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독일 신나찌 "국가사회주의 지하연맹"과 헌보청의 역할

2011.7.22 금요일로 검색된다. 그 날 발트해에 있는 섬 뤼겐에 있는 단스케란 마을에서 휴가를 보내다가 연일 비가 줄줄 내려서 하루 앞당겨 독일 북부 발트해안 고속도로를 타고 귀가하는 중이었다. 이런 저런 생각을 하면서 운전하는 중이었다.

발트해안(독일 사람들은 „동해(Ostsee)“라고 부른다)과 개발이 전혀 안된 우커마르크(Uckermark)의 자연을 좋아한다. 그래서 늘 거기서 휴가를 보냈는데 언제부터인가 (서독지역이었던) 북해 지역으로 휴가지를 바꾸게 되었다. 아마 구동독지역에 속했던 발트해안 지역과 우커마르크 지역 사람들의 외국인을 바라보는 시선에 기분이 상해서 그랬을 것이다. 이 지역은 독일에서 나찌잔당이 가장 뿌리깊게 세력을 확장하고 나찌당 NPD가 기초단체의회 진출에 가장 많이 성공한 지역이다. 독일 제국의 지도를 걸어놓은 빵집에서 줄을 서 있으면 기분이 이상하다. „저건 왜 여기에 왔지?“라는 시선을 느낀다. 기분이 잡친다.

내키진 않았지만 알고 지내는 동독출신인 이웃이 주말농장이 있어서 단스케에서 며칠 저렴하게 휴가를 보내게 되었다. 근데 그 지역에서는 앞에서 말한 그런 시선을 별로 느끼지 못했다. 그래서 집에가서 뤼겐지역의 NPD득표율 등을 검색하는 등 이런저런 생각을 하고 있는데 라디오에서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테러가 발생했다고 보도한다. 처음엔 이슬람테러 등을 운운하더니 집에가서 뉴스를 보니 사태의 전말이 전혀 다르다.

느낌이 이상하게 겹쳤다. 독일에서도 가능한 사건? „메르키셔 슈바이쯔(Märkische Schweiz)“라고 불리는 베를린 동쪽에 있는 또 다른 초자연적인 지역에서 산행하다가 독일 국기가 계양되어 있는 집을 지나갈 때 느끼는 이상한 기분이다. 혈기왕성할 땐 일부로 극우가 외국인을 기차에서 밀어 버리는 등 학대 사례가 있는 지역을 찾아가 보기도 했는데 이젠 그런 지역은 아예 피해 다닌다.

근데 작년 11월 „국가사회주의지하연맹/Nationalsozialistischer Untergrund/NSU)이란 신나찌 테러조직이 10년 이상 주로 소규모 자영업을 한 터기사람을 연쇄살인한 것이  우연히 드러났다.

그때까진 수사당국이 이 연쇄살인 사건을 „되너(케밥) 살인“이라고 이름하고 범죄행위자를 잡아내기 보다는 대려 피해자와 피해자 가족을 상대로 수사를 진행했다. 마약밀매 등 조직범죄에 연루되어 그런 변을 당한 것이 아니냐고 (썩을 놈들).

그런데 우연히 이 사건의 전모가 드러나고 (관련 잘 정리된 한국일보 기사 참조), 그 과정에서 헌보청이 이 사건에 깊이 연루된 것으로 드러났다. „헌보청이 NSU에  돈을 건내 주려고 했다“ („Verfassungsschutz wollte „NSU“ Geld zukommen lassen.“/일간지 FAZ),  „헌보청은 이미 1999년 NSU에 대해서 알고 있었다“(„Verfassungsschutz wusste schon 1999 über NSU Bescheid.“/시사주간지 Focus),  „NSU: 한 단서는 헌보청의 연루로 이어진다“(„NSU: Eine Spur führt zum Verfassungsschutz.“/일간지 Hamburger Abendblatt).

사건이 이렇게 불거지자 독일 정계는 반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

급기야 연방하원은 피해자 가족에게  사과하는 공식성명을 발표하고, 지난 목요일(2012.1.26) 만장일치로 조사위원회  결성을 통과시키고 어제 발족되었다. 

