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2021/05/15
- ou_topia
- 2021
-
- 2021/03/10(1)
- ou_topia
- 2021
-
- 2021/03/09
- ou_topia
- 2021
-
- 2021/03/08
- ou_topia
- 2021
-
- 2021/02/06
- ou_topia
- 2021
어제 유엔 이북인권조사위원회가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국일보 참조, 원문)
우선 훑어보았다. 내내 맘이 무겁다.
아침에 일어나면서 떠오르는 생각이 있다. ‘그래 읽기가 문제야.’
헤겔은 역사철학강의에서 세계사는 정신이 자신의 본질은 자유라고 의식하는 가운데(“Bewusstsein der Freiheit"/자유의 의식) 펼쳐지는 장에서 필연적으로 인식되는 진보라고 이야기한다. ("Die Weltgeschichte ist der Fortschritt im Bewußtsein der Freiheit, – ein Fortschritt, den wir in seiner Notwendigkeit zu erkennen haben.")
헤겔이 역사를 바라보는 자세가 우리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반인도적인 범죄)을 바라보는 자세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한다.
다행이도 유엔이북인권조사위 보고서에 이 자세에 대한 언급이 있다.
인용한다. (결론과 권고사항 부분이다.)
"1222. The Commission recommends that the Korean People foster Inter-Korean dialogue in a phased approach leading up to an Agenda for Reconciliation. Inter-Korean dialogue could be furthered through such initiatives as friendly sporting events; academic and business interactions; scholarships and apprenticeships for young people from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student exchanges; exchanges between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cluding national Red Cross Societies; contacts between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women's groups; the development of "sister city" relationships and, eventually, the reestablishment of transport and communication links.
1223. State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should foster opportunities for people-to-people dialogue and contact in such areas as culture, science, sports, good governance and economic development that provide citizen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ith opportunities to exchange information and be exposed to experiences outside their home country.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other states should remove applicable obstacles to people-to-people contact, including measures that criminalize travel and contact to the extent that these are not in accordance with relevant obligations und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1224. States, foundations and engaged business enterprises should provide more support for the work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cluding efforts to document human rights violations and to broadcast accessible information into each country. Eventually, and once conditions are deemed to be appropriate, such foundations and enterprises should join forces with concerned Governments to coordinate efforts to adopt a coherent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creation of livelihoods for the population and the advancement of the human rights situation."
이 부분의 권고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그리고 국제사회에 대한 권고와 본질적으로 다르다.
우선 권고의 대상이 ‘한민족’(Korean People)이다. 분명한 주체이면서도 그렇지 않다. 그리고 ‘인권’을 먼저 권고하지 않고 ‘화해’(reconciliation)를 향한 길을 닦아야 한다고 한다.
"1222. [유엔 이북인권조사]위원회는 한민족(Korean People)이 이남-이북간의 대화를(Inter-Korean dialogue) 단계적인 접근을 [거듭하는] 가운데(in a phased approach) 화해와 통일을 위한 [실천적인] 일정표(Agenda for Reconciliation)가 될 때까지 [튼튼하게] 조성하는 걸 권고한다." ("The Commission recommends that the Korean People foster Inter-Korean dialogue in a phased approach leading up to an Agenda for Reconciliation.")
다른 사람은 유엔 이북인권조사위원회의 보고서를 달리 읽겠지만 ‘우리 사람’ 한민족은 이렇게 읽어야 한다. 화해하고 같이 살아야 할 사람들과 관계하는 것이라고. 헤겔의 표현을 빌리자면 “화해와 통일을 내다보는 가운데".
2021/05/15 |
2021/03/10 |
2021/03/09 |
2021/03/08 |
2021/02/06 |
댓글 목록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좌파가 불러야 할, 반드시 불러야 할 이북인권의 ‘노래’는 미국이나 일본이 부르는 ‘북한인권법’의 노래와 같을 수 없다. 음악의 기조인 장조가 다르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유엔 이북인권조사위 보고서는 아래와 같은 곳에서 국제사회의 보호책임(Responsibility to protect/R2P)을 운운하는데, R2P가 뭘 의미하는지 숙고한 흔적이 없다. 주지하다시피 R2P는 궁극적으로 군대를 동원해서 쳐들어 간다는 말이다. (이에 관한 윤리적 담론은 차치한다.)1166. The Human Rights Council requested the Commission to carry out its inquiry with a view to ensuring full accountability, in particular for crimes against humanity. In addition to considering issues of direct institutional and personal accountability, the Commission also reflected on the accountabilit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light of its accepted responsibility to protect the population of the DPRK from crimes against humanity.
