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2021/05/15
- ou_topia
- 2021
-
- 2021/03/10(1)
- ou_topia
- 2021
-
- 2021/03/09
- ou_topia
- 2021
-
- 2021/03/08
- ou_topia
- 2021
-
- 2021/02/06
- ou_topia
- 2021
786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통독 이후 외국인에 대한 태도가 좀 달라진 것 같다. 뭐가 달라졌는가라고 물어오면 이것이다라고 꼭 찝어 말할 수는 없다. 그냥, 느낌이 그렇다는 것이다. 수년 동안, 아니 수십년 동안 독일인과 무수한 시선을 주고 받으면서, 무수한 말을 나누면서 생긴 누적된 육감이란 것이다. 내 자신이 경험한 예를 들어서 설명하기도 좀 뭐하다. 자찬하거나 아니면 그런 것을 가지고 그런 느낌을 받는가 내 자신이 쩨쩨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독일의 대외국인 정책도 세분화되었기 때문에 외국인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싹 쓸어 잡아 이야기할 수도 없다.
독일 연방 정치교육센터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의 간행물 APuZ (Aus Politik und Zeitgeschichte/”정치와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에 대한 보고” 정도로 번역되겠다) 2010년 7호 (2010.2.15)를 읽고 나서 이런 느낌이 전혀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는 생각이 들어 거기에 실린 한 논문을 아래와 같이 요약.정리해서 소개하려고 한다.
<독일에서의 소수집단과 행형실태 (Minoritäten im Strafvollzug)>라는 제목의 논문인데, 1989-2009년간 Adelsheim청소년수용소 소장을 지낸 법학박사 Joachim Walter가 쓴 글이다. 그는 현재 “Neue Kriminalpolitik”(신형사정책)이라는 간행물의 공동발행인으로 일하고 있다.
* 행형은 형집행(Strafvollstreckung)보다는 좁은 의미로 자유형과 자유박탈을 수반하는 보안처분 선고를 포함해서 수용시설(감옥)에 수용될 때부터 석방될 때까지의 집행기간을 말함 (정승환, 형벌집행에 대한 법관의 통제와 형집행법원의 필요성 (www.kcla.net/download.red?fid=518)
1. 유럽과 독일에서의 외국인 소수집단 수감실태
0 유럽의 감옥에는 전체인구대비 외국인비율을 놓고 볼 때 외국인 소수집단이 수감되는 비율이 지나치게 높음.
- 이런 소수집단은 법적 사회적 지위가 불안한데 프랑스에서는 알제리인, 독일에서는 터키인들과 러시아에서 이주해온 독일계 러시아인, 이태리에는 집시와 아프리카인, 스위스에서는 발칸반도 출생인 등이 이런 소수집단에 속함.
0 아래 통계는 독일의 수감인구에 외국인이 현저하게 과잉대표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연도 |
독일인 |
외국인 (단위: 1000명) |
전체 수감인구 대비 외국인 수감자 비율 (%) |
전체인구대비 외국인 비율 (%) |
2002 |
48709 |
13885 |
22.2 |
8.6 |
2003 |
./. |
./. |
./. |
8.9 |
2004 |
48387 |
13840 |
21.7 |
8.1 |
2005 |
49653 |
12576 |
21.8 |
8.9 |
2006 |
50486 |
14026 |
21.7 |
8.2 |
2007 |
50465 |
14235 |
22.0 |
8.2 |
(출처: 독일연방통계청, Fachserie 10, Reihe 4.1 (수감자) 및 Fachserie 1, Reihe 2 (인구)
- 전체 수감인구 대비 외국인 수감자비율은 전체인구대비 외국인 비율보다 약 2.5배 정도 높고
- 독일국적을 취득한 외국인, 이주배경을 갖는 내국인 (이민 2세), 그리고 특히 러시아에서 귀환한 독일계 러시아인은 보통 바로 독일시민권을 받기 때문에 외국인 통계에 반영되지 않는 실태를 감안하면 그 비율은 더 높을 것임.
