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2021/05/15
- ou_topia
- 2021
-
- 2021/03/10(1)
- ou_topia
- 2021
-
- 2021/03/09
- ou_topia
- 2021
-
- 2021/03/08
- ou_topia
- 2021
-
- 2021/02/06
- ou_topia
- 2021
(§1) 철학에 입문하는 마당에서[1] 철학이 진정 해야 하는 일[2], 즉 존재하는 것의 실상이 무엇인지[3] 실지로 알아보는[4] 길목으로 곧바로 들어서기 이전에 먼저 이런 인식작용에[5] 관하여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것이 있다는 생각은 인식작용을 인식과 동떨어져있는 그 무엇을[6] 수중에 넣는데 꼭 필요한[7] 도구나 아니면 그런 절대자를 가려내는데[8] 꼭 필요한[9] 수단으로 보는 한 아주[10] 자연스러운 발상이다. 이런 발상아래 적절한 사전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근심걱정이[11] 그럴듯한데 그 근심걱정이 우려하는 것은 인식에는 어쩌면 여러 종류가 있고 그 중에는 앞서 말한 철학의 최종목적을 달성하는데 좀더 쓸모 있는 것과 그렇지 않는 것이 있어서 애당초 잘못된 선택을 하거나, 선택을 제대로 했다 하더라도 구체적인 인식작용은 일정한 양식과 적용범위를 지니는 능력이라는 점에서 그 속성과 한계를 꼼꼼하게 규정하지 않고서는 진리의 천상대신 오류의 뜬구름만 붙잡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우려하다 보면 근심걱정이 변질되어 끝내 인식작용의 힘을 빌려 존재하는 것을 있는 그대로[12] 의식이 소유하도록 한다는 발상 그 자체가 애당초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며, 인식과 절대적인 것 사이에는 뛰어넘을 수 없는 장벽이 내려져 있다는 확신이 들어서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귀결인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인식이 절대존재를 장악하는데 쓰이는 도구라고 하다면, 도구란 적용대상을 타자에 의해서 구애 받지 않는[13] 형태로 가만히 놔두지 않고 그것의 형태를 다듬고 변화시킨다는 것이 너무나 빤히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생각을 고쳐 인식이란 철학하는 우리가 하는 일을[14] 돕는 도구가 아니라 진리의 빛이 우리에게 다다르는 통로 정도인 수동적인 매체라고 한다고 해도 우리에게 주어지는 진리는 위와 마찬가지로 진리 그 자체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그 매체에 의존하고 그 안에서 존재하는 양식으로서의 진리인 것이다. 어찌 되었던 간에 우리는 두 경우 다 철학이 추구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단이라는 것을 사용하는 셈인데, 문제는 수단을 사용한다는 것 그 자체가 개념상[15] 이미 목적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우리가 이토록 수단이라는 것에 매달려 있다는 것 자체가 앞뒤가 전혀 맞지 않는 사태라는 것이다. 이런 곤경에서 벗어나려면 도구의 작동방식을 습득하면 되지 않겠느냐는 생각이 얼른 떠오를 수도 있겠다. 말하자면, 도구의 작동방식을 알면 절대적인 것에 관하여 우리가 도구를 통해서 얻어낸 생각에서 도구에 속한 부분을 인식결과에서 거슬러 내고 참다운 것을 순수하게 획득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수정해본들 나아진 것은 없고, 그 결과란 오로지 우리가 인식작용을 하기 이전의 원래 상태에 다시 처하게 될 뿐이다. 