연방하원 조사위원회의 첫째 임무로 조사위원회 결성신청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조사위원회는 특히 연방당국이 과실 혹은 불이행으로 ... 테러집단 „국가사회주의지하연맹“의 결성과 공작 그리고 그들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이롭게 하고 이 테러집단이 자행한 범죄행위의 진상규명과 수사를 어렵게 했는지 밝혀야 한다.“ „Der Untersuchungsausschuss soll insbesondere klären, 1. ob Fehler oder Versäumnisse von Bundesbehörden, auch in ihrem Zusammenwirken mit Landesbehörden, die Bildung und die Taten der Terrorgruppe „Nationalsozialistischer Untergrund“ sowie deren Unterstützernetzwerk begünstigt oder die Aufklärung und Verfolgung der von der Terrorgruppe begangenen Straftaten erschwert haben;“)

어디까지 밝혀질지 궁금하다.

 

분명한 것은 신나찌가 악령의 귀환이 아니라 그 악령을 키운 결과다. (한번 각종 조치를 조목조목 들면서 이 주장의 근거를 제시해야겠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횔더린 - Hälfte des Lebens (반쪼각난 삶)

Hälfte des Lebens

Mit gelben Birnen hänget
Und voll mit wilden Rosen
Das Land in den See,
Ihr holden Schwäne,
Und trunken von Küssen
Tunkt ihr das Haupt
Ins heilignüchterne Wasser.

Weh mir, wo nehm’ ich, wenn
Es Winter ist, die Blumen, und wo
Den Sonnenschein,
Und Schatten der Erde?
Die Mauern stehn
Sprachlos und kalt, im Winde
Klirren die Fahnen.


반쪼각난 삶

누렇게 익은 배 한아름 안고  
들장미 난무하게 가득 채운체
들판은 호수로 미끄러져 들어가네
여보시오 백조님들 [날 좀] 굽어 살펴주오  
그러나 백조님들은 [뮤즈의] 키스에 만취하여
초자연의 맑은 물에
머리만 적시네.

찢어지는 아픔 안고 어디가서 구할까?
[옹기종기 모여 앉아 두런거리는] 겨울이 오면, 꽃들을 [다시 피게하는]
해의 양기를,     
그보다 땅의 음기를 어디가서 구할까?
주고받는 말소리가 사라진 벽들은  
차갑게 서있고, 지붕위로 바람만  
풍향기를 삐걱거리네.




제대로 된 번역인지 모르겠다. 이해한 만큼 번역한다면 뭘 이해했는지 먼저 제시해야겠다.

이 시는 헤겔의 정신현상학이 출간되기 2년전인 1805년에 발간되었다. 이 시를 읽어보는 동기는 헤겔과 함께 훨더린이 뭘 추구했는지 알고 싶은데 있다.

 

그들이 추구했던 것이 „실천“이 아니었나 한다. 헤겔이야 어찌되었던 훨더린이 말하는 실천은 „Ge-spräch“, 즉 „말 주고받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런 실천을 통해서 삶이 반쪽으로 남지 않고 온전하게 된다는 것을 이 시가 말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훨더린은 이 시에서 백조가 보여주는 (초)자연적 아름다움의 자기연관성(Selbstbezüglichkeit)에 기대지 않고 Ge-spräch를 통해서 „꽃들을 다시 피어나게 하는“ 상호관계성이란 실천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 시의 핵심단어는 „sprachlos/주고받는 말없이“라고  할 수 있겠다.

어쩌면 헤겔의 정신현상학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겠다. 그러면 주노변증법이 핵심이 되고. 그러면 자기의식에서 „자기/Selbst“는 선험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관계성을 통해서 마침내 형성되는 것이 되고 …
 

사랑하면 사랑하는 사람과 여기저기 다니게 된다. 근데 종종 „사랑하면서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 보낼“ 때가 있다. 재미있는 현상은 사랑하는 사람과 경험했던 장소를 혼자 가보면 그 장소가 썰렁하다. 남아있는 것은 사랑하는 사람과 경험했던 것의 반쪽도 안된다.  이런 직관에 기대어 이 시를 이해해 본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