0 외국인 수감자가 이렇게 과잉대표된 이유를 외국인이 독일인들보다 더 자주 범법행위를 하고, 또 그 중에 강력범들이 더 많아서 그렇다고 가정할 수 있겠지만. 이런 가정은 거의 모든 학자들의 반박을 받음.
- 독일의 경우 1980년대에는 외국인 수감자비율이 그다지 높지 않은 편이었는데, 1990년대 들어와서는 지금과 같은 아주 높은 수준으로 변화함.
- 구서독에 한해서 집계된 통계에 따르면 1990-1999년간 독일인 일반 수감자와 보안처분 수감자는 8.9% 증가한 반면 비독일인 수감자는 161.7% 증가함
- 그러나 외국인 수감자 증가와 경찰이 접수한 범법행위신고는 무관한 것으로 집계됨.
.
- 1990-1998년간 범법혐의를 받고 신고된 외국인수는 2% 감소되었지만 유죄판결은 22% 증가하고, 수감비율은 심지어 73.6% 증가함.
- 역으로 동기간 범법혐의를 받고 신고된 독일인 수는 13.8% 증가하였지만, 유죄판결은 단지 9.8% 증가하는데 그쳤고, 수감비율은 대려 0.2% 감소됨.
- 그리고 강력범들은 통례적으로 전과범들인데 1990/91년, 1997/1998년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와 니더작센주에서 실시한 통계조사에 따르면 외국인 범죄자보다 독일인 범죄자 중에 전과범이 훨씬 더 많은 것으로 드러남.
- 이렇게 외국인이 범법행위 신고대상이 되는 추이는 약간 감소되는 추이고 또 전과범 비율이 더 낮은데도 불구하고, 더 자주 유죄선고를 받았고 처벌도 더 무거웠다는 결과임. 다시 말해서 외국인이 범죄화 대상이 되는 위험이 높고 또 더 엄격한 처벌대상이 된다는 것임.
0 Pfeiffer 등의 조사에 따르면
- 외국인 수형자에게 조건부 자유형 선고가 허용되지 않고 꼭 감옥살이를 해야 하는 위험이 독일인보다 2배 높고
- 수감자 100명에게 선고된 수감기간은 외국인이 독일인보다 1.5배 높음
0 이렇듯 수감자수의 증가 혹은 감소는 대체적으로 범법행위의 증가 또는 감소와 무관하고 어디까지나 법적, 법집행기관적, 그리고 여타 사회적 변화와 연계되어 있음.
- 다국에서 실시한 조사를 비교해 보아도 범법행위신고 비율과 수감자 비율간에 아무런 연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집계된 데이터에서 우선적으로 읽을 수 있는 것은 법원이 어떤 그룹을 상대로 하여 얼마나 자주 가장 강력한 처벌인 자유형을 선고하는 경향임.
- 유럽과 독일에서의 소수민족의 수감현실은 20세기 前伴에 미국 시카고의 형법학자들이 조사한 결과와 유사한데
- 그 내용은 가장 최근에 이민해온 이민그룹이 통제기관으로부터 항상 가장 골치 아픈 문제로 간주되고 그전에 문제그룹이 되었던 이민그룹의 뒤를 이어 주요 수형자가 된다는 것임.
- Mueller-Dietz에 따르면 이와 같은 결과는 처벌의 관대화(Liberalisierung) 및 차별화 그리고 다양한 전략으로 세분화된 범법행위통제가 내국인에게만 적용되는데 그치고, 대부분의 이민그룹, 특히 가난한 자국을 떠난 경제난민에게는 자유형이 우선적으로 적용된다고 해석될 수 있음.
2. 소수민족이 과잉 수감되는 이유
0 소수민족이 과잉 수감되는 이유로는
- 경우에 따라 처벌대상이 되는 다른 행동 및 생활환경
- 다른 법적 지위
- 그리고 사회와 대중매체의 보도를 포함한 사회통제기관으로부터 실지로 달리 처우되는 현실 등임.
