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남아프리카공화국

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9/09/29
    디스트릭트9 제한된 구역에 사는 우리들
    PP
  2. 2009/09/29
    소웨토(Soweto) 그리고 우리는…
    PP

디스트릭트9 제한된 구역에 사는 우리들

28년 전, 지구상공에 외계비행물체가 떴다. 우습게도 그 곳은 뉴욕, 워싱턴, 런던, 도쿄가 아닌 남아공의 요한네스버그였다. 가장 열악한 제3세계 국가에 불시착한 외계인들은 “PRAWN”이라 불리며 쓰레기더미에 먹을 것을 찾아 헤매는 포식자로 살아간다. 열악한 처지에 있는 그곳의 원주민들도 이 외계인들을 등쳐먹고 무시하지만, 외계인들은 견뎌내며 살아갈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28년을 그 곳에서 살아가도 그들은 지구상의 성원이 아닌 ‘외계인’이기 때문이다.
한 남자가 카메라 앞에 앉아 연신 싱글벙글대며 인터뷰를 하는 것으로 영화는 시작한다. 그는 MNU(외계인관리소)에 장인 덕에 초고속 승진을 한 비쿠스라는 사내다. 비쿠스는 이번 제한구역 9에 사는 외계인들을 다른 지역으로 철거하는 사업의 총책임자다. 그런데, 비쿠스는 덜렁대고 큰소리 한 번 제대로 못치는 못난이다. 하지만 유독 외계인들에게는 강경한 어조로 철거통보서에 사인을 강제로 하게 만든다. 외계인의 아이들을 죽이면서 아이들의 비명소리가 팝콘터지는 소리같다고 즐거워하기도 하며, 저항하는 외계인에게 총을 들이댄다.
은 실제 남아공의 요한네스버그에 존재했던 “DISTRICT 6”를 떠오르게 한다. 남아공은 인종갈등이 심해 흑인빈민들을 따로 제한구역, DISTRICT 6 지역에 격리 거주시켰던 역사가 있다. 물론 영화처럼 그 과정은 강제철거와 저항으로 붉은 피가 흘러내렸다. 어쩌면 영화는 영화 속 사람들이 외계인들을 멸시하고 경멸하며 쓰레기나 먹게 만든 것처럼 현실에서 남아공의 백인들도 흑인들을 똑같은 시선으로 바라보고 대접한 이 미친 세상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한편 비쿠스는 철거 과정에서 외계물체의 액체에 노출된다. 그때부터 그는 외계인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그의 장인은 비쿠스를 사위가 아닌 실험용 외계인으로 대한다. 비인간적 고문과 학대를 비쿠스의 장인은 카메라를 통해 무표정한 얼굴로 응시하고, 피부와 뇌, 심장을 꺼내 실험하겠다는 MNU 의사의 말에도, 살려달라는 사위의 목소리에도 무표정하게 걱정말라는 거짓된 위로의 말만 남긴다.
살기 위해 MNU를 탈출한 비쿠스는 결국 외계인거주지역으로 들어간다. 그곳에서 그는 자신이 탄압하고 겁박한 외계인의 도움을 받아 다시 인간이 되기 위하여 자신이 몸담았던 MNU와의 투쟁을 시작한다. 그의 주변에 모든 인간들은 그를 손에 넣어 죽이거나 실험하려고만 했다. 오로지 그에게 도움을 주고 그와 동지애를 나누는 건 외계인밖에 없었다.
그가 인간이 되는 희망을 버리고 살아가는지, 아니면 외계인으로 사는 것을 만족하는지는 모른다. 다만 그가 인간이었을 시절에 그리워하는 건 단 하나, 그의 부인을 생각하며 쓰레기더미에서 꽃을 만들어내는 장면만이 남아있을 뿐이다.
감독은 결국 같은 인간이라해서 모든 인간에게 인류애가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결국 착취자가 피착취자를, 피착취자 또한 누군가를 착취하려고 든다는 경고를 하는 것은 아닐까. 용산사건, 쌍용자동차가 지금의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도 똑같이 다가올 거라는 생각이 들어 더욱 씁쓸하고 슬펐다.
우리는 외계인이 아니며, 언제든 외계인이 될 수 있거나 그와 다름없는 처지가 될 수 있음을 잊고 살아가거나 잊고 싶어 한다. 그리고 지금 우리에게 외계인들은 투쟁하는 노동자, 철거민, 이주노동자, 빈민이다. 그 많은 숫자에도 우리는 그들이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들을 영원히 이해하지 못할런지도 모른다.

아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소웨토(Soweto) 그리고 우리는…



남아프리카공화국하면 넬슨만델라를 기억하고 차별과 업압을 이겨난 굴곡진 현대사를 기억한다. 여기는 소웨토(Soweto),  33년 전이었으니 이 아이들은 태어나기도 전 이었겠지만……. 악명 높은 인종분리정책(Apartheid)에 맞서 싸운 소웨토봉기를 상상하기에 부족함이 없없다. 지금은 예외 없이 불어 닥친 신자유주의 폭압에 맞서 76년 6월 소웨토 봉기만큼이나 뜨거운 100만 총파업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남아공코사투(COSATU)비정규직철폐 총파업 , 공기업사유화저지 등 , 코사투공공부문 총파업투쟁이 그러했다. 남아공과 한국에서의 신자유주의는 도입 시기나 도입과정이 매우 유사하다고 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노동자들은 인종분리정책의 또 다른 이름처럼 다가온 신자유주의 물결 앞에 어떤 노래와 몸짓으로 이 야만의 시대를 헤쳐 나갈 것인가? 그리고 우리는…….
거침없는 리듬을 타며 온몸으로 노래를 불러주었던 이 아이들의 자유와 해방을 향한 뜨거운 몸짓을 기억한다.

❇SOWETO: 인종분리정책에 의한 흑인 거주지로 게토화된 도시이다. 요하네스버그에서 남서쪽으로 16㎞ 떨어져 있다. 지명은 남서부마을들(South Western Townships)의 머리글자다. 소웨토는 사실, 당시 골드러시로 인해 요하네스버그로 유입된 백인들에게 주택부지를 제공하기 위한 백인 정권의 인종분리정책의 일환이었다.
❇COSATU: 남아프리카공화국노동조합회의    
 

박지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