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진보대연합·통합진보정당 노동자정치의 길인가?

진보대연합론, 무엇이 문제인가?
MB정부 들어 민주대연합이 유행처럼 번지다가 ‘노동자민중운동의 독자성과 연대’라는 진보대연합이 급부상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진보대연합론 내부를 들여다보면 위험 요소가 상당히 많다.
가장 위험한 주장은 “진보대연합은 전략이고 민주대연합은 전술이다”라는 입장아래, 상황에 따라 민주대연합을 탄력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로 민노당에서 나오는 이런 주장은 진보세력의 결집과 민주당 등과의 후보단일화를 동시에 이루려는 전략이어서, 민주대연합 성사를 위한 보족물로서 진보대연합을 위치지울 가능성이 크다. 
둘째, 진보대연합에 포괄될 주체문제다. 진보대연합을 주창하는 세력들은 공통적으로 민주당과의 후보단일화를 강력히 주장하는 시민사회단체를 진보적 NGO라는 이름아래 진보대연합의 범주로 설정한다. 나아가 “국민통합당에 대해서는 판단하기 어려워”(노회찬), “과거를 따지고 묻는다면 누가 같이 할 수 있는가”(이수호)라며, 친노무현세력에도 문을 열어두고 있다. 이런 식이면 진보의 범주에 신자유주의개혁세력의 하위파트였던 NGO와 신자유주의 개혁세력인 친노무현 국민통합당(자본가정당)이 포함되는 혼란이 생긴다.
게다가 진보세력이 뭉쳐야 한다는 주장만 있지, ‘무엇이 진보의 내용이 되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제대로 논의조차 안된다. ‘단결(통합)하지 않으면 다 죽는다’(민노당, 민주노총)는 협박류의 주장이나, ‘사회경제·초록생태 민주주의’와 같은 노동자민중적 성격이 애매한 대안연대(진보신당)만이 주창되고 있을 뿐이다.

통합진보정당, 대안이 될 수 있는가?
진보대연합를 넘어 진보세력이 총결집해 ‘통합진보전당’을 건설해야 한다는 입장도 강공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민주노총이 최근 통합진보정당 건설 10만 조합원서명운동에 돌입하는 한편, 통합진보정당 건설 논의기구를 진보정당세력을 넘어 제 민중사회단체로까지 확대추진하고 있다. 통합진보정당 건설을 선거대응과 연결시켜, ‘2010년 지자체 선거 전 진보정당 통합선언(약속) → 통합진보정당으로 총선과 대선 대응’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민노당과 한국진보연대가 적극 환영의사를 밝히고, 다함께나 사회당 등 이른바 좌파정치세력까지 큰 틀에서 동의입장을 밝히고 있다. 진보신당도 “새로운 진보를 중심으로 한 통합정당 만드는데 선거연합이 발판이 될 것”(노회찬)이라고 얘기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진보정당 건설 구상은 노동자정치세력화나 진보정당운동의 위기를 진보정당운동의 ‘분열’에서 찾는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노동자정치운동(진보운동)의 반성적 성찰 없이 주창되기 때문에 모든 진보운동·노동자민중운동세력를 포괄해내는 설득력도 가질 수 없다. 더구나 지향과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않음으로써, 형식(집)만 키우자는 것으로 과거의 현재의 진보정당운동의 문제점을 그대로 답습할 가능성이 크다.
反(반)자본에 근거한 진보진영의 연대, 진정한 노동자정당 건설만이 답이다
노동자민중운동(진보운동)은 당연히 연대해야 한다. 그리고 반MB투쟁전선의 핵심주체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노동자민중운동이 추구해야 할 반MB투쟁은 보수야당이나 시민단체와  달리 ‘반자본투쟁’이어야 한다. 즉 노동자민중운동은 ‘자본의 위기전가에 맞선 노동자민중의 제권리 쟁취’와 ‘정권의 폭압적 탄압 분쇄 및 민주주의의 확장’을 위해 투쟁하고, 동시에 이 투쟁을 ‘인간을 위한 생산체계’와 ‘노동자민중권력 쟁취’라는 방향 아래 안내할 진정한 노동자정당(사회주의노동자정당)을 건설해야 한다.진보대연합과 진보정치를 자본가정당(보수야당)과의 무원칙한 연대·연합를 추구하기 위한 발판으로 삼거나, 보수야당과의 양적 경쟁(예를 들어 복지확대 수준) 수준의 정책대안과 정치적 전망을 제출하는 진보정치에 갇혀서는 안된다.
 

장혜경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