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신현상학 서설 § 68, 69, 70, 71, 72 -끝

§68) 철학 고유의 터전에 들어와서도 우리는 위와 유사한 작태를 볼 수 있다. 정신이란 원래 장구한 도정을 거치면서 풍부하고 심오하게 운동하는 가운데[1]지에 도달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신으로부터 직접 계시를 받았다고 내세우는 자가 있는가 하면 일반상식을 내세울 뿐 본래적인 의미로서의 철학하기는 고사하고 철학 외의 지를 놓고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고 자신을 연마하지도 않은 자가 자기자신을 그대로 정신의 장구한 도정과 운동의 완벽한 등가물로, 아니면 아주 우수한 대체물로 간주하는 작태를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마치 도사리를 인삼의 대용품으로 치켜세워는 것과 같다. 여러 명제간의 연관성은 고사하고 추상적인 명제 하나에도 집중하지 못하는 무지하고 형식도 품위도 갖추지 못한 저속한 자가 자신의 이런 사유야말로 사상의 자유로움과 관용이라고 떠버리는가 하면 형식에 구애 받지 않는 천재성이라고 장담하는 장관은 눈뜨고 보기에 참 딱한 사정이다. 요즘 들어 이런 천재성이 철학계를 휩쓸고 다니는데, 주지하는 바와 같이 그것이 한때 시의 세계에서도 그런 적이 있었다. 그러나 그런 천재성이[간혹] 정신을 차려 산출한 것은 시라기보다는 삼척동자 수준의 시시한[2]산문 수준이었고, 그 수준을 넘어서는 횡설수설일 뿐이었다. 지금에 와서는 자연스럽게 철학하기라는 풍조가 이와 같은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 이런 풍조에 젖어있는 자는 자기가 개념을 넘어선 수준에 와 있고 그런 자질로 개념따위만을 다루기는 아깝다고 자만하면서 이런 개념 결핍증이야말로 바로 직관적이고 시적인 사유가 되는 길이라고 주장하지만, 사실 그가 사유의 힘이라고 주장하는 상상력은 사상의 힘에 의해 오직 해체될 뿐이므로, 자연스럽게 철학하기 풍조란 이런 해체된 상상력이 여기저기서 갖다 붙인 합성물을, 생선도 아니고 육류도 아닌, 시도 아니고 철학도 아닌 이상 야릇한 조작물을 가지고 장터에 나와 떠벌리는 격이다.

§69) 그런가 하면 이와 대조적으로 또 다른 자연스럽게 철학하기 풍조에 젖어있는 자도 있는데, 이 자는 일반상식이라는 안락침대에 누워 두둥실 떠가듯 여유만만하게 삼척동자도 알만한 시시한 진리를[3]이리저리 꾸며 최상의 것으로 내놓는다. 이때 그러한 진리를 통해서 얻어지는 것이 전혀 없다고 추궁하면 그는 참다운 의미와 그 완성된 모습은 자기 마음속에 있다고 대꾸하고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타인의 마음속에도 있을 것이라고 장담한다. 이런 장담은 어쨌든 심정의 순결함, 양심의 순수함 등에 호소함으로써 할말을 다한 것처럼 행세하는 것인데, 사태가 이렇게 되면 항변할 수도 없고 더 이상을 것을 요구할 수도 없게 된다. 그러나 철학에서 문제로 삼고 돌진했던 것은 최상의 것을 내면에 방치해 두지 않고 지하 갱에서 파내어 백일하에 드러나게 하는 것이 아니었던가? 위와 같은 유의 최후의 진리를 내놓는 일은 오래 전에 이미 행해진 일로서 이젠 그만두어도 된다. 왜냐하면, 그런 따위의 진리는 이미 교리문답서나 민속속담 같은 데에서 찾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이와 같은 진리의 정체를 밝혀내는데 있어서 그의  모호성이나 편견성을 꼬집어 반박하고, 그런 진리를 말하는 의식이 뒷면에는[4]흔히 그와 정반대 되는 진리가 있다고 보여주는 것은 어렵지 않는 일이다. 이런 의식은 이같이 자기 안에서 발생하는 혼란을 들춰 보여주면[5]여기서 자기를 건져내려고 온갖 노력을 다하지만 결국 또 다른 혼란에 빠지게 된다. 이런 와중에 그는 더 이상 여유만만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6]뭔가를 밖으로 불쑥 내뱉는데, 이것은 모두가 그렇듯이[7]이렇고, 그렇지 않다고 하는 저것은 궤변이다라고 발작하는 것이다. — 궤변이라는 말은 일반상식이 자신을 연마한 이성에게 상투적으로 내던지는 말로서 철학에 무지한 자가 어디서 주워들었는지는 모르지만 철학을 일컬을 때 어김없이 사용하는 표현, 즉 몽상이라는 말과 유사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 일반상식은 감정이 자기 내면에 잠식해 있는 신탁이나 되듯 거기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이에 호응하지 않는 사람과는 나눌 말이 없다고 한다. 그래서 일반상식은 자기 내면에서 똑 같은 것을 보고 느끼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더 이상 할말이 없단다. — 달리 표현하면, 이것은 일반상식이 인간성을 뿌리째 짓밟는 것과 다름없다. 왜냐하면, 인간성의 속성은 타인과의 합의를 이루어내라고 집요하게 요구하는 것으로서, 인간성이 존재하는 양식은 오로지 의식들이 서로간의 공통성을 달성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反인간적인것, 짐승적인 것이 존속하는 터전은 감정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거기에 둥우리를 틀고 오로지 감정에 의해서만 타자와 교제할 줄만 아는 것이다.

