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2021/05/15
- ou_topia
- 2021
-
- 2021/03/10(1)
- ou_topia
- 2021
-
- 2021/03/09
- ou_topia
- 2021
-
- 2021/03/08
- ou_topia
- 2021
-
- 2021/02/06
- ou_topia
- 2021
2009년 총선후 독일정당체제 변동과 관련하여
베를린 자유대학 오스카 니더마이어 (Oskar Niedermayer) 교수가 투찡(Tutzing)에 있는 “정치교육 아카데미” (Akademie für politische Bildung)에서 강연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요약 정리해 본다. 이와 관련 역자가 意圖하는 것도 있다. 사노련, 사/노/위 논쟁과 관련 멀리 있고, 또 오랫동안 그런 토론에 참여하지 않아서 뭐가 뭔지 잘 모르겠다. 독일 정당의 변동과 그 아래 사회구성원의 변동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주의 정당창당에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이렇게 정치정당에 대한 자료로 시작해 본다. .
오스카 니더마이어: 2009년 총선후 독일정당체제 변동
(출처: web.apb-tutzing.de/apb/cms/uploads/media/vortrag_niedermayer.pdf)
□ 2009년 총선을 계기로 해서 전후에 형성된 독일 정당체제가 이전과 전혀 다른 유형으로 현상화 됨. 전후 독일 정당체제는 양대 정당이 지배적인 체제였는데 2009년 총선이후 다원화된 체제로 이전함.
□ 정당체제는 정당간 상호관계를 통해서, 즉 여러 정당이 공존하는 가운데 서로 관계하는 성질로 그 성격이 규정될 수 있음
0 이런 성질은 크게 내용적, 구조적 성질로 구별되고 선거차원에서는 투표경향으로, 의회차원에서는 의석확보로 현상화 됨.
0 구조적 성질을 규정하는 잣대로는 의회에 진출한 정당의 수(Format)와 세분화 정도(Fragmentierung)가 사용되는데,
- 2大 정당 구도일 경우 양대정당의 집중정도(전체대비 양대정당의 득표비율)와 비대칭(양대정당간 득표차이)으로 구체화 됨.
0 내용적인 면에서는 양극화 (사상 및 당정책), 기본/핵심 갈등구도, 이 갈등구도에서의 입장배치, 분절(특정정당과의 연정배제) 등이 잣대로 사용됨.
□ 구조적 성질을 결합하여 정당체제를 구별하면 일당 지배적 구적, 2대 정당 지배적 구조, 다원적 구조, 첨예하게 세분화된 구조 등으로 구별됨.
0 2대 정당의 지배적 구조를 규정하는 지표로는 양대정당의 전체대비 최소득표율, 상호비대칭 정도, 3大 정당과의 득표차이 등이 사용됨.
- 구체적으로 양대정당의 최소한 2/3 의석 확보, 양대정당의 각 최소한 1/4 의석 확보, 양대정당의 소수정당이 3대 정당보다 2배 이상 의석 확보 등이 이루어지면 2대 정당이 지배적인 정당체제를 이야기 할 수 있음.
□ 독일 정당체제는 위와 같은 2대 정당 체제였는데 80년대를 거기고 90년 통일을 통해서 현재 다원적이고 세분화되어 가고 있는 상태임.
0 정당체제의 양극화 현상이 사회경제학적 차원(경제와 국가역할)과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첨예화되고 있는데
- 사회복지국가관련 자유시장주의와 사회정의실현, 사회문화적 차원(사회공동체구성원의 삶형태)에서 자유주의/관용주의와 권위주의간 갈등이 문제화 됨.
0 이 양극화 현상은 1998년 이후 사회복지국가관련 사민당 입장의 변동으로 불거짐.
- 쉬뢰더 前총리의 아젠다 2010 개혁에 반발하는 사민당 지지세력(주로 노조간부) 일부가 사민당에서 떨어져 나와 „사회정의를 위한 선거대안“(WASG)을 창당하고 동독 지역정당으로 발전한 동독 „독일사회주의통일당“(SED)의 후계정당 „민주사회주의당“(PDS)과 합당하여 „좌익당“(die Linke)를 창당함으로써 전국차원에서 사민당과 경쟁하는 정당 및 그 지지세력이 형성됨.
