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프란츠 요셉 데겐하르트 - 토니오 스키아보

 

 
이 노래는 이태리 이주노동자(Gastarbeiter) 토니오 스키아보(Tonio Schiavo)에게 받치는 노래다. 그는 잠깐 서독 도시 헤르네[루르 지역 광산촌]에서 살았다.  ㅣ 

이 노래는 토니오 스키아보에 대한 이야기다.
[못 사는]  메쪼조르노[남부 이태리지역] 에서 태어나  [못 먹어서]  제대로 크지 못하고
아내에다 아이 여덟, 그 중 세명은 죽어가는 상태, 
거기다 이복동생을 합한 여동생 세명과 함께 한 방에서 살다가
먼 길을 떠난 토니오 스키아보 

그는 먼 곳, 페러다이스로 가버렸다.
헤르네 근처 어딘가에 있는 페러다이스로.

메쪼조르노에서 온 12명의 동료와 함께 지내는
지붕 밑 창고 합숙다락방,
100마르크 월세에 저녁 9시에 소등,
저녁이 되면 쪼그려 앉아 포도주를 마시고,
어쩌다가 다락방 창문을 통해 

진짜 별들이 페러다이스를 비춰주기도 했다.
헤르네 근처 어딘가에 있는 페러다이스를.

토니오는 알찬 돈을 집에 보내고
메쪼조르노에서는 돈을 새어보고 입이 찢어지고.
그는 일하고 또 일했다. 시급 10마르크 공사장에서.
그리고 어느날 상량식이 다가왔고 모두 만취했다.
작업반장이 그를 이태리돼지새끼라고 불렀다. 

토니오의 귀에 거슬렸다 – 더구나 페러다이스에서 
헤르네 근처 어딘가에 있는 페러다이스에서 

토니오 스키아보는 칼을 뽑았다. 
메쪼조르노에서 가지고 온 잭나이프였다.
툭 튀어나온 작업반장 배에 찔러 박았다.
배에서 피가 철철 쏟아지고 맥주도 푹 쏟아져 나왔다. 
네명이 곧바로 토니오 스키아보를 붙들어 잡았다. 

토니오는 발 밑으로 헤르네가 펼쳐졌다. 페러다이스가  
헤르네 근처 어딘가에 있는 페러다이스가 더 이상 멀지 않았다. 

이렇게 토니오 스키아보의 생이 끝났다.  
메쪼조르노에서 태어나 제대로 크지 못한 토니오 스키아보의 생이.
그들은 그를 70미터 밑으로 던져버렸다. 
보도블럭에 철썩 떨어졌다. 삐적 마른 남자 10명 바로 앞에 ,
피곤하고 축 쳐진체  

먼곳 메쪼조르노에서 페러다이스에 방금 도착한
헤르네 근처 어딘가에 있는 페러다이스에 방금 도착한 사람들 앞에. 


Dies Lied ist gewidmet dem italienischen Gastarbeiter Tonio Schiavo. Er lebte nur kurze Zeit in der westdeutschen Stadt Herne.

Das ist die Geschichte von Tonio Schiavo,
geboren, verwachsen im Mezzo-giorno.
Frau und acht Kinder, un drei leben kaum,
und zweieinhalb Schwestern in einem Raum.
Tonio Schiavo ist abgehaun.

Zog in die Ferne,
ins Paradies,
und das liegt irgendwo bei Herne.

Im Kumpelhäuschen oben auf dem Speicher
mit zwölf Kameraden vom Mezzo-giorno
für hundert Mark Miete und Licht aus um neun,
da hockte er abends und trank seinen Wein,
manchmal schienen zum Dachfenster rein

richtige Sterne
ins Paradies,
und das liegt irgendwo bei Herne.

Richtiges Geld schickte Tonio nach Hause.
Sie zählten´s und lachten im Mezzo-giorno.
Er schaffte und schaffte für zehn auf dem Bau.
Und dann kam das Richtfest und alle waren blau.
Der Polier, der nannte ihn "Itaker-Sau".