1200. The Commission finds that an international court or tribunal must be given jurisdiction, without delay, to address the long-standing and ongoing commission of crimes against humanity perpetrated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cting through the United Nations and consistent with its responsibility to protect, should make provisions to ensure that those most responsible for crimes against humanity in the DPRK are prosecuted before an international court and brought to justice.
1204. The Commission's findings, which indicate that a Member State of the United Nations has committed crimes against humanity over a span of several decades, raises questions regarding the accountabilit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Commission recalls that the leaders gathered at the 2005 World Summit of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s reaffirmed that each individual state has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its populations from genocide, war crimes, ethnic cleansing and crimes against humanity. In addition, world leaders committed themselves to upholding the complementary responsibility to protect hel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the United Nations, also has the responsibility to use appropriate diplomatic, humanitarian and other peaceful means, in accordance with Chapters VI and VIII of the Charter, to help protect populations from genocide, war crimes, ethnic cleansing and crimes against humanity. In this context, we are prepared to take collective action, in a timely and decisive manner, through the Security Council, in accordance with the Charter, including Chapter VII, on a case-by-case basis and in cooperation with relevant regional organizations as appropriate, should peaceful means be inadequate and national authorities manifestly fail to protect their populations from genocide, war crimes, ethnic cleansing and crimes against humanity.
1205. In light of the manifest failure of the DPRK to protect its population from crimes against humanit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the United Nations, bears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the population of the DPRK from crimes against humanity using first and foremost appropriate diplomatic, humanitarian and other peaceful means. The responsibilit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further warranted by the fact that the DPRK's crimes against humanity impact many persons from other states, who were systematically abducted and who continue to suffer enforced disappearance, along with the families they left behind. In a number of these cases, the abductions involved blatant violations of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f other states.
1210. The peopl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ave suffered too long.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protect them from the depredations of their own government. The Commission finds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discharge its responsibility to protect by pursuing a multi-faceted strategy that combines strong accountability measures targeting those most responsible for crimes against humanity, reinforced human rights engagement with the authoritie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and support for incremental change based on people-to-people dialogue and an agenda for inter-Korean reconciliation.1686. The Commission has developed a set of recommendations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elaborate on this approach. These recommendations are set out in the Commission's principal report.
1217. The fact that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s a State Member of the United Nations, has for decades pursued policies involving crimes that shock the conscience of humanity raises questions about the inadequacy of the respons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accept its responsibility to protect the peopl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rom crimes against humanity, because the governmen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as manifestly failed to do so. In particular, this responsibility must be accepted in the light of the role play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by the great powers in particular) in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because of the unresolved legacy of the Korean War. These unfortunate legacies help not only to explain the intractability of the human rights situation but also why an effective response is now imperative.