다듬어진 사물에서 도구의 몫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을 회수하면 사물은 – 여기서는 절대적인 것은 – 다시 인식이전의 상태와 전혀 다름없는 것이 되는데, 그렇다면 이런 인식작용이란 허나마나한 짓일 뿐이다. 이에 맞서 이번에는 도구를 통해서, 마치 아교를 가지고 새를 통째로 잡는 것처럼, 절대적인 것에 아무런 변화가 가해지지 않고 단지 우리 곁으로 당겨져 오는 것뿐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절대자가 우리 곁에 와 있는 이유는 절대자가 애초부터[16] 우리 곁에 와 있고 또 그러기를 원하기 때문인데[17], 절대자가 이와 같은 잔꾀에 넘어가 우리 곁으로 당겨질 수 있다고 한다면 절대자를 몰라도 너무 모르는 일로서 비웃음을 받을 만한 일이다. 이런 식의 인식이 잔꾀에 불과한 이유는 인식이 내심으로 목적하는 바는 오로지 절대자와 직접적인[18] 관계, 다시 말해서 아무런 노고가 필요 없는 관계를 만들어 내는 것인데, 겉으로는 매우 힘겹게만 달성할 수 있는 뭔가를 분주하게 추구하는 척하기 때문이다. 이런 비판을 피하기 위해서 이젠 인식을 매체로 생각하고 인식에 대한 실험을 통해서 이런 매체 안에서 광선이 어떻게 굴절되는지 그 법칙을 알게 되어 인식결과에서 광선굴절을 삭제할 수 있게 된다 하더라도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왜냐하면, 인식이란 광선굴절이 아니라 진리가 우리에게 다다르는 광선 자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식인 광선 자체를 거슬러내고 나면 남는 것은 오로지 허허한 공간에 그려진 수학적인 순수한 방향[19] 혹은 텅 빈 공간일 뿐이다.
[1] 원어
[2] 소크라테스의 첫째 고소에 대한 반증(『소크라테스의 변론), 19a-20c)을 보면 다음과 같은 표현이 나온다.
[3] 원어
[4] 원어
[5] 원어
[6] 원어
[7] 문장의 흐름상
[8] 원어
[9] 역자 주 5번 참조
[10] <아주>에 상응하는 단어는 원본에 없다. 그러나
[11] 원어 < Besorgnis>.
[12] 원어
[13] 원어
[14] 역자주석 2번 참조. 특히 pragma에 스며있는 prattein(행하다)의 의미에 주목했다.
[15] 원어
[16] 원어
[17] 원본에는
[18] 원어
[19] 원어
최근 헤겔의 <정신현상학>을 다시 읽기 시작했다. 이번에 좀 꼼꼼히 읽어 내려갈 생각이다. 그리고 헤겔의 Gedankengang을 mitvollziehen한다는 차원에서 번역해 볼 생각이다.
우선 서론(Einleitung)에서 시작해서 서설(Vorwort)로 넘어갈 생각이다. 서론은 각 단락에 번호를 매겨서 매일 한 단락씩 읽어 내려갈까 한다.
댓글 목록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11에서 보았듯이 "was in Wahrheit ist"의 번역은 짧은 생각으로 드러났다. 참다운 존재라는 의미가 들어가야 할 것같다. 참다운 존재란 예를들어 우리가 선생다운 선생이라는 표현을 쓸때 기대고 있는 그 무엇인것 같다. 플론톤의 이상도 다시 한번 가서 봐야 겠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그래서 존재하는 것의 실상이 아니라 존재하는 것이 뭔가 참다운 자기 모습이 되는 것을 말하는 것 같다. 전자는 존재론, 즉 근대철학의 인식론에 가깝고, 후자는 실존주의적인 면이 있는 것같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그래서 이젠 "was in Wahrheit ist"가 "was in Wahrheit sein soll"로 들린다. 헷갈린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플라톤으로 내려가 "was in Wahrheit ist"를 다시 생각해 보면, 참다운 것에 좋은 것에 따라 붙지 않을 수 없는 것 같다. 우리가 좋은 선생님 하면 사실 선생다운 선생님을 말한다. 이렇게 존재/실존의 차원에서 "좋은 것"이 이 질문에 스며들어 있는 것 같다.부가 정보
행복실현당
관리 메뉴
본문