Das hört er nicht gerne
im Paradies,
und das liegt irgendwo bei Herne.

Tonio Schiavo, der zog sein Messer,
das Schnappmesser war´s aus dem Mezzo-giorno.
Er hieb´s in den fetten Bauch vom Polier,
und daraus floss sehr viel Blut und viel Bier.
Tonio Schiavo, den schnappten gleich vier.

Er sah unter sich Herne,
das Paradies,
und das war gar nicht mehr so ferne.

Und das ist das Ende von Tonio Schiavo,
geboren, verwachsen im Mezzo-giorno:
Sie warfen ihn siebzig Meter hinab.
Er schlug auf das Pflaster und zwar nur ganz knapp
vor zehn dünne Männer, die waren müde und schlapp,

die kamen grad aus der Ferne - aus dem Mezzo-giorno -
ins Paradies,
und das liegt irgendwo bei Herne.
 
(1966년에 발표된 음반 <Väterchen Franz>에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프란츠 요셉 데겐하르트와 <저급한 아이들과 놀면 안돼>

ou_topia님의 [프란츠 요셉 데겐하르트 <저급한 아이들하고 놀면 안돼>] 에 관련된 글.

 

작년 11월, 그니까 11월 14일 라디오 방송을 듣다가 우연히 프란츠 요셉 데겐하르트가 79세로 별세했다는 뉴스를 들었다. 나도 모르게 <Spiel nicht mit den Schmuddelkindern>을 불렀다. 고등학교 다닐 때 알게 된 이후 종종 불러보는 노래다. 이 노래는 1965년 같은 제목으로 발표된 음반에 선보인 발라드로서 독일 68세대를 대표하는 노래라고 할 수 있다.

이 노래와 함께 프란츠 요셉 데겐하르트를 한번 소개해야겠다고 생각하다가 이제야  실행에 옮기게 되었다. 

세상이 참 아니러니하다. 독일 학생운동의 상징이자 대표였던 루디 두치케를 사냥 몰이했던 빌드지를 발간하는 스프링어하우스가 있는 길이 최근에 코흐슈트라쎄에서 루디-두치케슈트라쎄로 개명되는가하면, 독일의 소위 교양부르주아지를 신랄하게 비판한 프란츠 요셉 데겐하르트를 바로 독일의 교양부르주아지를 대변하는 신문이라고 할 수 있는 프랑크푸르트알게마이네짜이퉁이 가장 충실하고 성실하게 소개하고 추모한다. (이것은 물론 내 느낌이다.) 그래서 이 추모문을 프란츠 요셉 데겐하르트와 <저급한 아이들과 놀면 안돼>를 소개하는 글로 번역해 본다.



부르주아지의 모든 길들이기 행위에 대항하여


프란츠 요셉 데겐하르트는 60-70년대에 정치적인 노래로 한 세대 전체를 대변하는 작가가 된다. 그가 오늘 79세로 별세했다.


프란츠 요셉 데겐하르트는 한결같이 자기 확신에 충실했다.


그는 동부권 붕괴 후 공산주의의 미래를 믿느냐는 질문에 손자와 증손자에게 희망을 건다고 대답했다. „이 전투에서는 패배했다. 그러나 [투쟁은]은 계속 된다.“ 그가 갖는 희망의 근거를 제시하는 이 대답에는 또한 변호사, 작가 그리고 가수인 데겐하르트의 성품이 잘 드러난다. 한번도, 어떤 경우에도 자기신념을 한줌이라도 포기한 적이 없고, 회의하지 않고, 장기간 용기를 상실한 적이 없다.


저급한 아이들과 놀기


그는 급진적으로 정치적인 노래작가로서 독일 힛트페레이드에 오른 몇 안되는 작가이며 거기다 „저급한 아이들과 놀면 안돼“는 에버그린으로 불려지는 노래다. 1965년에 창작된 이 노래는 오늘 들어도 닭살이 돋는다. 독일 전후 세대의 삶을 반영하는 이 노래는 사실  한 사람의 생을 그린 쓰라린 소설이다.


