.8%를 소비한다. 결국 특정 산업과 사업장이 한국 총에너지 소비량의 절대적인 수치를 잡아먹고 있는 것이다. 개인이 절약해서 에너지를 아껴야 한다는 요구는 이 엄청난 수치 앞에 현실성을 잃어버린다.
 

원전 수명연장과 원전 재가동은 생산원가 절감을 위한 자본의 몸부림

 
값싼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것은 자본의 영원한 꿈이다. 특히 기간산업의 경우 에너지비용 절감은 생산원가 절감으로 직결된다. 그래서 자본주의 국가는 원전을 건설하고 국토의 일부분과 국민의 건강을 담보로 값싼 전력을 자본에 공급하는 것이다. 포스코의 경우처럼 주변의 원전에서 값싸게 공급되는 전력을 바탕으로 낮은 가격의 철강재를 국내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렇게 값싼 에너지 공급이 국가경제에 중요하다는 것이 자본의 주장이다. 이런 생산원가 절감을 위한 자본의 몸부림이 이탈리아에서는 원전을 재가동하려는 기도로 나타났고, 한국에서는 고리 1호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추가 원전을 건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즉시 원전가동을 중단시켜야

 
자본주의 자체가 없어지지 않는다면, 일시적으로 원전을 폐기한다 하더라도 이번의 이탈리아와 같이 얼마든지 자본의 반격이 계속될 수 있다. 이탈리아 본국이 아닌 알바니아에 원전을 건설하려고 했던 이탈리아 정부처럼 비열한 계획을 짤 수도 있다.
 
하지만 원전의 폐기는 가능한 일이고, 해야만 하는 일이다. 자본의 에너지 과잉 정책은 더욱 오랜 시간 노동을 착취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주야간맞교대의 지옥같은 노동을 거부하고 야간노동을 철폐시킨다면 지금과 같은 에너지 과잉의 정책은 필요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원전을 폐기하고 에너지과잉을 중단시킨다면 노동자에게 야간노동을 강요할 에너지는 없을 것이다. 이 모든 것은 사회주의를 건설하기 위한 투쟁으로 연결된다. 이제 “원전 폐기하고, 밤에는 잠 좀 자자”는 구호를 사회주의자들이 앞장서 외쳐보자.
 
이문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