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본문링크:우리의 투쟁 속에 인간은 있는가?

 

 

 

우리의 투쟁 속에 '인간'은 있는가?
 초청포럼'중구난방' 후기

현장에서 미래를  제123호
초보좌파

우리의 투쟁 속에 
명분과 당위가 아닌 ‘인간’은 있는가...?

초보좌파


8월 19일. 토요일. 오후 3시.
한국노동정책이론연구소(한노정연)에서 ‘열린포럼 중구난방’ 두 번째를 연다기에 땡볕을 뚫고 혈혈단신으로 찾아 갔다.
 
왜 갔냐구? 중구난방이라길래....
참고로 아는 척하면^^
중구난방 (衆 : 무리 중  口 : 입 구  難 : 어려울 난  防 : 막을 방)
《십팔사략(十八史略)》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소공(召公)이 주여왕(周勵王)의 탄압 정책에 반대하며 이렇게 충언(衷言)하였다. “백성의 입을 막는 것은 개천을 막는 것보다 어렵습니다[防民之口 甚於防川]. 개천이 막혔다가 터지면 사람이 많이 상하게 되는데, 백성들 역시 이와 같습니다. 그러므로 내를 막는 사람은 물이 흘러내리도록 해야 하고, 백성을 다스리는 사람은 그들이 생각하는 대로 말을 하게 해야 합니다.” 그러나 여왕은 소공의 이 같은 충언을 따르지 않았다. 결국 백성들은 난을 일으켰고, 여왕은 도망하여 평생을 갇혀 살게 되었다고 한다. 즉 대중의 말길[言路]과 자유로운 생각은 무엇으로도 막을 수 없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자면, 맘껏 떠들어도 누가 뭐라 할 사람없는, 거침없는 상상력이 이야기될 수 있는 자리라길래 갔던 것이다. 난 그동안 ‘나’의 이야기가 아니라 ‘남’의 이야기를 내 이야기처럼 입에 걸치고 다녔다. 난 ‘남’의 이야기가 마치 ‘나’의 이야기인 양 또 다른 ‘남’들에게 떠들고 있었다. ‘나’의 이야기와 ‘남’의 이야기 사이의 깊은 골은 그다지 문제 될 것이 없었다. 왜냐면 ‘남’의 이야기가 온전히 내 것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점점 ‘나’의 이야기는 자취를 감추고 ‘남’의 이야기를 ‘나’의 이야기로 스스로 착각하며 지내왔다. 그것은 편했다. ‘남’의 이야기를 내 것으로 편집하는 것도 쉬웠고, 내 속의 나를 끊임없이 되돌아보며 힘들어 할 필요도 없었다. ‘남’의 이야기가 맞으면 그냥 내 속으로 집어넣으면 되는 것이었으니까.
사실 내 이야기를 하려고 갔다기보다는 그러한 상상력과 이야기들이 흘러넘치는 소리에 목이 말라서 갔다고 하는 것이 맞을 게다. ‘나’의 이야기를 해본 적이 없기에 ‘나’를 이야기하는 것이 부끄럽고 어딘지 모자라고 자신 없었다. ‘자신’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그래서 더욱 듣고 싶었는지 모른다. 어쩌면 다른 자리들보다 더 큰 기대를 가지고 갔던 것도 사실이다.
 
이번 중구난방에 초청된 사람은 다큐영화 ‘돌 속에 갇힌 말(87년 구로구청 부정투표함 항의 농성 사건)’의 감독인 ‘나루’님이다. 이 다큐영화는 1987년 대통령 선거 당시, 구로구청에서 발각된 부정투표함에 시민, 학생 등이 항의하며 시작된 농성이 국가의 폭력으로 짓밟히게 된 사건을 다룬 것이다. 당시 상황을 찍었던, 유일하게 남아있는 영상과 당시 참여했던 사람들의 증언과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민중의 열망에 대해 폭력으로 답하는 지배계급과 국가의 모습은 그 때나 지금이나 별반 다를 것이 없었다. 민중들에게 무차별 행해지는 폭력의 모습은 볼 때마나 울화가 치밀고 가슴은 먹먹하며 눈에는 눈물이 고인다.
 