사회적 존망의 대상이 되는 착실하게 삶을 꾸려나가는 부모에 반항하는 아이에 대한 이야기다. 그는 살고 있는 상류층 지역(Oberstadt)에서 „66카트놀이 하고, 여자아이들 치마 밑을 들여다보고, 솨솨 비오는 날에는 머리빗을 입에 물고 쥐잡는 노래를 부르는 바보 엥엘베르트에게 귀를 기우리는 곳“으로 빠져나온다. 유아시절의 이런 색다른(schwarz) 페러다이스가 불운을 불러 일으킨다. 상류층 사회(Oberstadt)는 소년에게 „허리와 함께 말 구부리는 법, 삐적 마른 얼굴을 빠알같게 화장한 문화인들 앞에서 달달외운 어린의 정경을 띵똥거리“는 것을 가르친다.  „보란듯이 부자“가 된 후 데겐하르트의 끔찍한 영웅은 교통사고로 육체적/정신적으로 장애자가 되고 저급한 아이 한 명을 겁탈하다가 그 동료들에 의해 익사당한다.  


이렇게 철저하게(radikal) 부르주아지의 길들이기 행위를 폭로하고 아웃사이더를 찬찬히 조명한 사례로는 데겐하르트 이전에 단지 조르주 브라상스를 들 수 있고 쟉 브렐이 종종 그랬다고 할 수 있겠다. 1960년 즈음 변호사로 일하는 것과 병행해서 가수로서 무대에  오르기 시작할 때에 그는 앞 작가들 외에 브레히트, 투홀스키, 베데킨드 등을 따르려고 노력했다. 뭐가 그를 더 유명하게 만들었는지 말하기 어렵다. 1968년 „68세대의 가수“란 타이틀을 안겨준 그의 노래 때문인지 아니면 동년에 APO 원외야당 멤버를 변호했기 때문인지 아니면 1970년 독일 음반상을 받아서인지 아니면 1972년 [독일 적군파 모태인] 바더/마인호프 그룹을 법률적으로 지원해서 그런지 말하기 어렵다.


데겐하르트의 단호함이 아쉬울 것이다


바더/마인호프 그룹을 변호한 것과 더불어 사민당에 공산당으로 당적을 옮긴 것에 관해서는 찬반논쟁이 근거있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데겐하르트 노래 가사가 갖는 말의 사로잡는 힘과 구상력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지 않을 것이다.  (…) 또 그가 출판한 음반 제목은 독일연방공화국이 걸어온 발자취를 그린 단편소설과 같이 들린다. „Im Jahr der Schweine/돼지들의 해에“ (1969), „Mit aufrechtem Gang/허리를 굽히지 않고“ (1975), „Da müssen wir durch/상황를 뚫고 나아가야 할 때다“ (1987) 그리고 „Weiter im Text/글로 계속“ (1996) 등 몇몇 제목만 소개해도 그렇다.


1986년 브라상스의 노래를 독어로 번역하여 모음집을 발표할 때 사용한 제목 „벤치에 앉은 젊은 커플들/Junge Paare auf Bänken“과 같은 부드러운 음성은 예외다. [음반 제목은 보통 투쟁적이거나 비판적이다.] 그러나 무대에 서면 전적으로 부드럽고 미소를 자아내면서 삶의 기쁨에 도취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12월 19일 베를린너 앙상블이 팔순 기념을 위해 계획한 연주회에서도 아마 그랬을 것이다.  오는 12월 3일이 팔순잔치였다. 그러나 프란츠 요셉 데겐하르트는 이번 월요일 함부르크 근교Quickborn에서 별세했다. 그의 단호함이 [독일연방]공화국에 [사는 우리에게] 아쉬울 것이다. 단지 음악적으로만 그런 것이 아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