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독일 콜 전총리가 즐겨 사용한 표현이 있다. “중요한 건 뒤로 나오는 거다.”(Wichtig ist, was hinten rauskommt.") 행위의 동기보다 결과가 더 중요하다는 말이다. 정치는 ‘도착점을 발판으로 하는 사유(vom Ende her denken)’다. '무식한' 혹은 '유식한' 법관은 쉽게 R2P를 운운할 수 있어도 정치하는 사람은 그럴 수 없다. 유식한 법관보다 무식한 아낙네가 더 잘 아는, 우리 어머님들이 체화한 사유방식이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한반도에서 사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거부해야 하는 입장이다. 딴나라에서 살면서 딴나라의 돈을 받고 '북한을 때려잡자'하는 사람들이야 할 수 있는 말이지만 (더 많은 돈을 받기 위해서), 딴나라는 없고 오로지 이 땅밖에 없는 사람은 할 수 없는 말이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R2P관련 링크0 독일 '과학과 정치재단'(Stiftung Wissenschaft und Politik/SWP)
1. Über die Responsibility to Protect zum Regimewechsel(R2P를 통한 정권교체에 대하여) http://www.swp-berlin.org/fileadmin/contents/products/studien/2013_S13_bzs_slr.pdf
2. Schutzverantwortung und humanitäre Intervention - Eine ethische Bewertung der >>Responsibility to Protect<< im Lichte des Libyen-Einsatzes (보호책임과 인도주의적 개입 - 리비아 파병에 비춰본 >>R2P<<의 윤리적 평가)http://www.swp-berlin.org/fileadmin/contents/products/studien/2013_S03_rdf.pdf
0 bpd - 독일연방정치교육센터(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1. Gibt es eine "Responsibility to Protect"? (R2P는 과연 존재하는가?)http://www.bpb.de/apuz/30862/gibt-es-eine-responsibility-to-protect?p=all
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유엔 이북인권조사위 보고서 발표에 관한 좌파의 반응은 찾아보 힘들다. 왜 그러지? 이곳 ‘참세상’ 등 다 매우 소극적이다. 뭐 이북 인권이 실질적으로 개선되지 않을 거라는, 중국을 가리키는 정도로 꼬리를 감춘다. 이북인권문제와 보다 적극적으로 씨름해야 하는 게 아닐까?유엔이북인권조사위 보고서가 한민족에게 권고하는 건 사실 정신이 빠져있는 껍데기일 뿐이다. 조치라고 나열한 걸 보면 마치 죽은 뼈다귀를 보는 듯하다. 조야하다. 그러나 이 껍데기를 붙들고 정신으로 채워야 한다. 삐쩍 마른 뼈가 살아나게끔 정신을 불어넣어 줘야 한다. 그 정신이 대체 뭔지 누군가 시원하게 말해 줬으면 참 좋겠다.
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변증법은 좌파의 유일무이한 무기인데, 좌파는 이 무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다. 그 결과 변증법인 상황에 예속되어 당하기만 한다. 유엔 이북인권조사위 보고서 앞에서도 마찬가지가 아닌가 한다.아래 하우크(Haug)의 ‘실천변증법을 위하여’(Für praktische Dialektik)의 부언(Nachsatz)을 번역하여 올린다. (http://www.wolfgangfritzhaug.inkrit.de/documents/Dialektik-praktische-08.pdf)
부언
“진보하는 사유의 가장 포괄적인 의미로서의 계몽은 예로부터 인간들로부터 [그들을 억누르는] 두려움을 걷어내고 그들을 주인으로 세우는 목표를 추구해왔다. 그러나 [어찌된 일인지] 남김없이 계몽된 지구에는 승승장구하는 재앙의 깃발[만]이 어디서나 펄럭이고 있다.” 이렇게 막스 호르크하이머와 테오도르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1947)이 시작한다. 1944년, 즉 “부르주아 문명이 붕괴되는 찰나”에 집필된 이 저서에서 마르크스주의적 사유는 경악으로 가득 찬 채 권력을 장악한 혁명적인 세력까지도 그들을 배후에서 제압하는 역사적인 파괴, 억압, 그리고 우둔화 과정을 지각하게 된다. 바로 이점이 이 저서를 수동적인 변증법에 관한 저서로 만든다. 여기서는 [변증법적인 것 앞에서] 변증법적인 것을 지향하는 감관이 "예로부터 승승장구하는 사상에 일어난" 일종의 변신을 [알아차리기 위해서] 촉각을 세우고 있다. "[승승장구하는] 사상이 자의적으로 비판의 터전에서 벗어나와 수단 외에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어버린 채 존속하는 것에 시중하는 복무에 들어가면, 그 사상은 [원래] 원했던 바와 반대로 자신이 선택한 긍정적인 것이 부정적인 것, 즉 파괴적인 것으로 변신하도록 촉진한다." 바로 여기에 비판이 [앞에서와 같이 긍정이 파괴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취할 수 있는 순수한 부정적인 관점을 찾은 [동기가] 있다. [그러나] 이런 사유방식의 차후 운명이 보여주는 것은 이 역시 [수동적인 변증법에서 벗어나려고 했지만 그러지 못하고] 수동적인 변증법에 의해서 뒷덜미를 잡히고 바로 그 [지구를 파괴하는 긍정을 애당초 불가능하게 하는] 부정성이란 범주가 [허용된] 가운데 지배하는 매체에 의해서 접수되었다는 점이다. 아도르노가 애기했던 속박은 그것에 대한 사유에 의해서 [사라지지 않고 단지] 변신되어 깃발을 펄럭였던 것이다. 대상과 사유방식이란 이중적인 의미로서의 계몽의 변증법이 말하는 속박을 돌파하고, 그게 비록 일회적이고 일시적이라 할지라도 해방을 주는 가동성을 재획득하는 것, 바로 이것이 실천적인 변증법이 씨름하는 문제다."