묘지에서 나와 유럽 유태인 학살 추모 공원으로 항했다. 거기를 들러봐야 뭔가 마음의 균형이 잡힐 것 같아서 그랬다. 무슨 균형이라고 물어오면 뭐라고 대답하기 뭐하다. 그냥 그렇다고 하고 내버려 두자.
멀리 연방하원이 보인다. 브란덴부르크 문은 미대사관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다.
누워서 Andacht?
.....
옆 Tiergarten에는 봄이 오는가 보다.
최근에 풀 프레임 카메라 한대를 장만했다. 사진을 다시 찍고 싶어서다. 렌즈는 왜 그리도 비싼지 바디밖에 구하지 못했다. 렌즈 중고 시장에서 구닥다리 렌즈 몇 개를 구입해서 오늘 들고 나갔다.
헤겔이 누어있는 공동묘지 Dorotheenstädtischer-friedrichswerderscher Friedhof를 찾아갔다. 베를린시 중구에 있는 공동묘지다. 공동묘지 근방에 와서 주차장을 찾아 헤메는데 길 이름이 Tieckstrasse, Schlegelstrasse 등이다. 그러면 Novalisstrasse도 있겠지하고 돌아보니 기대했던 데로 Novalisstrasse도 나온다. Eichendorffstrasse도 나오고....
공동묘지로 들어가는 길이다.
들어가서 오른쪽으로 돌아갔다. 브레히트와 헬레나 바이겔이 양지바른 구석에 나란히 누워있다.
아담한 공동묘지다.
하이너 뮐러의 묘소가 참 인상적이다.
다른 묘지 풍경
이름이 깨져있다. Fritz 누구?
피히테부부와 헤겔부부가 나란히 누워있다.
묘지에서 나오는 길
(§3) 인식에 대한 근심걱정이 사실 진리에 대한 두려움이라고 당당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근거는 오로지 절대적인 것만이 진리이고, 오로지 진리만이 절대적이라는 명제에 있다. 그러나 이에 맞서 인식에는 별다른 종류가 있다고 꼬집고 위의 결과를 거부할 수도 있겠다. 즉, 어떤 인식은 학문이 추구하는 절대적인 것을 인식하지 않더라도 진리일 수가 있고, 또 다른 인식은 절대적인 것을 파악할 능력은 없지만 다른 식의 진리를 파악할 수가 있다는 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우왕좌왕하고 종잡을 수 없게 떠벌리는 일은 꼬리가 그다지 길지 않아[1] 실상이 바로 파악되어 절대적인 진리와 그 밖의 다른 진리라는 애매모호한[2] 구별에 몸을 기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사용되는 절대적인 것, 인식 등과 같은 낱말의 의미는 사실 숙고하여 획득되어야 하는 국면에 놓여 있는데, 이미 어떤 특정한 제멋대로의 의미로 전제되고 있다는 것을 볼 수가 있다.
[1] 원어
[2] 원어
(§1) 철학에 입문하는 마당에서[1] 철학이 진정 해야 하는 일[2], 즉 존재하는 것의 실상이 무엇인지[3] 실지로 알아보는[4] 길목으로 곧바로 들어서기 이전에 먼저 이런 인식작용에[5] 관하여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것이 있다는 생각은 인식작용을 인식과 동떨어져있는 그 무엇을[6] 수중에 넣는데 꼭 필요한[7] 도구나 아니면 그런 절대자를 가려내는데[8] 꼭 필요한[9] 수단으로 보는 한 아주[10] 자연스러운 발상이다. 이런 발상아래 적절한 사전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근심걱정이[11] 그럴듯한데 그 근심걱정이 우려하는 것은 인식에는 어쩌면 여러 종류가 있고 그 중에는 앞서 말한 철학의 최종목적을 달성하는데 좀더 쓸모 있는 것과 그렇지 않는 것이 있어서 애당초 잘못된 선택을 하거나, 선택을 제대로 했다 하더라도 구체적인 인식작용은 일정한 양식과 적용범위를 지니는 능력이라는 점에서 그 속성과 한계를 꼼꼼하게 규정하지 않고서는 진리의 천상대신 오류의 뜬구름만 붙잡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우려하다 보면 근심걱정이 변질되어 끝내 인식작용의 힘을 빌려 존재하는 것을 있는 