살인폭력 자행하는 국가권력 해체하자!! [고 하중근 열사를 추모하며]
 
영화 상영을 끝내고 중구난방 이야기가 시작되었다. 으레 그렇듯이 처음에는 서로 잘 모르는 사이이기에 무언가 말문을 연다는 것이 쉽지 않은 법이다. 나루감독에 대한 질문과 답변으로 말문이 트이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중구난방으로 이어졌다. 그러면서도 내 마음 속에는 ‘아무리 중구난방이라지만 그래도 이야기 자리라고 하는 것은 무언가 중심을 잡고 이야기가 오고 가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자꾸 들었다. 아직도 나는 내 이야기가 자유스럽게 흘러나오는 것이 어색해서 무언가의 틀거리가 주어지고 그 속에서 그것에 맞게 이야기하는 것에 여지껏 익숙해져 있는 것이었다. 한 번 물이 들면 그 물이 빠지기는 무척 어려운가 보다.
 
건방지지만 시건방을 무릅쓰고 말하자면, ‘돌 속에 갇힌 말’이 ‘인간’을 이야기하고 있어서 좋았다. 그것도 역사로 불리우는 투쟁 속에 그 투쟁의 역사적 의미 등등에 대해 재조명 어쩌구저쩌구가 아니라 그 투쟁 과정과 이후의 ‘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을 이야기하고 있다고 생각해서 개인적으로 깊은 감명을 받았다. 이 다큐영화는 끝에 이런 말을 남긴다. “역사에 대한 예의 그러나 인간에 대한 예의가 우선이다.”
 
감히 말하건대 우리는 인간을 위해 투쟁해야지 투쟁을 위해 인간이 있는 것이 아니다. ‘돌 속에 갇힌 말’에 보면 당시 그 사건의 현장에 있던 사람들은 크게 두 분류로 나뉜다. ‘관망하고 지시하는 사람 부류’와 ‘직접 뛰어들어 행동하는 사람 부류’이다. 관망하고 지시하던 사람들은 공권력의 폭력이 자행되던 그 순간에 아무도 구로구청 현장에 남아 있지 않았다. 부정투표함의 사수가 민주주의의 사수라는 그 하나의 믿음으로 모여 들었던, 직접 뛰어들어 행동했던 시민, 학생 등 민중들만이 국가의 폭력 앞에 고스란히 노출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 사건이 역사의 뒷켠으로 밀려나 있는 동안, 그 투쟁과 폭력 그리고 그 이후를 오직 한 개인으로 감당해야 했던 그들은 역사의 그늘 속으로 배제되고 소외되어 있었다. 역사라고 할 것까지 없다. 바로 우리에 의해 배제되고 소외되어 있었다.
‘적과 싸우면서 적을 닮아 간다.’고 했던가. 역사라는 이름으로 개인의 결의를 요구하지만, 결국 그것은 개인의 희생으로 정리될 뿐인 것 말이다. 우리의 투쟁 속에 명분과 당위가 아닌 ‘인간’은 있는가? 명분과 당위 속에 ‘인간’은 희생당하고 있지는 않은가? 투쟁과 조직의 이름 앞에 ‘인간’은 배제되어 있지는 않은가? 국가든, 민족이든, 학교든, 가정이든, 조직이든 그 명분과 당위 앞에서 ‘인간’은 고려되고 있는가? 나 역시 적을 닮아 가고 있지는 않은가?
 
중구난방의 이야기가 자연스레 ‘우리’라는 속의 ‘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야기로 진행되었다.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아무도 ‘누가 틀렸다’라고 말하지 않았다. 아무도 자신의 생각이 맞다고 강변하거나 설득하려 하지 않았다. 아무도 그래서 어떻게 하자는 것이냐고 그 다음을 요구하지 않았다. 모두 자신의 이야기를 했다. 그렇게 자신의 덜익은 생각과 떨리는 가슴과 부끄러운 감정을 자연스럽게 드러내었다. 다른 사람들에게 무언가를 요구하거나 강요하지 않았기에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도 나의 잣대를 갖고 듣지 않을 수 있었다. 그 사람의 이야기에 공감하기 위해 내 스스로 노력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 참여한 사람들은 우리가 지금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충분히 공감했다.(적어도 내 생각에^^;)
그래서 그랬는지 세꼬시 집으로 옮겨서 계속된 뒷풀이 자리는 나머지 아쉬운 여운을 남길 만큼 즐거운 자리였다. 나만 그랬나?^^; 중구난방...담에도 꼭 가야지...ㅋㅋㅋ
 
여전히 나의 머릿 속에는, 가슴 속에는 그 말이 남아 있다.
“인간에 대한 예의가 우선이다”

 

2006/09/03 16:30 2006/09/03 1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