철학이 진정 해야할 일이 존재하는 것의 실상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철학이 할 일이 아니라 과학이 할 일입니다. 과거에는 철학과 과학의 단절이 없었고 헤겔은 아마도 이 전통을 이어받은것 같습니다. 철학은 사물의 진리가 무엇인지 밝혀내는게 아니라 우리가 굳게 믿고 있는 것에 대해 문제제기하는 것, 정답은 모르더라도, 그 정답을 밝혀내는 것이 과학자의 임무겠지만 과학자는 철학자의 물음에 응답해야합니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맞습니다. 존재하는 것의 실상을 알아보는 것은 과학입니다. 제가 여기서 플란톤까지 내려가서 제고해봐야 한다고 한 이유는 헤겔이 인식론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것을 이제야 조금 이해해서 그럼니다. 결론부터 이야기 한다면 행복의 문제인것 같습니다. 행복한 삶. 그 과저에서 실존하는 것이 참다와져야/좋아져야 한다는 것이죠. 실상을 암만 그대로 알아본다고 해서 바꿔지는 것이 없구요. 그리고 헤게은 실지 존재하는 것 자체가 엎치락 뒤치랄 싸우면서 보다 낳은 것으로 운동하고 있다는 것으로 결론짖고 자기가 미치는 것을 방지한 것 같구요. 그리고 이런 realdialektik을 하는 실체/현실을 제대로 파악/인식하려면 변증법적 인식을 해야 하구요. 이렇게 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차리는 인식의 경험/역사가 정신현상학이구요... 제가 이해한 것은 대충 이겁니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그리고 헤겔 자신이 철학이 과학이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단,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과 같이 어떤 공식을 세우는 것이 철학이 해야 할일이 아니다고 하죠. 과학으로서 철학의 특유한 방식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Darstellung(서술)이죠. 사실 이해하기 힘든 개념임니다. 이것을 완전히 이해하려면 맑스가 이것을 어떻게 이해했냐 알아야 합니다. 길게 이야기 할 필요가 없이 맑스가 정신현상학을 읽고 영국 국립도서관에 쳐밖혀 10년 동안 경제관련 자료, 심심한 통계부터 시작해서 하나도 빼놓치 않고 읽고 자본론을 이야기 했다는 점만 몸으로 받아들이면 darstellung이 뭔지 조금 감각이 잡힌 다고 생각합니다.부가 정보
행복실현당
관리 메뉴
본문
철학은 과학과 많이 다르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중국철학도 통치론이나 처세술이 많은 것처럼 그리스 철학도 생활과 밀착되어있는데, 상대를 설득 혹은 굴복시키는 방법이나 윤리학이었던 것 같아요. 그런데 지금 철학자들은 사실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어요.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그리고 진보사상을 만드다면서 헷갈리는 포스트모던이니 뭐니하면서 뭐가 뭔지 종잡을 수 없는 이야기들을 하면서 만들어 논 것이 기겄 "political correctness"라는 점. 이거 반성해야 해요.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철학은 맑스가 모범으로 보여준 과학입니다.부가 정보
행복실현당
관리 메뉴
본문
그래서 맨날 노숙자니 노숙인이니 장애인이니 장애우니 이거 갖고 싸우잖아요.부가 정보
행복실현당
관리 메뉴
본문
그래서 또 시작인데 성노동자가 성매매여성보다 자긍심을 주는 말이라고 하잖아요.부가 정보
행복실현당
관리 메뉴
본문