 §70) 학문에 이르는 왕도를 원하는 이가 있다면, 그에게 일반상식에 의존하고 철학저서에 관한 논평을 읽는 것보다 더 편안한 길을 제시할 수 없을 것이다. 덧붙여 말하자면, 논평을 읽으면 시대와 철학에도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고, 혹자에게는,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지 모르겠지만[8], 해당 서적의 서설이나 첫 몇 단락 정도는 함께 읽으라고 권장할 수 있겠다. 왜냐하면, 첫 몇 단락은 전체의 바탕이 되는 일반적인 원칙을 제시하고, 서설은 주제에 관한 역사적인 고찰은 물론이고 나아가 평가까지 제시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평가라는 것은 평가함으로써 그 대상을 뛰어넘는 것이 아닌가. 집안에서나 입는 편안한 옷차림으로 이런 통상적인 길을 걸으면서 영원, 신성, 무한 등을 운운하는 들뜬 감정은 대제상의 의복을 걸친 마냥 가슴을 내밀고 자신을 곧추세우고 걸어갈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길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아무런 여정이 없는[9]것으로서 곧바로 존재의 중심에 서는 것이며, 심오하고 독창적인 이념과 번뜩이는 사상으로 가득한 천재성이 아닌들 갈 수 없는 길이다. 이런 식으로 아무리 깊이 들어간들 본질의 원천은 여전히 드러나지 않고, 마찬가지로 천재성의 로켓이라고 해서 천상 세계에 이미 와 있는 것도 아니다. 참다운 사상과 학문적인 통찰은 오직 개념이 노동하는[10]가운데서만 획득될 수 있다. 오직 개념만이 지의 보편성이 싹트고 자라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지의 보편성은 일반상식의 천박한[11]모호성과 빈약성이 아니라 교양으로 다듬어져 뚜렷한 윤곽을 갖고 내용이 충만하게 완성된 인식이다. 이 보편성은 또한, 천재성을 자처하면서 그 나태와 아집으로 자신의 맹아를 짓밟아 버리기만 하는 이성이 불쑥 내놓는 비범한[12]보편성이 아니라, 자기 고유의 형식으로 힘껏 뻗어나가 무성하게 자라난 진리이다. 지의 보편성이 이런 진리가 되어야 마침내 자기의식을 갖는 모든 이성의 재산이[13]될 수 있다.