- 아젠다 2010 진행과정에서 사민당, 기민/기사연합에서 사회복지국가를 지지하는 세력과 자유경제주의를 지지하는 세력간 갈등이 불거지고, 소속정당에 실망한 지지세력은 더 이상 소속 정당에 투표하지 않거나 다른 정당에 표를 던지게 되어 좌익당과 자민당이 득표하고 득세하게 됨.
- 결과 사회경제적 갈등구도에는 양극을 대변하는 2개 정당이 전국적인 기반을 갖추고 형성된 상태임.
0 기민당도 이 과정에서 정책수정을 하게 되는데
- 사회복지국가와 관련 2005년 총선전략으로 자유시장주의를 적극 지지하는 쪽으로 이동하였다가 (라이프치히 정당대회 결의) 2005년 총선에서 코피 터지고 신자유주의 아젠다 철회
- 자유/관대주의와 권위주의간 갈등구도에서 권위주의적인 입장을 조심스럽게 수정하여 자유/관대주의 극쪽으로 이동. 예컨대 전통적인 가족이상 수정, 다문화를 타부화하는 자세 교정, 비전통적인 삶의 스타일 인정, 권위주의에 대한 비판(메르켈 총리의 교황비판)
0 사회문화적 갈등구도에서는 녹색당이 독점적으로 이득을 보는 상황
- 양대정당의 관대/자유주의 세력은 소속정당에 실망하면 녹색당을 지지하는 쪽으로 가지만
- 양대정당의 가치보수주의 세력은 실망할 경우 갈 수 있는 대안정당이 없는 상황이어서 기민/기사연합에 잔류하는 경향.
* 극우가 연방차원에서 대안정당이 없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동독지역의 주, 기초단체차원에서 그렇다고 할 수 없는 상황임. 극우세력이 주의회에 진출하고 특히 기초단체정부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상황을 보면 극우문제는 그리 쉽게 지날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님. 독일 헌보청의 극우관련 보고에 따르면 극우가 고실업율, 인구공동화 현상 등으로 열악해지는 사회 및 생활환경에 처한 동독지역에서 이웃 돕기 등 실생활에 유익한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일부지역에서는 지배적인 토대를 마련하기까지 이름 [역자 붙임].
댓글 목록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재미있는 것은 사회문화적 갈등구도의 왼쪽에 있는 녹색당과 사회경제적 구도의 왼쪽에 있는 좌익당이 적대적 관계라는 것이다. 이것은 지난 자를란트주 총선 전후로 적나라 하게 드러나는데, 아무튼 자르란트 녹색당이 사민당/좌익당과 연정을 구성하는 대신 기민당/자민당과 연정을 구성하게 된 핵심적인 이유은 좌익당과의 적대적 관계였다. 한 당의 성격을 파아하려면 그 구성집단을 제대로 파악해야 하지 않나 한다. 녹색당을 지지하는 사회집단이 좌익당을 지지하는 사회집단과 독일의 경우 상당히 크다고 판단한다. 이런 맥락에서 녹색당 변천과정도 한번 정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아무튼, 고정갑희의 무지개연합 등의 발상/착안/구상은 아무튼 독일의 경우 허상으로 드러났다. 기민당과 사민당이 자리를 깔라놓고 "우리 자리가 좋아"하면서 혼인 요청을 하는 당은 녹색당이다.부가 정보
miss me
관리 메뉴
본문
정치는 사람과 관계하는 것이 아닙니다. 정치는 우리의 삶을 규정하는 지배, 착취, 권력 등과 관계해야합니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관계하는 주체는 누구죠?부가 정보
miss me
관리 메뉴
본문
우리가 흔히 말하는 선거가 정치가 아니라면 정치는 사회관계를 바꾸는 것이고 관계가 바뀌면 주체도 바뀝니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글쎄, 그 주체가 누구인지 알고 싶은데...부가 정보
miss me
관리 메뉴
본문
