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10/08/27

3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0/08/27
    2010/08/27
    redbrigade
  2. 2010/08/27
    2010/08/27
    redbrigade
  3. 2010/08/27
    2010/08/27
    redbrigade

2010/08/27

  • 등록일
    2010/08/27 13:48
  • 수정일
    2010/08/27 13:48

당대에 가장 흔하게 작동하는 심리 현상은 '원한'(ressentiment)과 원망(Wunsch)이 아닐까? 각자가 가지고 있는 그 원망, 가장 강한 그 무의식은 사실상 결코 그 대상(objet)을 쟁취할 수 없는 운명에 놓여 있다. 대상과의 동일시의 본질은, 그래서 '비동일시'가 된다. 문제는 이 비동일시의 운명 안에서 인간은 지속적으로 그것의 충족을 향해 맹목적으로 돌진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아무것도 의지하지 않기보다, 인간은 허무를 의지하기 때문이다(니체).  그렇다면 이제 문제는 이러한 원망충족의 지향을 방해하는 것들이다. 이때 무의식의 카덱시스는 자신이 위장하고 있는 그 원망충족이라는 희망에 반해 '진실'을 알려주는 모든 대상들에게 적의를 품는다. '너는 끝내 좌절할 것이고, 남는 것은 허무밖에 없다'는 그 진실 말이다.

 

이 진실은 곧 생의 덧없음을 표현하는 것임에도, 원한에 휩싸인 자는 이 덧없음을 인정하기보다 거기에 화려한 미래라는 위장물을 덧씌운다. 그것이 바로 허무를 의지함으로써 원망충족의 좌절이 죽음에 이르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 끈질김, 이 무서운 집착. 이것들은 자신의 나르시스적 원망을 향하면서 끝없는 사랑을 고백하지만, 그것을 방해하는 것에 대해서는 목숨을 건 투쟁을 시작하는 것이다.

 

이것이 당대적 현실이라면, 지금 인간들은 서로를 공멸로 몰고가지 않기 위해 안간힘 쓰는 것이 된다. 제도와 관습, 그리고 조직적 고려가 투여된 합의 같은 것들은 이런 각자의 투쟁을 공통된 이념 아래 포섭하고, 하나의 사회적이면서 동시에 선험적인 어떤 자아, 초월적 통각을 도출하기 위한 과정이며 그 매듭들이다. 본질적으로 분열적인 사회체는 이 과정을 통해 기능부전에 빠지지 않고, 각각의 매듭(노드)들을 통해 속도를 조절한다. 결국 분열증의 평면에 편집증의 매듭들. 이것이 사회체의 전체 구도라 할 수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8/27

  • 등록일
    2010/08/27 13:10
  • 수정일
    2010/08/27 13:10

내일 어떤 이야기들이 나올지 모두는 아닐지라도 일부  예상될 수 있다. 당시 내 거취에 관한 내용이 분명 다루어질 것이다. 하지만 그때만 생각하면 끔찍하다. H는 얼마나 집요한가. 이렇게 해서 끝까지 나를 괴롭힐 것인가? 단호하게 행동해야 한다.  피도 눈물도 없다는 말은 이럴 때 하는 말일 것이다.

 

분명하게 밝히자. 그리고 앞으로의 내 거취도 함께 그렇게 하자. 조직 내에서 더 이상 나 자신의 자유를 희생해서는 안 된다. 이제 난 혼자가 아니니 더 그렇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8/27

  • 등록일
    2010/08/27 00:19
  • 수정일
    2010/08/27 00:20

원한이 깊은 자를 대하기는 두렵다. 이 사람은 사태를 보는 눈이 멀어 있으므로, 사랑을 모른다. 분노는 무지에서부터 나오고 사랑은 이해에서 부터 나오기 때문이다. 이 사람을 대할 때는 희생을 각오해야 한다. 하지만 더 끔찍한 것은 대개의 사람들이 이 사람과 같다는 사실이다.

 

원한이 깊은 자는 자신의 상처를 정당화하기 위해 타인의 고통을 필요로 한다. 그 고통이 곧 스스로의 상처가 영광스러운 것이라는 증거가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이 맹목, 이 어두운 본능. 감정은 상상력이 동요하는 그 순간 상상력의 에너지를 먹고 자란다. 지혜로 향하지 않고 죽음으로 향하는 상상력은 곧 원한이 될 것이다. 그 원한이 다시 상상력의 방향을 재정립할 것이고, 지혜와는 더 멀어진다.

 

어떻게 대할 것인가? 그의 원한이 타자의 고통을 수반한다는 그 사실을, 그리고 그 고통이 결코 자신의 상처보다 작지는 않다는 것을 어떻게 이해시킬 것인가?

 

--------------------------------------------------------------

내가 괴로워하는 사이에 사랑은 저 멀리 있다. 현격함. 또는 서러움. 너는 너대로, 나는 나대로 이렇게 슬퍼한다. 내가 투쟁하는 그 지점에서 너는 저만치 떨어져 있고, 오히려 그것이 더 안전하다. 내가 원하는 것도 그것이다. 하지만 더러 이렇게 슬프다. 이런 경우 나는 어째서 홀로인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