§71) 학문이 실존하는 터전은 개념의 자기 운동이다라고 정립하고 여기게 모든 것을 내걸고 이런 터전에 뿌리를 내리고 선 체로[14]진리의 속성과 형태에 대한, 여기서 거론되고 다른 곳에서 드러난, 현대인의 견해를 살펴보면 이 입장과는 맥을 달리하고 엄밀하게 따지자면 정반대다라는 생각이 든다. 이런 생각 때문에 학문의 체계를 개념의 자기운동으로 서술하려는 시도가 온건히 수용될 것이라고는  장담할 수는 없는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자신 있어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하기 때문이다. 즉, [학문을 높인 받들던 시대라고 자처하던 시대였음에도 불구하고] 플라톤 철학의 탁월성이 학문적으로는 아무런 가치가 없는 신화에 있다고 여겼던 시대가 있었는가 하면, 이와 반대로 열광의 시대라고까지 불렸던 시대였음에도 불구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그 사변적인 깊이에 심취하여 높이 받들고, 그리고 고대 변증법이 만들어낸 진정 최대의 예술작품이라고 해야 할 플라톤의<파르메니데스>를 베일에 싸인 신적인 삶을 참으로 밝혀내고 그 모습이[온전히] 드러나게[15]표현한 것으로 간주하고, 더욱이 몰아지경을 잘못 이해하여 그 상태에서 산출된 것의 다수가 불투명하기는 했지만 그 몰아지경 자체는 순수개념이 되어야 한다고 했던 시대가 있었다는 점이다. 그런가 하면 우리 시대에 들어와 철학 중에서 가장 탁월한 철학이[16]자기가치를 학문성에 두고, 이에 관한 다른 이의 이견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실지로 오직 학문성만을 통용가치로 인정한다는 점이 또한 나를 자신 있게 하는 점이다. 이런 점을 바탕으로 하여 내가 또한 감히 희망하는 것은 학문에 다시 개념의 고삐를 채우고[17]학문을 이 같은 개념이라는 학문고유의 터전에서 서술하려는 나의 이 시도가 사태 내면의 진리에 의해서 독자들의 마음을 열고 들어가는 힘을 발휘할 것이라는 점이다. 참다운 것은 때가 오면 반드시 뚫고 나오는 속성을 갖고 있다고 굳게 믿어야 한다. 또한 믿는바, 진리는 그래서 때가 무르익어야만 비로소 발현하고, 그렇기 때문에 때 이르게 나타나거나 그 진리를 접하기에 아직 미숙한 독자를 만나는 법이 없고, 그리고 이런 무르익음은[18]개인에게도 역시 필요한 과정으로서, 이런 과정을 통해서 개인이 홀로 안고 버둥대는 문제가 공론에[19]선보이게 되고 거기서 입증됨으로써 처음에는 따로 노는 것에[20]속한 확신에 불과했던 것이 보편적인 것으로 경험된다는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종종 공론/일반대중/독자와[21]이를 대표하거나 대변한다고 자처하고 행세하는 평론가를 구별해 낼 수가 있다. 일반대중은 여러 관점에서 후자와 다른 태도를 취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 이와 대립되는 태도까지 보인다. 공론/일반대중은 어떤 철학저서에서 아무것도 받아들이지 못하면 그 책에서 받아들일 것이 없다고 하지 않고 순수한 마음으로[22]자신이 그 수준에 이르지 못하는 것이라고 하면서 그 책임을 먼저 자기에게 돌리는데 반하여 자신의[해독]능력에 대한 확신에 젖어있는 후자는 모든 책임을 저자에게 전가해버린다. 철학저서의 영향력이 공론/일반대중에게는 조용하고 은근하게 일어나는 법이다. [그러나 후자에게는 그렇지 않다.] 후자는[썩어 문드러지는 것에 파리 떼가  날아들듯이] 죽은 것만 다루는 죽어있는 자로서 바로 이런 자들을 두고<죽은 자가 죽은 자의 장례를 치르게/마태복음8.22> 내버려 두라고 했던 것이다.일반적인 통찰력이 전반적으로 보다 높은 교양을 갖추고 호기심은 점점 고조되어 판단 또한 더욱 민첩해진 지금에 와서는 후자의 반응은 더욱 빨라져<[남편을 묻고] 너를 메고 나갈 사람들의 발이 막 문에 다다랐다/사도행전5.9>란 말이 무색할 정도로 발 빠르게 반응한다. 말 떨어지기 무섭게 일어나는 평론가의 반응과 공론/일반대중에게서 천천히 이루어지고 영향은 구별되어야 한다. 이런 장기적인 영향력에 의해서 평론가의 위압적인 장담에 눌려 어쩔 수 없이 거기에 쏠리게 된 이목이[23]바로잡히고 쓸모없다고 내팽개치기만 하는 비난이 교정되는 것이다. 그래서[진정한 철학저서에게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야 비로소 그를 받아들이고 그와 함께하는 세계가[24]주어지는 반면 평론가들의 평론은 그 시대가 지나면[죽은 자가 죽은 자의 장례를 치름과 동시에 자신의 장례를 치르듯이] 맥이 끊어져 더 이상 후세가 없게 된다.

