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좌파와 겸손

상대방을 존중하고 자신을 내세우지 않는 겸손은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하는 덕일 것이다. 그런데 나는 겸손이란 것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또 누가 겸손을 지적하면 좀 역겨운 느낌을 갖는다. 그리고 좌파의 논쟁을 보면 겸손이란 덕이 끼어 들 틈이 없이 살벌하게 진행되는 경우를 접한다. 여기 진보넷의 블로거들도 그런 경향이 있는 것 같다.

 

겸손을 받아들이지 않음으로써 나도 좌파에 속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좌파와 좌파가 아닌 것을 가르는 경계선에는 실천이라는 개념이 지키고 있기 때문에 겸손을 가지고 좌파여부를 운운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실천하는 가운데 실재하는 좌파의 요구에 따라 글쟁이행세를 하는 것도 좌파의 실천으로 쳐 준다면 좌파에 속하려고 노력하는 있을 뿐이다.

 

이런 맥락에서 <좌파와 겸손>이라는 표제가 이젠 <좌파적인 실천과 겸손>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인가라는 물음으로 구체화 되었다.

 

실천하는 좌파가 겸손을 멀리하는 것은 인격수양이 부족하여 인격적인 결함이 있어서 그런가?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실천하는 좌파가 갖추고 있는 덕이 흔히 이야기되는 겸손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겸손을 멀리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겸손을 달갑게 받아들이지 않는 경향은 독어권에서 사회화가 되었기 때문에 겸손을 이야기할 때 Demut란 개념을 연상하기 때문일 수도 있겠다. 우리말에서 겸손을 이야기하는 맥락을 보면 독어의 Bescheidenheit와 같은 맥락에서 이야기 되는 것 같은데, Bescheidenheit란 중세에서 법원의 판결과 지시를 두말없이 받아들인다는 의미를 바탕으로 하여 어쩔 수 없는 현실을 통찰하고 지혜롭게 대응한다는 의미로 발전하였다. 이런 차원에서 현실에 만족하는 자세를 의미하기도 한다.

 

Demut의 어원을 보면 주인이 시키는 일을 두말없이 이행하는 노예의 자세라는 의미가 있다. 그리고 이 의미는 기독교가 강점하여 독점으로 삼고 절대 순종을 이야기하는 근거가 되었다. 바로 이것이 니체가 기독교의 도덕을 노예의 도덕이라고 신랄하게 비판하는 근거이기도 한다.

 

목사들의 설교에 등장하는 겸손은 네 자신을 낮춰라인데, 이것이 전제하는 것은 사회적 지위의 높고 낮음이다.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은, 혹은 높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자세를 낮추라는 것이다.

 

바로 이점이 역겨운 느낌을 충동시키는 점이다.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고 또 그렇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데, 바로 이런 사람들만이 또 겸손이란 덕을 둘러쓸 수 있는 무리가 된다는 점이 역겨운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예를 들자면 이렇다. 모모 장로는 사장인데, 대기업의 이사인데 교회에 와선 화장실 청소를 하는 겸손을 보인다고 말한다. 거꾸로 말하면 화장실 청소로 생계를 이어가는 누구는 교회에서 화장실청소를 해도 겸손이란 덕을 둘러쓸 기회가 없다는 말이다. 어차피 그런 현실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겸손은 사회적 현실을 바꾸지 않고 그것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개념이다.

 

목사들이 말하는 이런 겸손과 대조적인 겸손이 있다. 마리아와 예수가 보인 겸손이다.

 

마리아의 사건에서 그 사건 자체만을 보면 이렇다. 가부장제가 철저한 근동에서 혼인을 약속한 한 여성이 남편이 될 사람과 동침하지 않았는데 임신을 하게 된 것이다. 당시의 법에 따르면 돌로 쳐 죽일 사건이다. 그런데 마리아와 그 남편이 될 요셉은 임신을 받아들였다. 당시의 현실로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것을 두고 중세의 참신한 신자들은 마리아의 겸손을 이야기하는데 “Niederträchtige Maria라는 표현을 쓴다. 모든 사람이 깔보고 돌로 쳐 죽일 행위를 한 비천한 마리아라는 것이다. 당시의 여성으로서는 더 이상 낮아질 수 없는 데까지 현실적으로 떨어진 마리아를 두고 겸손한 마리아라고 한 것이다.

 

예수는 어떤가? 내 생각으론 예수는 겸손한 사람으로 불리는 것을 꺼려했다. 마태복음 16장을 보면 베드로가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고백하자 그것을 아무에게도 알리지 말라고 한다(20). 하나님의 아들이 자신을 낮춰 세상에 온 것이 되면, 이것은 흔히 이야기되는 겸손의 사건의 되어 예수사건의 본질을 간과하기 때문에 그랬지 않나 싶다. 예수의 사건이 단지 겸손의 사건이 아니라 정말 비천한 죄인이 되는 사건이었다는 점은 마태복음 27 54절에서 예수가 하나님이 얼굴을 돌리는 진짜 죄인이 되어 죽은 다음 백부장이 예수를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었다고 고백하는 대목이 뒷받침하지 않나 한다.

 

실재하는 좌파의 실천은 이와 유사한 것이기 때문에 흔히 이야기되는 겸손을 멀리한다고 생각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