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삶과 죽음은 조약돌이다

  • 등록일
    2009/06/21 23:18
  • 수정일
    2009/06/21 23:18

 

* 광주로 오는 버스 안에서 영화를 봤다. 옆 사람은 아랑곳하지 않고, (장말 신파적으로) 내내 울었다.

 

 

[굿 바이](타키타 요지로, 2009, 일본)

[굿 바이](타키타 요지로, 2009, 일본)

 

 

삶과 죽음은 조약돌이었다. 물론 그 경계에는 문이 있는데, 아주 헐거운 경첩이 달려 있어서 조금만 흔들어도 빠진다. 역시 시간의 경첩은 언제나 빠질 수 있는 것이다([햄릿]). 다시 한 번 확인하자면 삶과 죽음은 조약돌이다. 그 단단한 미물 안에 다 들어 있었다.

 

떠도는 조약돌, 아들에서 아들로, 아버지에서 어머니로 ... 그래서 그것은 결코 우리가 잡고 있다고 해서 완전히 포획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또 망각하고 있다고 해서 완전히 잊어버릴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다이고(모토키 마사히로 분)는 미카(히로스에 료코 분)에게  중요한 결정에 있어서 한 번도 의논하지 않았다. 그건 부성으로부터 배반당한 기억 때문이다. 하긴 이 방면에서 착하기만 한 미카의 모습은 페미니즘 측면에서는 영 마뜩찮다(내가 페미니스트가 될 수 없기에 참 다행이다. 영화를 마음의 삐걱거림 없이 볼 수 있었으니). 

 

다시 떠도는 조약돌, 모든 사람이 그 조약돌을 가지고 있지만, 자신의 피붙이 같은 존재도 그걸 가지고 있다는 걸 자주 잊어 버린다. 그래서 서로 섭섭하다. 다이고도 미카도 그렇다. 나도 그렇고 그녀도 그렇다. 조약돌의 크기는 서로 다르다. 어떤 것은 웃음 때문에, 고인의 얼굴 여기 저기 남긴 립스틱 자국 때문에 부풀어 있고, 어떤 것은 무서운 표정으로 으르거나, 운다. 또 어떤 것은 남자로 태어나 여자가 되기를 욕망하기도 한다. 그러나 한결 같은 것은 그것들이 모두 한갖 조약돌이라는 거다. 

 

삶과 죽음, 참 일상적이다. 그 놀랄만한 집착과 그 갑작스런 패악질에 있어서 그건 너무나 평범하다. 우리는 그 평범한 진리 안에 산다. 눈물은 그런 의미다. 억울하니까. 빌어먹을 삶과 죽음 때문에 우린 이렇게 괴롭다. 조약돌 따윈 던지면 그만이다. 그러나 그럴 수 있을까? 그런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평생.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