그대로[12] 의식이 소유하도록 한다는 발상 그 자체가 애당초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며, 인식과 절대적인 것 사이에는 뛰어넘을 수 없는 장벽이 내려져 있다는 확신이 들어서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귀결인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인식이 절대존재를 장악하는데 쓰이는 도구라고 하다면, 도구란 적용대상을 타자에 의해서 구애 받지 않는[13] 형태로 가만히 놔두지 않고 그것의 형태를 다듬고 변화시킨다는 것이 너무나 빤히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생각을 고쳐 인식이란 철학하는 우리가 하는 일을[14] 돕는 도구가 아니라 진리의 빛이 우리에게 다다르는 통로 정도인 수동적인 매체라고 한다고 해도 우리에게 주어지는 진리는 위와 마찬가지로 진리 그 자체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그 매체에 의존하고 그 안에서 존재하는 양식으로서의 진리인 것이다. 어찌 되었던 간에 우리는 두 경우 다 철학이 추구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단이라는 것을 사용하는 셈인데, 문제는 수단을 사용한다는 것 그 자체가 개념상[15] 이미 목적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우리가 이토록 수단이라는 것에 매달려 있다는 것 자체가 앞뒤가 전혀 맞지 않는 사태라는 것이다. 이런 곤경에서 벗어나려면 도구의 작동방식을 습득하면 되지 않겠느냐는 생각이 얼른 떠오를 수도 있겠다. 말하자면, 도구의 작동방식을 알면 절대적인 것에 관하여 우리가 도구를 통해서 얻어낸 생각에서 도구에 속한 부분을 인식결과에서 거슬러 내고 참다운 것을 순수하게 획득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수정해본들 나아진 것은 없고, 그 결과란 오로지 우리가 인식작용을 하기 이전의 원래 상태에 다시 처하게 될 뿐이다. 다듬어진 사물에서 도구의 몫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을 회수하면 사물은 – 여기서는 절대적인 것은 – 다시 인식이전의 상태와 전혀 다름없는 것이 되는데, 그렇다면 이런 인식작용이란 허나마나한 짓일 뿐이다. 이에 맞서 이번에는 도구를 통해서, 마치 아교를 가지고 새를 통째로 잡는 것처럼, 절대적인 것에 아무런 변화가 가해지지 않고 단지 우리 곁으로 당겨져 오는 것뿐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절대자가 우리 곁에 와 있는 이유는 절대자가 애초부터[16] 우리 곁에 와 있고 또 그러기를 원하기 때문인데[17], 절대자가 이와 같은 잔꾀에 넘어가 우리 곁으로 당겨질 수 있다고 한다면 절대자를 몰라도 너무 모르는 일로서 비웃음을 받을 만한 일이다. 이런 식의 인식이 잔꾀에 불과한 이유는 인식이 내심으로 목적하는 바는 오로지 절대자와 직접적인[18] 관계, 다시 말해서 아무런 노고가 필요 없는 관계를 만들어 내는 것인데, 겉으로는 매우 힘겹게만 달성할 수 있는 뭔가를 분주하게 추구하는 척하기 때문이다. 이런 비판을 피하기 위해서 이젠 인식을 매체로 생각하고 인식에 대한 실험을 통해서 이런 매체 안에서 광선이 어떻게 굴절되는지 그 법칙을 알게 되어 인식결과에서 광선굴절을 삭제할 수 있게 된다 하더라도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왜냐하면, 인식이란 광선굴절이 아니라 진리가 우리에게 다다르는 광선 자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식인 광선 자체를 거슬러내고 나면 남는 것은 오로지 허허한 공간에 그려진 수학적인 순수한 방향[19] 혹은 텅 빈 공간일 뿐이다.