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한국 노동운동의 전위라고 생각했던 민주노동당이 소멸되었다. 왜?한국 상황에 어둡지만 대북관계를 잘못다룬 게 그 이유 중 하나가 아닌가 한다.
분단체제아래 모순은 일차원적이지 않다. 입체적이다. 뭐, 새로운 말이 아니다. 기본모순, 주요모순, 부차모순 등을 운운했던 건 모순의 입체성을 인식하고 현실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근데 여기서 현실이란 ‘전투의 장’을 의미한다는 인식이 부족하지 않았나한다. 전투의 장에선 왕따가 되어서는 안 된다. 적군까지도 내편으로 만들 수 있으면 그래야 한다. 안 그러면 진다. 모택동의 모순론은 전투의 장에서 왕따가 되지 않으려는 숙고의 결과라는 생각이다.
근데 한국의 민주노동당은 혹시 자청해서 왕따가 되지 않았는지 질문해 본다. 대북관계를 잘못 다뤄서 적군을 아군으로 만들기는커녕 아군까지도 적군으로 만들지 않았는지...
부가 정보
藝術人生
관리 메뉴
본문
제가 고민하는 지점은 자청해서 왕따가 되었다면 그것은 어떤 측면에 대한 인식의 오류 때문이었는가 라는 문제인데요. 모종의 주관적 희망에 따른 '의회' 전술에 '나이브'한 측면이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제도권 당 전술 자체가 시기상조였던 것인지... 물론 제가 보기에는 둘 다 '민주화'의 허상에 기대고 있었던 측면을 공유하고 있는 것 같긴 합니다만...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한국 상황을 파편적으로밖에 알지 못하기 때문에 뭐라고 하기가 어렵네요. 그림으로 비유하자면 스케치하기도 어렵네요. 스쳐가는 느낌이 전부입니다. 2000년 이후 민노당의 행보를 반성해야 하지 않을까라는 막연한 생각아래 그 과정을 좀 더 조형적으로(plastisch) 재구성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우선 대중운동과 전위조직 간의 관계에 대한 인식에 문제가 있었지 않나합니다. 전위조직이 대중운동의 전위라고 착각하고, 또 대중운동의 성격을 착각해서 득표에 자신하고, 사회적 기반에 자신하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듭니다. 전 이걸 ‘나이브’하다고 말하고 싶고요. 촛불시위에도 불구하고 박근혜정권이 출범하고 유신 못지않은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레알’하려면 전위조직과 대중운동 간의 괴리를 변증법적으로 잘 인식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 변증법을 공간화 하여 ‘양날개전’을 운운했다면 변증법을 조야하게 이해한 거구요. 이런 맥락에서 제가 보기엔 ‘시기상조’가 아니라 변증법의 필수 구성요소인 구체적인 시간(들)의 ‘추수’를 하지 못하게 아닌가 합니다. 이 ‘추수’를 늦게나마 해야 한다는 생각에...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추수’는 차곡차곡 축적하는 것이겠지만 변증법의 원동력인 ‘bestimmte Negation'(규정된/특정한 부정)에 의한 '축적’이 되겠지요. 님이 애기하는 지도개념, 지식인, 정치 등이 이와 연관이 있지 않나 합니다. 혹자를 향한 노파심에서 덧붙입니다.부가 정보
꽃개
관리 메뉴
본문
잘 읽었습니다. '우리 사람'이 읽어내야하는 방식에 공감하게 되네요.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감사합니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경향신문의 분석이 좋다.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2182120445&code=910303
[유엔 북한인권조사위 보고서]남북 인적 교류·인도적 지원 권고… 북 왕래·접촉 막는 장애물 없애야
ㆍ보고서 중 간과된 내용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가 1년간 조사해 1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발표한 보고서는 북한에서 인도에 반하는 범죄가 자행되고 있으며, 책임자들에 대한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국제사회가 인권문제에 대해 북한 지도부에 보내는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유엔 조사위 보고서의 권고들 가운데 언론 보도에서 간과된 내용도 있다.
