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격주간 정치신문 사노위 44호> [대선특집] 필요한 건 흥정이 아니라 투쟁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학생] 필요한 건 흥정이 아니라 투쟁

 

 

 

대선은 끝났지만 상처는 남았다. 진보정당 후보들은 ‘박근혜 낙선을 위해 출마했다’고 공공연하게 밝히며 사퇴했다. 민주노총 지도부 역시 ‘진보적 정권교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민주당 세력이 ‘진보적’이라는 환상을 부추겼다. 환상이 있었으면, 절망도 있는 법이다. 결국 그들이 조장한 이 좌절감과 절망은 자본의 탄압과 만나 열사정국이라는 결과로 드러나고 있다.
학생운동의 주류 정치세력 역시 대선 기간 ‘박근혜 낙선운동’에 급급했다. 과거의 ‘反MB 전선’에서 ‘反박근혜 전선’으로 이동해 간 것이다. ‘투표하면 반값 등록금이 실현된다’는 그들의 주장 속에서 지난 정권들에서 대학구조조정을 충실히 수행했던 야당이 마치 청년・학생의 유일한 대안인 것처럼 포장됐다. 이렇듯 그들은 청년・학생의 의제를 자유주의 정치세력에게 의탁할 뿐, 대중을 투쟁의 주체로 세우는 전략에는 관심이 없었다.
이러한 정세에서 김소연이라는 노동계급 후보의 독자 완주와 노동자대통령 학생선거투쟁본부(학생선투본)의 대선 투쟁은 큰 의의가 있었다. 등록금 등 학생의 문제는 자유주의 세력과의 흥정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의 투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노동자・민중의 희망이 ‘야권연대를 통한 정권교체’가 아니라 바로 노동자・민중 자신의 투쟁임을 밝히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자본주의가 아닌 다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는 이러한 선전을 통해 타협과 야합의 정치에 염증을 내는 선진 학생대중에게 우리 목소리를 강력히 전달할 수 있었다.
대선 기간 ‘안철수 신드롬’으로 표상된 자유주의 세력에 대한 기대와 야권연대의 환상은 청년・학생의 의식을 혼란시켰다. 우리는 선거투쟁을 통해 이러한 의식에 균열을 내고자 했지만 여전히 과제는 남아 있다.
청년・학생의 절박한 요구를 흥정하며 야당 세력의 들러리로 서는 정치가 아니라, 무상교육・학벌철폐・대학구조조정 반대 등을 기치로 하는 청년・학생의 정치가 필요하다. 선거투쟁의 성과와 경험을 받아안아, 청년・학생을 투쟁하는 노동자・민중의 일원으로 세우는 전국적 정치투쟁 전선으로 당당하게 나서자.

 

이동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