ou님은 역사의 간지를 아는 겁니까, 모르는 겁니까. 거리로 나선 사람들이 모두 자기 이익을 위해서 뛰쳐나왔다고 해도 그들이 가진 집단무의식이 사회를 더 왼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거죠. 촛불집회를 보세요. 전부 다 광우병 소고기 먹기 싫어서 뛰쳐나왔잖아요. 하지만 촛불집회가 광우병 소고기에 대한 혐오로 환원되는건 아니죠.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invisible hand"는 이데올로기고 "List der Vernunft" 늙은 헤겔이 할말 없으니까 한 말이고....부가 정보
miss me
관리 메뉴
본문
이이이....부가 정보
혁사무당파
관리 메뉴
본문
촛불에 대해 기대한 엘리트들의 과도한 작업이 생뚱맞은 이성의 간계처럼 보이네요..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예... 역동성에 대해서 그때그때 분석해 볼 필요가 있겠네요.부가 정보
miss me
관리 메뉴
본문
만일 정치과 사람과 관계하는 것이라면 인민에 의한 지배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못배워서 무식하고 자신의 작은 이익을 위해 온갖 비열한 짓을 서슴지 않는 리틀 피플들이 부르주아보다 올바른 정치를 할 가능성은 없습니다. 정치는 윤리와도 상관없습니다. 윤리는 개인적이고 상대적인 것이고 자신의 윤리가 정치에 도입되어야한다는 그 자체가 지배입니다. 성매매를 반대하는 사람이나 성노동을 지지하는 사람이나 모두 자신의 윤리에 충실할 뿐이며 누구의 윤리가 더 올바른 것도 아닙니다.부가 정보
혁사무당파
관리 메뉴
본문
당연히.. 윤리는 해방의 논리가 아니죠. 억압에 대한 저항의 논리가 필요한 거죠.부가 정보
miss me
관리 메뉴
본문
윤리는 내면적인 것이고 도덕은 지배자들이 자신들의 윤리를 가지고 피지배자들에게 이렇게 살라고 강요하는거잖아. 자신들은 윤리적이지도 않으면서. 정치는 서로 다른 윤리가 투쟁하는 공간이고. 왜 억압에 대한 저항이 윤리가 아니야. 지배자들이 이렇게 살라고 지시하면 우리는 저항하잖아. 무엇을 기준으로. 자신의 윤리를 기준으로.부가 정보
miss me
관리 메뉴
본문
지배나 착취 그 자체가 윤리적인게 아니잖아. 우리는 윤리적으로 볼 때 그것이 옳지 않기때문에 저항하잖아. 이 참새대가리..부가 정보
miss me
관리 메뉴
본문
나한테 말시키지마. 사놓고 안읽은 책이 산더미란 말야.부가 정보
혁사무당파
관리 메뉴
본문
생산관계를 기반으로 한 피억압자의 윤리라고 붙이면 어떨지..부가 정보
miss me
관리 메뉴
본문
그래요, 혁사님. 제가 잘못했어요. 철학자들은 인간에 대해 뭐라고 말하나요. 성선설, 성악설. 이게 인간에 대한 진실인가요. 인간은 원래 동물로 태어나서 사회화를 통해 인간이 되잖아요. 인간이 동물일 때 선악이 있나요. 본능적으로 살지. 하지만 사회화가 된 다음엔 선악을 말할 수 있겠네요. 다만 그때 선악이란 인간적 선과 인간적 악이지. 자본도 마찬가지죠. 자본가에겐 자본이 부를 창출하니까 좋은 것이고 노동자에겐 빈곤을 창출하니까 나쁜 것이죠. 하지만 맑스는 자본의 본성이 자기증식하는 것이라고 봤기 때문에 자본은 그 자체로 선도 아니고 악도 아닌거죠.부가 정보
혁사무당파
관리 메뉴
본문
기본적으로 동의합니다. 전술적으로야 선악이 대립관계로 단순 배치되곤 합니다만..부가 정보
miss me
관리 메뉴
본문
우리나라에서 깡길렘이나 바슐라르나 코이레 같은 과학자보다 푸코나 들뢰즈 같은 철학자가 더 대접받는 이유가 뭐니. 과학은 어렵잖아. 하지만 철학은 의심의 여지가 있냐. 그냥 죽죽 읽으면 되지.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들뢰즈 이해하려면 적분 미적분 확실히 알아야 해요. 그리고 분석기하학은 물론이고 양자이론, fractal 등 기본적으로 통달할 것들이 산더미 같아요....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