§72) [천재성으로 번득이는 평론가들에게] 한마디 더 덧붙이자면, 정신의 보편성이 더없이 고무된 결과 이젠 어떤 개별적인 것을 다루나 피차 마찬가지가 되어 버리고, 또 개별적인 것을 다루는데 있어서도 그 테두리와 그 안에 차곡차곡 쌓아올린[25]풍부함이 보편성에 육박하고[26]또 그런 풍부함을 요구하는 상황이 되어버린 지금에 와서는 정신의 산출물 전체에서 개인의 몫으로 떨어지는 것이 미미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개인은, 학문의 속성상 이미 그럴 수밖에 없지만, 더욱 더[주어진] 자신을 망각하고 온 힘을 다해 할 수 있는 일을 해 나가는 가운데 새롭게 되어야 하지만, 그러나 개인 자신이 자기에 대한 기대와 요구를 낮출 수 밖에 없는 만큼 그에게 더 많은 것을 요구해서는 안 된다.



[1]원문<so breit wie tief/넓고 깊게>. 서설 §10에서 이야기된<Die Kraft des Geistes ist nur so groß als ihre Äußerung, seine Tiefe nur so tief, als er in seiner Auslegung sich auszubreiten und sich zu verlieren getraut./ 정신이 발휘하는 힘은 그 크기가 자신을 밖으로 내치는 힘 이상이 될 수 없다. 그 깊이 또한 마찬가지로 자신을 전개하는 가운데 자신의 중심에서 벗어나 무한히 뻗어나가 자기중심과 완전히 동떨어진 상태가 되어 자신을 상실하고 헤매는 상태에 도전하는 것 이상이 될 수가 없다.>가 연상되는 대목이다.

[2]원문<trivial>. 일곱 가지로 구성된 중세초기의 교육과정에서 초보적인3가지 학문(Trivium)을 가리킨다. 

[3]원문<trivial>

[4]원문<ihrem Bewusstsein an ihm selbst>

[5]원문<anrichten>. <Es ist angerichtet>하면<식탁을 차리다>란 의미가 있다. 의식이 지가 차린 식탁에 무슨 먹거리가 있는지 모른다는 이야기다.

[6]원문<wohl>을 이렇게 풀어 번역했다.

[7]원문<ausgemachtermassen>

[8]원문<gar>

[9]원문<unmittelbar>

[10]원문<Arbeit des Begriffs>

[11]원문<gemein>

[12]원문<ungemein>

[13]원문<Eigentum aller selbstbewussten Vernunft>

[14]원문<setzen>을 이렇게 좀 장황하게 번역하였다.

[15]원문<positiv>

[16]칸트 철학을 이야기하고 있다.

[17]원문<die Wissenschaft dem Begriffe vindizieren>

[18]원문<Effekt>. 어원<efficere/ausbauen, ausbilden/ 완성해 나가다.>란 의미를 살려 번역했다.

[19]Publikum

[20]원문<Besonderheit/특수성>

[21]원문<Publikum>

[22]원문<gutmuetigerweise>

[23]원문<Aufmerksamkeit>

[24]원문<Mitwelt>

[25]원문<gebildet>

[26]원문<auch jene an ihrem Umfang und gebildeteten Reichtum hält>. 이 문장의 주어는 보편성이 아니라<Einzelheit/개별성>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