그래서 내가 예전에 중기협은 포주라고 그랬다가 말조심하라는 식으로 충고들었는데 필리핀 노동자들이 자기네 대통령 포주라고 하는건 어떻게 할건지.. 냐옹..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ㅎㅎ 사실 웃고만 넘어갈 수 없는 현상이죠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행복실현당님 좀 바빠서 로그오프 합니다. 다음 기회에...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본문의 "was in Wahrheit ist"에서 "in Wahrheit"는 이제 "an und fuer sich"와 똑 같은 것으로 이해된다. 그래서 본문은 "완전무결한 자기 모습을 찾은" 정도로 번역되어야 하겠다. 어쩜 이것은 플라톤의 methexis, 즉 이상을 모범으로 해서 살아가는 존재자의 모습과 유사하다고 할 수가 있겠으나, 헤겔의 진리개념에는 "정신"이 스며있는 것 같다. 정신이 없는 진리가 없는 것 같다. 이점이 아직 명쾌하게 이해되지 않고 또 설명할 능력도 없다. 정신현상학을 읽어내려가면서 보자. 헤겔의 진리 개념을 단지 사유과 대상[존재]의 합치 정도로 이해하는 것은 금물인 것 같다. 그래도 합치이론에 입각하여 헤겔이 말하는 진리를 이야기하자면 사유와 사유의 합치, 존재자와 존재자의 합치를 이야기해야 할 것이다. 이 두가지 운동을 하나로 묶어내는 것이 정신이 아닌가 한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아니면 이 두가 운동이 하나로 묶여질때 비로서 정신이 정신이 되는 것이 아니가 한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언어분석철학에 입각하여 "was in Wahrheit ist"를 해석해서는, 역자가 그랬듯이, 진부한 생각만 떠들게 되겠다.부가 정보
...
관리 메뉴
본문
헤겔이 말한 정신이란 관념이 아니라 감각과 경험이 진리를 포착할 수 없음을, 사물의 숨어있는 진리를 포착하는 것은 정신, 즉 이성을 말한 것이 아닌가합니다.부가 정보
...
관리 메뉴
본문
맑스도 우리의 감각에 와닿는 것이 실체라면 과학은 필요없다고 했습니다.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은 아침에는 해가 나타나고 밤에는 해가 사라지는 것이지만 태양의 실체는 그렇지 않습니다. 공장에 가면 일하는 사람들만 보이지 착취는 보이지 안잖아요. 헤겔의 말한 정신은 이런 뜻에서 생각해야할 것 같네요.부가 정보
...
관리 메뉴
본문
제가 어느 분께 헤겔을 읽는게 어렵다고 했더니 피히테와 쉘링을 읽으면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하던군요. 그래서 셋 다 안읽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방법서설을 읽으니까 이해가 좀 되는 것 같더군요.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아직 잘 모르겠네요. 정신이 이렇다라고 이야기하기엔. 단 하나 분명한 것은 정신은 어디에선까 불쑥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라는 것 같습니다. 자기가 지나온 발 자취를 다 받아네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그것이 당시 쓴디쓴 것이었던, 달디 단 것이었던 아무튼 다 내가 지금 이렇게 되는데 꼭 필요했던 것으로 받아드리는 것이 헤겔이 말하는 정신의 일면이라고 생각합니다. 관련, 벤야민의 angelus novus 생각해 봅니다. 등은 미래를 향햔 상태지만 눈은 지나온 발자취에 맞춰져 있죠. 정신의 눈이 미래를 향할 순 없을까 이게 문제인것 같습니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그리고 공장에서의 소외노동관련, 핵심은 이성을 가지고 착취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체를 뒤집는 정신은/힘은/materielle Gewalt는 그 소외노동을 직접 해 본 경험이 있는 자에게 있다는 것이죠. 즉 그 소외노동속에 정신이 깃들어 있다는 점이죠.부가 정보
...
