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노동자들은 투쟁을 먹고 산다.

  • 등록일
    2004/12/21 22:19
  • 수정일
    2004/12/21 22:19
2002년 02월 27일 21시 28분 01초 철도역사 100년 기나긴 굴종과 억압의 사슬을 부수고 노동자계급임을 자랑차게 선언한 철도노동자의 총파업투쟁 현장에 있었던 가슴벅찬 순간들이 그동안 잊고 지내던 나의 주관적 관념의 망상을 모두 날려버렸다. 철도노동자 투쟁에 함께 있었던 것 만으로도 가슴이 벅찼다. 그러나 오늘은 철도노조 지도부의 휴지조작처럼 언제나 찢어버리면 그만인 특별단체협약합의(안)체결을 통하여 역사적 총파업투쟁이 노동자계급투쟁으로 발전하지 못한 현실 또한 보았다. 분명 나의 일이 아닌데 일손이 잡히지 않고 무언가 얻어맞은 기분에 도취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나의 무능 또한 세삼보았다.


그러나 철도노조 조합원의 총파업투쟁의 그 생동감은 잊어지지 않을 것이다.그건 바로 그들 스스로가 노동자계급이 단결하였을때만이 역사의 주체요 세계의 주인임을 총파업투쟁을 통하여 각성하였기 때문이다. 오늘 지도부의 총파업투쟁 철회하였을때 조합원들이 지도부에게 끝까지 투쟁하자고 호소하는 모습을 보면서, 아직 노동자들의 투쟁은 끝나지 않았다라는 것을 눈을 통해 보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동자들은 투쟁을 먹고 산다라는 생각을 들었다. 노동자들은 개인이었을때 자본가들에 의한 착취와 억압으로 피박받지만 단결된 노동자계급으로써 우뚝솟았을때는 그누구도 막을 수 없다. 그러나 투쟁의 최선봉에서 노동자들을 진두지휘할 지도부는 노동자계급성을 망각한 행각을 벌었다. 철도노조 3대요구안 투쟁을 경제투쟁으로 국한 시킨 노조집행부의 지도의 부재로 철도의 역사적 총파업투쟁의 정신을 심각히 회손하였다. 철도노조 조합원의 총파업투쟁을 김대중정권의 신자유주의 구조조정 정책을 분쇄하기 위한 노동자게급의 정치투쟁이었다. 아니 사회변혁의 기초를 다지는 계급적 정치투쟁이었다. 그러나 지도부는 정치투쟁의 정신을 망각하고 경제적 투쟁으로 총파업을 귀결하여 철도노조 투쟁이 단지 생존권 사수 아니 밥그릇 쌓기 투쟁으로 전락시켜 버렸다.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는 살인을 부르는 근무조건, 한해 30여명이 넘는 철도노동자들이 철노, 작업현장 등지에서 산재, 과로사로 죽어가고 있다, 주70시간이 넘는 24시간 근무, 언제나 산재의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노동작업현황, 관리자의 온갖 탄압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정리해고의 칼바람과 민영화(사유화)를 통한 철도노조 구조조정, 그들은 공공영역에 대한 국가의 투자회피 및 공적영역에 대한 재원확대를 통한 국민의 안전과 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국민모두의 철도를 만들고, 기간의 억압을 분쇄하기 위한 자본가 정권과의 싸움을 전개하였다. 건대 철도노조 농성장에서 조합원을 믿고 투쟁에 동참하였다며 울먹거리 어느 여성조합원의 목소리가 아직도 머리속에 떠나지 않는다. 철도노조 노동자들 스스로 조직하여 철도노조 총파업투쟁을 전개하였다. 총파업투쟁을 전개하기 위하여 조합원들은 민주노조 집행부가 들어서자 마자 계속되는 철도내의 비민주적 요소를 타파하는 투쟁을 통해 총파업투쟁을 조직하였다. 그리고 끝까지 총파업투쟁을 전개하자고 조합원들은 지도부에게 호소하였다. 왜 지도부는 조합원들의 말에 귀기울지 않는가? 왜 조합원이 투쟁하자고 눈물로 분노로 호소하는데 그걸 묵살하는가? 합의안이 중요한 것인가? 아니면 자신의 안위가 중요한 것인가? 역사적인 총파업투쟁은 끝났지만 이 파업은 누가 책임 질 것인가? 역사가 아니면 지도부가 아니면 위원장이 그 누구도 노동자 개인에 대해 책임져 주지 않는다. 그 개인에 대해 책임을 져주기 전에 전체가 구속될 각오가 되어있어야 마땅하지 않았는가? 이후 투쟁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현장에서 투쟁이 계속되어져 이후 더많은 사안들에 대하여 승리를 얻자고들 말한다. 그러나 총파업투쟁을 통해 얻지 못하면 그이상 아무것도 없음을 우리는 역사를 통해 배우고 또 배워왔다. 왜 배워왔는가 더이상 그러한 오류를 범하지 않고 투쟁을 통해 진정 노동해방 그리고 이땅의 노동자계급해방을 위해 나아가기 위함이었다. 오늘 철도노동자들의 총파업투쟁에서 나는 희망과 그리고 철도노동자의 분노를 보았다. 이제 3울 11일 13일 특별단협교섭합의(안)을 가지고 조합원 찬/반투표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나는 어제들은 철도노조 김재길위원장의 핸드폰 육성을 통해 들은 교섭위임은 한국노총에 하였지만, 교섭타결권은 조합원들에게 있다며 총파업투쟁을 끝까지 사수하겠다는 말을 똑똑히 들었다. 그러나 교섭타결권을 조합원들에게 주는데 왜 이리도 시간을 오래 잡은 것인가? 무엇이 무서웠던 것인가? 총파업투쟁 현장에서 총파업철회냐 투쟁이냐를 먼저 논하고 교섭타결안에 대한 찬/반투표가 이루어져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위원장은 조합원 아니 철도노동자들에 대한 심각한 배반행위를 한것이다. 누가 조합원들의 목숨을 담보로 특별단협교셥합의(안)에 찬성을 하였는가?지도부는 이에 대한 조합원 사죄를 통하여 총사퇴해야 할 것이다. 이것 만이 3월 11일 13일 찬/반 투표에서 특별단협교섭합의(안)이라는 허울을 분쇄하고 철도노조가 내걸었던 국가기간산업 민영화(사유화) 저지, 노동조건 개선, 해고자 원직복직이 될 수있을 것이다. 아직도 믿기지가 않는다. 건국대에서 울려퍼진 철도노동자들의 힘차게 외치던 끝까지 투쟁하여 총파업투쟁 사수하자라는 구호가 사라졌음을.... 간장 오타맨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