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신현상학 서설 §13

(§13) 이렇게 새로운 세계가 갓 등장하는 단계에서는 전체가 단순함 속으로 침강하여 아직 그 안에 갇혀 있는 상태로만, 달리 표현하면 일반적인 토대로만 나타날 뿐이다. 그런데 문제는 의식의 기억 속에는 지나간 삶에서 영위했던 다채로움이[1] 아직 그대로 살아 남아 있다는 것이다.[2] 그래서 의식은 새로 등장한 형태에서 전개된 내용과 내용이 전개되는 가운데 [보편이 자기 안의 구별을 통해서] 특수한 내용으로 [망울망울] 어우러지는 것을 그리워한다. 그러나 의식이 이보다 더 그리워하는 것은 [개별적으로] 완벽하게 다듬어진 형식인데, 이런 형식에 의해서 비로서 내용적인 차이들이 엄밀하고 구별되고 그들 간의 관계가 [전체 안에서] 확고하게 정립된다.[3] 이와 같은 형식의 연마가[4] 없는 학문에는 보편적인 이해가능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5] 단지 소수의 몇 명이 그들만 소유하고 그들에게만 전수되고  그들만 알아볼 수 있는 소유물이라는[6] 우쭐거림이[7]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우쭐거림에 아무런 실체가 없는 것은 아니다. 밖에서는 알아볼 수 없는 소유물이라는 주장의 실체는 학문이 이제 겨우 [/껍데기]개념으로, 달리 표현하면 개념 속에 깃들여 있는 내면으로만 존재할 뿐이기 때문에 밖에서는 알아볼 수가 없다는 것이고, 소수의 몇 명만의 소유라는 주장의 실체는 등장하는 단계에서 확산되지 않는 학문이 존재하는 양식은 개인적인 것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학문은 완벽하고 명료하게 구별된 상태가 되어야만 비로서 공교(公敎)적이고 이해될 수가 있으며, 이렇게 되어야만 또한 학습이 가능하고 모든 사람의 소유물이 될 수가 있다. 학문의 이해 가능한 형식이란 모든 사람에게 열려있고 모든 사람이 똑같이 거쳐야 하는 학문을 향하는 공평한 길이다. 그래서 오성을 통해서 이성적인 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요구는 학문으로 나아가는 [학문의 편으로 들어오는] 의식이 내세우는 합당한 요구다. 왜냐하면, 오성이란 사유로서, 순수한 자아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이해가 가능한 것이란 이미 알려져 있는 것이고 학문과 비학문적인 의식이 공유하는 것이다. 이 공유를 통해서 비학문적인 의식은 바로 학문에 들어갈 수가 있다.



[1] 원문

[2] 에른스트 블로흐(Ernst Bloch)가 말하는 의식의 현재와 발맞추지 못하는 동시성(Ungleichzeitigkeit)이 착안되는 부분이다. 이 문제는 고리타분한 수구보수의 성격, 나아가서는 파시즘과도 깊은 관계를 갖고 있다.

[3] 헤겔의 보편에서 특수를 거쳐 개별로 나가는 운동이 떠오르는 대목이다. 성급한 사람들을 위한 지적이고, 이것은 다음에 자세히 이야기 될 것이다.

[4] 원문

[5] 원문 <설명하는 그리고>(explikatives Und)

[6] 원문 . 비교(秘敎)·비전(秘傳)

[7] 원문 . 실체가 없는 사이비 은 아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