관리 메뉴
본문
데카르트와 스피노자가 기하학적 방식으로 사물을 설명했듯이 헤겔도 자연학의 대가였습니다. 정신현상학은 진정한 학문, 과학적으로 역사의 진보를 설명한 것인데 그 설명을 그 때의 언어로 해서 현대인이 보기엔 관념론인 것처럼 느껴지는 거라고 하더군요.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정리 하자면 정신의 어떤 개인이 소유하는 소유물이 아니라, 실재하는 것이라는 [인식론적 차원에서는 개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라는 점이죠. 즉, substanzialitaet라는, Substanz라는 것이죠. 저도 이점이 분명하게 이해하지 못한 상태라 정신현상학 4번째 문단 번역에 들어가지 못하고 헤매고 있습니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그때의 말/ 그것만은 아니것 같습니다. 헤겔이 우리를/지금 우리를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가/우리가 어떻게 되어 먹어서 헤겔의 비판의 대상이 되는가 이것이 초점이라고 생각합니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정신현상학을 그때의 말로 처리하는 것은 헤겔과 씨름하는 것을 회피하는 자세일 수도 있고 "번역"의 문제라고도 생각합니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이렇게 시작부터 뭔가 핀트가 안 맞았다.서론을 다시 더 꼼꼼히 읽어내려가야 할 모양이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das wirkliche Erkennen dessen, was in Wahrheit ist". 서설을 읽다보니 이것이 정신현상학의 테마이며 철학의 테마라는 것이 보인다. 이것을 처음 번역할 때는 "ist"를 계사(copula)로만 보고 존재론/인식론/언어철학적 차원에서 말하는 식으로 번역했다. 그런데 여기서 "ist"는 계사일 뿐만 아니라 실존차원에서의 "존재하다"라는 의미로도 번역해야 할 것 같다. 그럼 "in Wahrheit"로 존재하는 것은 무엇인가. 서설 §24 주석 1에서 "Wirklichkeit"를 장황하게 설명하는 가운데 철학이 궁극적으로 인식해야 하는 것은 해방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해방을 향해 나가는 실체의 운동과 인식 및 실천면에서 함께 하는 것이 철학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아무튼 이 부분의 번역은 지속적으로 수정해 나가야 할 부분인것 같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Indem die Idee sich nämlich als absolute Einheit des reinen Begriffs und seiner Realität setzt, somit in die Unmittelbarkeit des Seins zusammennimmt, so ist sie als die Totalität in dieser Form – Natur. Diese Bestimmung ist aber nicht ein Gewordensein und Übergang, wie (nach oben) der subjektive Begriff in seiner Totalität zur Objektivität, auch der subjektive Zweck zum Leben wird. Die reine Idee, in welcher die Bestimmtheit oder Realität des Begriffes selbst zum Begriffe erhoben ist, ist vielmehr absolute Befreiung, für welche keine unmittelbare Bestimmung mehr ist, die nicht ebensosehr gesetzt und der Begriff ist; in dieser Freiheit findet daher kein Übergang statt; das einfache Sein, zu dem sich die Idee bestimmt, bleibt ihr vollkommen durchsichtig und ist der in seiner Bestimmung bei sich selbst bleibende Begriff. Das Übergehen ist also hier vielmehr so zu fassen, daß die Idee sich selbst frei entläßt, ihrer absolut sicher und in sich ruhend, um dieser Freiheit willen ist die Form ihrer Bestimmtheit ebenso schlechthin frei, – die absolut für sich selbst ohne Subjektivität seiende Äußerlichkeit des Raums und der Zeit. – Insofern diese nur nach der abstrakten Unmittelbarkeit des Seins ist und vom Bewußtsein gefaßt wird, ist sie als bloße Objektivität und äußerliches Leben; aber in der Idee bleibt sie an und für sich die Totalität des Begriffs und die Wissenschaft im Verhältnisse des göttlichen Erkennens zur Natur. Dieser nächste Entschluß der reinen Idee, sich als äußerliche Idee zu bestimmen, setzt sich aber damit nur die Vermittlung, aus welcher sich der Begriff als freie, aus der Äußerlichkeit in sich gegangene Existenz emporhebt, in der Wissenschaft des Geistes seine Befreiung durch sich vollendet und den höchsten Begriff seiner selbst in der logischen Wissenschaft als dem sich begreifenden reinen Begriffe findet." (대논리학 II, 마직막 부분]철학이 [철학적 인식이] 해야 하는 일의 최종 목적 = "절대적인 해방(absolute Befreiung")
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