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2021/05/15
- ou_topia
- 2021
-
- 2021/03/10(1)
- ou_topia
- 2021
-
- 2021/03/09
- ou_topia
- 2021
-
- 2021/03/08
- ou_topia
- 2021
-
- 2021/02/06
- ou_topia
- 2021
마르크스21 김하영님의 “리비아 혁명,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단상.
세세한 흐름까지 반영한 일목요연한 글에서 참 많은 것을 배웠다.
근데 마지막 문장에서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다는 느낌을 받았다.
“진정한 진보 지지자라면 서방의 군사 개입에 단호하게 반대하면서도 리비아를 포함한 아랍 전역에서 혁명이 확대·심화할 수 있도록 연대해야 한다.”
우선 서방의 군사 개입은 현실이다. 그 정당성을 논할 수야 있겠지만 반대의 문제는 아니다. 지상군 투입이라면 물론 아직 찬반이 가능하겠다.
두 가지 생각나는 점을 그냥 나열해 보겠다.
1. 서방의 개입으로 새로운 역관계가 형성되었다. 여기에 대한 분석이 없다. 이런 저런 담론을 떠나서, 즉 어떤 주권자나 주체나 집단이 하는 이야기의 옳고 그름을 떠나서, 현지에서 (벵가지, 미스라타) 등에서 어떤 역관계가 형성되었는지 궁금하다.
2. 서방 군사개입과 생과사의 문제에 대한 사유가 부족한 것 같다. 푸고는 <성과 진실>에서 군주의 권력은 “죽게 만들거나 살게 내버려 두는데 있다”고 한 적이 있다. 서방군사의 개입이 이상하게 이것과 겹친다. 단지 좀 다르게. 벵가지에 서방은 “죽게 내버려 두거나 살게 만들기 위해서” 개입했다는 것이다. 거절할 수 없는 권력으로 등장했다는 말이다.
2021/05/15 |
2021/03/10 |
2021/03/09 |
2021/03/08 |
2021/02/06 |
댓글 목록
reverie
관리 메뉴
본문
푸코가 군주의 권력은 "죽게 만들거나 살게 내버려두는데 있다"고 했지만 이건 사실 모든 권력의 속성이죠. 권력이란 최종적으로 생명을 박탈할 수 있는 권한이거든요.제가 리비아항쟁에 대해서 이상한 느낌이 드는건 보통 민간인이 총을 들 때는 광주에서처럼 결국 총을 들 수밖에 없을 정도로 국가권력이 몰고 가지 않으면 안되거든요. 그러나 리비아 동부에서는 짧은 충돌 끝에 재빨리 무장을 했는데 과연 무기를 탈취하거나 하는 조직적인 움직임이 없었다면 이런 일들이 가능했을까. 과연 그들은 튀니지, 이집트처럼 지도자가 없는 풀뿌리들이었을까.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리비아항쟁은 눈에 보이지 않는 지도자가 있었고, 그 지도자는 서방의 승인 아래, 즉 가다피군의 공세가 시작되면 군사개입을 하겠다는 지원 아래 동부의 인민들을 무장시킨게 아닌가합니다.
부가 정보
reverie
관리 메뉴
본문
사실 김하영의 글은 잡다한 사실만 나열하고 있지, 리비아 항쟁에 대한 분석이 없어요. 이를테면 리비아의 이주노동자들, 그들은 왜 거기 왔는지, 그들과 리비아의 실업률과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 없죠. 리비아의 용병들, 왜 가다피는 수입한 군인들로 군대를 채웠을까, 이 문제와 리비아의 부족들이 갖고 있는 자치권에 대한 분석 없습니다. 이 두 요인, 가장 중요하면서도 어쩌면 리비아 항쟁의 비밀을 밝혀줄지도 모르는 요인에 대한 분석이 없다는 점에서 '과학적' 분석과는 거리가 멀죠. 원래 과학이란 징후로부터 대상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지만 김하영은 전혀 이상한 낌새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어요. 그러나 자신은 이론가라고 생각하고 있겠죠. 아무튼 많이 알고 있으니까. 그러나 핵심이 뭔지 파악조차 못하고 있어요.부가 정보
reverie
관리 메뉴
본문
과학과 과학이 아닌 것을 구분하는 것은 과학은 현상을 생산한 구조 속으로 침투하고, 과학이 아니면서도 과학인 척 하는 것은 현상만 가지고 논하는겁니다. 지금의 내전이 어디에서 출발했는지 그 근본을 찾아내려면 사실을 전부 기술(description)하는게 아니라, 리비아라는 내적 구조를 설명(explaination)할 수 있어야돼요. 사실 이거 하려면 방대한 자료를 수집해서 분석(복잡한 형태에서 가장 단순하고 순수한 형태로 쪼개는 것)을 해야하는데 김하영은 가다피의 반민중적 성격과 리비아의 빈곤, 실업률이라는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만 가지고 얘기하고 있어요. 무시해도 좋은 글입니다.부가 정보
reverie
관리 메뉴
본문
노동력이 해외에서 들어올 때는 반드시 그 국가에 자국인들이 하지 않는 일거리가 있어야합니다. 이를테면 전두환 정권이 들어서면서 산업이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으로 재편되면서 소위 3D라고 하는 제조업에서 노동력 공동화 현상이 벌어집니다. 국내 노동력이 다른 섹트로 이동했다는거죠. 그 빈 자리에 이주노동력이 들어오는겁니다. 그렇다면 리비아 역시 가다피 정권 이후 일정하게 석유를 판매한 부가 자국민에게 분배되면서 중동 산유국에서 나타나는 현상, 즉 허드렛일은 외국인에게 시키는 일이 벌어진게 아닌가합니다. 그러다가 지난 십년간 리비아가 개방의 여파로 경제가 침체하면서 리비아인들에게 돌아갔던 수익이 현저하게 줄어들었을 가능성이 있어요. 만일 그렇다면 리비아의 청년실업자들이 과연 튀니지, 이집트 실업자들과 같은 절박함을 가지고 있을까. 그들은 정말 얼마 안되는 직장을 가지고 자기들끼리 경쟁을 해야돼요. 하지만 리비아 젊은이들은 단지 좋았던 한 때를 그리워하는 것일 수도 있어요. 우리가 석유에 대한 지배권을 가지게 되면 ..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