마 이클 커비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장이 1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에게 보낸 경고 서한을 들어보이고 있다. 이 서한은 김 제1비서를 포함한 북한 지도부가 반인도적 범죄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될 수 있다는 경고를 담고 있다. 제네바 | AP연합뉴스
▲ 한국전 마칠 평화협정 준비
‘헬싱키프로세스’ 예로 들며 교류·협력 논의 병행 권고
조사위 권고에는 남북한 간 화해로 이어지는 단계적인 대화, 문화·과학·스포츠·경제개발 등의 영역에서 국가와 시민단체들의 인적 교류 기회 증가, 인도적 지원 등이 포함돼 있다. 조사위는 남북대화가 스포츠 행사나 학술 교류, 북한 젊은이들에 대한 장학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 학생 교류, 적십자사 등 시민단체 간 교류, ‘자매도시’ 결연 등을 통해 더욱 심화될 수 있다며 궁극적으로는 교통과 통신망의 복원을 권고했다.
조사위는 또 “북한과 다른 나라들은 여행과 접촉을 범죄화하는 조치들을 포함해 인적 접촉을 가로막는 장애물들을 제거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익명을 요구한 워싱턴의 한 외교 소식통은 이 권고 문구에 대해 “북한 정권이 자국민들을 통제하는 것을 당연히 포함하지만 북한과의 접촉을 금지하는 한국의 국가보안법도 겨냥한 얘기”라고 말했다.
아울러 조사위는 “각 국가들은 식량과 다른 인도적 지원을 북한에 경제적·정치적 압력을 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며 “인도적 지원은 차별금지 원칙을 포함해 인도주의 및 인권의 원칙에 따라 제공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원조는 방해받지 않는 국제 인도주의적 접근과 모니터링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을 때에만 제한돼야 한다”고 했다.
조사위는 권고사항의 맨 마지막에 “한국전쟁에 관여된 각 국가들과 유엔은 고위급 정치회담을 개최하는 조치들을 밟아나가야 한다”면서 “이 회담의 참가국들은 합의에 이를 경우 유엔헌장의 원칙에 따라 최종적으로 전쟁을 평화적으로 정리하는 협정을 비준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또 “이 지역의 각 국가들은 협력을 강화하고, 헬싱키프로세스 같은 사례들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헬싱키프로세스는 북대서양조약기구와 바르샤바동맹의 35개 회원국들이 유럽의 안보협력을 위해 1975년 체결한 헬싱키협약을 이행해 나가는 과정을 말한다. 군사 분야의 신뢰 구축, 경제, 과학기술 및 환경 분야에서의 교류·협력, 그리고 인도주의 교류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하며 신뢰를 쌓은 끝에 동유럽 체제 전환으로 이어졌다.
북한 인권의 진정한 개선을 위해서는 국제사회가 인권문제에 대해 북한 정권에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교류·협력, 인적 접촉의 장애물 제거, 인도적 지원, 평화체제 논의 등을 병행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워싱턴 | 손제민 특파원 jeje17@kyunghyang.com>
입력 : 2014-02-18 21:20:44ㅣ수정 : 2014-02-18 22:18:57CopyrightⓒThe Kyunghyang Shinmun, All rights reserved.
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이 부분을 읽고 생각하느냐 아니면 그러지 않으냐가 '우리사람' 한민족을 알아 볼 수 있는 리트머스 테스트다. 미국의 북한인궙법이 던져주는 돈으로 운영되는 잡것들이 보도로 도배된 검색페이지에 경향신문 보도 고맙다.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