[1] 원어 [2] 소크라테스의 첫째 고소에 대한 반증(『소크라테스의 변론), 19a-20c)을 보면 다음과 같은 표현이 나온다. [3] 원어 [4] 원어 [5] 원어 [6] 원어 [7] 문장의 흐름상 [8] 원어 [9] 역자 주 5번 참조 [10] <아주>에 상응하는 단어는 원본에 없다. 그러나 [11] 원어 < Besorgnis>. [12] 원어 [13] 원어 [14] 역자주석 2번 참조. 특히 pragma에 스며있는 prattein(행하다)의 의미에 주목했다. [15] 원어 [16] 원어 [17] 원본에는 [18] 원어 [19] 원어 최근 헤겔의 <정신현상학>을 다시 읽기 시작했다. 이번에 좀 꼼꼼히 읽어 내려갈 생각이다. 그리고 헤겔의 Gedankengang을 mitvollziehen한다는 차원에서 번역해 볼 생각이다. 우선 서론(Einleitung)에서 시작해서 서설(Vorwort)로 넘어갈 생각이다. 서론은 각 단락에 번호를 매겨서 매일 한 단락씩 읽어 내려갈까 한다. üb>. 뭔가에 걸려 이 낱말을 그냥 지나갈 수가 없다. 『파우스트 1』의 헌사에 똑 같은 표현이 등장하는데(“Ihr naht euch wieder, schwankende Gestalten, die früh sich einst dem trüben Blick gezeigt.”) 괴테의 색채론을 언급하면서 독일 낭만주의가 üb> 한 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는 Hans Arens 주해를 언젠가 읽어 본 적이 있어서 그런 것 같다 (Hans Arens, Kommentar zu Goethes Faust I, Heidelberg 1982). 여기서 걸리는 것이 정말 무엇인지 더 자세히 살펴보니 사실 『정신현상학』당시 논쟁의 지형이 어떠했는지 궁금한 것이다. 정신현상학을 읽다 보면 담화적인 구조(dialogische Struktur)가 눈에 뜨이는데, 이때 특히 발화수반적인 기능을 하는 불변화사(Partikel)를 번역하는데 당시의 논쟁지형을 잘 모르기 때문에 자신 있게 번역하지 못하는 상황에 자주 부딪히게 되어서 그런 것 같다. 이런 애로사항은 『정신현상학』뿐만 아닌 것 같다. Helbig/Buscha는 독어가 다른 언어에 비교해서 이런 “Dialogpartikel”(Harald Weinrich, Textgrammatik der deutschen Sprache, 4. Auflage, Hildesheim 2007, 835쪽)이 아주 많다고 („partikelreich“) 지적하고 있다 (Helbig/Buscha, Deutsche Grammatik, ein Handbuch für den Ausländerunterricht, 15. durchgesehene Auflage, Gütersloh 1993, 477쪽). 아무튼, 『정신현상학』의 담화적인 구조를 제대로 번역하려면 지형에 통달한 길잡이가 필요할 것 같다. §1의 첫 문장을 번역하면서 <꼭 필요한 도구>라는 옮긴 것을 장황하게 설명했는데, 이것을 정신현상학 당시 논쟁지형과 관계하여 살펴보면 헤겔도 역시 인식을 진리를 알아내는데 유일한 것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 그러면 그렇지 않았던 무리도 있었는지 궁금하다. 만약 그렇다면 당시의 전선은 그리 간단하지 않았던 것 같다.
"정신현상학 읽기" 분류의 다른 글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1 (다시 읽은 것을 다시 읽기 - 첫번째 두 ... 후각과 촉각의 확신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다시읽기) §1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다시 읽기) §7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 §11 상부
정신현상학 서론 §1
관리 메뉴
본문
헤겔 <정신현상학>
관리 메뉴
본문
댓글 목록
혁사무당파
관리 메뉴
본문
매우 유의미한 자료를 번역하셨네요. 스치면서.. 누가 하셨나 했더니..출처를 밝히고, 정보공유해도 되겠는지요..
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예.... 게으르다 보니 다 못했어요. 2편을 정리해서 곧 올리겠습니다.부가 정보
혁사무당파
관리 메뉴
본문
시리즈로 해야겠네요. 2편도 기대하겠습니다. 수고하세요.^^부가 정보
비밀방문자
관리 메뉴
본문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