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오롱 사쪽이 개설한 파업관련 홈페이지(together.ikolon.com)<사진> 자유게시판이 노조에 대한 인신공격과 색깔론이 난무하는 ‘쓰레기통’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코오롱은 회사의 공식 홈페이지(www.ikolon.com)에 파업관련 홈페이지로 이동하는 배너를 달아 네티즌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특히 “민주노총 모 간부는 내부적화 통일을 위해 파견된 간첩”과 같은 상식 이하의 글이 버젓이 올라오는 등 노조를 흠집 내려는 마타도어가 도를 넘어서고 있는 상황이다.
13일 노조에 따르면 코오롱노조의 파업이 50일을 지나면서 노사 양쪽의 대립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회사가 개설한 홈페이지에 ‘민주노총의 간부는 간첩’이라는 네거티브식 루머와 인신공격으로 일관하는 글들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최근 모 경제신문 기사와 관련한 댓글에서 한 네티즌은 “민주노총 구미지역협의회 모 간부는 간첩으로 사료된다. 북한의 위장 공비술은 뛰어나다”는 글로 특정 노조 간부를 공격했으며 “간첩이 맞기 때문에 안기부에 신고하자”는 비아냥도 덧붙였다.
또 “노조원들이 의식화되더니 앞만 보고 가는 로봇이 됐다” “코오롱 다닌다고 자랑스럽게 이야기하고 회사에서는 불평 불만하는 알밥통” “코오롱 노조는 전국에서 가장 살찐 노조” 라는 언어폭력이 난무해 노조원들이 황당해 하고 있다.
노조는 이와 관련 “파업에 거부감을 갖더라도 민주노총 간부를 간첩으로 낙인찍고 인신공격으로 일관하는 글을 버젓이 게시하고 있는 것에 분노한다”며 “코오롱이 최소한의 양식과 도덕을 갖춘 기업이라면 이런 말도 안되는 악선전을 방치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간첩으로 매도된 당사자가 변호인을 통해 소송을 제기하거나 국가인권위원회 제소 등의 법적 대응을 강구한다는 방침이라고 노조는 밝혔다.
노조원들이 자유게시판에서 잇따라 삭제를 요구하는 등 파문이 일자, 홈페이지 관리자는 ‘상호간의 비방을 삼가자’라는 글을 통해 문제의 글을 곧바로 삭제했다.
한편, 코오롱건설의 대표이사 민 아무개씨도 올초 현장 순시 중 “민주노총은 공산당의 사고와 비슷하며 따라서 건전한 노조는 기대할 수 없다”라고 발언, 코오롱건설노조가 지난 4월께 규탄집회를 개최한 바 있다.
------------------------------------------------------------------------------
인터넷 확장은 양면성을 갖고 계급적 도구로서 이용되고 있다.
초기 정보통신영역에 대한 무관심으로 일관하던 정부와 자본은 정보통신기술이 갖고 있는 효율성을 통하여 자본의 부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전략을 구상한다.
벤처의 서막 그리고 벤처는 끝내 거품으로 끝나고 말았고, 대기업 중심으로 종속되어져 파견, 하청, 도급 등 노동자들의 고용불안 및 비정규직 노동자를 양산하는데 압장서고 있다.
대우자동차 사태에서 사측은 정보통신의 위력을 실감하였다.
대우자동차 경찰폭력 동영상은 인터넷회선을 타고 남한의 방방곡곡을 누볐다. 이에 머물지 않고 경찰의 폭력행사에 대한 부당성을 사회적으로 환기시키기 까지 하였다.
이러한 인터넷의 위력의 위압감을 느낀 정부와 자본은 급기야 알바 또는 사원들을 이용하여 파업투쟁을 전개하는 자사의 노동조합홈페이지에 유언비어를 퍼트린다. 이 행위는 대박을 터트렸다. 노동조합은 이 사안에 정면대응보다는 파장을 우려하여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을 폐쇄한다. 이를 넘어서 홈페이지 자체를 폐쇄하는 노조도 생겼다.
이 사건 직후 노동조합들은 인터넷 홈페이지의 민주적 운영보다는 자신들의 유리한 내용들을 선점하고자 아예 홈페이지 온라인 실명제를 도입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인증(로그인)을 통한 홈페이지 접속하는 방향이 추세를 이루었다. 지금도 변함없다.
파리가 무서워 초가삼간을 태우는 것이다.
인터넷의 민중적 권리가 노동조합 및 단체 홈페이지에 구현되기에는 아직 홈페이지에 갖고 있는 여러쟁점에 대한 인식이 부재한 상황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지역에 있어서 홈페이지에 접근하기 어려운 노동자 특히, 연령이 맞거나, 정보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노동자들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다.
민중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이전 우리는 사회적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공간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현재 방송위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역공동체(소출력) 라디오 운동이 영상미디어센터를 중심으로 하여 내년부터 시범사업으로 1년간 시행된다. 서울2개 지역3개란다.
이 방송은 특히 노동으로부터 소외된 여성, 이주, 장애,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채널로서 확보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
우리가 무엇을 이야기하기전 구체적 실천이 가능한 범위가 무엇인지.... 우리는 제기해야 한다. 이전처럼 공허한 메아리로 되어서는 안된다.
노동조합의 홈페이지 운영 실태부터 천천히 뜯어 고치고, 자본과 한번 맞장을 떠보자.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